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0925A - 자전거 안장 - Google Patents

자전거 안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0925A
KR20120130925A KR1020110048997A KR20110048997A KR20120130925A KR 20120130925 A KR20120130925 A KR 20120130925A KR 1020110048997 A KR1020110048997 A KR 1020110048997A KR 20110048997 A KR20110048997 A KR 20110048997A KR 20120130925 A KR20120130925 A KR 20120130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plate
bicycle
bar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8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준
이수아
이두재
Original Assignee
이강준
이두재
이수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준, 이두재, 이수아 filed Critical 이강준
Priority to KR1020110048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0925A/ko
Publication of KR20120130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09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18Covers for saddles or other seats; Paddings
    • B62J1/26Paddings involving other resilient material, e.g. sponge rubber with inflatabl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02Saddles having a seating area with a central cavity or depr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 중앙에 장홈이 형성되어 상부가 좌우로 분리되고 하부가 일체형으로 되고 내부에 금속으로 된 완충판이 인서트된 우레탄 재질의 안장받침판을 구성하고, 안장받침판의 하부에 고정판을 구성하여 고정판이 자전거의 안장프레임에 결합되는 자전거 안장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 중앙에 장홈이 형성되어 상부가 좌우로 분리되고 하부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우레탄 재질로 되고 내부에 인서트된 금속의 완충판이 구성되는 안장받침판과; 상기 안장받침판의 하부면과 접촉하는 평판의 저지면과, 상기 저지면의 양측면에 일체형으로 돌출된 돌출면과, 상기 돌출면 각각과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하측으로 도출된 지지바와, 상기 양측의 지지바를 연결하는 결합바로 구성되는 고정판으로 구성되어; 장홈의 공간에 탑승자의 음경부의 도피 공간이 형성되어 탑승자의 음경부를 압박하지 아니하고 완충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우레판이 바퀴로부터 안장으로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1차 완화하고 완충판의 상부에 위치하는 우레판이 1차 완화된 충격이나 진동을 2차 완화하고 저지면이 안장받침판을 처짐을 저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전거 안장{bicycle saddle}
본 고안은 자전거 안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 중앙에 장홈이 형성되어 상부가 좌우로 분리되고 하부가 일체형으로 되고 내부에 금속으로 된 완충판이 인서트된 우레탄 재질의 안장받침판을 구성하고, 안장받침판의 하부에 고정판을 구성하여 고정판이 자전거의 안장프레임에 결합되는 자전거 안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사람이 두 발로 페달을 밟아 생긴 힘으로 바퀴를 돌리면서 앞으로 이동되도록 만든 것을 뜻하며, 넓은 뜻으로는 삼륜이나 사륜으로 만들어진 것과 수상 혹은 빙상자전거 등 지상 외의 곳을 주행하는 것도 총칭하여 일컬어지고 있다.
이러한 자전거는 인력을 이용한 대표적인 교통수단의 하나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고, 최근에는 운동기구로서의 건강증진효과와 함께 레크리에이션 수단으로서의 다양한 응용이 가능한 한편, 환경친화적인 특성에 의해 수요가 점차 확산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자전거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부와, 프레임부에 결합되어 탑승자의 인력에 의하여 회전하여 동력을 발생하는 페달과 페달의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과 체인의 속도를 회전속도를 변화시키는 기어로 구성된 동력전달부와, 기어의 회전동력에 의하여 회전되어 자전거를 전진하게 하고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바퀴부와, 전륜과 프레임에 결합되어 탑승자에 의하여 자전거의 진행방향을 결정하는 핸들부와, 프레임으로 프레임부의 프레임 중에서 중간 프레임에 해당하고 사선 수직으로 구성된 안장프레임의 상단부에 안장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종래기술에서의 자전거 안장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장(100)은 안장받침판(110)과 코일스프링(120), 연결바(140) 및 결합바(130)로 구성되는데, 안장받침판(110)은 상부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며, 후부가 탑승자의 둔부를 받쳐주도록 넓은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전부가 협소한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전부가 탑승자의 사타구니 사이에 위치되게 되는 오뚜기의 단면과 비슷한 평면으로 구성된다.
또한, 탑승자에게 승차감을 부여하고 피로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안장받침판(110)의 하측과 자전거의 안장프레임(a')을 코일스프링(120)으로 결합하여 안장(100)이 전체적으로 탄성을 갖고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120)은 바퀴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이 답승자에게 직접 전달되지 아니하고 이를 완화시키기 위하여 좌우 각 1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코일스프링(120)의 상부는 안장받침판(110)의 후부 내면과 밀착되게 된다.
상기 각각의 코일스프링(120)은 금속으로 된 연결바(140)로 연결되어 적당한 거리로 이격되게 구성되며, 상기 결합바(130)는 전부가 협소한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중간부가 평행하게 형성되고 후부가 부채살 모양으로 넓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바(130)의 전부는 안장받침판(110) 전부 하부의 내면에 삽입되고 후부는 상기 각각의 코일스프링(120)의 하부 및 연결바(140)와 동시에 결합되어 안장받침판(120)이 코일스프링(120) 및 결합바(130)에 결합되며, 결합바(130)가 결합구(b')에 의하여 자전거의 사선 수직으로 구성된 안장프레임(b')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안장(100)이 자전거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자전거 안장받침판(110)은 소정 거리로 돌출된 전부에 의하여 자전거 탑승자의 양측 다리의 운동 범위를 구분하여 자전거 탑승자가 용이하게 자전거의 페달을 밟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전거 안장은 전부가 협소하게 소정 거리로 돌출 형성되어 사타구니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표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아니하여 탑승자의 음경부를 압박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자전거 안장은 장기간 탑승에 의하여 탑승자의 음경부를 압박함으로써 음경부에 피의 흐름을 방해하게 되어 발기부전이나 전립선 가압에 의한 기능 장애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자전거 안장은 승차감을 위하여 코일스프링, 연결바 및 결합바를 결합하고 있으나 이들을 각각 제작하고 조립하여야 하므로 제작과정이 어렵고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안장받침판의 상부가 장홈에 의하여 분리되고 좌우 양측이 상향으로 곡선을 이루며 굴곡지도록 형성하도록 하고, 충격 흡수가 가능한 우레탄 재질의 안장받침판을 구성하면서 안장받침판 내에 스프링강으로 인서트 된 완충판을 구성하여 자전거 탑승자의 사타구니와 항문 및 요도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키고 승차감의 개선과 장시간 운전 시에도 피로가 덜 발생되게 하는 자전거 안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자전거 안장에 있어서, 상부 중앙에 장홈이 형성되어 상부가 좌우로 분리되고 하부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안장받침판과; 안장받침판의 하부에 결합되는 고정판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안장받침판이 우레탄 재질로 되고 내부에 인서트된 금속의 완충판이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판이 안장받침판의 하부면과 접촉하는 평판의 저지면과, 저지면의 양측면에 일체형으로 돌출된 돌출면과, 돌출면 각각과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하측으로 도출된 지지바와, 양측의 지지바를 연결하는 결합바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판이 완충판의 하부면과 접촉하는 평판의 저지면과, 저지면의 양측면에 일체형으로 돌출된 돌출면과, 돌출면 각각과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하측으로 도출된 지지바와, 양측의 지지바를 연결하는 결합바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돌출면의 양측이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게 저지면의 가장자리 끝단과 돌출면과의 사이의 양측에 요홈이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자전거 안장은 안장받침판의 내부에 인서트된 완충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우레판이 바퀴로부터 안장으로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1차 완화하여 1차 충격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장받침판의 내부에 인서트된 완충판의 상부에 위치하는 우레판이 1차 완화된 충격이나 진동을 2차 흡수하여 바퀴로부터 안장으로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더 완화하여 2차 충격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장받침판의 전부가 협소하게 소정 거리로 돌출 형성되지 아니하여 즉, 안장코가 없어서 탑승자의 음경부를 압박하지 아니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장받침판의 상부 중앙에 장홈에 의한 공간으로 탑승자의 음경부의 도피 공간이 형성되어 음경부가 압박되지 아니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장받침판의 내부 공간에 인서트 된 완충판이 페달을 회전시키는 탑승자의 좌우 허벅지의 움직임에 동조하여 전후좌우로 움직이므로 승차감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종래기술의 안장 사시도.
도 2: 본 발명의 안장 사시도.
도 3: 본 발명의 분해 시시도.
도 4: 본 발명의 조립 단면 상태도.
도 5: 본 발명의 안장과 브라켓이 조립된 평면 상태도.
도 6: 본 발명 완충판의 사시도.
도 7: 본 발명 고정판의 정면도.
도 8: 본 발명 고정판의 평면도.
도 9: 본 발명 고정판의 측면도.
도 1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 2의 본 발명의 안장 사시도, 도 3의 본 발명의 분해 시시도, 도 4의 본 발명의 조립 단면 상태도, 도 5의 본 발명의 안장과 브라켓이 조립된 평면 상태도, 도 6의 본 발명 완충판의 사시도, 도 7의 본 발명 고정판의 정면도, 도 8의 본 발명 고정판의 평면도, 도 9의 본 발명 고정판의 측면도, 및 도 10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 상태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금속으로 된 완충판(22)이 인서트된 우레탄 재질로 되고 상부 중앙에 장홈(24)이 형성되어 상부가 좌우로 분리되고 하부가 일체형으로 되는 안장받침판(21)과, 상기 안장받침판(21)의 하부에 결합되고 자전거의 안장프레임(a)에 결합되는 고정판(30)이 구성된 자전거 안장(1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전거 안장(10)은 탑승자가 앉는 안장받침판(21)과 상기 안장받침판(21)의 하부에 결합되고 자전거의 안장프레임(a)에 결합되는 고정판(30)이 구성되는데, 상기 안장받침판(21)은 장홈(24)과 완충판(22)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판(30)은 저지면(31), 돌출면(32), 요홈(35), 지지바(33) 및 결합바(34)로 구성된다.
상기 안장받침판(21)은 정면에서 상하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부 중앙에 횡단된 장홈(24)이 형성되어 상부가 좌우로 분리되고 하부가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좌우 상부면은 평면을 이루는 형상이며, 상기 장홈(24)에 의하여 형성된 회단 공간이 탑승자의 음경부의 도피 공간으로 된다.
즉, 상기 안장받침판(21)은 일정한 두께의 장방형에 중앙부에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정상이 편편한 산이 좌우에 형성된 형상으로 되며 횡단된 장홈(24)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고 상하로 관통된 리벳공이 형성된다.
상기 안장받침판(21)은 우레탄 재질로 되고 내부에 인서트되고 금속의 완충판(22)이 구성되며, 상기 완충판(22)은 안장받침판(21)을 제작할 때에 금형 내에 미리 삽입한 후 우레판을 발포하게 되면 완충판(22)이 우레탄 재질의 안장받침판(21)의 내부에 존재하게 된다.
상기 완충판(22)은 판형상의 금형으로 구성되고 좌우측부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고 상하로 관통된 결합공(23)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고 상하로 관통된 리벳공이 형성된다.
상기 안장받침판(21)의 리벳공과 완충판(22)의 리벳공은 서로 일치되게 대응 구성되어 리벳(40)으로 안장받침판(21)과 고정판(30)을 결합할 때 리벳(40)이 삽입되는 구멍이다.
상기 완충판(22)의 결합공(23)이 형성됨으로써 안장받침판(21)의 우레판이 완충판(22)의 위치에서 완충판(22)을 중심으로 상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결합공(23)의 형상은 특정하게 한정되지 아니하고 필요에 따라 원형, 타원, 사각, 다각으로 변형이 가능하고 그 개수도 특정하게 한정되지 아니하고 필요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즉, 상기 결합공(23) 내에 안장받침판(21)의 우레판이 충진되어 완충판(22) 상부의 우레탄과 완충판(22) 하부의 우레탄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우레판이 완충판(22)을 중심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완충판(22)이 우레탄의 내에 구성되어 바퀴로부터 안장(10)으로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완충판(22)의 하부에 위치하는 우레판이 충격이나 진동을 1차 완화하고, 완충판(22)의 상부에 위치하는 우레판이 1차 완화된 충격이나 진동을 재차 완화 즉, 2차 완화하게되어 바퀴로부터 안장(10)으로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이 안장(10)으로 전달되는 것이 크게 감소하게 된다.
또한, 상기 완충판(22)은 스프링강 즉, 판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완충판(22)이 탑승자의 좌우 허벅지의 움직임에 동조하여 전후좌우로 연동하는 작용을 한다.
즉, 스프링강은 현가 기능이 있으므로 탑승자가 자전거에 탑승하게 되면 탑승자의 둔부가 안장받침판(21)에 위치하게 되고 탑승자의 무게가 핸들부보다 안장받침판(21)에 더 많이 분배되므로 안장받침판(21)의 우레탄은 탑승자의 무게에 의하여 수축되면서 완충판(22)에 압력을 가하게 되어 완충판(22)은 그 압력을 받게 된다.
자전거 탑승자가 자전거를 주행할 때 좌우 발로서 페달을 밟게 되면 좌우 허벅지가 골반을 중심으로 힌지 연동하여 움직이게 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강으로 된 완충판(22)은 탑승자의 허벅지의 움직임에 의하여 연동 동조하여 어느 정도의 현가 기능을 수행하게 되면서 어느 정도로 전후좌우로 연동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고정판(30)은 안장받침판(21)의 하부에 결합되고 동시에 자전거의 안장프레임(a)에 결합되는 구성이며, 상기 고정판(30)이 안장프레임(a)에 결합됨으로서 안장받침판(21)이 자전거에 결합되게 된다.
상기 고정판(30)은 저지면(31), 돌출면(32), 요홈(35), 지지바(33) 및 결합바(34)로 구성되는데, 상기 저지면(31)은 안장받침판(21)의 하부면과 접촉하는 평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돌출면(32)은 저지면(31)의 양측면에 일체형으로 돌출되게 구성되고, 상기 지지바(33)는 돌출면(32) 각각과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하측으로 도출되게 구성되고, 상기 결합바(34)는 양측의 지지바(33)를 연결하게 구성된다.
상기 저지면(31)은 안장받침판(21)의 하부면과 접촉되어 안장받침판(21)을 받치는 작용을 하면서 안장받침판(21)의 지나친 처짐 즉, 안장받침판(21)이 저지면(31)의 이하로 처지지 않토록 안장받침판(21)의 처짐을 저지하게 한다.
상기 저지면(31)의 크기는 완충판(22)의 크기에 대응되게 구성될 수도 있고, 완충판(22) 보다 작거나 크게 구성될 수 있으나, 저지면(31)이 완충판(22)보다 크게 구성되거나 같게 구성되면 완충판(22)이 저지면(31)의 상부면 내에 위치하는 결과가 되어 완충판(22)이 처짐이 발생할 수 없게 되는 형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저지면(31)이 완충판(22)보다 작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지면(31)의 중앙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고 상하로 관통된 리벳공이 형성되고 이 리벳공은 안장받침판(21)의 리벳공과 일치되게 대응 구성된다.
상기 안장받침판(21)의 리벳공과 저지면(31)의 리벳공이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리벳공에 리벳(40)을 삽입하여 리벳(40)의 하부를 리벳팅하게 되면 안장받침판(21)과 고정판(30)이 결합되게 된다.
상기 돌출면(32)은 저지면(31)의 중앙부 양측면에 일체형으로 돌출되는 판형으로 구성되어 2개로 구성되고 고정판(30)이 안장받침판(21)의 하부에 결합되는 구성이므로 돌출면(32)의 전체 길이 즉 좌돌출면(32)과 우도출면과의 거리는 안장받침판(21)의 폭보다 작게 구성한다.
즉, 상기 고정판(30)이 안장받침판(21)에 결합되었을 때 결합된 상태에서 평면을 보면 고정판(30)이 안장받침판(21)보다 돌출되지 아니하게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고정판(30)의 돌출면(32)의 거리가 완충판(22)의 폭보다 작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면(32)의 거리를 완충판(22)의 폭보다 작게 구성함으로써 완충판(22)이 탑승자의 허벅지의 움직임에 연동 동조하여 전후로 연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지지바(33)는 돌출면(32) 일체형으로 돌출면(32)의 4 모퉁이에 각각 구성되어 도합 4개로 구성되고 하측으로 도출되는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저지면(31)을 받치는 다리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바(34)는 양측의 지지바(33)를 연결하게 구성되는 바형상으로 구성되고 중앙에 저지면(31)이 위치하는 양측의 지지바(33)를 연결하므로 2개가 구성 즉, 하나의 지지바(33)는 상측 돌출면(32)의 우측 지지바(33)와 하측 돌출면(32)의 우측 지지바(33)를 연결하고, 다른 하나의 지지바(33)는 상측 돌출면(32)의 좌측 지지바(33)와 하측 돌출면(32)의 우측 지지바(33)를 연결한다.
상기 결합바(34)는 지지바(33)의 강도를 보강하면서 고정판(30)을 안장프레임(a)에 결합되게 하는 작용을 하고, 결합바(34)가 자전거의 안장프레임(a)과 결합되므로써 안장받침판(21)이 자전거의 안장프레임(a)되어 안장(10)이 안치되는 것이다.
상기 요홈(35)은 돌출면(32)의 양측이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게 저지면(31)의 가장자리 끝단과 돌출면(32)과의 사이의 양측에 노치 형상으로 구성되어 돌출면(32)이 저지면(31)과 이격되는 형상이다.
상기 요홈(35)은 돌출면(32)과 저지면(31)이 만나는 지점에서 돌출면(32)의 일부를 절취한 것으로서 2쌍이 구성되어 서로 다른 쌍은 저지면(31)의 폭에 의하여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구성되고 고정판(30)이 스프링강 완충판(22)의 동작에 전후좌우 용이하게 연동하게 한다.
상기 고정판(30)은 판형의 철강을 프레스 작업에 의하여 저지면(31)이 고정판(30)이 일체형으로 블랭킹으로 완성하고, 지지바(33) 및 결합바(34)도 판형의 철강을 프레스 작업으로 일체형으로 완성한 후 돌출면(32) 하부면에 지지바(33)의 상부를 용접 또는 용융 접합하여 고정판(30)을 완성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은 상기 고정판(30)은 판형의 철강을 프레스 작업에 의하여 저지면(31)과 고정판(30) 및 지지바(33)가 되는 구성을 팡판으로 일체형으로 블랭킹한 후 저지면(31)과 지지바(33)의 경계선을 직각으로 절곡하여 지지바(33)를 완성하고, 결합바(34)도 판형의 철강을 프레스 작업에 의하여 띠강으로 만들거나 띠강을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여 완성한 후 지지바(33)의 끝단과 결합바(34)의 끝단을 용접 또는 용융 접합하여 고정판(30)을 완성할 수 있으므로 고정판(30)은 상기 방법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완충판(22)이 인서트된 안정받침판의 하부면에 고정판(30)의 저지면(31)을 일치한 후 리벳(40)을 안장받침판(21)의 리벳공과 저지면(31)의 리벳공을 관통시킨 후 저지면(31)의 하부면에 돌출된 리벳(40)을 리벳팅하게 되면 안정받침판과 고정판(30)이 결합된 안장(10)이 된다.
본 발명에서 리벳(40)을 결합볼트로 사용할 수 있으나 결합볼트는 자전거의 진동에 의하여 풀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리벳(40)으로 안정받침판과 고정판(30)을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장(10)을 기존의 자전거의 안장(10)을 결합하는 결합구를 사용하여 안장프레임(a)에 결합하면 안장(10)이 자전거에 안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용접으로 상기 고정판(30-1)에 완충판(22-1)을 직접 일체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판(30-1)은 완충판(22-1)의 하부면과 접촉하는 평판의 저지면(31-1)과, 상기 저지면(31-1)의 양측면에 일체형으로 돌출된 돌출면과, 상기 돌출면 각각과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하측으로 도출된 지지바(33-1)와, 상기 양측의 지지바(33-1)를 연결하는 결합바로 구성된다.
상기 다른 실시예는 용접에 의하여 고정판(30-1)에 완충판(22-1)이 일체되게 한 후 이 일체된 고정판(30-1) 및 완충판(22-1)을 안장받침판(21-1)에 인서트하여 사출성형하게 된다.
상기 스폿용접을 할 경우에는 고정판(30-1)의 판면과 완충판(22-1)의 판면을 스폿용접을 하게 되고, 산소용접을 할 경우에는 고정판(30-1)의 가장자리면과 완충판(22-1)의 하부면과 용접하게 되며, 상기 고정판(30-1)과 완충판(22-1)이 일체되게 하는 것이 스폿용접이나 산소용접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아르곤용접 또는 심용접 등으로도 가능하다.
상기 용접에 의하여 고정판(30-1)과 완충판(22-1)이 일체되게 하면 고정판(30-1)과 완충판(22-1)과의 결합에 따르는 리벳(40)이 불필요하게 되고 고정판(30-1)과 완충판(22-1)이 일체된 것을 안장받침판(21-1)에 인서트하기 때문에 생산 공정이 감소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상기 안장(10)의 안장프레임(a)에 결합하는 방법 설명하면,
상기 결합구는 지지브라켓(c), 결합브라켓(b) 및 결합볼트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브라켓(c)은 제1회전편, 제2회전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브라켓(b)은 고정편과 밴드로 구성된다.
상기 밴드의 양끝단에 고정편이 구성되어 고정편은 한 쌍으로 구성되며, 자전거의 안장프레임(a) 상단 외주면을 밴드로 감싸는 형상으로 위치하게 되면서 제1회전편은 고정편 중 어느 하나의 외측에 위치되되, 경우에 따라 안장프레임(a)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제2회전편은 제1회전편의 외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제2회전편과 제1회전편과의 사이에는 결합바(34)가 설치되는 가이드공을 형성시키게 되고, 결합볼트는 고정편과 제1회전편 및 제2회전편을 고정시켜 안장(10)을 안장프레임(a)에 원하는 위치와 각도로 결합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편과 제1회전편이 맞닿는 면에는 각도고정부가 각각 더 구비되고, 이 각도고정부는 다수의 홈이나 돌기로 형성되어 결합볼트에 의해 고정편에 결합된 제1회전편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각도를 유지시키게 된다.
상기 안장(10)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결합볼트를 풀어서 결합브라켓(b)트의 조임이 덜 된 상태에서 안장(10)을 안장프레임(a)의 상하로 이동 즉, 결합브라켓(b)을 안장프레임(a)의 상하로 이동시킨 후 결합볼트를 조임하면 된다.
상기 안장(10)의 전후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결합볼트를 풀어서 지지브라켓(c)트의 조임이 덜 된 상태에서 가이드공을 따라 안장(10)을 자전거의의 상하로 이동 즉, 결합바(34)를 지지브라켓(c)트의 전후로 이동시킨 후 결합볼트를 조임하면 된다.
상기 안장(10)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결합볼트를 풀어서 제1회전편과 제2회전편을 고정편에서 일정각도 회전시킨 후 결합볼트를 조임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완충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우레판이 바퀴로부터 안장으로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1차 완화하고, 완충판의 상부에 위치하는 우레판이 1차 완화된 충격이나 진동을 2차 완화하고, 안장코가 없어서 탑승자의 음경부를 압박하지 아니하고, 안장받침판의 상부 중앙에 장홈에 의한 공간에 의하여 음경부가 압박되지 아니하고, 완충판이 탑승자의 좌우 허벅지의 움직임에 동조하여 전후좌우로 움직이므로 승차감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으며, 안장을 탑승자가 원하는 설치 높이, 전후 위치 및 설치 각도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10: 안장 21, 21-1: 안장받침판
22, 22-1: 완충판 23: 결합공
24: 장홈 30, 30-1: 고정판
31, 31-1: 저지면 32: 돌출면
33, 33-1: 지지바 34: 결합바
35: 요홈 40: 리벳
a: 안장프레임 b: 결합브라켓
c: 지지브라켓

Claims (5)

  1. 자전거 안장에 있어서,
    상부 중앙에 장홈이 형성되어 상부가 좌우로 분리되고 하부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안장받침판과;
    상기 안장받침판의 하부에 결합되는 고정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장홈의 공간에 탑승자의 음경부의 도피 공간이 형성되고, 고정판이 자전거의 안장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받침판은 우레탄 재질로 되고 내부에 인서트된 금속의 완충판이 구성되어;
    상기 완충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우레판이 바퀴로부터 안장으로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1차 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안장받침판의 하부면과 접촉하는 평판의 저지면과, 상기 저지면의 양측면에 일체형으로 돌출된 돌출면과, 상기 돌출면 각각과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하측으로 도출된 지지바와, 상기 양측의 지지바를 연결하는 결합바로 구성되어;
    상기 완충판의 상부에 위치하는 우레판이 1차 완화된 충격이나 진동을 2차 완화하고, 저지면이 안장받침판을 처짐을 저지하고, 결합바가 자전거의 안장프레임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완충판의 하부면과 접촉하는 평판의 저지면과, 상기 저지면의 양측면에 일체형으로 돌출된 돌출면과, 상기 돌출면 각각과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하측으로 도출된 지지바와, 상기 양측의 지지바를 연결하는 결합바로 구성되어;
    상기 저지면이 안장받침판을 처짐을 저지하고, 결합바가 자전거의 안장프레임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면의 양측이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게 저지면의 가장자리 끝단과 돌출면과의 사이의 양측에 요홈이 구성되어;
    상기 요홈은 고정판이 완충판의 동작에 전후좌우 연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KR1020110048997A 2011-05-24 2011-05-24 자전거 안장 KR201201309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997A KR20120130925A (ko) 2011-05-24 2011-05-24 자전거 안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997A KR20120130925A (ko) 2011-05-24 2011-05-24 자전거 안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0925A true KR20120130925A (ko) 2012-12-04

Family

ID=47514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8997A KR20120130925A (ko) 2011-05-24 2011-05-24 자전거 안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09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63079A (zh) * 2016-10-20 2019-06-07 李尚一 可变阻尼器座杆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63079A (zh) * 2016-10-20 2019-06-07 李尚一 可变阻尼器座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2602B2 (en) Car seat
EP2689993B1 (en) Bicycle saddle
WO2004105899A3 (en) Ski exercising and training apparatus
JP2018504323A (ja) エアークッションサドル
US10377446B2 (en) Rear suspension assembly for a snowmobile
US20140145479A1 (en) Seat device for a bicycle
KR101042540B1 (ko) 자전거용 안장 조립체
CN204870656U (zh) 一种铁皮椅椅架
WO2008137812A3 (en) Special needs adaptive tricycle
KR20120130925A (ko) 자전거 안장
US6685265B1 (en) Supplemental seat device for a bicycle
KR101325494B1 (ko) 스티어링 축 변경 장치
KR20140070510A (ko) 트랙주행기를 장착한 어린이바이킹그네.
KR101740038B1 (ko) 자전거 프레임
CN209548601U (zh) 水平式履带跑步机的缓冲机构
CN204715252U (zh) 一种新型柔性防撞道路护栏
WO2011099155A1 (ja) 滑走遊技具
KR20150054065A (ko) 코 없는 공기 주머니 쿠션 자전거 안장
KR101697664B1 (ko) 자전거 안장
CN213594433U (zh) 平衡车
KR20130011717A (ko) 자전거 안장
US20170355409A1 (en) Pivoting bicycle seat
US20020096848A1 (en) Shock absorbing skateboard device
KR100961365B1 (ko) 자전거용 안장
CN101973350A (zh) 六联杆斜撑坐式滑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