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0415A - 케이스 교체형 휴대용 단말기 디스플레이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케이스 교체형 휴대용 단말기 디스플레이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0415A
KR20120130415A KR1020110048323A KR20110048323A KR20120130415A KR 20120130415 A KR20120130415 A KR 20120130415A KR 1020110048323 A KR1020110048323 A KR 1020110048323A KR 20110048323 A KR20110048323 A KR 20110048323A KR 20120130415 A KR20120130415 A KR 20120130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ortable terminal
display unit
display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8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두일
Original Assignee
둘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둘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둘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8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0415A/ko
Publication of KR20120130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04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07General aspects irrespective of display type, e.g. determination of decimal point position, display with fixed or driving decimal point, suppression of non-significant zeros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 교체형 휴대용 단말기 디스플레이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상단 일정 부분의 외측 테두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상단 케이스; 휴대용 단말기의 하단 일정 부분의 외측 테두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하단 케이스; 휴대용 단말기에 형성된 커넥터접속구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상단 케이스 또는 하단 케이스 중 어느 한 케이스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커넥터접속단자; 상기 상단 케이스 또는 하단 케이스 중 상기 커넥터접속단자가 형성된 케이스의 일측 외측부에 형성되는 제1 회전포트장치; 상기 상단 케이스 또는 하단 케이스 중 상기 커넥터접속단자가 형성되지 않은 케이스의 일측 외측부에 형성되는 제1 회전결합장치; 및 상기 제1 회전결합장치에 대응하는 제2 회전결합장치와 상기 제1 회전포트장치에 대응하는 제2 회전포트장치가 각각 일측의 상단 또는 하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회전포트장치와 전기적으로 연통되어 있는 구동장치와 화면표시장치가 형성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단 케이스과 하단 케이스이 휴대용 단말기의 테두리 전체를 감싸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수납하여 고정하며, 상기 상단 케이스과 하단 케이스에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결착하여 결합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케이스 교체형 휴대용 단말기 디스플레이 보조장치{Case Exchangeable Display Auxiliary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디스플레이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사용하고자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호환되는 케이스를 교체하여 결착할 수 있는 케이스 교체형 휴대용 단말기 디스플레이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휴대용 단말기로는 휴대전화단말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휴대용 뮤직플레이어, 휴대정보단말기(PDA) 등이 있으며, 이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자체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여 각종 정보 등을 현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최근 들어서는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하나의 스마트폰에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를 대체하고 있는데, 스마트폰은 독자적인 운영체제를 탑재하고 있으며 대용량 메모리를 장착하고 있어서,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웹브라우징 프로그램을 통해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을 자유롭게 설치하거나 삭제할 수 있으며,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기능과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는 등 손 안의 컴퓨터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다양한 고급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전면 전체가 또는 전면의 대부분이 액정표시장치(LC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루어져 있으며, 별도의 자판을 구비하지 않고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입력하도록 구성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크기가 크면 클수록 사용에는 편리하겠지만, 가격과 휴대성을 고려하여 최대 4인치 정도를 한계로 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스마트폰 등과 같은 성능이 뛰어난 휴대용 단말기라도 디스플레이 장치 크기의 제약으로 인하여 여러 응용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구동하거나 전자책(e-bool) 리더로 사용하거나, 또는 간단한 문서 작성이나 단문문자메세지(SMS)를 입력하는 등에 있어서 비효율적이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354789호(2004.12.16.공개)는 휴대정보단말기에 부착할 수 있으며 별도의 확장 화면을 구비하고 있는 표시기능 확장장치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354789호는 단지 휴대정보단말기 자체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대체하여 보다 큰 확장 화면을 제공하여 휴대정보단말기 자체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나타나는 내용과 동일한 내용을 단순히 확장 화면에 크게 표시하는 것일 뿐이어서 휴대정보단말기의 화면과 확장 화면 모두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4941호(2010.07.28.공개)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휴대용단말기케이스를 제안하고 있는데, 터치스크린을 단순히 보조 키보드로서 사용하는 것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을 뿐이어서 역시 휴대용 단말기와 케이스의 터치스크린을 조합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의 디스플레이 보조장치는 일체형으로 구성되었고, 휴대용 단말기의 길이나 넓이 등의 규격은 전혀 표준화되어 있지 않고 제조사 및 종류 별로 다양한 규격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보조장치 또한 해당 제품에 맞는 전용 장치로 제조할 수밖에 없었고 사용자들은 휴대용 단말기를 교체할 때마다 기존의 장치는 사용할 수 없어 호환되는 전용 장치를 다시 구매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는, 휴대용 단말기를 결착하여 고정하는 케이스 부분과 화면표시장치가 구비되는 부분을 분리하여 케이스 부분을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를 교체하거나 다양한 모델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보조장치 전체를 구입하거나 모델 별로 디스플레이 보조장치 전체를 구비할 필요가 없이 해당 휴대용 단말기에 호환되는 케이스 부분만을 구입하거나 모델 별로 케이스 부분만을 구비하여 화면표시장치와 결합하여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케이스 교체형 휴대용 단말기 디스플레이 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케이스 교체형 휴대용 단말기 디스플레이 보조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의 상단 일정 부분의 외측 테두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상단 케이스; 휴대용 단말기의 하단 일정 부분의 외측 테두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하단 케이스; 휴대용 단말기에 형성된 커넥터접속구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상단 케이스 또는 하단 케이스 중 어느 한 케이스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커넥터접속단자; 상기 상단 케이스 또는 하단 케이스 중 상기 커넥터접속단자가 형성된 케이스의 일측 외측부에 형성되는 제1 회전포트장치; 상기 상단 케이스 또는 하단 케이스 중 상기 커넥터접속단자가 형성되지 않은 케이스의 일측 외측부에 형성되는 제1 회전결합장치; 및 상기 제1 회전결합장치에 대응하는 제2 회전결합장치와 상기 제1 회전포트장치에 대응하는 제2 회전포트장치가 각각 일측의 상단 또는 하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회전포트장치와 전기적으로 연통되어 있는 구동장치와 화면표시장치가 형성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단 케이스와 하단 케이스가 휴대용 단말기의 테두리 전체를 감싸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수납하여 고정하며, 상기 상단 케이스와 하단 케이스에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결착하여 결합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회전결합장치와 제2 회전결합장치 중 어느 한 장치는 원형의 결합돌기로, 다른 한 장치는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하는 원형의 결합홈으로 형성되되,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은 일정 회전 각도를 간격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단단하게 결합함과 동시에 원활하게 회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 회전포트장치와 제2 회전포트장치 중 어느 한 장치는 포트접속단자로, 다른 한 장치는 포트접속구로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되, 고정된 어느 한 장치에 대하여 다른 한 장치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상단 케이스와 하단 케이스가 맞닿는 부분에 결착돌기와 이에 대응하는 결착홈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상단 케이스와 하단 케이스가 어긋남이 없이 단단하게 결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단 케이스와 하단 케이스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하면을 지지하는 바닥판을 형성하여 상기 상단 케이스, 하단 케이스, 디스플레이부로 휴대용 단말기를 완전히 감싸서 보호하는 케이스의 형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 상단에서 하단까지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구동장치의 상단에는 제2 회전결합장치가, 상기 구동장치의 하단에는 제2 회전포트장치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구동장치에 내장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외부 충전기를 삽탈할 수 있는 충전연결단자와, 상기 충전연결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으로 상기 구동장치에 내장되는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표시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표시장치를 조합하여 구동하는 다수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모드 스위치(가 선택한 모드를 구현할 수 있도록 관련된 장치와 각종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필요한 정보를 처리하고 연산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장치를 별도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결착할 수 있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보조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 자체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좁은 면적을 극복하여 두 디스플레이 장치를 함께 연동하여 각종 응용 프로그램이나 단말기 구동 상황에 맞게 다양한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어 효율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보조장치를 휴대용 단말기에 결착하여 고정하는 상단 케이스 및 하단 케이스와, 화면표시장치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부로 분리하여 구성하되 상호 장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를 교체하거나 다양한 모델의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새로운 휴대용 단말기에 호환되는 상단 케이스 및 하단 케이스만을 구입하거나 모델 별로 상단 케이스 및 하단 케이스만을 구비하고 디스플레이부를 재사용 또는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고 경제성이 뛰어난 다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교체형 휴대용 단말기 디스플레이 보조장치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교체형 휴대용 단말기 디스플레이 보조장치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단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단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평면도와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상단 케이스와 하단케이스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교체형 휴대용 단말기 디스플레이 보조장치의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교체형 휴대용 단말기 디스플레이 보조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교체형 휴대용 단말기 디스플레이 보조장치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교체형 휴대용 단말기 디스플레이 보조장치(10)는 휴대용 단말기의 상단에 결착하는 상단 케이스(100)와, 휴대용 단말기의 하단에 결착하는 하단 케이스(200)와, 상기 상단 케이스(100) 및 하단 케이스(200)와 결합하는 디스플레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단 케이스(100)와 하단 케이스(200)는 상호 결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테두리 부분을 완전히 감싸도록 구성되는데, 보통은 휴대용 단말기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똑같은 비율로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감싸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겠지만, 휴대용 단말기의 외형적 특징 등에 의하여 상기 상단 케이스(100)와 하단 케이스(200)가 커버하는 비율을 임의로 조정하여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일측 상단에는 상기 상단 케이스(100)가, 하단에는 상기 하단 케이스(200)가 각각 결합하여 완전한 디스플레이 보조장치(10)를 구성하게 되는데, 상기 상단 케이스(100) 및 하단 케이스(20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는 결합축을 기준으로 상호 일정 각도까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단 케이스(100)와 하단 케이스(200) 및 디스플레이부(300)로 나누어 구성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를 교체하거나 다양한 종류의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사용하고자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호환되는 상기 상단 케이스(100)와 하단 케이스(200)만을 별도로 구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에 결합하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보통 상기 디스플레이부(300)가 전체 장치 중에서 제조비용(또는 구매비용)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제일 높으므로 비교적 비용 부담이 적은 상기 상단 케이스(100)와 하단 케이스(200)만을 교체하거나 모델별로 다수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는 재사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단 케이스가,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단 케이스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정면도가,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평면도와 저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3, 도 4, 도 5, 및 도 5를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상단 케이스(100)의 일측 상단에는 제1 회전결합장치(110)가 외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회전결합장치(11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제2 회전결합장치(310)와 결합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원형의 결합돌기(111)와 결합홈(311)으로 각각 형성하는 것이 좋다. 물론 상기 제1 회전결합장치(110)를 결합홈(311)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2 회전결합장치(310)를 결합돌기(111)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호 결합하여 결합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으면 어떠한 결합장치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111)와 결합홈(311)은 아무런 걸림없이 일정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판스프링 장치 등을 이용하여 상기 결합돌기(111)가 결합홈(311)에 삽착되어 회전할 때에 일정 회전 각도를 간격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이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를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의성을 높이는 것이다.
상기 하단 케이스(200)의 일측 하단에는 제1 회전포트장치(210)가 외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의 커넥터접속구에 삽입하여 결착할 수 있는 커넥터접속단자(230)가 상기 하단 케이스(200)의 하단 상면의 일정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회전포트장치(21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제2 회전포트장치(320)와 결합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제1 회전포트장치(210)에는 포트접속단자(211)를 형성하고 상기 제2 회전포트장치(320)에는 포트접속구(321)를 형성할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제1 회전포트장치(210)에는 포트접속구(321)를, 상기 제2 회전포트장치(320)에는 포트접속단자(211)를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제1 회전포트장치(210)와 제2 회전포트장치(320)도 상호 결합하여 결합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회전포트장치(210)의 포트접속단자(211)는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2 회전포트장치(320)의 포트접속구(321)가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구동장치(33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 회전포트장치(320)의 포트접속구(321)와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구동장치(330)는 전기적으로 연통되도록 구성하여야 하며, 상기 하단 케이스(200)와 디스플레이부(300) 전체적으로는 상기 커넥터접속단자(230)와 상기 포트접속단자(211), 상기 포트접속구(321)가 순차적으로 연통되어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디스플레이부(300) 간에 각종 신호나 정보 등을 주고받거나 전력을 송전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상단 케이스(100)와 하단 케이스(200)는 휴대용 단말기를 단단히 고정할 수 있도록 각각의 케이스 내면에 별도의 구성 장치를 형성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의 테두리에 구비된 각종 단자나 스위치에 대응하여 통공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상단 케이스(100)와 하단 케이스(200)가 상호 단단하게 결착하여 어긋나지 않도록 각각의 접속면에 결착돌기(220)와 이에 대응하는 결착홈(12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의 커넥터접속구가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였는데, 상기 커넥터접속구가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커넥터접속구가 휴대용 단말기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상단 케이스(100)에 상기 커넥터접속단자(230)와 제1 회전포트장치(210)가, 상기 하단 케이스(200)에 상기 제1 회전결합장치(110)가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2 회전포트장치(3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일측 상단에, 상기 제2 회전결합장치(31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일측 하단에 형성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를 살펴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전면에는 화면표시장치(34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일측에는 상기 구동장치(3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화면표시장치(340)로는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DP), 유기발광다이오드표시장치(OLED)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보다 높은 활용성과 효율성을 위하여 터치스크린 화면표시장치(340)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면표시장치(340)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상기 구동장치(330)를 구비하여야 하는데,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두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장치(330)를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일측에 따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즉, 본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일측 상단에서 하단까지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회전축에 상기 구동장치(330)를 형성하고 상기 구동장치(330)의 상단에는 제2 회전결합장치(310)를, 하단에는 제2 회전포트장치(320)를 형성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구동장치(330)와 화면표시장치(340)를 구동하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것도 가능하지만, 보다 효율적으로 구동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자체 배터리를 구성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배터리는 원통형의 상기 구동장치(330) 내에 공간을 마련하여 위치시키도록 하며, 상기 배터리로 일반적인 1회용 건전지를 사용하여 상기 배터리를 삽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축전지를 사용하여 외부 충전기로 반복적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내장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배터리로 축전지를 내장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외부 충전기와 연결되는 충전연결단자(350)와 외부 충전기에서 공급되는 전력으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모듈을 더 구성하여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충전연결단자(35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하단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충전모듈은 상기 구동장치(330) 내에 형성되어 있다(도면에는 미도시). 아울러 상기 충전연결단자(350)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도 충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상단 케이스와 하단케이스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 교체형 휴대용 단말기 디스플레이 보조장치의 정면도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상단 케이스(100)와 하단 케이스(200)는 앞서 상술한 구성에 바닥판(130)이 각각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단 케이스(100)와 하단 케이스(200)에 바닥판(13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삽탈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하면이 노출되어 케이스 조립체로부터 이탈할 가능성이 있는데, 이와 같이 바닥판(130)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휴대용 단말기를 보다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게 되어서 본 장치를 보호 케이스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0)가 회전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을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회전축을 형성하는 것도 중요하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에는 모드 스위치(360)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모드 스위치(36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화면표시장치(340)와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다양하게 조합하여 각종 고급 기능 또는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에 맞게 사용자가 임의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모드의 예로는, 간단한 문서 작업이나 이메일 작성 등을 하는 경우에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키보드 자판으로 사용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화면표시장치(340)를 입력된 내용이 현출되는 주 표시장치로 사용하는 자판모드와, 인터넷을 이용하여 각종 정보를 검색하거나 전자책이나 전자잡지 등을 읽는 경우에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화면표시장치(340)를 연속된 하나의 표시장치로 인식하여 사용하는 확장모드와, 각종 다중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화면표시장치(340)에 별개의 화면 내용을 각각 현출하여 사용하는 개별모드 등이 있다.
이와 같은 각종 모드를 구현하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에 모드 구현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후 휴대용 단말기의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나 AP(Application Processor)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지만, 보다 원활한 운용을 위해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에 미리 프로그래밍된 마이크로프로세서 장치를 더 구성하여 각종 모드를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신호 및 명령 전달, 정보 처리를 전담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를 슬림하게 구성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장치(330)에 포함시켜 형성하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 디스플레이 보조장치
100 - 상단 케이스 110 - 제1 회전결합장치
111 - 결합돌기 120 - 결착홈
130 - 바닥판 200 - 하단 케이스
210 - 제1 회전포트장치 211 - 포트접속단자
220 - 결착돌기 230 - 커넥터접속단자
300 - 디스플레이부 310 - 제2 회전결합장치
311 - 결합홈 320 - 제2 회전포트장치
321 - 포트접속구 330 - 구동장치
340 - 화면표시장치 350 - 충전연결단자
360 - 모드 스위치

Claims (10)

  1. 휴대용 단말기의 상단 일정 부분의 외측 테두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상단 케이스;
    휴대용 단말기의 하단 일정 부분의 외측 테두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하단 케이스;
    휴대용 단말기에 형성된 커넥터접속구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상단 케이스 또는 하단 케이스 중 어느 한 케이스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커넥터접속단자;
    상기 상단 케이스 또는 하단 케이스 중 상기 커넥터접속단자가 형성된 케이스의 일측 외측부에 형성되는 제1 회전포트장치;
    상기 상단 케이스 또는 하단 케이스 중 상기 커넥터접속단자가 형성되지 않은 케이스의 일측 외측부에 형성되는 제1 회전결합장치; 및
    상기 제1 회전결합장치에 대응하는 제2 회전결합장치와 상기 제1 회전포트장치에 대응하는 제2 회전포트장치가 각각 일측의 상단 또는 하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회전포트장치와 전기적으로 연통되어 있는 구동장치와 화면표시장치가 형성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단 케이스와 하단 케이스가 휴대용 단말기의 테두리 전체를 감싸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수납하며, 상기 상단 케이스와 하단 케이스에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결착하여 결합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교체형 휴대용 단말기 디스플레이 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결합장치와 제2 회전결합장치 중 어느 한 장치는 원형의 결합돌기로, 다른 한 장치는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하는 원형의 결합홈으로 형성되되,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은 일정 회전 각도를 간격으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교체형 휴대용 단말기 디스플레이 보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포트장치와 제2 회전포트장치 중 어느 한 장치는 포트접속단자로, 다른 한 장치는 포트접속구로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되,
    고정된 어느 한 장치에 대하여 다른 한 장치가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교체형 휴대용 단말기 디스플레이 보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케이스와 하단 케이스가 맞닿는 부분에 결착돌기와 이에 대응하는 결착홈이 각각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교체형 휴대용 단말기 디스플레이 보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케이스와 하단 케이스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하면을 지지하는 바닥판이 각각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교체형 휴대용 단말기 디스플레이 보조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 상단에서 하단까지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구동장치의 상단에는 제2 회전결합장치가, 상기 구동장치의 하단에는 제2 회전포트장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교체형 휴대용 단말기 디스플레이 보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구동장치에 내장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교체형 휴대용 단말기 디스플레이 보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외부 충전기를 삽탈할 수 있는 충전연결단자와, 상기 충전연결단자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으로 상기 구동장치에 내장되는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교체형 휴대용 단말기 디스플레이 보조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표시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표시장치를 조합하여 구동하는 다수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스위치(3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교체형 휴대용 단말기 디스플레이 보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모드 스위치(360)가 선택한 모드를 구현할 수 있도록 관련된 장치와 각종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필요한 정보를 처리하고 연산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교체형 휴대용 단말기 디스플레이 보조장치.
KR1020110048323A 2011-05-23 2011-05-23 케이스 교체형 휴대용 단말기 디스플레이 보조장치 KR201201304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323A KR20120130415A (ko) 2011-05-23 2011-05-23 케이스 교체형 휴대용 단말기 디스플레이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323A KR20120130415A (ko) 2011-05-23 2011-05-23 케이스 교체형 휴대용 단말기 디스플레이 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0415A true KR20120130415A (ko) 2012-12-03

Family

ID=47514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8323A KR20120130415A (ko) 2011-05-23 2011-05-23 케이스 교체형 휴대용 단말기 디스플레이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041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001A (ko) * 2015-07-15 2017-01-25 박진우 착탈 가능한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가진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KR20180006550A (ko) * 2016-07-07 2018-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001A (ko) * 2015-07-15 2017-01-25 박진우 착탈 가능한 보조디스플레이장치를 가진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KR20180006550A (ko) * 2016-07-07 2018-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76906B (zh) 用于显示器的输入设备
EP3340008B1 (en) Mobile apparatus
US8369074B2 (en) Keyboard device for use with tablet personal computer
KR20120124194A (ko) 착탈가능한 휴대단말기 케이스 겸용 화면출력장치
US20100265179A1 (en) Computer apparatus with added functionality
US20130271067A1 (en) Portable charger
CN103427224B (zh) 移动终端
US9160826B2 (en) Docking station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JP2013228879A (ja) 電子装置
CN100365537C (zh) 电子设备
US9807483B1 (en) Mobile device case with foldable speaker system
KR20120130415A (ko) 케이스 교체형 휴대용 단말기 디스플레이 보조장치
CN210007730U (zh) 移动终端
CN102999093A (zh) 信息处理设备
US20150029647A1 (en) Electronic device
JP2011182566A (ja) 充電源装置
US20110069009A1 (en) Electronic device with cursor controlling apparatus
JP3180009U (ja) 無線伝送機能付き電気スタンド
US7889487B2 (en) Portable computer and hinge mechanism thereof
CN113898661B (zh) 转轴装置以及电子设备
KR20140003908A (ko) 이중회전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결합장치
JP2011248345A (ja) 携帯式電子デバイス
KR101520935B1 (ko) 무선충전 기능을 구비한 다이어리 설치용 다용도 충전장치
CN203786608U (zh) 一种多功能电子装置保护壳
CN103533791A (zh) 一种电子设备底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 before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