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0921A - 경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경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0921A
KR20120120921A KR1020120114176A KR20120114176A KR20120120921A KR 20120120921 A KR20120120921 A KR 20120120921A KR 1020120114176 A KR1020120114176 A KR 1020120114176A KR 20120114176 A KR20120114176 A KR 20120114176A KR 20120120921 A KR20120120921 A KR 20120120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light rod
light
rod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4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재원
Original Assignee
허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재원 filed Critical 허재원
Priority to KR1020120114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0921A/ko
Publication of KR20120120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09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4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a light source housing portion adjustably fixed to the remainder of th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광봉의 전원을 이용하여 경광봉을 바닥에 고정하되, 경광봉을 흔들어 멀리서도 경광봉을 확인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경광봉을 바닥에 설치하여 흔들어 줌으로써 멀리서도 경광봉의 불빛을 확인할 수 있으며, 경광봉을 흔드는 사람이 필요 없기 때문에 차량과 충돌하는 인명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경광 표시 장치{Optical signal devices}
본 발명은 경광봉이 흔들리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광봉의 전원을 이용하여 경광봉을 바닥에 고정하되, 경광봉을 흔들어 멀리서도 경광봉을 확인할 수 있는 경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경광봉은 내부에 램프가 설치되어 도로공사시나 사고시에 사람이 경광봉의 램프를 켜고 흔들어서 신호를 알리는데 사용한다.
그런데 교통사고가 발생하거나 차량이 고장이 나면 교통사고 지점 또는 고장이 난 차량으로부터 100미터 떨어진 곳에서 사람이 경광봉을 가지고 직접 흔들어 운전자에게 신호를 보내야 한다. 이때, 차량이 다니는 차도에 사람이 경광봉을 가지고 직접 흔들어야 하기 때문에 다른 차량과 충돌하는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도로공사시에는 작업자가 최소한 한 명이 야간 경광봉을 흔들기 위해 동원돼야 하므로 인적자원이 낭비되며, 게다가 경광봉은 작업자가 처음에는 큰 각도로 흔들다가, 힘이 빠지게 되면 자연스럽게 작은 각도로 흔들어, 경광봉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바닥에 세울 수 있는 안전 삼각대가 이용되는데, 안전 삼각대는 반사지를 이용하기 때문에 불빛이 없는 야간에는 잘 보이지 않으며, 특히 높이가 낮고 고정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이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설령 불빛이 있더라도 반사각이 맞지 않으면 잘 안 보이는 단점이 있다. 또한, 바람이 불면 쉽게 쓰러지기 때문에 안전 경고 표시를 하는데 있어서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경광봉을 바닥에 설치하여 흔들어 줌으로써 멀리서도 경광봉의 불빛을 확인할 수 있으며, 경광봉을 흔드는 사람이 필요 없기 때문에 차량과 충돌하는 인명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경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전지가 구비되는 경광봉;과, 지면에 세워질 수 있도록 외측에 복수의 다리가 구비된 본체;와, 경광봉을 수용하고,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 및 회동부와 본체에 설치되는 복수의 영구자석을 구비한 작동유닛;을 포함하되, 회동부 쪽에 설치되는 영구자석과 본체 쪽에 설치되는 영구자석이 서로 끌어당기거나 밀어내어 회동부가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광 표시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 다리는, 본체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늘어나거나 줄어들고 본체로부터 접거나 펼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리를 늘려서 경광봉을 지면으로부터 높은 위치에 배치하여 경광봉을 좌우로 흔들기 때문에 멀리서도 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서 운전자는 공사구간이나 사고지점 또는 사고구간을 피해갈 수 있으며, 특히 경광봉을 흔드는 사람이 위험구간에 없으므로 차량충돌에 의한 인명 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리를 줄이고, 접을 수 있기 때문에 부피를 최소화시켜 휴대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경광봉의 자체의 전원을 이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전원공급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구성이 간소화되어 잔고장이 없고, 경광봉만 따로 사용할 수 있어서 일거양득의 기능을 가지며, 경광봉과 왕복유닛을 분리할 수 있어서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영구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경광봉을 흔들기 때문에 경광봉의 작동 시간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광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광 표시 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경광봉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진자부의 평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경광 표시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광 표시 장치의 평면도 및 정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광 표시 장치에서 작동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광 표시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전지(미도시)가 구비되고 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외측에 접속단자가 구비된 경광봉(1);과, 지면에 세워질 수 있도록 외측에 복수의 다리(5)가 구비된 본체(3); 및 본체(3)에 설치되고 경광봉(1)을 수용하는 공간과 전지의 접속단자와 연결되어 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접속단자가 구비되며 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경광봉(1)을 왕복운동시키도록 본체(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진자부(4)를 포함하는 경광 표시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 진자부(4)는, 경광봉(1)이 삽입되고 본체(3)에 대하여 회전왕복운동하도록 본체(3)와 회전축(42)으로 연결되며 내측에 전지의 접속단자(이하 "소켓"이라 함)와 연결되어 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접속단자가 구비되는 삽입부(41)와, 가이드홈(46)이 형성되어 본체(3) 또는 삽입부(41)에 설치되는 가이드편(45)과, 본체(3) 또는 삽입부(41)에 설치되어 삽입부(41)를 회전왕복운동시키도록 가이드홈(46)에 끼워지는 편심축(44)을 구비하고 삽입부(41)의 접속단자(이하 "플러그"라 함)와 연결된 모터(4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전지(미도시)가 구비되는 경광봉();과, 지면에 세워질 수 있도록 외측에 복수의 다리(5')가 구비된 본체(3');와, 경광봉(1')을 수용하고, 본체(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4'); 및 회동부(4')와 본체(3')에 설치되는 복수의 영구자석(63)을 구비한 작동유닛(6);을 포함하되, 회동부(4') 쪽에 설치되는 영구자석(63)과 본체 쪽에 설치되는 영구자석(63)이 서로 끌어당기거나 밀어내어 회동부(4')가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광 표시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 다리(5)는, 전체적인 크기를 축소하고 본체(3)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늘어나거나 줄어들고 본체(3)로부터 접거나 펼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광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광 표시 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경광봉(1)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진자부(4)의 평면을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경광 표시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광 표시 장치의 평면도 및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광 표시 장치에서 작동유닛(6)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광 표시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광 표시 장치는, 경광봉(1) 및 왕복유닛(2)을 포함한다.
경광봉(1)은, 대략 원통형으로, 상부는 적색 또는 청색 빛이 발광하는 LED램프(16)가 구비되고, 하부는 손잡이(11)로 형성된다. 그리고, 손잡이(11)의 내부에는 LED램프(16)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건전지 또는 2차 전지 등의 전지가 장착되고, 손잡이(11)의 외부에는 전지의 전원을 충전하는 태양열전지판(13)이 장착된다. 이때, 전지는 충전 가능한 충전지가 사용되며 경광봉(1)이 눕혀진 상태에서 태양열전지판(13)이 항상 위로 올라오도록 태양열전지판(13)의 반대 측면의 손잡이(11) 내측에 밀착되어 배치된다. 이에 따라, 경광봉(1)이 눕혀진 상태에서는 손잡이(11) 내측에 배치된 전지가 무거워 경광봉(1)이 회전하면서 전지가 바닥 쪽으로 배치되고, 전지의 반대쪽에 설치된 태양열전지판(13)이 항상 위로 배치되어 전지를 충전한다. 여기서, 경광봉(1)은 손잡이(11)의 상단에 빛이 적은 야간에 사물을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LED전등(15)이 설치되며, 손잡이(11)의 하단에는 전지의 전원이 출력되도록 전지와 연결되는 소켓(14)이 형성된다. 이때, 소켓(14)은 두 개의 단자를 구비하는데, 두 개의 단자가 두 개의 링 형태로 설치된다. 이는, 삽입부(41)에 설치되는 플러그(47)와 접속하기 위해서 링 형태로 설치된다. 만약, 단자가 링 형태가 아닌 경우에는 경광봉(1)을 삽입부(41)에 삽입할 때 접점 방향을 맞춰서 삽입해야 하는데, 접점 방향이 맞지않으면 소켓(14)과 플러그(47)가 접속되지 않는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광봉(1)은, 경광봉(1)의 삽입방향에 관계없이 삽입부(41)의 플러그(47)와 접속할 수 있도록 소켓(14)의 단자를 링 형태로 형성했기 때문에, 경광봉(1)이 회전하더라도 경광봉(1)의 소켓(14)이 삽입부(41)의 플러그(47)에 용이하게 접속된다. 물론, 경광봉(1)의 소켓(14)의 단자는 링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다양한 형태들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11)의 측면에는 경광봉(1)의 LED램프(16) 및 LED전등(15)을 켜고 끄거나 점멸하는 스위치(12)가 구비된다. 여기서, 소켓(14)은 LED램프(16)가 작동할 때에만 전지와 연결된다. 즉, 스위치(12)로 LED램프(16)를 작동시킬 때 소켓(14)과 전지가 연결되며, 경광봉(1)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소켓(14)과 전지가 단락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전지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소켓(14)이 외부로 드러나는 것을 방지하면서 먼지가 쌓이거나 습기 또는 전기가 통하는 물건이 접촉되지 않도록, 손잡이(11)의 하단에 캡(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켓(14)을 통해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전기가 통하는 물건과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여 전지가 방전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경광봉(1)은, 손잡이(11)의 무게가 LED램프(16)가 설치된 부분보다 무겁게 제작한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왕복유닛(2)은, 본체(3), 진자부(4) 및 복수의 다리(5)를 포함한다.
본체(3)는, 대략 상단 및 하단이 개구된 사각 또는 원통형으로, 상단에는 진자부(4)의 회전축(42)이 끼워지는 축홈(31)이 형성되고, 회전축(42)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32)이 본체(3)의 상단 외측에 나사결합된다.
진자부(4)는, 경광봉(1)을 흔들어 주는 것으로, 삽입부(41), 가이드편(45) 및 모터(43)를 포함한다.
삽입부(41)는, 대략 상단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안지름은 경광봉(1)의 손잡이(11) 외경에 대응하고, 바닥에는 경광봉(1)의 소켓(14)과 연결하는 플러그(47)가 설치되며, 상단 외면에는 본체(3)의 축홈(31)에 끼워지는 회전축(42)이 고정 설치된다. 이에 따라, 삽입부(41)의 회전축(42)이 본체(3)의 축홈(31)에 끼워져 삽입부(41)는 본체(3) 내부에서 회동가능하다.
여기서, 삽입부(41)는, 경광봉(1)의 손잡이(11)가 삽입될 정도의 깊이로 형성되되, 경광봉(1)의 스위치(12)가 손잡이(11)의 외부로 돌출된 경우에는 삽입부(41)의 깊이를 스위치(12)가 삽입부(41) 밖으로 돌출될 정도의 깊이로 형성하고, 스위치(12)가 손잡이(11)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삽입부(41)의 깊이를 경광봉(1)의 손잡이(11)가 거의 들어갈 정도의 깊이로 형성한다. 이는, 스위치(12)가 삽입부(41)에 걸려서 경광봉(1)의 손잡이(11)가 삽입부(41)에 제대로 삽입되지 않아서 소켓(14)과 플러그(47)가 접속되지 않거나, 경광봉(1)이 삽입부(41)에 너무 깊이 들어가면 LED램프(16)의 광원을 가려서 시인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경광봉(1)이 삽입부(41)에 끼워진 상태에서 경광봉(1)의 무게가 회전축(42)을 중심으로 상부 또는 하부로 치우쳐 무거우면 모터(43)가 삽입부(41)를 회전시킬 때 더욱 큰 힘이 필요한데 이는 전력 소모가 심하기 때문에 에너지 낭비가 발생한다. 따라서, 작은 힘으로 삽입부(41)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은 경광봉(1)이 삽입부(41)에 삽입된 상태에서 경광봉(1)이 삽입된 삽입부(41) 전체의 무게중심에 해당하는 위치의 삽입부(41) 외면에 회전축(42)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회전축(42)의 위치는 동력사용의 효율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플러그(47)는 경광봉(1)의 자중에 의해서 소켓(14)과 용이하게 접촉되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경광봉(1)을 삽입부(41)에 삽입한 것만으로도 경광봉(1)의 자중에 의해서 소켓(14)과 플러그(47)는 접촉되고, 전지의 전원이 플러그(47)를 통해서 모터(43)에 공급되며, 모터(43)가 작동하여 편심축(44)이 회전한다.
가이드편(45)은, 본체(3)의 내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하여 중앙에 가이드홈(46)이 형성되고, 수직인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본체(3)의 축홈(31) 아래에 배치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가이드편(45)은 모터(43)가 설치된 삽입부(41)를 용이하게 본체(3)에 설치할 수 있도록, 축홈(31)이 형성된 본체(3)의 내측 양쪽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부(41)의 방향에 상관없이 삽입부(41)를 본체(3)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모터(43)는, 편심축(44)을 구비하여 삽입부(41)의 측면에 설치되고, 삽입부(41)의 플러그(47)와 연결되며, 편심축(44)의 끝단이 가이드홈(46)에 삽입된다. 따라서, 모터(43)가 회전하면 편심축(44)의 끝단이 가이드홈(46)에 걸려있어서 삽입부(41)와 모터(43)가 함께 회전축(42)을 중심으로 회동하는데, 가이드홈(46)을 기준으로 삽입부(41)와 모터(43)가 좌우로 주기운동을 한다. 여기서, 모터(43)는 회전속도가 느린 감속모터(43)가 사용된다. 이는 모터(43)의 회전속도가 너무 빠르면 삽입부(41)의 주기운동이 너무 빨라서 삽입부(41)에 끼워지는 경광봉(1)이 삽입부(41)로부터 이탈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리(5)는, 대략 일반적인 카메라 삼각대에 사용되는 다리(5) 형태로, 다리(5)의 길이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으며,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본체(3)의 외면에 3개 내지 4개의 다리(5)가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 된다. 즉, 본체(3)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측면에 등 간격으로 3개의 다리(5)를 설치하고, 본체(3)가 사각통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각 측면에 4개의 다리(5)를 설치한다. 이때, 본체(3)로부터 다리(5)를 펼칠 경우 본체(3)와 다리(5) 사이의 각도가 설정각도 즉, 30° 내지 60°사이의 각도로 형성되도록 벌어진다. 이는, 다리(5)가 본체(3)로부터 너무 벌어지면 본체(3)를 바닥에 지지할 수 없기 때문에 설정각도 이상 벌어지지 않게 하는 것이며, 또한 왕복유닛(2)에 장착되는 경광봉(1)을 멀리서도 잘 보이도록, 왕복유닛(2)을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배치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다리(5)를 늘리거나 줄임으로써 왕복유닛(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다리(5)를 줄여서 접음으로써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다리(5)를 늘어나거나 줄일 수 있는 구조 및 기능과 설정각도만큼 벌어지도록 한 기능은 이미 널리 공지되고 판매되는 삼각대의 다리(5)에 대응하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삽입부(41)의 외면에 플러그(47)와 연결되는 사이렌(미도시)을 더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광봉(1)의 LED램프(16)의 빛에 사이렌의 경고음이 더해져서 위험지점 또는 구간을 더욱 확실히 알릴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광 표시 장치의 작동 상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이 고장 나거나 사고가 발생하면, 운전자는 왕복유닛(2)의 다리(5)를 펼치고, 다리(5)를 늘린 후 왕복유닛(2)을 바닥에 설치한다.
그리고, 경광봉(1)의 스위치(12)를 작동시켜 램프를 켠 후 삽입부(41)에 끼워 장착한다.
이때, 스위치(12)에 의해서 전지와 소켓(14)이 연결되어 전지의 전원이 소켓(14)으로 인가된다.
경광봉(1)이 삽입부(41)에 장착되면 소켓(14)과 플러그(47)가 접속되고, 전지의 전원이 모터(43)에 공급된다.
모터(43)에 전지의 전원이 공급되면 편심축(44)이 회전한다. 이때, 편심축(44)의 끝단이 가이드홈(46)에 끼워진 상태이므로 편심축(44)의 편심된 거리만큼 삽입부(41) 및 모터(43)가 회전축(42)을 중심으로 주기운동을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편심축(44)의 끝단이 모터(43) 중심의 아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경광봉(1)은 수직인 상태가 되고, 시계방향으로 1/4바퀴 회전하면, 경광봉(1)의 상단은 좌측으로 회동하고 손잡이(11)는 우측으로 회동한다.
여기서, 편심축(44)이 시계방향으로 1/4바퀴 더 회전하여 반 바퀴만큼 이동하면, 편심축(44)의 끝단이 모터(43) 중심의 위에 위치하게 되며 경광봉(1)은 수직인 상태가 된다.
그리고, 편심축(44)이 시계방향으로 1/4바퀴 더 회전하여 3/4바퀴만큼 이동하면, 경광봉(1)의 상단은 우측으로 회동하고 손잡이(11)는 좌측으로 회동한다.
이에 따라, 편심축(44)이 계속해서 회전하면, 경광봉(1)은 좌, 수직, 우, 수직을 반복하는 주기운동을 하여 경광봉(1)이 좌우로 흔들린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리(5)를 늘려서 경광봉(1)을 지면으로부터 높은 위치에 배치하여 경광봉(1)을 좌우로 흔들기 때문에 멀리서도 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서 운전자는 공사구간이나 사고지점 또는 사고구간을 피해갈 수 있으며, 특히 경광봉(1)을 흔드는 작업자가 위험구간에 없으므로 차량충돌에 의한 인명 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리(5)를 줄이고, 접을 수 있기 때문에 부피를 최소화시켜 휴대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경광봉(1)의 전지 전원을 이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전원공급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구성이 간소화되어 잔고장이 없고, 경광봉(1)만 따로 사용할 수 있어서 일거양득의 기능을 가지며, 경광봉(1)과 왕복유닛(2)을 분리할 수 있어서 보관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경광봉(1)이 전지를 내장한 것을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경광봉(1)의 전원으로서 전지 이외의 일회용 전지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광 표시 장치는, 경광봉(1'), 본체(3'), 회동부(4') 및 작동유닛(6)을 포함한다.
경광봉(1')은, 상술한 경광봉(1)과 기능 및 구조가 동일하되, 다만 소켓이 생략되고, 본체(3')에 삽입될 때 경광봉(1')이 본체(3') 아래로 빠지지 않도록 LED램프(16)의 외경이 손잡이(1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경광봉(1')은 상술한 경광봉(1)에 대응하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체(3')는, 상단은 대략 원통형으로 상부 끝단이 내측으로 절곡되고 다시 하향 절곡되어 내벽(311)과 외벽(312)으로 형성되며, 하단은 외측으로 경사져 형성된다. 그리고, 내벽(311)의 양측에 축공(311a)이 관통 형성되고, 본체(3')의 경사진 내측 둘레에 다리(5')와 힌지 결합하는 3개의 지지편(313)이 방사상으로 등각 배치되어 형성된다. 여기에, 단면이 대략 "ㄷ"형태의 2단으로 접히는 접이식 다리(5')가 지지편(313)에 각각 힌지 결합된다. 이때, 다리(5')는 내측으로만 접을 수 있으며 일자로 펴진 상태에서는 외측으로 접혀지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체(3')를 지면에 세울 때에는 다리(5')를 펼쳐서 지면으로부터 본체(3')를 일정 높이에 배치시키고, 휴대할 때에는 다리(5')를 내측으로 접어서 전체적인 크기를 최소화하여 휴대성을 향상시킨다.
회동부(4')는, 외면이 단차져 형성되되 상단의 외경이 하단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내부는 상단 및 하단이 관통된 봉삽입공(414)이 형성되되, 봉삽입공(414)의 상부가 외측으로 경사져 형성된다. 그리고, 회동부(4')의 상부 외면에는 단차진 제1회전축(411)이 형성되고, 회전축과 대향하는 회동부(4')의 외면에는 축삽입공(412)이 관통형성되며, 축삽입공(412)에 단차진 제2회전축(413)이 끼워져 결합된다. 이러한 회동부(4')는 제1회전축(411)과 제2회전축(413)이 본체(3')의 축공(311a)에 끼워진다. 즉, 먼저 제1회전축(411)을 본체(3')의 축공(311a)에 끼우고, 제2회전축(413)을 축삽입공(412)에 관통시킨 후 나머지 축공(311a)에 끼워서 결합한다. 이에 따라, 회동부(4')의 봉삽입공(414)에 경광봉(1')의 손잡이(11)를 끼우면, LED램프(16)와 손잡이(11)의 경계가 봉삽입공(414)에 걸려서 경광봉(1')이 아래로 빠지지 않으며, 회동부(4')는 본체(3')의 축공(311a)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작동유닛(6)은, 영구자석(63)을 구비한 회전편(61) 및 복수의 영구자석(63)을 구비한 자석고정편(62)을 포함한다.
회전편(61)은, 대략 직사각의 플레이트로 상단에는 제1회전축(411)에 끼워지도록 축결합공(611)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하나의 영구자석(63)이 설치된다. 이러한 회전편(61)은, 회동부(4')가 본체(3')에 결합되고 제1회전축(411)이 본체(3')의 축공(311a)을 관통한 상태에서 제1회전축(411)의 끝단에 회전편(61)의 축결합공(611)이 끼워져 고정된다. 이에 따라, 회동부(4')가 회전하면 회전편(61)도 함께 회전한다.
자석고정편(62)은, 대략 직사각의 플레이트로, 2개의 영구자석(63)이 자석고정편(62)의 양쪽에 각각 설치되고, 본체(3')의 내벽(311)과 외벽(312) 사이에 배치되어 본체(3')에 나사(미도시)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때, 자석고정편(62)과 회전편(61)은 자석이 설치된 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되, 자석고정편(62)에 설치된 2개의 영구자석(63) 사이에 회전편(61)에 설치된 영구자석(63)이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예를 들면, 회전편(61)에 설치된 영구자석(63)의 마주보는 면이 N극이고, 자석고정편(62)에 설치된 영구자석(63)의 마주보는 면도 N극일 경우에는, 자석고정편(62)에 설치된 2개의 영구자석(63)이 회전편(61)에 설치된 영구자석(63)을 양쪽에서 서로 밀어내기 때문에, 회전편(61)은 자석고정편(62)에 설치된 2개의 영구자석(63) 사이에서 회전 왕복운동을 한다. 그리고, 회전편(61)에 설치된 영구자석(63)의 마주보는 면이 N극이고, 자석고정편(62)에 설치된 영구자석(63)의 마주보는 면이 S극일 경우에는, 자석고정편(62)에 설치된 2개의 영구자석(63)이 회전편(61)에 설치된 영구자석(63)을 양쪽에서 서로 끌어당기기 때문에 회전편(61)은 자석고정편(62)에 설치된 2개의 영구자석(63) 사이에서 회전 왕복운동을 한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광 표시 장치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회전편(61)에 설치된 영구자석(63)과 자석고정편(62)에 설치되는 영구자석(63)이 서로 동일한 극으로 마주보도록 설치한 것으로 간주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경광봉(1')의 LED램프(16)를 켜고 회동부(4')의 봉삽입공(414)에 경광봉(1')의 손잡이(11)를 끼워넣는다.
경광봉(1')이 회동부(4')에 장착되면, 사용자는 경광봉(1')을 흔들어서 어느 한쪽으로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회동부(4') 및 영구자석(63)이 설치된 회전편(61)도 함께 회전한다.
이때, 경광봉(1')을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제1회전축(411)을 중심으로 회전편(61)에 설치된 영구자석(63)이 좌측으로 회전하여 이동하고, 자석고정편(62)에 설치된 2개의 영구자석(63) 중 좌측에 설치된 영구자석(63)이 회전편(61)에 설치된 영구자석(63)을 밀어낸다. 이에 따라, 제1회전축(411)을 중심으로 회전편(61)에 설치된 영구자석(63)이 우측으로 회전하여 이동하게 된다.
계속해서 회전편(61)에 설치된 영구자석(63)이 우측으로 회전하여 이동하면, 경광봉(1')은 좌측으로 이동하고, 자석고정편(62)에 설치된 2개의 영구자석(63) 중 우측에 설치된 영구자석(63)이 회전편(61)에 설치된 영구자석(63)을 밀어내어 회전편(61)에 설치된 영구자석(63)을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작동이 무한 반복되어 경광봉(1')이 좌우로 흔들리게 되며, 별도의 동력이 없어도 경광봉(1')이 흔들리게 된다.
이렇게 작동된 본 발명을 정시할 때에는 사용자가 경광봉(1')을 잡고 회동부(4')로부터 분리시키면 된다. 이때, 회전하던 회전편(61)은 영구자석(63)에 의해서 중앙에 고정된다. 이는, 회동부(4')에 경광봉(1')의 무게가 더해져서 경광봉(1')이 흔들릴 때에 무게에 따른 관성이 커져서 영구자석(63)의 영향을 덜 받는다. 하지만, 경광봉(1')이 흔들릴 때, 영구자석(63)의 자력이 경광봉(1')의 이동할 때의 관성을 상쇄시키면서 동시에 경광봉(1')을 반대로 이동시키는데, 이때 경광봉(1')이 이동하면서 경광봉(1')의 무게 때문에 관성이 발생하고, 이러한 작동이 반복되어 경광봉(1')이 무한으로 흔들린다. 물론 영구자석(63)의 자력이 약해지거나 자력을 상실하면 경광봉(1')의 흔들림은 정지한다. 그런데, 경광봉(1')을 회동부(4')로부터 제거하면, 회동부(4')의 무게가 감소하여 회동부(4')의 관성이 작아지고, 자석고정편(62)에 설치된 2개의 영구자석(63)이 회전편(61)에 설치된 영구자석(63)을 구속하여 2개의 영구자석(63) 사이에 회전편(61)에 설치된 영구자석(63)을 고정한다. 이에 따라, 회동부(4')도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동력이 없어도 영구자석(63)의 자력만으로 경광봉(1')을 흔들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경광봉(1')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경광봉(1')의 사용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 실시 예가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범주 내의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영역의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1'; 경광봉 11; 손잡이
12; 스위치 13; 태양열전지판
14; 소켓 15; LED전등
16; LED램프 2; 왕복유닛
3; 본체 31; 축홈
32; 이탈방지편 4; 진자부
41; 삽입부 42; 회전축
43; 모터 44; 편심축
45; 가이드편 46; 가이드홈
47; 플러그 5, 5'; 다리
3'; 본체 311; 내벽
311a; 축공 312; 외벽
313; 지지편 4'; 회동부
411; 제1회전축 412; 축삽입공
413; 제2회전축 414; 봉삽입공
6; 작동유닛 61; 회전편
611; 축결합공 62; 자석고정편
63; 영구자석

Claims (2)

  1. 내부에 전지가 구비되는 경광봉;
    지면에 세워질 수 있도록 외측에 복수의 다리가 구비된 본체;
    상기 경광봉을 수용하고,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복수의 영구자석을 구비한 작동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회동부 쪽에 설치되는 영구자석과 상기 본체 쪽에 설치되는 영구자석이 서로 끌어당기거나 밀어내어 상기 회동부가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광 표시 장치.
  2.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는,
    상기 본체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늘어나거나 줄어들고 상기 본체로부터 접거나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광 표시 장치.
KR1020120114176A 2012-10-15 2012-10-15 경광 표시 장치 KR201201209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176A KR20120120921A (ko) 2012-10-15 2012-10-15 경광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176A KR20120120921A (ko) 2012-10-15 2012-10-15 경광 표시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0445A Division KR101201416B1 (ko) 2010-12-20 2010-12-20 경광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0921A true KR20120120921A (ko) 2012-11-02

Family

ID=47507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176A KR20120120921A (ko) 2012-10-15 2012-10-15 경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092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1416B1 (ko) 경광 표시 장치
US7011423B2 (en) Multifunction warning device
US8789986B2 (en) Electronic ligh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013694B1 (ko) 자가발전에 의해 발광하는 교통신호 보조기
US9657929B2 (en) Lamp with protection against shining in an undesired direction
KR200454044Y1 (ko) 휴대용 조명장치
KR101800176B1 (ko) 투척식 고장자동차 표시판 및 이를 투척하는 격발기
KR20120120921A (ko) 경광 표시 장치
KR20130128826A (ko) 과속방지턱
CN204245365U (zh) 一种自发电伞
KR101982496B1 (ko) 우산형 안전표시기구
CN108019700A (zh) 高度可调的led照明路灯
CN209042208U (zh) 一种太阳能式景观照明装置
CN210979616U (zh) 一种多功能警示灯
CN107676719B (zh) 子母灯装置及灯具
CN207501039U (zh) 升降式led固态半导体路灯
KR101664838B1 (ko) 휴대용 스마트 로드사인
KR200456341Y1 (ko) 매립형 시선유도장치
KR20210040678A (ko) 풍력 led 델리네이터
KR100742249B1 (ko) 신호등
KR20190005549A (ko) 도로용 안내유도봉
CN218379062U (zh) 一种防摔便携式led照明灯
CN214697255U (zh) 一种建筑施工护栏
KR102403322B1 (ko) 자체발전 led 델리네이터
CN211969292U (zh) 一种车用警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