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1541A - 짱구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짱구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1541A
KR20120121541A KR1020110039404A KR20110039404A KR20120121541A KR 20120121541 A KR20120121541 A KR 20120121541A KR 1020110039404 A KR1020110039404 A KR 1020110039404A KR 20110039404 A KR20110039404 A KR 20110039404A KR 20120121541 A KR20120121541 A KR 20120121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housing
coil
duckbill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9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7392B1 (ko
Inventor
박봉구
박지환
윤치상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9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7392B1/ko
Publication of KR20120121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1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7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7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8Drums or other coil-holders
    • B21C47/30Drums or other coil-holders expansible or contrac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6Special arrangements with regard to simultaneous or subsequent treatment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2Supporting web roll
    • B65H18/04Interior-suppor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짱구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액체 상태의 물질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저장부와 연통되고 저장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실린더부와, 실린더부의 단부에 구비되고 코일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연코일의 권취 후 발생되는 짱구 현상을 억제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짱구 저감장치{APPARATUS FOR REDUCING DEFORMATION OF STRIP COIL}
본 발명은 짱구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연코일의 권취 후 발생되는 짱구 현상을 억제하여 제품의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짱구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연강판은 연속주조에 의하여 제조된 슬라브(Slab)를 가열로에 주입하여 고온으로 재가열하여 조압연, 중간압연, 사상압연 등의 과정을 거쳐 원하는 두께와 폭으로 압연된 최종 강재에 해당된다.
열연강판은 연속적인 작업공정 중 사상압연에서 최종제품과 동일한 형상을 형성하게 되고, 사상압연을 통과한 후 런-아웃-테이블(Run Out Table)의 상하부에 설치되는 냉각설비에서 분사되는 냉각수에 의해 냉각된다. 이러한 열연강판은 이동이 편리하도록 권취기에서 일정 길이만큼 코일 형태로 권취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열연코일의 권취 후 발생되는 짱구 현상을 억제하여 제품의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짱구 저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짱구 저감장치는: 액체 상태의 물질이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와 연통되고, 상기 저장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실린더부; 및 상기 실린더부의 단부에 구비되고, 코일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린더부는, 상기 저장부와 연통되고, 상기 저장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물질이 기체로 상변화되는 경우 상기 물질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피스톤을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피스톤은 열팽창계수가 다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피스톤보다 열팽창계수가 크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스톤에는 돌출턱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피스톤의 외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돌출턱과 걸리는 스토퍼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판은 상기 코일의 내주면과 접하는 부분이 곡면부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린더부는 동일한 회전 각도로 상기 저장부에 복수개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연코일의 권취 후 발생되는 짱구 현상을 억제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과 피스톤의 열팽창계수를 달리함으로써, 실린더부가 고온의 환경에 노출되는 것만으로 실린더부의 전체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판에 곡면부가 구비됨으로써 지지판을 통해 코일의 내주면을 고르게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짱구 저감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비해 실린더부의 길이가 늘어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짱구 저감장치가 코일의 내측에 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짱구 저감장치가 코일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짱구 저감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짱구 저감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비해 실린더부의 길이가 늘어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짱구 저감장치가 코일의 내측에 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짱구 저감장치가 코일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짱구 저감장치(1)는 저장부(10), 실린더부(20), 지지판(30)을 포함한다.
저장부(10)는 액체 상태의 물질(W)이 저장되도록 내부에 저장 공간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1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저장부(10)에 저장되는 물질(W)은 물이다.
실린더부(20)는 저장부(10)와 연통된다. 따라서 저장부(10)의 내부에 저장되는 액체 상태의 물질(W)이 기체로 상변화되는 경우, 저장부(10)의 내부에 존재하는 물질(W)은 실린더부(20)로 이동되면서 실린더부(20)를 가압한다.
실린더부(20)는 저장부(1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실린더부(20)는 저장부(10)와 별물(別物)로 이루어진 후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실린더부(20)는 하우징(21), 피스톤(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우징(21)은 저장부(10)와 연통되고, 저장부(1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피스톤(22)은 하우징(21)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실린더부(20)의 전체 길이는 가변된다.
피스톤(22)의 외경은 하우징(21)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온 상태에서 피스톤(22)은 하우징(21)의 내부에서 고정되어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의 이동이 차단된다.
하우징(21)과 피스톤(22)의 열팽창계수는 서로 다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21)의 열팽창계수는 피스톤(22)의 열팽창계수보다 크다. 여기서 열팽창계수란 단위 온도의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치수 변화의 크기를 의미한다. 하우징(21)의 열팽창계수가 피스톤(22)의 열팽창계수보다 크다는 것은 온도 변화에 대해 하우징(21)이 피스톤(22)보다 더 큰 치수 변화를 보인다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하우징(21)과 피스톤(22)이 고온의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 하우징(21)의 치수 변화가 피스톤(22)의 치수 변화보다 더 크게 되므로, 하우징(21)의 내주면과 피스톤(22)의 외주면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통해 피스톤(22)은 하우징(21)의 내부에서 고정이 해제되어 하우징(21)의 내부를 이동 가능하게 된다.
하우징(21)의 외측 단부에는 피스톤(22)의 외측 방향으로의 이동 시 피스톤(22)이 하우징(2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토퍼(21a)가 형성된다. 또한 피스톤(22)의 내측 단부에는 스토퍼(21a)에 걸리도록 돌출턱(22a)이 형성된다. 즉, 스토퍼(21a)와 돌출턱(22a)에 의해 피스톤(22)의 외측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되므로, 피스톤(22)이 과도하게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하우징(2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지지판(30)은 피스톤(22)의 외측 단부에 구비된다. 지지판(30)은 코일(C)의 내주면을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부재이다. 따라서 지지판(30)에서 코일(C)의 내주면과 접하는 부분은 곡면부(31)로 이루어져, 원형을 이루는 코일(C)의 내주면과의 밀착도를 높인다. 이를 통해 코일(C)의 내주면을 고르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실린더부(20)는 저장부(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한 회전 각도로 저장부(10)에 복수개가 구비된다. 따라서 코일(C)이 내주면 각각에 대해 동일한 지지력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실린더부(20)는 4개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므로 2개 또는 3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중심으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짱구 저감장치의 작동 원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권취기에 의해 권취된 코일(C)은 짱구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짱구 현상을 저감하기 위해 코일(C)의 내측에 짱구 저감장치(1)를 배치한다. 코일(C)의 온도는 600℃를 상회하므로 코일(C)의 내측에 배치된 짱구 저감장치(1)는 600℃ 이상의 고온 환경에 노출된다.
코일(C)의 열은 하측의 지지판(30)을 통해 저장부(10)로 전달되거나, 대기를 통해 저장부(10)로 전달된다. 코일(C)의 열이 저장부(10)에 전달되는 경우 저장부(10)의 내부에 존재하는 물질(W)은 액체에서 기체로 상변화된다. 이때 고온의 열에 의한 하우징(21)의 팽창 치수가 피스톤(22)의 팽창 치수보다 크므로, 피스톤(22)의 외주면과 하우징(21)의 내주면 사이에는 유격이 발생한다.
저장부(10)의 내부에서 기체로 상변화된 물질(W)은 피스톤(22)을 가압하게 되면서 피스톤(22)을 하우징(21)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기체 상태의 물질(W)은 하우징(21)과 피스톤(22) 사이의 유격 공간을 통해서도 외부로 배출되므로, 물질(W)의 압력에 의해 하우징(21)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피스톤(22)이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피스톤(22)의 단부에 구비되는 지지판(30)이 코일(C)의 내주면과 밀착된다. 저장부(10)에 존재하는 물질(W)은 지속적으로 기체로 변하면서 피스톤(22)을 가압시키므로, 피스톤(22)은 지지판(30)이 코일(C)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력을 꾸준하게 제공한다. 이에 따라 자체 하중 등에 의해 코일(C)에 짱구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저장부(10)는 외부 공급원과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지속적으로 물질(W)의 공급을 받는다.
코일(C)이 후공정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대기에 의해 냉각되어 코일(C)의 온도가 상온에 다다른 경우 저장부(10) 내부의 물질(W)은 더 이상 기체로 상변화되지 않으므로 피스톤(22)을 가압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피스톤(22)을 하우징(21)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코일(C)의 내측에 배치된 짱구 저감장치(1)를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저장부 20 : 실린더부
21 : 하우징 22 : 피스톤
30 : 지지판 31 : 곡면부

Claims (7)

  1. 액체 상태의 물질이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와 연통되고, 상기 저장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실린더부; 및
    상기 실린더부의 단부에 구비되고, 코일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짱구 저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는, 상기 저장부와 연통되고, 상기 저장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물질이 기체로 상변화되는 경우 상기 물질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짱구 저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피스톤은 열팽창계수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짱구 저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피스톤보다 열팽창계수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짱구 저감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에는 돌출턱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피스톤의 외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돌출턱과 걸리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짱구 저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코일의 내주면과 접하는 부분이 곡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짱구 저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는 동일한 회전 각도로 상기 저장부에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짱구 저감장치.
KR1020110039404A 2011-04-27 2011-04-27 짱구 저감장치 KR101257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404A KR101257392B1 (ko) 2011-04-27 2011-04-27 짱구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404A KR101257392B1 (ko) 2011-04-27 2011-04-27 짱구 저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541A true KR20120121541A (ko) 2012-11-06
KR101257392B1 KR101257392B1 (ko) 2013-04-23

Family

ID=47507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9404A KR101257392B1 (ko) 2011-04-27 2011-04-27 짱구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739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71709A (zh) * 2013-01-25 2013-05-01 合肥天鹅制冷科技有限公司 卷管设备
KR101420629B1 (ko) * 2013-08-14 2014-07-18 우원미 판재코일의 처짐 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판재코일의 처짐 방지방법
CN104129662A (zh) * 2014-07-15 2014-11-05 广东生益科技股份有限公司 轻型胀轴
CN106111737A (zh) * 2016-06-24 2016-11-16 常州市瑞悦车业有限公司 一种钢卷开卷生产线
CN107900137A (zh) * 2017-12-28 2018-04-13 宁波高新区神台德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铝板收卷卸料装置
CN112222190A (zh) * 2020-08-20 2021-01-15 鞍钢集团北京研究院有限公司 钢卷内圈涨紧装置和涨紧钢卷内圈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15926A (zh) * 2015-05-08 2015-08-05 宁波保税区明德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电线切割机
CN106219283A (zh) * 2016-08-31 2016-12-14 无锡鼎亚电子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金属窄带电镀的多层收料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3352U (ko) * 1996-12-24 1998-09-25 김종진 짱구코일 내경교정장치
KR20000010113U (ko) * 1998-11-16 2000-06-15 이구택 권취코일의 외권교정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71709A (zh) * 2013-01-25 2013-05-01 合肥天鹅制冷科技有限公司 卷管设备
KR101420629B1 (ko) * 2013-08-14 2014-07-18 우원미 판재코일의 처짐 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판재코일의 처짐 방지방법
CN104129662A (zh) * 2014-07-15 2014-11-05 广东生益科技股份有限公司 轻型胀轴
CN106111737A (zh) * 2016-06-24 2016-11-16 常州市瑞悦车业有限公司 一种钢卷开卷生产线
CN106111737B (zh) * 2016-06-24 2018-04-17 常州市瑞悦车业有限公司 一种钢卷开卷生产线
CN107900137A (zh) * 2017-12-28 2018-04-13 宁波高新区神台德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铝板收卷卸料装置
CN107900137B (zh) * 2017-12-28 2019-03-15 宁波高新区神台德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铝板收卷卸料装置
CN112222190A (zh) * 2020-08-20 2021-01-15 鞍钢集团北京研究院有限公司 钢卷内圈涨紧装置和涨紧钢卷内圈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7392B1 (ko) 2013-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7392B1 (ko) 짱구 저감장치
CN104192605B (zh) 卷纸辊加压装置
JP2009107829A5 (ko)
JP6257083B2 (ja) コイル成形装置及びコイル成形方法
WO2010125232A3 (en) Support apparatus, handling system and method
JP6283927B2 (ja) ワークの形状調整装置及び形状調整方法
ATE435711T1 (de) Haspelvorrichtung für eine walzanlage
CN105347083B (zh) 一种分切复卷机
CN204342083U (zh) 新型可调节收卷机构
KR20130116720A (ko) 권취드럼용 대차
KR101257391B1 (ko) 코일 교정장치
JP2020501914A5 (ko)
JPH0730200Y2 (ja) 連続鋳造設備における鋳片の軽圧下装置
CN109848641B (zh) 一种干燥机滚圈装配方法
KR200497299Y1 (ko) 충격에 의한 파손 방지가 가능한 스트립 권취 장치용 스너버 롤 장치
US9873144B2 (en) Reel for winding metal strip
KR101543921B1 (ko) 냉각장치를 구비하는 열간 코일 권취용 맨드릴
CN206606803U (zh) 一种造纸用卷纸机
KR101529183B1 (ko) 코일 형상 교정장치
KR20090006772U (ko) 코일롤 거치용 지그
CN202245426U (zh) 一种开卷机芯轴
KR20100127662A (ko) 압연장치용 코일러 스테이션
JP6322538B2 (ja) マスキング部材固定方法及びマスキング部材固定装置
KR101091933B1 (ko) 권취코일 위치 보정장치
JP5272850B2 (ja) マンドレル径測定用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