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7125A - 광고를 이용한 곡 음원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광고를 이용한 곡 음원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7125A
KR20120117125A KR1020110034685A KR20110034685A KR20120117125A KR 20120117125 A KR20120117125 A KR 20120117125A KR 1020110034685 A KR1020110034685 A KR 1020110034685A KR 20110034685 A KR20110034685 A KR 20110034685A KR 20120117125 A KR20120117125 A KR 20120117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song
sound source
service server
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엽
김기용
Original Assignee
휴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휴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4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7125A/ko
Publication of KR20120117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1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08Trade or exchange of goods or services in exchange for incentives or rew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9Payment schemes or models characterised by micropay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의 디지털 컨텐츠 서비스(예: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IPTV 방송, VOD 서비스 등)에서 제공하는 광고에 삽입된 곡 음원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무료 또는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는 곡 음원 제공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가 예컨대 텔레비전 광고를 보다가 특정의 선택입력을 제공하면 그에 따라 당해 광고에 삽입된 곡의 음원 데이터와 당해 광고 데이터가 사용자의 단말장치에 다운로드되어 그 후로는 사용자가 광고를 본다는 조건하에 광고 삽입곡을 마음껏 즐길 수 있도록 해주는 광고를 이용한 곡 음원 제공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곡 음원을 무료 또는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고, 곡 음원의 판매 대금을 개별 사용자가 아닌 광고의뢰 회사로부터 징수할 수 있어 개별 사용자의 결제에 대한 거부감에서 자유로우며, 음원 판매에 따른 소액결제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없고 소액결제 시스템에서 부과되는 수수료 부담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광고를 이용한 곡 음원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sic files on the benefit of advertisement,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본 발명은 각종의 디지털 컨텐츠 서비스(예 :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IPTV 방송, VOD 서비스 등)에서 제공하는 광고에 삽입된 곡 음원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무료 또는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는 곡 음원 제공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가 예컨대 텔레비전 광고를 보다가 리모컨으로 특정의 선택입력을 제공하면 그에 따라 당해 광고에 삽입된 곡의 음원 데이터와 당해 광고 데이터가 사용자의 단말장치에 다운로드되어 그 후로는 사용자가 광고를 본다는 조건하에 광고 삽입곡을 마음껏 즐길 수 있도록 해주는 광고를 이용한 곡 음원 제공 기술을 제공한다.
초고속 유선인터넷이나 이동통신을 통한 무선인터넷, 그리고 와이브로를 비롯한 각종의 통신 인프라가 확충됨에 따라 곡 음원을 네트워크를 통해 판매하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음원 판매 비지니스는 곡 음원 파일(예: mp3 파일)를 다운로드 판매하는 방식과 월정액으로 곡 음원을 스트리밍 제공하여 감상하도록 하는 방식, 그리고 월정액으로 링백톤(ring back tone) 서비스를 제공하는 3 가지 방식으로 주로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비지니스가 제공됨으로써 곡 음원 판매는 외관상으로는 활발한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현재 곡 음원을 판매함으로써 얻어지는 수익은 매우 저조하다. 그 이유는 사용자가 곡 음원을 앨범 단위가 아닌 1 곡 단위로 구매할 수 있으므로 꼭 필요한 곡만 구매하기에 전체 구매 규모가 적고, 한곡한곡 구매할 때마다 사용자가 그에 따른 비용을 지불해야 하므로 비용지출에 대한 사용자의 거부감도 상당하다. 또한, 곡 음원을 제공하는 시스템과 곡 판매시에 소액결제를 대행하는 시스템에서 매출의 상당 부분을 가져가기에 정작 곡 음원을 공급하는 업체의 실질 매출은 매우 저조하다.
사용자의 입장에서 보더라도 종래에는 한곡한곡 구매할 때마다 그에 비례하여 가격을 지불해야 하기에 비록 큰 금액은 아닐지라도 음원 구매에 따른 비용지출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거부감을 느끼고 있다. 또한, 곡 음원 구매를 위하여 결제를 할 때마다 개인정보(주민등록번호, 신용카드 번호, 핸드폰 전화번호 등)를 입력해야 하기에 그에 따른 불안감도 적지않다.
그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곡 음원을 제공하는 방식을 채용하되 사용자의 경제적?심적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곡 음원 판매의 수익성을 제고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기술 개선이 절실히 요망되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의 디지털 컨텐츠 서비스(예: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IPTV 방송, VOD 서비스 등)에서 제공하는 광고에 삽입된 곡 음원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무료 또는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는 곡 음원 제공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사용자가 예컨대 텔레비전 광고를 보다가 특정의 선택입력을 제공하면 그에 따라 당해 광고에 삽입된 곡의 음원 데이터와 당해 광고 데이터가 사용자의 단말장치에 다운로드되어 그 후로는 사용자가 광고를 본다는 조건하에 광고 삽입곡을 마음껏 즐길 수 있도록 해주는 광고를 이용한 곡 음원 제공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고를 이용한 곡 음원 제공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비스서버(100)로부터 광고데이터가 포함된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아 광고를 이용하여 곡 음원을 제공하기 위하여, 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받은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광고데이터를 표시하는 중에 사용자의 선택입력에 대응하여 서비스서버에 요청하여 선택입력이 제공된 광고에 대응되는 광고재생정보 및 광고에 삽입된 곡의 음원파일을 제공받는 서비스단말(210); 광고재생정보와 곡 음원파일을 보유하고, 사용자로부터 곡에 대한 재생요청을 제공받으면, 재생요청을 받은 곡에 관련된 광고재생정보를 사용하여 광고를 재생하고, 광고의 재생을 감지하여 광고 재생을 조건으로 곡의 음원파일을 재생하는 재생단말(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고를 이용한 곡 음원 제공 시스템에서, 서비스단말(210)은, 서비스서버로부터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고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광고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입력을 제공받아 서비스서버로 통지하는 서비스뷰어단말(212)과, 선택입력이 제공된 광고에 대응되는 광고재생정보 및 광고에 삽입된 곡의 음원파일을 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받는 서비스처리단말(21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고를 이용한 곡 음원 제공 시스템에서, 재생단말(220)은 광고 재생의 횟수에 관한 정보를 누적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서버(100)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예컨대 스마트단말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되는 형태의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비스서버로부터 광고데이터가 포함된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아 광고를 이용하여 곡 음원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것으로, 그 프로그램은, 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받은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광고데이터를 표시하는 기능; 광고데이터가 표시되는 중에 사용자의 선택입력을 검출하는 기능; 선택입력을 서비스서버에 통지하는 기능; 선택입력이 제공된 광고에 대응되는 광고재생정보 및 광고에 삽입된 곡의 음원파일을 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받는 기능; 사용자로부터 곡에 대한 재생요청을 제공받는 기능; 재생요청을 받은 곡에 관련된 광고재생정보를 사용하여 광고를 재생하는 기능; 재생요청을 받은 곡에 관련된 광고 재생을 감지하는 기능; 재생요청을 받은 곡에 관련된 광고 재생을 조건으로 곡의 음원파일을 재생하는 기능;을 실행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서, 위 프로그램은, 광고 재생의 횟수에 관한 정보를 누적하는 기능; 광고 재생의 횟수에 관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서버로 제공하는 기능;을 더 실행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고를 이용한 곡 음원 제공 방법은, (A)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비스서버로부터 광고데이터가 포함된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는 단계; (B)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광고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C) 광고데이터가 표시되는 중에 사용자의 선택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D) 선택입력을 서비스서버에 통지하는 단계; (E) 선택입력이 제공된 광고에 대응되는 광고재생정보 및 광고에 삽입된 곡의 음원파일을 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받는 단계; (F) 사용자로부터 곡에 대한 재생요청을 제공받는 단계; (G) 재생요청을 받은 곡에 관련된 광고재생정보를 사용하여 광고를 재생하는 단계; (H) 재생요청을 받은 곡에 관련된 광고 재생을 감지하는 단계; (I) 재생요청을 받은 곡에 관련된 광고 재생을 조건으로 곡의 음원파일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J) 광고 재생의 횟수에 관한 정보를 누적하는 단계; (K) 광고 재생의 횟수에 관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고를 이용한 곡 음원 제공 방법에서, (I) 단계는, (I-1) 재생요청을 받은 곡에 관련된 광고 재생이 진행 중인지 확인하는 단계; (I-2) 광고 재생이 진행 중인 경우에 곡의 음원파일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I) 단계가, (I-3) 재생요청을 받은 곡에 관련된 광고 재생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I-4) 광고 재생의 완료가 확인된 경우에 곡의 음원파일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곡 음원을 무료 또는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곡 음원의 판매 대금을 개별 사용자가 아닌 광고의뢰 회사로부터 징수할 수 있어 개별 사용자의 결제에 대한 거부감에서 자유로우며 음원 판매에 따른 소액결제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없고 소액결제 시스템에서 부과되는 수수료 부담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곡을 즐기기 위해서는 광고를 거쳐야 하므로 광고 노출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는 한편, 사용자 본인이 선택한 광고 삽입곡을 무료 또는 저렴한 가격으로 즐길 수 있는 효용을 제공하기에 광고 재생에 대한 사용자의 거부감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광고 노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기에 광고 노출 정보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고, 광고 효과에 당해 광고 삽입곡이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어 음악관련 종사자들의 지위 확보에도 간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를 이용한 곡 음원 제공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를 이용한 곡 음원 제공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를 이용한 곡 음원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곡 음원 제공 방법에서 광고 재생 횟수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음원비용을 정산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곡 음원 제공 방법에서 광고 재생과 곡 음원 재생 간의 상관관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곡 음원 제공 방법에서 광고 재생과 곡 음원 재생 간의 상관관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를 이용한 곡 음원 제공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곡 음원 제공 시스템은 서비스서버(100)와 사용자단말(200)로 이루어진다. 서비스서버(100)는 각종의 디지털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것인데, 디지털 컨텐츠 서비스로는 지상파 방송이나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과 같은 각종의 방송 서비스나 인터넷을 통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등을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단말(200)은 서비스서버(100)로부터 디지털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으며, 본 발명에 따라 곡 음원파일을 받아 사용자가 소망할 때 재생해주는 장치이며, 그 기능에 따라 개념적으로는 서비스단말(210)과 재생단말(220)로 구분된다.
서비스서버(1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데, 이 디지털 컨텐츠에는 어떠한 형태로든 광고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지상파나 케이블 등의 방송 서비스에서 방송사 서버가 출력하는 방송 스트림에는 중간중간에 광고스트림이 포함되어 있다. 온라인을 통한 멀티미디어 스트림 서비스나 동영상 제공 서비스에서도 중간중간에 광고데이터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처럼 서비스서버(100)가 제공하는 디지털 컨텐츠에는 광고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으며, 사용자단말(20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시된다.
서비스서버(100)는 이 광고를 재생하기 위한 데이터를 구비하고 있으며, 특히 이들 광고에 삽입된 곡들의 음원 데이터를 구비하고 있다. 광고, 특히 상업광고에는 예외없이 음악이 삽입되는데, 서비스서버(100)는 이들 광고삽입곡의 음원파일, 바람직하게는 광고삽입곡의 완전한 전체 음원파일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광고삽입곡의 음원파일은 당해 광고에 잠시 나오는 곡 부분을 추출한 것이 아니라 바람직하게는 당해 곡에 대한 논리적으로 분리가능한 부분을 음원파일로서 구비한다. 이때, '논리적으로 분리가능한 부분'의 의미와 관련하여 설명을 추가하자면, 가요나 팝송의 경우에는 한 곡이 될 것이고, 클래식의 경우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트랙이 될 수 있다.
서비스서버(100)는 외부로부터 요청이 있을 때, 광고가 특정되어 있다면, 당해 광고를 재생하기 위한 정보와 당해 광고에 삽입된 곡의 음원파일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공한다. 이때, 광고를 재생하기 위한 정보는 광고데이터로 이루어진 광고파일일 수도 있고, 광고데이터에 링크된 URL일 수도 있고, 광고를 재생하라는 명령이 포함된 링크일 수도 있다.
사용자단말(200)은 서비스단말(210)과 재생단말(220)로 이루어져 있는데, 서비스단말(210)은 서비스서버(100)와 연결되어 각종의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받아 표시하기 위한 기능모듈이고, 재생단말(220)은 서비스서버(100)로부터 제공된 광고데이터와 곡 음원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기능모듈이다. 서비스단말(210)과 재생단말(220)은 하나의 단말장치 내에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별개의 단말장치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서비스단말(210)은 서비스서버(100)로부터 제공받은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광고데이터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예를 들어, 지상파 방송 서비스에서 방송 스트림으로 광고영상이 제공되면, 서비스단말(210), 즉 디지털 텔레비전은 방송 스트림을 재생하여 광고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가 예컨대 리모컨의 특정 버튼을 사용하여 현재 재생중인 광고에 대한 선택입력을 제공하는데, 서비스단말(210)은 이 선택입력을 서비스서버(100)로 알려준다. 서비스서버(1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이 광고에 대응되는 광고재생정보와 그 광고에 삽입된 곡의 음원파일을 서비스단말(210)로 제공한다. 이때, 광고재생정보는 사용자단말(200)에서 광고를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해 필요한 정보로서, 광고데이터로 이루어진 광고파일일 수도 있고 광고데이터에 링크된 URL일 수도 있으며 광고를 재생하라는 명령이 포함된 링크일 수도 있다.
서비스단말(210)로 다운로드된 광고재생정보와 삽입곡 음원파일은 다시 재생단말(220)로 전달된다. 서비스단말(210)과 재생단말(220)이 일체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내부 저장공간(예: 플래시메모리)을 통해 광고재생정보와 곡 음원파일이 서비스단말(210)로부터 재생단말(220)로 전달된다. 그러나, 서비스단말(210)과 재생단말(220)이 별도 단말장치로 이루어진 경우라면 광고재생정보와 곡 음원파일은 디지털 인터페이스(예: USB, 메모리카드, 외부저장장치)를 통하여 서비스단말(210)로부터 재생단말(220)로 전달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사용자단말(200)에 다수의 곡 음원파일이 저장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사용자단말(200)을 조작함에 따라 그 저장된 곡들의 목록이 제시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곡 목록에서 소망하는 바에 따라 곡을 선택하여 재생을 요청한다.
재생단말(220)은 이러한 곡 재생요청을 접수한다. 그 재생요청을 받은 곡은 원래 광고에 삽입된 것이었으며, 그에 따라 당해 광고에 대한 광고재생정보와 곡 음원파일은 서로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재생단말(220)은 광고재생정보를 사용하여 그 관련된 광고를 재생하며, 그 광고 재생을 조건으로 곡의 음원파일을 재생한다. 설계자가 선택하는 바에 따라, 광고 재생을 완료한 것이 확인된 후에 음원파일을 재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광고 재생이 되고 있는 동안에만 음원파일의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텔레비전에서 음원파일을 재생하는 상황이라면, 텔레비전 화면에 광고영상이 나오는 동안에 음원파일을 재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스마트폰에서 음원파일을 재생하는 상황이라면,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주머니나 가방에 넣어두고 이어폰으로 음악을 들을 것이므로, 먼저 광고 사운드를 완벽하게 들려준 후에 음원파일을 재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재생단말(220)이 광고노출, 즉 사용자에게 광고를 재생한 횟수에 관한 정보를 누적해 두었다가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서버(100)로 제공한다. 광고를 재생할 때마다 그때그때 광고노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으나, 시스템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일정 기간동안 누적해 두었다가 한꺼번에 서비스서버(100)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비스서버(100)는 이러한 광고노출 정보를 취합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며, 이를 통해 광고주에게 광고 효과 등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한편 광고비 결제 등에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이 때의 광고 노출은 전적으로 사용자가 그 광고삽입곡을 듣기위해서 광고를 본 것이므로 광고 효과에 당해 삽입곡의 기여분을 정확하게 반영한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한 광고매출을 활용하여 음원비용을 정산할 수 있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는 전혀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서도 곡 음원을 다운로드받고 곡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서비스서버(100)로서는 사용자로부터 개별적으로 음원 다운로드 비용을 결제받지 않고 광고주로부터 한꺼번에 광고비를 받으므로 소액결제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없고, 그로 인하여 소액결제 시스템에 지급해오던 수수료를 절감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를 이용한 곡 음원 제공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서비스단말(210)은 그 기능에 따라 다시 서비스처리단말(211)과 서비스뷰어단말(212)로 나뉘어진다. 서비스뷰어단말(212)은 서비스서버(100)로부터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고 이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광고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입력을 제공받아 다시 서비스서버(100)로 통지하는 기능모듈이다.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이라면, 사용자단말(100)의 브라우저가 서비스서버(100)로 접근하여 광고 리스트를 보고 이중에서 자신이 다운로드할 사항을 선택하여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서비스처리단말(211)은 서비스서버(100)로부터 광고재생정보와 광고삽입곡의 음원파일을 제공받는 기능모듈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곡 음원 제공 기술은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는 이러한 구현예를 감안하여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의 카테고리가 제시되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를 이용한 곡 음원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대부분의 기술적 구성이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공통되므로, 이하에서는 곡 음원 제공 프로세스의 전반적인 흐름에 대해서만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프로세스의 순서는 [도 3]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범위 내에서 일부 단계가 서로 순서를 바꾸어 실행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110) 단계 : 서비스서버(100)로부터 광고데이터가 포함된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는다. 서비스서버(1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컨텐츠에는 광고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지상파나 케이블, 위성 등의 방송 서비스에서 방송사 서버가 출력하는 방송 스트림에는 중간중간에 광고스트림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온라인을 통한 멀티미디어 스트림 서비스나 동영상 제공 서비스에서도 중간중간에 광고데이터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처럼 서비스서버(100)가 제공하는 디지털 컨텐츠에는 광고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S120) 단계 : 서비스단말(210)이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광고데이터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예를 들어, 지상파 방송 서비스에서 방송 스트림으로 광고영상이 제공되면, 서비스단말(210), 즉 디지털 텔레비전은 방송 스트림을 재생하여 광고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S130) 단계 : 서비스단말(210)에 광고데이터가 표시되는 중에 사용자의 선택입력을 검출한다. 사용자가 예컨대 리모컨의 특정 버튼을 사용하여 현재 재생중인 광고에 대한 선택입력을 제공하는데, 서비스단말(210)은 이 선택입력을 검출한다.
(S140) 단계 : 서비스단말(21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이 선택입력을 서비스서버(100)에 통지한다.
(S150) 단계 : 서비스단말(210)은 그 선택된 광고에 대응되는 광고재생정보 및 광고 삽입곡의 음원파일을 서비스서버(100)로부터 제공받는다. 광고, 특히 상업광고에는 예외없이 음악이 삽입되는데, 서비스서버(100)는 이들 광고삽입곡의 음원파일, 바람직하게는 광고삽입곡의 완전한 전체 음원파일을 구비하고 있다가, 특정 광고에 대해 선택입력이 제공되면 그 광고에 관련된 광고재생정보와 광고삽입곡의 음원파일을 서비스단말(210)로 제공한다. 이때, 광고재생정보는 사용자단말(200)에서 광고를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해 필요한 정보로서, 광고데이터로 이루어진 광고파일일 수도 있고 광고데이터에 링크된 URL일 수도 있으며 광고를 재생하라는 명령이 포함된 링크일 수도 있다.
(S160) 단계 : 사용자로부터 곡에 대한 재생요청을 접수한다. 사용자는 사용자단말(200)에서 저장하고 있는 곡들의 리스트에서 자신이 소망하는 바에 따라 곡을 선택하여 재생을 요청한다.
(S170) 단계 : 위 재생요청을 받은 곡에 관련된 광고재생정보를 사용하여 광고를 재생한다. 재생요청을 받은 곡은 원래 광고에 삽입된 것이었기에 당해 광고에 대한 광고재생정보와 곡 음원파일은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재생단말(220)은 광고재생정보를 사용하여 그 관련된 광고를 재생한다.
(S180) 단계 : 재생단말(220)에서는 본 광고 재생이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는지 또는 정상적으로 완료하였는지 감지한다.
(S190) 단계 : 재생단말(220)은 광고 재생을 조건으로 곡의 음원파일을 재생한다. 설계자가 선택하는 바에 따라, 광고 재생을 완료한 것이 확인된 후에 음원파일을 재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광고 재생이 되고 있는 동안에만 음원파일의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곡 음원 제공 방법에서 사용자단말(200)에서 광고삽입곡을 재생한 후에 사용자단말(200)에서 광고를 재생한 횟수를 서비스서버(100)에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고 또한 광고매출을 사용하여 음원비용을 정산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S210) 단계 : 광고 재생의 횟수에 관한 정보를 누적한다. 재생단말(220)은 광고노출, 즉 사용자에게 광고를 재생한 횟수에 관한 정보를 누적해둔다. 광고를 재생할 때마다 그때그때 광고노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으나, 시스템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일정 기간동안 누적해 두었다가 한꺼번에 서비스서버(100)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220) 단계 : 재생단말(220)이 그 누적된 광고 재생의 횟수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서버(100)로 제공한다.
(S230) 단계 : 서비스서버(100)에서 광고 노출 횟수, 즉 사용자단말(200)에서 광고가 재생된 횟수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서비스서버(100)는 이러한 광고노출 정보를 취합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며, 이를 통해 광고주에게 광고 효과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한편 광고비 결제 등에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이 때의 광고 노출은 전적으로 사용자가 광고삽입곡을 듣기위해 광고를 본 것이므로 광고 효과에 당해 삽입곡의 기여분을 정확하게 반영한 것이다.
(S240) 단계 : 광고 매출을 활용하여 음원비용을 정산한다. 곡 음원파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비용을 사용자로부터 소액결제를 받는 것이 아니라 광고 매출로 충당한다. (구현에 따라서는 약간의 비용을 사용자에게 분담시킬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곡 음원 제공 방법에서 광고 재생과 곡 음원 재생 간의 상관관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S310) 단계 : 재생요청을 받은 곡에 관련된 광고 재생이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S320) 단계 : 광고 재생이 정상적으로 진행 중인 경우에 곡의 음원파일을 정상적으로 재생한다.
본 실시예는 디지털 텔레비전에서 곡 음원파일을 재생하는 상황에 적합하다. 텔레비전은 디스플레이 화면이 잘 보이는 곳에 노출되어 있기에, 청각적으로 곡 음원이 정상적으로 재생되면서, 시각적으로는 텔레비전 화면에 광고 영상이 표시되는 것이다. 만일 광고 영상의 재생이 중단되는 경우라면 재생단말(220)은 바람직하게는 이를 즉시 감지하여 음원파일 재생을 중단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곡 음원 제공 방법에서 광고 재생과 곡 음원 재생 간의 상관관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S410) 단계 : 재생요청을 받은 곡에 관련된 광고 재생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S420) 단계 : 광고 재생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 곡의 음원파일을 재생한다.
본 실시예는 스마트폰에서 곡 음원파일을 재생하는 상황에 적합하다. 사용자가 스마트폰으로 음악을 들을 때에는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을 주머니나 가방에 넣어둔 상태에서 이어폰으로 음악을 들을 것이므로, 시각적으로 광고 영상을 표시하는 것은 광고 효과가 부정적이다. 그에 따라, 광고 사운드를 청각적으로 제공해야 하는데, 만일 광고 재생과 음원파일 재생을 동시에 진행한다면 이 2 가지 음이 믹싱되어 제공될 것이므로 사용자가 음악과 광고의 어느 것도 제대로 인식할 수가 없게 된다. 그에 따라,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먼저 광고 사운드를 들려준 후에 음원파일을 재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비스서버(100)로부터 광고데이터가 포함된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아 광고를 이용하여 곡 음원을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받은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광고데이터를 표시하는 중에 사용자의 선택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서비스서버에 요청하여 상기 선택입력이 제공된 광고에 대응되는 광고재생정보 및 상기 광고에 삽입된 곡의 음원파일을 제공받는 서비스단말(210);
    상기 광고재생정보와 상기 곡 음원파일을 보유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곡에 대한 재생요청을 제공받으면, 상기 재생요청을 받은 곡에 관련된 광고재생정보를 사용하여 광고를 재생하고, 상기 광고의 재생을 감지하여 상기 광고 재생을 조건으로 상기 곡의 음원파일을 재생하는 재생단말(22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광고를 이용한 곡 음원 제공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단말(210)은,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고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광고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입력을 제공받아 상기 서비스서버로 통지하는 서비스뷰어단말(212)과, 상기 선택입력이 제공된 광고에 대응되는 광고재생정보 및 상기 광고에 삽입된 곡의 음원파일을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받는 서비스처리단말(211)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를 이용한 곡 음원 제공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재생단말(220)은 상기 광고 재생의 횟수에 관한 정보를 누적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비스서버(10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를 이용한 곡 음원 제공 시스템.
  4.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비스서버로부터 광고데이터가 포함된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아 광고를 이용하여 곡 음원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받은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광고데이터를 표시하는 기능;
    상기 광고데이터가 표시되는 중에 사용자의 선택입력을 검출하는 기능;
    상기 선택입력을 상기 서비스서버에 통지하는 기능;
    상기 선택입력이 제공된 광고에 대응되는 광고재생정보 및 상기 광고에 삽입된 곡의 음원파일을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받는 기능;
    사용자로부터 상기 곡에 대한 재생요청을 제공받는 기능;
    상기 재생요청을 받은 곡에 관련된 광고재생정보를 사용하여 광고를 재생하는 기능;
    상기 재생요청을 받은 곡에 관련된 광고 재생을 감지하는 기능;
    상기 재생요청을 받은 곡에 관련된 광고 재생을 조건으로 상기 곡의 음원파일을 재생하는 기능;
    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은,
    상기 광고 재생의 횟수에 관한 정보를 누적하는 기능;
    상기 광고 재생의 횟수에 관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비스서버로 제공하는 기능;
    을 더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6. (A)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비스서버로부터 광고데이터가 포함된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받는 단계;
    (B)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광고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C) 상기 광고데이터가 표시되는 중에 사용자의 선택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D) 상기 선택입력을 상기 서비스서버에 통지하는 단계;
    (E) 상기 선택입력이 제공된 광고에 대응되는 광고재생정보 및 상기 광고에 삽입된 곡의 음원파일을 상기 서비스서버로부터 제공받는 단계;
    (F) 사용자로부터 상기 곡에 대한 재생요청을 제공받는 단계;
    (G) 상기 재생요청을 받은 곡에 관련된 광고재생정보를 사용하여 광고를 재생하는 단계;
    (H) 상기 재생요청을 받은 곡에 관련된 광고 재생을 감지하는 단계;
    (I) 상기 재생요청을 받은 곡에 관련된 광고 재생을 조건으로 상기 곡의 음원파일을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광고를 이용한 곡 음원 제공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J) 상기 광고 재생의 횟수에 관한 정보를 누적하는 단계;
    (K) 상기 광고 재생의 횟수에 관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비스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광고를 이용한 곡 음원 제공 방법.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I) 단계는,
    (I-1) 상기 재생요청을 받은 곡에 관련된 광고 재생이 진행 중인지 확인하는 단계;
    (I-2) 상기 광고 재생이 진행 중인 경우에 상기 곡의 음원파일을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를 이용한 곡 음원 제공 방법.
  9.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I) 단계는,
    (I-3) 상기 재생요청을 받은 곡에 관련된 광고 재생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I-4) 상기 광고 재생의 완료가 확인된 경우에 상기 곡의 음원파일을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를 이용한 곡 음원 제공 방법.
KR1020110034685A 2011-04-14 2011-04-14 광고를 이용한 곡 음원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201201171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685A KR20120117125A (ko) 2011-04-14 2011-04-14 광고를 이용한 곡 음원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685A KR20120117125A (ko) 2011-04-14 2011-04-14 광고를 이용한 곡 음원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125A true KR20120117125A (ko) 2012-10-24

Family

ID=47285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685A KR20120117125A (ko) 2011-04-14 2011-04-14 광고를 이용한 곡 음원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71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55049B2 (en) 2014-06-09 2020-02-04 Kt Corporation Music sharing and advertis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55049B2 (en) 2014-06-09 2020-02-04 Kt Corporation Music sharing and advertis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14451B (zh) 与广告和奖励收集机制整合的视频内容分发平台
CN101529909B (zh) 一种用于向多媒体设备分配广告和/或内容的方法及设备
US8082255B1 (en) Branding digital content
US8365295B2 (en) System and/or method for distributing media content
US8386304B2 (en) Methods for interactive television and mobile device
US20100043020A1 (en) System and method for fine grain payment for media services
US20080183757A1 (en) Tagging media assets, locations, and advertisements
US20150281756A1 (en) Data sessio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including content recognition of broadcast data and remote device feedback
EP2015244A1 (en) Virtual group shopping mall
US20080281448A1 (en) Media Player System, Apparatus, Method and Software
KR20130005776A (ko) 씨아이디 콘텐츠의 재생이 가능한 수신 단말기, 씨아이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JPWO2019082409A1 (ja) ビデオストリーミング再生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00130638A (ko) 사용자가 액세스 가능한 콘텐츠 내의 메타데이터 이용 가능성의 표시를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 및 셋탑박스
US20140122258A1 (en) Sponsored ad-embedded audio files and methods of playback
JP4987035B2 (ja) サーバ装置および広告システム
KR20130103237A (ko) 온라인 광고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광고 제공 서버
US8990104B1 (en) Multimedia product placement marketplace
KR20090129656A (ko) 동영상 컨텐츠를 이용한 마케팅 시스템 및 그 방법
JP4297760B2 (ja) コンテンツ利用制御装置、コンテンツ利用制御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利用制御プログラム
JP3637032B2 (ja) 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視聴者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erkins Film in the UK, 2001–10: A statistical overview
US1072153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ynchronizing media and targeted content
KR20120117125A (ko) 광고를 이용한 곡 음원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JP2018050271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装置
JP2006178890A (ja) サーバ装置、携帯端末、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広告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