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1079A - Portable heating container - Google Patents

Portable heating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1079A
KR20120131079A KR1020110072930A KR20110072930A KR20120131079A KR 20120131079 A KR20120131079 A KR 20120131079A KR 1020110072930 A KR1020110072930 A KR 1020110072930A KR 20110072930 A KR20110072930 A KR 20110072930A KR 20120131079 A KR20120131079 A KR 20120131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groove
portable heating
heating container
sha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29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숙경
이태림
Original Assignee
유숙경
이태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숙경, 이태림 filed Critical 유숙경
Priority to KR1020110072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1079A/en
Priority to PCT/KR2012/004092 priority patent/WO2012161523A2/en
Publication of KR20120131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1079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3/00Camp cooking devices without integral he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PURPOSE: A portable heating container is provided to efficiently heat food by using a portion of a fixing unit as a cover and to prevent foreign materials from flowing into the food. CONSTITUTION: A portable heating container comprises a container(100). The container is formed in a plate shape. Grooves(130) are formed in the container. The container is folded around the grooves to form an inner space for storing food. The top surface of the container has a concave cross section, and the bottom surface has a convex cross section.

Description

휴대용 가열 용기{PORTABLE HEATING CONTAINER}Portable Heating Containers {PORTABLE HEATING CONTAINER}

본 발명은 휴대용 가열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heating vessel.

최근 생활 여건의 향상으로 여가 선용의 기회가 늘어나게 되어, 야외 레저 활동이 늘어나고 있다. 야외 활동 시 음식을 조리하여 식사를 준비하게 되는데, 이때 일반적인 가정용 가열 용기보다 가볍고 휴대하기 편리한 코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opportunities for leisure use have increased due to improved living conditions, and outdoor leisure activities have increased. In outdoor activities, food is prepared and prepared. At this time, Copel is widely used, which is lighter and more convenient to carry than a normal household heating container.

이러한 코펠은 용기가 내부 공간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도록 일정한 부피를 가져야만 한다. 따라서, 빈 용기라고 하여도 코펠의 부피를 최소화하는데 한계가 있어, 휴대 시 불편함이 있다.Since the coffin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container has an inner space, it must have a constant volume so as to have an inner space for cooking food. Therefore, even in the empty container there is a limit to minimize the volume of the Coppell, there is inconvenience in carrying.

실시예는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휴대용 가열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embodiment seeks to provide a portable heating vessel capable of minimizing volume.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열 용기는, 판상 형태를 가지며 홈부가 형성되는 용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홈부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부를 접어 음식이 위치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입체 형상을 가진다. The portable heat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plate shape and includes a container part in which a groove part is formed, and has a three-dimensional shape having an inner space in which food is folded by folding the container part using the groove part.

상기 홈부가 형성된 상기 용기부의 단면은, 상면에서는 오목한 형태를 가지고 하면에서는 볼록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The cross section of the container portion in which the groove portion is formed may have a concave shape at the upper surface and a convex shape at the lower surface thereof.

상기 하나의 홈부에서, 상기 오목한 형태 및 상기 볼록한 형태가 단일로 구비될 수 있다. In the one groove portion, the concave shape and the convex shape may be provided as a single.

상기 홈부의 단면 형태가 반원 형상일 수 있다.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groove may be semicircular.

상기 하나의 홈부에서, 상기 오목한 형태 및 상기 볼록한 형태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In the one groove portion, the concave shape and the convex shape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상기 홈부의 선폭이 0.3~30 mm일 수 있다. The line width of the groove may be 0.3 to 30 mm.

상기 홈부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서의 두께에 대한 상기 홈부가 형성된 부분의 두께의 비율이 0.05~3일 수 있다. The ratio of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in which the groove is formed to the thickness in the portion where the groove is not formed may be 0.05 to 3.

상기 용기부는, 상기 홈부를 경계로 내부에 위치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ainer part may include a central part located inside the boundary of the groove part and a side part located outside the central part.

상기 측면부가 양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The side portion may be located at both edges.

상기 측면부가 네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The side portion may be located at four edges.

상기 홈부는, 상기 용기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중앙부와 상기 측면부의 경계에 위치하는 제1 홈부와, 상기 용기부의 모서리로부터 상기 제1 홈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측면부들 사이의 경계에 위치하는 제2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groove portion is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container portion parallel to the first groove portion located at the boundary of the central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and extending from the edge of the container portion to the first groove portion is locat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ide portions It may include a second groove portion.

상기 제2 홈부는 상기 제1 홈부에 인접한 부분에서 곡선 부분을 가질 수 있다. The second groove portion may have a curved portion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first groove portion.

상기 곡선 부분은 120mm 이하의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The curved portion may have a radius of curvature of 120 mm or less.

상기 제2 홈부는 상기 용기부의 모서리 부분에서 깊이가 점진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The second groove portion may be gradually reduced in depth at the corner portion of the container portion.

상기 제1 홈부는, 상기 용기부의 각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제1 홈부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홈부는, 상기 용기부의 각 모서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홈부들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제1 홈부들로 분지(分枝)되는 복수의 제2 홈부들로 구성될 수 있다. The first groove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groove portions formed along each edge of the container portion. The second groove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groove portions extending from each corner of the container portion and branched into two first groove portions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first groove portions.

상기 제2 홈부는 분지되는 부분에서 곡선 부분을 가질 수 있다. The second groove portion may have a curved portion at the branched portion.

상기 제2 홈부를 경계로 인접한 상기 측면부들에 각기 고리용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Ring holes may be formed in the side portions adjacent to the second groove portion, respectively.

상기 측면부에 분리 탁찰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용기부를 접을 때 사용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따. It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portion that is detachably fitted into the side portion and used to fold the container portion.

상기 측면부에 용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눈금이 표시된 계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cale may further include a weighing unit marked with a scale so as to measure a capacity.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가열 용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판상 형태를 가지도록 할 수 있어, 휴대용 가열 용기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ortable heating container is not used, it can have a plate-like shape, thereby minimizing the volume of the portable heating container. As a result, portability can be increased.

이때, 용기부와 함께 고정부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음식 조리 시 용기 형상을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의 일부를 뚜껑으로 이용할 수 있어 조리 시 음식을 좀더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으며 음식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by using the fixing portion with the container portion it can be maintained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container when cooking food. In addition, a portion of the fixing part can be used as a lid to heat food more efficiently when cooking and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foo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열 용기의 용기부의 휴대 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용기부의 음식 조리 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의 Ⅲ-Ⅲ 선을 따라서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3b 내지 도 3e는 변형예에 따른 홈부의 단면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고정부 및 용기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가열 용기의 음식 조리 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고정부의 음식 조리 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고정부의 휴대 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 따른 휴대용 가열 용기의 용기부의 휴대 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휴대용 가열 용기의 용기부의 휴대 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휴대용 가열 용기의 용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용기부의 휴대 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용기부의 음식 조리 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도 10의 용기부의 실물 사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n carrying the container portion of a portable heat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n cooking food in the container of FIG. 1.
3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FIG. 1.
3B to 3E are cross-sectional views of grooves according to a modifica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n cooking food of the portable heating container including a fixed portion and a container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n cooking food in the fixing part of FIG. 4.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n carrying the fixing part of FIG. 5;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n carrying the container portion of a portable heating container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n the container portion of the portable heating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ainer portion of a portable heating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when carrying the container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n cooking food in the container of FIG. 10. FIG.
12A and 12B are actual photographs of the container part of FIG. 10.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고,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thicknesses are enlarged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various layers and regions, and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like parts are denoted by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Whenever a portion of a layer, film, region, plate, or the like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portion, it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on" another portion, but also the case where there is another portion in between. Conversely, when a part is "directly over" another part, it means that there is no other part in the middle.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열 용기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ortable heat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열 용기의 용기부의 휴대 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용기부의 음식 조리 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n carrying the container portion of the portable heat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n cooking food of the container portion of FIG.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열 용기(10)는, 휴대 시 판상 형태를 가지는 용기부(100)를 포함한다. 이때, 용기부(100)에 홈부(130)가 형성되며, 이 홈부(130)를 이용하여 용기부(100)를 접어 음식이 위치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입체 형상을 가지도록 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용기부(100)는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중앙부(110) 및 양쪽 가장자리 쪽에 위치하는 측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부(110)와 측면부(120)의 경계에 홈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portable heating contain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ntainer part 100 having a plate shape when being carried. At this time, the groove portion 130 is formed in the container portion 100, by using the groove portion 130 to fold the container portion 100 to have a three-dimensional shape having an internal space where the food is located. More specifically, the container portion 100 may include a central portion 110 positioned at the center portion and side portions 120 positioned at both edges thereof. The groove 130 may be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central portion 110 and the side portion 120.

이때, 측면부(120)는 용기부(100)의 장축 방향에서의 양쪽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단축 가장자리(121, 122)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중앙부(110)와 측면부(120)의 경계에 위치한 홈부(130)는 단축 가장자리(121, 122)의 양쪽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면, 이 홈부(130)를 기준으로 측면부(120)를 중앙부(110) 쪽으로 접어 단축 가장자리(121, 122) 및 장축 가장자리(123, 124)를 상부 쪽으로 위치하도록 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공간을 가지는 용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ide portion 120 may be located at both edges in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container portion 100, and may be formed to include shorter edges 121 and 122. More specifically, the groove 130 locat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central portion 110 and the side portion 120 may have a curved shape connecting both edges of the short edges 121 and 122. Then, the side portion 120 is folded toward the center portion 110 with respect to the groove portion 130 so that the short axis edges 121 and 122 and the long axis edges 123 and 124 are positioned upwards, as shown in FIG. 2. It may have a container shape having an internal space.

도 3a 내지 도 3e을 참조하여 홈부(130)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는 도 1의 Ⅲ-Ⅲ선을 따라서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3b 내지 도 3e는 변형예에 따른 홈부(130)의 단면도들이다. The groove 1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3E. 3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1. 3B to 3E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groove 130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도 3a를 참조하면, 홈부(130)에서는 용기부(100)의 상면에서 오목한 형태(131)를 가지면서 하면에서는 볼록한 형태(132)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오목한 형태(131)의 깊이가 볼록한 형태(132)의 두께와 동일하여, 홈부(130)에서의 두께가 중앙부(110) 및 측면부(1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는, 도 3b를 참조하면, 오목한 형태(131)의 깊이가 볼록한 형태(132)의 두께보다 커서 홈부(130)에서의 두께가 중앙부(110) 및 측면부(120)보다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도 3b와 반대로, 도 3c와 같이 오목한 형태(131)의 깊이가 볼록한 형태(132)의 두께보다 작아서 홈부(130)에서의 두께가 중앙부(110) 및 측면부(120)보다 상대적으로 클 수도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3A, the groove 130 may have a concave shape 132 at the lower surface thereof while having a concave shape 131 at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100. In this case, the depth of the concave shape 131 is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convex shape 132, so that the thickness in the groove 130 may have a thicknes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entral portion 110 and the side portion 120. Alternatively, referring to FIG. 3B, the depth of the concave shape 131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nvex shape 132 so that the thickness in the groove 130 may be relatively smaller than the center portion 110 and the side portion 120. Contrary to FIG. 3B, the depth of the concave form 131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nvex form 132, as shown in FIG. 3C, so that the thickness in the groove 130 may be relatively greater than the central portion 110 and the side portion 120. .

일례로, 홈부(130)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서의 두께(T1)에 대한 홈부(130)가 형성된 부분의 두께(T2)의 비율(T2/T1)이 0.05~3일 수 있다. 상기 비율이 0.05 미만이면 홈부(130) 부분에서 용기부(100)의 기계적 특성이 저하되어 용기부(100)가 찢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비율이 3을 초과하면 홈부(130) 부분을 이용하여 용기부(100)를 접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For example, the ratio T2 / T1 of the thickness T2 of the portion where the groove 130 is formed to the thickness T1 in the portion where the groove 130 is not formed may be 0.05 to 3. If the ratio is less than 0.05,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ontainer part 100 in the groove 130 may be degraded, causing problems such as tearing of the container part 100. When the ratio exceeds 3, it may be difficult to fold the container part 100 using the groove part 130.

그리고 홈부(130)의 선폭은 0.3~30mm일 수 있다. 선폭이 0.3mm 미만이면 홈부(130)를 이용하여 용기부(100)를 접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며, 선폭이 30 mm를 초과하면 홈부(130)가 불필요하게 많은 면적을 차지하게 될 수 있다. And the line width of the groove 130 may be 0.3 ~ 30mm. If the line width is less than 0.3mm, it may be difficult to fold the container portion 100 using the groove portion 130. If the line width exceeds 30mm, the groove portion 130 may occupy an unnecessarily large area.

도 3a 내지 도 3c에서는 하나의 홈부(130)에서 오목한 형태(131) 및 볼록한 형태(132)가 단일로 구비되어 홈부(130)의 단면 형태가 반원 형상 또는 옴(Ω) 기호의 역상 형태를 가지는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일례로 도 3d 및 도 3e에서와 같이, 하나의 홈부(130)에서, 오목한 형태(131) 및 볼록한 형태(132)가 복수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오목한 형태(131) 및 볼록한 형태(132)를 복수로 구비하여 용기부(100)를 좀더 쉽게 접을 수 있다. In FIGS. 3A to 3C, a concave shape 131 and a convex shape 132 are provided in a single groove portion 130 so that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groove portion 130 has a semicircular shape or an inverted shape of an om symbol. Illustra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3D and 3E, in one groove 130, a plurality of concave shapes 131 and convex shapes 132 may be provid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ainer part 100 may be more easily folded by providing a plurality of the concave shape 131 and the convex shape 132.

이와 같은 홈부(13)에 의하여 휴대 시에는 용기부(100)가 판상 형태를 가지고, 음식 조리를 위하여 측면부(120)를 안쪽으로 밀면 측면부(120)가 접힌 상태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홈부(130)는 탄성 변형 또는 소성 변형에 의하여 접힐 수 있다. 조리 후에는 다시 측면부(120)를 펴서 용기부(100)가 판상 형태를 가지도록 한다. When the mobile unit 13 is carried by the groove 13, the container unit 100 may have a plate shape, and when the side unit 120 is pushed inward for food cooking, the side unit 120 may be kept in a folded state. At this time, the groove 130 may be folded by elastic deformation or plastic deformation. After cooking, the side portion 120 is extended again so that the container portion 100 has a plate shape.

일례로, 용기부(100)는 연질 또는 경질 스테리인스, 알루미늄, 인-청동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용기부(100)는 열 전도도가 높아 음식 조리 시 열이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면서 입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xample, the container portion 100 may include soft or hard stainless steel, aluminum, phosphorus-bronze, and the lik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the container part 100 may include various materials capable of maintaining a three-dimensional state while allowing heat to be efficiently transmitted when cooking food due to high thermal conductivity.

본 실시예의 홈부(130)를 구비하는 용기부(100)는 프레스 등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설명에서는 용기부(100)가 휴대 시 판상 현상을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측면부(120)를 일정 각도로 세운 상태로 프레스하여 용기부(100)를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부(100)의 제조 방법은 상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상술한 홈부(130)를 구비하는 용기부(100)를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container part 100 having the groove part 13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manufactured by a press or the like. At this time,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ontainer portion 100 has been described as having a plate-like phenomenon when carrying,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it is also possible to manufacture the container portion 100 by pressing the side portion 120 in an upright stat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ntainer portion 100 can be manufactured of the container portion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groove portion 130 by a variety of methods.

상술한 바와 같은 용기부(100)로 구성된 휴대용 가열 용기(10)는 휴대 시에 판상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휴대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The portable heating container 10 composed of the container part 100 as described above can minimize the volume by having a plate-like shape when carrying, thereby improving portability.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및 변형예에 따른 휴대용 가열 용기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portable heating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extremely similar configurations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structure different from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is demonstrated in detail.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고정부 및 용기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가열 용기의 음식 조리 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고정부의 음식 조리 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5의 고정부의 휴대 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od cooking state of a portable heating container including a fixing part and a container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ood cooking state of the fixing part of FIG. 4.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carrying the fixing unit of FIG. 5.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열 용기(20)는, 도 1에 도시된 용기부(100)와 함께, 용기부(100)를 고정하는 고정부(200)를 포함한다. 음식 조리를 위한 입체 형상을 가지는 용기부(100)를 고정부(200)의 내부에 끼우면, 용기부(100)를 좀더 견고하게 입체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4 and 5, the portable heating containe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xing part 200 for fixing the container part 100 together with the container part 100 shown in FIG. 1. do. When the container part 100 having a three-dimensional shape for food cooking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art 200, the container part 100 may be more firmly maintained in the three-dimensional shape.

음식 조리 시 고정부(200)는 양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고정부(200)는 하면부(202), 측면부(204, 206) 및 상면부(208)을 포함할 수 있다. 상면부(208)는, 용기부(100)의 양쪽의 측면부(120)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부분(208a, 208b)와, 용기부(100)의 중앙부(110)에 대응하는 제3 부분(208c)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부분(208c)에는 고리(212)를 형성하여, 이 고리(212)를 이용하여 제3 부분(208c)을 뚜껑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부(212)의 상면부(208)의 일부를 뚜껑으로 이용할 수 있어, 조리 시 음식을 좀더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으며 음식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food is cooked, the fixing part 200 may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of which both sides are opened. More specifically, the fixing part 200 may include a lower surface portion 202, side surfaces 204 and 206, and an upper surface portion 208. The upper surface portion 208 includes first and second portions 208a and 208b corresponding to both side portions 120 of the container portion 100 and a thir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portion 110 of the container portion 100. It may include a portion 208c. A ring 212 is formed in the third portion 208c, and the ring 212 can be used to use the third portion 208c as a lid. Thus, a part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208 of the fixing portion 212 can be used as a lid, it is possible to heat the food more efficiently when cooking and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food.

상면부(208)는 뚜껑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하면부(202) 및 측면부(204, 206)는 열이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격자 형상의 리브(rib)로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portion 208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to be used as a lid, and the lower surface portion 202 and the side portions 204 and 206 may be formed of a grid-shaped rib so that heat can be transmitted efficiently. Can be.

상술한 하면부(202), 측면부(204, 206) 및 상면부(208)는 서로 힌지부(210)에 의하여 체결되어, 휴대 시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200)를 접어 판상 형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The lower surface part 202, the side parts 204 and 206, and the upper surface part 208 are fastened to each other by the hinge part 210, and when carrying, the fixing part 200 is folded and plate-shaped as shown in FIG. It can have a shape.

이와 같이 용기부(100)와 고정부(200)를 포함하여 용기부(100)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경우에도, 용기부(100) 및 고정부(200)를 모두 판상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휴대 시에 휴대용 가열 용기(20)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container part 100 including the container part 100 and the fixing part 200 is firmly fixed, both the container part 100 and the fixing part 200 have a plate shape. The volume of the portable heating vessel 20 can be minimized.

상술한 용기부(100)의 형상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데,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shape of the container portion 100 described above can be variously modified, with reference to Figures 7 to 9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7은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 따른 휴대용 가열 용기의 용기부의 휴대 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n carrying the container portion of a portable heating container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의 용기부(100)에서는 홈부(130)가 변곡점 없이 중앙부(110)를 향하여 돌출되는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반면, 도 7의 용기부(100a)에서는 홈부(130a)가 변곡점을 가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the container portion 100 of FIG. 1, the groove portion 130 has a convex shape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portion 110 without an inflection point, whereas in the container portion 100a of FIG. 7, the groove portion 130a has a shape having an inflection point. Can be.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휴대용 가열 용기의 용기부의 휴대 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n the container portion of the portable heating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의 용기부(100)는 사각형을 이루어 그 모서리가 직각으로 형성되는 반면, 도 8의 용기부(100b)는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때, 도 1의 용기부(100)는 음식 조리 시의 입체 형상에서 뾰족한 모서리를 가지게 되어, 이 뾰족한 모서리에 의하여 용기부(100)를 고정부(200)에 좀더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8의 용기부(100b)에서는 모서리 부분을 라운드지게 형성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다른 변형예로, 용기부(100)의 일부 모서리는 직각으로 형성하고, 나머지 모서지는 라운드지게 형성할 수도 있다. The container part 100 of FIG. 1 has a quadrangular shape and its corners are formed at right angles, while the container part 100b of FIG. 8 is formed to have rounded corners. At this time, the container portion 100 of Figure 1 has a pointed edge in the three-dimensional shape when cooking, it is possible to more firmly fix the container portion 100 to the fixed portion 200 by this pointed corner. In the container portion 100b of FIG. 8, the corner portion may be rounded to promote safety of the user. In another variation, some corners of the container portion 100 may be formed at right angles, and the remaining edges may be rounded.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휴대용 가열 용기의 용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ainer portion of a portable heating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변형예에서는 바닥 부분(110c)과 측면 부분(120c)을 구비하는 용기부(100c)를 포함한다. 용기부(100c)의 바닥 부분(110c)은 곡면 또는 평평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닥 부분(110)에 이에 연결되는 측면 부분(120)은 평면으로 볼 때 상부로 향하면서 평면적이 넓어지며, 측면 부분(120)에서 볼록부와 오목부가 교번하여 형성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present modification includes a container portion 100c having a bottom portion 110c and a side portion 120c. The bottom portion 110c of the container portion 100c may be formed as a curved surface or a flat surface. In addition, the side portion 120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110 may have a planar area extending upward when viewed in a plan view, and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convex portion and the concave portion are alternately formed in the side portion 120.

다른 변형예로 바닥 부분(110c)과 측면 부분(120c)의 경계에는 원형의 홈부(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할 수 있다. Alternatively, a circular groove portion (not shown) may be provid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bottom portion 110c and the side portion 120c.

이러한 형상을 가지면 음식 조리 시 용기부(100) 내에 위치하는 음식에 열을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어, 압력이 낮거나 바람이 불어 음식의 상부 부분에 열이 잘 전달되지 않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With such a shape, it is possible to uniformly transfer heat to the food located in the container portion 100 when cooking food, thereby solving a problem such that heat is not transferred well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ood due to low pressure or wind. .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용기부의 휴대 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용기부의 음식 조리 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10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n carrying a container unit according to still another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n cooking food of the container unit of FIG. 10.

도 10을 참조하면, 본 변형예의 용기부(100d)는, 홈부(130d)를 경계로 내부에 위치하는 중앙부(110d)와, 중앙부(110d)의 외측에 위치하는 측면부(120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홈부(130)가 양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도 1 및 2의 실시예와는 달리 본 변형예에서는 홈부(130d)가 네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네 가장자리에 홈부(130d)가 모두 형성되어, 조리 시 상태(즉, 도 11의 상태)에서 내부 부피(즉, 음식물이 위치하는 부분의 부피)를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으며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container portion 100d according to the present modification may include a central portion 110d positioned inside the groove 130d and a side portion 120d positioned outside the central portion 110d. have. At this time, unlike the embodiment of FIGS. 1 and 2 where the groove 130 is located at both edges, the groove 130d is positioned at four edges in the present modification. As such, all of the grooves 130d are formed at the four edges, thereby sufficiently securing the internal volume (that is, the volume of the portion where the food is located) in the cooking state (that is, the state of FIG. 11) and improving stability. Can be.

좀더 상세하게 홈부(130d)는, 용기부(100d)의 네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네 개의 제1 홈부(131)과, 용기부(100d)의 각 모서리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제1 홈부들(131)로 분지(分枝)되는 복수의 제2 홈부들(132)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 홈부(131)는 용기부(100d)의 가장자리를 따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부(110d)와 측면부(120d)의 경계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홈부(132)는 상기 용기부(100d)의 모서리로부터 제1 홈부(131)까지 연장되어 측면부들(120d) 사이의 경계에 위치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groove portion 130d includes four first groove portions 131 formed along four edges of the container portion 100d, and two first groove portions extending from each corner of the container portion 100d and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second grooves 132 branched to 131. The first groove 131 may be formed in parallel along the edge of the container portion 100d and may be position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central portion 110d and the side portion 120d. In addition, the second groove 132 may extend from the edge of the container portion 100d to the first groove 131 and be located at a boundary between the side portions 120d.

제2 홈부(132)는 제1 홈부(131)에 인접한 부분, 즉, 제2 홈부(132)에서 두 개의 제1 홈부(131)로 분지되는 부분에서 곡선 부분(P)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곡선 부분(P)은 120mm 이하의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곡률 반경이 120mm를 초과하면 조리 시 상태(즉, 도 11의 상태)에서 내부 부피(즉, 음식물이 위치하는 부분의 부피)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좀더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곡선 부분(P)의 곡률 반경이 10~120mm일 수 있다. 곡선 부분(P)의 곡률 반경이 10mm 미만이면 이 부분에서 용기부(100d)에 불필요한 주름이 생기거나 용기부(100d)가 잘 접히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e second groove portion 132 may have a curved portion P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first groove portion 131, that is, at a portion branched from the second groove portion 132 into two first groove portions 131. This curved portion P may have a radius of curvature of 120 mm or less. If the radius of curvature exceeds 120mm, the internal volume (ie, the volume of the portion where the food is located) may not be sufficient in the cooking state (ie, the state of FIG. 11). More preferably,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urved portion P may be 10 ~ 120mm. If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urved portion P is less than 10 mm, problems such as unnecessary wrinkles may occur in the container portion 100d or the container portion 100d may not be folded well at this portion.

본 변형예에서 용기부(100d)의 각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고, 제2 홈부(132)는 용기부(100d)의 모서리 부분에서 깊이가 점진적으로 줄어들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용기부(100d)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모서리 부분에 의하여 다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modification, each corner of the container part 100d may be rounded, and the second groove part 132 may be formed to be rounded by gradually decreasing the depth at the corner part of the container part 100d. This can effectively prevent the user using the container portion 100d from being injured by the edge portion.

측면부(120d)에는 조리 시 상태에서 내부 부피(용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눈금을 표시하는 계량부(146)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계량부(146)는 프레스에 의하여 원하는 형상을 돌출 또는 몰입시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한 용량을 사용하여야 할 경우에 조리 시 계량부(146)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원하는 용량을 용기부(100d)에 넣을 수 있다. The side portion 120d may be provided with a metering unit 146 displaying a scale so that the internal volume (capacity) can be measured in a cooking state. In one example, the metering unit 146 may be formed by protruding or immersing a desired shape by a press. Accordingly, when a specific dose is to be used, the desired dose can be easily put into the container portion 100d by using the metering unit 146 during cooking.

그리고 제2 홈부(312)를 경계로 인접한 측면부들(120d)에 각기 고리용 구멍(14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리용 구멍(140)에 고정용 고리(142)를 끼워 조리 시 측면부들(120d)이 좀더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The ring holes 140 may be formed in the side portions 120d adjacent to the second groove portion 312. As shown in FIG. 11, the side hooks 120d may be more firmly fixed when the fixing hook 142 is inserted into the hook hole 140 when cooking.

또한, 측면부(120d)에 분리 탁찰 가능하게 끼워지며 용기부(100d)를 접을 때 사용하는 손잡이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144)는 내부에 측면부(120d)가 끼워지는 홈(144a)과, 손가락에 대응하도록 움푹하게 패여서 손가락을 고정하는 손가락 고정부(144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부(144)는 In addition, it may include a handle portion 144 that is fitted to the side wall portion 120d so as to be detachable and used when folding the container portion 100d. The handle part 144 may include a groove 144a into which the side part 120d is fitted, and a finger fixing part 144b which is recess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nger and fixes the finger. This handle 144 is

따라서, 용기부(100d)를 조리 시 상태로 접을 때 양쪽 측면부(120d)에 각기 손잡이부(144)를 끼우로 이를 이용하여 측면부(120d)를 쉽게 접고, 조리 시에는 측면부(120d)로부터 손잡이부(144)를 빼서 따로 보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부(100d)를 접을 때 사용자에게 불편감을 주거나 사용자가 다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container portion 100d is folded in the cooking state, the side portions 120d are easily folded using the grip portions 144 on both side portions 120d, and the handle portion from the side portions 120d when cooking. (144) can be removed and stored separately. Accordingly, when the container portion 100d is folded, problems such as inconvenience to the user or injury to the user can be prevented.

상술한 곡선 부분(P)의 곡률 반경, 모서리 부분의 형상, 고리용 구멍(140), 계량부(146), 손잡이부(144)는 다른 변형예 및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변형예들에 따른 용기부들은 도 2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도 4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고정부(20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urved portion P, the shape of the corner portion, the ring hole 140, the metering portion 146, and the handle portion 144 described above may be applied to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which are also present inventions. Belongs to the scope of.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tainer parts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s may be used alone as in the embodiment of FIG. 2, or may be used together with the fixing part 200 as in the embodiment of FIG. 4.

참조를 위하여, 도 12a 및 도 12b에는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 따른 용기부(100d)의 실물 사진을 첨부하였다. 도 12a 및 도 12b는 도 10 및 도 11의 변형예에 따른 용기부의 실물 사진이다. (참고로, 고리용 구멍(140), 손잡이부(144)를 구비하지 않은 상태이다.)For reference, FIGS. 12A and 12B are attached with real photographs of the container part 100d according to one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2A and 12B are real photos of the container part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of FIGS. 10 and 11. (For reference, the ring hole 140 and the handle portion 144 is not provided.)

상술한 바에 따른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ncluded 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nly one embodiment. Further, 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illustrated in the embodiments may be combined or modified in other embodi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combinations and modifications.

Claims (19)

판상 형태를 가지며 홈부가 형성되는 용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홈부를 이용하여 상기 용기부를 접어 음식이 위치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입체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휴대용 가열 용기.
A container portion having a plate shape and in which grooves are formed,
A portable heating container using the groove to fold the container to have a three-dimensional shape having an internal space where food is loc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가 형성된 상기 용기부의 단면은, 상면에서는 오목한 형태를 가지고 하면에서는 볼록한 형태를 가지는 휴대용 가열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ross section of the said container part in which the said groove part was formed has a concave shape in the upper surface, and has a convex shape in the lower surf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홈부에서, 상기 오목한 형태 및 상기 볼록한 형태가 단일로 구비되는 휴대용 가열 용기.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one groove portion, the portable heating container is provided with the concave shape and the convex shape as a sing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단면 형태가 반원 형상인 휴대용 가열 용기.
The method of claim 3,
Portable heating container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groove portion semi-circula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홈부에서, 상기 오목한 형태 및 상기 볼록한 형태가 복수로 구비되는 휴대용 가열 용기.
The method of claim 2,
A portable heating contain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aid concave shape and said convex shape in said one groove pa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선폭이 0.3~30 mm인 휴대용 가열 용기.
The method of claim 2,
Portable heating container having a line width of the groove portion 0.3 ~ 30 m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서의 두께에 대한 상기 홈부가 형성된 부분의 두께의 비율이 0.05~3인 휴대용 가열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ratio of the thickness of the part in which the said groove part was formed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in the part in which the said groove part is not formed is a portable heating contai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상기 홈부를 경계로 내부에 위치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가열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ainer portion is a portable heating container including a central portion located inside the border with the groove portion and a side portion located outside the central por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가 양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휴대용 가열 용기.
9. The method of claim 8,
Portable heating container in which the side portions are located at both edg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가 네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휴대용 가열 용기.
9. The method of claim 8,
A portable heating container in which the side portions are located at four edg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용기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중앙부와 상기 측면부의 경계에 위치하는 제1 홈부와,
상기 용기부의 모서리로부터 상기 제1 홈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측면부들 사이의 경계에 위치하는 제2 홈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가열 용기.
9. The method of claim 8,
[0028]
A first groove formed in parallel along an edge of the container and positioned at a boundary between the central portion and the side portion;
And a second groove portion extending from an edge of the container portion to the first groove portion and positioned at a boundary between the side portion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홈부는 상기 제1 홈부에 인접한 부분에서 곡선 부분을 가지는 휴대용 가열 용기.
The method of claim 11,
And the second groove portion has a curved portion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first groove por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부분은 120mm 이하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휴대용 가열 용기.
The method of claim 12,
And the curved portion has a radius of curvature of 120 mm or les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홈부는 상기 용기부의 모서리 부분에서 깊이가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휴대용 가열 용기.
The method of claim 11,
And the second groove portion gradually decreases in depth at an edge portion of the container por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부는, 상기 용기부의 각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제1 홈부들로 구성되고,
상기 제2 홈부는, 상기 용기부의 각 모서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홈부들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제1 홈부들로 분지(分枝)되는 복수의 제2 홈부들로 구성되는 휴대용 가열 용기.
The method of claim 11,
The first groove por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irst groove portions formed along each edge of the container portion,
And the second groove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groove portions extending from each corner of the container portion and branched into two first groove portions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first groove portions.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홈부는 분지되는 부분에서 곡선 부분을 가지는 휴대용 가열 용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the second groove portion has a curved portion at the branched por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홈부를 경계로 인접한 상기 측면부들에 각기 고리용 구멍이 형성되는 휴대용 가열 용기.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hole for each ring is formed in the side portions adjacent to the second groove por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에 분리 탁찰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용기부를 접을 때 사용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가열 용기.
9. The method of claim 8,
Portable heating container further includes a handle portion that is detachably and fitted to the side portion used to fold the container por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에 용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눈금이 표시된 계량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가열 용기.
9. The method of claim 8,
Portable heating container further comprises a weighing unit marked with a scale so that the capacity can be measured in the side portion.
KR1020110072930A 2011-05-24 2011-07-22 Portable heating container Withdrawn KR20120131079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930A KR20120131079A (en) 2011-05-24 2011-07-22 Portable heating container
PCT/KR2012/004092 WO2012161523A2 (en) 2011-05-24 2012-05-24 Portable heating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910 2011-05-24
KR1020110072930A KR20120131079A (en) 2011-05-24 2011-07-22 Portable heating containe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487A Division KR101167832B1 (en) 2012-01-11 2012-01-11 Portable heating con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079A true KR20120131079A (en) 2012-12-04

Family

ID=47515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2930A Withdrawn KR20120131079A (en) 2011-05-24 2011-07-22 Portable heating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107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12713A1 (en) 2012-11-19 2014-05-22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12713A1 (en) 2012-11-19 2014-05-22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DE102013112713B4 (en) 2012-11-19 2019-03-28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31079A (en) Portable heating container
JP5075237B2 (en) Food packaging container
KR101167832B1 (en) Portable heating container
JP3142815U (en) Footbath bag
KR200459025Y1 (en) Portable Cookware Being Made of Paper
US11426025B1 (en) Chemically heated chafing dish
CN210455533U (en) Food box for microwave heating
KR101372873B1 (en) Folding type receptacle
KR200470617Y1 (en) Cooking container
JP5404254B2 (en) Hot water bottle
JP2011244880A (en) Cosmetic container
JP3234286U (en) Cooking pot
KR102582969B1 (en) A lid for cooking instant food
KR20200091079A (en) Holder for cup noodle
US11826304B2 (en) Steaming station
RU198547U1 (en) Thermal insulation packaging for instant food concentrates
KR20130031400A (en) Cup noodles container
KR20160004007U (en) Foldable foot bathing device
JP3549821B2 (en) Storage container for sliced food such as ham
JP7343367B2 (en) assembly toilet
JP2009040458A (en) Tray
CN215838240U (en) Portable dinner plate
WO2015042993A1 (en) Lunch box
JP3173786U (en) Incubator for cooked pots
CN210883446U (en) Disposable hand bas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22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111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