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9328A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9328A
KR20120119328A KR1020110037174A KR20110037174A KR20120119328A KR 20120119328 A KR20120119328 A KR 20120119328A KR 1020110037174 A KR1020110037174 A KR 1020110037174A KR 20110037174 A KR20110037174 A KR 20110037174A KR 20120119328 A KR20120119328 A KR 20120119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bile terminal
backlight
brightness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7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9941B1 (ko
Inventor
김정열
김만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7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9941B1/ko
Priority to US13/406,183 priority patent/US8942770B2/en
Priority to EP12001317.2A priority patent/EP2515509B1/en
Publication of KR20120119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9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3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H04W52/02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by controlling a display operation or backlight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7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according to available power supply, e.g. switching off when a low battery condition is detec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1Temperature compens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4Display protection
    • G09G2330/045Protection against panel overhea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로써, 화면을 비추는 백라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통신 방식을 동시에 이용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싱부, 및 상기 측정된 온도와 사전 설정된 온도를 고려하여 상기 백라이트의 밝기를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통신 형태에 따라서 백라이트의 밝기를 조정하는 방법 및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의 단말기는 통신 방식으로 3 세대 (3G) 방식의 이용에서 4 세대 (4G) 방식의 이용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4G 방식의 이용으로 다운로드 업로드등 데이터 전송 속도가 이전보다 빨라지게 된다. 하지만, 3G 방식을 이용하거나, 4G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많은 데이터의 송수신이 발생하기 때문에, RF 전력의 소모가 심해지며, 단말기 자체의 온도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2G, 3G, 4G 등 다양한 방식의 통신 기술을 동시에 적용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식의 통신 기술이 동시에 적용되는 경우 발생하는 전력 소모 및 발열을 방지하기 위해서 백라이트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적어도 두 개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로써, 화면을 비추는 백라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통신 방식을 동시에 이용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싱부, 및 상기 측정된 온도와 사전 설정된 온도를 고려하여 상기 백라이트의 밝기를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통신 방식은 2 세대 이동 통신 방식, 3 세대 이동 통신 방식 및 4 세대 이동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온도에 따라서 단계별로 상기 백라이트의 밝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화면 중 일부 영역을 비추는 백라이트의 밝기만을 감소시키며, 상기 표시화면 중 일부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비추는 백라이트의 밝기는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통신 방식의 동시 이용 상태가 종료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백라이트의 밝기를 복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적어도 두 개의 통신 방식의 동시 이용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 이동 단말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이동 단말기의 온도가 사전 규정된 온도 이상인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서 백라이트의 밝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세대의 통신 방식을 동시에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3G, 4G 방식을 동시에 사용하는 데 있어서 발생하는 전력 소모 및 발열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3a 내지 3c 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백라이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4 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SV-LTE 모드 진입에 따른 백라이트의 밝기를 조정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온도 상승에 따른 백라이트의 밝기를 조정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7a 및 7b 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백라이트의 밝기 조정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 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단말기 전원 상태에 따른 백라이트의 밝기를 조정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온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및 프로젝터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젝트(projec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영상을 외부 스크린 또는 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 모듈(155)은,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빛(일 예로서,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미도시), 광원에 의해 발생한 빛을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할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생성 수단 (미도시), 및 영상을 일정 초점 거리에서 외부로 확대 출력하기 위한 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모듈(155)은, 렌즈 또는 모듈 전체를 기계적으로 움직여 영상 투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51)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패널(210), 상기 액정패널(210) 하부에 배치되는 확산 시트(220)(diffuser sheet), 상기 확산 시트(2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액정패널(210)로 빛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BLU)(230), 상기 백라이트 유닛(230)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백라이트 유닛(230)으로부터 제공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 시트(280)(reflector sheet) 및 상기 반사 시트(280) 하부에 배치되어 전술한 구성요소들을 지지하는 프레임(290)으로 구성된다.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230)의 개략적인 분해 평면도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패널(210)(즉, LCD)의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이 액정패널(210)의 뒷면 전체에 배열되는 직하 방식과 광원이 액정패널(210)의 가장자리(즉, 에지(edge))에 배열되는 에지 방식으로 분류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디스플레이부(200)의 두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이동 단말기에서 주로 사용되는 에지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230)은 상기 액정패널(210)의 하부에 배열되는 도광판(light guide plate, LGP)(231), 측면에 배열되어 복수의 광원부(236)를 지지하는 광원부 지지체(235)로 구성된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231)은 광원부(236)에서 제공된 빛이 입사하는 입광면(231a) 및 액정패널(210)로 빛을 방출하는 출광면(231b)을 포함하고, 상기 입광면(231a)과 상기 출광면(231b)은 직각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도광판(231)은 액정패널(210)의 화면의 균일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광원부(236)에서 가까운 쪽(즉, 입광면(231a) 쪽)은 산란제의 양을 적게 하고 광원부(236)에서 멀수록 산란제의 양을 늘림으로서 액정패널(210)의 화면 상에 균일한 빛이 발산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밝고 선명한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게 한다.
백라이트 유닛(230)의 발광 과정을 살펴보면, LED 소자인 광원부(236)에서 발생된 빛이 광원부의 출광면(236a)에서 방출되고, 상기 빛은 강한 빛인 R광, G광, B광으로 변환되어 상기 R광, G광, B광이 방출되어 도광판(231)의 입광면(231a)으로 제공된다.
이하에서, 단말기가 서로 다른 통신 환경을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2 세대 (2G) 또는 3 세대 (3G) 를 4 세대 (4G) 와 동시 사용하는 경우, 2G, 3G를 4G 인 LTE 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를 SVLTE (Simultaneous Voice LTE) 모드라 지칭한다.
도 4 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동 단말기 (100) 는 SVLTE 모드로 진입한다 (S410). 센싱부 (140) 는 이동 단말기 (100) 의 온도를 측정한다 (S420). 제어부 (180) 는 이동 단말기 (100) 의 온도가 사전 규정된 온도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S430). 만약 이동 단말기 (100) 의 온도가 사전 규정된 온도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 (180) 는 백라이트의 밝기를 조정한다 (S440). 한편, 이동 단말기 (100) 의 온도가 사전 규정된 온도 미만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 (180) 는 SVLTE 모드를 종료했는 지를 판단하며 (S435), SVLTE 모드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 다시 단말기의 온도를 측정한다.
이동 단말기 (100) 가 SVLTE 모드에 진입한 경우, 이동 단말기의 센싱부 (140) 는 이동 단말기 (100) 의 온도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센싱부 (140) 는 RF 회로부의 온도와 이동 단말기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온도를 확인한다. 이때 RF 회로부나 배터리 온도 중 둘 중 하나만이라도 각각 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면, 제어부 (180) 는 백라이트의 밝기를 사전 설정된 특정 밝기 이하로 낮추는 동작을 수행한다. 하지만, 모두 설정된 특정 온도를 넘지 않으면 사용자가 지정한 백라이트 밝기를 유지한다.
한편, 이동 단말기 (100) 가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여 백라이트의 밝기가 낮아진 경우, 사용자가 이를 무시하고 인위적으로 백라이트 또는 디스플레이부 (151) 의 밝기를 높이고자 하는 경우, 전류 소모 및 발열에 대한 경고 메시지 및 경고음 등을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언급된 센싱부 (140) 의 온도 측정은 2G 혹은 3G를 4G와 동시 사용하는 모드나, 2G나 3G를 LTE와 동시에 사용하는 SVLTE 모드를 진행하면 시작하며 이러한 모드가 끝날 때까지 지속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구체적인 사용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4G통신을 이용해 웹 서핑을 하거나 동영상, 게임등을 실시간으로 다운로드를 하거나 접속하여 이용하는 음성 전화가 오는 경우, 시스템이 4G와 2G나 3G통신을 동시에 지원하는 모드로 진입을 하는 경우, 센싱부 (140) 는 이동 단말기 (100) 의 온도를 측정한다. 여기에서, 동시 사용 중 특정 온도가 넘으면,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던 웹서핑이나,동영상, 게임등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부 (151) 의 밝기가 백라이트의 밝기의 감소에 따라서 감소된다. 이 경우에, 백라이트의 밝기가 감소됨에 따라서, 이동 단말기 (100) 의 발열 및 소모 전력을 줄일 수도 있다.
상기 설명한 것처럼, 이동 단말기 (100) 가 SVLTE 모드에서 통신 환경을 사용하는 경우 백라이트의 밝기를 특정 밝기 이하로 감소시킨 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동 단말기 (100) 의 전원이 일정 이하기 되면, 통신 환경의 유지를 위해 다시 백라이트의 밝기를 일정 이하로 줄인다. 요약하면, 본 발명과 관련하여, 백라이트의 밝기를 조정하는 데 있어서, 백라이트의 밝기를 단계별로 판단하여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상태를 지속하다 배터리의 잔량을 다시 일정 이하가 되면 단말은 두 통신 환경 중 음성 통신 환경을 우선적으로 보장해야 하므로 사용자에게 4G통신의 중단에 대한 알람을 한 후 4G 통신 동작을 멈추어 최소 배터리 잔량에 대한 음성 통신 환경을 유지할 수도 있다.
단말기가 SVLTE 모드에서 사용되는 경우에서 사용자는 음성 통신 및 음성 서비스를 유선의 이어셋이 아닌 블루투스 등의 무선 환경의 이어셋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선 음성 서비스 환경보다 전원 소모가 증가된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는, 블루투스 등의 무선 환경의 이어셋의 사용이 두 개의 통신 환경에서 진행 되면 LCD의 밝기 제어를 추가로 하여 좀 더 밝기를 낮추는 동작을 한다. 예를 들면 유선 이어셋 환경에서 두 개의 통신 환경을 제공 시 LCD 밝기를 40%로 자동으로 낮추었다면, 무선 이어셋의 경우는 20% 밝기로 낮추는 동작을 한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 (100) 의 동작은 2G 또는 3G, 4G 중 어느 한 방식으로 통신하는 경우, 즉, SVLTE 모드가 종료한 경우에 종료될 수 있다. 제어부 (180) 는 SVLTE 모드가 종료되는 지를 판단하며, 종료된 경우, 센싱부 (140) 는 단말기 (100) 의 온도 측정을 중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SV-LTE 모드 진입에 따른 백라이트의 밝기를 조정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와 관련하여, SVLTE 모드에 진입한 경우 온도 측정과 관련없이, 백라이트의 밝기를 조정하는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5(a) 에서, 디스플레이부 (151) 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520) 을 디스플레이한다. 특정 애플리케이션으로 인터넷 애플리케이션이 도시된다. 디스플레이부 (151) 의 상단 (510) 에는 통신 환경을 나타낸다. 도 5(a) 에서, 디스플레이부 (151) 는 3G 상태를 나타내며, SVLTE 모드에 진입하기 이전 상태이다.
도 5(b) 에서, 이동 단말기 (100) 는 3G 와 4G 를 동시에 사용하는 SVLTE 모드에 진입한 것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부 (151) 는 알림창 (530) 을 통하여 SVLTE 모드에 진입한 사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 (180) 는 SVLTE 모드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백라이트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다.
도 5(c) 에서, 이동 단말기 (100) 의 디스플레이부 (151) 는 밝기가 조정된 상태이다. 제어부 (180) 의 제어에 따라서, 백라이트의 밝기는 특정 수준 이하로 감소된다. 이를 통하여, SVLTE 모드에 진입한 이동 단말기 (100) 는 백라이트의 밝기의 감소에 따라서 전력 소모 및 발열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온도 상승에 따른 백라이트의 밝기를 조정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에서, 디스플레이부 (151) 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520) 을 디스플레이한다. 특정 애플리케이션으로 인터넷 애플리케이션이 도시된다. 디스플레이부 (151) 의 상단 (510) 에는 통신 환경을 나타낸다.
도 6(b) 에서, 이동 단말기 (100) 는 3G 와 4G 를 동시에 사용하는 SVLTE 모드에 진입한다. 그에 따라서, 이동 단말기 (100) 의 센싱부 (140) 는 이동 단말기 (100) 의 온도를 측정한다. 온도 측정의 결과, 규정된 온도 이상이 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 (180) 는 디스플레이부 (151) 를 통하여 규정 온도 이상임을 알릴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 (151) 는 규정 온도 이상임을 알림창 (610) 을 통해서 디스플레이한다.
도 6(c) 에서, 이동 단말기 (100) 의 디스플레이부 (151) 는 밝기가 조정된 상태이다. 디스플레이부 (151) 를 구성하는 백라이트는 제어부 (180) 의 제어에 의해서 특정 수준 이하로 감소된다. 따라서, 백라이트의 밝기가 감소되기 이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6(a) 와 비교시, 도 6(c) 에서, 디스플레이부 (151) 의 밝기는 감소된 것으로 나타난다. 이를 통하여, 온도가 일정 수준으로 올라간 경우, 이동 단말기 (100) 는 백라이트의 밝기를 감소시켜, 전력 소모 및 발열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a 및 7b 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백라이트의 밝기 조정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백라이트의 밝기 조정과 관련하여, 디스플레이부 (151) 의 백라이트의 밝기를 다양한 방식으로 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VLTE 모드에 진입하거나 특정 온도 이상이 된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특정 영역의 백라이트의 밝기를 조정할 수도 있다.
도 7a 는 백라이트의 밝기를 조정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의 (a) 에서, 이동 단말기 (100) 는 SVLTE 모드로 진입하여 특정 온도로 상승한 것을 알 수 있다. SVLTE 모드에 진입한 이후에, 센싱부 (140) 에 의해서 판단된 온도를 통하여 특정 온도 이상인 지를 확인할 수 있다.디스플레이부 (151) 는 알림창 (710) 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 (100) 가 특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한 것을 알릴 수 있다.
도 7a 의 (b) 는 백라이트의 밝기를 조정하는 일 예로써, 디스플레이부 (151) 의 특정 영역에 해당하는 백라이트의 밝기만을 조정하는 도면이다.
백라이트의 밝기를 조절하는 데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151) 를 구성하는 모든 백라이트의 밝기를 일률적으로 조절할 필요는 없다. 백라이트의 밝기는 조절하면서도 전력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특정 영역의 백라이트의 밝기만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SVLTE 모드로 진입하여 특정 온도 이상이 된 경우, 전체 백라이트의 밝기를 동일하게 줄이는 것이 아니라 일부의 백라이트 만을 줄일 수 있다. 도 7a 의 (b) 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부 (151) 는 도 7a 의 (a) 와 동일하게, 특정 애플리케이션 (520) 을 디스플레이하지만, 여기에서, 모든 영역의 백라이트를 줄이는 것이 아니라 특정 영역 (730) 의 백라이트의 밝기만을 조절하고 나머지 영역 (720) 의 백라이트의 밝기는 그대로 유지할 수도 있다.
도 7b 는 백라이트의 밝기를 조정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 의 (a) 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 (100) 는 SVLTE 모드로 진입하여 특정 온도로 상승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7b 의 (b) 는 백라이트의 밝기를 조정하는 다른 예로써, 디스플레이부 (151) 의 화면 영역 자체를 축소시키는 도면이다.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영역은 그대로 유지하되, 백라이트 밝기를 감소시키는 영역만 조절한 도 7a 의 경우와 달리, 도 7b 의 (b) 에서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영역 자체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 (151) 는 화면 영역 자체가 감소되며, 감소된 화면 영역 (520) 을 통하여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감소된 화면 영역을 제외한 부분 영역 (750) 은 제어부 (180) 의 제어에 의해서 백라이트의 밝기가 감소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백라이트의 전원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이동 단말기 (100) 의 온도 및 전원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도 8 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단말기 전원 상태에 따른 백라이트의 밝기를 조정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이동 단말기 (100) 의 전원 상태에 따라서 백라이트의 밝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도 8(a) 에서, 디스플레이부 (151) 는 SVLTE 모드로 진입하기 이전으로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 (151) 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으로 ㅇ인터넷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동작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8(b) 에서, 이동 단말기 (100) 는 SVLTE 모드로 진입한 상태이다. 디스플레이부 (151) 는 SVLTE 모드로 진입한 사실을 알림창 (820) 을 통해서 디스플레이한다.
도 8(c) 에서, 이동 단말기 (100) 는 도 8(b) 와 달리, 전원 상태가 100 % 에서 30 % 상태 이하로 감소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100) 는 SVLTE 모드로 진입한 이후에 전원 상태가 일정 이하 수준으로 감소한 경우에 백라이트 밝기를 조정할 수 있다. 도 8(c) 에서, 디스플레이부 (151) 는 알림창 (820) 을 통하여 전원 상태가 일정 수준 이하로 감소된 것을 디스플레이한다.
SVLTE 모드로 진입한 경우, 전원의 소모가 심해질 수 있다. 그에 따라서, 본 발명은 전원 상태가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진 경우 백라이트의 밝기를 감소시켜서 전원의 감소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8(d) 에서, 전원 상태가 일정 수준 이하로 감소한 경우, 백라이트의 밝기가 조정된 상태를 도시한다.
한편, 도 8 과 관련하여 전원 상태에 따라서 백라이트의 밝기를 조절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이동 단말기 (100) 의 전원 상태 및 온도를 동시에 고려하여 백라이트의 밝기를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이동 단말기 110 무선 통신부
140 센싱부 151 디스플레이부
180 제어부

Claims (6)

  1. 적어도 두 개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화면을 비추는 백라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통신 방식을 동시에 이용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싱부; 및
    상기 측정된 온도와 사전 설정된 온도를 고려하여 상기 백라이트의 밝기를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방식은 2 세대 이동 통신 방식, 3 세대 이동 통신 방식 및 4 세대 이동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온도에 따라서 단계별로 상기 백라이트의 밝기를 감소시키는,
    이동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화면 중 일부 영역을 비추는 백라이트의 밝기만을 감소시키며,
    상기 표시화면 중 일부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비추는 백라이트의 밝기는 유지시키는,
    이동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통신 방식의 동시 이용 상태가 종료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백라이트의 밝기를 복귀시키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6. 적어도 두 개의 통신 방식의 동시 이용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
    이동 단말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이동 단말기의 온도가 사전 규정된 온도 이상인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서 백라이트의 밝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110037174A 2011-04-21 2011-04-21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59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174A KR101759941B1 (ko) 2011-04-21 2011-04-21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3/406,183 US8942770B2 (en) 2011-04-21 2012-02-27 Mobile terminal adjusting brightness display and corresponding control method
EP12001317.2A EP2515509B1 (en) 2011-04-21 2012-02-28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174A KR101759941B1 (ko) 2011-04-21 2011-04-21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9328A true KR20120119328A (ko) 2012-10-31
KR101759941B1 KR101759941B1 (ko) 2017-07-31

Family

ID=45814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7174A KR101759941B1 (ko) 2011-04-21 2011-04-21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942770B2 (ko)
EP (1) EP2515509B1 (ko)
KR (1) KR10175994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3425A (ko) * 2013-02-18 2014-08-2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데이터 상태 표시를 지원하는 단말 및 단말의 동작 방법
CN105827838A (zh) * 2016-03-29 2016-08-03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屏幕亮度的调大方法和终端
US9665159B2 (en) 2014-03-12 2017-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aving power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WO2020231009A1 (en) * 2019-05-15 2020-1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heat generation in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the same
WO2022199299A1 (zh) * 2021-03-22 2022-09-2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70289B2 (en) * 2012-07-04 2015-10-27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ntenna parameter notification
US20140198054A1 (en) * 2013-01-15 2014-07-17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Screen freezing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N104969155A (zh) * 2014-03-20 2015-10-07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面壳模组及电子设备
CN105323511A (zh) * 2014-07-03 2016-02-10 日照海帝电器有限公司 一种智能电视及其温度控制保护系统和方法
CN106685470A (zh) * 2014-07-25 2017-05-17 山东中鸿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传输速度快的云终端用3g/4g模块
KR20170028776A (ko) 2015-09-04 2017-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7168109A (zh) * 2016-03-07 2017-09-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自适应降温方法及装置
CN105807873B (zh) * 2016-03-08 2019-03-0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温度控制方法及装置
US20170344106A1 (en) * 2016-05-24 2017-11-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ducing Hazards During Mobile Device Use
EP3476131A1 (en) * 2016-06-28 2019-05-01 InterDigital VC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yance of zone backlight metadata for high dynamic range
US9948481B1 (en) * 2016-10-07 2018-04-17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voice and video enhancements
CN108538258B (zh) * 2017-03-06 2023-03-2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调整背光电流的方法及装置、显示设备
CN108307493B (zh) * 2018-01-29 2021-02-26 宁波大学 一种屏幕动态监控方法
WO2020087321A1 (zh) * 2018-10-31 2020-05-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配置调整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376523A (zh) * 2019-06-19 2019-10-2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用于电量提示的方法、可穿戴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367767B (zh) * 2020-03-19 2024-02-09 深圳一七三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终端温度检测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CN114694618B (zh) * 2022-03-03 2023-06-2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的亮度调节方法及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97953B1 (en) 2000-11-15 2004-02-24 Ericsson Inc.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battery powered devices
US7336255B2 (en) * 2003-12-31 2008-02-26 Intel Corporation Selectable continuous and burst mode backlight voltage inverter
EP1917656B1 (en) * 2005-07-29 2016-08-2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7633076B2 (en) 2005-09-30 2009-12-15 Apple Inc. Automated response to and sensing of user activity in portable devices
US8135443B2 (en) * 2006-08-31 2012-03-13 Qualcomm Incorporated Portable device with priority based power savings control and method thereof
US8040233B2 (en) 2008-06-16 2011-10-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configuring mobile devices using sensors
US8446398B2 (en) * 2009-06-16 2013-05-21 Intel Corporation Power conservation for mobile device displays
US8265588B2 (en) * 2009-06-29 2012-09-11 Motorola Mobility Llc Device and method for temperature monitoring and warning
US8477041B2 (en) 2009-06-29 2013-07-02 Motorola Mobility Llc Device and method for temperature monitoring and warning
KR20110037174A (ko) 2009-10-06 2011-04-13 이승철 디자인의 주문제작과 지적재산권 등록 및 양도를 통한 복제 디자인의 재생산 방지 방법 비즈니스모델
US9425850B2 (en) * 2010-10-27 2016-08-23 Sai C. Kwok Simultaneous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US9142157B2 (en) * 2011-01-20 2015-09-22 Apple Inc. Methods for enhancing longevity in electronic device display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3425A (ko) * 2013-02-18 2014-08-2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데이터 상태 표시를 지원하는 단말 및 단말의 동작 방법
US9665159B2 (en) 2014-03-12 2017-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aving power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5827838A (zh) * 2016-03-29 2016-08-03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屏幕亮度的调大方法和终端
WO2020231009A1 (en) * 2019-05-15 2020-1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heat generation in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the same
US11228986B2 (en) 2019-05-15 2022-0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heat generation in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the same
US11510153B2 (en) 2019-05-15 2022-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heat generation in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the same
WO2022199299A1 (zh) * 2021-03-22 2022-09-2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15509A2 (en) 2012-10-24
US8942770B2 (en) 2015-01-27
EP2515509A3 (en) 2013-05-15
KR101759941B1 (ko) 2017-07-31
EP2515509B1 (en) 2015-04-15
US20120270606A1 (en) 201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994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071843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35594B1 (ko) 이동 단말기
KR2013002930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KR2011000556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65901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62709A (ko)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61494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센서의 오작동 방지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95878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13551B1 (ko) 이동 단말기
KR20140076790A (ko) 이동 단말기
KR20150061931A (ko) 이동단말기
KR20140028795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91234B1 (ko) 이동 단말기에서 입체음향 출력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101769998B1 (ko) 이동 단말 장치 및 이의 자동 밝기 조절 방법
KR10159538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08781B1 (ko) 이동 단말기
KR20120114125A (ko) 어플리케이션 관리 기능이 있는 이동 단말 장치
KR20140124303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5817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8337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75241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8813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16579B1 (ko) 이동 단말기
KR20100027774A (ko) 이동단말기 및 그 멀티미디어소스재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