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7685A - 증폭기 크로스토크 소거 기술 - Google Patents

증폭기 크로스토크 소거 기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7685A
KR20120117685A KR1020120038599A KR20120038599A KR20120117685A KR 20120117685 A KR20120117685 A KR 20120117685A KR 1020120038599 A KR1020120038599 A KR 1020120038599A KR 20120038599 A KR20120038599 A KR 20120038599A KR 20120117685 A KR20120117685 A KR 20120117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lifier
signal
test signal
output
t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1843B1 (ko
Inventor
윌리암 디. 르웰린
카르민 코졸리노
Original Assignee
페어차일드 세미컨덕터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어차일드 세미컨덕터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페어차일드 세미컨덕터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20117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4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rrecting frequency respons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45076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03F3/45475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using IC block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26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noise generated by amplify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1Low-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preamplifiers
    • H03F3/183Low-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pre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187Low-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pre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integra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68Combinations of amplifiers, e.g. multi-channel amplifiers for stereophonic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45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 H03F2203/45522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the FBC comprising one or more potentiome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45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 H03F2203/45591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the IC comprising one or more potentio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mplifiers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채널 시스템에서 채널 분리를 유지하기 위해 크로스토크 소거를 구성하고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일례에서, 증폭기 회로는 제1 부하와 제2 부하가 귀환 경로를 공유하고 있는 곳에서의 제1 출력에서 제2 부하로의 크로스토크 및 제2 출력에서 제1 부하로의 크로스토크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크로스토크 소거 회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증폭기 크로스토크 소거 기술{AMPLIFIER CROSSTALK CANCELLATION TECHNIQUE}
우선권 주장
본 발명은 Llewellyn 등에 의해 2011년 4월 15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번호 61/475,810(대리인 문서 번호 2921.133PRV) 및 Llewellyn 등에 의해 2011년 10월 12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13/272,021(대리인 문서 번호 2921.133US)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이 특허 출원들은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원용되어 있다.
발명의 분야
본 출원은 다른 것 중에서도 소거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증폭기 크로스토크 소거 기술에 관한 것이다.
스테레오 하이파이 오디오 시스템(stereo high-fidelity audio system)에서의 좌채널과 우채널의 분리도는 표준 성능 계수(standard figure of merit)가 될 수 있다. 2개의 채널을 상호 혼합하는 것은 분리도를 감소시켜 청감(listening quality)을 손상시킬 수 있다. 스테레오 헤드폰에서, 좌채널과 우채널 양자에 대한 그라운드/음극 전류 귀환(return) 경로의 일부분은 예컨대 헤드폰 잭 또는 컨넥터의 슬리브 단자(sleeve terminal)와 구동 증폭기 IC 출력단 간의 한정된 물리적 거리(finite physical distance)에 걸쳐 공통의 전도체를 공유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이러한 한정된 물리적 거리는 헤드폰 케이블의 전체 길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유된 길이의 전도체는 제로가 아닌(non-zero) 임피던스를 가지며, 각각의 이어피스를 통해 흐르는 전류가 기생 임피던스 양단에 전압을 발생하여, 반대쪽 이어피스의 음극 단자에서 이 전압의 소량의 신호가 나타나게 되므로, 블리드-오버(bleed-over) 또는 크로스토크를 발생한다.
본 발명은 멀티-채널 시스템 내에서의 채널 분리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 요지는 멀티-채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시스템 내에서의 채널 분리를 유지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멀티-채널 시스템에서의 채널 분리를 유지하기 위해 크로스토크 소거를 구성하고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포함한 예들이 제공된다. 일례에서, 증폭기 회로는, 제1 부하와 제2 부하가 귀환 경로를 공유하는 곳에서의 제1 출력에서 제2 부하로의 크로스토크 및 제2 출력에서 제1 부하로의 크로스토크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크로스토크 소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부분은 본 특허 출원의 기술 요지에 대한 개요를 제공하며, 본 발명에 대한 배타적 또는 총체적 설명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본 특허 출원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실척으로 도시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 이하의 도면에서, 유사 도면 부호는 다른 도면 내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마지막 자리의 숫자가 상이한 유사 도면부호는 유사한 구성요소의 다른 예를 나타낼 것이다. 도면은 전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일례로써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의 헤드폰 증폭기 설계를 전반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도 1의 회로에 대한 수정예를 전반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크로스토크 소거 회로를 포함한 일례의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탐색 루틴을 이용하여 크로스토크 소거 회로를 구성하는 일례의 방법을 전반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크로스토크 소거 방법의 예를 전반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멀티-채널 부하의 그라운드 귀환 단자 부근에 물리적으로 위치된 지점에 대한 연결부를 갖는 그라운드 전위 감지 기술을 통합하고 있는 종래의 헤드폰 증폭기 시스템(100)을 전반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헤드폰 증폭기 시스템(100)은 헤드폰 세트 또는 한 쌍의 이어피스(105, 106)를 포함하지만 이러한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 오디오 트랜스듀서와 같은, 멀티-채널 부하(102)에 접속된 증폭기 회로(101)를 포함할 수 있다. 증폭기 회로(101)는 좌측 이어피스(105)를 위한 좌채널 증폭기(103) 및 우측 이어피스(106)를 위한 우채널 증폭기(104)와 같은 각각의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위한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떠한 예에서, 증폭기 회로(101)는 각각의 채널을 위한 이득 제어 또는 볼륨 제어 장치(107, 108)를 포함할 수 있다. 증폭기 회로(101)는 하나 이상의 노드 또는 단자(예컨대, OUTL, OUTR 등) 또는 하나 이상의 노드 또는 단자를 연결하기 위한 컨넥터를 이용하여 멀티-채널 부하(102)에 접속될 수 있다. 어떠한 시스템에서, 좌측 및 우측 이어피스(105, 106)는 그라운드에 대한 전도체와 같은 귀환 경로를 공유할 수 있다. 귀환 경로 임피던스(예컨대, RG1 + RG2)가 낮을 수도 있지만, 하나의 채널로부터의 전류가 귀환 경로 임피던스를 통해 흐를 수 있으며, 귀환 경로를 공유하는 또 다른 채널 상에서 크로스토크 전압을 발생할 수 있다.
도 1의 예를 참조하면, 예컨대 좌측 이어피스(105)와 같은 하나의 이어피스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반전되지 않은 상태로 좌채널 및 우채널 증폭기(103, 104) 양자에 피드백되는 임피던스(예컨대, RG1) 양단의 전압을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피드백은 감지 노드(S)에서의 신호에 비례하여 우채널 증폭기(104) 출력 노드(OUTR)에서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우측 이어피스(106) 내로의 좌채널 크로스토크를 부분적으로 소거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좌측 이어피스(105) 내로의 우채널로부터의 크로스토크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적어도 다음의 2가지 이유로 이상적인 소거가 달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 첫 번째로, 켈빈-타입 컨넥터와 같은 컨넥터는 기생 임피던스(예컨대, 임피던스 RG2로 표시되는)의 적어도 일부를 감지되지 않는 상태로 할 수 있다. 두 번째로, 감지 노드(S)에서부터 우채널 증폭기(104) 출력 노드(OUTR)까지의 소거 신호의 이득이 증폭기 회로(101)의 이득 설정에 따라 변화되므로, 소거 신호가 최적의 설정으로부터 변화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도 1의 헤드폰 증폭기 시스템(100)의 수정예를 전반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감지 노드(S)로부터의 피드백이 증폭기 회로 이득을 트래킹하여 소거 기술의 이득 종속 인자(gain dependency factor)를 제거하도록 배분될 수 있다. 어떠한 예에서, 증폭기 회로(101)는 감지 노드(S)로부터의 피드백을 배분하기 위해 가변 피드백 임피던스(231, 2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감지되지 않은 기생 그라운드 임피던스(예컨대, RG2)는 크로스토크에 영향을 주는 상태로 여전히 존재할 수 있다.
도 3은 크로스토크 소거 회로(310)를 포함하는 증폭기 시스템(300)의 예를 전반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증폭기 시스템(300)은 증폭기 회로(301), 부하(302), 및 크로스토크 소거 회로(31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떠한 예에서, 증폭기 회로(301)는 헤드폰 세트 또는 한 쌍의 이어피스(305, 306)와 같은 부하(302)에 접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증폭기 회로(301)는 좌측 이어피스(305)를 위한 좌채널 증폭기(303) 및 우측 이어피스(306)를 위한 우채널 증폭기(304)와 같은 각각의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위한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떠한 예에서, 증폭기 회로(301)는 각각의 채널에 대한 이득 제어 또는 볼륨 제어 장치(307, 308)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에서, 증폭기 회로(301)는 하나 이상의 노드 또는 단자(예컨대, OUTL, OUTR) 또는 하나 이상의 노드 또는 단자를 연결하기 위한 컨넥터를 이용하여 부하(302)에 접속될 수 있다. 어떠한 예에서, 좌측 및 우측 이어피스(305, 306)는 그라운드에 대한 전도체와 같은 귀환 경로를 공유할 수 있다. 귀환 경로 임피던스(RG)가 낮을 수도 있지만, 하나의 채널로부터의 전류가 귀환 경로 임피던스(RG)를 통해 흐를 수 있으며, 귀환 경로를 공유하는 또 다른 채널 상에서 크로스토크 전압을 발생할 수 있다.
크로스토크 소거 회로(310)는 컨트롤러(312), 테스트 신호 발생기(313), 비교기(314), 및 예컨대 제1 모델 네트워크(315) 및 제2 모델 네트워크(316)와 같은 모델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모델 네트워크(315, 316)는 모델 부하 임피던스(예컨대, 32RA) 및 모델 기생 임피던스(예컨대, RA -R, RA -L)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떠한 예에서, 모델 기생 임피던스(예컨대, RA -R, RA -L) 중의 하나 이상이 예컨대 트림 버스(trim bus)(317)를 통해 조정 가능하게 될 수 있다. 크로스토크 소거 회로(310)는 부하(302)의 고유 그라운드 노드(intrinsic ground node)(GHP)와 실제 회로 그라운드(true circuit ground) 간의 전압 강하를 "모델링"하거나 또는 복제(replicate)하기 위해 탐색 루틴을 채용할 수 있다. 하술된 바와 같이, 비교기(314)는 소거 신호(예컨대, ATTN-R, ATTN-L)가 부하(302)의 고유 그라운드 노드와 실제 회로 그라운드 간의 각각의 채널의 전압 강하의 표시(representation)를 제공하도록 모델 기생 임피던스(예컨대, RA -R, RA -L)를 조정하기 위해 테스트 신호를 이용하여 발생된 다양한 전압들을 비교할 수 있다. 부하(302)의 고유 그라운드 노드와 실제 회로 그라운드 간의 각각의 채널의 전압 강하의 표시는 가변 모델 기생 임피던스(예컨대, RA -R, RA -L)의 와이퍼(wiper)에서 내부적으로 보일 수 있다. 소거 신호(예컨대, ATTN-R, ATTN-L)는 다른 채널에서의 크로스토크를 소거하고 부하(312)에서의 채널 분리를 유지하기 위해 증폭기 회로에 인가될 수 있다. 모델 기생 임피던스(예컨대, RA -R, RA -L)를 조정하기 위한 탐색 루틴은, 예컨대 오디오가 부하(302)에 통과하기 직전의 짧은 기간의 강제 사일런스(imposed silence)(사운드가 뮤트됨) 동안과 같이 증폭기 시스템(300)이 초기에 전원 공급되는 때에는 구성 모드(configuration mode)로 실행할 수 있다. 어떠한 예에서, 크로스토크 소거 회로(310)는 탐색 루틴 동안 각각의 모델 기생 임피던스(예컨대, RA -R, RA -L)의 설정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 테스트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테스트 신호 발생기(313)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에서, 컨트롤러(312)는 구성 모드 동안 예컨대 좌채널 증폭기(303)와 같은 하나 이상의 채널을 디스에이블시키기 위한 출력(EN)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테스트 신호는 인에이블된 우채널 증폭기(304)에 인가될 수 있으며, 비교기(314)가 트림 버스(317)를 통해 기생 임피던스(예컨대, RA -R, RA -L)를 조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일례에서, 크로스토크 소거 회로(310)는 다른 소거 예로부터 단자(예컨대, 감지 노드 S)를 제거할 수 있다. 어떠한 예에서, "여분의" 단자가 상이한 기능에 재할당될 수 있다 - 셀룰러폰 또는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에서의 오디오 서브시스템과 같은 로우 터미널-카운트(low terminal-count) 장치에서는 바람직한 상황임. 도 3의 예시된 예에서, 채널 부하 임피던스(RHP)는 약 32 옴인 것으로 가정되며, 크로스토크 소거 회로(310)의 모델 네트워크(315, 316)가 이 가정에 기초하여 또는 부하(302)의 채널 임피던스의 실제 지식에 기초하여 크기가 정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요지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서도 채널 부하 임피던스의 다른 값도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하기 바란다. 예컨대, 채널 부하 임피던스(RHP)는 약 16 옴과 약 600 옴 사이에서 변화될 수도 있고, 다른 예에서는 하나 이상의 다른 범위로 변화될 수 있다. 어떠한 예에서, 귀환 경로 유기(return path induced) 또는 RG-유기(RG-induced) 크로스토크는 이어피스 임피던스(예컨대, RHP)의 값이 더 낮아짐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요지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서도 각각의 모델 네트워크에서의 다른 비율의 임피던스뿐만 아니라 모델 네트워크(315, 316)의 다른 값의 임피던스도 가능하다.
어떠한 예에서, 증폭기 회로(301)는 볼륨 조절 장치(307, 308)를 각각 조정하여 크로스토크 소거 기술로부터 이득 종속 인자를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가변 피드백 임피던스(331, 332)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떠한 예에서, 집적회로는 증폭기 회로(301) 및 크로스토크 소거 회로(31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떠한 예에서, 크로스토크 소거 회로(310)는 모바일 전자 장치에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바일 장치의 예로는 개인용 미디어 플레이어 또는 셀룰러폰을 들 수 있지만 이러한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4는 귀환 경로를 공유하는 채널 부하를 이용할 때에 채널 분리를 유지하기 위한 크로스토크 소거 구성의 방법(400)의 예를 전반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어떠한 예에서, 이 방법은 공유된 귀환 경로로 인한 채널 부하들 간의 크로스토크를 소거하기 위해 소거 신호를 증폭기 회로에 제공할 수 있는 조정 가능한 임피던스를 위한 설정을 결정하기 위해 탐색 루틴을 채용할 수 있다. 단계 401에서는 탐색 루틴이 초기화될 수 있다. 탐색 루틴을 초기화하는 것은 예컨대 하나의 채널을 작동 상태로 하고 다른 채널을 비작동 상태로 함으로써 각각의 채널을 초기화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에서, 채널을 비작동 상태로 하는 것은 채널 증폭기의 고임피던스 출력 상태를 구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예에서, 우측 증폭기가 작동 상태로 될 수 있고, 좌측 증폭기가 디스에이블될 수 있다. 일례에서, 탐색 루틴은, 증폭기 회로가 예컨대 언뮤팅 시퀀스의 시작(onset of an un-muting sequence) 동안과 같이 아직 오디오를 통과하도록 인에이블되지 않은 때에, 또는 증폭기 회로가 최초 전원 투입된 때에는, 구성 모드 동안 실행할 수 있다. 단계 402에서는, 이 방법(400)은 6-비트 트림 버스와 같은 복수-비트 트림 버스를 초기화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에서, 복수 비트 트림 버스를 초기화하는 것은 트림 버스를 제로(예컨대, 최저의 설정에서 RA -R 및 RA -L)로 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403에서는, 테스트 전압이 인에이블되고, 활성 채널의 입력에 인가될 수 있다. 어떠한 예에서, 테스트 전압은 서브소닉(subsonic) 신호 또는 사용자가 실질적으로는 들을 수 없는 사운드를 발생할 수 있는 신호일 수 있다. 테스트 신호를 처리하는 채널의 출력 전압은 약 0.5 볼트 내지 약 1.0 볼트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도 3의 예시된 예에서, 부하(302)의 로컬 그라운드 전위 V(GHP)는 V(OUTR)(RG/(RG + RHP))와 동일할 수 있다. I(OUTL)이 0 mA와 동일하므로, V(OUTL)은 실질적으로 V(GHP)와 동일할 수 있다. 비교기 출력은 V(OUTL)과 V(ATTN-R) 간의 비교에 대한 지시(indication)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404에서 V(OUTL)이 V(ATTN-R)을 초과하면, 컨트롤러는 단계 405에서 트림 버스를 증분(increment)시킬 수 있다. 일례에서, 트림 버스는 V(OUTL)이 V(ATTN-R)을 초과할 때에는 최하위 비트가 1씩 증분될 수 있다. 트림 버스를 증분한 후, 컨트롤러는 비교기의 출력을 재차 탐색할 수 있다. 일례에서, 단계 406에서는, 비교기 출력은 트림 버스를 증분한 후의 시간 지연 구간 동안 무시될 수 있다. 일례에서, 트림 버스를 조정한 후의 비교기 출력을 평가하기 전의 지연 구간은 약 200 ㎱ 내지 약 500 ㎱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일례에서, 이 구간은 크로스토크 탐색 루틴을 가능한 한 신속하게 완료할 수 있도록 최소화될 수 있다.
단계 407에서는, V(ATTN-R)이 V(OUTL)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V(GHP)이 되거나 또는 V(GHP)보다 약간 높게 될 수 있으며, 트림 버스 상의 값이 동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선형 탐색 대신, 예컨대 트림 버스가 이진 가중 탐색(binary weighed search)에 따라 설정될 수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기술 요지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서도, 다른 탐색 방법이 복수-비트 트림 버스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크로스토크 소거 회로는, 교정 시에, 예컨대 32RA+RA -L과 같은 모델 회로의 임피던스가 부하 RHP의 임피던스보다 현저하게 크기 때문에 RG 양단의 크로스토크 전압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교정 동안, 우채널 증폭기의 입력에 인가된 테스트 신호로 인한 좌채널 증폭기의 출력에서의 전압은 테스트 전압으로 인한 귀환 경로의 임피던스 RG 양단의 전압과 동일하게 된다.
단계 408에서는, 테스트 전압이 제1 채널로부터 디스에이블되거나 제거되거나 또는 격리된다. 단계 409에서는, 제2 채널이 인에이블되고, 오디오가 우채널 증폭기 및 좌채널 증폭기 양자에 통과될 수 있다.
일례에서, 오디오가 우측 증폭기 및 좌측 증폭기를 통과할 때에, 크로스토크 소거 회로는 실질적으로 우측 이어피스에 인가된 우채널 증폭기로부터의 전압이 좌측 이어피스 상의 오디오 출력을 야기하기 않도록 할 수 있다. 트림 버스를 설정한 후에는, V(ATTN-R)이 V(GHP)와 동일하게 될 수 있다. V(ATTN-R)은 크로스토크를 소거하기 위해 단위 이득(unity gain) 및 비반전 위상으로 V(OUTL)에 추가된다. 일례에서, 단위 이득 추가는 좌채널 증폭기의 양극 입력에 ATTN-R을 공급하는 임피던스 래더(impedance ladder)를 이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자리에서의 우측-좌측 교차 공급으로, V(OUTL) 및 V(GHP) 양자가 V(OUTR)의 고정 부분(fixed fraction)으로서 함께 트래킹하여, OUTR에서의 전압으로 인해 좌측 이어피스에서 제로의 순수 차동 신호(zero net differential signal)를 발생한다.
중첩 이론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의 측정에서 채널의 역할을 반대로 할 수 있다(예컨대, L과 R을 스왑). 일례에서, 양자의 채널이 비상관 신호(uncorrelated signal)로 동시에 활성화되면, 전술한 방법에서의 측정 및 설정도 이용될 수 있다. 일례에서, 테스트 전압의 진폭은 이 방법에 어느 정도 좌우되며, 크로스토크 소거 방법이 진행되고 있는 동안 느리게 변화될 수 있고, 그 결과를 열화시키지 않는다. 어떠한 예에서, 이 방법의 폐루프 성질(closed loop nature)은 예컨대 좌채널 증폭기가 RA -R 노드를 로딩하도록 한다(및 그 반대의 동작도 가능). 일례에서, 테스트 전압은 오디오 채널에서의 "팝(pop)" 및 "클릭(click)"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기 위해 램프(ramp)를 이용하여 인가될 수 있다.
도 5는 제1 채널 부하와 제2 채널 부하에서 신호가 나타날 때의 제1 증폭기의 출력과 제2 증폭기의 출력 간의 신호 분리를 유지하는 일례의 방법(500)을 전반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일례에서, 제1 증폭기는 제1 채널 부하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출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증폭기는 제2 채널 부하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출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에서, 제1 및 제2 채널 부하는 도전성 귀환 경로를 공유할 수 있다. 단계 501에서, 본 방법은 제1 증폭기의 제1 입력에서 예컨대 좌측 오디오 채널 신호와 같은 제1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502에서, 본 방법은 제2 증폭기의 제1 입력에서 예컨대 우측 오디오 채널 신호와 같은 제2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503에서, 본 방법은 제1 소거 신호를 제1 증폭기의 제2 입력에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소거 신호는 크기 조정된 버전(scaled version)의 제2 신호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에서, 제1 소거 신호를 제공하는 것은 제1 트림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제2 증폭기의 출력으로부터 신호를 트리밍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504에서, 본 방법은 제2 소거 신호를 제2 증폭기의 제2 입력에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소거 신호는 크기 조정된 버전의 제1 신호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에서, 제2 소거 신호를 제공하는 것은 제2 트림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제1 증폭기의 출력으로부터 신호를 트리밍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언급 및 예
예 1에서, 증폭기 회로는, 제1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제1 부하에 제1 출력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1 증폭기와, 제2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도전성 귀환 경로를 제1 부하와 공유하고 있는 제2 부하에 제2 출력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2 증폭기와, 제1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이 제1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제1 트림 신호를 제2 증폭기에 제공하며. 또한 제2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이 제2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제2 트림 신호를 제1 증폭기에 제공하여, 제1 출력에서 제2 부하로의 크로스토크 및 제2 출력에서 제1 부하로의 크로스토크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크로스토크 소거 회로를 포함한다.
예 2에서, 예 1의 크로스토크 소거 회로는, 제1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증폭기에 제1 소거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1 트림 임피던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 3에서, 예 1과 예2 중의 하나 또는 양자에서의 제1 트림 임피던스는 조정 가능한 임피던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 4에서, 예 1 내지 예 3 중의 하나 이상에서의 크로스토크 소거 회로는, 제2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제1 증폭기에 제2 소거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2 트림 임피던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 5에서, 예 1 내지 예 4 중의 하나 이상에서의 제1 트림 임피던스는 조정 가능한 임피던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 6에서, 예 1 내지 예 5 중의 하나 이상에서의 증폭기 회로는, 제1 증폭기에 테스트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테스트 신호 발생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 1 내지 예 5 중의 하나 이상에서의 크로스토크 소거 회로는, 테스트 신호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소거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트림 설정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 7에서, 예 1 내지 예 6 중의 하나 이상에서의 크로스토크 소거 회로는, 증폭기 회로의 구성 모드 동안 제1 증폭기를 인에이블시키고 제2 증폭기를 디스에이블시키도록 구성된 구성 컨트롤러와, 제1 소거 신호를 제2 증폭기의 출력에서 수신된 처리된 테스트 신호에 대해 비교하도록 구성된 비교기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제1 증폭기가 테스트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 8에서, 예 1 내지 예 7 중의 하나 이상에서의 증폭기 회로는, 테스트 신호를 제1 증폭기의 입력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테스트 신호 발생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 9에서, 제1 부하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출력을 포함하는 제1 증폭기의 출력과, 제1 부하와 도전성 귀환 경로를 공유하는 제2 부하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출력을 포함하는 제2 증폭기의 출력 간의 신호 분리를 유지하는 방법은, 제1 증폭기의 제1 입력에서 제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2 증폭기의 제1 입력에서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크기 조정된 버전의 제2 신호의 표시를 포함하는 제1 소거 신호를 제1 증폭기의 제2 입력에 제공하는 단계와, 크기 조정된 버전의 제1 신호의 표시를 포함하는 제2 소거 신호를 제2 증폭기의 제2 입력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 10에서, 예 1 내지 예 9 중의 하나 이상에서의 제1 소거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는, 제1 트림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제2 증폭기의 출력으로부터 신호를 트리밍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 11에서, 예 1 내지 예 10 중의 하나 이상에서의 제2 소거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는, 제1 트림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제1 증폭기의 출력으로부터 신호를 트리밍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 12에서, 제1 부하에 접속된 제1 증폭기를 인에이블시키는 단계와, 제1 부하와 도전성 귀환 경로를 공유하는 제2 부하에 접속된 제2 증폭기를 디스에이블시키는 단계와, 제1 증폭기의 입력에서 테스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2 증폭기의 출력에서 테스트 신호의 제1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1 증폭기의 출력에 접속된 트림 임피던스에서 테스트 신호의 제2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와, 크로스토크 소거 회로를 이용하여 테스트 신호의 제1 표시와 테스트 신호의 제2 표시를 비교하는 단계와, 제1 트림 임피던스와 제2 증폭기의 출력에 접속된 제2 트림 임피던스를, 테스트 신호의 제1 표시가 실질적으로 테스트 신호의 제2 표시와 동일할 때까지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예 13에서, 예 1 내지 예 12 중의 하나 이상에서의 조정하는 단계는, 테스트 신호의 제1 표시가 실질적으로 테스트 신호의 제2 표시와 동일하게 될 때까지 트림 임피던스의 트림 값을 증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 14에서, 예 1 내지 예 13 중의 하나 이상에서의 조정하는 단계는, 테스트 신호의 제1 표시가 실질적으로 테스트 신호의 제2 표시와 동일하게 될 때까지 제2 트림 임피던스의 트림 값을 증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 15에서, 예 1 내지 예 14 중의 하나 이상에서의 조정하는 단계는, 테스트 신호의 제1 표시와 테스트 신호의 제2 표시를 비교하기 전에 일정 기간의 시간을 지연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 16에서, 예 1 내지 예 15 중의 하나 이상에서의 일정 기간의 시간은, 약 200 ㎱와 약 500 ㎱ 사이일 수도 있다.
예 17에서, 예 1 내지 예 16 중의 하나 이상에서의 조정하는 단계는, 테스트 신호의 제1 표시가 실질적으로 테스트 신호의 제2 표시와 동일하게 될 때까지 이진 가중 탐색 루틴(binary weighted search routine)에 따라 제1 및 제2 트림 임피던스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 18에서, 예 1 내지 예 17 중의 하나 이상에서의 제1 증폭기의 입력에서 테스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크로스토크 소거 회로의 테스트 신호 발생기를 인에이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 19에서, 예 1 내지 예 18 중의 하나 이상에서의 테스트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는, 실질적으로 들을 수 없는 테스트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 20에서, 예 1 내지 예 19 중의 하나 이상에서의 방법은, 테스트 신호를 제1 증폭기로부터 격리시키는 단계와, 제2 증폭기를 인에이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 21은 예 1 내지 예 20 중의 하나 이상에서의 임의의 부분 또는 임의의 부분의 조합을 포함하거나 이들과 조합되어, 예 1 내지 예 20의 기능 중의 하나 이상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 또는 기기에 의해 수행될 시에 이 기기가 예 1 내지 예 20의 기능 중의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기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 요지로 할 수 있다.
상기한 상세한 설명은 상세한 설명의 일부를 이루는 첨부 도면에 대한 참조를 포함한다. 도면들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시를 목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들 실시예를 여기서는 "예"라고도 한다. 이러한 예들은 도시되거나 설명된 것 외의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또한 도시되거나 설명된 요소만이 제공되는 예도 고려한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본 명세서에 도시되거나 설명된 특정한 예(또는 하나 이상의 그 특징들)에 대해 또는 다른 예들(또는 하나 이상의 그 특징들)에 대해, 도시되거나 설명된 다른 예(또는 하나 이상의 그 특징들)의 요소들의 임의의 조합 또는 순열을 사용하는 예들도 고려한다.
본 명세서에 언급된 모든 간행물, 특허, 및 특허문헌은 인용에 의해 각기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것처럼, 그 내용 전체는 인용에 의해 여기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와 인용에 의해 포함되는 상기한 문헌들 사이에 사용이 불일치하는 경우, 포함되는 문헌(들)의 용법은 본 명세서의 용법에 대한 보충으로 생각되어야 하며, 양립할 수 없는 불일치의 경우, 본 명세서에서의 사용이 우선한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라는 용어는, 특허문헌에서는 공통적인 것처럼, 다른 경우들이나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사례 또는 사용과 관계없이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또는"이라는 용어는 비배타적인 것, 즉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A 또는 B"는 "B가 아니라 A", "A가 아니라 B", 그리고 "A 및 B"를 가리키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제한을 두지 않는 것이다, 즉, 특허청구범위에서 이 용어 앞에 열거된 것 이외의 요소들을 포함하는 시스템, 디바이스, 물품, 또는 프로세스가 여전히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게다가,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는 단지 라벨로서 사용된 것이고, 그 대상에 수치적 요건을 부가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의 예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기기 또는 컴퓨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예는 전자 장치를 상기한 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명령어로 인코딩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또는 기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의 구현예는, 마이크로코드, 어셈블리 랭귀지 코드, 하이어 레벨 랭귀지 코드 등과 같은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다양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코드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일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코드는 실생 동안 또는 다른 시간에서와 같이 하나 이상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의 명백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명백하게 저장될 수 있다. 이들 명백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하드 디스크, 이동 가능 자기 디스크, 이동 가능 광디스크(예컨대, CD 및 DVD), 자기 카세트, 메모리 카드 또는 스틱,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리드 온리 메모리(ROM)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상의 기재는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전술한 예들(또는 하나 이상의 그 측면들)은 서로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상의 기재를 검토함에 따라, 다른 실시예를 사용할 수 있다. 요약서는 37 C.F.R. §1.72(b)에 따라 독자로 하여금 개시된 기술 내용을 신속하게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요약서는 청구항들의 범위 또는 의미를 해석하거나 한정하는 데 사용되지 않을 것이라는 이해를 바탕으로 제출된다. 또한, 이상의 상세한 설명에서, 여러 특징을 함께 그룹으로 묶어 개시내용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이것은 청구되지 않은 개시된 특징은 모든 청구항에 필수적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발명의 내용은 특정 개시된 실시예의 모든 특징 이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다음의 특허청구범위는, 개별 실시예인 그 자체에 의거하는 각 청구항과 함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포함되며, 그러한 실시예들은 여러 조합 또는 순열로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항들의 등가물의 전 범위와 함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참조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11)

  1. 제1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제1 부하에 제1 출력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1 증폭기;
    제2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도전성 귀환 경로(conductive return path)를 상기 제1 부하와 공유하고 있는 제2 부하에 제2 출력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2 증폭기; 및
    상기 제1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이 제1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증폭기에 제1 트림 신호(trim signal)를 제공하며. 또한 상기 제2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이 제2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증폭기에 제2 트림 신호를 제공하여, 제1 출력에서 상기 제2 부하로의 크로스토크 및 제2 출력에서 상기 제1 부하로의 크로스토크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크로스토크 소거 회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토크 소거 회로는, 상기 제1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증폭기에 제1 소거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1 트림 임피던스를 포함하는, 증폭기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토크 소거 회로는, 상기 제2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증폭기에 제2 소거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2 트림 임피던스를 포함하는, 증폭기 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증폭기에 테스트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테스트 신호 발생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크로스토크 소거 회로는, 상기 테스트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소거 신호 및 상기 제2 소거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트림 설정(trim setting)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증폭기 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토크 소거 회로는, 상기 증폭기 회로의 구성 모드 동안 상기 제1 증폭기를 인에이블시키고 상기 제2 증폭기를 디스에이블시키도록 구성된 구성 컨트롤러와, 상기 제1 소거 신호를 상기 제2 증폭기의 출력에서 수신된 처리된 테스트 신호에 대해 비교하도록 구성된 비교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증폭기가 상기 테스트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증폭기 회로.
  6. 제1 부하에 접속된 제1 증폭기를 인에이블시키는 단계;
    도전성 귀환 경로를 상기 제1 부하와 공유하고 있는 제2 부하에 접속된 제2 증폭기를 디스에이블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증폭기의 입력에서 테스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증폭기의 출력에서 테스트 신호의 제1 표시(representation)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증폭기의 출력에 접속된 트림 임피던스에서 테스트 신호의 제2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크로스토크 소거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테스트 신호의 제1 표시와 상기 테스트 신호의 제2 표시를 비교하는 단계; 및
    제1 트림 임피던스와 상기 제2 증폭기의 출력에 접속된 제2 트림 임피던스를, 상기 테스트 신호의 제1 표시가 실질적으로 상기 테스트 신호의 제2 표시와 동일하게 될 때까지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테스트 신호의 제1 표시가 상기 테스트 신호의 제2 표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될 때까지 트림 임피던스의 트림 값(trim value)을 증분(increment)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테스트 신호의 제1 표시가 상기 테스트 신호의 제2 표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될 때까지 제2 트림 임피던스의 트림 값을 증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테스트 신호의 제1 표시와 상기 테스트 신호의 제2 표시를 비교하기 전에 일정 기간의 시간을 지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테스트 신호의 제1 표시가 상기 테스트 신호의 제2 표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될 때까지 이진 가중 탐색 루틴(binary weighted search routine)에 따라 제1 트림 임피던스 및 제2 트림 임피던스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는, 실질적으로 들을 수 없는 테스트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20038599A 2011-04-15 2012-04-13 증폭기 크로스토크 소거 기술 KR1018318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75810P 2011-04-15 2011-04-15
US61/475,810 2011-04-15
US13/272,021 2011-10-12
US13/272,021 US8831230B2 (en) 2011-04-15 2011-10-12 Amplifier crosstalk cancellation techn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685A true KR20120117685A (ko) 2012-10-24
KR101831843B1 KR101831843B1 (ko) 2018-04-04

Family

ID=47005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599A KR101831843B1 (ko) 2011-04-15 2012-04-13 증폭기 크로스토크 소거 기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831230B2 (ko)
KR (1) KR101831843B1 (ko)
CN (2) CN20266353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31230B2 (en) 2011-04-15 2014-09-09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Amplifier crosstalk cancellation techniqu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61133B2 (en) * 2013-06-24 2015-10-13 Sony Corporation Crosstalk reduction in a headset
US9936317B2 (en) * 2014-10-31 2018-04-03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Audio crosstalk calibration switch
US10015578B2 (en) * 2014-11-19 2018-07-03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Remote ground sensing for reduced crosstalk of headset and microphone audio signals
CN109842836B (zh) * 2017-11-27 2021-06-15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消除音频信号播放通路之间串扰的方法、电路及设备
WO2021000121A1 (zh) * 2019-06-29 2021-01-07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驱动器及移动终端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6446B2 (ja) * 1991-08-20 2000-03-06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
US7925030B2 (en) * 2006-07-08 2011-04-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rosstalk cancellation using load impedence measurements
JP4929960B2 (ja) 2006-10-06 2012-05-09 ソニー株式会社 オーディオ再生装置、計測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音漏れ低減調整方法
US8831230B2 (en) * 2011-04-15 2014-09-09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Amplifier crosstalk cancellation techniqu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31230B2 (en) 2011-04-15 2014-09-09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Amplifier crosstalk cancellation techniq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62230A1 (en) 2012-10-18
CN102739176B (zh) 2015-06-10
CN202663530U (zh) 2013-01-09
CN102739176A (zh) 2012-10-17
KR101831843B1 (ko) 2018-04-04
US8831230B2 (en) 2014-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7685A (ko) 증폭기 크로스토크 소거 기술
KR102105315B1 (ko) 검출 회로
US9794669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headphone speaker impedance detection
CN107112965B (zh) 用动态范围增强来减少音频系统中的音频伪迹的系统及方法
KR101155161B1 (ko) 오디오 장치의 출력 오프셋 억제
US9936317B2 (en) Audio crosstalk calibration switch
US10015578B2 (en) Remote ground sensing for reduced crosstalk of headset and microphone audio signals
EP3047570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on of load impedance of a transducer device coupled to an audio device
US10045124B2 (en) Crosstalk mitigation
KR101710174B1 (ko) 통합 헤드셋의 크로스토크 감소 방법 및 장치
US20100315097A1 (en) Amplifier circuit
US10063249B2 (en) Audio circuit for suppressing DC shock noise
CN110692195A (zh) 控制信号路径的噪声传递函数以减少电荷泵噪声
US9306504B2 (en) Waveform shaping for audio amplifiers
CN110582940B (zh) 全差分电流数模转换器
US9225294B2 (en) Amplifier with improved noise reduction
US8744094B2 (en) Electronic device with increased immunity to audio noise from system ground currents
CN108632696B (zh) 一种fm耳机座电路、音频终端及其控制方法
EP2515434B1 (en) Electronic device with increased immunity to audio noise from system ground currents
US958408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upply-based gain control of an audio output signal
US10141902B1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generating output signal based on detected load resistance value
US9313592B2 (en) Electronic device adapted for detecting a vehicle audio system
JP2004328320A (ja) オーディオア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