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7310A - 신장측정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신장 데이터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신장측정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신장 데이터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7310A
KR20120127310A KR1020120050296A KR20120050296A KR20120127310A KR 20120127310 A KR20120127310 A KR 20120127310A KR 1020120050296 A KR1020120050296 A KR 1020120050296A KR 20120050296 A KR20120050296 A KR 20120050296A KR 20120127310 A KR20120127310 A KR 20120127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eight
touch
subject
wireless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0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기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스페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스페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스페이스
Priority to KR1020120050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7310A/ko
Publication of KR20120127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73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2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measuring distances on the body, e.g. measuring length, height or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9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using optical or photograph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7/02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persons
    • G01G19/5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persons having additional measuring devices, e.g. for he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18Indicating devices, e.g. for remote indication; Recording devices; Scales, e.g. graduated
    • G01G23/36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 G01G23/37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involving digital counting
    • G01G23/3728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involving digital counting with wireless mea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210/00Aspect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any group under G01B, e.g. of wheel alignment, caliper-like sensors
    • G01B2210/58Wireless transmission of information between a sensor or probe and a control or evaluation uni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신장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터치바와 피측정자의 접촉 신호를 무선 방식으로 신장연산부에 전달할 수 있고, 유선 방식으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생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장측정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신장 데이터 관리 시스템 {HEIGHT MEASURING APPARATUS AND HEIGHT DATA MANAGEMENT SYSTEM F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장측정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신장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의 파손 및 작동 오류를 방지하며, 신장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신장측정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신장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신장측정장치는, 터치바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어 피측정자의 머리에 접촉되고, 터치바와 피측정자의 접촉 신호에 의해서 피측정자의 신장이 검출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신장측정장치가 상기 피측정자의 신장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터치바와 피측정자의 접촉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센서부의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전달부가 필요하다.
한편, 기존의 신장측정장치는 센서부의 신호를 유선 방식으로 제어부에 전달하고 있다. 예를 들면, 유연성 케이블을 이용하여 센서부와 제어부를 신호 전달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센서부는 터치바에 구비되고, 제어부는 터치바 이외의 구성에 구비된다. 그리고, 터치바는 피측정자의 신장을 원활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상기 피측정자의 신장 측정시 센서부와 제어부 사이의 거리는 매우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그 때문에, 유연성 케이블은 충분히 길게 형성되어야만 하며, 유연성 케이블은 피측정자의 신장 측정 과정에서 매우 유동적으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신장측정장치의 장시간 사용시 유연성 케이블이 피로 현상에 의해 파손될 위험이 높으며, 유연성 케이블의 유동 과정에서 유연성 케이블이 주변의 다른 구조물에 간섭되거나 또는 자체적으로 꼬일 가능성도 높다. 그로 인하여, 기존에는 유연성 케이블의 유지 보수 작업을 자주 실시하였다.
한편, 기존의 신장측정장치 중에서는 미관의 향상 및 부품의 보호를 위하여 터치바를 지지하는 기둥부의 내부에 유연성 케이블을 배치하기도 한다. 이 경우에는, 유연성 케이블의 설치 공간 및 유연성 케이블의 유동 가능 공간을 상기 기둥부의 내부에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어렵고, 유연성 케이블의 간섭과 꼬임이 심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고 무선 방식으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신장측정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신장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과 설치가 용이하며, 작동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신장측정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신장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피측정자의 신장 데이터를 간편하게 데이터 베이스화시킬 수 있으며, 피측정자의 신장 데이터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신장측정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신장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중공부가 구비되고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터치바, 상기 터치바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 상기 터치바에 구비되고, 상기 터치바와 피측정자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터치감지부, 상기 터치감지부의 감지값을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신장을 계산하는 신장연산부, 상기 중공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터치감지부의 감지값을 상기 신장연산부에 무선 방식으로 전달하는 무선신호전달부, 및 상기 신장연산부에서 산출된 신장이 표시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신장측정장치를 제공한다.
즉, 상기 터치감지부의 감지값은 상기 무선신호전달부에 의해서 상기 신장연산부에 무선 방식으로 전달되므로, 기존의 신장측정장치에 사용되는 유연성 케이블과 같은 유선 방식의 신호 전달 구조를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신장측정장치의 구조가 전체적으로 단순해질 수 있고, 상기 신장측정장치의 제작이 용이해질 수 있으며, 상기 유선 방식의 구성 요소가 주변 구조물과 간섭되거나 자체적으로 꼬이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신호전달부는 특정 파장으로 변조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감지부의 감지값을 상기 신장연산부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신호전달부는 특정 파장의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감지부의 감지값을 전달하므로, 외부 환경에 의한 신호 전송의 오류 및 방해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장측정장치의 주변에서 발생되는 각종 노이즈, 빛, 전자파 등이 상기 무선신호전달부의 신호 전달을 방해할 가능성이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특정 파장으로 변조된 신호를 이용하기 때문에 외부 환경에 의한 악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선신호전달부의 작동 오류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신장측정장치의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무선신호전달부는, 상기 터치감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피측정자와 상기 터치바의 접촉시 특정 파장의 무선 신호를 발생하도록 형성된 발신부, 및 상기 신장연산부에 연결되고 상기 발신부에서 발사된 특정 파장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도록 형성된 수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장측정장치는 상기 터치바의 이동을 검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터치바와 상기 지지대에 구비된 엔코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장연산부는 상기 터치감지부 또는 상기 무선신호전달부의 작동 오류시 상기 엔코더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피측정자의 신장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신장연산부는, 상기 피측정자의 신장 측정시 상기 엔코더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바의 하강 및 정지를 검출할 수 있고, 상기 터치바의 정지시 상기 터치감지부의 감지값이 전달되지 않으면 상기 엔코더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피측정자의 신장을 계산할 수 있다.
즉, 상기 신장연산부는 상기 터치감지부의 감지값을 이용하여 상기 피측정자의 신장을 계산할 수 있지만, 상기 터치감지부의 감지값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엔코더의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피측정자의 신장을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감지부 또는 상기 무선신호전달부의 작동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신장측정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피측정자의 신장을 측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장측정장치는 상기 구동제어부, 상기 터치감지부, 신장연산부 및 상기 무선신호전달부의 작동 초기에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제어부, 상기 터치감지부, 신장연산부 및 상기 무선신호전달부에 연결된 자가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자가판단부의 판단 결과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장측정장치는, 상기 지지대의 하부가 접히는 구조로 연결되는 받침대, 및 상기 지지대가 상기 받침대에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받침대와 상기 지지대의 연결 부위에 구비된 위치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의 하부 및 상기 받침대는 힌지 구조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지지대의 하부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안착부에 형성된 체결홀부, 및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간섭되도록 상기 체결홀부에 체결되는 위치조절볼트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위치조절볼트의 체결 위치를 조절하면,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간섭되는 길이를 변경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상기 지지대의 하부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위치를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바의 일단은 상기 피측정자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터치바의 타단은 상기 중공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터치바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무선신호전달부는 상기 터치바의 타단과 상기 중공부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바의 타단과 상기 중공부의 하부 사이에는 상기 터치바의 이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변화되는 관형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선신호전달부는 상기 관형부재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신호전달부는 상기 관형부재에 의해 외부환경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보호받는 구조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신장측정장치, 상기 신장측정장치에 의해 측정되는 피측정자의 신장을 이용하여 상기 피측정자의 신장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 장치, 및 상기 신장측정장치의 표시부로부터 상기 피측정자의 신장 데이터를 획득한 후 상기 신장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 서버 장치를 포함하는 신장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즉, 상기 전송 서버 장치가 상기 신장측정장치에 측정된 신장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관리 장치로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 관리 장치는 상기 신장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피측정자의 신장과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관리 장치는 상기 피측정자의 신장의 변화 추이를 산출하거나 또는 상기 피측정자의 체중과 신장으로부터 체질량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송 서버 장치는, 상기 신장측정장치의 표시부를 촬영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신장 데이터를 이미지로 획득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데이터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를 통해 전송된 상기 이미지로부터 상기 신장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신장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관리 장치로 전달하는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송 서버 장치는 상기 촬영부의 작동시 상기 표시부에 섬광을 제공하는 플래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촬영부의 촬영시 상기 플래시부의 섬광에 의해 이미지의 손실이 발생되는 손실 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에 상기 신장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촬영부와 상기 플래시부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신장 데이터의 이미지를 동일 조건에서 획득하도록 상기 표시부에 대하여 기설정된 특정 위치에서만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촬영부와 상기 플래시부는 상기 단말기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단말기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특정 위치는 상기 촬영부와 상기 플래시부를 상기 표시부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도록 상기 가속도 센서를 이용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장측정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신장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무선신호전달부에 의해 터치감지부의 감지값이 신장연산부에 무선 방식으로 전달되는 구조이므로, 유선 방식으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구조가 간단하게 형성될 수 있고, 무선신호전달부의 설치 공간이 원활하게 확보될 수 있으며, 제작과 조립 및 유지 보수가 매우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유선 방식의 구성 요소의 간섭 및 꼬임 등으로 인한 작동 오류를 방지함으로써, 신장측정장치의 작동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장측정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신장 데이터 관리 시스템는, 지지대의 중공부 내에 무선신호전달부가 배치되므로,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 또는 외부 이물질에 의한 오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제품의 미관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장측정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신장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길이가 가변되는 관형부재의 내부에 무선신호전달부를 배치한 구조이므로, 무선신호전달부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더욱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장측정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신장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특정 파장으로 변조된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무선신호전달부의 신호 전달이 이루어지므로, 외부 노이즈, 주변의 다양한 전자파, 빛 등과 같은 외부 환경에 대한 악영향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장측정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신장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터치감지부 또는 무선신호전달부의 작동 오류를 엔코더의 신호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으며, 터치감지부 또는 무선신호전달부의 작동 오류시 엔코더의 신호를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신장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장측정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신장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신장측정장치의 작동 초기에 자가 판단부가 각종 부품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하므로, 신장측정장치의 고장시 고장의 원인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장측정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신장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위치조절부를 이용하여 받침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지지대의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지지대를 받침대에 수직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장측정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신장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신장측정장치에서 측정된 신장 데이터를 데이터 관리 장치로 전송한 후 데이터 관리 장치에 의해 관리되므로, 피측정자의 신장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피측정자의 체중과 같은 다른 정보를 조합하여 피측정자의 건강 상태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장측정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신장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신장측정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된 신장 데이터를 이미지로 획득함과 아울러 신장 데이터를 이미지 상태로 전송한 후 그 이미지로부터 신장 데이터를 확보하므로, 신장측정장치가 측정한 신장 데이터를 매우 간편하게 획득, 전송 또는 확보할 수 있고, 신장 데이터의 데이터 베이스화를 매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장측정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신장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촬영부와 함께 플래시부를 이용하여 표시부로부터 신장 데이터 이미지를 획득하므로 신장 데이터를 선명한 이미지로 획득할 수 있으며, 플래시부의 섬광으로 인한 이미지의 손실 영역을 제외한 표시부의 영역에 신장 데이터를 표시하므로 플래시부에 의한 신장 데이터 이미지의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장측정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신장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촬영부와 플래시부를 갖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신장 데이터 이미지를 획득 및 전송할 수 있으며, 특히 단말기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촬영부와 플래시부의 촬영 위치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장측정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터치바와 지지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장측정장치의 제어 구성이 도시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장측정장치의 주요부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주요부를 'A'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장측정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장측정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장측정장치를 포함하는 신장 데이터 관리 시스템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9과 도 10는 도 8에 도시된 신장측정장치의 표시부로부터 신장 데이터 이미지를 획득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9과 도 10에 도시된 신장 데이터 이미지의 획득시 표시부에 대한 섬광의 영향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장측정장치(100)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터치바(120)와 지지대(110)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장측정장치(100)의 제어 구성이 도시된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장측정장치(100)는 지지대(110), 터치바(120), 구동제어부(130), 터치감지부(140), 신장연산부(150), 및 무선신호전달부(160)을 포함한다.
지지대(110)는 터치바(12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재로써,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110)의 내부에는 중공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중공부(112)는 지지대(110)의 내부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110)의 전면에는 터치바(120)가 관통되게 삽입되는 슬릿홀부(114)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대(110)의 하부에는 신장을 측정하는 피측정자가 올라설 수 있도록 받침대(116)가 구비될 수 있다. 받침대(116)에는 피측정자의 체중을 측정하는 체중계 또는 피측정자의 체지방을 측정하는 체지방 측정기 등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받침대(116)에 체중계가 설치되어 피측정자의 신장과 체중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한다. 신장측정장치(100)에 의해 측정된 신장과 체중은 후술하는 표시부(172)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받침대(116)는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지지대(110)를 지지하도록 지지대(110)의 하부와 결합될 수 있다. 즉, 받침대(116)와 지지대(110)은 서로 직교되는 구조로 연결될 수 있으며, 지지대(110)는 받침대(116)에 의해 기울어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지지대(110)의 상부와 하부에는 터치바(120)를 감지하는 센서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대(110)의 상부에는 상부 경계 센서(118)가 배치될 수 있고, 지지대(110)의 하부에는 하부 경계 센서(119)가 배치될 수 있다. 상부 경계 센서(118)는 터치바(120)의 최고 이동 위치를 제한하는 센서이고, 하부 경계 센서(119)는 터치바(120)의 최저 이동 위치를 제한하는 센서이다. 상부 경계 센서(118)와 하부 경계 센서(119)로는 광센서가 사용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신장측정장치(1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터치바(120)는 신장의 측정시 피측정자의 머리에 접촉되는 부재로서, 지지대(110)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터치바(120)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대(110)의 슬릿홀부(114)에 수평방향으로 관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터치바(120)의 일단은 피측정자와 접촉 가능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터치바(120)의 타단은 슬릿홀부(114)를 관통하여 중공부(11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터치바(120)는 슬릿홀부(114)에 관통되게 배치된 상태로 슬릿홀부(114)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슬릿홀부(114)는 터치바(12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구동제어부(130)은 터치바(1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지지대(110)의 중공부(112)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제어부(130)은 구동모터(132), 구동풀리(134), 종동풀리(136), 및 구동벨트(138)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132)는 터치바(120)의 구동력을 생성하는 장치로서, 지지대(1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풀리(134)는 구동모터(132)의 회전축에 배치될 수 있다. 종동풀리(136)는 지지대(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벨트(138)는 구동풀리(134)와 종동풀리(136)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구동벨트(138)는 터치바(120)의 이동 경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터치바(120)의 타단은 구동벨트(138)의 일측에 연결되어 구동벨트(138)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동제어부(130)은 터치감지부(140)과 상부 경계 센서(118) 및 하부 경계 센서(119)의 감지값으로부터 구동모터(132)의 작동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제어부(130)는 상부 경계 센서(118)와 하부 경계 센서(119)의 감지값을 이용하여 터치바(12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터치감지부(140)은 터치바(120)와 피측정자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부재로서, 터치바(120)의 일단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감지부(140)은 신장의 측정시 피측정자의 머리에 접촉되는 터치바(120)의 일단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터치감지부(140)은 신장측정장치(1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한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들 들면, 터치감지부(140)은 피측정자와의 접촉시 발생되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 피측정자와의 접촉시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정전용량 센서, 또는 피측정자와의 접촉시 체온을 감지하는 온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신장연산부(150)은 터치감지부(140)의 감지값을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신장을 계산하는 장치로서, 무선신호전달부(160)를 통해 터치감지부(140)의 감지값을 전달 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신장연산부(150)가 받침대(116)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신장측정장치(1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무선신호전달부(160)은 터치감지부(140)의 감지값을 무선 방식으로 신장연산부(150)에 전달하는 장치로써, 터치감지부(140)과 신장연산부(150)에 신호 전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신호전달부(160)은 빛, 전자기파, 또는 음파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감지부(140)의 감지값을 신장연산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신호전달부(160)이 무선 방식으로 신호를 전달하면, 기존의 신장측정장치에 사용되던 유연성 케이블과 같은 유선 방식의 구성요소가 생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무선신호전달부(160)는 특정 파장으로 변조된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감지부(140)의 감지값을 신장연산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신호전달부(160)가 특정 파장의 적외선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달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신장측정장치(1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무선신호전달부(160)가 특정 파장의 적외선을 매개로 신호를 전달할 경우, 외부 환경에 의한 신호 전송의 오류 및 방해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신장측정장치(100)의 주변에서 발생되는 각종 노이즈, 빛, 전자파 등이 특정 파장의 적외선과 간섭된 가능성이 낮아지므로, 무선신호전달부(160)의 신호 전달시 외부 환경에 의한 악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무선신호전달부(160)가 특정 파장으로 변조된 신호를 이용하면, 무선신호전달부(160)의 작동 오류를 방지할 수 있고, 그로 인하여 신장측정장치(100)의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무선신호전달부(160)는 중공부(11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신호전달부(160)가 중공부(112)의 내부에 배치되면, 지지대(110)가 무선신호전달부(160)로 외부 충격, 이물질, 또는 빛 등의 전달을 방지하여 무선신호전달부(160)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무선신호전달부(160)은 중공부(112)의 내부에만 배치되는 것은 아니며, 신장측정장치(1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신호전달부(160)는 발신부(162)와 수신부(164)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신호전달부(160)가 특정 파장의 적외선을 매개로 신호를 전달하는 경우, 발신부(162)는 특정 파장의 적외선을 발사하는 발광센서로 구성될 수 있고, 수신부(164)는 특정 파장의 적외선을 감지하는 수광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발신부(162)는 특정 파장의 적외선 신호를 발생하는 부재로서, 터치감지부(140)에 연결될 수 있다. 발신부(162)는 터치감지부(140)의 감지값에 따라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즉, 발신부(162)는 피측정자와 터치바(120)의 접촉시 터치감지부(140)의 감지값이 발생되면 수신부(164)를 향해 특정 파장의 적외선 신호를 발사한다.
그리고, 수신부(164)는 발신부(162)의 신호를 수신하는 부재로서, 신장연산부(150)에 연결될 수 있다. 수신부(164)는 발신부(162)와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발신부(162)에서 발사된 특정 파장의 신호가 수신되면 신호 수신 여부를 신장연산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신장연산부(150)은 구동모터(132)의 회전량 및 수신부(164)에 신호가 수신된 시점을 분석하여 피측정자의 신장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발신부(162)와 수신부(164)의 설치 위치를 살펴보면, 발신부(162)는 터치바(120)의 타단에 배치될 수 있고, 수신부(164)는 중공부(11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발신부(162)와 수신부(164)는 모두 중공부(112)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발신부(162)와 터치감지부(140)의 연결거리 또는 수신부(164)와 신장연산부(150)의 연결거리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장측정장치(100)는 조작부(170), 표시부(172), 및 저장부(1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70)는 신장측정장치(100)의 작동을 사용자가 조작하도록 신장측정장치(100)의 외부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작부(170)는 버튼, 조그스틱, 노브 스위치, 터치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받침대(116)의 상부 또는 지지대(110)의 전면 등과 같이 접근이 용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부(172)는 신장측정장치(100)의 작동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도록 신장측정장치(100)의 외부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부(172)는 LCD 모니터, CRT 모니터, LED, 프린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받침대(116)의 상부 또는 지지대(110)의 전면 등과 같이 시인성이 좋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LCD 디스플레이 패널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저장부(174)는 신장측정장치(100)의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로써, 신장측정장치(1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구동제어부(130) 및 신장연산부(150)에 신호 전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부(174)는 메모리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구동제어부(130) 및 신장연산부(150)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 터치감지부(140)과 상부 경계 센서(118) 및 하부 경계 센서(119)의 감지값, 또는 신장연산부(150)에 의해 산출된 신장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장측정장치(100)는 자가판단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가판단부(180)은 신장측정장치(100)의 작동 오류시 고장난 부품이 무엇인지를 자체적으로 판단하는 장치이다. 즉, 신장측정장치(100)는 다양한 종류의 구동부 및 센서부를 포함하되, 자가판단부(180)는 작동 초기에 구동부 및 센서부의 정상 작동 여부를 체크하여 비정상 작동되는 구동부 또는 센서부를 자체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한편, 표시부(172)는 자가판단부(180)의 결과값을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자가판단부(180)와 표시부(172)에 의해서 신장측정장치(100)의 사용시 고장 여부 및 고장 부위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장측정장치(100)에 전원을 인가할 경우, 자가판단부(180)는 자체적으로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을 실시할 수 있으며, 이때 구동제어부(130), 터치감지부(140), 신장연산부(150) 및 무선신호전달부(16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자가판단부(180)는 구동제어부(130), 터치감지부(140), 신장연산부(150) 및 무선신호전달부(160)에 모두 신호 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장측정장치(100)는 엔코더(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엔코더(190)는 터치바(120)의 이동을 검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장치로서, 구동제어부(130)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엔코더(190)은 구동제어부(130)의 구동모터(132), 구동풀리(134), 또는 종동풀리(136)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엔코더(190)는 구동제어부(130)에 의해 터치바(120)이 이동될 경우, 구동모터(132)와 구동풀리(134) 또는 종동풀리(136) 등과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엔코더(190)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분석하면, 구동제어부(130)에 의해 이동되는 터치바(120)의 작동 상태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신장연산부(150)는 터치감지부(140) 또는 무선신호전달부(160)의 작동 오류시 엔코더(190)의 신호를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신장을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신장연산부(150)는 피측정자의 신장 측정시 엔코더(190)의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바(120)의 작동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그런데, 터치바(120)가 하강 후 정지된 상태에서 터치감지부(140)의 감지값이 전달되지 않으면, 신장연산부(150)은 터치감지부(140) 또는 무선신호전달부(160)의 작동에 오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엔코더(190)의 신호를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신장을 계산할 수 있다.
터치감지부(140) 또는 무선신호전달부(160)의 작동에 오류가 발생되는 경우는, 터치감지부(140) 또는 무선신호전달부(160)에 제공되는 전원이 임의로 차단되거나 또는 터치감지부(140) 또는 무선신호전달부(160)가 고장나서 작동 불능 상태인 경우이다. 특히, 터치감지부(140) 또는 무선신호전달부(160)가 건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구조이면, 터치감지부(140) 또는 무선신호전달부(160)에 작동 오류가 발생될 가능성이 증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신장연산부(150)는 터치감지부(140)의 감지값을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신장을 계산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터치감지부(140)의 감지값이 감지되지 않으면 엔코더(190)의 신호를 기반으로 피측정자의 신장을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감지부(140) 또는 무선신호전달부(160)의 작동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신장측정장치(100)를 사용하여 피측정자의 신장을 원활하게 측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장측정장치(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피측정자가 받침대(116)에 올라서면, 사용자는 조작부(170)를 이용하여 신장측정장치(100)를 작동시킨다.
이때, 자가판단부(180)은 각종 구성 부품, 예컨대 구동제어부(130), 터치감지부(140), 신장연산부(150) 및 무선신호전달부(16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각종 구성 부품 중 어느 하나가 비정상적으로 작동되면, 비정상 작동되는 부품을 표시부(172)에 표시하고, 신장측정장치(100)의 작동을 정지한다.
자가판단부(180)에 의해 모든 구성 부품이 정상 작동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신장측정장치(100)의 구동제어부(130)는 정방향으로 구동시켜 터치바(120)를 하측으로 하강시킨다. 이때, 터치바(120)의 최초 출발 위치는 상부 경계 센서(118)에 의해 설정된 터치바(120)의 가장 높은 위치이다.
구동제어부(130)에 의해 터치바(120)가 하강되면, 터치바(120)가 피측정자의 머리에 점차 근접하고, 특정 시점에서 터치바(120)와 피측정자의 머리가 접촉한다.
이때, 구동제어부(130)는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터치바(120)를 초기 위치로 회송한다. 터치바(120)의 초기 위치는, 상부 경계 센서(118)를 이용하여 정확히 검출될 수 있다.
터치감지부(140)은 터치바(120)와 피측정자의 접촉시 감지값을 무선신호전달부(160)의 발신부(162)에 전달한다. 발신부(162)는 터치감지부(140)의 감지값에 대응하는 신호를 특정 파장의 적외선으로 수신부(164)를 향해 발사한다. 발신부(162)의 신호는 지지대(110)의 중공부(112)를 따라 하측으로 진행된 후 수신부(164)에 입사된다.
발신부(162)의 신호가 수신부(164)에 수신되면, 신장연산부(150)은 수신부(164)의 신호를 전달받아 터치바(120)와 피측정자의 접촉을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신장연산부(150)은 터치감지부(140)의 감지값을 토대로 피측정자의 신장을 계산한다.
상기와 같이 신장연산부(150)에 의해 산출된 피측정자의 신장은, 표시부(172)를 통해 피측정자와 사용자에게 출력되고, 저장부(174)에도 저장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장측정장치(200)의 주요부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주요부를 'A'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와 도 5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참조부호와 동일 유사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신장측정장치(100)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서술하도록 한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장측정장치(200)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신장측정장치(100)와 상이한 점은, 지지대(210)가 받침대(216)에 접히는 구조로 연결되고, 지지대(210)와 받침대(216)의 연결 부위에 지지대(210)의 배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220)가 구비된다는 점이 상이하다.
지지대(210)의 하부와 받침대(216)는 접힘 가능한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신장측정장치(200)은 지지대(210)를 접은 상태로 더욱 원활하게 이송 또는 보관할 수 있다. 즉, 지지대(210)의 하부 및 받침대(216)는 힌지 구조로 연결될 수 있고, 받침대(216)에는 지지대(210)의 하부가 안착되는 안착부(218)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218)은 받침대(216)에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지지대(210)은 받침대(216)에 상호 직교되게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지지대(210)과 받침대(216)의 제조 과정에서 발생되는 공차 등에 의해서 지지대(210)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조절부(220)를 이용하여 지지대(210)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위치조절부(220)는 지지대(210)가 받침대(216)에 수직하게 배치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받침대(216)와 지지대(210)의 연결 부위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치조절부(220)은, 안착부(218)에 형성된 체결홀부(222), 및 안착부(218)에 안착된 지지대(210)의 하부에 간섭되도록 체결홀부(222)에 체결되는 위치조절볼트(224)를 구비할 수 있다. 체결홀부(222)는 받침대(216)와 지지대(210)의 힌지 연결 부위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위치조절볼트(224)는 체결홀부(222)를 관통한 부분이 지지대(210)의 회전 방향으로 지지대(210)의 하부에 간섭될 수 있다.
따라서, 위치조절볼트(224)의 체결 위치를 조절하면, 체결홀부(222)를 통해 안착부(218)로 돌출되는 길이가 가변될 수 있으며, 지지대(210)의 하부와 위치조절볼트(224)의 간섭 길이가 변경됨에 따라 지지대(210)의 위치도 간편하게 조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장측정장치(300)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6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참조부호와 동일 유사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신장측정장치(100)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서술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장측정장치(300)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신장측정장치(100)와 상이한 점은, 무선신호전달부(160)가 관형부재(310)의 내부에 구비된다는 점이 상이하다.
관형부재(310)는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부재로써, 터치바(120)의 타단과 지지대(110)의 하부에 양단이 배치된다. 따라서, 관형부재(310)는 신장측정장치(300)의 작동시 터치바(120)의 이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늘어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관형부재(310)가 지지대(110)의 중공부(112) 내부에 배치된 것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신장측정장치(3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서는, 관형부재(310)와 무선신호전달부(160)가 지지대(110)의 외측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 무선신호전달부(160)는 관형부재(310)의 내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지지대(110)의 중공부(112) 내부에 배치된 것과 동일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관형부재(310)는 벨로우즈(bellows), 자바라, 또는 텔레스코프(telescope) 중 어느 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벨로우즈 형상으로 형성된 관형부재(310)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관형부재(310)가 사용되면, 발신부(162)에서 수신부(164)로 진행되는 특정 파장의 적외선 신호가 먼지나 미세입자 등에 의해 산란되거나 방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발신부(162)와 수신부(164)에 먼지나 미세입자 등이 쌓여서 감도가 저하되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관형부재(310)가 사용되면,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 또는 외부 이물질에 의한 오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외부의 빛 또는 전파 등에 의해서 신호전달의 방해, 오류, 간섭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장측정장치(400)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7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참조부호와 동일 유사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신장측정장치(100)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서술하도록 한다.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장측정장치(400)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신장측정장치(100)와 상이한 점은, 무선신호전달부(460)의 구성이 상이하다는 점이다.
즉, 무선신호전달부(460)은 발신부(462), 수신부(464), 및 방향전환부(466)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발신부(462)와 수신부(464)는 지지대(110)의 중공부(11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방향전환부(466)는 터치바(120)의 타단에 배치될 수 있다.
발신부(462)는 터치바(120)의 타단을 향해 신호를 발생하도록 중공부(112)의 하부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발신부(462)는 신장측정장치(400)의 작동시 터치바(120)의 타단을 향해 항상 신호를 발사할 수 있다.
수신부(464)는 발신부(462)와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중공부(112)의 하부 타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신장연산부(150)와 연결될 수 있다. 수신부(464)는 방향전환부(466)를 통해 전달되는 발신부(462)의 신호를 수신하여 터치감지부(140)의 감지값을 신장연산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
방향전환부(466)는 터치바(120)의 타단에 배치될 수 있으며, 터치감지부(140)과 연결될 수 있다. 방향전환부(466)는 발신부(462)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부(464)에 전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방향전환부(466)는 피측정자와 터치바(120)의 접촉이 터치감지부(140)에 의해 감지되는 경우에만 발신부(462)의 신호를 수신부(464)에 전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장측정장치(400)는, 방향전환부(466)에 의해서 발신부(462)의 신호가 수신부(464)로 전달되는 신호 전달 경로가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신호전달경로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방향전환부(466)는 발신부(462)와 수신부(464) 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방향전환부(466)의 위치와 전달 방향 및 개수를 조정하면, 발신부(462)와 수신부(464) 사이에 다양한 형상의 신호 전달 경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무선신호전달부(460) 또는 지지대(110)의 설계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방향전환부(466)는 발신부(462)에서 생성된 신호의 진행 경로를 수신부(464)로 전환하는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향전환부(466)는 발신부(462)에서 조사된 특정 파장의 적외선을 수신부(464)로 반사하는 거울이나 프리즘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방향전환부(466)가 프리즘(466a) 및 프리즘 회전부(466b)로 구성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무선신호전달부(46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향전환부(466)의 작동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프리즘(466a)은 발신부(462)의 신호를 수신부(464)로 전달하는 제1 위치 또는 발신부(462)의 신호를 수신부(464)로 전달하지 못하는 제2 위치에 프리즘 회전부(466b)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프리즘 회전부(466b)는 프리즘(466a)을 터치감지부(140)의 감지값에 따라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터치바(120)가 피측정자와 접촉하면, 프리즘(466a)이 프리즘 회전부(466b)에 의해 제1 위치로 회전되며, 발신부(462)의 신호는 프리즘(466a)를 통해 수신부(464)로 전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발신부와 수신부가 터치바(120)의 타단에 배치될 수 있고, 방향전환부는 지지대(110)의 중공부(112)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발신부는 터치감지부(140)의 감지값에 따라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터치감지부(140)과 연결되고, 방향전환부는 신장연산부(15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방향전환부는 발신부(462)의 신호를 수신부(464)로 안내하는 제1 위치로 고정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장측정장치(100)를 포함하는 신장 데이터 관리 시스템(500)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9과 도 10는 도 8에 도시된 신장측정장치(100)의 표시부(172)로부터 신장 데이터 이미지를 획득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도 9과 도 10에 도시된 신장 데이터 이미지의 획득시 표시부(172)에 대한 섬광의 영향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신장측정장치(1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종류의 신장측정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에서 도 1 내지 도 3의 참조부호와 동일 유사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장 데이터 관리 시스템(500)은 신장측정장치(100), 전송 서버 장치(510), 및 데이터 관리 장치(520)를 포함할 수 있다.
신장측정장치(1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신장측정장치로서, 여기에서는 신장측정장치(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신장측정장치(100)에서 여러 명의 피측정자의 신장이 측정되고 있는 것으로 설명한다.
데이터 관리 장치(520)은 신장측정장치(100)에 의해 측정되는 피측정자의 신장을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신장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관리하는 장치이다. 이 데이터 관리 장치(520)는 통신 서버 상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신장측정장치(100)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데이터 관리 장치(520)은 복수개의 신장측정장치(100)로부터 전달되는 신장 데이터를 피측정자 별로 데이터 베이스화할 수 있으며, 피측정자의 신장 데이터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계산하거나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관리 장치(520)은 피측정자의 신장 변화 추이를 산출하여 제공하거나, 피측정자의 신장과 체중을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체질량지수(BMI)를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전송 서버 장치(510)는 신장측정장치(100)의 표시부(172)로부터 피측정자의 신장 데이터를 획득한 후 신장 데이터를 데이터 관리 장치(520)로 전송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전송 서버 장치(510)가 복수개의 신장측정장치(100)에 측정된 신장 데이터를 데이터 관리 장치(520)로 전송할 수 있으며, 데이터 관리 장치(520)는 전송 서버 장치(510)를 통해 전송되는 신장 데이터를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신장과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송 서버 장치(510)는 촬영부(512), 단말기(514), 및 검출부(516)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512)는, 신장측정장치(100)의 표시부(172)를 촬영하여 표시부(172)에 표시되는 신장 데이터를 이미지로 획득할 수 있다. 단말기(514)는 촬영부(512)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관리 장치(520)로 전송할 수 있다. 검출부(516)는 단말기(514)를 통해 전송된 이미지로부터 신장 데이터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장 데이터를 데이터 관리 장치(52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전송 서버 장치(510)는 촬영부(512)의 작동시 표시부(172)에 섬광을 제공하는 플래시부(5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래시부(518)의 섬광 효과로 인하여 촬영부(512)의 이미지 선명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검출부(516)가 이미지로부터 신장 데이터를 검출하는 성능도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촬영부(512)와 플래시부(518)이 단말기(514)에 일체로 형성된 휴대폰,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피씨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표시부(172)는 촬영부(512)의 촬영시 플래시부(518)의 섬광에 의해 이미지의 손실이 발생되는 손실 영역(B, C)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플래시부(518)의 섬광에 의한 손실 영역(B, C)을 제외한 표시부(172)의 다른 영역에 신장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다만, 도 11의 'B'와 같이 손실 영역(B)이 표시부(172)에 크게 형성되거나 중요 부위에 형성되면, 촬영부(512)가 촬영한 신장 데이터 이미지로부터 신장 데이터를 정확히 검출할 수 없다. 따라서, 손실 영역(B)의 크기와 위치를 변경하기 위하여 플래시부(518)의 위치를 조정할 필요성이 있다.
상기와 같이 플래시부(518)의 위치를 조정하여 도 11의 'C'와 같이 손실 영역(C)의 크기와 위치가 변경되면, 손실 영역(C)의 크기가 감소될 뿐만 아니라 손실 영역(C)이 표시부(172)의 중요하지 않은 부위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손실 영역(C)은 표시부(172)의 신장 데이터 이미지를 크게 훼손하지 않는 위치와 크기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검출부(516)는 촬영부(512)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신장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촬영부(512)와 플래시부(518)는 표시부(172)에 표시된 신장 데이터의 이미지를 동일 조건에서 계속 획득하기 위하여 표시부(172)에 대하여 기설정된 특정 위치에서만 작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촬영부(512)와 플래시부(518)이 기설정된 특정 위치에서만 작동되면, 플래시부(518)의 섬광으로 인한 손실 영역(C)이 표시부(172)에 적정 위치와 적정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신장 데이터의 이미지도 해상도와 촬영 각도가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514)에 구비된 가속도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촬영부(512)와 플래시부(518)의 작동 위치를 항상 일정하게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장 데이터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서 휴대폰,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 피씨 등에 촬영용 어플이 제공될 수 있다. 도 9과 도 10는 촬영용 어플을 이용하여 표시부(172)를 촬영할 경우, 단말기(514)의 촬영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면, 표시부(172)는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촬영부(512)와 플래시부(518)의 작동 위치도 지면과 표시부(172)에 평행한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514)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표시부(172)와 단말기(514)를 평행하게 배치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단말기(514)에 일체로 형성된 촬영부(512)와 플래시부(518)도 표시부(172)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9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용 어플을 이용하면 표시부(172)와 단말기(514)의 위치를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다. 표시부(172)와 단말기(514)가 정위치에 배치되면, 도 9과 같이 단말기(514)의 촬영 화면에 촬영 버튼이 활성화될 수 있다. 반면에, 표시부(172)와 단말기(514)가 정위치에 배치되지 않으면, 도 10와 같이 단말기(514)의 촬영 화면에 촬영 버튼이 활성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표시부(172)에 대한 촬영부(512)와 플래시부(518)의 작동 위치는 단말기(514)의 가속도 센서 및 촬영용 어플을 통해서 간편하고 정확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200, 300, 400: 신장측정장치
110: 지지대
120: 터치바
130: 구동제어부
140: 터치감지부
150: 신장연산부
160, 460: 무선신호전달부
172: 표시부
180: 자가판단부
190: 엔코더
220: 위치조절부
310: 관형부재
466: 방향전환부
500: 신장 데이터 관리 시스템
510: 전송 서버 장치
520: 데이터 관리 장치

Claims (19)

  1. 내부에 중공부가 구비되고,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터치바;
    상기 터치바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
    상기 터치바에 구비되고, 상기 터치바와 피측정자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터치감지부;
    상기 터치감지부의 감지값을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신장을 계산하는 신장연산부;
    상기 중공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터치감지부의 감지값을 상기 신장연산부에 무선 방식으로 전달하는 무선신호전달부; 및
    상기 신장연산부에서 산출된 신장이 표시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신장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신호전달부는 특정 파장으로 변조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감지부의 감지값을 상기 신장연산부에 전달하는 신장측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신호전달부는,
    상기 터치감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피측정자와 상기 터치바의 접촉시 특정 파장의 무선 신호를 발생하도록 형성된 발신부; 및
    상기 신장연산부에 연결되고, 상기 발신부에서 발사된 특정 파장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도록 형성된 수신부;
    를 구비한 신장측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신호전달부는,
    상기 터치감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피측정자와 상기 터치바의 접촉시 특정 파장의 무선 신호를 발생하도록 형성된 발신부;
    상기 신장연산부에 연결되고, 상기 발신부에서 발사된 특정 파장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도록 형성된 수신부; 및
    상기 발신부의 신호가 상기 수신부로 전달되는 무선신호의 전달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발신부와 상기 수신부 사이에 배치된 방향전환부;
    를 구비한 신장측정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신호전달부는,
    상기 터치바를 향해 특정 파장의 무선 신호를 발생하는 발신부;
    상기 발신부와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신장연산부에 연결된 수신부; 및
    상기 터치바에 배치되고, 상기 피측정자와 상기 터치바의 접촉시 상기 발신부의 신호가 상기 수신부로 전달되는 무선신호의 전달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터치감지부에 연결된 방향전환부;
    를 구비한 신장측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바의 이동을 검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제어부에 구비된 엔코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신장연산부는 상기 터치감지부 또는 상기 무선신호전달부의 작동 오류시 상기 엔코더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피측정자의 신장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측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연산부는, 상기 피측정자의 신장 측정시 상기 엔코더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바의 작동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터치바의 정지시 상기 터치감지부의 감지값이 전달되지 않으면 상기 엔코더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피측정자의 신장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측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부, 상기 터치감지부, 신장연산부 및 상기 무선신호전달부의 작동 초기에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제어부, 상기 터치감지부, 신장연산부 및 상기 무선신호전달부에 연결된 자가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신장측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자가판단부의 판단 결과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측정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하부가 접히는 구조로 연결되는 받침대; 및
    상기 지지대가 상기 받침대에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받침대와 상기 지지대의 연결 부위에 구비된 위치조절부;
    를 더 포함하는 신장측정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하부 및 상기 받침대는 힌지 구조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받침대에는 상기 지지대의 하부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안착부에 형성된 체결홀부; 및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간섭되도록 상기 체결홀부에 체결되는 위치조절볼트;를 구비한 신장측정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바의 일단은 상기 피측정자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터치바의 타단은 상기 중공부에 배치되며,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터치바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무선신호전달부는 상기 터치바의 타단과 상기 중공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터치바의 타단과 상기 중공부의 하부 사이에는 상기 터치바의 이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변화되는 관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무선신호전달부는 상기 관형부재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측정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신장측정장치;
    상기 신장측정장치에 의해 측정되는 피측정자의 신장을 이용하여 상기 피측정자의 신장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 장치; 및
    상기 신장측정장치의 표시부로부터 상기 피측정자의 신장 데이터를 획득한 후 상기 신장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 서버 장치;
    를 포함하는 신장 데이터 관리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 장치는 상기 피측정자의 신장의 변화 추이를 산출하거나 또는 상기 피측정자의 체중과 신장으로부터 체질량지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 데이터 관리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서버 장치는,
    상기 신장측정장치의 표시부를 촬영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신장 데이터를 이미지로 획득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데이터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를 통해 전송된 상기 이미지로부터 상기 신장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신장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관리 장치로 전달하는 검출부;
    를 포함하는 신장 데이터 관리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서버 장치는 상기 촬영부의 작동시 상기 표시부에 섬광을 제공하는 플래시부;를 더 포함하는 신장 데이터 관리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촬영부의 촬영시 상기 플래시부의 섬광에 의해 이미지의 손실이 발생되는 손실 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에 상기 신장 데이터를 표시하는 신장 데이터 관리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와 상기 플래시부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신장 데이터의 이미지를 동일 조건에서 획득하도록 상기 표시부에 대하여 기설정된 특정 위치에서만 작동되는 신장 데이터 관리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와 상기 플래시부는 상기 단말기에 구비되고, 상기 단말기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기설정된 특정 위치는 상기 촬영부와 상기 플래시부를 상기 표시부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도록 상기 가속도 센서를 이용해 설정되는 신장 데이터 관리 시스템.
KR1020120050296A 2011-05-11 2012-05-11 신장측정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신장 데이터 관리 시스템 KR201201273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296A KR20120127310A (ko) 2011-05-11 2012-05-11 신장측정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신장 데이터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799 2011-05-11
KR1020120050296A KR20120127310A (ko) 2011-05-11 2012-05-11 신장측정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신장 데이터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310A true KR20120127310A (ko) 2012-11-21

Family

ID=47512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0296A KR20120127310A (ko) 2011-05-11 2012-05-11 신장측정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신장 데이터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731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687B1 (ko) * 2014-09-12 2015-04-16 엘케이테크넷(주) 휴대용 신장측정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스마트폰
WO2022269537A1 (en) * 2021-06-23 2022-12-29 Wastewize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obust distance measure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687B1 (ko) * 2014-09-12 2015-04-16 엘케이테크넷(주) 휴대용 신장측정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스마트폰
WO2022269537A1 (en) * 2021-06-23 2022-12-29 Wastewize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obust distance measur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60596B2 (ja) 測量装置
EP2458327A2 (en) Surveying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same
JP6577295B2 (ja) 測定装置
US10386181B2 (en) Cartridge and detection method for the same
US9658058B1 (en) Height measuring device
KR100962348B1 (ko) 항공촬영 이미지의 편집 및 도화처리를 위한 영상처리용 필터링 시스템
JP7211891B2 (ja) 三次元座標測定装置
US20190038017A1 (en) Workst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workstation system
JP2013178354A (ja) ストロボ装置及びストロボ装置を備えた撮像装置
CN109416252B (zh) 用于对入射到激光接收器上的接收射线与旋转的接收射线进行比较的方法
US20200116557A1 (en) Optical flame detector
WO2013085956A1 (en) Robotic leveling
KR20120127310A (ko) 신장측정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신장 데이터 관리 시스템
US10542948B2 (en) Mobile X-ray imaging apparatus
JP2010516354A (ja) 光学身長測定器
US10467991B2 (en) Measurement instrument and reflection device used for same
KR100888715B1 (ko) 측량지점의 기준점 위치확인시스템
JP2009192292A (ja) 軌道検測装置および軌道検測方法
US20230049076A1 (en) System, device, and control method
CN113474620B (zh) 水平垂直线检测装置及系统
US10234547B2 (en) Sensor with oblique-angle display
JP2005121387A (ja) 傾斜検出装置
KR100731275B1 (ko) 비반사면을 가지는 반사부를 이용한 구조물 진동레벨감지장치
CN112591572A (zh) 电梯平层精度验证系统、方法及装置、控制器
CN110608730A (zh) 一种投线仪及角度测量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