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5483A - 비주기적인 원심 압축기 디퓨저 - Google Patents

비주기적인 원심 압축기 디퓨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5483A
KR20120125483A KR1020127020206A KR20127020206A KR20120125483A KR 20120125483 A KR20120125483 A KR 20120125483A KR 1020127020206 A KR1020127020206 A KR 1020127020206A KR 20127020206 A KR20127020206 A KR 20127020206A KR 20120125483 A KR20120125483 A KR 20120125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user
vane
asymmetric
orientation
diffuser v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0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하일 그리고리예브
체스터 브이. 스위아텍
제임스 히트
Original Assignee
카메론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메론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카메론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20125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54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1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44Bladed diff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18Rotors
    • F04D29/22Rotors specially for centrifugal pumps
    • F04D29/24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by means of rotor construction or layout, e.g. unequal distribution of blades or 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50/00Geometry
    • F05D2250/50Inlet or outlet
    • F05D2250/52Out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시스템은 어떤 실시예에서 장착면 및 장착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디퓨저의 원주 둘레에 비대칭적인(예를 들어, 비주기적인) 패턴을 형성하는 복수의 디퓨저 날개를 구비한 원심 압축기 디퓨저를 포함한다. 비대칭적인 패턴은 원심 압축기의 임펠러로부터 디퓨저를 가로질러 스크롤부를 통과하여 흐르는 유체의 특성을 기초로 하여 결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비주기적인 원심 압축기 디퓨저{NON-PERIODIC CENTRIFUGAL COMPRESSOR DIFFUSER}
본 발명은 고압의 유체 출력을 발생시키는 원심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체 압축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디퓨저 날개를 포함하는 원심 압축기 디퓨저에 관한 것이다.
기술분야의 다양한 측면을 독자에게 소개하기 위한 것이다. 이 설명은 독자에게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의 더 나은 이해를 가능케 하는 배경기술 정보를 제공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 설명은 이러한 관점에서 읽혀야 하는 것으로 종래기술의 인정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원심 압축기는 다양한 적용에 대하여 유체의 가압된 유동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압축기는 전기 모터, 내연 기관, 또는 회전 출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구성된 다른 구동 유닛에 의해 회전토록 구동되는 임펠러를 포함한다. 임펠러가 회전함에 따라, 축방향으로 진입하는 유체가 가속되고 원주방향과 방사방향으로 배출된다. 다음, 고속의 유체는 유체의 속도 수두를 압력 수두로 전환하는(즉, 유속을 감소시키고 유압을 증가시키는) 디퓨저를 가로지른다. 다음, 나선부 또는 스크롤부는 방사방향으로 외측을 향하는 유동을 모아 파이프로 안내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원심 압축기는 고압의 유체 출력을 발생시킨다. 전체 압축기 효율은 이러한 3개의 구성요소(예를 들어, 임펠러, 디퓨저, 및 나선부 또는 스크롤부)가 각각 얼마나 효율적으로 작동하는지 그리고 이것들이 서로 어떻게 기능하는지의 결과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디퓨저 효율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 디퓨저 날개를 포함하는 원심 압축기 디퓨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임펠러, 상기 임펠러로부터의 유체 유동에 대하여 속도를 압력으로 전환토록 구성되는 디퓨저, 및 상기 디퓨저로부터의 상기 유체 유동을 상기 원심 가스 압축기 밖으로 안내토록 구성되는 스크롤부를 포함하되, 상기 디퓨저는 상기 디퓨저의 장착면 둘레에 비대칭적인 패턴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디퓨저 날개를 구비하는 원심 가스 압축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디퓨저 날개의 형태, 방위, 및/또는 위치가 하나의 디퓨저 날개로부터 다음 디퓨저 날개로 비주기적(예를 들어, 비대칭적)으로 구성되어 디퓨저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 측면, 및 장점은 다음과 같은 상세한 설명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읽을 때 더 잘 이해될 것으로, 이때 도면들 전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품을 나타낸다:
도 1은 임펠러, 비주기적인 디퓨저, 및 스크롤부를 구비한 원심 압축기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축방햐 도면이고;
도 2는 임펠러, 비주기적인 디퓨저, 및 스크롤부를 구비한 원심 압축기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 및 2의 원심 압축기의 임펠러 및 비주기적인 디퓨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 내지 3의 임펠러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 내지 3의 임펠러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1 내지 3의 비주기적인 디퓨저의 사시도이며;
도 7은 주기적인 디퓨저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라인 8-8을 따라 취해지는 주기적인 디퓨저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1 내지 3 및 6의 비주기적인 디퓨저의 축방향 도면이고; 그리고
도 10은 비주기적인 디퓨저의 장착면 둘레에 비대칭적인(예를 들어, 비주기적인) 패턴으로 배열된 복수의 디퓨저 날개의 형상과 방위를 고안하기 위한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특정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이렇게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의 일 예에 해당한다. 또한,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간결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하여, 실제 구현물의 모든 특징들이 명세서에 설명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실제 구현물의 개발에서, 어떤 엔지니어링 또는 설계 프로젝트에서와 같이, 많은 구현물의 구체적인 결정들이 하나의 구현물에서 다른 구현물로 달라질 수 있는 시스템 관련 제약 및 사업 관련 제약에 대한 준수와 같은 개발자의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개발 노력이 복잡하고 시간이 소요될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명세서의 이점을 갖고 있는 당업자에게는 설계, 제조, 및 제작의 일상적인 일일 것이라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방사상 디퓨저(예를 들어, 원심 압축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디퓨저)의 디자인에서 개선된 점들을 포함한다. 특히, 개시된 실시예들은 관련된 임펠러와 스크롤부 또는 나선부를 구비한 디퓨저에 대응된다. 원심 압축기 시스템에서 디퓨저는 많은 용도를 제공한다. 디퓨저의 주된 기능 중 하나는 압축된 가스가 임펠러의 출구로부터 스크롤부 또는 나선부로 통과함에 따라 압축된 가스를 확산시키는 것(예를 들어, 속도를 낮추는 것)이다. 정확하게는, 이것이 이루어지는 방법은 전체 압축기의 등엔트로피 효율에서의 손실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역사적으로, 디퓨저 디자인은 임펠러를 나가는 평균 유동 상태에 대한 예측을 기초로 하였다. 또한, 스크롤부에 의해 부과되는 원주방향 압력 왜곡(distortion) 및 나선부 텅(tongue)에 의해 야기되는 국부적인 압력 왜곡이 없다고 가정되었다. 이러한 가정들은 디퓨저를 떠나는 유동이 전통적인 인라인(in-line) 압축기의 덤프 콜렉터(dump collector) 또는 날개가 없는 리턴 채널(return channel)로 들어간다고 가정하는 것과 동일하다. 즉, 디퓨저 출구에서 균일한 원주방향 압력 분포가 가정되었다. 이러한 가정은 주기적인(예를 들어, 원주방향으로 대칭적인(symmetric): 각도상으로 회전시 일치함을 의미) 디퓨저 디자인을 발생시킨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디퓨저 날개는 디퓨저의 장착면(예를 들어, 이러한 특정 경우에서의 허브)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비대칭적인(asymmetrical)(예를 들어, 비주기적인) 패턴으로 배열된다.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스크롤부 또는 나선부가 있음으로 인해, 압축되는 유체의 압력 분포가 장착면의 둘레를 따라 다른 원주방향 위치들에서 달라진다. 이러한 달라지는 압력 분포를 고려해보면, 디퓨저 날개의 형태, 방위, 및/또는 위치는 디퓨저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달라질 수 있다. 즉, 각각의 디퓨저 날개는 특히 디퓨저 날개 가까이에서의 특정 압력과 유동 특성을 기초로 하여 디자인될 수 있다.
도 1은 축방향 도면이고 도 2는 사시도로서, 임펠러(12), 비주기적인 디퓨저(14), 및 스크롤부(16)을 구비한 원심 압축기(1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낸다. 원심 압축기(10)는 다양한 적용에 대하여 유체의 가압된 유동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임펠러(12)는 전기 모터, 내연 기관, 또는 회전 출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구성된 다른 구동 유닛에 의해 회전토록 구동될 수 있다. 임펠러(12)가 회전함에 따라, 축방향으로 진입하는 유체는 가속되고 원주방향과 방사방향으로 배출된다. 다음, 고속의 유체는 유체의 속도 수두를 압력 수두로 전환하는(즉, 유속을 감소시키고 유압을 증가시키는) 디퓨저(14)를 가로지른다. 다음, 스크롤부(또는 나선부)(16)는 방사방향으로 외측을 향하는 유동을 모아 예를 들어 파이프로 안내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원심 압축기(10)는 고압의 유체 출력을 발생시킨다. 전체 압축기 효율은 이러한 세 개의 구성요소(예를 들어, 임펠러(12), 디퓨저(14), 및 스크롤부(16))가 각각 얼마나 효율적으로 수행하는지와 이것들이 어떳게 함께 작동하는지에 따른 산물이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나선부와 스크롤부는 방사방향 유동을 받아들이고, 유동을 더 확산시킬 수 있거나 그렇지 않거나, 그 다음 유동을 출구 파이프로 안내하는 동일한 장치의 상호교환가능한 명칭이다.
스크롤부(16)는 디퓨저(14) 안에서 유동장(flow field)을 왜곡시킬 수 있고, 어떤 경우에는 스크롤부(16)에 의해 야기되는 원주방향 왜곡이 임펠러(14)의 출구에서 측정될 수 있다. 스크롤부(16)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 왜곡은 일반적으로 가변적이다. 특히, 스크롤부(16)는 3개의 유동 영역(예를 들어, 중립(neutral), 가속 유동, 및 감속 유동) 중 하나에서 일반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스크롤부(16)가 작동하고 있는 영역은 원심 압축기(10)의 구체적인 적용(specific application)에 의해 결정된다. 상대적으로 높은 유속을 가진 적용에서, 스크롤부(16)에서의 평균 유동은 스크롤부(16)의 텅에 접근함에 따라 가속하게 될 것이다. 이것은 디퓨저(14) 상에 원주방향 압력 왜곡을 부과한다. 반대로, 낮은 유동 적용에서, 스크롤부(16)에서의 유동은 감속하게 되고 가속 유동의 반대 방향으로 원주방향 압력 변화도(gradient)를 부과한다. 왜곡의 정도는 대략 적용이 중립 지점으로부터 얼마나 멀리 있느냐와 연관성이 있다. 모든 스크롤부 또는 나선부에는, 스크롤부 또는 나선부에서의 유동이 가속되지도 않고 감속되지도(예를 들어, 확산되지도) 않는 적용 지점가 있다. 이러한 중립 지점에서조차도, 스크롤부(16)의 텅은 디퓨저(14)의 소정 영역에 영향을 미치되 디퓨저(14)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완전한 360도로 연장형성되지는 않은 압력과 유동장 왜곡을 부과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동 왜곡의 국부적인 영역은 텅 영역으로부터 임펠러(12)의 출구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1 및 2의 원심 압축기(10)의 임펠러(12)와 비주기적인 디퓨저(14)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임펠러(12)는 복수의 블레이드(18)를 갖고 있다. 임펠러(12)가 외부 동력원(예를 들어, 전기 모터, 내연 기관 등)에 의해 회전토록 구동됨에 따라, 블레이드(18)를 가로지르는 압축성 유체는 임펠러(12) 주위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디퓨저(14)를 향해 가속된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롤부(16)는 디퓨저(14)에 바로 인접하여 위치되어, 디퓨저(14)를 떠나는 유체 유동을 모으는 데에 도움이 된다. 디퓨저(14)는 임펠러(12)로부터의 고속의 유체 유동을 고압의 유동으로 전환(예를 들어, 동적 수두를 압력 수두로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디퓨저(14)는 디퓨저(14)의 장착면(22)(예를 들어, 이러한 특정 경우에서 허브)에 비대칭적인(예를 들어, 비주기적인) 환형 구성으로 장착면(22) 둘레에 원주방향(31)으로 결합되는 디퓨저 날개(20)를 포함한다. 디퓨저 날개(20)는 디퓨저 효율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디퓨저 날개(20)는 선행 에지부(42)와 후행 에지부(46)를 포함한다. 또한, 각각의 디퓨저 날개(20)는 가압면(pressure surface)(50)과 디퓨저 날개(20)의 반대측 상에서 선행 에지부(42)로부터 후행 에지부(46)까지 연장형성되는 흡인면(suction surface)(52)을 포함한다. 각각의 디퓨저 날개(20)를 디퓨저 날개(20) 가까이에서의 특정 압력과 유동 특성을 기초로 하여 디자인함에 따라, 디퓨저(14)의 효율은 종래의 주기적인(예를 들어, 대칭적인) 디퓨저에 비하여 향상될 수 있다.
도 4 및 5는 각각 도 1 내지 3의 임펠러(12)에 대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성 유체의 유동(24)은 축방향(26)에 대해 반대쪽으로 임펠러(12)로 안내될(directed) 수 있다. 즉, 압축성 유체의 유동(24)은 임펠러(12), 디퓨저(14), 및 스크롤부(16)의 공통의 중심 축을 따라 임펠러(12)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임펠러(12)가 회전함에 따라, 축방향(26)으로 진입하는 유체는 가속되고 원주방향과 방사방향으로 배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속된 유체의 유동(28)은 방사방향(30)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안내될 수 있다. 임펠러(20)의 방사방향(30)은 임펠러(12), 디퓨저(14), 및 스크롤부(16)의 공통의 중심 축과 일치하는(위치와 방향 모두에서) 축방향(26)에 대해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또한, 가속된 유체는 임펠러(12), 디퓨저(14), 및 스크롤부(16)의 공통의 중심 축 주위의 회전 방향이 될 수 있는 원주방향(31)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안내될 수 있다.
도 6은 도 1 내지 3의 비주기적인 디퓨저(14)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퓨저(14)는 축방향(26)으로의 공통의 중심 축을 도 4 및 5의 임펠러(12)와 공유한다. 또한, 디퓨저(14)에 대한 방사방향(30)은 임펠러(12)와 동일하다. 즉, 디퓨저(14)의 방사방향(30)은 임펠러(12), 디퓨저(14), 및 스크롤부(16)의 공통의 중심 축과 일치하는(위치와 방향 모두에서) 축방향(26)에 대해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디퓨저(14)는 디퓨저(14)의 장착면(22) 둘레에 원주방향(31)으로 비대칭적인 패턴으로 배열되는 디퓨저 날개(20)를 포함한다. 즉, 디퓨저 날개(20)의 형태, 방위, 및/또는 위치는 어느 하나의 디퓨저 날개(20)로부터 다음 디퓨저 날개(20)로 비주기적(예를 들어, 비대칭적)이다. 디퓨저(14)의 원주방향(31)은 임펠러(12), 디퓨저(14), 및 스크롤부(16)의 공통의 중심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방향일 수 있다.
비주기적인 디퓨저(14)의 디퓨저 날개(20)의 비주기적인 디자인을 설명하기 위하여, 비주기적인 디퓨저(14)는 디퓨저의 장착면 둘레에 원주방향(31)으로 대칭적인(예를 들어, 주기적인) 패턴으로 위치된 실질적으로 동일한 디퓨저 날개를 구비한 디퓨저에 비교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7은 주기적인 디퓨저(32)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8은 도 7의 라인 8-8을 따라 취해지는 주기적인 디퓨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기적인 디퓨저(32)는 주기적인 디퓨저(32)의 장착면(36)(예를 들어, 이러한 특정 경우에서 허브) 둘레에 원주방향(31)으로 대칭적인(예를 들어, 주기적인) 패턴으로 배치된 실질적으로 동일한 복수의 디퓨저 날개(34)를 포함한다.
도 8은 기준 날개로서 사용될 주기적인 디퓨저(32)의 하나의 디퓨저 날개(34)를 도시하고 있다. 각 디퓨저 날개(34)의 주어진 축방향 높이(z)에 대하여, 기준면(38)은 법선이 축방향(26)과 일치하는 기준 평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 8의 기준 디퓨저 날개(34)에서, 기준면(38)은 디퓨저 날개(34)의 바깥쪽 면으로 형성된다. 한편, 여기에서 설명되는 분석은 디퓨저 날개(34)의 어떠한 축방향 높이에 대해서도 활용될 수 있다. 즉, 기준 평면은 디퓨저 날개(34)의 어떠한 축방향 높이에서도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기준 평면은 임펠러(12), 디퓨저(14), 및 스크롤부(16)의 공통의 중심 축을 통하여 지나가는 기준 중심점(zref)를 포함한다.
기준면(38)은 기준 중심점(zref)의 방사방향 거리(r), 각위치(angular location)(θ), 및 축방향 높이(z)에 의해 정의되는 유일점들의 집합으로 특징지워질 수 있다. 어떠한 주어진 기준 평면에 대하여, 유일점들의 집합에 대한 축방향 높이(z)는 동일할 것이다. 그러나, 방사방향 거리(r)와 각위치(θ)는 다를 것이고 기준 평면에서 기준면(38)의 각각의 유일점을 정의할 것이다. 예를 들어, 디퓨저 날개(34)의 선행 에지부(42)에 해당하는 선행 에지점(40)은 기준면(38)의 베이스라인 지점으로서 정의될 수 있고, 또한 방사방향 거리(r0) 및 0도인 각위치(θ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디퓨저 날개(34)의 후행 에지부(46)에 해당하는 후행 에지점(44)은 방사방향 거리(r1) 및 각위치(θ1)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가압면 지점(48)은 방사방향 거리(r2) 및 각위치(θ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퓨저 날개(34)의 가압면(50)은 디퓨저 날개(34)의 가압면(50)을 따르는 복수의 지점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한편, 디퓨저 날개(34)의 흡인면(52)도 유사하게 정의될 수 있다. 실제로, 도 8에 도시된 기준 디퓨저 날개(34)의 기준면(38)에 무한개의 유일점들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각 디퓨저 날개(34)의 디자인을 정의하는 데에 사용되는 유일점들의 개수는 디퓨저 날개(34)의 형태, 방위, 및/또는 위치의 계산을 가능케 하기 위하여 제한될 수 있다.
또한, 도 7의 디퓨저(32)의 각 디퓨저 날개(34)는 기준 평면을 따르는 유일점들의 집합을 마찬가지로 포함할 수 있다. 즉, 각각의 디퓨저 날개(34)는 도 8에 도시된 기준 디퓨저 날개(34)의 기준면(38)과 같은 기준 평면을 따르는 유일점들의 집합에 의해 정의되는 2차원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 및 8의 주기적인 디퓨저(32)의 경우, 기준 디퓨저 날개(34)에 대한 기준 평면(예를 들어, 기준면(38))에서의 2차원 영역 안에 놓인 모든 지점에 대하여, 이러한 지점들의 각각을 360.0을 N으로 나눈 것의 정수배 만큼 회전함에 따라 다른 디퓨저 날개(34)에 대한 기준 평면에서의 2차원 영역 안에 놓이는 지점을 산출할 것으로, 이때, N은 디퓨저(32)의 디퓨저 날개(34)의 개수이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디퓨저(32)는 9개의 디퓨저 날개(34)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기준 디퓨저 날개(34)에 대한 기준 평면(예를 들어, 기준면(38))에서의 2차원 영역 안에 놓인 모든 지점에 대하여, 그 지점을 40도, 80도, 120도, 160도, 200도, 240도, 280도, 및 320도(예를 들어, 360.0을 9로 나눈 각도, 또는 40.0도의 정수배) 만큼 회전함에 따라 다른 디퓨저 날개(34)에 대한 기준 평면에서의 2차원 영역 안에 놓인 지점을 산출하게 된다.
반면, 이러한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어떠한 디퓨저는 비주기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도 9는 장착면(22)의 원주방향(31) 둘레에 비주기적인(예를 들어, 비대칭적인) 패턴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디퓨저 날개(54, 56, 58, 60, 62, 64, 66, 68, 70)를 구비한 도 1 내지 3 및 6의 비주기적인 디퓨저(14)의 축방향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비주기적인(예를 들어, 비대칭적인) 패턴의 속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기준점(A, B, C, D, E, F, G, H, I)이 장착면(22) 둘레에 동일한 간격의 원주방향 위치들에 위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9의 디퓨저(14)는 9개의 디퓨저 날개(2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기준점(A, B, C, D, E, F, G, H, I)은 40도(예를 들어, 360.0도를 9로 나눈 각도)의 아크각(arc angle)(φ)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위치된다.
도시된 디퓨저 날개(54, 56, 58, 60, 62, 64, 66, 68, 70)는 각각 기준점들(A, B, C, D, E, F, G, H, I, J) 중 하나와 일반적으로 관련된다(예를 들어, 기준점(A)과 날개(54), 기준점(B)과 날개(56), 기준점(C)과 날개(58), 기준점(D)과 날개(60), 기준점(E)과 날개(62), 기준점(F)과 날개(64), 기준점(G)과 날개(66), 기준점(H)과 날개(68), 및 기준점(I)과 날개(70)). 기준점들(A, B, C, D, E, F, G, H, I)은 디퓨저 날개(54, 56, 58, 60, 62, 64, 66, 68, 70)의 형태, 방위, 및/또는 위치가 장착면(22)의 원주방향(31)을 따라 어느 디퓨저 날개로부터 다른 디퓨저 날개로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주기적인(예를 들어, 대칭적인) 디퓨저(14)로 생각되기 위해서는, 디퓨저 날개(54)에 대한 기준 평면에서 디퓨저 날개(54)(예를 들어, 기준 날개)에 대하여 2차원 영역 안에 놓인 모든 지점에 대하여, 40도, 80도, 120도, 160도, 200도, 240도, 280도, 및 320도(예를 들어, 360.0도를 9로 나눈 각도, 또는 40.0도의 정수배)에 따라 지점을 회전시킴에 따라 나머지 디퓨저 날개들(56, 58, 60, 62, 64, 66, 68, 70)에 대한 기준 평면에서의 2차원 영역 안에 놓이는 지점을 산출하게 된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40도, 80도, 120도, 160도, 200도, 240도, 280도, 및 320도의 아크각으로 회전되는 기준점(A)에 해당하는 기준점들(B, C, D, E, F, G, H, I)이 나머지 디퓨저 날개들(56, 58, 60, 62, 64, 66, 68, 70)에 대한 기준 평면에서의 2차원 영역 안에 전혀 놓이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준점(E, F, G, H, I)은 디퓨저 날개(62, 64, 66, 68, 70)에 대한 기준 평면에서 2차원 영역 안에 놓이지 않는다. 이와 같이, 도 9에 도시된 디퓨저(14)는 비주기적인(예를 들어, 비대칭적인) 디퓨저(14)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장착면(22) 둘레에 원주방향(31)으로의 디퓨저 날개(20)의 비대칭적인(예를 들어, 비주기적) 패턴은 임펠러(12)로부터 디퓨저(14)를 가로질러 스크롤부(16)을 통과하여 흐르는 유체의 압력과 유체 유동 특성을 고려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은 비주기적인 디퓨저(14)의 장착면(22) 둘레에 비대칭적인(예를 들어, 비주기적인) 패턴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디퓨저 날개(20)의 형태, 방향, 및/또는 위치를 고안하기 위한 방법(72)의 순서도이다. 디퓨저(14)의 각 디퓨저 날개(20)의 형태, 방향, 및/또는 위치를 끌어낼 때 유동장의 작은 변화(perturbation)가 고려될 수 있도록, 원심 압축기(10)에 의해 압축되는 유체의 압력과 유체 유동 특성은 전체 임펠러-디퓨저-스크롤부 세트(예를 들어, 임펠러(12)로부터 디퓨저(14)를 가로질러 스크롤부(16)를 통과함)에 걸쳐서 결정될 수 있다(블록(74)). 더 구체적으로는, 디퓨저 날개(20) 중 적어도 하나는 360.0도를 N으로 나눈 값의 정수배와 동일한 아크각으로 나머지 디퓨저 날개(20) 각각에 대하여 이론적인 회전을 단순히 수행함으로써 얻어지지 않도록, 전체 임펠러-디퓨저-스크롤부 세트에 걸친 압력과 유체 유동 특성이 디퓨저(14)의 각 디퓨저 날개(20)의 형태, 방위, 및/또는 위치를 찾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고, 이때 N은 디퓨저(14)의 디퓨저 날개(20)의 개수와 동일하다(블록(76)). 또한, 어떤 실시예에서, 전체 임펠러-디퓨저-스크롤부에 걸친 압력과 유체 유동 특성을 고려함에 따라, 디퓨저 날개(20)의 최적 개수가 디퓨저(14)에 대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10의 방법(72)은 특히 디퓨저 날개(20)의 형태, 방위, 및/또는 위치를 찾도록 프로그램된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수 있다. 컴퓨터는 메모리와 통신할 수 있고 도 10의 방법(72)에 의해 설명된 것과 같은 컴퓨터 명령을 실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어떤 적절한 컴퓨터(예를 들어, 랩탑, 데스크탑, 서버 등)일 수 있다.
완전한 임펠러-디퓨저-스크롤부 세트에 걸친 압력과 유체 유동 특성을 기초로 하여 각 디퓨저 날개(20)의 형태, 방위, 및/또는 위치를 찾아내는 것은 예를 들어 나선부 또는 스크롤부의 텅이 있음으로 인한 유동장의 작은 변화의 안 좋은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디퓨저 날개(20)의 조정을 가능케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주기적인 디퓨저(14)는 각 원심 압축기(10)의 전체 효율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실시예에서, 유체 유동장의 변화를 고려하여 디퓨저 날개(20)의 비대칭적인(예를 들어, 비주기적인) 패턴을 고안하는 것은 약 0.5%, 1.0%, 1.5%, 또는 그 이상의 압축기 효율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디퓨저 날개(20)의 비대칭적인(예를 들어, 비주기적인) 패턴은 하나의 디퓨저 날개(20)로부터 다른 하나의 디퓨저 날개(20)로의 비대칭적인 형상(geometry), 비대칭적인 방위, 또는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실시예에서, 비대칭적인 형상은 하나의 디퓨저 날개(20)로부터 다른 하나의 디퓨저 날개(20)로의 가압면(50)에서의 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비대칭적인 형상은 하나의 디퓨저 날개(20)로부터 다른 하나의 디퓨저 날개(20)로의 흡인면(52)에서의 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실시예에서, 비대칭적인 방위는 하나의 디퓨저 날개(20)로부터 다른 하나의 디퓨저 날개(20)로의 방사방향 위치에서의 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비대칭적인 방위는 하나의 디퓨저 날개(20)로부터 다른 하나의 디퓨저 날개(20)로의 동일한 간격의 기준점들에 대한 원주방향 위치에서의 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비대칭적인 방위는 하나의 디퓨저 날개(20)로부터 다른 하나의 디퓨저 날개(20)로의 각도 방위(angular orientation)에서의 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에서 유일하게 다른 점은 임펠러(12)의 상류로부터 스크롤부(16)의 하류로 연장형성되는 전산 필드를 따라 각각의 디퓨저 날개(20)에서의 비주기적인 디퓨저(14)의 실행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시간의 추이에 따른(time-unsteady) 전산 유체 역학(CFD: computational flow dynamics) 분석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도의 분석의 결과 디퓨저(14)에서의 불안정한 유동장의 종합적인 설명(comprehensive view)과 디퓨저(14)를 구비한 압축기(10)의 성능의 전체적인 평가가 가능하게 된다. 디퓨저 날개(20)의 최적 디자인은 디퓨저 날개(20) 가까이에서 손실을 발생시키는 유체 구조의 생성을 최소화한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각 디퓨저 날개(20)에 대한 최적의 형태, 방위, 및/또는 위치는 360.0도를 디퓨저 날개(20)의 개수로 나눈 값과 동일한 아크각으로 형성되는 동일한 간격의 방사방향 라인을 따라 더 이상 공간상으로 대칭적이지 않은 하나 이상의 디퓨저 날개(20)를 발생시킨다.
각각의 디퓨저 날개(20)는 예를 들어 변형된 2차원의 다단형상(cascade), 3차원의 조각된 평평한 플레이트 디자인, 3차원의 꼬인 에어포일(airfoil), 또는 임의의 3차원의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12)의 출구측 유동장과 정확한 나선부 형상은 최적의 디퓨저 날개의 표면 형태를 결정할 것이다. 각각의 디퓨저 날개(20)는 특히 임펠러(12)와 스크롤부(16)에 의해 부과되는 특정 국부 압력과 유체 유동 특성을 기초로 하여 디자인될 수 있다. 최종 디자인은 모든 적용에 걸쳐 하나의 공통의 특성을 공유할 것이다; 즉, 디퓨저(14)는 디퓨저 날개(20)가 국부적으로 최적화되기 때문에 비주기적일(원주방향으로 대칭적이지 않을) 것이다. 많은 경우에서, 어떠한 제공된 디퓨저 날개(20)에 대하여, 하나의 최고의 유일한 디퓨저 날개 형태가 있을 수 없고 최적의 성능을 제공하는 최적의 선택이 제작하기 위하여 가장 간단할 수 있다. 이러한 디자인 접근법의 이익은 전체 압축기 효율의 약 1.5%의 범위 내에서의 향상과 스톨 마진(stall margin)에서의 향상을 가능케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과 대안 형태가 용이할 수 있지만, 구체적인 실시예들이 도면에서 예로서 도시되어 있고 여기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개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오히려, 본 발명은 다음의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수정례, 동등례, 및 대안례를 포함하는 것이다.
10 ... 원심 압축기 12 ... 임펠러
14 ... 디퓨저 16 ... 스크롤부
18 ... 블레이드
20, 34, 54, 56, 58, 60, 62, 64, 66, 68, 70 ... 디퓨저 날개
22, 36 ... 장착면

Claims (20)

  1. 임펠러;
    상기 임펠러로부터의 유체 유동에 대하여 속도를 압력으로 전환토록 구성되는 디퓨저; 및
    상기 디퓨저로부터의 상기 유체 유동을 상기 원심 가스 압축기 밖으로 안내토록 구성되는 스크롤부;를 포함하되,
    상기 디퓨저는 상기 디퓨저의 장착면 둘레에 비대칭적인 패턴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디퓨저 날개를 구비하는 원심 가스 압축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적인 패턴은 상기 임펠러로부터 상기 디퓨저를 가로질러 상기 스크롤부를 통과하여 흐르는 유체의 특성을 기초로 하여 결정되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적인 패턴은 비대칭적인 형상을 포함하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적인 형상은 하나의 디퓨저 날개로부터 다른 하나의 디퓨저 날개로의 가압면에서의 변화를 포함하는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적인 형상은 하나의 디퓨저 날개로부터 다른 하나의 디퓨저 날개로의 흡인면에서의 변화를 포함하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적인 패턴은 비대칭적인 방위를 포함하는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적인 방위는 하나의 디퓨저 날개로부터 다른 하나의 디퓨저 날개로의 방사방향 위치에서의 변화를 포함하는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적인 방위는 하나의 디퓨저 날개로부터 다른 하나의 디퓨저 날개로의 동일한 간격의 기준점들에 대한 원주방향 위치에서의 변화를 포함하는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적인 방위는 하나의 디퓨저 날개로부터 다른 하나의 디퓨저 날개로의 각도 방위에서의 변화를 포함하는 시스템.
  10. 장착면 및 상기 장착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장착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비대칭적인 패턴을 형성하는 복수의 디퓨저 날개를 구비한 원심 압축기 디퓨저를 포함하는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적인 패턴은 비대칭적인 형상을 포함하는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적인 형상은 하나의 디퓨저 날개로부터 다른 하나의 디퓨저 날개로의 가압면 또는 흡인면에서의 변화를 포함하는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적인 패턴은 비대칭적인 방위를 포함하는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적인 방위는 하나의 디퓨저 날개로부터 다른 하나의 디퓨저 날개로의 방사방향 위치에서의 변화를 포함하는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적인 방위는 하나의 디퓨저 날개로부터 다른 하나의 디퓨저 날개로의 동일한 간격의 기준점들에 대한 원주방향 위치에서의 변화를 포함하는 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적인 방위는 하나의 디퓨저 날개로부터 다른 하나의 디퓨저 날개로의 각도 방위에서의 변화를 포함하는 시스템.
  17. 원심 압축기 임펠러로부터 원심 압축기 디퓨저를 가로질러 원심 압축기 스크롤부를 통과하여 흐르는 유체의 3차원 유동장 특성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3차원 유동장 특성을 기초로 하여 상기 원심 압축기 디퓨저의 복수의 디퓨저 날개 각각의 형태, 방위, 및 위치를 최적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퓨저 날개 각각의 형태, 방위, 및 위치를 최적화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디퓨저 날개 각각의 가까이에서 손실을 발생시키는 유체 구조의 생성을 최소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퓨저 날개 각각의 형태, 방위, 및 위치를 최적화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디퓨저 날개 각각의 가압면 또는 흡인면을 최적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디퓨저 날개의 표면이 360도를 디퓨저 날개의 개수로 나눈 값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는 동일한 간격의 방사방향 라인을 따라 공간상으로 대칭적이지 않은 방법.
KR1020127020206A 2010-02-04 2010-11-30 비주기적인 원심 압축기 디퓨저 KR201201254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0158010P 2010-02-04 2010-02-04
US61/301,580 2010-02-04
PCT/US2010/058439 WO2011096981A1 (en) 2010-02-04 2010-11-30 Non-periodic centrifugal compressor diffus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5483A true KR20120125483A (ko) 2012-11-15

Family

ID=43920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0206A KR20120125483A (ko) 2010-02-04 2010-11-30 비주기적인 원심 압축기 디퓨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294711A1 (ko)
EP (1) EP2531733A1 (ko)
JP (1) JP5753199B2 (ko)
KR (1) KR20120125483A (ko)
CN (1) CN102822533A (ko)
WO (1) WO201109698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3141A (ko) * 2017-12-06 2020-01-08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원심 압축기 및 터보차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02728B2 (en) 2010-02-05 2013-12-10 Cameron International Corporation Centrifugal compressor diffuser vanelet
USD751685S1 (en) * 2013-08-06 2016-03-15 Shinano Kenshi Co., Ltd. Blower
KR102126865B1 (ko) * 2013-09-04 2020-06-25 한화파워시스템 주식회사 스크롤 텅 및 이를 구비한 회전 기계
US10024335B2 (en) * 2014-06-26 2018-07-17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for transferring energy between a rotating element and fluid
CN106574514B (zh) * 2014-08-27 2019-01-25 三菱重工发动机和增压器株式会社 开关阀装置及旋转机械
GB201417921D0 (en) * 2014-10-10 2014-11-26 Gilbert Gilkes & Gordon Ltd Axial Flow pumps
US11680582B2 (en) 2017-09-25 2023-06-20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Two piece split scroll for centrifugal compressor
WO2020037644A1 (zh) * 2018-08-24 2020-02-27 苏州赫尔拜斯泵业有限公司 半开式导流增压叶轮
US11333171B2 (en) 2018-11-27 2022-05-1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High performance wedge diffusers for compression systems
US10871170B2 (en) 2018-11-27 2020-12-2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High performance wedge diffusers for compression systems
IT202000001216A1 (it) 2020-01-22 2021-07-22 Nuovo Pignone Tecnologie Srl Un diffusore con passo delle pale di diffusore non costante e turbomacchina centrifuga comprendente detto diffusore
CN113969855B (zh) * 2021-10-15 2022-08-02 清华大学 抑制水泵水轮机泵工况驼峰的叶片改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06603A (en) * 1954-08-25 1961-10-31 Gen Electric Turbo-machine blade spacing with modulated pitch
US3005618A (en) * 1957-07-23 1961-10-24 Walder Hermann Turbine casing
US4824325A (en) * 1988-02-08 1989-04-25 Dresser-Rand Company Diffuser having split tandem low solidity vanes
CH680010A5 (ko) * 1989-07-19 1992-05-29 Escher Wyss Ag
JPH04334798A (ja) * 1991-05-13 1992-11-20 Hitachi Ltd 遠心形流体機械のディフューザ
JP2743658B2 (ja) * 1991-10-21 1998-04-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遠心圧縮機
JP3110205B2 (ja) * 1993-04-28 2000-11-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遠心圧縮機及び羽根付ディフューザ
US6834501B1 (en) * 2003-07-11 2004-12-2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urbocharger compressor with non-axisymmetric deswirl vanes
US7097411B2 (en) * 2004-04-20 2006-08-2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urbomachine compressor scroll with load-carrying inlet vanes
EP2014925A1 (de) * 2007-07-12 2009-01-14 ABB Turbo Systems AG Diffuser für Radialverdichter
JP2009270467A (ja) * 2008-05-06 2009-11-19 Toyota Motor Corp 遠心式圧縮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3141A (ko) * 2017-12-06 2020-01-08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원심 압축기 및 터보차저
US11384766B2 (en) 2017-12-06 2022-07-12 Mitsubishi Heavy Industries Marine Machinery & Equipment Co., Ltd. Diffuser vane geometry for a centrifugal compressor and turbochar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31733A1 (en) 2012-12-12
CN102822533A (zh) 2012-12-12
US20120294711A1 (en) 2012-11-22
JP2013519036A (ja) 2013-05-23
JP5753199B2 (ja) 2015-07-22
WO2011096981A1 (en) 201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25483A (ko) 비주기적인 원심 압축기 디퓨저
US9587646B2 (en) Centrifugal compressor diffuser vanelet
EP2623795B1 (en) Centrifugal compressor diffuser
RU2581686C2 (ru) Радиальная диффузорная лопатка для центробежных компрессоров
US8308420B2 (en) Centrifugal compressor, impeller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EP1507977B1 (en) Discrete passage diffuser
JP5351941B2 (ja) 遠心圧縮機とその羽根車およびその運転方法、羽根車の設計方法
JP2017519154A (ja) 遠心圧縮機用のディフューザ
JPWO2008075747A1 (ja) 圧縮機
US20040253103A1 (en) Axial flow fan
RU2429386C2 (ru) Вентиляторный блок со свободным радиальным рабочим колесом
JP2022130751A (ja) インペラ及びそれを用いた遠心圧縮機
CN219081917U (zh) 一种可调分流式的开槽叶片扩压器及其离心压气机
US11788557B1 (en) Centrifugal acceleration stabilizer
JP6097194B2 (ja) 空気機械
CN113187764A (zh) 一种错列分层式非均匀对称的导叶结构
KR20020084613A (ko) 원심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