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7204A - Apparatus of freeze preven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of freeze preven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7204A
KR20120117204A KR1020110034811A KR20110034811A KR20120117204A KR 20120117204 A KR20120117204 A KR 20120117204A KR 1020110034811 A KR1020110034811 A KR 1020110034811A KR 20110034811 A KR20110034811 A KR 20110034811A KR 20120117204 A KR20120117204 A KR 20120117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 water
discharge
pipe
discharg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8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08426B1 (en
Inventor
이경희
Original Assignee
(주)수도프리미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수도프리미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수도프리미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10034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426B1/en
Publication of KR20120117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2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4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25Taps specially designed for outdoor use, e.g. wall hydrants, sill cocks
    • E03B9/027Taps specially designed for outdoor use, e.g. wall hydrants, sill cocks with features preventing frost dam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0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volume variations caused by an element soluble in a fluid or swelling in contact with a flu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uel Cell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PURPOSE: A freeze protection device is provided to prevent the freeze burst of a discharge pipe body by preventing the freeze of discharged tap water. CONSTITUTION: A freeze protection device comprises a connection pipe(10), a discharge hose(20), a discharge module(30), and a discharge pipe(40). The connection pipe is connected to a tap water pipe(50) and a tap(60). The discharge hos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and discharges tap water filled in the connection pipe. The discharge module prevents the freeze burst of discharge pipe by discharging tap water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tap water. The discharge pipe is filled with the tap water and the discharge hose is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ipe.

Description

동파방지 장치{Apparatus of freeze prevention}Apparatus of freeze prevention

본 발명은 동파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도관의 동파 방지를 위하여 배출되는 수돗물의 동결에 의해 배출관이 동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동파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eeze protec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reeze protection device for preventing freezing of the discharge pipe by freezing tap water discharged for freezing of the water pipe.

일반적으로 수돗물이 얼게 되면 부피가 증가하며, 동절기의 낮은 기온에 의하여 수도 배관의 내부에 수용된 수돗물이 동결되면 부피의 증가로 인하여 수도관에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동파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장치 및 방법 등이 사용되어 왔다.In general, when the tap water is frozen, the volume increases, and when the tap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pipe is frozen due to the low temperature of the winter season, the water pipe is cracked due to the increase of the volume. Various devices and methods have been used to prevent such freezing.

가장 손쉬운 방법은 외부로 노출된 수도관을 스티로폼 등의 단열재로 감싸는 것으로, 이러한 방법은 별도의 발열장치가 없으므로 기온이 매우 낮아지는 경우에 수돗물이 얼게 되어 수도관이 동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티로폼 등의 단열재의 특성상 내구성이 매우 떨어지므로, 비바람 등의 외부환경에 의하여 손상되기 쉬워 단열효과를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easiest way is to wrap the water pipe exposed to the outside with insulation such as styrofoam, this method has a problem that the water pipe freezes when the temperature is very low because there is no separate heating device. In addition, since the durability of the insulation material such as styrofoam is very poor, there is a problem that is easily damag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rain and wind to not properly exhibit the thermal insulation effect.

다른 방법으로 낮은 기온으로 인해 수도관 내에 수용된 수돗물이 얼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수도 밸브를 인위적으로 개방하여 수돗물이 지속적으로 배수되도록 하여 수도관이 동파하는 것을 방지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동파를 미리 예상하여 수동으로 밸브를 조작하여야 하므로 사용상에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기온을 정확하게 예측하지 못한 경우에는 불필요한 물을 낭비하게 되거나 제때에 밸브를 개방하지 못하여 수도관이 동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lternatively, if low temperatures are expected to freeze the tap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pipes, the water valves are artificially opened to allow the tap water to continue draining to prevent freezing of the water pipes. This method has a very inconvenient problem in use because it requires manual operation of the valve in anticipation of freezing waves, and when the temperature is not accurately predicted, unnecessary water is wasted or the valve cannot be opened on time and the water pipe freezes. There was thi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온도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하는 조절부를 이용하여 온도에 따라 배수되는 수돗물의 흐름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상기 방법을 도시한 도 4, 5에 의하면, 조절부(33)의 동작 상태에 따라 배출되는 수돗물은 별도로 구비된 배출관(40)을 통해서 배출되며, 상기 수돗물은 지속적으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간헐적으로 배출되므로, 상기 수돗물이 동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method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flow of tap water drained according to temperature using a control unit contracting or expanding according to temperature has been proposed. 4 and 5 showing the method, the tap water discharg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ntrol unit 33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40 provided separately, the tap water is discharged intermittently rather than continuously discharged. Therefor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tap water is frozen.

즉, 외부 온도가 수돗물의 동결 온도 이하인 경우에는 배출관(40) 내부의 온도도 수돗물의 동결 온도 이하로 되며, 이러한 배출관(40) 내부에서 수돗물이 간헐적으로 흐르게 되면, 수돗물이 동결되고 이로 인해 배출관(40)이 동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when the external temperature is below the freezing temperature of the tap water, the temperature inside the discharge pipe 40 is also lower than the freezing temperature of the tap water. 40) There was a problem of freezing.

또한, 조절부(33)를 구비한 배출모듈(30)은 수돗물이 유입되는 수도관(50)과 수돗물이 배출되는 수도꼭지(60)의 사이에 설치되어, 수도관(50)에서 유입되는 수돗물만을 흐르게 하여 수도관(50)이 동파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수도꼭지(60)에 수용된 수돗물을 흐르게 하지 못하므로 수도꼭지(60)에 수용된 수돗물이 동결되어 수도꼭지(60) 자체가 동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discharge module 30 having the control unit 33 is installed between the tap water 50 to which tap water is introduced and the tap 60 to which tap water is discharged, so that only tap water flowing from the water pipe 50 flows. By preventing the water pipe 50 from freezing, the tap water contained in the faucet 60 is frozen because the tap water contained in the faucet 60 is frozen and the faucet 60 itself freezes.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수도관의 동파 방지를 위하여 배출되는 수돗물의 동결에 의해 배출관이 동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동파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reeze protection device for preventing freezing of the discharge pipe by freezing the tap water discharged for freezing of the water pipe.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수도관의 동파 방지를 위하여 배출되는 수돗물을 수도꼭지의 밸브까지 흐르도록 유도하여 수도꼭지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동파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reeze protection device for preventing the freeze of the faucet by inducing the tap water discharged for the freeze prevention of the water pipe to the valve of the faucet.

동파방지 장치는, 일단은 수돗물이 유입되는 수도관과 연결되고 타단은 유입된 수돗물이 배출되는 수도꼭지와 연결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관에 유입된 수돗물을 배출하는 배출호스; 상기 배출호스에서 유입된 수돗물을 온도에 따라 배출하여 상기 수도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배출모듈; 및 상기 배출모듈에서 배출된 수돗물이 유입되며, 유입된 수돗물의 동결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측에 상기 배출호스가 삽입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reeze protection devic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water pipe to which the tap water is introduced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tap connected to the tap water is discharged; A discharge hos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to discharge tap water introduced into the connection pipe; A discharge module for discharging tap water introduced from the discharge hose according to temperature to prevent freezing of the water pipe; And a discharge pipe into which the tap wate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module is introduced and the discharge hose is inserted inside to prevent freezing of the introduced tap water.

상기 연결관은, 상기 수도관에서 유입된 수돗물이 상기 수도꼭지의 밸브를 거쳐 상기 배출호스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유도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ng pipe further includes a guide plate for inducing tap water introduced from the water pipe to flow through the valve of the faucet to the discharge hose.

또한, 상기 배출모듈은, 상기 배출호스로부터 수돗물이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에서 유입된 수돗물이 배출되는 배출구; 및 외부 온도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하여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수돗물의 흐름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charge module, the inlet through which tap water is introduced from the discharge hose; An outlet for discharging tap water introduced from the inlet; And an adjusting unit configured to adjust the flow of the tap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by shrinking or expanding according to an external temperature.

또한, 상기 조절부는, 외부 온도가 수돗물의 동결 온도 이하인 경우에 수축하여 상기 배출구를 통해 수돗물이 배출되도록 하고, 외부 온도가 수돗물의 동결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팽창하여 상기 배출구를 통해 수돗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ontracts when the external temperature is below the freezing temperature of the tap water so that the tap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and expands when the external temperature exceeds the freezing temperature of the tap water so that the tap water is not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It is characterized by not to.

또한, 상기 연결관은, 상기 수도관과 연결되어, 내부로 수돗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제1연결구; 상기 수도꼭지와 연결되어, 유입된 수돗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제2연결구; 상기 배출호스와 연결되어, 유입된 수돗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제3연결구; 및 상기 배출모듈과 연결되며, 유입된 수돗물이 상기 배출모듈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막음판이 형성되는 제4연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pipe is connected to the water pipe, the first connector for allowing tap water to flow into the interior; A second connector connected to the faucet to allow the introduced tap water to be discharged; A third connector connected to the discharge hose to discharge the tap water introduced thereto; And a fourth connector connected to the discharge module, wherein a blocking plate is formed to prevent the inflow of tap water from flowing into the discharge module.

또한, 상기 배출관은, 상기 배출호스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charge pipe, the insertion hole for inserting the discharge hose; characterized in that is formed.

또한, 상기 배출호스는, 코일 형상으로 배출관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charge hos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ipe in the coil shape.

본 발명에 의하면, 항상 영상을 유지하는 배출호스를 배출관에 삽입함으로써 배출관 내부를 영상(零上)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수도관의 동파 방지를 위하여 배출관으로 배출되는 수돗물의 동결을 방지할 수 있고, 수돗물의 동결을 방지함으로써 배출관 자체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erting the discharge hose that always maintains the image into the discharge pipe can maintain the inside of the discharge pipe in the image, thereby preventing the freezing of the tap wate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ipe to prevent freezing of the water pipe By preventing the freezing of tap water, there is an advantage to prevent freezing of the discharge pipe itself.

또한, 수도관의 동파 방지를 위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수돗물을 수도꼭지의 밸브까지 흐르도록 유도하는 유도판을 구비함으로써, 수도꼭지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guide plate to guide the tap water discharged to the outside to the valve of the faucet to prevent the freezing of the water pip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the freezing of the faucet.

도 1은 본 발명인 동파방지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배출모듈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종래 동파방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eeze protection devic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ischarge module of FIG.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freeze protection devic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when any part of the specification is to "include" any component, which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excep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인 동파방지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 동파방지 장치는, 일단은 수돗물이 유입되는 수도관(50)과 연결되고 타단은 유입된 수돗물이 배출되는 수도꼭지(60)와 연결되는 연결관(10); 상기 연결관(10)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관(10)에 유입된 수돗물을 배출하는 배출호스(20); 상기 배출호스(20)에서 유입된 수돗물을 온도에 따라 배출하여 상기 수도관(50)의 동파를 방지하는 배출모듈(30); 및 상기 배출모듈(30)에서 배출된 수돗물이 유입되며, 유입된 수돗물의 동결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측에 상기 배출호스(20)가 삽입되는 배출관(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eeze protection device, freeze protection devic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water pipe 50 is introduced tap water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aucet 60 is discharged tap water is discharged Connector 10; A discharge hose 20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10 for discharging tap water introduced into the connection pipe 10; A discharge module 30 for discharging tap water introduced from the discharge hose 20 according to temperature to prevent freezing of the water pipe 50; And a discharge pipe 40 into which the tap wate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module 30 is introduced and in which the discharge hose 20 is inserted to prevent freezing of the introduced tap water.

상기 연결관(10)은 수도관(50)으로부터 유입된 수돗물을 수도꼭지(60)와 배출호스(20)로 흐르도록 하는 것으로, 티자(T) 형상이나 십자(+) 형상을 가진다. 예를 들어, 연결관(10)이 티자(T) 형상을 가지는 경우, 연결관(10)은 제1연결구(11), 제2연결구(12) 및 제3연결구(13)를 포함하며, 제1연결구(11)는 수도관(50)에 연결되어 수도관(50)으로부터 수돗물을 공급받고, 제2연결구(12)는 수도꼭지(60)에 연결되어 수도꼭지(60)를 통하여 수돗물이 배출되게 하고, 제3연결구(13)는 배출호스(20)에 연결되어 배출호스(20)를 통하여 수돗물이 배출되게 한다.The connection pipe 10 allows tap water introduced from the water pipe 50 to flow into the faucet 60 and the discharge hose 20, and has a T-shaped or cross-shaped shape. For example, when the connector 10 has a tee (T) shape, the connector 10 includes a first connector 11, a second connector 12, and a third connector 13. The first connector 11 is connected to the water pipe 50 to receive tap water from the water pipe 50, and the second connector 12 is connected to the faucet 60 so that the tap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faucet 60. Three connectors 13 are connected to the discharge hose 20 so that the tap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se (20).

또한, 연결관(10)이 십자(+) 형상을 가지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10)은 제1연결구(11), 제2연결구(12), 제3연결구(13) 및 제4연결구(14)를 포함하며, 제1연결구(11)는 수도관(50)에 연결되어 수도관(50)으로부터 수돗물을 공급받고, 제2연결구(12)는 수도꼭지(60)에 연결되어 수도꼭지(60)를 통하여 수돗물이 배출되게 하고, 제3연결구(13)는 배출호스(20)에 연결되어 배출호스(20)를 통하여 수돗물이 배출되게 하고, 제4연결구(14)는 배출모듈(30)과 연결된다. 이때, 제4연결구(14)에는 막음판(16)이 형성되어 수돗물이 제4연결구(14)를 통하여 배출모듈(30)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connector 10 has a cross shape (+), as shown in FIG. 2, the connector 10 includes a first connector 11, a second connector 12, and a third connector 13. And a fourth connector 14, wherein the first connector 11 is connected to the water pipe 50 to receive tap water from the water pipe 50, and the second connector 12 is connected to the faucet 60 so as to provide a tap. The tap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60, and the third connector 13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hose 20 so that the tap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se 20, and the fourth connector 14 is the discharge module 30. ). In this case, the blocking plate 16 is formed in the fourth connector 14 so that the tap water does not flow into the discharge module 30 through the fourth connector 14.

또한, 연결관(10)은 수도관(50)에서 유입된 수돗물이 수도꼭지(60)의 밸브(61)를 거쳐 배출호스(20)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유도판(15)을 더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수도꼭지(60)의 밸브(61)가 위치한 부분까지 수돗물이 수용되며, 종래 수돗물을 지속적으로 흐르게 하여 수도관(50)의 동파를 방지하는 장치는 수도관(50) 내부의 수돗물을 지속적으로 흐르게 하는 것으로, 수도꼭지(60)에 수용된 수돗물을 지속적으로 흐르게 하지는 못하므로, 수도꼭지(60)가 동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유도판(15)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유도판(15)은 막음판(16)에 결합되어 제2연결구(12)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유도판(15)은 제2연결구(12)에 연결된 수도꼭지(60)의 밸브(61) 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ipe 10 further includes an induction plate 15 which guides the tap water introduced from the water pipe 50 to flow through the valve 61 of the faucet 60 to the discharge hose 20. In general, the tap water is accommodated up to the position where the valve 61 of the faucet 60 is located, and a device for preventing the freezing of the water pipe 50 by continuously flowing the conventional tap water continuously flows the tap water inside the water pipe 50. In that case, the tap water contained in the faucet 60 does not continuously flow,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faucet 60 freezes. The guide plate 15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as shown in FIG. 2, the guide plate 15 is coupled to the blocking plate 16 and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or 12. At this time, the guide plate 15 is preferably formed to extend to the valve 61 of the faucet 60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12).

연결관(10)에 유도판(15)을 구비함으로써, 수도관(50)으로부터 유입된 수돗물은 수도꼭지(60)의 밸브(61)를 거쳐 배출호스(20)로 흐르므로, 수도꼭지(60)에 수용된 수돗물을 지속적으로 흐르게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수도꼭지(60)가 동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By providing the guide plate 15 in the connecting pipe 10, the tap water introduced from the water pipe 50 flows to the discharge hose 20 through the valve 61 of the faucet 60, and thus, the faucet 60 is accommodated in the tap 60. Tap water can be continuously flowing, thereby preventing the faucet 60 from freezing.

상기 배출호스(20)는 연결관(10)에서 배출모듈(30)으로 수돗물을 흐르게 하는 것으로, 일단은 연결관(10)에 연결되고 타단은 배출모듈(30)에 연결된다. 즉, 배출호스(20)의 일단은 연결관(10)의 제3연결구(13)에 연결되고 타단은 배출모듈(30)의 유입구(31)에 연결된다.The discharge hose 20 is to flow the tap water from the connection pipe 10 to the discharge module 30, one e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1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module (30). That is, one end of the discharge hose 20 is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or 13 of the connection pipe 1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inlet 31 of the discharge module (30).

또한, 배출호스(20)는 배출관(40)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출관(40) 내부에 삽입된다. 즉, 배출호스(20)의 내부에는 영상(零上)인 수돗물이 흐르므로, 이러한 수돗물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배출관(40)의 내부는 영상(零上)을 유지한다. 또한, 배출호스(20)는 배출관(40)에 용이하게 삽입되기 위하여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돗물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ischarge hose 20 is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ipe 40 to prevent freezing of the discharge pipe 40. That is, since tap water, which is an image, flows inside the discharge hose 20, the inside of the discharge pipe 40 maintains an image by the heat generated from the tap water. In addition, the discharge hose 20 is preferably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in order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ipe 40,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in order to efficiently transfer the heat generated from the tap water.

또한, 배출호스(20)는 많은 열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배출관(40)의 내부에 코일 형상으로 삽입되거나, 2중 3중으로 겹쳐져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discharge hose 20 is preferably inserted into the coil shape inside the discharge pipe 40, or overlapping in duplicate to insert a triple to generate a lot of heat.

상기 배출모듈(30)은 배출호스(20)에서 유입된 수돗물을 온도에 따라 배출하여 수도관(50)의 동파를 방지하는 것으로, 배출모듈(30)은 상기 배출호스(20)로부터 수돗물이 유입되는 유입구(31); 상기 유입구(31)에서 유입된 수돗물이 배출되는 배출구(32); 및 외부 온도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하여 상기 배출구(32)를 통해 배출되는 수돗물의 흐름을 조절하는 조절부(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charge module 30 is to prevent the freeze of the water pipe 50 by discharging the tap water introduced from the discharge hose 20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the discharge module 30 is the tap water is introduced from the discharge hose 20 Inlet 31; An outlet 32 through which tap water introduced from the inlet 31 is discharged; And an adjusting unit 33 which contracts or expands according to an external temperature to control the flow of tap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32.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유입구(31)는 배출모듈(30)의 상단 일측면에 구비되어 배출호스(20)로부터 수돗물을 공급받고, 배출구(32)는 배출모듈(30)의 저면에 구비되어 조절부(33)의 동작상태에 따라 수돗물을 배출시킨다.As shown in FIG. 3, the inlet 31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module 30 to receive tap water from the discharge hose 20, and the discharge port 32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discharge module 30. The water is discharg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ntrol unit 33.

조절부(33)는 배출모듈(30)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의 온도에 따라 수직방항으로 수축 또는 팽창된다. 즉, 조절부(33)는 외부 온도가 수돗물의 동결 온도 이하인 경우에 수축하며, 조절부(33)가 수축함으로써 배출구(32)가 개방되어 수돗물이 배출관(40)으로 배출된다. 이때, 배출된 수돗물의 양만큼 배출호스(20)를 통해 수돗물이 배출모듈(30)에 유입되므로, 수돗물은 수도관(50), 연결관(10), 수도꼭지(60), 배출호스(20) 거쳐 지속적으로 흐르게 되므로 수돗물이 동결되어 수도관(50), 연결관(10), 수도꼭지(60), 배출호스(20) 및 배출모듈(30)이 동파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adjusting unit 33 is provided inside the discharge module 30, and contracts or expands in a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external temperature. That is, the adjuster 33 contracts when the external temperature is below the freezing temperature of the tap water, and the outlet 33 is opened by the contraction of the adjuster 33 so that the tap water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ipe 40. At this time, since the tap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discharge module 30 through the discharge hose 20 as much as the discharged tap water, the tap water passes through the water pipe 50, the connection pipe 10, the faucet 60, the discharge hose 20 Since the tap water is continuously flowing to prevent the water pipe 50, the connection pipe 10, the faucet 60, the discharge hose 20 and the discharge module 30 to freeze.

또한, 조절부(33)는 외부 온도가 수돗물의 동결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팽창하며, 조절부(33)가 팽창함으로써 배출구(32)가 닫히게 되어 수돗물이 배출관(40)으로 배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외부 온도가 수돗물의 동결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수돗물이 배출되지 않으므로, 불필요하게 수돗물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3 expands when the external temperature exceeds the freezing temperature of the tap water, and the outlet 33 is closed by the expansion of the control unit 33 so that the tap water is not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ipe 40. As such, since the tap water is not discharged when the external temperature exceeds the freezing temperature of the tap water,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waste of tap water.

또한, 조절부(33)의 내부에는 온도의 하강에 따라 부피가 수축되고 온도의 상승에 따라 부피가 팽창하는 냉매가스를 충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adjusting unit 33 is preferably filled with a refrigerant gas that the volume shrinks as the temperature decreases and the volume expands as the temperature increases.

상술한 배출모듈(30)은 본 발명인 동파방지 장치에 사용되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외부 온도에 따라 배출되는 수돗물의 흐름을 제어하는 모든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discharge module 30 is just one embodiment used in the freeze prot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device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ap water discharged according to the external temperature can be used.

상기 배출관(40)은 배출모듈(30)에서 배출되는 수돗물이 유입되는 관으로, 배출모듈(30)의 하부에 연결되고 내부에는 배출호스(20)가 삽입된다. 즉, 배출관(40)의 일단은 배출모듈(30)에 연결되고 측면에는 삽입구(41a, 41b)가 형성되며, 삽입구(41a, 41b)를 통하여 배출호스(20)가 배출관(40)의 내부에 삽입된다.The discharge pipe 40 is a pipe into which the tap wate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module 30 is introduced. That is, one end of the discharge pipe 40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module 30, the insertion hole (41a, 41b) is formed on the side, the discharge hose 20 through the insertion hole (41a, 41b) inside the discharge pipe 40 Is inserted.

이와 같이, 배출관(40) 내부에 배출호스(20)를 삽입함으로써, 배출관(40)이 동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외부 온도가 수돗물의 동결 온도 이하인 경우에 배출관(40)의 내부도 수돗물의 동결 온도 이하가 되며, 이때 배출모듈(30)에서 유입되는 수돗물은 간헐적으로 유입되므로 배출관(40)의 내부에서 동결되고, 이러한 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면 결국 배출관(40)이 동파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배출관(40)의 내부에 영상(零上)을 유지하는 배출호스(20)를 삽입하여 배출관(40)이 동파하는 것을 방지한다.
As such, by inserting the discharge hose 20 into the discharge pipe 40, the discharge pipe 40 can be prevented from freezing. That is, when the external temperature is below the freezing temperature of the tap water, the inside of the discharge pipe 40 is also below the freezing temperature of the tap water, and at this time, the tap water introduced from the discharge module 30 is intermittently introduced, thereby freezing the inside of the discharge pipe 40. If this phenomenon occurs continuously, the problem that the discharge pipe 40 freezes eventually occur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discharge pipe 40 from freezing by inserting a discharge hose 20 for maintaining an image in the discharge pipe 40.

이상 본 발명인 동파방지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이하 본 발명인 동파방지 장치의 일 실시예의 사용 상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freeze prot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Hereinafter, the state of use of the embodiment of the freeze prot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수도관(50)을 통하여 동파방지 장치에 수돗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므로, 수도꼭지(60)를 통하여 수돗물이 배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연결관(10), 수도꼭지(60), 배출호스(20), 배출모듈(30)에 수돗물이 가득찬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외부 온도가 수돗물의 동결 온도를 초과하면 조절부(33)가 팽창되어 배출구(32)가 닫히게 되므로, 배출모듈(30)에 수용된 수돗물은 배출관(40)으로 배출되지 않는다.Since tap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freeze protection device through the water pipe 50, when the tap water is not discharged through the faucet 60, the connection pipe 10, the faucet 60, the discharge hose 20, and the discharge module ( 30) is full of tap water. At this time, when the external temperature exceeds the freezing temperature of the tap water, since the control unit 33 is expanded to close the outlet 32, the tap water accommodated in the discharge module 30 is not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ipe 40.

또한, 외부 온도가 수돗물의 동결 온도 이하이면 조절부(33)가 수축되어 배출구(32)가 개방되며, 개방된 배출구(32)를 통하여 수돗물이 배출관(40)으로 배출된다. 이때, 배출관(40)으로 배출된 수돗물의 양만큼 배출호스(20)를 통하여 배출모듈(30)로 수돗물이 유입된다. 즉, 수돗물은 수도관(50), 연결관(10), 수도꼭지(60), 배출호스(20)를 통하여 배출모듈(30)로 유입되며, 이때 수돗물은 연결관(10)에 구비된 유도판(15)에 의하여 수도꼭지(60)의 밸브(61)까지 흐르게 되어 수도꼭지(60)가 동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출호스(20)는 배출관(40)의 내부에 삽입되므로 배출호스(20)의 내부에 흐르는 수돗물에 의해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배출관(40)의 내부는 영상(零上)을 유지하게 되며, 이로 인해 배출모듈(30)에서 배출되는 수돗물이 배출관(40) 내부에서 동결되지 않으므로 배출관(40)이 동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external temperature is below the freezing temperature of the tap water, the control unit 33 is contracted to open the outlet 32, and the tap water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ipe 40 through the open outlet 32. At this time, tap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discharge module 30 through the discharge hose 20 by the amount of tap water discharged into the discharge pipe 40. That is, the tap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discharge module 30 through the water pipe 50, the connection pipe 10, the faucet 60, the discharge hose 20, wherein the tap water is the induction plate provided in the connection pipe 10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aucet 60 from freezing by flowing up to the valve 61 of the faucet 60 by 15). In addition, since the discharge hose 20 is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ipe 40, the inside of the discharge pipe 40 by the heat generated by the tap water flowing in the discharge hose 20 to maintain the image (零 上), As a result, the tap wate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module 30 is not frozen in the discharge pipe 40, so that the discharge pipe 40 can be prevented from freezing.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the apparatus and the method, bu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Implementation may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10… 연결관 11… 제1연결구
12… 제2연결구 13… 제3연결구
14… 제4연결구 15… 유도판
16… 막음판 20… 배출호스
30… 배출모듈 31… 유입구
32… 배출구 33… 조절부
40… 배출관 41a, 41b… 삽입구
50… 수도관 60… 수도꼭지
61… 밸브
10... Connector 11.. First connector
12... Second connector 13.. 3rd connector
14 ... Fourth connector 15... Induction plate
16 ... Blocking plate 20. Discharge hose
30 ... Discharge module 31.. Inlet
32 ... Outlet 33.. Control
40 ... Discharge pipes 41a and 41b. parenthesis
50... Water pipe 60... water tap
61... valve

Claims (7)

일단은 수돗물이 유입되는 수도관과 연결되고 타단은 유입된 수돗물이 배출되는 수도꼭지와 연결되는 연결관(10);
상기 연결관(10)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관(10)에 유입된 수돗물을 배출하는 배출호스(20);
상기 배출호스(20)에서 유입된 수돗물을 온도에 따라 배출하여 상기 수도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배출모듈(30); 및
상기 배출모듈(30)에서 배출된 수돗물이 유입되며, 유입된 수돗물의 동결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측에 상기 배출호스(20)가 삽입되는 배출관(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방지 장치.
One end is connected to the water pipe to which the tap water is introduced,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aucet discharged tap water pipe 10;
A discharge hose 20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10 for discharging tap water introduced into the connection pipe 10;
A discharge module 30 for discharging tap water introduced from the discharge hose 20 according to temperature to prevent freezing of the water pipe; And
The tap wate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module 30 is introduced, the discharge pipe 40 is inserted into the discharge hose 20 in order to prevent the freezing of the introduced tap water; freeze protection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10)은,
상기 수도관에서 유입된 수돗물이 상기 수도꼭지의 밸브를 거쳐 상기 배출호스(20)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유도판(1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방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pipe 10,
And an induction plate (15) for inducing tap water introduced from the water pipe to flow through the valve of the faucet to the discharge hose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모듈(30)은,
상기 배출호스(20)로부터 수돗물이 유입되는 유입구(31);
상기 유입구(31)에서 유입된 수돗물이 배출되는 배출구(32); 및
외부 온도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하여 상기 배출구(32)를 통해 배출되는 수돗물의 흐름을 조절하는 조절부(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방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discharge module 30,
An inlet 31 through which tap water is introduced from the discharge hose 20;
An outlet 32 through which tap water introduced from the inlet 31 is discharged; And
And a control unit (33) for adjusting the flow of the tap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32) by contracting or expanding according to an external temperatur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33)는,
외부 온도가 수돗물의 동결 온도 이하인 경우에 수축하여 상기 배출구(32)를 통해 수돗물이 배출되도록 하고,
외부 온도가 수돗물의 동결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팽창하여 상기 배출구(32)를 통해 수돗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방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trol unit 33,
When the external temperature is less than the freezing temperature of the tap water to shrink so that the tap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32,
When the external temperature exceeds the freezing temperature of the tap water, it expands to prevent the tap water from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3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10)은,
상기 수도관과 연결되어, 내부로 수돗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제1연결구(11);
상기 수도꼭지와 연결되어, 유입된 수돗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제2연결구(12);
상기 배출호스(20)와 연결되어, 유입된 수돗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제3연결구(13); 및
상기 배출모듈(30)과 연결되며, 유입된 수돗물이 상기 배출모듈(30)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막음판(16)이 형성되는 제4연결구(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방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necting pipe 10,
A first connector 11 connected to the water pipe to allow tap water to flow into the water pipe;
A second connector 12 connected to the faucet so that the introduced tap water is discharged;
A third connector 13 connected to the discharge hose 20 to discharge the tap water introduced thereto; And
And a fourth connector 14 connected to the discharge module 30 and having a blocking plate 16 formed therein to prevent the inflow of tap water from flowing into the discharge module 30.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40)은,
상기 배출호스(20)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41a, 41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방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ischarge pipe 40,
Insertion port (41a, 41b) for inserting the discharge hose 20; freeze pro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호스(20)는,
코일 형상으로 배출관(40)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방지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discharge hose 20,
Freezing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ipe 40 in the form of a coil.
KR1020110034811A 2011-04-14 2011-04-14 Apparatus of freeze prevention KR1012084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811A KR101208426B1 (en) 2011-04-14 2011-04-14 Apparatus of freeze preven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811A KR101208426B1 (en) 2011-04-14 2011-04-14 Apparatus of freeze preven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204A true KR20120117204A (en) 2012-10-24
KR101208426B1 KR101208426B1 (en) 2012-12-05

Family

ID=47285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811A KR101208426B1 (en) 2011-04-14 2011-04-14 Apparatus of freeze preven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426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7496A (en) 2017-10-27 2019-05-08 (주)수도프리미엄엔지니어링 Water pipe apparatus for preventing frozen of water
KR20190137462A (en) 2018-06-01 2019-12-11 안철 Faucet having function of freezing protection
KR20200114139A (en) 2019-03-27 2020-10-07 안철 System for preventing frozen of indoor fire hydran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326Y1 (en) 2003-10-31 2004-01-16 부덕실업 주식회사 Nonfreezing water draining pipe for prevent winter sowi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7496A (en) 2017-10-27 2019-05-08 (주)수도프리미엄엔지니어링 Water pipe apparatus for preventing frozen of water
KR20190137462A (en) 2018-06-01 2019-12-11 안철 Faucet having function of freezing protection
KR20200114139A (en) 2019-03-27 2020-10-07 안철 System for preventing frozen of indoor fire hyd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8426B1 (en)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8426B1 (en) Apparatus of freeze prevention
KR101756375B1 (en) Frost protection device
KR101850960B1 (en) Heat insulation structure for anti freeze of water pipe of apartment house
KR100959416B1 (en) Frozen To Burst Prevention Device For Pipe
KR20150098256A (en) a pipe with froze and burst Protection
KR20120086869A (en) Pipe insert type preventing bursting device of pipe by freezing
KR101019819B1 (en) Frozen to burst prevention device for water pipe
JP4207756B2 (en) Hot water storage water heater
JP6440033B2 (en) Water heater
KR101321205B1 (en) Bellows type frozen preventive tools and the applicable water gauge and heatexchanger
CN207989832U (en) A kind of leakage protection device
KR200251157Y1 (en) draining apparatus for prevention of frozen to burst
KR101671670B1 (en) Drain device and a heat exchanger with the drain device
CN110848455A (en) Solenoid valve convenient to use just has function of preventing frostbite
JP2008051348A (en) Hot water storage type water heater
KR200306346Y1 (en) a vaccum antifreezing water supply system
CN110986653A (en) Anti-freezing high-efficiency water chamber and heat exchanger
KR20200005138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fluid flow
KR101182211B1 (en) Valve of fluid pipe line
KR102467145B1 (en) Defrosting device for water pipe
KR20070004203A (en) Water gauge box for freeze protection
JP3710892B2 (en) Water heater
KR101980890B1 (en) Frost protection device
CN215522083U (en) Anti-freezing valve and water heater applying same
JP2004250861A (en) Eco-air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