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8144A - 촬영 장치에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촬영 장치에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8144A
KR20120118144A KR1020110035541A KR20110035541A KR20120118144A KR 20120118144 A KR20120118144 A KR 20120118144A KR 1020110035541 A KR1020110035541 A KR 1020110035541A KR 20110035541 A KR20110035541 A KR 20110035541A KR 20120118144 A KR20120118144 A KR 20120118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pose
photographing
members
shoo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5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2769B1 (ko
Inventor
최원종
김락기
성환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5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2769B1/ko
Priority to US13/450,023 priority patent/US9106829B2/en
Publication of KR20120118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8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 장치에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때, 촬영 방법은, 피사체의 구성원 수, 피사체의 구성원들의 관계 정보, 촬영 위치 정보 및 사용자의 선호 포즈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 포즈를 선택하는 과정과, 프리뷰 화면에서 피사체의 포즈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촬영 포즈와 상기 피사체의 포즈의 유사성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유사성이 기준 값보다 큰 경우, 상기 피사체를 자동으로 촬영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촬영 장치에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ING SUBJECT IN PHOTOGRAPHING DEVICE}
본 발명은 촬영 장치에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촬영 장치에서 피사체 정보에 따라 결정된 촬영 포즈를 고려하여 피사체를 자동으로 촬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촬영장치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생성된 영상을 저장하는 장치이다. 대표적인 촬영 장치로 디지털 카메라를 들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필름을 사용하지 않고 전자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한 영상을 디지털 이미지 파일 형식이나 디지털 동영상 파일 형식으로 저장한다. 이때,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사진 촬영 후 결과물을 즉시 확인할 수 있으며 편집과 전송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디지털 카메라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일반인들이 디지털 카메라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인들의 디지털 카메라 사용이 늘면서 전문 모델이 아닌 일반인에 대한 촬영이 늘고 있다. 사진을 촬영하는 사용자와 피사체가 모두 일반인인 경우, 전문 사진 작가나 전문 모델과 같이 다양한 포즈의 사진을 촬영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촬영 장치를 사용하는 일반인은 다양한 포즈의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촬영 장치에서 피사체 정보를 기반으로 촬영 포즈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촬영 장치에서 피사체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된 촬영 포즈에 따라 자동으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촬영 장치에서 피사체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한 촬영 포즈 정보를 피사체의 휴대 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촬영 장치에서 피사체의 인원 수, 구성원 사이의 관계 및 촬영 장소를 기반으로 촬영 포즈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촬영 장치에서 피사체의 인원 수, 구성원 사이의 관계 및 촬영 장소를 기반으로 결정된 촬영 포즈에 따라 자동으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촬영 장치에서 피사체의 인원 수, 구성원 사이의 관계 및 촬영 장소를 기반으로 결정한 촬영 포즈 정보를 피사체의 휴대 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촬영 장치에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방법은, 피사체의 구성원 수, 피사체의 구성원들의 관계 정보, 촬영 위치 정보 및 사용자의 선호 포즈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 포즈를 선택하는 과정과, 프리뷰 화면에서 피사체의 포즈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촬영 포즈와 상기 피사체의 포즈의 유사성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유사성이 기준 값보다 큰 경우, 상기 피사체를 자동으로 촬영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촬영 장치에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장치는, 피사체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피사체의 구성원 수, 피사체의 구성원들의 관계 정보, 촬영 위치 정보 및 사용자의 선호 포즈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선택한 촬영 포즈와 프리뷰 화면에 포함된 피사체의 포즈의 유사성을 산출하여, 상기 유사성이 기준 값보다 큰 경우, 상기 피사체를 자동으로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촬영장치에서 피사체 정보를 고려한 촬영 포즈를 제공함으로써, 일반인들도 다양한 포즈의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촬영 장치에서 피사체 정보를 고려한 촬영 포즈와 피사체 포즈의 유사성에 에 따라 피사체를 자동으로 촬영함으로써, 촬영 지연으로 인해 촬영 포즈와 다른 포즈가 촬영되는 문제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촬영 장치에서 피사체의 휴대 기기로 촬영 포즈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피사체가 스스로 자신의 포즈를 조절하여 촬영자와 피사체 간 포즈 변경에 따른 의사 전달의 어려움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제어부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촬영 장치에서 피사체를 자동으로 촬영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촬영 장치에서 피사체 정보에 따라 촬영 포즈를 결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촬영 장치에서 촬영 가이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촬영 장치에서 피사체 정보에 따라 결정한 촬영 가이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촬영 장치에서 촬영 포즈를 등록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촬영 장치에서 촬영 포즈를 등록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촬영 장치에서 피사체 정보에 따라 결정된 촬영 포즈를 고려하여 피사체를 자동으로 촬영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촬영 장치는 디지털 카메라,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이동통신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스마트폰 등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촬영 장치는 제어부(100), 촬영부(110), 표시부(120), 촬영 제어부(130), 입력부(140), 저장부(150), 오디오 처리부(160) 및 통신 모듈(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촬영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입력부(140)를 통해 사용자의 촬영 버튼 입력이 확인된 경우,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상기 촬영부(110)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촬영 제어부(130)에서 선택한 촬영 포즈를 고려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촬영 제어부(130)에서 선택한 촬영 포즈와 상기 촬영부(110)를 통해 제공받은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피사체 포즈를 유사성을 산출한다. 만일, 상기 촬영 포즈와 상기 피사체 포즈의 유사성이 기준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상기 촬영부(110)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통신 모듈(170)을 통해 피사체의 휴대 기기와 통신 링크가 연결된 경우, 상기 피사체의 휴대 기기로 포즈 변경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촬영 제어부(130)에서 선택한 촬영 포즈를 상기 피사체의 휴대 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00)는 현재 수집된 피사체 포즈와 상기 촬영 제어부(130)에서 선택한 촬영 포즈의 차이점을 추출하여 상기 피사체의 휴대 기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피사체의 휴대 기기는 상기 촬영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촬영 포즈에 대한 정보를 피사체가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촬영 포즈에 대한 정보를 윤곽선 또는 기 설정된 이미지로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새로운 촬영 포즈를 등록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00)는 하기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촬영 포즈를 등록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촬영부(110)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피사체를 촬영한다. 예를 들어, 상기 촬영부(110)는 렌즈와 상기 렌즈를 통해 촬영된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표시부(120)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촬영 장치의 상태 정보, 메뉴 화면 및 상기 촬영부(110)를 통해 제공받은 영상 데이터 등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20)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촬영 제어부(130)에서 선택한 촬영 포즈를 윤곽석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촬영부(110)를 통해 제공받은 프리뷰 정보 및 촬영된 영상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촬영 제어부(130)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 포즈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촬영 제어부(130)는 피사체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 포즈를 결정한다. 이 경우, 상기 촬영 제어부(130)는 하기 도 2와 같이 얼굴 검출부(200), 얼굴 인식부(210), 위치 확인부(220) 및 포즈 선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사체 정보는, 피사체의 구성 인원, 피사체 구성원들의 관계 및 촬영 장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촬영 제어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촬영 포즈를 확인할 수도 있다.
상기 입력부(14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발생하는 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140)는 사용자가 촬영 버튼을 누르는 경우, 상기 촬영 버튼의 눌림으로 인해 발생하는 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상기 저장부(150)는 상기 촬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 및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150)는 적어도 하나의 촬영 포즈를 포함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60)는 상기 촬영 장치를 통해 입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상기 오디오 처리부(160)는 촬영 포즈를 기반으로 피사체의 포즈 변경을 위한 가이드 음성 신호를 출력하도록 처리한다.
상기 통신 모듈(170)은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 모듈(170)은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해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한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통신 모듈(170)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통신 링크가 연결된 피사체의 휴대 기기로 촬영 포즈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통신 모듈(17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피사체의 휴대 기기와 통신 링크를 연결하거나, 기 설정된 피사체의 휴대 기기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피사체의 휴대 기기와 통신 링크를 연결한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촬영 제어부(13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를 별도로 구성한 것은 각 기능들을 구별하여 설명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실제로 구현하는 경우 상기 촬영 제어부(130)의 모든 기능 또는 일부 기능을 상기 제어부(10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촬영 제어부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촬영 제어부(130)는 얼굴 검출부(face detection unit)(200), 얼굴 인식부(face recognition unit)(210), 위치 확인부(220) 및 포즈 선택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얼굴 검출부(200)는 상기 촬영부(110)를 통해 수집된 프리뷰 영상에서 피사체의 인원 수를 검출한다.
상기 얼굴 인식부(210)는 상기 촬영부(110)를 통해 수집된 프리뷰 영상에서 피사체의 구성 인원들의 관계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얼굴 인식부(210)는 상기 프리뷰 영상에 포함된 구성원의 얼굴을 인식한다. 이후, 상기 얼굴 인식부(210)는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된 구성원 관계 정보에서 상기 인식한 구성원들의 관계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얼굴 인식부(210)는 상기 얼굴 검출부(200)에서 검출한 피사체의 인원 수가 2명 이상인 경우에만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장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구성원 관계 정보를 저장하거나, 이전에 촬영된 영상 데이터에서 추출한 구성원 관계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위치 확인부(220)는 상기 촬영 장치가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위치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위치 확인부(22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모듈을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위치를 확인한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위치 확인부(22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상기 포즈 선택부(230)는 상기 얼굴 검출부(200)로부터 제공받은 피사체의 구성원 수와 상기 얼굴 인식부(210)로부터 제공받은 피사체의 구성원들의 관계 정보 및 상기 위치 확인부(220)로부터 제공받은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촬영 포즈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포즈 선택부(230)는 피사체의 구성원의 수와 피사체의 구성원들의 관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촬영 포즈 중 어느 하나의 촬영 포즈를 선택한다. 이때, 상기 포즈 선택부(230)는 이전에 촬영된 영상 데이터에 따라 피사체 또는 촬영자가 선호하는 촬영 포즈 정보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촬영 포즈를 선택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상기 촬영 제어부(130)는 상기 얼굴 검출부(200)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구성 인원 수를 검출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촬영 제어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피사체의 구성 인원 수를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상기 촬영 제어부(130)는 상기 얼굴 인식부(210)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구성원들의 관계를 확인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촬영 제어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피사체의 구성원들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촬영 장치에서 피사체를 자동으로 촬영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촬영 장치는 301단계에서 촬영하기 위한 피사체 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피사체 정보는 피사체의 구성원 수, 피사체의 구성원들의 관계 정보, 촬영 위치 정보 및 선호 포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피사체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촬영 장치는 3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피사체 정보를 고려하여 촬영 포즈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피사체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촬영 포즈 중 어느 하나의 촬영 포즈를 선택한다.
이후, 상기 촬영 장치는 305단계로 진행하여 피사체의 포즈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촬영부(110)를 통해 획득한 프리뷰 영상에서 피사체의 포즈를 확인한다.
상기 촬영 포즈와 피사체 포즈를 확인한 후, 상기 촬영 장치는 3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피사체 포즈와 상기 촬영 포즈의 유사성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피사체 포즈와 상기 촬영 포즈의 유사성을 산출한다.
이후, 상기 촬영 장치는 3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피사체 포즈 및 촬영 포즈의 유사성과 기준 값을 비교한다.
상기 피사체 포즈 및 촬영 포즈의 유사성이 기준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촬영 장치는 피사체의 포즈를 변경해야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305단계로 진행하여 피사체의 포즈를 다시 확인한다. 이때, 미 도시되었지만, 상기 촬영 장치는 피사체 포즈 변경 정보를 상기 표시부(120)에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피사체 포즈 및 촬영 포즈의 유사성이 기준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촬영 장치는 피사체가 촬영 포즈와 유사한 포즈를 취한 것으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 상기 촬영 장치는 311단계로 진행하여 피사체를 촬영한다. 즉, 상기 촬영 장치는 피사체의 영상 데이터를 캡쳐한다. 이때,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이후, 상기 촬영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촬영 장치는 피사체 정보를 고려하여 촬영 포즈를 결정한다.
만일, 상기 피사체 정보 중 피사체의 구성원 수, 피사체의 구성원들의 관계 정보 및 촬영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촬영 포즈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촬영 장치는 하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촬영 장치에서 피사체 정보에 따라 촬영 포즈를 결정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촬영 장치는 401단계에서 촬영하기 위한 피사체의 구성원 수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굴 검출부(200)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구성원 수를 확인한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촬영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피사체의 구성 인원 수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촬영 장치는 403단계로 진행하여 촬영하기 위한 피사체의 구성원이 2명 이상인지 확인한다.
상기 피사체의 구성원이 1명인 경우, 상기 촬영 장치는 407단계로 진행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장소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촬영 장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모듈을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위치를 확인한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촬영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피사체의 구성원이 2명 이상인 경우, 상기 촬영 장치는 405단계로 진행하여 피사체에 포함되는 구성원들의 관계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도 2의 얼굴 인식부(210)를 이용하여 프리뷰 영상에 포함된 구성원의 얼굴을 인식한다. 이후,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된 구성원 관계 정보에서 상기 인식한 구성원들의 관계를 확인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촬영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피사체의 구성원들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407단계로 진행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장소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촬영 장치는 GPS모듈을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위치를 확인한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촬영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상기 피사체의 구성원 수, 피사체의 구성원들의 관계 정보 및 촬영 위치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촬영 장치는 4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피사체의 구성원 수, 피사체의 구성원들의 관계 정보 및 촬영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촬영 포즈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피사체의 구성원 수, 피사체의 구성원들의 관계 정보 및 촬영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촬영 포즈 중 어느 하나의 촬영 포즈를 선택한다.
이후, 상기 촬영 장치는 411단계로 진행하여 피사체의 포즈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촬영부(110)를 통해 획득한 프리뷰 영상에서 피사체의 포즈를 확인한다.
상기 촬영 포즈와 피사체 포즈를 확인한 후, 상기 촬영 장치는 4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피사체 포즈와 상기 촬영 포즈의 유사성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피사체 포즈와 상기 촬영 포즈의 유사성을 산출한다.
이후, 상기 촬영 장치는 4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피사체 포즈 및 촬영 포즈의 유사성과 기준 값을 비교한다.
상기 피사체 포즈 및 촬영 포즈의 유사성이 기준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촬영 장치는 피사체의 포즈를 변경해야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411단계로 진행하여 피사체의 포즈를 다시 확인한다. 이때, 미 도시되었지만, 상기 촬영 장치는 피사체 포즈 변경 정보를 상기 표시부(120)에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피사체 포즈 및 촬영 포즈의 유사성이 기준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촬영 장치는 피사체가 촬영 포즈와 유사한 포즈를 취한 것으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 상기 촬영 장치는 417단계로 진행하여 피사체를 촬영한다. 즉, 상기 촬영 장치는 피사체의 영상 데이터를 캡쳐한다. 이때,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이후, 상기 촬영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이하 설명은 피사체의 포즈 변경을 위해 촬영 가이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촬영 장치에서 촬영 가이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촬영 장치는 501단계에서 촬영하기 위한 피사체 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피사체 정보는 피사체의 구성원 수, 피사체의 구성원들의 관계 정보, 촬영 위치 정보 및 선호 포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피사체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촬영 장치는 5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피사체 정보를 고려하여 촬영 포즈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피사체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촬영 포즈 중 어느 하나의 촬영 포즈를 선택한다.
이후, 상기 촬영 장치는 505단계로 진행하여 피사체의 포즈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촬영부(110)를 통해 획득한 프리뷰 영상에서 피사체의 포즈를 확인한다.
상기 촬영 포즈와 피사체 포즈를 확인한 후, 상기 촬영 장치는 5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피사체 포즈와 상기 촬영 포즈의 유사성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피사체 포즈와 상기 촬영 포즈의 유사성을 산출한다.
이후, 상기 촬영 장치는 5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피사체 포즈 및 촬영 포즈의 유사성과 기준 값을 비교한다.
상기 피사체 포즈 및 촬영 포즈의 유사성이 기준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촬영 장치는 피사체의 포즈를 변경해야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 상기 촬영 장치는 513단계로 진행하여 피사체의 휴대기기와의 통신 링크가 연결되었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촬영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피사체의 휴대 기기와 통신 링크를 연결되었는지 확인한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촬영 장치는 기 설정된 피사체의 휴대 기기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피사체의 휴대 기기와 통신 링크를 연결되었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상기 피사체의 휴대 기기와 통신 링크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505단계로 진행하여 피사체의 포즈를 다시 확인한다.
한편, 상기 피사체의 휴대 기기와 통신 링크가 연결된 경우, 상기 촬영 장치는 5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피사체의 휴대 기기로 포즈 변경 정보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선택한 촬영 포즈를 상기 피사체의 휴대 기기로 전송한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촬영 장치는 현재 수집된 피사체 포즈와 상기 선택한 촬영 포즈의 차이점을 추출하여 상기 피사체의 휴대 기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505단계로 진행하여 피사체의 포즈를 다시 확인한다.
상기 509단계에서 피사체 포즈 및 촬영 포즈의 유사성이 기준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촬영 장치는 피사체가 촬영 포즈와 유사한 포즈를 취한 것으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 상기 촬영 장치는 511단계로 진행하여 피사체를 촬영한다. 즉, 상기 촬영 장치는 피사체의 영상 데이터를 캡쳐한다. 이때,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이후, 상기 촬영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촬영 장치는 피사체 정보를 고려하여 촬영 포즈를 결정한다.
만일, 상기 피사체 정보 중 피사체의 구성원 수, 피사체의 구성원들의 관계 정보 및 촬영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촬영 포즈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촬영 장치는 하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촬영 장치에서 피사체 정보에 따라 결정한 촬영 가이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촬영 장치는 601단계에서 촬영하기 위한 피사체의 구성원 수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굴 검출부(200)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구성원 수를 확인한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촬영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피사체의 구성 인원 수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촬영 장치는 603단계로 진행하여 촬영하기 위한 피사체의 구성원이 2명 이상인지 확인한다.
상기 피사체의 구성원이 1명인 경우, 상기 촬영 장치는 607단계로 진행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장소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촬영 장치는 GPS모듈을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위치를 확인한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촬영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피사체의 구성원이 2명 이상인 경우, 상기 촬영 장치는 605단계로 진행하여 피사체에 포함되는 구성원들의 관계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도 2의 얼굴 인식부(210)를 이용하여 프리뷰 영상에 포함된 구성원의 얼굴을 인식한다. 이후,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된 구성원 관계 정보에서 상기 인식한 구성원들의 관계를 확인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촬영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피사체의 구성원들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607단계로 진행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장소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촬영 장치는 GPS모듈을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위치를 확인한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촬영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상기 피사체의 구성원 수, 피사체의 구성원들의 관계 정보 및 촬영 위치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촬영 장치는 6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피사체의 구성원 수, 피사체의 구성원들의 관계 정보 및 촬영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촬영 포즈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피사체의 구성원 수, 피사체의 구성원들의 관계 정보 및 촬영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촬영 포즈 중 어느 하나의 촬영 포즈를 선택한다.
이후, 상기 촬영 장치는 611단계로 진행하여 피사체의 포즈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촬영부(110)를 통해 획득한 프리뷰 영상에서 피사체의 포즈를 확인한다.
상기 촬영 포즈와 피사체 포즈를 확인한 후, 상기 촬영 장치는 6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피사체 포즈와 상기 촬영 포즈의 유사성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피사체 포즈와 상기 촬영 포즈의 유사성을 산출한다.
이후, 상기 촬영 장치는 6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피사체 포즈 및 촬영 포즈의 유사성과 기준 값을 비교한다.
상기 피사체 포즈 및 촬영 포즈의 유사성이 기준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촬영 장치는 피사체의 포즈를 변경해야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 상기 촬영 장치는 619단계로 진행하여 피사체의 휴대기기와의 통신 링크가 연결되었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촬영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피사체의 휴대 기기와 통신 링크를 연결되었는지 확인한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촬영 장치는 기 설정된 피사체의 휴대 기기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피사체의 휴대 기기와 통신 링크를 연결되었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상기 피사체의 휴대 기기와 통신 링크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611단계로 진행하여 피사체의 포즈를 다시 확인한다.
한편, 상기 피사체의 휴대 기기와 통신 링크가 연결된 경우, 상기 촬영 장치는 6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피사체의 휴대 기기로 포즈 변경 정보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선택한 촬영 포즈를 상기 피사체의 휴대 기기로 전송한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촬영 장치는 현재 수집된 피사체 포즈와 상기 선택한 촬영 포즈의 차이점을 추출하여 상기 피사체의 휴대 기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611단계로 진행하여 피사체의 포즈를 다시 확인한다.
상기 615단계에서 피사체 포즈 및 촬영 포즈의 유사성이 기준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촬영 장치는 피사체가 촬영 포즈와 유사한 포즈를 취한 것으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 상기 촬영 장치는 617단계로 진행하여 피사체를 촬영한다. 즉, 상기 촬영 장치는 피사체의 영상 데이터를 캡쳐한다. 이때,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이후, 상기 촬영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촬영 장치는 피사체 포즈 및 촬영 포즈의 유사성이 기준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피사체의 휴대 기기로 포즈 변경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513단계, 619단계).
다른 실시 예에서 촬영 장치는 촬영 포즈를 결정한 후, 상기 피사체의 휴대 기기로 포즈 변경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만일, 상기 피사체의 휴대 기기와 통신 링크가 연결된 경우,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피사체의 휴대 기기로 촬영 포즈를 전송한다.
이하 설명은 촬영 장치에서 새로운 촬영 포즈를 등록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촬영 장치에서 촬영 포즈를 등록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촬영 장치는 701단계에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촬영 포즈 등록 메뉴가 선택되는지 확인한다.
촬영 포즈 등록 메뉴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촬영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촬영 포즈 등록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촬영 장치는 703단계로 진행하여 등록하기 위한 포즈를 촬영한다.
이후, 상기 촬영 장치는 7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촬영한 영상 데이터에서 피사체의 윤곽선을 추출한다.
상기 피사체의 윤곽선을 추출한 후, 상기 촬영 장치는 7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피사체의 윤곽선을 새로운 촬영 포즈로 등록한다.
이후, 상기 촬영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촬영 장치에서 촬영 포즈를 등록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촬영 장치는 801단계에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해 촬영 포즈 등록 메뉴가 선택되는지 확인한다.
촬영 포즈 등록 메뉴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촬영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촬영 포즈 등록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촬영 장치는 803단계로 진행하여 이전에 촬영한 이미지들 중 촬영 포즈를 등록하기 위한 이미지를 선택한다
상기 이미지를 선택한 후, 상기 촬영 장치는 8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한 이미지에서 촬영포즈를 등록하기 위한 피사체를 확인한다
이후, 상기 촬영 장치는 8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확인한 피사체의 윤곽선을 추출한다.
상기 피사체의 윤곽선을 추출한 후, 상기 촬영 장치는 8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피사체의 윤곽선을 새로운 촬영 포즈로 등록한다.
이후, 상기 촬영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8)

  1. 촬영 장치에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피사체의 구성원 수, 피사체의 구성원들의 관계 정보, 촬영 위치 정보 및 사용자의 선호 포즈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 포즈를 선택하는 과정과,
    프리뷰 화면에서 피사체의 포즈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촬영 포즈와 상기 피사체의 포즈의 유사성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유사성이 기준 값보다 큰 경우, 상기 피사체를 자동으로 촬영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포즈를 선택하는 과정은,
    얼굴 검출(face detection)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프리뷰 화면에 포함되는 피사체의 구성원 수를 확인하는 과정과,
    얼굴 인식(face recognition)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프리뷰 화면에 포함되는 피사체의 구성원들의 관계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피사체의 구성원 수, 피사체의 구성원들의 관계 정보 및 촬영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 포즈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의 구성원 수를 확인한 후, 상기 피사체의 구성원 수와 1을 비교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상기 피사체의 구성원 수가 1인 경우, 상기 촬영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으로 진행하고,
    상기 피사체의 구성원 수가 1보다 큰 경우, 상기 피사체의 구성원들의 관계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포즈를 선택한 후, 상기 피사체의 휴대 기기와 통신 링크가 연결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피사체의 휴대 기기와 통신 링크가 연결된 경우, 상기 선택한 촬영 포즈를 상기 피사체의 휴대 기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성이 기준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피사체의 휴대 기기와 통신 링크가 연결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피사체의 휴대 기기와 통신 링크가 연결된 경우, 포즈 변경 정보를 상기 피사체의 휴대 기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포즈 변경 정보는, 촬영 포즈 또는 상기 촬영 포즈와 피사체 포즈의 차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성이 기준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피사체의 포즈 변경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촬영 장치에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피사체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피사체의 구성원 수, 피사체의 구성원들의 관계 정보, 촬영 위치 정보 및 사용자의 선호 포즈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선택한 촬영 포즈와 프리뷰 화면에 포함된 피사체의 포즈의 유사성을 산출하여, 상기 유사성이 기준 값보다 큰 경우, 상기 피사체를 자동으로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피사체의 구성원 수, 피사체의 구성원들의 관계 정보, 촬영 위치 정보 및 사용자의 선호 포즈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 포즈를 선택하는 촬영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제어부는,
    얼굴 검출(face detection)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프리뷰 화면에 포함되는 피사체의 구성원 수를 확인하는 얼굴 검출부와,
    얼굴 인식(face recognition)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프리뷰 화면에 포함되는 피사체의 구성원들의 관계 정보를 확인하는 얼굴 인식부와,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와,
    상기 피사체의 구성원 수, 피사체의 구성원들의 관계 정보 및 촬영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 포즈를 선택하는 포즈 선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 인식부는, 상기 얼굴 검출부에서 확이한 피사체의 구성원 수가 1보다 큰 경우,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확인부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 위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9항에 있어서,
    피사체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피사체의 휴대 기기와 통신 링크가 연결된 경우, 상기 촬영 포즈를 선택한 후, 상기 선택한 촬영 포즈를 상기 피사체의 휴대 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9항에 있어서,
    피사체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사성이 기준 값보다 작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피사체의 휴대 기기와 통신 링크가 연결된 경우, 포즈 변경 정보를 상기 피사체의 휴대 기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포즈 변경 정보는, 촬영 포즈 또는 상기 촬영 포즈와 피사체 포즈의 차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사성이 기준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피사체의 포즈 변경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촬영 포즈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는, 피사체의 구성원 수, 피사체의 구성원들의 관계 정보, 촬영 위치 정보 및 사용자의 선호 포즈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촬영 포즈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10035541A 2011-04-18 2011-04-18 촬영 장치에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762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541A KR101762769B1 (ko) 2011-04-18 2011-04-18 촬영 장치에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3/450,023 US9106829B2 (en) 2011-04-18 2012-04-18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guide information about photographing subject in photograph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541A KR101762769B1 (ko) 2011-04-18 2011-04-18 촬영 장치에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144A true KR20120118144A (ko) 2012-10-26
KR101762769B1 KR101762769B1 (ko) 2017-08-07

Family

ID=47006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541A KR101762769B1 (ko) 2011-04-18 2011-04-18 촬영 장치에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06829B2 (ko)
KR (1) KR1017627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73289B2 (en) 2014-03-31 2017-09-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tomatic image selecting apparatus and method
KR20220029945A (ko) * 2020-09-02 2022-03-1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을 이용한 사진 촬영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67940B (zh) * 2015-04-14 2018-09-1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拍照方法及装置
CN105120144A (zh) * 2015-07-31 2015-12-0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图像拍摄方法和装置
US10924660B2 (en) * 2018-03-28 2021-02-16 Candice D. Lusk Augmented reality markers in digital photography
CN111279684A (zh) * 2018-05-07 2020-06-12 合刃科技(武汉)有限公司 拍摄控制方法及电子装置
WO2019213819A1 (zh) * 2018-05-07 2019-11-14 合刃科技(武汉)有限公司 拍摄控制方法及电子装置
CN113114924A (zh) * 2020-01-13 2021-07-13 北京地平线机器人技术研发有限公司 图像拍摄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3364971B (zh) * 2020-03-07 2023-04-18 华为技术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和装置
US11871104B2 (en) * 2022-03-29 2024-01-09 Qualcomm Incorporated Recommendations for image captur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3486B2 (ja) * 2000-04-19 2006-10-11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
US20020171746A1 (en) * 2001-04-09 2002-11-21 Eastman Kodak Company Template for an image capture device
FR2852768B1 (fr) * 2003-03-20 2005-05-06 Procede de controle du traitement de messages de transmission de photographies numeriques
JP2004294498A (ja) * 2003-03-25 2004-10-21 Fuji Photo Film Co Ltd 自動撮影システム
US20050007468A1 (en) * 2003-07-10 2005-01-13 Stavely Donald J. Templates for guiding user in use of digital camera
JP2005242567A (ja) * 2004-02-25 2005-09-08 Canon Inc 動作評価装置及び方法
US7889381B2 (en) * 2004-05-28 2011-02-15 Fujifilm Corporation Photo service system
US8125526B2 (en) * 2006-02-03 2012-02-28 Olympus Imaging Corp. Camera for selecting an image from a plurality of images based on a face portion and contour of a subject in the image
JP4945722B2 (ja) * 2006-02-15 2012-06-06 Hoya株式会社 撮像装置
JP4654974B2 (ja) * 2006-05-23 2011-03-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影装置および撮影方法
JP4757173B2 (ja) * 2006-11-17 2011-08-2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664389B2 (en) * 2007-05-21 2010-02-1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ystem and method of photography using desirable feature recognition
KR101477182B1 (ko) * 2007-06-01 2014-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및 그의 이미지 촬영 방법
JP4600435B2 (ja) * 2007-06-13 2010-12-15 ソニー株式会社 画像撮影装置及び画像撮影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90015702A1 (en) * 2007-07-11 2009-01-15 Sony Ericsson Communicatins Ab Enhanced image capturing functionality
JP2009055088A (ja) * 2007-08-23 2009-03-12 Nec Corp 撮影支援システム
JP5039528B2 (ja) * 2007-12-13 2012-10-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データ管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040760B2 (ja) * 2008-03-24 2012-10-03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943548B1 (ko) 2008-05-26 2010-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촬영 장치의 포즈 가이드 방법 및 장치
JP5361547B2 (ja) * 2008-08-07 2013-12-0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影方法、プログラム
KR101537948B1 (ko) * 2008-12-16 2015-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얼굴 포즈 추정을 이용한 촬영 방법 및 장치
US20100245610A1 (en) * 2009-03-31 2010-09-3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igital imag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73289B2 (en) 2014-03-31 2017-09-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tomatic image selecting apparatus and method
KR20220029945A (ko) * 2020-09-02 2022-03-1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을 이용한 사진 촬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2769B1 (ko) 2017-08-07
US20120262593A1 (en) 2012-10-18
US9106829B2 (en) 2015-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2769B1 (ko) 촬영 장치에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696021B2 (en) Video recording device and camera function control program
CN108399349B (zh) 图像识别方法及装置
US8373760B2 (en) Image capturing device suitable for photographing a person
US9332208B2 (en) Imaging apparatus having a projector with automatic photography activation based on superimposition
US8570422B2 (en) Apparatu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ontaining program for photographing
US202103371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video, and storage medium
US8928770B2 (en) Multi-subject imaging device and imaging method
US85828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uiding user with suitable composition,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8411159B2 (en) Method of detecting specific object region and digital camera
US8605190B2 (en) Image sen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30182010A2 (en) Device for capturing and displaying images of objects, in particular digital binoculars, digital camera or digital video camera
JPWO2016103962A1 (ja) 合焦制御装置、撮像装置、合焦制御方法、及び合焦制御プログラム
US8692907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image capturing method
US115514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finger occlusion image, and storage medium
JP2014146989A (ja)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撮像プログラム
JP2006094082A (ja) 画像撮影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90085787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영상 처리 방법
JP2012151544A (ja) 撮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818997B2 (ja) 顔検出装置及び顔検出プログラム
US200900871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image in telephone directory of portable terminal
JP2009111827A (ja) 撮影装置及び画像ファイル提供システム
JP7046340B2 (ja) 画像処理装置、端末、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2010171841A (ja) 撮像装置
JP2009147605A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