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5529A - 통신 구간 설정 방법, 중계국, 이동국, 이동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신 구간 설정 방법, 중계국, 이동국, 이동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5529A
KR20120125529A KR1020127023609A KR20127023609A KR20120125529A KR 20120125529 A KR20120125529 A KR 20120125529A KR 1020127023609 A KR1020127023609 A KR 1020127023609A KR 20127023609 A KR20127023609 A KR 20127023609A KR 20120125529 A KR20120125529 A KR 20120125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frame
backhaul
station
relay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3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6466B1 (ko
Inventor
요시아끼 오따
요시히로 가와사끼
요시노리 다나까
데쯔야 야노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25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5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7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between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2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involving configuration of automatic repeat request [ARQ] with parallel proc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48Time-out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2001/0092Error 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opology of the transmission link
    • H04L2001/0097R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5Access point devices with remote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상향 액세스 링크의 HARQ의 실행을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할 수 없게 되는 HARQ 프로세스가, 복수의 HARQ 프로세스 중의 특정한 HARQ 프로세스에 한정되도록 하여 백홀이 설정된다. 그로 인해, 스케줄링의 복잡도가 경감하고, 또한 액세스 링크의 효율이 양호해진다.

Description

통신 구간 설정 방법, 중계국, 이동국, 이동 통신 시스템{COMMUNICATION SECTION SETTING METHOD, RELAY STATION, MOBILE ST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의 무선 통신의 중계 기술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형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로부터 LTE(Long Term Evolution)로의 진전이 도모되고 있다. LTE에서는 하향 및 상향의 무선 액세스 기술로서 각각,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및 SC-FDMA(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가 채용되고, 하향의 피크 전송 레이트는 100 Mb/s 이상, 상향의 피크 전송 레이트는 50 Mb/s 이상인 고속 무선 패킷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국제표준화 단체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현재 더한층의 고속 통신의 실현을 향하여, LTE를 베이스로 한 이동 통신 시스템 LTE-A(LTE-Advanced)의 검토가 시작되어 있다. LTE-A에서는 하향의 피크 전송 레이트는 1 Gb/s, 상향의 피크 전송 레이트는 500 Mb/s를 목표로 하고 있어, 무선 액세스 방식이나 네트워크 아키텍쳐 등에 대해서 여러가지 신기술의 검토가 행해지고 있다(비특허문헌 1 내지 3). 한편, LTE-A는 LTE를 베이스로 한 시스템이 되기 때문에, 후방 호환성을 유지하는 것이 도모되고 있다.
고속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기지국과 이동국의 통신을 서포트하기 위해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계국(RN: Relay Node)을 도입하는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비특허문헌 2). 중계국은 기지국(Doner eNB 또는 eNB)과 이동국(UE: User Equipment) 사이를 중계하고, 고속 데이터 통신을 서포트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국(UE)과 중계국(RN) 사이의 링크는 Uu, 기지국(eNB)과 중계국(RN) 사이의 링크는 Un이라고 칭해진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Uu를 액세스 링크, Un을 백홀 링크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중계국의 형태로서 각종 방식을 생각할 수 있는데, 주로, 리피터 방식, 디코드&포워드 방식, L2 방식 및 L3 방식이 검토되고 있다. 여기서, 리피터 방식의 중계국은 무선 신호(데이터 신호와 잡음)를 증폭하는 기능만을 구비한다. 디코드&포워드 방식의 중계국은 무선 신호 중에서 데이터 신호만을 증폭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L2 방식의 중계국은 MAC 레이어 등 L2의 기능을 구비한다. L3 방식의 중계국은 RRC 레이어 등 L3의 기능을 구비하고, 기지국과 동일하게 동작한다. 또한, L3 방식의 중계국은 LTE-A에 있어서는 Type1 RN이라고 부르고 있다.
중계국을 셀에 전개하는 방법도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어, 셀 단의 스루풋을 증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중계국을 셀 단에 설치하는 전개 방법이나, 셀내에서 국소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의 전파가 도달하지 않는 범위(불감 지대)에 중계국을 설치하는 전개 방법이 주로 검토되고 있다.
L3 방식의 중계국(Type1 RN)을 통하여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때에, 기지국과 중계국 사이 및 중계국과 이동국 사이에서 동일 주파수대를 공유하는 중계(inband relaying)의 경우에는, 중계국에 있어서의 자기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기 간섭(또는 「유입 간섭」이라고도 함)이란 중계국이 예를 들어 기지국으로부터 자국 앞의 하향 데이터를 수신함과 동시에, 자국으로부터 이동국 앞의 하향 데이터를 송신한 경우에, 그 송신 데이터가 자국의 수신부에 되돌아가, 기지국으로부터의 데이터와 간섭하는 것을 말한다. 상향 데이터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자기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자기 간섭이 발생하면, 중계국은 데이터를 정확하게 수신할 수 없다.
이 자기 간섭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LTE-A에 대하여, 이하의 방침으로 검토가 진행되고 있다(비특허문헌 2).
(A) 하향: 중계국은 상위의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서브프레임인 하향 백홀(DL backhaul)에서는 이동국 앞의 데이터 송신을 실행하지 않는다.
(B) 상향: 중계국은 상위의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인 상향 백홀(UL backhaul)에서는 이동국으로부터의 데이터 수신을 실행하지 않는다.
상기 방침 (A)에 기초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계국과 기지국 사이에서 하향 백홀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중계국과 이동국 사이의 서브프레임은 MBSFN(Multicast/Broadcast over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된다. 이것은 이하의 이유에 의한다. 즉, MBSFN 서브프레임에서는 LTE 대응의 이동국은 unicast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이동국(UE)은 참조 신호의 일부를 수신하지 않기 때문에, 이동국에 있어서 참조 신호가 불필요한 측정을 하지 않아도 되어 바람직하다. 보다 정확하게는, 중계국은 하향 백홀에 있어서, 이동국 앞의 제어 신호로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를 송신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PDSCH를 송신할 수는 없다.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 MBSFN 서브프레임의 전반부(도 3 중의 CTRL 구간)에는 참조 신호가 배치되지만,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의 후반부에는 참조 신호는 배치되지 않는다.
상기 방침 (B)에 기초하여, 중계국에서는 상향 백홀의 4 서브프레임(4 ms) 전에 있어서, 이동국에 대하여 상향 데이터 송신 허가(UL grant)를 부여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이것은, 상향 백홀의 4 ms에 상향 데이터 송신 허가를 이동국에 부여해버리면, 상향 백홀에서 이동국이 중계국 앞으로 데이터를 송신해버리기 때문에, 이것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중계국에서는 상향 백홀의 4 서브프레임(4 ms) 전에 있어서, 이동국에 대하여 하향 데이터 송신을 실행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이것은 이하의 이유에 의한다. 즉, LTE의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에서는 한쪽의 국이 데이터를 송신하고 나서 4 ms(4 서브프레임 분) 후에 송신처의 국이 ACK/NACK 신호를 회신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향 백홀의 4 ms에 하향 데이터를 이동국 앞으로 송신하면, 상향 백홀에서 이동국이 중계국 앞으로 ACK/NACK 신호를 송신해버리기 때문에, 이것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상향 백홀에서는 중계국에 적합한 제어 신호인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는 송신 가능하지만, 이동국이 송신하는 제어 신호인 PUCCH, PUSCH는 송신 불가가 된다.
3GPP TR 36.913 V8.0.1 (2009-03),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Requirements for further advancementsfor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LTE-Advanced) (Release8) 3GPP TR 36.912 V9.0.0 (2009-09),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Feasibility study forFurther Advancements for E-UTRA (LTE-Advanced) (Release 9) 3GPP TR 36.133 V0.1.1 (2009-11),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Evolved Universal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Requirements for support of radio resourcemanagement (Release 9)
비특허문헌 2에 기술한 바와 같이 LTE-A에 대하여 백홀에 대하여 논의는 되어 있지만, LTE-A에서 하향 및 상향 백홀을 무선 프레임 내의 어느 서브프레임에 설정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검토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가령 백홀을 무선 프레임 내에서 항상 동일한 서브프레임의 위치에 고정하여 설정했다고 하였다면,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의 실행 타이밍과의 관계를 생각하면, 이하에서 설명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 이 문제점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10 ms의 무선 프레임(Frame)이 각각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로서 1 ms 구간의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 #0 내지 #9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백홀을 무선 프레임 내에서 항상 동일한 서브프레임의 위치에 설정한 경우의 예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서는 연속하는 프레임(Frame_0, Frame_1, Frame_2, Frame_3, …)에 있어서, (a)는 하향 백홀 DL_BH, (b)는 하향 액세스 링크 DL_AL, (c)는 상향 백홀 UL_BH, (d)는 상향 액세스 링크 UL_AL, (e)는 액세스 링크의 HARQ 프로세스(프로세스 번호 PID1, …, PID8), 각각 1 ms 단위의 설정, 또는 동작의 타이밍을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있어서, 하향의 화살표는 하향 신호의 송신을, 상향의 화살표는 상향 신호의 송신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a) 내지 (d)에 있어서, 검게 빈틈없이 칠해져 있는 위치는, 백홀 또는 액세스 링크가 설정 불가능함을 의미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a)에서는 서브프레임 #0, #4, #5, #9는 제어 정보의 송신을 위하여 하향 액세스 링크가 사용되기 때문에, 이들 서브프레임에는 하향 백홀을 설정할 수 없다. 그로 인해, 이 예에서는 연속하는 모든 프레임에 있어서, 서브프레임 #1에 하향 백홀이 설정되어 있다. LTE의 규정에서는 데이터 송신(data)의 4 ms 후에 ACK/NACK 신호(A/N)를 회신하게 되므로, 서브프레임 #1에서의 기지국(eNB)의 데이터 송신에 대하여 중계국(RN)은 서브프레임 #5에 ACK/NACK 신호(A/N)를 회신한다. 따라서, 도 5의 (c)에서는 서브프레임 #5에 상향 백홀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5의 (a) 및 (c)에서는 하향 또는 상향 백홀의 구간이 실선의 굵은 프레임선으로 강조 표시되어 있다.
서브프레임 #1에 하향 백홀이 설정되고, 서브프레임 #5에 상향 백홀이 설정되면,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는 액세스 링크를 설정할 수 없다. 그로 인해, 도 5의 (b) 및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향 액세스 링크에서는 서브프레임 #1의 위치가 검게 빈틈없이 칠해져서 표시(설정 불가)되어 있어, 상향 액세스 링크에서는 서브프레임 #5의 위치가 검게 빈틈없이 칠해져서 표시(설정 불가)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홀을 1 프레임 내에서 항상 동일한 서브프레임의 위치에 설정한 경우의 문제점은 2개 있다.
우선 제1 문제점은, LTE와의 후방 호환성이 상실되는 점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LTE의 규정에서는 데이터 송신(data)의 4 ms 후에 ACK/NACK 신호(A/N)를 회신하게 되어 있지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백홀을 설정하면, 6 ms 후에 ACK/NACK 신호를 회신하게 되어 LTE의 규정을 만족하지 않는다. 도 5의 예에서는 상향 백홀(서브프레임 #5)의 데이터 송신에 대한 기지국(eNB)으로부터의 ACK/NACK 신호가 다음 프레임의 하향 백홀(서브프레임 #1)이 된다. 그러나, HARQ의 회신 타이밍에 대하여 LTE와의 후방 호환성을 유지시키지 않아도 된다고 하면, 이 점은 큰 문제로는 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2 문제점은, 도 5에 도시한 백홀의 설정에서는 액세스 링크의 HARQ를 이용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 및 그의 구간이 산재하고 있어, 중계국(RN)에 있어서 액세스 링크의 효율적인 스케줄링이 어려워진다는 점이다.
도 5에 도시한 예에서는 프로세스 번호 PID2, PID4, PID6, PID8의 HARQ 프로세스의 일부(4 군데; 굵은선으로 나타냄)를 이용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즉, 프로세스 번호 PID2, PID4, PID6, PID8의 HARQ 프로세스에서는 상향 데이터 송신의 타이밍이, 각각 프레임 Frame_2, Frame_3, Frame_0, Frame_1의 상향 백홀과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액세스 링크를 이용할 수 없다. 그로 인해, 신규인 데이터 송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재하고 있는, 이용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가 특정한 구간을 피하여 스케줄을 설정하게 된다. 따라서, 스케줄링의 복잡도가 증가하는데다가, 액세스 링크의 효율이 저하한다는 문제를 초래한다.
상술한 관점에서,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서는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의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국을 구비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과 중계국 사이의 통신 구간을 설정하는데 있어서, 액세스 링크의 효율의 저하를 억제하도록 한, 통신 구간 설정 방법, 중계국, 이동국, 이동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관점은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의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국을 구비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구간 설정 방법이다.
이 통신 구간 설정 방법은,
(A) 중계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의 신호의 송신을 제한함으로써 중계국에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하향 통신 구간과, 이동국으로부터 중계국으로의 신호의 송신을 제한함으로써 중계국에서 기지국으로의 송신 신호를 송신하는 상향 통신 구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신 구간을 설정하는 것;
(B) 이동국과 중계국 사이의 액세스 링크 상에서, 데이터 송신과 그 데이터 송신으로부터 소정의 제1 시간 후의 확인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1 통신 처리가 관리되는 통신 프로세스를 복수 설치하는 것;
(C) 복수의 통신 프로세스 중, 특정한 제1 통신 프로세스의 상향 데이터 송신의 타이밍에 따른 타이밍에서 상기 상향 통신 구간을 설정하는 것;
(D) 설정한 상향 통신 구간의 각각의 상기 소정의 제1 시간 전에 하향 통신 구간을 설정하는 것;
을 포함한다.
제2 관점은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의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이동 가능한 중계국이다.
이 중계국은,
(E)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1 송수신부;
(F) 이동국과의 사이에서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2 송수신부;
(G) 제2 송수신부가 이동국으로의 신호의 송신을 제한함으로써, 제1 송수신부가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하향 통신 구간과, 이동국에서 중계국으로의 신호의 송신을 제한함으로써, 제1 송수신부가 기지국으로의 송신 신호를 송신하는 상향 통신 구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신 구간을 설정하는 제어부;
(H) 이동국과 중계국 사이의 액세스 링크 상에서, 데이터 송신과 그 데이터 송신으로부터 소정의 제1 시간 후의 확인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1 통신 처리가 설치되는 통신 프로세스를 복수 관리하는 제1 통신 관리부;
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복수의 통신 프로세스 중, 제1 통신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통신 프로세스를 특정한 통신 프로세스에 집약시키도록 하고, 상기 통신 구간을 설정한다.
제3 관점은 중계국을 통하여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행하는 이동국이다.
이 이동국은,
(I) 중계국과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송수신부;
(J) 중계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의 신호의 송신을 제한함으로써 중계국에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하향 통신 구간과, 이동국으로부터 중계국으로의 신호의 송신을 제한함으로써 중계국에서 기지국으로의 송신 신호를 송신하는 상향 통신 구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신 구간에 기초하여 중계국과의 통신 타이밍을 관리하는 제2 통신 관리부;
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통신 구간은 복수의 통신 프로세스 중, 제1 통신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통신 프로세스가 특정한 통신 프로세스에 집약시켜지도록 하여 설정되어 있다.
제4 관점은 기지국과, 이동국과,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의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국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이다.
개시된 통신 구간 설정 방법, 중계국, 이동국,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의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국을 구비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과 중계국 사이의 통신 구간을 설정하는데 있어서, 액세스 링크의 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기지국과 이동국의 통신을 서포트하기 위한 중계국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기지국, 중계국 및 이동국 사이의 링크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공지된 백홀의 설정 지침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1 프레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백홀을 무선 프레임 내에서 항상 동일한 서브프레임의 위치에 설정한 경우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제1 실시 형태의 백홀 설정 방법에 있어서의 설정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a는 제1 실시 형태의 백홀 설정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7b는 제1 실시 형태의 백홀 설정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7c은 제1 실시 형태의 백홀 설정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7d는 제1 실시 형태의 백홀 설정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7e는 제1 실시 형태의 백홀 설정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7f은 제1 실시 형태의 백홀 설정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7g은 제1 실시 형태의 백홀 설정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7h은 제1 실시 형태의 백홀 설정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8a은 제2 실시 형태의 백홀 설정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8b는 제2 실시 형태의 백홀 설정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8c은 제2 실시 형태의 백홀 설정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8d는 제2 실시 형태의 백홀 설정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8e는 제2 실시 형태의 백홀 설정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8f은 제2 실시 형태의 백홀 설정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8g은 제2 실시 형태의 백홀 설정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8h은 제2 실시 형태의 백홀 설정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도 8a 내지 8h에 예시한 백홀 설정 방법에 의해 설정되는 백홀을 정리한 도면.
도 10a은 제3 실시 형태의 백홀 설정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b는 제3 실시 형태의 백홀 설정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c은 제3 실시 형태의 백홀 설정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d는 제3 실시 형태의 백홀 설정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e는 제3 실시 형태의 백홀 설정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f은 제3 실시 형태의 백홀 설정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g은 제3 실시 형태의 백홀 설정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h은 제3 실시 형태의 백홀 설정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도 10a 내지 10h에 예시한 백홀 설정 방법에 의해 설정되는 백홀을 정리한 도면.
도 12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정되는 Measurement gap의 구간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제5 실시 형태의 중계국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4는 제5 실시 형태의 이동국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5는 제5 실시 형태의 중계국의 동작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6은 제5 실시 형태의 중계국의 동작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7은 제5 실시 형태의 이동국의 동작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8은 제5 실시 형태의 이동국의 동작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
이하, 복수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기지국은 eNB, 중계국은 RN, 이동국은 UE라고 적절히 약기한다. 본 실시 형태의 기지국(eNB)은 중계국(RN)과의 백홀을 서포트하는 도너 기지국(Donor eNB 또는 DeNB)이다. 또한, HARQ는 데이터 송신과 그 데이터 송신으로부터 소정 시간 후의 확인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처리(제1 통신 처리)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적절히 언급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백홀의 구간」란 단일의 무선 프레임 내에서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전송 시 간혹 격) 단위로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구간 중 1개 또는 복수의 구간을 가리킨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TTI는 서브프레임(1 ms) 단위의 시간으로 하고 있다. 「백홀을 설정하는」이란 무선 프레임 내에서의 서브프레임으로서 백홀을 설정 또는 특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TTI가 서브프레임 단위의 시간이 아닌 경우에도, 본 실시 형태는 적용 가능하다.
(1) 제1 실시 형태
이하, 제1 실시 형태의 백홀 설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백홀 설정 방법에서는 HARQ의 회신 타이밍에 대하여 LTE와의 후방 호환성을 유지시킨 경우의 방법이다. 즉, 여기에서는 HARQ의 회신 타이밍에 관하여, 데이터 송신(data)의 4 ms 후에 ACK/NACK 신호(A/N; 확인 응답)를 회신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 백홀 설정 방법에서는 부분적으로 이용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통신 프로세스)의 수를 최대한 적게 하도록 하고, 스케줄의 복잡도를 경감시키고, 또한 액세스 링크의 효율을 양호하게 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다.
우선, 본 실시 형태의 백홀 설정 방법에 있어서의 설정 조건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전술한 도 5와 동일한 포맷의 도면이다.
즉, 도 6에서는 연속하는 프레임(Frame_0, Frame_1, Frame_2, Frame_3, …)에 있어서, (a)는 하향 백홀 DL_BH, (b)는 하향 액세스 링크 DL_AL, (c)는 상향 백홀 UL_BH, (d)는 상향 액세스 링크 UL_AL, (e)는 액세스 링크의 통신 프로세스로서의 HARQ 프로세스(프로세스 번호 PID1, …, PID8), 각각 1 ms 단위의 설정, 또는 동작의 타이밍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있어서, 하향의 화살표는 하향 신호의 송신을, 상향의 화살표는 상향 신호의 송신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6의 (a) 내지 (d)에 있어서, 검게 빈틈없이 칠해져 있는 위치는, 백홀 링크 또는 액세스 링크가 설정 불가능함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도 6의 (a) 내지 (d)에 있어서, 실선의 굵은 프레임선으로 둘러싸인 서브프레임은, 그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백홀 또는 액세스 링크가 확보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LTE에서는 서브프레임 #0, #4, #5, #9는 하향의 액세스 링크에 있어서, 각각, Primary Synchronization Channel, Paging, Secondary Synchronization Channel, Paging에 사용되기 때문에, 이들 서브프레임에 하향 백홀을 설정할 수 없다. 그로 인해, 하향 백홀 DL_BH에서는 각 프레임에 있어서 서브프레임 #0, #4, #5, #9가 검게 빈틈없이 칠해져 있고, 하향 액세스 링크 DL_AL에서는 각 프레임에 있어서 서브프레임 #0, #4, #5, #9가 실선의 굵은 프레임선으로 둘러싸여 있다. 또한, 서브프레임 #0, #4, #5, #9의 하향 액세스 링크 상의 중계국(RN)으로부터의 송신으로부터 4 ms 후에, ACK/NACK 신호(A/N)의 회신을 위한 상향 액세스 링크가 사용된다. 그로 인해, 상향 액세스 링크 UL_AL에서는 각 프레임에 있어서 서브프레임 #4, #8, #9, #3이 실선의 굵은 프레임선으로 둘러싸이고, 상향 백홀 UL_BH에서는 각 프레임에 있어서 서브프레임 #4, #8, #9, #3이 검게 빈틈없이 칠해져 있다.
이어서, 도 6에 도시된 백홀 설정 방법에 있어서 설정 조건을 근거로 하여, 구체적인 본 실시 형태의 백홀 설정 방법에 대해서, 도 7a 내지 7h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a 내지 7h은 도 6과 동일한 포맷의 도면이다. 도 7a 내지 7h은, 각각 프로세스 번호 PID1 내지 PID8의 HARQ 프로세스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용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로 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7a 내지 7h에서는 실행할 수 없는 HARQ의 타이밍을 굵은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7a은 프로세스 번호 PID1 내지 PID8의 HARQ 프로세스 중, 프로세스 번호 PID1의 HARQ 프로세스만이 부분적으로 HARQ를 실행할 수 없도록 한 경우의 백홀 설정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즉, 부분적으로 HARQ를 실행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를 프로세스 번호 PID1의 것에 한정하고 있다.
도 7a에 있어서, 연속하는 4 프레임 중 3회의 하향 백홀을 확보하고 있다. 즉, 도 7a에서는 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2, 프레임 Frame_2의 서브프레임 #8, 프레임 Frame_3의 서브프레임 #6에 하향 백홀이 설정된다. 프레임 Frame_0 내지 Frame_3에 이어지는 프레임도 동일한 위치에 하향 백홀이 설정된다. 이렇게 설정된 하향 백홀에서의 기지국(eNB)으로부터의 데이터 송신(data)의 4 ms 후에, 중계국(RN)으로부터 ACK/NACK 신호(A/N)를 회신하기 위해서, 상향 백홀이 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6, 프레임 Frame_3의 서브프레임 #2, 프레임 Frame_0의 서브프레임 #0에 설정된다.
이 상향 백홀에서는 상향 액세스 링크를 이용할 수 없게 되지만, 도 7a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행할 수 없는 HARQ(굵은선의 실행 타이밍)는 모두 동일한 HARQ 프로세스(즉, 프로세스 번호 PID1)에 속하게 된다.
도 7b는 프로세스 번호 PID1 내지 PID8의 HARQ 프로세스 중, 프로세스 번호 PID2의 HARQ 프로세스만이 부분적으로 HARQ를 실행할 수 없도록 한 경우의 백홀 설정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즉, 부분적으로 HARQ를 실행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를 프로세스 번호 PID2의 것에 한정하고 있다.
도 7b에 있어서, 연속하는 4 프레임 중 3회의 하향 백홀을 확보하고 있다. 즉, 도 7b에서는 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3, 프레임 Frame_2의 서브프레임 #1, 프레임 Frame_3의 서브프레임 #7에 하향 백홀이 설정된다. 프레임 Frame_0 내지 Frame_3에 이어지는 프레임도 동일한 위치에 하향 백홀이 설정된다. 이렇게 설정된 하향 백홀에서의 기지국(eNB)으로부터의 데이터 송신(data)의 4 ms 후에, 중계국(RN)으로부터 ACK/NACK 신호(A/N)를 회신하기 위해서, 상향 백홀이 프레임 Frame_0의 서브프레임 #1, 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7, 프레임 Frame_2의 서브프레임 #5에 설정된다.
이 상향 백홀에서는 상향 액세스 링크를 이용할 수 없게 되지만, 도 7b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행할 수 없는 HARQ(굵은선의 실행 타이밍)는 모두 동일한 HARQ 프로세스(즉, 프로세스 번호 PID2)에 속하게 된다.
도 7c은 프로세스 번호 PID1 내지 PID8의 HARQ 프로세스 중, 프로세스 번호 PID3의 HARQ 프로세스만이 부분적으로 HARQ를 실행할 수 없도록 한 경우의 백홀 설정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즉, 부분적으로 HARQ를 실행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를 프로세스 번호 PID3의 것에 한정하고 있다.
도 7c에 있어서, 연속하는 4 프레임 중 3회의 하향 백홀을 확보하고 있다. 즉, 도 7c에서는 프레임 Frame_0의 서브프레임 #6, 프레임 Frame_2의 서브프레임 #2, 프레임 Frame_3의 서브프레임 #8에 하향 백홀이 설정된다. 프레임 Frame_0 내지 Frame_3에 이어지는 프레임도 동일한 위치에 하향 백홀이 설정된다. 이렇게 설정된 하향 백홀에서의 기지국(eNB)으로부터의 데이터 송신(data)의 4 ms 후에, 중계국(RN)으로부터 ACK/NACK 신호(A/N)를 회신하기 위해서, 상향 백홀이 프레임 Frame_0의 서브프레임 #2, 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0, 프레임 Frame_2의 서브프레임 #6에 설정된다.
이 상향 백홀에서는 상향 액세스 링크를 이용할 수 없게 되지만, 도 7c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행할 수 없는 HARQ(굵은선의 실행 타이밍)는 모두 동일한 HARQ 프로세스(즉, 프로세스 번호 PID3)에 속하게 된다.
도 7d는 프로세스 번호 PID1 내지 PID8의 HARQ 프로세스 중, 프로세스 번호 PID4의 HARQ 프로세스만이 부분적으로 HARQ를 실행할 수 없도록 한 경우의 백홀 설정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즉, 부분적으로 HARQ를 실행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를 프로세스 번호 PID4의 것에 한정하고 있다.
도 7d에 있어서, 연속하는 4 프레임 중 3회의 하향 백홀을 확보하고 있다. 즉, 도 7d에서는 프레임 Frame_0의 서브프레임 #7, 프레임 Frame_2의 서브프레임 #3, 프레임 Frame_3의 서브프레임 #1에 하향 백홀이 설정된다. 프레임 Frame_0 내지 Frame_3에 이어지는 프레임도 동일한 위치에 하향 백홀이 설정된다. 이렇게 설정된 하향 백홀에서의 기지국(eNB)으로부터의 데이터 송신(data)의 4 ms 후에, 중계국(RN)으로부터 ACK/NACK 신호(A/N)를 회신하기 위해서, 상향 백홀이 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1, 프레임 Frame_2의 서브프레임 #7, 프레임 Frame_3의 서브프레임 #5에 설정된다.
이 상향 백홀에서는 상향 액세스 링크를 이용할 수 없게 되지만, 도 7d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행할 수 없는 HARQ(굵은선의 실행 타이밍)는 모두 동일한 HARQ 프로세스(즉, 프로세스 번호 PID4)에 속하게 된다.
도 7e는 프로세스 번호 PID1 내지 PID8의 HARQ 프로세스 중, 프로세스 번호 PID5의 HARQ 프로세스만이 부분적으로 HARQ를 실행할 수 없도록 한 경우의 백홀 설정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즉, 부분적으로 HARQ를 실행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를 프로세스 번호 PID5의 것에 한정하고 있다.
도 7e에 있어서, 연속하는 4 프레임 중 3회의 하향 백홀을 확보하고 있다. 즉, 도 7e에서는 프레임 Frame_0의 서브프레임 #8, 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6, 프레임 Frame_3의 서브프레임 #2에 하향 백홀이 설정된다. 프레임 Frame_0 내지 Frame_3에 이어지는 프레임도 동일한 위치에 하향 백홀이 설정된다. 이렇게 설정된 하향 백홀에서의 기지국(eNB)으로부터의 데이터 송신(data)의 4 ms 후에, 중계국(RN)으로부터 ACK/NACK 신호(A/N)를 회신하기 위해서, 상향 백홀이 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2, 프레임 Frame_2의 서브프레임 #0, 프레임 Frame_3의 서브프레임 #6에 설정된다.
이 상향 백홀에서는 상향 액세스 링크를 이용할 수 없게 되지만, 도 7e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행할 수 없는 HARQ(굵은선의 실행 타이밍)는 모두 동일한 HARQ 프로세스(즉, 프로세스 번호 PID5)에 속하게 된다.
도 7f은 프로세스 번호 PID1 내지 PID8의 HARQ 프로세스 중, 프로세스 번호 PID6의 HARQ 프로세스만이 부분적으로 HARQ를 실행할 수 없도록 한 경우의 백홀 설정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즉, 부분적으로 HARQ를 실행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를 프로세스 번호 PID6의 것에 한정하고 있다.
도 7f에 있어서, 연속하는 4 프레임 중 3회의 하향 백홀을 확보하고 있다. 즉, 도 7f에서는 프레임 Frame_0의 서브프레임 #1, 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7, 프레임 Frame_3의 서브프레임 #3에 하향 백홀이 설정된다. 프레임 Frame_0 내지 Frame_3에 이어지는 프레임도 동일한 위치에 하향 백홀이 설정된다. 이렇게 설정된 하향 백홀에서의 기지국(eNB)으로부터의 데이터 송신(data)의 4 ms 후에, 중계국(RN)으로부터 ACK/NACK 신호(A/N)를 회신하기 위해서, 상향 백홀이 프레임 Frame_0의 서브프레임 #5, 프레임 Frame_2의 서브프레임 #1, 프레임 Frame_3의 서브프레임 #7에 설정된다.
이 상향 백홀에서는 상향 액세스 링크를 이용할 수 없게 되지만, 도 7f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행할 수 없는 HARQ(굵은선의 실행 타이밍)는 모두 동일한 HARQ 프로세스(즉, 프로세스 번호 PID6)에 속하게 된다.
도 7g은 프로세스 번호 PID1 내지 PID8의 HARQ 프로세스 중, 프로세스 번호 PID7의 HARQ 프로세스만이 부분적으로 HARQ를 실행할 수 없도록 한 경우의 백홀 설정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즉, 부분적으로 HARQ를 실행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를 프로세스 번호 PID7의 것에 한정하고 있다.
도 7g에 있어서, 연속하는 4 프레임 중 3회의 하향 백홀을 확보하고 있다. 즉, 도 7g에서는 프레임 Frame_0의 서브프레임 #2, 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8, 프레임 Frame_2의 서브프레임 #6에 하향 백홀이 설정된다. 프레임 Frame_0 내지 Frame_3에 이어지는 프레임도 동일한 위치에 하향 백홀이 설정된다. 이렇게 설정된 하향 백홀에서의 기지국(eNB)으로부터의 데이터 송신(data)의 4 ms 후에, 중계국(RN)으로부터 ACK/NACK 신호(A/N)를 회신하기 위해서, 상향 백홀이 프레임 Frame_0의 서브프레임 #6, 프레임 Frame_2의 서브프레임 #2, 프레임 Frame_3의 서브프레임 #0에 설정된다.
이 상향 백홀에서는 상향 액세스 링크를 이용할 수 없게 되지만, 도 7g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행할 수 없는 HARQ(굵은선의 실행 타이밍)는 모두 동일한 HARQ 프로세스(즉, 프로세스 번호 PID7)에 속하게 된다.
도 7h은 프로세스 번호 PID1 내지 PID8의 HARQ 프로세스 중, 프로세스 번호 PID8의 HARQ 프로세스만이 부분적으로 HARQ를 실행할 수 없도록 한 경우의 백홀 설정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즉, 부분적으로 HARQ를 실행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를 프로세스 번호 PID8의 것에 한정하고 있다.
도 7h에 있어서, 연속하는 4 프레임 중 3회의 하향 백홀을 확보하고 있다. 즉, 도 7h에서는 프레임 Frame_0의 서브프레임 #3, 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1, 프레임 Frame_2의 서브프레임 #7에 하향 백홀이 설정된다. 프레임 Frame_0 내지 Frame_3에 이어지는 프레임도 동일한 위치에 하향 백홀이 설정된다. 이렇게 설정된 하향 백홀에서의 기지국(eNB)으로부터의 데이터 송신(data)의 4 ms 후에, 중계국(RN)으로부터 ACK/NACK 신호(A/N)를 회신하기 위해서, 상향 백홀이 프레임 Frame_0의 서브프레임 #7, 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5, 프레임 Frame_3의 서브프레임 #1에 설정된다.
이 상향 백홀에서는 상향 액세스 링크를 이용할 수 없게 되지만, 도 7h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행할 수 없는 HARQ(굵은선의 실행 타이밍)는 모두 동일한 HARQ 프로세스(즉, 프로세스 번호 PID8)에 속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백홀 설정 방법에서는 상향 액세스 링크의 HARQ의 실행을 부분적으로 할 수 없게 되는 HARQ 프로세스를 1개에 한정되도록 하고, 백홀이 설정된다. 그로 인해, 백홀의 설정 빈도(4 프레임 중 3회)는 비교적 적기는 하나, 상향 액세스 링크의 HARQ의 실행을 부분적으로 할 수 없게 되는 HARQ 프로세스가 집약되어서, 스케줄링의 복잡도가 경감하고, 또한 액세스 링크의 효율이 양호해진다.
(2) 제2 실시 형태
이하, 제2 실시 형태의 백홀 설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백홀 설정 방법에서는 HARQ의 회신 타이밍에 대하여 LTE와의 후방 호환성을 유지시킨 경우의 방법이다. 즉, 여기에서는 HARQ의 회신 타이밍에 관하여, 데이터 송신(data)의 4 ms 후에 ACK/NACK 신호(A/N)를 회신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것은, 백홀의 설정 빈도를 많게 하는 점이다. 이에 의해,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비교하여 백홀의 설정 빈도를 보다 많게 하면서, 또한, 액세스 링크의 효율을 유지하는 것이 도모된다.
이하, 구체적인 본 실시 형태의 백홀 설정 방법에 대해서, 도 8a 내지 8h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a 내지 8h은 도 6과 동일한 포맷의 도면이다. 도 8a 내지 8h은 각각 프로세스 번호 PID1 내지 PID8의 HARQ 프로세스가, 모든 타이밍에서 HARQ를 실행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8a 내지 8h에서는 실행할 수 없는 HARQ의 타이밍을 굵은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8a 내지 8h에서는 도 6에서 나타낸 설정 조건과 반대이고, 상향 액세스 링크로서 사용할 수 없는 서브프레임의 위치에는, 점선의 굵은 프레임선으로 또한 검게 빈틈없이 칠해져서 표시되어 있다.
도 8a 내지 8h에 도시하는 백홀 설정 방법에서는 각각 도 7a 내지 7h에 도시된 백홀 설정 방법에 대하여 하향 백홀이 추가됨으로써, 각 프레임에서 1회의 하향 백홀이 확보된다. 또한, 도 8a 내지 8h에 도시하는 백홀 설정 방법에서는 각각 모든 타이밍에서 HARQ를 실행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를 설정함으로써, 상향 백홀의 수가 많이 확보된다.
도 8a에 도시하는 백홀 설정 방법에서는 도 7a에 도시된 것과 비교하여, 새롭게 프레임 Frame_0의 서브프레임 #8에 하향 백홀이 추가 설정된다. 프레임 Frame_0 내지 Frame_3에 이어지는 프레임도 동일한 위치에 하향 백홀이 설정된다. 그 결과, 이 추가 설정된 하향 백홀에서의 기지국(eNB)으로부터의 데이터 송신(data)의 4 ms 후에, 중계국(RN)으로부터 ACK/NACK 신호(A/N)를 회신하기 위해서, 상향 백홀이 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2에 설정된다.
또한, 모든 타이밍에서 HARQ를 실행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로서, 프로세스 번호 PID1의 HARQ 프로세스를 설정함으로써, 상향 백홀의 수가 보다 많이 확보된다. 즉, 프로세스 번호 PID1의 HARQ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상향 액세스 링크에 대응한, 프레임 Frame_0의 서브프레임 #8과 프레임 Frame_2의 서브프레임 #4에 상향 백홀이 설정된다. 또한, 추가 설정된 하향 백홀(프레임 Frame_0의 서브프레임 #8)에 있어서, 기지국(eNB)으로부터의 ACK/NACK 신호(A/N)의 수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그 4 ms 전의 프레임 Frame_0의 서브프레임 #4에 상향 백홀이 설정된다. 이렇게 상향 백홀의 수를 보다 많이 확보하기 위해서, 도 6에 도시된 LTE를 베이스로 한 설정 조건과는 달리, 새롭게 설정된 상향 백홀에서는 상향 액세스 링크에 의한 송신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중계국(RN)에 의해 제어된다.
이렇게 하향 백홀 및 상향 백홀이 설정된 결과, 도 8a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HARQ를 실행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가 일부의 HARQ 프로세스(PID1과, PID1로부터 4 ms 시프트한 PID5)에 집약된다. 이에 의해, 4 프레임에 대해서, 4회의 하향 백홀과 7회의 상향 백홀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8b에 도시하는 백홀 설정 방법에서는 도 7b에 도시된 것과 비교하여, 새롭게 프레임 Frame_0의 서브프레임 #1에 하향 백홀이 추가 설정된다. 프레임 Frame_0 내지 Frame_3에 이어지는 프레임도 동일한 위치에 하향 백홀이 설정된다. 그 결과, 이 추가 설정된 하향 백홀에서의 기지국(eNB)으로부터의 데이터 송신(data)의 4 ms 후에, 중계국(RN)으로부터 ACK/NACK 신호(A/N)를 회신하기 위해서, 상향 백홀이 프레임 Frame_0의 서브프레임 #5에 설정된다.
또한, 모든 타이밍에서 HARQ를 실행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로서, 프로세스 번호 PID2의 HARQ 프로세스를 설정함으로써, 상향 백홀의 수가 보다 많이 확보된다. 즉, 프로세스 번호 PID2의 HARQ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상향 액세스 링크에 대응한, 프레임 Frame_0의 서브프레임 #9와 프레임 Frame_3의 서브프레임 #3에 상향 백홀이 설정된다. 또한, 추가 설정된 하향 백홀(프레임 Frame_0의 서브프레임 #1)에 있어서, 기지국(eNB)으로부터의 ACK/NACK 신호(A/N)의 수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그 4 ms 전의 프레임 Frame_3의 서브프레임 #7에 상향 백홀이 설정된다. 이렇게 상향 백홀의 수를 보다 많이 확보하기 위해서, 도 6에 도시된 LTE를 베이스로 한 설정 조건과는 달리, 새롭게 설정된 상향 백홀에서는 상향 액세스 링크에 의한 송신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중계국(RN)에 의해 제어된다.
이렇게 하향 백홀 및 상향 백홀이 설정된 결과, 도 8b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HARQ를 실행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가 일부의 HARQ 프로세스(PID2와, PID2로부터 4 ms 시프트한 PID6)에 집약된다. 이에 의해, 4 프레임에 대해서, 4회의 하향 백홀과 7회의 상향 백홀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8c에 도시하는 백홀 설정 방법에서는 도 7c에 도시된 것과 비교하여, 새롭게 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8에 하향 백홀이 추가 설정된다. 프레임 Frame_0 내지 Frame_3에 이어지는 프레임도 동일한 위치에 하향 백홀이 설정된다. 그 결과, 이 추가 설정된 하향 백홀에서의 기지국(eNB)으로부터의 데이터 송신(data)의 4 ms 후에, 중계국(RN)으로부터 ACK/NACK 신호(A/N)를 회신하기 위해서, 상향 백홀이 프레임 Frame_2의 서브프레임 #2에 설정된다.
또한, 모든 타이밍에서 HARQ를 실행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로서, 프로세스 번호 PID3의 HARQ 프로세스를 설정함으로써, 상향 백홀의 수가 보다 많이 확보된다. 즉, 프로세스 번호 PID3의 HARQ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상향 액세스 링크에 대응한, 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8과 프레임 Frame_3의 서브프레임 #4가 상향 백홀로 설정된다. 또한, 추가 설정된 하향 백홀(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8)에 있어서, 기지국(eNB)으로부터의 ACK/NACK 신호(A/N)의 수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그 4 ms 전의 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4에 상향 백홀이 설정된다. 이렇게 상향 백홀의 수를 보다 많이 확보하기 위해서, 도 6에 도시된 LTE를 베이스로 한 설정 조건과는 달리, 새롭게 설정된 상향 백홀에서는 상향 액세스 링크에 의한 송신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중계국(RN)에 의해 제어된다.
이렇게 하향 백홀 및 상향 백홀이 설정된 결과, 도 8c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HARQ를 실행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가 일부의 HARQ 프로세스(PID3과, PID3으로부터 4 ms 시프트한 PID7)에 집약된다. 이에 의해, 4 프레임에 대해서, 4회의 하향 백홀과 7회의 상향 백홀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8d에 도시하는 백홀 설정 방법에서는 도 7d에 도시된 것과 비교하여, 새롭게 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1에 하향 백홀이 추가 설정된다. 프레임 Frame_0 내지 Frame_3에 이어지는 프레임도 동일한 위치에 하향 백홀이 설정된다. 그 결과, 이 추가 설정된 하향 백홀에서의 기지국(eNB)으로부터의 데이터 송신(data)의 4 ms 후에, 중계국(RN)으로부터 ACK/NACK 신호(A/N)를 회신하기 위해서, 상향 백홀이 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5에 설정된다.
또한, 모든 타이밍에서 HARQ를 실행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로서, 프로세스 번호 PID4의 HARQ 프로세스를 설정함으로써, 상향 백홀의 수가 보다 많이 확보된다. 즉, 프로세스 번호 PID4의 HARQ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상향 액세스 링크에 대응한, 프레임 Frame_0의 서브프레임 #3과 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9가 상향 백홀로 설정된다. 또한, 추가 설정된 하향 백홀(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1)에 있어서, 기지국(eNB)으로부터의 ACK/NACK 신호(A/N)의 수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그 4 ms 전의 프레임 Frame_0의 서브프레임 #7에 상향 백홀이 설정된다. 이렇게 상향 백홀의 수를 보다 많이 확보하기 위해서, 도 6에 도시된 LTE를 베이스로 한 설정 조건과는 달리, 새롭게 설정된 상향 백홀에서는 상향 액세스 링크에 의한 송신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중계국(RN)에 의해 제어된다.
이렇게 하향 백홀 및 상향 백홀이 설정된 결과, 도 8d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HARQ를 실행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가 일부의 HARQ 프로세스(PID4와, PID4로부터 4 ms 시프트한 PID8)에 집약된다. 이에 의해, 4 프레임에 대해서, 4회의 하향 백홀과 7회의 상향 백홀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8e에 도시하는 백홀 설정 방법에서는 도 7e에 도시된 것과 비교하여, 새롭게 프레임 Frame_2의 서브프레임 #8에 하향 백홀이 추가 설정된다. 프레임 Frame_0 내지 Frame_3에 이어지는 프레임도 동일한 위치에 하향 백홀이 설정된다. 그 결과, 이 추가 설정된 하향 백홀에서의 기지국(eNB)으로부터의 데이터 송신(data)의 4 ms 후에, 중계국(RN)으로부터 ACK/NACK 신호(A/N)를 회신하기 위해서, 상향 백홀이 프레임 Frame_3의 서브프레임 #2에 설정된다.
또한, 모든 타이밍에서 HARQ를 실행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로서, 프로세스 번호 PID5의 HARQ 프로세스를 설정함으로써, 상향 백홀의 수가 보다 많이 확보된다. 즉, 프로세스 번호 PID5의 HARQ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상향 액세스 링크에 대응한, 프레임 Frame_0의 서브프레임 #4와 프레임 Frame_2의 서브프레임 #8이 상향 백홀로 설정된다. 또한, 추가 설정된 하향 백홀(프레임 Frame_2의 서브프레임 #8)에 있어서, 기지국(eNB)으로부터의 ACK/NACK 신호(A/N)의 수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그 4 ms 전의 프레임 Frame_2의 서브프레임 #4에 상향 백홀이 설정된다. 이렇게 상향 백홀의 수를 보다 많이 확보하기 위해서, 도 6에 도시된 LTE를 베이스로 한 설정 조건과는 달리, 새롭게 설정된 상향 백홀에서는 상향 액세스 링크에 의한 송신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중계국(RN)에 의해 제어된다.
이렇게 하향 백홀 및 상향 백홀이 설정된 결과, 도 8e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HARQ를 실행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가 일부의 HARQ 프로세스(PID5와, PID5로부터 4 ms 시프트한 PID1)에 집약된다. 이에 의해, 4 프레임에 대해서, 4회의 하향 백홀과 7회의 상향 백홀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8f에 도시하는 백홀 설정 방법에서는 도 7f에 도시된 것과 비교하여, 새롭게 프레임 Frame_2의 서브프레임 #1에 하향 백홀이 추가 설정된다. 프레임 Frame_0 내지 Frame_3에 이어지는 프레임도 동일한 위치에 하향 백홀이 설정된다. 그 결과, 이 추가 설정된 하향 백홀에서의 기지국(eNB)으로부터의 데이터 송신(data)의 4 ms 후에, 중계국(RN)으로부터 ACK/NACK 신호(A/N)를 회신하기 위해서, 상향 백홀이 프레임 Frame_2의 서브프레임 #5에 설정된다.
또한, 모든 타이밍에서 HARQ를 실행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로서, 프로세스 번호 PID6의 HARQ 프로세스를 설정함으로써, 상향 백홀의 수가 보다 많이 확보된다. 즉, 프로세스 번호 PID6의 HARQ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상향 액세스 링크에 대응한, 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3과 프레임 Frame_2의 서브프레임 #9가 상향 백홀로 설정된다. 또한, 추가 설정된 하향 백홀(프레임 Frame_2의 서브프레임 #1)에 있어서, 기지국(eNB)으로부터의 ACK/NACK 신호(A/N)의 수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그 4 ms 전의 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7에 상향 백홀이 설정된다. 이렇게 상향 백홀의 수를 보다 많이 확보하기 위해서, 도 6에 도시된 LTE를 베이스로 한 설정 조건과는 달리, 새롭게 설정된 상향 백홀에서는 상향 액세스 링크에 의한 송신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중계국(RN)에 의해 제어된다.
이렇게 하향 백홀 및 상향 백홀이 설정된 결과, 도 8f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HARQ를 실행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가 일부의 HARQ 프로세스(PID6과, PID6으로부터 4 ms 시프트한 PID2)에 집약된다. 이에 의해, 4 프레임에 대해서, 4회의 하향 백홀과 7회의 상향 백홀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8g에 도시하는 백홀 설정 방법에서는 도 7g에 도시된 것과 비교하여, 새롭게 프레임 Frame_3의 서브프레임 #8에 하향 백홀이 추가 설정된다. 프레임 Frame_0 내지 Frame_3에 이어지는 프레임도 동일한 위치에 하향 백홀이 설정된다. 그 결과, 이 추가 설정된 하향 백홀에서의 기지국(eNB)으로부터의 데이터 송신(data)의 4 ms 후에, 중계국(RN)으로부터 ACK/NACK 신호(A/N)를 회신하기 위해서, 상향 백홀이 프레임 Frame_0의 서브프레임 #2에 설정된다.
또한, 모든 타이밍에서 HARQ를 실행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로서, 프로세스 번호 PID7의 HARQ 프로세스를 설정함으로써, 상향 백홀의 수가 보다 많이 확보된다. 즉, 프로세스 번호 PID7의 HARQ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상향 액세스 링크에 대응한, 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4와 프레임 Frame_3의 서브프레임 #8이 상향 백홀로 설정된다. 또한, 추가 설정된 하향 백홀(프레임 Frame_3의 서브프레임 #8)에 있어서, 기지국(eNB)으로부터의 ACK/NACK 신호(A/N)의 수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그 4 ms 전의 프레임 Frame_3의 서브프레임 #4에 상향 백홀이 설정된다. 이렇게 상향 백홀의 수를 보다 많이 확보하기 위해서, 도 6에 도시된 LTE를 베이스로 한 설정 조건과는 달리, 새롭게 설정된 상향 백홀에서는 상향 액세스 링크에 의한 송신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중계국(RN)에 의해 제어된다.
이렇게 하향 백홀 및 상향 백홀이 설정된 결과, 도 8g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HARQ를 실행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가 일부의 HARQ 프로세스(PID7과, PID7로부터 4 ms 시프트한 PID3)에 집약된다. 이에 의해, 4 프레임에 대해서, 4회의 하향 백홀과 7회의 상향 백홀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8h에 도시하는 백홀 설정 방법에서는 도 7h에 도시된 것과 비교하여, 새롭게 프레임 Frame_3의 서브프레임 #1에 하향 백홀이 추가 설정된다. 프레임 Frame_0 내지 Frame_3에 이어지는 프레임도 동일한 위치에 하향 백홀이 설정된다. 그 결과, 이 추가 설정된 하향 백홀에서의 기지국(eNB)으로부터의 데이터 송신(data)의 4 ms 후에, 중계국(RN)으로부터 ACK/NACK 신호(A/N)를 회신하기 위해서, 상향 백홀이 프레임 Frame_3의 서브프레임 #5에 설정된다.
또한, 모든 타이밍에서 HARQ를 실행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로서, 프로세스 번호 PID8의 HARQ 프로세스를 설정함으로써, 상향 백홀의 수가 보다 많이 확보된다. 즉, 프로세스 번호 PID8의 HARQ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상향 액세스 링크에 대응한, 프레임 Frame_2의 서브프레임 #3과 프레임 Frame_3의 서브프레임 #9가 상향 백홀로 설정된다. 또한, 추가 설정된 하향 백홀(프레임 Frame_3의 서브프레임 #1)에 있어서, 기지국(eNB)으로부터의 ACK/NACK 신호(A/N)의 수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그 4 ms 전의 프레임 Frame_2의 서브프레임 #7에 상향 백홀이 설정된다. 이렇게 상향 백홀의 수를 보다 많이 확보하기 위해서, 도 6에 도시된 LTE를 베이스로 한 설정 조건과는 달리, 새롭게 설정된 상향 백홀에서는 상향 액세스 링크에 의한 송신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중계국(RN)에 의해 제어된다.
이렇게 하향 백홀 및 상향 백홀이 설정된 결과, 도 8h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HARQ를 실행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가 일부의 HARQ 프로세스(PID8과, PID8로부터 4 ms 시프트한 PID4)에 집약된다. 이에 의해, 4 프레임에 대해서, 4회의 하향 백홀과 7회의 상향 백홀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9는 도 8a 내지 8h에 예시한 백홀 설정 방법에 의해 설정되는 백홀을 정리한 도면이다. 도 9에 있어서, 컨피규레이션(Configuration)이 0 내지 7인 경우에는 각각 도 8a 내지 8h에서 설정된 송수신 타이밍에 대응하고 있다. SFN(System Frame Number)은 프레임 번호를 의미하고, SFN mod 4=0, 1, 2, 3이 성립하는 SFN의 프레임은 각각 도 8a 내지 도 8h에 있어서의 프레임 Frame_0, 1, 2, 3에 대응하고 있다.
도 9의 (a)는 컨피규레이션의 값마다, 중계국(RN)이 ACK/NACK 신호를 수신하는 서브프레임 #i(i=0, …, 9), 즉, 하향 백홀 #i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기재되어 있는 서브프레임 #i의 4 ms 전의 서브프레임 #(i-4)에 있어서, 상향 백홀이 설정된다.
도 9의 (b)는 중계국(RN)이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 #i(i=0, …, 9), 즉, 상향 백홀 #i를 나타내고 있다. 즉, 여기에서 기재되어 있는 서브프레임 #i의 4 ms 전의 서브프레임 #(i-4)에 하향 백홀이 설정된다. 도 9의 (b)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상향 백홀은 각 컨피규레이션의 값, 즉, 집약되어야할 HARQ 프로세스의 상향 송신의 타이밍에 따라서 적절히 결정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백홀 설정 방법에서는 하향 및 상향 백홀의 설정 빈도를 보다 많이 확보하기 위해서, 복수의 HARQ 프로세스 중, HARQ를 실행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를 집약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백홀의 설정 빈도를 보다 많게 하는 것, 중계국(RN)에 있어서의 액세스 링크에 있어서의 스케줄링이 용이해지고, 또한, 액세스 링크의 효율을 유지하는 것을 높은 레벨에서 양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8a을 다시 참조하면, 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2에 설정된 상향 백홀의 4 ms 후에 하향 백홀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 그로 인해, 중계국(RN)이 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2에 설정된 상향 백홀에서, ACK/NACK 신호의 회신을 필요로 하는 데이터(유저 데이터 등)를 기지국(eNB)에 송신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2에 설정된 상향 백홀의 4 ms 후에 하향 백홀이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8a 내지 8h에 도시된 백홀 설정 방법에 의해 설정된 상향 백홀 중, 4 ms 후에 하향 백홀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것에 있어서는, 중계국(RN)은 기지국(eNB)으로부터의 ACK/NACK 신호의 회신을 필요로 하지 않는 데이터를 송신한다. ACK/NACK 신호의 회신을 필요로 하지 않는 데이터는, 예를 들어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보고를 위한 데이터 등이다.
설정된 상향 백홀의 일부에서 송신되는 데이터 종별은 제한되지만, 각 상향 백홀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를 적절하게 관리함으로써, 상향 백홀의 설정 빈도를 보다 많이 확보할 수 있다고 할 수도 있다.
(3) 제3 실시 형태
이하, 제3 실시 형태의 백홀 설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설정된 백홀에 대하여 추가의 백홀을 설치함으로써, 각 프레임에 하향 백홀을 확보한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각 프레임의 하향 백홀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즉, HARQ의 회신 타이밍에 관하여, 데이터 송신(data)의 4 ms 후에 ACK/NACK 신호(A/N)를 회신하는 것을 전제로 하면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HARQ를 실행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의 수가 최대한 적어지도록 하여 백홀을 설정하면 된다. 그러한 백홀 설정 방법의, 제2 실시 형태와는 다른 예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이하, 구체적인 본 실시 형태의 백홀 설정 방법에 대해서, 도 10a 내지 10h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a 내지 10h은 도 6과 동일한 포맷의 도면이다. 도 10a 내지 10h은 각각 프로세스 번호 PID1 내지 PID8의 HARQ 프로세스와, 그 4 ms 후에 시프트한 프로세스 번호 PID5 내지 PID4의 HARQ 프로세스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HARQ를 실행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0a 내지 10h에서는 실행할 수 없는 HARQ의 타이밍을 굵은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0a 내지 10h에 도시하는 백홀 설정 방법에서는 도 8a 내지 8h에 도시된 것과 비교하면, 부분적으로 HARQ를 실행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가 2개 설정되는 점에서 상이하다.
도 10a에 있어서, 연속하는 4 프레임의 각각에 하향 백홀이 확보된다. 즉, 도 10a에서는 프레임 Frame_0의 서브프레임 #8, 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6, 프레임 Frame_2의 서브프레임 #8, 프레임 Frame_3의 서브프레임 #6에 하향 백홀이 설정된다. 프레임 Frame_0 내지 Frame_3에 이어지는 프레임도 동일한 위치에 하향 백홀이 설정된다. 이렇게 설정된 하향 백홀에서의 기지국(eNB)으로부터의 데이터 송신(data)의 4 ms 후에, 중계국(RN)으로부터 ACK/NACK 신호(A/N)를 회신하기 위해서, 상향 백홀이 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2, 프레임 Frame_2의 서브프레임 #0, 프레임 Frame_3의 서브프레임 #2, 프레임 Frame_0의 서브프레임 #0에 설정된다.
여기에서는 부분적으로 HARQ를 실행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로서, 프로세스 번호 PID1의 HARQ 프로세스와, 프로세스 번호 PID1의 HARQ 프로세스로부터 4 ms 후에 시프트한 프로세스 번호 PID5의 HARQ 프로세스가 설정된다. 이에 의해, 상향 백홀의 수가 보다 많이 확보된다. 즉, 프로세스 번호 PID1의 HARQ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상향 액세스 링크에 대응한 프레임 Frame_2의 서브프레임 #4와, 프로세스 번호 PID5의 HARQ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상향 액세스 링크에 대응한 프레임 Frame_0의 서브프레임 #4에 상향 백홀로 설정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LTE를 베이스로 한 설정 조건과는 상이하지만, 설정된 상향 백홀의 일부에서는 상향 액세스 링크에 의한 송신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중계국(RN)에 의해 제어된다.
이렇게 하향 백홀 및 상향 백홀이 설정된 결과, 도 10a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HARQ가 부분적으로 실행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가 일부의 HARQ 프로세스(PID1과, PID1로부터 4 ms 시프트한 PID5)에 집약된다. 이에 의해, 4 프레임에 대해서, 4회의 하향 백홀과 6회의 상향 백홀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0b에 있어서, 연속하는 4 프레임의 각각에 하향 백홀이 확보된다. 즉, 도 10b에서는 프레임 Frame_0의 서브프레임 #1, 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3, 프레임 Frame_2의 서브프레임 #1, 프레임 Frame_3의 서브프레임 #3에 하향 백홀이 설정된다. 프레임 Frame_0 내지 Frame_3에 이어지는 프레임도 동일한 위치에 하향 백홀이 설정된다. 이렇게 설정된 하향 백홀에서의 기지국(eNB)으로부터의 데이터 송신(data)의 4 ms 후에, 중계국(RN)으로부터 ACK/NACK 신호(A/N)를 회신하기 위해서, 상향 백홀이 프레임 Frame_0의 서브프레임 #5, 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7, 프레임 Frame_2의 서브프레임 #5, 프레임 Frame_3의 서브프레임 #7에 설정된다.
여기에서는 부분적으로 HARQ를 실행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로서, 프로세스 번호 PID2의 HARQ 프로세스와, 프로세스 번호 PID2의 HARQ 프로세스로부터 4 ms 후에 시프트한 프로세스 번호 PID6의 HARQ 프로세스가 설정된다. 이에 의해, 상향 백홀의 수가 보다 많이 확보된다. 즉, 프로세스 번호 PID2의 HARQ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상향 액세스 링크에 대응한 프레임 Frame_0의 서브프레임 #9와, 프로세스 번호 PID6의 HARQ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상향 액세스 링크에 대응한 프레임 Frame_2의 서브프레임 #9에 상향 백홀로 설정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LTE를 베이스로 한 설정 조건과는 상이하지만, 설정된 상향 백홀의 일부에서는 상향 액세스 링크에 의한 송신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중계국(RN)에 의해 제어된다.
이렇게 하향 백홀 및 상향 백홀이 설정된 결과, 도 10b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HARQ가 부분적으로 실행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가 일부의 HARQ 프로세스(PID2와, PID2로부터 4 ms 시프트한 PID6)에 집약된다. 이에 의해, 4 프레임에 대해서, 4회의 하향 백홀과 6회의 상향 백홀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0c에 있어서, 연속하는 4 프레임의 각각에 하향 백홀이 확보된다. 즉, 도 10c에서는 프레임 Frame_0의 서브프레임 #6, 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8, 프레임 Frame_2의 서브프레임 #6, 프레임 Frame_3의 서브프레임 #8에 하향 백홀이 설정된다. 프레임 Frame_0 내지 Frame_3에 이어지는 프레임도 동일한 위치에 하향 백홀이 설정된다. 이렇게 설정된 하향 백홀에서의 기지국(eNB)으로부터의 데이터 송신(data)의 4 ms 후에, 중계국(RN)으로부터 ACK/NACK 신호(A/N)를 회신하기 위해서, 상향 백홀이 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0, 프레임 Frame_2의 서브프레임 #2, 프레임 Frame_3의 서브프레임 #0, 프레임 Frame_0의 서브프레임 #2에 설정된다.
여기에서는 부분적으로 HARQ를 실행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로서, 프로세스 번호 PID3의 HARQ 프로세스와, 프로세스 번호 PID3의 HARQ 프로세스로부터 4 ms 후에 시프트한 프로세스 번호 PID7의 HARQ 프로세스가 설정된다. 이에 의해, 상향 백홀의 수가 보다 많이 확보된다. 즉, 프로세스 번호 PID3의 HARQ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상향 액세스 링크에 대응한 프레임 Frame_3의 서브프레임 #4와, 프로세스 번호 PID7의 HARQ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상향 액세스 링크에 대응한 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4에 상향 백홀로 설정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LTE를 베이스로 한 설정 조건과는 상이하지만, 설정된 상향 백홀의 일부에서는 상향 액세스 링크에 의한 송신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중계국(RN)에 의해 제어된다.
이렇게 하향 백홀 및 상향 백홀이 설정된 결과, 도 10c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HARQ가 부분적으로 실행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가 일부의 HARQ 프로세스(PID3과, PID3으로부터 4 ms 시프트한 PID7)에 집약된다. 이에 의해, 4 프레임에 대해서, 4회의 하향 백홀과 6회의 상향 백홀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0d에 있어서, 연속하는 4 프레임의 각각에 하향 백홀이 확보된다. 즉, 도 10d에서는 프레임 Frame_0의 서브프레임 #3, 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1, 프레임 Frame_2의 서브프레임 #3, 프레임 Frame_3의 서브프레임 #1에 하향 백홀이 설정된다. 프레임 Frame_0 내지 Frame_3에 이어지는 프레임도 동일한 위치에 하향 백홀이 설정된다. 이렇게 설정된 하향 백홀에서의 기지국(eNB)으로부터의 데이터 송신(data)의 4 ms 후에, 중계국(RN)으로부터 ACK/NACK 신호(A/N)를 회신하기 위해서, 상향 백홀이 프레임 Frame_0의 서브프레임 #7, 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5, 프레임 Frame_2의 서브프레임 #7, 프레임 Frame_3의 서브프레임 #5에 설정된다.
여기에서는 부분적으로 HARQ를 실행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로서, 프로세스 번호 PID4의 HARQ 프로세스와, 프로세스 번호 PID4의 HARQ 프로세스로부터 4 ms 후에 시프트한 프로세스 번호 PID8의 HARQ 프로세스가 설정된다. 이에 의해, 상향 백홀의 수가 보다 많이 확보된다. 즉, 프로세스 번호 PID4의 HARQ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상향 액세스 링크에 대응한 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9와, 프로세스 번호 PID8의 HARQ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상향 액세스 링크에 대응한 프레임 Frame_3의 서브프레임 #9에 상향 백홀로 설정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LTE를 베이스로 한 설정 조건과는 상이하지만, 설정된 상향 백홀의 일부에서는 상향 액세스 링크에 의한 송신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중계국(RN)에 의해 제어된다.
이렇게 하향 백홀 및 상향 백홀이 설정된 결과, 도 10d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HARQ가 부분적으로 실행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가 일부의 HARQ 프로세스(PID4와, PID4로부터 4 ms 시프트한 PID8)에 집약된다. 이에 의해, 4 프레임에 대해서, 4회의 하향 백홀과 6회의 상향 백홀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0e에 있어서, 연속하는 4 프레임의 각각에 하향 백홀이 확보된다. 즉, 도 10e에서는 프레임 Frame_0의 서브프레임 #8, 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6, 프레임 Frame_2의 서브프레임 #8, 프레임 Frame_3의 서브프레임 #6에 하향 백홀이 설정된다. 프레임 Frame_0 내지 Frame_3에 이어지는 프레임도 동일한 위치에 하향 백홀이 설정된다. 이렇게 설정된 하향 백홀에서의 기지국(eNB)으로부터의 데이터 송신(data)의 4 ms 후에, 중계국(RN)으로부터 ACK/NACK 신호(A/N)를 회신하기 위해서, 상향 백홀이 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2, 프레임 Frame_2의 서브프레임 #0, 프레임 Frame_3의 서브프레임 #2, 프레임 Frame_0의 서브프레임 #0에 설정된다.
여기에서는 부분적으로 HARQ를 실행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로서, 프로세스 번호 PID5의 HARQ 프로세스와, 프로세스 번호 PID5의 HARQ 프로세스로부터 4 ms 후에 시프트한 프로세스 번호 PID1의 HARQ 프로세스가 설정된다. 이에 의해, 상향 백홀의 수가 보다 많이 확보된다. 즉, 프로세스 번호 PID5의 HARQ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상향 액세스 링크에 대응한 프레임 Frame_0의 서브프레임 #4와, 프로세스 번호 PID1의 HARQ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상향 액세스 링크에 대응한 프레임 Frame_2의 서브프레임 #4에 상향 백홀로 설정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LTE를 베이스로 한 설정 조건과는 상이하지만, 설정된 상향 백홀의 일부에서는 상향 액세스 링크에 의한 송신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중계국(RN)에 의해 제어된다.
이렇게 하향 백홀 및 상향 백홀이 설정된 결과, 도 10e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HARQ가 부분적으로 실행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가 일부의 HARQ 프로세스(PID5와, PID5로부터 4 ms 시프트한 PID1)에 집약된다. 이에 의해, 4 프레임에 대해서, 4회의 하향 백홀과 6회의 상향 백홀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0f에 있어서, 연속하는 4 프레임의 각각에 하향 백홀이 확보된다. 즉, 도 10f에서는 프레임 Frame_0의 서브프레임 #1, 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3, 프레임 Frame_2의 서브프레임 #1, 프레임 Frame_3의 서브프레임 #3에 하향 백홀이 설정된다. 프레임 Frame_0 내지 Frame_3에 이어지는 프레임도 동일한 위치에 하향 백홀이 설정된다. 이렇게 설정된 하향 백홀에서의 기지국(eNB)으로부터의 데이터 송신(data)의 4 ms 후에, 중계국(RN)으로부터 ACK/NACK 신호(A/N)를 회신하기 위해서, 상향 백홀이 프레임 Frame_0의 서브프레임 #5, 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7, 프레임 Frame_2의 서브프레임 #5, 프레임 Frame_3의 서브프레임 #7에 설정된다.
여기에서는 부분적으로 HARQ를 실행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로서, 프로세스 번호 PID6의 HARQ 프로세스와, 프로세스 번호 PID6의 HARQ 프로세스로부터 4 ms 후에 시프트한 프로세스 번호 PID2의 HARQ 프로세스가 설정된다. 이에 의해, 상향 백홀의 수가 보다 많이 확보된다. 즉, 프로세스 번호 PID6의 HARQ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상향 액세스 링크에 대응한 프레임 Frame_2의 서브프레임 #9와, 프로세스 번호 PID2의 HARQ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상향 액세스 링크에 대응한 프레임 Frame_0의 서브프레임 #9에 상향 백홀로 설정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LTE를 베이스로 한 설정 조건과는 상이하지만, 설정된 상향 백홀의 일부에서는 상향 액세스 링크에 의한 송신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중계국(RN)에 의해 제어된다.
이렇게 하향 백홀 및 상향 백홀이 설정된 결과, 도 10f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HARQ가 부분적으로 실행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가 일부의 HARQ 프로세스(PID6과, PID6으로부터 4 ms 시프트한 PID2)에 집약된다. 이에 의해, 4 프레임에 대해서, 4회의 하향 백홀과 6회의 상향 백홀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0g에 있어서, 연속하는 4 프레임의 각각에 하향 백홀이 확보된다. 즉, 도 10g에서는 프레임 Frame_0의 서브프레임 #6, 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8, 프레임 Frame_2의 서브프레임 #6, 프레임 Frame_3의 서브프레임 #8에 하향 백홀이 설정된다. 프레임 Frame_0 내지 Frame_3에 이어지는 프레임도 동일한 위치에 하향 백홀이 설정된다. 이렇게 설정된 하향 백홀에서의 기지국(eNB)으로부터의 데이터 송신(data)의 4 ms 후에, 중계국(RN)으로부터 ACK/NACK 신호(A/N)를 회신하기 위해서, 상향 백홀이 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0, 프레임 Frame_2의 서브프레임 #2, 프레임 Frame_3의 서브프레임 #0, 프레임 Frame_0의 서브프레임 #2에 설정된다.
여기에서는 부분적으로 HARQ를 실행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로서, 프로세스 번호 PID7의 HARQ 프로세스와, 프로세스 번호 PID7의 HARQ 프로세스로부터 4 ms 후에 시프트한 프로세스 번호 PID3의 HARQ 프로세스가 설정된다. 이에 의해, 상향 백홀의 수가 보다 많이 확보된다. 즉, 프로세스 번호 PID7의 HARQ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상향 액세스 링크에 대응한 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4와, 프로세스 번호 PID3의 HARQ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상향 액세스 링크에 대응한 프레임 Frame_3의 서브프레임 #4에 상향 백홀로 설정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LTE를 베이스로 한 설정 조건과는 상이하지만, 설정된 상향 백홀의 일부에서는 상향 액세스 링크에 의한 송신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중계국(RN)에 의해 제어된다.
이렇게 하향 백홀 및 상향 백홀이 설정된 결과, 도 10g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HARQ가 부분적으로 실행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가 일부의 HARQ 프로세스(PID7과, PID7로부터 4 ms 시프트한 PID3)에 집약된다. 이에 의해, 4 프레임에 대해서, 4회의 하향 백홀과 6회의 상향 백홀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0h에 있어서, 연속하는 4 프레임의 각각에 하향 백홀이 확보된다. 즉, 도 10h에서는 프레임 Frame_0의 서브프레임 #3, 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1, 프레임 Frame_2의 서브프레임 #3, 프레임 Frame_3의 서브프레임 #1에 하향 백홀이 설정된다. 프레임 Frame_0 내지 Frame_3에 이어지는 프레임도 동일한 위치에 하향 백홀이 설정된다. 이렇게 설정된 하향 백홀에서의 기지국(eNB)으로부터의 데이터 송신(data)의 4 ms 후에, 중계국(RN)으로부터 ACK/NACK 신호(A/N)를 회신하기 위해서, 상향 백홀이 프레임 Frame_0의 서브프레임 #7, 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5, 프레임 Frame_2의 서브프레임 #7, 프레임 Frame_3의 서브프레임 #5에 설정된다.
여기에서는 부분적으로 HARQ를 실행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로서, 프로세스 번호 PID8의 HARQ 프로세스와, 프로세스 번호 PID8의 HARQ 프로세스로부터 4 ms 후에 시프트한 프로세스 번호 PID4의 HARQ 프로세스가 설정된다. 이에 의해, 상향 백홀의 수가 보다 많이 확보된다. 즉, 프로세스 번호 PID8의 HARQ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상향 액세스 링크에 대응한 프레임 Frame_3의 서브프레임 #9와, 프로세스 번호 PID4의 HARQ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상향 액세스 링크에 대응한 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9에 상향 백홀로 설정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LTE를 베이스로 한 설정 조건과는 상이하지만, 설정된 상향 백홀의 일부에서는 상향 액세스 링크에 의한 송신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중계국(RN)에 의해 제어된다.
이렇게 하향 백홀 및 상향 백홀이 설정된 결과, 도 10h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HARQ가 부분적으로 실행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가 일부의 HARQ 프로세스(PID8과, PID8로부터 4 ms 시프트한 PID4)에 집약된다. 이에 의해, 4 프레임에 대해서, 4회의 하향 백홀과 6회의 상향 백홀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1은, 도 10a 내지 10h에 예시한 백홀 설정 방법에 의해 설정되는 백홀을 정리한 도면이다. 도 11에 있어서, 컨피규레이션(Configuration)이 0 내지 7인 경우에는 각각 도 10a 내지 10h에서 설정된 송수신 타이밍에 대응하고 있다. SFN mod 4=0, 1, 2, 3이 성립하는 SFN의 프레임은 각각 도 10a 내지 도 10h에 있어서의 프레임 Frame_0, 1, 2, 3에 대응하고 있다.
도 11의 (a)는 컨피규레이션의 값마다, 중계국(RN)이 ACK/NACK 신호를 수신하는 서브프레임 #i(i=0, …, 9), 즉, 하향 백홀 #i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기재되어 있는 서브프레임 #i의 4 ms 전의 서브프레임 #(i-4)에 있어서, 상향 백홀이 설정된다.
도 11의 (b)는 중계국(RN)이 ACK/NACK 신호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 #i(i=0, …, 9), 즉, 상향 백홀 #i를 나타내고 있다. 즉, 여기에서 기재되어 있는 서브프레임 #i의 4 ms 전의 서브프레임 #(i-4)에 하향 백홀이 설정된다. 도 11의 (b)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상향 백홀은 각 컨피규레이션의 값, 즉, 집약되어야할 HARQ 프로세스의 상향 송신의 타이밍에 따라서 적절히 결정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백홀 설정 방법에서는 하향 및 상향 백홀의 설정 빈도를 최대한 많이 확보하기 위해서, 복수의 HARQ 프로세스 중, HARQ를 실행할 수 없는 HARQ 프로세스를 집약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백홀의 설정 빈도를 많게 하는 것, 중계국(RN)에 있어서의 액세스 링크에 있어서의 스케줄링이 용이해지고, 또한, 액세스 링크의 효율을 유지하는 것을 높은 레벨에서 양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4) 제4 실시 형태
이하, 제4 실시 형태의 백홀 설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서는 HARQ의 회신 타이밍에 대하여 LTE와의 후방 호환성을 유지하는 것을 전제로 한 백홀 설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즉,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데이터 송신(data)의 4 ms 후에 ACK/NACK 신호(A/N)를 회신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LTE와의 후방 호환성을 전제로 하지 않으면,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로 설명한 방법과는 다른 방법으로 액세스 링크의 효율을 올릴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LTE의 규정과는 달리, 하향의 데이터 송신의 4 ms 후에 ACK/NACK 신호를 회신하고, 또한, 상향의 데이터 송신의 6 ms 후에 ACK/NACK 신호를 회신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 전제를 따르면,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하향 백홀과 상향 백홀의 위치를 각 프레임에서 항상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하향 백홀이 서브프레임 #1에 설정된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향 백홀의 4 ms 후에 상향 백홀을 설정하는 한, 하향 백홀은 1 프레임 중의 임의의 위치에 설정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향 백홀이 서브프레임 #1에 설정된 경우에는 프로세스 번호 PID2, PID4, PID6, PID8의 각 HARQ 프로세스의 일부의 타이밍에서, HARQ를 실행할 수 없는 점은 이미 설명한 대로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HARQ를 실행할 수 없는 구간은, LTE에서 규정되는 Measurement gap으로 설정된다.
Measurement gap은, 상기 비특허문헌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이동국(UE)의 핸드 오버를 위하여 설치되는, 하향에서 6 ms, 상향에서 7 ms의 구간이다. Measurement gap의 간격은, 예를 들어 40 ms가 규정되어 있다. 이 Measurement gap에 있어서, 이동국(UE)은 수신 주파수를 전환하고, 현재 통신하고 있는 중계국(RN)의 주파수 대역과 다른 주파수 대역의 무선 품질 측정을 행한다. 즉, Measurement gap에서는 이동국(UE)으로부터 중계국(RN)으로의 상향 송신은 행해졌기 때문에, Measurement gap 내에 HARQ를 실행할 수 없어도 지장은 없다.
도 12는, 도 5에 도시한 타이밍에서 백홀이 설정되었을 때의 Measurement gap의 구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5와 비교하면, (f) Measurement gap의 구간이 추가되어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도 12의 (f)에서는 일례로서 이동국(UE1 내지 UE4)의 Measurement gap의 구간이 나타난다.
중계국(RN)과 접속하고 있는 각 이동국(UE)은 프로세스 번호 PID1 내지 PID8의 HARQ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에 할당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행할 수 없는 HARQ의 구간을 포함하는 HARQ 프로세스에 할당되어 있는 이동국(UE)에 대하여 그 실행할 수 없는 HARQ를 포함하는 구간을 Measurement gap의 구간에 설정한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이동국(UE1)이 프로세스 번호 PID6에 할당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때, 프레임 Frame_0의 서브프레임 #5 내지 #9의 구간을 포함하는 Measurement gap의 구간이 이동국(UE1)에 대하여 설정된다. 도 12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이동국(UE2, UE3, UE4)이 각각, 프로세스 번호 PID8, PID2, PID4에 할당되고, 동일하게 Measurement gap의 구간이 설정된다.
본 실시 형태의 백홀 설정 방법에서는 백홀의 설정 자체는 전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와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또한, 실행할 수 없는 HARQ의 구간을 포함하는 Measurement gap의 구간을 이동국(UE)에 대하여 설정된다. 즉, 각 이동국(UE)은, 액세스 링크를 사용할 수 없는 구간에 Measurement gap이 설정되게 되기 때문에, 백홀의 설정 빈도를 많이 확보하면서, 또한, 액세스 링크의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백홀의 설정은 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실행할 수 없는 HARQ의 구간을 포함하는 Measurement gap의 구간이, 그 실행할 수 없는 HARQ를 포함하는 HARQ 프로세스에 할당되어 있는 이동국(UE)에 대하여 설정되면 되고, 백홀의 1 프레임 내에서의 위치는 상관없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Measurement gap의 구간의 설정이 전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명확하다. 즉, LTE의 ACK/NACK 신호의 회신 타이밍을 유지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된 백홀 설정 방법이면, 프레임 Frame_0의 서브프레임 #4로부터 프레임 Frame_1의 서브프레임 #6까지의 구간(HARQ를 실행할 수 없는 구간)을 포함하는 Measurement gap의 구간이, 프로세스 번호 PID5에 할당되어 있는 이동국(UE)에 대하여 설정되게 된다.
(5) 제5 실시 형태
이하, 제5 실시 형태의 중계국 및 이동국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중계국 및 이동국의 구성 및 그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5-1) 중계국의 구성
도 13에 중계국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중계국(RN)은 기지국(eNB)과 이동국(UE) 사이의 무선 통신을 중계한다. 이 중계국(RN)은 송수신부(31, 32)와, Uu HARQ부(35)와, Un HARQ부(36)와, 제어부(40)를 구비한다. 제어부(40)는 백홀 관리부(45)와, 액세스 링크 관리부(46)와, HARQ 관리부(47)를 구비한다.
송수신부(31)(제1 송수신부)는 기지국(eNB)과의 사이의 송수신 처리를 행한다. 송수신부(32)(제2 송수신부)는 이동국(UE)과의 사이의 송수신 처리를 행한다. 이 중계국(RN)에서는 기지국(eNB)과 이동국(UE) 사이의 무선 통신의 중계에 있어서, 수신 신호에 대하여 일단 복조 및 복호화가 행해진다. 그리고, 복조 및 복호화된 수신 신호 내의 데이터 신호는, 스케줄링이 행해진 후, 다시 부호화 및 변조되어서 송신된다. 예를 들어 하향 신호가 OFDM인 경우, 송수신부(32)는 기지국(eNB)으로부터 수신한 OFDM 신호를 FFT 처리함으로써 서브 캐리어 단위의 데이터 신호를 분리하고, 이 데이터 신호에 대하여 복조 및 복호화 처리를 행한다. 데이터 신호는 다시 부호화 및 변조 처리되어서, 스케줄러(33)에 의해 소정의 무선 프레임 포맷에 맵핑된다. 송수신부(31)는 서브 캐리어 마다의 시간 영역 신호로의 변환(IFFT 처리), 시간 영역 신호의 합성 처리, 및 CP(Cyclic Prefix) 부가 처리 등을 행한다.
Uu HARQ부(35)는 이동국(UE)과의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에 대하여 HARQ를 실행한다. HARQ의 처리에 대해서는 이미 공지이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Uu HARQ부(35)는 이동국(UE) 앞의 데이터 송신 시에는, 정보 비트에 오류 정정 부호화를 실시한 데이터 블록을 생성한다. 그리고, Uu HARQ부(35)는 그 데이터 블록이 이동국(UE)에서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은 경우(송수신부(31)가 NACK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동일한 정보 비트에 기초하여 작성한 다른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는 등의 처리를 행한다. 이들 데이터 블록이 송수신부(31)로부터 송신된다. 또한, Uu HARQ부(35)는 이동국(UE) 앞으로, 이동국(UE)으로부터의 데이터의 확인 응답인 ACK/NACK 신호를 생성한다. 이 ACK/NACK 신호는 송수신부(31)로부터 송신된다.
Un HARQ부(36)는 Uu HARQ부(35)와 마찬가지로, 기지국(eNB)과의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에 대하여 HARQ를 실행한다.
중계국(RN)의 송수신부(32)는 기지국(eNB)으로부터, 백홀의 설정에 관한 컨피규레이션의 데이터(도 9 및 도 11 참조)가 기술된 백홀 설정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40)의 백홀 관리부(45)는 백홀 설정 메시지에 포함되는 컨피규레이션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지국(eNB)과의 사이의 백홀을 설정하고, 관리한다. 또한, 백홀 설정 메시지는, 중계국(RN)이 접속하고 있는 이동국(UE) 앞으로 전송된다.
제어부(40)의 액세스 링크 관리부(46)는 백홀 관리부(45)에 의해 설정된 백홀의 구간을 참조하여, 하향 백홀을 MBSFN 서브프레임에 설정한다. 또한, 액세스 링크 관리부(46)는 백홀 관리부(45)에 의해 설정된 상향 백홀에서 이동국(UE)이 상향의 데이터 송신을 행하지 않도록, 상향 백홀의 4 ms 전에 상향 데이터 송신 허가(PDCCH에서 송신되는 UL grant)를 부여하지 않도록 관리한다.
제1 측정 구간 관리부로서의 액세스 링크 관리부(46)는 HARQ 관리부(47)에 의해 산출되는, 특정한 HARQ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HARQ를 실행할 수 없는 구간을 포함하는 Measurement gap을, 그의 HARQ 프로세스에 할당되어 있는 이동국(UE)에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링크 관리부(46)에서는 이동국(UE) 앞의 메시지로서, Measurement gap의 구간에 관한 정보가 기술되는 Measurement gap 설정 메시지가 생성된다.
제1 통신 관리부로서의 HARQ 관리부(47)는 서브프레임의 TTI 단위로 HARQ 프로세스를 관리하고 있다. HARQ 관리부(47)는 프로세스 번호 PID1 내지 PID8의 HARQ 프로세스를, 접속하고 있는 이동국(UE)마다에 할당하고 있다. 또한 HARQ 관리부(47)는 기지국(eNB)으로부터 수신하는 백홀 설정 메시지에 기초하여, 이동국(UE)과의 액세스 링크에서 이용하지 않는 HARQ 프로세스 및 그 HARQ 프로세스에 있어서 HARQ를 실행할 수 없는 구간을 산출한다.
(5-2) 이동국의 구성
도 14에 이동국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이동국(UE)은 중계국(RN)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의 송수신을 행한다. 이 이동국(UE)은 송수신부(61)와, 제어부(70)를 구비한다. 제어부(70)는 Uu HARQ 관리부(75)(제2 통신 관리부)와, Measurement gap 관리부(76)(제2 측정 구간 관리부)를 구비한다.
송수신부(61)는 중계국(RN) 또는 기지국(eNB)과의 사이의 송수신 처리를 행한다. 또한, 송수신부(61)의 송수신 처리에 대해서는, 중계국(RN)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Uu HARQ 관리부(75)는 중계국(RN)으로부터 송수신부(61)를 통하여 수신하는 컨피규레이션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국에 할당된 HARQ 프로세스 중, 실행할 수 없는 HARQ의 구간을 산출함과 함께, 중계국(RN)과의 액세스 링크에 의한 통신 타이밍을 관리한다. Measurement gap 관리부(76)는 중계국(RN)으로부터 수신하는 Measurement gap 설정 메시지에 기술되어 있는 구간에 의해 Measurement gap의 구간을 설정한다(할당함). Measurement gap 관리부(76)는 또한, 이 구간에 있어서 수신 주파수를 전환하고, 현재 통신하고 있는 중계국(RN)의 주파수 대역과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계측하는 처리를 행한다.
(5-3) 중계국(RN)의 동작
이어서,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주로 백홀 설정에 관련한 중계국(RN)의 동작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 및 도 16은, 중계국(RN)의 동작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5의 흐름도는 제2 및 제3 실시 형태에 대응한 중계국(RN)의 동작을 도시하고, 도 16의 흐름도는 제4 실시 형태의 중계국(RN)의 동작을 도시한다.
우선 도 15를 참조하면, 중계국(RN)의 송수신부(32)는 기지국(eNB)으로부터 백홀 설정 메시지를 수신한다(스텝 S10). 백홀 관리부(45)는 백홀 설정 메시지에 기술되어 있는 컨피규레이션의 데이터(Configuration; 도 9 및 도 11 참조)를 취득한다(스텝 S12). 백홀 관리부(45)에서는 취득한 컨피규레이션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SFN mod 4의 값에 따라서 각 프레임에서, 하향 백홀 및 상향 백홀을 설정한다. 이어서, 액세스 링크 관리부(46)는 스텝 S12에서 취득한 컨피규레이션의 데이터(예를 들어 도 9의 (a))에 따른 하향 서브프레임(DL subframe), 즉 MBSFN 서브프레임(MBSFN subframe)을 설정한다(스텝 S14). 또한 액세스 링크 관리부(46)는 스텝 S12에서 취득한 컨피규레이션의 데이터(예를 들어 도 9의 (b))에 따라서 상향 백홀을 설정함과 함께, 그 상향 백홀의 4 ms 전에 이동국(UE)에 대하여 송신 허가 신호(PDCCH에서 송신되는 UL grant)를 부여하지 않도록 제어한다(스텝 S16). HARQ 관리부(47)는 스텝 S12에서 취득한 컨피규레이션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동국(UE)과의 액세스 링크에서 이용하지 않는 HARQ 프로세스를 산출한다(스텝 S18).
다음으로 도 16을 참조하면, 도 15의 흐름도에 대하여 스텝 S30, S32가 추가된다. 스텝 S30에서는 액세스 링크 관리부(46)가 특정한 HARQ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HARQ를 실행할 수 없는 구간을 포함하는 Measurement gap을, 그 HARQ 프로세스에 할당되어 있는 이동국(UE)에 대하여 설정한다(스텝 S30). 그리고 송수신부(31)가 스텝 S30에서 설정된 Measurement gap의 구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Measurement gap 설정 메시지를, 대응하는 이동국(UE) 앞으로 송신한다(스텝 S32).
(5-4) 이동국의 동작
이어서,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이동국(UE)의 동작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 및 도 17은, 이동국(UE)의 동작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7의 흐름도는 제2 및 제3 실시 형태에 대응한 이동국(UE)의 동작을 도시하고, 도 18의 흐름도는 제4 실시 형태의 이동국(UE)의 동작을 도시한다.
우선 도 17을 참조하면, 이동국(UE)의 송수신부(61)는 중계국(RN)으로부터 송신되는 백홀 설정 메시지를 수신한다(스텝 S20). 제어부(70)의 Uu HARQ 관리부(75)는 스텝 S20에서 취득한 백홀 설정 메시지에 기술되어 있는 컨피규레이션의 데이터를 취득한다(스텝 S22). Uu HARQ 관리부(75)는 또한, 스텝 S22에서 취득한 컨피규레이션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국에 할당된 HARQ 프로세스 중, 실행할 수 없는 HARQ의 구간을 산출한다(스텝 S24).
다음으로 도 18을 참조하면, 도 17의 흐름도에 대하여 스텝 S40 내지 S44가 추가된다. 이동국(UE)의 송수신부(61)가 Measurement gap 설정 메시지를 수신한다(스텝 S40). Measurement gap 관리부(76)는 스텝 S40에서 수신한 Measurement gap 설정 메시지에 기술되어 있는 Measurement gap의 구간을 설정한다(스텝 S42). 이 Measurement gap의 구간에 있어서, 이동국(UE)은 현재 통신하고 있는 중계국(RN)의 주파수 대역과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계측한다. 또한 Measurement gap 관리부(76)는 스텝 S20에서 취득한 백홀 설정 메시지에 기술되어 있는 컨피규레이션의 데이터에 기초하는 하향 및 상향 백홀이 스텝 S42에서 설정된 Measurement gap의 구간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다(스텝 S44).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통신 구간 설정 방법, 중계국, 이동국, 이동 통신 시스템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개량이나 변경을 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RN: 중계국
31, 32: 송수신부
35: Uu HARQ부
36: Un HARQ부
40: 제어부
45: 백홀 관리부
46: 액세스 링크 관리부
47: HARQ 관리부
UE: 이동국
61: 송수신부
70: 제어부
75: Uu HARQ 관리부
76: Measurement gap 관리부

Claims (11)

  1.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의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국을 구비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구간 설정 방법으로서,
    중계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의 신호의 송신을 제한함으로써 중계국에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하향 통신 구간과, 이동국으로부터 중계국으로의 신호의 송신을 제한함으로써 중계국에서 기지국으로의 송신 신호를 송신하는 상향 통신 구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신 구간을 설정하고,
    이동국과 중계국 사이의 액세스 링크 상에서, 데이터 송신과 그 데이터 송신으로부터 소정의 제1 시간 후의 확인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1 통신 처리가 관리되는 통신 프로세스를 복수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통신 프로세스 중, 특정한 제1 통신 프로세스의 상향 데이터 송신의 타이밍에 따른 타이밍에서 상기 상향 통신 구간을 설정하고,
    설정한 상향 통신 구간의 각각의 상기 소정의 제1 시간 전에, 하향 통신 구간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구간 설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신 프로세스 중, 상기 제1 통신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구간을, 중계국과 이동국 사이의 통신 주파수와는 다른 주파수의 무선 신호의 이동국에 의한 측정을 위한 측정 기간에 할당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통신 구간 설정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설정된 상향 통신 구간의 적어도 일부는, 기지국으로부터의 확인 응답을 필요로 하지 않는 상향 데이터의 송신에 할당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신 구간 설정 방법.
  4.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의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이동 가능한 중계국으로서,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1 송수신부와,
    이동국과의 사이에서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제2 송수신부와,
    제2 송수신부가 이동국으로의 신호의 송신을 제한함으로써, 제1 송수신부가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하향 통신 구간과, 이동국에서 중계국으로의 신호의 송신을 제한함으로써, 제1 송수신부가 기지국으로의 송신 신호를 송신하는 상향 통신 구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신 구간을 설정하는 제어부와,
    이동국과 중계국 사이의 액세스 링크 상에서, 데이터 송신과 그 데이터 송신으로부터 소정의 제1 시간 후의 확인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1 통신 처리가 설치되는 통신 프로세스를 복수 관리하는 제1 통신 관리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통신 프로세스 중, 상기 제1 통신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통신 프로세스를, 특정한 통신 프로세스에 집약시키도록 하여, 상기 통신 구간을 설정하는 중계국.
  5. 제4항에 있어서, 중계국과 이동국 사이의 통신 주파수와는 다른 주파수의 무선 신호의 이동국에 의한 측정을 위한 측정 기간을, 상기 복수의 통신 프로세스 중, 상기 제1 통신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구간에 할당하는 제1 측정 구간 관리부를 더 구비한 중계국.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설정된 상향 통신 구간의 적어도 일부는, 기지국으로부터의 확인 응답을 필요로 하지 않는 상향 데이터의 송신에 할당되는 중계국.
  7. 중계국을 통하여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행하는 이동국으로서,
    중계국과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송수신부와,
    중계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의 신호의 송신을 제한함으로써 중계국에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하향 통신 구간과, 이동국으로부터 중계국으로의 신호의 송신을 제한함으로써 중계국에서 기지국으로의 송신 신호를 송신하는 상향 통신 구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신 구간에 기초하여, 중계국과의 통신 타이밍을 관리하는 제2 통신 관리부
    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 구간은, 상기 복수의 통신 프로세스 중, 상기 제1 통신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통신 프로세스가, 특정한 통신 프로세스에 집약시켜지도록 하여 설정되어 있는 이동국.
  8. 제7항에 있어서, 통신하고 있는 중계국과의 사이의 통신 주파수와는 다른 주파수의 무선 신호의 측정을 위한 측정 기간을, 상기 복수의 통신 프로세스 중, 상기 제1 통신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구간에 할당하는 제2 측정 구간 관리부를 더 구비한 이동국.
  9. 기지국과, 이동국과,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의 무선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국을 구비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중계국은, 중계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의 신호의 송신을 제한함으로써 중계국에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하향 통신 구간과, 이동국으로부터 중계국으로의 신호의 송신을 제한함으로써 중계국에서 기지국으로의 송신 신호를 송신하는 상향 통신 구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신 구간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통신 구간에 기초하여 상기 중계국과의 사이에서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송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국은, 상기 통신 구간에 기초하여 상기 중계국과의 사이에서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송수신부를 구비하고,
    이동국과 중계국 사이의 액세스 링크 상에서, 데이터 송신과 그 데이터 송신으로부터 소정의 제1 시간 후의 확인 응답으로 이루어지는 제1 통신 처리가 관리되는 통신 프로세스가 복수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통신 프로세스 중, 상기 제1 통신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통신 프로세스를, 특정한 통신 프로세스에 집약시키도록 하여, 상기 통신 구간이 설정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신 프로세스 중, 상기 제1 통신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구간은, 중계국과 이동국 사이의 통신 주파수와는 다른 주파수의 무선 신호의 이동국에 의한 측정을 위한 측정 기간에 할당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설정된 상향 통신 구간의 적어도 일부는, 기지국으로부터의 확인 응답을 필요로 하지 않는 상향 데이터의 송신에 할당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
KR1020127023609A 2010-03-12 2010-03-12 통신 구간 설정 방법, 중계국, 이동국, 이동 통신 시스템 KR1014064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01773 WO2011111110A1 (ja) 2010-03-12 2010-03-12 通信区間設定方法、中継局、移動局、移動通信システ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1267A Division KR101449908B1 (ko) 2010-03-12 2010-03-12 통신 구간 설정 방법, 중계국, 이동국, 이동 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5529A true KR20120125529A (ko) 2012-11-15
KR101406466B1 KR101406466B1 (ko) 2014-06-13

Family

ID=4456295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3609A KR101406466B1 (ko) 2010-03-12 2010-03-12 통신 구간 설정 방법, 중계국, 이동국, 이동 통신 시스템
KR1020147001267A KR101449908B1 (ko) 2010-03-12 2010-03-12 통신 구간 설정 방법, 중계국, 이동국, 이동 통신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1267A KR101449908B1 (ko) 2010-03-12 2010-03-12 통신 구간 설정 방법, 중계국, 이동국, 이동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924508B2 (ko)
EP (1) EP2547157A4 (ko)
JP (1) JP5594358B2 (ko)
KR (2) KR101406466B1 (ko)
CN (1) CN102792746B (ko)
BR (1) BR112012023059A2 (ko)
CA (1) CA2792397A1 (ko)
MX (1) MX2012010515A (ko)
RU (2) RU2522107C2 (ko)
WO (1) WO20111111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94358B2 (ja) 2010-03-12 2014-09-24 富士通株式会社 通信区間設定方法、中継局、移動局、移動通信システム
US9083494B2 (en) * 2010-03-23 2015-07-14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resource utilization in TDD
US10911961B2 (en) * 2010-03-31 2021-02-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support for multi-radio coexistence
CN103108400B (zh) * 2013-01-29 2015-09-09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无线帧处理方法与装置
BR112018005458A2 (pt) 2015-09-22 2018-10-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método e aparelho para transmissão de informações de controle de enlace ascendente em agregação de portadora
RU2695635C1 (ru) * 2018-11-26 2019-07-2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центр "Курчатовский институт"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радионуклеида лютеций-177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137B1 (ko) * 2006-01-03 2009-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홉 릴레이 방식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연결식별자관리 방법 및 장치
US20080247354A1 (en) 2007-04-03 2008-10-09 Institute For Information Industry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angible machine-readable medium, and communication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packets based on a multi-hop relay standard
US8594030B2 (en) * 2007-08-10 2013-11-2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HARQ operation in dynamic radio resource allocation
KR20090032184A (ko) * 2007-09-27 2009-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일 주파수 망 방송 서비스 수행 장치및 방법
KR20090078723A (ko) * 2008-01-15 2009-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복합 자동 재송신 요구 방식에 기반한 신호 송수신 방법
US8953467B2 (en) * 2008-09-08 2015-02-10 Nokia Corporation Adaptive transmission modes for transparent relay
KR101527977B1 (ko) * 2008-10-27 2015-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의 동작 방법
KR101738162B1 (ko) * 2009-04-10 2017-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포지셔닝 참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CA2765797A1 (en) * 2009-06-16 2010-12-2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ous harq operation and interference avoidance
EP2306665A1 (en) * 2009-10-02 2011-04-06 Panasonic Corporation Relay backhaul uplink HARQ protocol
JP5594358B2 (ja) 2010-03-12 2014-09-24 富士通株式会社 通信区間設定方法、中継局、移動局、移動通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2023059A2 (pt) 2016-05-17
RU2522107C2 (ru) 2014-07-10
RU2560937C1 (ru) 2015-08-20
EP2547157A1 (en) 2013-01-16
RU2012142326A (ru) 2014-04-20
JP5594358B2 (ja) 2014-09-24
CA2792397A1 (en) 2011-09-15
JPWO2011111110A1 (ja) 2013-06-27
KR101449908B1 (ko) 2014-10-13
WO2011111110A1 (ja) 2011-09-15
MX2012010515A (es) 2012-10-05
CN102792746B (zh) 2016-01-20
EP2547157A4 (en) 2017-10-11
KR20140025582A (ko) 2014-03-04
US9924508B2 (en) 2018-03-20
KR101406466B1 (ko) 2014-06-13
US20120320823A1 (en) 2012-12-20
CN102792746A (zh) 201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6515B2 (en) Communication duration configuring method, relay station, base st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539777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백홀 신호 전송 방법
US8848580B2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for backhaul link and access 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relay
US8842617B2 (en) Method and device for wireless subframe resource allocation
US10051669B2 (en) Communication duration configuring method, relay st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577455B1 (ko) 데이터 중계 방법
US9350508B2 (en) Method and arran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O2015079926A1 (ja)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RU2560937C1 (ru) Способ конфигурирования продолжительности связи, ретрансляционная станция, мобильная станция и система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US90199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ter-cell colli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713130B2 (ja) 通信区間設定方法、中継局、移動局、移動通信システム
JP2019068460A (ja) ユーザ端末
KR20130038784A (ko) 제어 채널 전송 방법 및 그를 위한 릴레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