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7040A - 통신 방법 및 무선기기 - Google Patents

통신 방법 및 무선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7040A
KR20120117040A KR1020110034530A KR20110034530A KR20120117040A KR 20120117040 A KR20120117040 A KR 20120117040A KR 1020110034530 A KR1020110034530 A KR 1020110034530A KR 20110034530 A KR20110034530 A KR 20110034530A KR 20120117040 A KR20120117040 A KR 20120117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device
mode
wireless
psm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8865B1 (ko
Inventor
조한진
문지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10034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8865B1/ko
Priority to US13/445,279 priority patent/US20120264474A1/en
Publication of KR20120117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where the power saving management affects multipl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PSM(Power Save Mode) 모드에서 제1 무선기기가 제2 무선기기로부터 AP(Access Point) 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하는 전환 요청을 수신한다. 상기 전환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무선기기가 상기 PSM 모드에서 상기 AP 모드로 전환한다. 상기 전환 요청은 상기 제1 무선기기를 식별하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포함한다. 자동으로 AP 모드로의 전환이 가능하여, 인터넷 접속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시간에만 AP 모드로 전환하여, 무선 AP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기기의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방법 및 무선기기{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DEVICE}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무선기기들 간의 연동을 위한 통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 중에서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은 무선 주파수 기술을 바탕으로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랩탑 컴퓨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가정이나 기업 또는 특정 서비스 제공지역에서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무선랜 기술의 표준화 기구인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ing) 802가 1980년 2월에 설립된 이래, 많은 표준화 작업이 수행되고 있다.
초기의 무선랜 기술은 IEEE 802.11을 통해 2.4GHz 주파수를 사용하여 주파수 호핑, 대역 확산, 적외선 통신 등으로 1~2Mbps의 속도를 지원한 이래, 최근에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을 적용하여 최대 54Mbps의 속도를 지원할 수 있다. 이외에도 IEEE 802.11에서는 QoS(Quality of Service)의 향상,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프로토콜 호환, 보안 강화(Security Enhancement), 무선 자원 측정(Radio Resource Measurement), 차량 환경을 위한 무선 접속(Wireless Access Vehicular Environment), 빠른 로밍(Fast Roaming), 메쉬 네트워크(Mesh Network), 외부 네트워크와의 상호작용(Interworking with External Network), 무선 네트워크 관리(Wireless Network Management) 등 다양한 기술의 표준을 실용화 또는 개발 중에 있다.
그리고 무선랜에서 취약점으로 지적되어온 통신 속도에 대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비교적 최근에 제정된 기술 규격으로써 IEEE 802.11n이 있다. IEEE 802.11n은 네트워크의 속도와 신뢰성을 증가시키고, 무선 네트워크의 운영 거리를 확장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IEEE 802.11n에서는 데이터 처리 속도가 최대 540Mbps 이상인 고처리율(High Throughput, HT)을 지원하며, 또한 전송 에러를 최소화하고 데이터 속도를 최적화하기 위해 송신부와 수신부 양단 모두에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MIMO(Multiple Input and Multiple Output) 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다.
최근에서는 무선랜이 적용되는 무선기기가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이 다양화되고 있다. 또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무선기기가 다른 기기의 무선 모뎀 역할을 하는 테더링(tethering)도 일반화되고 있다.
테더링은 무선기기가 무선 모뎀(또는 무선 AP(Access Point))으로써 활용될 수 있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휴대폰을 무선 AP로 설정하면, 테블릿 PC가 휴대폰에 접속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테더링은 일반적으로 3G 네트워크와 같은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다. 이동 통신 네트워크는 무선랜에 비해 속도가 느린 단점이 있지만 휴대폰 통화권 내에 있는 지역에서는 어디에서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테더링과 같이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무선기기 간 연동이 활발하게 적용됨에 따라, 무선기기들 간 연동을 보다 편리하게 하면서도, 무선 모뎀 역할을 하는 무선기기의 배터리 소모를 줄일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무선기기들간 연동을 위한 통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기기의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통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일 양태에 있어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은 PSM(Power Save Mode) 모드에서 제1 무선기기가 제2 무선기기로부터 AP(Access Point) 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하는 전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환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무선기기가 상기 PSM 모드에서 상기 AP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환 요청은 상기 제1 무선기기를 식별하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AP 모드에서 상기 제1 무선기기가 상기 제2 무선기기로부터 프로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AP 모드에서 상기 제1 무선기기가 상기 제2 무선기기로 상기 프로브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프로브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AP 모드에서 상기 제1 무선기기는 상기 제2 무선기기와 일정 시간동안 통신하지 않으면, 상기 PSM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기기는 무선 매체를 통해 메시지를 송신 및 수신하는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PSM(Power Save Mode) 모드에서 무선기기로부터 AP(Access Point) 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하는 전환 요청을 수신하고, 및 상기 전환 요청에 따라 상기 PSM 모드에서 상기 AP 모드로 전환하며, 상기 전환 요청은 상기 제1 무선기기를 식별하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은 제2 무선기기가 제1 무선기기를 식별하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미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2 무선기기가 상기 제1 무선기기로의 접속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무선기기로의 접속을 결정하면, 상기 제2 무선기기가 상기 제1 무선기기로 상기 SSID가 포함된 AP(Access Point) 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하는 전환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무선기기가 상기 제1 무선기기로 프로브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무선기기가 상기 제1 무선기기로부터 상기 프로브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무선기기가 자동으로 AP 모드로의 전환이 가능하여, 인터넷 접속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시간에만 AP 모드로 전환하여, 무선 AP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기기의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무선기기들 간의 연동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기기들간 통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PSM 모드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무선기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동 통신 네트워크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IEEE 802.16m은 IEEE 802.16e의 진화로, IEEE 802.16e에 기반한 시스템과의 하위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를 제공한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은 E-UTRA(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이다.
무선기기(wireless device)는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다. 무선기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MS(mobile station),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SS 모뎀(spread spectrum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무선기기는 IEEE 802.11 표준의 규정을 따르는 매체 접속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와 무선 매체에 대한 물리계층(Physical Layer)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임의의 기능 매체로서, 광의로는 AP(Access Point)와 비AP 스테이션(Non-AP Station)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AP는 해당 AP에게 결합된(Associated) 무선기기를 위하여 무선 매체를 경유하여 인터넷 접속을 제공하는 기능 개체이다.
무선랜 시스템에서, 하나의 AP와 이에 접속된 무선기기가 BSS(Basic Service Set)을 구성한다. BSS는 성공적으로 동기화를 이루어서 서로 통신할 수 있는 무선기기들의 집합이다. BSS(또는 AP)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SSID(service set identifier)라 한다.
도 1은 무선기기들 간의 연동을 나타낸다.
휴대폰(10)은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고, 태블릿 PC(20)는 무선랜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무선랜은 커버리지가 5m 내지 10m에 불과하고, 이동성에 따라 속도가 현저히 떨어진다. 따라서, 태블릿 PC(20)가 AP(미도시)로부터 일정 거리이상 떨어지거나, 사용자가 태블릿 PC(20)가 이동하는 경우 서비스 품질이 저하될 수 밖에 없다.
이동성을 보장하면서 인터넷 접속을 유지하기 위해, 휴대폰(10)을 무선 AP로 활용할 수 있다. 즉, 휴대폰(10)이 무선 AP 기능을 지원하고, 상기 휴대폰(10)의 무선 AP 기능이 활성화되면, 태블릿 PC(20)는 휴대폰(10)의 무선 AP를 통해 인터넷 접속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테더링이라 한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사용자가 수동으로 무선 AP 기능을 활성화하며, 휴대폰(10)이 자동으로 무선 AP 기능을 활성화하는 기법은 게시되지 않고 있다.
무선 AP 기능이 항상 활성화되지 않는 이유는 무선 AP 기능으로 인한 휴대폰(10)의 배터리 소모가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무선기기의 배터리 소모를 절감하면서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기기들간 통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제1 무선기기와 제2 무선기기는 모두 IEEE 802.11 표준 기반의 무선랜을 지원한다. 또한, 제1 무선기기는 무선 AP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무선기기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할 수 있다.
제1 무선기기와 제2 무선기기는 제1 무선기기의 SSID를 공유한다(S210). SSID는 무선 AP 기능을 수행하는 제1 무선기기를 제2 무선기기가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식별자이다.
제2 무선기기가 제1 무선기기에 이전에 한번이라도 접속한 적이 있으면, 제2 무선기기는 SSID를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제1 무선기기의 SSID를 제2 무선기기에 저장할 수 있다. 제2 무선기기는 제1 무선기기가 전송하는 비콘(beacon) 프레임내에 포함되는 SSID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제1 무선기기는 PSM(Power Save Mode)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PSM 모드는 저전력 동작 모드라고 할 수 있으며, PSM 주기에 따라 제1 무선기기가 주기적으로 깨어난다.
도 3은 PSM 모드의 일 예를 나타낸다. PSM 주기는 비활성 주기와 활성 주기를 포함한다. 활성 주기 동안 제1 무선기기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할 수 있다. 활성 주기 동안 제1 무선기기는 활성화 모드에 있다고 한다. 비활성 주기 동안 제1 무선기기는 무선 신호의 수신 또는 최소한의 동작만을 수행할 수 있다. 비활성 주기 동안 제1 무선기기는 비활성화 모드에 있다고 한다.
PSM 모드는 후술하는 AP 모드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드이다. PSM 모드에서 제1 무선기기는 3G 네트워크와 같은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거나, 통화가 가능하다. 이때 활성 주기가 계속 유지될 수 있다. PSM 모드는 제1 무선기기가 무선 AP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모드라고도 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2 무선기기는 제1 무선기기로의 접속 여부를 결정한다(S220). 예를 들어, 제2 무선기기는 기존에 접속된 무선랜의 신호가 약해지면, 제1 무선기기로의 접속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2 무선기기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제1 무선기기로의 접속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2 무선기기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에 따라 자신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위치 혹은 미리 설정된 기기로부터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상 멀어지게 될 경우 제1 무선기기로의 접속을 결정할 수 있다.
제1 무선기기로의 접속이 결정되면, 제2 무선기기는 제1 무선기기로 전환 요청 메시지를 보낸다(S230). 전환 요청 메시지는 제1 무선기기가 PSM 모드에서 AP 모드로의 스위칭을 요청하는 메시지이다. 또는, 전환 요청 메시지는 제1 무선기기가 무선 AP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라 할 수 있다.
AP 모드는 제1 무선기기가 무선 AP 기능을 제공하는 모드이다. AP 모드에서 제1 무선기기는 항상 깨어 있으며, 제2 무선기기 또는 다른 무선기기의 접속을 허용한다. AP 모드에서 제1 무선기기를 통해 다른 무선기기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2 무선기기는 일정 주기 또는 특정한 조건을 만족할 시에 상기 제1 무선기기로 전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한 조건이란,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 세기보다 낮아지거나, 사용자 명령 혹은 GPS 위치 정보에 따른 조건을 의미한다.
PSM 모드에서 제1 무선기기는 활성 주기에서 전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전환 요청 메시지의 전송 주기가 활성 주기와 매칭되지 않으면, 제2 무선기기의 접속이 지연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2 무선기기는 제1 무선기기의 PSM 주기에 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미리 저장되어 있는 PSM 주기에 따라, 제2 무선기기는 전환 요청 메시지를 제1 무선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전환 요청 메시지는 다음 표와 같은 IE(information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명칭 설 명
SSID AP 모드로의 전환이 요청되는 무선 AP의 SSID
HT 역량
(High Throughput Capabilities)
전환 요청을 보내는 무선기기의 IEEE 802.11n 지원 역량에 관한 정보
전환 요청 메시지는 새로운 형식의 메시지일 수 있고, 또는 IEEE 802.11 표준에 정의된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 메시지를 활용할 수 있다.
전환 요청이 수신되면, 제1 무선기기는 AP 모드로의 전환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남은 배터리 용량이 일정 기준 용량보다 부족하거나 또는 제1 무선기기의 사용자에 의해 AP 모드로의 전환이 불가능할 경우, 제1 무선기기는 AP 모드로의 전환을 거절할 수 있다. AP 모드로의 전환이 거절되면, 제1 무선기기는 제2 무선기기로 전환 거절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미도시). 전환 거절 메시지는 SSID를 포함할 수 있다.
전환 요청을 수신한 제1 무선기기는 제2 무선기기의 접속을 허용하기 위해 AP 모드로 전환한다(S240). 제1 무선기기는 AP 모드로의 전환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제2 무선기기는 프로브 요청 메시지를 제1 무선기기로 보낸다(S250). 제1 무선기기는 프로브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프로브 응답 메시지를 제2 무선기기로 보낸다(S260). 이로써, 제1 무선기기와 제2 무선기기는 통신을 개시한다.
다른 실시예로, 프로브 요청과 프로브 응답의 교환없이, 제1 무선기기가 비콘 프레임을 전송하여 AP 모드로의 전환을 알릴 수 있다. 비콘 프레임을 수신한 제2 무선기기는 제1 무선기기와 바로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제1 무선기기는 자동으로 AP 모드로 전환되지 못하고 사용자가 수동으로 전환한다. 제안된 방법에 의하면, 제2 무선기기의 전환 요청에 따라 PSM 모드에 있는 제1 무선기기가 스스로(autonomously) AP 모드로 전환된다. 따라서, 기존 무선랜과의 연결이 끊어지더라도 제2 무선기기가 새로운 AP로 자동으로 접속할 수 있어 끊김없는 인터넷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다.
제1 무선기기는 PSM 모드에서 대기한다. 제2 무선기기의 요청에 따라 PSM 모드에서 AP 모드로 전환됨으로써, 필요한 시간 동안만 AP 모드가 사용됨으로써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는 도 2의 실시예에 나타난 제1 무선기기의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낸다.
제1 무선기기는 PSM 모드에서 동작한다(S410).
제2 무선기기로부터의 전환 요청이 수신되면(S420), 제1 무선기기는 AP 모드로 전환한다(S430). 그리고, 제1 무선기기는 전환 타이머를 개시한다.
제1 무선기기는 전환 타이머의 만료 여부를 판단한다(S440). 전환 타이머는 제1 무선기기와 제2 무선기기간의 통신이 수행되면 재시작한다. 예를 들어, 제1 무선기기가 제2 무선기기로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제1 무선기기가 제2 무선기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면 전환 타이머를 재시작한다.
전환 타이머가 만료되면 제1 무선기기는 PSM 모드로 전환한다(S450).
일정 시간 동안 제1 무선기기와 제2 무선기기간 통신이 수행되지 않으면, 배터 소모를 줄이기 위해 제1 무선기기는 PSM 모드로 전환한다. 제1 무선기기는 PSM 모드로의 전환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무선기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무선기기(500)은 도 2의 실시예 또는 도 4의 실시예에서 제1 무선기기 또는 제2 무선기기일 수 있다.
무선기기(500)는 프로세서(processor, 510), 송수신기(transceiver, 5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user interface unit, 530), 및 디스플레이부(display unit, 540)을 포함한다.
프로세서(510)는 도 2의 실시예 또는 도 4의 실시예에서 제1 무선기기 또는 제2 무선기기의 동작을 구현한다.
송수신기(520)는 타 무선기기와 무선 매체를 통해 메시지를 송신 및 수신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30)는 키패드나 터치 스크린 등 잘 알려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40)는 무선기기의 여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 잘 알려진 요소를 사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에 있어서,
    PSM(Power Save Mode) 모드에서 제1 무선기기가 제2 무선기기로부터 AP(Access Point) 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하는 전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환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무선기기가 상기 PSM 모드에서 상기 AP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환 요청은 상기 제1 무선기기를 식별하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P 모드에서 상기 제1 무선기기가 상기 제2 무선기기로부터 프로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AP 모드에서 상기 제1 무선기기가 상기 제2 무선기기로 상기 프로브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프로브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기기는 상기 SSID를 미리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SM 모드에서 상기 제1 무선기기는 PSM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깨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PSM 주기는 비활성 주기와 활성 주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환 요청은 상기 활성 주기에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P 모드에서 상기 제1 무선기기는 상기 제2 무선기기와 일정 시간동안 통신하지 않으면, 상기 PSM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기기에 있어서,
    무선 매체를 통해 메시지를 송신 및 수신하는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PSM(Power Save Mode) 모드에서 다른 무선기기로부터 AP(Access Point) 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하는 전환 요청을 수신하고, 및
    상기 전환 요청에 따라 상기 PSM 모드에서 상기 AP 모드로 전환하며,
    상기 전환 요청은 상기 제1 무선기기를 식별하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AP 모드에서 상기 제2 무선기기로부터 프로브 요청을 수신하고; 및
    상기 AP 모드에서 상기 제1 무선기기가 상기 제2 무선기기로 상기 프로브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프로브 응답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AP 모드에서 상기 제2 무선기기와 일정 시간동안 통신하지 않으면, 상기 PSM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기.
  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에 있어서,
    제2 무선기기가 제1 무선기기를 식별하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미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2 무선기기가 상기 제1 무선기기로의 접속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무선기기로의 접속을 결정하면, 상기 제2 무선기기가 상기 제1 무선기기로 상기 SSID가 포함된 AP(Access Point) 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하는 전환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무선기기가 상기 제1 무선기기로 프로브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무선기기가 상기 제1 무선기기로부터 상기 프로브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기기가 상기 제1 무선기기로부터 상기 전환 요청에 대한 거절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기기가 상기 제1 무선기기로 상기 제1 무선기기가 PSM(Power Save Mode) 모드로 동작하는 주기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KR1020110034530A 2011-04-14 2011-04-14 통신 방법 및 무선기기 KR101288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530A KR101288865B1 (ko) 2011-04-14 2011-04-14 통신 방법 및 무선기기
US13/445,279 US20120264474A1 (en) 2011-04-14 2012-04-12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530A KR101288865B1 (ko) 2011-04-14 2011-04-14 통신 방법 및 무선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040A true KR20120117040A (ko) 2012-10-24
KR101288865B1 KR101288865B1 (ko) 2013-07-23

Family

ID=47006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530A KR101288865B1 (ko) 2011-04-14 2011-04-14 통신 방법 및 무선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264474A1 (ko)
KR (1) KR1012888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3120A1 (ko) * 2013-08-12 2015-02-19 Oh June Soo 직렬버스유선통신을 이용한 m-voip통화 방법 및 그 처리장치
WO2015046954A1 (ko) * 2013-09-26 2015-04-02 엘지전자(주) 핫스팟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에 접속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66197B2 (en) * 2013-01-22 2015-06-23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ower save control for tethering connections
JP6142544B2 (ja) * 2013-01-22 2017-06-07 富士通株式会社 設定方法、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装置
CN103974391A (zh) * 2013-02-04 2014-08-06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设备唤醒方法及装置
US20140219148A1 (en) * 2013-02-04 2014-08-07 Huawei Device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Waking Up a Device
CN105766030B (zh) * 2013-11-27 2019-10-15 索尼公司 通信控制设备、通信控制方法和信息处理设备
CN104837154B (zh) * 2015-03-31 2018-09-0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无线访问接入点的控制方法及装置
CN105813232B (zh) * 2016-03-04 2019-09-0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及网络共享方法
CN109891944B (zh) * 2017-01-19 2020-09-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建立数据通信的方法及装置
KR102414927B1 (ko) * 2018-03-21 2022-06-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서비스를 사용하는 기기의 인증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74929B1 (en) * 2002-12-16 2007-09-25 Banginwar Rajesh P Power management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850912B1 (ko) 2005-06-15 2008-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전력 절약 장치 및 방법
KR100722472B1 (ko) * 2005-10-28 2007-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엑세스 포인트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JP4976776B2 (ja) * 2006-07-31 2012-07-1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並びに当該通信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848271B2 (en) * 2007-06-26 2010-12-07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conserving power for a wireless device while maintaining a connection to a network
EP2203016A1 (en) * 2008-12-24 2010-06-30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channel qualit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3120A1 (ko) * 2013-08-12 2015-02-19 Oh June Soo 직렬버스유선통신을 이용한 m-voip통화 방법 및 그 처리장치
WO2015046954A1 (ko) * 2013-09-26 2015-04-02 엘지전자(주) 핫스팟 기능이 있는 전자기기에 접속하는 방법 및 장치
US10009834B2 (en) 2013-09-26 2018-06-26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ing electronic device having hot spot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8865B1 (ko) 2013-07-23
US20120264474A1 (en) 201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8865B1 (ko) 통신 방법 및 무선기기
US20190379469A1 (en) Network symbol display in dual connectivity regions
KR102166820B1 (ko) 소형 커버리지 영역 기지국들의 발견을 용이하게 하는 통신 방법들 및 장치
US9232466B2 (en)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 communications apparatus in an AP mode
CN111278088A (zh) 定位方法及终端
US20230050355A1 (en) Wus for paging for rrc inactive states
WO2022174777A1 (zh) 状态的切换方法及装置、信标信号的发送及装置
WO2012127279A1 (en) Switching cells on and off on a need basi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WO2022022636A1 (zh) 初始接入方法及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JP2022527735A (ja) 装置及びその無線通信の方法
US20230337128A1 (en) Network selection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4041317A (zh) 一种通信系统切换方法及通信装置
EP4195771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non-terrestrial network
JP2024506104A (ja) 通信機器の作動方法、装置及び通信機器
US20230164681A1 (en) Access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and network device
EP4195756A1 (en) Measurement method, measurement apparatus, terminal and network device
WO2022067544A1 (zh) 一种无线通信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EP4369777A1 (en) Initial bandwidth part determin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related device
US20230232295A1 (en) Method for changing working area, terminal, and network-side device
US20240098771A1 (en) Request Information Sending Method Device and Non-Transitory Readable Storage Medium
EP4376512A1 (en) Paging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WO2023130366A1 (en) User equipment timing advance validation window design for frequency range 2 (fr2) small data transfer (sdt)
CN113438697B (zh) 异系统互操作传输终端设备能力的方法、终端设备及基站
EP4195773A1 (en) Communic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WO2022068727A1 (zh) 传输处理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