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5904A - 이온수 생성장치 - Google Patents

이온수 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5904A
KR20120125904A KR1020110043643A KR20110043643A KR20120125904A KR 20120125904 A KR20120125904 A KR 20120125904A KR 1020110043643 A KR1020110043643 A KR 1020110043643A KR 20110043643 A KR20110043643 A KR 20110043643A KR 20120125904 A KR20120125904 A KR 20120125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onized water
ionized
discharge
water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3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성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타컬티베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타컬티베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타컬티베이션
Priority to KR1020110043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5904A/ko
Publication of KR20120125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59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1/4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 C02F1/48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located on the outer wall of the treatment device, i.e. not in contact with the liquid to be treated, e.g. detach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4Seals, conne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온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수돗물을 투입시키면 자기력에 의해 이온수를 발생시키는 이온수 생성부(100)가 구비되되, 상기 이온수 생성부(100)는, 몸체(110)의 내부 상하로 관통된 구멍(111)에 조립 설치되며, 수돗물이 통과되는 유로관(114); 몸체(110)의 양측 간격유지대(113a)를 중심으로 복수개의 수용홈(113)에 각각 조립 설치되며, 자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115); 몸체(110)의 양측 안착홈(112)에 각각 조립 설치되며, 영구자석(115)과 접촉되어 자기장을 유도시키는 유도철판(116); 및 몸체(110)의 상단 안착홈에 조립 설치되며, 수돗물의 역류됨을 방지하는 마개(117);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지하수, 하천수, 수돗물 등을 이온화시킨 이온수를 농작물에 뿌려주면 토양의 유기물과 무기물을 신속히 용해하여 농작물의 성장을 돕는 동시에 토양의 토질이 산성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온수 생성장치{an apparatus of ion water}
본 발명은 이온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수, 하천수, 수돗물 등을 이온화시킨 이온수를 농작물에 뿌려주면 토양의 유기물과 무기물을 신속히 용해하여 농작물의 성장을 돕는 동시에 토양의 토질이 산성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이온수 또는 전해수(electro-analysised water, 電解水)는 수돗물이나 지하수 등의 일반적인 물에 전기적인 힘을 가해서 얻어지는 물로, 산성 이온수와 알칼리 이온수가 있는 것으로, 물에 양극과 음극의 백금도금을 한 티탄을 넣어 직류의 전기를 통하면, (+)극 쪽에는 물에 녹아 있는 음이온이 모이게 되어 산성 이온수가 되고, (-)극 쪽에는 양이온이 모여 알칼리 이온수가 생긴다. 산성 이온수의 경우 수렴작용이 있어 피부를 수축시킨다. 따라서 약산성인 피부를 보호하여 미용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 알칼리 이온수의 경우 몸에 이로운 미네랄(무기염류)이 일반적인 물보다 많다. 또 물 분자를 작게 만들기 때문에 미네랄 등의 흡수력이 높아져 설사, 변비의 개선, 위의 작용을 도와준다. 그리고 살균?소독제, 세정제, 세제, 왁스, 농약 등의 화학물질 대용으로도 사용된다. 이 밖에도 다양한 산업분야에 활용되기 때문에 각종 오염물질을 감소시켜 수질오염과 대기오염 등을 예방할 수 있으며, 보건환경적인 면에서 해로운 요소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물은 일상 생활에서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이고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없어서는 안 될 생명 자원이다.
그러나, 수돗물은 사회의 발전에 따른 수질오염으로 대규모 취수가 이루어져서 여러 정화과정을 거쳐 정화처리됨에 따라 이 과정에서 각종 불순물과 인체에 유해한 성분들이 함유되기 때문에 불신이 점진적으로 커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식수로 사용하는 것을 기피하면서 그 대용으로 별도의 생수를 구입하여 음용 하거나 또는 정수기를 통해 정수 된 물을 식수로 음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근래에는 영구자석의 자화를 통해 수돗물을 이온화시켜 이온수를 생성하는 이온수 생성장치가 보급되고 있으며, 상기 이온수가 인체에 유용하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음용 하거나 몸을 씻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온수는, 5각이나 6각으로 된 고리 구조로 서로 손을 맞잡고 있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 6각 고리 구조로 되는 물을 이온수(통상 육각수라 함)라 부르는데 이러한 이온수가 체내 세포가 가장 좋아하는 물이라고 한다.
이온수의 생성원리는 물이 흐르는 배관에 상하로 영구자석을 각각 배치하여 물이 흐르게 하여 자장을 형성하도록 하는데, 이때 물이 흐르는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자장을 형성하면 물의 표면장력이 커지게 되어 물의 분자구조가 이온 활성화 되면서 이온수로 생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온수는 인체조직에서 독성물질을 배출하여 막힌 동맥을 청소해주고 순환기계통을 활성화시키며, 심장의 기능을 조절하고 몸 안에서 기력을 높여주며, 장내에 산성도를 낮추고 뇌의 활동을 촉진한다.
또한, 이온수로 샤워를 하거나 목욕을 하게 되면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피로가 회복되며, 물의 입자가 작아서 모공을 깨끗이 세척함과 동시에 고운 피부를 유지하게 되고, 무좀이나 습진이 없어지며 양치시 치석도 없어지고 염증에도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이온수가 주방의 계수대에서 사용되는 경우, 세정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식기의 세척이 가능함으로 수질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그러나, 상기 이온수 생성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서로 다른 크기로 제작되어 각 사용처에 설치됨과 동시에 가격이 고가로 형성되기 때문에 비용부담 문제와 더불어 각 사용처의 환경에 따라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다수의 이온수 제조장치가 출원된바 있다. 그 중에서 공개특허 제2010-0035489호(출원번호 제2008-0094907호)(명칭: 이온수 제조방법 및 장치)가 있다. 즉, 상기 종래의 기술은 도 1(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처리필터부(10), 방전조(20) 및 전해조(70)로 구성된다. 상기 전처리필터부(10)는 수돗물 또는 지하수 등의 원수로부터 이물질 및 세균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블록카본필터(Block Cabon Filter)(11)와 중공사막필터(UF Membrane Filter)(12)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록카본필터(11)는 원수로부터 염소성분, 유기화학 물질 등을 흡착 및 제거하는데 적합하고, 상기 중공사막필터(12)는 섬유형태의 여과막으로써 표면기공이 0.01?0.04㎛(머리카락 굵기의 1/10000크기)의 기공이 1천억개 이상 뚫려있어 초정밀 성능으로 원수 속에 남아있는 각종 세균 및 불순물은 완벽하게 걸러내고 몸에 좋은 미네랄 성분이 그대로 함유된 깨끗한 원수만을 통과시키는 기능이 있다. 이러한 기능의 전처리필터부(10)는 상기한 블록카본필터(11)와 중공사막필터(12)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이중 어느 하나만 설치할 수도 있고, 이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다른 종류의 필터, 예를 들면 침전필터, 활성탄필터, 자외선살균필터 등으로 대체하거나 추가 또는 상호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방전조(20)는 상기 전처리필터부(10)에 의해 정화된 원수를 수용함과 동시에, 수중 방전시켜 수중 플라즈마 이온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방전이온수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전처리필터부(10)와 연결되어 전처리필터부(10)에 의해 정화된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21)와, 수정 방전 작용에 의해 형성된 방전이온수를 전해조(70)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22)를 구비하며, 방전조(20) 내부에는 수중 방전 작용을 수행하기 위한 방전셀(30)이 설치된다. 방전셀(30)은 방전판(31), 방전와이어(32) 및 상기 방전판(31)과 상기 방전와이어(32)를 이격시키는 이격프레임(33)으로 구성된다. 상기 방전판(31)은 백금도금되고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 상부 및 하부에 돌출부(31a)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방전와이어(32)는 백금 소재의 선 형상(지름 0.12mm)으로 형성되며, 두 개의 이격프레임(33)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회 권취되어 양면 방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이격프레임(33)은 방전판(31)의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이격프레임(33)에는 돌출부(31a)가 삽입되는 삽입공(미도시)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방전셀(30)은 양측의 이격프레임(33)과 방전판(31)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관통부(34)가 형성된다. 또한, 이격프레임(33)의 외주면에는 돌기(33a)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권취되는 방전와이어(32)의 사이에 돌기(33a)가 배치됨으로써 방전와이어(32) 사이 간격이 유지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방전판(31)과 방전와이어(32) 사이 간격은 1mm로 유지된다. 그리고 이러한 방전셀(30)은 커넥터(40)에 고정하여 방전조(20)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넥터(40)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방전조(20)의 유입구(21)와 연결되는 것으로, 외주면에 나사산부(4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40) 외주면에는 오링과 같은 실링부재(42)를 구비하여 방전조(20)와 커넥터(40) 사이가 실링되도록 한다. 상기 커넥터(40) 중심부에는 유입구(21)에 끼워져 원수를 방전셀(30)로 유입시키는 원수유입관(43)이 관통되어 설치된다. 또한, 커넥터(40)의 원수유입관(43) 양측에는 방전판(31)과 연결되는 제1전극핀(44)과 방전와이어(32)와 연결되는 제2전극핀(45)이 관통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제1전극핀(44)와 제2전극핀(45)을 통해 방전셀(30)의 방전판(31)과 방전와이어(32) 사이에 전원이 인가되어 수중 방전을 일으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방전셀(3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입되는 물이 충분히 수중 방전되도록 방전셀(30)을 둘러싸는 방전캡(50)이 더욱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방전캡(50)은 하부(53)가 개방되어 원수유입관(43)에 연통되며, 하부(53) 내벽에는 방전캡(50)이 커넥터(40)에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방전캡(50)은 상부에 방전셀(30)이 삽입되는 셀삽입부(51)가 형성된다. 또한, 셀삽입부(51) 상단에는 수중 방전된 물이 유출되는 캡유출구(52)가 형성된다. 방전캡(50)의 하부(53)에 캡유입구(54)가 셀삽입부(51) 양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캡유입구(54)는 캡유출구(52)보다 하부에 배치되며, 방전조(20) 바닥면에 근접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방전조(20) 내부의 물은 상기 캡유입구(54)를 통해 순환한다. 이와 같이 방전셀(30), 커넥터(40) 및 방전캡(50)은 하나로 모듈화하여 방전조(20)내에 조립하여 설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전해조(70)는 상기 방전조(20)의 배출구(22)와 연결관(60)으로 연결된 유입구(7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방전조(20)로부터 공급되는 방전이온수를 산성수와 알칼리수로 분리하기 위한 음극단자(72)과 양극단자(73)이 설치되고, 이들 양쪽 음극단자(72)과 양극단자(73) 사이에는 격막(74)이 설치되어 있으며, 음극단자(72)측에 알칼리수배출구(75)가 형성되고, 양극단자(73)측에 산성수배출구(76)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방전조(20)의 배출구(22)와 전해조(70)의 유입구(71)를 연결하는 연결관([0027] 60)에는 펌프(61)를 설치하여 방전조(20) 내의 방전이온수가 전해조(70)로 강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해조(70)를 방전조(20)의 하부에 설치하는 경우, 중력에 의해 방전조(20) 내의 방전이온수가 배출구(22)를 통해 전해조(70)의 유입구(71)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펌프(61)를 생략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이온수 제조장치의 작용과 이온수 제조방법을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온수 제조방법은 원수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원수정화단계와, 정화된 원수를 방전조(20)에서 수중 방전시켜 방전이온수를 형성하는 수중방전단계와, 상기 방전이온수를 전해조(70)에서 전기분해하여 산성수와 알칼리수로 분리하는 전기분해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수정화단계는 수돗물 또는 지하수 등의 원수를 전처리필터부(10)에 통과시킴으로써 수행되는 것으로, 원수는 전처리필터부(10)의 블록카본필터(11)를 통과하면서 염소성분, 유기화학 물질 등이 흡착 및 제거되고, 또한 중공사막필터(12)를 통과하면서 각종 세균 및 불순물이 제거된다. 정화된 원수는 방전조(20)의 유입구(21)를 통해 방전조(20)내에 수용된다. 이어서 수중방전단계는, 방전조(20)의 방전셀(30)에 전원을 인가하여 수중 방전시킴으로써 수용된 원수를 수중 플라즈마 이온 상태가 되도록 하여 방전이온수를 형성하는 것으로, 즉 방전셀(30)의 방전와이어(32)에 전원을 인가하여 방전판(31)과 방전와이어(32) 사이에서 방전을 일으키게 되면, 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된 원수는 순간 캐소우드(Cathode)의 고온(약 100도~수천도)에서 기화되면서 수중 플라즈마 이온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해 비중이 낮은 음이온 기체(수소이온, 염소이온, 기름, 세제) 및 비중이 높은 양이온 물질(금속, 미네랄 등)을 포함하는 연속적으로 기화된 수중 방전 이온수가 발생한다. 이때 발생한 수중 방전 활성산소는 짧은 시간 내에 강한 세균 살균력을 가지며 금속 산화물을 생성한다. 그러나, 미네랄(Na, Ca, Mg, K)은 수중에 용해되어 보존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방전조(20)로 유입된 원수는 방전셀(30)을 통과하여 방전이온수로 변환되고 활성 이온과 수소 기체를 생성한다. 방전조(20)에서 생성된 활성 이온은 원수 중에 포함된 세균과 유기물을 산화시키고, 무기물의 구조를 변화시키며, 방전조(20)에서 발생하는 수소이온, 염소이온 기체는 방전조(20)의 빈 공간에 충전된다. 이러한 음이온 기체는 세균의 번식을 막는 역할을 한다. 이어서, 전기분해단계는 상기 방전이온수를 전해조(70) 내에 공급하여 산성수와 알칼리수로 분리하는 것으로, 방전조(20)와 전해조(7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60)에 설치된 펌프(61)를 구동하여 방전조(20)내의 방전이온수를 전해조(70)의 유입구(71)를 통해 강제 공급함과 동시에, 전해조(70) 내에 구비된 음극단자(72)와 양극단자(73) 사이에 전류를 흘려 방전이온수를 전기 분해하게 되면, 음극단자(72) 쪽에는 칼슘이온, 마그네슘이온, 칼륨이온, 나트륨이온 등 알칼리성 이온 등이 모여 알칼리수가 되고, 양극단자(73) 쪽에는 염화이온, 황이온 등 산성이온이 모여 산성수가 되며, 산성수와 알칼리수는 전해조(70)의 알칼리수배출구(75)와 산성수배출구(76)를 통해 각각 분리되어 배출됨으로써 이온수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원수를 직접 전해조(70)에서 전기 분해하지 않고, 방전조(20)에서 먼저 수중 방전 작용에 의한 방전이온수를 형성한 후, 이 방전이온수를 전해조(70)로 공급하여 전기 분해함으로써 원수를 직접 전기 분해할 보다 낮은 전압 및 전류로 방전이온수를 전기 분해하여 산성수와 알칼리수로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많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즉, 구조적으로 매우 복잡함은 물론 이로 인해 작업성과 작업능률의 저하 및 생산성과 정밀성이 저하되는 커다란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기술은 구조적으로 물을 미세화하면서 전리화시키지 못하고 아울러 이온결합을 시키지 못하므로 인해 농작물의 성장을 해치게 되고 토양의 토질을 산성화시키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몸체에 유로관, 영구자석, 유도철판 및 마개가 구비된 이온수 생성부가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구조적으로 매우 간단함은 물론 이로 인해 작업성과 작업능률의 향상 및 생산성과 정밀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도록 한 것이며, 특히 제3목적은 소형으로 제작됨은 물론 종류 및 설치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어느 수전이건 바로 결합하여 이온수가 생성되도록 한 것이고, 제4목적은 영구자석의 극성을 달리하여 수돗물의 이온화를 극대화하고 이온수의 토출 유량이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한 것이며, 제5목적은 이온수 생성장치의 기술을 구조적으로 물을 미세화하면서 전리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6목적은 결과적으로 이온결합을 시키므로 인해 농작물의 성장을 돕고 토양의 토질을 산성화시키지 않도록 한 효과를 제공하게 되며, 제7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이온수 생성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수돗물을 투입시키면 자기력에 의해 이온수를 발생시키는 이온수 생성부가 구비되되, 상기 이온수 생성부는, 몸체의 내부 상하로 관통된 구멍에 조립 설치되며, 수돗물이 통과되는 유로관; 몸체의 양측 간격유지대를 중심으로 복수개의 수용홈에 각각 조립 설치되며, 자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 몸체의 양측 안착홈에 각각 조립 설치되며, 영구자석과 접촉되어 자기장을 유도시키는 유도철판; 및 몸체의 상단 안착홈에 조립 설치되며, 수돗물의 역류됨을 방지하는 마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수 생성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몸체에 유로관, 영구자석, 유도철판 및 마개가 구비된 이온수 생성부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구조적으로 매우 간단함은 물론 이로 인해 작업성과 작업능률의 향상 및 생산성과 정밀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소형으로 제작됨은 물론 종류 및 설치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어느 수전이건 바로 결합하여 이온수가 생성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영구자석의 극성을 달리하여 수돗물의 이온화를 극대화하고 이온수의 토출 유량이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온수 생성장치의 기술을 구조적으로 물을 미세화하면서 전리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결과적으로 이온결합을 시키므로 인해 농작물의 성장을 돕고 토양의 토질을 산성화시키지 않도록 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의 (a)는 종래 이온수 제조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b)는 종래 이온수 제조장치에서 방전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이온수 생성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이온수 생성장치의 요부 결합상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이온수 생성장치의 제1실시예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이온수 생성장치의 제2실시예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이온수 생성장치의 제3실시예 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이온수 생성장치의 제4실시예 구성도.
도 8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이온수 생성장치의 제5실시예 구성도.
본 발명에 적용된 이온수 생성장치는 도 2 내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수돗물을 투입시키면 자기력에 의해 이온수를 발생시키는 이온수 생성부(100)가 구비되되, 상기 이온수 생성부(100)의 보다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은 이하의 기술적 구성으로 구비된다.
즉, 도 2,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내부 상하로 관통된 구멍(111)에 조립 설치되며, 수돗물이 통과되는 유로관(114)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유로관(114)은 비철 직사각 파이프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의 양측 간격유지대(113a)를 중심으로 복수개의 수용홈(113)에 각각 조립 설치되며, 자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115)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영구자석(115)은 유로관(114)을 사이에 두고 서로 다른 극성으로 조립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110)의 양측 안착홈(112)에 각각 조립 설치되며, 영구자석(115)과 접촉되어 자기장을 유도시키는 유도철판(116)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몸체(110)의 상단 안착홈에 조립 설치되며, 수돗물의 역류됨을 방지하는 마개(117)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마개(117)는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고물재질로 형성되되, 안착홈(112)에 끼워지게 외측면에 연장돌기(119)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수돗물이 이온화되어 배출되는 구멍(118)이 형성된다.
더하여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이온수 생성부(100)는 커버몸체(120)와 커버뚜껑(130)의 내부에 조립 설치되되, 커버몸체(120)와 커버뚜껑(130)의 어는 일측 또는 양측에는 유량조절밸브(131)가 조립 설치된다.
특히 상기 커버몸체(120)와 커버뚜껑(130)에는 지상 또는 지하급수관로와 연결되어 쉽게 이탈됨을 방지하는 락킹부(125)(135)가 구비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커버몸체(120)와 커버뚜껑(130)에는 지상 또는 지하급수관로와 연결되어 쉽게 이탈됨을 방지하는 나사부(126)(136)가 구비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이온수 생성부(100)는 상단은 지상급수관로(151)에 연결함과 아울러 하단은 분사기(150)에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상단은 분사기(150)에 연결하는 동시에 하단은 지하급수관로(152)에 연결하여 지하수 또는 하천수를 펌프의 압력으로 농작물에 분사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이온수 생성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지하수, 하천수, 수돗물 등을 이온화시킨 이온수를 농작물에 뿌려주면 토양의 유기물과 무기물을 신속히 용해하여 농작물의 성장을 돕는 동시에 토양의 토질이 산성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이온수 생성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이온수 생성장치의 요부 결합상태 사시도로, 상기 도 2 와 같은 상태에서 구멍(111)에 유로관(114)을 끼우고, 각각의 수용홈(113)에 영구자석(115)을 조립 설치하고 그런 다음 외측에는 유도철판(116)을 부착시킨다. 이후 몸체(110)의 상단에 마개(117)를 씌운 후 도 4 내지도 6 과 같이 커버몸체(120)와 커버뚜껑(130)을 씌운 상태에서 이온수 생성장치를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이온수 생성장치는 도 7,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급수관로(151) 및 지하급수관로(152)에 조립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원발명의 작용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의 특징은 몸체(110)로 유입되는 수돗물을 이온화시키는 것으로, 특히 영구자석(115)은 유로관(114)의 내부에 자장을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유로관(114)을 유동하는 수돗물의 물분자를 미립자화하여 이온화시키는 것이고, 아울러 영구자석(115)은 유로관(114)을 사이에 두고 일측에는 N-S극과 타측에는 S-N극으로 조립 설치되어 서로 다른 극성에 의한 인력이 발생하여 유로관(114)과 접촉된 상태로 조립 설치되고, 더하여 상기 유도철판(116)은 영구자석(115)과 접촉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영구자석(115) 및 유로관(114)으로 마주하는 영구자석(115) 사이에 인력에 위한 자력선이 형성됨과 동시에 자기력선이 유도철판(116)을 통해 연속적으로 경유하는 자기회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유로관(114)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인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수돗물의 이온화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적용된 이온수 생성부(100)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몸체(120)와 커버뚜껑(130)의 내부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커버뚜껑(130)에는 유입되는 수돗물의 양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131)가 조립 설치되는 것으로 이는 수돗물의 속도를 에너지를 변환시킬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이온수 생성부(100)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몸체(120)와 커버뚜껑(130)의 내부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락킹부(125)(135)는 후술하는 지상 또는 지하급수관로(151)(152)에 이탈됨이 없이 긴밀히 조립 설치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적용된 이온수 생성부(100)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몸체(120)와 커버뚜껑(130)의 내부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나사부(126)(136)는 후술하는 지상 또는 지하급수관로(151)(152)에 이탈됨이 없이 긴밀히 조립 설치하기 위함이다.
더하여 본 발명에 적용된 몸체(110)의 상단에 구비된 마개(117)는 이온화된 물을 방수처리 하는 것으로, 연장돌기(119)가 안착홈(112)에 끼워져 몸체(110)와 긴밀히 조립 설치되는 것이고, 구멍(118)을 통해서는 이온화된 물이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마개(117)의 재질은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플랙시블한 고물재질로 형성되어 커버몸체(120)의 내부에서 수돗물이 누수됨을 방지하게 되고 이는 결과적으로 이온수가 역류되어 산화력이 강한 이온수를 방수해서 차단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속도에너지를 갖는 물이 자속밀도가 높은 자장을 통과하면 물이 미세화되면서 온도에 의하여 전리(H3OC ++OHC -)되고 이온화된 쌍극자(2HC ++OC -)의 극성에너지준위(원자가 전자)가 상승하게 됨으로 중성융매로서의 기능이 상승하게 되어 많은 물질(유기물과 무기물)을 이온결합에 의하여 신속하게 용해시킴으로 작물의 성장을 돕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이온수 생성부(100)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은 지상급수관로(151)와 하단은 분사기(150)의 사이에 조립 설치되어 사용할 수 있고, 또는 상단은 분사기(150)와 하단은 지하급수관로(152)의 사이에 조립 설치되어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본원발명은 농작물에 주기적으로 용수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지하수 또는 하천수를 이온화시켜 농작물 및 토양에 공급하게 되면 농작물의 성장을 빠르게 돕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 이온수 생성장치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이온수 생성부 110: 몸체
114: 유로관 115: 영구자석
116: 유도철판 117: 마개

Claims (7)

  1. 수돗물을 투입시키면 자기력에 의해 이온수를 발생시키는 이온수 생성부(100)가 구비되되, 상기 이온수 생성부(100)는,
    몸체(110)의 내부 상하로 관통된 구멍(111)에 조립 설치되며, 수돗물이 통과되는 유로관(114);
    몸체(110)의 양측 간격유지대(113a)를 중심으로 복수개의 수용홈(113)에 각각 조립 설치되며, 자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115);
    몸체(110)의 양측 안착홈(112)에 각각 조립 설치되며, 영구자석(115)과 접촉되어 자기장을 유도시키는 유도철판(116); 및
    몸체(110)의 상단 안착홈에 조립 설치되며, 수돗물의 역류됨을 방지하는 마개(117);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수 생성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115)은 유로관(114)을 사이에 두고 서로 다른 극성으로 조립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수 생성장치.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마개(117)는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고물재질로 형성되되, 안착홈(112)에 끼워지게 외측면에 연장돌기(119)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수돗물이 이온화되어 배출되는 구멍(118)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이온수 생성장치.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이온수 생성부(100)는,
    커버몸체(120)와 커버뚜껑(130)의 내부에 조립 설치되되, 커버몸체와 커버뚜껑의 어는 일측 또는 양측에는 유량조절밸브(131)이 조립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수 생성장치.
  5.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커버몸체(120)와 커버뚜껑(130)에는 지상 또는 지하급수관로와 연결되어 쉽게 이탈됨을 방지하는 락킹부(125)(135)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수 생성장치.
  6.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커버몸체(120)와 커버뚜껑(130)에는 지상 또는 지하급수관로와 연결되어 쉽게 이탈됨을 방지하는 나사부(126)(136)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수 생성장치.
  7.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이온수 생성부(100)는,
    상단은 지상급수관로(151)에 연결함과 아울러 하단은 분사기(150)에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상단은 분사기(150)에 연결하는 동시에 하단은 지하급수관로(152)에 연결하여 지하수 또는 하천수를 펌프의 압력으로 농작물에 분사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수 생성장치.
KR1020110043643A 2011-05-09 2011-05-09 이온수 생성장치 KR201201259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643A KR20120125904A (ko) 2011-05-09 2011-05-09 이온수 생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643A KR20120125904A (ko) 2011-05-09 2011-05-09 이온수 생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5904A true KR20120125904A (ko) 2012-11-19

Family

ID=47511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3643A KR20120125904A (ko) 2011-05-09 2011-05-09 이온수 생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59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0102A1 (ko) * 2016-10-31 2018-05-03 베름코리아 주식회사 이온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0102A1 (ko) * 2016-10-31 2018-05-03 베름코리아 주식회사 이온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2700B2 (en)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US20050183964A1 (en) Electrochemical water purifier
KR100966079B1 (ko) 해수 및 지하수, 상수도 고도 정수장치
CN101306854A (zh) 水处理装置
US845483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on of low zeta potential mineral crystals to enhance quality of liquid solutions
US20140353145A1 (en) Apparatus for producing dissolved hydrogen water and providing sterilization
KR101124463B1 (ko) 수도 직결식 휴대용 정수기
CN201834821U (zh) 净水装置
US593890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water
KR100947255B1 (ko) 모듈형 전해셀을 구비한 저용량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KR20120125904A (ko) 이온수 생성장치
JP4833077B2 (ja) 水処理方法
WO202003651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нижения окислительно-восстановительного потенциала воды
KR100947760B1 (ko) 일체형 급배수밸브를 구비한 이온수기
KR20090096268A (ko) 전해조를 구비한 정수기
KR20060079643A (ko) 전해장치 및 자화장치를 이용한 자화 이온수기
KR101010330B1 (ko) 이온수 제조용 전기분해장치
KR100988465B1 (ko) 전기살균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
CN203079780U (zh) 一种光催化水处理装置
KR100709597B1 (ko) 자동 역전세정 전자 이온수처리기
JP2002233870A (ja) 電気分解整水生成装置及びその方法
CN102303936A (zh) 一种含铁元素污水过滤装置
KR102659824B1 (ko) 이중자화기가 구비된 해수 및 오염수용 정화장치
KR200381485Y1 (ko) 전해장치 및 자화장치를 이용한 자화 이온수기
KR20100035489A (ko) 이온수 제조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