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6650A - 스토퍼가 구비된 가스킷을 포함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장치 - Google Patents

스토퍼가 구비된 가스킷을 포함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6650A
KR20120126650A KR1020110044628A KR20110044628A KR20120126650A KR 20120126650 A KR20120126650 A KR 20120126650A KR 1020110044628 A KR1020110044628 A KR 1020110044628A KR 20110044628 A KR20110044628 A KR 20110044628A KR 20120126650 A KR20120126650 A KR 20120126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ket
synthetic resin
stopper
resin pipe
joi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4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진욱
Original Assignee
신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진욱 filed Critical 신진욱
Priority to KR1020110044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6650A/ko
Publication of KR20120126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66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F16L47/08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one pipe en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leeve or socket, the sealing rings being placed previously in the sleeve or soc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도관, 하수도관, 농업용 또는 공업용 배관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관의 연결을 위한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연결관의 적어도 일단부에 형성되며,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이 삽입되는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의 내측 주연을 따라 형성된 고정홈을 포함하는 연결부와; 상기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는 연질의 재질로 된 가스킷과; 상기 가스킷의 내측 주연을 따라 일부가 삽입 고정되어 상기 가스킷과 일체화된 것으로, 상기 가스킷의 내측에 일단부가 삽입되는 리브와, 상기 리브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가스킷의 내측으로 돌출되되 합성수지관의 삽입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다수의 고정돌기를 갖는 경질의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가 일체로 구비된 가스킷을 포함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토퍼가 구비된 가스킷을 포함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장치{PLASTIC PIPE CONNECTING DEVICE INCLUDING GASKET WITH STOPPER}
본 발명은 상수도관, 하수도관, 농업용 또는 공업용 배관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관의 연결을 위한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성이 간단하여 조립이 용이하며, 특히 합성수지관의 연결시 원터치형으로 간편하면서도 빠르고 견고하게 결합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누수의 위험이 없고, 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내부 압력이나 진동 또는 비틀림에 의한 합성수지관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스토퍼가 구비된 가스킷을 포함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수도용, 하수도용, 공업용, 농업용의 합성수지관의 연결시 합성수지관 사이에는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음장치가 사용된다. 상기 이음장치로는 다양한 구성이 알려져 있는데, 통상적으로 합성수지관의 결합시 상호간의 견고한 결합 고정을 위하여 스토퍼가 채용되며, 또한 누수방지를 위하여 오링과 같은 가스킷이 사용된다.
스토퍼와 가스킷이 적용된 합성수지관의 이음장치와 관련된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0679287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에 개시된 이음장치(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관(410)의 일단에 형성된 것으로 내측으로 암나사부(413)와 걸림턱(415)가 형성된 암나사 헤드(412)와, 상기 암나사 헤드(412)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걸림턱(415)에 걸려지는 스토퍼(416)와 스토퍼가이드(419) 및 고무링(421)과, 이후 상기 암나사 헤드(412)에 결합되는 수나사부(432)가 형성된 수나사(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의 이음장치(400)는 합성수지관의 연결시 암나사 헤드(412)의 내부에 스토퍼(416)와 스토퍼 가이드(419) 및 고무링(421)을 삽입한 후 수나사(430)를 조립한 상태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411)을 밀어넣으면 채결이 완료되도록 이루어진다. 그에 따라 합성수지관을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현장에서 상기한 구성의 이음장치(400)를 사용하여 합성수지관을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암나사 헤드(412) 내부에 스토퍼(416)와, 스토퍼가이드(419) 및 고무링(421)을 정확한 순서에 맞게 삽입한 다음 수나사(430)를 결합시켜 조립하여야 하므로 합성수지관의 연결에 많은 시간과 공정이 소요되어 사용에 불편함이 있고, 특히 각각의 부품들이 따로 구성되어 있어 보관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성이 간단하여 조립이 용이하며, 특히 합성수지관의 연결시 원터치형으로 간편하면서도 빠르고 견고하게 결합 고정할 수 있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의 연결시 스토퍼와 합성수지관의 접촉부위의 결합력을 극대화 할 수 있어 결합된 합성수지관의 분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장치를 제공하는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연결관의 적어도 일단부에 형성되며,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이 삽입되는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의 내측 주연을 따라 형성된 고정홈을 포함하는 연결부와; 상기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는 연질의 재질로 된 가스킷과; 상기 가스킷의 내측 주연을 따라 일부가 삽입 고정되어 상기 가스킷과 일체화된 것으로, 상기 가스킷의 내측에 일단부가 삽입되는 리브와, 상기 리브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가스킷의 내측으로 돌출되되 합성수지관의 삽입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다수의 고정돌기를 갖는 경질의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가 일체로 구비된 가스킷을 포함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스토퍼의 고정돌기는 상기 리부의 타단부 둘레를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와 고정돌기 사이에는 V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의 중앙 단부에는 노치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가스킷의 상하단부 중 적어도 일단부에는 삽입된 합성수지관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밀착되는 밀폐부가 구비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스킷의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제1밀폐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스킷의 상단부에는 합성수지관 삽입방향으로 그 끝단이 테이퍼지게 형성된 제2밀폐부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가스킷은 상단부 외측 주연으로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에는 상기 단턱에 대응되는 걸림턱이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가스킷의 내측부분에는 삽입된 합성수지관과의 사이에 상기 고정돌기가 경사지게 놓여지도록 내측으로 만입된 이격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스킷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토퍼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의 삽입구 내측에는 암나사선이 형성되며, 외측에 상기 암나사선에 결합되는 수나사선을 갖는 수나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수나사는 그 단부가 상기 가스킷의 하단부에 밀착될 때까지 삽입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장치는 가스킷에 스토퍼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구성이 간단하여 조립이 용이하고 경제적이며, 현장에서 합성수지관 연결시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을 삽입하여 조립을 완료하는 원터치형으로 간편하면서도 빠르고 견고하게 결합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누수의 위험이 없고, 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내부 압력이나 진동 또는 비틀림에 의한 합성수지관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가스킷의 부분절개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가스킷의 결합단면도이며, 도 3c는 도 2에 도시된 카스킷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가스킷의 부분절개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가스킷의 결합단면도이며, 도 3c는 도 2에 도시된 카스킷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장치(100)는 연결관(110)의 적어도 일단부에 형성되는 연결부(120)와, 연결부(120) 내측에 삽입되는 가스킷(130) 및 상기 가스킷(130)과 일체화된 스토퍼(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연결부(120)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연결관(110)의 적어도 일단부에 형성되며,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210)이 삽입되는 삽입구(121)와 상기 삽입구(121)의 내측 주연을 따라 형성된 고정홈(1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120)는 연결하고자하는 합성수지관(210)을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부위로서, 연결관(110)의 적어도 일단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연결관(110)은 내부에 유체의 흐름을 위한 유로가 형성된 것으로서, 도면에서는 일자형을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U자형, T자형, 십자형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연결관(110)은 당해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고, 특히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20)에는 삽입구(121)가 구비되는데, 상기 삽입구(121)는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210)이 삽입되는 곳이다.
상기 삽입구(121)의 내측 주연에는 고정홈(122)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122)은 후술하는 가스킷(130)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삽입되는 가스킷(130)의 형상에 대응되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튜브(125,126)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내측튜브(125)는 연결관(110)과 일체화된 것이고, 외측튜브(126)는 내측튜브(125)를 보호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강화플라스틱과 같이 내측튜브(125)에 비하여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스킷(130)은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고정홈(122)에 삽입 고정되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스킷(130)은 누수방지를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연질의 재질을 적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무재질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무재질로는 실리콘계 고무를 예로 들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스킷(130)은 누수 방지를 위하여 가스킷(130)의 상하단부 중 적어도 일단부에는 삽입된 합성수지관(2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밀착되는 밀폐부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킷(130)의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제1밀폐부(131)가 형성되고, 가스킷(130)의 상단부에는 합성수지관(210) 삽입방향으로 그 끝단이 테이퍼지게 형성된 제2밀폐(132)부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밀폐부(131,132)가 형성될 경우 합성수지관(210)을 삽입구(121)를 통하여 삽입하게 되면 상기 밀폐부(131,132)가 합성수지관(2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밀착되게 되어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킷(130)에 제1밀폐부(131)와 제2밀폐부(132)가 구비될 경우 제1밀폐부(131)가 삽입된 합성수지관(210)의 하부 둘레를 감싸게 되고, 제2밀폐부(132)가 삽입된 합성수지관(210)의 상부 둘레를 감싸게 됨에 따라 이중으로 누수를 방지하게 되어 효과적으로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2밀폐부(132)는 합성수지관(210)이 삽입되면 그 끝단이 상부로 밀려올라가면서 합성수지관(210)의 외측표면을 넓은 면적으로 감싸게 되어 밀폐력을 극대화시켜준다.
상기 가스킷(130)이 고정홈(122)에 좀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단부 외측 주연으로 단턱(133)이 형성되고, 고정홈(122)에는 상기 단턱(133)에 대응되는 걸림턱(123)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가스킷(130)을 삽입구(121)를 통해 삽입하면 고정홈(122)에 가스킷(130)이 끼워지면서 고정되게 되며, 이후 합성수지관(210)을 삽입하여도 상기 걸림턱(123)에 상기 가스킷(130)의 단턱(133)이 걸려지게 됨에 따라 가스킷(130)이 더 이상 내부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홈(122)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스토퍼(140)는 가스킷(130)의 내측 주연을 따라 일부가 삽입 고정되어 상기 가스킷(130)과 일체화된 것으로, 상기 가스킷(130)의 내측에 일단부가 삽입되는 리브(141)와, 상기 리브(141)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가스킷(130)의 내측으로 돌출되되 합성수지관(210)의 삽입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다수의 고정돌기(142)를 갖는다.
상기 스토퍼(140)는 삽입된 합성수지관(210)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스토퍼(140)는 전술한 가스킷(130)에 일체화된다. 이와 같이 스토퍼(140)가 가스킷(130)에 일체화됨에 따라 구성이 간단하여 경제적이다. 또한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장치(100)는 스토퍼(140)가 일체화된 가스킷(130)을 삽입하여 밀어 넣는 것만으로 조립이 완료됨에 따라 조립이 용이하여 작업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40)는 삽입되는 합성수지관(210)의 외측 표면을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경질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140)는 반드시 제한되지는 않지만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140)의 두께는 사용되는 관의 두께에 따라 그 두께의 조절이 가능한 것이나, 바람직하게 0.25 내지 5mm의 두께를 갖는 것이 좋다.
상기 리브(141)는 가스킷(130)에 스토퍼(140)가 일체화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리브(141)는 가스킷(130)의 내측의 주연을 따라서 일단부가 삽입된다. 상기 리브(14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형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리브(141)를 가스킷(130)에 삽입하여 일체화시키는 방법으로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가스킷(130)을 사출용 몰드에 넣은 상태에서 용융된 가스킷(130) 재료를 사출함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정돌기(142)는 삽입된 합성수지관(210)의 외측표면을 눌러주어 합성수지관(210)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합성수지관(210)의 삽입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있으므로, 합성수지관(210)이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해 준다.
즉, 합성수지관(210)을 연결부(120)의 삽입구(121)를 통해 삽입하게 되면 상기 고정돌기(142)는 합성수지관(210)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짐에 따라 합성수지관(210)이 삽입될때 탄성을 가진 상태로 합성수지관(210)의 외측 표면을 눌러주어 잡아주게 된다. 이때 합성수지관(210)이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분리되려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고정돌기(142)는 그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그 반대의 힘이 작용하여 합성수지관(210)이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아준다.
상기 고정돌기(142)는 리부의 타단부 둘레를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142)와 고정돌기(142) 사이에는 V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142)의 중앙 단부에는 노치(14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합성수지관(210)의 삽입시 상기 고정돌기(142)의 단부가 상기 합성수지관(210)의 외측표면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가 되므로, 합성수지관(210)이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분리되려고 할때 고정돌기(142)의 단부가 상기 합성수지관(210)의 외측표면 둘레를 결고하게 눌러 고정하여 주므로 합성수지관(210)이 외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스킷(130)의 내측부분에는 삽입된 합성수지관(210)과의 사이에 상기 고정돌기(142)가 경사지게 놓여지도록 내측으로 만입된 이격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격공간은 스토퍼(140)의 두께나 관의 두께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것이나 0.3 내지 0.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범위내의 이격 공간을 가질 경우, 합성수지관(210)이 삽입된 이후 고정돌기(142)가 경사지게 놓여짐에 따라 합성수지관(210)이 외측으로 빠지지 않게 도와준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장치(100)는 현장에서 합성수지관(210) 연결시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210)을 삽입하여 배관을 완료하는 원터치형으로 간편하면서도 빠르고 견고하게 결합 고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가스킷(130)의 이중 밀폐구조로 인하여 누수의 위험이 없고, 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내부 압력이나 진동 또는 비틀림에 의한 합성수지관(210)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장치(100)는 스토퍼(140)가 가스킷(130)에 일체화되게 형성됨에 따라 현장에서 가스킷(130)을 삽입구(121)를 통해 삽입한 후 밀어넣으면 상기 가스킷(130)이 전술한 연결부(120)의 고정홈(122)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서 조립이 완료된다. 이후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210)을 더 이상 삽입되지 않을 때까지 밀어 넣으면 합성수지관(210)의 연결이 완료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210)을 더 이상 삽입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연결부(120)의 단부에서 내경이 작아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합성수지관(210)의 연결이 완료되면, 가스킷(130)에 일체화된 스토퍼(140)의 고정돌기(142)가 합성수지관(210)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짐에 따라 합성수지관(210)이 삽입될때 탄성을 가진 상태로 합성수지관(210)의 외측 표면을 눌러주어 견고하게 잡아주게 된다. 이때 합성수지관(210)이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분리되려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고정돌기(142)는 그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그 반대의 힘이 작용하여 합성수지관(210)이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아준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홈(122)에 가스킷(130)이 삽입되어 고정됨에 따라 상기 가스킷(130)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수나사가 필요없다. 그에 따라 현장에서는 가스킷(130)을 삽입한 후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210)을 상기 삽입구(121)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합성수지관(210)의 연결이 완료되어 작업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장치(100)는 연결부(120)와, 가스킷(130), 스토퍼(140) 및 수나사(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120)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연결관(110)의 적어도 일단부에 형성되며,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210)이 삽입되는 삽입구(121), 상기 삽입구(121)의 내측 주연을 따라 형성된 고정홈(122) 및 상기 삽입구(121)의 내측에 형성된 암나사선(1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구(121)와 고정홈(122)은 전술한 바와 같으며, 암나사선(124)은 후술하는 수나사(150)와의 결합을 위하여 형성된다.
상기 가스킷(130)은 상기 고정홈(122)에 삽입 고정되는 연질의 재질로 된 것이다. 또한 상기 스토퍼(140)는 상기 가스킷(130)의 내측 주연을 따라 일부가 삽입 고정되어 상기 가스킷(130)과 일체화된 것으로, 상기 가스킷(130)의 내측에 일단부가 삽입되는 리브(141)와, 상기 리브(141)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가스킷(130)의 내측으로 돌출되되 합성수지관(210)의 삽입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다수의 고정돌기(142)를 갖는다.
상기 가스킷(130)과 스토퍼(14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외측에 상기 연결부(120)의 삽입구(121) 내측에 형성된 암나사선(124)에 결합되는 수나사선(151)을 갖는 수나사(1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나사(150)는 그 단부가 상기 가스킷(130)의 하단부에 밀착될 때까지 삽입된다.
이와 같이 수나사(150)가 더 구비되는 경우 가스킷(130)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된 합성수지관(210)이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분리되려고 할 때 가스킷(130)이 결합부의 고정홈(122)에서 이탈되어 합성수지관(21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서, 당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니는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 이음장치, 110 : 연결관, 120 : 연결부, 121 : 삽입구, 122 : 고정홈, 123 : 걸림턱, 124 : 암나사선, 125 : 내측튜브, 126 : 외측튜브, 130 : 가스킷, 131 : 제1밀폐부, 132 : 제2밀폐부, 133 : 단턱, 140 : 스토퍼, 141 : 리브, 142 : 고정돌기, 143 : 노치, 150 : 수나사, 151 : 수나사선, 210 : 합성수지관,

Claims (8)

  1.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연결관의 적어도 일단부에 형성되며, 연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관이 삽입되는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의 내측 주연을 따라 형성된 고정홈을 포함하는 연결부와;
    상기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는 연질의 재질로 된 가스킷과;
    상기 가스킷의 내측 주연을 따라 일부가 삽입 고정되어 상기 가스킷과 일체화된 것으로, 상기 가스킷의 내측에 일단부가 삽입되는 리브와, 상기 리브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가스킷의 내측으로 돌출되되 합성수지관의 삽입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다수의 고정돌기를 갖는 경질의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가 일체로 구비된 가스킷을 포함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고정돌기는 상기 리부의 타단부 둘레를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와 고정돌기 사이에는 V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의 중앙 단부에는 노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가 일체로 구비된 가스킷을 포함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킷의 상하단부 중 적어도 일단부에는 삽입된 합성수지관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밀착되는 밀폐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가 일체로 구비된 가스킷을 포함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킷의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제1밀폐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스킷의 상단부에는 합성수지관 삽입방향으로 그 끝단이 테이퍼지게 형성된 제2밀폐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가 일체로 구비된 가스킷을 포함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킷은 상단부 외측 주연으로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에는 상기 단턱에 대응되는 걸림턱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스토퍼가 일체로 구비된 가스킷을 포함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킷의 내측부분에는 삽입된 합성수지관과의 사이에 상기 고정돌기가 경사지게 놓여지도록 내측으로 만입된 이격공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가 일체로 구비된 가스킷을 포함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킷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토퍼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가 일체로 구비된 가스킷을 포함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삽입구 내측에는 암나사선이 형성되며,
    외측에 상기 암나사선에 결합되는 수나사선을 갖는 수나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수나사는 그 단부가 상기 가스킷의 하단부에 밀착될 때까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토퍼가 일체로 구비된 가스킷을 포함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장치.
KR1020110044628A 2011-05-12 2011-05-12 스토퍼가 구비된 가스킷을 포함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장치 KR201201266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628A KR20120126650A (ko) 2011-05-12 2011-05-12 스토퍼가 구비된 가스킷을 포함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628A KR20120126650A (ko) 2011-05-12 2011-05-12 스토퍼가 구비된 가스킷을 포함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6650A true KR20120126650A (ko) 2012-11-21

Family

ID=47511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4628A KR20120126650A (ko) 2011-05-12 2011-05-12 스토퍼가 구비된 가스킷을 포함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665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6129B1 (ko) 관 커플러
KR200452915Y1 (ko) 배관 연결부재
KR102028180B1 (ko) 파이프 구조체
KR101489711B1 (ko) 분기관 연결장치
KR20120006296A (ko) 소켓 일체형 합성수지 관의 연결구조
KR200463450Y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장치
KR20070013220A (ko)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의 수밀방법
KR101120145B1 (ko) 관 조인트
KR101436351B1 (ko) 결착력과 수밀성이 우수한 이음관
KR101391930B1 (ko) 나선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102000018B1 (ko) 체결파이프 회전방지 록킹구조를 가지는 완전삽입 확인이 용이한 산업용 멀티 레이어 유체배관 클림핑 연결시스템의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시공방법
KR20120126650A (ko) 스토퍼가 구비된 가스킷을 포함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장치
KR101647280B1 (ko) 플랜지형 지수판
KR100683270B1 (ko) 관 연결구
KR20190021677A (ko) 이탈 방지용 합성수지관 이음장치
KR101847777B1 (ko) 파이프 연결용 소켓
KR20160103701A (ko) 체크홀이 구비된 연결관
KR200409780Y1 (ko) 배관 연결구
KR20130092207A (ko) 농업용 관체 연결구
KR200436180Y1 (ko) 오·우수받이의 관 연결구조
KR200479304Y1 (ko) 수밀성이 강화된 파이프 연결구용 고무밴드
KR20150076956A (ko) 부식이 방지되는 매립용 파이프 및 이음쇠
KR100954270B1 (ko) 유연한 재질의 패킹을 갖는 배관용 이음관
KR20170004074U (ko) 수도배관 연결구
KR200347851Y1 (ko) 합성수지관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