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2743A - 자연 친화형 빗물 정화 저류조 - Google Patents

자연 친화형 빗물 정화 저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2743A
KR20120122743A KR1020110041082A KR20110041082A KR20120122743A KR 20120122743 A KR20120122743 A KR 20120122743A KR 1020110041082 A KR1020110041082 A KR 1020110041082A KR 20110041082 A KR20110041082 A KR 20110041082A KR 20120122743 A KR20120122743 A KR 20120122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main body
rainwater purification
storage tank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1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우
Original Assignee
정승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우 filed Critical 정승우
Priority to KR1020110041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2743A/ko
Publication of KR20120122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27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03F1/005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via box-shap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된 빗물을 자연 투수 정화가 용이한 저류조에 관한 것으로 복합형 저류조의 경우 상단 저류조 내면에 부직포, 모래, 쇄석 등을 매립하여 형성된 우수필터층에 의해 오염된 빗물이 깨끗해질 뿐만 아니라 저류조의 종횡 연결이 신속 간편히 이루어지므로 시공비용을 절감시키는 등 경제성 또한 우수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
[색인어]
본체 블럭, 턱부, 요입부, 지수홈, 지수링, 블럭 체결공, 부직포, 모래, 쇄석, 배수공

Description

자연 친화형 빗물 정화 저류조{omitted}
본 발명은 오염된 빗물을 자연 투수 정화가 용이한 저류조에 관한 것으로 운동장, 공원 산책로, 관공서 주자창 등 광범위하게 쓰이는데 저류조 복개시 상단 저류조의 필터장치에 의해 폐수를 깨끗한 물로 변화시키며 그 처리방식이 매우 자연 친화적이고 유지관리 또한 편리하도록 구성된 발명이다
일반적인 저류조는 우수를 일시적으로 저류하여 방출하는 지하 매립식 및 지하 침투식으로서 각각의 부분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각 부분을 조립하여 설치하는데 많은 노동력과 조립시간이 요구되어 시공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자연 투수 정화 시설의 미비로 인해 오염된 폐수를 그데로 방출하므로 주위의 자연 환경을 파괴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
본 발명은 보다 적은 노동력 및 시간으로 우수 저류조를 시공하여 시공비용을 절감시키고 오염된 우수를 자연 정화시켜 주위의 환경개선과 환경보존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창출된 것으로 각각의 단위별로 형성되는 사각체의 저류조 네모퉁이를 턱부와 요입부로 형성하되 상광하협의 경사면으로 하여 상기 요입부에는 턱부가 끼워지도록 종횡으로 연결하므로서 설치작업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져 작업시간이 대폭 절감되는 등 경제성 또한 우수한 특징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시공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연결된 블럭에 결속력을 위한 크로스관이 형성된 보울트를 삽입하여 상기 크로스관에 콘크리트 몰탈을 주입시켜 그 주변의 틈새를 메워주므로 연결된 블럭의 인장강도를 높이고 삽입된 보울트가 풀리지 않아 누수방지와 토질안정에도 도움이 되며 오염된 우수를 자연 정화시키는 등 다양한 효과를 지닌 우수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연결되는 구성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 발췌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이 연결된 블럭에 삽입된 보울트의 단면도
본체 블럭(1) 네모퉁이에 턱부(2)(2')와 요입부(3)(3')로 구성하여 경사면으로 형성시키고 상기 턱부(2)(2')와 요입부(3)(3')에는 각각의 지수홈(4)(4')이 요설되어 여기에 연질고무로 된 지수링(5)이 끼워지며 상기 본체 블럭(1) 벽면에는 수개의 블럭 체결공(6)이 천공되어 크로스관(12)이 형성된 보울트(11)가 삽입된다
그리고 첨부도 6과 같이 본체 블럭(1)(1')이 복개될 경우 상측 블럭(1') 내부 바닥면에는 부직포(7), 그 위에 모래층(8), 그 위는 부직포(7), 그 위는 쇄석층(9) 그 위에는 부직포(7)가 순차적으로 매설되어 우수필터장치(A)가 구현되며 상기 필터장치(A)에 의해 정화된 우수는 배수공(10)을 통해 하측 블럭(1)에 저류되는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3은 투수층(뚜껑), 14는 돌편, 15는 홈, 16은 와샤 17은 너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본체 블럭(1)의 요입부(3)(3')와 이에 끼워지는 턱부(2)(2') 모두 반구형 요부와 돌부로 되어 있어 블럭이 종횡으로 연결될 때 서로 맞물려 작업 도중에 블럭이 빠지지 않게 되고 턱부(2)(2')와 요입부(3)(3')에 형성된 지수홈(4)(4')에는 연질고무로 된 지수링(5)이 삽입되어 완충과 밀폐작용이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상광하협상의 경사면으로 된 요입부(3)(3')에 턱부(2)(2')가 끼워져 경사면 아래로 갈수록 지수링(5)의 신축력에 의해 견고히 연결되는 것이고 여기에다 본체 블럭(1)의 체결공(6)을 통해 마감재인 볼트(11)로 결합하여 상기 볼트(11)의 크로스관(12)으로 콘크리트 몰탈이 그라우팅(Grouting) 작업에 의해 주입되어 그 주변의 틈새를 메워주므로 연결된 개개의 블럭이 일체가 되기 때문에 시공 후 내구성이 한층 강화되는 것은 물론이고 삽입된 볼트(11) 역시 빠지는 일이 전혀 없게 되는 것이다(첨부도 7 참조)
그리고 첨부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오염된 빗물이 본체 블럭(1')으로 투수될 때 반드시 내부의 우수필터장치(A)를 거치게 되는데 상측의 부직포(7)를 통과하여 그 아래의 쇄석층(9)을 거치고 또 다시 아래의 부직포(7)와 모래층(8)을 거쳐 마지막 단계인 하단의 부직포(7)를 통과하게 되면 오염된 빗물이 깨끗히 정화되므로 자연 친화형 빗물 정화 저류조가 구성되는 것이다

Claims (8)

  1. 4개의 기둥들로 이루어지는 본체 블럭(1) 네모퉁이에 턱부(2)(2')와 요입부(3)(3')를 구성하여 지수홈(4)(4)을 형성시켜 여기에 연질고무로 된 지수링(5)이 끼워지고 본체 블럭(1) 요입부(3)(3')에 다른 본체 블럭의 턱부(2)(2')가 치합되어 본체 블럭(1)이 종횡으로 연결되며 상기 본체 벽면에는 수개의 블럭 체결공(6)이 천공되어 볼트(11)가 끼워져서 연결된 블럭의 결속력을 향상시키는 구성인 자연 친화형 빗물 정화 저류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본체 블럭(1)의 턱부(2)(2')와 요입부(3)(3')가 상광하협상의 경사면 의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자연 친화형 빗물 정화 저류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본체 블럭(1)의 턱부(2)(3')의 지수홈(4) 부위가 반구형 돌편으로 형성되는 구성인 자연 친화형 빗물 정화 저류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본체 블럭(1)의 요입부(3)(3')의 지수홈(4') 부위가 반구형 요조로 형성되는 구성인 자연 친화형 빗물 정화 저류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본체 블럭(1) 벽면에 천공된 블럭 체결공(6)에 삽입되는 볼트(11) 내부가 크로스관(12)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자연 친화형 빗물 정화 저류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볼트(11) 내부의 크로스관(12)으로 콘크리트 몰탈을 그라우팅 작업에 의해 주입시키는 것이 특징인 빗물 정화 저류조
  7. 다른 본체 블럭(1') 내부에 부직포(7), 그 위에 모래층(8) 그 위에 부직포(7) 그 위에 쇄석층(9) 그리고 상단에는 부직포(7)를 순차적으로 매설하여 우수필터장치(A) 구현되는 구성인 자연 친화형 빗물 정화 저류조
  8. 청구항 7에 있어서 다른 본체 블럭(1') 하측부에 수개의 배기공(10)이 천공되는 구성인 자연 친화형 빗물 정화 저류조
KR1020110041082A 2011-04-28 2011-04-28 자연 친화형 빗물 정화 저류조 KR201201227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082A KR20120122743A (ko) 2011-04-28 2011-04-28 자연 친화형 빗물 정화 저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082A KR20120122743A (ko) 2011-04-28 2011-04-28 자연 친화형 빗물 정화 저류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813A Division KR20120137317A (ko) 2012-09-26 2012-09-26 자연친화형 빗물 정화 저류조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743A true KR20120122743A (ko) 2012-11-07

Family

ID=47508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1082A KR20120122743A (ko) 2011-04-28 2011-04-28 자연 친화형 빗물 정화 저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274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52592A1 (ko) * 2014-04-01 2015-10-08 주식회사 이엔시스템 정화조 및 각종 수처리시설용 조립식 블록 및 그 설치방법
KR102076296B1 (ko) * 2019-09-30 2020-02-11 주식회사 푸름엔지니어링 식생침투를 위한 우수저류 시스템
WO2023222174A1 (en) * 2022-05-19 2023-11-23 Urban Water Retention Aps A unit for a module system for an underground stormwater retention basin, parts for a module system, an underground stormwater retention basin, a method and a use of a plurality of units for building an underground stormwater retention basi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52592A1 (ko) * 2014-04-01 2015-10-08 주식회사 이엔시스템 정화조 및 각종 수처리시설용 조립식 블록 및 그 설치방법
KR102076296B1 (ko) * 2019-09-30 2020-02-11 주식회사 푸름엔지니어링 식생침투를 위한 우수저류 시스템
WO2023222174A1 (en) * 2022-05-19 2023-11-23 Urban Water Retention Aps A unit for a module system for an underground stormwater retention basin, parts for a module system, an underground stormwater retention basin, a method and a use of a plurality of units for building an underground stormwater retention basi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221372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paving that help improving global warming
DK2631364T3 (en) Method of producing artificial coating to combat global warming
KR100802168B1 (ko) 대나무를 이용한 도로연약지반의 보강구조
KR20120122743A (ko) 자연 친화형 빗물 정화 저류조
KR101020718B1 (ko) 지반보강용 지오셀과 중공형 섬유보강 투수블록을 이용한 지반침투형 포장구조
KR101227275B1 (ko) 도로포장용 블록, 그것을 이용한 도로포장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783950B1 (ko) 잔디 식재용 배수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JP2015151731A (ja) 基礎保水透水構造及びその蓄水システム
CN204530361U (zh) 一种可重建城市海绵构造
KR20150001093U (ko) 옹벽용 배수파일
KR101773329B1 (ko) 운동장용 타격식 배수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JP4948832B2 (ja) 側溝ブロック
KR101332203B1 (ko) 보도블록용 배수통
CN109505291B (zh) 一种土壤坡面排水方法
JP2000144719A (ja) コンクリート矢板及びその打込み方法
JP6914026B2 (ja) 土壌浄化システム
JP2009097151A (ja) 透水構造
TWI324210B (ko)
TWI547621B (zh) 基地保水透水結構及其集蓄水系統
KR102179907B1 (ko) 지하수댐 조성 공법
KR100619147B1 (ko) 폐기물 매립시설의 차수층 보호배수구조물
KR100523399B1 (ko) 도로부근의 하천바닥 세굴방지구조
KR101117498B1 (ko) 인조잔디의 배수를 위한 배수레일 및 배수레일을 이용한 인조잔디의 시공방법
KR200353520Y1 (ko) 3중 구조를 가진 영구배수처리용 배수관
RU2270296C1 (ru) Основание резервуара для хранения опасных продук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