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1214A - 중계부들을 배치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랜덤 액세스 채널 절차 - Google Patents

중계부들을 배치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랜덤 액세스 채널 절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1214A
KR20120131214A KR1020127027089A KR20127027089A KR20120131214A KR 20120131214 A KR20120131214 A KR 20120131214A KR 1020127027089 A KR1020127027089 A KR 1020127027089A KR 20127027089 A KR20127027089 A KR 20127027089A KR 20120131214 A KR20120131214 A KR 20120131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link
bandwidth
band edge
edge portion
user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7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2798B1 (ko
Inventor
팅팡 지
피터 가알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20131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1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2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2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6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a dedicated channel for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5/00Suppression or limitation of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블랭크 서브프레임 링크 설계는, 폐쇄형 가입자 그룹(CSG) 셀 간섭 완화를 위해 명시적이거나 유도된 감소된 대역폭을 사용하며, 허용되지 않은 사용자 장비(UE)가 동일한 캐리어 상에서 CSG 셀들과 공존할 수 있게 한다. 명시적인 UL 블랭크 서브프레임 정의를 통하거나 DL 블랭크 서브프레임 정의로부터 유도되어, UL 상에서 허용되지 않은 UE 및 허용된 UE 송신들을 직교시키도록 UL 블랭크 서브프레임들을 특정할 수 있다. 스케줄링은 데이터 송신들을 직교시킬 수 있다. 업링크 대역폭을 임시적으로 감소시키는 펨토셀은 허용되지 않은 UE로부터의 업링크 제어 채널 잔류 간섭을 완화시킬 수 있다. 중계부는 가능한 많이 비-블랭크 UL 서브프레임들에 부합하도록 RACH 경우를 구성한다. RACH 경우의 UE 정보는 RACH를 시작하고 절차를 핸드오버하는데 충분하다. 10ms 주기를 갖는 RACH 경우들은, 모든 홀수/짝수 업링크 HARQ 인터레이스들을 중계부에 할당함으로써 지원된다. 20ms 주기를 갖는 RACH 경우들은 1/4 UL HARQ 인터레이스들 중 임의의 것을 중계부에 할당함으로써 지원된다.

Description

중계부들을 배치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랜덤 액세스 채널 절차{RANDOM ACCESS CHANEL PROCED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DEPLOYING RELAYS}
본 개시물은 일반적으로 통신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스케줄링하기 위한 것에 관한 것이다.
본 특허출원은, 발명의 명칭이 "BLANK SUBFRAME UPLINK DESIGN" 으로 2008년 12월 1일자로 출원되고, 본 특허출원의 양도인에게 양도되었으며, 여기에 참조로서 명백히 포함되는 가출원 제 61/118,891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음성,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타입의 통신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들 시스템들은, 이용가능한 시스템 리소스들(예를 들어, 대역폭 및 송신 전력)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액세스 시스템들일 수도 있다. 그러한 다중 액세스 시스템들의 예들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시스템들,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시스템들,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시스템들, 및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다중 액세스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무선 단말들에 대한 통신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각각의 단말은,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들 상의 송신물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과 통신한다. 순방향 링크(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들로부터 단말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역방향 링크(또는 업링크)는 단말들로부터 기지국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이러한 통신 링크는 단일-입력-단일-출력(SISO), 다중-입력-단일-출력(MISO), 단일-입력-다중-출력(SIMO) 또는 다중-입력-다중-출력(MIMO) 시스템을 통해 확립될 수도 있다.
유니버셜 이동 원격통신 시스템(UMTS)는 3세대(3G) 셀 전화 기술들 중 하나이다. UMTS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약어인 UTRAN은, UMTS 코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베이스 노드(노드 B)들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들에 대한 집합적인 용어이다. 이러한 통신 네트워크는, 스위칭된 실시간 회로로부터 스위칭된 IP 기반 패킷으로 많은 트래픽 타입들을 운반할 수 있다. UTRAN은 UE(사용자 장비)와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접속을 허용한다. UTRAN은, 노드 B들 및 RNC들로 지칭되는 기지국들을 포함한다. RNC는 하나 이상의 노드 B들에 대한 제어 기능들을 제공한다. 통상적인 구현들이 다수의 노드 B들을 서빙하는 중앙국(central office)에 위치된 별개의 RNC를 갖지만, 노드 B 및 RNC는 동일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그들이 물리적으로 분리될 필요가 없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Iub로서 알려진 그들 사이의 논리 인터페이스가 존재한다. RNC 및 그의 대응하는 노드 B들은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RNS)으로 지칭된다. UTRAN에 2개 이상의 RNS가 존재할 수 있다.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 LTE (롱텀 에볼루션)은, 미래의 요건들에 대처하기 위하여 UMTS 이동 전화 표준을 개선시키기 위한 3GPP 내의 프로젝트에 주어진 명칭이다. 목적들은 효율도를 개선시키는 것, 비용을 낮추는 것, 서비스를 개선시키는 것, 새로운 스펙트럼 기회를 이용하는 것, 및 다른 오픈(open) 표준들과의 더 양호한 통합을 포함한다. LTE 시스템은, 규격들의 진화된 UTRA(EUTRA) 및 진화된 UTRAN(EUTRAN) 시리즈들에 설명되어 있다. 개선된 통신 서비스들 및 증가된 효율도를 제공하기 위해, 셀룰러 통신 시스템들은 계속 개발되고 향상된다. 현재,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 표준 보디(body)는 LTE로서 알려진 유니버셜 이동 원격통신 시스템(UMTS)에 대한 개선점들을 표준화하는 프로세스에 있다.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HSDPA) 및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HSUPA)와 같은 진보된 통신 서비스들과 유사하게, LTE는 무선 인터페이스 상의 사용자 트래픽 및 제어 데이터에 할당된 통신 리소스들의 매우 고속의 스케줄링을 사용한다. 상세하게, 사용자 트래픽에 대한 스케줄링은 개별 서빙 기지국(eNode B)에서 수행될 수도 있으며, 그에 의해, 스케줄링이 개별 사용자 장비(UE)들에 대한 전파 채널들의 특징에서의 변화들을 따를 수 있을 만큼 신속하게 한다. 이것은, 유리한 전파 조건들을 현재 경험하는 UE들에 대해 데이터가 우세하게 스케줄링되도록 UE들에 대한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데 사용된다. 고속 스케줄링은,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로서 알려진 물리 채널을 통해 송신된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 트래픽, 및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로서 알려진 물리 채널을 통해 송신된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트래픽 양자에 대해 수행될 수도 있다.
LTE에서, 1과 10개의 서브-프레임들 사이의 통상적인 스케줄링 간격(즉, 얼마나 자주 스케줄링 알고리즘이 구동하는지)을 갖는 1ms만의 지속기간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에서 리소스 할당이 변경될 수 있다. 하나의 프레임은 10개의 그러한 연속하는 서브-프레임들로 이루어진다. PUSCH 및 PDSCH는 공유 채널들이며, 여기서, 스케줄링은 현재의 전파 조건들 뿐만 아니라 UE들의 리소스 요건에 의존한다. 스케줄링을 간략화하고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 LTE는 지속적인 스케줄링을 허용하며, 여기서, PUSCH 또는 PDSCH에 대한 리소스 할당은 복수의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행해질 수도 있다.
기지국에서 효율적인 고속 스케줄링을 제공하기 위해, UE는 스케줄링 기지국에 업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해야 한다. 상세하게, UE는, UE에 대한 현재 전파 조건들을 나타내는 채널 품질 표시자(CQI)를 송신한다. 수신 신호의 측정치들에 기초하여, UE는, 기지국으로부터 UE로의 무선 인터페이스 통신 채널에 의해 지원가능하다고 고려되는 데이터 레이트 및 변조 방식을 나타낼 수도 있거나, 신호 대 잡음 플러스 간섭비의 측정치일 수도 있는 CQI를 생성한다. 다른 예로서, LTE는 (자동 반복 요청(ARQ) 또는 하이브리드 ARQ(HARQ)로서 지칭되는) 재송신 방식을 사용하고, UE는, 개별 데이터 패킷들이 재송신될 필요가 있는지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업링크 확인응답(ACK) 또는 부정-확인응답(NACK) 메시지들의 형태로 ARQ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 다른 예로서, LTE는 기지국이 적응적 안테나 기술을 이용하게 하고, UE는 개별 안테나 엘리먼트들에 대하여 UE에 의해 권장된 안테나 가중치들을 시그널링하는데 사용되는 프리코딩 매트릭스 인덱스(PMI)를 리포팅할 수도 있다.
업링크 제어 정보는 물리 업링크 채널들을 사용하여 송신된다. 상세하게, UE가 PUSCH을 통해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 트래픽을 송신하는 서브-프레임들에서, 제어 데이터는, 제어 정보가 PUSCH를 사용하여 기지국에 송신되도록 송신물 내에 삽입된다. 그러나,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 트래픽이 PUSCH를 통해 송신되지 않는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UE는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하여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로서 알려진 물리 업링크 채널을 사용한다. 따라서, 제어 정보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물리 무선 인터페이스 채널은 상이한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변할 수도 있다.
다음은 개시된 양상들 중 몇몇 양상들의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간략화된 요약을 제공한다. 이러한 요약은 넓은 개관이 아니며, 키 또는 중요한 엘리먼트들을 식별하거나 그러한 양상들의 범위를 서술하도록 의도되지는 않는다. 그의 목적은, 아래에 제공되는 더 상세한 설명에 대한 전주부로서 간략화된 형태로 설명된 특성들의 몇몇 개념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에서, 다음의 액트들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이용함으로써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완화를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중계부에 의해 액세스 노드와 비-동시 수신 및 송신을 수행하는 하프 듀플렉스(half duplex) 스케줄이 결정된다. 하프 듀플렉스 스케줄에 부합하는 랜덤 액세스 채널 경우(occasion)를 갖는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 구성이 결정된다.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중계부를 통해 액세스 노드와 랜덤 액세스 채널 절차가 수행된다.
다른 양상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완화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이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컴포넌트들을 구현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을 저장하며, 코드들의 제 1 세트는 중계부에 의해 액세스 노드와 비-동시 수신 및 송신을 수행하는 하프 듀플렉스 스케줄을 결정한다. 코드들의 제 2 세트는, 하프 듀플렉스 스케줄에 부합하는 랜덤 액세스 채널 경우를 갖는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 구성을 결정한다. 코드들의 제 3 세트는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중계부를 통해 액세스 노드와 랜덤 액세스 채널 절차를 수행한다.
부가적인 양상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완화를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컴포넌트들을 구현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을 저장하며, 중계부에 의해 액세스 노드와 비-동시 수신 및 송신을 수행하는 하프 듀플렉스 스케줄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하프 듀플렉스 스케줄에 부합하는 랜덤 액세스 채널 경우를 갖는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 구성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중계부를 통해 액세스 노드와 랜덤 액세스 채널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추가적인 양상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완화를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컴퓨킹 플랫폼은, 중계부에 의해 액세스 노드와 비-동시 수신 및 송신을 수행하는 하프 듀플렉스 스케줄을 결정하고, 하프 듀플렉스 스케줄에 부합하는 랜덤 액세스 채널 경우를 갖는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 구성을 결정한다. 송신기 및 수신기는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중계부를 통해 액세스 노드와 랜덤 액세스 채널 절차를 수행한다.
또 다른 일 양상에서, 다음의 액트들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이용함으로써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완화를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사용자 장비는 제 1 대역폭을 갖는 업링크를 사용하도록 스케줄링된다. 간섭 신호를 포함하는 제 1 대역폭의 대역 에지 부분이 정의된다. 대역 에지 부분을 회피하는 업링크 대역폭의 감소된 부분이 사용자 장비에 스케줄링된다. 업링크 대역폭의 감소된 부분은 대역 에지 부분을 필터링 아웃(filter out)함으로써 수신된다.
또 다른 양상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완화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이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컴포넌트들을 구현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을 포함하며, 코드들의 제 1 세트는 제 1 대역폭을 갖는 업링크를 사용하도록 사용자 장비를 스케줄링한다. 코드들의 제 2 세트는 간섭 신호를 포함하는 제 1 대역폭의 대역 에지 부분을 정의한다. 코드들의 제 3 세트는 대역 에지 부분을 회피하는 업링크 대역폭의 감소된 부분을 사용자 장비에 스케줄링한다. 코드들의 제 4 세트는 대역 에지 부분을 필터링 아웃함으로써 업링크 대역폭의 감소된 부분을 수신한다.
또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완화를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컴포넌트들을 구현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을 저장하며, 제 1 대역폭을 갖는 업링크를 사용하도록 사용자 장비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간섭 신호를 포함하는 제 1 대역폭의 대역 에지 부분을 정의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대역 에지 부분을 회피하는 업링크 대역폭의 감소된 부분을 사용자 장비에 스케줄링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대역 에지 부분을 필터링 아웃함으로써 업링크 대역폭의 감소된 부분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또 다른 추가적인 양상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완화를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스케줄러는 제 1 대역폭을 갖는 업링크를 사용하도록 송신기를 통해 사용자 장비를 스케줄링한다. 컴퓨터 플랫폼은 간섭 신호를 포함하는 제 1 대역폭의 대역 에지 부분을 정의한다. 스케줄러는 대역 에지 부분을 회피하는 업링크 대역폭의 감소된 부분을 사용자 장비에 송신기를 통해 추가적으로 스케줄링한다. 수신기는 대역 에지 부분을 필터링 아웃함으로써 업링크 대역폭의 감소된 부분을 수신한다.
전술한 및 관련 목적들의 달성을 위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은 완전하게 후술되고 특히 청구항들에서 지적된 특성들을 포함한다. 다음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은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히 개시하며, 양상들의 원리들이 이용할 수도 있는 다양한 방식들 중 몇몇만을 나타낸다. 다른 이점들 및 신규한 특성들은, 도면들과 함께 고려될 경우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며, 개시된 양상들은 그러한 모든 양상들 및 그들이 등가물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본 개시물의 특성, 속성, 및 이점들은 도면과 함께 취해졌을 때 아래에 개시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해질 것이며,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명세서 전반에 걸쳐 대응적으로 식별된다.
도 1a는 업링크 대역폭을 감소시킴으로써 이종의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 완화를 수행하는 노드를 도시한다.
도 1b는 하프-듀플렉스 송신 및 수신을 사용하는 중계부를 통한 노드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사용자 장비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다수의 사용자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3은 매크로 셀들, 펨토 셀들 및 피코 셀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4는 하나 이상의 펨토 노드들이 네트워크 환경 내에 배치되는 통신 시스템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5는, 수 개의 추적 영역들, 라우팅 영역들 또는 위치 영역들이 정의되는 커버리지 맵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6은 다중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7은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완화를 위한 방법 또는 동작들의 시퀀스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이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완화를 위한 방법 또는 동작들의 시퀀스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사용자 장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완섭 완화를 위한 전기 컴포넌트들의 논리 그룹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노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되는, 이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완화를 위한 전기 컴포넌트들의 논리 그룹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완화를 위한 수단을 갖는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이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완화를 위한 수단을 갖는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다음으로, 다양한 양상들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다음의 설명에서, 설명의 목적들을 위해, 다수의 특정한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개시된다. 그러나, 다양한 양상들이 이들 특정한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도 있음은 명백할 수도 있다. 다른 예시들에서, 주지된 구조들 및 디바이스들은 이들 양상들을 설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통신 시스템(100)에서, 폐쇄형 가입 그룹(CSG) 셀 (102)은 감소된 업링크 대역폭에 의한 간섭 완화를 제공한다. 특히, 그러한 CSG 배치들에서, 다운링크(DL) 블랭크 서브프레임들(103)은 허용되지 않은 사용자 장비(UE)(104)가 동일한 다운링크 캐리어(108)상에서 CSG 셀들(102)에 대해, 허용된 UE(106)와 공존할 수 있게 한다.
업링크(UL) 블랭크 서브프레임들(110)은, 허용되지 않은 UE(104) 및 허용된 UE(106)에 의해 UL(112)을 통한 송신들을 직교시키기 위해 특정된다. 예시적인 양상에서, 이것은, 명시적인 UL 블랭크 서브프레임 정의(114)를 통해 행해질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는 DL 블랭크 서브프레임 정의(116)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클린(clean) UL 블랭크 서브프레임들이 정의되지 않은 경우에서, CSG 셀(102)의 노드(120)(예를 들어, 펨토 셀, 홈 진화된 베이스 노드(HeNB) 등)의 스케줄러(118)는, 데이터 송신들을 직교시키기 위해, 허용된 UE(106)를 스케줄링한다. 그러나, 허용되지 않은 UE(104)로부터의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잔류 간섭(122)은 매우 높을 수 있고, HeNB(120)에 의해 폐쇄형으로 디센스(desense)할 수 있다.
(124)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CSG 셀(102)은 UL 대역폭(BW)을 일시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이러한 상황을 회피할 수 있다. 광고된 시스템 BW는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지만, 허용된 UE(106)에 의한 PUCCH(126)는, 일단 높은 간섭(128)이 검출되면, 내부로 추가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펨토셀(120)의 경우에서 몇몇 접속된 UE들(106)로, 이것이 작동할 것이다.
UL 대역폭을 감소시키기 위한 일 구현은, 대역 에지 간섭을 배제하기 위해 아날로그 필터(130), 고속 푸리에 변환(FFT)(134)의 사이즈(132) 등을 변경시키는 것이다. 상이한 대안적인 구현들이 존재할 수 있다. FFT 사이즈는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지만, 몇몇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필터링(즉, 허용하는 A/D 양자화)이 존재할 필요가 있다. 예시적인 프로토타입에서, 이것은 임의의 실제 하드웨어(HW) 변경없이 필터 계수들을 간단히 리로딩(reload)하여 행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양상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완화를 위한 CSG 셀(102)과 같은 장치가 제공된다. 스케줄러(118)는 제 1 대역폭을 갖는 업링크(112)를 사용하도록 송신기(TX)(136)를 통해 UE(106)를 스케줄링한다. 컴퓨팅 플랫폼(138)은, 간섭 신호를 포함하는 제 1 대역폭의 대역 에지 부분을 정의한다. 스케줄러(118)는 대역 에지 부분을 회피하는 업링크 대역폭의 감소된 부분을 UE(106)에 송신기(136)를 통해 추가적으로 스케줄링한다. 수신기(RX)(140)는 대역 에지 부분을 필터링 아웃함으로써 업링크 대역폭의 감소된 부분을 수신한다.
도 1b에서, 네트워크(150)는, 랜덤 액세스 채널(RACH) 지원에 대한 UL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프로세스 할당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UE(152)로서 도시되어 있는 장치는, 각각, 다운링크(160) 및 업링크(162)를 통해 액세스 노드(158)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수신기(RX)(154) 및 송신기(TX)(156)를 갖는다. 다운링크(160) 및 업링크(162) 중 적어도 하나가 중계부(164)에 의존한다. UE(152)는, 중계부(164)에 의해 액세스 노드(158)와 비-동시 수신 및 송신을 수행하는 하프 듀플렉스 스케줄(168)을 결정하는 컴퓨팅 플랫폼(166)을 갖는다. 컴퓨팅 플랫폼(166)은 하프 듀플렉스 스케줄(168)에 부합하는 랜덤 액세스 채널 경우를 갖는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구성을 추가적으로 결정한다. 그에 의해, UE(152)는,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중계부(164)를 통해 액세스 노드(158)에 의하여 랜덤 액세스 채널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송신기(156) 및 수신기(154)를 이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양상에서, UL 블랭크 서브프레임 구성의 지식없이, 중계부는 가능한 많이 비-블랭크 UL 서브프레임들에 부합하도록 RACH 경우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설계로, RACH 경우의 지식은 UE가 RACH 및 핸드오버 절차를 시작하는데 충분하다. RACH 경우가 아래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10 및 20ms 주기를 가짐을 주목한다.
10ms 주기는 모든 짝수/홀수 UL HARQ 인터레이스들을 중계부에 할당함으로써 지원될 수 있다. RACH 기회가 모든 UL 인터페이스들에 걸쳐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6, 7, 9와 같이) 모든 RACH 구성이 지원될 수는 없다. 이들 경우들에서, RACH 경우들에 대한 몇몇 펑처링(puncture)이 존재할 것이다. 주석이 달린 엔트리들이 DL (0, 4, 5, 9) 서브프레임들에 매핑하는 UL 서브프레임들 (4, 8, 9, 3)에 대응함을 주목하며, 이는 액세스 링크 상에서 항상 이용가능하다. 주석이 달린 엔트리들은, PRACH(Physical Research Access Channel) 구성 인덱스 1, 4, 8 (서브프레임 넘버들 3, 8); 인덱스 10 (서브프레임 8), 인덱스 11 (서브프레임 3, 9), 인덱스 12 (서브프레임 4), 인덱스 14 (서브프레임 4), 및 인덱스들 15, 17 및 20에 대한 것이다. 일 예로서, 구성 ("Config") 12는, 짝수 서브프레임들에 매핑하는 4개의 HARQ 프로세스들을 액세스 링크에 할당함으로써 지원될 수 있다.
20ms 주기는 1/4 UL HARQ 인터레이스들 중 임의의 것을 중계부에 할당함으로써 지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onfig 0은, 서브프레임들 {1, 9, 17, 25, 33} 및 {5, 13, 21, 29, 37}을 포함하는 2개의 UL HARQ 프로세스들을 액세스 링크에 할당함으로써 지원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모든 RACH 경우들은 액세스 링크 UL 서브프레임들 상에서 발생한다.
표 1에서, 예시적인 프레임 구조 타입 1 랜덤 액세스 구성이 프리앰블 포맷 0-3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Figure pat00001
몇몇 양상들에서, 여기에서의 교시들은, 매크로 스케일 커버리지 (예를 들어, 3G 또는 4G와 같은 큰 영역의 셀룰러 네트워크로서, 통상적으로는 매크로셀 네트워크로 지칭됨) 및 더 작은 스케일의 커버리지 (예를 들어, 거주지-기반 또는 빌딩-기반 네트워크 환경)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이용될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AT")이 그러한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하므로, 액세스 단말은 매크로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액세스 노드("AN")들에 의해 특정한 위치들에서 서빙될 수도 있지만, 액세스 단말은 더 작은 스케일의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액세스 노드들에 의해 다른 위치들에서 서빙될 수도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더 작은 커버리지 노드들은, (예를 들어, 더 강인한 사용자 경험을 위해) 증분 용량 증가, 빌딩내부 커버리지, 및 상이한 서비스들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의 설명에서, 비교적 큰 영역에 걸친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노드는 매크로 노드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비교적 작은 영역(예를 들어, 거주지)에 걸친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노드는 펨토 노드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매크로 영역보다는 작고 펨토 영역보다는 큰 영역에 걸친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노드는 (예를 들어, 상업 빌딩 내에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피코 노드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매크로 노드, 펨토 노드, 또는 피코 노드와 관련된 셀은, 각각, 매크로셀, 펨토셀, 또는 피코셀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각각의 셀은 하나 이상의 섹터들과 추가적으로 관련(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섹터들로 분할)될 수도 있다.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에서, 다른 용어가 매크로 노드, 펨토 노드, 또는 피코 노드를 지칭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매크로 노드는 액세스 노드,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e노드B, 매크로 셀 등으로서 구성되거나 지칭될 수도 있다. 또한, 펨토 노드는 홈 노드B, 홈 e노드B, 액세스 포인트 기지국, 펨토셀 등으로서 구성되거나 지칭될 수도 있다.
도 2는 다수의 사용자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시스템(200)을 도시하며, 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본 개시물의 교시들이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200)은, 예를 들어, 매크로 셀들(202a 내지 202g)과 같은 다수의 셀들(202)에 대한 통신을 제공하며, 각각의 셀은 대응하는 액세스 노드(204) (예를 들어, 액세스 노드들(204a 내지 204g)에 의해 서빙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단말들(206)(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들(206a 내지 206l)은 시간에 걸쳐 시스템 전반의 다양한 위치들에 분산되어 있을 수도 있다. 각각의 액세스 단말(206)은,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206)이 활성인지 여부 및 그것이 소프트 핸드오프에 있는지 여부에 의존하여, 주어진 순간에 순방향 링크("FL") 및/또는 역방향 링크("RL")를 통해 하나 이상의 액세스 노드들(204)과 통신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200)은 큰 지리적 영역에 걸쳐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매크로 셀들(202a 내지 202g)은 이웃한 수 개의 블록들을 커버링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기지국들(310a, 310b 및 310c)은, 각각, 매크로 셀들(302a, 302b 및 302c)에 대한 매크로 기지국들일 수도 있다. 기지국(310x)은 단말(320x)과 통신하는 피코셀(302x)에 대한 피코 기지국일 수도 있다. 기지국(310y)은 단말(320y)과 통신하는 펨토셀(302y)에 대한 펨토 기지국일 수도 있다. 간략화를 위해 도 3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매크로 셀들은 에지들에서 중첩할 수도 있다. 피코 및 펨토셀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크로 셀들 내에 위치될 수도 있거나, 매크로 셀들 및/또는 다른 셀들과 중첩할 수도 있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300)는 중계국들, 예를 들어, 단말(320z)과 통신하는 중계국(310z)을 포함할 수도 있다. 중계국은, 업스트림 스테이션으로부터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정보의 송신을 수신하고 다운스트림 스테이션으로 데이터 및/도는 다른 정보의 송신을 전송하는 스테이션이다. 업스트림 스테이션은 기지국, 또 다른 중계국, 또는 단말일 수도 있다. 다운스트림 스테이션은 단말, 또 다른 중계국, 또는 기지국일 수도 있다. 또한, 중계국은 다른 단말들에 대한 송신들을 중계하는 단말일 수도 있다. 중계국은 낮은 재사용 프리앰블들을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중계국은 피코 기지국과 유사한 방식으로 낮은 재사용 프리앰블을 송신할 수도 있고, 단말과 유사한 방식으로 낮은 재사용 프리앰블들을 수신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330)는 기지국들의 세트에 커플링할 수도 있으며, 이들 기지국들에 대한 조정 및 제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330)는 단일 네트워크 엔티티 또는 네트워크 엔티티들의 집합일 수도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330)는 백홀을 통해 기지국들(310)과 통신할 수도 있다. 백홀 네트워크 통신(334)은, 그러한 분산된 아키텍처를 이용하는 기지국들(310a 내지 310c) 사이에서 포인트-투-포인트 통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들(310a 내지 310c)은, 예를 들어, 무선 또는 유선 백홀을 통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서로 통신할 수도 있다.
무선 네트워크(300)는, (도 3에 도시되지 않은) 매크로 기지국들만을 포함하는 동종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300)는, 상이한 타입의 기지국들, 예를 들어, 매크로 기지국들, 피코 기지국들, 홈 기지국들, 중계국들 등을 포함하는 이종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이들 상이한 타입의 기지국들은 상이한 송신 전력 레벨들, 상이한 커버리지 영역들, 및 무선 네트워크(300)에서 간섭에 대한 상이한 영향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매크로 기지국들은 높은 송신 전력 레벨(예를 들어, 20와트)을 가질 수도 있지만, 피코 및 펨토 기지국들은 낮은 송신 전력 레벨(예를 들어, 9와트)을 가질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된 기술들은 동종 및 이종 네트워크들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들(320)은 무선 네트워크(300) 전반에 걸쳐 분산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각각의 단말은 고정형 또는 이동형일 수도 있다. 또한, 단말은 액세스 단말(AT), 이동국(MS), 사용자 장비(UE), 가입자 유닛, 스테이션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단말은 셀 전화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디바이스, 핸드헬드 디바이스, 랩탑 컴퓨터, 코드리스(cordless) 전화기,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등일 수도 있다. 단말은 다운링크 및 업링크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할 수도 있다. 다운링크(또는 순방향 링크)는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업링크(또는 역방향 링크)는 단말로부터 기지국으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단말은 매크로 기지국들, 피코 기지국들, 펨토 기지국들, 및/또는 다른 타입의 기지국들과 통신할 수 있을 수도 있다. 도 3에서, 이중 화살표들을 갖는 실선은, 다운링크 및/도는 업링크를 통해 단말을 서빙하도록 지정된 기지국인 서빙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원하는 송신들을 나타낸다. 이중 화살표들을 갖는 파선은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간섭 송신들을 나타낸다. 간섭 기지국은, 다운링크 상에서 단말에 대한 간섭을 초래하고/하거나 업링크 상에서 단말로부터의 간섭을 관측하는 기지국이다.
무선 네트워크(300)는 동기 또는 비동기 동작을 지원할 수도 있다. 동기 동작에 대해, 기지국들은 동일한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도 있고, 상이한 기지국들로부터의 송신들은 시간으로 정렬될 수도 있다. 비동기 동작에 대해, 기지국들은 상이한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도 있으며, 상이한 기지국들로부터의 송신들은 시간으로 정렬되지 않을 수도 있다. 비동기 동작은,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와 같은 동기화 소스에 대한 액세스를 갖지 않을 수도 있는 피코 및 펨토 기지국들에 대해 더 일반적일 수도 있다.
일 양상에서, 시스템 용량을 개선시키기 위해, 각각의 기지국(310a 내지 310c)에 대응하는 커버리지 영역(302a, 302b, 또는 302c)은 다수의 더 작은 영역들(예를 들어, 영역들(304a, 304b, 및 304c))로 분할될 수 있다. 더 작은 영역들(304a, 304b, 및 304c)의 각각은 각각의 기지국 트랜시버 시스템(BTS, 미도시됨)에 의해 서빙될 수 있다. 여기에 사용되고 당업계에 일반적인 바와 같이, "섹터" 라는 용어는, 그 용어가 사용되는 콘텍스트에 의존하여, BTS 및/또는 그의 커버리지 영역을 지칭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셀(302a, 302b, 302c) 내의 섹터들(304a, 304b, 304c)은 기지국(310)에서의 안테나들의 그룹(미도시)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안테나들의 각각의 그룹은 셀(302a, 302b, 또는 302c)의 일부에서 단말들(320)과의 통신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셀(302a)을 서빙하는 기지국(310)은, 섹터(304a)에 대응하는 제 1 안테나 그룹, 섹터(304b)에 대응하는 제 2 안테나 그룹, 및 섹터(304c)에 대응하는 제 3 안테나 그룹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 개시된 다양한 양상들이 섹터화된 및/또는 섹터화되지 않은 셀들을 갖는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추가적으로, 임의의 수의 섹터화된 및/또는 섹터화되지 않은 셀들을 갖는 모든 적절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이 여기에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있도록 의도됨을 인식해야 한다. 간략화를 위해,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기지국" 이라는 용어는 섹터를 서빙하는 스테이션뿐만 아니라 셀을 서빙하는 스테이션 양자를 지칭할 수 있다.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이, 디스조인트 링크(disjoint link)의 다운링크 섹터는 이웃 섹터임을 인식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다음의 설명이 간략화를 위해 각각의 단말이 하나의 서빙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는 시스템에 관련되지만, 단말들은 임의의 수의 서빙 액세스 포인트들과 통신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도 4는 하나 이상의 펨토 노드들이 네트워크 환경 내에 배치되어 있는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400)을 도시한다. 상세하게, 시스템(400)은, 홈 베이스 노드(HNB)들(402a 및 402b)로서 도시되어 있고, 비교적 작은 스케일의 네트워크 환경(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사용자 거주지들(404))에 인스톨되는 다수의 펨토 노드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펨토 노드(402a 내지 402b)는, DSL 라우터, 케이블 모뎀, 무선 링크, 또는 다른 접속 수단(미도시)을 통해 광역 영역 네트워크(406)(예를 들어, 인터넷) 및 이동 오퍼레이터 코어 네트워크(408)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후술될 바와 같이, 각각의 펨토 노드(402a 내지 402b)는, 관련 액세스 단말들 또는 사용자 장비(UE)(410a), 및 옵션적으로는 (예를 들어, 폐쇄형 가입자 그룹에 대한 가입자가 아닌) 외계(alien) 액세스 UE들(410b)을 서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펨토 노드들(402a 내지 402b)에 대한 액세스는 제한될 수도 있으며, 그에 의해, 주어진 UE(410a 내지 410b)는 지정된 (예를 들어, 홈) 펨토 노드(들)(402a 내지 402b)의 세트에 의해 서빙될 수도 있지만, 임의의 비-지정된 펨토 노드들(402a 내지 402b)(예를 들어, 이웃의 펨토 노드(402a 내지 402b))에 의해 서빙되지 않을 수도 있다.
펨토 노드(410)의 소유자는, 예를 들어, 이동 오퍼레이터 코어 네트워크(408)를 통해 제공되는 3G 이동 서비스와 같은 이동 서비스에 가입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액세스 단말 또는 UE(410a 내지 410b)는 매크로 환경들 및 더 작은 스케일(예를 들어, 거주지)의 네트워크 환경들 양자에서 동작할 수 있을 수도 있다. 즉, UE(410a 내지 410b)의 현재 위치에 의존하여, 액세스 단말(410a 내지 410b)은 매크로 셀 이동 네트워크(408)의 액세스 노드 또는 매크로 베이스 노드(412), 또는 펨토 노드들(410)(예를 들어, 대응하는 사용자 거주지(404) 내에 상주하는 펨토 노드들(402a 내지 402b))의 세트 중 임의의 하나에 의해 서빙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입자가 그의 홈 외부에 있을 경우, 그는 표준 매크로 액세스 노드(예를 들어, 노드(412))에 의해 서빙되고, 가입자가 홈에 있을 경우, 그는 펨토 노드(예를 들어, 노드(402a 내지 402b))에 의해 서빙된다. 여기에서, 펨토 노드(402a 내지 402b)가 기존의 액세스 단말들 또는 UE들(410a 내지 410b)과 백워드 호환가능할 수도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펨토 노드(402a 내지 402b)는 단일 주파수 또는 대안적으로는 다수의 주파수들 상에서 배치될 수도 있다. 특정한 구성에 의존하여, 단일 주파수 또는 다수의 주파수들 중 하나 이상은 매크로 노드(예를 들어, 노드(412))에 의해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들과 중첩할 수도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액세스 단말 또는 UE(410a 내지 410b)는, 접속이 가능할 때마다, 선호되는 펨토 노드(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 또는 UE(410a 내지 410b)의 홈 펨토 노드)에 접속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 또는 UE(410a 내지 410b)가 사용자의 거주지(404) 내에 있을 때마다, 액세스 단말 또는 UE(410a 내지 410b)가 단지 홈 펨토 노드(402a 내지 402b)와 통신하는 것을 원할 수도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액세스 단말 또는 UE(410a 내지 410b)가 매크로 셀룰러 네트워크(408) 내에서 동작하지만 (예를 들어, 선호되는 로밍 리스트에서 정의되는 바와 같은) 그의 가장 선호되는 네트워크 상에 상주하지 않으면, 액세스 단말 또는 UE(410a 내지 410b)는, 더 양호한 시스템들이 현재 이용가능한지를 결정하기 위한 이용가능한 시스템들의 주기적인 스케닝, 및 그러한 선호되는 시스템들과 연관시키기 위한 후속 시도들에 관련될 수도 있는 더 양호한 시스템 재선택("BSR")을 사용하여 최상의 선호되는 네트워크(예를 들어, 선호되는 펨토 노드(402a 내지 402b))를 계속 탐색할 수도 있다. 획득 엔트리를 이용하여, 액세스 단말 또는 UE(410a 내지 410b)는 특정 대역 및 채널에 대한 탐색을 제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장 선호되는 시스템에 대한 탐색이 주기적으로 반복될 수도 있다. 선호되는 펨토 노드(402a 내지 402b)의 발견 시에, 액세스 단말(410a 내지 410b)은 그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거주하기 위해 펨토 노드(402a 내지 402b)를 선택한다.
펨토 노드는 몇몇 양상들에서 제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어진 펨토 노드는 단지 특정한 서비스들을 특정한 액세스 단말들에 제공할 수도 있다. 소위 제한된 (또는 폐쇄된) 연관성을 이용한 배치들에서, 주어진 액세스 단말은 단지 매크로 셀 이동 네트워크 및 펨토 노드들(예를 들어, 대응하는 사용자 거주지(404) 내에 상주하는 펨토 노드들(402a 내지 402b))의 정의된 세트에 의해 서빙될 수도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노드는 시그널링, 데이터 액세스, 등록, 페이징, 또는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하나의 노드에 대해 제공하지 않도록 제한될 수도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또한, 폐쇄형 가입자 그룹 홈 노드B로서 지칭될 수도 있는) 제한된 펨토 노드는, 액세스 단말들의 제한적으로 제공된 세트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노드이다. 이러한 세트는 필요에 따라 임시적으로 또는 영속적으로 확장될 수도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폐쇄형 가입자 그룹("CSG")은, 액세스 단말들의 공통 액세스 제어 리스트를 공유하는 액세스 노드들(예를 들어, 펨토 노드들)의 세트로서 정의될 수도 있다. 영역 내의 모든 펨토 노드들(또는 모든 제한된 펨토 노드들)이 동작하는 채널은 펨토 채널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따라서, 주어진 펨토 노드와 주어진 액세스 단말 또는 사용자 장비 사이에 다양한 관계들이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의 관점으로부터, 오픈 펨토 노드는 제한된 연관성없는 펨토 노드로 지칭될 수도 있다. 제한된 펨토 노드는, 동일한 방식으로 제한되는 (예를 들어, 연관성 및/또는 등록을 위해 제한되는) 펨토 노드로 지칭될 수도 있다. 홈 펨토 노드는, 액세스 단말이 액세스 및 동작하도록 인가된 펨토 노드로 지칭될 수도 있다. 게스트 펨토 노드는 액세스 단말이 액세스하거나 동작하도록 임시적으로 인가된 펨토 노드로 지칭될 수도 있다. 외계 펨토 노드는, 아마도 응급 상황들(예를 들어, 911 호출들)을 제외하고, 액세스 단말이 액세스하거나 동작하도록 인가되지 않은 펨토 노드로 지칭될 수도 있다.
제한된 펨토 노드 관점으로부터, 홈 액세스 단말은 그 제한된 펨토 노드에 액세스하도록 인가된 액세스 단말로 지칭될 수도 있다. 게스트 액세스 단말은, 그 제한된 펨토 노드에 대한 임시적인 액세스를 갖는 액세스 단말로 지칭될 수도 있다. 외계 액세스 단말은, 예를 들어, 911 호출들과 같은 아마도 응급 상황들을 제외하고, 그 제한된 펨토 노드에 액세스하기 위한 허가를 갖지 못하는 액세스 단말(예를 들어, 그 제한된 펨토 노드에 등록하기 위한 인증서들 또는 허가를 갖지 못하는 액세스 단말)로 지칭될 수도 있다.
편의를 위해, 여기에서의 개시물은 펨토 노드의 콘텍스트에서 다양한 기능을 설명한다. 그러나, 피코 노드가 더 큰 커버리지 영역에 대해 동일한 또는 유사한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어, 피코 노드가 제한될 수도 있으며, 홈 피코 노드는 주어진 액세스 단말 등에 대해 정의될 수도 있다.
무선 다중-액세스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무선 액세스 단말들에 대한 통신을 동시에 지원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각각의 단말은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들 상의 송신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과 통신할 수도 있다. 순방향 링크(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들로부터 단말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역방향 링크(또는 업링크)는 단말들로부터 기지국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이러한 통신 링크는 단일-입력-단일-출력 시스템, 다중-입력-다중-출력("MIMO") 시스템, 또는 몇몇 다른 타입의 시스템을 통해 확립될 수도 있다.
도 5는, 각각이 수 개의 매크로 커버리지 영역들(504)을 포함하는 수 개의 트래킹 영역(tracking area)들(502)(또는 라우팅 영역들 또는 위치 영역들)이 정의되는 커버리지 맵(500)의 일 예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트래킹 영역들(502a, 502b, 및 502c)과 관련된 커버리지의 영역들은 넓은 라인들에 의해 윤곽을 나타내고, 매크로 커버리지 영역들(504)은 육각형들에 의해 표현된다. 또한, 트래킹 영역들(502)은 펨토 커버리지 영역들(506)을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서, 펨토 커버리지 영역들(506)(예를 들어, 펨토 커버리지 영역(506c))의 각각은 매크로 커버리지 영역(504)(예를 들어, 매크로 커버리지 영역(504b)) 내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펨토 커버리지 영역(506)이 매크로 커버리지 영역(504) 내에 전체가 놓여있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실제로, 많은 수의 펨토 커버리지 영역들(506)은 주어진 트래킹 영역(502) 또는 매크로 커버리지 영역(504)과 함께 정의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피코 커버리지 영역들(미도시)은 주어진 트래킹 영역(502) 또는 매크로 커버리지 영역(504) 내에 정의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양상에 따른 다중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액세스 포인트(AP)(600)는, 하나의 안테나는 (604) 및 (606)을 포함하고 또 다른 안테나는 (608) 및 (610)를 포함하며 부가적인 안테나는 (612) 및 (614)를 포함하는 다수의 안테나 그룹들을 포함한다. 도 6에서, 단지 2개의 안테나들만이 각각의 안테나 그룹에 대해 도시되어 있지만, 더 많은 또는 더 적은 안테나들이 각각의 안테나 그룹에 대해 이용될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AT)(616)은 안테나들(612 및 614)과 통신중이며, 여기서, 안테나들(612 및 614)은 순방향 링크(620)를 통해 액세스 단말(616)에 정보를 송신하고, 역방향 링크(618)를 통해 액세스 단말(616)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액세스 단말(622)은 안테나들(606 및 608)과 통신중이며, 여기서, 안테나들(606 및 608)은 순방향 링크(626)를 통해 액세스 단말(622)로 정보를 송신하고, 역방향 링크(624)를 통해 액세스 단말(622)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FDD 시스템에서, 통신 링크들(618, 620, 624 및 626)은 통신을 위해 상이한 주파수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순방향 링크(620)는 상이한 주파수를 사용할 수도 있고, 그 후, 그 주파수는 역방향 링크(618)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안테나들의 각각의 그룹 및/또는 그들이 통신하도록 설계되는 영역은 종종 액세스 포인트의 섹터로서 지칭된다. 일 양상에서, 안테나 그룹들 각각은 액세스 포인트(600)에 의해 커버링되는 영역들의 섹터에서 액세스 단말들과 통신하도록 설계된다.
순방향 링크들(620 및 626)을 통한 통신에서, 액세스 포인트(600)의 송신 안테나들은, 상이한 액세스 단말들(616 및 622)에 대한 순방향 링크들의 신호-대-잡음비를 개선시키기 위해 빔포밍을 이용한다. 또한, 그의 커버리지를 통해 랜덤하게 분산된 액세스 단말들에 송신하도록 빔포밍을 사용하는 액세스 포인트는, 단일 안테나를 통해 그의 모든 액세스 단말들에 송신하는 액세스 포인트보다 이웃한 셀들 내의 액세스 단말들에 더 적은 간섭을 초래한다.
액세스 포인트는 액세스 단말들과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정국일 수도 있으며, 또한, 액세스 포인트, 노드 B, 또는 몇몇 다른 용어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또한, 액세스 단말은 사용자 장비(UE), 무선 통신 디바이스, 단말, 또는 몇몇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MIMO 시스템은 데이터 송신을 위해 다수(NT개)의 송신 안테나들 및 다수(NR개)의 수신 안테나들을 이용한다. NT개의 송신 및 NR개의 수신 안테나들에 의해 형성된 MIMO 채널은 NS개의 독립적인 채널들로 분해될 수도 있으며, 그 채널들은 또한, 공간 채널들로서 지칭되고, 여기서, NS≤min{NT, NR} 이다. NS개의 독립적인 채널들 각각은 디멘션에 대응한다. 다수의 송신 및 수신 안테나들에 의해 생성된 부가적인 차원수(dimensionality)가 이용되면, MIMO 시스템은 개선된 성능(예를 들어, 더 높은 스루풋 및/또는 더 큰 신뢰도)을 제공할 수도 있다.
MIMO 시스템은 시분할 듀플렉스("TDD") 및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를 지원할 수도 있다. TDD 시스템에서, 상호관계 원리가 역방향 링크 채널로부터 순방향 링크 채널의 추정을 허용하도록,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 송신들은 동일한 주파수 영역 상에 존재한다. 다수의 안테나들이 액세스 포인트에서 이용가능할 경우, 이것은, 액세스 포인트가 순방향 링크 상에서 송신 빔포밍 이득을 추출할 수 있게 한다.
여기에서의 교시들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노드와 통신하기 위해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이용하는 노드(예를 들어, 디바이스)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7은 노드들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이용될 수도 있는 수 개의 샘플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상세하게, 도 7은, MIMO 시스템(700)의 무선 디바이스(710)(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 및 무선 디바이스(750)(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를 도시한다. 디바이스(710)에서,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는 데이터 소스(712)로부터 송신("TX") 데이터 프로세서(714)에 제공된다.
몇몇 양상들에서,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은 각각의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된다. TX 데이터 프로세서(714)는, 코딩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특정한 코딩 방식에 기초하여 그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포맷팅, 코딩, 및 인터리빙한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코딩된 데이터는 OFDM 기술들을 사용하여 파일럿 데이터로 멀티플렉싱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파일럿 데이터는 알려진 방식으로 프로세싱된 알려진 데이터 패턴이며, 채널 응답을 추정하기 위해 수신기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그 후,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멀티플렉싱된 파일럿 및 코딩된 데이터는, 변조 심볼들을 제공하기 위해 그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특정한 변조 방식(예를 들어, BPSK, QPSK, M-PSK, 또는 M-QAM)에 기초하여 변조된다(즉, 심볼 매핑된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 코딩, 및 변조는 프로세서(730)에 의해 수행되는 명령들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데이터 메모리(732)는 프로세서(730) 또는 디바이스(700)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의해 사용되는 프로그램 코드, 데이터, 및 다른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그 후, 모든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변조 심볼들은 TX MIMO 프로세서(720)에 제공되며, 그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OFDM에 대해) 변조 심볼들을 추가적으로 프로세싱할 수도 있다. 그 후, TX MIMO 프로세서(720)는, 송신기(TMTR) 및 수신기(RCVR)를 각각 갖는 NT개의 트랜시버들("XCVR")(722a 내지 722t)에 NT개의 변조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한다. 몇몇 양상들에서, TX MIMO 프로세서(720)는, 데이터 스트림들의 심볼들 및 그 심볼이 송신되고 있는 안테나에 빔포밍 가중치들을 적용한다.
각각의 트랜시버(722a 내지 722t)는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해 각각의 심볼 스트림을 수신 및 프로세싱하고, MIMO 채널을 통한 송신에 적합한 변조된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그 아날로그 신호들을 추가적으로 컨디셔닝(예를 들어, 증폭, 필터링, 및 상향변환)한다. 그 후, 트랜시버들(722a 내지 722t)로부터의 NT개의 변조된 신호들은, 각각, NT개의 안테나들(724a 내지 724t)로부터 송신된다.
디바이스(750)에서, 송신된 변조된 신호들은 NR개의 안테나들(752a 내지 752r)에 의해 수신되고, 각각의 안테나(752a 내지 752r)로부터의 수신 신호는 각각의 트랜시버("XCVR")(754a 내지 754r)에 제공된다. 각각의 트랜시버(754a 내지 754r)는 각각의 수신 신호를 컨디셔닝(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및 하향변환)하고, 샘플들을 제공하기 위해 그 컨디셔닝된 신호를 디지털화하며, 대응하는 "수신" 심볼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해 그 샘플들을 추가적으로 프로세싱한다.
그 후, 수신("RX") 데이터 프로세서(760)는, NT개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하기 위해 특정한 수신기 프로세싱 기술에 기초하여 NR개의 트랜시버들(754a 내지 754r)로부터 NR개의 수신 심볼 스트림들을 수신하고 프로세싱한다. 그 후, RX 데이터 프로세서(760)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해 각각의 검출된 심볼 스트림을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760)에 의한 프로세싱은, 디바이스(710)에서의 TX MIMO 프로세서(720) 및 TX 데이터 프로세서(714)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상보적이다.
프로세서(770)는 어느 프리-코딩 매트릭스가 사용될지를 주기적으로 결정한다. 프로세서(770)는, 매트릭스 인덱스부 및 랭크값부를 포함하는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정형화한다(formulate). 데이터 메모리(772)는 디바이스(750)의 프로세서(770) 또는 다른 컴포넌트들에 의해 사용되는 프로그램 코드, 데이터, 및 다른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통신 링크 및/또는 수신 데이터 스트림에 관한 다양한 타입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 후,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데이터 소스(736)로부터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또한 수신하는 TX 데이터 프로세서(738)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변조기(780)에 의해 변조되고, 트랜시버들(754a 내지 754r)에 의해 컨디셔닝되며, 디바이스(710)에 다시 송신된다.
디바이스(710)에서, 디바이스(750)로부터의 변조된 신호들은 안테나들(724a 내지 724r)에 의해 수신되고, 트랜시버들(722a 내지 722r)에 의해 컨디셔닝되고, 복조기("DEMOD")(740)에 의해 복조되며, RX 데이터 프로세서(742)에 의해 프로세싱되어, 디바이스(750)에 의해 송신된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추출한다. 그 후, 프로세서(730)는 빔포밍 가중치들을 결정하기 위해 어느 프리-코딩을 사용할지를 결정하고, 그 후, 추출된 메시지를 프로세싱한다.
또한, 도 7은, 통신 컴포넌트들이 간섭 제어 동작들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간섭("INTER") 제어 컴포넌트(790)는 디바이스(710)의 프로세서(730) 및/또는 다른 컴포넌트들과 협력하여, 또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디바이스(750))로/로부터 신호들을 전송/수신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간섭 제어 컴포넌트(792)는 디바이스(750)의 프로세서(770) 및/또는 다른 컴포넌트들과 협력하여, 또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디바이스(710))로/로부터 신호들을 전송/수신할 수도 있다. 각각의 디바이스(710 및 750)에 대해, 설명된 컴포넌트들 중 2개 이상의 기능이 단일 컴포넌트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어, 단일 프로세싱 컴포넌트는 간섭 제어 컴포넌트(790) 및 프로세서(730)의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고, 단일 프로세싱 컴포넌트는 간섭 제어 컴포넌트(792) 및 프로세서(770)의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8에서, 중계부에 의해 액세스 노드와 비-동시 수신 및 송신을 수행하는 하프 듀플렉스 스케줄을 결정하고 (블록 804), 하프 듀플렉스 스케줄에 부합하는 랜덤 액세스 채널 경우를 갖는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 구성을 결정하며 (블록 806),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중계부를 통해 액세스 노드와 랜덤 액세스 채널 절차를 수행 (블록 808) 함으로써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완화를 위한 방법 또는 동작들(800)의 시퀀스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서, 제 1 대역폭을 갖는 업링크를 사용하도록 사용자 장비를 스케줄링하고 (블록 904), 간섭 신호를 포함하는 제 1 대역폭의 대역 에지 부분을 정의하고 (블록 906), 대역 에지 부분을 회피하는 업링크 대역폭의 감소된 부분을 사용자 장비에 스케줄링하며 (블록 908), 대역 에지 부분을 필터링 아웃함으로써 업링크 대역폭의 감소된 부분을 수신 (블록 908) 함으로써, 이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완화를 위한 방법 또는 동작들(900)의 시퀀스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완화를 위한 시스템(1000)이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1000)은 사용자 장비(UE)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주할 수 있다. 시스템(1000)이, 컴퓨팅 플랫폼,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예를 들어, 펌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들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일 수 있는 기능 블록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표현된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시스템(1000)은 결합하여 작동할 수 있는 전기 컴포넌트들의 논리 그룹(1002)을 포함한다. 일 예시에 대해, 논리 그룹(1002)은 중계부에 의해 액세스 노드와 비-동시 수신 및 송신을 수행하는 하프 듀플렉스 스케줄을 결정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00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논리 그룹(1002)은, 하프 듀플렉스 스케줄에 부합하는 랜덤 액세스 채널 경우를 갖는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을 결정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006)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에 대해, 논리 그룹(1002)은,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중계부를 통해 액세스 노드와 랜덤 액세스 채널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008)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시스템(1000)은, 전기 컴포넌트들(1004 내지 1008)과 연관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보유하는 메모리(102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020) 외부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전기 컴포넌트들(1004 내지 1008) 중 하나 이상이 메모리(1020) 내에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완화를 위한 시스템(1100)이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1100)은 사용자 장비(UE)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주할 수 있다. 시스템(1100)이 컴퓨팅 플랫폼,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예를 들어, 펌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들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들일 수 있는 기능 블록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표현되어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시스템(1100)은 결합하여 작동할 수 있는 전기 컴포넌트들의 논리 그룹(1102)을 포함한다. 일 예시에 대해, 논리 그룹(1102)은 제 1 대역폭을 갖는 업링크를 사용하도록 사용자 장비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10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논리 그룹(1102)은 간섭 신호를 포함하는 제 1 대역폭의 대역 에지 부분을 정의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106)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에 대해, 논리 그룹은, 대역 에지 부분을 회피하는 업링크 대역폭의 감소된 부분을 사용자 장비에 스케줄링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108)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인 예시에 대해, 논리 그룹(1102)은, 대역 에지 부분을 필터링 아웃함으로써 업링크 대역폭의 감소된 부분을 수신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1110)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시스템(1100)은 전기 컴포넌트들(1104 내지 1110)과 연관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보유하는 메모리(112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 외부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전기 컴포넌트들(1104 내지 1110) 중 하나 이상이 메모리(1120) 내에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2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완화를 위한 장치(1202)가 도시되어 있다. 중계부에 의해 액세스 노드와 비-동시 수신 및 송신을 수행하는 하프듀플렉스 스케줄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1204)이 제공된다. 하프 듀플렉스 스케줄에 부합하는 랜덤 액세스 채널 경우를 갖는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 구성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1206)이 제공된다.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중계부를 통해 액세스 노드와 랜덤 액세스 채널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1208)이 제공된다.
도 13에서, 이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완화를 위한 장치(1302)가 도시되어 있다. 제 1 대역폭을 갖는 업링크를 사용하도록 사용자 장비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수단(1304)이 제공된다. 간섭 신호를 포함하는 제 1 대역폭의 대역 에지 부분을 정의하기 위한 수단(1306)이 제공된다. 대역 에지 부분을 회피하는 업링크 대역폭의 감소된 부분을 사용자 장비에 스케줄링하기 위한 수단(1308)이 제공된다. 대역 에지 부분을 필터링 아웃함으로써 업링크 대역폭의 감소된 부분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1310)이 제공된다.
당업자는, 여기에 개시된 양상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음을 추가적으로 인식할 것이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교환가능성을 명확히 예시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그들의 기능의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상술되었다. 그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설계 제한들 및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한다. 당업자는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지만, 그러한 구현 결정이 본 개시물의 범위를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등은 컴퓨터-관련 엔티티,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의 소프트웨어로 지칭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스 상에서 구동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오브젝트, 실행가능물,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도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로서, 서버 상에서 구동중인 애플리케이션 및 그 서버는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은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도 있으며,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 로컬화될 수도 있고/있거나 2개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배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이라는 용어는 예, 예시, 또는 예증으로서 제공되는의 의미로 여기에서 사용된다. "예시적인" 것으로서 여기에 설명된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는 반드시 다른 양상들 또는 설계들보다 유리하거나 바람직한 것으로 해석될 필요는 없다.
다양한 양상들은, 다수의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도 있는 시스템들의 관점에서 제공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부가적인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도 있고/있거나, 도면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모든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이해 및 인식할 것이다. 또한, 이들 접근법들의 결합이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에 개시된 다양한 양상들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기술들 및/또는 마우스-및-키보드 타입 인터페이스들을 이용하는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전기 디바이스들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러한 디바이스들의 예들은, 컴퓨터들(데스크탑 및 모바일), 스마트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들, 및 유선 및 무선 양자의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여기에 개시된 양상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여기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결합,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버전들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개시된 양상들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를 제어하기 위한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생성하기 위한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들을 사용하여, 방법, 장치, 또는 제조품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은 "제조품" (또는 대안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이라는 용어는, 임의의 컴퓨터-판독가능 디바이스, 캐리어, 또는 매체로부터 액세스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자기 저장 디바이스(예를 들어, 하드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 광 디스크(예를 들어, 컴팩 디스크(CD), DVD(digital versatile disk), ...), 스마트 카드, 및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카드, 스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부가적으로, 캐리어파가, 전자 메일을 송신 및 수신할 시에 또는 인터넷 또는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과 같은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시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컴퓨터-판독가능 전자 데이터를 운반하도록 이용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물론, 당업자는, 많은 변형들이 개시된 양상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이러한 구성에 대해 행해질 수도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여기에 개시된 양상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에 직접,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되어, 그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정보를 저장 매체에 기입할 수 있게 한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에 상주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 내의 별개의 컴포넌트들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개시된 양상의 이전 설명은 당업자가 본 개시물을 수행 또는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들 양상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물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른 실시형태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개시물은 여기에 설명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성들에 부합하는 최광의 범위를 허여하려는 것이다.
상술된 예시적인 시스템들의 관점에서, 개시된 사항에 따라 구현될 수도 있는 방법들은 수 개의 흐름도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방법들이 일련의 블록들로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몇몇 블록들이 여기에 도시되고 설명된 것과 상이한 순서들로 및/또는 그것들로부터의 다른 블록들과 동시에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청구된 사항이 블록들의 순서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모든 도시된 블록들이 여기에 설명된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요구되지 않을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여기에 개시된 방법들이 그러한 방법들을 컴퓨터들에 전달 및 전송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조품 상에 저장될 수 있음을 추가적으로 인식해야 한다. 여기에 사용된 바와 같이, 제조품이라는 용어는 임의의 컴퓨터-판독가능 디바이스, 캐리어 또는 매체로부터 액세스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여기에 참조로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된 임의의 특허, 공개물, 또는 다른 개시물이, 그 포함된 문헌이 본 개시물에서 개시된 기존의 정의들, 선언들, 또는 다른 개시물과 충돌하지 않는 정도까지만 여기에 포함됨을 인식해야 한다. 그로서 및 필요한 정도로만, 여기에 명시적으로 개시된 바와 같은 개시물은 참조로서 여기에 포함된 임의의 충돌 문헌을 대체한다.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 것으로 설명되지만 여기에 개시된 기존의 정의들, 선언들, 또는 다른 개시물과 충돌하는 임의의 문헌 또는 그의 일부는, 그 포함된 문헌과 기존의 개시물 사이에서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 정도까지만 포함될 것이다.

Claims (22)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완화를 위한 방법으로서,
    제 1 대역폭을 갖는 업링크를 사용하도록 사용자 장비를 스케줄링하는 단계;
    간섭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대역폭의 대역 에지 부분을 정의하는 단계;
    상기 대역 에지 부분을 회피하는 업링크 대역폭의 감소된 부분을 상기 사용자 장비에 스케줄링하는 단계; 및
    상기 대역 에지 부분을 필터링 아웃(filter out)함으로써 상기 업링크 대역폭의 감소된 부분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섭 완화를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블랭크(blank)인 부분을 갖는 복수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하는 다운링크 프레임 구조에 액세스하고; 그리고,
    블랭크인 부분을 갖는 복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하는 업링크 프레임 구조를 결정함으로써,
    서빙될 상기 사용자 장비와 제 2 사용자 장비 사이의 간섭을 완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간섭 완화를 위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명시적인 업링크 서브프레임 정의에 액세스함으로써 상기 업링크 프레임 구조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간섭 완화를 위한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프레임 구조를 유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간섭 완화를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신호의 부재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대역폭을 사용하도록 상기 업링크를 복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간섭 완화를 위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대역폭을 사용하여 상기 업링크에서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도록 상기 사용자 장비를 스케줄링하는 단계; 및
    상기 업링크의 감소된 부분에서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도록 상기 사용자 장비를 재스케줄링(reschedul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간섭 완호를 위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폐쇄형 가입 그룹 셀 상에서 상기 사용자 장비를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간섭 완화를 위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펨토셀에 의해 상기 폐쇄형 가입 그룹 셀을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간섭 완화를 위한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소된 부분으로부터 상기 대역 에지 부분을 분리시키는데 충분한 수신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analog to digital) 샘플하고; 그리고,
    상기 대역 에지 부분을 감쇠시키도록 디지털 필터 계수들을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대역 에지 부분을 필터링 아웃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간섭 완화를 위한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에지 부분을 아날로그 필터링 아웃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간섭 완화를 위한 방법.
  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완화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제 1 대역폭을 갖는 업링크를 사용하도록 사용자 장비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코드들의 제 1 세트;
    간섭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대역폭의 대역 에지 부분을 정의하기 위한 코드들의 제 2 세트;
    상기 대역 에지 부분을 회피하는 업링크 대역폭의 감소된 부분을 상기 사용자 장비에 스케줄링하기 위한 코드들의 제 3 세트; 및
    상기 대역 에지 부분을 필터링 아웃함으로써 상기 업링크 대역폭의 감소된 부분을 수신하기 위한 코드들의 제 4 세트
    를 포함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완화를 위한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 1 대역폭을 갖는 업링크를 사용하도록 사용자 장비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수단;
    간섭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대역폭의 대역 에지 부분을 정의하기 위한 수단;
    상기 대역 에지 부분을 회피하는 업링크 대역폭의 감소된 부분을 상기 사용자 장비에 스케줄링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대역 에지 부분을 필터링 아웃함으로써 상기 업링크 대역폭의 감소된 부분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구현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을 저장하는, 간섭 완화를 위한 장치.
  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완화를 위한 장치로서,
    송신기;
    제 1 대역폭을 갖는 업링크를 사용하도록 상기 송신기를 통해 사용자 장비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스케줄러;
    간섭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대역폭의 대역 에지 부분을 정의하기 위한 컴퓨팅 플랫폼 ― 상기 스케줄러는 추가적으로, 상기 대역 에지 부분을 회피하는 업링크 대역폭의 감소된 부분을 상기 송신기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장비에 스케줄링하기 위한 것임 ―; 및
    상기 대역 에지 부분을 필터링 아웃함으로써 상기 업링크 대역폭의 감소된 부분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를 포함하는, 간섭 완화를 위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서빙될 상기 사용자 장비와 제 2 사용자 장비 사이의 간섭을 완화시키며,
    상기 컴퓨팅 플랫폼은 추가적으로,
    블랭크인 부분을 갖는 복수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하는 다운링크 프레임 구조에 액세스하고, 그리고, 블랭크인 부분을 갖는 복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하는 업링크 프레임 구조를 결정하기 위한 것인, 간섭 완화를 위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플랫폼은 추가적으로, 명시적인 업링크 서브프레임 정의에 액세스함으로써 상기 업링크 프레임 구조를 결정하기 위한 것인, 간섭 완화를 위한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플랫폼은 추가적으로 상기 업링크 프레임 구조를 유도하기 위한 것인, 간섭 완화를 위한 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플랫폼은 추가적으로, 상기 간섭 신호의 부재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대역폭을 사용하도록 상기 업링크를 복원하기 위한 것인, 간섭 완화를 위한 장치.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러는 추가적으로, 상기 제 1 대역폭을 사용하여 상기 업링크에서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도록 상기 사용자 장비를 스케줄링하며, 그리고, 상기 업링크의 감소된 부분에서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도록 상기 사용자 장비를 재스케줄링하기 위한 것인, 간섭 완화를 위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플랫폼은 추가적으로, 폐쇄형 가입 그룹 셀 상에서 상기 사용자 장비를 인증하기 위한 것인, 간섭 완화를 위한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형 가입 그룹 셀을 관리하기 위한 펨토셀을 더 포함하는, 간섭 완화를 위한 장치.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추가적으로,
    상기 감소된 부분으로부터 상기 대역 에지 부분을 분리시키는데 충분한 수신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샘플하고; 그리고,
    상기 대역 에지 부분을 감쇠시키도록 디지털 필터 계수들을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대역 에지 부분을 필터링 아웃하기 위한 것인, 간섭 완화를 위한 장치.
  22.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추가적으로, 상기 대역 에지 부분을 아날로그 필터링 아웃하기 위한 것인, 간섭 완화를 위한 장치.
KR1020127027089A 2008-12-01 2009-12-01 중계부들을 배치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랜덤 액세스 채널 절차 KR1012727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889108P 2008-12-01 2008-12-01
US61/118,891 2008-12-01
US12/626,236 US8879461B2 (en) 2008-12-01 2009-11-25 Blank subframe uplink design
US12/626,236 2009-11-25
PCT/US2009/066289 WO2010065562A2 (en) 2008-12-01 2009-12-01 Blank subframe uplink desig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5136A Division KR101215050B1 (ko) 2008-12-01 2009-12-01 중계부들을 배치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랜덤 액세스 채널 절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214A true KR20120131214A (ko) 2012-12-04
KR101272798B1 KR101272798B1 (ko) 2013-06-10

Family

ID=4222273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7089A KR101272798B1 (ko) 2008-12-01 2009-12-01 중계부들을 배치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랜덤 액세스 채널 절차
KR1020117015136A KR101215050B1 (ko) 2008-12-01 2009-12-01 중계부들을 배치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랜덤 액세스 채널 절차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5136A KR101215050B1 (ko) 2008-12-01 2009-12-01 중계부들을 배치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랜덤 액세스 채널 절차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8879461B2 (ko)
EP (1) EP2371176B1 (ko)
JP (2) JP5265781B2 (ko)
KR (2) KR101272798B1 (ko)
CN (2) CN103561476B (ko)
BR (1) BRPI0921109A2 (ko)
TW (1) TW201106754A (ko)
WO (1) WO201006556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79461B2 (en) 2008-12-01 2014-11-04 Qualcomm Incorporated Blank subframe uplink design
KR101632440B1 (ko) * 2008-12-03 2016-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계국을 위한 harq 수행방법
KR20100070279A (ko) * 2008-12-17 2010-06-25 이용석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펨토셀의 운영방법
WO2010143445A1 (ja) 2009-06-10 2010-12-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JP5397473B2 (ja) * 2009-08-07 2014-01-22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装置、データ処理装置及び通信データ処理方法
US9281889B2 (en) * 2010-02-16 2016-03-08 Lg Electronics Inc. Relay node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according to link operation mod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WO2011148391A2 (en) * 2010-05-26 2011-12-01 Centre Of Excellence In Wireless Technology (Cewit) Indoor personal relay
WO2012060613A2 (ko) * 2010-11-01 2012-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한된 측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JP5473866B2 (ja) * 2010-11-08 2014-04-16 株式会社Nttドコモ 通知方法、ユーザ端末及び無線基地局
WO2012061976A1 (en) * 2010-11-09 2012-05-18 Alcatel-Lucent Shanghai Bell Co., Ltd. Methods and devices for providing measurement reports
KR20140001226A (ko) * 2011-01-06 2014-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실패를 회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642147B2 (en) 2011-02-14 2017-05-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number of protected active users based on QoS requirements, throughput and traffic
WO2012157869A2 (ko) * 2011-05-16 2012-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상향링크 harq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405306B2 (en) * 2011-09-29 2019-09-03 Qualcomm Incorporated Half-duplex operation for low cost wireless devices
CN102523027A (zh) * 2011-12-27 2012-06-27 耿直 数字对讲中继传输方法及数字对讲中继设备
WO2013106740A2 (en) * 2012-01-11 2013-07-1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Adaptive control channel
KR20130125075A (ko) * 2012-05-08 2013-11-18 주식회사 팬택 반 이중 단말 및 반 이중 단말의 랜덤 억세스 방법
EP2683191B1 (en) * 2012-07-02 2016-12-28 Alcatel Lucent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for co-channel heterogeneous networks
US9930678B2 (en) * 2012-07-19 2018-03-27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xing UEs with different TDD configurations and some techniques to mitigate UE-to-UE and base station-to-base station interference
US9641237B2 (en) 2013-01-11 2017-05-02 Centre Of Excellence In Wireless Technology Indoor personal relay
CN105393618B (zh) * 2013-05-15 2019-11-29 华为技术有限公司 信号传输方法、装置、通信系统、终端和基站
WO2015042899A1 (en) * 2013-09-29 2015-04-0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device for emergency handling in communication network
US9699807B2 (en) * 2014-11-19 2017-07-04 Intel IP Corporation High-efficiency Wi-Fi (HEW) station and access point (AP) and method for random access contention
US9667402B1 (en) * 2015-09-17 2017-05-30 Sprint Spectrum L.P. Systems and methods for mitigating interference at an access node
US10211899B1 (en) 2015-09-17 2019-02-19 Sprint Spectrum L.P.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interference at an access node
US9660735B1 (en) * 2015-09-17 2017-05-23 Sprint Spectrum L.P. Systems and methods for mitigating interference at an access node
WO2018064381A1 (en) * 2016-09-30 2018-04-05 Kyocera Corporation Special uplink subframe for enhanced mobility
JP6198993B1 (ja) * 2016-10-06 2017-09-20 三菱電機株式会社 ビーム送受信方法、基地局、端末、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WO2018078658A1 (en) * 2016-10-28 2018-05-03 Wisig Networks Private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for narrow-band iot
US10250380B2 (en) * 2016-12-12 2019-04-02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unified synchronization channel design in new radio
WO2018126447A1 (en) * 2017-01-06 2018-07-12 Motorola Mobility Llc Uplink transmission blanking
US10554262B2 (en) * 2017-05-12 2020-02-04 Qualcomm Incorporated Cross-sub-band quasi co-location signaling
CN109792622B (zh) * 2018-06-11 2021-11-09 香港应用科技研究院有限公司 物理随机接入信道prach信号恢复的方法和频域prach滤波器
WO2020037687A1 (en) * 2018-08-24 2020-02-27 Nec Corporation Sdm iab transmission
CN111465100B (zh) * 2019-01-18 2024-05-21 中国信息通信研究院 一种中继上行接入信道配置方法、配置信令和设备
KR20210122709A (ko) * 2020-03-31 2021-10-12 아서스테크 컴퓨터 인코포레이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소규모 데이터 전송을 위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분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5915B2 (ja) 1988-10-03 1997-06-04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方式
US5633893A (en) * 1994-09-29 1997-05-27 Ericsson Inc. Digital modulation method with controlled envelope variation
US5850392A (en) 1996-04-10 1998-12-15 Ericsson Inc. Spread spectrum random access systems and methods for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systems
US6009132A (en) * 1997-07-25 1999-12-28 Globespan Semiconductor, Inc.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clock recovery from a received data signal
US6633559B1 (en) * 1999-08-11 2003-10-14 Ericsson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extended base station range using staggered uplink frame structures
DE19950005A1 (de) 1999-10-18 2001-04-19 Bernhard Walke Verfahren zum Betrieb drahtloser Basisstationen für paketvermittelnde Funksysteme mit garantierter Dienstgüte
US7181184B1 (en) * 2000-08-22 2007-02-20 Lucent Technologies Inc. Band edge amplitude reduction system and method
US6836673B1 (en) * 2000-12-22 2004-12-28 Arraycomm, Inc. Mitigating ghost signal interference in adaptive array systems
US6731705B2 (en) * 2000-12-22 2004-05-04 Array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inter-channel interference in adaptive array systems
JP3836688B2 (ja) 2001-05-25 2006-10-2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回線の干渉検出方法および干渉防止システム
US7151795B1 (en) * 2001-12-31 2006-12-19 Arraycomm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spectral efficiency using mitigated power near band-edge
DE10239810A1 (de) * 2002-08-29 2004-03-11 Siemens Ag Verfahren und Sendeeinrichtung zum Übertragen von Daten in einem Mehrträgersystem
US6934246B2 (en) * 2003-06-16 2005-08-23 Motorola, Inc.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adjacent channel interference (ACI) in a 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
ATE400926T1 (de) * 2004-03-29 2008-07-15 Nxp Bv Verfahren zur verringerung von zwischensymbolstörungen, sigma-delta-umsetzer zur durchführung dieses verfahrens und durch dieses verfahren erzeugte informationen übermittelndes speichermedium
US20050239399A1 (en) * 2004-04-21 2005-10-27 Karabinis Peter D Mobile terminals and set top boxes including multiple satellite band service link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KR100899751B1 (ko) 2005-03-09 2009-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중계 시스템 및 방법
JP4534807B2 (ja) 2005-03-11 2010-09-01 Kddi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マルチホップによる基地局への接続方法
WO2007007179A2 (en) * 2005-07-14 2007-01-18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randomized relay network
CN101292568A (zh) * 2005-09-20 2008-10-22 株式会社光束技术 扬声器、扬声器振动板和悬架
PT1938647T (pt) 2005-10-21 2016-09-26 ERICSSON TELEFON AB L M (publ) Técnica para execução de um procedimento de acesso aleatório através de uma interface rádio
ES2344914T3 (es) * 2005-11-01 2010-09-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odo y disposiciones en un sistema de comunicacion por radio.
JP2007251935A (ja) 2006-02-20 2007-09-27 Ntt Docomo Inc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移動局及び移動通信方法
JP2008017341A (ja) * 2006-07-07 2008-01-24 Ntt Docomo Inc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CN101111007A (zh) 2006-07-21 2008-01-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主控移动交换中心识别主叫业务用户所在中继移动交换中心的方法
US7899488B2 (en) * 2006-07-31 2011-03-01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nding network discovery range
US20080068979A1 (en) * 2006-09-14 2008-03-20 Motorola, Inc. Adaptive and preemptive scheduling of transmissions
US7894388B2 (en) * 2007-01-05 2011-02-22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 zone bandwidth allocation
US8290447B2 (en) * 2007-01-19 2012-10-16 Wi-Lan Inc. Wireless transceiver with reduced transmit emissions
US8825065B2 (en) * 2007-01-19 2014-09-02 Wi-Lan, Inc. Transmit power dependent reduced emissions from a wireless transceiver
RU2009134938A (ru) * 2007-03-01 2011-04-10 НТТ ДоСоМо, Инк. (JP)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вязью
JP2008236370A (ja) 2007-03-20 2008-10-02 Fujitsu Ltd 無線伝送システム
FI20075387A0 (fi) * 2007-05-29 2007-05-29 Nokia Corp Lähetysresurssin varauksen hallinta langattomassa verkossa
KR101632080B1 (ko) * 2007-11-09 2016-06-20 지티이 (유에스에이) 인크. 통신 시스템용의 유연한 ofdm/ofdma 프레임 구조
KR101485977B1 (ko) * 2007-11-21 2015-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이중 중계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자원할당을 위한 프레임 구조, 방법 및 장치
ES2373869T3 (es) 2007-12-12 2012-02-0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onfiguración del acceso aleatorio extendido transmitido por una estación de base de una e-utran para el acceso aleatorio de un equipo de usuario a un canal de radio.
US8203979B2 (en) * 2008-01-28 2012-06-19 The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Resource allocation for OFDMA systems with half-duplex relay(s) and corresponding transmission protocol
US8825046B2 (en) * 2008-02-01 2014-09-02 Qualcomm Incorporated Short-term interference mitig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R2927722A1 (fr) * 2008-02-18 2009-08-21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Cellule memoire sram a transistor double grille dotee de moyens pour ameliorer la marge en ecriture
US8275322B2 (en) * 2008-04-29 2012-09-25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Rateless coding for multiuser interference relay channel
US8320878B2 (en) * 2008-05-20 2012-11-27 Motorola Mobility Llc Charging system for a communication system
US8272215B2 (en) * 2008-05-28 2012-09-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ransient compressor surge response for a turbocharged engine
JP5373896B2 (ja) 2008-07-01 2013-12-18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ランダムアクセスのためのプレアンブル割り当ての実行方法および装置
US9078270B2 (en) * 2008-07-03 2015-07-07 Qualcomm Incorporated Opportunistic relay schedu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8787241B2 (en) * 2008-07-07 2014-07-22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cooperative relays using incremental redundancy and distributed spatial multiplexing
US20100315989A1 (en) * 2008-07-07 2010-12-1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operative relay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8675621B2 (en) * 2008-07-07 2014-03-18 Zte (Usa) Inc. Using identification sequen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O2010014669A1 (en) 2008-07-29 2010-02-04 Brand Affinity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alternative brand affinity content transaction payments
US9370021B2 (en) * 2008-07-31 2016-06-1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Interference reduction for terminals operating on neighboring band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1527978B1 (ko) 2008-08-06 2015-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지국과 중계기 사이의 서브프레임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8289894B2 (en) * 2008-09-15 2012-10-16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 relay interference coordination
US8315217B2 (en) * 2008-09-23 2012-11-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E e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971241B2 (en) * 2008-09-30 2015-03-03 Qualcol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supporting relay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879461B2 (en) 2008-12-01 2014-11-04 Qualcomm Incorporated Blank subframe uplink design
CN102458165A (zh) 2009-06-18 2012-05-16 日本烟草产业株式会社 具备碳质热源的非燃烧型吸烟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561476A (zh) 2014-02-05
CN103561476B (zh) 2016-06-22
KR101215050B1 (ko) 2012-12-24
JP5265781B2 (ja) 2013-08-14
WO2010065562A8 (en) 2011-05-26
JP5646585B2 (ja) 2014-12-24
WO2010065562A3 (en) 2010-09-10
TW201106754A (en) 2011-02-16
WO2010065562A2 (en) 2010-06-10
EP2371176B1 (en) 2021-04-21
US9125217B2 (en) 2015-09-01
JP2012510782A (ja) 2012-05-10
KR101272798B1 (ko) 2013-06-10
US20150003399A1 (en) 2015-01-01
US20100135235A1 (en) 2010-06-03
BRPI0921109A2 (pt) 2016-02-16
EP2371176A2 (en) 2011-10-05
JP2013093873A (ja) 2013-05-16
US8879461B2 (en) 2014-11-04
CN102227947B (zh) 2016-03-02
CN102227947A (zh) 2011-10-26
KR20110101173A (ko) 201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2798B1 (ko) 중계부들을 배치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랜덤 액세스 채널 절차
KR101425938B1 (ko) 업링크 스케줄링의 정보에 기초한 기지국에서의 업링크 제어 채널들의 블라인드 디코딩의 감소
JP5254343B2 (ja) 部分周波数再利用を採用する干渉管理
KR101466745B1 (ko) L1 오버로드 표시의 브로드캐스트 시그널링
KR101391872B1 (ko) 업링크 확인응답에서 간섭 억제
US9374717B2 (en) Transmitting indication of access point loading
JP2014140184A (ja) 部分コード再利用を採用する干渉管理
JP2010541331A (ja) Harqインターレースを利用した干渉管理
JP2013523024A (ja) 免許不要スペクトラムまたは共有スペクトラムによるセル間のベストエフォート無線バックホール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10541335A (ja) 電力及び減衰プロファイルを利用する干渉管理
KR101969538B1 (ko) Lbt(listen before talk) 로드-기반 장비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노드들의 동기화를 적응적으로 인에이블시키기 위한 기술들
KR20170065527A (ko)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한 업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기술들
US20160044594A1 (en) Dynamic cell cluster interference management scheme using dynamic point selection (dps) or semi-static point selection (spss) for enhanced interference management and traffic adaptation (eim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