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406Y1 - Food tray - Google Patents

Food tr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406Y1
KR200491406Y1 KR2020180001639U KR20180001639U KR200491406Y1 KR 200491406 Y1 KR200491406 Y1 KR 200491406Y1 KR 2020180001639 U KR2020180001639 U KR 2020180001639U KR 20180001639 U KR20180001639 U KR 20180001639U KR 200491406 Y1 KR200491406 Y1 KR 2004914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portion
food
food holder
upright
circum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639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02634U (en
Inventor
최성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코푸드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코푸드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코푸드시스템
Priority to KR20201800016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406Y1/en
Publication of KR201900026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634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4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406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를 형성하며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제조시간을 단축하면서도 안전과 편의에 있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음식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중공부와 거치부를 형성하는 중공형의 원형판; 상기 거치부의 외주를 따라 직립 형성되는 외주 직립막 및 상기 거치부의 내주를 따라 직립 형성되는 내주 직립막을 포함하며,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되어 사출 또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holder that can form a simple structure, reduce manufacturing costs, and perform various functions in safety and convenience while reducing manufacturing time, and a hollow circular plate forming a hollow portion and a mounting portion ; It includes an outer circumferential upright membrane formed upright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ounting portion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upright membrane formed upright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mounting portion, and is formed of stainless steel and can be manufactured by injection or press processing.

Description

음식 거치대{Food tray}Food tray

본 고안은 음식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를 형성하며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제조시간을 단축하면서도 안전과 편의에 있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음식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crad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od cradle that can form a simple structure, reduce manufacturing costs, and shorten manufacturing time while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in safety and convenience.

음식을 놓는 쟁반은 예로부터 음식을 나르거나 받쳐 먹기 위해 유용하게 사용되어 왔으며, 지금도 다양한 디자인을 접목하면서 실용적인 부분에서 날로 개선되고 있다. Trays for placing food have been useful for carrying or supporting food since ancient times, and are still improving from the practical point of view while grafting various designs.

이러한 쟁반은 통상적으로 목재, 금속, 사기,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제조되는데, 해물이나 고기 등을 이용한 요리 또는 거치시에는 불을 이용하고 그 열을 오래 사용해야 하므로 주로 열 전달이 용이한 금속 재질의 쟁반이 많이 쓰이며, 특히 가볍고 열 전도성이 높은 스테인레스가 주로 쓰인다. These trays are usually made of materials such as wood, metal, porcelain, and synthetic resins. When cooking or fermenting using seafood or meat, it is necessary to use fire and use the heat for a long time. It is used a lot, especially light and high thermal conductivity stainless steel.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테인레스 재질의 쟁반은 제조시에 판과 판을 덧대어 전기적으로 접합하는 아크 용접 방식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인력과 비용이 많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stainless steel tray has a disadvantage in that a lot of manpower and cost are generated because an arc welding method of electrically bonding a plate to a plate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is applied.

또한, 스테인리스 재질의 쟁반은 열 전도성이 높기 때문에 고온의 열이 신체로 전달될 수 있어 안전의 문제를 고려해야 하나, 현재 문양을 넣는 등의 디자인에 대한 개선만 일부 이루어지고 있을 뿐, 안전과 편의를 위한 기능의 개선은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In addition, since the stainless steel tray has high thermal conductivity, high-temperature heat can be transmitted to the body, so safety consideration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but only improvements in design, such as incorporating patterns, are currently being made. The improvement of the function for the user is still insignificant.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간단한 구조를 형성하여 사용이 쉬울뿐더러, 제조비용과 제조시간을 절감시키고, 더불어 안전과 편의에 있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음식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food cradle that is simple to use by forming a simple structure, reduces manufacturing cost and manufacturing time, and also performs various functions in safety and convenience. There is thi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중공부와 거치부를 형성하는 중공형의 원형판; 상기 거치부의 외주를 따라 직립 형성되는 외주 직립막 및 상기 거치부의 내주를 따라 직립 형성되는 내주 직립막을 포함하며,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되어 사출 또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hollow circular plate forming a hollow portion and a mounting portion; It includes an outer circumferential upright membrane formed upright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ounting portion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upright membrane formed upright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mounting portion, and is formed of stainless steel and can be manufactured by injection or press processing.

또한, 상기 거치부는 일측이 타측에 비해 높은 다수의 경사 거치부의 연결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unting portion may be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inclined mounting portions, one side of which is higher than the other side.

또한, 상기 외주 및 내주 직립막은, 각각 서로 상응하는 높이에서 상기 거치부 측으로 함몰되는 함몰부가 형성되되, 상기 함몰부는 소정의 길이로 각 막의 원주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에 의해 외측으로 개방 형성되는 제1 홈부와, 상기 제1 홈부 하측에서 내측으로 개방 형성되는 제2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and inner circumferential upright membranes are formed with depressions that are recessed toward the mounting portion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depression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each membrane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depressions are formed. Thereby, a first groove portion that is openly formed outside and a second groove portion that is openly formed in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groove portion may be formed.

또한, 상기 음식 거치대는, 상기 음식 거치대와 소정의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음식 거치대 외측으로 고정 설치되는 보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od holder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plate fixedly installed outside the food holder to form a predetermined separation space from the food holder.

또한, 상기 음식 거치대는, 상기 원형판과 외주 직립막 사이에 원주를 따라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개구부를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od holder, a plurality of openings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between the circular plat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upright film, the mounting portion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opening.

또한, 상기 원형판은, 2개의 분할판으로 분할 형성되어 힌지에 의해 회동하도록 연결되며, 각 분할판의 양 끝단에는 각각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분할판간의 회동을 고정하거나, 분할판을 회동시킨 상태로 다수의 원형판을 이어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ircular plate is divided into two divided plates and connected to rotate by a hinge, and coupling grooves and engaging projections are formed at both ends of each divided plate to fix rotation between the divided plates or to rotate the divided plates. It is possible to use a number of circular plates in a state of being ordered.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중공부와 거치부를 형성하는 중공형의 원형판; 상기 거치부의 외주를 따라 직립 형성되는 외주 직립막 및 상기 거치부의 내주를 따라 직립 형성되는 내주 직립막을 포함하며,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되어 사출 또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hollow circular plate forming a hollow portion and a mounting portion; It includes an outer circumferential upright membrane formed upright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ounting portion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upright membrane formed upright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mounting portion, and is formed of stainless steel and can be manufactured by injection or press processing.

또한, 상기 거치부는 일측이 타측에 비해 높은 다수의 경사 거치부의 연결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unting portion may be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inclined mounting portions, one side of which is higher than the other side.

또한, 상기 외주 및 내주 직립막은, 각각 서로 상응하는 높이에서 상기 거치부 측으로 함몰되는 함몰부가 형성되되, 상기 함몰부는 소정의 길이로 각 막의 원주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에 의해 외측으로 개방 형성되는 제1 홈부와, 상기 제1 홈부 하측에서 내측으로 개방 형성되는 제2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and inner circumferential upright membranes are formed with depressions that are recessed toward the mounting portion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depression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each membrane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depressions are formed. Thereby, a first groove portion that is openly formed outside and a second groove portion that is openly formed in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groove portion may be formed.

또한, 상기 음식 거치대는, 상기 음식 거치대와 소정의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음식 거치대 외측으로 고정 설치되는 보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od holder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plate fixedly installed outside the food holder to form a predetermined separation space from the food holder.

또한, 상기 음식 거치대는, 상기 원형판과 외주 직립막 사이에 원주를 따라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개구부를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od holder, a plurality of openings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between the circular plat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upright film, the mounting portion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opening.

또한, 상기 원형판은, 2개의 분할판으로 분할 형성되어 힌지에 의해 회동하도록 연결되며, 각 분할판의 양 끝단에는 각각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분할판간의 회동을 고정하거나, 분할판을 회동시킨 상태로 다수의 원형판을 이어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ircular plate is divided into two divided plates and connected to rotate by a hinge, and coupling grooves and engaging projections are formed at both ends of each divided plate to fix rotation between the divided plates or to rotate the divided plates. It is possible to use a number of circular plates in a state of being ordered.

도 1의 (a) 및 (b)는 본 고안의 기본 실시 예에 따른 음식 거치대의 사시도 및 A-A' 단면도이다.
도 2의 (a)는 거치부가 복수의 경사 거치부로 조성될 때의 사시도이며, (b)는 경사 거치부의 측면도이다.
도 3의 (a) 및 (b)는 도 1의 음식 거치대에 함몰부가 형성되었을 때를 도시한 사시도 및 B-B' 단면도이다.
도 4의 (a) 내지 (f)는 도 3의 음식 거치대에 사용될 수 있는 보조도구의 예시도이거나, 보조도구의 결합 예시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도 1의 음식 거치대에 보조판이 형성되었을 때를 도시한 사시도 및 C-C' 단면도이다.
도 6의 (a) 및 (b)는 원형판이 2개의 분할판으로 형성되어 힌지로 연결되었을 때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저면사시도이다.
도 7의 (a) 및 (b)는 도 6의 음식 거치대의 사용 예시도이다.
1 (a) and (b) is a perspective view and a AA 'sectional view of a food holder according to a bas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 i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mounting por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clined mounting portions, (b) is a side view of the inclined mounting portion.
3 (a) and 3 (b) are perspective and BB ′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when a depression is formed in the food holder of FIG. 1.
4 (a) to 4 (f) are exemplary views of an auxiliary tool that can be used in the food cradle of FIG. 3 or an exemplary combination of auxiliary tools.
5 (a) and 5 (b) are perspective views and a CC ′ sectional view showing when the auxiliary plate is formed on the food holder of FIG. 1.
6A and 6B are perspective and bottom perspective views showing when the circular plate is formed of two divided plates and connected by a hinge.
7A and 7B are exemplary views of using the food holder of FIG. 6.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고안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embodiment, and various transformations may be applied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ntents described below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terms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in meaning to themselves, and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u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denote the same components.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have” or “have” described below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It should be interpreted and understood to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y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 거치대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food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도 1의 (a) 및 (b)는 본 고안의 기본 실시 예에 따른 음식 거치대의 사시도 및 A-A' 단면도이다. 1 (a) and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ood cradle and A-A 'sectional view according to a bas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 거치대(1)는, 원형판(10)과 외주 직립막(12)과 내주 직립막(1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1, the food hold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ircular plate 10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upright membrane 12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upright membrane 14.

구체적으로, 원형판(10)은 음식 거치대(1)를 구성하는 베이스판으로서,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중공부(10a)와 거치부(10b)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중공부(10a)는 냄비 등을 거치할 공간이며, 거치부(10b)는 음식 등을 직접 거치할 수 있는 공간이다.Specifically, the circular plate 10 is a base plate constituting the food holder 1, and may be formed in a hollow shape to form a hollow portion 10a and a mounting portion 10b. Here, the hollow portion 10a is a space to mount a pot or the like, and the mounting portion 10b is a space to directly mount food or the like.

또한, 원형판(10)은 중공부(10a)의 형성으로 외경과 내경 즉, 거치부(10b)의 외주와 내주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때 거치부(10b)의 외주와 내주를 따라서 각각 외주 직립막(12)과 내주 직립막(14)이 직립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ircular plate 10 may form an outer diameter and an inner diameter, that is, an outer circumference and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mounting portion 10b by forming the hollow portion 10a, wherein the outer circumference is erect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mounting portion 10b. The film 12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upright film 14 may be formed upright.

원형판(10)의 외경과 내경을 따라 직립 형성되는 외주 및 내주 직립막(12, 14)은 중공부(10a)에 냄비를 거치하거나, 거치부(10b)에 음식 등을 거치할 때에 거치 공간의 경계를 형성함으로써 냄비와 음식 등의 이탈을 방지하며, 냄비와 음식 등을 걸쳐놓을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보다 용이한 거치가 가능할 수 있다.The outer and inner circumferential upright membranes 12 and 14 formed upright along the outer and inner diameters of the circular plate 10 are mounted in a pot when the pot is mounted on the hollow portion 10a or when food or the like is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10b. By forming a boundary, it is possible to prevent detachment of pots and foods, and to secure a space where pots and foods can be placed, thereby making it easier to mount.

이러한 구조의 음식 거치대(1)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되어 제조시에 사출 또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The food holder 1 having such a structure is formed of a stainless steel material and may be manufactured by injection or press processing during manufacturing.

스테인리스의 재질은 열전도가 용이하여 냄비 등을 끓이거나, 음식을 조리한 후 거치할 때에 냄비와 음식의 열이 외부로 빠르게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볍고 비교적 단가도 저렴하여 사용이 용이하고, 제조 및 유지보수에 있어 적은 비용이 들어갈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material of stainless steel can easily prevent heat and heat from being quickly released to the outside when the pot is boiled or cooked and placed after cooking, and it is easy to use because it is light and relatively inexpensiv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st less in manufacturing and maintenance.

또한, 사출 또는 프레스 가공은 종래의 아크 용접으로 제조되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음식 거치대에 비해 시간과 비용이 약 1/3 가량 감소되는 효과도 있다. 이에 따라, 사출 또는 프레스 가공으로 제조되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 거치대는 종래 음식 거치대와 비교하여 제작성에서 월등한 효과를 나타내며, 사용성에 있어서도 더 효율적인 장점을 나타낸다.In addition, injection or press processing has an effect of reducing the time and cost by about one-third compared to a food holder made of stainless steel manufactured by conventional arc welding. Accordingly, the food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nufactured by injection or press processing has a superior effect in manufacturing performance compared to a conventional food holder, and also exhibits a more efficient advantage in usability.

한편,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 거치대(1)는 상기의 원형판(10), 외주 직립막(12), 내주 직립막(14)의 기본 구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실시 형태를 가질 수 있다.Meanwhile, the food hold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based on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circular plate 10, the outer circumferential upright membrane 12,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upright membrane 14.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형태를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 거치대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food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7.

도 2의 (a)는 거치부가 복수의 경사 거치부로 조성될 때의 사시도이며, (b)는 경사 거치부의 측면도이다.2 (a) i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mounting por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clined mounting portions, (b) is a side view of the inclined mounting portion.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거치부(10b)는 일측이 타측에 비해 높은 다수의 경사 거치부(20)의 연결로 형성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2, the mounting portion 10b may be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inclined mounting portions 20 having one side higher than the other side.

보다 구체적으로, 경사 거치부(20)는 경사부(22)와 직선부(24)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경사부(22)와 직선부(24)는 교번되도록 모두 연결되어 하나의 거치부(10b)를 조성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inclined mounting portion 20 may include an inclined portion 22 and a straight portion 24, and the inclined portion 22 and the straight portion 24 are all connected so that they are alternately connected to one mounting portion ( 10b).

이때, 직선부(24)는 한정되지는 않으나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직선부(24)는 경사 거치부(20)가 삼각형 단면을 형성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경사부(22)와 같이 경사를 형성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경사 거치부(20)가 직각삼각형의 단면을 형성하도록 직선부(24)가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raight portion 24 is not limited, but is preferably formed vertically. That is, the straight portion 24 may be inclined so that the inclined mounting portion 20 forms a triangular cross-section to form an inclination like the inclined portion 22, but preferably the inclined mounting portion 20 is a right triangle. The straight portion 24 may be vertically formed to form a cross section.

이에 따라, 다수의 경사 거치부(20)로 하나의 거치부(10b)를 조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 거치대는, 수평형태의 거치부(10b)의 기본 실시 구성(1)에 비해 경사 거치부(20)의 경사부(22)에 음식을 거치할 수 있어, 음식간의 구획이 가능하여 혼합을 방지하며, 음식 수의 계량 등에도 용이성을 가질 수 있고, 음식을 데코레이션 하기 쉬워 심미적인 장점도 있으며, 더불어 음식 거치대의 적재시에 상, 하측으로 형성되는 음식 거치대의 경사 거치부(20) 간의 교합이 이루어져 음식 거치대 적재가 용이하며 공간활용성도 증대될 수 있는 다양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Accordingly, the food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forms one mounting portion 10b with a plurality of inclined mounting portions 20, is inclined mounting portion compared to the basic implementation configuration 1 of the horizontal mounting portion 10b. Since food can be mounted on the inclined portion 22 of (20), partitioning between foods is possible to prevent mixing, and it is possible to have ease in weighing foods, etc., and it is easy to decorate foods and has aesthetic advantages. In addition, when the food holder is loaded, occlusions between the inclined mounts 20 of the food holder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are made, so that the food holder is easy to load and space utilization can be exhibited.

도 3의 (a) 및 (b)는 도 1의 음식 거치대에 함몰부가 형성되었을 때를 도시한 사시도 및 B-B' 단면도이며, 도 4의 (a) 내지 (f)는 도 3의 음식 거치대에 사용될 수 있는 보조도구의 예시도이거나, 보조도구의 결합 예시도이다.3 (a) and (b) are perspective and BB 'sectional views showing when a recess is formed in the food cradle of FIG. 1, and FIGS. 4 (a) to (f) are used for the food cradle of FIG. It is an example of an auxiliary tool that can be used, or an example of a combination of auxiliary tools.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외주 및 내주 직립막(12, 14)은 각각 함몰부(30)를 형성하여 제1 및 제2 홈부(32, 34)가 형성될 수도 있다. 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outer and inner circumferential upright membranes 12 and 14 may form depressions 30 to form first and second groove portions 32 and 34, respectively.

구체적으로, 외주 및 내주 직립막(12, 14)에 형성되는 함몰부(30)는 각각 서로 상응하는 높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함몰부(30)는 거치부(10b)측으로 함몰되며, 각 막(12, 14)의 원주상을 따라 길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함몰부(30)는 전체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길이를 형성하여 각 막(12, 14)의 원주상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보조도구들의 인입과 인출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Specifically, the depressions 30 formed in the outer and inner circumferential upright films 12 and 14 may be formed at height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depression 30 is recessed toward the mounting portion 10b, and may form a length along the circumference of each of the membranes 12 and 14. At this time, the depression 30 may be formed so that the whole is connected, but preferably, a plurality of depressions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each of the membranes 12 and 14 by forming a predetermined length. This is to facilitate the introduction and withdrawal of auxiliary tools described later.

이러한 함몰부(30)의 형성으로 인해 제1 및 제2 홈부(32, 34)가 형성되는데, 상기의 제1 및 제2 홈부(32, 34)에 다양한 형태의 보조도구를 삽입하여 본 고안의 음식 거치대를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The first and second groove parts 32 and 34 are formed due to the formation of the recessed part 30, and various types of auxiliary tools ar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groove parts 32 and 34 to form the present invention. You can use the food holder more safely and conveniently.

보다 구체적으로, 외주 및 내주 직립막(12, 14)에 일정 높이에서 함몰부(30)가 형성될 시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부(30)와 대응되는 위치에 외측으로 개방 형성되는 제1 홈부(32)가 형성되고, 제1 홈부(32) 하측으로는 내측으로 개방 형성되는 제2 홈부(34)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거치부(10b)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제1 홈부(32) 및 제2 홈부(34)가 위치하는 구조이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recessed portions 30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outer and inner circumferential upright membranes 12 and 14, as shown in FIG. 3, the recessed portions 30 are opened outwardly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recessed portions 30. A first groove portion 32 is formed, and a second groove portion 34 that is openly formed inward may be formed below the first groove portion 32. That is, the first groove portion 32 and the second groove portion 34 are position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portion 10b.

이러한 구조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10b) 양측으로 형성된 함몰부(30), 제1 홈부(32) 또는 제2 홈부(34)로는 그에 상응하는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된 보조도구를 끼워 사용할 수 있다. 보조도구의 예로는, 손잡이(40), 가림막(42), 브러쉬(44) 등이 있다.By this structure, as shown in Figure 4, the mounting portion (10b) recessed portion (30) formed on both sides, the first groove portion 32 or the second groove portion (34) has a corresponding projection or groove formed auxiliary tool Can be used. Examples of auxiliary tools include a handle 40, a mask 42, and a brush 44.

여기서, 손잡이(40)는 본 고안의 음식 거치대가 열전도율이 높은 스테인리스로 형성됨에 따라 옮기거나 또는 들어야 할 순간에 보다 안전하게 파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손잡이(40)의 형태는 한정되지 아니하나 일단부는 굴곡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타단부에 제1 홈부(32)에 상응하는 끼움돌기(40a)가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handle 40 is for holding the food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securely at the moment to be moved or lifted as it is formed of stainless steel hav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and the shape of the handle 40 is not limited, but one end is bent. It may be formed, the other end may be provided with a fitting projection (40a)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oove portion (32).

또한, 가림막(42)은 음식 등을 가열하거나 비빌 때에 음식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도구로서, 그 형태는 한정되지 아니하나 외주 직립막(12)보다 큰 높이를 형성하는 판으로 그 끝단부에는 제1 홈부(32)에 상응하는 끼움돌기(42a)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ielding film 42 is an auxiliary tool for preventing food splashing when heating or rubbing food, etc., the shape of which is not limited, but is a plate forming a greater height than the outer circumferential upright film 12. A fitting protrusion 42a corresponding to the first groove portion 32 may be provided.

또한, 브러쉬(44)는 음식 거치대를 청소하기 위한 도구로서, 직립형의 판막에 상기 함몰부(30)에 상응하는 거치홈(44a)이 형성되며, 상부를 제외한 판막 둘레를 따라 솔 또는 고무 등의 연성 재질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브러쉬(44)는 함몰부(30)와 제2 홈부(34)에 상응하여 삽입되도록 하며, 원주상의 함몰부(30)간의 이격거리로 삽입 후, 함몰부(30)를 따라 원주상으로 회전시키도록 사용함으로써 거치부(10b), 외주 및 내주 직립막(12, 14)을 청소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ush 44 is a tool for cleaning the food holder, a mounting groove 44a corresponding to the depression 30 is formed in an upright valve, and a brush or rubber is provid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valve except the upper part. A ductile material may be provided. The brush 44 is inserted to correspond to the depression 30 and the second groove portion 34, and is inserted at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circumferential depressions 30, and then circumferentially along the depressions 30 By using to rotate, the mounting portion 10b, the outer and inner circumferential upright membranes 12 and 14 can be cleaned.

이외에도 함몰부(30), 제1 및 제2 홈부(32, 34)를 통한 다양한 보조도구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음식 거치대는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various auxiliary tools through the depression 30, the first and second grooves 32, 34 can be used in combination, and thus the food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being safer and more convenient to use.

도 5의 (a) 및 (b)는 도 1의 음식 거치대에 보조판이 형성되었을 때를 도시한 사시도 및 C-C' 단면도이다. 5 (a) and 5 (b) are perspective and C-C 'sectional views showing when the auxiliary plate is formed on the food holder of FIG. 1.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 거치대는 음식 거치대(1) 외측으로 소정의 이격공간(51)을 형성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보조판(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food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plate 50 fixedly installed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51 outside the food holder 1.

구체적으로, 보조판(50)은 음식 거치대의 양측과 하단부를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고정대(50a)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보조판(50)은 음식 거치대(1)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하도록 결합 또는 체결식으로 형성될 될 수 있다. 또한, 보조판(50)은 열이 전달되지 않는 고무, 우레탄, TPU 등과 같은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Specifically, the auxiliary plate 50 may be installed to surround both sides and bottom portions of the food holder, and may be fixed by a holder 50a or the like. At this time, the auxiliary plate 5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ood holder 1 or may be formed in a combined or fastening manner to facilitate separation and assembly. In addition, the auxiliary plate 5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urethane, TPU, etc., to which heat is not transferred.

상기의 구조의 보조판(50)은, 첫째로 음식 섭취시 등에 음식 거치대(1)로 신체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화상 등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The auxiliary plate 50 of the above structure has an effect of preventing burns or the like by first preventing the body from directly contacting the food holder 1 when eating food or the like.

또한, 둘째로 음식 거치대(1)와 보조판(50)간의 이격공간(51)을 형성함으로써 음식의 조리 등으로 발생하는 수분이 이격공간(51)으로 배출될 수 있고, 음식을 흘리거나 냄비 등의 음식이 끓어올라 넘칠 때에도 이격공간(51)을 통해 배출되거나 받쳐질 수 있으므로, 떨어지거나 넘치는 음식이 신체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아 안전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econdly, by forming the space 51 between the food holder 1 and the auxiliary plate 50, moisture generated by cooking or the like can be discharged into the space 51, spilling food, such as a pot, etc. Even when the food boils and overflows, it can be discharged or supported through the space 51, so that falling or overflowing food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body, thereby increasing safety.

또한, 보조판(50)의 구성시에 음식 거치대의 원형판(10)과 외주 직립막(12) 사이에는 원주상을 따라 복수의 개구부(16)가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로 하여금 거치부(10b) 측으로 넘치는 국물 등이 보조판(50)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auxiliary plate 50 is configured, a plurality of openings 16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column between the circular plate 10 of the food holder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upright film 12, which causes the holder 10b side The overflowing broth may be easily discharged to the auxiliary plate 50.

여기서, 개구부(16)는 다수의 통공이 일정 간격으로 원주상을 따라 형성되거나, 이어진 장홀 형태로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거치부(10b)의 경우 상기의 개구부(16)를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음식 국물 등이 개구부(16)측으로 용이하게 흐르도록 할 수 있다.Here, the opening 16 may be formed such that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along a circumferential column at regular intervals or have a length as a continuous long hole shape. Further, in the case of the mounting portion 10b, it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opening 16, so that food broth or the like can be easily flowed toward the opening 16 side.

한편, 도 5에서는 보조판(50) 하단 중앙이 밀폐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보조판(50) 하단 중앙에는 중공부(10a)로 거치되는 깊이가 깊은 냄비 등의 통과나 음식 가열시 발생되는 수분 등이 이격공간(51)에 고이도록 하지 않고 바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홀(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보조판(50) 하단 중앙은 밀폐되거나 배출홀이 형성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FIG. 5,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auxiliary plate 50 is shown as closed, but the bottom center of the auxiliary plate 50 is spaced apart from moisture generated during food heating or passing through a deep pot or the like, which is mounted to the hollow portion 10a. A discharge hole (not shown) for discharging directly to the outside of the space 51 may be formed. That is, the center of the lower portion of the auxiliary plate 50 may be sealed or a discharge hole may be formed.

이때, 배출홀(미도시)은 배출공간이 마련되기 위해 중공부(10a) 보다 넓게 형성되며, 배출홀(미도시) 하측으로는 배출되는 물질들이 신체에 접촉하지 않게 하기 위한 안전장치 등을 갖추거나 수용통 등을 따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discharge hole (not shown) is formed wider than the hollow portion 10a in order to provide a discharge space, and below the discharge hole (not shown) is equipped with a safety device or the like to prevent substances discharged from contacting the body. Or, it is preferable to separately provide a container or the like.

도 6의 (a) 및 (b)는 원형판이 2개의 분할판으로 형성되어 힌지로 연결되었을 때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저면사시도이며, 도 7의 (a) 및 (b)는 도 6의 음식 거치대의 사용 예시도이다.6A and 6B are perspective and bottom perspective views showing when the circular plate is formed of two divided plates and connected by a hinge, and FIGS. 7A and 7B are food holders of FIG. 6 It is an example of use.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 거치대는 원형판(10)이 2개의 분할판(60a, 60b)으로 분할 형성되어 힌지(62)에 의해 회동하도록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각 분할판(60a, 60b)의 양 끝단에는 각각 결합홈(66)과 결합돌기(68)가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홈(66)과 결합돌기(68)는 2개의 분할판(60a, 60b) 중 일 분할판(60a)과 타 분할판(60b)의 결합홈(66)과 결합돌기(68)가 서로 상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6 and 7, the food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such that the circular plate 10 is divided into two divided plates 60a and 60b and rotated by the hinge 62. . Here, coupling grooves 66 and coupling projections 68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each of the partition plates 60a and 60b, and the coupling grooves 66 and the coupling projections 68 may include two partition plates 60a. , 60b), the coupling groove 66 and the coupling protrusion 68 of one of the dividing plates 60a and the other dividing plates 60b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이는, 힌지 구조의 분할판(60a, 60b)을 회동시키지 않은 상태 즉, 수평으로 형성할 시에 분할판간(60a, 60b)의 결합홈(66)과 결합돌기(68)가 서로 상응하여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한편으론, 분할판(60a, 60b)이 이중으로 겹치도록 할 때 즉, 분할판(60a, 60b)을 회동시킨 후에, 회동된 다수의 음식 거치대를 이어 사용하고자 함이다.This is such that the hinge grooves of the partition plates 60a and 60b are not rotated, that is, when formed horizontally, the coupling grooves 66 and the coupling protrusions 68 between the partition plates 60a and 60b are fix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It is to do. On the other hand, when the partition plates 60a and 60b are overlapped, that is, after rotating the partition plates 60a and 60b, it is intended to continue using a plurality of rotated food holders.

상기의 방법으로 음식 거치대를 사용시에는 보다 다양한 형태의 공간과 음식 크기, 개수 등에 맞추어 음식 거치대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When using the food holder in the above manne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ize of the food holder can be freely adjusted in accordance with more various types of spaces, food sizes, and the like.

예를 들어, 공간이 작거나 사람이 적을 시, 또는 음식의 개수가 적을 때에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음식 거치대를 회동시켜 반절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단체 손님이나 사람이 많을 시, 또는 음식의 개수가 많을 때에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음식 거치대를 물결처럼 이어 사용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pace is small, when there are few people, or when the number of foods is small, as shown in FIG. 7 (a), one food holder is rotated so that only half can be used. When there are many, or when the number of foods is large, as shown in FIG. 7 (b), a plurality of food holders may be used as waves.

여기서, 각 분할판(60a, 60b)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에는 회동시나 미회동시에 힌지(62)로 인한 음식 거치대의 불균형을 균형화 하거나 미끄럼 방지 등을 위해 일정 간격으로 대칭 배열되는 보조돌기(64)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Here, as shown in Fig. 6 of each of the partition plates (60a, 60b), the auxiliary projections are symmetrically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o balance the imbalance of the food holder due to the hinge 62 when rotating or not rotating, or to prevent slipping, etc. (64) may be further included.

한편, 결합홈(66)과 결합돌기(68)의 형태는 한정되지는 않으며, 서로 상응하는 구조로의 다양한 실시 형태의 변환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결합홈(66)은 '∃'의 형태이고, 결합돌기(68)는 'ㄷ'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결합홈(66)은 'ㅁ'의 형태이고 결합돌기(68)는 결합홈(66)의 둘레에 끼워질 수 있는 크기를 형성하는 'ㅁ'의 형태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결합홈(66)은 'ㄴ'의 형태이고, 결합돌기(68)는 'ㄱ'의 형태일 수 있다. 이처럼 결합홈(66)과 결합돌기(68)의 형태는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실시 형태의 변환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shape of the engaging groove 66 and the engaging projection 68 is not limited, and conversion of various embodiments to structur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s possible. For example, the coupling groove 66 may be in the form of '∃', and the coupling protrusion 68 may be in the form of 'c'. In addition, the engaging groove 66 is in the form of 'ㅁ' and the engaging projection 68 may be in the form of 'ㅁ' forming a size that can be fitted around the engaging groove 66. As another example, the coupling groove 66 may be in the form of 'b', and the coupling protrusion 68 may be in the form of 'a'. As such, the shape of the coupling groove 66 and the coupling protrusion 68 is not limited, and various embodiments can be converted.

아울러, 결합홈(66)과 결합돌기(68)에는 결속력이 더해지도록 마그네틱(미도시)이 장착되어 자성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 magnetic (not shown) is mounted on the coupling groove 66 and the coupling protrusion 68 so that the binding force is added, and the magnetic field may be coupled using magnetism.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 거치대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살펴보았으며, 이들의 실시 형태는 각기 따로 구성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나, 서로 간섭하지 않는 범위에서라면 같이 구성되어도 무관하다.As described above, various embodiments of the food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these embodiments are basically configured separately, but may be configured together as long as they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may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is not limiting.

1 : 음식 거치대의 기본 실시 형태
10 : 원형판
10a : 중공부
10b : 거치부
12 : 외주 직립막
14 : 내주 직립막
16 : 개구부
20 : 경사 거치부
22 : 경사부
24 : 직선부
30 : 함몰부
32 : 제1 홈부
34 : 제2 홈부
40 : 손잡이
42 : 가림막
40a, 42a : 끼움돌기
44 : 브러쉬
44a : 거치홈
50 : 보조판
50a : 고정대
51 : 이격공간
60a, 60b : 분할판
62 : 힌지
64 : 보조돌기
66 : 결합홈
68 : 결합돌기
1: Basic embodiment of the food holder
10: circular plate
10a: Hollow
10b: mounting part
12: outer periphery erect membrane
14: inner periphery erect membrane
16: opening
20: inclined mounting
22: slope
24: straight portion
30: depression
32: first groove
34: second groove
40: handle
42: mask
40a, 42a: fitting
44: brush
44a: Mounting groove
50: auxiliary plate
50a: fixture
51: Space
60a, 60b: partition plate
62: hinge
64: auxiliary protrusion
66: coupling groove
68: engaging projection

Claims (6)

중공부와 거치부를 형성하는 중공형의 원형판;
상기 거치부의 외주를 따라 직립 형성되는 외주 직립막 및
상기 거치부의 내주를 따라 직립 형성되는 내주 직립막을 포함하며,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되어 사출 또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조되고,
상기 원형판은,
2개의 분할판으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2개의 분할판의 양단부가 서로 힌지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포개지는 형태로 회동하도록 연결되며,
각 분할판의 양 끝단에는 각각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형성되되, 일 분할판과 타 분할판의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서로 상응하도록 배치되어, 분할판간의 회동을 고정하거나, 분할판끼리 포개지도록 회동시킨 상태로 다수의 음식 거치대를 이어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거치대.
A hollow circular plate forming a hollow portion and a mounting portion;
An outer circumferential upright membrane formed upright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ounting portion, and
It includes an inner circumferential upright membrane formed upright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mounting portion,
It is made of stainless steel and manufactured by injection or press processing.
The circular plate,
It is formed to be divided into two dividing plates, and both ends of the two dividing plates are connected to rotate in the form of overlapping in the up / down direction by hinges to each other,
The coupling grooves and the coupling protrusions are formed at both ends of each of the partition plates, and the coupling grooves and the coupling protrusions of one and the other partition plates are arrang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so as to fix the rotation between the partition plates or to overlap the partition plates. A food holder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use multiple food holders in a rotated st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일측이 타측에 비해 높은 다수의 경사 거치부의 연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The mounting portion,
Food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is formed by the connection of a plurality of inclined mounting portion higher than the other 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 및 내주 직립막은,
각각 서로 상응하는 높이에서 상기 거치부 측으로 함몰되는 함몰부가 형성되되,
상기 함몰부는 소정의 길이로 각 막의 원주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에 의해 외측으로 개방 형성되는 제1 홈부와, 상기 제1 홈부 하측에서 내측으로 개방 형성되는 제2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and inner circumferential erect membranes,
Depressed portions are formed to be recessed toward the mounting portion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depression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each membrane with a predetermined length,
The food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groove portion is formed open to the outside by the recessed portion, and the second groove portion is formed to be opened in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groove portio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 거치대는,
상기 원형판과 외주 직립막 사이에 원주를 따라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개구부를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The food holder,
A food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openings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between the circular plat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upright film, and the mounting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opening.
삭제delete
KR2020180001639U 2018-04-12 2018-04-12 Food tray KR20049140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639U KR200491406Y1 (en) 2018-04-12 2018-04-12 Food tr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639U KR200491406Y1 (en) 2018-04-12 2018-04-12 Food tr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634U KR20190002634U (en) 2019-10-22
KR200491406Y1 true KR200491406Y1 (en) 2020-04-14

Family

ID=68381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639U KR200491406Y1 (en) 2018-04-12 2018-04-12 Food tr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406Y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0752B2 (en) * 1998-02-02 2001-06-25 日本電気株式会社 Head positioning mechanism and head positioning method for magnetic head device
JP2004180810A (en) * 2002-12-02 2004-07-02 Furiiran:Kk Plate body
CN206603537U (en) * 2016-11-04 2017-11-03 上海美尔耐密胺制品有限公司 A kind of disjunctor dish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6454U (en) * 1993-03-05 1994-09-20 英雄 上野 Tableware for noodle platter with holes in the bottom of tableware with hills
KR20120076226A (en) * 2010-12-29 2012-07-09 김민경 A tray having multi uses
JP3180752U (en) * 2012-10-23 2013-01-10 平沢 博美 Tray for tray
KR20170034085A (en) * 2015-09-18 2017-03-28 김민호 The bowl only bibimbob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0752B2 (en) * 1998-02-02 2001-06-25 日本電気株式会社 Head positioning mechanism and head positioning method for magnetic head device
JP2004180810A (en) * 2002-12-02 2004-07-02 Furiiran:Kk Plate body
CN206603537U (en) * 2016-11-04 2017-11-03 上海美尔耐密胺制品有限公司 A kind of disjunctor dish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634U (en) 201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6849B1 (en) Cooking system with reversible multi-function top
CN103054489B (en) The cooker component of estable
US6603099B2 (en) Multifunction electrical cooking appliance
US3347404A (en) Holder for multiple cooking containers
US6167799B1 (en) Tamale and vegetable steaming device
US20130306646A1 (en) Nested Cookware Set
US8794130B2 (en) Arrangement for a grill
KR20100030481A (en) Cooking vessel
KR200491406Y1 (en) Food tray
US20150196153A1 (en) Pasta pot and strainer combination
US20200390275A1 (en) Cooking apparatus
KR101374133B1 (en) Cooking vessel
CN211559713U (en) Can pile up suit pan of accomodating
US6827224B2 (en) Food liquid strainer for cooking
CN213872807U (en) Heating cover of microwave oven
KR20150004092U (en) A lid of vessel for cooking
KR200383876Y1 (en) Frying Pan Usable as Cooking Lid
CN213248511U (en) Anti-falling glass cover structure
CN214231067U (en) Cooking cup, cooking cup assembly and cooking machine
KR200471990Y1 (en) A pot having supporting a pot
JP2004008489A (en) Cooking vessel
CN213786751U (en) Soup pot
KR20120006863A (en) Disposable container
KR200492127Y1 (en) A Universal Container Having a Double Cap
KR102447181B1 (en) Stand for cooking too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