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8821A - 건(腱) 회수기 - Google Patents

건(腱) 회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8821A
KR20120128821A KR1020110046705A KR20110046705A KR20120128821A KR 20120128821 A KR20120128821 A KR 20120128821A KR 1020110046705 A KR1020110046705 A KR 1020110046705A KR 20110046705 A KR20110046705 A KR 20110046705A KR 20120128821 A KR20120128821 A KR 20120128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member
gun
cut
tendon
re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6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주윤
Original Assignee
장주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주윤 filed Critical 장주윤
Priority to KR1020110046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8821A/ko
Publication of KR20120128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88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 회수기에 관한 것으로, 절단된 건을 회수하기 위하여 열상부위로 삽입하는 관 형태의 삽입부재; 상기 삽입부재의 내부를 관통하여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절단된 건을 연결하며 끈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 상기 삽입부재에 구비되어 삽입부재의 선단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 회수기에 의하면 열상부위에서 건피복터널을 통하여 건회수기의 삽입부재를 밀어 넣어 연결부재의 끝에 건을 묶고 원래의 열상부위로 꺼내어 봉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소의 절개와 조직박리로 수술시간의 단축 및 출혈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절단 건 끝의 손상을 최대한 배제시키고, 활차와 건에 영양을 공급하는 끈을 보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유증을 최소화하고 치유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腱) 회수기{Tendon Retriever}
본 발명은 건 회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상에 의하여 몸중심부쪽(Proximal)으로 끌려 들어간 건을 원래의 위치로 회수하여 봉합할 수 있도록 하는 건 회수기에 관한 것이다.
건(tendon: 힘줄)이라 하는 것은 관절을 건너서 근육과 뼈를 연결해주는 질긴 섬유조직으로서, 근육이 수축함을 관절을 건너 뼈에 전달해줌으로써 관절을 움직이는 역할을 담당하게 한다.
손가락에서 건의 위치는 다른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피부에 가까이 위치해 있기 때문에, 손가락의 열상과 동반되는 경우가 흔하다.
특히, 수장부(손바닥쪽)에서의 열상은 손가락을 굽히는 역할을 하는 굴곡건의 손상을 흔히 동반하게 된다. 굴곡건이 완전히 절단이 된 경우는 굴곡건은 몸 중심부 쪽으로 끌려 들어가게 되는데, 이러한 절단된 굴곡건의 봉합수술은 몸쪽으로 끌려들어간 굴곡건의 끝을 발견하여 원래의 위치로 옮겨놓고 절단된 건의 끝을 봉합하여 주는 것이다.
절단된 건의 봉합수술에 있어서는 몸 중심부 쪽으로 끌려 들어간 건의 끝을 찾는 것이 수술의 큰 부분을 차지하게 되며, 이 과정이 가장 시간이 많이 걸리며 수술 성공의 관건이 된다. 몸쪽으로 끌려 들어간 건의 위치를 확인하는 현재까지의 일반적인 방법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상부위에서부터 몸쪽의 절단된 건의 끝이 발견될 때까지 지그재그로 계속 절개하고 박리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방법은 박리부위(a)가 광범위하기 때문에 수술시간이 오래 걸리며, 절개부위가 많아 주위의 말단 신경들을 절단케 함으로써 피부의 감각이 저하되고, 박리부위가 크기 때문에 출혈이 되며 이에 따라 혈종 형성의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이러한 크고 작은 혈종들은 창상 치유과정에서 섬유화되고, 건을 봉합하였을 때도 봉합한 건이 주위 조직에 엉겨 달라붙는 유착현상이 발생하며, 이와 같이 건이 주위조직에 유착되는 것은 건의 고유의 기능인 운동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한다.
또한, 절개한 부위가 상대적으로 길어서 반흔(흉터)이 길게 남게 되고 이 반흔에 오그라들어 펴지지 않는 구축현상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어 수술 후 손가락의 운동에 장애를 미칠 가능성이 커지게 되며, 발견한 건 끝을 원래 위치로 회수하는 과정에서 손가락에서 건의 위치를 잡아주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활차를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열상부위에서 건피복터널(tendon sheath)을 통하여 건 회수기를 밀어 넣어 절단된 건의 끝에 회수기가 도달하면 그 지점을 절개하여 회수기의 끝에 건을 묶고 원래의 열상부위로 꺼내어 봉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소의 절개와 조직박리로 수술시간의 단축 및 출혈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절단 건 끝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건 회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절단된 건을 회수하기 위하여 열상부위로 삽입하는 관 형태의 삽입부재; 상기 삽입부재의 내부를 관통하여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절단된 건을 연결하며 끈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 상기 삽입부재에 구비되어 삽입부재의 선단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 회수기를 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삽입부재의 내부를 관통하여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절단된 건을 연결하며 끈의 형태를 갖는 연결부재는, 삽입부재의 선단으로는 묶음고리부가 구비되고, 삽입부재의 후단으로는 손가락 걸고리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 회수기를 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삽입부재에 구비되어 삽입부재의 선단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수단은 삽입부재의 선단 내측에 구비되는 조명등과, 상기 삽입부재의 내측으로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조명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전선 및 플러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 회수기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 회수기에 의하면 열상부위에서 건피복터널을 통하여 건회수기의 삽입부재를 밀어 넣어 연결부재의 끝에 건을 묶고 원래의 열상부위로 꺼내어 봉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소의 절개와 조직박리로 수술시간의 단축 및 출혈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절단 건 끝의 손상을 최대한 배제시키고, 활차와 건에 영양을 공급하는 끈을 보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유증을 최소화하고 치유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손가락 열상부위의 절개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 회수기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 회수기의 구성요소의 일부를 확대 예시한 도면
도 4는 손가락의 내부 건 골격계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건 회수기에 의한 시술상태를 예시한 도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건 회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 회수기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 회수기의 구성요소의 일부를 확대 예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 회수기는 절단된 건을 회수하기 위하여 열상부위로 삽입하는 관 형태의 삽입부재(10)와, 상기 삽입부재(10)의 내부를 관통하여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절단된 건을 연결하며 끈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20) 및 상기 삽입부재(10)에 구비되어 삽입부재(10)의 선단 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절단된 건을 회수하기 위하여 열상부위로 삽입하는 관 형태의 삽입부재(10)는 유연성과 탄력성을 구비하는 관 형태의 플라스틱이나 고무재질을 적용하는데, 이러한 삽입부재(10)의 직경은 외경 약 3 - 5mm 굵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외경 약 3 - 4mm 굵기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삽입부재(10)를 넬라톤 카테터(Nelaton Catheter)로 적용하고 있는데, 일반적인 카테터는 플라스틱이나 고무로 만들어지는데 비하여 넬라톤 카테터는 연성고무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적당한 유연성과 탄력성이 있어서 열상부위로의 삽입이 용이하고, 상기 삽입부재(10)에 적용한 넬라톤 카테터의 길이는 대략 32 - 35㎝ 정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삽입부재(10)를 길이 약 32 - 35cm를 갖는 넬라톤 카테터로 적용하고 있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삽입부재(10)를 이와 같이 넬라톤 카테터로 한정하거나 길이 또한 32 - 35cm로 한정하는 것이 결코 아님을 밝혀 두기로 한다.
상기 삽입부재(10)의 내부를 관통하여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절단된 건을 연결하는 연결부재(20)는 끈의 형태를 갖는다. 예컨대, 상기 연결부재(20)는 일반적으로 낚시줄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나일론이나 모노필라멘트 또는 합사 등의 재질을 적용할 수 있고, 색상 또한 형광색을 비롯하여 다양한 색상으로의 적용이 가능하며, 상기 삽입부재(10)의 내벽과의 마찰 및 인장력과 건과의 연결이 용이하다면 어떠한 재질 및 형태의 줄을 적용더라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20)는 삽입부재(10)의 전방쪽 선단으로는 건을 묶어서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묶음고리부(21)가 구비되고, 삽입부재(10)의 후방쪽 후단으로는 상기 연결부재(20)를 삽입부재(10)의 내부에서 일정거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 걸고리부(22)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20)는 삽입부재(10)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묶음고리부(21)를 당기거나 손가락 걸고리부(22)를 당기는 동작에 의하여 삽입부재(10)의 내벽을 따라 일정거리 이동하면서 연결부재(20) 선단의 묶음고리부(21)가 삽입부재(10)의 선단을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삽입부재(10)에 구비되어 삽입부재(10)를 열상부위에 삽입하였을 때 삽입부재(10)의 이동위치를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수단(30)은 상기 삽입부재(10)의 내측 거의 선단에 구비되는 조명등(31)과, 상기 삽입부재(10)의 내측으로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조명등(3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전선(32) 및 플러그(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명수단(30)의 구성요소이며 삽입부재(10)의 선단 내측에 구비되는 조명등(31)은 일반적인 필라멘트등도 적용이 가능하지만 밝기나 전력소모, 열 발생 등을 감안하면 LED등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손가락의 내부 건 골격계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건 회수기에 의한 시술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손가락 부위에는 굴곡건(b)이 마찰 없이 활주할 수 있도록 건을 싸고 있는 텐던 쉬스(Tendon Sheath) 라고 하는 섬유조직의 터널이 존재하는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텐던 쉬스(Tendon Sheath)를 편의상 "건피복터널"(2)이란 용어로 정의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 회수기는 열상부위에서 건피복터널(b)을 통하여 삽입부재(10)의 선단을 밀어넣게 되는데 이때, 상기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조명수단(30)의 전원플러그(33)에 전원을 공급하면 조명수단(30)의 조명등(31)이 점등하여 삽입되는 삽입부재(10)의 선단위치와 삽입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 후, 절단된 건(b)의 끝에 삽입부재(10)가 도달하면 그 지점을 약 1cm가량 절개하여 건(b)의 끝과 삽입부재(10)를 동시에 꺼내어 별도의 실로 건(b)의 끝과 연결부재(20) 끝단에 구비된 묶음고리부(21)를 묶은 상태에서 연결부재(20)의 후단에 구비된 손가락 걸고리부(22)를 살짝 잡아당겨 건이 묶여 진 묶음고리부(21)를 삽입부재(10)의 선단으로 이동시켜 후진시 묶음부가 건피복터널에 걸리지 않도록 조치를 취한 후 삽입부재(10)를 원래의 열상부위로 꺼내어 절단된 건의 양끝을 봉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 회수기에 의하면 열상부위에서 건피복터널을 통하여 건회수기의 삽입부재를 밀어 넣어 연결부재의 끝에 건을 묶고 원래의 열상부위로 꺼내어 봉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소의 절개와 조직박리로 수술시간의 단축 및 출혈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절단 건 끝의 손상을 최대한 배제시키고, 활차와 건에 영양을 공급하는 끈을 보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유증을 최소화하고 치유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 회수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 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b: 건 c: 건 피복터널
10: 삽입부재 20: 연결부재
21: 묶음고리부 22: 손가락 걸고리부
30: 조명수단 31: 조명등
32: 전선 33: 플러그

Claims (6)

  1. 절단된 건을 회수하기 위하여 열상부위로 삽입하는 관 형태의 삽입부재;
    상기 삽입부재의 내부를 관통하여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절단된 건을 연결하며 끈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
    상기 삽입부재에 구비되어 삽입부재의 선단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 회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절단된 건을 회수하기 위하여 열상부위로 삽입하는 상기 관 형태의 삽입부재는 유연성과 탄력성을 구비한 넬라톤 카테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 회수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절단된 건을 회수하기 위하여 열상부위로 삽입하는 상기 관 형태의 삽입부재의 굵기는 3 - 5mm의 외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 회수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의 내부를 관통하여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절단된 건을 연결하며 끈의 형태를 갖는 연결부재는, 삽입부재의 선단으로는 묶음고리부가 구비되고, 삽입부재의 후단으로는 손가락 걸고리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 회수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에 구비되어 삽입부재의 선단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수단은 삽입부재의 선단 내측에 구비되는 조명등과, 상기 삽입부재의 내측으로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조명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전선 및 플러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 회수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의 선단 내측에 구비되는 조명등은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 회수기.



KR1020110046705A 2011-05-18 2011-05-18 건(腱) 회수기 KR201201288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705A KR20120128821A (ko) 2011-05-18 2011-05-18 건(腱) 회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6705A KR20120128821A (ko) 2011-05-18 2011-05-18 건(腱) 회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8821A true KR20120128821A (ko) 2012-11-28

Family

ID=47513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6705A KR20120128821A (ko) 2011-05-18 2011-05-18 건(腱) 회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882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92878B (zh) 用于固定组织的外科构造体和方法
JP4660714B2 (ja) 内視鏡式組織補捉システム
CN103654890B (zh) 缝合线引导件
CA2780122C (en) Apparatus for maintaining a force upon tissue using a loop member
US8845685B2 (en) Anchor assembly and method of use
US20130165954A1 (en) Continuous suture passing instrument
CN101073508A (zh) 组合式打结元件和缝线锚固器施放装置
JPH08500506A (ja) 内視鏡的縫合装置
TW201023812A (en) Surgical threading device and method for using same
JP2003093394A (ja) 内視鏡による縫合システム
JP2014531938A (ja) ヘルニア修復デバイスおよび方法
JP4986007B2 (ja) シングルテール付き縫合方法及び装置
US7147651B2 (en) Stiff tipped suture
EP2491869B1 (en) Stapling device for closing perforations
KR20220040467A (ko) 상처 폐쇄 장치
US11559297B2 (en) Suturing device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1730467B2 (en) Vaginal tissue closure
EP2941198A1 (en) Connector
KR20120128821A (ko) 건(腱) 회수기
US20040010286A1 (en) Arthroscopic suture thread and method of use
WO2018090000A1 (en) Dissection and ligation cartridge
EP2271270B1 (en) Endoscopic stapling device
SU96869A1 (ru) Прибор дл прошивани пр мой кишки при ее резекции у сельскохоз йственных животных
AU2013201924B2 (en) Stapling device for closing perforations
CN111317531A (zh) 勾线针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