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1802A -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를 이용한 순간접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를 이용한 순간접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1802A
KR20120131802A KR1020110050217A KR20110050217A KR20120131802A KR 20120131802 A KR20120131802 A KR 20120131802A KR 1020110050217 A KR1020110050217 A KR 1020110050217A KR 20110050217 A KR20110050217 A KR 20110050217A KR 20120131802 A KR20120131802 A KR 20120131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ethyl
methylenemalonate
weight
parts
adhesiv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0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6775B1 (ko
Inventor
이춘남
이병화
서형만
Original Assignee
대흥화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흥화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흥화학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0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6775B1/ko
Publication of KR20120131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1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7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톨루엔, 포름알데히드, 중금속 등의 유해성분의 발생이 없는 제품으로 인조속눈썹, 가발 등 인체에 사용 또는 접촉시 유해성이 없는 순간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중합억제제 0.001~10중량부, 가소제 1~4중량부, 증점제 1~10중량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를 이용한 순간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를 이용한 순간접착제 조성물 {Super glue composite using Dimethyl 2-methylenemalonate}
본 발명은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를 주성분으로 한 순간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톨루엔, 포름알데히드, 중금속 등의 유해성분의 발생이 없는 제품으로 인조속눈썹, 가발 등 인체에 사용 또는 접촉시 유해성이 없는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를 이용한 순간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순간접착제는 공기중의 수분이나 재료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미량의 수분으로도 중합되어 경화되며, 그 경화시간이 10초 이내로 알려져 있는 것으로, 가정용이 약 20%, 공업용이 약 75%를 차지하고 있으며, 의료용은 전 세계적으로 5% 이하이지만 최근 들어 고기능성 및 고성능을 갖는 순간접착제의 연구가 각광을 받고 있다.
의료용 접착제로 초기에는 메틸 및 에틸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순간접착제를가 사용되었으나 조직독성이 심해서 현재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대신 n-부틸 시아노아크릴레리트가 미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에서 임상에서 부분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것도 일부 조직독성과 취약성의 문제 때문에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시아노아크릴레이트는 일반적으로 염기성 촉매를 사용한 파라포름알데히드와 같은 포름 알데히드 전구체와 알킬 시아노아세테이트 사이의 노베나겔(Knoevenagel) 축합반응에 의해 중합체를 얻고, 고온 감압 하에 해중합(depolymerization)함으로써 제조되는데, 이때 시아노아크릴레이트는 상기와 같이 제조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한데, 수분이 많으면 경화물을 가수분해하기 때문에 접착강도가 급격히 떨어지고, 가수분해로 포름알데히드가 방출되어 유해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물의 제거를 위하여 통상적으로 톨루엔, 자일렌, 이소프로필알콜, 메틸에틸케톤(MEK), 파라핀, 아세톤, 등과 같은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을 용제가 사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용제는 발암성 유해물질로 인체에 유해하며, 대기오염의 주범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순간접착제의 유해성을 감소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왔지만 수분과 반응시 부가적 반응물로 인체에 유해한 포름알데히드를 생성하는 문제점은 여전히 갖고 있으며, 이에 따른 대체물질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를 주성분으로 하여 접착강도가 우수할 뿐 아니라 유해부가물질의 생성이 없는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적인 순간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화속도를 높이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성을 증가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해물질의 방출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한하는데 있다.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중합억제제 0.001~10중량부, 가소제 1~4중량부, 증점제 1~10중량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를 이용한 순간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촉진제 1~3중량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첨가제 1~10중량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는 포름알데히드와 말로네이트의 축합반응으로 중합체를 합성한 후, 진공하에서 가열 해중합하되, 중합체 합성시 물보다 밀도가 낮고 끓는점이 74~120℃인 용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합억제제는 산성 산화물, 페놀, 크레졸, C1-C4 치환 페놀, 크레졸 및 catechol, 그리고 acrylhydroxyamic acid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혹은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소제는 디부틸(dibutyl), 디옥틸(dioctyl), 디도데실(didodecyl) 또는 디에톡시에틸(diethoxyethyl)로 치환된 프탈산계(phthalates) 화합물 또는 디부틸(dibutyl), 디옥틸(dioctyl), 디도데실(didodecyl) 또는 디에톡시에틸(diethoxyethyl)로 치환된 아디핀산계(adipates)화합물, 그리고 인산트리크레질(tricresyl phosphate), 글리세릴 트리아세트산(glyceryl triacetate) 및 메틸리놀리레이트(methyl ricinoleate)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혹은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증점제로서는 아크릴수지(Acryl Resin), 규소파우더(SiO2 Power), 메틸셀루로스(methyl celluse 등), polyoxyethylene, polyethylene glycol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혹은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화촉진제는 크라운 에테르류를 사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를 이용한 순간접착제 조성물은 용해성 및 열안정성이 우수하고, 발암성 유해물질을 사용 및 발생이 적은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를 주성분으로 사용하되, 순간접착제 조성물의 각 성분이 적절히 배합됨에 따라 유해부가물질의 생성이 없어 인체에 무해하고, 접착성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경화촉진제의 사용으로 경화가 보다 신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안료나 염료와 같은 첨가제가 더 포함되어 사용되는 순간접착제의 외관 및 작업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 제조시 용제를 한정하여 VOCs 및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유해물질의 방출량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을 이용한 순간접착제 조성물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은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로를 사용하여 제조한 순간 접착제의 조성물로, 용해성 및 열안정성이 우수하며 발암성 유해물질의 사용량을 줄이고, 이러한 유해물질의 발생을 줄여 인체에 무해하며 접착성이 우수한 순간접착제 조성물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순간접착제 조성물을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 중합억제제, 가소제, 증점제를 포함한다.
상기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는 유해물질이 없고 우수한 접착력을 가지는 순간접착제 조성물의 주성분으로, 이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나 공기중의 수분이나 재료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미량의 수분과 중합반응 및 경화가 일어나 신속하게 경화되는 것이다.
이러한 디메틸 2-메틸렌 말로네이트는 제조된 순간접착제에서 경화시 부반응으로 인하여 포름알데히드나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등과 같은 유해물질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포름알데히드와 말로네이트의 축합반응으로 중합체를 합성한 후, 진공하에서 가열 해중합하되, 중합체 합성시 물보다 밀도가 낮고 끓는점이 74~120℃인 용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반응식 1의 화학식 Ⅴ)는 염기성 촉매 하에서 용제와 포름알데히드를 혼합하여 70~80℃를 유지하여 150분간 교반한 다음, 말로네이트를 적하하거나, 한번에 투입하고, 발열반응이 발생되면 100~110℃의 온도를 유지하며 240분간 반응시킨 다음, 증류하여 용제 및 물을 제거하고, 진공여과하여 얻어진 액상폴리머르 다시 진공증류하여 얻을 수 있다. 하기 반응식 1은 이러한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의 복합적인 반응을 나타낸 것이다.
[반응식 1]
Figure pat00001
이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는 합성중 발생되는 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부반응 발생을 제거할 수 있고, 말로네이트와 포름알데히드가 미반응 없이 완전하게 반응이 이루어질 수 있어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 자체에 포함된 포름알데히드 함량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제의 밀도는 물보다 낮을 때 분리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물보다 밀도가 높은 경우 수분 정량시 물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끓는점이 74℃미만이면 온도가 너무 낮아 물 제거에 부적합하고, 반대로 말로네이트의 끓는점인 177℃를 초과하는 경우 합성이 완료되기 전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가 증류되는 문제점이 있어 부적합하다. 바람직한 용제의 예로는 메틸이소부틸케톤, 아세트산, 에틸아세테이트 등이 있다.
상기 중합억제제는 가사시간을 길게 하여 접착제가 표면 결합 적용 전에 조기 경화나 겔화 없이 접착될 수 있도록 하고, 보관시 저장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상기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중합억제제가 0.001?10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그 함량이 10중량부를 초과하면 경화시간이 매우 지연되어 단시간 내에 피착제 내에 경화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반대로 중합억제제가 0.001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저장안정성이 저하되어 오랜시간 사용하기 어렵게 된다.
이러한 중합억제제로는 산성물질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산성 산화물, 알킬 치환된 페놀, 또는 boron trifluoride etherate와 같은 루이스 산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크레졸, C1-C4 치환 페놀, 크레졸 및 catechol, 그리고 acrylhydroxyamic acid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혹은 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접착제의 경화물이 깨지기 쉬운 성질을 갖기 때문에 경화된 피착제를 덜 취약하게 하고, 순간접착제 조성물의 겔화 및 분리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기 위하여 첨가된다. 이러한 가소제는 비휘발성 용제이고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와 친화적이며 화학적으로 무반응성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예로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를 들 수 있다. 예컨데 디부틸(dibutyl), 디옥틸(dioctyl), 디도데실(didodecyl) 또는 디에톡시에틸(diethoxyethyl)로 치환된 프탈산계(phthalates) 화합물 또는 디부틸(dibutyl), 디옥틸(dioctyl), 디도데실(didodecyl) 또는 디에톡시에틸(diethoxyethyl)로 치환된 아디핀산계(adipates)화합물, 그리고 인산트리크레질(tricresyl phosphate), 글리세릴 트리아세트산(glyceryl triacetate) 및 메틸리놀리레이트(methyl ricinoleate) 등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가소제는 디메틸 2-메틸렌말로테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1~4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1중량부 미만이면 가소제의 역할이 발휘되기 어렵고, 4중량부를 초과하면 접착제의 응집력이 저하되어 접착력이 떨어진다.
상기 증점제는 사용되는 순간접착제 조성물의 흐름성이 클 경우 공극이 큰 재료들에 순간접착제 조성물이 스며들어가는 것을 제한하기 위하여 포함되는 것으로,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증점제는 1~10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증점제가 1중량부 미만이면 순간접착제 조성물의 흐름성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어렵고, 10중량부를 초과하면 점도가 지나치게 향상되어 접착시키고자 하는 기재에 지나치게 많은 양의 순간접착제 조성물이 묻게 되고, 원하는 위치에 고르게 접착되기 어려워지는 등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증점제는 접착제 조성물의 점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통상적인 불활성 비휘발성 물질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증점제는 아크릴수지(Acryl Resin), 규소파우더(SiO2 Power), 메틸셀루로스(methyl celluse 등), polyoxyethylene, polyethylene glycol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혹은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를 이용한 순간접착제 조성물은 용해성 및 열안정성이 우수하고, 발암성 유해물질을 사용 및 발생이 적은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를 주성분으로 사용하되, 순간접착제 조성물의 각 성분을 적절히 배합함에 따라 유해부가물질의 생성이 없어 인체에 무해하고, 접착성이 우수하여 인체와 직접적으로 적용하는 접착제의 용으로도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순간접착제 조성물의 경화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촉진제 1~3중량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경화촉진제는 반응시작 전에는 활성을 가지지 못하나 반응이 시작되면 반응속도를 증가시켜 주어 경화시간을 단축시켜주는 것으로, 이러한 기능을 갖는 경화촉진제로는 크라운 에테르류(예를들면, 18-크라운-6,18-크라운-5, 디벤젠-18-크라운-6), 실라크라운(silacrown)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화촉진제가 상기 1중량부보다 적게 포함되면 경화시간 단축효과가 나타나기 어렵고, 3중량부를 초과하면 접착제를 피착제에 바르는 동시에 경화가 이루어져 효과적으로 접착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순간접착제 조성물은 첨가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첨가제는 사용되는 순간접착제 조성물의 외관과, 작업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안료나 염료 등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첨가제는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는데, 만약 상기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작업성이나 외관의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고, 10중량부를 초과하면 안료나 염료로 인하여 접착강도 등과 같은 순간접착제의 전체적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하기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가 이에 따라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피페리딘(piperidine) 10g, 파라포름알데히드(paraformadehyde) 15g과, 용제로써 메틸이소부틸케톤(Methyl isobutyl ketone(d=0.800) 250g을 혼합하여 70~80℃를 유지하여 150분간 교반한 다음, 디메틸말로네이트(dimethyl malonate) 66g을 20분간 적하하여 수분정량장치와 환류냉각기를 장착시킨 상태에서 100~110℃를 유지하며 240분간 반응시킨 다음 증류하여 용제 및 물을 제거하고, 진공여과하여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 액상 폴리머를 얻고, 이를 다시 진공증류하여 1차로 액상폴리머 내에 잔류하고 있는 메틸이소부틸케톤을 증류하고 2차로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 중합체를 얻었다. 그런 다음진공상태에서 150~260℃로 해중합하여 접착제의 주성분으로 사용되는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Dimethyl 2-methylenemalonate)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하기 표 1과 같은 중량비로 각 성분을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순간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기 능 구 성 중량비

실시예1 실시예 2 실시예 3
중간체 Dimethyl 2-methylenemalonate 100 100 100
증점제 PEG(Polyethylene glycol) 3 3 3
가소제 TCP 2 2 2
중합억제제 P2O5(Phosphorous oxide) 1 1 1
경화촉진제 18-Crown-6 - 1 2
첨가제 안료 1 1 1
<실험예 1>
수분정량장치 및 환류냉각기를 통하여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를 주성분으로 한 순간접착제의 포름알데히드의 잔류량 및 VOCs 검출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이때 포름알데히드의 잔류량 및 VOCs 검출에 사용된 시험방법 및 기준규격은 하기 표 3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비교예로써 표 2와 같은 시판되고 있는 가속눈썹용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품명 성분
비교예1 가속눈썹용 접착제#1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비교예2 가속눈썹용 접착제#2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비교예3 가속눈썹용 접착제#3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시험항목 시험방법 비고 기준치 기준규격 적용제품
포름알데히드 US EPA 8315 A : 1996 HPLC 20 mg/kg이하 안전인증 안전기준 부속서 01 (가속눈썹) 가속눈썹접착제
VOCs(Benzene,Toluene,Xylene) US EPA 5021 : 1996 Headspace-GC/MS 20 mg/kg이하
KS M 0031: 2002 GC/FID

시험결과(mg/kg)
ACN추출 DW추출 Benzene Toluene Xylene
실시예 1 ND ND ND ND ND
실시예 2 33 14 ND ND ND
실시예 3 26 8 ND 4 ND
비교예 1 175 8500 ND 4 7
비교예 2 156 2160 2 34 ND
비교예 3 150 2560 2 39 ND
- ND: 검출되지 않음
표 4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순간접착제 조성물은 종래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순간접착제 조성물인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 비하여 포름알데히드의 잔류량 및 VOCs 검출량이 현저하게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다.
특히 경화촉진제가 사용되지 않은 실시예 1은 실시예 2나 실시예 3보다 다소 경화시간이 느리기는 하나, 상기와 같은 유해물질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실시예1 내지 실시예3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의 순간접착제 조성물의 접착력, 점도, 고형분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이때 접착력 및 점도, 고형분은 하기 표 5와 같은 방법을 통해 측정하였다.
구분 검사방법
접착강도(Kgf/㎠) 접착제를 판에 도포하여 접착을 시킨 뒤, 인장기를 이용하여 강도를 측정함
점도(cps) 각 접착제의 온도 보정 후 점도계의 로드를 침전시킨 다음 스위치를 켜고 30초~1분 안으로 수치를 읽음
고형분(%)
Figure pat00002

A는 용기의 무게,
B는 시료와 용기의 무게,
C는 계량된 시료를 적외선수분계를 이용하여 용제 또는 증발시켜 남은 고형분을 대기 중에 1분간 방냉한 후 측정한 시료와 용기의 무게
품명
평가항목
점도(cps) 고형분(%) 접착강도(Kgf/㎠)
실시예 1 90 15 14
실시예 2 85 14 13
실시예 3 65 7.5 12
비교예 1 70 4.5 10
비교예 2 85 13 14
비교예 3 80 9.2 12
상기 표 6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은 종래 순간접착제인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과 유사한 수준의 점도를 갖고 있는 반면, 고형분의 함량 및 접착강도가 종래에 비하여 유사하거나 더 향상된 효과를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 순간접착제 조성물은 종래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우수한 접착성 및 흐름성을 갖고 있으며, 종래에 비하여 인체에 유해한 물질의 방출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인체에 무해하므로 인조속눈썹, 가발 등 인체에 사용 또는 접촉되는 접착제의 용도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8)

  1.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중합억제제 0.001~10중량부, 가소제 1~4중량부, 증점제 1~10중량부, 첨가제 1~10중량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를 이용한 순간접착제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촉진제 1~3중량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를 이용한 순간접착제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첨가제 1~10중량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를 이용한 순간접착제 조성물.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는 포름알데히드와 말로네이트의 축합반응으로 중합체를 합성한 후, 진공하에서 가열 해중합하되, 중합체 합성시 물보다 밀도가 낮고 끓는점이 74~120℃인 용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를 이용한 순간접착제 조성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중합억제제는 산성 산화물, 페놀, 크레졸, C1-C4 치환 페놀, 크레졸 및 catechol, 그리고 acrylhydroxyamic acid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혹은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를 이용한 순간접착제 조성물.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디부틸(dibutyl), 디옥틸(dioctyl), 디도데실(didodecyl) 또는 디에톡시에틸(diethoxyethyl)로 치환된 프탈산계(phthalates) 화합물 또는 디부틸(dibutyl), 디옥틸(dioctyl), 디도데실(didodecyl) 또는 디에톡시에틸(diethoxyethyl)로 치환된 아디핀산계(adipates)화합물, 그리고 인산트리크레질(tricresyl phosphate), 글리세릴 트리아세트산(glyceryl triacetate) 및 메틸리놀리레이트(methyl ricinoleate)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혹은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를 이용한 순간접착제 조성물.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는 아크릴수지(Acryl Resin), 규소파우더(SiO2 Power), 메틸셀루로스(methyl celluse 등), polyoxyethylene, polyethylene glycol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혹은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를 이용한 순간접착제 조성물.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경화촉진제는 크라운 에테르류를 사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를 이용한 순간접착제 조성물.
KR1020110050217A 2011-05-26 2011-05-26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를 이용한 순간접착제 조성물 KR101336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217A KR101336775B1 (ko) 2011-05-26 2011-05-26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를 이용한 순간접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217A KR101336775B1 (ko) 2011-05-26 2011-05-26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를 이용한 순간접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802A true KR20120131802A (ko) 2012-12-05
KR101336775B1 KR101336775B1 (ko) 2013-12-04

Family

ID=47515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0217A KR101336775B1 (ko) 2011-05-26 2011-05-26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를 이용한 순간접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677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95664A1 (en) 2014-09-12 2016-03-16 Afinitica Technologies, S. L. Fast and universal adhesive
EP2995663A1 (en) 2014-09-12 2016-03-16 Afinitica Technologies, S. L. Fast and elastic adhesive
EP3124509A1 (en) 2015-07-31 2017-02-01 Afinitica Technologies, S. L. Fast light curing cyanoacrylate compositions
KR20220048462A (ko) 2020-10-12 2022-04-19 최준호 아르기닌을 포함하는 속눈썹 화장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12928A1 (en) 2012-11-30 2020-09-23 Sirrus, Inc. Composite compositions for electronics appl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0864A (en) * 1976-09-07 1979-07-10 Eastman Kodak Company Adhesive compositions comprising methyl allyl methylenemalonat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95664A1 (en) 2014-09-12 2016-03-16 Afinitica Technologies, S. L. Fast and universal adhesive
EP2995663A1 (en) 2014-09-12 2016-03-16 Afinitica Technologies, S. L. Fast and elastic adhesive
WO2016038514A1 (en) 2014-09-12 2016-03-17 Afinitica Technologies, S. L. Fast and elastic adhesive
US10626299B2 (en) 2014-09-12 2020-04-21 Afinitica Technologies, S.L. Fast and elastic adhesive
EP3124509A1 (en) 2015-07-31 2017-02-01 Afinitica Technologies, S. L. Fast light curing cyanoacrylate compositions
WO2017021785A1 (en) 2015-07-31 2017-02-09 Afinitica Technologies, S.L. Fast light curing cyanoacrylate compositions
US10626310B2 (en) 2015-07-31 2020-04-21 Afinitica Technologies, S.L. Fast light curing cyanoacrylate compositions
KR20220048462A (ko) 2020-10-12 2022-04-19 최준호 아르기닌을 포함하는 속눈썹 화장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6775B1 (ko) 201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6775B1 (ko)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를 이용한 순간접착제 조성물
JP2597480B2 (ja) 瞬間接着剤組成物
EP1807476B1 (en) Shock resistant cyanoacrylate compositions
US3527737A (en) Adhesive compositions
EP0279521A1 (en) Functionalised oxacalixarenes, their preparation and use in instant adhesive compositions
CN110088193B (zh) 组合物
CN102115656B (zh) 适用于构造目的的双组分粘合剂、其用途和由其获得的固化的结构粘接件
TW201529684A (zh) 包含低單體含量二異氰酸酯單加成物之多官能性胺甲酸酯(甲基)丙烯酸酯
WO2005067866A1 (ja) 歯科用または外科用接着剤およびそのための重合開始剤組成物
WO2016031829A1 (ja) 重合性単量体、硬化性組成物および樹脂部材
KR101336774B1 (ko) 디메틸 2-메틸렌말로네이트의 제조방법
EP3551693B1 (en) Tackifier for rubber compositions
JP2015182963A (ja) 歯科用重合性単量体、歯科用組成物、歯科用硬化性組成物および歯科用充填修復キット
JP2007126632A (ja) 2−シアノアクリレート系接着剤組成物
CN108504292B (zh) 一种橡胶制品的粘合方法
JP2013209598A (ja) ペースト状重合性組成物
JP2000073015A (ja) シアノアクリレート接着剤組成物
JP5649185B2 (ja) 2−シアノアクリレート接着剤組成物
RU2443733C1 (ru) Кремнийорганический эластичный формовочный состав
EP2424933B1 (en) Cyanoacrylate compositions
EP2599817A1 (fr) Composition liquide d&#39;étanchéité réticulable à la demande, son procédé de préparation et ses applications
JP2006160909A (ja) クロロプレンゴム接着剤組成物
JP2006241212A (ja) 間隙充填性接着剤組成物
MX2021014727A (es) Proceso para preparar poliester alifatico estabilizado y composiciones obtenidas con el mismo.
JP5000018B1 (ja) 2−シアノアクリレートの精製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