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7933A - 양파로부터 쿼세틴 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상기 쿼세틴 추출액의 용도 - Google Patents

양파로부터 쿼세틴 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상기 쿼세틴 추출액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7933A
KR20120127933A KR1020110045729A KR20110045729A KR20120127933A KR 20120127933 A KR20120127933 A KR 20120127933A KR 1020110045729 A KR1020110045729 A KR 1020110045729A KR 20110045729 A KR20110045729 A KR 20110045729A KR 20120127933 A KR20120127933 A KR 20120127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ercetin
onion
extract
powder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5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0667B1 (ko
Inventor
남승희
강정화
박장현
김영옥
오봉윤
장미향
김정근
정경주
Original Assignee
전라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라남도 filed Critical 전라남도
Priority to KR1020110045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0667B1/ko
Publication of KR20120127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7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9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urée, sauce, or products made therefrom, e.g. snac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8Tabletting; Making food bars by compression of a dry powdered 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2Allium, e.g. garden onion, leek, garlic or chives

Abstract

본 발명은 양파로부터 쿼세틴의 분리방법 및 동 방법에 의해 양파로부터 추출한 쿼세틴을 포함하는 타블렛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1)양파껍질 분말을 주정에 첨가하고 추출하여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과 잔사를 얻는 단계; (2)상기의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을 취한 후 주정을 제거한 다음 초산에틸 및 물을 동일한 부피비로 혼합한 혼합용매를 첨가하고 정치시키는 단계; (3)상기 (2)단계에서 정치가 끝난 후 상등액의 초산에틸층을 회수하여 용매를 증발시킨 후 주정으로 용해시켜 주정 용해액을 얻는 단계; 및 (4)상기 (2)단계에서 정치가 끝난 후 중간액 및 하층액의 물층을 회수하여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얻고 이 침전물을 주정으로 용해시켜 얻은 침전물 주정 용해액을 상기 (3)단계에서 얻은 주정 용해액에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파로부터 쿼세틴의 분리방법 및 동 방법에 의해 양파로부터 추출한 쿼세틴을 포함하는 타블렛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파로부터 쿼세틴 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상기 쿼세틴 추출액의 용도{Production method of quercetin extracts from Allium cepa L. and aplication thereof}
본 발명은 양파로부터 쿼세틴 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상기 쿼세틴 추출액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1)양파껍질 분말을 주정에 첨가하고 추출하여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과 잔사를 얻는 단계; (2)상기의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을 취한 후 주정을 제거한 다음 초산에틸 및 물을 동일한 부피비로 혼합한 혼합용매를 첨가하고 정치시키는 단계; (3)상기 (2)단계에서 정치가 끝난 후 상등액의 초산에틸층을 회수하여 용매를 증발시킨 후 주정으로 용해시켜 주정 용해액을 얻는 단계; 및 (4)상기 (2)단계에서 정치가 끝난 후 중간액 및 하층액의 물층을 회수하여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얻고 이 침전물을 주정으로 용해시켜 얻은 침전물 주정 용해액을 상기 (3)단계에서 얻은 주정 용해액에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파로부터 쿼세틴을 얻을 수 있는 쿼세틴 추출액의 제조방법, 당함량이 높아 분말화가 어려운 쿼세틴 추출액을 분말화 하는 방법 및 상기 쿼세틴 추출액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양파(Allium cepa L.)는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재배역사가 오래되었고 특유의 맛과 향기를 지니고 있어 고추, 마늘 등과 더불어 전 세계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조미 채소 중의 하나이다. 고대부터 동양에서는 마늘과 함께 한약재로 애용되어 해열, 구충, 해독, 장염, 중풍치료 등에 널리 사용되었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양파에는 기능성 성분으로 항산화 작용을 나타내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계 물질과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는 황화합물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져 성인병 예방을 위한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양파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성분 중에는 쿼세틴(quercetin), 캠퍼롤(kaempferol), 루틴(rutin)과 같은 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강력한 항산화제로서 세포의 산화적 손상과 지방의 산패를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쿼세틴(quercetin)은 전체 플라보노이드계 성분 중에서 80% 이상을 차지한다.
쿼세틴(quercetin)은 양파의 종류에 따라 kg당 0.06?2g 수준으로 함유되어 있으나, 특히 양파껍질에는 가식부위인 양파속 보다 10배 정도가 많은 2?40g을 가지고 있으며 산지, 품종에 따라 다양한 차이를 나타낸다.
양파에 존재하는 이러한 쿼세틴(quercetin)은 강력한 항산화제로서 세포의 산화적 손상 및 지방의 산패를 막아주며 이를 통해 고혈압의 예방효과도 인정되고 있다. 쿼세틴(quercetin)이 이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이유는 생체내에서 반응성이 강해 세포의 여러 성분을 손상시키는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을 제거하고, 동맥경화와 심장병의 원인인 저밀도 리포단백질 산화(low-density lipoprotein oxidation)를 줄이며, 체내 항산화제인 비타민 E(vitamin E)를 보호함과 동시에 재생시키며, 금속이온의 유해작용을 불활성화 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양파의 약 10% 정도가 가공품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양파를 이용한 가공제품으로는 양파를 포함하는 스낵, 양파즙, 양파식초, 양파음료 등이 있다. 또한 양파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으로는 양파엑기스 캡슐화, 양파분말정제, 양파 쿼세틴 함유 음료, 쿼세틴, 이소쿼세틴과 이를 포함하는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보호제, 양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 방지용 음료 조성물, 양파분말과 홍삼을 이용한 양파정, 양파분말과 베타케로틴 혼합정, 쿼세틴과 이를 포함하는 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보호제나 당뇨 예방제재 등이 있다.
상기의 양파를 이용한 가공제품, 건강기능식품은 주로 양파의 가식부위인 양파속을 주재료로 하여 제조되었으며, 양파를 수확한 후 포장하는 과정에서 대부분의 양파껍질은 쓰지 않고 폐기 처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수확 후 양파에서 폐기되어 버려지는 양파껍질로부터 쿼세틴을 추출하는 방법 및 양파껍질로부터 추출된 쿼세틴을 포함하는 타블렛(tablet)을 제조하는 방법을 연구함으로써 종래 합성 또는 약초열매에서 추출돤 쿼세틴을 포함하는 건강식품 대신에 양파로부터 분리한 쿼세틴을 함유하고 타블렛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파로부터 쿼세틴을 얻을 수 있는 쿼세틴 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상기 쿼세틴 추출액의 용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파로부터 쿼세틴 추출액의 제조방법에 의해 얻은 쿼세틴 및 상기 쿼세틴 추출액의 용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1)양파껍질 분말을 주정에 첨가하고 추출하여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과 잔사를 얻는 단계; (2)상기의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을 취한 후 주정을 제거한 다음 초산에틸 및 물을 동일한 부피비로 혼합한 혼합용매를 첨가하고 정치시키는 단계; (3)상기 (2)단계에서 정치가 끝난 후 상등액의 초산에틸층을 회수하여 용매를 증발시킨 후 주정으로 용해시켜 주정 용해액을 얻는 단계; 및 (4)상기 (2)단계에서 정치가 끝난 후 중간액 및 하층액의 물층을 회수하여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얻고 이 침전물을 주정으로 용해시켜 얻은 침전물 주정 용해액을 상기 (3)단계에서 얻은 주정 용해액에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파로부터 쿼세틴 추출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양파로부터 쿼세틴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상기에서 얻은 양파로부터 쿼세틴을 이용한 타블렛의 제조방법에 의해 쿼세틴을 포함하는 타블렛을 제공할 수 있어 우수한 기능성을 지닌 쿼세틴을 쉽게 섭취할 수 있어 국민 건강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수확 후 양파에서 폐기되어 버려지는 양파껍질로부터 쿼세틴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때문에 종래 합성 또는 약초열매에서 추출하는 쿼세틴에 비해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쿼세틴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폐기되는 양파껍질을 이용하기 때문에 양파 재배 농가 및 양파 재배 지역의 경제적 이익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얻은 1차 쿼세틴 추출액, 상등액 및 쿼세틴 표준물질(Sigma. co.)을 TLC(Plate liquid chromatography)로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 양파껍질로부터 얻은 쿼세틴 추출액에서의 쿼세틴 순도 확인을 HPLC를 이용하여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서 얻은 쿼세틴 추출액을 실험군으로 하고, 양파속, 양파껍질 및 쿼세틴 표준물질(Sigma. co.)을 각각 대조군으로 하여 실험군 및 대조군들에 대한 GS(stomach cancer cell line) 위암 세포의 생장억제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적용예 1 내지 적용예 4에서의 타블렛 믹스 및 타블렛을 나타낸 사진이다(도 4의 사진 왼쪽은 적용예 1의 타블렛 믹스 및 타블렛, 도 4의 사진 중간은 적용예 2의 타블렛 믹스 및 타블렛, 도 4의 사진 왼쪽은 적용예 3의 타블렛 믹스 및 타블렛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서 양파껍질로부터 얻은 쿼세틴 추출액(도 5에서 양파추출액 표시), 적용예 1의 타블렛을 물 100ml에 용해시켜 얻은 용액(도 5에서 "1차" 표시), 적용예 2의 타블렛을 물 100ml에 용해시켜 얻은 용액(도 5에서 "2차" 표시), 적용예 3의 타블렛을 물 100ml에 용해시켜 얻은 용액(도 5에서 "3차" 표시), 대조군(캡토프릴(captopril)) 0.5㎎을 물 100ml에 용해시켜 얻은 용액, 대조군(캡토프릴(captopril)) 1㎎을 물 100ml에 용해시켜 얻은 용액, 대조군(캡토프릴(captopril)) 5㎎을 물 100ml에 용해시켜 얻은 용액, 대조군(캡토프릴(captopril)) 10㎎을 물 100ml에 용해시켜 얻은 용액, 대조군(캡토프릴(captopril)) 50㎎을 물 100ml에 용해시켜 얻은 용액에 대한 ACE 저해율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양파로부터 쿼세틴 추출액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1)양파껍질 분말을 주정에 첨가하고 추출하여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과 잔사를 얻는 단계; (2)상기의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을 취한 후 주정을 제거한 다음 초산에틸 및 물을 동일한 부피비로 혼합한 혼합용매를 첨가하고 정치시키는 단계; (3)상기 (2)단계에서 정치가 끝난 후 상등액의 초산에틸층을 회수하여 용매를 증발시킨 후 주정으로 용해시켜 주정 용해액을 얻는 단계; 및 (4)상기 (2)단계에서 정치가 끝난 후 중간액 및 하층액의 물층을 회수하여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얻고 이 침전물을 주정으로 용해시켜 얻은 침전물 주정 용해액을 상기 (3)단계에서 얻은 주정 용해액에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파로부터 쿼세틴 추출액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각각의 단계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1)양파껍질 주정 추출액을 얻은 단계
양파껍질을 주정으로 추출하여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과 잔사를 얻고, 상기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으로부터 쿼세틴을 분리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양파껍질은 양파의 겉으로부터 3겹까지의 양파껍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양파껍질은 양파의 겉으로부터 3겹까지의 양파껍질을 수세 및 건조 후 분쇄한 양파껍질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양파껍질은 양파의 겉으로부터 3겹까지의 양파껍질을 수세 및 건조 후 분쇄하여 입자크기가 30?100메쉬(mesh)인 양파껍질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양파껍질은 양파의 겉으로부터 3겹까지의 양파껍질을 수세한 후 동결건조기에 넣고 응축온도 -55℃?-45℃, 압력 8?12mTorr의 조건으로 24?72시간 동안 동결 건조하여 얻은 후 분쇄하여 입자크기가 30?100메쉬(mesh)인 양파껍질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양파껍질은 양파의 겉으로부터 3겹까지의 양파껍질을 수세한 후 동결건조기에 넣고 응축온도 -50℃, 압력 10mTorr의 조건으로 48시간 동안 동결 건조하여 얻은 후 분쇄하여 입자크기가 30?100메쉬(mesh)인 양파껍질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은 양파의 겉으로부터 3겹까지 채취하고 수세, 건조 및 분쇄하여 입자크기가 30?100메쉬(mesh)인 양파껍질 분말을 양파껍질 분말 중량 대비 8?12배량이며 농도가 90?99.99%인 주정에 첨가하고 70?100℃에서 2?4시간 동안 1?3회 반복 추출하여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과 잔사를 얻을 수 있다.
상기의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은 양파의 겉으로부터 3겹까지 채취하고 수세, 건조 및 분쇄하여 입자크기가 30?100메쉬(mesh)인 양파껍질 분말 1kg 및 농도가 95%인 주정 10리터(ℓ)를 환류추출장치에 넣고 100℃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을 2회 반복 추출하여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과 잔사를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을 얻은 후 남은 잔사를 상기의 최초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을 얻을 수 있는 추출조건으로 추출하여 2차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 및 2차 잔사를 얻고, 이 2차 양파껍질 추출액을 상기의 최초 얻은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에 첨가하여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을 얻을 수 있다. 이처럼 잔사를 이용하여 얻은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을 계속적으로 얻고 이를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에 첨가할 수 있다.
(2)양파껍질 주정 추출액으로부터 초산에틸층 및 물층을 얻는 단계
상기 (1)단계에서 얻은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을 취한 후 회전증발농축기를 이용하여 주정을 제거한 다음 초산에틸 및 물을 동일한 부피비로 혼합한 혼합용매를 첨가하고 3?5℃에서 12?24시간 동안 정치시켜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의 초산에틸층 및 물층을 얻을 수 있다.
상기 (1)단계에서 얻은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을 취한 후 회전증발농축기를 이용하여 주정을 제거한 다음 초산에틸 50부피% 및 물 50부피%를 혼합한 혼합용매를 첨가하고 4℃에서 12시간 동안 정치시켜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의 초산에틸층 및 물층을 얻을 수 있다.
(3)양파껍질 초산에틸층의 주정 용해액을 얻은 단계
상기 (2)단계에서 정치가 끝난 후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의 상등액인 초산에틸층을 회수하여 용매를 증발시킨 후 주정으로 용해시켜 주정 용해액을 얻을 수 있다.
상기 (2)단계에서 정치가 끝난 후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의 상등액인 초산에틸층을 회수하고 회전증발농축기를 이용하여 용매인 초산에틸을 증발시킨 후 주정으로 용해시켜 주정 용해액을 얻을 수 있다.
(4)양파껍질 물의 침전물 주정 용해액을 얻은 단계
상기 (2)단계에서 정치가 끝난 후 중간액 및 하층액의 물층을 회수하여 7500ㅧg?8500ㅧg로 10?30분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얻고 이 침전물을 주정으로 용해시켜 얻은 침전물 주정 용해액을 얻을 수 있다.
상기 (2)단계에서 정치가 끝난 후 중간액 및 하층액의 물층을 회수하여 8000ㅧg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얻고 이 침전물을 주정으로 용해시켜 얻은 침전물 주정 용해액을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얻은 침전물 주정 용해액은 상기 (3)단계에서 얻은 주정 용해액에 혼합하여 양파로부터 쿼세틴 추출액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파로부터 쿼세틴 추출액의 제조방법에 대해 다양한 조건으로 실시한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조건에 의해 양파로부터 쿼세틴 추출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양파로부터 쿼세틴 추출액의 제조방법에 의해 얻은 쿼세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1)단계 내지 (4)단계의 공정을 포함하는 양파로부터 쿼세틴 추출액의 제조방법에 의해 얻은 쿼세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양파로부터 쿼세틴 추출액의 제조방법에 의해 얻은 쿼세틴 추출액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양파로부터 쿼세틴 추출액의 제조방법에 의해 얻은 쿼세틴 추출액을 분말화한 쿼세틴 분말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나타낸다.
상기의 쿼세틴 추출액을 분말화한 쿼세틴 분말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은 타블렛(tablet), 환(丸), 캡슐제(capsul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양파로부터 쿼세틴 추출액의 제조방법에 의해 얻은 쿼세틴 추출액을 포함하는 의약품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양파로부터 쿼세틴 추출액의 제조방법에 의해 얻은 쿼세틴 추출액을 분말화한 쿼세틴 분말을 포함하는 의약품을 나타낸다.
상기의 쿼세틴 추출액을 분말화한 쿼세틴 분말을 포함하는 의약품은 타블렛(tablet), 환(丸), 캡슐제(capsul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의 쿼세틴 추출액을 분말화한 쿼세틴 분말을 포함하며 타블렛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은 타블렛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에서 언급한 (1)단계 내지 (4)단계의 공정을 통해 양파껍질 분말을 재료로 하여 얻은 주정 용해액에서 주정을 제거 후 분말화하여 얻은 양파 쿼세틴 분말을 포함하도록 하여 쿼세틴 추출액을 분말화한 쿼세틴 분말을 포함하며 타블렛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의 쿼세틴 추출액을 분말화한 쿼세틴 분말을 포함하며 타블렛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은 타블렛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에서 언급한 (1)단계 내지 (4)단계의 공정을 통해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의 상등액인 초산에틸층을 회수하여 초산에틸을 제거시킨 후 주정으로 용해시켜 얻은 주정 용해액 및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의 중간액 및 하층액의 물층을 회수하고 원심분리 후 얻은 침전물을 주정으로 용해시켜 얻은 침전물 주정 용해액을 혼합한 주정 용해액인 양파 쿼세틴 추출액에서 주정을 제거 후 분말화하여 얻은 양파 쿼세틴 분말을 포함하도록 하여 쿼세틴 추출액을 분말화한 쿼세틴 분말을 포함하며 타블렛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1)단계 내지 (4)단계의 공정을 통해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의 상등액인 초산에틸층을 회수하여 초산에틸을 제거시킨 후 주정으로 용해시켜 얻은 주정 용해액 및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의 중간액 및 하층액의 물층을 회수하고 원심분리 후 얻은 침전물을 주정으로 용해시켜 얻은 침전물 주정 용해액을 혼합한 주정 용해액에서 주정을 제거 후 분말화하여 얻은 양파 쿼세틴 분말은 하기의 (가)공정 및/또는 (다)공정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가)공정:분무 건조
상기에서 언급한 (1)단계 내지 (4)단계의 공정을 통해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의 상등액인 초산에틸층을 회수하여 초산에틸을 제거시킨 후 주정으로 용해시켜 얻은 주정 용해액 및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의 중간액 및 하층액의 물층을 회수하고 원심분리 후 얻은 침전물을 주정으로 용해시켜 얻은 침전물 주정 용해액을 혼합한 혼합 주정 용해액인 양파 쿼세틴 추출액에서 주정을 제거 후 물을 첨가하고 분무건조하여 양파 쿼세틴 분말을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1)단계 내지 (4)단계의 공정을 통해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의 상등액인 초산에틸층을 회수하여 초산에틸을 제거시킨 후 주정으로 용해시켜 얻은 주정 용해액 및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의 중간액 및 하층액의 물층을 회수하고 원심분리 후 얻은 침전물을 주정으로 용해시켜 얻은 침전물 주정 용해액을 혼합한 혼합 주정 용해액에서 주정을 제거 후 물을 첨가하고 분무건조하여 양파 쿼세틴 분말을 얻을 수 있으며, 이때 혼합 주정 용해액에서 주정을 제거한 것에 물을 혼합 주정 용해액인 양파 쿼세틴 추출액에서 주정을 제거한 것의 3?10배의 부피, 바람직하게는 5?7배의 부피가 되도록 첨가할 수 있다.
(나)덱스트린(dextrin) 첨가 후 건조
상기에서 언급한 (1)단계 내지 (4)단계의 공정을 통해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의 상등액인 초산에틸층을 회수하여 초산에틸을 제거시킨 후 주정으로 용해시켜 얻은 주정 용해액 및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의 중간액 및 하층액의 물층을 회수하고 원심분리 후 얻은 침전물을 주정으로 용해시켜 얻은 침전물 주정 용해액을 혼합한 혼합 주정 용해액인 양파 쿼세틴 추출액에서 주정을 제거 후 덱스트린을 첨가하고 혼합한 다음 건조하여 양파 쿼세틴 분말을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1)단계 내지 (4)단계의 공정을 통해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의 상등액인 초산에틸층을 회수하여 초산에틸을 제거시킨 후 주정으로 용해시켜 얻은 주정 용해액 및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의 중간액 및 하층액의 물층을 회수하고 원심분리 후 얻은 침전물을 주정으로 용해시켜 얻은 침전물 주정 용해액을 혼합한 혼합 주정 용해액인 양파 쿼세틴 추출액에서 주정을 제거 후 덱스트린을 첨가하고 혼합한 다음 건조하여 양파 쿼세틴 분말을 얻을 수 있으며, 이때 혼합 주정 용해액인 양파 쿼세틴 추출액에서 주정을 제거한 것에 덱스트린을 2?4:1의 부피비, 바람직하게는 2:1의 부피비가 되도록 첨가하고 혼합한 후에 60?80℃에서 24?36시간 동안 건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 덱스트린 대신에 말토덱스트린(maltodextrin)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이산화규소(SiO2) 첨가 후 건조
상기에서 언급한 (1)단계 내지 (4)단계의 공정을 통해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의 상등액인 초산에틸층을 회수하여 초산에틸을 제거시킨 후 주정으로 용해시켜 얻은 주정 용해액 및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의 중간액 및 하층액의 물층을 회수하고 원심분리 후 얻은 침전물을 주정으로 용해시켜 얻은 침전물 주정 용해액을 혼합한 혼합 주정 용해액인 양파 쿼세틴 추출액에서 주정을 제거 후 이산화규소를 첨가하고 혼합한 다음 건조하여 양파 쿼세틴 분말을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1)단계 내지 (4)단계의 공정을 통해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의 상등액인 초산에틸층을 회수하여 초산에틸을 제거시킨 후 주정으로 용해시켜 얻은 주정 용해액 및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의 중간액 및 하층액의 물층을 회수하고 원심분리 후 얻은 침전물을 주정으로 용해시켜 얻은 침전물 주정 용해액을 혼합한 혼합 주정 용해액인 양파 쿼세틴 추출액에서 주정을 제거 후 이산화규소를 첨가하고 혼합한 다음 건조하여 양파 쿼세틴 분말을 얻을 수 있으며, 이때 혼합 주정 용해액인 양파 쿼세틴 추출액에서 주정을 제거한 것에 이산화규소의 첨가는 혼합 주정 용해액에서 주정을 제거한 것 부피 대비 30?50%, 바람직하게는 부피 대비 50%를 첨가하고 혼합한 후에 60?80℃에서 6?12시간 동안 건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양파로부터 분리한 쿼세틴인 양파 쿼세틴을 함유하는 타블렛 제형의 건강기능식품 제조시 타블렛의 활성 성분으로 상기의 (다)공정에 의해 얻은 양파 쿼세틴 분말은 양파 쿼세틴을 함유하는 타블렛 전체 중량 대비 2% 이하, 바람직하게는 양파 쿼세틴을 함유하는 타블렛 전체 중량 대비 0.1?2%가 되도록 첨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양파로부터 분리한 쿼세틴인 양파 쿼세틴을 함유하는 타블렛 제형의 건강기능식품 제조시 타블렛의 활성 성분으로 상기의 (가)공정 및/또는 (나)공정에 의해 얻은 양파 쿼세틴 분말은 양파 쿼세틴을 함유하는 타블렛 전체 중량 대비 1?30%가 되도록 첨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양파로부터 분리한 쿼세틴인 양파 쿼세틴을 함유하는 타블렛 제형의 건강기능식품 제조시 타블렛의 활성 성분으로 상기의 양파 쿼세틴 분말 이외에 종래 타블렛 제조시 사용하는 각종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첨가제는 부형제(賦形劑), 결합제, 붕해제(崩解劑), 활택제(滑澤劑), 당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적의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첨가제는 양파 쿼세틴 분말을 함유하는 타블렛 전체 중량 대비 20?99%가 되도록 첨가할 수 있다.
상기의 첨가제 중에서 부형제는 유당, 프로필렌그릴콜,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마그네슘, 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무수인산수소칼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첨가제 중에서 결합제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ydroxypropylcellulose, HPC),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PVP),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CMC Na), 메틸셀룰로소스(MC),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methylcellulose, HPMC), 전분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첨가제 중에서 붕해제는 정제를 섭취 후 타블렛에 함유된 성분들이 붕해되어 타블렛의 활성성분이 방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에서 이러한 붕해제의 일예로서 크로스포비돈, 전분글리콘산나트륨, 호화전분, 옥수수전분,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 및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첨가제 중에서 활택제는 타블렛에 유동성을 부여하여 타블렛 제조시 타블렛이 틀에서 용이하게 떨어져 나오게 하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에서 이러한 정제의 일예로서 스테아린산마그네슘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양파로부터 분리한 쿼세틴을 함유하는 타블렛의 제조시 타블렛의 활성 성분으로 상기의 양파 쿼세틴 분말 이외에 양파 쿼세틴을 함유하는 타블렛의 관능성 향상을 위해 부재료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에서 부재료는 양파 쿼세틴을 함유하는 타블렛 전체 중량 대비 1?40%가 되도록 첨가할 수 있다.
상기의 부재료는 솔비톨(sorbitol), 자일리톨(xylitol), 만니톨(mannitol), 만티톨(mantitol), 람니톨(rhamnitol), 이노시톨(Inositol), 에리스리톨(Erythritol), 파라티노스(paratinose), 쿠에르시톨(quercitol)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당알코올, 비타민 C, 구연산, 사과산, 주석산, 구연산나트륨, 오렌지분말, 사과분말, 레몬분말, 유자분말, 감귤분말, 배분말, 딸기분말, 키위분말, 바나나분말, 수박분말, 참외분말, 메론분말, 포도분말, 복숭아분말, 살구분말, 자두분말, 파인애플분말, 망고분말, 오렌지향, 사과향, 레몬향, 유자향, 감귤향, 배향, 딸기향, 키위향, 바나나향, 수박향, 참외향, 메론향, 포도향, 복숭아향, 살구향, 자두향, 파인애플향, 망고향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양파로부터 분리한 쿼세틴을 함유하는 타블렛 제형의 건강기능식품 제조시 타블렛의 활성 성분으로 상기의 양파 쿼세틴 분말 이외에 양파 쿼세틴을 함유하는 타블렛의 관능성 향상을 위해 기능성 성분을 추가로 더 첨가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양파 쿼세틴을 함유하는 타블렛 전체 중량 대비 0.5?10%가 되도록 첨가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노니(noni)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민들레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포피란(porphyran)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헤미셀룰로오즈(hemicellulose)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입자크기가 50?100메쉬인 분말 제형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능성 성분은 노니(noni) 분말, 민들레 분말, 포피란(porphyran) 분말, 헤미셀룰로오즈(hemicellulose) 분말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이 동일한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파로부터 분리한 쿼세틴을 함유하는 타블렛 제형의 건강기능식품 제조방법에 대해 다양한 조건으로 실시한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조건에 의해 양파로부터 분리한 쿼세틴을 함유하는 타블렛 제형의 거강기능식품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환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은 상기의 타블렛 제형의 건강기능식품 제조시 타정기를 이용하여 타블렛으로 제조하는 것 대신에 상기의 (가)공정 내지 (다)공정에 의해 양파로부터 얻은 쿼세틴 분말과 첨가제, 부재료, 기능성 성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제환기로 이용하여 제환하여 환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캡슐제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은 상기의 타블렛 제형의 건강기능식품 제조시 타정기를 이용하여 타블렛으로 제조하는 것 대신에 캡슐제에 상기의 (가)공정 내지 (다)공정에 의해 양파로부터 얻은 쿼세틴 분말과 첨가제, 부재료, 기능성 성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충진하여 캡슐제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쿼세틴 추출액을 분말화한 쿼세틴 분말을 포함하는 의약품은 상기에서 언급한 타블렛(tablet), 환(丸), 캡슐제(capsul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의 건강기능식품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시험예 및 적용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양파의 겉으로부터 3겹까지 채취하고 수세, 건조 및 분쇄하여 입자크기가 75±1메쉬(mesh)인 양파껍질 분말 1kg 및 농도가 95%인 주정 10리터(ℓ)를 환류추출장치에 넣고 100℃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을 2회 반복 추출하여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과 잔사를 얻었다.
(2)상기의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을 취한 후 회전증발농축기를 이용하여 주정을 제거한 다음 초산에틸 50부피% 및 물 50부피%로 혼합한 혼합용매를 첨가하고 4℃에서 24시간 동안 정치시켰다.
(3)상기 (2)단계에서 정치가 끝난 후 상등액의 초산에틸층을 회수하고 회전증발농축기를 이용하여 초산에틸을 증발시킨 후 주정으로 용해시켜 주정 용해액을 얻었다.
(4)상기 (2)단계에서 정치가 끝난 후 중간액 및 하층액의 물층을 회수하고 원심분리(8000×g로 20분, 4℃)하여 침전물을 얻고 이 침전물을 주정으로 용해시켜 침전물 주정 용해액을 얻은 다음 이를 상기 (3)단계에서 얻은 주정 용해액에 혼합하여 양파껍질로부터 쿼세틴 추출액을 얻어 양파로부터 쿼세틴을 분리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쿼세틴 추출액 및 쿼세틴 표준물질(Sigma. co.)을 TLC(Plate liquid chromatography)로 확인하고 이를 도 1에 나타내었다.
Whatman K5 TLC plate(silica gel 60 F254 TLC plate(Merck Co.)에 전개 용매 ethyl acetate/acetic acid/water(3:1:1, v/v/v)에서 2번 전개하였다. 발색은 0.3%(w/v) N-(1-naphthyl)-ethylenediamine + 5%(v/v) H2SO4 함유 메탄올에 담근 후 121℃ 오븐(oven)에서 10분간 구워서 확인하거나 황산발색 또는 UV 245nm에 조사해 확인후 각 spot을 Densitometer(NIH program)을 이용 밀도를 표준곡선에 맞춰 정량하였다.
도 1에서 상층의 표시는 실시예 1의 에서 분리한 양파껍질로부터 단계별로 얻어진 쿼세틴 추출액의 TLC 결과이며, 쿼세틴 0.5mM, 1mM, 2.5mM 5mM, 7.5mM, 10mM은 쿼세틴 표준물질(Sigma. co.)을 0.5mM, 1mM, 2.5mM 5mM, 7.5mM, 10mM 농도별 TLC 결과이다.
한편 실시예 1에서 양파껍질로부터 얻은 쿼세틴 추출액에서의 쿼세틴 순도 확인은 HPLC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이를 도 2에 나타내었다.
HPLC 조건은 U-bondapakTM(C18)(7.8×300mm)을 이용하였으며 A용매는 water with 1% formic acid, B용매는 methanol with 1% formic acid으로 하고, B 용매가 40분간 100% 될 때까지 gradient로 0.8mL/min 유속, DAD 245nm에서 분리하고 정량 분석하였다.
상기 도 1 및 도 2의 결과로부터 상기 실시예 1의 양파껍질로부터 얻은 쿼세틴 추출액으로부터 양파에서 쿼세틴을 분리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쿼세틴 추출액을 실험군으로 하고, 양파속, 양파껍질 및 쿼세틴 표준물질(Sigma. co.)을 각각 대조군으로 하여, 실험군 및 대조군들에 대한 총 페놀 화합물 함량, 항산화 (Electron donating ability) 효과, 아질산염 소거능(nitrite sacvenging ability), 지질산패억제효과(lipid-peroxidation inhibition effect) 등의 특성을 아래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1) 총 페놀 화합물 함량
총 phenol 함량은 Folin-Denis법에 따라 비색 정량하였다.
즉, 실시예 1에서 얻은 쿼세틴 추출액을 50배로 희석한 후 쿼세틴 추출액 1mL, 양파속 대조군 1mL, 양파껍질 대조군 1mL 및 쿼세틴 표준물질(Sigma. co.) 1mL를 각각 Folin-Ciocalteu 시약(Sigma, St, Louis, MO, USA)과 10% Na2CO3 용액을 각 1mL씩 차례로 첨가하고 교반한 다음 실온(25℃)에서 1시간 정치한 후 spectrophotometer(Biochrom, Cambridge, UK)를 이용하여 7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 갈릭산(gallic aicd)을 0㎍/mL, 25㎍/mL, 50㎍/mL, 100㎍/mL, 200㎍/mL의 농도로 표준곡선을 조제하여 얻는 표준검량곡선으로부터 총 페놀 화합물(total phenol compound) 함량을 산출하였다.
상기에서 양파속 대조군은 양파속 1kg을 물 10kg에 넣고 100℃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하여 얻은 추출액이고, 양파껍질 대조군은 양파껍질 1kg을 물 10kg에 넣고 100℃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하여 얻은 추출액이고, 쿼세틴 표준물질(Sigma. co.)은 농도가 1mM인 것을 사용하였다.
2) 항산화 (Electron donating ability) 효과
항산화 효능은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을 이용하여 라디칼 소거능(radical scavenging effect)을 측정하였다. 96-well plate에 100ㅅM DPPH 에탄올 용액에 실시예 1에서 얻은 쿼세틴 추출액 1mL, 양파속 대조군 1mL, 양파껍질 대조군 1mL 및 쿼세틴 표준물질(Sigma. co.) 1mL를 각각 첨가하고 37℃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VERSAmax, microplate reader(Molecular Devices, USA)를 이용하여 51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항산화 효능은 Vit C농도별(0mM, 0.1mM, 0.5mM, 1mM, 5mM, 10mM, 20mM)을 조사하여 기준으로 하였다.
상기에서 양파속 대조군은 양파속 1kg을 물 10kg에 넣고 100℃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하여 얻은 추출액이고, 양파껍질 대조군은 양파껍질 1kg을 물 10kg에 넣고 100℃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하여 얻은 추출액이고, 쿼세틴 표준물질(Sigma. co.)은 농도가 1mM인 것을 사용하였다.
3) 아질산염 소거능(nitrite sacvenging ability) 측정
아질산염 소거능(nitrite sacvenging ability)은 10mM sodium nitroprusside 수용액 2mL에 0.01M phosphate buffer(pH 7.4)0.5mL와 실시예 1에서 얻은 쿼세틴 추출액 0.5mL, 양파속 대조군 0.5mL, 양파껍질 대조군 0.5mL 및 쿼세틴 표준물질(Sigma. co.) 0.5mL를 시료로 하여 각각 첨가하고 25℃에서 100분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을 1mL 취해 sulfanilic acid(0.33% in 20% acetic acid) 1mL와 혼합한 후 5분간 방치한 다음 여기에 0.1% (w/v)naphthylethylene-diamine dihydrochloride 용액(in 20% acetic acid) 1mL를 첨가하여 30분간 방치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에서 양파속 대조군은 양파속 1kg을 물 10kg에 넣고 100℃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하여 얻은 추출액이고, 양파껍질 대조군은 양파껍질 1kg을 물 10kg에 넣고 100℃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하여 얻은 추출액이고, 쿼세틴 표준물질(Sigma. co.)은 농도가 1mM인 것을 사용하였다.
4) 지질산패억제(Anti-lipid peroxidation) 효과
지질산패억제 효과는 chemiluminescence를 이용하는 항산화 측정 장치인 HP-CLA(Tohoku, Japan)와 ABCD GmbH(berlin, Germany)로부터 luminol+free radical이 들어있는 ARA-L kit(입수처:berlin, Germany)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에서 얻은 쿼세틴 추출액 1mL, 양파속 대조군 1mL, 양파껍질 대조군 1mL 및 쿼세틴 표준물질(Sigma. co.) 1mL를 시료로 하여 각 시료의 항지질산화력이 소모될때까지 앰플안에 있는 luminol+free radical이 반응하여 photons 생성을 지연시킨다. 이때 생성된 그래프의 lag time(초)이 시료의 항산화력을 결정하였다. 항산화력 표준곡선을 얻기 위해 항지질산패 효능은 Trolox 농도별(0uM, 1uM, 10uM, 20uM, 30uM, 40uM)을 기준해 3회 반복 실험하여 데이터를 구하였다.
상기에서 양파속 대조군은 양파속 1kg을 물 10kg에 넣고 100℃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하여 얻은 추출액이고, 양파껍질 대조군은 양파껍질 1kg을 물 10kg에 넣고 100℃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하여 얻은 추출액이고, 쿼세틴 표준물질(Sigma. co.)은 농도가 1mM인 것을 사용하였다.
쿼세틴과 쿼세틴 함유 양파 추출물의 기능성 조사 결과
항목 항산화 효과
(%)
아질산소거능
(%)
지질산패억제 효과
Trolox equ. [mM]
총 페놀 화합물 함량
[mg/100g]
쿼세틴 표준물질 82.1±1.24 90.17±6.8 23.95±1.7 -
양파속 5.71±0.25 23.41±0.07 5.9±0.82 891±25
양파껍질 64.8±5.04 75.51±1.13 18.07±1.23 1630±103
실시예 1 쿼세틴 추출액 76.7±5.24 69.00±2.3 22.81±1.9 1121±93
상기 표 1의 결과에처럼 본 발명에 의해 양파로부터 얻은 쿼세틴 추출액은 항산화 효과, 지질산패억제 효과가 쿼세틴 표준물질 다음으로 우수하였으며, 총 페놀 화합물 함량 또한 우수하여 기능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위암세포 생장 억제 효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쿼세틴 추출액을 실험군으로 하고, 양파속, 양파껍질 및 쿼세틴 표준물질(Sigma. co.)을 각각 대조군으로 하여, 실험군 및 대조군들에 대한 GS(stomach cancer cell line) 위암 세포의 생장억제율을 아래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AGS(human gastric adenocarcinoma) 위암 세포의 생장억제율은 MTT[3-(4,5-dimethylthiazol -2-yl)-2,5-diphenyl-tetrazolimbromide]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96well plate에 100㎕ 당 1.0×104개 인체위암세포 AGS 세포(human gastric adenocarcinoma)를 한국세포주 은행(Korean Cell Line Bank)에서 분양받아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실험군 및 대조군을 각각 20?10000㎍/mL 농도별로 24시간 각각 처리하였다. Phosphate buffered saline(PBS)로 세척한 후 MTT 시약 1㎎/ml 농도로 3시간 처리한 후 DMSO(Dimethyl sulfoxide)에 녹여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3에서처럼 AGS 위암세포를 이용한 MTT assays를 통해 위암세포 생장억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시료를 200㎍/mL 처리시, 양파껍질 대조군의 위암세포 억제효과(30% 억제)에 비해 실시예 1에서 양파로부터 얻은 쿼세틴 추출액 실험군의 위암세포 억제효과(70?78% 억제)는 약 2.5배 증가된 위암세포 억제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에서 양파속 대조군은 양파속 1kg을 물 10kg에 넣고 100℃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하여 얻은 추출액이고, 양파껍질 대조군은 양파껍질 1kg을 물 10kg에 넣고 100℃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하여 얻은 추출액이고, 쿼세틴 표준물질(Sigma. co.)은 농도가 1mM인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1)양파의 겉으로부터 3겹까지 채취하고 수세, 건조 및 분쇄하여 입자크기가 75±1메쉬(mesh)인 양파껍질 분말 1kg 및 농도가 95%인 주정 10리터(ℓ)를 환류추출장치에 넣고 100℃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을 2회 반복 추출하여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과 잔사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과 잔사를 분리하고 분리된 잔사를 농도가 95%인 주정 10리터(ℓ)를 환류추출장치에 넣고 100℃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을 2회 반복 추출하여 2차로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과 잔사를 얻고, 2차로 얻은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을 상기에서 기 분리하여 놓은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에 첨가하고 혼합하여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을 얻었다.
(2)상기 (1)단계에서 얻은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을 취한 후 회전증발농축기를 이용하여 주정을 제거한 다음 초산에틸 50부피% 및 물 50부피%로 혼합한 혼합용매를 첨가하고 4℃에서 24시간 동안 정치시켰다.
(3)상기 (2)단계에서 정치가 끝난 후 상등액의 초산에틸층을 회수하고 회전증발농축기를 이용하여 초산에틸을 증발시킨 후 주정으로 용해시켜 주정 용해액을 얻었다.
(4)상기 (2)단계에서 정치가 끝난 후 중간액 및 하층액의 물층을 회수하고 원심분리(8000ㅧg로 20분, 4℃)하여 침전물을 얻고 이 침전물을 주정으로 용해시켜 침전물 주정 용해액을 얻고, 이를 그런 다음 상기 (3)단계에서 얻은 주정 용해액에 혼합하여 양파껍질로부터 쿼세틴 추출액을 얻어 양파로부터 쿼세틴을 분리하였다.
<적용예 1> 쿼세틴 분말 함유 타블렛 제조
쿼세틴 분말 3중량%, 비타민 C 1중량%, 구연산 1중량%, 유당 94.9중량%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 0.1중량%를 혼합하여 타블렛 믹스를 얻은 후 이를 타정기로 타정하여 400mg의 원형 타블렛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쿼세틴 분말은 상기 실시예 1의 (1)단계 내지 (4)단계를 통해 얻은 양파껍질로부터 얻은 쿼세틴 추출액인 주정 용해액에서 회전증발농축기를 이용하여 주정을 제거한 다음 덱스트린과 2:1의 부피비(v/v)로 혼합하고 70℃ 오븐에서 30시간 건조하여 얻은 쿼세틴 분말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타블렛의 사진을 도 4의 사진 왼쪽 하단에 나타내었으며, 도 4의 사진 왼쪽 상단은 쿼세틴 분말, 비타민 C, 구연산, 유당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이 혼합된 타블렛 믹스를 나타낸 사진이다.
<적용예 2> 쿼세틴 분말 함유 타블렛 제조
쿼세틴 분말 20중량%, 비타민 C 3중량%, 구연산 3중량%, 자일리톨 20중량%, 오렌지향 2중량%, 유당 51.9중량%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 0.1중량%를 혼합하여 타블렛 믹스를 얻은 후 이를 타정기로 타정하여 400mg의 원형 타블렛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쿼세틴 분말은 상기 실시예 1의 (1)단계 내지 (4)단계를 통해 얻은 양파껍질로부터 얻은 쿼세틴 추출액인 주정 용해액에서 회전증발농축기를 이용하여 주정을 제거한 다음 덱스트린과 2:1의 부피비(v/v)로 혼합하고 70℃ 오븐에서 30시간 건조하여 얻은 쿼세틴 분말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타블렛의 사진을 도 4의 사진 중간 하단에 나타내었으며, 도 4의 사진 중간 상단은 쿼세틴 분말, 비타민 C, 구연산, 자일리톨, 오렌지향 유당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이 혼합된 타블렛 믹스를 나타낸 사진이다.
<적용예 3> 쿼세틴 분말 함유 타블렛 제조
쿼세틴 분말 30중량%, 비타민 C 4.1중량%, 구연산 7중량%, 자일리톨 20중량%, 오렌지향 0.2중량%, 유당 38.6중량%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 0.1중량%를 혼합하여 타블렛 믹스를 얻은 후 이를 타정기로 타정하여 400mg의 원형 타블렛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쿼세틴 분말은 상기 실시예 1의 (1)단계 내지 (4)단계를 통해 얻은 양파껍질로부터 얻은 쿼세틴 추출액인 주정 용해액에서 회전증발농축기를 이용하여 주정을 제거한 다음 덱스트린과 2:1의 부피비(v/v)로 혼합하고 70℃ 오븐에서 30시간 건조하여 얻은 쿼세틴 분말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타블렛의 사진을 도 4의 사진 오른쪽 하단에 나타내었으며, 도 4의 사진 오른쪽 상단은 쿼세틴 분말, 비타민 C, 구연산, 자일리톨, 오렌지향 유당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이 혼합된 타블렛 믹스를 나타낸 사진이다.
<시험예 1>
상기 적용예 1 내지 적용예 3에서 제조한 양파 쿼세틴 분말을 포함하는 타블렛에 대하여 경도, 당도, pH, 총산, 색도, 항산화 등의 품질 및 효능 평가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적용예 1 내지 적용예 3에서 제조한 양파 쿼세틴 분말을 포함하는 타블렛의 물리성은 Texture Analyser을 이용 TPA 방법으로 경도를 분석하였고, 색도는 Colorimeter를 이용하여 분석시료 표면 중의 Lab값을 측정하였으며, pH 및 총산은 각각의 타블렛 시료 10g에 20ml 증류수를 첨가하여 균질화 후 여과한 여액을 이용하여 pH는 pH meter로 측정하였으며, 총산은 각각의 타블렛 시료 1g 취해 증류수 10mL에 현탁시킨 후 페놀프탈레인을 두방울을 첨가한 다음 0.1N NaOH를 첨가시 적색을 나타내는 시점의 소비된 NaOH 양으로 총산을 계산하였고, 당도는 시료 10g에 20ml 증류수를 첨가 후 균질화하여 여과 한 여액을 brix 당도계로 측정하였다.
양파 쿼세틴 함유 타블렛의 품질 및 효능 평가
타블렛 경도
(g)
당도
brix
pH 총산
(%)
색도 항산화
(%)
L a b 항산화
(%)
적용예 1 타블렛 36126 6.13 4.03 1.58 83.35 -0.14 11.29 44.65
적용예 2 타블렛 33637 6.97 3.59 3.46 69.69 -0.59 42.93 92.90
적용예 3 타블렛 23507 4.83 2.94 2.97 70.75 0.21 49.14 94.40
<시험예 2>
상기 적용예 1 내지 적용예 3에서 제조한 양파 쿼세틴 분말을 포함하는 타블렛에 대하여 색, 향, 맛, 모양, 경도 및 전체기호도 등의 관능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3에 나타내었다.
상기 적용예 1 내지 적용예 3에서 제조한 양파 쿼세틴 분말을 포함하는 타블렛의 관능검사는 20명의 패널(전남농업기술원 식품연구소, 나이 30대, 여성 15명, 남성 5명)에 의해 외색, 향, 맛, 모양, 경도 및 전체기호도 등의 항목을 7점(1점:아주 나쁘다, 7점:아주 좋다.)까지 점수를 부여해 평가하였다.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을 표시하였고, 각 구룹간에 평균값의 통계적 유의성은 p<0.05수준에서 독립적 T-Test 또는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으로 검정한 후 편차간의 유의성은 Duncan의 다중검정법 (multiple range test)에 의해 검정하였다.
양파 쿼세틴 함유 타블렛의 관능성 평가
타블렛 모양 경도 전체기호도
적용예 1 타블렛 5.13 4.25 3.50 5.38 4.25 3.75
적용예 2 타블렛 5.13 4.50 4.88 5.50 5.25 4.75
적용예 3 타블렛 5.33 4.67 4.00 5.00 5.00 5.17
상기 표 3의 결과에서처럼 쿼세틴 함량이 증가한 타블렛이 대체적으로 관능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ACE(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억제 효과
시료 0.05mL에 Hip-His-Leu(입수처:Sigma, USA)을 0.1mL 첨가한 후 37℃에서 5분간 방치한 후 ACE 효소액(sigma-A6778) 0.15mL를 첨가하고 37℃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0.5N HCl 0.25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여기에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 1.5mL를 첨가하여 15초간 섞어준 후 2,800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시켜 상등액 0.5mL를 취하였다. 이 상등액을 오일 배쓰(oil bath) 140℃에서 15분간 건조 후 1M NaCl 3mL을 가하여 용해시킨 후 228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ACE 저해율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상기에서 시료는 실시예 1에서 양파껍질로부터 얻은 쿼세틴 추출액(도 5에서 양파추출액 표시), 적용예 1의 타블렛을 물 100ml에 용해시켜 얻은 용액(도 5에서 "1차" 표시), 적용예 2의 타블렛을 물 100ml에 용해시켜 얻은 용액(도 5에서 "2차" 표시), 적용예 3의 타블렛을 물 100ml에 용해시켜 얻은 용액(도 5에서 "3차" 표시), 대조군 0.5㎎을 물 100ml에 용해시켜 얻은 용액, 대조군 1㎎을 물 100ml에 용해시켜 얻은 용액, 대조군 5㎎을 물 100ml에 용해시켜 얻은 용액, 대조군 10㎎을 물 100ml에 용해시켜 얻은 용액, 대조군 50㎎을 물 100ml에 용해시켜 얻은 용액을 각각 사용하였다.
상기의 시료 중에서 대조군은 캡토프릴(captopril, 보령제약 제품, 고혈압치료제)를 사용하였다.
도 5의 결과에서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양파껍질로부터 얻은 쿼세틴 추출액, 실시예 1에서 양파껍질로부터 얻은 쿼세틴 추출액을 이용하여 얻은 타블렛 모두 ACE 효소 억제 효는을 보였으며, 특히 타블렛의 경우 쿼세틴 추출액의 함량이 많아 실질적으로 쿼세틴 함량이 많은 경우 고열합 억제 효능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적용예 4> 쿼세틴 분말 함유 타블렛 제조
쿼세틴 분말 25중량%, 비타민 C 4중량%, 구연산 7중량%, 자일리톨 15중량%, 오렌지향 0.1중량%, 유당 48.8중량%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 0.1중량%를 혼합하여 타블렛 믹스를 얻은 후 이를 타정기로 타정하여 400mg의 원형 타블렛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쿼세틴 분말은 상기 실시예 1의 (1)단계 내지 (4)단계를 통해 얻은 양파껍질로부터 얻은 쿼세틴 추출액인 주정 용해액에서 회전증발농축기를 이용하여 주정을 제거한 다음 주정을 제거한 용해액에 주정을 제거한 용해액 부피 대비 6배의 물을 첨가하고 혼합한 후 분무 건조하여 얻은 쿼세틴 분말을 사용하였다.
<적용예 5> 쿼세틴 분말 함유 타블렛 제조
쿼세틴 분말 2중량%, 비타민 C 4중량%, 구연산 5중량%, 자일리톨 10중량%, 오렌지향 0.1중량%, 유당 88.8중량%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 0.1중량%를 혼합하여 타블렛 믹스를 얻은 후 이를 타정기로 타정하여 400mg의 원형 타블렛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쿼세틴 분말은 상기 실시예 1의 (1)단계 내지 (4)단계를 통해 얻은 양파껍질로부터 얻은 쿼세틴 추출액인 주정 용해액에서 회전증발농축기를 이용하여 주정을 제거한 다음 주정을 제거한 용해액에 주정을 제거한 용해액 부피 대비 50%의 이산화규소를 첨가하고 70℃의 오븐(oven)에서 9시간 동안 건조하여 얻은 쿼세틴 분말을 사용하였다.
<적용예 6> 쿼세틴 분말 함유 타블렛 제조
쿼세틴 분말 30중량%, 비타민 C 4.1중량%, 구연산 7중량%, 자일리톨 20중량%, 오렌지향 0.2중량%, 노니(noni) 분말 2중량%, 유당 36.6중량%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 0.1중량%를 혼합하여 타블렛 믹스를 얻은 후 이를 타정기로 타정하여 400mg의 원형 타블렛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쿼세틴 분말은 상기 실시예 1의 (1)단계 내지 (4)단계를 통해 얻은 양파껍질로부터 얻은 쿼세틴 추출액인 주정 용해액에서 회전증발농축기를 이용하여 주정을 제거한 다음 덱스트린과 2:1의 부피비(v/v)로 혼합하고 70℃ 오븐에서 30시간 건조하여 얻은 쿼세틴 분말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노니 분말은 노니를 수세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표면의 물기가 없어질 정도로 건조한 다음 분쇄기로 입자크기가 70메쉬(mesh)가 되도록 분쇄한 분말을 사용하였다.
<적용예 7> 쿼세틴 분말 함유 타블렛 제조
쿼세틴 분말 25중량%, 비타민 C 4중량%, 구연산 7중량%, 자일리톨 15중량%, 오렌지향 0.1중량%, 민들레 분말 2중량%, 유당 48.8중량%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 0.1중량%를 혼합하여 타블렛 믹스를 얻은 후 이를 타정기로 타정하여 400mg의 원형 타블렛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쿼세틴 분말은 상기 실시예 1의 (1)단계 내지 (4)단계를 통해 얻은 양파껍질로부터 얻은 쿼세틴 추출액인 주정 용해액에서 회전증발농축기를 이용하여 주정을 제거한 다음 주정을 제거한 용해액에 주정을 제거한 용해액 부피 대비 6배의 물을 첨가하고 혼합한 후 분무 건조하여 얻은 쿼세틴 분말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민들레 분말은 민들레의 잎을 수세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표면의 물기가 없어질 정도로 건조한 다음 분쇄기로 입자크기가 70메쉬(mesh)가 되도록 분쇄한 분말을 사용하였다.
<적용예 8> 쿼세틴 분말 함유 타블렛 제조
쿼세틴 분말 2중량%, 비타민 C 4중량%, 구연산 5중량%, 자일리톨 10중량%, 오렌지향 0.1중량%, 포피란(porphyran) 분말 2중량%, 유당 88.8중량% 및 스테아린산마그네슘 0.1중량%를 혼합하여 타블렛 믹스를 얻은 후 이를 타정기로 타정하여 400mg의 원형 타블렛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쿼세틴 분말은 상기 실시예 1의 (1)단계 내지 (4)단계를 통해 얻은 양파껍질로부터 얻은 쿼세틴 추출액인 주정 용해액에서 회전증발농축기를 이용하여 주정을 제거한 다음 주정을 제거한 용해액에 주정을 제거한 용해액 부피 대비 50%의 이산화규소를 첨가하고 70℃의 오븐(oven)에서 9시간 동안 건조하여 얻은 쿼세틴 분말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포피란 분말은 입자크기가 70메쉬(mesh)인 포피란(porphyran) 분말을 사용하였다.
<적용예 9> 쿼세틴 분말 함유 환(丸) 제조
쿼세틴 분말 25중량%, 비타민 C 4중량%, 구연산 7중량%, 자일리톨 15중량%, 오렌지향 0.1중량% 및 유당 48.9중량%를 혼합한 타블렛 믹스를 제환기에 넣고 제환하여 쿼세틴 분말을 함유하는 환(丸)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쿼세틴 분말은 상기 실시예 1의 (1)단계 내지 (4)단계를 통해 얻은 양파껍질로부터 얻은 쿼세틴 추출액인 주정 용해액에서 회전증발농축기를 이용하여 주정을 제거한 다음 주정을 제거한 용해액에 주정을 제거한 용해액 부피 대비 6배의 물을 첨가하고 혼합한 후 분무 건조하여 얻은 쿼세틴 분말을 사용하였다.
<적용예 10> 쿼세틴 분말 함유 환(丸) 제조
쿼세틴 분말 2중량%, 비타민 C 4중량%, 구연산 5중량%, 자일리톨 10중량%, 오렌지향 0.1중량% 및 유당 88.9중량%를 혼합한 타블렛 믹스를 제환기에 넣고 제환하여 쿼세틴 분말을 함유하는 환(丸)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쿼세틴 분말은 상기 실시예 1의 (1)단계 내지 (4)단계를 통해 얻은 양파껍질로부터 얻은 쿼세틴 추출액인 주정 용해액에서 회전증발농축기를 이용하여 주정을 제거한 다음 주정을 제거한 용해액에 주정을 제거한 용해액 부피 대비 50%의 이산화규소를 첨가하고 70℃의 오븐(oven)에서 9시간 동안 건조하여 얻은 쿼세틴 분말을 사용하였다.
<적용예 11> 쿼세틴 분말 함유 환(丸) 제조
쿼세틴 분말 30중량%, 비타민 C 4.1중량%, 구연산 7중량%, 자일리톨 20중량%, 오렌지향 0.2중량%, 노니(noni) 분말 2중량% 및 유당 36.7중량%를 혼합한 타블렛 믹스를 제환기에 넣고 제환하여 쿼세틴 분말을 함유하는 환(丸)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쿼세틴 분말은 상기 실시예 1의 (1)단계 내지 (4)단계를 통해 얻은 양파껍질로부터 얻은 쿼세틴 추출액인 주정 용해액에서 회전증발농축기를 이용하여 주정을 제거한 다음 덱스트린과 2:1의 부피비(v/v)로 혼합하고 70℃ 오븐에서 30시간 건조하여 얻은 쿼세틴 분말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노니 분말은 노니를 수세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표면의 물기가 없어질 정도로 건조한 다음 분쇄기로 입자크기가 70메쉬(mesh)가 되도록 분쇄한 분말을 사용하였다.
<적용예 12> 쿼세틴 분말 함유 캡슐제(capsule) 제조
쿼세틴 분말 25중량%, 비타민 C 4중량%, 구연산 7중량%, 자일리톨 15중량%, 오렌지향 0.1중량% 및 유당 48.9중량%를 혼합한 타블렛 믹스를 연질 캡슐제에 충진하여 쿼세틴 분말을 함유하는 캡슐제(capsule)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쿼세틴 분말은 상기 실시예 1의 (1)단계 내지 (4)단계를 통해 얻은 양파껍질로부터 얻은 쿼세틴 추출액인 주정 용해액에서 회전증발농축기를 이용하여 주정을 제거한 다음 주정을 제거한 용해액에 주정을 제거한 용해액 부피 대비 6배의 물을 첨가하고 혼합한 후 분무 건조하여 얻은 쿼세틴 분말을 사용하였다.
<적용예 13> 쿼세틴 분말 함유 캡슐제(capsule) 제조
쿼세틴 분말 2중량%, 비타민 C 4중량%, 구연산 5중량%, 자일리톨 10중량%, 오렌지향 0.1중량% 및 유당 88.9중량%를 혼합한 타블렛 믹스를 연질 캡슐제에 충진하여 쿼세틴 분말을 함유하는 캡슐제(capsule)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쿼세틴 분말은 상기 실시예 1의 (1)단계 내지 (4)단계를 통해 얻은 양파껍질로부터 얻은 쿼세틴 추출액인 주정 용해액에서 회전증발농축기를 이용하여 주정을 제거한 다음 주정을 제거한 용해액에 주정을 제거한 용해액 부피 대비 50%의 이산화규소를 첨가하고 70℃의 오븐(oven)에서 9시간 동안 건조하여 얻은 쿼세틴 분말을 사용하였다.
<적용예 14> 쿼세틴 분말 함유 캡슐제(capsule) 제조
쿼세틴 분말 30중량%, 비타민 C 4.1중량%, 구연산 7중량%, 자일리톨 20중량%, 오렌지향 0.2중량%, 노니(noni) 분말 2중량% 및 유당 36.7중량%를 혼합한 타블렛 믹스를 연질 캡슐제에 충진하여 쿼세틴 분말을 함유하는 캡슐제(capsule)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쿼세틴 분말은 상기 실시예 1의 (1)단계 내지 (4)단계를 통해 얻은 양파껍질로부터 얻은 쿼세틴 추출액인 주정 용해액에서 회전증발농축기를 이용하여 주정을 제거한 다음 덱스트린과 2:1의 부피비(v/v)로 혼합하고 70℃ 오븐에서 30시간 건조하여 얻은 쿼세틴 분말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노니 분말은 노니를 수세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표면의 물기가 없어질 정도로 건조한 다음 분쇄기로 입자크기가 70메쉬(mesh)가 되도록 분쇄한 분말을 사용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시험예 및 적용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양파로부터 기능성이 있는 쿼세틴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상기에서 얻은 양파로부터 기능성이 있는 쿼세틴을 이용한 타블렛의 제조방법에 의해 쿼세틴을 포함하는 타블렛을 제공할 수 있어 우수한 기능성을 지닌 쿼세틴을 쉽게 섭취할 수 있어 국민 건강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확 후 양파에서 폐기되어 버려지는 양파껍질로부터 쿼세틴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때문에 종래 합성 또는 약초열매에서 추출하는 쿼세틴에 비해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쿼세틴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폐기되는 양파껍질을 이용하기 때문에 양파 재배 농가 및 양파 재배 지역의 경제적 이익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7)

  1. (1)양파껍질 분말을 주정에 첨가하고 추출하여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과 잔사를 얻는 단계;
    (2)상기의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을 취한 후 주정을 제거한 다음 초산에틸 및 물을 동일한 부피비로 혼합한 혼합용매를 첨가하고 정치시키는 단계;
    (3)상기 (2)단계에서 정치가 끝난 후 상등액의 초산에틸층을 회수하여 용매를 증발시킨 후 주정으로 용해시켜 주정 용해액을 얻는 단계;
    (4)상기 (2)단계에서 정치가 끝난 후 중간액 및 하층액의 물층을 회수하여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얻고 이 침전물을 주정으로 용해시켜 얻은 침전물 주정 용해액을 상기 (3)단계에서 얻은 주정 용해액에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로부터 쿼세틴 추출액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1)양파의 겉으로부터 3겹까지 채취하고 수세, 건조 및 분쇄하여 입자크기가 30?100메쉬(mesh)인 양파껍질 분말을 양파껍질 분말 중량 대비 8?12배량이며 농도가 90?99.99%인 주정에 첨가하고 70?100℃에서 2?4시간 동안 1?3회 반복 환류 추출하여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과 잔사를 얻는 단계;
    (2)상기의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을 취한 후 회전증발농축기를 이용하여 주정을 제거한 다음 초산에틸 및 물을 동일한 부피비로 혼합한 혼합용매를 첨가하고 3?5℃에서 12?24시간 동안 정치시키는 단계;
    (3)상기 (2)단계에서 정치가 끝난 후 상등액의 초산에틸층을 회수하여 용매를 증발시킨 후 주정으로 용해시켜 주정 용해액을 얻는 단계; 및
    (4)상기 (2)단계에서 정치가 끝난 후 중간액 및 하층액의 물층을 회수하여 7500ㅧg?8500ㅧg로 10?30분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얻고 이 침전물을 주정으로 용해시켜 얻은 침전물 주정 용해액을 상기 (3)단계에서 얻은 주정 용해액에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로부터 쿼세틴 추출액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1)단계에서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을 얻은 후 남은 잔사를 (1)단계의 환류 추출조건으로 추출하여 재차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을 얻고, 이 양파껍질 추출액의 상등액을 (2)단계의 양파껍질 주정 추출액의 상등액에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로부터 쿼세틴 추출액의 제조방법.
  4. 청구항 제1항 내지 제3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양파로부터 얻은 쿼세틴 추출액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5. 제4항에 있어서,
    건강기능식품은 청구항 제1항 내지 제3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양파로부터 얻은 쿼세틴 추출액을 분말화한 쿼세틴 분말을 포함하되,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타블렛(tablet), 환(丸), 캡슐제(capsul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6. 청구항 제1항 내지 제3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양파로부터 얻은 쿼세틴 추출액을 포함하는 의약품.
  7. 제6항에 있어서,
    의약품은 청구항 제1항 내지 제3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양파로부터 얻은 쿼세틴 추출액을 분말화한 쿼세틴 분말을 포함하되, 상기 의약품은 타블렛(tablet), 환(丸), 캡슐제(capsule)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KR1020110045729A 2011-05-16 2011-05-16 양파로부터 쿼세틴 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상기 쿼세틴 추출액의 용도 KR101300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729A KR101300667B1 (ko) 2011-05-16 2011-05-16 양파로부터 쿼세틴 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상기 쿼세틴 추출액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729A KR101300667B1 (ko) 2011-05-16 2011-05-16 양파로부터 쿼세틴 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상기 쿼세틴 추출액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933A true KR20120127933A (ko) 2012-11-26
KR101300667B1 KR101300667B1 (ko) 2013-08-28

Family

ID=47512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5729A KR101300667B1 (ko) 2011-05-16 2011-05-16 양파로부터 쿼세틴 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상기 쿼세틴 추출액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06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8165A (ko) * 2015-01-15 2016-07-2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양파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조성물
KR20210064035A (ko) * 2019-11-25 2021-06-02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매운맛이 제거된 양파 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245B1 (ko) 2020-07-02 2023-01-02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양파 외피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노이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항당뇨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957B1 (ko) * 2003-05-20 2007-08-21 주식회사 큐시스 퀘세틴과 비타민 c 함유 항산화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기능성 식품
KR20100096565A (ko) * 2009-02-24 2010-09-0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양파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01189B1 (ko) 2009-09-25 2012-01-03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산화, 혈전용해능을 가지는 양파가공부산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8165A (ko) * 2015-01-15 2016-07-2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양파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조성물
KR20210064035A (ko) * 2019-11-25 2021-06-02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매운맛이 제거된 양파 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0667B1 (ko) 201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278855B2 (en) Composition for increasing bioavailability and promoting absorption of ginsenosides in black ginseng extract
CN105166883B (zh) 滇橄榄含片及其制备方法
KR100919625B1 (ko) 후박 추출물 또는 추출정제물을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및 추출정제물의 제조방법
KR101300667B1 (ko) 양파로부터 쿼세틴 추출액의 제조방법 및 상기 쿼세틴 추출액의 용도
KR20030026939A (ko) 구아바잎을 주성분으로한 당뇨병치료용, 비만개선용,노화방지용차의 효과적인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건강식품
KR101774769B1 (ko) 한방차용 조성물 및 초임계 추출법에 의한 한방차 추출조성물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탄산음료 및 건강음료 제조방법
KR101831981B1 (ko) 상동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778026B2 (ja) 4’−デメチルノビレチン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美白剤および美白用飲食物
KR20130069982A (ko) 산초의 정유를 함유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86035B1 (ko) 인삼 지상부에서 초단파를 이용한 인삼 프로사포게닌 성분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CA2637349C (en)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treating allergy, natural tea using the sam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8007473A (ja) 決明子抽出物
KR20110025357A (ko) 푸라잉 인삼칩 제조방법
JP2021024858A (ja) 血圧降下用組成物
JP2010043035A (ja) サラシア属植物を含有する経口用組成物
KR20130070616A (ko) 상심 또는 지골피 추출물, 또는 이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또는 파킨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80136592A (ko) 동백나무 유래 겨우살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WO2012077976A2 (ko) 엘리오카퍼스 페티오라투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조성물
KR20130043767A (ko) 가공된 파낙스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보호 및 간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192641B1 (ko) 흑삼 추출물 및 흑삼에서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436017B1 (ko) 백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또는 파킨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94650B1 (ko) 강황, 상황 및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혈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기억손상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JP7463058B2 (ja) Ace阻害活性を有する組成物
Chandrasekara et al. Synergies of herbal teas on improved plasma antioxidant capacity and postprandial hypoglycemic response in healthy adults
JP7253372B2 (ja) 血圧降下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