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4066A -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4066A
KR20120134066A KR1020120057297A KR20120057297A KR20120134066A KR 20120134066 A KR20120134066 A KR 20120134066A KR 1020120057297 A KR1020120057297 A KR 1020120057297A KR 20120057297 A KR20120057297 A KR 20120057297A KR 20120134066 A KR20120134066 A KR 20120134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al information
display
information pattern
electrophoretic element
invisibl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쯔노리 야마자끼
다까시 아오끼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20057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4066A/ko
Publication of KR20120134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0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 G02F1/16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by electrophore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17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in co-operation with a patterned surface, e.g. absolute position or relative movement detection for an optical mouse or pen positioned with respect to a coded surface
    • G06F3/0321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in co-operation with a patterned surface, e.g. absolute position or relative movement detection for an optical mouse or pen positioned with respect to a coded surface by optically sensing the absolute position with respect to a regularly patterned surface forming a passive digitiser, e.g. pen optically detecting position indicative tags printed on a paper she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2Light pens for emitting or receiving l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7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movable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 G09G3/34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based on particles moving in a fluid or in a gas, e.g. electrophoretic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는, 좌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패턴이 부여되어 있는 표시 수단과, 불가시광선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 패턴을 판독하는 위치 정보 판독 수단을 구비하고, 표시 수단은, 전기 영동 소자와, 전기 영동 소자측의 면에 제1 전극을 갖는 제1 기판과, 전기 영동 소자측의 면에 제2 전극을 갖는 제2 기판을 구비하고, 전기 영동 소자의 구성 부재 및 위치 정보 패턴 중 어느 한쪽이 불가시광선에 대하여 반사성을 갖고, 다른 쪽이 흡수성을 갖는다. 표시 수단은, 위치 정보 판독 수단에 의해 위치 정보 패턴으로부터 판독한 부호에 기초하여 표시를 행한다.

Description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INPUT FUNCTION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터치 패널 입력이나 펜 입력 가능한 휴대 전자 기기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들 입력 방식은 키보드를 없애고, 표시 영역을 최대화함과 함께 표시의 절환에 대응하면서, 누구라도 간편한 조작으로 입력 가능한 장치로 되어 있다. 따라서, 소형이며 또한 다기능이 요구되는 최근의 휴대 전자 기기에는 필수의 입력 기술로 되어 있다. 특히, 펜 입력 방식(수기 입력 방식)은, 일상에서 손에 익은 펜과 종이의 감각으로, 손가락보다도 정확하고 고속의 입력 조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표시 영역에 사인이나 그림을 그릴 때에는 불가결의 수단이다. 그 니즈는 게임이나 전자 서적 등의 퍼스널 시장으로부터, 타블릿, CAD 등의 비즈니스 시장에 이르기까지 다방면에 걸친다.
즉, 펜 입력 기능(수기 입력 기능)은, 표시면 상을 전자 펜으로 덧쓰면서 펜의 좌표를 검출하고, 표시면에 전자 펜의 필적을 표시시키는 기능이다.
전자 펜의 입력 좌표를 검출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 하나로서, 표시면 상에 점 형상의 복수의 부호를 어떤 규칙에 기초한 위치에 설정하고, 전자 펜의 촬상 소자에 의해 이 점 형상의 부호군을 촬상하고, 그 부호의 패턴을 복호하여, 펜끝의 좌표를 검출하는 방법(부호 촬상형 입력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이 부호 촬상형 입력 방식을 표시 장치에 채용하는 경우, 표시 화상과 부호를 식별하기 위해서, 부호를 표시 화상의 흑 표시보다도 어둡게 하거나, 백 표시보다도 밝게 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부호로서 표시 화상의 흑 표시보다도 어두운 것을 채용하면 표시 전체가 어두워지고, 표시 화상의 백 표시보다도 밝은 것을 채용하면 콘트라스트가 저하된다고 하는 과제가 생긴다. 또한, 표시 화상의 색(배경색)과 부호의 색의 차가 작기 때문에, 부호를 식별하기 위해서 전자 펜에 노이즈 제거 처리 등의 고도의 처리 기능을 부가할 필요가 있고, 그 결과, 촬상한 부호를 복호하여 좌표 변환할 때까지의 시간이 길어짐과 함께 고가로 되게 된다.
이들 과제에 대하여, 표시면 상에 부호를 직접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표시면 상에 가시광선을 투과하고 적외선을 반사하는 필름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적외선에 대하여 저반사율의 재료로 부호를 형성하는 방법이나, 가시광선을 투과하고 적외선을 흡수하는 필름 상에 적외선에 대하여 고반사율의 재료로 부호를 형성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2). 이들 방법에서는, 전자 펜의 촬상 소자에 적외선을 발광시키는 기능을 갖게 하고, 적외선으로 표시면을 조사하면서 촬상함으로써, 밝은 필름면 상(배경)에 어두운 부호 혹은 어두운 필름면 상(배경)에 밝은 부호가 촬상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제4129841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제3930891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가시광선을 투과하고 적외선을 반사 또는 흡수하는 필름은, 가시광선을 100% 투과하는 것은 아니므로, 표시가 어두워지게 됨과 함께 대부분의 것은 고가이다. 또한, 필름분만큼 표시 장치의 두께가 증가한다고 하는 과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배경과 부호의 콘트라스트를 높임과 함께, 장치의 박형화, 저코스트화를 도모할 수 수 있는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로 이루어지는 표시 영역 상의 좌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패턴이 부여되어 있는 표시 수단과, 불가시광선을 이용하여 상기 위치 정보 패턴을 판독하는 위치 정보 판독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위치 정보 판독 수단에 의해 상기 위치 정보 패턴으로부터 판독한 부호에 기초하여 표시를 행하고, 복수의 대전 부재와, 이것을 유지하는 분산매를 구성 부재로서 갖는 전기 영동 소자와, 상기 전기 영동 소자측의 면에 제1 전극을 갖는 제1 기판과, 상기 전기 영동 소자측의 면에 제2 전극을 갖는 제2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전기 영동 소자의 구성 부재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위치 정보 패턴 중 어느 한쪽이 상기 불가시광선에 대하여 반사성을 갖고, 다른 쪽이 상기 반사성보다도 상대적으로 낮은 저반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전기 영동 소자의 구성 부재의 적어도 일부 및 위치 정보 패턴 중 어느 한쪽이 불가시광선에 대하여 반사성을 갖고, 다른 쪽이 반사성보다도 상대적으로 낮은 저반사성을 갖고 있고, 이와 같이, 전기 영동 소자의 구성 부재의 적어도 일부와 위치 정보 패턴이 불가시광선에 대하여 서로 다른 광학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대전 부재의 분포 상태(표시 화상)에 상관없이, 표시 화상과 위치 정보 패턴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위치 정보 판독 수단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 패턴을 확실하게 판독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 영역 상에서의 정확한 좌표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져, 유저의 의사에 따른 수기 입력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위치 정보 패턴을 인쇄 등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위치 정보 패턴이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이 불필요하게 되어, 장치의 박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필름에 의한 밝기의 저감도 피할 수 있다. 또한, 이것에 수반되는 코스트 삭감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불가시광선이 근적외 영역의 광인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불가시 파장이며 또한 적색에 가까운 파장을 이용함으로써, 실리콘계 광 센서가 가시 영역부터 근적외 영역까지 감도를 갖기 때문에, 범용적으로 이용되어 염가의 실리콘계 광 센서에 의한 위치 정보 패턴의 판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위치 정보 패턴이 상기 가시광선에 대하여 투명성이 높은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표시 수단의 표시 휘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밝고 시인성이 양호한 화상 표시를 행할 수 있는 장치가 얻어진다.
또한, 상기 전기 영동 소자의 구성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불가시광선에 대하여 상기 반사성을 갖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불가시광선에 대하여 반사성을 갖는 대전 부재에 대하여, 흡수성을 갖는 위치 정보 패턴이 형성되므로, 위치 정보 판독 수단에서는 밝은 배경에 어두운 위치 정보 패턴이 검출된다. 배경과 위치 정보 패턴의 콘트라스트를 높일 수 있음으로써, 위치 정보 판독 수단에 의한 위치 정보 패턴의 판독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상기 전기 영동 소자의 구성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불가시광선에 대하여 상기 반사성을 갖고, 나머지의 상기 전기 영동 소자의 구성 부재가 상기 불가시광선에 대하여 투과성을 갖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대전 입자의 배치 상태에 상관없이, 불가시광선을 반사시킬 수 있으므로, 위치 정보 판독 수단에서는 밝은 배경에 어두운 위치 정보 패턴이 검출된다. 배경과 위치 정보 패턴의 콘트라스트를 높일 수 있음으로써, 위치 정보 판독 수단에 의한 위치 정보 패턴의 판독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상기 전기 영동 소자의 구성 부재가 상기 불가시광선에 대하여 상기 저반사성을 갖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불가시광선에 대하여 흡수성을 갖는 대전 부재에 대하여, 흡수성을 갖는 위치 정보 패턴이 형성되기 때문에, 위치 정보 판독 수단에서는 어두운 배경에 밝은 위치 정보 패턴이 검출된다. 배경과 위치 정보 패턴의 콘트라스트를 높일 수 있음으로써, 위치 정보 판독 수단에 의한 위치 정보 패턴의 판독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서로 다른 극성으로 대전된 제1 상기 대전 부재 및 제2 상기 대전 부재 중 어느 한쪽이, 가시광선 및 상기 불가시광선에 대하여 상기 반사성을 갖는 중심핵과, 그 중심핵을 수식하는 수식막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수식막이 상기 가시광선에 대하여 투명성을 가짐과 함께 상기 불가시광선에 대하여 상기 저반사성을 갖고, 혹은, 상기 수식막이 상기 가시광선에 대하여 상기 저반사성을 가짐과 함께 상기 불가시광선에 대하여 투명성을 갖고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예를 들면, 수식막이 가시광선에 대하여 광 투과성(투명성)을 가짐과 함께 불가시광선에 대하여 저반사성(흡수성)을 갖는 제1 대전 부재가 시인측에 분포된 상태에서는, 불가시광선이 수식막에서 거의 흡수되므로, 배경은 어두워진다. 이 경우, 반사성이 높은 위치 정보 패턴을 이용함으로써 배경과 위치 정보 패턴의 콘트라스트를 높일 수 있어, 위치 정보 판독 수단에 의한 표시 영역에의 입력 위치를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로 이루어지는 표시 영역 상의 좌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패턴이 부여되어 있는 표시 수단과, 불가시광선을 이용하여 상기 위치 정보 패턴을 판독하는 위치 정보 판독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위치 정보 판독 수단에 의해 상기 위치 정보 패턴으로부터 판독한 부호에 기초하여 표시를 행하고, 소정의 극성으로 대전된 전기 영동 소자의 구성 부재와, 이것을 유지하는 분산매를 갖는 전기 영동 소자와, 상기 전기 영동 소자측의 면에 제1 전극을 갖는 제1 기판과, 상기 전기 영동 소자측의 면에 제2 전극을 갖는 제2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기판에는 상기 불가시광선에 대한 반사성이 부여되어 있고, 상기 위치 정보 패턴은 상기 불가시광선에 대하여 상기 반사성보다도 낮은 저반사성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위치 정보 패턴과 제1 기판이 불가시광선에 대하여 서로 다른 광학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대전 부재의 분포 상태에 상관없이, 표시 화상과 위치 정보 패턴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위치 정보 판독 수단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 패턴을 확실하게 판독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 영역 상에서의 정확한 좌표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져, 스무스한 수기 입력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위치 정보 패턴을 인쇄 등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위치 정보 패턴이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이 불필요하게 되어, 장치의 박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필름에 의한 밝기의 저감도 피할 수 있다. 또한, 이것에 수반되는 코스트 삭감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 기판에는 상기 전기 영동 소자측의 면에 반사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기 영동 소자의 구성 부재가 상기 불가시광선에 대하여 투과성을 갖고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대전 입자의 분포 상태에 상관없이, 전기 영동 소자에 입사한 불가시광선은 반사 부재에서 반사되므로, 밝은 배경에 어두운 위치 정보 패턴이 검출된다. 배경과 위치 정보 패턴의 콘트라스트를 높일 수 있음으로써, 위치 정보 판독 수단에 의한 위치 정보 패턴의 판독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화소를 구획하는 도전성을 가진 격벽을 갖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제1 전극, 제2 전극 및 격벽과의 사이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대전 부재를 격벽측으로 끌어당길 수 있다. 이에 의해, 입사한 불가시광선은 반사 부재에 의해 반사되게 된다.
또한, 상기 위치 정보 패턴이 광학 특성을 서로 다르게 한 화소 구조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화소 구조가 상이한 화소에 의해 위치 정보 패턴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위치 정보 패턴을 별도 부재로서 형성할 필요가 없어져, 장치의 박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표시체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표시체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전자 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전기 영동 입자의 분포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가시광 표시 시).
도 6은 전기 영동 입자의 분포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적외광선 조사 시).
도 7은 제2 실시 형태의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제2 실시 형태의 소자 기판 상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전기 영동 입자의 분포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가시광 표시 시).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전기 영동 입자의 분포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불가시광 조사 시).
도 11은 제3 실시 형태의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에서의 전기 영동 입자의 분포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가시광 표시 시).
도 12는 제3 실시 형태의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에서의 전기 영동 입자의 분포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적외광선 조사 시).
도 13은 제4 실시 형태의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제4 실시 형태의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에서의 전기 영동 입자의 분포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가시광 표시 시).
도 15는 제4 실시 형태의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에서의 전기 영동 입자의 분포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적외광선 조사 시).
도 16은 제5 실시 형태의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7은 제5 실시 형태의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의 전기 영동 입자의 분포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가시광 표시 시).
도 18은 제5 실시 형태의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의 전기 영동 입자의 분포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적외광선 조사 시).
도 19는 변형예 1의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의 화소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변형예 1에서의 적외광선 조사 시에서의 배경의 표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이용하는 각 도면에서는, 각 부재를 인식 가능한 크기로 하기 위해서, 각 부재의 축척을 적절히 변경하고 있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100)는, 전자 펜(위치 정보 판독 수단)(110)과, 표시 본체(표시 수단)(120)를 구비하고, 표시 본체(120)의 표시면에 대하여 전자 펜(110)을 이용한 수기 입력이 가능한 표시 장치이다. 여기서는, 표시 본체(120)에 전자 펜(110)의 위치 정보(시간 변동에서의 좌표값)를 검출하는 수단으로서 위치 정보 패턴(16)과 이것을 촬상하는 촬상 소자를 구비한 전자 펜(110)을 이용하여, 표시 본체(120)의 표시면에 대한 전자 펜(110)의 접점의 시계열 데이터에 의해 수기 정보를 취득하여 표시하는 부호 촬상형 입력 장치이다.
표시 본체(120)는, 위치 정보 패턴(16)을 갖는 표시체(표시부)(10)와, 이것을 유지하는 하우징(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표시체(10)는 그 표시면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하우징(9) 내에 끼워 넣어져 있고, 표시면에 대하여 전자 펜(110)에 의해 수기 입력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위치 정보 패턴(16)은 표시체(표시부)(10) 이외의 부분에 있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표시체(10)로서는, 기억성 표시 소자인 전기 영동 소자(32)(도 3)를 갖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이하 「EPD」라고 함)를 이용하고 있고, 표시면에 복수의 화소를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표시 영역(5)을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영동 소자(32)로서, 복수의 마이크로 캡슐(20)이 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캡슐형을 채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격벽에 의해 화소마다 구획 형성된 셀 내에 전기 영동 재료가 봉입되어 이루어지는 격벽 타입이어도 된다.
도시는 생략하고 있지만, 하우징(9) 내에는, 표시체(10)의 무선 통신부, 제어부, 구동 제어부 등이 실장되어 있다.
다음으로 표시체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표시체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표시체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자 기판(300)과 대향 기판(310)이 평면에서 보아 겹치는 영역에 표시 영역(5)이 형성되어 있다. 표시 영역(5)에는, m개의 주사선(66) 및 n개의 데이터선(68)이 형성되고, 각각의 주사선(66) 및 데이터선(68)의 교점 위치에 대응하여 화소가 형성되어 있다.
표시 영역(5)의 주변 영역에는, 표시 영역(5)으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주사선(6)에 소정의 주사 전압 파형을 인가하는 주사선 구동 회로 Y가 접속되고, 표시 영역(5)의 모든 주사선(66)에 소정의 데이터 전압 파형을 인가하는 데이터선 구동 회로 X가 접속되고, 주사선 구동 회로 Y와 데이터선 구동 회로 X는 표시체(10)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있어 원하는 표시를 행한다. 컨트롤러는, 전자 펜(110)으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 영역(5)에의 화상 표시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각 접속 단자(6, 7)를 통하여 주사선(66) 및 데이터선(68)에 소정의 전위를 입력하여, 표시 영역에 소정의 화상을 표시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체(10)는, 소자 기판(300)과 대향 기판(310) 사이에, 복수의 마이크로 캡슐을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전기 영동 소자(32)를 협지하여 이루어진다.
소자 기판(300)은, 글래스나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1 기판(30)을 갖고, 그 전기 영동 소자(32)측의 면에, 주사선(66), 데이터선(68), 선택 트랜지스터 등이 형성된 회로층(34)이 형성되어 있고, 회로층(34) 상에 복수의 화소 전극(35)이 배열 형성되어 있다.
각 화소에는, 선택 트랜지스터(도시 생략), 화소 전극(제1 전극)(35) 및 전기 영동 소자(32)가 형성되어 있다.
선택 트랜지스터는, 예를 들면 NMOS(Negative Metal Oxide Semiconductor)-TFT(Thin Film Transistor)로 이루어지는 화소 스위칭 소자이다. 선택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는 주사선(66)에 접속되고, 소스 단자는 데이터선(68)에 접속되며, 드레인 단자는 화소 전극(35)에 접속되어 있다.
화소 전극(35)은, Cu(구리)박 상에 니켈 도금과 금 도금을 이 순번으로 적층 한 것이나, Al(알루미늄), ITO(인듐ㆍ주석 산화물) 등에 의해 형성되며, 후술하는 대향 전극(제2 전극)(37)과 함께 전기 영동 소자(32)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극이다.
또한, 제1 기판(30)은, 화상 표시면과는 반대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투명한 것은 아니어도 된다.
대향 기판(310)은, 글래스나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2 기판(31)을 갖고, 그 전기 영동 소자(32)측의 면에, 상기한 복수의 화소 전극(35)과 대향하는 평면 형상의 대향 전극(37)이 형성되어 있다. 대향 기판(310)은, 화상 표시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투명 기판으로 된다. 대향 전극(37)은, 화소 전극(35)과 함께 전기 영동 소자(32)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극이며, MgAg(마그네슘은), ITO(인듐ㆍ주석 산화물), IZO(인듐ㆍ아연 산화물) 등으로 형성된 투명 전극이다.
또한, 전기 영동 소자(32)는 대향 기판(310)측에 미리 형성되고, 접착제층(33)까지를 포함시킨 전기 영동 시트로서 취급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별도로 형성되는 소자 기판(300)에 대하여 이형 시트를 벗겨낸 전기 영동 시트를 접착함으로써 표시부가 형성된다.
전기 영동 소자(32)를 구성하는 복수의 마이크로 캡슐(20)은, 예를 들면 50㎛ 정도의 입경을 각각 갖고 있고, 내부에 분산매(21)와, 서로 다른 극성으로 대전된 2색의 전기 영동 입자가 봉입되어 이루어진다. 전기 영동 입자는, 복수의 흑 입자(제1 대전 부재)(26)와, 복수의 백 입자(제2 대전 부재)(27)이다. 마이크로 캡슐(20)은, 1개의 화소 내에 1개 또는 복수 배치된다. 혹은, 1개의 마이크로 캡슐(20)이 복수의 화소(40)에 걸쳐 배치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백 입자(27)는, 이산화티타늄(티타니아) 등의 백색 안료로 이루어지는 입자(고분자 혹은 콜로이드)이며, 플러스로 대전되어 이용된다. 흑 입자(26)는, 아조메틴 아조계 흑색 안료로 이루어지는 입자이며, 마이너스로 대전되어 이용된다. 본 실시 형태의 흑 입자(26)는, 소정의 파장 영역의 광을 흡수함과 함께 그 이외의 파장의 광을 투과하는 특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350?700㎚의 가시광 파장을 흡수하고, 700㎚ 이상의 파장의 광을 투과한다.
또한, 이들 안료에는, 필요에 따라서, 전해질, 계면 활성제, 금속 비누, 수지, 고무, 오일, 바니시, 컴파운드 등의 입자로 이루어지는 하전 제어제, 티타늄계 커플링제, 알루미늄계 커플링제, 실란계 커플링제 등의 분산제, 윤활제, 안정화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흑색 입자(26) 및 백 입자(27) 대신에, 예를 들면 적색, 녹색, 청색 등의 안료를 이용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표시 영역(5)에 적색, 녹색, 청색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체(10)에는, 표시 영역(5) 상에서의 2차원적인 좌표를 정의하는 위치 정보 패턴(16)이 형성되어 있다. 위치 정보 패턴(16)은, X 방향으로 소정 피치로 배열된 복수의 가상 래스터선(17A)과, Y 방향으로 소정 피치로 배열된 복수의 가상 래스터선(17B)의 교점에 임의로 형성된 복수의 흑 도트(16a)에 의해 좌표값을 나타냄으로써, 표시 영역(5) 내에서의 위치 정보를 얻기 위한 패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위치 정보 패턴(16)은 가상 래스터선의 교점으로부터 의도적으로 어떤 규칙성을 갖게 하여 어긋나게 한 패턴이어도 된다.
위치 정보 패턴(16)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차원 계열의 패턴이며, 상기 교점 위치에서의 도트(16a)의 유무에 의해 얻어지는 2차원 코드로부터 그 2차원 위치를 일의적으로 정의하는 것이며, 도트(16a)가 부착된 교점 q는 부호 [1]을 나타내고, 도트(16a)가 없는 교점 q'는 부호 [0]을 나타낸다. 이 위치 정보 패턴(16)에서는, 전자 펜(110)에서의 촬상 영역에 대응하는 윈도우의 크기에 대응하는 미소 단위 영역 A마다, 상이한 부분 패턴(16A)을 갖는다. 이 미소 단위 영역 A에서의 부분 패턴(16A)을 구성하는 도트(16a)의 유무, 수, 배치 위치 등에 기초하여 취득되는 코드에 의해, 그 지정 위치가 위치 정보 패턴(16) 상의 어느 위치인지가 일의적으로 결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위치 정보 패턴(16) 상에서의 부분 패턴(16A)을 전자 펜(110)에 의해 판독하면, 좌표 위치가 얻어진다.
본 실시 형태의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본체(120)의 표시 영역(5)에 위치 정보 패턴(16)을 형성함으로써, 표시 영역(5) 내에서의 좌표마다 그 좌표에만 대응한 일의의 좌표 정보가 할당되어 있다. 좌표 정보는, 표시 영역(5) 내에서의 미소 단위 영역 내에 산재시킨 복수의 도트(16a)에 부호화하여 할당되어 있고, 이들 복수의 도트(16a)로 이루어지는 위치 정보 패턴(16)을 전자 펜(110)에 의해 광학적으로 판독함으로써, 임의의 좌표 위치 정보가 얻어지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전자 펜(110)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 패턴(16)의 소정의 미소 단위 영역 A를 촬상하고, 그 영역에서의 임의의 교점 위치에 형성된 임의의 위치에 배치된 도트의 유무나 수 등으로부터 소정의 비트수를 취하여 디지털 코드(부호)를 취득한다. 이것은, 부분 패턴(16A) 상에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부분 코드이므로, 이것을 테이블 변환함으로써 대응하는 좌표로 변환한다. 도 2에서는, 미소 단위 영역 A를 점선으로 둘러싸서 나타냈지만, 이 범위에 대해서는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값(디지털 코드의 값)을 역산 혹은 참조 테이블을 대비함으로써, 일의적으로 지정 위치의 좌표가 결정된다. 그리고, 전자 펜(110)에 의해 판독한 데이터를 무선 혹은 광 통신 등에 의해, 전자 펜(110)으로부터 표시 본체(120)의 전자 회로 부품(무선 회로, 제어부)에 송신하여 표시 본체(120)에서의 대응 화소를 점등하면, 전자 펜(110)에 의한 표시 영역(5)에의 수기 입력이 가능하다.
여기서, 전자 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전자 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펜(110)은, 가는 막대 형상의 펜형 케이스(41)의 내부에 대물 렌즈(42), 발광 소자(43), 촬상 소자(44), 전자 회로 부품(45), 전지(46)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발광 소자(43)로서는, 적외광선(근적외광선 : 700㎚ 이상)을 발광 가능한 것으로, 발광 다이오드(LED) 혹은 레이저 다이오드(반도체 레이저)가 적합하다. 촬상 소자(44)로서는, 위치 정보 패턴(16)의 부분 영역[도 2에서 도시한 미소 단위 영역 A의 부분 패턴(16A)]을 촬상하여 기록할 수 있는 CCD 광 센서 혹은 CMOS 광 센서가 이용된다.
전자 회로 부품(45)은, 발광, 촬상 및 검출 연산 처리를 실행하는 CPU 등의 화상 처리 수단, 검출 데이터를 본체에 송신하는 무선 회로 등을 구비한다.
전자 펜(110)의 전원은, 펜형 케이스(41) 내에 부착되는 전지(46)로부터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발광 소자(43)를 항상 점등시켜 둘 필요는 없고, 전자 펜(110)의 주사 스피드나 촬상 소자(44)에 의한 촬상 타이밍 등으로부터 표시체(10)의 표시 영역(5)을 향하여 펄스적으로 조명하고, 표시체(10)의 조명(배경 휘도)에 따라서 발광 시간이나 소비 전력을 제어한다.
여기서, 전회의 조명 시에서의 촬상 소자(44)에 의해 얻은 정보를 다음 회의 조명 시에 피드백하면, SN비가 더욱 개선된다.
다음으로, 전기 영동 입자의 분포 상태와 표시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전기 영동 입자의 분포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5는 가시광 표시 시, 도 6은 적외광선(근적외광선) 조사 시의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도 5의 (a)는 백 표시의 상태, 도 5의 (b)는 흑 표시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서는 캡슐의 외형을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은, 흑 입자가 마이너스로 대전되고, 백 입자가 플러스로 대전되어 있는 경우의 동작 설명도이지만, 필요에 따라서, 흑 입자를 플러스로, 백 입자를 마이너스로 대전시켜도 된다. 이 경우, 상기와 마찬가지로 전위를 공급하면, 백 표시와 흑 표시가 반전된 표시가 얻어진다.
우선, 관측자에 의해 시인되는 표시 본체의 표시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의 (a)에 도시한 백 표시의 경우에는, 대향 전극(37)이 상대적으로 저전위, 화소 전극(35)이 상대적으로 고전위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플러스로 대전된 백 입자(27)가 대향 전극(37)측으로 끌어당겨지는 한편, 마이너스로 대전된 흑색 입자(26)가 화소 전극(35)측으로 끌어당겨진다. 그 결과, 표시면측으로 되는 대향 전극(37)측으로부터 이 화소를 보면, 백색(W)이 인식된다. 즉, 가시광은, 대향 전극(37)측에 분포하고 있는 백 입자(27)에 의해 반사되어 관측자의 눈에 들어가기 때문에, 백으로 인식된다.
도 5의 (b)에 도시한 흑 표시의 경우, 대향 전극(37)이 상대적으로 고전위, 화소 전극(35)이 상대적으로 저전위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마이너스로 대전된 흑색 입자(26)가 대향 전극(37)으로 끌어당겨지는 한편, 플러스로 대전된 백 입자(27)가 화소 전극(35)으로 끌어당겨진다. 그 결과, 대향 전극(37)측으로부터 이 화소를 보면 흑색(B)이 인식된다. 즉, 가시광은 흑 입자(26)에 거의 흡수되게 되기 때문에 흑으로 인식된다.
이와 같이, 백 입자와 흑 입자의 분포 영역을 표시 영역의 부위마다 컨트롤함으로써 정보 표시가 이루어진다. 즉, 대향 기판(310)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시인되는 백 입자와 흑 입자의 분포 영역(면적)을 제어함으로써, 표시색의 계조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자 펜으로부터 적외광선(근적외광선 : 700㎚ 이상)을 조사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향 전극(37)측에 백 입자(27)가 분포하고 있는 경우, 전자 펜(110)으로부터 조사된 적외광은 백 입자(27)에 의해 반사되어 촬상 소자(44)에 입사한다. 이 때문에, 촬상 소자(44) 내의 광 센서는 「밝다」고 판단한다.
도 6의 (b)에서는 대향 전극(37)측에 흑 입자(26)가 분포하고 있다. 흑 입자(26)는, 근적외광선을 투과하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대향 전극(37)측으로부터 입사한 광은 그 대향 전극(37) 상에서 분포하고 있는 흑 입자(26)를 투과하고, 화소 전극(35)측에 분포하고 있는 백 입자(27)에 의해 반사된다. 백 입자(27)에 의해 반사된 적외광은 다시 대향 전극(37) 상에서 분포하고 있는 흑 입자(26)를 투과하여 외부로 출사되어, 전자 펜(110)의 촬상 소자(44)에 들어가므로, 촬상 소자(44)는 「밝다」고 판단한다.
즉, 가시광으로서 시인되는 표시 패턴, 즉, 표시 본체(120)에서의 표시 화상의 여하에 상관없이, 근적외광선을 조사하여 판독되는 화상은 항상 전체면이 밝은 화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표시 본체(120)의 표시면[표시 영역(5)]의 전체에, 적어도 근적외광선에 대하여 저반사율로 되는 재료,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근적외광선을 흡수하는 재료로 위치 정보 패턴(16)을 형성함으로써, 전자 펜(110)의 촬상 소자(44)에서는 항상 밝은 배경에 어두운 부호의 화상이 판독되게 된다.
이와 같이, 각 종류의 전기 영동 입자와 위치 정보 패턴(16)이 적외광선에 대하여 서로 다른 광학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전기 영동 입자에 의해 형성되는 표시 화상과 위치 정보 패턴(16)의 콘트라스트를 높일 수 있다. 이 결과, 표시 본체(120)의 표시 화상에 상관없이, 전자 펜(110)의 촬상 소자(44)에 의한 위치 정보 패턴(16)의 촬상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표시 영역(5) 상에서의 정확한 좌표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자 펜(110)에 의한 표시 영역(5)에 대한 정확한 입력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보다 유저의 의사에 따른 수기 입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위치 정보 패턴(16)을 인쇄 등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위치 정보 패턴이 형성된 가시광선을 투과하고, 적외선을 흡수 또는 반사하는 필름이 불필요하게 되어, 장치의 박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필름에 의한 표시의 밝기의 저감이 없어진다. 또한, 이것에 수반되는 코스트 삭감도 가능하다.
위치 정보 패턴(16)의 형성 재료로서는, 근적외광선에 대하여 저반사성(흡수성)을 가짐과 함께 가시광선에 대한 투명성이 높을수록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투명」이란 가시광선에 대한 것을 말한다. 이에 의해, 위치 정보 패턴(16)에 기인하는 표시 화상의 콘트라스트의 저하나, 휘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관측자에게 있어서 시인성이 양호한 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의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의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소자 기판 상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200)는, 도전성을 가진 도전성 격벽(격벽)(53)을 구비하고 있다. 화소 전극(35) 등이 형성된 소자 기판(300)에는, 도전성 격벽(53)을 개재하여 대향 전극(37)을 갖는 대향 기판(310)이 접합되어 있고, 복수의 화소 전극(35), 도전성 격벽(53) 및 대향 전극(37)에 대하여 각각 임의의 전위가 입력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전성 격벽(53)은, 카본을 포함하는 도전성의 감광성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지는 도전부(53A)와, 도전부(53A)의 표면을 덮도록 하여 형성된, 카본을 포함하지 않는 절연성의 아크릴 재료로 이루어지는 절연막(53B)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도전성 격벽(53)과 대향 전극(37)의 절연성이 확보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절연막(53B)의 형성 재료는 아크릴 재료에 한하지 않는다.
소자 기판(300)을 구성하는 제1 기판(30) 상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종류의 데이터선(68A, 68B)이 형성되어 있고, 화소마다, 데이터선(68A)에 접속되는 선택 트랜지스터 TR1과, 데이터선(68B)에 접속되는 선택 트랜지스터 TR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선택 트랜지스터 TR1, TR2의 각 게이트에는 각각 주사선(66)이 접속되고, 각 소스에는 데이터선(68A, 68B)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선택 트랜지스터 TR1의 드레인에는 화소 전극(35)이 접속되고, 선택 트랜지스터 TR2의 드레인에는 도전성 격벽(53)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선택 트랜지스터 TR1을 통하여 데이터선(68A)으로부터의 전위가 화소 전극(35)에 공급됨과 함께, 선택 트랜지스터 TR2를 통하여 데이터선(68B)으로부터의 전위가 도전성 격벽(53)에 공급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소자 기판(300)에는 임의의 층간에 반사층(반사 부재)(54)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화소 전극(35)의 하층측에 형성함으로써 평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화소 전극(35)을 ITO(인듐ㆍ주석 산화물)에 의해 형성해 둠으로써, 화소 전극(35)을 투과한 광이 반사층(54)에서 반사되게 된다.
전기 영동 소자(32B)는, 투명한 분산매(21) 중에, 플러스 마이너스 중 어느 하나로 대전된 아조메틴 아조계 흑색 안료로 이루어지는 흑 입자(26)만 유지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앞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마이너스로 대전된 흑 입자(26)를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표시 본체(120)에서는, 화소 전극(35)과 도전성 격벽(53)에 각각 상이한 전위를 공급할 수 있다. 임의의 극성(마이너스)으로 대전된 흑 입자(26)는, 화소 전극(35)과 대향 전극(37)과 도전성 격벽(53) 사이를 이동한다. 즉, 흑 입자(26)를 도전성 격벽(53)측에 흡착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전기 영동 입자의 분포 상태와 표시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은 전기 영동 입자의 분포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9는 가시광 표시 시, 도 10은 적외광 조사 시의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도 9의 (a)는 백 표시하는 경우, 도 9의 (b)는 흑 표시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의 (a)에 도시한 백 표시의 경우에는, 도전성 격벽(53)이 상대적으로 고전위, 화소 전극(35)이 상대적으로 저전위로 되도록 전위를 유지함으로써, 흑 입자(26)가 도전성 격벽(53)측으로 끌어당겨져 그 벽면을 따라서 분포한다. 그 결과, 표시면측으로 되는 대향 전극(37)측으로부터 이 화소를 보면, 백색이 인식된다. 즉, 대향 전극(37)측으로부터 입사한 가시광은, 소자 기판측의 반사층(54)에서 반사되어 관측자의 눈에 들어가기 때문에, 백으로 인식된다.
도 9의 (b)에 도시한 흑 표시의 경우에는, 도전성 격벽(53)이 상대적으로 저전위, 화소 전극(35)이 상대적으로 고전위로 되도록 전위를 유지함으로써, 흑 입자(26)가 화소 전극(35)측으로 끌어당겨져 화소 전극(35) 상에 분포한다. 대향 전극(37)측으로부터 입사한 가시광은 흑 입자(27)에서 거의 흡수되기 때문에, 흑으로 인식된다.
다음으로, 전자 펜으로부터 적외광(근적외광선)을 조사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성 격벽(53)의 벽면을 따라서 흑 입자(26)가 분포하고 있는 경우, 전자 펜(110)으로부터 조사된 적외광은 소자 기판측의 반사층(54)에서 반사되어, 외부로 출사되어, 전자 펜(110)의 촬상 소자(44)에 입사한다. 이 때문에, 촬상 소자(44)는 「밝다」고 판단한다.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자 기판측에 흑 입자(26)가 분포하고 있는 경우, 대향 전극(37)측으로부터 입사한 적외광은, 화소 전극(35) 상의 흑 입자(26)를 투과하여 반사층(54)에서 반사되어, 전자 펜(110)의 촬상 소자(44)에 입사한다. 이 때문에, 촬상 소자(44)는 「밝다」고 판단한다. 이와 같이, 흑 입자(26)의 분포의 여하에 상관없이, 입사광은 반사층에서 반사된다.
따라서, 표시 본체(12)에서의 표시 화상이 어떻게 되어 있어도 근적외광선에서는, 촬상 소자(44) 내의 광 센서에 의해 판독되는 상은 항상 전체면이 밝은 화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적어도 근적외광선에 대하여 저반사율로 되는 재료,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근적외광선을 흡수하는 재료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 패턴(16)을 형성함으로써, 촬상 소자(44)에서는 항상 밝은 배경에 어두운 부호[위치 정보 패턴(16)]가 검출된다.
따라서, 위치 정보 패턴(16)의 형성 재료로서는, 근적외광선에 대하여 저반사성(흡수성)을 가짐과 함께 가시광선에 대하여 투명성이 높은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표시면 상에 위치 정보 패턴(16)을 형성함으로써 표시 화상의 콘트라스트가 저하되거나, 밝기가 저하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반사층을 형성하는 구성의 경우, 위치 정보 패턴(16)은, 반드시 표시 본체(120)의 표시면에 형성할 필요는 없고, 소자 기판측에 형성한 반사층 상에 형성해도, 부호를 촬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3 실시 형태의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실시 형태의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1화소에 대응한다. 도 11 및 도 12는 전기 영동 입자의 분포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11은 가시광 표시 시, 도 12는 적외광 조사 시의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도 11의 (a)는 백 표시하는 경우, 도 11의 (b)는 흑 표시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흑색의 분산매(21)(Bk) 중에 복수의 백 입자(27)가 유지되어 이루어지는 전기 영동 소자(32C)를 구비하고 있다. 이 분산매(21)(Bk)는, 수용액 중에 비대전의 아조메틴 아조계 흑색 안료를 분산시킨 것이며, 근적외광선에 대하여 높은 투과성을 갖는다.
이 때문에,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 입자(27)를 대향 전극(37)측으로 이동시키면 흑색의 분산매(21)(Bk)가 백 입자(27)에 의해 밀어내어지기 때문에, 가시광은 백 입자(27)에 의해 반사되어 하얗게 보인다.
한편,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 입자(27)를 화소 전극(35)측으로 이동시키면 흑색의 분산매(21)(Bk)가 대향 전극(37)측을 점유하고, 가시광은 이 흑색의 분산매(21)(Bk)에서 거의 흡수되어 까맣게 보인다.
그러나, 아조메틴 아조계 흑색 안료는 근적외광에 대하여 투명하게 되므로(투과성을 갖고 있으므로), 적외광선은 백 입자(27)에 의해 반사된다. 이 때문에, 도 12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 입자(27)의 분포 상태에 상관없이 항상 높은 반사율이 얻어진다. 즉, 표시 본체(120)의 표시 화상에 상관없이 항상 밝은 배경으로 되기 때문에, 적어도 근적외광선에 대하여 저반사율로 되는 재료,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근적외광선을 흡수하는 재료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 패턴(16)을 형성함으로써, 밝은 배경 상에 어두운 부호가 촬상 소자(44)에 의해 검출된다.
따라서, 위치 정보 패턴(16)의 형성 재료로서는, 근적외광선에 대하여 저반사성(흡수성)을 가짐과 함께 가시광선에 대하여 투명성이 높은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표시면 상에 위치 정보 패턴(16)을 형성함으로써 표시 화상의 콘트라스트가 저하되거나, 밝기가 저하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학 특성이 가시광과 비가시광(근적외광)에서 상이한 전기 영동 입자와 분산매를 이용하여, 가시광에서의 표시에 상관없이, 비가시광에서는 항상 소정의 반사율 이상 혹은 소정의 반사율 이하로 되도록 함으로써, 표시 화상과 위치 정보 패턴의 콘트라스트를 높일 수 있어, 높은 식별성이 얻어지게 된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4 실시 형태의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실시 형태의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1화소에 대응한다.
도 14 및 도 15는 전기 영동 입자의 분포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14는 가시광 표시 시, 도 15는 적외광 조사 시의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도 14의 (a)는 백 표시하는 경우, 도 14의 (b)는 흑 표시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전기 영동 소자(32D)에서는, 투명한 분산매 중에, 서로 역극성으로 대전된, 티타니아로 이루어지는 백 입자(27)와, 티타늄 블랙으로 이루어지는 흑 입자(26)를 유지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 형태의 백 입자(27)는, 티타니아 핵(27a)의 표면이 헵타메틴 시아닌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수식막(27b)에 의해 덮여져서 이루어지는 2층 구조를 나타낸다. 수식막(27b)은, 가시광에 대하여 투명하고 또한 적외광을 흡수하는 광학 특성을 갖고 있고, 이와 같은 광학 특성을 갖는 재료이면, 상기 재료에 한하지 않고 이용할 수 있다.
도 1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 전극(35) 및 대향 전극(37)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여 백 입자(27)를 대향 전극(37)측, 흑 입자(26)를 화소 전극(35)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가시광선은 백 입자(27)의 수식막(27b)을 투과하여 티타니아 핵(27a)에서 반사되기 때문에, 백 표시로 된다.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 입자(27)를 화소 전극(35)측, 흑 입자(26)를 대향 전극(37)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는, 가시광선은 흑 입자(26)에서 거의 흡수되어 흑 표시로 된다.
한편,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향 전극(37)측에 분포하는 백 입자(27)에 근적외광선이 입사하면, 백 입자(27)의 수식막(27b)에서 거의 흡수되게 된다. 따라서, 출사광은 적으므로, 전자 펜(110)의 촬상 소자의 광 센서에 의해 「어둡다」고 판단된다.
또한,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향 전극(37)측에 분포하는 흑 입자(26)에 근적외광이 입사하면, 이 경우도 또한 흑 입자(26)에서 근적외광은 거의 흡수되게 된다. 따라서, 전자 펜(110)의 촬상 소자(44)에서는 「어둡다」고 판단된다.
이와 같이, 가시광으로 보는 표시 화상이 어떻게 되어 있어도, 근적외광에서는 전자 펜(110)의 촬상 소자(44)에서는 항상 전체면이 어두운 화상이 촬상되게 된다. 따라서, 표시 본체(120)의 표시면에, 적어도 근적외광선에 대하여 높은 반사성을 갖는 위치 정보 패턴(16)을 형성함으로써, 촬상 소자에서 항상 밝은 배경에 어두운 부호의 상이 촬상되게 된다.
따라서, 위치 정보 패턴(16)의 형성 재료로서는, 근적외광선에 대하여 높은 반사성을 가짐과 함께 가시광선에 대하여 투명성이 높은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표시면 상에 위치 정보 패턴(16)을 형성함으로써 표시 화상의 콘트라스트가 저하되거나, 밝기가 저하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5 실시 형태의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본 실시 형태의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1화소에 대응한다.
도 17 및 도 18은 전기 영동 입자의 분포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17은 가시광 표시 시, 도 18은 적외광 조사 시의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도 17의 (a)는 백 표시하는 경우, 도 17의 (b)는 흑 표시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전기 영동 소자(32E)는, 투명한 분산매(21) 중에, 서로 역극성으로 대전됨과 함께 티타니아로 이루어지는 백 입자(27) 및 흑 입자(26)가 유지되어 이루어진다. 본 실시 형태의 흑 입자(26)는, 티타니아 핵(26a)과 그 표면을 덮는 수식막(26b)에 의해 2층 구조를 나타내는 것이다. 수식막(26b)은, 가시광을 흡수하고, 근적외광을 투과하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고, 예를 들면, 철 및 비스무트(Bi)를 주성분으로 하는 복합 산화물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또한, 이에 한하지 않고, 가시광을 흡수함과 함께 근적외광을 투과하는 재료이면 다른 재료를 이용해도 된다.
도 1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향 전극(37)측에 백 입자(27)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가시광이 입사하면, 백 입자(27)에서 반사되어 백 표시로 된다.
또한, 도 1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향 전극(37)측에 흑 입자(26)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가시광이 입사하면, 흑 입자(26)의 수식막(26b)에서 대부분의 가시광이 흡수되어 흑 표시로 된다.
한편, 도 1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향 전극(37)측에 분포하고 있는 백 입자(27)에 근적외광선이 입사하면, 가시광과 마찬가지로 반사되어 외부로 출사된다. 이 때문에, 전자 펜(110)의 촬상 소자의 광 센서(44)에서는, 「밝다」고 판단된다.
본 실시 형태의 흑 입자(26)는, 티타니아 핵(26a)의 표면이 근적외광선에 대한 투과성이 높은 수식막(26b)에 의해 덮여져 있으므로, 도 1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향 전극(37)측에 흑 입자(26)가 분포하고 있는 상태에서 근적외광선이 흑 입자(26)에 입사하면, 수식막(26b)을 투과하여 티타니아 핵(26a)에 의해 반사되고, 다시 수식막(26b)을 투과하여 외부로 출사된다. 그 결과, 전자 펜(110)의 촬상 소자의 광 센서(44)에서는, 「밝다」고 판단된다.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 따르면, 표시 본체(120)에서의 표시 화상(입자의 분포 상태)이 어떻게 되어 있어도, 근적외광선에서는 전자 펜(110)의 촬상 소자에 의해 촬상되는 상은 항상 전체면이 밝은 화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표시 본체(120)의 표시면 상에, 적어도 근적외광선에 대하여 저반사성(흡수성)을 갖는 위치 정보 패턴(16)을 형성함으로써, 촬상 소자에서 항상 밝은 배경에 어두운 부호의 상이 촬상되게 된다.
또한, 위치 정보 패턴(16)의 형성 재료는, 근적외광선에 대하여 저반사성(흡수성)을 가짐과 함께 가시광선에 대하여 투명성이 높은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표시면 상에 위치 정보 패턴(16)을 형성함으로써, 표시 화상의 콘트라스트나 휘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당업자이면,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는 것은 분명하고, 그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면, 표시 본체(120)의 표시 영역(5)에서의 각 화소 구조가 부분적으로 상이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부분 화소 영역마다, 상기한 각 실시 형태의 화소 구조를 채용해도 된다. 이하에,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변형예 1]
도 19는 변형예 1의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의 화소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적외광선 조사 시에서의 배경의 표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예에서의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200)에서의 표시 본체(120)의 표시 영역에는, 화소 구조가 상이한 제1 화소(40A)와 제2 화소(40B)가 혼재된 상태에서 존재한다. 여기서, 소자 기판(300) 및 대향 기판(310)의 구성은 상기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1 화소(40A)의 전기 영동 소자(32F)는, 상기한 제4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투명한 분산매(21) 중에, 티타니아 핵(27a)의 표면이, 가시광에 대하여 투명하고 또한 적외광을 흡수하는 수식막(27b)에 의해 수식되어 있는 백 입자(27)와, 티타늄 블랙으로 이루어지는 흑 입자(26)를 유지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제2 화소의 전기 영동 소자(32G)는, 상기한 제5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투명한 분산매(21) 중에, 티타니아로 이루어지는 백 입자(27)와, 티타니아 핵(26a)의 표면이, 가시광을 투과함과 함께 근적외광을 투과하는 수식막(26b)에 의해 수식되어 있는 흑 입자(26)를 유지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서로 다른 광학 특성을 갖는 제1 화소(40A)와 제2 화소(40B)를 표시 영역(5) 전체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예를 들면, 화소를 이용한 위치 정보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가시광에서의 표시, 즉 표시 본체(120)에서의 표시 화상에 관계없이, 적외광선을 조사하면,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화소(40A)에서는 「어둡다」고 판단되고, 다른 화소(40B)에서는 「밝다」고 판단되기 때문에, 제1 화소(40A)와 제2 화소(40B)의 위치 관계를 고려함으로써, 위치 정보 패턴으로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위치 정보 패턴(16)을 표시면 상에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어진다.
본 예와 같이, 화소마다 상이한 광학 특성을 갖는 전기 영동 소자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별도 부재나 인쇄 공정을 별도로 이용하지 않고, 위치 정보 패턴과 동일한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부호 촬상형 입력 방법을 채용할 때에, 촬상할 때의 조명광을 가시광 영역 이외의 파장 영역으로 하고, 이 파장 영역의 광에 대하여, 전기 영동 소자(광학 소자)의 대전 입자(가동 부재)의 위치 혹은 분포에 상관없이, 소정 이상 혹은 소정 이하의 반사율을 갖도록 광학 소자를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영동 소자를 채용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자 분류체(등록 상표)에서도 각 입자에 전기 영동 입자와 마찬가지의 광학 특성을 부여하면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화소가 착색된 오일과 물(안료를 분산시킨 물)로 이루어지고, 이 오일과 물의 배치를 변화시킴으로써 표시를 행하는, 일렉트로웨팅 소자의 경우라도, 오일과 물의 가시광 영역 이외의 소정의 파장 영역(근적외 영역)의 광의 반사율을 소정 이상 혹은 소정 이하의 반사율로 되도록 해 두면,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백 표시와 흑 표시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컬러 입자나 착색 용매를 이용한 컬러 표시의 경우이어도 된다. 가시광선에서의 표시 패턴에 상관없이, 소정의 비가시광선에서 모든 화소의 반사율이 소정 이상 혹은 소정 이하로 되도록 하는 광학 특성 재료를 선택하면 된다. 이때, 예를 들면, 흑 표시를 행하는 경우, 복수색의 대전 입자를 이동시켜 표시를 행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단종의 흑 입자보다도, 염가의 재료로 근적외선에서의 반사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수식막의 형성 재료나, 가시광에 대하여 투명하고 근적외광에 대하여 흡수성을 갖는 위치 정보 패턴(부호)의 형성 재료로서는, 구리나 철 등의 금속제 이온을 함유시킨 것, 니트로소 화합물 및 그 금속 착염, 시아닌계 화합물, 스쿠아릴리움계 화합물, 디티올계 금속 착체 화합물, 아미노티오페놀계 금속 착체 화합물,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트리아릴메탄계 화합물, 이모늄계 화합물, 디이모늄계 화합물, 나프토퀴논계 화합물, 안트라퀴논계 화합물, 아미노 화합물, 아미늄염계 화합물, 아조 화합물 등이 있다.
5 : 표시 영역
16 : 위치 정보 패턴
21 : 분산매
26b, 27b : 수식막
30 : 제1 기판
31 : 제2 기판
32, 32B, 32C, 32D, 32E, 32F, 32G : 전기 영동 소자
35 : 화소 전극(제1 전극)
37 : 대향 전극(제2 전극)
40 : 화소
53 : 도전성 격벽(격벽)
54 : 반사층(반사 부재)
100, 200 :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
110 : 전자 펜(위치 정보 판독 수단)
120 : 표시 본체(표시 수단)

Claims (11)

  1. 복수의 화소로 이루어지는 표시 영역 상의 좌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패턴이 부여되어 있는 표시 수단과, 불가시광선을 이용하여 상기 위치 정보 패턴을 판독하는 위치 정보 판독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위치 정보 판독 수단에 의해 상기 위치 정보 패턴으로부터 판독한 부호에 기초하여 표시를 행하고,
    복수의 대전 부재와, 이것을 유지하는 분산매를 구성 부재로서 갖는 전기 영동 소자와,
    상기 전기 영동 소자측의 면에 제1 전극을 갖는 제1 기판과,
    상기 전기 영동 소자측의 면에 제2 전극을 갖는 제2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전기 영동 소자의 구성 부재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위치 정보 패턴 중 어느 한쪽이 상기 불가시광선에 대하여 반사성을 갖고, 다른 쪽이 상기 반사성보다도 상대적으로 낮은 저반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가시광선이 근적외 영역의 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패턴이 상기 가시광선에 대하여 투명성이 높은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영동 소자의 구성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불가시광선에 대하여 상기 반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영동 소자의 구성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불가시광선에 대하여 상기 반사성을 갖고, 나머지의 상기 전기 영동 소자의 구성 부재가 상기 불가시광선에 대하여 투과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영동 소자의 구성 부재가 상기 불가시광선에 대하여 상기 저반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극성으로 대전된 제1 상기 대전 부재 및 제2 상기 대전 부재 중 어느 한쪽이, 가시광선 및 상기 불가시광선에 대하여 상기 반사성을 갖는 중심핵과, 그 중심핵을 수식하는 수식막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수식막이 상기 가시광선에 대하여 투명성을 가짐과 함께 상기 불가시광선에 대하여 상기 저반사성을 갖고, 혹은, 상기 수식막이 상기 가시광선에 대하여 상기 저반사성을 가짐과 함께 상기 불가시광선에 대하여 투명성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
  8. 복수의 화소로 이루어지는 표시 영역 상의 좌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 패턴이 부여되어 있는 표시 수단과, 불가시광선을 이용하여 상기 위치 정보 패턴을 판독하는 위치 정보 판독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위치 정보 판독 수단에 의해 상기 위치 정보 패턴으로부터 판독한 부호에 기초하여 표시를 행하고,
    소정의 극성으로 대전된 전기 영동 소자의 구성 부재와, 이것을 유지하는 분산매를 갖는 전기 영동 소자와,
    상기 전기 영동 소자측의 면에 제1 전극을 갖는 제1 기판과,
    상기 전기 영동 소자측의 면에 제2 전극을 갖는 제2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기판에는 상기 불가시광선에 대한 반사성이 부여되어 있고,
    상기 위치 정보 패턴은 상기 불가시광선에 대하여 상기 반사성보다도 낮은 저반사성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에는, 상기 전기 영동 소자측의 면에 상기 불가시광선을 반사하는 반사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기 영동 소자의 구성 부재가 상기 불가시광선에 대하여 투과성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화소를 구획하는 도전성을 가진 격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패턴이 광학 특성을 상이하게 한 화소 구조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
KR1020120057297A 2011-05-31 2012-05-30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 KR201201340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297A KR20120134066A (ko) 2011-05-31 2012-05-30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21615 2011-05-31
KR1020120057297A KR20120134066A (ko) 2011-05-31 2012-05-30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066A true KR20120134066A (ko) 2012-12-11

Family

ID=47517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297A KR20120134066A (ko) 2011-05-31 2012-05-30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40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546335A (ja) * 2019-08-26 2022-11-04 イー インク コーポレイション 識別マーカを備えている電気光学デバイス
US12130532B2 (en) 2023-04-25 2024-10-29 E Ink Corporation Method of authenticating an electro-optic device and any of its component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546335A (ja) * 2019-08-26 2022-11-04 イー インク コーポレイション 識別マーカを備えている電気光学デバイス
US11762257B2 (en) 2019-08-26 2023-09-19 E Ink Corporation Electro-optic device comprising an identification marker
US12099281B2 (en) 2019-08-26 2024-09-24 E Ink Corporation Method of authenticating an electro-optic device and any of its components
US12130532B2 (en) 2023-04-25 2024-10-29 E Ink Corporation Method of authenticating an electro-optic device and any of its compone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9992B2 (ja) 入力機能付表示装置
JP6678225B2 (ja) マルチモードのスタイラス及びデジタイザシステム
JP5320976B2 (ja) 表示装置、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TWI667524B (zh) 可寫顯示介質、可寫系統及用於切換電泳顯示器之狀態的方法
CN100520694C (zh) 笔迹检测片和手写系统
US9170660B2 (en) Input function display device
KR20160078977A (ko) 도트 패턴 인식 시스템을 갖는 전자 필기 장치
CN106599768A (zh) 光学装置
KR20150032028A (ko) 3d 공간-터치 스크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US8963812B2 (en) Detachable hybrid display comprising organic photoconductor-based electronic cover
CN104094205A (zh) 信息显示装置
CN110308601B (zh) 胆固醇液晶书写板
US20190302900A1 (en) Display device
KR20240017225A (ko) 표시 장치
KR101453467B1 (ko) 광학필름 및 이를 이용한 전자펜 시스템
EP3044630A2 (en) Multiple display device
JP2012243201A (ja) 入力機能付表示装置
KR20120134066A (ko) 입력 기능을 가진 표시 장치
JP2014041602A (ja) 情報読取装置
US20180101296A1 (en) Interactive handwriting display device and interactive handwriting capture device
JP2009288443A (ja) 液晶表示装置
CN104347038B (zh) 显示屏感光装置、移动终端和显示屏感光装置的制造方法
EP4273673A1 (en) A full-color, writable-erasable display system
JPWO2014017039A1 (ja) 情報読取装置
JP2013037537A (ja) 入力機能付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