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7061A - Mold for concrete structure with water gag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conctrete structure manufactured by the mold - Google Patents

Mold for concrete structure with water gag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conctrete structure manufactured by the mol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7061A
KR20120117061A KR1020110034564A KR20110034564A KR20120117061A KR 20120117061 A KR20120117061 A KR 20120117061A KR 1020110034564 A KR1020110034564 A KR 1020110034564A KR 20110034564 A KR20110034564 A KR 20110034564A KR 20120117061 A KR20120117061 A KR 20120117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dge
concrete structure
concret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5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46202B1 (en
Inventor
김형주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주)형제이형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형제이형관 filed Critical (주)형제이형관
Priority to KR1020110034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6202B1/en
Publication of KR20120117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0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2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8Cores; Mandr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PURPOSE: A mold for a concrete structure accommodating a water gauge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acquire a concrete structure having high construction accuracy. CONSTITUTION: A mold for a concrete structure accommodating a water gauge comprises an inner unit, an outer unit, and a partition piece. The inner unit comprises an inspection pit(401) and a water collecting groove(402). The inner unit forms a concrete structure(400) for accommodating a water gauge. The outer unit comprises a passing hole(403). The inner unit and the outer unit form the caste of concrete. The partition piece is coupled with the edge portion of the inner unit and the outer unit and partitions the space formed by the inner unit and the outer unit.

Description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 및 이로부터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용한 시공방법{MOLD FOR CONCRETE STRUCTURE WITH WATER GAG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CONCTRETE STRUCTURE MANUFACTURED BY THE MOLD}MOLD FOR CONCRETE STRUCTURE WITH WATER GAG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CONCTRETE STRUCTURE MANUFACTURED BY THE MOLD}

본 발명은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 및 이로부터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 및 해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제품 정밀도가 높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획득이 가능한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 및 이로부터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crete structure with a built-in water meter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concrete structure manufactured therefrom. More specifically, the assembly and disassembly is made efficiently and the water supply capable of obtaining a concrete structure with high product precision is possib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mwork for manufacturing a concrete structure with a built-in meter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concrete structure manufactured therefrom.

대형의 상수도 계량기실은 일반적으로 지중에 매설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의하여 완성될 수 있으며, 정해진 설계 강도의 유지가 가능한 콘크리트를 사용하고, 방수 시공을 하며 상수도관과 계량기가 장착될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 콘크리트 타설시 함께 장착되는 철근의 규격 또한 시공에 따른 시방서에 의한 것이어야 한다.Large water supply meter rooms can be completed by concrete structures which are generally buried underground, and should be made of concrete capable of maintaining the specified design strength, waterproof construction, and sufficient space for water pipes and meters. Of course, the specification of the reinforcing bars to be installed together when concrete is to be based on the specifications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여기서, 상수도 계량기실은 내부를 통과하는 상수도관의 직경이 통상 75 내지 300mm인 대구경의 것을 사용하는 바, 이러한 대구경의 상수도관의 일부와 계량기가 장착될 내부공간이 형성된 상수도 계량기실의 제작에는 대량의 콘크리트가 투입되어야 함은 물론, 방수 및 기밀 처리에 만전을 기해야 하는 것이다.Here, the tap water meter room uses a large diameter water pipe having a diameter of 75 to 300 mm passing through the inside, and a part of such a large diameter water pipe and an inner space in which the meter is formed have a large amount in the production of the tap water meter room. Concrete must be added, as well as waterproof and airtight.

이때, 상수도 계량기실은 별도의 작업장에서 제작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거푸집을 양생된 콘크리트로부터 분리하면서 얻어지게 되지만, 대형이면서 대량의 콘크리트가 투입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획득하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다.
At this time, the water supply meter room is obtained by placing concrete in a formwork made in a separate workshop and curing to separate the formwork from the cured concrete, but it is very difficult to obtain a concrete structure in which a large amount of concrete is inject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성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조립 및 해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제품 정밀도가 높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획득이 가능한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 및 이로부터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assembly and disassembly is made efficiently and the concrete structure manufacturing formwork and concrete structure manufactured therefrom equipped with a water meter capable of obtaining a concrete structure with high product precision It is to provide a construction method us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게 위하여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는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지면과 평행하게 분할되어 상면에 점검구가 관통되고 내측 저면에 집수홈이 형성되며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내부 유닛과, 외부 양측면에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양측면을 상수도관이 통과하는 통과공이 관통되고 상기 내부 유닛의 상면과 저면과 양측면 및 배면을 감싸면서 정면은 개방되며 상기 내부 유닛의 외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외부 유닛과, 내측 가장자리는 상기 내부 유닛의 분할된 각각의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되고, 외측 가장자리는 상기 내부 유닛의 외면을 감싸는 상기 외부 유닛 각각의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되며 상기 내, 외측 가장자리 사이의 형성 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분할된 부분이 상호 돌기와 홈의 결합 구조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내부 유닛의 외면과 상기 외부 유닛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분할하는 격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parallel to the ground at least one or more along the up and down direction buried in the ground through the inspection hol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rete structure in which the water collecting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bottom and the meter is built-in An inner unit forming an inner space and a passage hole through which water conduits pass through both sides of the concrete structure on both sides of the inner structure and surrounding the top, bottom, both sides and the back of the inner unit are opened,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unit is opened. An outer unit in which concrete is poured into a space formed between the inner unit, an inner edge of the inner unit is fastened to each of the divided edges of the inner unit, and an outer edge of the outer unit wraps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unit; Is fastened with screws and the direction of formation between the inner and outer edges Ra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divided portion of the concrete structure includes a partition for dividing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unit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unit to form a coupling structure of the mutual projection and the groove of the embodiment of the embodiment Application is possible.

그리고, 본 발명은 상면에 점검구가 관통되고 내측 저면에 집수홈이 형성되며 양측면에 상수도관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계량기가 내장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내부 유닛과 상기 내부 유닛의 외면을 감싸고 정면이 개방된 외부 유닛과 상기 내, 외부 유닛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지중에 매설되는 위치로부터 지면에 이르는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지면과 평행하게 분할하며 형성 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된 복수의 격편을 각각 나사로 체결하여 거푸집을 조립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외부 유닛의 개방된 정면이 상측으로 향하도록 거푸집을 배치하고 상기 외부 유닛의 외면에 형성된 투입공으로부터 바이브레이터를 삽입하는 제2 단계와, 상기 격편과 상기 내, 외부 유닛이 형성하는 분할된 공간에 각각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기 바이브레이터를 가동시키는 제3 단계와, 상기 바이브레이터를 상기 외부 유닛으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투입공을 마감한 후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외부 유닛을 해체하고 상기 점검구를 통해 상기 내부 유닛에 진입하여 상기 내부 유닛과 상기 격편을 해체한 다음 분할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취출하는 제4 단계와, 상기 분할된 콘크리트 구조물 각각을 연결하는 가장자리에 형성된 홈과 돌기의 구조로부터 지중에 상기 분할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하부 모듈로부터 중간 모듈 및 상부 모듈의 순으로 매설하면서 상수도관 및 계량기를 장착하고 상기 분할된 콘크리트 구조물 각각의 연결부위를 마감 방수재로 시공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raps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unit and the inner unit to form an inner space in which the check hole is penetrat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water collecting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through-holes through which the water pipe passes, and the meter is built in the front surface.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opened outer unit and the inner and outer units is divided in parallel with the ground at least one or more along the direction from the position in which the ground is buried to the ground, and a plurality of gaps each having grooves formed along the forming direction. A first step of assembling the formwork by screwing, a second step of arranging the formwork so that the open front side of the outer unit faces upward, and inserting a vibrator from an input hole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unit; The concrete is poured into divided spaces formed by the inner and outer units, respectively. After the third step of operating the data, and the vibrator is separated from the external unit and the curing of the poured concrete is completed after closing the injection hole, the external unit is dismantled and enters the internal unit through the inspection door A fourth step of dismantling the inner unit and the gap and then taking out the divided concrete structure, and from the lower module of the divided concrete structure in the ground from the structure of the groove and the protrusion formed at the edge connecting each of the divided concrete structures. It is possible to apply the embodiment including a fifth step of mounting the water supply pipe and meter while laying in the middle module and the upper module and constructing the connection portion of each of the divided concrete structures as a finish waterproofing material.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achieved.

우선, 본 발명은 내부 유닛과 외부 유닛이 형성하는 공간을 복수로 분할하는 격편을 포함하는 거푸집을 이용하여 분할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으므로, 조립과 해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can manufacture a divided concrete structure by using a formwork including a partition for dividing a plurality of spaces formed by the inner unit and the outer unit, the assembly and disassembly is made efficiently.

그리고, 본 발명은 격편의 형성 방향을 따라 분할된 각각의 콘크리트 구조물이 상호 홈과 돌기의 결합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구조를 채택하여 거푸집의 해체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취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기밀 상태의 유지가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structure in which the grooves are formed so that each concrete structure divided along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gap can be stacked by the coupling of the mutual grooves and the projections, thereby making it easy to take out the concrete structure due to the dismantling of the formwork. Confidentiality is ensu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으로부터 제작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의 상부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의 중간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의 하부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으로부터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용한 시공방법을 나타낸 블록 선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concrete structure manufactured from formwork for manufacturing a concrete structure with a water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formwork for manufacturing a concrete structure with a water supply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of the formwork for manufacturing concrete structures having a built-in tap water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structure of the formwork for manufacturing concrete structures having a built-in tap water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mediate structure of the formwork for manufacturing concrete structures with a water supply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r structure of the formwork for manufacturing concrete structures with a water supply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struction method using a concrete structure manufactured from the formwork for manufacturing a concrete structure with a water supply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으로부터 제작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로, 콘크리트 구조물(400)은 지중에 매설되는 위치로부터 지면에 이르는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지면과 평행하게 분할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a concrete structure manufactured from a formwork for manufacturing a concrete structure having a water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rete structure 400 is a direction from the position of the underground to the ground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at least one structure is divided in parallel with the ground.

여기서, 콘크리트 구조물(400)은 상면에 점검구(401)가 관통된 상부 모듈(410)과, 양측면에 상수도관(이하 미도시)이 관통하는 통과공(403)이 형성된 중간 모듈(430)과, 내측 저면에 집수홀(402)이 형성된 하부 모듈(420)을 포함하는 구조이다.Here, the concrete structure 400 has an upper module 410 through which the check hole 401 penetrates on the upper surface, an intermediate module 430 having a through hole 403 through which a water pipe (not shown) penetrates on both sides thereof, The lower module 420 has a collecting hole 402 formed on the inner bottom thereof.

이때, 상부 모듈(410)은 저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체결돌기(412)가 중간 모듈(430)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체결홈(432)이 상호 결합되고, 하부 모듈(420)은 상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체결홈(422)이 중간 모듈(430)의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체결돌기(432')와 상호 결합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상수도관이 통과하고 계량기(이하 미도시)가 장착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400)이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upper module 410 is a fastening protrusion 412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432 formed along the upper edge of the middle module 430 is mutually coupled, the lower module 420 is the edge of the upper surface The coupling grooves 422 formed along the mutual coupling with the fastening protrusions 432 ′ formed along the bottom edge of the intermediate module 430 to allow the water supply pipe to pass through the concrete and have an internal space in which the meter (not shown) is mounted. It is to be a structure 400.

상기와 같은 구조의 분할된 콘크리트 구조물(400)을 제작하기 위하여 도 2 및 도 3을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전체적으로 살펴본다.In order to manufacture the divided concrete structure 400 having the above structure, th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 whole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의 정면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formwork for manufacturing concrete structures in which the tap water mete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of the formwork for manufacturing concrete structures in which the tap water mete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참고로, 정면, 양측면, 상면, 저면, 배면 등의 용어는 도 2에서 정면을 2, 양측면을 3과 3', 상면을 4, 저면을 5, 그리고 배면을 6이라 표시한 방향에서 본 시점이라 각각 정의한다.For reference, terms such as the front, both sides, the top, the bottom, and the back are views when viewed from a direction in which the front is shown as 2, both sides are 3 and 3 ', the top is 4, the bottom is 5, and the back is 6 in FIG. Define each one.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표시되지 않은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관련 도면부호는 도 1을 참고하며, 이하의 도면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한다.In addition, the reference numerals of the concrete structure 400 not shown in FIGS. 2 and 3 refer to FIG. 1, and the same applies to the following drawings.

또한, 도 2 및 도 3에서 미설명 부호로 111은 점검구(401) 형성을 위한 점검구 형성통을, 121은 집수홈(402) 형성을 위한 트레이를, 240은 통과공(403) 형성을 위한 통과공 형성통, 250은 바이브레이터 삽입을 위한 투입공을 각각 나타낸다.In addition, in FIG. 2 and FIG. 3, reference numeral 111 denotes an inspection opening forming tube for forming the inspection opening 401, 121 a tray for forming the collecting groove 402, and 240 passing through the formation of the passage hole 403. The ball formation cylinder 250 represents the input hole for vibrator insertion, respectively.

본 발명은 크게 내부 유닛(100)의 외부를 감싸는 외부 유닛(200)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격편(300)이 복수로 분할하고, 분할된 공간에 각각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전술한 상부 모듈(410)과 하부 모듈(420) 및 중간 모듈(430)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제작을 위한 거푸집(1)이 되는 것임을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e 30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formed between the outer unit 200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inner unit 100 in large numbers, and the concrete placed in the divided spaces is cured, and the upper portion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formwork (1) for the production of the concrete structure 400 consisting of the module 410 and the lower module 420 and the intermediate module 430.

내부 유닛(100)은 지중에 매설되는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지면과 평행하게 분할되어 상면에 점검구(401)가 관통되고, 내측 저면에 집수홈(402)이 형성되며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내부의 틀체 역할을 한다.The inner unit 100 is divided into parallel to the ground at least one or more along the up and down direction buried in the ground, the inspection hole 401 penetrates on the upper surface, the water collecting groove 402 is form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oncrete structure in which the meter is built It serves as an internal frame form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400).

그리고, 외부 유닛(200)은 외부 양측면에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양측면을 상수도관이 통과하는 통과공(403)이 관통되고, 내부 유닛(100)의 상면과 저면과 양측면 및 배면을 감싸면서 정면은 개방되며, 내부 유닛(100)의 외면과의 사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의 틀체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outer unit 200 has a through hole 403 through which the water supply pipe passes through both sides of the concrete structure 400 through the outer both sides, and surrounds the top and bottom and both sides and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unit 100 in front. Is open, and serves as an outer frame forming a space in which concrete is pour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unit 100.

격편(300)은 내부 유닛(100)의 분할된 각각의 가장자리와 내측 가장자리가 나사로 체결되고, 내부 유닛(100)의 외면을 감싸는 외부 유닛(200) 각각의 가장자리와 외측 가장자리가 나사로 체결되어 내부 유닛(100)과 외부 유닛(20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상하 방향으로 분할하는 역할을 한다.The septum 300 has screws and respective divided edges and inner edges of the inner unit 100, and screws and edges of each of the outer units 200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unit 100 are screwed to each other. It serves to divide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100 and the external unit 200 in the vertical direction.

여기서, 격편(300)은 내, 외측 가장자리 사이의 형성 방향을 따라 홈(310)이 형성되어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분할된 부분이 상호 돌기와 홈의 결합 구조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거푸집(1)을 구성하는 내, 외부 유닛(100, 200)과 격편(300)을 해체하면 상, 하부 모듈(410, 420) 사이에 중간 모듈(430)이 정확하고 견고한 결합 상태로 적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Here, the gap 300 has a groove 310 is formed along the forming direction between the inner and outer edges, so that the divided portion of the concrete structure 400 is formed to form a coupling structure of the mutual protrusion and the groove is formed. When the inner and outer units 100 and 200 and the gap 300 are dismantled, the upper and lower modules 410 and 420 between the intermediate module 430 can be stacked in a precise and rigid coupling state. can do.

즉, 격편(300)은 홈(310)이 형성된 부분을 따라 격편(300)을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부재는 돌기의 구조가, 격편(300)을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되는 부재는 홈의 구조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상호 체결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partition 300 has a structure in which a member disposed at an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partition 300 along a portion where the groove 310 is formed has a structure of a protrusion, and a member disposed at a lower portion based on the partition 300 has a structure of a groove. Will be made to be mutually fastened.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above embodiments,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the following various embodiments, of course.

내부 유닛(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부재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의 제1 내틀(110)과 하부의 제2 내틀(120) 사이에 배치되는 제3 내틀(13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ner unit 100 is a member for forming an inner space of the concrete structure 400 and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first inner frame 110 and the lower second inner frame 120. It can be seen that the structure including the three inner frame (130).

우선, 제1 내틀(110)은 상면에 점검구(401)가 관통된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상부 모듈(410) 형상에 대응하여 저면이 개방된 부재이다.First, the first inner frame 110 is a member whose bottom surface is open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hape of the upper module 410 of the concrete structure 400 through which the inspection hole 401 penetrates.

그리고, 제2 내틀(120)은 내측 저면에 집수홈(402)이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하부 모듈(420) 형상에 대응하여 상면이 개방되고, 제1 내틀(110)의 하측에 배치되는 부재이다.In addition, the second inner frame 120 has an upper surface open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lower module 420 of the concrete structure 400 in which the water collecting groove 402 is formed on the inner bottom thereof, and is disposed below the first inner frame 110. It is absent.

또한, 제3 내틀(130)은 양측면에 상수도관이 관통되는 통과공(403)이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중간 모듈(430) 형상에 대응하여 상면과 저면이 개방되고 제1, 2 내틀(110, 120) 사이에 배치되는 부재이다.In addition, the third inner frame 130 has a top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open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middle module 430 of the concrete structure 400 in which the through-holes 403 through which the water pipes penetrate are formed, and the first and second inner frames ( It is a member arrange | positioned between 110 and 120.

여기서, 제3 내틀(130)의 상, 하단부 가장자리에는 각각 격편(300)의 내측 가장자리가 나사 결합되고, 격편(300)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내부 유닛(100)에 대응하여 분할된 후술할 외부 유닛(200) 각각의 가장자리가 나사로 체결되는 것이다.Here, the inner edge of the pawl 300 is screwed to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third inner frame 130, and the outer unit (to be described later) divided to correspond to the inner unit 100 at the outer edge of the pawl 300. 200) Each edge is screwed.

이때, 제1, 2, 3 내틀(110, 120, 130)의 더욱 상세한 구조에 대하여는 도 4 내지 도 6을 참고로 후술할 외부 유닛(200)의 분할된 각 부재와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In this case, a more detailed structur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inner frames 110, 120, and 130 will be described together with the divided members of the external unit 200 to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한편, 외부 유닛(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 유닛(100)의 외부를 감싸며 개방된 정면으로부터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양생될 공간이 마련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의 제1 외틀(210)과 하부의 제2 외틀(220)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외틀(23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unit 200 is provided with a space for curing the concrete to be poured from the open front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inner unit 100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the upper first outer frame 210 and lower It can be seen that the structure includes a third outer frame 230 disposed between the second outer frame 220 of the.

우선, 제1 외틀(210)은 상면에 점검구(401)가 관통된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상부 모듈(410)형상에 대응하여 내부 유닛(100)의 상부, 즉 제1 내틀(110)을 감싸며 정면과 저면이 각각 개방된 부재이다.First, the first outer frame 210 surrounds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unit 100, that is, the first inner frame 110,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upper module 410 of the concrete structure 400 through which the check hole 401 penetrates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The front and bottom surfaces are open members, respectively.

그리고, 제2 외틀(220)은 내측 저면에 집수홈(402)이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하부 모듈(420) 형상에 대응하여 내부 유닛(100)의 하부, 즉 제2 내틀(220)을 감싸며 정면과 상면이 각각 개방되고, 제1 외틀(210)의 하측에 배치되는 부재이다.In addition, the second outer frame 220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lower module 420 of the concrete structure 400 in which the collecting groove 402 is form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inner unit 100, that is, the second inner frame 220. The front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wrapper are respectively opened, and are members disposed below the first outer frame 210.

또한, 제3 외틀(230)은 양측면에 상수도관이 관통되는 통과공(403)이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중간 모듈(430) 형상에 대응하여 내부 유닛(100)의 중간, 즉 제3 내틀(130)을 감싸고, 양측면에 통과공(430)에 대응하는 홀(231)이 형성되며 정면과 상면 및 저면이 각각 개방되고, 제1, 2 외틀(210, 220) 사이에 배치되는 부재이다.In addition, the third outer frame 230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middle module 430 of the concrete structure 400 in which the through-holes 403 through which the water pipes are penetrated are formed in the middle of the inner unit 100, that is, the third inner frame. It surrounds the 130, the hole 231 corresponding to the through-hole 430 is formed on both sides, the front, the top and the bottom is open, respectively, is a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second outer frame (210, 220).

여기서, 제3 외틀(230)의 상, 하단부 가장자리에는 각각 격편(300)의 외측 가장자리가 나사 결합되고, 격편(300)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외부 유닛(200)을 형성하는 제1, 2, 3 외틀(210, 220, 230)에 대응하여 분할된 내부 유닛(100) 각각, 즉 제1, 2, 3 내틀(110, 120, 130)의 가장자리가 나사로 체결되는 구조임은 전술한 바와 같다.Here, the outer edges of the pawl 300 are screwed to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third outer frame 230, respectively,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outer frames forming the outer unit 200 at the inner edge of the pawl 300. As described above, the edges of the inner units 100, that is, the first, second, and third inner frames 110, 120, and 130 divided corresponding to the 210, 220, and 230, are fastened with screws.

이때, 제1, 2, 3 외틀(210, 220, 230)의 더욱 상세한 구조에 대하여는 도 4 내지 도 6을 참고로 전술한 내부 유닛(100)의 분할된 각 부재와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In this case, a more detailed structur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outer frames 210, 220, and 230 will be described together with the divided members of the inner unit 10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또한, 내부 유닛(100)과 외부 유닛(200)이 형성하는 공간에는 도 3과 같이 콘크리트 타설시 구조적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콘크리트가 투입되기 전에 철근(510)이 격자 형상으로 조립된 철골(500)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space formed by the inner unit 100 and the outer unit 200, the steel frame 500, in which the reinforcing bars 510 are assembled in a lattice shape before the concrete is put in order to increase structural strength when concrete is poured, as shown in FIG. It is preferred to be mounted.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구조의 거푸집(1)의 상, 중, 하부 구조를 내부 유닛(100)과 외부 유닛(200) 및 격편(300)의 상호 결합 관계를 통하여 도 4 내지 도 6을 참고로 하여 살펴본다.Next, the upper, middle, and lower structures of the formwork 1 having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through a mutual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inner unit 100, the outer unit 200, and the gap 300. Take a look.

우선, 제1 내틀(110)은 도 4와 같이 상편(112)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1 상부 측편(114)과 제2 상부 측편(116)이 장착되어 제1, 2 상부 측편(114, 116)은 후술할 격편(300)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나사로 체결되며, 격편(300)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후술할 외틀(210)의 하부측 가장자리가 나사로 체결된다.First, the first inner frame 110 is mounted with the first upper side 114 and the second upper side 116 along the edge of the upper side 112, as shown in Figure 4, the first and second upper side pieces 114, 116 Is fastened with screws along the inner edge of the gap 300 to be described later, the lower edge of the outer frame 210 to be described later is fastened to the outer edge of the gap 300.

상편(112)은 중앙에 점검구(401)가 관통되고, 점검구(401)의 가장자리를 따라 점검구 형성통(111)이 나사로 체결되는 평판 형상의 부재이다.The upper piece 112 is a flat member in which a check hole 401 penetrates in the center thereof, and a check hole forming tube 111 is fastened with a screw along an edge of the check hole 401.

그리고, 제1 상부 측편(114)은 외부 유닛(200), 즉 제1 외틀(210)의 양측면에 각각 대면되고, 상, 하단부 가장자리에 각각 절곡 형성된 제1 상부 체결리브(114') 및 제1 하부 체결리브(114")가 마련된 부재이다.In addition, the first upper side piece 114 faces the outer unit 200, that is, both sides of the first outer frame 210, respectively, and the first upper fastening rib 114 ′ and the first bent edges formed at upper and lower edges, respectively. The lower fastening rib 114 "is provided.

즉, 제1 상부 체결리브(114')는 제1 상부 측편(114)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상호 대향되게 절곡되어 상편(112)의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되고, 제1 하부 체결리브(114")는 제1 상부 측편(114)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상호 대향되게 절곡되어 격편(300)의 내측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된다.That is, the first upper fastening rib 114 ′ extends from the upper edge of the first upper side piece 114 and bends to face each other, and is screwed to the edge of the upper piece 112, and the first lower fastening rib 114 ″ is formed. Is extended from the lower edge of the first upper side 114 and bent to face each other and fastened with screws to the inner edge of the compartment 300.

또한, 제2 상부 측편(116)은 제1 외틀(210)의 정면 및 배면에 각각 대면되고, 상, 하단부 가장자리에 각각 절곡 형성된 제2 상부 체결리브(116') 및 제2 하부 체결리브(116")가 마련된 부재이다.In addition, the second upper side piece 116 faces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irst outer frame 210, respectively, and the second upper fastening rib 116 'and the second lower fastening rib 116 which are bent at upper and lower edges, respectively. ") Is provided.

즉, 제2 상부 체결리브(116')는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상호 대향되게 절곡되어 상편(112)의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되고, 제2 하부 체결리브(116")는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상호 대향되게 절곡되어 격편(300)의 내측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된다.That is, the second upper fastening rib 116 ′ extends from the upper edge and is bent to face each other to be screwed with the edge of the upper piece 112, and the second lower fastening rib 116 ″ extends from the lower edge and is opposed to each other. It is bent to be fastened with a screw with the inner edge of the pawl 300.

여기서, 제2 상부 측편(116)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테이퍼진 형상을 이루는 상부 분리편(115)으로 좌우 양측이 분할되고, 상부 분리편(115)은 제1 외틀(210)의 정면 및 배면에 각각 대면하는 부재이다.Here, the second upper side piece 116 is divided into an upper separation piece 115 formed in a tapered shape gradually widening toward the lower side as shown, the upper separation piece 115 is the first outer frame 210 It is a member facing the front and back of each).

상부 분리편(115)은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적인 특성상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제1 외틀(210)을 해체하고, 제1 내틀(110)을 해체할 때,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The upper separating piece 115 dismantles the first outer frame 210 when the curing of the concrete is completed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shape widening toward the lower, and when dismantling the first inner frame 110, the technical for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It can be called a means.

한편, 제1 외틀(2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틀(110)의 상면과 양측면 및 배면을 감싸고 정면을 개방시킨 구조로써, 제1 내틀(110)의 양측면 및 배면을 감싸는 제1 지지틀체(214)의 상측 가장자리에 외부 상판(212)의 가장자리가 나사로 체결되며, 개방된 정면에는 보강을 위한 제1 정면틀체(216)가 결합된 구조이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outer frame 210 is a structure that surrounds the upper surface and both sides and the back of the first inner frame 110 and open the front as shown, the first support frame surrounding the both sides and the back of the first inner frame 110 The edge of the outer top plate 212 is fastened to the upper edge of the (214) with a screw, the first front frame 216 for reinforcement is coupled to the open front.

그리고, 제1 내틀(110)과 제1 외틀(210) 각각의 하부측 가장자리는 격편(300)의 내측 가장자리와 외측 가장자리에 나사로 체결되며, 격편(300)은 격편(300)의 내측 가장자리가 이루는 사각형의 꼭지점과 격편(300)의 외측 가장자리가 이루는 사각형의 꼭지점을 상호 연결하는 방향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되는 분할격편(300', 300")들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부재임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edges of each of the first inner frame 110 and the first outer frame 210 are screwed to the inner edge and the outer edge of the pawl 300, and the pawl 300 is formed by the inner edge of the pawl 300. It can be seen that the member is formed by the divided partitions 300 'and 300 "divided as shown in the direction interconnecting the corners of the square formed by the vertex of the square and the outer edge of the gap 300.

여기서, 분할격편(300', 300")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310)은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어 상호 대향하는 경사면(312)과, 경사면(312)의 단부에 분할격편(300', 300")의 표면과 평행한 안착면(314)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grooves 310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of the division pieces 300 'and 300 "are formed to become narrower toward the lower side thereof, and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inclined surface 312 and the end portions of the inclined surface 312. And a seating surface 314 parallel to the surfaces of 300 ', 300 ").

이때, 홈(312)의 전술한 구체적인 형상은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어 외부 유닛(200)을 해체한 다음 내부 유닛(100)과 격편(300)을 해체할 때 분할된 각각의 콘크리트 구조물(400), 여기서는 상부 모듈(410)이 원활하게 중간 모듈(430)과 분리 취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bove-described specific shape of the groove 312 is completed when the curing of the poured concrete is completed to dismantle the outer unit 200 and then to dismantle the inner unit 100 and the gap 300, each concrete structure ( 400, in this case, the upper module 410 may be referred to as a technical means for smoothly separating out from the intermediate module 430.

또한, 제1 내틀(110)과 제1 외틀(210) 사이의 공간에는 콘크리트가 투입되기 전에 철근(510)이 격자 형상으로 조립된 철골(500)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립된 철골(500)의 하부 가장자리는 격편(300)의 홈(310)의 형성 방향에 대응되게 배치되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inner frame 110 and the first outer frame 210,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el frame 500 in which the reinforcing bars 510 are assembled in a lattice shape before the concrete is introduced, and the assembled steel frame 500 The lower edge of the) is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groove 310 of the compartment 300.

한편, 제3 내틀(130)은 도 5와 같이 네 측면을 이루되 대각선 방향으로 분할된 중간 측편(132)의 양단부 가장자리를 중간 분리편(134)이 연결지음으로써 중간 모듈(43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제3 내틀(130)의 상, 하단부 가장자리에 각각 나사로 체결된 격편(300)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제3 외틀(230)의 상, 하단부 가장자리가 나사로 체결된다.Meanwhile, the third inner frame 130 forms four sides as shown in FIG. 5, but the intermediate separation piece 134 connects the edges of both ends of the intermediate side piece 132 divided in a diagonal direction to form an internal space of the intermediate module 430.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third outer frame 230 are fastened with screws to the outer edges of the gap 300 which are fastened with screws to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third inner frame 130, respectively.

중간 측편(132)은 외부 유닛(200), 즉 제3 외틀(230)의 양측면과 정면 및 배면에 각각 대면되고, 상, 하단부 가장자리에 각각 절곡 형성된 제5 상부 체결리브(132')와 제6 상부 체결리브(132")가 마련된 부재이다.The middle side piece 132 faces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outer unit 200, that is, the third outer frame 230, respectively, and the fifth upper fastening rib 132 ′ and the sixth bent at the upper and lower edges, respectively. The upper fastening rib 132 ″ is provided.

즉, 제5 상부 체결리브(132')는 중간 측편(132)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제3 외틀(230)의 양측면과 정면 및 배면으로부터 각각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격편(300)의 내측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된다.That is, the fifth upper fastening rib 132 ′ extends from an upper edge of the middle side piece 132 and is bent in a direction away from both side surfaces,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third outer frame 230, and the inner edge of the spacing 300. It is fastened with screws.

그리고, 제6 상부 체결리브(132")는 중간 측편(132)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제3 외틀(230)의 양측면과 정면 및 배면으로부터 각각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격편(300)의 내측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된다.In addition, the sixth upper fastening rib 132 ″ extends from the lower edge of the middle side piece 132 and is bent in directions away from both side surfaces,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third outer frame 230, respectively, It is fastened with screws.

또한, 중간 분리편(134)은 제3 외틀(230)의 양측면 중 일면과 정면 및 제3 외틀(230)의 양측면 중 나머지 일면과 배면에 각각 대면되며, 상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게 형성되어 격편(300)의 내측 가장자리가 이루는 사각형의 대각선 방향으로 등분된 중간 측편(132) 각각의 양단부와 상호 연결되는 부재이다.In addition, the intermediate separating piece 134 faces one side and the front of both sides of the third outer frame 230 and the other one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both sides of the third outer frame 230, respectively, and is gradually widened toward the upper side to form a gap ( It is a member interconnected with both ends of each of the intermediate side pieces 132 equally divided in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square formed by the inner edge of 300.

여기서, 중간 분리편(134)은 상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intermediate separation piece 134 is preferably formed in a shape that gradually widens toward the top.

중간 분리편(134)은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적인 특성상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제3 외틀(230)을 해체하고, 제3 내틀(130)을 해체할 때,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The intermediate separation piece 134 dismantles the third outer frame 230 when the curing of the concrete is completed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shape widening toward the upper portion, and when dismantling the third inner frame 130, technical for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It can be called a means.

한편, 제3 외틀(2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내틀(130)의 양측면 및 배면을 감싸고 정면을 개방시킨 구조로써, 제3 내틀(130)의 양측면 및 배면을 감싸는 제3 지지틀체(232)의 상측 가장자리에 제1 외틀(210)과 결합된 격편(300)의 저면 외측 가장자리가 나사로 체결되며, 개방된 정면에는 보강을 위한 제3 정면틀체(234)가 결합된 구조이다.On the other hand, the third outer frame 230 is a structure that surrounds both sides and the rear surface of the third inner frame 130 and open the front as shown, the third support frame 232 surrounding both sides and the rear surface of the third inner frame 130 The outer edg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gap 300 coupled to the first outer frame 210 is screwed to the upper edge of the), and the open fro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third front frame body 234 for reinforcement is coupled.

그리고, 제3 내틀(130)과 제3 외틀(230) 각각의 하부측 가장자리는 격편(300)의 내측 가장자리와 외측 가장자리에 나사로 체결되며, 격편(300)은 격편(300)의 내측 가장자리가 이루는 사각형의 꼭지점과 격편(300)의 외측 가장자리가 이루는 사각형의 꼭지점을 상호 연결하는 방향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되는 분할격편(300', 300")들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부재임을 알 수 있다.The lower edges of each of the third inner frame 130 and the third outer frame 230 are screwed to the inner edge and the outer edge of the pawl 300, and the pawl 300 is formed by the inner edge of the pawl 300. It can be seen that the member is formed by the divided partitions 300 'and 300 "divided as shown in the direction interconnecting the corners of the square formed by the vertex of the square and the outer edge of the gap 300.

여기서, 분할격편(300', 300")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310)은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어 상호 대향하는 경사면(312)과, 경사면(312)의 단부에 분할격편(300', 300")의 표면과 평행한 안착면(314)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grooves 310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of the division pieces 300 'and 300 "are formed to become narrower toward the lower side thereof, and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inclined surface 312 and the end portions of the inclined surface 312. And a seating surface 314 parallel to the surfaces of 300 ', 300 ").

이때, 홈(312)의 전술한 구체적인 형상은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어 외부 유닛(200)을 해체한 다음 내부 유닛(100)과 격편(300)을 해체할 때 분할된 각각의 콘크리트 구조물(400), 여기서는 상부 모듈(410)이 원활하게 중간 모듈(430)과 분리 취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bove-described specific shape of the groove 312 is completed when the curing of the poured concrete is completed to dismantle the outer unit 200 and then to dismantle the inner unit 100 and the gap 300, each concrete structure ( 400, in this case, the upper module 410 may be referred to as a technical means for smoothly separating out from the intermediate module 430.

또한, 제3 내틀(130)과 제3 외틀(230) 사이의 공간에는 콘크리트가 투입되기 전에 철근(510)이 격자 형상으로 조립된 철골(500)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립된 철골(500)의 하부 가장자리는 격편(300)의 홈(310)의 형성 방향에 대응되게 배치되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space between the third inner frame 130 and the third outer frame 230,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el frame 500, in which the reinforcing bars 510 are assembled in a lattice shape, is mounted before concrete is introduced, and the assembled steel frame 500 The lower edge of the) is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groove 310 of the compartment 300.

한편, 제3 외틀(230)에는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통과공(403)이 형성되게 홀(231)에 삽입되어 내부 유닛(100)의 외면에 나사로 체결되는 통과공 형성통(240)이 결합된다.On the other hand, the third outer frame 230 is inserted into the hole 231 to form the through hole 403 of the concrete structure 400 is coupled to the through hole forming cylinder 240 is fasten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unit 100 by a screw do.

통과공 형성통(240)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절결부(242)에 마감편(244)이 결합되면서 원통 형상을 이루되, 절결부(242)에 대한 마감편(244)의 고정은 고정편(246)과 걸림편(248)의 상호 결합으로 이루어진다.Through-hole forming tube 240 is a cylindrical shape while the finishing piece 244 is coupled to the cutout 242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fixing of the finishing piece 244 to the cutout 242 is fixed piece ( 246 and the engaging piece 248 is made of a mutual coupling.

절결부(242)는 제3 내틀(130), 즉 중간 측편(132)이 이루고 제3 외틀(230)의 양측면에 대면하는 면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통과공 형성통(24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마감편(244)의 결합 공간을 제공한다.The notch 242 is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forming cylinder 240 so that the third inner frame 130, that is, the intermediate side piece 132 is gradually narrowed toward the surface side facing both sides of the third outer frame 230. To provide a coupling space for the finishing piece 244.

마감편(244)은 절결부(24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결부(242)에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이루며, 고정편(246)은 절결부(242)의 가장자리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통(240)의 내주면에 장착되어 마감편(244)을 고정하고, 걸림편(248)은 마감편(244)의 일단부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고정편(246)에 걸림 고정되는 부재이다.The finishing piece 244 is coupled to the cutout 242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utout 242 to form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the fixing piece 246 is formed at least one or more along the edge of the cutout 242 It is moun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240 to fix the finishing piece 244, the locking piece 248 extends from both ends of one end of the finishing piece 244 is a member that is fixed to the fixing piece 246.

미설명 부호로 245'은 통과공 형성통(240)에 마련된 탈착용 브라켓이며, 245"은 탈착용 브라켓(245')에 대응되는 탈착용 브라켓으로, 양 탈착용 브라켓(245', 245")은 결합과 해체의 편의를 위하여 나사로 체결된다.Reference numeral 245 'is a removable bracket provided in the through-hole forming tube 240, 245 "is a removable bracket corresponding to the removable bracket 245', both removable brackets (245 ', 245") The screws are fastened with screws for ease of assembly and disassembly.

그리고, 제3 외틀(230)에는 제3 외틀(230)의 양측면 중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되어 내부 유닛(100)과 외부 유닛(200) 사이의 공간에 균일하게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진동을 부여하는 바이브레이터(이하 미도시)가 투입되는 투입공(250)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hird outer frame 230 penetrates at least one or more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third outer frame 230 to impart vibration to uniformly pour concrete into the space between the inner unit 100 and the outer unit 200. It is preferable that the injection hole 250 into which the vibrator (hereinafter not shown) is introduced is further formed.

투입공(250)은 제3 내틀(130)과 제3 외틀(230)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제1 내, 외틀(110, 210) 사이의 공간 및 제2 내, 외틀(120, 220) 사이의 공간과는 달리 통과공 형성통(240)이 존재하므로, 통과공 형성통(240)을 제외하는 제3 내, 외틀(130, 230)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가 균일하게 타설되어 빈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투입된 콘크리트에 진동을 부여하는 바이브레이터를 삽입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The injection hole 250 is the space between the first inner, outer frame 110, 210 and the second inner, outer frame 120, when placing concrete in the space between the third inner frame 130 and the third outer frame 230 Unlike the space between the 220, the through-hole forming cylinder 240 is present, so that the concrete is uniformly poured in the space between the outer frame (130, 230) in the third, except the through-hole forming cylinder 240 It is provided to insert a vibrator to give a vibration to the injected concrete so as not to create a space.

여기서, 투입공(250)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돌출편(252)이 돌출되고, 돌출편(252)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호 대향되게 레일편(254)이 장착되며, 레일편(254)을 따라 왕복 가능하게 마감편(256)이 장착되어 투입공(250)을 개폐 가능하고, 마감편(256)에는 파지 가능한 손잡이편(258)이 돌출되어 투입공(250)의 개폐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Here, the protruding pieces 252 protrude from both side edges of the injection hole 250, and the rail pieces 254 are mounted to face each other along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protruding pieces 252, and reciprocate along the rail pieces 254. The closing piece 256 may be mounted to open and close the injection hole 250, and the grip piece 258 protrudes from the closing piece 256 to facilitate opening and closing of the injection hole 250.

따라서, 작업자는 마감편(256)을 레일편(254)의 형성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콘크리트 투입 전에 바이브레이터의 삽입을 위하여 투입공(250)을 개방하고,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되어 바이브레이터가 제3 외틀(230)로부터 분리되면 투입공(250)을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the worker moves the finishing piece 256 along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rail piece 254 to open the injection hole 250 for the insertion of the vibrator before the concrete is put, and the concrete casting is completed, the vibrator is the third outer frame ( If separated from 230 will be able to block the input hole (250).

한편, 제3 내, 외틀(130, 230)의 상, 하단부 가장자리는 각각 격편(300)의 내, 외측 가장자리와 결합되며, 격편(3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격편(300)의 내측 가장자리가 이루는 사각형의 꼭지점과 격편(300)의 외측 가장자리가 이루는 사각형의 꼭지점을 상호 연결하는 방향으로 분할되는 분할격편(300', 300")들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Meanwhile,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third inner and outer frames 130 and 230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inner and outer edges of the gap 300, and the gap 300 is formed by the inner edge of the gap 300 as shown. It can be seen that the structure includes the divided partitions 300 'and 300 "divided in a direction connecting the vertices of the square formed by the vertex of the square and the outer edge of the partition 300.

분할격편(300', 300")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310)은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어 상호 대향하는 경사면(312)과, 경사면(312)의 단부에 분할격편(300', 300")의 표면과 평행한 안착면(314)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rooves 310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of the division pieces 300 'and 300 "are formed to become narrower toward the lower side thereof so as to face each other with the inclined surface 312 and the end portions of the inclined surface 312 facing each other. , 300 ") and a seating surface 314 parallel to the surface.

이때, 홈(312)의 전술한 구체적인 형상은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어 외부 유닛(200)을 해체한 다음 내부 유닛(100)과 격편(300)을 해체할 때 분할된 각각의 콘크리트 구조물(400), 여기서는 상부 모듈(410)이 원활하게 중간 모듈(430)과 분리 취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bove-described specific shape of the groove 312 is completed when the curing of the poured concrete is completed to dismantle the outer unit 200 and then to dismantle the inner unit 100 and the gap 300, each concrete structure ( 400, in this case, the upper module 410 may be referred to as a technical means for smoothly separating out from the intermediate module 430.

또한, 제3 내틀(130)과 제3 외틀(230) 사이의 공간에는 콘크리트가 투입되기 전에 철근(510)이 격자 형상으로 조립된 철골(500)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립된 철골(500)의 하부 가장자리는 격편(300)의 홈(310)의 형성 방향에 대응되게 배치되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space between the third inner frame 130 and the third outer frame 230,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el frame 500, in which the reinforcing bars 510 are assembled in a lattice shape, is mounted before concrete is introduced, and the assembled steel frame 500 The lower edge of the) is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groove 310 of the compartment 300.

한편, 제2 내틀(120)은 도 6과 같이 저편(122)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1 하부 측편(124)과 제2 하부 측편(126)이 장착되어 제1, 2 하부 측편(124, 126)은 격편(300)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나사로 체결되며, 격편(300)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후술할 제2 외틀(210)의 상부측 가장자리가 나사로 체결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inner frame 120 is the first lower side piece 124 and the second lower side piece 126 is mounted along the edge of the bottom piece 122 as shown in Figure 6, the first and second lower side pieces (124, 126) Silver is fastened with screws along the inner edge of the gap 300, the upper edge of the second outer frame 210 to be described later is fastened to the outer edge of the gap 300.

저편(122)은 일측에 집수홈(402)에 대응하는 형상인 트레이(121)의 상부 가장자리가 나사로 체결되는 부재이다.The lower side 122 is a member to which the upper edge of the tray 121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llecting groove 402 on one side is screwed.

여기서, 트레이(121)의 상부에는 저편(122)과의 나사 체결을 위한 체결편(121')이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upper portion of the tray 121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fastening piece 121 'for fastening the screw with the bottom piece 122.

집수홈(402)은 상수도관의 누수나 우수의 유입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내부에 유입된 물이 모이는 용적을 제공하며 작업자는 점검구(401)를 통하여 별도로 마련된 양수기(이하 미도시) 등의 장비를 투입하여 집수홈(402)에 모인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을 것이다.The water collecting groove 402 provides a volume for collecting water introduced into the concrete structure 400 due to leakage of water supply pipes or inflow of rainwater, and a worker is provided with a water pump (hereinafter, not shown) separately provided through the inspection opening 401. By putting the equipment of the water collecting groove 402 will be able to discharge to the outside.

그리고, 제1 하부 측편(124)은 외부 유닛(200), 즉 제2 외틀(220)의 양측면에 각각 대면되고, 상, 하단부 가장자리에 각각 절곡 형성된 제3 상부 체결리브(124")와 제3 하부 체결리브(124')가 마련된 부재이다.In addition, the first lower side pieces 124 may face the opposite sides of the outer unit 200, that is, the second outer frame 220, respectively, and may include third upper fastening ribs 124 ″ and third bent at upper and lower edges, respectively. The lower fastening rib 124 'is provided.

즉, 제3 하부 체결리브(124')는 제1 하부 측편(124)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상호 대향되게 절곡되어 저편(122)의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되고, 제3 상부 체결리브(124")는 제1 하부 측편(124)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상호 대향되게 절곡되어 격편(300)의 내측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된다.That is, the third lower fastening rib 124 ′ extends from the bottom edge of the first lower side piece 124 and bends to face each other, and is screwed with the edge of the bottom 122, and the third upper fastening rib 124 ″. Is extended from the upper edge of the first lower side piece 124 and bent to face each other and fastened with screws to the inner edge of the spacing 300.

또한, 제2 하부 측편(126)은 제2 외틀(220)의 정면 및 배면에 각각 대면되고, 상, 하단부 가장자리에 각각 절곡 형성된 제4 상부 체결리브(126")와 제4 하부 체결리브(126')가 마련된 부재이다.In addition, the second lower side piece 126 faces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econd outer frame 220, respectively, and the fourth upper fastening rib 126 ″ and the fourth lower fastening rib 126 which are bent at upper and lower edges, respectively. ') Is provided.

즉, 제4 하부 체결리브(126')는 제2 하부 측편(126)의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상호 대향되게 절곡되어 저편(122)의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되고, 제4 상부 체결리브(126")는 제2 하부 측편(126)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상호 대향되게 절곡되어 격편(300)의 내측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된다.That is, the fourth lower fastening rib 126 ′ extends from the bottom edge of the second lower side piece 126 and bends to face each other, and is screwed with the edge of the lower side 122, and the fourth upper fastening rib 126 ″. Is extended from the upper edge of the second lower side piece 126 and bent to face each other and is screwed with the inner edge of the spacing 300.

여기서, 제2 하부 측편(12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테이퍼진 형상을 이루는 하부 분리편(125)으로 좌우 양측이 분할되고, 하부 분리편(125)은 제2 외틀(220)의 정면 및 배면에 각각 대면하는 부재이다.Here, the second lower side piece 126 is divided into a lower separation piece 125 having a tapered shape gradually widening toward the upper side as shown i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lower separation piece 125 has a second outer frame 220. It is a member facing the front and back of each).

하부 분리편(125)은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적인 특성상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제2 외틀(220)을 해체하고, 제2 내틀(120)을 해체할 때,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The lower separation piece 125 dismantles the second outer frame 220 when the curing of the concrete is completed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shape widening toward the upper portion, and when dismantling the second inner frame 120, technical for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It can be called a means.

한편, 제2 외틀(2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내틀(120)의 저면과 양측면 및 배면을 감싸고 정면을 개방시킨 구조로써, 제2 내틀(120)의 양측면 및 배면을 감싸는 제2 지지틀체(224)의 하측 가장자리에 외부 저판(222)의 가장자리가 나사로 체결되며, 개방된 정면에는 보강을 위한 제2 정면틀체(226)가 결합된 구조이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outer frame 220 has a structure that surrounds the bottom and both sides and the bottom of the second inner frame 120 and open the front as shown, a second support frame surrounding both sides and the back of the second inner frame 120 The edge of the outer bottom plate 222 is fastened to the lower edge of the 224 by a screw, the open fro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front frame 226 for reinforcement is coupled.

그리고, 제2 내틀(120)과 제2 외틀(220) 각각의 상부측 가장자리는 격편(300)의 내측 가장자리와 외측 가장자리에 나사로 체결되며, 격편(300)은 격편(300)의 내측 가장자리가 이루는 사각형의 꼭지점과 격편(300)의 외측 가장자리가 이루는 사각형의 꼭지점을 상호 연결하는 방향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되는 분할격편(300', 300")들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부재임을 알 수 있다.The upper edges of each of the second inner frame 120 and the second outer frame 220 are screwed to the inner edge and the outer edge of the pawl 300, and the pawl 300 is formed by the inner edge of the pawl 300. It can be seen that the member is formed by the divided partitions 300 'and 300 "divided as shown in the direction interconnecting the corners of the square formed by the vertex of the square and the outer edge of the gap 300.

여기서, 분할격편(300', 300")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310, 도 4 및 도 5 참고)은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어 상호 대향하는 경사면(312)과, 경사면(312)의 단부에 분할격편(300', 300")의 표면과 평행한 안착면(314)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grooves 310 (refer to FIGS. 4 and 5)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of the division pieces 300 ′ and 300 ″ are gradually narrower toward the lower side thereof to face the inclined surface 312 and the inclined surface 312. It is preferable that the end surface of the s) have a seating surface 314 parallel to the surfaces of the division pieces 300 'and 300 ".

이때, 홈(312)의 전술한 구체적인 형상은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어 외부 유닛(200)을 해체한 다음 내부 유닛(100)과 격편(300)을 해체할 때 분할된 각각의 콘크리트 구조물(400), 여기서는 상부 모듈(410)이 원활하게 중간 모듈(430)과 분리 취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bove-described specific shape of the groove 312 is completed when the curing of the poured concrete is completed to dismantle the outer unit 200 and then to dismantle the inner unit 100 and the gap 300, each concrete structure ( 400, in this case, the upper module 410 may be referred to as a technical means for smoothly separating out from the intermediate module 430.

또한, 제2 내틀(120)과 제2 외틀(220) 사이의 공간에는 콘크리트가 투입되기 전에 철근(510)이 격자 형상으로 조립된 철골(500)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립된 철골(500)의 하부 가장자리는 격편(300)의 홈(310)의 형성 방향에 대응되게 배치되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inner frame 120 and the second outer frame 220,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el frame 500, in which the reinforcing bars 510 are assembled in a lattice shape, is mounted before concrete is introduced, and the assembled steel frame 500 The lower edge of the) is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groove 310 of the compartment 300.

이상에서 도시하고 설명한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상수도관의 직경, 즉 관통공(403)의 직경이 75 내지 150mm, 구체적으로는 75, 100, 150mm 규격의 상수도관일 때 상, 하부 모듈(410, 420) 사이에 하나의 중간 모듈(430)이 적층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The embodiment shown and described above is generally the upper and lower modules 410, 420 when the diameter of the water pipe, that is,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403 is 75 to 150mm, specifically, 75, 100, 150mm standard water pipe One intermediate module 430 may be stacked in between.

그리고, 상수도관의 직경이 200mm인 경우에는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중간 모듈(430)을 지면에 평행한 방향에 따라 둘로 분할되도록 하여 상부의 중간 모듈 또는 하부의 중간 모듈에 상수도관이 통과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diameter of the water pipe is 200 mm, although not particularly illustrated, the middle module 430 may be divided into two according to a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und so that the water pipe passes through the middle module of the upper part or the middle module of the lower part. There will be.

이때, 제3 내, 외통(130, 230) 또한 둘로 분할될 중간 모듈의 형상에 맞게 분할 배치되는 구조여야 함은 물론이다.At this time, the third inner, the outer cylinder (130, 230) also need to be divided into a structure that is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intermediate module to be divided into two.

또한, 상수도관의 직경이 250, 300mm로 대구경인 경우에는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중간 모듈(430)을 지면에 평행한 방향에 따라 셋으로 분할되도록 하여 상부의 중간 모듈과 하부의 중간 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부의 중간 모듈에 상수도관이 통과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diameter of the water pipe is 250, 300mm in large diameter, although not shown in particular, the middle module 430 is divided into three according to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und disposed between the upper middle module and the lower middle module. It will be possible to pass the water pipe through the middle module of the intermediate part.

이때, 제3 내, 외통(130, 230) 또한 셋으로 분할될 중간 모듈의 형상에 맞게 분할 배치되는 구조여야 함은 물론이다.At this time, of course, the third inner and outer cylinders 130 and 230 also have to be divided and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intermediate module to be divided into three.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으로부터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하여 도 7을 참고로 설명하며, 도 7에 도시되지 않은 도면의 부호는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한다.On the other hand, with respect to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concrete structure manufactured from the formwork for manufacturing a concrete structure in which the water supply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structure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not shown in FIG. Reference numerals refer to FIGS. 1 to 6.

우선, 본 발명은 내부 유닛(100)과 외부 유닛(200) 및 격편(300)을 각각 나사로 체결하여 거푸집(1)을 조립한 다음, 외부 유닛(200)으로부터 바이브레이터를 투입하여 콘크리트 타설 준비를 하고, 콘크리트가 내, 외부 유닛(100, 200) 사이의 공간에 투입되면 바이브레이터를 가동시켜 균일하게 타설되도록 한 후,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내, 외부 유닛(100, 200) 및 격편(300)을 해체하여 분할된 콘크리트 구조물(400)을 취출한 다음, 지중에 분할된 콘크리트 구조물(400)을 매설하고 마감 방수재로 시공하는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ssemble the formwork 1 by fastening the inner unit 100, the outer unit 200 and the partition 300, respectively, and then prepare the concrete by pouring the vibrator from the outer unit 200 When the concrete is put into the space between the inner and outer units 100 and 200, the vibrator is operated to be poured evenly, and when the concrete is cured, the inner and outer units 100 and 200 and the gap 300 are dismantled. After the divided concrete structure 400 is taken out, an embodiment of embedding the divided concrete structure 400 in the ground and constructing the finished waterproof material may be applied.

최초, 제1 단계(S10)에서 작업자는 내부 유닛(100)을 구성하는 각 부재를 나사로 체결하되, 분할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격편(300)으로 구획되게 체결하며, 외부 유닛(200)을 격편(300)과 결합함으로써 거푸집(1)을 조립하게 된다.Initially, in the first step (S10), the worker fastens each member constituting the inner unit 100 with screws, and is partitioned and fastened into compartments 300 to facilitate dividing and dismantling. Combining the formwork (1) by combining with 300).

여기서, 내부 유닛(100)은 상면에 점검구(401)가 관통되고 내측 저면에 집수홈(402)이 형성되며 양측면에 상수도관(이하 미도시)이 통과하는 관통공(403)이 형성되고 계량기(이하 미도시)가 내장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Here, the inner unit 100 has a check hole 401 penetrates the upper surface, a collecting groove 402 is formed on the inner bottom surface and a through hole 403 through which a water pipe (not shown) passes on both sides and a meter ( It will form an internal space in which is not shown).

그리고, 외부 유닛(200)은 내부 유닛(100)의 외면을 감싸고 정면이 개방된 형상의 것이다.In addition, the outer unit 200 surrounds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unit 100 and has a shape in which the front is open.

격편(300)은 내, 외부 유닛(100, 2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지중에 매설되는 위치로부터 지면에 이르는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지면과 평행하게 분할하며 형성 방향을 따라 홈(310)이 형성된 복수의 부재이다.The partition 300 divides a space form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units 100 and 200 in parallel with at least one ground along the direction from the position in which it is buried in the ground to the ground, and the groove 310 is formed along the forming direction. A plurality of formed members.

또한, 제1 단계(S10)에서 작업자는 내부 유닛(100)과 외부 유닛(200)이 형성하는 공간에 구조적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철근(510)이 격자 형상으로 조립된 철골(510)을 장착하는 철골장착과정(S11)을 더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n the first step S10, the worker installs the steel frame 510 in which the steel bars 510 are assembled in a grid shape in order to increase structural strength in the space formed by the inner unit 100 and the outer unit 200. Mounting process (S11) may be further performed.

이후, 제2 단계(S20)에서 작업자는 외부 유닛(200)의 개방된 정면이 상측으로 향하도록 거푸집(1)을 배치하고, 외부 유닛(200)의 외면에 형성된 투입공(250)으로부터 바이브레이터(이하 미도시)를 삽입하여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준비를 한다.Subsequently, in the second step S20, the worker arranges the formwork 1 so that the open front of the outer unit 200 faces upward, and the vibrator (from the input hole 250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unit 200). (Not shown) to prepare for concrete pouring.

계속하여, 제3 단계(S30)에서 작업자는 격편(300)과 내, 외부 유닛(100, 200)이 형성하는 분할된 공간에 각각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바이브레이터를 가동시키면서 타설된 콘크리트에 진동을 부여한다.Subsequently, in the third step S30, the worker places concrete in divided spaces formed by the gap 300 and the inner and outer units 100 and 200, respectively, and gives vibration to the poured concrete while operating the vibrator. .

바이브레이터를 가동하는 것은 내부 유닛(100)과 외부 유닛(20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 점검구 형성통(111)과 관통공 형성통(240) 및 집수홈 형성을 위한 트레이(121) 등의 부재로 인하여 콘크리트가 균일하게 채워지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vibrator may be operated by a member such as a check hole forming cylinder 111 and a through hole forming cylinder 240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inner unit 100 and the outer unit 200 and a tray 121 for forming a collecting groove. This is to prevent the concrete from being evenly filled.

다음으로, 제4 단계(S40)에서 작업자는 바이브레이터를 외부 유닛(200)으로부터 분리하고 투입공(250)을 마감한 후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외부 유닛(200)을 해체하고, 점검구(401)를 통해 내부 유닛(100)으로 진입하여 내부 유닛(100)과 격편(300)을 해체한 다음 분할된 콘크리트 구조물(400)을 취출한다.Next, in the fourth step (S40), the worker separates the vibrator from the external unit 200 and closes the injection hole 250, and when curing of the poured concrete is completed, dismantle the external unit 200, the inspection opening Entering into the inner unit 100 through the 401 to dismantle the inner unit 100 and the compartment 300 and then to take out the divided concrete structure (400).

취출된 콘크리트 구조물(400)은 도 1과 같이 상부 모듈(410)과 하부 모듈(420) 사이에 중간 모듈(430)이 상하로 적층되는 구조이며, 각각의 결합 부위에는 격편(300)을 따라 형성된 홈(310)에 의하여 홈과 돌기의 결합구조가 되는 것이다.The extracted concrete structure 400 is a structure in which the intermediate module 430 is stacked up and down between the upper module 410 and the lower module 420 as shown in FIG. 1, and is formed along the gap 300 at each coupling portion. The groove 310 is to be a coupling structure of the groove and the projection.

최종적으로, 제5 단계(S50)에서 작업자는 분할된 콘크리트 구조물(400) 각각을 연결하는 가장자리에 형성된 홈과 돌기의 구조로부터 지중에 분할된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하부 모듈(420)로부터 중간 모듈(430) 및 상부 모듈(410)의 순으로 매설하면서 상수도관 및 계량기를 장착하고 분할된 콘크리트 구조물(400) 각각의 연결부위를 마감 방수재로 시공함으로써 일체의 시공이 완료된다.Finally, in the fifth step (S50), the worker is an intermediate module from the lower module 420 of the concrete structure 400 divided in the ground from the structure of the grooves and protrusions formed at the edge connecting each of the divided concrete structure 400 430 and the upper module 410 is buried in the order of mounting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meter, and the construction of the connection of each of the divided concrete structure 400 is complet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finished waterproof material is complet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조립 및 해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제품 정밀도가 높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획득이 가능한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 및 이로부터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struction method using a concrete structure manufactured from the mold and a concrete structure manufactured therefrom, which is efficiently assembled and dismantled, and a water meter capable of obtaining a concrete structure with high product precision is provided. It can be seen that it is thought.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other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거푸집 100...내부 유닛
200...외부 유닛 300...격편
400...콘크리트 구조물 500...철골
1 ... Die 100 ... Inner Unit
200 ... external unit 300 ... flight
400 ... concrete structure 500 ... steel

Claims (15)

지중에 매설되는 상하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지면과 평행하게 분할되어 상면에 점검구가 관통되고 내측 저면에 집수홈이 형성되며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내부 유닛;
외부 양측면에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양측면을 상수도관이 통과하는 통과공이 관통되고, 상기 내부 유닛의 상면과 저면과 양측면 및 배면을 감싸면서 정면은 개방되며, 상기 내부 유닛의 외면과의 사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 유닛; 및
내측 가장자리는 상기 내부 유닛의 분할된 각각의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되고, 외측 가장자리는 상기 내부 유닛의 외면을 감싸는 상기 외부 유닛 각각의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되며, 상기 내, 외측 가장자리 사이의 형성 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분할된 부분이 상호 돌기와 홈의 결합 구조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내부 유닛의 외면과 상기 외부 유닛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분할하는 격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
An internal unit which is divided in parallel with the ground at least one along the up and down direction embedded in the ground, the inspection opening penetrates the upper surface, and the water collecting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bottom and forms an inner space of the concrete structure in which the meter is built;
Passing holes through which water supply pipes pass through both sides of the concrete structure through the outer both sides, the front is opened while surrounding the top and bottom and both sides and the back of the inner unit, the concrete is plac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unit An external unit forming a space to be formed; And
The inner edge is screwed with each of the divided edges of the inner unit, and the outer edge is screwed with the edge of each of the outer units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unit, and the groove along the forming direction between the inner and outer edges. The water met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rtition that divides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unit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unit so that the divided portion of the concrete structure is a mutual structure of the protrusion and the groove; Formwork for manufacturing embedded concrete structur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유닛은,
상면에 점검구가 관통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 형상에 대응하여 저면이 개방된 제1 내틀과,
내측 저면에 집수홈이 형성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하부 형상에 대응하여 상면이 개방되고, 상기 제1 내틀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내틀과,
양측면에 상수도관이 관통되는 통과공이 형성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중간 형상에 대응하여 상면과 저면이 개방되고 상기 제1, 2 내틀 사이에 배치되는 제3 내틀을 포함하며,
상기 제3 내틀의 상, 하단부 가장자리에는 각각 상기 격편의 내측 가장자리가 나사 결합되고, 상기 격편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내부 유닛에 대응하여 분할된 상기 외부 유닛 각각의 가장자리가 나사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ner unit,
A first inner frame having an open bottom in correspondence with an upper shape of the concrete structure through which an inspection hole passes through the upper surface;
A second inner frame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to correspond to a lower shape of the concrete structure having a collecting groove formed on an inner bottom thereof, and disposed below the first inner frame;
A third inner frame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nner frames,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which are opened to correspond to the intermediate shape of the concrete structure in whic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water supply pipes are formed is formed at both sides;
The inner edge of the shell is screwed to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third inner frame, respectively, and the edge of each of the outer units divided corresponding to the inner unit is screwed to the outer edge of the shell. Formwork for the manufacture of concrete structures with built-in meter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유닛은,
상면에 점검구가 관통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내부 유닛의 상부를 감싸며 정면과 저면이 각각 개방된 제1 외틀과,
내측 저면에 집수홈이 형성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하부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내부 유닛의 하부를 감싸며 정면과 상면이 각각 개방되고, 상기 제1 외틀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외틀과,
양측면에 상수도관이 관통되는 통과공이 형성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중간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내부 유닛의 중간을 감싸며, 양측면에 상기 통과공에 대응하는 홀이 형성되며 정면과 상면 및 저면이 각각 개방되고, 상기 제1, 2 외틀 사이에 배치되는 제3 외틀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외틀의 상, 하단부 가장자리에는 각각 상기 격편의 외측 가장자리가 나사 결합되고, 상기 격편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외부 유닛에 대응하여 분할된 상기 내부 유닛 각각의 가장자리가 나사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xternal unit,
A first outer frame surrounding an upper portion of the inner unit and having an open front and a bottom surface corresponding to an upper shape of the concrete structure through which an inspection hole penetrates an upper surface thereof;
A second outer frame surrounding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unit and having a front surface and an upper surface open to correspond to a lower shape of the concrete structure having a collecting groove formed on an inner bottom thereof, and disposed below the first outer frame;
It covers the middle of the inner unit corresponding to the intermediate shape of the concrete structure, the through-holes through which water pipes are formed on both sides, and holes corresponding to the through-holes are formed on both sides, and the front, top and bottom surfaces are open, respectively. A third outer frame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outer frames,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third outer frame are respectively screwed to the outer edge of the compartment, and the inner edge of the compartment is fastened to each other by the edge of each of the inner unit divided in correspondence to the outer unit with a screw Formwork for the manufacture of concrete structures with built-in meter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편은,
상기 격편의 내측 가장자리가 이루는 사각형의 꼭지점과 상기 격편의 외측 가장자리가 이루는 사각형의 꼭지점을 상호 연결하는 방향으로 분할되는 분할격편을 포함하며,
상기 분할격편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기 홈은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어 상호 대향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단부에 상기 분할격편의 표면과 평행한 안착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ap is,
And a split gap divided in a direction interconnecting the vertices of the rectangle formed by the inner edge of the gap and the vertices of the rectangle formed by the outer edge of the gap,
The groove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of the division pieces are formed to become narrower toward the lower side and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and a water surface meter comprising a mounting surface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division piece at the end of the inclination surface. Formwork for manufacturing concrete structures with built-i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내틀은,
중앙에 점검구가 관통되고, 상기 점검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점검구 형성통이 나사로 체결되는 상편과,
상기 외부 유닛의 양측면에 각각 대면되고,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상호 대향되게 절곡되어 상기 상편의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되는 제1 상부 체결리브와,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상호 대향되게 절곡되어 상기 격편의 내측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되는 제1 하부 체결리브를 포함하는 제1 상부 측편과,
상기 외부 유닛의 정면 및 배면에 각각 대면되고,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상호 대향되게 절곡되어 상기 상편의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되는 제2 상부 체결리브와,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상호 대향되게 절곡되어 상기 격편의 내측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되는 제2 하부 체결리브를 포함하는 제2 상부 측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inner frame,
An upper piece through which the inspection opening penetrates in the center, and the inspection opening forming cylinder is screwed along the edge of the inspection opening,
First upper fastening ribs facing the opposite sides of the outer unit, each extending from an upper edge and bent to face each other and fastened to the upper edge and the screw; and an inner edge of the septum extending from a lower edge and bent opposite to each other. And a first upper side piece including a first lower fastening rib fastened with a screw,
Second upper fastening ribs facing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outer unit, respectively, extending from an upper edge and bent to face each other and fastened to the upper edge and the screw; Formwork for manufacturing a concrete structure with a water me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upper side including an inner edge and a second lower fastening rib fastened with a screw.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내틀은,
일측에 상기 집수홈에 대응하는 형상인 트레이의 상부 가장자리가 나사로 체결되는 저편과,
상기 외부 유닛의 양측면에 각각 대면되고,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상호 대향되게 절곡되어 상기 저편의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되는 제3 하부 체결리브와,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상호 대향되게 절곡되어 상기 격편의 내측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되는 제3 상부 체결리브를 포함하는 제1 하부 측편과,
상기 외부 유닛의 정면 및 배면에 각각 대면되고,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상호 대향되게 절곡되어 상기 저편의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되는 제4 하부 체결리브와,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상호 대향되게 절곡되어 상기 격편의 내측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되는 제4 상부 체결리브를 포함하는 제2 하부 측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second inner frame,
On the other side and the other end of the upper edge of the tray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llecting groove screwed;
Third lower fastening ribs facing each of both sides of the outer unit, extending from a lower edge and bent to face each other and fastened to the edge of the other side and screwed to each other; And a first lower side piece including a third upper fastening rib fastened with a screw,
A fourth lower fastening rib which faces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outer unit, respectively, extends from a bottom edge and is bent to face each other, and is fastened to the edge of the other side with a screw; Formwork for manufacturing a concrete structure having a water me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lower side including an inner edge and a fourth upper fastening rib fastened with a screw.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3 내틀은,
상기 외부 유닛의 양측면과 정면 및 배면에 각각 대면되고,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외부 유닛의 양측면과 정면 및 배면으로부터 각각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격편의 내측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되는 제5 상부 체결리브와, 하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외부 유닛의 양측면과 정면 및 배면으로부터 각각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격편의 내측 가장자리와 나사로 체결되는 제6 상부 체결리브를 포함하는 중간 측편과,
상기 외부 유닛의 양측면 중 일면과 정면 및 상기 외부 유닛의 양측면 중 나머지 일면과 배면에 각각 대면되며, 상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격편의 내측 가장자리가 이루는 사각형의 대각선 방향으로 등분된 상기 중간 측편 각각의 양단부와 상호 연결되는 중간 분리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third inner frame,
A fifth upper fastening rib which faces both sides, a front side and a rear side of the outer unit, extends from an upper edge and is bent in a direction away from both sides,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outer unit and fastened with screws to the inner edge of the diaphragm; A middle side piece including a sixth upper fastening rib extending from a lower edge and bent in a direction away from both side surfaces,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outer unit, respectively, and fastened to a screw with an inner edge of the gap;
The middle side piece which faces one side and the front side of both sides of the outer unit and the other side and the rear side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outer unit, respectively, is gradually widened upward and is divided in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square formed by the inner edge of the gap. Formwork for manufacturing a concrete structure with a built-in tap water me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termediate separation piece interconnected with each end.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 측편은,
하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테이퍼진 형상을 이루는 상부 분리편으로 좌우 양측이 분할되며,
상기 상부 분리편은 상기 외부 유닛의 정면 및 배면에 각각 대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second upper side piece,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divided into upper separation pieces forming a tapered shape that gradually widens toward the lower side,
The upper separation piece is a form for manufacturing a concrete structure with a built-in water meter, characterized in that facing the front and rear of the outer unit, respectively.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하부 측편은,
상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테이퍼진 형상을 이루는 하부 분리편으로 좌우 양측이 분할되며,
상기 하부 분리편은 상기 외부 유닛의 정면 및 배면에 각각 대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
The method of claim 6,
The second lower side piece,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divided into a lower separation piece forming a tapered shape that gradually widens upward.
The lower separation piece is a form for manufacturing a concrete structure with a built-in water meter, characterized in that facing the front and rear of the outer unit, respectively.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3 외틀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통과공이 형성되게 상기 홀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 유닛의 외면에 나사로 체결되는 통과공 형성통과,
상기 제3 외틀의 양측면 중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되어 상기 내부 유닛과 상기 외부 유닛 사이의 공간에 균일하게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진동을 부여하는 바이브레이터가 투입되는 투입공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third outer frame,
Pass-through hole is inserted into the hole to form a through-hole of the concrete structure is fastened with a screw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unit,
Water supply met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penetrating hole through which at least one penetrates one surface of both sides of the third outer frame, the vibrator is applied to give a vibration to uniformly cast concrete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unit and the outer unit. Formwork for manufacturing concrete structures with built-in.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통과공 형성통은,
상기 내부 유닛의 외면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상기 통과공 형성통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절결부와,
상기 절결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절결부에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이루는 마감편과,
상기 절결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상기 통과공 형성통의 내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마감편을 고정하는 고정편과,
상기 마감편의 일단부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정편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
The method of claim 10,
The through hole forming cylinder,
A cutout portion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hole forming tube to be narrowed toward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inner unit;
A finishing piece coupled to the cutout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utout to form an overall cylindrical shape,
A fixing piece fixed to at least on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forming cylinder along an edge of the cutout to fix the finishing piece;
Formwork for manufacturing a concrete structure with a built-in water met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ocking piece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one end of the finishing piece to be fixed to the fixing piec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3 외틀은,
상기 투입공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된 돌출편과,
상기 돌출편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호 대향되게 장착된 레일편과,
상기 레일편을 따라 왕복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투입공을 개폐 가능한 마감편과,
상기 마감편으로부터 돌출되어 파지 가능한 손잡이편을 포함하며,
상기 마감편은 콘크리트 투입 전에 상기 바이브레이터의 삽입을 위하여 상기 투입공을 개방하고,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되어 상기 바이브레이터가 상기 제3 외틀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투입공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
The method of claim 10,
The third outer frame,
Protruding pieces protruding along both edges of the injection hole,
A rail piece mounted to face each other along a forming direction of the protruding piece,
A closing piece mounted reciprocally along the rail piece and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injection hole;
A handle piece which protrudes from the finishing piece and is grippable;
The finishing piece is to open the input hole for the insertion of the vibrator before the concrete input, the water supply meter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concrete is completed and the vibrator is separated from the third outer frame to block the input hole Formwork for the manufacture of concrete structur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유닛과 상기 외부 유닛이 형성하는 공간에는 콘크리트가 투입되기 전에 철근이 격자 형상으로 조립된 철골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ormwork for manufacturing a concrete structure with a built-in water meter is install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inner unit and the outer unit is installed steel frame is assembled in a grid shape before the concrete is introduced.
상면에 점검구가 관통되고 내측 저면에 집수홈이 형성되며 양측면에 상수도관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계량기가 내장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내부 유닛과, 상기 내부 유닛의 외면을 감싸고 정면이 개방된 외부 유닛과, 상기 내, 외부 유닛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지중에 매설되는 위치로부터 지면에 이르는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지면과 평행하게 분할하며 형성 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된 복수의 격편을 각각 나사로 체결하여 거푸집을 조립하는 제1 단계;
상기 외부 유닛의 개방된 정면이 상측으로 향하도록 거푸집을 배치하고, 상기 외부 유닛의 외면에 형성된 투입공으로부터 바이브레이터를 삽입하는 제2 단계;
상기 격편과 상기 내, 외부 유닛이 형성하는 분할된 공간에 각각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기 바이브레이터를 가동시키는 제3 단계;
상기 바이브레이터를 상기 외부 유닛으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투입공을 마감한 후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외부 유닛을 해체하고, 상기 점검구를 통해 상기 내부 유닛에 진입하여 상기 내부 유닛과 상기 격편을 해체한 다음 분할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취출하는 제4 단계;
상기 분할된 콘크리트 구조물 각각을 연결하는 가장자리에 형성된 홈과 돌기의 구조로부터 지중에 상기 분할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하부 모듈로부터 중간 모듈 및 상부 모듈의 순으로 매설하면서 상수도관 및 계량기를 장착하고 상기 분할된 콘크리트 구조물 각각의 연결부위를 마감 방수재로 시공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으로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용한 시공 방법.
An inner unit through which an inspection hole penetrates on an upper surface, a collecting groove is formed on an inner bottom,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water pipe passes on both sides, and forms an inner space in which a meter is built, and an outer surface that surrounds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unit and has an open front.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unit and the inner and outer units is divided into at least one parallel to the ground along the direction from the position of the ground to the ground, and the plurality of gaps formed with the grooves along the forming direction are respectively fastened with screws. A first step of assembling the formwork;
A second step of arranging the formwork so that the open front of the outer unit faces upward, and inserting a vibrator from an input hole formed in an outer surface of the outer unit;
A third step of placing concrete in each of the divided spaces formed by the gap and the inner and outer units and operating the vibrator;
After the vibrator is separated from the external unit and the curing of the poured concrete is completed after closing the injection hole, the external unit is dismantled, and the internal unit and the gap are dismantled by entering the internal unit through the inspection opening. A fourth step of taking out the divided concrete structure;
Mounting the water pipes and the meter while embedding the lower module of the divided concrete structure from the lower module of the divided concrete structure in the order of the middle module and the upper module from the structure of the groove and the protrusion formed at the edge connecting each of the divided concrete structure and the divided concret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concrete structure made of formwork for manufacturing a concrete structure containing a water meter, comprising: a fifth step of constructing each connection portion of the structure as a finish waterproofing material.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내부 유닛과 상기 외부 유닛이 형성하는 공간에 철근이 격자 형상으로 조립된 철골을 장착하는 철골장착과정이 더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계량기가 내장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조용 거푸집으로 제조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용한 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In the first step,
Using a concrete structure manufactured as formwork for manufacturing a concrete structure with a built-in tap water me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el frame mounting process for mounting the steel frame assembled in the grid shape in the space formed by the inner unit and the outer unit is further carried out Construction method.
KR1020110034564A 2011-04-14 2011-04-14 Mold for concrete structure with water gag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conctrete structure manufactured by the mold KR1012462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564A KR101246202B1 (en) 2011-04-14 2011-04-14 Mold for concrete structure with water gag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conctrete structure manufactured by the mol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564A KR101246202B1 (en) 2011-04-14 2011-04-14 Mold for concrete structure with water gag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conctrete structure manufactured by the mol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061A true KR20120117061A (en) 2012-10-24
KR101246202B1 KR101246202B1 (en) 2013-03-25

Family

ID=47285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564A KR101246202B1 (en) 2011-04-14 2011-04-14 Mold for concrete structure with water gag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conctrete structure manufactured by the mol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6202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350B1 (en) * 2014-12-31 2015-06-22 (주)형제이형관 Mold apparatus for concrete structure with heavy water control valve for wterworks
CN112160591A (en) * 2020-09-30 2021-01-01 重庆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Reinforcing apparatus for building roof beam
GB2594981A (en) * 2020-05-14 2021-11-17 Dutypoint Ltd Prefabricated permanent formwork structure
CN114000701A (en) * 2021-11-08 2022-02-01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Mold for flue water stop 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595B1 (en) * 2006-02-09 2007-07-27 한종숙 Manufacturing equipment for a manhole block, assembling method for the same equipment, manufacturing method for a manhole block, and manhole block using the same method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350B1 (en) * 2014-12-31 2015-06-22 (주)형제이형관 Mold apparatus for concrete structure with heavy water control valve for wterworks
GB2594981A (en) * 2020-05-14 2021-11-17 Dutypoint Ltd Prefabricated permanent formwork structure
GB2594981B (en) * 2020-05-14 2022-07-13 Dutypoint Ltd Prefabricated permanent formwork structure
CN112160591A (en) * 2020-09-30 2021-01-01 重庆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Reinforcing apparatus for building roof beam
CN114000701A (en) * 2021-11-08 2022-02-01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Mold for flue water stop 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6202B1 (en) 2013-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6202B1 (en) Mold for concrete structure with water gag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conctrete structure manufactured by the mold
CN208023748U (en) A kind of splicing connecting piece of spliced dry wall
KR101731382B1 (en) Apparatus for molding block
CN205685510U (en) A kind of fabricated shear wall model structure unitary mould
JP2018162661A (en) Variable shape spacer connector for formwork and modular formwork system including such connector
KR20170006848A (en) Panel fixture for building and construction method for panel assembly for building using that
KR200430683Y1 (en) Distribution case
KR101370163B1 (en)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structure house
KR20130130919A (en) Hollowness light weight concrete panel using paper pi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1196031B1 (en) Self-Assembly Pillar Structures and Self-Assembly Exterior Material Structures
ITVR20100206A1 (en) FOUNDATION STRUCTURE PARTICULARLY FOR PREFABRICATED BUILDINGS
KR20120002978U (en) construction for permanent form
CN210477299U (en) Window frame pre-buried mould for prefabricated part
WO2022149005A1 (en) A column formwork system for concrete structures and a method thereof
KR101530350B1 (en) Mold apparatus for concrete structure with heavy water control valve for wterworks
JP2016104965A (en) Construction method for heat insulation foundation and heat insulation form support use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20120020648A (en) A pillar concrete form
KR101282092B1 (en) Block and molding device of its
KR20210053741A (en) Manufacture method of Light weight concrete wall block and Light weight concrete wall block
RU2565305C1 (en) Method to manufacture hollow block (versions) and falsework for its realisation
RU74406U1 (en) BLOCK FORMWORK OF MONOLITHIC HOUSING CONSTRUCTION, FORMWORK OF MONOLITHIC BUILDING CONSTRUCTION FROM SUCH BLOCKS
AU2019101424A4 (en) This invention is a special integral shape designed to work as internal concrete formwork on the internal side of an access cover frame
CN212743037U (en) Assembled wallboard based on BIM
JP2006283393A (en) Foundation structure
KR101321824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of Natural Affinity Type Vegetation Wall and Apparatus for Use in Such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