KR20120134681A - 안전성이 향상된 전기매트 - Google Patents

안전성이 향상된 전기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4681A
KR20120134681A KR1020110053772A KR20110053772A KR20120134681A KR 20120134681 A KR20120134681 A KR 20120134681A KR 1020110053772 A KR1020110053772 A KR 1020110053772A KR 20110053772 A KR20110053772 A KR 20110053772A KR 20120134681 A KR20120134681 A KR 20120134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temperature
power
temperature control
contro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3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1054B1 (ko
Inventor
김원준
Original Assignee
김원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준 filed Critical 김원준
Priority to KR1020110053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1054B1/ko
Publication of KR20120134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02Switch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27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27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 G05D23/1928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sensing the temperature of one spa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275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sensing element expanding, contracting, or fusing in response to changes of temperature
    • G05D23/27535Details of the sensing element
    • G05D23/2754Details of the sensing element using bimetallic ele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매트나 전기보료의 온도제어 프로그램 전단에 전류 단속의 리레이를 구성하고 온도조절회로 후단 히터전원측 결선에 온도상승으로 인한 전원차단용 리레이를 갖춘 온도조절기(P)를 설치하며, 발열매트에는 2개 이상의 온도센서를 내장하며, 2개의 히터와 피더를 병렬 연결하여 전열발생을 분산하고, 2개 이상의 히터전류 차단용 바이메탈을 피더와 각각 직렬로 연결 설치하여, 온도센서와 히터 및 바이메탈을 각각 온도제어프로그램(PR)에 연결한 것으로, 최초에는 2개의 히터에서 발열케 하다가, 온도조절기의 설정온도에 거의 다다르면(통상 온도조절기의 설정온도 보다 ?3℃ 정도로 설정한다) 하나의 히터는 전원이 차단되고 나머지 히터에서만 전열을 발생케 하여 지정온도로 제어하는 것으로, 온도제어프로그램의 고장 등으로 인해 발열매트가 설정온도이상(통상 +5℃ 정도) 과온 되면 리레이(R₁)의 코일(C₁)에 전류가 흐르게 하여 히터(H₁, H₂)의 전원을 차단함과 동시에 리레이(R₂)가 구동되어 전원이 차단되며, 온도제어회로가 작동되지 아니하여 발열매트(M)의 온도가 계속 상승하게 되면 바이메탈이 작동되어 히터전류는 피더를 통하여 전단의 리레이(R₂) 코일(C₂)에 흐르게 되어 리레이(R₂)가 작동되어 전원공급이 차단되고 리셋스위치의 복구 없이는 전원의 공급이 불가능하게 구성하여 된 것이다.

Description

안전성이 향상된 전기매트 또는 전기보료{A electrical mat improved safety or electric mattress}
본 발명은 전기매트 또는 전기보료에 있어 온도조절기(P)의 온도제어회로(PR)의 고장으로 인한 지나친 온도상승시 전원을 완벽하게 차단하여 화상 및 화재를 방지하기 위한 다중안전장치를 구비한 안전성이 향상된 전기매트 또는 전기보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매트 등은 히터가 배선되고 온도센서가 내장되어 온도상승에 따라 온도제어회로에 의해 히터에 공급되는 전류를 단락시켜 적정온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발열선에서의 전류의 단략에 상응하는 줄열을 적정온도로 유지하여 발열매트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기매트 등은 히터에 공급되는 교번전류로 인해 전자파를 발생하기도 하여 이의억제가 요청되기도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발열매트 등은 히터에서의 전류의 단속을 이용, 발생하는 전기에너지(줄열)을 이용하여 전기매트 등을 필요상태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으로,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상승되면 온도제어회로는 히터전원을 차단하고, 온도가 하강하게 되면 온도제어회로는 다시 히터에 전원을 공급하여 히터에서 발열하게 하고 있으나, 온도제어회로나 가열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의 고장상태에서는 전원차단이 저해되어, 화상과 화제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히터는 열의 발생과 동시, 자장의 발생이 숙명적이어서 히터 주변에 자장을 형성하게 되며, 전원이 교류이어서 교번하는 자장이 형성되게 된다.
위와 같은 교번자계는 주변에 전자파를 발생하게 되어 전기매트나 전기보료를 사용하는 사람에게 영향을 주게 되고, 교번자계 또한 도체인 인체에 미세한 유기 기전력을 발생시켜 건강상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전기매트나 전기보료에 있어서 히터의 과열을 방지하여 전기매트 등을 사용자들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사용자가 없는 경우에도 과열로 인한 화재를 방지할 수 있는 다중의 안전장치를 구비한 전기발열 매트 등을 제공하려는데 있으며, 부차적으로 히터에서의 전자파 발생 원인을 제거한 전기발열 매트 등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전기매트나 전기보료의 온도제어프로그램 전단에 전류 단속의 리레이를 구성하고 온도조절회로 후단 히터전원측 결선에 온도상승으로 인한 전원차단용 리레이를 갖춘 온도조절기(P)를 설치하며, 발열매트에는 확실한 온도감지를 위해 2개 이상의 온도센서를 내장하며, 2개의 히터와 피더를 병렬 연결하여 전열발생을 분산하고, 안전선 향상을 위해 2개 이상의 히터전류차단용 바이메탈을 피더와 각각 직렬로 연결 설치하여, 온도센서와 히터 및 바이메탈을 각각 온도제어회로(PR)에 연결한 것으로, 최초의 전원 공급시에는 급속가열을 위해 2개의 히터에서 발열케 하다가, 온도조절기의 설정온도에 거의 다다르면(통상 온도조절기의 설정온도 보다 -3℃ 정도로 설정한다) 하나의 히터는 전원이 차단되고 나머지 히터에서만 전열을 발생케 하여 발열매트온도가 지정온도에 다다르면 (통상 ±1℃로 설정한다) 나머지 히터도 전원이 차단되도록 한 것으로,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로 하강 되면 히터에 다시 전원을 공급하여 전열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작동하며, 온도제어프로그램(PR)의 고장 등으로 인해 발열매트가 설정온도이상(통상 +5℃ 정도) 과온 되면 사이리스타(TH)를 도통시켜 온도제어 프로그램(PR) 후단의 리레이(R₁)의 코일(C₁)에 전류가 흐르게 하여 히터(H₁, H₂)의 전원이 차단됨과 동시에 전류가 피더(F)를 통하여 전단의 리레이(R₂)를 작동시켜 입력 전원이 차단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리레이(R₂)의 구동에 의해 전원이 차단되면 리레이(R₂)의 리레이코일(C₂)에는 자가전류가 흐르게 됨으로, 발열매트의 온도가 하강 되더라도 리셋 스위치등의 작동 없이는 전원이 복구되지 아니하여 발열매트(M)에 전원이 공급될 수 없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온도제어프로그램(PR)이 작동되지 아니하여 발열매트(M)의 온도가 계속 상승하게 되면 바이메탈(BM₁, BM₂)이 작동되어 히터전류는 피더(F)를 통하여 전단의 리레이(R₂) 코일(C₂)에 흐르게 되어 리레이(R₂)가 작동되어 앞에서와 같이 전원공급이 차단되고 리셋스위치(RS)등의 복구 없이는 전원의 공급이 불가능하게 구성한다. 한편 히터와 피더는 실리콘 등 절연체로 피복처리된 것으로, 2개의 히터와 피더는 일측을 각각 연결하여 상호 꼬아서 실리콘 등으로 피복 고정하며, 그 위를 알루미늄 박으로 감싼 구조로 하여 발열선에 전류가 공급되더라도 주변에 자장이 형성되지 못하도록 구성하여 된 것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전기매트나 전기보료의 발열매트는 2개의 히터에 의해 전열발생을 나눠 발열케 하므로, 발열 부하가 양측으로 분산됨으로 인하여 고온으로 가열되지 아니하여 고온으로 인한 신체의 위험이나 화재의 염려가 현저하게 감소되고, 양측 발열선이 각각 온도 제어되므로,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온도제어회로에서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고온 또는 화재의 위험은 없게 된다(1차 안전장치). 그리고 매트의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5℃이상 상승 되면 사이리스타(SY)의 도통으로, 리레이(R₁)가 작동되어 히터전원이 차단되고 리레이(R₂)가 작동되어 전원이 차단되게 되며, 리셋작동 없이 복구되지 아니하게 된다(2차 안전장치). 한편, 온도제어프로그램의 고장으로 인해 발열매트의 고온에 따른 전원차단이 불가하거나, 히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온도조절기의 전원부(트라이액)의 고장이 발생 되어 전원을 제어하지 못하여 발열매트가 고온으로 더욱 가온 되면, 바이메탈의 차단으로 바이메탈을 통하여 흐르던 히터 전류가 전단의 리레이(R₂)코일(C₂)를 지나 흐르게 되므로 리레이(R₂)가 구동되어 전원공급 접점의 개방으로 전원이 본원적으로 공급되지 아니하게 된다(3차 안전장치). 한편, 바이메탈(BM₁, BM₂)이 작동되면 앞에서와 같이 순간적으로 전류가 리레이(R₂)측 리레이(전류)코일(C₂)에 흐르게 되고, 리레이(R₂)가 작동되면서 코일(C₂)에는 자가전류가 흐르게 되어, 리레이(R₂)의 작동은 계속되게 되므로, 리셋 스위치(RS)의 작동 없이는 리레이(R₂)전류 코일(C₂)의 전원이 차단되지 아니하여 매트에 전원이 공급될 수 없게 구성된 것으로, 사용자가 화상의 우려가 없음은 물론 사용자가 없더라도 화재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은 1.2.3차의 안전장치를 구성하고 있음으로 어떠한 경우에도 과온에 의한 신체의 위험이나 화재 등의 위험성은 없게 되며, 사용자가 가동중인 전기매트나 전기보료로부터 이탈하여 없게 되고, 발열매트에는 전원이 공급되고 있더라도 고온에 의한 화재의 위험성이 없는 것이며, 한편 히터와 피더가 상호 꼬여져 알루미늄 박으로 감싸져 있는 것이어서, 히터의 자계와 피더의 전류는 동일하고 발생자계는 반대방향이어서 어떠한 경우에도 항상 상쇄되어 외부로 전자파를 발생시키지 아니하게 된다. 가사 외부로 교번자계가 방사된다 하더라도 방사자계는 알루미늄박에 와류를 발생시켜, 이 와류에 의한 자계는 방사자계를 억제 상쇄케 하므로 어떠한 경우에도 히터 전류에 의한 전자파의 외부 방출은 없게 되는 효과를 가져다주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제 회로도
도 2는 히터와 피더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
위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그 실시를 위해 상세히 설명한다.
입력측(IN)의 일측 AC-1의 전원은 전단의 리레이(R₂)의 평상시(무동작시) 접점을 통하여 온도제어프로그램(PR)과 리레이(R₁)에 평상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전류는 리레이(R₁)에서 전원선(L₁)을 통하여 발열매트(M)의 바이메탈(BM₁, BM₂)을 거쳐 히터(H₁, H₂)와 피더(F)의 접합점에 연결구성되며, 피더(F)는 전원선(L₄)을 통하여 리레이(R₂) 코일(C₂)접점(④)과 동작시 접점(⑤)에 각각 연결되며, 입력측(IN)의 타측 AC-2는, 리레이(R₂)의 동작시 타접점(⑥)과 연결되면서 온도제어프로그램(PR)과 전원선(L₂, L₃)을 통하여 히터(H₁, H₂)의 타단전원측에 각각 연결 구성되며 온도센서 (TH₁, TH₂)는 온도제어프로그램(PR)의 온도센서 연결측에 각각 연결 구성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원입력측(IN)에 전원이 입력되면 인가된 전원은 리레이(R₂)의 무동작시 접점 (②,③)을 거처 온도조절기 프로그램(PR)과 전원선 (L₁)을 따라 바이메탈(BM₁, BM₂)을 거쳐 전원이 공급되고 히터(H₁, H₂)에 전원이 공급되어 트라이악(TR₁, TR₂)을 통하여 흐르게 되므로, 히터(H₁, H₂)는 발열케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지속되면 발열매트(M)는 가온되어 온도조절기(P)의 설정온도의 -3℃ 정도로 근접되면, 온도센서(TH₁, TH₂)와 온도제어프로그램(PR)에 의해 히터(H₁)에 공급되는 전원은 차단되고 히터(H₂)에만 전원이 공급되어 발열되게 되며, 발열매트(M)가 온도조절기(P)의 설정온도(±1℃)에 다다르면 온도센서(TH₁, TH₂)의 감지와 온도제어프로그램(PR)에 의해 히터(H₂)에 공급된 전원마저 차단되게 된다.
발열매트(M)에서 열이 방출되어 온도가 하강하게 되면 히터(H₂)에 다시 전원이 공급되고 이러한 현상은 반복되어 본 발명 발열매트(M)에는 일정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양쪽 히터(H₁, H₂)를 온도조절기프로그램(PR)이
제어하기 때문에 한쪽 히터에 고장이 발생 되면 정격의 50%정도가 발열 되어 저온이 유지가 되는 것이어서, 고온상승이 없게 되어 안전한 사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발열매트(M)의 온도를 안전하게 유지하려면 온도센서에 의한 발열매트의 표면을 넓게 감지하여야 할 것이어서 본 발명에서는 여러 개의 온도센서를 직렬로 넓게 배치하고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이 2개 이상의 온도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논리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한편 온도조절기(P)등의 오동작으로 발열매트(M)가 고온으로 상승되어 통상 5℃ 이상이 되면, 사이리스터(SY) 게이트에 신호가 입력되어, 사이리스터(SY)는 도통 되며, 리레이(R₁) 코일(C₁)에는 전류가 흐르게 되어 히터(H₁, H₂) 전원은 차단되고 동시에 리레이(R₂)가 작동되어 입력 전원이 차단되게 된다. 한편, 온도제어 프로그램(PR) 등의 고장으로 발열매트(M)온도가 더욱 상승하게 되면 바이메탈(BM₁, BM₂)이 작동되어(이 경우에 있어서도, 다수개의 바이메탈에 의한 넓은 면적을 감지하는 이유가 있는 것이다) 히터(H₁, H₂)에 공급되는 전원은 차단되고 전원은 리레이(R₂) 전류코일(C₂)을 통하여 전류가 흐르게 되어 리레이(R₂)의 접점(②③) 간은 차단되고, 접점(⑤,⑥)이 접합되는 것으로 온도제어 프로그램(PR)으로 공급되는 전원은 차단되어 발열매트(M)에는 본원적으로 전원이 공급되지 아니하게 된다. 이 상태는 리레이(R₂) 코일(C₂)에 계속하여 전원이 공급되어 사람이 인위적으로 리셋 스위치(RS)를 작동, 전원을 차단하지 아니하면 발열매트(M)에는 전원이 공급될 수 없는 것이어서 공급 전원으로 인한 발열매트(M)의 고열로 화재의 염려는 전혀 없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전열선의 내부에는 히터(H₁, H₂)가 피더(F)와 동시에 내장되어 있는 것이어서 히터(H₂) 또는 히터(H₁)의 전류 및 이의 합성전류는 피더(F)의 전류와 같고, 그 방향이 반대이므로 자계는 상쇄되어 외부로의 자계 방출이 없게 되는 것이다.
L₁, L₂, L₃, L₄ : 전원선
R₁, R₂ : 리레이
M : 발열매트 P : 온도조절기
TH₁, TH₂ : 온도센서 BM₁, BM₂ : 바이메탈
H₁, H₂ : 히터 SW : 전원 스위치
F : 피더 RS : 리셋 스위치
PR : 온도조절기 프로그램 SY : 사이리스타
C₁, C₂ : 리레이 코일 TR : 리스타

Claims (4)

  1. 통상의 전기 발열매트에 있어서,
    입력측(IN) 일측(AC-1)은 전원이 리레이(R₂)를 통하여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온도제어회로(PR) 입력측과 리레이(R₁)에 연결되며, 리레이(R₁)에 연결된 전원선(L₁)은 바이메탈(BM₁, BM₂)을 거쳐 병렬로 구성된 발열선(H₁, H₂) 및 피더(F)의 합성접합점에 연결되며, 피더(F)의 타단은 리레이(R₂)의 전류코일(C₂) 접점(④)에 연결되며, 발열선(H₁, H₂)의 타단은 전원선(L₂, L₃)을 지나 온도제어회로(PR)에 각각 연결되며, 온도센서(TH₁, TH₂)는 온도제어회로(PR)의 온도센서 연결 측에 각각 연결되며, 입력측 타측(AC-2)은 온도조절기(P)의 입력측에 각각 연결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이 향상된 전기매트 또는 전기보료
  2. 제 1항에 있어서,
    온도제어회로(PR)의 고장으로 매트가 고온 가열 시 바이메탈(BM₁, BM₂)이 작동되며 리레이(R₂)가 구동하여 전원공급이 차단되는 안전성이 향상된 전기매트 또는 전기보료
  3. 제 1항에 있어서,
    온도제어회로(PR)에 연결된 발열매트(M)가 설정한 온도보다 +5℃ 이상 상승하면 온도제어회로(PR)에서 신호를 받아 리레이(R₁) 코일(C₁)에 전류가 흘러 리레이(R₁)가 전원을 차단하여 히터(H₁, H₂)가 발열할 수 없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향상된 전기매트 또는 전기보료
  4. 제 1항에 있어서,
    히터(H₁, H₂)와 피더(F)선은 외부가 절연체로 피복된 것으로 일측이 상호 접합 되어 꼬여진 상태로 고정되어 알루미늄 박으로 피복처리된 뒤 절연체로 피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향상된 전기매트 또는 전기보료

KR1020110053772A 2011-06-03 2011-06-03 안전성이 향상된 전기매트 KR101281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772A KR101281054B1 (ko) 2011-06-03 2011-06-03 안전성이 향상된 전기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772A KR101281054B1 (ko) 2011-06-03 2011-06-03 안전성이 향상된 전기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681A true KR20120134681A (ko) 2012-12-12
KR101281054B1 KR101281054B1 (ko) 2013-07-09

Family

ID=47902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3772A KR101281054B1 (ko) 2011-06-03 2011-06-03 안전성이 향상된 전기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10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218U (ko) * 2017-11-14 2019-05-22 주식회사 바인하우스 야외에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전열매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234B1 (ko) * 2018-12-18 2020-08-26 주식회사 우진전자시스템 다기능 온열 매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5258A (ko) * 2004-01-16 2005-07-20 윤장호 상,하체 가열장치를 갖는 매트
KR100701263B1 (ko) 2004-12-02 2007-03-29 김종록 발열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218U (ko) * 2017-11-14 2019-05-22 주식회사 바인하우스 야외에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전열매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1054B1 (ko) 2013-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83121B (zh) 提高电压调节器的安全性的方法、电源系统以及计算机
JP2006164985A (ja) 電気毛布/パッド
KR20120134681A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기매트
ES2293294T5 (es) Manta calefactora.
KR101261554B1 (ko) 온수매트용 보일러의 전자파 자동 소멸장치
KR100918454B1 (ko) 전기매트 또는 전기온수매트 온도조절기의 전력제어소자 제어 불능시 발열선 과열방지 회로
KR101659470B1 (ko) 온열침대용 제어장치
KR200429217Y1 (ko) 침구류용 무자계 발열선 및 이의 구동 장치
KR200468961Y1 (ko) 전열 기기의 과열 차단 장치
WO2010024518A3 (ko) 온열기의 제어정류소자 고장시 전원퓨즈 단선장치
KR100944160B1 (ko) 과열방지기능이 있는 무자계열선의 온도제어기
RU97624U1 (ru) Бытовой электрообогреватель
CN102523640A (zh) 零辐射柔性发热器具电热线接线方法
KR100793018B1 (ko) 침구류용 전자기파 차단 발열선의 구동 장치
KR100701026B1 (ko) 침구류용 무자계 발열선 및 이의 구동 장치
KR101626112B1 (ko) 온열침대용 제어장치
KR100920647B1 (ko) 과열방지 온도조절 회로 및 그 방법
CN103263180A (zh) 电热保温床垫
KR20130000736A (ko) 아크 및 스파크 검출이 가능한 온열기
CN202888530U (zh) 一种电热水装置保护插头
RU108259U1 (ru) Электрогрелка
CN107529237A (zh) 一种智能温控电伴热带
KR101162900B1 (ko) 온도조절기
CN208548303U (zh) 一种新型电力刀闸
KR100682525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전기침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