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1274A - 접철식 컨테이너 지지구조체를 구비한 컨테이너선 - Google Patents

접철식 컨테이너 지지구조체를 구비한 컨테이너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1274A
KR20120131274A KR1020110049327A KR20110049327A KR20120131274A KR 20120131274 A KR20120131274 A KR 20120131274A KR 1020110049327 A KR1020110049327 A KR 1020110049327A KR 20110049327 A KR20110049327 A KR 20110049327A KR 20120131274 A KR20120131274 A KR 20120131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horizontal
container
foldabl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9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승환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9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1274A/ko
Publication of KR20120131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12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4Contents retaining means
    • B65D90/0073Storage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63B2025/285Means for securing deck containers against unwanted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갑판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 이외에 갑판 외부공간을 활용하여 컨테이너 적재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접철식 컨테이너 지지구조체를 구비한 컨테이너선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컨테이너 지지구조체를 구비한 컨테이너선은 선체 외측의 양측부에 컨테이너 지지구조체가 구비되며, 상기 컨테이너 지지구조체는 접철식 링크구조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접철식 링크구조물은, 힌지부재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는 제 1 수평링크, 제 2 수평링크, 제 1 수직링크, 제 2 수직링크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수직링크는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과 연결되어, 상기 제 1 수직링크의 상하 이동에 따라 컨테이너 적재시 상기 접철식 링크구조물이 접철되거나 컨테이너를 적재하지 않는 경우에 제 1 수평링크와 제 2 수평링크가 경사지게 들어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철식 컨테이너 지지구조체를 구비한 컨테이너선{Container ship with collapsible supporter}
본 발명은 접철식 컨테이너 지지구조체를 구비한 컨테이너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갑판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 이외에 갑판 외부공간을 활용하여 컨테이너 적재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접철식 컨테이너 지지구조체를 구비한 컨테이너선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선을 이용한 물동량이 급증함에 따라, 컨테이너선의 대형화 및 고속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1972년 처음 3,000 TEU(Twenty Equivalent Units)급 컨테이너선이 등장한 이래 최근에는, 화물의 대량 수송 및 영업이익 극대화를 위해 12,000 TEU(Twenty Equivalent Units)급 컨테이너선이 선보이고 있다.
한편, 컨테이너선은 갑판(10)을 기준으로 갑판(10) 상부의 화물창과 갑판 하부의 화물창을 구비하며, 각각의 화물창에 컨테이너(20)가 적재된다(도 1 참조). 달리 표현하여, 종래의 컨테이너선은 갑판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에만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방식이다. 따라서, 컨테이너의 적재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갑판의 면적을 증가시켜 선박 자체의 크기를 대형화해야 한다.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갑판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 이외에 갑판 외부공간을 활용하여 컨테이너 적재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접철식 컨테이너 지지구조체를 구비한 컨테이너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컨테이너 지지구조체를 구비한 컨테이너선은 선체의 양측부에 컨테이너 지지구조체가 구비되며, 상기 컨테이너 지지구조체는 접철식 링크구조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접철식 링크구조물은, 힌지부재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는 제 1 수평링크, 제 2 수평링크, 제 1 수직링크, 제 2 수직링크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수직링크는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과 연결되어, 상기 제 1 수직링크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접철식 링크구조물이 접철되거나 사각형 형태로 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철식 링크구조물은 선박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반복,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접철식 링크구조물이 사각형 형태로 펴지는 경우, 상기 제 1 수평링크는 갑판과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유압 실린더는 수평지지부재에 지지되며, 상기 수평지지부재는 선체의 일측에 고정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제 2 수평링크에 힌지부재를 매개로 지지용 링크가 연결, 구비되며, 상기 지지용 링크는 상기 접철식 링크구조물이 사각형 형태로 펴지는 경우, 상기 제 2 수평링크를 지지한다.
상기 제 1 수평링크와 제 2 수평링크는 각각 한 쌍의 링크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수직링크와 제 2 수직링크는 상기 한 쌍의 링크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컨테이너 지지구조체를 구비한 컨테이너선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선체의 양측에 구비된 접철식 컨테이너 지지구조체의 의해 컨테이너의 추가 적재공간이 마련됨에 따라, 선박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컨테이너 적재능력을 확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지지구조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지지구조체 상에 컨테이너가 적재된 상태의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접철식 링크구조물의 접철 여부를 각각 나타낸 참고도.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선은 갑판 좌우 양단에 컨테이너 지지구조체를 구비시켜 컨테이너의 추가 적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컨테이너 적재능력을 배가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컨테이너 지지구조체를 구비한 컨테이너선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컨테이너 지지구조체를 구비한 컨테이너선은 기본적으로 갑판(10)을 구비하며, 상기 갑판(10)의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에는 각각 화물창이 마련되어 컨테이너(C)가 적재된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의 컨테이너선은 컨테이너 지지구조체(200)를 구비한다. 상기 컨테이너 지지구조체(2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갑판(10)의 좌우 양단에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되어 컨테이너의 추가 적재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컨테이너 지지구조체(200)는 일 실시예로 선체의 양측부에 고정, 구비시켜 갑판(10)의 연장선상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 지지구조체(200)는 선박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반복, 배치된다.
상기 컨테이너 지지구조체(200)는 접철식 링크구조물(2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철식 링크구조물(210)은 세부적으로 제 1 수평링크(211), 제 2 수평링크(212), 제 1 수직링크(213), 제 2 수직링크(214)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제 2 수평링크(211)(212) 및 제 1, 제 2 수직링크(213)(214)는 각 단이 서로 연결되어 일체형을 이루며, 각 연결부위에는 힌지부재(30)가 구비된다. 상기 힌지부재(30)는 90도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운동이 가능하며, 상기 힌지부재(30)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접철식 링크구조물(210)은 사각형 형태를 이루거나 일자(一字) 형태로 접철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수평링크(211) 및 제 2 수평링크(212)는 각각 한 쌍의 링크로 구성되며, 한 쌍의 링크 사이에 각각 상기 제 1 수직링크(213), 제 2 수직링크(214)가 구비되는 구조를 이룬다.
상기 제 1 수평링크(211)는 컨테이너(C)와 직접 접촉되는 것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 지지구조체(200)가 반복, 배치됨에 따라 상기 제 1 수평링크(211) 역시 선박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반복, 배치되며, 이웃하는 복수의 제 1 수평링크(211)가 컨테이너를 지지하는 형태를 이룬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웃하는 2개 이상의 제 1 수평링크(211)가 컨테이너의 받침대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1 수평링크(211)는 상기 갑판(10)과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갑판(10) 수평선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되도록 설계하여 컨테이너의 적재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 수평링크(211) 상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컨테이너가 적재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 1 수평링크(211)의 길이는 컨테이너의 폭을 고려하여 설계해야 한다. 예를 들어, 2개의 컨테이너를 적재할 경우 통상의 컨테이너 폭이 2.29m인 바, 적어도 4.5m 이상의 길이로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제 1 수평링크(211)들 사이의 거리도 컨테이너의 길이를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접철식 링크구조물(210)의 접철 여부는 유압 실린더(220)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수직링크(213)는 상기 유압 실린더(220)의 피스톤(221)과 연결된다. 즉, 상기 제 1 수직링크(213)와 피스톤(221)은 일체형으로 연결된 구조를 이루며, 상기 유압 실린더(220)의 동작에 따라 상기 피스톤(221) 및 제 1 수직링크(213)는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유압 실린더(22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 1 수직링크(213)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링크 연결부위의 힌지부재(30)가 동작하여 상기 접철식 링크구조물(210)이 접철된다(도 6a 참조). 또한, 상기 제 1 수직링크(213)가 상부 방향으로 동작되면 상기 접철식 링크구조물(210)은 사각형 형태로 펴지게 된다(도 6b 참조).
상기 유압 실린더(220)는 수평지지부재(23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수평지지부재(230)는 선체 일측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접철식 링크구조물(210)이 사각형 형태로 펴졌을 때 상기 접철식 링크구조물(210)의 지지 강도를 높이기 위해 지지용 링크(2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용 링크(215)는 상기 제 2 수평링크(212)와 힌지부재(30)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지지용 링크(215)의 일단은 수직지지부재(222)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컨테이너 지지구조체를 구비한 컨테이너선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에 대비하여, 기본적으로 접철식 링크구조물을 이용하는 점에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동일하다. 다만, 제 1 실시예의 경우, 제 1 수직링크가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과 연결되어 제 1 수직링크의 상하운동에 따라 접철식 링크구조물이 접철되는 방식임에 반해, 제 2 실시예는 지지용 링크가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과 연결되어 상기 지지용 링크의 운동에 따라 접철식 링크구조물이 접철되는 방식을 택한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용 링크(215)는 유압 실린더(220)의 피스톤(221)과 연결된다. 즉, 상기 지지용 링크(215)와 피스톤(221)은 일체형으로 연결된 구조를 이루며, 상기 유압 실린더(220)의 동작에 따라 상기 피스톤(221)과 지지용 링크(215)는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유압 실린더(220)의 동작에 의해 지지용 링크(215)가 수축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링크 연결부위의 힌지부재(30)가 동작하여 상기 접철식 링크구조물(210)이 접철된다(도 8a 참조). 또한, 상기 지지용 링크(215)가 확장되는 방향으로 동작되면 상기 접철식 링크구조물(210)은 사각형 형태로 펴지게 된다(도 8b 참조).
상기 유압 실린더(220)는 선체 또는 고정장치의 일측에 고정, 지지되며, 접철식 링크구조물(210)의 접철에 따른 회전 이동을 위해 일단에 힌지장치(240)가 구비된다.
10 : 갑판 30 : 힌지부재
200 : 컨테이너 지지구조체 210 : 접철식 링크구조물
211 : 제 1 수평링크 212 : 제 2 수평링크
213 : 제 1 수직링크 214 : 제 2 수직링크
215 : 지지용 링크 220 : 유압 실린더
221 : 피스톤 222 : 수직지지부재
230 : 수평지지부재

Claims (7)

  1. 선체 외측의 양측부에 컨테이너 지지구조체가 구비되며,
    상기 컨테이너 지지구조체는 접철식 링크구조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접철식 링크구조물은, 힌지부재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는 제 1 수평링크, 제 2 수평링크, 제 1 수직링크, 제 2 수직링크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수직링크는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의 일부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수직링크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접철식 링크구조물의 제 1 수평링크와 제 2 수평링크가 수평 형태로 되거나 경사진 형태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컨테이너 지지구조체를 구비한 컨테이너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식 링크구조물은 선박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반복,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컨테이너 지지구조체를 구비한 컨테이너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식 링크구조물이 직사각형 형태로 펴지는 경우, 상기 제 1 수평링크는 갑판과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컨테이너 지지구조체를 구비한 컨테이너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실린더는 수평지지부재에 지지되며, 상기 수평지지부재는 선체의 일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컨테이너 지지구조체를 구비한 컨테이너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평링크에 힌지부재를 매개로 지지용 링크가 연결, 구비되며, 상기 지지용 링크는 상기 제 2 수평링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컨테이너 지지구조체를 구비한 컨테이너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평링크와 제 2 수평링크는 각각 한 쌍의 링크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수직링크와 제 2 수직링크는 상기 한 쌍의 링크 틈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컨테이너 지지구조체를 구비한 컨테이너선.
  7. 선체의 양측부에 컨테이너 지지구조체가 구비되며,
    상기 컨테이너 지지구조체는 접철식 링크구조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접철식 링크구조물은, 힌지부재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는 제 1 수평링크, 제 2 수평링크, 제 1 수직링크, 제 2 수직링크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수평링크에 힌지부재를 매개로 지지용 링크가 연결, 구비되며,
    상기 지지용 링크는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용 링크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접철식 링크구조물의 제 1 수평링크와 제 2 수평링크가 수평 형태로 되거나 경사진 형태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컨테이너 지지구조체를 구비한 컨테이너선.
KR1020110049327A 2011-05-25 2011-05-25 접철식 컨테이너 지지구조체를 구비한 컨테이너선 KR201201312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327A KR20120131274A (ko) 2011-05-25 2011-05-25 접철식 컨테이너 지지구조체를 구비한 컨테이너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327A KR20120131274A (ko) 2011-05-25 2011-05-25 접철식 컨테이너 지지구조체를 구비한 컨테이너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274A true KR20120131274A (ko) 2012-12-05

Family

ID=47515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9327A KR20120131274A (ko) 2011-05-25 2011-05-25 접철식 컨테이너 지지구조체를 구비한 컨테이너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12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50583A (zh) * 2021-01-26 2021-03-26 烟台智汇港科技创新有限公司 一种用于提高货运量的船用运输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50583A (zh) * 2021-01-26 2021-03-26 烟台智汇港科技创新有限公司 一种用于提高货运量的船用运输方法
CN112550583B (zh) * 2021-01-26 2021-11-05 重庆轮兴商贸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提高货运量的船用运输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L2009992A (en) Collapsible transport container.
CN105164044A (zh) 格构式桅杆元件、包括至少一个该类型的格构式桅杆元件的格构式主臂和包括至少一个该类型的格构式主臂的起重机
CA2127720A1 (en) A bridge crane
RU2667233C1 (ru) Композитный паллет
CN102359277A (zh) 一种臂架装置及工程机械
KR20120131274A (ko) 접철식 컨테이너 지지구조체를 구비한 컨테이너선
CN103417237B (zh) 架台诊视床系统
CN105263796A (zh) 用于运输例如卷材的圆柱形货物的集装箱样货物运输单元
ITTO20130111A1 (it) Isolatore antisismico.
CN107758044A (zh) 预制构件用运输架
KR20210072891A (ko) 래싱 브리지
KR101434434B1 (ko) 모듈 구조체
CN208134879U (zh) 运输托盘
JP6476717B2 (ja) ラック装置
KR100383060B1 (ko) 절첩식 콘테이너 하우스
KR101348628B1 (ko) 컨테이너 가이드용 구조물
KR20110009285A (ko) 양현 하역 선박
RU162239U1 (ru) Металлический каркас для складирования продукции
JP6278821B2 (ja) ラック制振装置の支持構造
CN208731716U (zh) 折叠式集装箱
CN211582445U (zh) 一种折叠式区域仓库
CN215852691U (zh) 快拆式支撑架
KR102099017B1 (ko) 접이식 사다리 조립체
SU1232578A1 (ru) Складной стоечный поддон
CN106629149A (zh) 吊装受限处所用翻转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