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7261A - 차량용 무선전력전송기 - Google Patents
차량용 무선전력전송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17261A KR20120117261A KR1020110034912A KR20110034912A KR20120117261A KR 20120117261 A KR20120117261 A KR 20120117261A KR 1020110034912 A KR1020110034912 A KR 1020110034912A KR 20110034912 A KR20110034912 A KR 20110034912A KR 20120117261 A KR20120117261 A KR 201201172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rget device
- wireless power
- charging target
- power
- power transmit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8—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y inductive energy transfe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무선전력전송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전력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에서도 충전대상기기의 장착이나 결합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동작 등을 위해 내부 회로 구동 및 전력 소비가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대기전력이 최소화될 수 있는 차량용 무선전력전송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충전대상기기의 무접점 충전을 위하여 충전대상기기의 2차 코일과의 유도결합에 의해 충전 전력을 무선 전송하는 1차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무선전력전송기에 있어서, 충전시 충전대상기기가 결합되는 결합부에 충전대상기기를 검출하기 위한 기기검출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기기검출수단을 통해 검출되는 충전대상기기의 결합 유/무에 따라 전력 전송 작동이 온/오프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선전력전송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무선전력전송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 전력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에서도 충전대상기기의 결합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동작 등을 위해 내부 회로 구동 및 전력 소비가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대기전력이 최소화될 수 있는 차량용 무선전력전송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외부의 전력으로 배터리를 충전하여 사용하는 전기기기, 예컨대 휴대폰이나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내비게이션 등과 같은 이동단말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이동단말기의 사용 증가로 인하여 이동단말기의 사용과 관련된 주변 환경이 차량과 같은 동적인 공간까지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차량 내에서도 간편히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차량 내 배터리 충전시 충전기와 단말기(또는 배터리)의 전기적 연결방식으로는 차량 전원에 연결된 충전기를 접촉단자 또는 케이블을 통해 단말기에 연결하여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방식이 있다.
이 중에서 충전기와 단말기에 접촉단자를 구비하는 단자공급방식에서는 습기에 노출될 경우 충전에너지가 소실되거나, 접촉/분리시 순간방전현상으로 인해 화재 발생의 우려가 있고, 접촉불량에 의해 충전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도 발생한다.
따라서, 접촉단자를 구성하지 않고 무선 전력 전송방식을 이용하는 무접점 방식의 충전시스템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무접점 방식의 충전시스템은 차량 전원에서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무선 전송방식으로 공급하는 무선전력전송기(충전기)와, 무선전력전송기에서 전기에너지를 전송받는 단말기 측의 무선전력수신기를 포함한다.
특히, 무접점 방식의 일례로서 유도결합에 의한 충전방식이 알려지고 있는데, 이는 무선전력전송기가 되는 충전기에 1차 코일(전력전송코일이 됨)을 구비하고 단말의 무선전력수신기에 2차 코일(유도코일, 전력수신코일이 됨)을 구비하여, 단말기가 충전기에 접근할 경우 1차 코일과 2차 코일 간 유도결합에 의해 단말기가 충전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러한 무선 전력 전송방식은 단자공급방식이 가지는 여러 문제점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는 있으나, 차량 적용을 위해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남아있는 것이 현실이다.
예컨대, 전력 상황이 제한된 차량에서 무선전력전송기는 차량의 연비 등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높은 에너지 효율이 요구됨과 동시에 대기시 소비전류도 극소화시켜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즉 종래의 차량용 무선전력전송기는 무선전력수신기가 내장된 충전대상기기의 결합을 확인하기 위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지속적인 검출 동작을 실행해야 한다.
이로 인해 무선 전력 전송(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에서도 무선전력전송기의 전반적인 회로가 계속해서 구동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무선전력전송기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전원회로부(110)는 외부(차량 전원)에서 공급되는 직류전압을 내부 회로에서 필요로 하는 전압으로 변환하여 각 회로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검출 동작을 위해 각 회로에 전력을 공급해야 하므로 전력 전송시가 아닌 상황에서도 상시 운용된다.
코일구동회로부(130) 및 1차 코일(코일 안테나)(131)은 무선 전력을 공간으로 방사하는 실질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부로서, 코일구동회로부(130)는 전원회로부(110)를 통해 공급받은 전력을 1차 코일(131)에 전달하여 충전대상기기(도시하지 않음)의 2차 코일(도시하지 않음)에 전송되도록 1차 코일을 구동시키며, 1차 코일은 2차 코일과 중첩된 상태에서 유도결합에 의해 전력을 무선 전송하게 된다.
제어회로부(120)는 마이컴과 그 주변회로로 구성되며, 코일구동회로부(130)의 구동 및 전력 전송 등 무선전력전송기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부이다.
또한 전류검출부(140)와 전압검출부(150)는 1차 코일(131)에서 소모되는 전류와 전압을 검출함과 동시에 충전대상기기의 무선전력수신기에서 보내오는 ID 코드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ID 복조회로부(160)는 수신된 ID 코드를 복조하여 제어회로부(12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의 무선전력전송기(100)에서는 무선전력수신기의 결합 후 최단 시간 내에 전력 전송이 개시될 수 있도록 무선전력수신기의 결합을 상시 검출해야 하는데, 이때 제어회로부(120)는 코일구동회로(130) 및 1차 코일(131)을 주기적으로 구동하여 무선전력수신기가 존재할 경우와 없는 경우의 전압 및 전류 변화를 모니터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전원회로부(110)가 회로 전반에 전원을 계속적으로 공급해야 하고, 결국 전력 전송이 필요없는 상황에서도 대기전류가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종래 전력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에서도 충전대상기기의 결합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동작 등을 위해 내부 회로 구동 및 전력 소비가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대기전력이 최소화될 수 있는 차량용 무선전력전송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충전대상기기의 무접점 충전을 위하여 충전대상기기의 2차 코일과의 유도결합에 의해 충전 전력을 무선 전송하는 1차 코일을 구비한 차량용 무선전력전송기에 있어서, 충전시 충전대상기기가 결합되는 결합부에 충전대상기기를 검출하기 위한 기기검출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기기검출수단을 통해 검출되는 충전대상기기의 결합 유/무에 따라 전력 전송 작동이 온/오프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선전력전송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기기검출수단은 결합부에서 충전대상기기가 결합 또는 분리됨에 따라 온/오프 동작되어서 전력 전송 작동을 위한 전원의 공급/차단을 수행하는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는 전력 전송 작동을 위한 외부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입력단의 회로를 개폐하도록 연결되어 온/오프 동작시 내부로 공급되는 외부 전원의 입력과 차단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는 결합부에 결합되는 충전대상기기에 의해 가동단자가 눌려지거나 누름 해제되면서 고정단자와의 접점이 개폐되는 기계식 접점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기기검출수단은 방출되는 빛이 충전대상기기에 의해 차단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에서 방출되는 빛을 검출하여 충전대상기기의 결합 유/무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기검출수단은 결합부에 결합된 충전대상기기에 의해 외부의 빛이 차단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고 외부의 빛을 검출하여 충전대상기기의 결합 유/무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차량용 무선전력전송기에서는 전원 공급이 불필요한 수동 부품이면서 충전대상기기의 탈/장착시 물리적으로 반응하도록 구성된 기계식 접점 스위치가 전원 입력단에 구비됨으로써, 충전하지 않을 경우 스위치 오프 상태에서 내부로의 전원 입력을 차단할 수 있는바, 내부 회로에서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대기전력을 극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충전대상기기의 결합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회로 및 로직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구성이 단순해지고, 이에 제작 원가의 절감 및 내부 회로의 소비 전류 감소 등 여러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무선전력전송기는 전력 전송시에만 전원이 투입되고 동작되므로 전자파 등 인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 최소화될 수 있고, 동작상의 안전성을 종래에 비해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충전대상기기의 결합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기계식 접점 스위치를 사용하여 내부 회로와 격리된 단순한 회로로 구성되므로 전자파 장애 등 외부 영향으로 인한 오동작의 가능성이 거의 없다.
도 1은 종래의 무선전력전송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기의 구성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기검출수단으로서 설치되는 전원제어스위치의 작동상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무선전력전송기에서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지는 기기검출수단을 채용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서 발광부와 수광부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무선전력전송기에서 수광부만으로 이루어지는 기기검출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기의 구성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기검출수단으로서 설치되는 전원제어스위치의 작동상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무선전력전송기에서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지는 기기검출수단을 채용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서 발광부와 수광부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무선전력전송기에서 수광부만으로 이루어지는 기기검출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 내에서 전원을 공급하는 접점 없이 무접점 방식으로 휴대폰 등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무선전력전송기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탑재된 본 발명의 무선전력전송기로부터 단말기의 무선전력수신기로 전자기 유도방식에 의해 전력이 무선 전송됨으로써 무접점 충전이 구현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 전력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에서도 충전대상기기(휴대폰 등 단말기)의 결합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동작 등을 위해 내부 회로 구동 및 전력 소비가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대기전력이 최소화될 수 있는 무선전력전송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충전시가 아닌 대기 상황(충전대상기기가 무선전력전송기와 결합되지 않은 상황)에서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전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무선전력전송기는 충전을 위해 충전대상기기가 결합되는 결합부에 충전대상기기를 검출하기 위한 기기검출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기기검출수단을 통해 검출되는 충전대상기기의 결합 유/무에 따라 전력 전송 작동이 온/오프될 수 있도록 한 것에 주된 특징이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기의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전력전송기(100)는, 전원회로부(110), 제어회로부(120), 코일구동회로부(130) 및 1차 코일(코일 안테나)(131) 등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을 수행하는 통상의 내부 회로 구성과 더불어, 충전대상기기(10)의 결합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기기검출수단(170)을 추가로 포함한다.
여기서, 기기검출수단(170)은 충전대상기기(10)가 결합되는 결합부(101)에 설치되어 충전대상기기(10)의 결합시 온(on) 되고 분리시 오프(off)되는 스위치(171)가 될 수 있으며, 이 스위치(171)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무선전력전송기(100)의 내부 회로에 대해서 전력 전송을 위한 전원의 공급과 차단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스위치(171)가 설치되는 위치는 무선전력전송기(100)에서 충전대상기기(10)가 접촉될 수 있는 결합부 위치이나, 회로상으로는 스위치(171)가 외부로부터 전력 전송 작동을 위한 전원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전원입력단의 회로를 개폐하도록 연결되어, 온/오프 동작시 무선전력전송기(100) 내부로 공급되는 외부 전원의 입력과 차단을 수행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전력전송기(100) 내에서 기기검출수단(170)이 전원회로부(110) 전단의 전원입력단에 설치됨을 볼 수 있다.
이에 스위치(171)는 온/오프 동작됨에 따라 무선전력전송기(100)로의 전원 입력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전원제어스위치(171)가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전원제어스위치(171)는 전원 공급이 불필요한 수동형 스위치이면서, 충전대상기기(10)의 결합 유/무, 즉 충전대상기기(10)가 무선전력전송기(100)에 결합 또는 분리됨에 따라 온/오프 동작되는 기계식 접점 스위치(171)가 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기검출수단으로서 설치되는 전원제어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제어스위치(171)는 충전대상기기(10)의 결합시 온(on) 동작될 수 있도록 충전대상기기(10)가 결합되는 결합부(101)의 저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전원제어스위치(17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대상기기(10)가 결합될 경우 충전대상기기에 의해 눌려진 가동단자(172)가 고정단자(173)에 접촉되면서 온(on) 되는 기계식 접점 스위치 구조를 갖는다.
물론 전원제어스위치(171)는 무선전력전송기(100)로부터 충전대상기기(10)가 분리된 상태일 경우 오프 상태가 되는데, 충전대상기기(10)의 누름 상태가 해제되면 가동단자(172)가 고정단자(173)로부터 자동으로 분리되면서 오프 상태가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충전대상기기(10)의 누름이 해제될 때 가동단자(172)가 탄성 복원되면서 회로를 열도록 구비되어야 하며, 따라서 가동단자(172) 자체가 탄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되거나, 가동단자(172)의 회전중심부에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가동단자(172)와 무선전력전송기(100)의 외측면(결합부의 외측면이 됨) 사이에 설치되어, 충전대상기기(10)에 의해 가동단자(172)가 눌려질 때 변형된 뒤(고정단자와 접촉되어 온 됨), 누름 해제시 가동단자(172)를 오프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르면, 충전대상기기(10)가 분리될 경우 가동단자(172)와 고정단자(173) 간 접점이 열리면서 전원제어스위치(171)가 오프되고, 이에 무선전력전송기(100)로의 전원 공급이 완전히 차단되는바, 전원회로부(110)가 오프된 상태가 되어 무선전력전송기(100) 내 회로 전반의 전원이 완전히 차단되게 된다.
이에 따라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대기 상태에서 불필요하게 전류가 소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전자파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반면, 충전을 위해 충전대상기기(10)가 결합될 경우 전원제어스위치(171)의 접점은 닫히게 되고, 이에 무선전력전송기(100)의 전원회로부(110)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전원회로부(110)가 각 구성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또한 제어회로부(120)는 전원제어스위치(171)의 온 신호로부터 무선 전력 전송 제어를 진행하게 되며, 이때 제어상 전압검출부(150)와 ID 복조회로부(160)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들 구성부는 충전대상기기(10)의 탈/장착을 검출하기 위해 전원제어스위치(171)가 구비되므로 무선전력전송기(100)에서 삭제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전압검출부(150)와 ID 복조회로부(160)가 삭제될 경우 회로 구성이 간단해지면서 부품수 축소, 원가 절감, 에너지 효율 향상 등의 여러 이점이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무선전력전송기에서는 전원 공급이 불필요한 수동 부품이면서 충전대상기기의 탈/장착시 물리적으로 반응하도록 구성된 기계식 접점 스위치가 전원 입력단에 구비됨으로써, 충전하지 않을 경우 스위치 오프 상태에서 내부로의 전원 입력을 차단할 수 있는바, 내부 회로에서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대기전력을 극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충전대상기기의 결합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회로 및 로직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구성이 단순해지고, 이에 제작 원가의 절감 및 내부 회로의 소비 전류 감소 등 여러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무선전력전송기는 전력 전송시에만 전원이 투입되고 동작되므로 전자파 등 인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 최소화될 수 있고, 동작상의 안전성을 종래에 비해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충전대상기기의 결합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기계식 접점 스위치를 사용하여 내부 회로와 격리된 단순한 회로로 구성되므로 전자파 장애 등 외부 영향으로 인한 오동작의 가능성이 거의 없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무선전력전송기(100)에서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지는 기기검출수단(170)을 채용한 구성도로서, 발광부(174)와 수광부(175)의 설치상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전력전송기(100)의 외부, 예컨대 충전대상기기(10)가 결합되는 결합부(101)의 양측에 발광부(174)와 수광부(175)가 각각 설치되고, 이때 발광부(174)에서 방출되는 빛을 수광부(175)가 입력받을 수 있도록 발광부(174)와 수광부(175)가 서로 대향된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충전대상기기(10)가 무선전력전송기(100)의 결합부(101)에 결합된 상태일 경우 발광부(174)에서 방출된 빛이 충전대상기기(10)에 의해 차단되어 수광부(175)에 도달되지 않도록 발광부(174)와 수광부(175)의 위치가 설정되는데, 예컨대 충전을 위해 충전대상기기(10)가 삽입되는 결합부(101)의 일 측면부에는 발광부(174)가, 타 측면부에는 수광부(17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174)와 수광부(175)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원회로부(110)와 제어회로부(120)에 연결되며, 전원회로부(110)로부터 빛을 방출하기 위한 작동 전원을 공급받으면서 제어회로부(120)에 검출에 따른 신호(충전대상기기의 결합 유/무에 따른 신호)를 입력하게 된다.
즉 발광부(174)가 전원회로부(110)로부터 작동 전원을 공급받도록 연결되고, 수광부(175)가 충전대상기기(10)의 검출에 따른 신호를 입력하도록 전원회로부(110) 및 제어회로부(120)에 연결되는 것이다.
이에 충전대상기기(10)가 무선전력전송기(100)에 결합될 경우, 발광부(174)의 빛이 차단되면서 수광부(175)를 통해 충전대상기기(10)의 결합이 검출되고, 이에 검출신호를 입력받은 전원회로부(110)와 제어회로부(120)가 작동되는바, 코일구동회로부(130) 및 1차 코일(131)이 구동되면서 충전을 위한 무선 전력 전송이 수행되게 된다.
반면, 충전대상기기(10)가 분리될 경우, 발광부(174)의 빛이 수광부(175)에 입력되면서 충전대상기기(10)의 분리상태(결합 무 상태)가 검출되고, 이에 분리상태에 따른 신호가 전원회로부(110)와 제어회로부(120)에 입력되면서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작동은 중지되게 된다.
이와 같이 발광부(174)와 수광부(175)를 채용한 경우에도 충전대상기기(10)의 결합 유/무를 검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발광부(174)를 상시 작동시키기 위한 전력이 소비될 수 있으나, 종래와 같이 제어회로부가 코일구동회로부 및 1차 코일을 주기적으로 구동시켜 무선전력수신기가 존재할 경우와 없는 경우의 전압 및 전류 변화를 모니터하는 경우에 비해 적은 전력을 소비하게 된다.
즉 전력을 소비하는 발광부(174)와 수광부(175)를 채용하더라도 종래에 비해서는 대기전력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발광부(174)가 삭제되고 수광부(175)만으로도 충전대상기기(10)의 검출이 가능하며, 도 6은 본 발명의 무선전력전송기(100)에서 수광부(175)만으로 이루어지는 기기검출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전력전송기(100)의 외부에 외부 빛을 검출하기 위한 수광부(175)를 설치하는데, 이때 수광부(175)는 충전을 위해 결합된 충전대상기기(10)에 의해 빛이 가려지는 위치에 설치된다.
예컨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전력전송기(100)에서 충전대상기기(10)가 놓여지는 결합부(101)의 저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수광부(175)는 복수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충전을 위해 충전대상기기(10)가 무선전력전송기(100)와 결합되면 수광부(175)에서 검출되던 빛이 차단되면서 충전대상기기(10)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원회로부(110)와 제어회로부(120)가 입력받게 되고, 이에 전력 전송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충전대상기기(10)가 분리되면 수광부(175)는 다시 외부의 빛을 검출하게 되며, 이에 충전대상기기(10)의 분리상태(결합 무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원회로부(110)와 제어회로부(120)가 입력받게 되어 전력 전송 작동이 중지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 : 충전대상기기 100 : 무선전력전송기
101 : 결합부 110 : 전원회로부
120 : 제어회로부 130 : 코일구동회로부
131 : 1차 코일 140 : 전류검출부
150 : 전압검출부 160 : ID 복조회로부
170 : 기기검출수단 171 : 스위치(전원제어스위치)
172 : 가동단자 173 : 고정단자
174 : 발광부 175 : 수광부
101 : 결합부 110 : 전원회로부
120 : 제어회로부 130 : 코일구동회로부
131 : 1차 코일 140 : 전류검출부
150 : 전압검출부 160 : ID 복조회로부
170 : 기기검출수단 171 : 스위치(전원제어스위치)
172 : 가동단자 173 : 고정단자
174 : 발광부 175 : 수광부
Claims (6)
- 충전대상기기(10)의 무접점 충전을 위하여 충전대상기기(10)의 2차 코일과의 유도결합에 의해 충전 전력을 무선 전송하는 1차 코일(131)을 구비한 차량용 무선전력전송기에 있어서,
충전시 충전대상기기(10)가 결합되는 결합부(101)에 충전대상기기(10)를 검출하기 위한 기기검출수단(170)이 설치되어, 상기 기기검출수단(170)을 통해 검출되는 충전대상기기(10)의 결합 유/무에 따라 전력 전송 작동이 온/오프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선전력전송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기검출수단(170)은 결합부(101)에서 충전대상기기(10)가 결합 또는 분리됨에 따라 온/오프 동작되어서 전력 전송 작동을 위한 전원의 공급/차단을 수행하는 스위치(17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선전력전송기.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171)는 전력 전송 작동을 위한 외부 전원이 입력되는 전원입력단의 회로를 개폐하도록 연결되어 온/오프 동작시 내부로 공급되는 외부 전원의 입력과 차단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선전력전송기.
-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171)는 결합부(101)에 결합되는 충전대상기기(10)에 의해 가동단자(172)가 눌려지거나 탄력적으로 누름 해제되면서 고정단자(173)와의 접점이 개폐되는 기계식 접점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선전력전송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기검출수단(170)은 방출되는 빛이 충전대상기기(10)에 의해 차단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 발광부(174)와, 상기 발광부(174)에서 방출되는 빛을 검출하여 충전대상기기(10)의 결합 유/무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부(17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선전력전송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기검출수단(170)은 결합부(101)에 결합된 충전대상기기(10)에 의해 외부의 빛이 차단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고 외부의 빛을 검출하여 충전대상기기(10)의 결합 유/무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부(17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선전력전송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4912A KR20120117261A (ko) | 2011-04-15 | 2011-04-15 | 차량용 무선전력전송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4912A KR20120117261A (ko) | 2011-04-15 | 2011-04-15 | 차량용 무선전력전송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17261A true KR20120117261A (ko) | 2012-10-24 |
Family
ID=47285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34912A KR20120117261A (ko) | 2011-04-15 | 2011-04-15 | 차량용 무선전력전송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117261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218193B2 (en) | 2014-07-29 | 2019-02-26 | Nicoventures Holdings Limited | E-cigarette and re-charging pack |
KR20210058154A (ko) * | 2019-11-13 | 2021-05-24 | 모트랩 (주) | 차량 내 무선충전기 |
KR102415467B1 (ko) * | 2021-06-23 | 2022-06-30 |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 전기차용 무선 충전 장치 |
-
2011
- 2011-04-15 KR KR1020110034912A patent/KR2012011726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218193B2 (en) | 2014-07-29 | 2019-02-26 | Nicoventures Holdings Limited | E-cigarette and re-charging pack |
US10536013B2 (en) | 2014-07-29 | 2020-01-14 | Nicoventures Holdings Limited | E-cigarette and re-charging pack |
US10873196B2 (en) | 2014-07-29 | 2020-12-22 | Nicoventures Holdings Limited | E-cigarette and re-charging pack |
US11811027B2 (en) | 2014-07-29 | 2023-11-07 |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 E-cigarette and re-charging pack |
US12095052B2 (en) | 2014-07-29 | 2024-09-17 |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 E-cigarette and re-charging pack |
KR20210058154A (ko) * | 2019-11-13 | 2021-05-24 | 모트랩 (주) | 차량 내 무선충전기 |
KR102415467B1 (ko) * | 2021-06-23 | 2022-06-30 |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 전기차용 무선 충전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611383B2 (ja) | 近距離の無線電力受信装置及び方法 | |
US9191075B2 (en) | Wireless power control method, system, and apparatus utilizing a wakeup signal to prevent standby power consumption | |
JP6192028B2 (ja) | 非接触充電システム | |
JP4494426B2 (ja) | 送電制御装置、受電制御装置、無接点電力伝送システム、送電装置、受電装置および電子機器 | |
JP5790434B2 (ja) | 電子機器、充電制御方法、充電システム、並びにデータ転送システム | |
CN201766418U (zh) | 可携式电力供应装置 | |
US9130380B2 (en) | Contactless power transmitting system having overheat protection function and method thereof | |
JP6116832B2 (ja) | 非接触充電システム | |
CN110402517B (zh) | 电池组 | |
US8912752B2 (en) |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tilizing antenna for power charging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having the same | |
CN103875160B (zh) | 馈电单元和馈电系统 | |
CN108539806B (zh) | 控制装置、受电装置和电子设备 | |
US20120104855A1 (en) |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 |
JP2013513350A (ja) | 電源から誘導電力アウトレットへの接続を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 |
JP5963007B2 (ja) | 充電システム、電子機器、充電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KR101601153B1 (ko) | 무선전력 전송 및 충전 기술을 이용한 락킹시스템 | |
KR102045085B1 (ko) | 다수의 외부 장치에 유선으로 전원공급이 가능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 | |
KR20120117261A (ko) | 차량용 무선전력전송기 | |
US20110241602A1 (en) | Power supply device | |
KR101973406B1 (ko) |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송수신 방법 | |
CN106300496B (zh) | 电子设备以及电子设备的电池连接方法 | |
KR20090117295A (ko) | 무접점겸용충전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
US20190115782A1 (en) | Wireless charging system | |
CN103001657A (zh) | 一种计算机无线遥控装置的无线接收模块供电电路 | |
GB2571357A (en) | Wireless charging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