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9270A -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처리 방법 및 이에 의해 표면처리된 치과용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처리 방법 및 이에 의해 표면처리된 치과용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9270A
KR20120129270A KR1020110047424A KR20110047424A KR20120129270A KR 20120129270 A KR20120129270 A KR 20120129270A KR 1020110047424 A KR1020110047424 A KR 1020110047424A KR 20110047424 A KR20110047424 A KR 20110047424A KR 20120129270 A KR20120129270 A KR 20120129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al implant
carbon nanotubes
surface treatment
nanotubes
treatment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7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9471B1 (ko
Inventor
이민호
박형호
배태성
박일송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47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9471B1/ko
Publication of KR20120129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9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 A61C8/0013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with a surface layer,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61C13/0012Electrolytic coa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처리 방법 및 이에 의해 표면처리된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에 티타니아 나노튜브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를 열처리하여 상기 티타니아 나노튜브를 결정상으로 전환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티타니아 나노튜브에 탄소나노튜브를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처리 방법과 상기한 방법에 의해 표면처리된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 표면에서의 골아세포 증식력 및 세포부착력을 증대시키고,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등과 같은 물질의 생체적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처리 방법 및 이에 의해 표면처리된 치과용 임플란트{Method for treating surface of dental implant and dental implant treated by the same}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처리 방법 및 이에 의해 표면처리된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용 임플란트 표면에서의 골아세포 증식력 및 세포부착력을 증대시키고,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A:hydroxyapatite) 등과 같은 물질의 생체적합성을 향상시키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처리 방법과 이에 의해 표면처리된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용 임플란트란 치아가 파손되었거나 손실되었을 때 악골에 매식하여 치근역할을 하는 매식물을 말한다.
최근에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재료로서 우수한 화학기계적 특성을 갖는 티타늄 및 티타늄합금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티타늄 및 티타늄합금의 경우 생체활성이 없고, 골(骨)과의 접착력이 약하기 때문에 골과의 결합에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임플란트 표면과 골 사이의 접촉면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어 왔는데, 예를 들어 다양한 직경을 갖는 입자들을 임플란트 표면에 분사시키는 분사(blasting)처리법이나 황산 및 염산 등을 이용하여 임플란트의 표면을 산세처리(acidic etching)하여 임플란트의 표면에 거칠기를 부여하는 방법들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의해 처리된 치과용 임플란트는 골아세포의 증식과 세포부착력 및 생체적합성의 측면에서 볼 때 여전히 그 효과가 미미한 수준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 표면에서의 골아세포 증식력 및 세포부착력을 증대시키고,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등과 같은 물질의 생체적합성을 향상시키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처리 방법과 이에 의해 표면처리된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에 티타니아 나노튜브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를 열처리하여 상기 티타니아 나노튜브를 결정상으로 전환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티타니아 나노튜브에 탄소나노튜브를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에 의해 표면처리된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 표면에서의 골아세포 증식력 및 세포부착력을 증대시키고,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등과 같은 물질의 생체적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치과용 임플란트와 골과의 결합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표면에 티타니아 나노튜브가 형성된 치과용 임플란트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은 도 2의 치과용 임플란트에 탄소나노튜브가 코팅된 것을 촬영한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와 비교예 1을 유사체액에 4일 동안 침적시킨 후 촬영한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5는 실시예와 비교예 1을 유사체액에 침적시킨 후 시간에 따른 질량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실시예와 비교예 2에 대한 MC3T3-E1 세포의 부착력 실험결과를 보여주는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7은 도 6의 (b)를 확대한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8은 실시예와 비교예 1에 대한 MTT assay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처리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 표면처리 방법은 크게 피처리물은 치과용 임플란트 표면에 티타니아 나노튜브(TNT: titania nanotube)를 형성하는 과정과 티타니아 나노튜브가 형성된 치과용 임플란트에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ytube)를 코팅하는 과정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에서 먼저, 치과용 임플란트 표면에 티타니아 나노튜브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여기서 치과용 임플란트의 소재는 티타늄 또는 티타늄합금을 이용한다.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는 전처리과정을 거쳐 자연적으로 생성된 산화피막을 제거한 후(S110), 산화피막이 제거된 치과용 임플란트와 백금(Pt)을 전해액에 침지하고 전해처리하여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에 티타니아 나노튜브를 형성한다(S120).
구체적으로 S110 단계는 40~50% 농도의 불산(HF) 용액에 치과용 임플란트를 수 초간 침지시킨 후, 아세톤 및 증류수를 이용하여 1~10 분간 초음파 세척하고 건조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수행한다.
S120 단계에서 전해액은 0.5~5wt%의 불소화암모늄(NH4F), 3~30wt%의 물(H2O) 및 잔부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전해액에서의 전해처리는 음극(-)과 양극(+)에 각각 백금과 치과용 임플란트를 연결하여 전해액에 침지한 후, 5~50V의 전압 및 25~35㎃/㎠의 전류밀도 조건에서 1분 내지 10시간 동안 수행한다.
이때, 인가전압이 5V 미만이면 인가전압이 너무 낮아 양극산화피막의 형성이 어렵고, 인가전압이 50V를 초과하면 인가전압이 너무 높아 산화피막의 형태가 불균일하고 스파크 현상에 의해 조대한 기공(pore)이 형성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물의 함량이 3wt% 미만이면 티타니아 나노튜브의 직경이 지나치게 작아지고, 전해질 내에 물의 함량이 30wt%를 초과하면 전해질 내에서 이온화된 H+이온에 기인한 산성도가 증가함에 따라 용해를 더욱 가속화시켜 나노튜브의 직경이 지나치게 커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해시간이 1분 미만이면 전해시간이 너무 짧아 나노튜브가 충분히 생성되기에 부족하며, 전해시간이 10시간을 초과하여 장시간 진행되는 경우 일부 나노튜브가 성장도중 파괴되어 균일한 성장이 방해된다.
S120 단계 이후에는 티타니아 나노튜브가 형성된 치과용 임플란트를 열처리하여 비정질상의 티타니아 나노튜브를 결정상으로 전환시킨다(S130).
이때, 열처리는 300~800℃의 온도에서 10분 내지 10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처리 온도가 300℃ 미만이면 온도가 너무 낮아 비정질상에서 결정질로의 상변화가 일어나지 않으며, 800℃를 초과하면 온도가 너무 높아 나노튜브구조가 파괴되기 쉽다.
따라서, 상기 온도 범위 내에서 열처리를 수행하여 티타니아 나노튜브가 적절한 아나타제(anatase) 또는 루타일(rutile)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처리 시간이 10분에서 10시간 이내의 범위일수 있다. 이는 열처리 시간이 10분 미만으로 너무 짧으면 결정상으로 상전이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으며, 10시간을 초과하여 열처리를 한다 하여도 그 이상의 효과가 나타나는 것은 아니어서 공정시간이 필요 이상으로 길어지게 된다.
열처리 후에는 티타니아 나노튜브가 형성된 치과용 임플란트에 탄소나노튜브를 코팅하는데, 먼저 코팅시 탄소나노튜브가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탄소나노튜브를 산세용액과 혼합하여 현탁액을 제조하고(S140), 상기 현탁액을 초음파 분위기에서 교반한 후 중화 및 여과시킴으로써(S150) 탄소나노튜브를 전처리한다.
여기서, 산세용액은 질산 20~30vol% 및 황산 70~80vol%를 혼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현탁액은 상기 산세용액 1ℓ당 10~50g의 탄소나노튜브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혼합되는 탄소나노튜브의 양이 10g 미만이면 첨가되는 양이 너무 적어 제조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혼합되는 탄소나노튜브의 양이 50g을 초과하면 응집력과 엉킴이 강한 탄소나노튜브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균일한 분산성을 얻기 어렵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현탁액은 초음파분위기에서 교반한 후 중화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 현탁액에 수산화나트륨(NaOH)과 물(H2O)을 혼합하여 환류시킨 후, pH가 6~8의 중성이 될 때까지 증류수로 세척한다.
세척 후에는 여과과정을 통해 전처리된 탄소나노튜브를 획득한다. 이때, 여과처리는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탄소나노튜브의 여과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전처리 과정을 통해 길이가 0.1~50㎛인 탄소나노튜브를 얻을 수 있게 된다.
S150단계를 수행한 후에는 여과된 탄소나노튜브를 에탄올에 넣고 1~2시간 동안 초음파처리하는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S160).
이와 같이 함으로써 탄소나노튜브의 엉킴을 방지하고 탄소나노튜브를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S160단계 이후에는 마지막으로 여과된 탄소나노튜브를 에탄올에 혼합하고, 에탄올에 백금과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를 침지한 후 전해처리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코팅한다(S170).
구체적으로, 에탄올은 여과된 탄소나노튜브 1㎎ 당 0.1~1ℓ혼합하고, 음극과 양극에 백금과 상기 티타니아 나노튜브를 각각 연결한 후, 5~50V의 전압 및 25~35㎃/㎠의 전류밀도 조건에서 1분 내지 10시간 동안 수행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 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CNT - TiO 2 )
1단계: 치과용 임플란트 전처리
티타늄 재질의 치과용 임플란트를 45% 농도의 불산용액에 침지시켜 치과용 임플란트 표면에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산화피막을 제거한 다음, 아세톤과 증류수를 이용하여 5분간 초음파 세척한 후 건조하였다.
2단계: 티나티아 나노튜브 형성
불소화암모늄(NH4F) 1wt%, 물(H2O) 9wt% 및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90wt%로 이루어진 전해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상기 전해액에 백금(Pt)과 전처리된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를 침지하고, 직류전원장치의 음극에는 백금을 양극에는 치과용 임플란트를 연결한 후, 30㎃/㎠의 정전류모드에서 목적전압인 20V까지 승압시킨 후, 정전압 상태에서 20분 동안 전해를 실시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용 임플란트 표면에 티타니아(TiO2) 나노튜브를 형성하였다.
3단계: 열처리
다음으로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에 형성된 비정질상의 티타니아 나노튜브를 균일한 결정상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500℃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대기상태에서 열처리하였다.
4단계: 탄소나노튜브 전처리
열처리된 치과용 임플란트에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ytube)를 코팅하기에 앞서 탄소나노튜브의 균일한 분산을 위해 다음과 같이 탄소나노튜브를 전처리하였다.
먼저, 질산(HNO3) 및 황산(H2SO4)을 1:3vol%로 혼합한 산세용액 1ℓ에 탄소나노튜브 50g을 첨가하여 현탁액을 제조한 다음, 상기 현탁액을 초음파분위기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여기에 수산화나트륨(NaOH)과 물(H2O)을 혼합하여 기름욕조(oil bath)에서 3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그리고나서, 환류된 상기 혼합액을 pH가 7이 될 때까지 증류수로 세척한 후, 여과하여 전처리된 0.1~50㎛인 탄소나노튜브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탄소나노튜브를 에탄올에 넣어 2시간 동안 초음파처리 하였다.
5단계: 탄소나노튜브 코팅
전처리된 탄소나노튜브 1㎎을 1ℓ의 에탄올과 혼합하고, 여기에 백금과 표면에 티타니아 나노튜브가 형성된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를 침지하였다.
그리고나서, 음극과 양극에 백금(-)과 상기 티타니아 나노튜브(+)를 각각 연결한 후, 50V의 전압 및 30㎃/㎠의 전류밀도 조건에서 20분 동안 전해시켰다.
상기 1~5단계의 과정을 수행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티타니아 나노튜브가 형성된 치과용 임플란트에 탄소나노튜브를 코팅하였다.
비교예 1(CNT-Ti)
티타늄 재질의 치과용 임플란트 표면에 탄소나노튜브만을 코팅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를 제조하기 위한 과정 중 2단계의 [티나티아 나노튜브 형성] 절차와 3단계의 [열처리] 절차를 제외한 나머지 과정을 실시예와 동일하게 수행하여 치과용 임플란트 표면에 탄소나노튜브만을 코팅하였다.
비교예 2( TiO 2 )
티타늄 재질의 치과용 임플란트 표면에 티타니아 나노튜브만을 형성시키기 위해 실시예를 제조하기 위한 과정 중 4단계의 [탄소나노튜브 전처리] 절차와 5단계의 [탄소나노튜브 코팅] 절차를 제외한 나머지 과정을 실시예와 동일하게 수행하여 치과용 임플란트 표면에 티타니아 나노튜브만을 형성하였다.
실험예 1
골생성촉진에 도움을 주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A: hydroxyapatite)의 형성정도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예와 비교예 1에 의해 처리된 치과용 임플란트를 유사체액(SBF: simulated body fluid)에 4일 동안 침지시켰다.
도 4는 실시예와 비교예 1을 유사체액에 4일 동안 침적시킨 후 촬영한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이때, 도 4의 (a)는 비교예 1을 나타낸 것이고 도 4의(b)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 1에서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의 형성이 관찰되지 않는 반면, 실시예에서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의 전형적인 구상형태(globular)가 관찰된다. 따라서, 실시예에서의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의 형성정도가 더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골생성촉진에 도움을 주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A: hydroxyapatite)의 형성정도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예와 비교예 1에 의해 처리된 치과용 임플란트를 유사체액에 침지시킨 후, 4일 및 7일 차에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형성에 의한 질량변화를 측정하였다.
도 5는 실시예와 비교예 1을 유사체액에 침적시킨 후 시간에 따른 질량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의 4일차 및 7일차 질량이 모두 비교예 1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비교예 1 보다 실시예에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가 더 활발하게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실험예 1과 2를 통해 실시예의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형성능력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티타니아 나노튜브가 형성된 표면의 비표면적이 상용 티타늄에 비해 매우 크기 때문이다.
이러한 티타니아 나노튜브는 체내에서 훨씬 많은 OH-를 흡착하고, TiO2 표면에 흡착된 OH-그룹은 아파타이트 핵생성 초기의 역할을 수행하는 칼슘(Ca)의 흡착을 유도하는 핵생성공정의 주요역할을 하는 것이다.
실험예 3
세포의 부착력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예와 비교예 2의 표면에서 골아세포인 MC3T3-E1세포를 1일간 배양한 후, 0.05% trypsin-EDTA로 처리하여 세포분리 정도를 살펴보았다.
도 6은 실시예와 비교예 2에 대한 MC3T3-E1 세포의 부착력 실험결과를 보여주는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고, 도 7은 도 6의 (b)를 확대한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여기서 도 6의 (a)는 비교예 2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의 (b)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 2에서는 대부분의 세포들이 떨어져 나간 반면, 실시예에서는 많은 세포들이 잔존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세포의 돌출된 촉수(filopodia)와 탄소나노튜브가 결합하여 세포의 부착력이 증대되었기 때문이다.
실험예 4
시간에 따른 골아세포의 증식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예와 비교예 1의 표면에서 골아세포인 MC3T3-E1세포를 배양하면서 1일차 및 3일차에 MTT assay를 수행하였다.
도 8은 실시예와 비교예 1에 대한 MTT assay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아있는 세포의 수와 직선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흡광도(OD: Optical Density)가 비교예 1보다 실시예에서 더욱 높게 나타나는 것을 볼 때, 실시예에서 골아세포의 증식이 훨씬 우수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티타니아 나노튜브에 코팅된 탄소나노튜브가 배양매개체 내의 단백질 흡착능을 유도하여 골아세포와 치과용 임플란트의 계면반응을 향상시키기 때문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a)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에 티타니아 나노튜브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를 열처리하여 상기 티타니아 나노튜브를 결정상으로 전환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티타니아 나노튜브에 탄소나노튜브를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처리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치과용 임플란트에 생성된 산화피막을 제거하는 단계; 및
    a2) 산화피막이 제거된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와 백금을 전해액에 침지한 후, 전해처리하여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에 티타니아 나노튜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처리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탄소나노튜브를 산세용액과 혼합하여 현탁액을 제조하는 단계;
    c2) 상기 현탁액을 초음파 분위기에서 교반한 후 중화 및 여과시키는 단계; 및
    c3) 여과된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에탄올에 혼합하고, 상기 에탄올에 백금과 표면에 티타니아 나노튜브가 형성된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를 침지한 후 전해처리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처리 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은 0.5~5wt%의 불소화암모늄, 3~30wt%의 물 및 잔부 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처리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a2) 단계에서 전해처리는
    음극과 양극에 각각 상기 백금과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를 연결하여 상기 전해액에 침지한 후, 5~50V의 전압 및 25~35㎃/㎠의 전류밀도 조건에서 1분 내지 10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처리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열처리는
    300~800℃의 온도에서 10분 내지 10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처리 방법.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c1) 단계에서
    상기 산세용액은 질산 20~30vol% 및 황산 70~80vol% 를 혼합하여 형성하고,
    상기 현탁액은 상기 산세용액 1ℓ당 10~50g의 탄소나노튜브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처리 방법.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c2) 단계에서
    상기 현탁액을 중화시키는 것은
    상기 현탁액에 수산화나트륨과 물을 혼합하여 환류시킨 후, pH가 6~8이 될때까지 증류수로 세척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처리 방법.
  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c2) 단계와 상기 c3) 단계 사이에
    여과된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에탄올에 넣고 1~2시간 동안 초음파처리하여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분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처리 방법.
  10.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c3) 단계에서 전해처리는
    상기 에탄올은 여과된 상기 탄소나노튜브 1㎎ 당 0.1~1ℓ혼합하고, 음극과 양극에 백금과 상기 티타니아 나노튜브를 각각 연결한 후, 5~50V의 전압 및 25~35㎃/㎠의 전류밀도 조건에서 1분 내지 10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처리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여과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길이가 0.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처리 방법.
  12. 제1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표면처리된 치과용 임플란트.
KR1020110047424A 2011-05-19 2011-05-19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처리 방법 및 이에 의해 표면처리된 치과용 임플란트 KR101219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424A KR101219471B1 (ko) 2011-05-19 2011-05-19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처리 방법 및 이에 의해 표면처리된 치과용 임플란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424A KR101219471B1 (ko) 2011-05-19 2011-05-19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처리 방법 및 이에 의해 표면처리된 치과용 임플란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270A true KR20120129270A (ko) 2012-11-28
KR101219471B1 KR101219471B1 (ko) 2013-01-11

Family

ID=47513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7424A KR101219471B1 (ko) 2011-05-19 2011-05-19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처리 방법 및 이에 의해 표면처리된 치과용 임플란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94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1136A (ko) 2013-11-26 2015-06-04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소나노튜브, 젤라틴 및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로 이루어진 다층구조를 갖는 나노 혼성체로 표면 개질된 치과용 티타늄 임플란트 소재
KR102109949B1 (ko) * 2018-12-14 2020-05-1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염화물과 펄스 전원을 이용한 티타늄 임플란트 재료의 표면 처리 방법 및 그로부터 표면 처리된 티타늄 임플란트
CN114932225A (zh) * 2022-03-09 2022-08-23 武汉大学 医用3d打印镍钛基复合粉末、制备方法及复合增强材料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018B1 (ko) * 2013-06-21 2014-11-04 라파바이오 주식회사 항균 기능을 향상시킨 치과용 보철물 제조방법
KR101640986B1 (ko) 2014-08-27 2016-07-19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금 나노로드가 결합된 티타니아 나노튜브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4243B1 (ko) * 2003-09-06 2005-12-08 (주) 코웰메디 치과용 임플란트의 심미적 표면 처리방법
KR20110051441A (ko) * 2009-11-10 2011-05-1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치과용 임플란트 표면에 나노튜브를 신속하고도 균일하게 형성시키는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1136A (ko) 2013-11-26 2015-06-04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소나노튜브, 젤라틴 및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로 이루어진 다층구조를 갖는 나노 혼성체로 표면 개질된 치과용 티타늄 임플란트 소재
KR102109949B1 (ko) * 2018-12-14 2020-05-1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염화물과 펄스 전원을 이용한 티타늄 임플란트 재료의 표면 처리 방법 및 그로부터 표면 처리된 티타늄 임플란트
CN114932225A (zh) * 2022-03-09 2022-08-23 武汉大学 医用3d打印镍钛基复合粉末、制备方法及复合增强材料
CN114932225B (zh) * 2022-03-09 2023-09-05 武汉大学 医用3d打印镍钛基复合粉末、制备方法及复合增强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9471B1 (ko) 2013-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r et al. Electrodeposition of hydroxyapatite onto nanotubular TiO2 for implant applications
CN100385039C (zh) 一种医用金属表面生物活性纳米复合层制备方法
KR101219471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처리 방법 및 이에 의해 표면처리된 치과용 임플란트
CN105274603B (zh) 镁或镁合金表面含碳纳米管的复合改性涂层及其制备方法
CN109069690A (zh) 具有纳米图案浅凹表面的种植体及其制造方法
CN102586786B (zh) 一种钛表面形成分级多孔形貌的方法
WANG et al. HA coating on titanium with nanotubular anodized TiO2 intermediate layer via electrochemical deposition
Qiao et al. Composite coatings of lanthanum-doped fluor-hydroxyapatite and a layer of strontium titanate nanotubes: fabrication, bio-corrosion resistance, cytocompatibility and osteogenic differentiation
KR101445174B1 (ko) 티타늄 나노튜브와 도파민 코팅을 이용한 표면이 개질된 임플란트 및 이의 제조방법
US9353453B2 (en) Metal substrate modified with silicon based biomimetic treatment having antibacterial property for the osteointegration thereof
CN112281199B (zh) 基于溶液体系的超声辅助微弧氧化复合膜层的制备与应用
KR101283780B1 (ko) 타이타늄 임플란트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4922727B (zh) 一种生物活性多孔钛医用植入材料及其制备方法
Balakumar et al. Formation of bioactive nano hybrid thin films on anodized titanium via electrophoretic deposition intended for biomedical applications
Hsu et al. Fabrication of nanotube arrays on commercially pure titanium and their apatite-forming ability in a simulated body fluid
Hu et al. Surface modification of Ti6Al4V alloy by polydopamine grafted GO/ZnO nanocomposite coating
CN103520776B (zh) 一种医用钛基底材料及其制造方法
Liang et al. Effect of TiO2 nanotube morphology on the formation of apatite layer in simulated body fluid
CN111842086B (zh) 一种提高镁合金耐腐蚀性和抗菌性的复合涂层制备方法
CN111850553A (zh) 钛基纳米管表面载银单宁纳米磷灰石复合涂层的制备方法
CN108060453B (zh) 一种纯钛基纳米管表面纳米磷灰石棒晶的制备方法
Szklarska et al. Alginate biopolymer coatings obtained by electrophoretic deposition on Ti15Mo alloy
Bai et al. Carbon nanotube coating on titanium substrate modified with TiO2 nanotubes
CN111840635A (zh) 钛基纳米管表面多酚纳米磷灰石涂层的制备方法
CN1316274A (zh) 金属/钙磷陶瓷生物材料表面电化学改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