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6470A - 애완동물 배변기용 친환경 청소 장치 - Google Patents

애완동물 배변기용 친환경 청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6470A
KR20120126470A KR1020110044277A KR20110044277A KR20120126470A KR 20120126470 A KR20120126470 A KR 20120126470A KR 1020110044277 A KR1020110044277 A KR 1020110044277A KR 20110044277 A KR20110044277 A KR 20110044277A KR 20120126470 A KR20120126470 A KR 20120126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water
opening
pet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4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주환
Original Assignee
노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주환 filed Critical 노주환
Priority to KR1020110044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6470A/ko
Publication of KR20120126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64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기용 친환경 청소 장치는, 애완동물의 배변을 수용하는 것으로, 애완동물의 하중에 의해 힌지를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하강 회동하는 회동부를 구비한 배변기; 상기 배변기에 청소를 위한 물을 분사하는 물 공급 어셈블리;로 구성되되, 상기 물 공급 어셈블리는, 급수부로부터 외부의 물을 공급받는 제 1 저장조와, 상기 회동부에 연결된 스트링의 승강에 따라 상기 제 1 저장조의 하부에 형성된 개폐 밸브를 개폐 처리하는 개폐부 및, 상기 개폐 밸브의 개방 시 상기 제 1 저장조의 물을 배출하는 전달부를 포함하는 제 1 저장장치; 상기 제 1 저장조의 하부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전달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제 2 저장조 및, 상기 제 2 저장조의 측벽에 형성된 중심대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저장조의 내부에서 외부로 연장된 제어 바 및 상기 제어 바의 내외 측에 각각 연결된 제 1 하중 부여부 및 제 2 하중 부여부를 비롯하여 상기 제어 바의 내측에 연결된 제 1 하중 부여부와 상기 제 2 저장조의 바닥을 개폐하는 개폐 밸브를 연결한 개폐 스트링으로 구성된 시소 개폐부 및, 상기 개페 밸브의 개방 시 배출된 물을 상기 배변기로 공급하는 분사구를 포함하는 제 2 저장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애완동물 배변기용 친환경 청소 장치{ECO-FRIENDLY CLEANING DEVICE FOR EVACUATING APPARATUS FOR PET}
본 발명은 애완동물 배변기용 친환경 청소 장치로서, 보다 상세히는 애완동물 배변기에서 애완동물의 배변을 물로서 청소를 하도록 하되 복수 개로 마련된 저장조에 물 공급을 순차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애완동물이 배변 후 일정 시간 뒤에 청소를 하도록 함으로써 배변 시 애완동물이 놀라거나 아니면 청소가 늦어 악취가 주변에 확산되는 현상을 차단함과 동시에 청소 딜레이 시간 부여 방식을 기계식 방식으로 추구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하는 것은 물론 환경 친화적인 방식을 추구하도록 하는 애완동물 배변기용 친환경 청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애완동물은 사전적 의미로서 사람이 좋아하여 가까이 두고 귀여워하는 동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애완동물은 가장 친숙한 개, 고양이부터 금붕어, 새, 햄스터, 곤충류 등 실로 그 종류가 다양하다 할 것이다.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애완동물은 주인에게 즐거움과 웃음을 주고 편안한 휴식을 주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애완동물을 가족의 일부로 생각하고 키우는 사람들이 많이 늘어나고 있으며, 애완동물에 주는 재롱이나 정을 통해 우울증 치료효과는 물론 노인들의 치매성 질환의 예방 효과도 얻고 있다.
이와 같은 애완동물 중에서 예를 들어 개 또는 고양이와 같은 동물은 도시의 경우 주로 실내에서 생활하도록 키워지고 있는바, 이러한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처리하기 위해 실내에 신문지나 패드를 깔고 신문지나 패드 위에 소변이나 대변을 배설하도록 유도하는 훈련을 통해 애완동물, 특히 애완견이 이러한 패드나 신문지에 용변을 배설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공동주택의 일반적 주거환경 변화에 따라 마당의 개념이 사라지면서부터 대부분 실내의 거실이나 방에서 사람과 가장 가까운 곳에 두고 문자 그대로의 애완용으로 기르고 있기 때문에 애완동물의 배변을 원활하게 치우는 것이 중요한 문제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패드나 신문지를 깔아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처리할 경우에 사용하고 난 후의 패드나 신문지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적지 않은 불편함이 뒤따르고, 패드의 구입에 따른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하고 난 후의 패드나 신문지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위생적으로도 상당히 불결한 문제가 따른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더불어, 애완동물로부터 배설되는 대소변으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는 애완견을 실내에서 키울 때 해결해야 하는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 즉,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패드나 신문지를 이용하지 않고 보다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기술들이 게시되고 있는바, 등록실용신안 제20-0410598호인 '애완견 배설물 처리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5 내지 10ㅀ로 경사지게 고정 설치된 배설판과, 상기 배설판에 물을 공급하여 배설물을 제거하는 물 분사장치와, 본체의 일 측에 부가되어 상기 물 분사 장치에 의해 이동되는 배설물을 수거하는 수거함으로 구성된 기술을 게시하고 있다.
또한, 공개특허 제10-2011-0030009호인 애완견 위생 자동변기기는 애완견를 지지할 수 있는 넓은 발판과 배설물이 외부로 튀지 않도록 전방의 커버 돔과 배설물의 안착 홈이 형성되어 전방의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배출구는 하부방향으로 역 U형으로 된 배수로를 형성하고 배수로의 측면에 개폐가 가능한 연결구를 구성하고, 상기 배설물의 안착 홈의 후방에는 구성한 물 분사 노즐과 상기 물 분사 노즐에 연결된 외부공급호스 연결구와 상기 외부공급호스가 연결된 연결구에는 물의 공급과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한 개폐밸브로 구성된 기술을 게시한다.
이러한 기술에 의하면, 애완동물이 배설을 한 배설판의 배설물을 물을 이용하여 위생적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처리한다는 특성이 제공될 수 있으나, 애완견이 용변을 보고 난 직후 물을 강제로 분사시키는 문제가 있어 애완동물이 분사되는 물에 의해 놀라게 되어 용변을 보는 것을 꺼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세척된 배변판 내의 배설물을 주인이나 가족들이 직접 분리하여 따로 제거하여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롭고 편의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 기술의 구성이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생산단가의 증대를 유도하여 소비자들의 구입비용에 부담을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애완동물의 용변을 세척하기 위해 물을 분사하고자 할 경우 물 분사장치를 애완동물의 주인이나 가족이 직접 작동시켜야만 물이 분사되어 처리되기 때문에 애완동물이 용변을 볼 때 항상 주변에 상주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애완동물의 용변을 바로 처리하지 못할 경우에는 역시 악취에 의한 실내 오염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애완동물 배변기의 용변을 말끔하게 청소하도록 하되, 애완동물의 배변 직후에 곧바로 배변기에 물청소를 위한 물이 공급되어 애완동물을 놀라게 하거나 아니면 너무 늦게 공급되어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를 차단하기 위해 복수 개의 저장조의 유기적 연동에 의해 물 공급 시간의 적절한 인터벌을 갖도록 하는 신규하고 진보한 청소장치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애완동물용 배변기에 청소용 급수를 하되, 복수 개의 저장조의 유기적 연동에 따라 배변 직후 또는 배변 후 오래된 시간에 물이 공급되지 않고 적절한 시간 이후 물이 공급되도록 하여 애완동물이 놀라거나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를 차단하도록 하는 애완동물 배변기용 청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를 이용하지 않고 기계식으로 물 공급 딜레이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여 환경 친화적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장조에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배변기에 물을 공급하는 시점을 제어하도록 복수 개의 저장조가 연결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배변기에 스프링 방식으로 회동되는 구성을 구축하여 올라왔을 때 놀라지 않고 배변기에 올라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스프링에 의한 회동에 의해 물 공급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부레를 승강하면서 개폐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되 부레 승강 속도를 차등 처리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별도의 타이머 기능을 제공하는 저장조를 이용하여 개폐 밸브를 개폐 시간을 제어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기용 친환경 청소 장치는, 애완동물의 배변을 수용하는 것으로, 애완동물의 하중에 의해 힌지를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하강 회동하는 회동부를 구비한 배변기; 상기 배변기에 청소를 위한 물을 분사하는 물 공급 어셈블리;로 구성되되, 상기 물 공급 어셈블리는, 급수부로부터 외부의 물을 공급받는 제 1 저장조와, 상기 회동부에 연결된 스트링의 승강에 따라 상기 제 1 저장조의 하부에 형성된 개폐 밸브를 개폐 처리하는 개폐부 및, 상기 개폐 밸브의 개방 시 상기 제 1 저장조의 물을 배출하는 전달부를 포함하는 제 1 저장장치; 상기 제 1 저장조의 하부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전달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제 2 저장조 및, 상기 제 2 저장조의 측벽에 형성된 중심대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저장조의 내부에서 외부로 연장된 제어 바 및 상기 제어 바의 내외 측에 각각 연결된 제 1 하중 부여부 및 제 2 하중 부여부를 비롯하여 상기 제어 바의 내측에 연결된 제 1 하중 부여부와 상기 제 2 저장조의 바닥을 개폐하는 개폐 밸브를 연결한 개폐 스트링으로 구성된 시소 개폐부 및, 상기 개페 밸브의 개방 시 배출된 물을 상기 배변기로 공급하는 분사구를 포함하는 제 2 저장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기용 친환경 청소 장치에 의하면,
1) 전기를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2) 물에 의해 물 공급 시간을 제어할 수 있어 비용이 절감되며,
3) 제작비용이 절약되고 유지 및 보수가 간편함과 동시에,
4) 다양한 부레 및 밸브 구성, 보조적인 저장조 및 시소에 제공되는 하중 부여 방식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디테일하게 물 공급 시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기용 친환경 청소 장치의 개략적인 외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저장 장치의 회동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애완동물 배변기용 친환경 청소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3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기용 친환경 청소 장치는 애완동물 배변기를 통해 애완동물이 배변을 하였을 때 물을 이용하여 배변기를 청소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특히 전기를 이용하지 않고 기계적인 방식으로 청소를 수행하는 환경 친화적인 기술을 제공함과 아울러 애완동물이 배변을 한 뒤에 너무 빠르거나 늦지 않는 적절한 딜레이 시간을 가진 다음 물청소를 실행하여 애완동물이 놀라지 않도록 할 뿐 아니라 배변 후 악취가 남는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는 주요 특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딜레이 시간을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물의 흐름 및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내지 제 2 저장장치를 구비하고 있는바, 이러한 저장장치의 체적과 후술할 다양한 구성의 사이즈 내지 길이 등의 조절에 따라 딜레이 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나, 가급적 애완동물이 배변을 본 후 적절한 인터벌, 즉 20 내지 40초 이후에 청소가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여기서, 애완동물의 배변을 청소하는 기능은 소변 및 대변 모두를 청소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물을 이용하여 배변기 내의 배설물을 쓸어낸다는 작용에 의거하여 바람직하게는 소변 청소에 특화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애완동물은 가정 등에서 키우는 다양한 동물을 지칭하는 것으로 특정 동물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배변기에 올라와 배변을 할 수 있는 동물, 예를 들어 애완견 내지 고양이를 주요 대상으로 한다고 설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기용 친환경 청소 장치의 개략적인 외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청소 장치는 공지의 애완동물 배변기의 구성, 즉 배변기(100)를 포함한 상태에서 청소 시 필요한 물의 흐름을 제어하면서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 어셈블리(200)가 배변기(100)와 일체형 또는 조립형, 부착형으로 결합된 상태를 취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크게 애완동물이 올라와 배변을 보고 배변을 저장하는 배변기(100)와, 상기 배변기(100)에 물을 분사하여 배변기(100)에 저장된 배변을 물로서 청소하는 물 공급 어셈블리(200)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변기(100)는 애완동물의 배변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배변을 저장하고 물 공급 어셈블리(200)의 물을 받아 청소가 이루어지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애완동물이 안착되어 배변을 하는 곳인 네트(110)와, 애완동물의 배변을 임시 저장하는 배변 받이(120), 애완동물이 네트에 올라왔을 때 이를 감지하여 물 공급 어셈블리(200)를 구동시키는 회동부(130)로 구성이 되어 있다.
우선, 네트(110)는 공지의 배변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으로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얇은 패널 형태로 이루어져 배변 받이(120)의 상부에 탈착 방식으로 장착이 되는 것이다.
즉, 네트(110)는 애완동물이 올라와 배변을 할 수 있는 편평하고 넓은 공간을 제공함과 아울러 배변, 특히 소변이 배변 받이(120)로 전달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통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배변 받이(120) 내의 배변을 수거하거나 청소하기 위하여 네트(110)는 배변 받이(120)에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이 되는바, 구체적으로 이러한 네트(110)는 회동부(130)의 회동 프레임(131)의 단턱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탈부착 결합이 가능하다.
배변 받이(120)는 상기 네트(110)의 통공을 통해 애완동물의 배변(주로 소변)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네트 하부에 일정한 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배변 및 후술할 물 공급 어셈블리(200)에서 분사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121)이 형성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물 공급 어셈블리를 통해 직접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물 공급 어셈블리 측에 통공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회동부(130)는 상기 네트(110)에 애완동물이 올라왔을 때 애완동물의 하중을 이용하여 애완동물의 존재를 감지한 다음 물 공급 어셈블리(200)의 구동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다시 말해 전자식 센서 없이 기계식에 의하여 애완동물의 존재 감지 후 물 공급 어셈블리(200)를 구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기계식으로 네트(110) 위에 올라온 애완동물의 존재를 감지하면서 물 공급 어셈블리(2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방식은 여러 기계적 구성이 존재할 수 있겠으나, 본 발명에서는 구성의 간소화에 따른 제작비용의 절감과 오작동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스프링(133)을 이용한 힌지 방식으로 네트 상의 애완동물의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동이 되면서 이에 연결된 스트링이 하강함으로 역시 스트링에 연결된 물 공급 어셈블리(제 1 저장 장치)(200)의 구동을 실행하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저장 장치의 회동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회동부(130)는 회동 프레임(131), 힌지(132), 스프링(133), 스프링 수용구(134)를 포함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되, 추가적으로 걸림쇠(135)와 걸림공(136)을 구비한다.
회동 프레임(131)은 네트(110)의 하부에서 둘레(단턱)에 걸쳐지는 방식으로 네트(110)를 수용함과 아울러 애완동물이 네트(110)에 올라왔을 때 힌지(132)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 하강 회동 후 스프링(133)에 의해 상승 복원 회동을 하는 것으로서, 네트(110)의 통공을 통해 배변 받이(120)로 배변이 하강할 수 있도록 가운데 부위가 개방된 상태에서 둘레 부위를 따라 내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단턱을 통해 네트(110)를 안착 고정함과 더불어, 일 측(물 공급 어셈블리)의 하부에는 스프링(133)이 연결되어 스프링(133)의 길이만큼 약간 들뜬 상태를 가지고, 타 측의 하부에는 힌지(132)가 연결되어 있다.
즉, 회동 프레임(131)은 초기 상태에서 스프링(133)에 의해 물 공급 어셈블리(200) 측 부위가 1 내지 5 ㅀ가량 상측으로 떠 있는 상태를 가지다가, 애완동물이 네트(110)로 올라오면 스프링(133)이 압축됨과 동시에 힌지(132)에 의해 수평하게 하강 회동되고, 애완동물이 내려오면 스프링(13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 위치로 상승 회동이 된다.
상기 각도 범위에서 회동 플레임이 배변 받이에 장착되거나 회동되는 이유는 각도 변이가 심하게 되면 애완동물이 놀라게 될 소지가 다분하여 차후에 애완동물이 네트(110)에 올라와 배변을 하지 않을 개연성이 있기 때문이며, 즉 상기 각도 범위 이내일 때 애완동물이 회동 프레임(110)의 회동에 크게 놀라지 않으면서도 후술할 외부 스트링(321)의 변화에 의해 개폐 밸브(325)가 원활히 작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힌지(132)는 상기 회동 프레임(131)에서 물 공급 어셈블리(200)의 대향 측에서 배변 받이(120)의 일 측과 연결 형성되어 회동 프레임(131)의 회동을 도모하고, 스프링(133)은 역시 배변 받이(120)의 스프링 수용구(134)와 회동 프레임(131)의 물 공급 어셈블리 측 부위 사이에 형성되어 탄성에 의해 회동 프레임(131)의 복원을 도모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즉, 스프링(133)은 배변 받이(120)에 형성된 스프링 수용구(134)에 끼움 결합이 된 상태에서 그 상단이 회동 프레임(131)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스프링(133)은 회동 프레임(131)의 복원을 위한 탄성을 제공하기도 하나, 더 나아가 회동 프레임(131)이 애완동물의 하중에 의해 하강 회동을 할 때도 급격하게 하강되지 않고 스프링(133)의 반동에 의해 서서히 회동될 수 있도록 하여 애완동물이 놀라지 않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회동부(130)에 의하여, 애완동물이 배변기(네트)에 올라왔을 때 회동 프레임(131)이 하강 회동하면서 후술할 제 1 저장장치(300)의 개폐부(320)의 외부 스트링(321)을 잡아 당겨 개폐 밸브(325)를 열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회동부(130)는 걸림쇠(135)와 걸림 공(136)을 구비하는바, 걸림쇠(135)는 마치 ㄷ 자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면서 스프링(133)이 형성된 회동 프레임(131)의 일 측 부위와 배변 받이(120)에 형성된 걸림 공(135)에 끼움 결합되는 방식으로, 회동 프레임(131)과 배변 받이(120)를 고정 연결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 스프링(133)이 외부로 이탈되거나 불필요하게 회동 프레임(131)이 상승 회동하는 문제를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이러한 걸림쇠(134)가 장착된 상태에서도 회동 프레임(131)의 원활한 회동을 도모하기 위하여 걸림쇠(134)는 신축성 재질로 형성되어 네트(110)에 애완동물이 올라와 스프링(133)이 압축이 될 때 수축이 함께 되면서 회동 프레임(131)이 하강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애완동물 배변기용 친환경 청소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물 공급 어셈블리(200)는 상기 배변기(100)에 저장된 배변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물을 공급하되, 단순히 물을 공급하는 차원을 넘어서 물을 공급하는 시점을 딜레이 또는 인터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애완동물이 배변을 할 때 물이 즉시 공급됨으로 애완동물을 놀라게 하거나 아니면 애완동물이 배변을 한 후 한참 뒤에 물을 공급함으로 배변 악취가 주변으로 퍼져 나가는 현상을 차단하는 핵심적 기능을 제공한다.
즉, 물 공급 어셈블리(200)는 물 공급은 물론 물 공급에 대한 딜레이 시점을 제어할 수 있는 역할을 제공한다.
이러한 물 공급 어셈블리(200)는 상기 배변기(100)와 일체적 또는 탈착식으로 결합이 되어 있고, 하우징(210) 내에 복수 개의 저장장치는 물론 다양한 구성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배변기(100)를 하우징(210)에 밀착시켜 이용함으로써 공지의 배변기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사용자가 하우징, 즉 물 공급 어셈블리(200)만 구입할 수 있고, 아니면 요철식 결합부를 매개로 상호 끼움 결합을 하는 방식을 제공하여 배변기(100)와 하우징(210)을 탈부착 방식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물 공급 어셈블리(200)는 배변기(100)에 물을 공급하는 시점을 조절(즉, 일정 시간 딜레이 처리)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저장장치를 하우징(210) 내에 구비하고 있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하우징(210)은 개폐 가능한 커버(211) 및 배변기 방향을 향한 분사구(220)를 구비하고 있는바, 분사구(220)는 후술할 제 2 저장장치(400)에서 배출관(455)을 통해 최종적으로 토출된 물을 배변기(100)로 분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배출관의 단부에서 여러 갈래의 분사구(220)로 분기되는 것 뿐 아니라 분사구의 노출 단에 분사 노즐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고 분사 위치에 따라 상부 분사구(221)와 하부 분사구(222)를 복수 개로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부 분사구(221)는 네트(110) 상면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것으로 네트(110)에 묻은 배변을 세척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하부 분사구(222)는 상부 분사구(221)보다 하측에 위치하거나 더 구체적으로 네트(110)의 하부, 즉 배변 받이(120)로 직접적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하는바 이 경우 하부 분사구(222)는 도면에 도시된 위치보다 더 낮은 위치, 즉 배변 받이(120)의 상부 측부에 직접 관통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더불어 이러한 분사구(220)는 단지 하나로만 형성되어 있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로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물 공급 어셈블리(200)는 하우징(210) 내에 제 1,2 저장 장치(300,400)를 구비하며 이들을 차례대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제 1 저장 장치(300)는 외부의 급수부(23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배변기(100)에 애완동물이 올라왔을 경우 제 1 저장조(310) 내의 물을 개폐 밸브(325)로 전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제 1 저장조(310), 부레 장치(390) 및 개폐부(320), 전달부(370)를 포함한다.
우선 급수부(230)는 제 1 저장조(310)에 물을 공급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다시 말해 배변기에 물을 공급하거나 공급 시간을 딜레이 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필요한 외부의 물을 물 공급 어셈블리(200)의 제 1 저장조(310)에 공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급수부(230)는 정수기 또는 급수 탱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급수 베이스(232)와 급수관(231)으로 이루어져 있다.
급수 베이스(232)는 제 1 저장조(310)에 공급할 물을 저장하는 기능을 가진 것으로, 이는 일반적으로 가정 내에 구비된 정수기 또는 별도의 급수 탱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급수 탱크는 상부에 개폐 커버가 형성된 물통과 같은 것으로 정수기에서 급수관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번거롭거나 불편할 경우 대안이 되는 것으로 간단한 구조에 의해 사용 중 개폐 커버를 오픈하여 물을 채워가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급수관(231)은 급수 베이스(232)와 제 1 저장조(310)를 연결하여 급수 베이스(232)의 물이 제 1 저장조(310)로 흘러가는 관로 역할을 하고, 이 때 급수관(231)의 단부는 부레 장치(390)와 연결이 되어 부레의 승강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면서 중력에 대항하는 힘의 작용에 따라 수량을 제어하는 체크밸브 기능을 겸비할 수 있다.
아니면 별도의 기계식 체크밸브를 급수관(231)의 단부에 추가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한바, 이러한 체크밸브는 후술할 제 1 저장 장치(300)의 부레 장치(390)와 함께 연동되어 기계식으로 구성된 것으로, 현재 공지된 양변기에서 물 공급을 조절하는 체크 밸브와 유사한 기능을 하므로 구체적인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1 저장조(310)는 급수부(230)에서 공급된 물을 저장하는 것으로서, 도 1,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높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형상을 가진 상태에서 개폐부(320)에 의한 물 흐름 제어에 의해 전달부(370)로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후술할 제 2 저장조(410) 상부에 안착되어 있는 것과 같은 구조를 취한다.
이러한 제 1 저장조(310)의 상면에는 커버(311)가 별도 형성되어 제 1 저장조(310) 내의 후술할 구성을 설치하거나 보수 처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개폐부(320)는 상기 배변기(100)에 애완동물이 올라왔을 때 제 1 저장조(310)의 하부에 형성된 개폐 밸브(325)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외부 스트링(321), 바(323), 중심대(322), 내부 스트링(324), 개폐 밸브(325)로 구성되어 있다.
외부 스트링(321)은 상기 회동 프레임(131)과 외부로 노출된 바(323)의 일 부위를 연결하고, 바(323)는 중심대(322)를 기준으로 시소와 유사하게 회동이 가능한 것으로 제 1 저장조(310)의 내부에서 외부로 이어지기까지 연장이 되어 있으며 내부 스트링(324)은 제 1 저장조(310) 내의 바(323)의 일 부위와 개폐 밸브(325)를 연결하며, 개폐 밸브(325)는 제 1 저장조(310)의 하부에 형성되어 공지의 양변기에서와 같이 힌지식으로 개폐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개방이 되었을 때 제 1 저장조(310)의 하부에 형성된 전달부(370)로 물을 전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 때, 개폐 밸브(325)의 재질은 물보다 가벼운 재질, 즉 비중이 0.7 내지 0.9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중심대(322)는 바(323)의 일 부위에 형성되어 제 1 저장조(310) 내에서 하우징(210) 외부까지 연장된 바(323)가 마치 시소와 같이 중심대를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중심점 역할을 제공한다. 이러한 중심대(322)는 제 1 저장조(310)의 측벽에서 바(323)가 회동될 수 있는 베어링과 같은 기계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제 1 저장장치(300)의 개폐부(320)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네트(110)에 애완동물이 올라와 배변을 시작하면 이 때 회동 프레임(131)이 스프링(133)의 압축과 함께 서서히 하강 회동을 하고, 회동 프레임(131)에 연결된 외부 스트링(321) 역시 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외부 스트링(321)에 연결된 외부로 노출된 바(323) 부위는 중심대(322)를 기준으로 하강 회동을 하고, 반대로 제 1 저장조(310) 내의 바(323) 부위는 상승을 하면서 내부 스트링(324)을 잡아 올려 개폐 밸브(325)를 개방하도록 한다. 이 때, 개폐 밸브(325)는 물보다 가벼운 비중으로 이루어져 있어 외부 스트링(321)의 약간의 이동에도 쉽게 개방이 될 수 있고 폐쇄 시도 마찬가지이다.
통상 애완동물이 배변을 하는 시간이 20 내지 30초라고 할 때, 개폐 밸브(325)가 개방되어 있는 시간 역시 이와 동일한 시간이 될 것이고, 애완동물이 네트(110)에서 내려오면 회동 프레임(131)이 원 위치로 상승하면서 외부/내부 스트링(321,324)의 변화에 따라 상술한 프로세스와 반대의 프로세스로 개폐 밸브(325)가 닫히게 된다.
이로써, 애완동물이 네트(110)에 오르고 내리는 이치에 따라 제 1 저장조(310)의 개폐 밸브(325)가 개폐되면서 제 1 저장조(310)의 하 측의 전달부(370)로 제 1 저장조(310) 내의 물을 전달한다.
부레 장치(390)는 물보다 비중이 작은 입체 형상을 가진 부레를 포함하여 제 1 저장조(310) 내의 수면에 떠 있는 것으로 물이 차오름에 따라 동시에 오르게 되고 이와 같이 부레가 수면의 상승과 더불어 올라갈 때 부레에 연결된 샤프트 역시 상승을 하면서 샤프트의 단부에 있는 체크밸브를 폐쇄 처리하거나 아니면 샤프트의 상승에 의하여 급수관 역시 상승을 함으로써 급수관(231)을 통해 급수되는 수압이 중력보다 작다는 가정 하에 급수를 멈추도록 한다.
즉 수면이 낮아 부레가 하방에 위치할 경우 샤프트 및 급수관(231)이 하방으로 쏠려 중력에 의하거나 체크밸브를 개방 처리하여 급수관(231)을 통해 물이 급수되고 반대로 수면이 높아 부레가 상 방향으로 상승할 경우 샤프트 및 급수관(231)이 상방으로 쏠려 체크 밸브를 패쇄 처리함으로써 급수관(231)에서 급수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기능, 즉 급수관(231)을 통해 급수되는 상태를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 때, 도면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샤프트 및 급수관(231)은 제 1 저장조(310)의 측벽에서 힌지 방식으로 상하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도록 하여, 샤프트 및 급수관(231)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 급수관(231)의 승강 상태에 따라 급수 제어가 가능하다.
전달부(370)는 상기 제 1 저장조(310)의 하측에서 제 1 저장조(310)의 개폐 밸브(325)의 개방을 통해 배출된 물을 제 2 저장조(410)로 전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후술할 부레 개폐부(390)의 구성을 선회하여 제 2 저장조(410)의 바닥 부위까지 연장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달부(370)의 일 측에는 수량 조절 밸브(371)가 형성되어 있는바, 이는 밸브의 개폐 제어에 따라 직경 크기를 조절하는 방식으로서 측부에 형성된 나사산과 같은 레버를 조이고 푸는 방식에 의해 조절 가능하다.
이러한 수량 조절 밸브(371)는 제 2 저장조(410)에 공급되는 수량을 제어하여 전체적으로 분사구(220)를 통해 배변기(100)에 물이 공급되는 시간을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2 저장장치(400)는 제 1 저장장치(300)의 하부에 구성되는 것으로, 배변기(100)에 분사구(220)를 통해 실질적인 물을 공급하여 물청소를 수행하도록 하되, 물이 차오르는 시간에 따라 물 공급 타이밍을 조절하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 2 저장장치(300)는 제 2 저장조(310), 끼움부(390), 부레 개폐부 및 끼움부 및 배출공(450)과 배출관(455)을 포함하고 있다.
제 2 저장조(200)는 하우징(210) 내에서 제 1 저장조(310)의 하부에 위치한 것으로, 즉 중력을 이용하여 제 1 저장조(310)의 물을 전달받아 배변기(100)로 물을 공급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 때 제 2 저장조(410)의 상부는 제 1 저장조(310)의 하부보다 약간 더 벌어져 있는 끼움부(480)를 구비하여 이 끼움부(480)에 제 1 저장조(310)가 끼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제 1,2 저장조(310,410)의 견고하면서 결합이 용이한 탈부착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시소 개폐부(430)는 제 2 저장조(410)의 개폐 밸브(420)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제어 바(431)와 중심대(432) 및 볼 수용부(433)와 제어 볼(434), 제 1,2 하중 부여부, 개폐 스트링(436)과 개폐 밸브(420)를 구비한다.
제어 바는 중심대를 기준으로 시소와 같이 회동이 되는 것으로, 양 측에는 제 1,2 하중 부여부가 형성되어 있어 이러한 제 1,2 하중 부여부의 하중 조절에 따라 제어 바가 회동되도록 한다.
하중 부여부는 여러 가지의 하중을 제공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도 3을 참조하면, 제 1 하중 부여부는 공기 부레로 형성이 되고, 제 2 하중 부여부는 제어 볼을 내부 공간에 수용한 볼 수용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공기부레는 내부 공기를 주입하고 물보다 비중이 작은 케이스로 이루어진 것으로, 추가적으로 이 공기 부레의 하부에는 나사산 방식으로 탈부착 결합이 가능한 추가 하중 부여부가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추가 하중 부여부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플레이트 형태를 지닌 것으로, 공기 부레의 무게가 반대 측의 볼 수용부의 무게보다 지나치게 가벼울 경우 추가 하중을 선택적으로 부가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볼 수용부는 측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된 공간 내에 제어 볼이 좌우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 것으로, 이 때 제어 볼의 무게와 직경 역시 금속의 밀도에 따라 다양한 것을 선택할 수 있다.
개폐 스트링(436)은 공기 부레(435)의 하부와 개폐 밸브(420)를 연결한 것으로 공기 부레(435)의 승강에 따라 같이 승강되면서 개폐 밸브(420)를 개폐 처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개폐 밸브(420)는 배출공(450)을 개폐 처리하는 것으로, 개폐 스트링(492)의 승강에 따라 개폐가 되며, 배출공(450)으로 배출된 물은 배출관(455)을 따라 분사구(220)로 연결이 되어 배변기(100)에 물청소를 위한 물을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시소 개폐부의 작용에 대해 설명을 하면, 제 2 저장조에 물이 차오르면 당연히 공기 부레가 상승되면서 개폐 밸브를 개방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생각보다 빨리 개폐 밸브가 개방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의도하는 바와 같이 개폐 밸브의 개방 딜레이 시간을 확보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제어 바를 사이에 두고 공기 부레의 대향 측에 볼 수용부와 같은 하중 부여부에 의하여 부레가 신속하게 떠 오르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개폐 밸브의 개방 딜레이 시간을 확보하도록 하는 작용을 수행한다.
즉, 제 2 저장조에 물이 차오르면 공기 부레가 상승하는데 반대 측의 볼 수용부에 의해 저항을 받아 볼 수용부가 없을 때보다 떠오르는 시간이 딜레이가 되다가 수평 상태가 깨진 경우에 갑자기 볼 수용부의 제어 볼이 외측 방향으로 굴러가면서 공기 부레가 급히 상승할 수 있어 개폐 스트링의 상승과 함께 개폐 밸브도 신속히 상승을 하여 물청소를 할 수 있는 충분한 수압을 배변기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4는 도 3의 변형 실시예에 대해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에 따른 실시예는 도 3과 달리, 제 1, 2 저장조(310,410) 사이에 보조 저장조(380)를 추가로 구비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4에 따른 변형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저장조(310)의 하부에는 보조 저장조(380)가 개방형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전달부(370)는 이러한 보조 저장조(380)에서부터 제 2 저장조(410)로 연장이 된다.
또한, 보조 저장조(380)의 일 측에서 제 1 저장조(310)의 외측벽을 따라 수직하게 형성된 통로가 존재하는바 이 통로는 에어를 배출하는 에어 유출관(375)이다.
이러한 에어 유출관(375)은 제 2 저장조(410) 상부에서 외부로 유통되게 별도로 형성되어 있는 것도 가능한바, 이 에어 유출관(381)은 제 2 저장조(410) 상부의 공기를 빼내어 부레(490)의 상승 시 공기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보조 저장조(380)는 제 1 저장조(310)에서 곧바로 제 2 저장조(410)로 물을 공급하지 않고 일단 이를 거친 다음 제 2 저장조(410)로 물을 공급하도록 하는 중간 통로 역할을 제공하는바, 이는 제 1 저장조(310)에서 급격히 하방으로 물이 배출될 때 적지 않게 발생되는 기포를 외부로 방출함과 동시에 개폐 밸브(420)에서 전달부(370)로 다이렉트로 연결되어 물이 공급될 경우보다 물 공급 딜레이 시간을 더욱 확보하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더불어 도 4에서는 제 1 하중 부여부가 무게 추(438)가 되고, 제 2 하중 부여부가 추가 저장조(437)로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때, 제어 바(431)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리세스(431a)가 함임 형성되어 있어 이 리세스(431a)의 위치에 따라 무게 추(438)가 걸리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개폐 스트링(436)이 상승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더불어 전달부(370)에서 공급되는 물은 추가 저장조(437)에 직접 공급이 되는바, 추가 저장조(437)는 제어 바(431)의 무게 추 대향 측에 장착이 되어 있고 하부에는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 배수공이 구비되어 있다.
즉, 전달부(370)에서 공급되는 물이 추가 저장조(437)에 차되 배수공의 직경이 작아 공급량보다 배출량이 작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하중이 부여되어 대향 측의 무게 추(438)를 들어 올리게 되어 개폐 스트링(436)을 상승시키면서 개폐 밸브(420)를 개방 처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때, 개폐 밸브(420)가 추가 저장조(437)에 서서히 물이 차오르면서 서서히 열리게 되어 배변기(100)로 충분한 수압이 제공되지 못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별도의 추가 급수라인(415)을 통해 제 2 저장조(410)에 급수를 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추가 급수라인(415)의 제 2 저장조 내측 단부에는 부레(490)가 장착되어 추가 급수라인(415)의 급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더불어, 전달부(370)와 별도로 형성된 추가 전달부(377)는 물 공급 시간 조절을 위하여 보조 저장조(380)의 물을 제 2 저장조(410) 내부로 다이렉트로 보내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제 2 저장조에 물이 차오르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청소장치를 정리하면, 물을 통해 배변기(100) 청소를 수행함과 동시에 제 1,2 저장조(310,410)에 공급된 물의 이동 시간을 조절함에 따라 배변기(100)로의 물 분사 시간을 딜레이 처리하도록 한다.
이 때, 제 1 내지 2 저장조(310,410) 각각의 체적 및 스트링 각각의 탄성, 물이 흐르는 각종 관 각각의 직경, 개폐 밸브 및 부레의 비중, 시소 개폐부의 제 1,2 하중 부여부의 하중 등에 관련된 변수, 즉 파라미터(parameter) 차이에 따라 애완동물이 배변한 후에 물이 배변기로 분사되는 인터벌이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애완동물의 배변이 이루어지고 10 내지 40 초 후에 배변기로 물이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 애완동물에게 자극을 주지 않음과 동시에 청결 및 악취 발생 방지를 위해 보다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배변기용 친환경 청소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배변기 110: 네트
120: 배변 받이 121: 배출관
130: 회동부 131: 회동 프레임
132: 힌지 133: 스프링
134: 스프링 수용구 135: 걸림쇠
136: 걸림공 200: 물 공급 어셈블리
210: 하우징 211: 커버
220: 분사구 221: 상부 분사구
222: 하부 분사구 230: 급수부
231: 급수관 232: 급수 베이스
300: 제 1 저장 장치 310: 제 1 저장조
311: 커버 320: 개폐부
321: 외부 스트링 322: 중심대
323: 바 324: 내부 스트링
325: 개폐 밸브 370: 전달부
371: 수량 조절 밸브 375: 에어 유출관
377: 추가 전달부 380: 보조 저장조
381: 에어 유출관 390: 부레 장치
400: 제 2 저장장치 410: 제 2 저장조
415: 추가 급수 라인 420: 개폐 밸브
430: 시소 개폐부 431: 제어 바
432: 중심대 433: 볼 수용부
434: 제어 볼 435: 공기 부레
435a: 추가 하중 부여부 436: 개폐 스트링
437: 추가 저장조 438: 무게 추
450: 배출공 455: 배출관
490: 끼움부

Claims (8)

  1. 애완동물 배변기용 친환경 청소 장치로서,
    애완동물의 배변을 수용하는 것으로, 애완동물의 하중에 의해 힌지를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하강 회동하는 회동부를 구비한 배변기;
    상기 배변기에 청소를 위한 물을 분사하는 물 공급 어셈블리;로 구성되되,
    상기 물 공급 어셈블리는,
    급수부로부터 외부의 물을 공급받는 제 1 저장조와, 상기 회동부에 연결된 스트링의 승강에 따라 상기 제 1 저장조의 하부에 형성된 개폐 밸브를 개폐 처리하는 개폐부 및, 상기 개폐 밸브의 개방 시 상기 제 1 저장조의 물을 배출하는 전달부를 포함하는 제 1 저장장치;
    상기 제 1 저장조의 하부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전달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제 2 저장조 및, 상기 제 2 저장조의 측벽에 형성된 중심대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저장조의 내부에서 외부로 연장된 제어 바 및 상기 제어 바의 내외 측에 각각 연결된 제 1 하중 부여부 및 제 2 하중 부여부를 비롯하여 상기 제어 바의 내측에 연결된 제 1 하중 부여부와 상기 제 2 저장조의 바닥을 개폐하는 개폐 밸브를 연결한 개폐 스트링으로 구성된 시소 개폐부 및, 상기 개페 밸브의 개방 시 배출된 물을 상기 배변기로 공급하는 분사구를 포함하는 제 2 저장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기용 친환경 청소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변기는,
    애완동물의 배변을 수용하는 배변 받이;
    일 측은 상기 배변 받이에 형성된 힌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배변 받이의 스프링 수용부에 장착된 스프링 상에 1 내지 5ㅀ 상향 지지된 회동 프레임을 포함하는 회동부;
    상기 회동 프레임의 둘레에 끼움 결합되되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네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기용 친환경 청소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 1 저장조 내에서 외부에 이르기까지 연장되되 상기 제 1 저장조의 측벽에 형성된 중심대를 기준으로 시소 방식으로 회동되는 바;
    상기 회동 프레임에서 상기 바의 외부 노출 부위를 연결하는 외부 스트링;
    상기 제 1 저장조의 개폐 밸브에서 상기 바의 제 1 저장조 내 부위를 연결하는 내부 스트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동 프레임이 하강 회동할 때 상기 바의 회동으로 상기 내부 스트링이 상승하여 상기 개폐 밸브를 개방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기용 친환경 청소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장 장치는,
    상기 제 1 저장장치의 개폐 밸브가 개방되었을 때 물을 공급받는 추가 저장조를 구비하되, 상기 추가 저장조는,
    외부로 연결된 에어 유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기용 친환경 청소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중 부여부는,
    상기 제 2 저장조의 일 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장된 샤프트에 장착이 된 부레로 형성되어 상기 부레가 스트링에 의해 상기 제 2 저장조의 개폐 밸브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하중 부여부는,
    일정 길이로 연장된 상태에서, 내부 중공 공간에 제어 볼을 수용한 볼 수용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기용 친환경 청소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중 부여부는,
    무게 추로 이루어져 상기 제어 바에 매달리고,
    상기 제 2 하중 부여부는,
    상기 전달관의 물을 직접 공급받되 하 측에 배수공을 구비한 추가 저장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기용 친환경 청소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바의 표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함입 형성된 리세스가 형성되고,
    상기 무게 추는, 상기 리세스에 걸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기용 친환경 청소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저장조는,
    추가 급수 라인을 통해 외부의 물이 추가로 공급되고,
    상기 제 2 저장조의 내 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장된 샤프트에 연결된 부레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배변기용 친환경 청소 장치.
KR1020110044277A 2011-05-11 2011-05-11 애완동물 배변기용 친환경 청소 장치 KR201201264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277A KR20120126470A (ko) 2011-05-11 2011-05-11 애완동물 배변기용 친환경 청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277A KR20120126470A (ko) 2011-05-11 2011-05-11 애완동물 배변기용 친환경 청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6470A true KR20120126470A (ko) 2012-11-21

Family

ID=47511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4277A KR20120126470A (ko) 2011-05-11 2011-05-11 애완동물 배변기용 친환경 청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64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39382A (zh) * 2017-08-14 2017-12-08 贵州万牛牧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牛养殖用的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39382A (zh) * 2017-08-14 2017-12-08 贵州万牛牧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牛养殖用的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5387B1 (ko) 애완동물의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US8863693B2 (en) Animal toilet
US3757738A (en) Animal commode
RU2632940C2 (ru) По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животных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поиль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животных
KR102330905B1 (ko) 반려동물용 배변판
US6857391B1 (en) Animal toilet enclosure
US5791288A (en) House animal toilet with automatic self-cleaning
CA2883435A1 (en) Animal watering device
US8434426B2 (en) Pet toilet
KR101282200B1 (ko) 애완동물 배변기용 친환경 청소 장치
CN209749426U (zh) 一种具有自动清洗功能的宠物笼
TWI386159B (zh) Automatic cleaning of excrement pet potty
KR101176412B1 (ko) 애완동물 배변기용 친환경 청소 장치
KR100894855B1 (ko) 축사용 자동급수기
US2013031933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a toilet as a water supply for pets
KR20120126470A (ko) 애완동물 배변기용 친환경 청소 장치
CN210017385U (zh) 一种宠物厕所
KR200463634Y1 (ko) 애완견 소변기
KR20110135527A (ko) 애완동물 자동 수세식 화장실
KR200463633Y1 (ko) 애완견 소변기
CN210017470U (zh) 一种全自动养鸟系统
CN209749408U (zh) 一种翻转清洗的宠物马桶
CN212520341U (zh) 宠物用智能全自动冲便器
KR101260479B1 (ko) 반려동물 자동 수세식 화장실
CN2472494Y (zh) 宠物便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