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0536A - 스프린트 착용장치 - Google Patents

스프린트 착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0536A
KR20120120536A KR1020110038145A KR20110038145A KR20120120536A KR 20120120536 A KR20120120536 A KR 20120120536A KR 1020110038145 A KR1020110038145 A KR 1020110038145A KR 20110038145 A KR20110038145 A KR 20110038145A KR 20120120536 A KR20120120536 A KR 20120120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sprint
fastening
adhesive cloth
p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8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형
Original Assignee
김지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형 filed Critical 김지형
Priority to KR1020110038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0536A/ko
Publication of KR20120120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05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feet or ank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8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arms, hands or fi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프린트 착용장치는 팔 또는 다리의 환부를 감쌀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커버부재; 커버부재의 상하방향 중앙선을 기준으로 간격을 두고 커버부재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보강부재; 스프린트가 삽입될 수 있게 상부가 개방된 스프린트 주머니가 형성되도록 한 쌍의 보강부재 사이의 커버부재에 덧대어 형성되는 스프린트 주머니부재; 및 커버부재로써 환부를 감싼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커버부재의 양쪽에 마련되는 체결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프린트 착용장치{DEVICE FOR FIXING SPLINT}
본 발명은 스프린트 착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팔 또는 다리에 부상을 입은 환자의 환부에 스프린트를 고정시키거나 환부로부터 스프린트를 분리하는 일이 쉽게 이루어지고, 환부를 고정시키는 고정효과는 좋게 유지하는 가운데 환자의 활동이 비교적 자연스러울 수 있도록 한 스프린트 착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명 반-깁스라고도 불리는 스프린트(splint)는 팔다리에 부상이 있을 때 뼈나 근육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환부 근처에 일시적으로 대는 의료도구로써 석고 등의 혼합물질로 성형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환자의 부상 정도가 심할 경우에는 환부를 완전히 둘러싸서 고정하는 통-깁스라고도 불리는 캐스트(cast)가 주로 사용되고 있는 반면에, 환자의 부상 정도가 심하지 않은 경우, 상처가 있는 경우, 부종이 심하여 관찰이 필요한 경우 등에는 환자의 활동이 비교적 자연스러우면서 환부로부터 스프린트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붕대를 감아 고정하는 형태의 반-깁스라고도 불리는 스프린트(splint)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숙련자가 아닌 경우에는 환부에 스프린트를 대고 붕대를 감는 일이 서투르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압박 강도를 적정 수준으로 맞추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에는 물에 적신 긴 형태의 물체가 굳지 않은 상태에서 팔 또는 다리에 적용한 뒤 굳기 전에 압박붕대로 주위를 감싸서 고정과 함께 압박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간혹 환부에 과도한 압박이 가해진 경우에는 압박붕대를 끊거나 풀어 적정 수준의 압박강도가 유지될 수 있게 붕대를 다시 감아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된 것으로서, 팔 또는 다리에 부상을 입은 환자의 환부에 스프린트를 고정시키거나 환부로부터 스프린트를 분리하는 일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착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스프린트 착용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프린트로써 환부를 고정시키는 고정효과를 크게 하는 한편 환부에 대한 압박강도의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스프린트 착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프린트 착용장치는 팔 또는 다리의 환부를 감쌀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커버부재; 커버부재의 상하방향 중앙선을 기준으로 간격을 두고 커버부재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보강부재; 스프린트가 삽입될 수 있게 상부가 개방된 스프린트 주머니가 형성되도록 한 쌍의 보강부재 사이의 커버부재에 덧대어 형성되는 스프린트 주머니부재; 및 커버부재로써 환부를 감싼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커버부재의 양쪽에 마련되는 체결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프린트 착용장치에서 보강부재는 커버부재의 바깥쪽 면에서 일정 폭을 갖는 띠부재로 감싸진 채 재봉에 의해서 커버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프린트 착용장치에서 스프린트 주머니는 커버부재의 바깥쪽 면에서 재봉에 의해서 커버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프린트 착용장치에서 커버부재 및 스프린트 주머니부재는 망사 형태의 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프린트 착용장치에서 커버부재는 안쪽의 천에 형성된 망사의 눈과 바깥쪽의 천에 형성된 망사의 눈의 크기가 상호 다른 이중구조의 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프린트 착용장치에서 보강부재로부터 커버부재의 양쪽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위치의 커버부재 상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서브 보강부재가 더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프린트 착용장치에서 체결수단은 커버부재의 한쪽 끝으로부터 상하방향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개가 연장 형성되는 제1체결날개; 커버부재의 다른 한쪽 끝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하방향으로 위치된 제1체결날개와 제1체결날개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체결날개; 제1체결날개와 제2체결날개에 부착되는 제1접착천; 및 제1접착천에 대응하는 커버부재의 위치에 부착되며 제1접착천과 맞대어질 경우 상호 접착이 되는 제2접착천; 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프린트 착용장치에서 체결수단은 커버부재의 바깥쪽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체결고리; 체결고리 옆의 커버부재에 고정되는 한편 체결고리가 커버부재에 고정 설치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접착천; 및 한쪽 끝은 접착천이 위치된 커버부재의 한쪽에 고정되는 한편 다른 한쪽 끝은 커버부재로써 환부를 감은 상태에서 체결고리를 통과한 후 접착천에 이르는 길이를 갖는 띠 형태로 한쪽 면은 접착천에 대해 상호 부착될 수 있게 형성된 체결띠;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프린트 착용장치에 의하면 스프린트를 환부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붕대를 감지 않아도 됨에 따라서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팔 또는 다리의 환부에 스프린트를 쉽게 부착하거나 환부에 부착된 스프린트를 쉽게 뗄 수 있는 커다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프린트 착용장치의 정면도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프린트 착용장치의 배면도다.
도 3 는 도 1 에 표시된 A-A선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프린트의 사시도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프린트 착용장치의 정면도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뒤에 설명이 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를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뒤에 설명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구조, 역할 및 기능 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오로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하여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프린트 착용장치의 구성 및 사용상태 등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 중에 표시된 도면부호 100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프린트 착용장치를 지시하는 것이며, 도면부호 400 은 스프린트를 지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프린트 착용장치(100)의 본체(200)에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으로 성형된 스프린트(400)가 수용될 수 있는 스프린트 주머니(300)가 형성된다. 전술한 스프린트 주머니(300)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스프린트 착용장치(100)의 본체(2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0)의 주요 부분을 이루는 커버부재(210)의 한쪽 면에 상부가 개방된 구조의 스프린트 주머니부재(220)가 덧대어진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프린트 착용장치(100)에서 스프린트 주머니(300)는 커버부재(210)의 바깥쪽 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스프린트(400)가 수용되는 스프린트 주머니부재(220)는 환부가 닿지 않는 커버부재(210)의 바깥쪽에 형성될 수 있도록 스프린트 주머니부재(220)는 커버부재(210)의 바깥쪽 면에 재봉 등의 방식으로 부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프린트 착용장치(100)의 본체(200)는 팔 또는 다리의 환부를 감쌀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커버부재(210), 커버부재(210)의 상하방향 중앙선(C)을 기준으로 간격을 두고 커버부재(210)에 고정되는 보강부재(230), 스프린트 주머니가 형성되도록 커버부재(210)에 덧대어지는 스프린트 주머니부재(220) 및 커버부재(210)로써 환부를 감싼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커버부재(210)의 양쪽에 마련되는 체결수단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프린트 착용장치(100)에서 커버부재(210)는 환부의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망사 형태의 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커버부재(210)는 안쪽의 천에 형성된 망사의 눈과 바깥쪽의 천에 형성된 망사의 눈의 크기가 상호 다른 이중구조의 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210)는 안쪽과 바깥쪽 사이에 충격 흡수를 위한 공간이 확보됨과 동시에 안쪽 천과 바깥쪽 천이 일체를 이루도록 직조된 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프린트 착용장치(100)에서 스프린트 주머니부재(220)도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통풍이 좋은 망사 형태의 천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프린트 착용장치(100)에서 보강부재(230)는 커버부재(210)의 상하방향 중앙선(C)을 기준으로 간격을 두고 커버부재(210)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프린트 착용장치(100)에서 보강부재(230)로부터 양쪽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위치의 커버부재(210) 상에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서브 보강부재(240)가 더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보강부재(230) 및 서브 보강부재(240)는 커버부재(210)의 바깥쪽 면에서 일정 폭을 갖는 띠부재(232, 242)로 감싸진 채 재봉 등의 방식으로 커버부재(21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프린트 착용장치(100)에서 스프린트(400)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구간 또는 전체 구간에 굴곡이 있는 판 형태로 형성되거나 환부에 착용하는 과정에서 환부의 형태에 따라 변형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스프린트(400)의 형태가 팔 또는 다리에 발생한 환부의 곡면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환부의 고정 효과가 더욱 유리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프린트 착용장치(100)의 체결수단(250, 260)으로는 일명 “찍찍이” 또는 “벨크로(velcro)”라고 불리는 나이론제의 접착천이 이용될 수 있다. 이 체결수단은 상대적으로 거친 한 면과 상대적으로 덜 거친 다른 한 면이 상호 접하도록 겹칠 경우에 상호 접착이 이루어지는 한편 일정 수준의 외력을 가할 경우에는 상호 분리되는 특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프린트 착용장치(100)의 체결수단(250)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210)의 한쪽 끝으로부터 상하방향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개가 연장 형성되는 제1체결날개(252), 커버부재(210)의 다른 한쪽 끝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하방향으로 위치된 제1체결날개(252)와 제1체결날개(252)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체결날개(254), 제1체결날개(252)와 제2체결날개(254)에 부착되는 제1접착천(256) 및 제1접착천(256)에 대응하는 커버부재(210)의 위치에 부착되며 제1접착천(256)과 맞대어질 경우 상호 접착이 되는 제2접착천(258)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프린트 착용장치(100)의 체결수단(250)에서 제1체결날개(252)와 제2체결날개(254)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210)의 상하방향 중앙선(C)을 기준으로 양쪽이 상호 대응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이 됨으로써 제1체결날개(252)와 제2체결날개(254)에 형성된 제1접착천(256)을 상호 대응하는 제2접착천(258)에 부착할 경우에 제1체결날개(252)와 제2체결날개(254)는 마치 깍지를 낀 형태로 부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프린트 착용장치(100)의 체결수단(26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프린트 착용장치(100)의 체결수단(260)은 커버부재(210)의 바깥쪽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체결고리(262), 체결고리(262) 옆의 커버부재(210)에 고정되는 한편 체결고리(262)가 커버부재(210)에 고정 설치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접착천(264) 및 한쪽 끝은 접착천(264)이 위치된 커버부재(210)의 한쪽에 고정되는 한편 다른 한쪽 끝은 커버부재(210)로써 환부를 감은 상태에서 체결고리(262)를 통과한 후 접착천(264)에 이르는 길이를 갖는 띠 형태로 한쪽 면은 접착천(264)에 대해 상호 부착될 수 있게 형성된 체결띠(26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프린트 착용장치(100)를 이용하여 환자의 환부를 보호하고자 할 때, 팔 또는 다리의 환부를 커버부재(210)로써 감싼 상태에서 커버부재(210)의 한쪽으로부터 연장된 체결띠(266)를 커버부재(210)의 다른 한쪽에 설치된 체결고리(262)를 통과시킨 후 체결띠(266)를 당겨 접착천(264)에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프린트 착용장치(100)에서 스프린트(400)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 재질의 스프린트 커버(410)로써 감싸진 상태에서 전술한 스프린트 주머니(300)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프린트 착용장치(100)에서 커버부재(210)의 외곽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띠(212)로써 감싸진 구조로 마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커버부재(210)의 외곽에 접하게 되는 스프린트 주머니부재(220), 체결수단(250, 260) 등의 일부도 마감띠(212)로써 감싸진 상태에서 재봉 등으로 마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프린트 착용장치(100)를 이용하여 팔 또는 다리에 발생한 환부를 감싸 보호하는 과정에서는 스프린트 주머니(300)에 스프린트(400)를 넣은 상태에서 커버부재(210)를 환부에 밀착시킨 후 체결수단(250)으로써 착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프린트 착용장치(100)를 이용하여 팔 또는 다리에 발생한 환부가 스프린트(400)로써 고정되도록 하는 과정에서는 별도의 붕대가 사용되지 않음에 따라서 숙련된 자가 아니더라도 쉽게 착용할 수 있고, 체결수단의 해제와 재체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에 따라서 환부를 압박하는 정도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일이 쉽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프린트 착용장치(100)를 착용하는 사용자는 환부의 상태 등에 따라서 스프린트(400)를 제외한 상태에서 본체(200)만을 착용하는 방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도면 중에 표시된 파선들 중에서 일부의 파선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요소들끼리를 박음질하여 나타나는 재봉선을 표현한 것이며, 일부의 파선은 내부 또는 뒤쪽에 위치된 구성요소를 나타내기 위한 은선을 표현한 것임을 밝혀둔다.
이상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개시된 실시 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스프린트 착용장치 200 : 본체
210 : 커버부재 212 : 마감띠
220 : 스프린트 주머니부재 230 : 보강부재
232 : 띠부재 240 : 서브 보강부재
250 : 체결수단 252 : 제1체결수단
254 : 제2체결수단 256 : 제1부착천
258 : 제2부착천 260 : 체결수단
262 : 체결고리 264 : 접착천
266 : 체결띠 300 : 스프린트 주머니
400 : 스프린트 410 : 스프린트 커버

Claims (8)

  1. 팔 또는 다리의 환부를 감쌀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의 상하방향 중앙선을 기준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커버부재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보강부재;
    스프린트의 삽입될 수 있게 상부가 개방된 스프린트 주머니가 형성되도록 상기 한 쌍의 보강부재 사이의 상기 커버부재에 덧대어 형성되는 스프린트 주머니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로써 환부를 감싼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상기 커버부재의 양쪽에 마련되는 체결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린트 착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커버부재의 바깥쪽 면에서 일정 폭을 갖는 띠부재로 감싸진 채 재봉에 의해서 상기 커버부재에 고정되는
    스프린트 착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린트 주머니는 상기 커버부재의 바깥쪽 면에서 재봉에 의해서 상기 커버부재에 고정되는
    스프린트 착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 및 스프린트 주머니부재는 망사 형태의 천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린트 착용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안쪽의 천에 형성된 망사의 눈과 바깥쪽의 천에 형성된 망사의 눈의 크기가 상호 다른 이중구조의 천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린트 착용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로부터 상기 커버부재의 양쪽 방향으로 일정 간격 떨어진 위치의 상기 커버부재 상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서브 보강부재가 더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린트 착용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커버부재의 한쪽 끝으로부터 상하방향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개가 연장 형성되는 제1체결날개;
    상기 커버부재의 다른 한쪽 끝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하방향으로 위치된 상기 제1체결날개와 제1체결날개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체결날개;
    상기 제1체결날개와 제2체결날개에 부착되는 제1접착천; 및
    상기 제1접착천에 대응하는 상기 커버부재의 위치에 부착되며 상기 제1접착천과 맞대어질 경우 상호 접착이 되는 제2접착천;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스프린트 착용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커버부재의 바깥쪽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체결고리;
    상기 체결고리 옆의 커버부재에 고정되는 한편 상기 체결고리가 상기 커버부재에 고정 설치된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접착천; 및
    한쪽 끝은 상기 접착천이 위치된 상기 커버부재의 한쪽에 고정되는 한편 다른 한쪽 끝은 상기 커버부재로써 환부를 감은 상태에서 상기 체결고리를 통과한 후 상기 접착천에 이르는 길이를 갖는 띠 형태로 한쪽 면은 상기 접착천에 대해 상호 부착될 수 있게 형성된 체결띠;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린트 착용장치.
KR1020110038145A 2011-04-25 2011-04-25 스프린트 착용장치 KR201201205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145A KR20120120536A (ko) 2011-04-25 2011-04-25 스프린트 착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145A KR20120120536A (ko) 2011-04-25 2011-04-25 스프린트 착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0536A true KR20120120536A (ko) 2012-11-02

Family

ID=47507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8145A KR20120120536A (ko) 2011-04-25 2011-04-25 스프린트 착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05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682B1 (ko) * 2013-11-07 2014-07-09 주식회사 메디캐스트 의료용 깁스 및 피부보호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682B1 (ko) * 2013-11-07 2014-07-09 주식회사 메디캐스트 의료용 깁스 및 피부보호대
WO2015068975A1 (ko) * 2013-11-07 2015-05-14 한종근 의료용 깁스 및 피부보호대
US10383773B2 (en) 2013-11-07 2019-08-20 Jong Kun Han Medical cast and skin prote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5642B2 (en) Bootless ankle brace
KR101556754B1 (ko) 화이머씨엑토미 쉴드
KR101531760B1 (ko) 이중 허리 보호대
US20110057003A1 (en) Storage device for mouth guard
US11259947B2 (en) Ankle brace devices, systems and methods
KR20120120536A (ko) 스프린트 착용장치
KR200350514Y1 (ko) 허리보호대
KR200403889Y1 (ko) 무릎 보호대
KR101883805B1 (ko) 의료용 부목
CN211674751U (zh) 一种用于踝关节不稳的限制护具
US9420761B2 (en) Dual sheet detachable hock protector
KR20130000452U (ko) 허리보호대
KR20140102104A (ko) 허리보호대
JP5784063B2 (ja) 足首用装着具、足首用装着具の装着方法
CN211022816U (zh) 一种适用于多种手术切口的切口保护罩
ITMI20090165A1 (it) Dispositivo ortopedico di supporto e guida di una articolazione
JP6771186B2 (ja) 肩用健康具
JP2009112745A (ja) 肩こり防止具
CN204034057U (zh) 一种窄谱uvb紫外线治疗中男性生殖器防护罩
KR102415595B1 (ko) 허리 보호대 시스템
JP2009174103A (ja) 肩こり防止具
CN209172696U (zh) 多功能眼部固定带
JP6487136B2 (ja) 膝免荷補装具
KR102575975B1 (ko) 흉부 압박보호대
JP5419537B2 (ja) 手首用サポー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