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7181B1 - Stand for cooking tools - Google Patents

Stand for cooking too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7181B1
KR102447181B1 KR1020210022459A KR20210022459A KR102447181B1 KR 102447181 B1 KR102447181 B1 KR 102447181B1 KR 1020210022459 A KR1020210022459 A KR 1020210022459A KR 20210022459 A KR20210022459 A KR 20210022459A KR 102447181 B1 KR102447181 B1 KR 102447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groove
main body
support
cookware
spaced a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24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18708A (en
Inventor
성주현
Original Assignee
성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주현 filed Critical 성주현
Priority to KR1020210022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7181B1/en
Publication of KR20220118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87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1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47G2400/025Avoiding contact with unclean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용 조리도구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국자와 같은 조리도구를 세워서 보관하였다가 다시 쉽게 꺼내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눕혀서도 보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위생성이 뛰어나면서도 세척이 용이한 주방용 조리도구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ware holder for the kitchen, and in particular, it can be stored upright and stored upright, and can be easily taken out and used again, and can be stored lying down. is about

Description

주방용 조리도구 받침대{STAND FOR COOKING TOOLS}Kitchen utensil stand {STAND FOR COOKING TOOLS}

본 발명은 주방용 조리도구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국자와 같은 조리도구를 세워서 보관하였다가 다시 쉽게 꺼내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눕혀서도 보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위생성이 뛰어나면서도 세척이 용이한 주방용 조리도구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ware holder for the kitchen, and more particularly, it can be stored upright and stored upright, and can be easily taken out and used again. It is about the cookware stand.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혹은 음식물을 떠내는 등의 부수적 목적을 위해 조리도구를 사용하는데, 조리도구에는 국자를 비롯하여 뒤집개, 주걱, 집게 등 다양한 종류의 것들이 있다.In general, cooking utensils are used for ancillary purposes such as cooking food or scooping food, and there are various types of cooking tools, such as ladle, spatula, spatula, and tongs.

위와 같은 조리도구는 사용 과정에서 이용자가 항상 손으로 잡고 있거나 조리용기에 걸쳐 놓거나 혹은 싱크대나 밥상에 그대로 올려 놓아두는 등 수시로 보관하였다가 사용하고 있다.In the process of using the above cooking utensils, the user always holds them by hand, puts them on the cooking container, or puts them on the sink or on the table as they are.

이에, 조리도구를 편안한 상태로 재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진 다양한 구조의 조리도구 보관대가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Accordingly, in order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by allowing the cooking utensils to be placed in a comfortable state, cooking utensils storage tables of various structures made of various materials have been developed and provided.

그런데, 종래의 걸이형의 조리도구 보관대는 조리도구가 자체에 걸고리나 걸림공 등과 같은 거치수단을 포함하고 있어야 함은 물론, 조리용기 근처에 놓아두고 사용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hanger-type cookware storage rack has a problem in that the cookware must include a mounting means such as a hook or a hook ball on itself, and it is difficult to use it while placing it near the cooking container.

또한, 조리도구 받침대의 경우에는 별도의 거치수단이 없어도 받침대 위에 올려놓을 수 있고, 조리용기 근처에 놓아두고 사용할 수는 있지만, 똑바로 세워둘 수 없어서 조리도구를 눕혀두면 차지하는 면적이 넓어지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okware stand, it can be placed on the stand without a separate mounting means and can be placed near the cooking vessel and used,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rea occupied by the cookware spreads when the cookware is laid down because it cannot be placed upright. .

이에, 일부에서는 조리도구 받침대를 변형하여 조리도구가 세워져 기댈 수 있는 구조를 추가하고 있기는 하지만, 이 경우 받침대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증가하고, 세척이 어려우며, 위생 상태가 나빠지는 새로운 문제가 발생한다.Accordingly, some have modified the cookware base to add a structure in which the cookware can be erected and leaned, but in this case, the complex structure of the base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difficulty in cleaning, and new problems of poor hygiene. Occur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86443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08644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4025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534025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국자와 같은 조리도구를 세워서 보관하였다가 다시 쉽게 꺼내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눕혀서도 보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위생성이 뛰어나면서도 세척이 용이한 주방용 조리도구 받침대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t is possible to store cooking utensils such as ladles upright and then easily take them out and use them, as well as store them lying down, and furthermore, it is excellent in hygiene and easy to clean for kitchen cooking. We would like to provide a tool stand.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조리도구 받침대는 상면에 조리도구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있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조리도구가 끼워지는 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대는 상기 안착홈의 외측에서 서로 이격된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각각 상측으로 일정 높이 연장된 간격부와;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간격부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안착홈 위에 위치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의 일단과 타단을 상기 간격부의 상부에 각각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the cookware base for the kitch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in which a seating groove in which the cookware is seated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upper surface; and a support formed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nto which the cooking tool is fitted, wherein the support is made of a pair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outside of the seating groove, and a spacer portion extending upward by a predetermined height, respectively; ; a locking part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spaced apart from the spacer inwardly and positioned on the seating groove;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engaging portion to the upper portion of the gap portion, respectively.

이때, 상기 본체는 상기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안착홈부; 및 상기 안착홈부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홈부보다 두께가 두꺼운 프레임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대는 상기 프레임부의 상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main body includes a seating groove portion in which the seating groove is formed; and a frame portion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seating groove and having a thickness greater than that of the seating groove, but preferably, the support is extende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또한, 상기 본체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안착홈부는 중심부로 갈수록 상기 안착홈의 깊이가 깊어지며, 상기 본체의 저면에는 상기 프레임부와 안착홈의 중심부 사이에 흡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ody is made of a silicon material, the depth of the seating groove increases toward the center of the seating groove portion, and it is preferable that a suction groov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between the frame portion and the center of the seating groove. do.

또한, 상기 흡착홈은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이격 형성되며, 서로 인접한 상기 흡착홈들 사이에는 상기 중심부에서 프레임부까지 연결되는 일정 두께의 리브(ri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he suction grooves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rib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connected from the center to the frame is formed between the adjacent suction grooves.

또한, 상기 본체의 저면 중 적어도 바닥면에 닿는 면에는 경면(surface of a mirror) 처리가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a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is treated with a surface of a mirror.

또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간격부의 상단보다 낮은 높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는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ngaging portion is formed at a height lower than the upper end of the gap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is inclined downwardly toward the inside.

또한, 상기 걸림부의 길이는 상기 간격부의 이격 거리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engaging portion is short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spacing portion.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안착홈이 형성된 본체의 일측에 사방이 개방된 구조의 지지대를 구비하여 조리도구가 안착홈에 안착됨과 동시에 지지대에 끼워지게 되므로, 보관상태의 하나로서 세워진 상태로 보관될 수 있게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upport having a structure that is open in all directions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in which the seating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cooking tool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and fitted to the support at the same time, so it can be stored in an erected state as one of the storage states. let there be

따라서, 조리도구를 세워서 보관하였다가 다시 쉽게 꺼내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 다른 상태로서 눕혀서도 보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개방 구조의 지지대로 인해 위생성이 뛰어나면서도 용이한 세척을 가능하게 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store the cooking utensils upright and then take them out and use them easily, and also to keep them lying down as another state. In addition, due to the support of the open structure, it is possible to easily clean while being excellent in hygie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조리도구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조리도구 받침대의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조리도구 받침대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조리도구 받침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조리도구 받침대의 정면도와 배면도를 각각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조리도구 받침대의 일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조리도구 받침대의 다른 사용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okware base for a kitch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okware base for the kitch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ottom view of the cookware base for the kitch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a cookware base for a kitch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front view and a rear view of the cookware base for the kitch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6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cookware holder for the kitch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other use state diagram of the cookware base for the kitch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조리도구 받침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cookware holder for the kitche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조리도구 받침대는 상면에 조리도구가 안착되는 안착홈(11a)이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있는 본체(10) 및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며 조리도구가 끼워지는 지지대(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 the cookware holder for the kitch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main body 10 in which a seating groove 11a on which the cookware is seated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and cooks. It includes a support 20 on which the tool is fitted.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본체(10)의 일측에 사방이 개방된 구조의 지지대(20)를 구비함으로써, 보관상태의 하나로서 조리도구(30)가 안착홈(11a)에 안착됨과 동시에 지지대(20)에 끼워져 세워진 상태로 보관될 수 있게 한다(도 6의 참조).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support 20 having a structure open in all directions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cooking tool 30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11a and at the same time the support 20 as one of the storage conditions. ) so that it can be stored in an upright state (refer to FIG. 6).

따라서, 조리도구(30)를 세워서 보관하였다가 다시 쉽게 꺼내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방 구조의 지지대(20)로 인해 위생성이 뛰어나면서도 세척을 용이하게 한다. 나아가, 또 다른 보관상태로서 눕혀서도 보관할 수 있게 한다.Therefore, the cooking utensils 30 can be stored upright and then easily taken out and used again, and the support 20 of the open structure provides excellent hygiene and facilitates cleaning. Furthermore, as another storage state, it can be stored even when lying down.

이러한 주방용 조리도구 받침대는 목재, 합성수지재 및 금속재와 같은 재질로 제작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본체(10)를 실리콘 재질로 하고, 그에 더해 지지대(20) 역시 선택적으로 실리콘 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Such a cookware holder for the kitchen can be made of materials such as wood,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metal material, but preferably at least the main body 10 is made of a silicone material, and in addition, the support 20 is also optionally made of a silicone material. .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10)는 가정이나 음식점 등의 싱크대, 테이블 혹은 밥상과 같은 설치면 위로 가져와 사용되는 것으로, 내측에 구비된 안착홈부(11) 및 그 외측에 구비된 프레임부(12)를 포함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프레임부(12)의 측면에는 손잡이홈(13)을 구비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main body 10 is brought and used on an installation surface such as a sink, table, or dining table in a home or restaurant, and a seating groove 11 provided inside and a frame 12 provided on the outside thereof. includes In addition, a handle groove 13 may b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rame part 12 if necessary.

이때, 안착홈부(11)에는 조리도구(30)가 안착되는 안착홈(11a)이 형성되어 있는데, 실시예로 원형의 본체(10)에 원형의 안착홈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안착홈(11a)은 안착홈부(11) 중 내측부에 일정 면적으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seating groove 11 is formed with a seating groove 11a in which the cooking tool 30 is seated. In an embodiment, a circular seating groove 11 is formed in the circular body 10, and the seating groove (11a)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area on the inner side of the seating groove (11).

프레임부(12)는 안착홈부(11)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안착홈부(11)보다 두껍게 성형된다. 즉, 프레임부(12)는 저면 내측 부분에 흡착부를 형성하면서도 상면에 지지대(20)가 연장되도록 안착홈부(11) 보다 두껍게 제작된다. The frame part 12 is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seating groove part 11 and is formed to be thicker than the seating groove part 11 . That is, the frame part 12 is manufactured to be thicker than the seating groove part 11 so that the support 20 extends on the upper surface while forming the adsorption part on the inner part of the bottom surface.

손잡이홈(13)은 실시예로 원호 형상으로 파인 홈을 적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잡기가 쉽도록 프레임부(12)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handle groove 13 may be applied to a fine groove in an arc shape as an embodiment, and may be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unit 12 so that the user can easily hold it.

또한, 본체(10)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체(10) 이외에 지지대(20) 역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본체(10)와 지지대(20)를 포함하여 일체로 사출성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0 is preferably made of a silicone material. When the support 20 is also made of a silicone material in addition to the main body 10, it may be integrally injection-molded including the main body 10 and the support 20. .

이때, 도 2와 같이, 본체(10)의 상면에 형성된 안착홈부(11)는 그 중심부로 갈수록 안착홈(11a)의 깊이가 깊어지게 형성된다. 아울러 본체(10)의 저면에는 프레임부(12)와 안착홈(11a)의 중심부 사이에 흡착홈(11b)이 형성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2 , the seating groove 1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s formed to have a deeper depth of the seating groove 11a toward the center thereof. In addition, a suction groove 11b is formed between the frame portion 12 and the center of the seating groove 11a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두께가 두꺼운 외측의 프레임부(12)가 폐루프(closed loop)를 형성하여 외부와 내부를 구획하고, 그 내측에는 다수의 흡착홈(11b)이 구비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thick outer frame portion 12 forms a closed loop to partition the outside and the inside, and a plurality of suction grooves 11b are provided inside the frame portion 12 .

따라서 본체(10)를 사용하고자 하는 편평면 위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안착홈(11a) 부분을 살짝 누르면 안착홈(11a) 내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 나간 후 밀착되어 내외부 압력차에 의한 흡착이 이루어지면서 받침대가 견고히 고정되므로, 주방도구를 세워두거나 올려놓을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body 10 is placed on a flat surface to be used and the seating groove 11a is lightly pressed, the air in the seating groove 11a escapes to the outside, and then the air in the seating groove 11a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pedestal while adsorption is achiev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Since the fixture is firmly fixed, it can be stably supported even when the kitchen tool is standing or placed on it.

다만, 도 3과 같이 흡착홈(11b)은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이격 형성되며, 서로 인접한 흡착홈(11b)들 사이에는 안착홈(11a)의 중심부에서 프레임부(12)까지 연결되는 일정 두께의 리브(rib, 11c)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as shown in FIG. 3 , a plurality of suction grooves 11b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connected from the center of the seating groove 11a to the frame portion 12 between adjacent suction grooves 11b. It is preferable that the rib (rib, 11c) is formed.

이에 의하면 다수의 흡착홈(11b)들에서 분산하여 동시에 흡착이 이루어지므로 더욱 견고한 흡착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며, 리브(11c)는 과도한 형상 변형을 방지하여 흡착 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게 한다.According to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ronger adsorption effect because it is dispersed in the plurality of adsorption grooves 11b and simultaneously adsorbed, and the rib 11c prevents excessive shape deformation to maintain the adsorption state for a long time.

또한, 본 발명은 본체(10)의 저면 중 적어도 바닥면(싱크대, 테이블 및 밥상 등의 상면)에 닿는 면에는 경면(surface of a mirror) 처리가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n contact with at least the bottom surface (the upper surface of the sink, table, dining table, etc.) is subjected to a surface of a mirror treatment.

경면은 본체(10)의 저면에 대응하는 성형틀(금형)을 유리처럼 매끄러운 것으로 준비 후 실리콘 원재를 넣어 성형함으로써 생성되고, 경면 처리에 의해 본체(10)의 저면은 유광을 갖게 된다.The mirror surface is generated by preparing a mold (mold)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0 to be smooth like glass and then molding it by putting a silicon raw material,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0 is glossy by mirror processing.

본체(10)의 저면이 경면 처리되어 유광을 갖는 면이 되면, 본체(10)의 저면(경면)이 흡착면으로서 기밀성을 갖게 되어 매끄러운 면을 갖는 대상물에 더욱 잘 점착 및 흡착되게 한다.Whe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s mirror-treated to have a glossy surface, the bottom surface (mirro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has airtightness as an adsorption surface, so that it is better adhered and adsorbed to an object having a smooth surface.

한편, 지지대(20)는 본체(10)의 상면, 더욱 정확히는 프레임부(12)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관체로, 주된 기능으로서 안착홈(11a)에 안착된 조리도구(30)가 자중에 의해 쓰러지지 않도록 가압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20 is a tubular body exten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more precisely,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part 12, and the cooking tool 30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11a as a main function is self-weight. It serves to support the pressure so that it does not fall over.

이를 위해, 상기 지지대(20)는 간격부(21)와, 걸림부(22) 및 연결부(23)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support 20 includes a gap portion 21 , a locking portion 22 , and a connection portion 23 .

그 중 간격부(21: 21-1, 21-2)는 조리도구(30)(예: 국자) 중 안착홈(11a)에 안착된 부분의 일측이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안착홈(11a)의 외측에서 서로 이격된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Among them, the gap portions 21: 21-1, 21-2 are for securing a space in which one side of the portion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11a of the cooking utensils 30 (eg, ladle) can be inserted and fitted. As such, it consists of a pai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outside of the seating groove (11a).

또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제1 간격부(21-1)와 제2 간격부(21-2)는 각각 상측으로 일정 높이 연장된 후 연결부(23)를 통해 걸림부(22)까지 연결됨에 따라, 지지대(20)는 적어도 각 부 연결점에서 굴곡을 갖는 관체를 구성한다.In addition, a pair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irst spacer portion 21-1 and the second spacer portion 21-2 are respectively extended upward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n connected to the engaging portion 22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23. Accordingly, the support 20 constitutes a tubular body having a curvature at least at each sub-connection point.

도 4와 같이, 걸림부(22)는 안착홈(11a) 중 적어도 일부분을 가로지도록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간격부(21)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안착홈(11a) 위에 떠 있는 상태가 된다. 즉, 걸림부(22)는 간격부(21)에 의해 일정 높이 떠서 연결부(23)에 의해 안착홈(11a) 위에 위치하게 된다.As shown in FIG. 4 , the locking part 22 has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cross at least a portion of the seating groove 11a, and is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the spacer 21 inward to float on the seating groove 11a. That is, the locking part 22 floats at a predetermined height by the spacing part 21 and is positioned on the seating groove 11a by the connection part 23 .

연결부(23)는 걸림부(22)의 일단과 타단을 간격부(21)의 상부에 각각 연결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연결부(23)는 걸림부(22)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1 연결부(23) 및 타단과 연결되는 제2 연결부(23)를 포함한다.The connecting portion 23 connects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engaging portion 22 to the upper portion of the gap portion 21 , respectively, and the connecting portion 23 is a first connecting portion 23 connected to one end of the engaging portion 22 .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23 connected to the other end.

이러한 구성의 지지대(20)에 의하면, 굴곡 지점에서 서로 간에 연결되어 관체를 구성하는 간격부(21), 걸림부(22) 및 연결부(23)만이 공간을 점유하고, 그 이외 부분은 개방되어 조리도구(30)를 끼워 지지할 수 있게 한다.According to the support 20 of this configuration, only the space portion 21, the engaging portion 22, and the connecting portion 23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bending point and constitute the tube occupies the space, and other portions are opened and cooked It allows the tool 30 to be fitted and supported.

특히, 한 쌍의 간격부(21) 사이는 물론 걸림부(22)에서 연결부(23)를 따르는 내측 방향 공간이 모두 개방되어 있어서, 국자 하부체(손잡이 아래 뜨는 부분)(도 6의 '31' 참조)와 같은 조리도구(30)의 일부분이 끼워져 지지될 수 있게 한다.In particular, all of the space in the inward direction along the connection part 23 in the engaging part 22 as well as between the pair of spacing parts 21 is open, so the lower part of the ladle (the part that floats under the handle) ('31' in FIG. 6) A portion of the cooking tool 30, such as reference), can be fitted and supported.

다만, 도 5와 같이 지지대(20) 중 걸림부(22)는 간격부(21)의 상단보다 낮은 높이에 형성되어 있고, 연결부(23)는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However, as shown in FIG. 5 , the engaging portion 22 of the support 20 is formed at a lower height than the upper end of the spacing portion 21 , and the connecting portion 23 is preferably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ly toward the inside.

이를 통해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힘을 가하여 조리도구(도 6의 '30' 참조)의 손잡이(32)로 인해 후방부에 무게 중심이 있는 경우에도 조리도구(30)를 견고히 지지하고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Through this, by applying a force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even if there is a center of gravity in the rear part due to the handle 32 of the cooking tool (see '30' in FIG. 6), it can firmly support the cooking tool 30 and prevent it from falling. make it possible

또한, 걸림부(22)의 길이는 간격부(21)의 이격 거리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한 쌍의 연결부(23)는 내측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틀어진 형상을 갖게 되므로, 자체의 굴곡진 형상으로 인해 더욱 큰 텐션을 제공하면서도, 크기작 작은 것 부터 큰 것까지 다양한 크기의 조리도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engaging portion 22 is preferably short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spacing portion (21). Through this, the pair of connecting parts 23 have a shape that is twisted to get closer to each other toward the inside, so it provides greater tension due to its curved shape, while cooking utensils of various sizes from small to large. to provide stable support.

따라서, 도 6과 같이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안착홈(11a)에서의 제1 지지점 및 지지대(20)에서의 제2 지지점을 포함하는 서로 이격된 2개의 지지점을 제공하여, 국자(부분간 일정 각도를 갖는 도구)와 같은 조리도구(30)를 세워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6 provides two support poin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cluding a first support point in the seating groove 11a and a second support point in the support 20, a ladle (constant between parts) It is possible to store the cooking tools 30 such as tools having an angle) upright.

또한, 조리도구(30)가 지지대(20)에 삽입되는 깊이에 따라 걸림부(22)나 연결부(23)의 저면 어디에나 지지될 수 있게 하며, 사방이 개방되어 있어서 위생상 유리하며, 세척도 용이하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epth at which the cookware 30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20, it can be supported anywher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oking part 22 or the connecting part 23, and it is advantageous for hygiene because it is open in all directions, and it is easy to clean. will do

또한, 도 7과 같이 조리도구(30)가 세워져 있는 상태에서 다른 조리도구(40)를 지지대(20) 위에 포개서 보관할 수 있으며, 세워져 있는 조리도구(30)가 없는 경우라면 본체(10)나 지지대(20) 어디에나 조리도구(40)를 올려놓거나 지지대(20)에 눕힌 상태로 끼워서 보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 other cookware 40 can be stacked on the support 20 in the state where the cookware 30 is standing, and if there is no cooker 30 that is erected, the main body 10 or the supporter (20) It is possible to put the cooking utensils 40 anywhere or to be stored by being placed in a lying state on the support 20.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However,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chang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understand when you grow up.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y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따라서, 상술한 본체(10)는 원형 이외에 다각 형상도 가능하며, 그 크기(직경)도 설계 변경 가능한 범위에서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ly, the above-described body 10 may have a polygonal shape other than a circular shape, and its size (diameter) may be adjusted within a design changeable range.

또한, 지지대(20)의 높이나 굴곡부 각도 역시 특정의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며, 무게 중심의 안정화를 위해 본체(10)의 측면에는 전방부(지지대가 있는 방향)를 향해 연장된 다양한 형상의 웨이트(weight)를 더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height or angle of the bend of the support 20 can also be changed within a specific range, and for stabiliza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the side of the main body 10 has a weight of various shapes extending toward the front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is located) ( weight) can be formed.

예컨대, 본체(10)의 자체의 형상을 도시된 바와 다르게 변형하여, 본체(10)의 측면 중 전방 부분이 돌출되도록 연장시켜 다양한 형상으로 연장 가능한 그 부분을 웨이트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main body 10 differently from that shown, the front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s extended to protrude so that the portion that can be extended in various shapes can be used as a weight.

10: 본체
11: 안착홈부
11a: 안착홈
11b: 흡착홈
11c: 리브(rib)
12: 프레임부
13: 손잡이홈
20: 지지대
21: 간격부
22: 걸림부
23: 연결부
30, 40: 조리도구(국자, 뒤집개)
10: body
11: seating groove
11a: seating groove
11b: suction groove
11c: rib
12: frame part
13: handle groove
20: support
21: gap part
22: locking part
23: connection
30, 40: Cooking tools (ladle, spatula)

Claims (7)

상면에 조리도구(30)가 안착되는 안착홈(11a)이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있는 본체(10); 및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조리도구(30)가 끼워지는 지지대(20);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대(20)는,
상기 안착홈(11a)의 외측에서 서로 이격된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각각 상측으로 일정 높이 연장된 간격부(21)와;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간격부(21)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안착홈(11a) 위에 위치하는 걸림부(22); 및
상기 걸림부(22)의 일단과 타단을 상기 간격부(21)의 상부에 각각 연결시키는 연결부(23);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10)는,
상기 안착홈(11a)이 형성되어 있는 안착홈부(11); 및
상기 안착홈부(11)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홈부(11)보다 두꺼운 프레임부(12);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20)는 상기 프레임부(12)의 상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안착홈부(11)는 중심부로 갈수록 상기 안착홈(11a)의 깊이가 깊어지며,
상기 본체(10)의 저면에는 상기 프레임부(12)와 안착홈(11a)의 중심부 사이에 흡착홈(11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조리도구 받침대.
a main body 10 having a seating groove 11a on the upper surface of which the cooking tool 30 is seated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and
A support 20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fitted with the cooking tool 30; includes,
The support 20,
a pair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outside of the seating groove (11a), each of the spacer portions 21 extending upward by a predetermined height;
a locking part 22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spaced apart from the spacing part 21 inwardly and positioned on the seating groove 11a; and
Containing; including a;
The main body 10,
a seating groove portion 11 in which the seating groove 11a is formed; and
It is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seating groove (11), the frame portion (12) thicker than the seating groove (11); includes,
The support 20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12,
The body 10 is made of a silicone material,
The seating groove 11 has a deeper depth toward the center of the seating groove 11a,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 a suction groove (11b) is formed between the frame portion (12) and the center of the seating groove (11a).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홈(11b)은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이격 형성되며,
서로 인접한 상기 흡착홈(11b)들 사이에는 상기 중심부에서 프레임부(12)까지 연결되는 일정 두께의 리브(rib, 11c)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조리도구 받침대.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the adsorption grooves 11b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rib (11c) of a certain thickness connected from the central portion to the frame portion (12) is formed between the adjoining suction grooves (11b).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저면 중 적어도 바닥면에 닿는 면에는 경면(surface of a mirror) 처리가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조리도구 받침대.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of the bottom surfaces of the main body (10)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is a surface of a mirror (surface of a mirror) treatment for kitchen utensil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22)는 상기 간격부(21)의 상단보다 낮은 높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23)는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조리도구 받침대.
According to claim 1,
The engaging portion 22 is formed at a height lower than the upper end of the spacing portion 21,
The connection part 23 is a cookware base for kitche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ined downwardly toward the insid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22)의 길이는 상기 간격부(21)의 이격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조리도구 받침대.
7. The method of claim 6,
The length of the engaging portion (22) is short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spacing portion (21).
KR1020210022459A 2021-02-19 2021-02-19 Stand for cooking tools KR1024471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459A KR102447181B1 (en) 2021-02-19 2021-02-19 Stand for cooking too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459A KR102447181B1 (en) 2021-02-19 2021-02-19 Stand for cooking too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708A KR20220118708A (en) 2022-08-26
KR102447181B1 true KR102447181B1 (en) 2022-09-26

Family

ID=83113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459A KR102447181B1 (en) 2021-02-19 2021-02-19 Stand for cooking too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718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5182U (en) * 1995-11-27 1996-06-11 プリンス工業株式会社 Cutting board stand
JP3025182B2 (en) * 1995-09-25 2000-03-27 キヤノン株式会社 Method of forming photovoltaic element
KR200257723Y1 (en) * 2001-09-13 2001-12-22 장재산 Spoon, Bowl Cover Res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5207A (en) * 2010-11-25 2010-12-24 김휘곤 Suction saucer for cup
KR101534025B1 (en) 2014-03-04 2015-07-24 조재현 Cookware Stand
KR20160002035U (en) * 2014-12-04 2016-06-14 (주)에이스코리아 Cup for easy absorption
KR102086443B1 (en) 2019-07-19 2020-03-09 강민혁 Cooking tools suppor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5182B2 (en) * 1995-09-25 2000-03-27 キヤノン株式会社 Method of forming photovoltaic element
JP3025182U (en) * 1995-11-27 1996-06-11 プリンス工業株式会社 Cutting board stand
KR200257723Y1 (en) * 2001-09-13 2001-12-22 장재산 Spoon, Bowl Cover Re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708A (en) 2022-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9401B1 (en) Frying pan holder
US10052012B2 (en) Holding assembly
EP3188641B1 (en) Holding assembly
KR20080064940A (en) Flatware drying rack
KR102447181B1 (en) Stand for cooking tools
US9888794B2 (en) Combined plate and collapsible beverage holder
KR20210001373A (en) Grooming shelf of Kitchen utensils
KR101005818B1 (en) Coupling structure of containers for kitchen utensil
US20120145865A1 (en) Pot and utensil rest
KR200484814Y1 (en) Suspension tableware construction unit
US5810308A (en) Lid holder
CN210300531U (en) Cup holder and cup holder set
KR200385652Y1 (en) Frying pan supporter
KR200481424Y1 (en) Tray Having Holder Function
JP2003024264A (en) Storage for storing tableware and cooking utensils
EP1787568A1 (en) Cutlery basket and basket set for a dishwashing machine comprising quick access zone
US1194030A (en) Ofeic
JP5078292B2 (en) Stable self-help tableware
JP5432327B2 (en) Pan lid stand
KR101323635B1 (en) Structure of a vessel have multi-use
KR102060226B1 (en) Block type dish drying rack
CN217610678U (en) Vertical kitchen ware and kitchen ware accessory with liquid flows down is held
JP7356174B2 (en) tableware
CN210611778U (en) Anti-dripping spoon convenient to place
CN216317249U (en) Integrated hook for pot and pot c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