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2873B1 - Folding type receptacle - Google Patents

Folding type recepta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2873B1
KR101372873B1 KR1020120052899A KR20120052899A KR101372873B1 KR 101372873 B1 KR101372873 B1 KR 101372873B1 KR 1020120052899 A KR1020120052899 A KR 1020120052899A KR 20120052899 A KR20120052899 A KR 20120052899A KR 101372873 B1 KR101372873 B1 KR 101372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embossing
forming
corn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8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28830A (en
Inventor
조순익
Original Assignee
조순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순익 filed Critical 조순익
Priority to KR1020120052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2873B1/en
Publication of KR20130128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88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8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일정 면적의 패널 구조로 이루어져 용기 형성을 위한 베이스 패널이 되는 용기 포밍 패널(10)과; 상기 용기 포밍 패널(10)을 바텀 포밍편(12)과 월 포밍편(14)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용기 패널에 형성된 기준 엠보싱(20)을 포함하며, 상기 엠보싱(20)은 상기 용기 포밍 패널(10)의 둘레부 라인의 안쪽 위치에 배치되어 연속적으로 이어져 형성된 이너 엠보싱(22)과; 상기 이너 엠보싱(22)의 각각의 코너부에서 상기 용기 포밍 패널(10)의 코너부로 이어져 형성된 코너 엠보싱(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ldable contain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anel forming panel 10 consisting of a panel structure of a predetermined area and becomes a base panel for forming a container; A reference embossing 20 formed on the container panel so as to partition 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into a bottom forming piece 12 and a wall forming piece 14, wherein the embossing 20 includes 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An inner embossing 22 which is disposed at an inner position of the circumferential line of the back and continues continuously; And a corner embossing 24 formed at each corner of the inner embossing 22 to the corner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Description

접이식 용기{Folding type receptacle}Folding container {Folding type receptacle}

본 발명은 접이식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로 접어서 사용할 때에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용기를 접을 때에도 보다 용이하고 용기의 일부(특히, 측면 부분)에서 꺾임이 방지되며, 용기의 평면도를 고르게 유지하여 사용성 등에서도 편리한 새로운 접이식 용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phenomena occurring when folded into a container, to facilitate the folding of the container, to prevent bending at a portion of the container (especially the side portion), It relates to a new foldable container that maintains evenly and is convenient in usability.

일반적으로, 밥이나 찌게, 국과 같은 음식은 용기에 담아서 먹게 되는데, 등산, 야유회나 나들이를 하는 것과 같이 야외에서 활동하다가 냄비를 사용하는 음식(찌게, 국, 라면과 같은 요리 또는 팬을 사용하는 요리)를 하기 위해서 용기가 필요하게 된다. 야외 활동시에는 여러 사람이 먹을 분량의 음식을 싸가지고 가서 적절한 때에 음식을 나누어 먹게 되는데, 특히 국물이 있는 음식을 나누어 먹을 때에도 용기가 필요하다.In general, food such as rice, steamed rice, soup, etc. are eaten in a container, such as hiking, outings, or outings, and using a pot (such as steamed rice, soup, ramen, etc.) You need a container to cook. During outdoor activities, many people bring their own food to eat and share food when appropriate, especially when sharing foods with broth.

그런데, 대부분의 용기는 일정한 부피가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와 같이 야외 활동시에 부피가 있는 용기를 가지고 다니기에는 불편한 단점이 있다. 즉, 일반적인 용기는 정형화된 형상 및 부피를 갖는 형태로 공급되므로, 운반시 용기가 차지하는 공간이 있어서 다른 물품과 함께 가방 등에 넣어서 휴대하기 불편한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다.By the way, most of the container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onstant volum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carry a bulky container when outdoor activities as described above. That is, since the general container is supplied in a form having a standardized shape and volu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space occupied by the container at the time of transportation, so that it is inconvenient to carry by putting it in a bag together with other articles.

최근에는 운반할 때에는 판형태로 콤팩트하게 펼쳐서 가방 등에 수납할 때에 공간을 차지하는 비율을 줄여주고, 사용시에는 용기 형태로 접어서 사용하는 접이식 용기가 제공되는 것도 있는데, 이러한 종래 접이식 용기는 패널 형태에서 용기 형태로 접어서 사용할 때에 벌어지는 현상이 생겨서 불편하고, 용기를 접을 때에도 비교적 쉽지 않으면서도 부분적으로 꺾임이 생겨서 용기의 모양도 잘 안나오고 사용시에도 불편하며, 버너 등에 데워서 먹을 때에는 용기의 평면도를 고르게 유지되지 못하여 불안한 등의 불편을 끼치는 것과 같은 여러 문제가 있다.
In recent years, when transporting, it is spread in a compact form in a plate shape to reduce the space occupied when storing it in a bag or the like, and in use, a folding container used to be folded in a container form is provided. It is uncomfortable due to the phenomenon that occurs when folded and used, and it is relatively easy even when folding the container, and it is partially broken, and the shape of the container is not good, and it is inconvenient when using it. There are several problems, such as causing inconvenience.

본 발명의 목적은 구배 주름 엠보싱을 구비하여 용기로 접어서 사용할 때에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역주름 엠보싱을 구비하여 용기를 접을 때에도 보다 용이하고 용기의 일부(특히, 측면 부분)에서 꺾임이 방지되며, 용기 바닥부의 엠보싱에 의해 용기의 평면도를 고르게 유지하여 버너 받침판의 사용이 용이한 것과 같이 사용성 등에서도 우수한 새로운 구조의 접이식 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gradient pleated embossing to prevent a phenomenon that occurs when folded into the container, and equipped with a back wrinkle embossing to facilitate folding even when the container is folded and to prevent bending at a part (particularly, side) of the container, By embossing the bottom of the container to maintain the evenness of the container evenly to provide a foldable container of a new structure excellent in usability, such as easy to use the burner support plat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일정 면적의 사각 패널 구조로 이루어져 용기 형성을 위한 베이스 패널이 되는 용기 포밍 패널과; 상기 용기 포밍 패널을 바텀 포밍편과 월 포밍편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용기 패널에 형성된 기준 엠보싱을 포함하며, 상기 기준 엠보싱은 상기 용기 포밍 패널의 둘레부 라인의 안쪽 위치에 배치되어 연속적으로 이어져 형성된 이너 엠보싱과; 상기 이너 엠보싱의 각각의 코너부에서 상기 용기 포밍 패널의 각 코너부로 이어져 형성된 코너 엠보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용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container forming panel which is made of a rectangular panel structure of a predetermined area and becomes a base panel for forming a container; A reference embossing formed in the container panel so as to divide the container forming panel into a bottom forming piece and a wall forming piece, wherein the reference embossing is disposed at an inner position of a circumferential line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and is continuously formed. and; A folding container is provided, comprising corner embossing formed from each corner portion of the inner embossing to each corner portion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상기 이너 엠보싱은 네 개의 이너 엠보싱 라인의 양단부가 각각 이어져 형성되고, 상기 이너 엠보싱 라인은 상기 용기 포밍 패널의 중심부를 향하여 안쪽으로 볼록한 호형상의 엠보싱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너 엠보싱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용기 포밍 패널의 상기 월 포밍편을 세워서 내부에 수용 공간부가 있는 포밍 완성 용기를 형성할 때에 상기 월 포밍편이 상기 포밍 완성 용기의 바텀 포밍편의 중심부를 향하여 호형으로 볼록하게 벤딩되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ner embossing is formed by connecting both ends of the four inner embossing lines, respectively, and the inner embossing line is configured by an arc-shaped embossing which is convex inward toward the center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and the container is based on the inner embossing line. When the wall forming piece of the forming panel is erected to form a forming finished container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the wall forming piece is configured to be convexly curved in an arc toward the center of the bottom forming piece of the forming container to maintain the standing state. It features.

상기 코너 엠보싱은 상기 이너 엠보싱에서 상기 용기 포밍 패널의 각 코너부를 향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이어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이너 엠보싱 라인과 상기 코너 엠보싱에 의해 상기 월 포밍편을 상기 바텀 포밍편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호형으로 볼록하게 벤딩시켜 세워줄 때에 상기 코너 엠보싱에 의해 상기 포밍 완성 용기의 네 코너부에 서포트 윙이 형성되고, 상기 코너 엠보싱에 의해 형성된 상기 서포트 윙은 상기 월 포밍편의 호형 벤딩 라인과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서포팅 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rner embossing is configured to extend diagonally toward each corner portion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in the inner embossing, and the wall forming piece is arc-shaped based 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forming piece by the inner embossing line and the corner embossing. The support wings are formed at the four corners of the forming completion container by the corner embossing when the convex bend is made up, and the support wings formed by the corner embossing are connected to the arc bending line of the wall forming piece continuously. It is characterized by forming.

상기 이너 엠보싱에 의해 구획된 상기 월 포밍편에는 상기 이너 엠보싱에 인접 위치에서 시작되어 상기 용기 포밍 패널의 둘레부 라인에 인접되는 위치까지 이어지며 동시에 상기 코너 엠보싱의 돌출되는 면과 반대되는 면으로 돌출된 역주름 엠보싱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all forming piece partitioned by the inner embossing starts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inner embossing and continues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circumferential line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and simultaneously protrudes from a surface opposite to the protruding surface of the corner emboss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back wrinkle embossing is further provided.

상기 월 포밍편에는 상기 이너 엠보싱에서 상기 용기 포밍 패널의 각 코너부를 향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이어지도록 코너 엠보싱이 구비되고, 상기 역주름 엠보싱은 상기 코너 엠보싱을 기준으로 양쪽 위치에 대칭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wall forming piece is provided with a corner embossing so as to extend diagonally toward each corner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in the inner embossing, and the reverse wrinkle embossing is formed in a pair so as to be symmetrical at both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corner embossing. desirable.

상기 용기 포밍 패널의 상기 바텀 포밍편에는 루프형 엠보싱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bottom forming piece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is preferably further provided with a loop embossing.

상기 용기 포밍 패널의 둘레부 라인은 적어도 두 겹 이상으로 중첩되도록 벤딩된 컬링부로 구성하여, 상기 용기 포밍 패널의 둘레부 라인의 끝단이 부드러운 곡면부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용기 포밍 패널을 접어서 월 포밍편으로 벽체가 형성된 포밍 완성 용기를 만들 때에 포밍 완성 용기의 월 포밍편 상단부가 부드러운 곡면부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ircumferential line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is composed of a curling part bent to overlap at least two or more layers so that the end of the circumferential line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is formed as a smooth curved portion, and the container forming panel is folded to form a wall forming piece. When the wall-forming forming container is formed, it is preferable that the wall forming piece upper end of the forming container has a smooth curved portion.

본 발명은 본 발명을 용기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용기 포밍 패널에 형성된 기준 엠보싱(정확하게는 이너 엠보싱)을 기준으로 월 포밍편을 상측으로 접어주는 힘을 작용시키면, 용기 포밍 패널 가운데의 바텀 포밍편의 둘레부에 구획된 복수개의 월 포밍편이 상기 이너 엠보싱을 기준으로 원활하게 상측으로 접어서 용기의 벽체를 형성할 수 있고, 동시에 상기 코너 포밍편을 기준으로 월 포밍편의 코너부 근접 위치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좁혀지도록 힘을 주어 눌러주면, 상기 코너 포밍편에 의해 각각의 인접한 월 포밍편이 안쪽면끼리 근접하여 용기, 다시 말해, 상기한 포밍 완성 용기의 코너부(본 발명에서는 네 코너부)에 복수개의 서포트 윙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용기 포밍 패널을 이너 엠보싱과 코너 엠보싱을 기준으로 접으면 상부에 개구부가 있으면서 내부에는 음식물 등을 담는 수용부가 있는 용기 본체부와, 이 용기 본체부의 코너부(네 코너부)에 각각 서포트 윙이 있는 구조의 포밍 완성 용기를 만들 수 있게 되며, 이처럼 만들어진 용기 내부의 수용부에 음식물을 담는 용도, 라면, 찌게 등의 국물 있는 음식 끓이기, 팬을 사용하는 요리 익히기와 같은 여러 용도의 용기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container, a force that folds the wall forming piece upward based on the reference embossing (exactly, the inner embossing) formed on the container forming panel is applied, and thus the circumference of the bottom forming piece in the center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is applied. A plurality of wall forming pieces divided into portions can be smoothly folded upward on the basis of the inner embossing to form a wall of the container, and at the same time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near the corners of the wall forming pieces with respect to the corner forming pieces. When the force is pressed to narrow, the adjacent wall forming pieces are adjacent to each other by the corner forming pieces, and the plurality of supports are provided at the corners (four corner parts in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container, that is, the above-mentioned forming completed container. Wings can be formed. That is, when the container forming panel is folded based on inner embossing and corner embossing, the container body part has an opening portion at the top and a receiving part for containing food therein, and a corner part (four corner parts) of the container body part,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make a forming container with a wing structure.It can be used to put food into the container inside the container, to make soup with broths such as ramen and steaming, and to cook dishes using a pan. It becomes usable.

이때, 본 발명에서는 용기 포밍 패널을 바텀 포밍편과 월 포밍편으로 구획하는 이너 엠보싱이 바텀 포밍편의 중심부를 향하여 볼록한 호형 이너 엠보싱 라인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이너 엠보싱(즉, 구배 주름 엠보싱이라 할 수 있음)을 기준으로 월 포밍편을 상측으로 접어서 용기의 벽체를 만들 때, 각각의 월 포밍편이 용기의 중심부 방향으로 볼록한 호형 벽체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용기를 접은 다음 월 포밍편이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용기로서의 신뢰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특히, 용기를 접어서 만들었을 때에 각 코너부에 중심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더 연장된 복수개의 서포트 윙이 형성되어, 이러한 서포트 윙에 의해 용기의 형상을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신뢰성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embossing that divides the container forming panel into a bottom forming piece and a wall forming piece is composed of an arc-shaped inner embossing line that is convex toward the center of the bottom forming piece, so that the inner embossing (that is, gradient wrinkle embossing) can be referred to. When the wall forming pieces are folded upward to form a wall of the container, each wall forming piece forms an arc wall structure convex toward the center of the container, so that the wall forming pieces are prevented from opening after the container is folded. There is, because of this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reliability as a container. In particular, when the container is folded, a plurality of support wings, which extend further radially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corner portion, are formed, and the support wings can maintain the shape of the container more firmly, thereby improving reliability in use. It can be increas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너 엠보싱에 의해 구획된 월 포밍편에는 이너 엠보싱에 인접 위치에서 시작되어 용기 포밍 패널의 둘레부 라인에 인접되는 위치까지 이어지며 동시에 코너 엠보싱의 돌출되는 면과 반대되는 면으로 돌출된 역주름 엠보싱이 더 구비되어 있어서, 용기를 접을 때에 역주름 엠보싱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용기를 접을 수 있게 되고, 용기의 측면 꺾임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ll forming piece partitioned by inner embossing starts from a position adjacent to the inner embossing and continues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circumferential line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and at the same time protrudes into a surface opposite to the projecting surface of the corner embossing. Since the reverse wrinkle embossing is further provided, when the container is folded, the container can be folded more easily by the reverse wrinkle embossing, and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lateral bending of the container.

또한, 본 발명에서는 용기 포밍 패널의 바텀 포밍편에 루프형 엠보싱이 더 구비되어 있어서, 용기를 버너 등에 올려서 사용할 때에 루프평 엠보싱에 의해 평면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용기를 보다 안정적이고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이점에서 사용성에 있어서 보다 우수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forming piece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is further provided with a loop type embossing, so that when the container is placed on a burner or the like, the flat shape can be maintained by the roof flat embossing, so that the container can be used more stably and comfortably. It is excellent in usability at this point.

그리고, 본 발명은 용기 포밍 패널의 둘레부 라인은 적어도 두 겹 이상으로 중첩되도록 벤딩된 컬링부로 구성하여, 상기 용기 포밍 패널의 둘레부 라인의 끝단이 부드러운 곡면부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용기 포밍 패널을 접어서 월 포밍편으로 벽체가 형성된 포밍 완성 용기를 만들 때에 포밍 완성 용기의 월 포밍편 상단부가 부드러운 곡면부로 구성되어, 촉수(손이 닿는 부분)되는 부분에서 날카로운 부분을 제거한 구조이므로, 용기 취급시 날카로운 부분에 촉수로 인하여 찰과상을 입는 경우 등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보다 안전한 용기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urling portion bent so that the circumferential line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overlaps at least two or more layers, so that the end of the circumferential line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is formed of a smooth curved portion, and the container forming panel is When forming the finished container with walls formed by wall forming pieces, the upper part of the wall forming piece of the forming container is composed of a smooth curved part, and the structure is removed from the part where the tentacle (hand touching part) is sharp. The effect of preventing scratches and the like due to the tentacles on the part can be expected.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a safer containe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 및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주요부의 단면을 부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용기를 이용하여 폴딩 완성 용기로 만든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일측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주요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확대하여 보여주는 종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ld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 plane and a cross section of FIG. 1;
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main part shown in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made of a folding completed container using the folding container shown in FIG.
5 is a side view of FIG.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nlarged configuration of the main part shown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접이식 용기는 일정 면적의 사각 패널 구조로 이루어져 용기 형성을 위한 베이스 패널이 되는 용기 포밍 패널(10)과, 이러한 일정 면적의 용기 포밍 패널(10)을 바텀 포밍편(12)과 월 포밍편(14)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용기 패널에 형성된 엠보싱(20)을 포함하며, 상기 엠보싱(20)은 용기 포밍 패널(10)의 둘레부 라인의 안쪽 위치에 배치되어 사각형태로 연속적으로 이어져 형성된 이너 엠보싱(22)과, 이러한 이너 엠보싱(22)의 각각의 네 코너부에서 용기 포밍 패널(10)의 네 코너부로 이어져 형성된 코너 엠보싱(24)을 구비한다. 이너 엠보싱(22)과 코너 엠보싱(24)은 구배 주름 엠보싱이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oldabl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tainer forming panel 10 and a container forming panel 10 having a predetermined area to form a base panel for forming a container, 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An embossing 20 formed in the container panel so as to be partitioned into a bottom forming piece 12 and a wall forming piece 14, the embossing 20 being disposed at an inner position of a circumferential line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And an inner embossing 22 formed continuously in a rectangular shape, and a corner embossing 24 formed extending from four corner portions of each of the inner embossing 22 to four corner portions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Inner embossing 22 and corner embossing 24 are gradient pleat embossing.

상기 용기 포밍 패널(10)은 스테인레스 재질의 얇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용기 포밍 패널(10)이 내부에 공간부가 있는 포밍 완성 용기(16)를 형성하기 위한 베이스 패널이 된다. 이때, 용기 포밍 패널(10)은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용기 포밍 패널(10)의 네 코너부는 곡면부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may be formed in a thin plate shape made of stainless material, and 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may be a base panel for forming the forming container 16 having a space therein. At this time, 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it is preferable that the four corners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is treated as a curved portion.

상기 용기 포밍 패널(10)을 바텀 포밍편(12)(bottom forming piece)과 월 포밍편(14)(wall forming piece)으로 형성하는 기준 엠보싱(20)은 이너 엠보싱(22)과 코너 엠보싱(24)으로 구성된다.The reference embossing 20 for forming the vessel forming panel 10 into a bottom forming piece 12 and a wall forming piece 14 includes an inner embossing 22 and a corner embossing 24. It is composed of

상기 이너 엠보싱(22)은 네 개의 이너 엠보싱(22) 라인의 양단부가 각각 이어져 형성되고, 각각의 이너 엠보싱(22) 라인은 용기 포밍 패널(10)의 중심부를 향하여 안쪽으로 볼록한 호형상의 엠보싱(20)으로 구성된다. 네 개의 이너 엠보싱(22) 라인이 이어져서 대략 사각 도랑 형상의 이너 엠보싱(22)이 형성되고, 이러한 이너 엠보싱(22)의 안쪽 위치에 바텀 포밍편(12)이 형성되고, 이너 엠보싱(22)의 바깥쪽 위치에 월 포밍편(14)이 형성된다. 하나의 바텀 포밍편(12) 네 군데 둘레부에 네 개의 월 포밍편(14)이 구비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The inner embossing 22 is formed by connecting both ends of four inner embossing 22 lines, and each inner embossing 22 line is convex inwardly toward the center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20). Four inner embossing lines 22 are connected to form an inner embossing 22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groove shape, and a bottom forming piece 12 is formed at an inner position of the inner embossing 22, and the inner embossing 22 is formed. The wall forming piece 14 is formed in the outer position of. Four bottom forming pieces 14 are provided at four circumferences of one bottom forming piece 12.

상기 코너 엠보싱(24)은 이너 엠보싱(22)에서 용기 포밍 패널(10)의 각 코너부를 향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이어지도록 구성된다. 각 코너 엠보싱(24)의 내측단은 이너 엠보싱(22)에 이어져서 용기 포밍 패널(10)의 상측에 볼 때에 네 개의 이너 엠보싱(22) 라인과 네 개의 각 코너 엠보싱(24)의 내측단이 서로 폐루프 도랑 형태로 이어진 구조를 취하고 있다. 즉, 이너 엠보싱(22)은 대략 사각 도랑 형태를 이루고, 이러한 사각 도랑 형태의 이너 엠보싱(22)의 각 코너부에는 한 개씩 코너 엠보싱(24)의 내측단이 이어진 구조를 취하고 있는 것이다.The corner embossing 24 is configured to run diagonally toward each corner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in the inner embossing 22. The inner end of each corner embossing 24 is connected to the inner embossing 22 so that when view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four inner embossing 22 lines and four inner corner embossing 24 are formed. The structur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form of closed loop gutters. That is, the inner embossing 22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groove shape, and the inner end of the corner embossing 24 is connected to each corner portion of the inner embossing 22 of the rectangular groove shape.

따라서, 상기 이너 엠보싱(22) 라인을 기준으로 용기 포밍 패널(10)의 월 포밍편(14)을 세워서 내부에 수용 공간부가 있는 포밍 완성 용기(16)를 형성하고자 할 경우, 상기 월 포밍편(14)이 포밍 완성 용기(16)의 바텀 포밍편(12)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호형으로 볼록하게 벤딩되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코너 엠보싱(24)에 의해 각 월 포밍편(14)이 내측면끼리 근접되어 좁혀지는 형태의 서포트 윙(18)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코너 엠보싱(24)은 이너 엠보싱(22)에서 용기 포밍 패널(10)의 각 코너부를 향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이어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이너 엠보싱(22) 라인과 코너 엠보싱(24)에 의해 월 포밍편(14)을 바텀 포밍편(12)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호형으로 볼록하게 벤딩시켜 세워줄 때에 상기 코너 엠보싱(24)에 의해 포밍 완성 용기(16)의 네 코너부에 서포트 윙(18)이 형성되고, 이러한 코너 엠보싱(24)에 의해 형성된 서포트 윙(18)은 월 포밍편(14)의 호형 벤딩 라인(14a)과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서포팅 라인(18a)을 형성하게 된다. 이를테면, 용기 포밍 패널(10)을 이너 엠보싱(22)과 코너 엠보싱(24)을 이용하여 접어서 상부에 개구부가 있는 포밍 완성 용기(16)를 만들어 주면, 포밍 완성 용기(16)(즉, 음식물 등의 내용물을 담아서 사용하는 용기를 의미함)는 각각의 월 포밍편(14)에 의해 형성된 벽체가 포밍 완성 용기(16)의 중심부를 향하여 안쪽으로 호형으로 벤딩된 구조를 취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wall forming piece 14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is erected on the basis of the inner embossing 22 line to form the forming finished container 16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the wall forming piece ( (14) can be maintained convexly bent in an arc shap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ttom forming piece 12 of the forming completed container 16, and each of the wall forming pieces 14 by the corner embossing (24) The support wings 18 may b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inner surfaces are close to each other to be narrowed. That is, the corner embossing 24 is configured to extend in the diagonal direction toward each corner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in the inner embossing 22, and the wall is formed by the inner embossing 22 line and the corner embossing 24. When the forming piece 14 is bent convexly in an arc shap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ttom forming piece 12, the corner embossing 24 causes the support wings 18 to be formed at four corners of the forming container 16. The support wing 18 formed by this corner embossing 24 forms a supporting line 18a which is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arc-shaped bending line 14a of the wall forming piece 14. For example, when 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is folded using an inner embossing 22 and a corner embossing 24 to form a forming container 16 having an opening at an upper portion thereof, the forming container 16 (that is, food or the like) is formed. Means a container that contains the contents of the wall formed by the wall forming piece 14 is bent inward arcing toward the center of the foaming container (16).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너 엠보싱(22)에 의해 구획된 월 포밍편(14)에는 상기 이너 엠보싱(22)에 인접 위치에서 시작되어 용기 포밍 패널(10)의 둘레부 라인에 인접되는 위치까지 이어지며 동시에 코너 엠보싱(24)의 돌출되는 면과 반대되는 면으로 돌출된 역주름 엠보싱(40)이 더 구비된다. 즉, 상기 용기 포밍 패널(10)의 월 포밍편(14)에는 이너 엠보싱(22)에서 용기 포밍 패널(10)의 각 코너부를 향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이어지도록 코너 엠보싱(24)이 구비되고, 상기 역주름 엠보싱(40)은 코너 엠보싱(24)을 기준으로 양쪽 위치에 대칭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된다. 코너 엠보싱(24)의 양쪽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대칭 역주름 엠보싱(40)은 코너 엠보싱(24)의 내측단에서 외측단 방향으로 갈수록 그 사이의 거리가 점차적으로 벌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ll forming piece 14 partitioned by the inner embossing 22 starts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inner embossing 22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circumferential line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At the same time, the back wrinkle embossing 40 is further provided to protrude to the surface opposite to the protruding surface of the corner embossing 24. That is, the wall forming piece 14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is provided with a corner embossing 24 so as to extend in a diagonal direction from the inner embossing 22 toward each corner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The corrugated embossing 40 is formed in pairs to be symmetrical in both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corner embossing 24. The pair of symmetrical reverse wrinkle embossings 40 disposed at both positions of the corner embossing 24 is configured such that the distance therebetween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inner end of the corner embossing 24 toward the outer end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은 용기 포밍 패널(10)의 바텀 포밍편(12)에 루프형 엠보싱(42)이 더 구비된 구조이다. 본 발명에서 루프형 엠보싱(42)은 원형 루프 타입의 엠보싱(20)이다. 이때, 루프형 엠보싱(42)의 돌출 방향은 이너 엠보싱(22)과 코너 엠보싱(24)의 돌출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다. 즉, 용기 포밍 패널(10)은 얇은 스테인레스 패널로 이루어져서 양면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너 엠보싱(22)과 코너 엠보싱(24) 및 루프형 엠보싱(42)은 용기 포밍 패널(10)의 일면 방향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전술한 역주름 엠보싱(40)은 용기 포밍 패널(10)의 다른 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in which the loop-shaped embossing 42 is further provided on the bottom forming piece 12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oped embossing 42 is a round loop type embossing 20. At this time,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looped embossing 42 is the same direction as the protruding directions of the inner embossing 22 and the corner embossing 24. That is, 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is formed of a thin stainless panel is formed on both sides, the inner embossing 22, the corner embossing 24 and the loop-shaped embossing 42 protrude in one direction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do. The reverse wrinkle embossing 40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other surface direction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그리고, 상기 용기 포밍 패널(10)의 둘레부 라인은 적어도 두 겹 이상으로 중첩되도록 벤딩된 컬링부(11)로 구성한다. 상기 용기 포밍 패널(10)의 둘레부 라인은 적어도 두 겹 이상으로 중첩되도록 벤딩된 컬링부(11)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컬링부(11)를 용기 포밍 패널(10)의 중심부 방향으로 향하여 안쪽으로 1차 절곡된 제1컬링부(11)와, 이러한 제1컬링부(11)의 안쪽단에서 다시 용기 포밍 패널(10)의 중심부에서 반대 방향으로 재차 절곡된 제2컬링부(11)로 구성한다.The circumferential line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includes a curling part 11 bent to overlap at least two or more layers. The circumferential line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is preferably composed of a curling portion 11 bent to overlap at least two or more layer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urling portion 11 is first bent inward toward the center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and the container forming at the inner end of the first curling portion 11 again. The second curling part 11 is bent again in the opposite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panel 10.

따라서, 상 용기 포밍 패널(10)의 둘레부 라인의 끝단이 부드러운 곡면부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용기 포밍 패널(10)의 접어서 월 포밍편(14)으로 벽체가 형성된 포밍 완성 용기(16)를 만들 때에 포밍 완성 용기(16)의 월 포밍편(14) 상단부가 부드러운 곡면부로 구성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end of the circumference line of the upper vessel forming panel 10 is formed with a smooth curved portion, and the foamed completed container 16 having a wall formed by the wall forming piece 14 of the vessel forming panel 10 is formed. At this time,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wall forming piece 14 of the forming container 16 can be configured as a smooth curved portion.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상기한 포밍 완성 용기(16)를 의미함)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단일판 형상의 용기 포밍 패널(10)을 그대로 놔두고 필요한 위치에 보관하면 된다. 즉, 본 발명은 용기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슬림한 판 형상의 용기 포밍 패널(10)만 형성되어 있는 상태라서 야외 이동시에는 가방 등에 콤팩트하게 수납하여 보관하고, 가정에서도 필요한 수납 공간에 콤팩트하게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is invention of such a structure, when not using as a container (meaning the above-mentioned forming completed container 16),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leave 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of single plate shape as it is, and to store it in a required position. That is,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used as a container, only a slim plate-shaped container forming panel 10 is formed, and when stored outdoors, the container is compactly stored in a bag or the like and stored compactly in a storage space required at home. It can be kept.

한편, 본 발명을 용기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용기 포밍 패널(10)에 형성된 이너 엠보싱(22)을 기준으로 월 포밍편(14)을 상측으로 접어주는 힘을 작용시키면, 용기 포밍 패널(10) 가운데의 바텀 포밍편(12)의 둘레부에 구획된 복수개의 월 포밍편(14)이 상기 이너 엠보싱(22)을 기준으로 원활하게 상측으로 접어서 용기의 벽체를 형성할 수 있고, 동시에 상기 코너 포밍편을 기준으로 월 포밍편(14)의 코너부 근접 위치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좁혀지도록 힘을 주어 눌러주면, 상기 코너 포밍편에 의해 각각의 인접한 월 포밍편(14)이 안쪽면끼리 근접하여 용기(즉, 상기한 포밍 완성 용기(16))의 코너부(본 발명에서는 네 코너부)에 복수개의 서포트 윙(18)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용기 포밍 패널(10)을 이너 엠보싱(22)과 코너 엠보싱(24)을 기준으로 접으면 상부에 개구부가 있으면서 내부에는 음식물 등을 담는 수용부가 있는 용기 본체부와, 이 용기 본체부의 코너부(네 코너부)에 각각 서포트 윙(18)이 있는 구조의 포밍 완성 용기(16)를 만들 수 있게 되며, 이처럼 만들어진 용기 내부의 수용부에 음식물을 담는 것과 같이 여러 용도의 용기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used as a container by applying a force for folding the wall forming piece 14 to the upper side based on the inner embossing 22 formed in 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the center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A plurality of wall forming pieces 14 partitioned at the periphery of the bottom forming piece 12 can be smoothly folded upward on the basis of the inner embossing 22 to form a wall of the container, and at the same time the corner forming piece When the force is pressed to narrow the position adjacent to the corner portion of the wall forming piece 14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the adjacent wall forming pieces 14 are adjacent to each other by the corner forming piece. (I.e., the plurality of support wings 18 can be formed at the corner portions (four corner por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forming completed container 16 described above. That is, when 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is folded based on the inner embossing 22 and the corner embossing 24 as a reference, there is an opening in the upper part and a container main part having an accommodating part therein, and a corner of the container main part. It is possible to make a forming completion container 16 having a structure each having a support wing 18 at each part (four corners), and can be used as a container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storing food in the receiving part inside the container. do.

이때, 본 발명에서는 용기 포밍 패널(10)을 바텀 포밍편(12)과 월 포밍편(14)으로 구획하는 이너 엠보싱(22)이 바텀 포밍편(12)의 중심부를 향하여 볼록한 호형 이너 엠보싱(22) 라인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이너 엠보싱(22)(즉, 구배 주름 엠보싱(20)이라 할 수 있음)을 기준으로 월 포밍편(14)을 상측으로 접어서 용기의 벽체를 만들 때, 각각의 월 포밍편(14)이 용기의 중심부 방향으로 볼록한 호형 벽체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용기를 접은 다음 월 포밍편(14)이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용기로서의 신뢰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embossing 22 which divides 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into the bottom forming piece 12 and the wall forming piece 14 is convex toward the center of the bottom forming piece 12. Each wall when the wall forming piece 14 is folded upward to form a wall of the container based on the inner embossing 22 (ie, referred to as a gradient pleat embossing 20). Since the forming piece 14 forms an arc-shaped wall structure convex toward the center of the container,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wall forming piece 14 from spreading after folding the container, thereby increasing reliability as a container.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너 엠보싱(22)에 의해 구획된 월 포밍편(14)에는 이너 엠보싱(22)에 인접 위치에서 시작되어 용기 포밍 패널(10)의 둘레부 라인에 인접되는 위치까지 이어지며 동시에 코너 엠보싱(24)의 돌출되는 면과 반대되는 면으로 돌출된 역주름 엠보싱(40)이 더 구비되어 있어서, 용기를 접을 때에 역주름 엠보싱(40)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용기를 접을 수 있게 되고, 용기의 측면 꺾임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ll forming piece 14 partitioned by the inner embossing 22 starts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inner embossing 22 and continues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peripheral line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The back wrinkle embossing 40 is further provided to protrude to the surface opposite to the protruding surface of the corner embossing 24, so that the container can be easily folded by the back wrinkle embossing 40 when the container is folded, It also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side of the container from bending.

또한, 본 발명에서는 용기 포밍 패널(10)의 바텀 포밍편(12)에 루프형 엠보싱(42)이 더 구비되어 있어서, 용기를 버너 등에 올려서 사용할 때에 루프평 엠보싱(20)에 의해 평면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용기를 보다 안정적이고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forming piece 12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is further provided with a loop type embossing 42, so that the flatness can be maintained by the roof flat embossing 20 when the container is placed on a burner or the like. Therefore, the container can be used more stably and comfortably.

그리고, 본 발명은 용기 포밍 패널(10)의 둘레부 라인은 적어도 두 겹 이상으로 중첩되도록 벤딩된 컬링부(11)로 구성하여, 상기 용기 포밍 패널(10)의 둘레부 라인의 끝단이 부드러운 곡면부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용기 포밍 패널(10)의 접어서 월 포밍편(14)으로 벽체가 형성된 포밍 완성 용기(16)를 만들 때에 포밍 완성 용기(16)의 월 포밍편(14) 상단부가 부드러운 곡면부로 구성되어, 촉수(손이 닿는 부분)되는 부분에서 날카로운 부분을 제거한 구조이므로, 용기 취급시 날카로운 부분에 촉수로 인하여 찰과상을 입는 경우 등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상기 용기에서 끝부분, 구체적으로, 용기의 벽체를 구성하는 월 포밍편(14)의 끝단에 손이 닿는다 하더라도, 손이 닿는 끝부분은 컬링부(11)에 의해 부드러운 곡면부로 처리되어 있기 때문에, 촉수시 찰과상을 입는 것과 같은 경우는 생기지 않는 것이며, 이로 인해 궁극적으로 본 발명의 접이식 용기를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curling part 11 bent to overlap at least two layers of the circumferential line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so that the end of the circumferential line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is smooth. The upper end of the wall forming piece 14 of the forming container 16 is smooth when the wall forming piece 16 is formed by folding the wall forming piece 14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to form a wall. Since the structure is made of a negative portion, the sharp portion is removed from the portion of the tentacle (hand touching part), and thus the effect of preventing scratches or the like due to the tentacles on the sharp portion when handling the container can be expected. That is, even if the hand touches the end of the container, specifically, the end of the wall forming piece 14 constituting the wall of the container, the hand touching end is treated by the curling part 11 as a smooth curved part. Therefore, such a case does not occur when the tentacles are scratched, which ultimately makes it possible to use the folding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safely.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루프형 엠보싱(42)의 안쪽 위치에는 상기 루프형 엠보싱(42)의 최하단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위치에 평판부(44)가 더 구비되어, 상기 용기 포밍 패널(10)을 접어서 포밍 완성 용기(16)를 만들 때에 루프형 엠보싱(42)의 최하단과 평판부(44)의 외측면 사이에 단차진 스페이스(44S)가 형성된다. 루프형 엠보싱(42)의 곡률 반경은 대략 4.8mm이고, 상기 스페이스(44S)의 거리는 대략 0.6mm 정도이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6, in the inner position of the loop-shaped embossing 42, the flat plate portion 44 at a position that is relatively higher than the lowest height of the loop-shaped embossing (42) When 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is folded to form the completed container 16, a stepped space 44S is formed between the lowermost end of the loop-shaped embossing 42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lat plate 44.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looped embossing 42 is approximately 4.8 mm, and the distance of the space 44S is approximately 0.6 mm.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포밍 완성 용기(16)(즉,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부가 구비된 용기로서, 편의상 용기(16)라 칭함)를 핫플레이트(hot plate) 위에 올려놓으면, 핫플레이트와 상기 평판부(44) 사이에 일정 간격의 이격된 스페이스(44S)가 확보되므로, 용기(16)에서 핫플레이트와 직접 닿는 부분이 생기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용기(16)에 음식물을 넣고 조리할 때에 용기(16)에서 핫플레이트와 직접 닿는 부분이 타버리는 현상을 방지하고, 용기(16)에서 핫플레이트와 닿는 부분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이 타버리는 현상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즉, 용기(16)를 핫플레이트 위에 올려놓고 화염으로 가열하여 조리할 때에 핫플레이트와 용기(16)의 바닥면이 직접 닿아버리면, 이렇게 직접 핫플레이트에 닿는 부분이 타버리고, 용기(16)가 직접 핫플레이트에 닿는 상태로 조리하면 용기 안에 있는 음식물도 타버릴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루프형 엠보싱(42)의 안쪽 위치에는 루프형 엠보싱(42)의 최하단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위치에 평판부(44)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용기(16)가 직접 핫플레이트 등에 닿아서 타거나 음식물이 타버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foaming completion container 1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 container provided with a space for containing food, referred to as a container 16 for convenience) is placed on a hot plate, the hot plate and the Since the space 44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flat plate portion 44 is secured, there is no portion directly contacting the hot plate in the container 16, which causes the container (when food is put into the container 16 and cooked). 16) prevents the phenomenon that the portion directly touching the hot plate burns, and also prevents the phenomenon that the food cooked in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hot plate in the container 16 burns. That is, when the container 16 is placed on a hot plate and heated with a flame to cook, the hot plat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6 directly contact each other, so that the portion directly touching the hot plate burns out. The food in the container can be burned by cook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ot plate,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te is position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lowest height of the looped embossing 42 at the inner position of the looped embossing 42. By having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portion 44 is further provided, the container 16 is directly prevented from being burned or burned by touching the hot plate or the like.

또한, 상기 용기(16)에서 평판부(44)의 외곽부에 구비된 루프형 엠보싱(42)은 용기(16)의 보강 기능도 하게 된다. 즉, 상기 용기(16)의 평판부(44)에 의해 용기(16)의 바닥부가 타거나 음식물이 타는 현상을 방지하면서도 루프형 엠보싱(42)에 의해 강도는 보강하는 복합적인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op-shaped embossing 42 provided on the outer portion of the flat plate 44 in the container 16 also serves to reinforce the container 16. That is, it is possible to achieve a complex effect of reinforcing the strength by the loop-type embossing 42 while preventing the bottom portion of the container 16 from burning or food burning by the flat plate 44 of the container 16. have.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Th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cope and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you have, you will understand.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10. 용기 포밍 패널 11. 컬링부
12. 바텀 포밍편 14. 월 포밍편
14a. 호형 벤딩 라인 16. 포밍 완성 용기
18. 서포트 윙 18a. 서포팅 라인
20. 기준 엠보싱 22. 이너 엠보싱
24. 코너 엠보싱 40. 역주름 엠보싱
42. 루프형 엠보싱
10. Container forming panel 11. Curling part
12. Bottom Forming Edition 14. Wall Forming Edition
14a. Arc Bending Line 16. Forming Vessel
18. Support Wing 18a. Support Line
20. Standard embossing 22. Inner embossing
24. Corner embossing 40. Inverse wrinkle embossing
42. Loop Embossing

Claims (7)

일정 면적의 패널 구조로 이루어져 용기 형성을 위한 베이스 패널이 되는 용기 포밍 패널(10)과;
상기 용기 포밍 패널(10)을 바텀 포밍편(12)과 월 포밍편(14)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용기 패널에 형성된 기준 엠보싱(20)을 포함하며,
상기 엠보싱(20)은 상기 용기 포밍 패널(10)의 둘레부 라인의 안쪽 위치에 배치되어 연속적으로 이어져 형성된 이너 엠보싱(22)과;
상기 이너 엠보싱(22)의 각각의 코너부에서 상기 용기 포밍 패널(10)의 코너부로 이어져 형성된 코너 엠보싱(24);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 포밍 패널(10)의 상기 바텀 포밍편(12)에는 루프형 엠보싱(42)이 더 구비되고, 상기 루프형 엠보싱(42)의 안쪽 위치에는 상기 루프형 엠보싱(42)의 최하단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상부 위치에 평판부(44)가 더 구비되어, 상기 용기 포밍 패널(10)을 접어서 포밍 완성 용기(16)를 만들 때에 상기 루프형 엠보싱(42)의 최하단과 상기 평판부(44)의 외측면 사이에 단차진 스페이스(44S)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용기.
A container forming panel 10 having a panel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forming a base panel for forming a container;
A reference embossing 20 formed in the container panel so as to partition 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into a bottom forming piece 12 and a wall forming piece 14,
The embossing (20) is an inner embossing (22) formed at the inner position of the circumferential line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and continuously formed;
And a corner embossing 24 formed at each corner of the inner embossing 22 to a corner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The bottom forming piece 12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is further provided with a loop type embossing 42, and the inner position of the loop type embossing 42 is relative to the lowermost height of the loop type embossing 42.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flat plate portion 44, the folding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to form the completed container 16 to form the bottom end of the loop-shaped embossing 42 and the flat plate portion 44 Folding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ped space 44S is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엠보싱(22)은 복수개의 이너 엠보싱(22) 라인의 양단부가 각각 이어져 형성되고, 상기 이너 엠보싱(22) 라인은 상기 용기 포밍 패널(10)의 중심부를 향하여 안쪽으로 볼록한 호형상의 엠보싱(20)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너 엠보싱(22)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용기 포밍 패널(10)의 상기 월 포밍편(14)을 세워서 내부에 수용 공간부가 있는 포밍 완성 용기(16)를 형성할 때에 상기 월 포밍편(14)이 상기 포밍 완성 용기(16)의 바텀 포밍편(12)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호형으로 볼록하게 벤딩되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inner embossing 22 is formed by connecting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inner embossing 22 lines, respectively, and the inner embossing 22 line is convex inwardly toward the center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20), when the wall forming piece 14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is erected on the basis of the inner embossing 22 line to form the forming finished container 16 hav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Folding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all forming piece (14) is maintained in a standing state by bending convexly convex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ottom forming piece (12) of the forming completed container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엠보싱(24)은 상기 이너 엠보싱(22)에서 상기 용기 포밍 패널(10)의 각 코너부를 향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이어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이너 엠보싱(22) 라인과 상기 코너 엠보싱(24)에 의해 상기 월 포밍편(14)을 상기 바텀 포밍편(12)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호형으로 볼록하게 벤딩시켜 세워줄 때에 상기 코너 엠보싱(24)에 의해 상기 포밍 완성 용기(16)의 각각의 코너부에 서포트 윙(18)이 형성되고, 상기 코너 엠보싱(24)에 의해 형성된 상기 서포트 윙(18)은 상기 월 포밍편(14)의 호형 벤딩 라인(14a)과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서포팅 라인(18a)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rner embossing 24 is configured to run in a diagonal direction from the inner embossing 22 toward each corner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by means of the inner embossing 22 line and the corner embossing 24. The wall forming piece 14 supports each corner portion of the forming container 16 by the corner embossing 24 when the wall forming piece 14 is convexly bent in an arc shape based on the center of the bottom forming piece 12. The wing 18 is formed, and the support wing 18 formed by the corner embossing 24 forms a supporting line 18a that is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arc bending line 14a of the wall forming piece 14. Folding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엠보싱(22)에 의해 구획된 상기 월 포밍편(14)에는 상기 이너 엠보싱(22)에 인접 위치에서 시작되어 상기 용기 포밍 패널(10)의 둘레부 라인에 인접되는 위치까지 이어지며 동시에 상기 코너 엠보싱(24)의 돌출되는 면과 반대되는 면으로 돌출된 역주름 엠보싱(4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wall forming piece 14 partitioned by the inner embossing 22 begins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inner embossing 22 and continues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circumferential line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and simultaneously Folding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verse wrinkle embossing (40) is further provided projecting to the surface opposite the projecting surface of the corner embossing (2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월 포밍편(14)에는 상기 이너 엠보싱(22)에서 상기 용기 포밍 패널(10)의 각 코너부를 향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이어지도록 코너 엠보싱(24)이 구비되고, 상기 역주름 엠보싱(40)은 상기 코너 엠보싱(24)을 기준으로 양쪽 위치에 대칭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용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wall forming piece 14 is provided with a corner embossing 24 so as to extend in a diagonal direction from the inner embossing 22 toward each corner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and the reverse wrinkle embossing 40 is provided with the wall embossing 40. Folding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pair so as to be symmetrical in both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corner embossing (24).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포밍 패널(10)의 둘레부 라인은 적어도 두 겹 이상으로 중첩되도록 벤딩된 컬링부(1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ircumferential line of the container forming panel (10) is a folding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urling portion (11) bent to overlap at least two or more layers.
KR1020120052899A 2012-05-18 2012-05-18 Folding type receptacle KR1013728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899A KR101372873B1 (en) 2012-05-18 2012-05-18 Folding type recepta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899A KR101372873B1 (en) 2012-05-18 2012-05-18 Folding type recepta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830A KR20130128830A (en) 2013-11-27
KR101372873B1 true KR101372873B1 (en) 2014-03-10

Family

ID=49855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899A KR101372873B1 (en) 2012-05-18 2012-05-18 Folding type recepta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287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727B1 (en) * 2014-06-04 2015-03-13 서정혁 Chopping boar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1026A (en) * 2000-03-16 2001-09-26 Oji Paper Co Ltd Paper vessel
JP3512395B2 (en) * 2001-08-02 2004-03-29 株式会社秀英 Paper tablewa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1026A (en) * 2000-03-16 2001-09-26 Oji Paper Co Ltd Paper vessel
JP3512395B2 (en) * 2001-08-02 2004-03-29 株式会社秀英 Paper tablewa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830A (en) 201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5916B2 (en) Kitchen box for camping
KR20140028474A (en) Paper pot
JP3235119U (en) Folding paper container for cooking
KR101372873B1 (en) Folding type receptacle
US6386498B1 (en) Elevated platter for preparing food in a microwave oven
CN109549497B (en) Steaming tray
KR200472348Y1 (en) Self-Assembly Cooking Container Made of Paper
KR20130005794U (en) Portable table
KR100617935B1 (en) Foldable electric roaster
KR20210004014A (en) Disposable container
KR200450039Y1 (en) Cooking Tray
KR101269920B1 (en) Base frame with silicon cooker for microwave oven
JP3729418B1 (en) Food container package
KR20190129313A (en) Frypan
CN106805784B (en) Heightening structure of light wave oven and light wave oven using heightening structure
KR200491406Y1 (en) Food tray
KR101305320B1 (en) A folded pan for baking
JP3213103U (en) Foamed resin container
KR101100928B1 (en) spacer for stacking cooking article
KR20070001254U (en) Kocher
US3406679A (en) Collapsible stove
KR101671968B1 (en) Foldable paper cup
US20110240575A1 (en) Plate stands for various plate assortments
KR101622715B1 (en) Tray for disposable food steamer
JPH0237741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