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2908A -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2908A
KR20120132908A KR1020110051306A KR20110051306A KR20120132908A KR 20120132908 A KR20120132908 A KR 20120132908A KR 1020110051306 A KR1020110051306 A KR 1020110051306A KR 20110051306 A KR20110051306 A KR 20110051306A KR 20120132908 A KR20120132908 A KR 20120132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trength
access point
list
value
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1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8832B1 (ko
Inventor
김승경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1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8832B1/ko
Publication of KR20120132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2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Abstract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저장부는 단말이 위치하는 영역의 좌표, 액세스 포인트의 맥어드레스 및 신호 세기가 저장된다. 리스트 정렬부는 좌표값을 알고 있는 기준위치에서 수신된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각 기준위치별로 신호 세기가 센 순으로 정렬하여 제1리스트를 생성하고, 단말의 현 위치에서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신호 세기가 센 순으로 정렬하여 제2리스트를 생성한다. 고유값 계산부는 생성된 제2리스트에 기재된 신호 세기를 기초로 단말의 현 위치에 대한 고유값인 제1고유값을 계산하고, 생성된 제1리스트에 기재된 기준위치별 신호 세기 순서를 제2리스트에 기재된 신호 세기 순서와 비교하여 기준위치별로 각각 제2고유값을 계산한다. 위치결정부는 제1고유값과 기준위치별 제2고유값을 각각 비교하여, 제1고유값과 차이가 가장 적은 제2고유값에 대응하는 위치를 제1현재위치로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위치별로 측정된 액세스 포인트 주소 값과 신호 세기를 크기 순으로 리스트로 저장하여 리스트의 패턴 간 유사성을 판단하고, 패턴 분석의 복잡도를 선택할 수 있게 하여 퍼포먼스에 맞게 최적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determining location using the access point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세스 포인트를 측위 지표로 이용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시발전의 가속화로 건물이 대형화, 복잡화되어 감에 따라 실내공간에서도 이용자의 편의성, 시설물 안전성 및 관리 측면에서 위치기반 서비스를 적용하려는 연구들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현재 GPS, GIS 및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이 결합된 도시급 위치기반 서비스는 교통관제, 차량 내비게이션, 시설물 관리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GPS 음영지역인 실내공간에 대해서는 Wifi, Zigbee, UWB, 초음파 등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위치인식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와이파이 기반 위치 획득 체계(Wifi based positioning system, WPS)는 실내와 같이 GPS를 통한 위치 획득이 어려운 환경에서 사용되기 위해 고안된 위치 획득 체계이다. WPS는 도심지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 수 증가와 발맞추어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획득은 수신된 신호의 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RSS) 측정과 지문대조(fingerprint) 기술에 기반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위치별로 측정된 액세스 포인트 주소 값과 신호 세기를 크기 순으로 리스트로 저장하여 리스트의 패턴 간 유사성을 판단하고, 패턴 분석의 복잡도를 선택할 수 있게 하여 퍼포먼스에 맞게 최적화할 수 있도록 확장성을 갖게 하며, 위치 추출의 동일한 결과가 반복되는 것에 따라 오차를 보정 할 수 있게 하여 실내 위치 판단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실내/외에서 무선 통신 모듈이 부착되어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위치 인식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위치가 불규칙하게 검출되는 것에 대한 오차를 보정 하여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은, (a) 좌표값을 알고 있는 기준위치에서 수신된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각 기준위치별로 신호 세기가 센 순으로 정렬하여 제1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b) 단말의 현 위치에서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신호 세기가 센 순으로 정렬하여 제2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제2리스트에 기재된 신호 세기를 기초로 단말의 현 위치에 대한 고유값인 제1고유값을 계산하는 단계; (d) 상기 제1리스트에 기재된 기준위치별 신호 세기 순서를 상기 제2리스트에 기재된 신호 세기 순서와 비교하여 기준위치별로 제2고유값을 각각 계산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1고유값과 상기 기준위치별 제2고유값을 각각 비교하여, 상기 제1고유값과 차이가 가장 적은 제2고유값에 대응하는 위치를 제1현재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갖는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정 장치는, 단말이 위치하는 영역의 좌표, 액세스 포인트의 맥어드레스 및 신호 세기가 저장되는 저장부; 좌표값을 알고 있는 기준위치에서 수신된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각 기준위치별로 신호 세기가 센 순으로 정렬하여 제1리스트를 생성하고, 단말의 현 위치에서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신호 세기가 센 순으로 정렬하여 제2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 정렬부; 상기 생성된 제2리스트에 기재된 신호 세기를 기초로 단말의 현 위치에 대한 고유값인 제1고유값을 계산하고, 상기 생성된 제1리스트에 기재된 기준위치별 신호 세기 순서를 제2리스트에 기재된 신호 세기 순서와 비교하여 기준위치별로 각각 제2고유값을 계산하는 고유값 계산부; 및 상기 제1고유값과 상기 기준위치별 제2고유값을 각각 비교하여, 상기 제1고유값과 차이가 가장 적은 제2고유값에 대응하는 위치를 제1현재위치로 결정하는 위치결정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위치별로 측정된 액세스 포인트 주소 값과 신호 세기를 크기 순으로 리스트로 저장하여 리스트의 패턴 간 유사성을 판단하고, 패턴 분석의 복잡도를 선택할 수 있게 하여 퍼포먼스에 맞게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위치 추출의 동일한 결과가 반복되는 것에 따라 오차를 보정 할 수 있게 하여 실내 위치 판단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실내/외에서 무선 통신 모듈이 부착되어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위치 인식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위치가 불규칙하게 검출되는 것에 대한 오차를 보정 하여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정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 및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정 장치(10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정 장치(100)는 리스트 정렬부(110), 고유값 계산부(120), 위치 결정부(130), 저장부(140)로 구성된다.
리스트 정렬부(110)는 좌표값을 알고 있는 기준위치에서 수신된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각 기준위치별로 신호 세기가 센 순으로 정렬하여 제1리스트를 생성한다. 이때 제1리스트에 기재되는 데이터의 개수는 사전에 설정된 개수(예를 들면, 6개)일 수 있으며, 제1리스트는 저장부(140)에 저장된다.
또한, 리스트 정렬부(110)는 단말의 현 위치에서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신호 세기가 센 순으로 정렬하여 제2리스트를 생성한다. 이때 제2리스트에 기재되는 데이터의 개수는 사전에 설정된 개수(예를 들면, 6개)일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의 이동에 따라 각각의 위치에 의해 생성된 제2리스트들은 저장부(140)에 저장된다.
고유값 계산부(120)는 제2리스트에 기재된 신호 세기를 기초로 단말의 현 위치에 대한 고유값인 제1고유값을 계산한다. 제1고유값은 단말의 현 위치에서 수신된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 순서 패턴과 각 기준위치별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 순서 패턴을 비교하기 위한 기준 값이고,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계산된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C1은 제1고유값이고, P는
Figure pat00002
을 만족하는 양의 실수이고, N은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신호 세기가 센 순으로 내림 차순 하였을 때, 사전에 설정된 상위 데이터 개수를 의미한다. 수학식 1에서 신호 세기가 가장 센 액세스 포인트에 Pn, 그 다음으로 신호 세기가 센 액세스 포인트에 Pn -1, 동일한 방법으로 신호 세기가 가장 약한 액세스 포인트에 P1을 배정하여 계산한다.
또한, 고유값 계산부(120)는 제1리스트에 기재된 기준위치별 신호 세기 순서를 제2리스트에 기재된 신호 세기 순서와 비교하여 기준위치별로 제2고유값을 계산한다. 즉, 제2고유값은 기준위치별로 산출되며, 기준위치별 제2고유값은 동일한 액세스 포인트를 기초로, 제1리스트에 기재된 액세스 포인트가 제2리스트에 기재된 동일 액세스 포인트보다 신호 세기 순서가 뒤 순서이면 '0'값을 가진다. 반면, 제1리스트에 기재된 액세스 포인트가 제2리스트에 기재된 동일 액세스 포인트보다 신호 세기 순서가 같거나 앞 순서이면 'PN -(제2리스트상의 신호세기 순서)+1'값(여기서, P는
Figure pat00003
을 만족하는 양의 실수이고, N은 액세스 포인트 별 신호 세기를 신호 세기가 센 순으로 내림 차순 하였을 때, 사전에 설정된 상위 데이터 개수)을 가진다. 이를 토대로 기준위치별 제2고유값은 제1리스트상의 액세스 포인트별로 게산된 값들을 합산하여 구한다.
위치 결정부(130)는 제1고유값과 기준위치별 제2고유값을 각각 비교하여 제1고유값과 차이가 가장 적은 제2고유값에 대응하는 위치를 제1현재위치로 결정한다. 결정된 제1현재위치가 사전에 설정한 횟수 동안 반복하여 차이가 가장 적은 고유값을 가진 위치로 계속하여 나오면 앞서 결정된 제1현재위치를 현재 위치로 확정한다.
또한, 위치 결정부(130)는 결정된 제1현재위치가 사전에 설정한 횟수 동안 반복하여 차이가 가장 적은 고유값을 가진 위치로 나오지 않으면 제1고유값과 차이가 가장 적은 제2고유값에 대응하는 위치를 제2현재위치로 결정한다. 이는 위치변화값을 반영하고, 보다 정확한 위치 검출을 하기 위함이다.
저장부(140)는 단말이 위치하는 영역의 좌표, 액세스 포인트의 맥어드레스(MAC address) 및 신호 세기가 저장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좌표값을 알고 있는 기준위치에서 수신된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각 기준위치별로 신호세기가 센 순으로 정렬하여 제1리스트를 생성한다(S200). 단말의 현 위치에서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신호 세기가 센 순으로 정렬하여 제2리스트를 생성한다(S210). 제2리스트에 기재된 신호 세기를 기초로 단말의 현 위치에 대한 고유값인 제1고유값을 계산한다(S220). 이때 제1고유값은 단말의 현 위치에서 수신된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 순서 패턴과 각 기준위치별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 순서 패턴을 비교하기 위한 기준 값이고,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계산된다.
제1리스트에 기재된 기준위치별 신호 세기 순서를 제2리스트에 기재된 신호 세기 순서와 비교하여 기준위치별 제2고유값을 각각 계산한다(S230). 즉, 제2고유값은 기준위치별로 산출되며, 기준위치별 제2고유값은 동일한 액세스 포인트를 기초로, 제1리스트에 기재된 액세스 포인트가 제2리스트에 기재된 동일 액세스 포인트보다 신호 세기 순서가 뒤 순서이면 '0'값을 가진다. 반면, 제1리스트에 기재된 액세스 포인트가 제2리스트에 기재된 동일 액세스 포인트보다 신호 세기 순서가 같거나 앞 순서이면 'PN -(제2리스트상의 신호세기 순서)+1'값(여기서, P는
Figure pat00004
을 만족하는 양의 실수이고, N은 액세스 포인트 별 신호 세기를 신호 세기가 센 순으로 내림 차순 하였을 때, 사전에 설정된 상위 데이터 개수)을 가진다. 이를 토대로 기준위치별 제2고유값은 제1리스트상의 액세스 포인트별로 게산된 값들을 합산하여 구한다.
그리고 나서, 제1고유값과 기준위치별 제2고유값을 각각 비교하여, 제1고유값과 차이가 가장 적은 제2고유값에 대응하는 위치를 제1현재위치로 결정한다(S240). 여기서 결정된 위치가 현재 위치로 확정될 수도 있고, 동일한 결과가 반복되지 않으면 제1현재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가 현재 위치로 결정 및 확정될 수 있다. 즉,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S200단계 이하를 사전에 설정한 횟수(예를 들어, 3회) 동안 반복 수행하여(S250), 제1고유값과 차이가 가장 적은 제2고유값에 대응하는 위치가 제1현재위치로 반복하여 나오면(S260), 제1현재위치를 현재 위치로 확정한다(S270). 반면, S200 단계 이하를 사전에 설정한 횟수 동안 반복 수행하여(S250) 제1고유값과 차이가 가장 적은 제2고유값에 대응하는 위치가 제1현재위치가 아닌 경우, S200 단계 이하를 사전에 설정한 횟수 동안 다시 반복 수행하여 제1고유값과 위치별 제2고유값을 각각 비교하여, 고유값의 차이가 가장 적은 제2고유값에 대응하는 위치를 제2현재위치로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액세스 포인트의 맥 어드레스를 표 1과 같이 간략히 표현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맥 어드레스(MAC address) 기호
00:00:00:00:00:01 A
00:00:00:00:00:11 B
00:00:00:00:01:11 C
00:00:00:00:11:11 D
00:00:00:01:11:11 E
00:00:00:11:11:11 F
단말이 위치하는 영역 내에 좌표값을 알고 있는 기준위치(위치1, 위치2, 위치3, 위치4, 위치5)에 대한 각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 데이터가 표 2와 같이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다.
위치1(10,10) 위치2(20,20) 위치3(30,30) 위치4(40,40) 위치5(50,50)
A -80 A -70 A -70 A -30 A -90
B -40 B -40 B -30 B -40 B -40
C -60 C -90 C -40 C -60 C -50
D -90 D -50 D -50 D -70 D -60
E -50 E -80 E -80 E -80 E -70
F -70 F -60 F -90 F -90 F -80
표 2에 기재된 기준위치별 데이터(맥 어드레스, 신호 세기)를 각각 신호 세기가 센 순으로 내림 차순 하면 다음 표 3과 같다.
위치1(10,10) 위치2(20,20) 위치3(30,30) 위치4(40,40) 위치5(50,50)
B -40 B -40 B -30 A -30 B -40
E -50 D -50 C -40 B -40 C -50
C -60 F -60 D -50 C -60 D -60
F -70 A -70 A -70 D -70 E -70
A -80 E -80 E -80 E -80 F -80
D -90 C -90 F -90 F -90 A -90
그리고 현재 위치에서 측정한 데이터(맥 어드레스, 신호 세기)는 표 4와 같다.
현재위치
A -70
B -40
C -50
D -60
E -90
F -80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을 적용해서 위치를 판단하면, 먼저, 단말의 현 위치에서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신호 세기가 센 순으로 정렬하여 표 5와 같이 리스트를 생성한다.
현재위치
B -40
C -50
D -60
A -70
F -80
E -90
표 5의 리스트에 기재된 신호 세기를 기초로 단말의 현 위치에 대한 제1고유값을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단, N은 6으로 설정되고, P는 1보다 큰 실수인 2로 가정하고, 반복 횟수는 3회로 가정한다.
Figure pat00005
즉, 단말의 현 위치에 대한 고유값은 126으로 산출된다.
표 3에서 정렬된 리스트의 기준위치별 데이터와 표5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동일한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 순서의 차이를 이용하여 기준위치별 제2고유값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표 6은 표 3에서 '위치 1(10,10)'부분만을 나타낸 것이다.
위치1(10,10)
B -40
E -50
C -60
F -70
A -80
D -90
위치 1의 경우, 첫 번째로 신호 세기가 센 맥어드레스가 B인데(표 6 참조), 단말의 현 위치에서 첫 번째로 신호 세기가 센 맥어드레스와 동일하므로(표 5 참조) 26-1+1 = 26 값을 가진다.
위치 1의 경우, 두 번째로 신호 세기가 센 맥어드레스가 E인데(표 6 참조), 단말의 현 위치에서 여섯 번째로 신호 세기가 센 맥어드레스와 동일하므로(표 5 참조) 26-6+1 = 21 값을 가진다.
위치 1의 경우, 세 번째로 신호 세기가 센 맥어드레스가 C인데(표 6 참조), 단말의 현 위치에서 두 번째로 신호 세기가 센 맥어드레스와 동일하므로(표 5 참조) 저장부(140)의 맥어드레스가 현 위치의 맥 어드레스보다 뒤에 있으므로 0 값을 가진다.
위치 1의 경우, 네 번째로 신호 세기가 센 맥어드레스가 F인데(표 6 참조), 단말의 현 위치에서 다섯 번째로 신호 세기가 센 맥어드레스와 동일하므로(표 5 참조) 26-5+1 = 22 값을 가진다.
위치 1의 경우, 다섯 번째로 신호 세기가 센 맥어드레스가 A인데(표 6 참조), 단말의 현 위치에서 네 번째로 신호 세기가 센 맥어드레스와 동일하므로(표 5 참조) 저장부(140)의 맥어드레스가 현 위치의 맥 어드레스보다 뒤에 있으므로 0 값을 가진다.
위치 1의 경우, 여섯 번째로 신호 세기가 센 맥어드레스가 D인데(표 6 참조), 단말의 현 위치에서 세 번째로 신호 세기가 센 맥어드레스와 동일하므로(표 5 참조) 저장부(140)의 맥어드레스가 현 위치의 맥 어드레스보다 뒤에 있으므로 0 값을 가진다.
따라서 위치 1에 대한 고유값은 26 + 21 + 22 = 70 이 된다.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위치 2에 대한 고유값을 구하면 26 + 24 + 22 + 23 + 21 + 0 = 94이며,
위치 3에 대한 고유값을 구하면 26 + 25 + 24 + 23 + 21 + 0 = 122이며,
위치 4에 대한 고유값을 구하면 23 + 0 + 0 + 0 + 21 + 0 = 9이며,
위치 5에 대한 고유값을 구하면 26 + 25 + 24 + 21 + 22 + 0 = 118이다.
따라서 단말의 현 위치에 대한 제1고유값은 126이므로, 이와 가장 차이가 적은 제2고유값을 가진 위치 3이 현재 위치로 결정된다.
이와 같이, 앞서 결정된 위치 3이 연속적으로 현재 위치로 3번 도출된다면, 현재 위치는 위치 3으로 확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장치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정 장치
110 : 리스트 정렬부
120 : 고유값 계산부
130 : 위치 결정부
140 : 저장부

Claims (12)

  1. (a) 좌표값을 알고 있는 기준위치에서 수신된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각 기준위치별로 신호 세기가 센 순으로 정렬하여 제1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b) 단말의 현 위치에서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신호 세기가 센 순으로 정렬하여 제2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제2리스트에 기재된 신호 세기를 기초로 단말의 현 위치에 대한 고유값인 제1고유값을 계산하는 단계;
    (d) 상기 제1리스트에 기재된 기준위치별 신호 세기 순서를 상기 제2리스트에 기재된 신호 세기 순서와 비교하여 기준위치별로 제2고유값을 각각 계산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1고유값과 상기 기준위치별 제2고유값을 각각 비교하여, 상기 제1고유값과 차이가 가장 적은 제2고유값에 대응하는 위치를 제1현재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f)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e) 단계는 사전에 설정한 횟수 동안 반복되며, 상기 제1고유값과 차이가 가장 적은 제2고유값에 대응하는 위치가 상기 제1현재위치와 동일하면 상기 제1현재위치를 현재 위치로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g)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e) 단계는 사전에 설정한 횟수 동안 반복되며, 상기 제1고유값과 차이가 가장 적은 제2고유값에 대응하는 위치가 상기 제1현재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가 나오면, 상기 제1고유값과 차이가 가장 적은 제2고유값에 대응하는 위치를 제2현재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유값은 단말의 현 위치에서 수신된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 순서 패턴과 각 기준위치별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 순서 패턴을 비교하기 위한 기준 값이고, 하기 수학식 A에 의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
    [수학식 A]
    Figure pat00006

    여기서, C1은 제1고유값이고, P는
    Figure pat00007
    을 만족하는 양의 실수이고, N은 액세스 포인트 별 신호 세기를 신호 세기가 센 순으로 내림 차순 하였을 때, 사전에 설정된 상위 데이터 개수를 의미한다.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유값은 기준위치별로 산출되며,
    상기 기준위치별 제2고유값은 동일한 액세스 포인트를 기초로,
    상기 제1리스트에 기재된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제2리스트에 기재된 동일 액세스 포인트보다 신호 세기 순서가 뒤 순서이면 '0'값을 가지고,
    상기 제1리스트에 기재된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제2리스트에 기재된 동일 액세스 포인트보다 신호 세기 순서가 같거나 앞 순서이면 'PN -(제2리스트상의 신호세기 순서)+1'값(여기서, P는
    Figure pat00008
    을 만족하는 양의 실수이고, N은 액세스 포인트 별 신호 세기를 신호 세기가 센 순으로 내림 차순 하였을 때, 사전에 설정된 상위 데이터 개수)을 가지며,
    상기 계산된 값들을 합산하여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학식 A에서 신호 세기가 가장 센 액세스 포인트에 PN, 그 다음으로 신호 세기가 센 액세스 포인트에 PN -1, 동일한 방법으로 신호 세기가 가장 약한 액세스 포인트에 P1을 배정하여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
  7. 단말이 위치하는 영역의 좌표, 액세스 포인트의 맥어드레스 및 신호 세기가 저장되는 저장부;
    좌표값을 알고 있는 기준위치에서 수신된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각 기준위치별로 신호 세기가 센 순으로 정렬하여 제1리스트를 생성하고, 단말의 현 위치에서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신호 세기가 센 순으로 정렬하여 제2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 정렬부;
    상기 생성된 제2리스트에 기재된 신호 세기를 기초로 단말의 현 위치에 대한 고유값인 제1고유값을 계산하고, 상기 생성된 제1리스트에 기재된 기준위치별 신호 세기 순서를 제2리스트에 기재된 신호 세기 순서와 비교하여 기준위치별로 각각 제2고유값을 계산하는 고유값 계산부; 및
    상기 제1고유값과 상기 기준위치별 제2고유값을 각각 비교하여, 상기 제1고유값과 차이가 가장 적은 제2고유값에 대응하는 위치를 제1현재위치로 결정하는 위치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정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부는 상기 제1고유값과 차이가 가장 적은 제2고유값에 대응하는 위치가 사전에 설정한 횟수 동안 반복하여 상기 제1현재위치로 결정되면 상기 제1현재위치를 현재 위치로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정 장치.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유값은 단말의 현 위치에서 수신된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 순서 패턴과 각 기준위치별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 순서 패턴을 비교하기 위한 기준 값이고, 하기 수학식 A에 의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정 장치:
    [수학식 A]
    Figure pat00009

    여기서, C1은 제1고유값이고, P는
    Figure pat00010
    을 만족하는 양의 실수이고, N은 액세스 포인트 별 신호 세기를 신호 세기가 센 순으로 내림 차순 하였을 때, 사전에 설정된 상위 데이터 개수를 의미한다.
  10.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유값은 기준위치별로 산출되며,
    상기 기준위치별 제2고유값은 동일한 액세스 포인트를 기초로,
    상기 제1리스트에 기재된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제2리스트에 기재된 동일 액세스 포인트보다 신호 세기 순서가 뒤 순서이면 '0'값을 가지고,
    상기 제1리스트에 기재된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제2리스트에 기재된 동일 액세스 포인트보다 신호 세기 순서가 같거나 앞 순서이면 'PN -(제2리스트상의 신호세기 순서)+1'값(여기서, P는
    Figure pat00011
    을 만족하는 양의 실수이고, N은 액세스 포인트 별 신호 세기를 신호 세기가 센 순으로 내림 차순 하였을 때, 사전에 설정된 상위 데이터 개수)을 가지며,
    상기 계산된 값들을 합산하여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정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학식 A에서 신호 세기가 가장 센 액세스 포인트에 PN, 그 다음으로 신호 세기가 센 액세스 포인트에 PN -1, 동일한 방법으로 신호 세기가 가장 약한 액세스 포인트에 P1을 배정하여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정 장치.
  12.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10051306A 2011-05-30 2011-05-30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KR101258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306A KR101258832B1 (ko) 2011-05-30 2011-05-30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306A KR101258832B1 (ko) 2011-05-30 2011-05-30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2908A true KR20120132908A (ko) 2012-12-10
KR101258832B1 KR101258832B1 (ko) 2013-05-06

Family

ID=47516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1306A KR101258832B1 (ko) 2011-05-30 2011-05-30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883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725B1 (ko) * 2013-07-09 2013-08-30 (주)멀린 근거리 통신망에서 위치확인 방법 및 장치
KR20150011527A (ko) * 2013-07-23 2015-02-02 홍충식 위치 확인 오류 개선을 위한 전처리 방법
KR101537890B1 (ko) * 2014-01-29 2015-07-17 한국과학기술원 무선 네트워크에서 음영지역을 검출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16127878A1 (zh) * 2015-02-12 2016-08-18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定位检测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573B1 (ko) 2019-11-07 2021-07-06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위치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840B1 (ko) * 2009-11-27 2010-11-16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랜 신호 세기 기반의 실내 측위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725B1 (ko) * 2013-07-09 2013-08-30 (주)멀린 근거리 통신망에서 위치확인 방법 및 장치
WO2015005542A1 (ko) * 2013-07-09 2015-01-15 (주)멀린 근거리 통신망에서 위치확인 방법 및 장치
KR20150011527A (ko) * 2013-07-23 2015-02-02 홍충식 위치 확인 오류 개선을 위한 전처리 방법
KR101537890B1 (ko) * 2014-01-29 2015-07-17 한국과학기술원 무선 네트워크에서 음영지역을 검출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16127878A1 (zh) * 2015-02-12 2016-08-18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定位检测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8832B1 (ko) 2013-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63287B (zh) 天线方向角优化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07318084B (zh) 一种基于最优相似度的指纹定位方法及装置
CN103402258B (zh) 一种基于Wi‑Fi的室内定位系统和方法
CN104469676B (zh) 一种移动终端的定位方法及系统
CN109996279B (zh) 过覆盖小区定位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07547598B (zh) 一种定位方法、服务器及终端
CN102547570B (zh) 一种伪距差值定位方法及装置
KR101258832B1 (ko)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JP5129356B2 (ja) 位置決定におけるアンビギティーの解決方法
CN102340806B (zh) 一种确定天线方向角的方法和设备
TW201329486A (zh) 定位方法
CN104661305A (zh) 用于用户终端定位的方法、装置及服务端
CN109640262B (zh) 一种基于混合指纹的定位方法及系统、设备、存储介质
KR102052519B1 (ko) 저전력 블루투스 기반의 실내 측위 방법 및 장치
US20160245896A1 (en) Method and device for positioning terminal location
CN108574927B (zh) 一种移动终端定位方法及装置
CN112995893A (zh) 一种指纹定位方法、系统、服务器和存储介质
CN1150797C (zh) 电信系统中移动站的定位
Tao et al. An extreme value based algorithm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WiFi localization
CN108540926B (zh) 一种无线信号指纹的构建方法及装置
KR20190007310A (ko) 위치 측위 방법 및 장치
CN104635206A (zh) 一种无线定位的方法及装置
CN109362027B (zh) 定位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1642186B1 (ko) 위치 추적 방법, 위치 추적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CN109996180B (zh) 基站方位角核查的方法、装置、设备及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