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8700A - 여과 기능이 향상된 용수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여과 기능이 향상된 용수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8700A
KR20120118700A KR1020110036232A KR20110036232A KR20120118700A KR 20120118700 A KR20120118700 A KR 20120118700A KR 1020110036232 A KR1020110036232 A KR 1020110036232A KR 20110036232 A KR20110036232 A KR 20110036232A KR 20120118700 A KR20120118700 A KR 20120118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ing
sponge
filt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6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6963B1 (ko
Inventor
박종호
Original Assignee
(주) 코리아 인바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코리아 인바이텍 filed Critical (주) 코리아 인바이텍
Priority to KR1020110036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6963B1/ko
Publication of KR20120118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8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6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6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29/6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8Regeneration of the filter
    • B01D2201/087Regeneration of the filter using gas bubbles, e.g. ai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과 기능이 향상된 용수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용수여과장치에서는 스폰지를 통해 보다 미세한 오염물질을 완벽하게 걸러낼 수 있으며, 스폰지에 걸러진 오염물질을 역세 과정에서 짜내어 이탈시킬 수가 있다.

Description

여과 기능이 향상된 용수여과장치{Water filtering apparatus having advanced filtering function}
본 발명은 용수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미세한 오염물질까지도 완벽하게 걸러낼 수 있는 여과 기능이 향상된 용수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트레이너(Strainer)라고 불리는 용수 여과기는 각종 설비 시스템에서 유입, 발생되는 유기적 부유물 등을 메쉬를 이용하여 걸러내는 장치로써, 농업, 공업 용수 등을 정수시키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공장 등에서는 오염된 냉각수 등을 여과하는 용수 여과기가 배치되어 많은 양의 오염수를 여과하고 있으며, 여과된 여과수를 이용하여 철강 등의 제품을 식혀주는 데 사용하고 있다.
대부분의 용수 여과기는 오염물질을 걸러내기 위하여 틈새가 형성된 스크린을 사용한다. 하지만, 스크린의 간격을 미세하게 형성하는 공정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스크린 자체의 가격이 높고, 더군다나 스크린에 형성된 간격을 작게 만드는 데에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입자 크기의 미세한 오염물질까지 걸러내주지는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스폰지(스폰지형 필터)를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추가적으로 걸러냄으로써, 입자 크기의 미세한 오염물질까지 완벽하게 걸러낼 수 있는 여과기능이 향상된 용수여과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스크린과 타공판 사이에 스폰지를 위치시키고, 스폰지의 외측, 즉 스폰지와 타공판 사이에서 에어에 의해 팽창이 가능한 튜브를 위치시켜 튜브의 팽창으로 스폰지를 압축시키도록 함으로써, 역세 과정에서 스폰지에서 걸러진 오염물질이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여과기능이 향상된 용수여과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여과 기능이 향상된 용수여과장치는, 오염수가 공급되는 유입 경로; 상기 유입경로로 유입된 오염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여과수단; 상기 여과수단에서 오염물질이 걸러진 여과수를 배출하는 배출 경로; 상기 여과수단에서 걸러진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역세수를 배출하는 드레인 경로; 및 상기 여과수단에서 걸러진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역세수를 상기 드레인 경로 측으로 유도하는 역세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여과수단은, 내측에서 유입되는 상기 오염수에서 오염물질을 1차적으로 걸러내는 고정식 필터; 및 상기 고정식 필터 둘레를 감싸고 있으며, 상기 고정식 필터를 통과한 오염수에서 오염물질을 2차적으로 걸러내는 스폰지형 필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여과수단은, 상기 스폰지형 필터 둘레를 감싸고 있으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팽창이 가능한 튜브; 및 상기 고정식 필터, 스폰지형 필터 및 튜브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고정식 필터 및 스폰지형 필터에서 오염물질이 걸러진 여과수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타공이 형성된 타공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역세수단에 의해 상기 역세수가 상기 고정식 필터 내측으로 배출될 시, 상기 여과수단의 튜브에 에어를 공급하여 상기 튜브가 팽창되도록 하는 에어공급수단;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여과수단의 튜브 팽창에 의해 상기 스폰지형 필터가 수축되어 상기 스폰지형 필터에 걸러진 오염물질이 이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수단은 2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역세수단은 상기 2 이상의 여과수단이 순차적으로 역세수를 배출하도록 유도하며, 상기 역세수단의 위치를 감지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공급수단은 상기 스위치에서 감지하는 바에 따라 상기 역세수단의 위치에 대응하는 여과수단의 튜브에 에어를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스크린이나 타공판 등의 고정식 필터를 통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오염물질을 1차적으로 걸러내주고, 입자 수준의 미세한 오염물질은 스폰지(스폰지형 필터)를 통해 완벽하게 걸러내줄 수 있다.
둘째, 고정식 필터 및 스폰지에 오염물질이 쌓이면 스폰지 둘레를 감싸고 있는 튜브에 에어가 채워져 팽창하면서 스폰지를 쥐어짜는 효과를 발휘하여 스폰지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역세 과정에서 이탈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여과 과정이 장시간동안 반복되더라도 스폰지에서 걸러진 이물질을 이탈시켜 여과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과 기능이 향상된 용수여과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용수여과장치에서 여과수단과 패킹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도1에 도시된 용수여과장치에서 여과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
도4는 도1에 도시된 용수여과장치에서 에어공급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5는 도1에 도시된 용수여과장치에서 여과수단의 튜브(멤브레인형 튜브)가 팽창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a는 도1에 도시된 용수여과장치에서 다른 형태의 튜브(호스형 튜브)가 적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b는 도6a의 다른 형태의 튜브(호스형 튜브)가 팽창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과 기능이 향상된 용수여과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8은 도7에 도시된 용수여과장치에서 에어공급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과 기능이 향상된 용수여과장치(1)(이하 '용수여과장치(1)'라 함)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용수여과장치(1)에서 여과수단(20)과 패킹수단(3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1)는 본체(10), 여과수단(20), 패킹수단(30), 에어공급수단(40) 및 역세수단(50)을 포함한다.
본체(10)는 펌프(미도시)에 의해 공급되는 오염수가 유입되는 유입 경로(I)와, 유입 경로(I)를 통해 유입된 오염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여과수단(20)에서 걸러지면, 오염물질이 걸러진 여과수를 배출하는 배출 경로(O)와, 여과수단(20)에서 걸러진 오염물질과 오염수의 일부를 포함하는 역세수를 배출하는 드레인 경로(R)를 갖는다.
도1을 참조하면, 본체(10)의 내부는 격벽(14)에 의해 상하부로 구분된다. 격벽(14)에는 본체(10)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오염수 통과구가 여과수단(20)의 개수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오염수 통과구의 상부에 여과수단(20)이 설치된다. 따라서 도면 상 좌측의 유입 경로(I)를 통해 오염수가 유입되면 격벽(14)의 하부를 지나 오염수 통과구를 통해 여과수단(20) 내측으로 오염수가 유입된다. 따라서 오염수는 여과수단(20)을 통과하면서 오염물질이 걸러지고, 오염물질이 걸러진 여과수는 본체(10) 상부와 연결된 배출 경로(O)를 통해 배출된다.
여과수단(20)은 본체(10)의 격벽(14) 상부에서 다수개 설치된다. 잠시 도4를 참조하면, 여과수단(20)은 본체(10)의 대략 중앙 둘레를 따라 8개 설치되며, 각 여과수단(20)의 상부에는 패킹수단(30)이 설치되어 본체(10) 내부의 오염수가 본체(10) 상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여과수단(20)은 고정식 필터(21), 타공판(22), 스폰지(23)(스폰지형 필터) 및 튜브(24)를 포함한다.
대략 원통 형상의 고정식 필터(21)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오염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것으로, 도2에서는 오염수가 통과할 수 있는 미세한 간격(틈새)이 형성된 스크린(21)이 설치된 것을 도시하였다. 물론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오염물질은 스폰지형 필터인 스폰지(23)에서도 걸러질 수 있기 때문에 스크린(21)을 대신하여 구멍이 큰 타공이 형성된 타공판을 고정식 필터(21)로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스폰지(23)의 양측을 지지해줄 수 있는 구성이면 된다.
타공판(22)은 스크린(21)보다 내경이 큰 원통형상으로 스크린(21) 외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스크린(21)과 타공판(22) 사이의 공간에서, 스크린(21) 둘레를 감싸도록 스폰지(23)가 설치되며, 스폰지(23)의 외측 둘레를 따라 튜브(24)가 설치된다.
따라서 스크린(21)의 내측으로 유입된 오염수는 스크린(21)과 스폰지(23)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되어, 스크린(21)에서 1차적으로 크기가 큰 오염물질이 걸러지며, 스크린(21)을 통과한 오염수는 다시 스폰지(23)를 통과하면서 입자 크기의 미세한 오염물질까지 완벽하게 걸러지게 된다.
스폰지(23) 둘레를 감싸고 있는 튜브(24)는 스폰지(23)를 거친 여과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여과수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멤브레인형 튜브이거나, 스폰지(23) 둘레를 나선형으로 감싸고 있는 호스형 튜브일 수 있다. 이 중 도2, 도3, 도5에서 확인할 수 있는 튜브(24)는 멤브레인형 튜브이고, 도6a 및 도6b에는 호스형 튜브가 적용된 것을 도시하였다. 또한 튜브(24)에는 에어가 채워질 수 있는 충진공간이 전체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마련된다. 튜브(24)의 기능은 이후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여과수단(20)은 패킹수단(30)에 의해 고정 및 실링된다. 즉, 격벽(14)에 형성된 오염수 통과구 상부를 따라 스크린(21)의 하부가 지지되는 하부엔드링(37)이 설치되고, 하부엔드링(37)의 둘레를 따라 스폰지(23), 튜브(24) 및 타공판(22)이 지지되는 엔드캡(38)이 설치된다.
또한 본체(10)의 상부는 상부플랜지(15)가 덮고 있으며, 상부플랜지(15)에도 여과수단(20)이 장착되는 여과수단 장착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플랜지(15)의 여과수단 장착구 안쪽을 따라 스크린(21), 스폰지(23), 튜브(24) 및 타공판(22)이 지지되는 상부엔드링(36)이 설치되며, 상부엔드링(36)의 위에서 패킹L(32L)을 사이에 두고 패킹플레이트(31)가 위치한다. 또한 패킹플레이트(31)는 볼트(34)가 체결된 누름쇠(33)에 의해 눌려져 본체(10) 상부의 패킹 효율이 증가된다. 이러한 누름쇠(33)는 상부플랜지(15)에 고정된 누름쇠지지부(35)에 의해 걸림으로써 위로 밀려나는 것이 방지된다. 즉, 패킹L(32L) 위에 패킹플레이트(31)와 누름쇠(33)를 순차적으로 위치시키고, 볼트(34)를 조이면 누름쇠(33)는 누름쇠지지부(35)에 걸린 상태로 상승하는 힘이 작용하고, 패킹플레이트(31)는 하강하는 힘이 작용하여 패킹 효율이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여과수단(20)의 튜브(24)는 상부엔드링(36)과 패킹플레이트(31)를 관통하여 주입되는 에어에 의해 팽창이 가능하다. 즉 에어공급수단(40)이 상부엔드링(36)과 패킹플레이트(31)를 경유하여 튜브(24)에 연결됨으로써 에어를 공급할 수 있다.
상부엔드링(36)의 일 지점과 이에 대응하는 패킹L(32L) 및 패킹플레이트(31)에는 에어공급공이 형성되어 있다. 패킹플레이트(31)에 형성된 에어공급공으로는 외부의 에어가 공급되는 에어공급노즐(43)이 연결되고, 에어공급노즐(43)의 일단이 커플러(44)에 연결되며, 커플러(44)의 타측이 튜브(24)의 에어연결부(25)와 연결됨으로써, 튜브(24)의 내부 충진공간이 외부의 에어공급수단(40)과 연결되는 것이다. 이때 커플러(44)는 상부엔드링(36)의 상부홈에 패킹s(32s)를 사이에 두고 안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여과수단(20)의 튜브(24)가 본체(10)의 중심으로부터 먼쪽에서 에어를 공급받는다. 즉 도4를 참조하면, 패킹플레이트(31a~31h)에서 본체(10)의 중심으로부터 먼 지점으로 에어공급공이 형성되고 에어공급노즐(43)이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패킹플레이트(31a~31h)들 바깥쪽 둘레를 따라 에어공급라인(41)이 설치되고, 에어공급라인(41)에서 각 패킹플레이트(31a~31h)에 가까운 지점에 3방향 솔레노이드 밸브(42a~42h)가 설치되어, 3방향 솔레노이드 밸브(42a~42h)의 제어에 의해 에어가 여과수단(20)의 튜브(24)에 각각 공급될 수 있다.
에어공급수단(40)의 작동에 대해서는 역세수단(50)의 설명 이후 다시 하도록 한다.
도1을 참조하면, 본체(10)의 중앙에는 모터(61)에 의해 회전하는 샤프트(5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샤프트(51)의 하부에 여과수단(20)으로부터 배출되는 역세수를 드레인 경로(R)로 유도하는 역세암(52)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샤프트(51)가 회전하면 역세암(52)의 일단이 격벽(14)의 하부에서 오염수 통과구와 맞닿으면서 각각의 여과수단(20)과 마주하게 된다. 본체(10)의 내부는 강한 수압이 가해져 있고, 드레인 경로(R)로 연결된 본체(10)의 외측은 대기압이다. 따라서 역세암(52)이 여과수단(20)의 하부와 맞 닿으면, 본체(10) 상부의 여과수가 타공판(22), 튜브(24), 스폰지(23) 및 스크린(2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스폰지(23)와 스크린(21)에 걸려 있는 오염물질을 이탈시켜 역세암(52)을 통해 드레인 경로(R)로 배출된다.
이렇게 역세암(52)이 어느 하나의 여과수단(20)과 마주하여 역세수를 배출하는 과정을 '역세 과정'이라 할 수 있는데, 역세 과정에서는 튜브(24)에 에어가 공급되어 팽창하면서 스폰지(23)를 수축시켜 스폰지(23)에서 걸러진 이물질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역세 과정을 인지하여 튜브(24)에 에어가 공급되는 시점은 샤프트(51) 상부에 마련된 역세암위치표시부(53)와, 스위치(62) 및 3방향 솔레노이드 밸브(42)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4를 참조하면, 샤프트(51)의 상부에는 여과수단(20)의 개수에 대응하는 날개 형태의 역세암위치표시부(53a~53h)가 마련되어 있고, 역세암위치표시부(53)와 근접하여 스위치(62)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샤프트(51)가 회전하게 되면 역세암위치표시부(53a~53h)도 함께 회전하여, 각각의 날개가 순차적으로 스위치(62)에 근접하게 된다. 따라서 스위치(62)를 통해 역세암위치표시부(53a~53h)의 날개가 근접하는 것을 인지함으로써 제어부(미도시)는 역세암(52)이 현재 어느 여과수단(20)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즉, 도4에서처럼 9시 방향의 패킹플레이트(31b)에 대응하는 여과수단(20)에 역세암(52)이 위치하고 있다면, 이에 대응하는 역세암위치표시부(53b)가 스위치(62)에 근접한다. 따라서 제어부(미도시)는 9시 방향의 패킹플레이트(31b)에 대응하는 여과수단(20)의 튜브(24)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하여 9시 방향의 3방향 솔레노이드 밸브(42b)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에어공급라인(41)을 따라 주입된 에어는 9시 방향의 3방향 솔레노이드 밸브(42b)의 작동에 의해 9시 방향의 여과수단(20)의 튜브(24)에 공급된다. 따라서 도5에 도시된 것처럼, 튜브(24)가 팽창하여 스폰지(23)를 수축시키게 된다. 스폰지(23)의 수축에 따라 스폰지(23)에 묻어 있는 미세한 이물질이 수월하게 이탈하게 되고, 이러한 이물질은 스크린(21)을 관통하여 스크린(21) 내측과 역세암(52)을 통해 드레인 경로(R)로 빠져나간다.
물론 역세암(52)이 계속 회전하여 역세암위치표시부(53b)가 회전하면, 9시 방향의 3방향 솔레노이드 밸브(42b)는 튜브(24)의 에어를 다시 빼냄으로써 스폰지(23)의 수축을 풀어준다. 이러한 튜브(24)의 팽창과 수축은 역세 과정 동안 수차례 반복될 수도 있다.
도6a는 용수여과장치에서 다른 형태의 여과수단(20')이 장착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즉,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폰지(23)의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감싸고 있는 호스형 튜브(24')를 설치하고, 호스형 튜브(24')의 일단에서 에어연결부(25')가 에어공급수단(40)의 커플러(44)와 연결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호스형 튜브(24')에 에어를 공급하면 도6b에서와 같이 튜브(24')의 팽창에 의해 스폰지(23)가 수축된다. 즉 뱀이 똬리를 틀어 먹이를 움켜쥐는 형태로 스폰지(23)를 압박할 수 있는 형태인 것이다.
도7 및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수여과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7 및 도8에 도시된 용수여과장치에서는 여과수단(20'')과 패킹수단(30'')에서 에어공급수단(40'')이 연결되는 지점이 본체의 중심과 가까운 지점인 것을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여과수단(20'')들의 안쪽에서 에어공급라인(41'')과 3방향 솔레노이드 밸브(42'')가 설치되어 여과수단(20'')의 튜브(24)에 에어를 공급해 줄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여과수단에 적용된 스폰지형 필터란 스폰지와 같이 공극 또는 틈새를 통해 여과가 가능하고 동시에 복원성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외력이 작용하면 수축하였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 크기로 복귀가 가능한 복원성이 있는 재질을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발포성 합성수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스폰지의 미세 공극의 크기가 여과 수준을 결정하는데,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공극 크기를 갖는 다양한 스폰지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과 기능이 향상된 용수여과장치에 의하면, 스크린(21)이나 타공판 등의 고정식 필터를 통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오염물질을 1차적으로 걸러내주고, 입자 수준의 미세한 오염물질은 스폰지(23)(스폰지형 필터)를 통해 완벽하게 걸러내줄 수 있다.
또한, 고정식 필터(21) 및 스폰지(23)에 오염물질이 쌓이면 스폰지(23) 둘레를 감싸고 있는 튜브(24)에 에어가 채워져 팽창하면서 스폰지(23)를 쥐어짜는 효과를 발휘하여 스폰지(23)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역세 과정에서 이탈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여과 과정이 장시간동안 반복되더라도 스폰지(23)에서 걸러진 이물질을 이탈시켜 여과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 용수여과장치
10 : 본체
I : 유입 경로
O : 배출 경로
R : 드레인 경로
14 : 격벽
15 : 상부플랜지
20,20',20'' : 여과수단
21 : 스크린
22 : 타공판
23 : 스폰지
24,24' : 튜브
25,25' : 에어연결부
30,30'' : 패킹수단
31,31a~31h,31'' : 패킹플레이트
32L : 패킹L
32s : 패킹s
33 : 누름쇠
34 : 볼트
35 : 누름쇠지지부
36 : 상부엔드링
37 : 하부엔드링
38 : 엔드캡
40,40'' : 에어공급수단
41,41'' : 에어공급라인
42,42a~42h,42'' : 3방향 솔레노이드 밸브
43 : 에어공급노즐
44 : 커플러
50 : 역세수단
51 : 샤프트
52 : 역세암
53, 53a~53h : 역세암위치표시부
61 : 모터
62 : 스위치

Claims (3)

  1. 오염수가 공급되는 유입 경로;
    상기 유입경로로 유입된 오염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여과수단;
    상기 여과수단에서 오염물질이 걸러진 여과수를 배출하는 배출 경로;
    상기 여과수단에서 걸러진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역세수를 배출하는 드레인 경로; 및
    상기 여과수단에서 걸러진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역세수를 상기 드레인 경로 측으로 유도하는 역세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여과수단은,
    내측에서 유입되는 상기 오염수에서 오염물질을 1차적으로 걸러내는 고정식 필터; 및
    상기 고정식 필터 둘레를 감싸고 있으며, 상기 고정식 필터를 통과한 오염수에서 오염물질을 2차적으로 걸러내는 스폰지형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기능이 향상된 용수여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수단은,
    상기 스폰지형 필터 둘레를 감싸고 있으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팽창이 가능한 튜브; 및
    상기 고정식 필터, 스폰지형 필터 및 튜브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고정식 필터 및 스폰지형 필터에서 오염물질이 걸러진 여과수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타공이 형성된 타공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역세수단에 의해 상기 역세수가 상기 고정식 필터 내측으로 배출될 시, 상기 여과수단의 튜브에 에어를 공급하여 상기 튜브가 팽창되도록 하는 에어공급수단;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여과수단의 튜브 팽창에 의해 상기 스폰지형 필터가 수축되어 상기 스폰지형 필터에 걸러진 오염물질이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기능이 향상된 용수여과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수단은 2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역세수단은 상기 2 이상의 여과수단이 순차적으로 역세수를 배출하도록 유도하며,
    상기 역세수단의 위치를 감지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공급수단은 상기 스위치에서 감지하는 바에 따라 상기 역세수단의 위치에 대응하는 여과수단의 튜브에 에어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기능이 향상된 용수여과장치.
KR1020110036232A 2011-04-19 2011-04-19 여과 기능이 향상된 용수여과장치 KR101236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232A KR101236963B1 (ko) 2011-04-19 2011-04-19 여과 기능이 향상된 용수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232A KR101236963B1 (ko) 2011-04-19 2011-04-19 여과 기능이 향상된 용수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700A true KR20120118700A (ko) 2012-10-29
KR101236963B1 KR101236963B1 (ko) 2013-02-25

Family

ID=47286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6232A KR101236963B1 (ko) 2011-04-19 2011-04-19 여과 기능이 향상된 용수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69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8653A (ko) 2020-08-27 2023-05-03 닛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적층체 및 박리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9717A (ja) * 1996-05-14 1997-11-25 Kizai Kk フィルター
KR100917661B1 (ko) * 2008-02-26 2009-09-18 (주) 코리아 인바이텍 여과사내장형스크린을 구비한 용수여과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8653A (ko) 2020-08-27 2023-05-03 닛산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적층체 및 박리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6963B1 (ko) 2013-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53889A1 (en) Self-cleaning, continuously operating filter apparatus for fluids
KR101321210B1 (ko) 캔들 필터 요소 조립체
KR101622368B1 (ko) 여과 및 역세척 기능을 갖는 수 처리 장치
US5984108A (en) Fluid filtering system with variable filter layer
KR20110105224A (ko) 반복 재생가능한 수처리용 여과재를 이용한 수처리용 여과장치
KR100983075B1 (ko) 직물 매체 여과 시스템
BRPI0721220B1 (pt) Dispositivo para desumificação e compactação de sólidos contidos em esgoto para eliminação
KR101236963B1 (ko) 여과 기능이 향상된 용수여과장치
NO840910L (no) Separator for olje og vann
KR101272805B1 (ko) 디스크 적층형 여과장치용 여과 디스크 및 디스크 적층형 여과장치를 구비한 수처리 장치
KR100893197B1 (ko) 섬유사 여과장치
EP3530447A1 (en) Pneumatic press
KR100900534B1 (ko) 정밀여과장치
KR20150055943A (ko) 필터 세척기능을 구비한 백 필터
CN113318507A (zh) 一种可持续循环使用的污水气体过滤装置
KR100873896B1 (ko) 섬유사 여과장치
JP2009538722A (ja) 流体フィルター
KR101261568B1 (ko) 필터 프레스용 여과판 정렬장치
KR200444629Y1 (ko) 정밀여과장치
RU191630U1 (ru) Секционный фильтр
KR101568843B1 (ko) 유체주입 역세배관 및 이를 구비한 여과장치
JPH08252411A (ja) スクリーン装置
KR20120025053A (ko) 산업용 정수필터
CN107050981B (zh) 一种循环清洗的过滤设备
JP2005270833A (ja) 膨縮型濾過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