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2162A - 쿠셔닝 신발 - Google Patents

쿠셔닝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2162A
KR20120132162A KR1020110050824A KR20110050824A KR20120132162A KR 20120132162 A KR20120132162 A KR 20120132162A KR 1020110050824 A KR1020110050824 A KR 1020110050824A KR 20110050824 A KR20110050824 A KR 20110050824A KR 20120132162 A KR20120132162 A KR 20120132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pad
heel
upper portion
air filling
sh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0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광준
Original Assignee
신광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광준 filed Critical 신광준
Priority to KR1020110050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2162A/ko
Publication of KR20120132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21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8Resilient uppers, e.g. shock absorbing
    • A43B23/029Pneumatic upper, e.g. gas fill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7Lining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의 착용성이 우수하며, 워킹시 발등부위의 완충을 개선한 쿠셔닝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이로써, 본 발명은 실시예로, 지면에 대어지는 솔부와, 이 솔부 위에 장착되며 발등을 감싸고 있는 업퍼부를 포함하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업퍼부의 발등부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발등 부위를 감쌀 수 있으며, 복수의 에어충진부가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는 제1쿠션패드를 구비하는 쿠셔닝 신발을 제시한다.

Description

쿠셔닝 신발{Cushioning shoes}
본 발명은 신발의 착용성이 우수하며, 워킹시 발등부위의 완충을 개선한 쿠셔닝 신발에 관한 것이다.
신발은 크게 발등 주변을 덮으며 신발의 디자인을 결정하는 업퍼(upper)부와, 업퍼부의 하부에 결합되면서 지면에 대어지는 솔(sole)부로 구성된다. 신발은 형태와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는데, 업퍼부가 단단한 것으로는 대표적으로 안전화, 구두, 등산화 등이 있다.
일례로, 남성용 구두의 경우에 업퍼는 기본 외형을 이루는 외피, 외피의 안쪽에 대어지는 내피를 포함하고, 발등의 접히는 부분을 감싸는 앞날개(vamp)와 뒤꿈치를 감싸는 갑보(Counter) 등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고 있다.
한편, 등산화나 안전화의 경우에 발가락 부분를 감싸 보강하기 위하여 선심(box toe)이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앞날개, 갑보, 선심 등의 보강부재는 업퍼부의 구조적 강도를 개선하여 신발의 외형의 변경을 방지할 수 있지만, 경질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하기 불편하게 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새로 구입한 구두의 경우, 사용자의 발에 신발이 길들여지기 전까지는 신고 벗기가 쉽지 아니하며, 걸을 때 발등이 접히는 부분에 의한 발등의 압박이 있게 된다.
이러한 압박은 걸음시에 접히는 발등부분과 뒤꿈치의 피도리(Top line)에서 반복적으로 발생되는 것으로 피부를 벗겨지게 하거나 물집이 잡히게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신발의 업퍼부에 의하여 반복 압박되는 부위의 쿠션을 부가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신발을 신거나 벗기 편리하도록 하는 목적도 갖는다.
상기 과제를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지면에 대어지는 솔부와, 이 솔부 위에 장착되며 발등을 감싸고 있는 업퍼부를 포함하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업퍼부의 발등부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발등 부위를 감쌀 수 있으며, 복수의 에어충진부가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는 제1쿠션패드를 구비하는 쿠셔닝 신발을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에어충진부는 상기 업퍼부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집약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쿠션패드는 상기 업퍼부에 구비되는 뱀프(vamp)에서 텅(tongue)까지의 구간에 구비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업퍼부의 뒤꿈치부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뒤꿈치 상단부를 감쌀 수 있으며, 복수의 에어충진부가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는 제2쿠션패드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쿠션패드의 에어충진부는 상기 뒤꿈치부의 상단을 따라, 상기 뒤꿈치부의 내측 둘레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쿠션패드에 의하여 착용자가 걸을 때, 발등의 주름에 의하여 피부가 상하지 아니하게 되며, 신발을 신고 벗기가 편리해지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제2쿠션패드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신발의 뒤꿈치부에 의하여 발뒤꿈치 피부의 벗겨지거나 물집이 잡히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신발을 신고 벗기가 수월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쿠셔닝 신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쿠셔닝 신발의 업퍼부와 쿠션패드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채용된 제1쿠션패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쿠셔닝 신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채용된 제2쿠션패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쿠션패드의 장착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쿠셔닝 신발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이하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쿠셔닝 신발(10)은 지면에 대어지는 솔부(1)와, 이 솔부(1) 위에 장착되며 발등을 감싸고 있는 업퍼부(2)를 포함한다.
솔부(1)는 단일 또는 다중의 창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업퍼부(2)는 단일 또는 다중의 천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천 부재는 합성 섬유로 짜진 직물이거나 천연가죽 또는 인조가죽 등의 피혁이며, 또한 이들은 여러 조각으로 나뉘며 서로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업퍼의 형상과 모양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형적인 신사화의 형태이거나, 발목 이상을 덮는 부츠나 등산화 등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업퍼부는 적어도 착용자의 발등을 감싸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고, 바람직하게는 뒤꿈치를 감싸는 후방부가 더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쿠셔닝 신발(10)은, 업퍼부(2)의 발등부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발등 부위를 감쌀 수 있으면서, 복수의 에어충진부(33)가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는 제1쿠션패드(3A)를 구비하고 있다.
제1쿠션패드(3A)의 형상은 대략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제1쿠션패드(3A)는 두 장의 합성수지층을 포함한다. 이때, 바닥에 해당하는 제1합성수지층(31)은 평평한 것이고, 제1합성수지층(31) 위에 부착되어 있는 제2합성수지층(32)에는 에어충진부(33)를 형성하도록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합성수지층은 열가소성 수지로 제1합성수지층(31)과 제2합성수지층(32)의 부착은 열융착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제1합성수지층(31)의 두께는 제2합성수지층(32)에 비하여 두껍게 할 수 있다. 두꺼운 제1합성수지층은 신발 속에서 잦은 압박에도 불구하고 쿠션패드의 형상을 유지하는 데 요구되는 강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얇을 수 있는 제2합성수지층은 에어충진부의 탄성력을 조절하는데 주요하다. 즉, 제2합성수지층의 두께를 얇게 할수록 에어충진부의 초기 탄성 변형이 용이한 것이다. 이와 같이, 두께가 서로 다른 합성수지층을 사용함으로써, 쿠션패드의 강성과 원하는 탄성 정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쿠션패드(3A)는 각 합성수지층의 탄성으로 인하여 가요성을 갖는다. 가요성과 열융착이 가능한 합성수지는, 일례로 PET, PE 등 널리 사용되는 수지일 수 있다.
한편, 에어충진부(33)는 제1합성수지층(31)과 제2합성수지층(32) 사이에 갇힌 공간으로 내부에는 공기가 충진되어 있다. 에어충진부는 낮은 원통형 기둥의 외형을 가지며, 돌출된 원형의 상부면 둘레는 외주면과 부드럽게 이어지도록 라운드 처리되어 있다.
제1쿠션패드는 평탄한 제1합성수지층은 신발의 내측을 향하며, 볼록한 돌출부가 구비된 제2합성수지층은 외측을 향하게 하여, 업퍼부의 외피와 내피 사이에 장착된다.
만일, 외피가 얇거나 가요성이 큰 재질인 경우에는 돌출된 에어충진부에 의한 외피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합성수지층이 신발의 내부를 향하도록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쿠션패드(3A)의 에어충진부들(33)은 업퍼부(2)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이격간격이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에어충진부(33)는 업퍼부(2)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4열을 이루고 있으며, 최전방의 1열은 3개의 에어충진부가 구비되며, 2,3열은 4개의 에어충진부가 구비되고, 마지막 4열은 5개의 에어충진부가 구비되어 있다. 그에 따라 2,3열의 에어충진부들의 이격간격은 1열의 에어충진부들의 이격간격보다 좁으며, 4열의 에어충진부들의 이격간격은 2,3열의 에어충진부들의 이격간격보다 좁다.
이때, 열을 이루고 있는 에어충진부(33)의 개수는 도시된 바와 달라질 수 있으며, 또한 2열 이상의 복수 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업퍼부(2)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제1쿠션패드(3A)의 에어충진부들(33)이 집약되게 형성됨에 따라 제1쿠션패드(3A)는 구간에 따른 쿠션 정도가 달라지게 된다. 전방부는 에어충진부들이 덜 집약되어 있으므로 후방부보다 착용자가 느끼는 탄성력이 작다. 즉, 신발을 착용한 때에 발가락의 시작부분인 발등 앞쪽의 이질감을 저감하면서 쿠션 작용은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에어충진부가 밀집된 후방부는 발목에 가까운 발등 뒤쪽을 견고하게 받쳐줌으로써 탄탄한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후방부는 신발끈을 묶는 부분에 해당되어 신발끈을 조임에 따라 발등에 전해지는 압박감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된다.
한편, 제1쿠션패드(3A)가 대어지는 구간은 업퍼부(2)에 구비되는 뱀프(vamp, 21)에서 텅(tongue, 22)까지의 구간일 수 있다. 여기서, 뱀프(21)는 선심(Top toe, 23)에서 연결되며 텅(22)의 전까지의 연결 부분으로 대략 착용자의 발가락이 시작되는 발등 앞쪽을 덮는 부분을 말한다. 또한, 텅(22)은 흔히 베라라고 불리는 것으로 발등의 돌출된 아치를 덮으며 발목에 이르는 중앙 부재이다.
제1쿠션패드(3A)는 뱀프(21)부터 텅(22)에 이르는 구간에 구비되어, 신발을 신고 걸을 때 업퍼부(2)가 자연스럽게 구부려져 접히는 부분(이하, '주름부(W)'라고 함)에 대어진다(도 4 참고). 이러한 주름부는 뱀프와 일부 텅에 이를 수 있다.
만일 텅의 면적이 충분히 큰 경우라면 제1쿠션패드는 선심의 후측에서 일부는 텅에 고정되며, 텅에 고정되는 부분은 텅과 동일하거나 보다 작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제1쿠션패드(3A)는 주름부(W)의 변형에 의하여 착용자의 발등을 누르게 되는 업퍼부(2)과 착용자의 발등 사이(정확히는 외피와 내피 사이)에 위치되어, 착용자의 발등에 쿠션감을 제공한다. 이로써, 주름부에 의하여 발등 피부가 반복적으로 압박 받아 피부가 쓸리거나 멍드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또한, 제1쿠션패드(3A)는 탄성 변형되어 두께가 가변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가 신발을 신을 때 탄성 변형되면서 신발의 착용이 용이하도록 돕는다. 특히, 발등이 솟은 발이나 발볼이 넓은 착용자의 경우에 신발에 발을 밀어 넣기가 쉽지 아니한데, 제1쿠션패드가 변형되면서 신발 착용이 용이하도록 돕고, 착용 후에는 복원되면서 안정적으로 착용자의 발등을 지지하게 된다.
더하여, 업퍼부(2)의 뒤꿈치부(24)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뒤꿈치 상단부를 감쌀 수 있으며, 복수의 에어충진부(33)가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는 제2쿠션패드(3B)를 구비한다. 이 제2쿠션패드(3B)는 생략 가능한 구성이다.
제2쿠션패드(3B)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에어충진부(33)가 나란히 2줄로 구비된 것이다. 제2쿠션패드(3B)는 제1,2합성수지층(31,32)으로 이루어지고, 이들의 재질과 부착방식은 전술된 바와 동일한 것이다. 또한, 도시된 바와 달리, 제1쿠션패드에 구비되는 에어충진부의 줄수와 한 줄당 형성되는 에어충진부의 수는 달라질 수 있다.
업퍼부(2)의 뒤꿈치부(24)는 통상 2 이상의 외피(2A)가 적층되어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게 되며, 이 외피의 내측에는 내피(2B)가 부착되어 있다. 이때,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내피도 내마모성을 고려하여 동일 재질 또는 다른 재질로 하여 2중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와 도 6을 참고하면, 제2쿠션패드(3B)는 업퍼부의 뒤꿈치부(24)의 내피(2B)와 외피들(2A) 사이에 배치된다. 나아가 제2쿠션패드(3B)의 에어충진부(33)는 뒤꿈치부(24)의 상단(241)을 따라, 상기 뒤꿈치부(24)의 내측 둘레에 위치된다. 즉, 제1쿠션패드(3A)의 최상부에 위치된 에어충진부(33A)는 뒤꿈치부(24)의 상단(241)에 최대한 가깝게 대어진 상태이다. 따라서 착용자의 발 뒤꿈치는 신발의 뒤꿈치부가 아닌 최상단의 에어충진부에 먼저 접촉할 수 있다.
제2쿠션패드(3B)의 고정은 내피(2B)와 외피(2A)에 발라지는 접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제1합성수지층과 제2합성수지층이 부착된 제2쿠션패드의 가장자리를 따라 내피 또는 외피에 박음질하여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피의 내측면에 접착제를 발라 제1합성수지층을 부착하고, 제2쿠션패드의 가장자리를 따라 바느질로 박음질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이때, 내피와는 접착하지 아니함에 따라 신발의 착용에 따른 내피의 자유스러운 신축이 가능하여, 착용감을 떨어뜨리지 아니하게 된다. 이러한 제2쿠션패드의 고정은 제1쿠션패드에도 대략 유사하게 적용가능한 것이다.
또한, 제2쿠션패드(3B)의 최상부(301A)는 외피(2A)의 상단과 거의 같은 높이에 위치되어 있으며, 이 제2쿠션패드(3B)의 최상부를 내피(2B)의 상단부가 접혀 감싸고 있다. 내피(2B)는 외피(2A)에 접착 또는 박음질로 고정된다. 이로써, 외부에서 관찰하였을 때에 제2쿠션패드(3B)가 직접 노출되지 아니하여 외관미를 훼손하지 아니하게 된다.
이러한 제2쿠션패드(3B)가 더 구비됨으로써, 신발을 신고 걸을 때에 업퍼부(2)의 뒤꿈치부(24) 상단(241)이 피부에 접촉하지 아니하고, 에어충진부(33)가 피부와 면접하게 되어 오래 걷더라도 피부 쓸림이나 물집이 잡히는 등의 문제가 일어나지 아니하게 된다.
또한, 제2쿠션패드(3B)는 업퍼부(2)의 뒤꿈치부(24) 전체가 아닌 상단에서 중간까지에만 대어질 수 있다. 즉, 뒤꿈치부의 내측면 하단부에까지 제2쿠션패드가 대어지지 아니하여 발뒤꿈치 바닥부분이 신발 속에 들어갈 공간을 충분히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업퍼부의 뒤꿈치부의 상부에만 장착된 제2쿠션패드는 상기 뒤꿈치부가 직접 피부에 접촉하지 아니하게 하면서, 착용자의 발뒤꿈치 바닥부분이 안정되게 신발 속에 자리 잡게 하는데 주요한 것이다.
또한, 제2쿠션패드가 제공하는 쿠션감으로 신발을 신고 벗기가 편리해진다. 착용자가 신발을 신을 때에 제2쿠션패드의 에어충진부는 탄성 변형되며 발뒤꿈치가 업퍼의 뒤꿈치부를 쉽게 통과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착용자가 신발을 벗을 때도 마찬가지로 작용한다.
10 : 신발
1 : 솔부
2 : 업퍼부
21 : 뱀프 22 : 텅 23 : 선심
W : 주름부 24 : 뒤꿈치부 241 : 상단
2A : 외피 2B : 내피
3A : 제1쿠션패드
3B : 제2쿠션패드 301A : 최상부
31 : 제1합성수지층 32 : 제2합성수지층
33,33A : 에어충진부

Claims (5)

  1. 지면에 대어지는 솔부와, 이 솔부 위에 장착되며 발등을 감싸고 있는 업퍼부를 포함하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업퍼부의 발등부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발등 부위를 감쌀 수 있으며, 복수의 에어충진부가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는 제1쿠션패드를 구비하는 쿠셔닝 신발.
  2. 제1항에서,
    상기 에어충진부는
    상기 업퍼부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집약 형성되어 있는 쿠셔닝 신발.
  3. 제2항에서,
    상기 제1쿠션패드는
    상기 업퍼부에 구비되는 뱀프(vamp)에서 텅(tongue)까지의 구간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셔닝 신발.
  4. 제1항에서,
    상기 업퍼부의 뒤꿈치부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뒤꿈치 상단부를 감쌀 수 있으며, 복수의 에어충진부가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는 제2쿠션패드를 구비하는 쿠셔닝 신발.
  5. 제4항에서,
    상기 제2쿠션패드의 에어충진부는
    상기 뒤꿈치부의 상단을 따라, 상기 뒤꿈치부의 내측 둘레에 위치되어 있는 쿠셔닝 신발.
KR1020110050824A 2011-05-27 2011-05-27 쿠셔닝 신발 KR201201321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824A KR20120132162A (ko) 2011-05-27 2011-05-27 쿠셔닝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824A KR20120132162A (ko) 2011-05-27 2011-05-27 쿠셔닝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2162A true KR20120132162A (ko) 2012-12-05

Family

ID=47515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0824A KR20120132162A (ko) 2011-05-27 2011-05-27 쿠셔닝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216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334B1 (ko) * 2013-04-16 2013-11-11 양옥환 뒤꿈치 패드
CN111213959A (zh) * 2020-01-16 2020-06-02 信泰(福建)科技有限公司 新型气囊鞋面、其制作方法及应用该鞋面的鞋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334B1 (ko) * 2013-04-16 2013-11-11 양옥환 뒤꿈치 패드
CN111213959A (zh) * 2020-01-16 2020-06-02 信泰(福建)科技有限公司 新型气囊鞋面、其制作方法及应用该鞋面的鞋
CN111213959B (zh) * 2020-01-16 2022-01-07 信泰(福建)科技有限公司 气囊鞋面的制作方法及其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938263B (zh) 无鞋带的鞋
US11464290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knitted component having plurality of graduated projections
EP3289907B1 (en) Upper for a shoe
US20230248114A1 (en) Sole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JP7075175B2 (ja) シューズ、特にスポーツシュー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652998B (zh) 含內部層特徵之具有編織組件之鞋類物件
TWI552690B (zh) 具有含編織組件之跟部的鞋類物件
TWI613975B (zh) 具有含偏壓式腳趾間元件之編織組件之鞋類物件
EP3229633B1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multiple braided structures
EP3284362B1 (en) Upper for a shoe
EP1304937B1 (en) Article of footwear including a tented upper
US9961962B2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ctive regions and secure regions
KR20170037940A (ko) 개량형 구조를 가진 신발류
US20130212908A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Detachable Upper and Lower Designs
TWM566494U (zh) 鞋底結構
EP3491957B1 (en) Shoe with shoe eyelet structure
KR101724036B1 (ko) 신축성을 갖는 발 뒤꿈치부가 적용된 암벽화
KR20120132162A (ko) 쿠셔닝 신발
KR101080873B1 (ko) 패턴 일체형 하부결합체가 구비된 신발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4104251A (ja) ストレッチ機能を有する甲被を備えた履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