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0657A - 카메라를 활용한 큐알코드 변형 보정장치 및 보정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를 활용한 큐알코드 변형 보정장치 및 보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0657A
KR20120130657A KR1020110048754A KR20110048754A KR20120130657A KR 20120130657 A KR20120130657 A KR 20120130657A KR 1020110048754 A KR1020110048754 A KR 1020110048754A KR 20110048754 A KR20110048754 A KR 20110048754A KR 20120130657 A KR20120130657 A KR 20120130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unit
deformation
camera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8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9004B1 (ko
Inventor
차성문
Original Assignee
차성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성문 filed Critical 차성문
Priority to KR1020110048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9004B1/ko
Publication of KR20120130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0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6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including quality enhancement steps
    • G06K7/1486Setting the threshold-width for bar codes to be decod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39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including a method step for retrieval of the optical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udio Devic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를 활용한 큐알코드 변형 보정장치 및 보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근거리 및 원거리에 위치한 QR 코드 유무를 판독하여 변형된 QR 코드로 인식되면 이를 보정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웹페이지로의 이동 또는 QR정보저장부에 저장한 후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를 활용한 큐알코드 변형 보정장치 및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카메라를 활용한 큐알코드 변형 보정장치는,
카메라를 활용한 큐알코드 변형 보정장치에 있어서,
QR코드 인식 패턴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QR코드인식패턴저장부와;
QR코드인식패턴저장부에 저장된 QR코드 인식 패턴을 참조하여 QR코드 인식 패턴을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이미지에서 검색하여 QR 코드의 유무를 판독하는 QR코드판독부와;
QR코드의 변형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QR코드변형상태저장부와;
상기 QR코드변형상태저장부에 저장된 QR코드의 변형 상태 정보를 참조하여 판독된 QR코드 이미지의 변형 상태를 체크하는 변형상태체크부와;
상기 변형상태체크부에 의한 체크 결과, QR코드가 변형된 경우에 QR코드의 변형을 보정하는 변형보정부와;
상기 변형보정부에 의해 보정된 QR코드를 해석해서 정보를 판독하는 QR코드해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모바일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근거리 및 원거리에 위치한 QR 코드 유무를 판독하여 변형된 QR 코드로 인식되면 이를 보정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웹페이지로의 이동 또는 QR정보저장부에 저장한 후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카메라를 활용한 큐알코드 변형 보정장치 및 보정 방법{calibration device for Deformation of QR-code using camera and thereof.}
본 발명은 카메라를 활용한 큐알코드 변형 보정장치 및 보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근거리 및 원거리에 위치한 QR 코드 유무를 판독하여 변형된 QR 코드로 인식되면 이를 보정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웹페이지로의 이동 또는 QR정보저장부에 저장한 후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를 활용한 큐알코드 변형 보정장치 및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된 1차원 바코드는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다.
한편, 프린터, 스캐너 및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입출력 기기들이 대중적인 보급이 이루어짐으로써, 1차원 바코드에 비하여 보다 많은 데이터를 수록할 수 있는 2차원 바코드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지고 있다.
즉, 다양한 분야에서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하여, 종래의 데이터 전달 및 표현의 방법에 있어서, 더 높은 효율성 및 편의성을 도모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의 표준 2차원 바코드 중 QR 코드를 사용한 2차원 바코드의 파인더 패턴은 심볼(Symbol)의 왼쪽 상단, 오른쪽 상단 및 왼쪽 하단부에 위치하여 있는 세개의 동일한 위치 탐지 패턴으로 구성되어 있다.
QR 코드 심볼은 가능한 한 빨리 식별이 가능하도록 유사한 패턴들이 심볼 바깥의 지역에 접하는 확률이 낮게끔 우선적으로 인코딩되어 있다.
또한, 파인더 패턴을 구성하는 세개의 위치 탐지 패턴들의 식별은 시야에서 심볼의 위치의 방향을 정확하게 정의한다.
그러나, QR 코드의 경우, 역시 3개의 위치 탐지 패턴을 모두 찾아야 하고, 위치 탐지 패턴 중 하나라도 훼손이 되는 경우, 심볼의 위치와 방향을 정의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로 QR 코드를 촬영할 경우에 근거리 및 원거리, 위치에 따라 QR 코드의 모양이 변형되어 지게 된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거리의 경우에는 QR 코드의 사이즈보다 더 넓은 정사각형, 더 넓은 직사각형 등으로 변형이 발생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거리의 경우에는 QR 코드의 사이즈보다 일부가 변형되게 되는데 예를 들어 마름모 형상으로 가지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촬영 위치에 따라 기타 형상을 가질 수 밖에 없었다.
상기한 변형의 형태에 의해 QR 코드를 빠른 시간에 인식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원거리 및 측면 혹은 근거리에서 카메라로 촬영된 QR 코드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QR 코드를 촬영한 후 바로 확인하지 않아도 사용자가 원할 때 QR 코드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활용한 큐알코드 변형 보정장치는,
QR코드 인식 패턴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QR코드인식패턴저장부와;
QR코드인식패턴저장부에 저장된 QR코드 인식 패턴을 참조하여 QR코드 인식 패턴을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이미지에서 검색하여 QR 코드의 유무를 판독하는 QR코드판독부와;
QR코드의 변형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QR코드변형상태저장부와;
상기 QR코드변형상태저장부에 저장된 QR코드의 변형 상태 정보를 참조하여 판독된 QR코드 이미지의 변형 상태를 체크하는 변형상태체크부와;
상기 변형상태체크부에 의해 QR코드가 변형된 경우에 QR코드의 변형을 보정하는 변형보정부와;
상기 변형보정부에 의해 보정된 QR코드를 해석해서 정보를 판독하는 QR코드해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를 활용한 큐알코드 변형 보정장치 및 보정 방법은,
모바일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근거리 및 원거리에 위치한 QR 코드 유무를 판독하여 변형된 QR 코드로 인식되면 이를 보정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웹페이지로의 이동 또는 QR정보저장부에 저장한 후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 은 모바일단말기를 통해 QR 코드를 촬영하는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 는 근거리 촬영시 변형된 이미지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 은 원거리 촬영시 변형된 이미지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 는 기타 변형된 이미지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활용한 큐알코드 변형 보정장치 블록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활용한 큐알코드 변형 보정장치의 변형보정부 블록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활용한 큐알코드 변형 보정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활용한 큐알코드 변형 보정방법의 변형보정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활용한 큐알코드 변형 보정장치는,
카메라를 활용한 큐알코드 변형 보정장치에 있어서,
QR코드 인식 패턴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QR코드인식패턴저장부와;
QR코드인식패턴저장부에 저장된 QR코드 인식 패턴을 참조하여 QR코드 인식 패턴을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이미지에서 검색하여 QR 코드의 유무를 판독하는 QR코드판독부와;
QR코드의 변형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QR코드변형상태저장부와;
상기 QR코드변형상태저장부에 저장된 QR코드의 변형 상태 정보를 참조하여 판독된 QR코드 이미지의 변형 상태를 체크하는 변형상태체크부와;
상기 변형상태체크부에 의한 체크 결과, QR코드가 변형된 경우에 QR코드의 변형을 보정하는 변형보정부와;
상기 변형보정부에 의해 보정된 QR코드를 해석해서 정보를 판독하는 QR코드해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변형보정부는,
변형된 QR코드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획득모듈과,
상기 이미지획득모듈에 의해 획득된 변형된 QR코드를 가로줄 기준으로 상하 여백을 처리하는 상하여백처리모듈과,
상하여백처리모듈에 의해 처리된 QR코드의 세로줄 기준으로 좌우 여백을 처리하는 좌우여백처리모듈과,
상기 상하여백 및 좌우여백 처리된 QR코드를 상하 보정 및 좌우 보정하여 직사각형으로 형성시키는 직사각형형성모듈과,
상기 직사각형형성모듈에 의해 형성된 직사각형의 QR코드의 전체 비율을 조절하여 정사각형으로 형성시키는 정사각형형성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인 카메라를 활용한 큐알코드 변형 보정장치는,
모바일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근거리 및 원거리에 위치한 QR코드 유무를 판독하여 변형발생시 해독할 수 있는 정사각형의 형태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카메라를 활용한 큐알코드 변형 보정장치는,
QR코드해독부에 의해 판독된 QR 정보를 실행시키거나 QR정보저장부에 저장시키는 실행유무조작부와;
상기 판독된 QR 정보를 저장하는 QR정보저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인 카메라를 활용한 큐알코드 변형 보정방법은,
카메라를 활용한 큐알코드 변형 보정방법에 있어서,
카메라로부터 이미지를 촬영하는 이미지촬영단계(S100)와;
QR코드판독부가 상기 촬영된 이미지에서 QR코드인식패턴저장부에 저장된 QR코드 인식 패턴을 참조하여 QR코드 인식 패턴을 검색하여 QR 코드의 유무를 판독하는 QR코드유무판독단계(S110)와;
변형상태체크부가 QR코드변형상태저장부에 저장된 QR코드의 변형 상태 정보를 참조하여 판독된 QR코드 이미지의 변형 상태를 체크하는 변형상태체크단계(S120)와;
변형보정부가 변형상태체크부에서 체크한 결과, QR코드가 변형된 경우에 QR코드의 변형을 보정하는 변형보정단계(S130)와;
QR코드해독부가 변형보정부에서 보정된 QR코드를 해석해서 정보를 판독하는 코드해독단계(S140)와;
실행유무조작부가 QR코드해독부에서 판독된 QR 정보를 실행시키거나 QR정보저장부에 저장시키는 실행유무조작단계(S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변형보정단계는,
이미지획득모듈이 변형된 QR코드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획득단계(S131)와,
상하여백처리모듈이 이미지획득모듈에서 획득된 변형된 QR코드를 가로줄 기준으로 상하 여백을 처리하는 상하여백처리단계(S132)와,
좌우여백처리모듈이 상하여백처리모듈에서 처리된 QR코드의 세로줄 기준으로 좌우 여백을 처리하는 좌우여백처리단계(S133)와,
직사각형형성모듈이 상하여백 및 좌우여백 처리된 QR코드를 상하 보정(S134) 및 좌우 보정(S135)하여 직사각형으로 형성시키는 직사각형형성단계와,
정사각형형성모듈이 직사각형형성모듈에서 형성된 직사각형의 QR코드의 전체 비율을 조절하여 정사각형으로 형성시키는 정사각형형성단계(S1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를 활용한 큐알코드 변형 보정방법은,
모바일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근거리 및 원거리에 위치한 QR코드 유무를 판독하여 변형발생시 해독할 수 있는 정사각형의 형태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카메라를 활용한 큐알코드 변형 보정장치 및 보정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활용한 큐알코드 변형 보정장치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카메라를 활용한 큐알코드 변형 보정장치(100)는,
QR코드 인식 패턴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QR코드인식패턴저장부(110)와;
QR코드인식패턴저장부에 저장된 QR코드 인식 패턴을 참조하여 QR코드 인식 패턴을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이미지에서 검색하여 QR 코드의 유무를 판독하는 QR코드판독부(120)와;
QR코드의 변형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QR코드변형상태저장부(130)와;
상기 QR코드변형상태저장부에 저장된 QR코드의 변형 상태 정보를 참조하여 판독된 QR코드 이미지의 변형 상태를 체크하는 변형상태체크부(140)와;
상기 변형상태체크부에 의한 체크 결과, QR코드가 변형된 경우에 QR코드의 변형을 보정하는 변형보정부(150)와;
상기 변형보정부에 의해 보정된 QR코드를 해석해서 정보를 판독하는 QR코드해독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QR코드인식패턴저장부(110)에는 QR코드 인식 패턴 정보를 저장하고 있게 되는데, 저장된 QR코드 인식 패턴 정보에는 QR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패턴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QR 코드의 패턴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QR코드인식패턴저장부에는 사전에 QR 코드 인식 패턴 정보가 저장되어 지는 것이다.
상기 QR코드판독부(120)는 QR코드인식패턴저장부에 저장된 QR코드 인식 패턴을 참조하여 QR코드 인식 패턴을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이미지에서 검색하여 QR 코드가 존재하는지를 판독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QR코드변형상태저장부(130)에는 QR코드의 변형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데,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거리의 경우에는 QR 코드의 사이즈보다 더 넓은 정사각형, 더 넓은 직사각형 등으로 변형이 발생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거리의 경우에는 QR 코드의 사이즈보다 일부가 변형되게 되는데 예를 들어 마름모 형상으로 가지게 되며, 사용자의 촬영 위치에 따라 기타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므로 상기한 바와 같은 근거리 및 원거리 촬영시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 정보를 저장하게 되며 변형상태체크부에서 체크시 이를 참조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변형상태체크부(140)는 QR코드변형상태저장부에 저장된 QR코드의 변형 상태 정보를 참조하여 판독된 QR코드 이미지의 변형 상태를 체크하게 된다.
즉, 보정하기전에 어떠한 변형 상태인지를 체크하여 어떻게 보정할 것인지를 판단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변형보정부(150)는 변형상태체크부에 의해 QR코드가 변형된 경우에 QR코드의 변형을 보정하게된다.
변형에 대한 보정 처리하는 과정은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이후, 상기 QR코드해독부(160)를 통해 변형보정부에 의해 보정된 QR코드를 해석해서 정보를 판독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는 카메라를 활용한 큐알코드 변형 보정장치는 모바일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근거리 및 원거리에 위치한 QR코드 유무를 판독하여 변형 발생시 해독할 수 있는 정사각형의 형태로 형성시키는 것이다.
한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QR코드해독부에 의해 판독된 QR 정보를 실행시키거나 QR정보저장부에 저장시키는 실행유무조작부(170)와;
상기 판독된 QR 정보를 저장하는 QR정보저장부(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실행유무조작부에 의해 QR코드해독부에 의해 판독된 QR 정보를 실행시키거나 QR정보저장부에 저장시키게 되는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조작하기 위한 화면을 제공하여 즉시 실행할 것인지 아니면 추후에 실행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활용한 큐알코드 변형 보정장치의 변형보정부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변형보정부(150)는,
변형된 QR코드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획득모듈(151)과,
상기 이미지획득모듈에 의해 획득된 변형된 QR코드를 가로줄 기준으로 상하 여백을 처리하는 상하여백처리모듈(152)과,
상하여백처리모듈에 의해 처리된 QR코드의 세로줄 기준으로 좌우 여백을 처리하는 좌우여백처리모듈(153)과,
상기 상하여백 및 좌우여백 처리된 QR코드를 상하 보정 및 좌우 보정하여 직사각형으로 형성시키는 직사각형형성모듈(154)과,
상기 직사각형형성모듈에 의해 형성된 직사각형의 QR코드의 전체 비율을 조절하여 정사각형으로 형성시키는 정사각형형성모듈(15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하여백처리모듈(152)에 의해 이미지획득모듈에서 획득된 변형된 QR코드를 가로줄 기준으로 상하 여백을 처리하게 되는데, 해독하기 위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은 이미지 상의 불필요한 상하 여백 부분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좌우여백처리모듈(153)에 의해 상하여백처리모듈에서 처리된 QR코드의 세로줄 기준으로 좌우 여백을 처리하게 되는데, 해독하기 위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은 이미지 상의 불필요한 좌우 여백 부분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후, 직사각형형성모듈(154)에 의해 상하여백 및 좌우여백 처리된 QR코드를 상하 보정 및 좌우 보정하여 직사각형으로 형성시키게 된다.
즉, 상하로 늘리거나 좌우로 늘리는 작업을 수행하여 직사각형으로 형성시키는 것이다.
이후, 정사각형형성모듈(155)에 의해 직사각형형성모듈에서 형성된 직사각형의 QR코드의 전체 비율을 조절하여 정사각형으로 형성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형성하게 되면 QR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패턴인 3개의 위치 검출 요소 패턴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어 해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활용한 큐알코드 변형 보정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카메라를 활용한 큐알코드 변형 보정방법은,
카메라로부터 이미지를 촬영하는 이미지촬영단계(S100)와;
QR코드판독부가 상기 촬영된 이미지에서 QR코드인식패턴저장부에 저장된 QR코드 인식 패턴을 참조하여 QR코드 인식 패턴을 검색하여 QR 코드의 유무를 판독하는 QR코드유무판독단계(S110)와;
변형상태체크부가 QR코드변형상태저장부에 저장된 QR코드의 변형 상태 정보를 참조하여 판독된 QR코드 이미지의 변형 상태를 체크하는 변형상태체크단계(S120)와;
변형보정부가 변형상태체크부에서 체크한 결과, QR코드가 변형된 경우에 QR코드의 변형을 보정하는 변형보정단계(S130)와;
QR코드해독부가 변형보정부에서 보정된 QR코드를 해석해서 정보를 판독하는 코드해독단계(S140)와;
실행유무조작부가 QR코드해독부에서 판독된 QR 정보를 실행시키거나 QR정보저장부에 저장시키는 실행유무조작단계(S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동작 원리를 설명하자면, QR코드판독부가 촬영(S100)된 이미지에서 QR코드인식패턴저장부에 저장된 QR코드 인식 패턴을 참조하여 QR코드 인식 패턴을 검색하여 QR 코드의 유무를 판독(S110)하게 된다.
이때, 판독 결과, QR 코드 인식 패턴과 일치하지 않으면 일반 이미지로 인식하게 되며, QR 코드로 판독되면, 변형상태체크부가 QR코드변형상태저장부에 저장된 QR코드의 변형 상태 정보를 참조하여 판독된 QR코드 이미지의 변형 상태를 체크(S120)하게 된다.
이때, QR 코드가 변형되지 않으면 바로 QR 코드를 해독하게 되지만, 변형상태체크부에서 체크한 결과가 QR코드의 변형이라면, 변형보정부가 QR코드의 변형을 보정(S130)하게 된다.
이후, QR코드해독부가 변형보정부에서 보정된 QR코드를 해석해서 정보를 판독(S140)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실행유무조작부를 통해 QR 정보를 실행시키도록 명령을 내리게 되면 웹 페이지로 이동(S160)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가 실행유무조작부를 통해 QR 정보를 실행하지 않도록 명령을 내리게 되면 QR정보저장부에 저장(S150)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QR 코드 인식의 경우에는 정확한 거리와 각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수초 이상의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촬영을 수행해야 인식이 가능하게 되어 인식하기 위한 시간 및 정확한 조작이 필요하였지만, 본 발명의 경우에는 거리와 각도,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촬영된 이미지에서 변형이 발생되면 즉시 이를 보정하여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리성 및 효율성을 제공하게 된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활용한 큐알코드 변형 보정방법의 변형보정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변형보정단계는,
이미지획득모듈이 변형된 QR코드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획득단계(S131)와,
상하여백처리모듈이 이미지획득모듈에서 획득된 변형된 QR코드를 가로줄 기준으로 상하 여백을 처리하는 상하여백처리단계(S132)와,
좌우여백처리모듈이 상하여백처리모듈에서 처리된 QR코드의 세로줄 기준으로 좌우 여백을 처리하는 좌우여백처리단계(S133)와,
직사각형형성모듈이 상하여백 및 좌우여백 처리된 QR코드를 상하 보정(S134) 및 좌우 보정(S135)하여 직사각형으로 형성시키는 직사각형형성단계와,
정사각형형성모듈이 직사각형형성모듈에서 형성된 직사각형의 QR코드의 전체 비율을 조절하여 정사각형으로 형성시키는 정사각형형성단계(S1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미지획득모듈에 의해 변형된 QR코드 이미지를 획득(S131)하게 되고, 상하여백처리모듈에 의해 이미지획득모듈에서 획득된 변형된 QR코드를 가로줄 기준으로 상하 여백을 처리(S132)하게 된다.
상하 여백은 인식시 불필요한 공간이므로 이를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좌우여백처리모듈에 의해 상하여백처리모듈에서 처리된 QR코드의 세로줄 기준으로 좌우 여백을 처리(S133)하게 된다.
좌우 여백도 마찬가지로 인식시 불필요한 공간이므로 이를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직사각형형성모듈에 의해 상하여백 및 좌우여백 처리된 QR코드를 상하 보정(S134)하게 되는데 상하 가로줄 기준에 일치하도록 QR 코드 이미지를 늘려주게 되는 것이며, 좌우 세로줄 기준에 일치하도록 QR 코드 이미지를 늘려주는 좌우 보정(S135)을 수행하여 직사각형으로 형성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후, 정사각형형성모듈에 의해 직사각형형성모듈에서 형성된 직사각형의 QR코드의 전체 비율을 조절하여 정사각형으로 형성(S136)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을 통해 모바일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근거리 및 원거리에 위치한 QR 코드 유무를 판독하여 변형된 QR 코드로 인식되면 이를 보정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웹페이지로의 이동 또는 QR정보저장부에 저장한 후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카메라로 설명하고 있으나, 휴대폰 카메라에 한정적인 것이 아닌 카메라와 인터넷이 가능한 장치(예를 들어, 아이패드, 디지털카메라 등)에서도 촬영을 통해 큐알코드를 보정 검출하여 정보 판독으로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큐알코드 변형 보정장치
110 : QR코드인식패턴저장부
120 : QR코드판독부
130 : QR코드변형상태저장부
140 : 변형상태체크부
150 : 변형보정부
160 : QR코드해독부
170 : 실행유무조작부
180 : QR정보저장부

Claims (7)

  1. 카메라를 활용한 큐알코드 변형 보정장치에 있어서,
    QR코드 인식 패턴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QR코드인식패턴저장부와;
    QR코드인식패턴저장부에 저장된 QR코드 인식 패턴을 참조하여 QR코드 인식 패턴을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이미지에서 검색하여 QR 코드의 유무를 판독하는 QR코드판독부와;
    QR코드의 변형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QR코드변형상태저장부와;
    상기 QR코드변형상태저장부에 저장된 QR코드의 변형 상태 정보를 참조하여 판독된 QR코드 이미지의 변형 상태를 체크하는 변형상태체크부와;
    상기 변형상태체크부에 의한 체크 결과, QR코드가 변형된 경우에 QR코드의 변형을 보정하는 변형보정부와;
    상기 변형보정부에 의해 보정된 QR코드를 해석해서 정보를 판독하는 QR코드해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활용한 큐알코드 변형 보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보정부는,
    변형된 QR코드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획득모듈과,
    상기 이미지획득모듈에 의해 획득된 변형된 QR코드를 가로줄 기준으로 상하 여백을 처리하는 상하여백처리모듈과,
    상하여백처리모듈에 의해 처리된 QR코드의 세로줄 기준으로 좌우 여백을 처리하는 좌우여백처리모듈과,
    상기 상하여백 및 좌우여백 처리된 QR코드를 상하 보정 및 좌우 보정하여 직사각형으로 형성시키는 직사각형형성모듈과,
    상기 직사각형형성모듈에 의해 형성된 직사각형의 QR코드의 전체 비율을 조절하여 정사각형으로 형성시키는 정사각형형성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활용한 큐알코드 변형 보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활용한 큐알코드 변형 보정장치는,
    모바일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근거리 및 원거리에 위치한 QR코드 유무를 판독하여 변형발생시 해독할 수 있는 정사각형의 형태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활용한 큐알코드 변형 보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QR코드해독부에 의해 판독된 QR 정보를 실행시키거나 QR정보저장부에 저장시키는 실행유무조작부와;
    상기 판독된 QR 정보를 저장하는 QR정보저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활용한 큐알코드 변형 보정장치.
  5. 카메라를 활용한 큐알코드 변형 보정방법에 있어서,
    카메라로부터 이미지를 촬영하는 이미지촬영단계(S100)와;
    QR코드판독부가 상기 촬영된 이미지에서 QR코드인식패턴저장부에 저장된 QR코드 인식 패턴을 참조하여 QR코드 인식 패턴을 검색하여 QR 코드의 유무를 판독하는 QR코드유무판독단계(S110)와;
    변형상태체크부가 QR코드변형상태저장부에 저장된 QR코드의 변형 상태 정보를 참조하여 판독된 QR코드 이미지의 변형 상태를 체크하는 변형상태체크단계(S120)와;
    변형보정부가 변형상태체크부에서 체크한 결과, QR코드가 변형된 경우에 QR코드의 변형을 보정하는 변형보정단계(S130)와;
    QR코드해독부가 변형보정부에서 보정된 QR코드를 해석해서 정보를 판독하는 코드해독단계(S140)와;
    실행유무조작부가 QR코드해독부에서 판독된 QR 정보를 실행시키거나 QR정보저장부에 저장시키는 실행유무조작단계(S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활용한 큐알코드 변형 보정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보정단계는,
    이미지획득모듈이 변형된 QR코드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획득단계(S131)와,
    상하여백처리모듈이 이미지획득모듈에서 획득된 변형된 QR코드를 가로줄 기준으로 상하 여백을 처리하는 상하여백처리단계(S132)와,
    좌우여백처리모듈이 상하여백처리모듈에서 처리된 QR코드의 세로줄 기준으로 좌우 여백을 처리하는 좌우여백처리단계(S133)와,
    직사각형형성모듈이 상하여백 및 좌우여백 처리된 QR코드를 상하 보정(S134) 및 좌우 보정(S135)하여 직사각형으로 형성시키는 직사각형형성단계와,
    정사각형형성모듈이 직사각형형성모듈에서 형성된 직사각형의 QR코드의 전체 비율을 조절하여 정사각형으로 형성시키는 정사각형형성단계(S1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활용한 큐알코드 변형 보정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활용한 큐알코드 변형 보정방법은,
    모바일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근거리 및 원거리에 위치한 QR코드 유무를 판독하여 변형발생시 해독할 수 있는 정사각형의 형태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활용한 큐알코드 변형 보정방법.
KR1020110048754A 2011-05-23 2011-05-23 카메라를 활용한 큐알코드 변형 보정장치 및 보정 방법 KR101259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754A KR101259004B1 (ko) 2011-05-23 2011-05-23 카메라를 활용한 큐알코드 변형 보정장치 및 보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754A KR101259004B1 (ko) 2011-05-23 2011-05-23 카메라를 활용한 큐알코드 변형 보정장치 및 보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0657A true KR20120130657A (ko) 2012-12-03
KR101259004B1 KR101259004B1 (ko) 2013-04-29

Family

ID=47514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8754A KR101259004B1 (ko) 2011-05-23 2011-05-23 카메라를 활용한 큐알코드 변형 보정장치 및 보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900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04939B1 (en) 2013-03-20 2014-04-22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8866953B2 (en) 2013-03-20 2014-10-21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6203564A (zh) * 2016-06-23 2016-12-07 北京印刷学院 一种圆‑棱柱组合体表面的二维码的生成和采集方法
US10069984B2 (en) 2013-03-20 2018-09-04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9558761A (zh) * 2018-11-23 2019-04-02 青海盐湖工业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二维码的计量管理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9211A (ja) 1999-12-06 2001-06-22 Hitachi Ltd 映像投影装置およびその歪補正方法
JP2003168071A (ja) * 2001-11-30 2003-06-13 Sanyo Electric Co Ltd 2次元バーコードの読み取り方法
JP2006319820A (ja) 2005-05-16 2006-11-24 Oki Electric Ind Co Ltd 画像歪み補正装置
KR100829108B1 (ko) * 2006-06-27 2008-05-16 (주)코아정보시스템 패턴 기울기 계산 기능을 갖는 2차원 바코드 판독 장치 및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04939B1 (en) 2013-03-20 2014-04-22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8804026B1 (en) 2013-03-20 2014-08-12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8866953B2 (en) 2013-03-20 2014-10-21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8941767B2 (en) 2013-03-20 2015-01-27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813567B2 (en) 2013-03-20 2017-11-07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069984B2 (en) 2013-03-20 2018-09-04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6203564A (zh) * 2016-06-23 2016-12-07 北京印刷学院 一种圆‑棱柱组合体表面的二维码的生成和采集方法
CN106203564B (zh) * 2016-06-23 2019-02-01 北京印刷学院 一种圆-棱柱组合体表面的二维码的生成和采集方法
CN109558761A (zh) * 2018-11-23 2019-04-02 青海盐湖工业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二维码的计量管理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9004B1 (ko) 2013-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54930B2 (en) Decoding 1D-barcodes in digital capture systems
US10331929B2 (en) Imaging terminal, imaging sensor to determine document orientation based on bar code orientation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KR102172614B1 (ko) 지문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문 인식 방법 및 시스템
JP2021051815A (ja) 2次元マトリックスシンボルを復号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259004B1 (ko) 카메라를 활용한 큐알코드 변형 보정장치 및 보정 방법
JP4801551B2 (ja) 画像領域検出方法、該プログラム、及び該装置
US20190362144A1 (en) Eyeball movement analysis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JP5662670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3112746A1 (en) Detecting and correcting skew in regions of text in natural images
WO2014092979A1 (en) Method of perspective correction for devanagari text
KR102236616B1 (ko) 정보 처리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US10650234B2 (en) Eyeball movement capturing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JP201219878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880634B2 (en) Gesture input apparatus, gesture input method, and program for wearable terminal
JP4670658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550467A1 (en) Image matching method, device and system, and storage medium
JP6457971B2 (ja) 複数の撮影画像を用いてパターンのステッチおよびデコード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300946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detecting orientation of free-form document using barcode
US9129171B2 (en) Code reading device and code reading method
JP7121132B2 (ja) 画像処理方法、装置及び電子機器
JP5720623B2 (ja) 二次元コード読取装置
CN114998347B (zh) 一种半导体面板角点定位方法及装置
JP5310040B2 (ja) 撮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9205570A (ja) 生体認証システム、生体認証方法及び生体認証プログラム
KR101718244B1 (ko) 얼굴 인식을 위한 광각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