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6336A -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substrate - Google Patents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substr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6336A
KR20120116336A KR1020120031124A KR20120031124A KR20120116336A KR 20120116336 A KR20120116336 A KR 20120116336A KR 1020120031124 A KR1020120031124 A KR 1020120031124A KR 20120031124 A KR20120031124 A KR 20120031124A KR 20120116336 A KR20120116336 A KR 20120116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rrier
press
circuit board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11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22907B1 (en
Inventor
유카 오츠카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6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63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9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PURPOSE: An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board is provided to form a terminal in an upright shape without increasing dimension of an up/down direction of a terminal and to prevent the degradation of high speed transmission property of a terminal. CONSTITUTION: A cutting surface of a carrier separation unit(24) is used as a pressurized surface. The dimension of an up/down direction of the pressurized surface is largely secured. The first terminal is formed in an upright shape without forming an up/down direction of a first terminal(20). It prevents the first terminal from being degraded for high transmission.

Description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SUBSTRATE}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SUBSTRATE}

본 발명은,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connector for a circuit board.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어 평형 도체와 접속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고속 전송용 커넥터로서 사용하는 경우, 고속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단자 (端子) 는 스터브가 적은 직상 (直狀) 으로 만들어질 것이 요구된다. 직상의 신호 단자가 하우징에 배열 유지된 고속 전송용 커넥터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의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When a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disposed on a circuit board and connected to a balanced conductor is used as a connector for high speed transmission, it is required that a signal terminal for transmitting a high speed signal be made in a straight phase with few stubs. do. The connector of patent document 1 is known as a connector for high speed transmission in which the linear signal terminal was hold | maintained in the housing | casing.

특허문헌 1 의 커넥터는, 후방에서부터 평형 도체를 수용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로서, 고속 전송용 직상 단자가, 전후 방향으로 관통한 하우징의 단자 유지 홈에 전방으로부터 압입되어 유지되어 있다. 단자를 압입할 때에는, 통상, 그 단자의 전단면 (前端面) 이 압압된다. 상기 단자는, 판면을 유지하여 금속판을 타발하여 만들어져 있고, 전단부는, 타부보다 하방 위치에서 하우징 밖으로 연장되어, 하측 가장자리가 회로 기판과 땜납 접속되는 접속부를 갖고, 후단부는, 평형 도체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가지고 있다. 또, 그 단자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 위치에는,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는 2 개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자 유지 홈의 내면과 걸리도록 되어 있다.The connector of patent document 1 is an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s which accommodates a balanced conductor from the back, and the direct terminal for high speed transmission is pressed in and held in the terminal holding groove of the housing which penetrat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When press-fitting a terminal,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terminal is usually pressed. The terminal is formed by punching out a metal plate while maintaining a plate surface, and the front end portion extends out of the housing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other portion, and has a connecting portion whose lower edge is soldered to the circuit board, and the rear end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flat conductor. Have In addition, at the intermediate posi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terminal, two projections protruding from the upper edge are formed so as to engage the inner surface of the terminal holding groove.

또, 상기 단자의 전단부는, 상기 접속부보다 상방 위치에서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부분을 가지고 있고, 이 부분은, 단자의 압입 전에 캐리어로부터 절단 분리된 캐리어 분리부라고 생각된다. 그 캐리어 분리부는, 상기 단자의 중간 위치의 상측 가장자리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In addition, the front end of the terminal has a portion protruding rearward from an upper position than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is portion is considered to be a carrier separation portion that is cut off from the carrier before press-in of the terminal. The carrier separating portion is located below the upper edge of the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terminal.

일본 특허 제4570107호Japanese Patent No. 4570107

통상, 고속 전송용 단자는, 고속 전송 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직상 형상을 유지하고, 또한, 커넥터의 소형화 요청으로부터 상하 방향에서의 치수를 작게하여 저배화가 도모되고 있다. 그 한편으로, 단자의 제조시에 있어서의 그 단자와 캐리어의 연결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캐리어 분리부는 상하 방향에서의 치수, 즉 연결 폭이 크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특허문헌 1 의 단자는, 전단부의 상하 방향에서의 대부분을 캐리어 분리부가 차지하고 있다.In general, the terminal for high speed transmission maintains a linear shape in order to ensure high speed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nd further reduces the size by reducing the size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request for downsizing the connector.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ensure the connection strength of the terminal and the carrier at the time of manufacture of the terminal, it is preferable that the carrier separation portion has a large dimen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a connection width. Therefore, the terminal of patent document 1 occupies the carrier separation part in the up-down direction of a front end part.

상기 단자의 전단면을 압입 부재로 눌러 상기 단자 유지 홈으로 압입하는 경우, 압입 부재에 압압되는 피압면의 면적이 클수록 단자의 자세가 안정되기 쉽고, 압입되기 쉽다. 요컨대, 상기 단자의 판두께는 일정하므로, 상기 피압면에서의 상하 방향 치수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특허문헌 1 에서는, 상기 단자의 전단면 중 상하 방향 치수가 비교적 큰 캐리어 분리부의 전단면이 가장 압압되기 쉽다. 그러나, 그 캐리어 분리부는, 압입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중간 위치의 상측 가장자리보다 하방으로 어긋나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그 어긋남 거리와 압입력의 곱인 모멘트가 작용하여, 압입시에 단자의 후단측이 상하 방향으로 기울기 쉬워져, 자세가 안정되기 어렵다.In the case where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terminal is pushed into the terminal holding groove by pressing the front end face of the terminal, the posture of the terminal tends to be stabilized and press-fitted as the area of the pressurized surface pressed against the press-fitting member increases. That is, since the plate | board thickness of the said terminal is constant, it is preferable that the dimension of the up-down direction in the to-be-pressed surface is large. Therefore, in patent document 1,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carrier separation part with a comparatively large vertical dimension among the front end surfaces of the said terminal is most likely to be pressed. However, since the carrier separation part is shifted downward from the upper edge of the intermediate position where the press-in projection is formed, the moment which is the product of the shift distance and the press-in input acts, so that the rear end side of the terminal at the press-in direction moves up and down. It becomes easy to incline, and posture is hard to be stable.

그래서, 압입시의 단자의 자세를 안정시키기 위해, 캐리어 분리부 이외의 부분의 전단면을 피압면으로 하여 압압하고자 한 경우, 그 피압면에서의 상하 방향 치수를 크게 확보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그러기 위해서는, 단자의 전단부 자체의 상하 방향 치수를 크게 해야 하여, 단자가 직상 형상은 아니게 되므로, 고속 전송 특성의 저하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tabilize the posture of the terminal at the press-fitting time, when pressing the front end surfaces of the portions other than the carrier separating part as the pressurized surface, it is necessary to secure a large up-down dimension at the pressurized surface. However, in order to do so, the up-down dimension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terminal must be increased, and since the terminal is not in the form of a straight lin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decrease in the high-speed transmission characteristic occurs.

또, 캐리어 분리부의 전단면, 즉 캐리어와의 절단 단면은 도금이 실시되어 있지 않아 땜납 젖음성이 낮다. 따라서, 접속부에서의 땜납 젖음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캐리어 분리부가 상하 방향에서 접속부로부터 충분한 거리를 두고 떨어지도록, 그 캐리어 분리부를 그 접속부의 상방 위치에 형성할 필요가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하 방향에서 접속부와 근접한 위치에 캐리어 분리부를 형성함으로써 단자의 저배화를 도모할 수는 없다.In addition, the front end face of the carrier separation part, that is, the cut end face with the carrier, is not plated, so that solder wettability is low.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solder wettability at the connecting portion, it is necessary to form the carrier separating portion above the connecting portion so that the carrier separating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portion by a sufficient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other words, by forming the carrier separation portion at a position close to the connection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not possible to lower the terminal.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단자의 상하 방향 치수를 크게 하지 않고, 안정적인 자세로 단자를 압입하는 것이 가능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view of such circumstance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al connector for a circuit board which can press-fit a terminal in a stable posture without increasing the vertical dimension of the terminal.

본 발명에 관련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는,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어 후방으로부터 평형 도체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그 하우징에 배열 유지되는 복수의 단자를 갖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로서, 하우징은, 상기 복수의 단자를 각각 유지하는 복수의 단자 유지 홈이 형성되고, 그 복수의 단자 중 적어도 일부의 단자를 유지하는 단자 유지 홈은,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단자 중 적어도 일부의 단자는, 캐리어와 연결된 상태에서 판면을 유지하여 금속판을 타발한 후, 그 캐리어로부터 분리되어 있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상을 이루고, 일단에는, 평형 도체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고, 타단에는, 하측 가장자리에서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에 접속되는 접속부 및 그 접속부보다 상방에 위치하여 캐리어로부터 절단 분리된 캐리어 분리부를 갖고,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 위치에는, 단자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단자 유지 홈의 내면에 걸리는 압입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자는, 캐리어로부터의 상기 캐리어 분리부의 분리 후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상기 단자 유지 홈에 압입되어 있다.The electrical connector for a circuit board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a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which has a housing arrange | positioned on a circuit board and accommodates a balanced conductor from the rear, and the some terminal arrange | positioned and hold | maintained in the housing, The housing is a said multiple A plurality of terminal holding grooves each holding a terminal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are formed, and the terminal holding grooves holding at least some of the terminals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are formed to penetrat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t least some of the terminals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After the metal plate is punched while holding the plate surface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with the carrier, the metal plate is separated from the carrier to form a straight line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one end has a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alanced conductor, and the other end has a lower edge. Cutting from the carrier, the connecting portion being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circuit portion of the circuit board, In the intermediate posi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press-fitting projection which protrudes from the upper edge of the terminal and hang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aid terminal holding groove is formed, and the said terminal is separated after the said carrier separation part from a carrier, It is pushed into the said terminal holding groove from the front or the back.

이러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캐리어 분리부는, 캐리어와의 절단 단면이 상기 중간 위치에서의 상기 상측 가장자리를 상하 방향에서 포함하는 범위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the electrical connector for a circuit boar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rier separation section is located in a range where the cut end face with the carrier includes the upper edge at the intermediate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에서는, 단자의 캐리어 분리부의 절단 단면이, 단자의 중간 위치에서 압입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측 가장자리를 상하 방향에서 포함하는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단자 압입시에 그 절단 단면을 피압면으로 하여 단자를 압압하면, 그 상측 가장자리에 대해 상하 방향에서 그다지 어긋나지 않은 위치에서 압입력이 작용하므로, 압입 돌출부 주위의 모멘트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이 결과, 단자 압입시에, 상기 절단 단면이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여 압압되면, 단자는 상하 방향으로 기울지 않고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한 채로 압입된다. 여기서, 「상측 가장자리를 상하 방향에서 포함하는 범위」는, 그 범위의 상단 위치 또는 하단 위치가 그 상측 가장자리와 동 위치가 되는 경우를 포함하고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ut end face of the carrier separating portion of the terminal is located in a range including the upper edge where the press-fitting projection is formed at the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terminal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fore, when the terminal is pressed with the cut end face as the surface to be pressurized at the time of terminal press-fitting, the pressing force acts at a position that is not deviated so much from the up-and-dow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edge, so that the moment around the press-fitting protrusion is hardly generated. As a result, when the cut end surface is pressed toward the front or the rear at the time of terminal pressing, the terminal is press-fitted while maintaining a stable posture without inclin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Here, "the range which includes an upper edge in an up-down direction" includes the case where the upper end position or lower end position of the range becomes the same position as the upper edge.

평형 도체를 수용 가능한 열림 위치와 평형 도체를 단자의 접촉부를 향하여 누르는 닫힘 위치 사이를 회전 운동하는 가동 부재를 추가로 갖고, 단자는, 제 1 항에 기재된 단자인 신호 단자로서의 제 1 단자에 더하여, 상기 가동 부재를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단자로서의 제 2 단자도 갖고, 하우징은, 제 2 단자를 유지하는 단자 유지 홈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단자는, 캐리어와 연결된 상태에서 판면을 유지하여 금속판을 타발한 후, 그 캐리어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아암부와 그 하부 아암부의 상방 위치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부를 개재하여 상기 하부 아암부에 연결되어 있는 상부 아암부를 갖고, 상기 하부 아암부는, 일단에, 평형 도체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고, 타단에, 하측 가장자리에서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에 접속되는 접속부 및 그 접속부보다 상방에 위치하여 캐리어로부터 절단 분리된 캐리어 분리부를 갖고,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 위치에, 단자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단자 유지 홈의 내면에 걸리는 압입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캐리어 분리부는, 캐리어와의 절단 단면이 상기 중간 위치에서의 상기 상측 가장자리를 상하 방향에서 포함하는 범위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상부 아암부는, 상기 가동 부재를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운동 지지부가 자유단측의 일단에 형성되어, 타단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2 단자는, 제 1 단자의 압입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서 상기 단자 유지 홈에 압입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It further has a movable member which rotates between the open position which can accommodate a balanced conductor, and the closed position which presses a balanced conductor toward the contact part of a terminal, and a terminal is added to the 1st terminal as a signal terminal which is a terminal of Claim 1, It also has a 2nd terminal as a support terminal which supports the said movable member rotatably, The housing is formed by the terminal holding | maintenance groove which hold | maintains a 2nd terminal penetrati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said 2nd terminal connected with the carrier. After punching out the metal plate while holding the plate surface in the state, it is separated from the carrier and ext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t an upper position of the lower arm portion and the lower arm portion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arm portion via a connecting portion. It has an upper arm part which is connected, The said lower arm part has a contact part in contact with a balanced conductor at one end, At the other e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circuit portion of the circuit board at the lower edge and a carrier separation portion located above the connection portion and cut off from the carrier, and protrudes from the upper edge of the terminal at an intermediate posi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terminal holding groove. An indentation protrus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and the carrier separation portion is located in a range where the cut end face with the carrier includes the upper edge at the intermediate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upper arm portion rotates the movable member. The rotary motion support part which supports so that movement is formed in one end of the free end side,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aid connection part, and the said 2nd terminal is press-fitted into the said terminal holding groov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ushing-in direction of a 1st terminal. You may use it.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의 양 단자에 대해, 캐리어 분리부의 절단 단면이 단자의 중간 위치의 상측 가장자리를 상하 방향에서 포함하는 범위에 위치하도록 그 캐리어 분리부를 형성함으로써, 안정적인 자세로 양 단자를 압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커넥터 조립 후에 있어서는, 양 단자의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면서, 직상의 제 1 단자에서 고속 전송 특성의 확보 및 저배화를 가능하게 하고, 제 2 단자에서 가동 부재를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커넥터와 평형 도체의 접속을 위한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or both terminals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the carrier separation part is formed so that the cut end surface of the carrier separation part is located in a range including the upper edge of the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terminal in the up-down direction, thereby press-in both terminals in a stable posture. It becomes possible. In addition, after assembling the connector, the connector can be secured and reduced in high speed at the first terminal directly while maintaining a stable posture of both terminals, and the connector can be rotatably supported at the second terminal. The operability for the connection of the balanced conductor can be improved.

제 1 단자의 캐리어 분리부의 절단 단면과 제 2 단자의 캐리어 분리부의 절단 단면은, 상하 방향에서 동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방의 절단 단면을 동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의 설계시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양방의 단자를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단자의 설계 그리고 금형의 제조도 용이해진다. 또, 캐리어 분리부에서의 단자 압입시에 있어서 공통의 지그를 사용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ut end surface of the carrier separation part of a 1st terminal, and the cut end surface of the carrier separation part of a 2nd terminal are formed in the same position in an up-down direction. By forming both cut sections at the same position, both terminals can be designed based on the same position at the time of designing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thereby facilitating terminal design and mold manufacturing. . Moreover, a common jig can be used at the time of terminal press fitting in a carrier separation part.

제 2 단자는 그라운드 단자인 것으로 해도 된다. 복수의 그라운드 접지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제 1 단자에서의 고속 전송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second terminal may be a ground terminal. By forming a plurality of ground ground structures, high-speed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t the first terminal can be improv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단자의 캐리어 분리부의 절단 단면이, 단자의 중간 위치에서의 상측 가장자리를 상하 방향에서 포함하는 범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단자 압입시에, 단자 압입시에 상기 절단 단면을 피압면으로 하여 단자를 압압하면, 단자를 상하 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게 안정적인 자세로 압입할 수 있다. 또, 캐리어 분리부의 절단 단면을 피압면으로 함으로써, 다른 부분에 피압면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짐과 함께, 피압면의 상하 방향 치수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단자의 상하 방향 치수를 크게 하지 않아도 되므로, 단자를 거의 직상으로 할 수 있고, 단자의 고속 전송 특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단자의 상하 방향 치수를 크게 하지 않아도 되므로, 캐리어 분리부를 접속부의 근접 위치에 형성하여 상하 방향에서의 단자의 대형화를 회피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땜납 젖음성이 낮은 캐리어 분리부의 절단 단면을, 상하 방향에서 접속부로부터 충분한 거리를 두고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접속부에 충분한 양의 땜납을 도포하여 확실하게 땜납 접속할 수 있음과 함께, 플럭스 상승을 회피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는, 캐리어 분리부는, 단자 압입 방향으로 단자의 최후단에 위치하므로, 압입 조작이 용이해진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ut end face of the carrier separating portion of the terminal is located in a range including the upper edge at the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terminal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When the terminal is pressed against the surface to be pressurized, the terminal can be pressed in a stable posture without being incli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Moreover, by making the cut end surface of a carrier separation part into a to-be-pressed surface, it becomes unnecessary to form a to-be-pressed surface in another part, and can secure the up-down direction dimension of a to-be-pressed surface large. Therefore,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enlarge the up-down dimension of a terminal, a terminal can be made almost directly up and the fall of the high speed transmission characteristic of a terminal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since the vertical dimension of the terminal does not have to be enlarged, it is not necessary to form the carrier separation portion in the vicinity of the connecting portion to avoid the enlargement of the terminal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fore, since the cut end surface of the carrier separation part having low solder wettability can be positioned at a sufficient distance from the connection 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ufficient amount of solder can be applied to the connection part to ensure solder connection, and the flux rise can be secured. Can be avoided. Moreover, in general, since the carrier separation part is located at the last end of the terminal in the terminal press-in direction, the press-in operation becomes easy.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 의 (A) 는 도 1 의 커넥터의 IIA-IIA 단면도이며, 제 1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도 2 의 (B) 는 도 1 의 커넥터의 IIB-IIB 단면도이며, 제 2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3 은 도 1 의 커넥터의 단자 유지 홈에 제 1 단자를 압입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커넥터의 단자 유지 홈에 제 1 단자를 압입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는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제 1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6 의 (A) 는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제 1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며, 도 6 의 (B) 는 제 3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커넥터의 제 1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FIG. 2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IIA-IIA of the connector of FIG. 1, showing a cross section at the posit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IIB-IIB of the connector shown in FIG. The cross section at the position of is show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ep of pressing a first terminal into a terminal holding groove of the connector of FIG.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ep of pressing a first terminal into a terminal holding groove of the connector of FIG. 1.
5 is a cross-sectional view at a position of a first terminal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6: (A) is sectional drawing in the position of the 1st terminal of the connector which concerns on 3rd Embodiment, and FIG. 6 (B) is in the position of the 1st terminal of the connector which concerns on the modification of 3rd Embodiment. It is a cross section.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관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e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scribed based on an accompanying drawing.

<제 1 실시형태>≪ First Embodiment >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회로 기판용 커넥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 의 (A) 는 도 1 의 커넥터의 IIA-IIA 단면도이며, 제 1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도 2 의 (B) 는 도 1 의 커넥터의 IIB-IIB 단면도이며, 제 2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for a circuit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2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IIA-IIA of the connector of FIG. 1, showing a cross section at the posit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IIB-IIB of the connector shown in FIG. The cross section at the position of is shown.

본 실시형태에 관한 회로 기판용 커넥터 (1) (이하 「커넥터 (1)」라고 한다) 는,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에 배치되어, 후방 (도 1 에서 좌상방) 으로부터 평형 도체 (도시 생략) 가 접속되는 고속 전송용 커넥터이고, 커넥터 본체 (10) 와 그 커넥터 본체 (10) 에 지지되어 회전 운동 가능한 가동 부재 (50) 를 가지고 있다. 가동 부재 (50) 는, 평형 도체를 커넥터 본체 (10) 로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삽입 가능하게 하는 열림 위치와, 삽입된 평형 도체를 누르는 닫힘 위치 사이를 회전 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 에서는, 가동 부재 (50) 는 닫힘 위치에 있고, 커넥터 (1) 의 외형이 대략 직방체로 되어 있다.The circuit board connector 1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on a circuit board (not shown) and is provided with a balanced conductor (not shown) from the rear (upper left in FIG. 1). Is a connector for high speed transmission, and has a connector body 10 and a movable member 50 supported by the connector body 10 and capable of rotating movement. The movable member 50 is rotatable between an open position that enables the flat conductor to be inserted from the rear to the front with the connector main body 10 and a closed position that presses the inserted flat conductor. In FIG. 1, the movable member 50 is in the closed position, and the external shape of the connector 1 is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커넥터 (1) 에 접속되는 평형 도체는, 전단부의 하면에 접속 도체부가 노출되어 있고, 그 전단부가 커넥터 (1) 에 삽입되어 후술하는 단자의 접촉부와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In the flat conductor connected to the connector 1, the connection conductor part is ex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end part, and the front end part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1, and the contact part of the terminal mentioned later can be contacted.

커넥터 본체 (10) 는, 도 1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기 절연 재료로 만들어진 하우징 (11) 과, 그 하우징 (11) 에 의해 유지된 고속 전송용 신호 단자로서의 제 1 단자 (20), 그라운드 단자로서의 제 2 단자 (30) 및 고정 금구 (40) 를 가지고 있다. 이하, 제 1 단자 (20) 의 제 2 단자 (30) 를 총칭하여 단자 (20, 30) 라고도 한다. 제 1 단자 (20) 및 제 2 단자 (30) 는, 서로 형상이 상이한 단자이고, 하우징 (11) 의 길이 방향을 배열 방향으로 하여, 제 1 단자 (20) 가 2 개 배치되고, 그 이웃에 제 2 단자 (30) 가 배치된다는 것을 반복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고정 금구 (40) 는 이들 단자 (20, 30) 의 배열 범위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단자 (20) 및 제 2 단자 (30) 의 배열의 순서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onnector body 10 includes a housing 11 made of an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a first terminal 20 as a signal terminal for high-speed transmission held by the housing 11, and a ground. It has the 2nd terminal 30 as a terminal, and the fixing bracket 40. As shown in FIG. Hereinafter, the 2nd terminal 30 of the 1st terminal 20 is named generically also the terminal 20,30. The first terminal 20 and the second terminal 30 are terminals different in shape from each other, and two first terminals 20 ar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1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and are arranged in the neighborhood of the first terminal 20 and the second terminal 30. It is positioned to repeat that the second terminal 30 is arranged. The fixing bracket 40 is located outside the arrangement range of these terminals 20 and 30. The order of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terminal 20 and the second terminal 30 is not limited to the order in the present embodiment, and can be freely set in various ways.

상기 하우징 (11) 은, 단자 배열 방향에서 양단에 위치하는 측벽 (12) 과, 양방의 측벽 (12) 을 그들 하부에서 잇는 저벽 (13) (도 2 의 (A), 2 의 (B) 참조) 과, 전방 (도 1 에서 우하방) 에 위치하는 전벽 (14) 과, 그 전벽 (14) 상에 위치하는 상벽 (15) 을 일체로 가지고 있다. 또, 도 2(A), 2(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하우징 (11) 의 후반부에는, 상기 저벽 (13) 보다 상방에서, 양방의 측벽 (12) 사이에, 상방 그리고 후방으로 개방된 개구부 (16) 가 형성되어 있다. 그 개구부 (16) 는, 평형 도체의 삽입을 위한 수용부로서, 그리고 상기 서술한 가동 부재 (50) 의 배치와 가동을 위한 공간으로서 기능한다.The housing 11 has a side wall 12 positioned at both ends in a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and a bottom wall 13 connecting both side walls 12 thereunder (see FIGS. 2A and 2B). ), The front wall 14 located in front (below right in FIG. 1), and the upper wall 15 located on the front wall 14 are integrated. 2 (A) and 2 (B), in the latter half of the housing 11, above and below the bottom wall 13, between both side walls 12, upward and backward. An open opening 16 is formed. The opening 16 functions as a receiving portion for insertion of the balanced conductor and as a space for arranging and moving the movable member 50 described above.

하우징 (11) 에는, 측벽 (12) 의 내면을 따라, 금속판으로 만들어진 고정 금구 (40) 를 위한 지지 홈 (도시 생략) 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고정 금구 (40) 가 후방으로부터 장착되어 있다. 그 고정 금구 (40) 는, 하우징 (11) 의 저면으로부터 약간 나와 있어,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의 대응부와 땜납 접속되어 하우징 (11) 의 고정에 기여한다.In the housing 11,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12, a support groove (not shown) for the fixing bracket 40 made of a metal plate extends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fixing bracket 40 is rearward. It is mounted from. The fixing bracket 40 is slightly out of the bottom face of the housing 11, is soldered to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circuit board (not shown), and contributes to the fixing of the housing 11.

양방의 상기 지지 홈 사이에는, 도 1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자 (20, 30) 를 수용하여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 유지 홈 (18) 이 배열 형성되어 있다. 단자 (20, 30) 는, 모두 금속판의 평탄한 판면을 유지하여 만들어져 있고, 따라서, 상기 단자 유지 홈 (18) 도 그 판두께에 적합한 슬릿상의 홈으로 되어 있다. 이 단자 유지 홈 (18) 은, 도 2 의 (A), 도 2 의 (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지면 (紙面) 에 직각인 방향으로 단자 (20, 30) 의 판두께에 상당하는 홈 폭으로 복수 배열 형성되어, 전후 방향 (도 2 의 (A), 도 2 의 (B) 에서 좌우 방향) 으로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다.As can be seen from FIG. 1, a plurality of terminal holding grooves 18 for receiving and holding the terminals 20, 30 are arranged between the above-mentioned supporting grooves of both. The terminals 20 and 30 are all made to hold the flat plate surface of a metal plate, and therefore the said terminal holding groove 18 is also a slit-shaped groove suitable for the plate thickness. This terminal holding groove 18 corresponds to the plate thickness of the terminals 20 and 30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as can be seen in FIGS. 2A and 2B. A plurality of arrays are formed in the groove width and penetra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left-right direction in FIG. 2A and FIG. 2B).

도 2 의 (A), 도 2 의 (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단자 유지 홈 (18) 은, 하우징 (11) 의 상벽 (15) 과 저벽 (13) 사이에서 전벽 (14) 을 전후로 관통하고 있음과 함께, 개구부 (16) 가 형성되어 있는 후반부에서는 상기 저벽 (13) 의 상면에까지 도달해 있다. 단자 유지 홈 (18) 내에는, 상기 전벽 (14) 의 후부에, 상하 방향에서 상벽 (15) 과 저벽 (13) 사이에 섬상의 고정부 (19) 가 형성되어 있다.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단자 유지 홈 (18) 은, 그 고정부 (19) 에 대해 상측의 상부 영역 (18A), 하측의 하부 영역 (18B) 그리고 양 영역을 전부측에서 연통시키는 연결 영역 (18C), 나아가서는, 전후 방향에서 개구부 (16) 에 대응하는 저벽 (13) 부분에 형성되는 개방 영역 (18D) 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들은 상부 영역 (18A), 하부 영역 (18B), 연결 영역 (18C) 그리고 개방 영역 (18D) 은 서로 연통되어 있다.As can be seen from (A) and (B) of FIG. 2, the terminal retaining grooves 18 form the front wall 14 between the upper wall 15 and the bottom wall 13 of the housing 11. While penetrating back and forth, the upper half of the bottom wall 13 reaches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alf portion in which the opening portion 16 is formed. In the terminal holding groove 18, an island-like fixing portion 19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front wall 14 between the upper wall 15 and the bottom wall 13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2 (A), the terminal holding groove 18 communicates the upper region 18A on the upper side, the lower region 18B on the lower side, and both regions with respect to the fixing portion 19 at all sides. 18C of connection area | regions, and furthermore, it is divided into the open area | region 18D formed in the bottom wall 13 part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part 16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ese are the upper region 18A, the lower region 18B, the connecting region 18C and the open region 18D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상기 단자 유지 홈 (18) 은, 개방 영역 (18D) 의 홈바닥이 하부 영역 (18B) 의 홈바닥보다 일단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로써, 후술하는 단자 (20, 30) 의 접촉부 (22, 31B) 의 하방에 대한 변위를 허용함과 함께, 단자 (20, 30) 의 땜납 접속시에 플럭스가 상승되어도, 그 플럭스가 접촉부 (22, 31B) 까지 이르는 것을 저지하는 간극을 형성하게 된다. 단자 유지 홈의 개방 영역의 홈바닥이 하부 영역의 홈바닥보다 일단 하방에 위치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단자의 접촉부의 하방에 대한 변위를 허용하는 간극이 확보되어 있으면, 개방 영역의 홈바닥이 상하 방향에서 하부 영역의 홈바닥과 동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In the terminal holding groove 18, the groove bottom of the open area 18D is once located below the groove bottom of the lower area 18B. Thereby, while allowing the displacement of the contact portions 22 and 31B of the terminals 20 and 30 to be described later, the flux is increased even when the flux is raised during solder connection of the terminals 20 and 30. , 31B) will form a gap to prevent reaching. It is not essential that the groove bottom of the open area of the terminal holding groove is located below the groove bottom of the lower area once, and the groove bottom of the open area is up and down if a gap allowing a displacement to the lower side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terminal is secured. It may b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groove bottom of the lower region in the direction.

이와 같이 형성된 단자 유지 홈 (18) 은, 도 2의 (A), 도 2 의 (B) 에서도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 (20) 가 삽입되어 있는 단자 유지 홈 (18) 도 그리고 제 2 단자 (30) 가 삽입되어 있는 단자 유지 홈 (18) 도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어느 단자 유지 홈 (18) 에 대해서도, 제 1 단자 (20), 그리고 제 2 단자 (30) 모두가 선택적으로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terminal retaining grooves 18 formed in this manner can be seen in FIGS. 2A and 2B, and the terminal retaining grooves 18 into which the first terminals 20 are inserted are also formed. The terminal holding groove 18 into which the two terminals 30 are inserted is also formed in the same shape. Therefore, both the first terminal 20 and the second terminal 30 can be selectively inserted into any terminal holding groove 18.

상기 제 1 단자 (20) 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고속 전송용 신호 단자이고, 캐리어와 연결된 상태에서 판면을 유지하여 금속판을 타발한 후, 그 캐리어 (도 3 참조) 로부터 분리되어 만들어졌다. 그 제 1 단자 (20) 는, 도 2 의 (A) 와 같이, 전후로 연장되는 직상을 이루는 아암상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고, 전단부에 접속부 (21) 그리고 후단부에 접촉부 (22) 를, 나아가서는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부에 피고정부로서의 2 개의 압입 돌출부 (23) 를 가지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terminal 20 is a signal terminal for high speed transmission, and is formed by separating the metal plate from the carrier (see FIG. 3) after the metal plate is punched while holding the plate surface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with the carrier. The first terminal 20 is formed as an upright arm-shaped member extending back and forth as shown in FIG. 2 (A), further extending the connecting portion 21 and the contact portion 22 at the front end portion. Has two press-fit projections 23 as a fixing part in the middle part in the front-rear direction.

상기 제 1 단자 (20) 는, 후방 (도 2 의 (A) 에서 좌방) 으로는 하우징 (11) 의 중간부까지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접촉부 (22) 는, 제 1 단자 (20) 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평형 도체 (도시 생략) 의 하면에 형성된 대응 회로부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1 단자 (20) 의 전단부는, 하우징 (11) 밖으로 돌출되어 하방으로 굴곡된 부분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그 전단부의 하부가 상기 접속부 (21) 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 접속부 (21) 의 하측 가장자리는 하우징 (11) 의 저면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고,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상에 배치되었을 때, 그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에 대해 땜납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The first terminal 20 extends back to the middle of the housing 11 at the rear side (left in FIG. 2A), and the contact portion 22 is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terminal 20. It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and to contact the corresponding circuit part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a balanced conductor (not shown). The front end part of the said 1st terminal 20 is formed as the part which protruded out of the housing 11 and bent downward, and the lower part of the front end part is formed as the said connection part 21. As shown in FIG. The lower edge of the connection portion 21 is located below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1, and is arranged to be soldered to the corresponding circuit portion of the circuit board when it is disposed on a circuit board (not shown).

상기 압입 돌출부 (23) 는, 상기 중간부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2 지점에 형성되어 있다. 그 2 개의 압입 돌출부 (23) 중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압입 돌출부 (23A) 는,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압입 돌출부 (23B) 보다 약간 돌출량이 작게 되어 있다. 그 후방 압입 돌출부 (23A) 는, 단자 유지 홈 (18) 으로의 제 1 단자 (20) 의 압입 과정에서, 상하 방향에서의 제 1 단자 (20) 의 위치를 안정시켜, 그 제 1 단자 (20) 를 안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고, 그 후방 압입 돌출부 (23A) 의 상단이 고정부 (19) 의 하면과 맞닿을 정도의 돌출량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전방 압입 돌출부 (23B) 는, 단자 유지 홈 (18) 내에서 제 1 단자 (20) 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고, 그 전방 압입 돌출부 (23B) 의 상단이 고정부 (19) 의 하면으로 파고들 정도의 돌출량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press-fit protrusions 23 protrude from the upper edge of the intermediate portion and are formed at two points. 23 A of rear indentation protrusions 23A located in the back of the two indentation protrusions 23 are slightly smaller than the front indentation protrusion 23B located in front. The rear press-fitting projection 23A stabilizes the position of the first terminal 20 in the up-down direction in the press-fitting process of the first terminal 20 into the terminal holding groove 18, and the first terminal 20. ), And the upper end of the rear press-fitting projection 23A is formed in an amount of protrusion such tha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ortion 19 abuts. On the other hand, the front indentation protrusion 23B has a function of fixing the first terminal 20 in the terminal holding groove 18, and the upper end of the front indentation protrusion 23B is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19. It is formed in the amount of protrusions.

이와 같이 형성되는 제 1 단자 (20) 는, 하우징 (11) 의 단자 유지 홈 (18) 의 섬상의 고정부 (19) 와 저벽 (13) 사이에 전방으로부터 압입되고, 단자 유지 홈 (18) 의 내벽면을 이루는 고정부 (19) 의 하면에 상기 압입 돌출부 (23B) 가 파고들어 고정 위치가 정해진다. 제 1 단자 (20) 의 후부는 하우징 (11) 의 전벽 (14) 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또한 하측 가장자리가 단자 유지 홈 (18) 의 홈저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고 있어, 하방으로의 탄성 휨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상기 접촉부 (22) 가 평형 도체로부터 하방으로의 힘을 받았을 때, 이 접촉부 (22) 는 하방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1st terminal 20 formed in this way is press-fitted from the front between the fixed part 19 and the bottom wall 13 of the island shape of the terminal holding groove 18 of the housing 11, and the The press-fitting protrusion 23B penetrates in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19 forming the inner wall surface, and the fixing position is determined. The rear part of the first terminal 20 protrudes rearward from the front wall 14 of the housing 11, and the lower edge forms a gap between the groove bottoms of the terminal holding grooves 18, and the elastic deflection downwards. This is possible. That is, when the said contact part 22 receives the downward force from the balanced conductor, this contact part 22 is elastically displaceable downward.

상기 제 1 단자 (20) 의 전단부에서는, 캐리어로부터 절단 분리된 캐리어 분리부 (24) 가 접속부 (21) 보다 상방에 형성되어 있다. 그 캐리어 분리부 (24) 의 전단면은, 도 2 의 (A) 에서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 (20) 의 최전단 가장자리를 이루고 있다. 캐리어 분리부 (24) 의 캐리어와의 절단 단면 (전단면) 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탄면이다. 그 절단 단면은, 최전단면으로 되어 있는 관계상, 제 1 단자 (20) 가 하우징 (11) 의 단자 유지 홈 (18) 으로 전방으로부터 압압 부재 (지그) 에 의해 압입될 때, 상기 평탄면 전체 영역이 그 압압 부재에 의해 압압되는 피압면으로서 이용된다. 이와 같이, 캐리어 분리부 (24) 는, 피압면으로서의 절단 단면이 최전단, 바꾸어 말하면, 단자 압입 방향에서의 최후단에 위치하므로, 제 1 단자 (20) 의 압입 조작이 용이해진다. 또한, 캐리어 분리부가 제 1 단자의 최전단 가장자리인 것은 필수가 아니고, 예를 들어, 접속부의 전단 가장자리가 최전단 가장자리로 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압압 부재를 그 접속부의 전단 가장자리에 맞닿게 하지 않고, 그 압압 부재로 캐리어 분리부의 전단 가장자리만을 압압하면 된다.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terminal 20, the carrier separation part 24 cut off from the carrier is formed above the connecting part 21.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carrier separation part 24 forms the leading edge of the 1st terminal 20, as can be seen easily in FIG. The cut end surface (front end surface) with the carrier of the carrier separation part 24 is a flat surface extended in an up-down direction. The cut end face is the front end surface, and when the 1st terminal 20 is press-fitted by the press member (jig) from the front to the terminal holding groove 18 of the housing 11, the whole flat surface area | region It is used as a to-be-pressed surface pressed by this press member. In this way, the carrier separation section 24 is located at the foremost end, in other words, at the last end in the terminal press-fitting direction, so that the press-fit operation of the first terminal 20 becomes easy. In addition, it is not essential that a carrier separation part is the foremost edge of a 1st terminal, For example, the front-end edge of a connection part may become the foremost edge. In this case, the pressing member may be pressed against only the front edge of the carrier separating portion without contacting the front edge of the connecting portion.

또, 캐리어 분리부 (24) 의 절단 단면을 피압면으로 함으로써, 다른 부분에 피압면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짐과 함께, 피압면의 상하 방향 치수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단자 (20) 의 전단부의 상하 방향 치수를 크게 하지 않아도 되므로, 그 제 1 단자 (20) 를 거의 직상으로 할 수 있고, 그 제 1 단자 (20) 의 고속 전송 특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단자 (20) 의 전단부의 상하 방향 치수를 크게 하지 않아도 되므로, 캐리어 분리부 (24) 를 접속부 (21) 의 근접 위치에 형성하여 상하 방향에서의 제 1 단자 (20) 의 대형화를 회피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땜납 젖음성이 낮은 캐리어 분리부 (24) 의 절단 단면을, 상하 방향에서 접속부 (21) 로부터 충분한 거리를 두고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접속부 (21) 에 충분한 양의 땜납을 도포하여 확실하게 땜납 접속시킬 수 있음과 함께, 플럭스 상승을 회피할 수 있다.Moreover, by making the cut end surface of the carrier separation part 24 into a to-be-pressed surface, it becomes unnecessary to form a to-be-pressed surface in another part, and the dimension of the up-down direction of a to-be-pressed surface can be ensured large. Therefore, since the up-down direction dimension of the front end part of the 1st terminal 20 does not need to be enlarged, the 1st terminal 20 can be made almost linear, and the fall of the high speed transmission characteristic of the 1st terminal 20 is prevented. can do. In addition, since the up-down direction dimension of the front-end part of the 1st terminal 20 does not need to be enlarged, the carrier separation part 24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connection part 21, and enlargement of the 1st terminal 20 in an up-down direction is carried out. There is no need to avoid it. Therefore, since the cut end surface of the carrier separation part 24 with low solder wettability can be positioned with sufficient distance from the connection part 21 in an up-down direction, sufficient amount of solder is apply | coated to this connection part 21 reliably. The solder can be connected and the flux can be avoided.

도 2 의 (A)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캐리어 분리부 (24) 의 절단 단면은, 그 절단 단면의 상측 가장자리가 그 제 1 단자 (20) 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부의 상측 가장자리와 상하 방향에서 동 위치에 있다. 즉, 그 절단 단면의 상단은, 상기 중간부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는 압입 돌출부 (23) 의 하방에서, 그 압입 돌출부 (23) 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있다. 또, 상기 절단 단면의 하단부는 제 1 단자 (20) 의 중간부의 하측 가장자리에 근접한 위치에 있다. 그 절단 단면의 상단이 상기 중간부의 상측 가장자리와 상하 방향에서 그다지 어긋나지 않은 위치에 있으므로, 제 1 단자 (20) 의 압입시에 상기 절단 단면이 후방으로 압압되었을 때, 압입 돌출부 (23) 주위의 모멘트가 거의 생기지 않고, 제 1 단자 (20) 의 후단이 상하 방향으로 기울지 않고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한 채로 그 제 1 단자 (20) 를 압입할 수 있다.As can be seen in FIG. 2A, the cut end face of the carrier separating part 24 has an upper edge of the cut end face up and down with an upper edge of the middle part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first terminal 20. It is in the same position in the direction.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cut end surface is located near the press-fit protrusion 23 under the press-fit protrusion 23 projecting from the upper edge of the intermediate portion. Moreover, the lower end part of the said cut end surface is in the position near the lower edge of the intermediate part of the 1st terminal 20. As shown in FIG. Since the upper end of the cut end surface is in a position that is not deviated from the upper edge of the middle portion in a vertical direction, the moment around the press-fit protrusion 23 when the cut end is pressed backward at the press-in of the first terminal 20. Hardly occurs, and the first terminal 20 can be press-fitted while maintaining a stable posture without the rear end of the first terminal 20 incli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 2 단자 (30) 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그라운드 단자로서 사용됨과 함께, 가동 부재 (50) 를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단자로서의 기능도 가지고 있다. 그 제 2 단자 (30) 는, 제 1 단자 (20) 와 동일하게, 캐리어 (도시 생략) 와 연결된 상태에서 판면을 유지하여 금속판을 타발한 후, 그 캐리어로부터 분리되어 만들어져 있다. 도 2 의 (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2 단자 (30) 는, 그 제 1 단자 (20) 와 동일한 형상의 하부 아암부 (31) 에 더하여, 그 하부 아암부 (31) 의 상방 위치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아암부 (32) 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 아암부 (31) 및 상부 아암부 (32) 의 전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 (33) 를 가지고 있다.While the 2nd terminal 30 is used as a ground terminal as mentioned above, it has a function as a support terminal which supports the movable member 50 so that rotation movement is possible. Similarly to the first terminal 20, the second terminal 30 is formed by being separated from the carrier after holding the plate surface and punching a metal plate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with a carrier (not shown). As can be seen in FIG. 2B, the second terminal 30 is in addition to the lower arm portion 31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first terminal 20 and above the lower arm portion 31. The upper arm part 32 extend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at a position, and the connection part 33 extended in an up-down direction and connecting the front-end parts of the said lower arm part 31 and the upper arm part 32 are comprised.

상기 하부 아암부 (31)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단자 (20) 와 동일한 형상이고, 전단부에 접속부 (31A) 및 캐리어 분리부 (31D), 후단부에 접촉부 (31B), 중간부에 피고정부로서의 2 개의 후방 압입 돌출부 (31C-1) 및 전방 압입 돌출부 (31C-2) (총칭하여 「압입 돌출부 (31C)」라고도 한다) 를 가지고 있다. 하부 아암부 (31) 가 후부에서 탄성 휨이 가능하고, 접촉부 (31B) 가 탄성 변위 가능한 것도, 제 1 단자 (20) 의 경우와 동일하다. 또, 상기 캐리어 분리부 (31D) 는, 제 1 단자 (20) 의 캐리어 분리부 (24) 와, 전후 방향 그리고 상하 방향에서 동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제 1 단자 (20) 의 캐리어 분리부 (24) 의 절단 단면과 제 2 단자 (30) 의 캐리어 분리부 (31D) 의 절단 단면이 전후 방향 그리고 상하 방향에서 동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1 단자 (20) 및 제 2 단자 (30) 의 양방의 절단 단면을 동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그 제 1 단자 (20) 및 제 2 단자 (30) 의 설계시에, 동일한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제 1 단자 (20) 및 제 2 단자 (30) 를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단자의 설계 그리고 금형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또, 제 1 단자 (20) 및 제 2 단자 (30) 를 압입하기 위한 압압 부재의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없어진다.The lower arm portion 31 has the same shape as the first terminal 20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ng portion 31A and the carrier separating portion 31D at the front end portion, the contact portion 31B at the rear end portion, and the intermediate portion. Has two rear press-in protrusions 31C-1 and front- press-in protrusions 31C-2 (collectively referred to as "press-in protrusions 31C"). The lower arm part 31 can elastically bend at the rear part, and the contact part 31B can also be elastically displaced similarly to the case of the 1st terminal 20. FIG. Moreover, the said carrier separation part 31D is formed in the same position with the carrier separation part 24 of the 1st terminal 20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an up-down direction. That is, the cut end surface of the carrier separation part 24 of the 1st terminal 20, and the cut end surface of the carrier separation part 31D of the 2nd terminal 30 are formed in the same position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an up-down direction. Thus, by forming the cut end surface of both the 1st terminal 20 and the 2nd terminal 30 in the same position, at the time of designing the 1st terminal 20 and the 2nd terminal 30, the same position is provided. Since the 1st terminal 20 and the 2nd terminal 30 can be designed as a reference, design of a terminal and manufacture of a metal mold | die are easy. Moreover, it is not necessary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press member for press-fitting the 1st terminal 20 and the 2nd terminal 30. FIG.

상부 아암부 (32) 는, 상기 고정부 (19) 와 상벽 (15) 사이를 관통하여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하방에 위치하는 상기 하부 아암부 (31) 와 비교하여 폭 (도면에서 상하 방향 치수) 이 넓고 고강성으로 만들어져 있다. 그 상부 아암부 (32) 의 후단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오목 만곡상의 지지부 (32A) 가 형성되어 있다. 또, 그 상부 아암부 (32) 는, 그 상측 가장자리가 상벽 (15) 사이에서 약간의 간극을 유지하면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The upper arm portion 32 extends rearward through the fixing portion 19 and the upper wall 15, and has a width (up and down direction in the drawing) compared with the lower arm portion 31 positioned below the upper arm portion 32. Dimensions are wide and made of high rigidity. At the lower edge of the rear end of the upper arm portion 32, a concave curved support portion 32A is formed. The upper arm portion 32 extends rearward while its upper edge maintains a slight gap between the upper walls 15.

상기 연결부 (33) 는, 상기 하우징 (11) 의 섬상의 고정부 (19) 의 전방 위치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 아암부 (31) 및 상부 아암부 (32) 의 전단부끼리를 연결하고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33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front position of the fixing portion 19 on the island 11 of the housing 11 to connect 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lower arm portion 31 and the upper arm portion 32. Doing.

이러한 제 2 단자 (30) 는,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상기 단자 유지 홈 (18) 에 삽입되면, 하부 아암부 (31) 가, 제 1 단자 (20) 와 동일하게, 섬상의 고정부 (19) 와 저벽 (13) 사이에 압입됨과 함게, 상부 아암부 (32) 가 상기 고정부 (19) 와 상벽 (15) 사이에 배치된다.When such 2nd terminal 30 is inserted into the said terminal holding groove 18 from front to back, the lower arm part 31 is the island-like fixing part 19 similarly to the 1st terminal 20. FIG. In addition to being press-fitted between the bottom wall 13 and the upper arm portion 32, the upper arm portion 32 is disposed between the fixing portion 19 and the upper wall 15.

도 2 의 (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2 단자 (30) 의 캐리어 분리부 (31D) 의 절단 단면은, 그 절단 단면의 상단이 그 제 2 단자 (30) 의 하부 아암부 (31) 의 중간부의 상측 가장자리와 상하 방향에서 동 위치에 있다. 즉, 제 2 단자 (30) 도, 제 1 단자 (20) 와 동일하게, 캐리어 분리부 (31D) 의 절단 단면이 제 2 단자 (30) 의 중간부의 상측 가장자리와 상하 방향에서 동 위치에 있고, 그 절단 단면의 상단이 상하 방향에서 압입 돌출부 (31C) 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한 채로 압입할 수 있다.As can be seen in FIG. 2B, the cut end face of the carrier separating part 31D of the second terminal 30 has an upper end of the cut end face of the lower arm part 31 of the second terminal 30. ) Is in the same position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with the upper edge of the middle portion. That is, similarly to the 1st terminal 20, the 2nd terminal 30 also has the cut end surface of the carrier separation part 31D in the same position in the up-down direction with the upper edge of the intermediate part of the 2nd terminal 30, Since the upper end of the cut end surface is located close to the press-fitting projection 31C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can be press-fitted while maintaining a stable posture.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단자 (20) 와 제 2 단자 (30) 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2 개의 제 1 단자 (20) 에 인접하여 1 개의 제 2 단자 (30) 가 위치하도록 하여 배열되어 있고, 제 2 단자 (30) 가 제 1 단자 (20) 에 대해 그라운드 단자로서 사용되므로, 복수의 그라운드 접지 구조가 형성되어, 제 1 단자 (20) 에서의 고속 전송 특성이 향상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terminal 20 and the second terminal 30 are arranged so that one second terminal 30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two first terminals 20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Since the second terminal 30 is used as the ground terminal with respect to the first terminal 20, a plurality of ground ground structures are formed, thereby improving the high speed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t the first terminal 20.

가동 부재 (50) 는, 하우징 (11) 과 동일한 전기 절연 재료로 만들어져 있고, 도 1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하우징 (11) 의 양측벽 (12) 사이에 걸친 폭을 가지고 있고, 도 2 의 (A), 2 의 (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 (11) 의 개구부 (16) 에 배치되어 있다. 그 가동 부재 (50) 는, 단자 배열 방향에 대해 직각인 단면 형상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세로 자세가 되는 열림 위치와, 도 2 의 (A), 도 2 의 (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단면 형상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가로 자세가 되는 닫힘 위치 사이를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The movable member 50 is made of the same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as the housing 11, and as can be seen in FIG. 1, has a width spanning between the side walls 12 of the housing 11, and FIG. 2. As can be seen from (A) and (B), the openings 16 are disposed in the openings 16 of the housing 11. The movable member 50 has an open position in which the cross-sectional shape perpendicular to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is in a vertical postur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s can be seen in FIGS. 2A and 2B. The cross-sectional shape is supported so as to be rotatable between the closed positions of the horizontal posture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가동 부재 (50) 는, 도 2 의 (A), 도 2 의 (B) 에 나타내는 닫힘 위치에서, 단자 배열 방향 (지면에 직각인 방향) 에서 단자 (20, 30) 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전부가 되는 부분에 홈부 (51)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부 (51) 는, 도 2 의 (A), 2 의 (B) 에서의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고, 전단 위치에서 홈부 (51) 의 대향 (지면에 직각인 방향에서의 대향) 홈 내면끼리를 연결하는 축부 (52) 가 형성되어 있다. 그 축부 (52) 는, 대략 원형의 둘레면을 갖고, 상기 제 2 단자 (30) 의 상부 아암부 (32) 에 오목 만곡상으로 형성된 지지부 (32A)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그러나, 제 1 단자 (20) 는 제 2 단자 (30) 와 같은 상부 아암부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도 2 의 (A)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 (20) 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축부 (52) 는 전혀 지지되어 있지 않다. 또한, 가동 부재의 홈부는, 제 2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The movable members 50 are all at the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s 20 and 30 in the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in the closed positions shown in FIGS. 2A and 2B. The groove part 51 is formed in the part to become. The grooves 51 penetrat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n FIGS. 2A and 2B, and the inner surfaces of the grooves facing the grooves 51 (oppos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t the front end position. A shaft portion 52 for connecting the is formed. The shaft portion 52 has a substantially circula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s supported so as to be freely rotatable in the support portion 32A formed in a concave curved shape in the upper arm portion 32 of the second terminal 30. . However, since the first terminal 20 does not have the same upper arm portion as the second terminal 30, as can be seen in Fig. 2A, the shaft portion is locat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terminal 20. 52 is not supported at all. In addition, the groove part of the movable member may be formed only i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a 2nd terminal.

상기 가동 부재 (50) 는, 그 폭 방향 (단자 배열 방향) 양단에도 도시되지 않은 축부에서 하우징 (11) 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상기 가동 부재 (50) 는, 도 2 의 (A), 2 의 (B) 에 나타내는 닫힘 위치에서, 홈부 (51) 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후부는 조작부 (53) 를 형성하고, 그 상면이 하우징 (11) 의 상벽 (15) 의 상면과 동일 레벨 위치에 있다. 가동 부재 (50) 는, 이 조작부 (53) 에서, 조작력을 받아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를 회전 운동하여 이동한다. 또, 가동 부재 (50) 는, 도 2 의 (A), 도 2 의 (B) 에 나타내는 닫힘 위치에 있어서의 전단부로부터 조작부 (53) 에 걸친 하면이, 그 닫힘 위치에서 평형 도체를 누르는 가압부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닫힘 위치에서 가동 부재의 상면이 하우징 상벽의 상면과 동일 레벨 위치에 있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상하 방향에서 상이한 위치에 있어도 된다.The movable member 50 is supported so as to be freely rotatable by the housing 11 at shaft portions not shown in both the width direction (terminal arrangement direction). In the closed position shown in FIG.2 (A), 2 (B), the said movable member 50 forms the operation part 53 in the back part in which the groove part 51 is not formed, and the upper surface is a housing ( It is at the same level position as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wall 15 of 11). The movable member 50 moves and rotates between the open position and the closed position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force in the operation unit 53. Moreover, as for the movable member 50, the lower surface which spreads across the operation part 53 from the front end part in the closed position shown to FIG.2 (A), FIG.2 (B) presses the balanced conductor in the closed position. Form wealth. In addition, it is not essential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movable member is at the same level position as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wall of the housing in the closed position, and may be at different posit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다음으로, 제 1 단자 (20) 의 압입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단자 (30) 의 압입 공정에 대해서는, 제 1 단자 (20) 의 압입 공정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 및 도 4 는, 하우징 (11) 의 단자 유지 홈 (18) 으로 제 1 단자 (20) 를 압입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단자 (20) 에 대응하는 복수의 단자 유지 홈 (18) 중, 도 3 에 있어서의 가장 왼쪽 하방의 단자 유지 홈 (18) 으로부터 순서대로 제 1 단자 (20) 가 압입된다. 도 3 에는, 상기 제 1 단자 (20) 에 대응하는 복수의 단자 유지 홈 (18) 중 가장 오른쪽 상방의 단자 유지 홈 (18) 에 제 1 단자 (20) 만이 압입되기 전의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3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제 1 단자 (20) 는 1 개의 캐리어 (C) 에 연결된 상태에서 금속판의 타발 가공에 의해 만들어져 있다.Next, the press fitting process of the 1st terminal 20 is demonstrated. Since the press-in process of the 2nd terminal 30 is the same as that of the press-in process of the 1st terminal 20,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3 and 4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ep of pressing the first terminal 20 into the terminal holding groove 18 of the housing 11. In the present embodiment, among the plurality of terminal holding grooves 18 corresponding to the first terminal 20, the first terminal 20 is press-fitted in order from the leftmost lower terminal holding groove 18 in FIG. 3. do. 3 shows a state before only the first terminal 20 is press-fitted into the terminal holding groove 18 on the rightmost upper side among the plurality of terminal holding grooves 18 corresponding to the first terminal 20. As can be seen from FIG. 3,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lurality of first terminals 20 are made by punching of a metal plate in a state connected to one carrier C. As shown in FIG.

제 1 단자 (20) 는 이하의 공정에서 단자 유지 홈 (18) 에 압입된다. 먼저, 제 1 단자 (20) 에 대응하는 단자 유지 홈 (18) 중 도 3 에서의 가장 왼쪽 하방의 단자 유지 홈 (18)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하방으로부터 두 번째의 단자 유지 홈 (18)) 의 전방 (도 3 에서의 우하방) 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속하는 캐리어 (C) 가 부착된 복수의 제 1 단자 (20) 중 1 개 (도 3 에 있어서의 상방의 제 1 단자 (20)) 를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제 1 단자 (20) 의 캐리어 분리부 (24) 를 캐리어 (C) 로부터 절단 분리함과 함께, 그 제 1 단자 (20) 의 판면을 협지하고, 그 제 1 단자 (20) 를 후방을 향하여 상기 두번째의 단자 유지 홈 (18) 내에 삽입한다. 그 제 1 단자 (20) 의 절단 분리, 협지 및 삽입은, 동일한 지그에 의해 실시된다. 제 1 단자 (20) 는, 도 4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 (20) 의 후방 압입 돌출부 (23A) 가 고정부 (19) 의 하방에 위치할 때까지 삽입된다. 그리고, 제 1 단자 (20) 는, 후방 압입 돌출부 (23A) 가 고정부 (19) 의 하면에 맞닿아, 단자 유지 홈 (18) 에서 임시 유지된 상태가 된다.The 1st terminal 20 is press-fitted into the terminal holding groove 18 in the following process. First, among the terminal holding grooves 18 corresponding to the first terminal 20, the leftmost lower terminal holding groove 18 in FIG. 3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terminal holding groove 18 from the lower left side). 1 (upper first terminal 20 in FIG. 3) of one of a plurality of first terminals 20 with a carrier C continuou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n front of the front (lower right in FIG. 3). ). Next, the carrier separation part 24 of the first terminal 20 is cut off from the carrier C, the plate surface of the first terminal 20 is sandwiched, and the first terminal 20 is rearwarded. Into the second terminal retaining groove (18). Cutting | disconnection, clamping, and insertion of the 1st terminal 20 are performed by the same jig | tool. As can be seen in FIG. 4, the first terminal 20 is inserted until the rear pressing projection 23A of the first terminal 20 is positioned below the fixing portion 19. And the 1st terminal 20 is in the state hold | maintained in the terminal holding groove 18 by 23 A of back press-fitting protrusions abutting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 fixed part 19. As shown in FIG.

다음으로, 임시 유지된 제 1 단자 (20) 는, 지그로서의 압압 부재 (도시 생략) 에 의해, 캐리어 분리부 (24) 의 절단 단면 (전단면) 이 후방을 향하여 압압되어 단자 유지 홈 (18) 내에 완전히 압입된다. 이 결과, 도 2 의 (A)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 (20) 는, 임시 유지된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이동하고, 전방 압입 돌출부 (23B) 가 하우징 (11) 고정부 (19) 의 하면에 파고 들어, 단자 유지 홈 (18) 내의 최종 유지 위치에서 확실하게 유지된다.Next, as for the 1st terminal 20 temporarily hold | maintained, the cutting edge (front end surface) of the carrier separation part 24 is pressed toward the back by the press member (not shown) as a jig, and the terminal holding groove 18 is carried out. It is fully press in. As a result, as can be seen in FIG. 2A, the first terminal 20 moves rearward from the temporarily held position, and the front indentation protrusion 23B moves the housing 11 fixing portion 19. Is dug in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terminal holding groove 18 so as to be reliably held in the final holding position in the terminal holding groove 18.

다음으로, 하우징 (11) 이 도 3 의 좌하방으로 단자 유지 홈 (18) 1 개 분만큼 이동된다 (화살표 A). 또, 상기 하우징 (11) 의 이동 후 혹은 동시에, 캐리어 (C) 가 상방으로 제 1 단자 (20) 1 개 분만큼 이동되고 (화살표 B), 이미 제 1 단자 (20) 가 압입된 단자 유지 홈 (18) 에 인접하는 다른 단자 유지 홈 (18) 의 전방에 오게 되어, 그 다른 단자 유지 홈 (18) 에 대응하는 제 1 단자 (20) 의 압입이, 상기 서술한 공정에서 실시된다. 여기서는, 하우징 (11) 이 단자 유지 홈 (18) 1 개 분만큼 이동되는 것으로 했는데, 제 1 단자 (20) 가 임시 유지되고 있는 단자 유지 홈 (18) 에 인접하는 다른 단자 유지 홈 (18) 이 제 2 단자 (30) 에 대응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 (11) 은 화살표 A 의 방향으로 단자 유지 홈 (18) 2 개 분만큼 이동된다.Next, the housing 11 is moved to the left lower part of FIG. 3 by one terminal holding groove 18 (arrow A). After the movement of the housing 11 or at the same time, the carrier C moves upward by one part of the first terminal 20 (arrow B), and the terminal holding groove into which the first terminal 20 has already been press-fitted. It comes in front of the other terminal holding groove 18 adjacent to (18), and press-fitting of the 1st terminal 20 corresponding to the other terminal holding groove 18 is performed in the above-mentioned process. It is assumed here that the housing 11 is moved by one terminal holding groove 18, but another terminal holding groove 18 adjacent to the terminal holding groove 18 in which the first terminal 20 is temporarily held is In the cas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erminal 30, the housing 11 is moved by two terminal holding grooves 18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이와 같이 하여, 모든 제 1 단자 (20) 가 각각 대응하는 단자 유지 홈 (18) 으로 순차 압입됨으로써, 제 1 단자의 압입 공정이 완료된다. 그리고, 제 1 단자 (20) 의 압입 공정의 완료 후, 제 2 단자 (30) 도 동일한 공정을 거쳐, 각각 대응하는 단자 유지 홈 (18) 에 압입된다.In this manner, all the first terminals 20 are sequentially pressed in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holding grooves 18, respectively, thereby completing the press-in step of the first terminals. And after completion of the press fitting process of the 1st terminal 20, the 2nd terminal 30 will also be press-fitted in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holding groove 18, respectively through the same process.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1) 는, 단자 (20, 30), 고정 금구 (40) 및 가동 부재 (50) 가 장착된 후, 도시되지 않은 회로 기판에 부착되어 사용된다. 제 1 단자 (20) 와 제 2 단자 (30) 는, 그들의 접속부 (21) 와 접속부 (31A) 가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와 땜납 접속된다. 이와 함께, 고정 금구 (40) 도 그 고정부에서 회로 기판에 땜납 접속된다. 이렇게 하여, 커넥터 (1) 는 회로 기판에 접속되어 고정된다.The connector 1 of this embodiment is attached to a circuit board (not shown) after the terminals 20, 30, the fixing bracket 40, and the movable member 50 are attached. As for the 1st terminal 20 and the 2nd terminal 30, those connection part 21 and the connection part 31A are solder-connected with the corresponding circuit part of a circuit board. At the same time, the fixing bracket 40 is also soldered to the circuit board at the fixing portion. In this way, the connector 1 is connected to a circuit board and fixed.

평형 도체와 접속할 때에는, 먼저, 가동 부재 (50) 를 세로 자세가 되는 열림 위치로 가져와, 하우징 (11) 의 개구부 (16) 를 후방을 향하여 크게 개구시켜 두고, 그 개구부 (16) 에 평형 도체의 전단부를 삽입한다. 평형 도체는 단자 (20, 30) 의 접촉부 (22, 31B) 와 가동 부재 (50) 사이에서 전방으로 삽입되고, 그 평형 도체의 전단 가장자리가 하우징 (11) 의 전벽 (14) 의 후면에 맞닿아 소정 삽입 위치에 오게 된다. 이 소정 삽입 위치에서는, 평형 도체의 하면에 노출되어 있는 접속 도체부는, 대응하는 단자 (20, 30) 의 접촉부 (22, 31B) 상에 위치되어 있다.When connecting with the balanced conductor, first, the movable member 50 is brought into the open position in the vertical position, and the opening 16 of the housing 11 is opened largely toward the rear, and the opening 16 is provided with the balanced conductor. Insert the front end. The balanced conductor is inserted forward between the contacts 22, 31B of the terminals 20, 30 and the movable member 50, with the front edge of the balanced conductor against the rear face of the front wall 14 of the housing 11. It is at a predetermined insertion position. At this predetermined insertion position, the connecting conductor portion expos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lanced conductor is located on the contact portions 22 and 31B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s 20 and 30.

그 후, 가동 부재 (50) 의 조작부 (53) 에 조작력을 가하여 그 가동 부재 (50) 를, 도 2 의 (A), 도 2 의 (B) 에서 볼 수 있는 가로 자세의 닫힘 위치로 회전 운동하여 이동시킨다. 가동 부재 (50) 는 회전 운동하면 그 가압부에서 평형 도체를 하방으로 누른다. 가동 부재 (50) 에서 눌러진 평형 도체는 단자 (20, 30) 의 접촉부 (22, 31B) 를 하방으로 압압하여 탄성 변위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이들 접촉부 (22) 와 접촉부 (31B) 에 의해, 제 1 단자 (20) 와 제 2 단자 (30) 는 평형 도체의 대응 접속 도체부와, 접압 (접촉력) 을 가지고 전기적으로 접속된다.Thereafter, the operating force is applied to the operating portion 53 of the movable member 50, and the movable member 50 is rotated to the closed position of the horizontal posture as seen in FIGS. 2A and 2B. To move. When the movable member 50 rotates, the pressing member presses the balanced conductor downward. The flat conductor pressed by the movable member 50 presses the contact portions 22, 31B of the terminals 20, 30 downward to elastically displace. In this way, the first terminal 20 and the second terminal 3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conductor portions of the balanced conductor with a contact pressure (contact force) by these contact portions 22 and 31B. .

본 실시형태에서는, 캐리어 분리부의 절단 단면이 평탄면이고, 그 절단 단면의 전체 영역이 피압면으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 대신에, 절단 단면이 볼록 만곡면, 오목 만곡면 혹은 요철면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절단 단면 중 최전단에 위치하는 부분이 피압면으로서 기능한다.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cut end surface of a carrier separation part is a flat surface, and the whole area | region of the cut end surface functions as a to-be-pressed surface, a cut surface may be a convex curved surface, a concave curved surface, or an uneven surface instead. In this case, the part located in the foremost end of a cut end surface functions as a to-be-pressed surface.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는, 전방으로부터 압입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 대신에, 후방으로부터 압입되어도 된다. 또,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 중 어느 일방이 전방으로부터 압입되고, 타방이 후방으로부터 압입되도록 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단자의 하부 아암부가 제 1 단자와 동일한 형상을 하고 있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 대신에, 예를 들어, 제 2 단자의 하부 아암부의 길이가 제 1 단자보다 길거나 혹은 짧게 형성되어 있어, 양 단자의 접촉부의 위치가 전후 방향에서 상이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압입 돌출부가 하부 아암부의 중간부의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그 압입 돌출부의 위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압입 돌출부를 상부 아암부의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하여, 그 압입 돌출부가 하우징 상벽의 하면에 파고들도록 해도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press-fitted from the front side, but may be press-fitted from the rear instead of this. In addition, either one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may be press-fitted from the front side, and the other may be press-fitted from the rear side. In this embodiment, the lower arm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has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first terminal. Instead, for example, the length of the lower arm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is longer or shorter than that of the first terminal. The position of the contact part of both terminals may be different in the front-back direction.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2nd press-in protrusion part was formed in the upper edge of the middle part of the lower arm part, the position of the press-in protrusion par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press-in protrusion may be formed at the upper edge of the upper arm portion, so that the press-in protrusion may penetrate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wall of the housing.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단자를 그라운드 단자로서 사용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 대신에, 예를 들어, 신호 단자나 전원 단자로서 사용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2 종류의 단자, 즉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를 형성하는 것으로 했지만, 단자의 종류 수는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제 1 단자만의 1 종류여도 되고, 제 1 단자를 포함하는 3 종류 이상이어도 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terminal is used as the ground terminal. Alternatively, the second terminal may be used as a signal terminal or a power supply terminal.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wo types of terminals, ie, a 1st terminal and a 2nd terminal, are formed, the number of types of terminals is not limited to this, One type only of a 1st terminal may be sufficient, and a 1st terminal Three or more types containing may be sufficient.

제 1 단자의 캐리어 분리부는, 캐리어와의 절단 단면이 단자의 중간부의 상측 가장자리, 즉 압입 돌출부가 형성된 상측 가장자리를 상하 방향에서 포함하는 범위에 위치하고 있으면 되기 때문에, 그 캐리어 분리부의 형상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단자 (20) 와 같이, 절단 단면의 상단이 상기 중간부의 상측 가장자리와 동 위치에 있는 형상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캐리어 분리부의 여러 가지의 형태를 제 2 실시형태 및 제 3 실시형태로서 설명한다.Since the carrier separation part of a 1st terminal should just be located in the range which cut | disconnected cross section with a carrier is included in the up-down direction the upper edge of the intermediate part of a terminal, ie, the upper edge in which the press-fitting protrusion was formed, the shape of the carrier separation part is 1st. Like the 1st terminal 20 in embodiment, it is not limited to the shape in which the upper end of a cut end surface is in the same position as the upper edge of the said intermediate part. Hereinafter, various forms of a carrier separation part are demonstrated as 2nd Embodiment and 3rd Embodiment.

<제 2 실시형태>≪ Second Embodiment >

도 5 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 1 단자 (60) 는, 캐리어 분리부 (64) 의 절단 단면이 제 1 단자 (60) 의 중간부의 상측 가장자리 그리고 압입 돌출부 (63) 보다 상방에까지 도달하여 위치하고 있는 점에서, 캐리어 분리부의 절단 단면의 상단이 상기 중간부의 상측 가장자리와 동 위치에 위치하고, 그 절단 단면이 그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위치하고 있는 제 1 실시형태와 구성이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의 제 1 단자 (60) 는, 캐리어 분리부 (64) 이외에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단자 (20) 와 동일한 형상이기 때문에, 캐리어 분리부 (64)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제 1 단자 (20) 에서의 대응 부분에 「40」을 더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실시형태의 하우징 (11) 및 가동 부재 (50) 는, 제 1 실시형태와 완전히 동일한 구성이므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The 1st terminal 60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shown in FIG. 5 is located so that the cut end surface of the carrier separation part 64 may reach above the upper edge of the intermediate part of the 1st terminal 60, and press-fitting protrusion 63. FIG. The upper end of the cut end of a carrier separation part is locat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upper edge of the said intermediate | middle part, and a structure differs from 1st embodiment in which the cut end surface extends downward from the upper edge. Since the 1st terminal 60 of this embodiment is the same shape as the 1st terminal 20 of 1st Embodiment except the carrier separation part 64, about the part other than the carrier separation part 64, The code | symbol which added "40" to the corresponding part in 1 terminal 20 is attached | subjected, an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In addition, since the housing 11 and the movable member 50 of this embodiment are the structure exactly the same as 1st Embodiment, it attaches | subjects the same code | symbol as 1st Embodiment, and abbreviate | omits description.

도 5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 1 단자 (60) 는, 전후 방향에서 접속부 (61) 에 거의 대응하는 범위에서, 그 제 1 단자 (60) 의 전단부의 상측 가장자리가 전방을 향함에 따라 상방으로 경사져 있고, 그 캐리어 분리부 (64) 의 절단 단면이 제 1 단자 (60) 의 중간부의 상측 가장자리 그리고 압입 돌출부 (63) 보다 상방에 도달하고 있다. 또, 그 절단 단면의 하단부는 제 1 단자 (60) 의 중간부의 하측 가장자리와 동 위치에 있다. 따라서, 캐리어 분리부 (64) 의 절단 단면은, 제 1 실시형태의 캐리어 분리부 (24) 의 절단 단면보다 상하 방향 치수가 크다. 따라서, 그 만큼, 면적도 크기 때문에, 압입시에 있어서의 제 1 단자 (60) 의 자세를 보다 안정시킬 수 있다.As can be seen in FIG. 5, the upper edge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irst terminal 60 is forward in the first terminal 6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a range substantially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portion 61 in the front-rear direction. It is inclined upward as it goes, and the cut end surface of the carrier separation part 64 reaches | attains above the upper edge of the middle part of the 1st terminal 60, and the press-in protrusion protrusion 63. As shown to FIG. Moreover, the lower end part of the cut end surface is in the same position as the lower edge of the intermediate part of the 1st terminal 60.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cut end surface of the carrier separation part 64 has a larger up-down direction dimension than the cut end surface of the carrier separation part 24 of 1st Embodiment. Therefore, since the area is also large by that amount, the attitude | position of the 1st terminal 60 at the time of press injection can be stabilized more.

또, 상기 캐리어 분리부 (64) 의 절단 단면은, 전후 방향에서 접촉부 (62) 와 접속부 (61)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중간부의 상측 가장자리 및 압입 돌출부 (63) 를 상하 방향에서 포함하는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압입 돌출부 (23) 가 캐리어 분리부 (24) 의 절단 단면의 범위 밖에 위치하는 제 1 실시형태에 비해, 단자 압입시에 생기는 압입 돌출부 주위의 모멘트가 작아져, 압입시에 있어서의 제 1 단자 (60) 의 자세를 더욱 더 안정시킬 수 있다.Moreover, the cut end surface of the said carrier separation part 64 is located in the range which includes the upper edge of the said intermediate | middle part locat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between the contact part 62 and the connection part 61, and the press-in protrusion part 63 in the up-down direction. have. Therefore, 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indentation protrusion 23 is located outside the range of the cut end face of the carrier separating portion 24, the moment around the indentation protrusion generated at the time of the terminal indentation becomes small, and the first in the indentation. The posture of the terminal 60 can be further stabilized.

또,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단자 (60) 의 전단부의 상측 가장자리는, 전방을 향함에 따라 상방에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단순히 제 1 단자 (60) 의 전단부 전체의 상하 방향 치수 (폭 치수) 를 크게 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 1 단자 (60) 의 중간부의 상측 가장자리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 즉 스터브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제 1 단자 (60) 의 고속 전송 특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Moreover, in 2nd Embodiment, the upper edge of the front end part of the 1st terminal 60 is formed so that it may incline upward as it goes forward. Therefore,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vertical dimension (width dimension) of the whole front end part of the 1st terminal 60 is simply enlarged, the part located above the upper edge of the middle part of the 1st terminal 60, ie, a stub, Since it can be made small, the fall of the high speed transmission characteristic of the 1st terminal 60 can be suppressed.

<제 3 실시형태>≪ Third Embodiment >

도 6 의 (A), 6 의 (B) 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는, 하우징 (11) 의 고정부 (19) 에 전방으로부터 맞닿아 제 1 단자 (70) 를 전후 방향에서 위치 결정하는 부분으로서의 후부 맞닿음면 (75A) 이 제 1 단자 (70) 에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그 고정부 (19) 에 전방으로부터 맞닿는 부분을 가지지 않는 제 1 실시형태와 구성이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의 제 1 단자 (70) 는, 캐리어 분리부 (74) 이외에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단자 (20) 와 동일한 형상이기 때문에, 캐리어 분리부 (74)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제 1 단자 (20) 에서의 대응 부분에 「50」을 더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실시형태의 하우징 (11) 및 가동 부재 (50) 는, 제 1 실시형태와 완전히 동일한 구성이므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This embodiment shown to FIG. 6 (A), 6 (B) is a rear part as a part which contacts the fixed part 19 of the housing 11 from the front, and positions the 1st terminal 70 in a front-back direction. Since the contact surface 75A is formed in the 1st terminal 70, a structure differs from 1st Embodiment which does not have the part which abuts from the front in the fixing part 19. FIG. Since the 1st terminal 70 of this embodiment is the same shape as the 1st terminal 20 of 1st Embodiment except the carrier separation part 74, about the part other than the carrier separation part 74, The code | symbol which added "50" to the corresponding part in 1 terminal 20 is attached | subjected, an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In addition, since the housing 11 and the movable member 50 of this embodiment are the structure exactly the same as 1st Embodiment, it attaches | subjects the same code | symbol as 1st Embodiment, and abbreviate | omits description.

도 6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단자 (70) 는, 전방 압입 돌출부 (73B) 에 대해 전방에서 근접하는 위치에서부터 그 제 1 단자 (70) 의 전단에까지 미치는 범위가, 타부보다 상하 방향 치수 (폭 치수) 가 큰 폭광부 (75) 로 형성되어 있고, 그 폭광부 (75) 의 상측 가장자리가 제 1 단자 (70) 중간부의 상측 가장자리 그리고 압입 돌출부 (73) 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그 폭광부 (75) 의 전단부는 캐리어 분리부 (74) 로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6 (A), the first terminal 70 in the present embodiment extends from a position proximate to the front press-protrusion protrusion 73B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terminal 70. The range is formed by the light-shielding part 75 which is larger in the up-down direction dimension (width dimension) than the other part, and the upper edge of the light-shielding part 75 is the upper edge of the middle part of the 1st terminal 70, and a press-fitting protrusion 73. It is located above. The front end of the light-exploding portion 75 is formed as a carrier separating portion 74.

상기 폭광부 (75) 의 상부의 후부 맞닿음면 (75A), 즉 제 1 단자 (70) 의 중간부의 상측 가장자리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면은, 고정부 (19) 의 전단부에 전방으로부터 맞닿음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단자 (70) 의 압입시에 있어서, 상기 후부 맞닿음면 (75A) 이 고정부 (19) 의 전단부에 맞닿음으로써, 제 1 단자 (70) 의 그 이상의 압입이 규제되므로, 전후 방향에서 그 제 1 단자 (70) 를 위치 결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The rear contacting surface 75A of the upper portion of the light-exploding portion 75, that is, the surface located above the upper edge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first terminal 70, abuts against the front end of the fixing portion 19 from the front side. It is possible. Therefore, at the time of press-in of the 1st terminal 70, since the said back contact surface 75A contacts the front-end | tip of the fixed part 19, further press-in of the 1st terminal 70 is regulated, The first terminal 70 can be position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본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제 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피압면인 캐리어 분리부 (74) 의 절단 단면의 면적이 큰 것, 그리고, 캐리어 분리부 (74) 의 절단 단면이 상하 방향에서 상기 중간부의 상측 가장자리 및 압입 돌출부 (63) 를 포함하는 범위에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압입시에 있어서의 제 1 단자 (70) 의 자세의 안정화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캐리어 분리부 (74) 의 상하 방향 치수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캐리어와의 연결 강도를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 분리부 (74) 의 상하 치수를 크게 해도, 그 캐리어 분리부의 절단 단면은 상하 방향에서 접속부 (71) 로부터 충분한 거리를 두고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그 접속부 (71) 에 충분한 양의 땜납을 도포하여 확실하게 땜납 접속할 수 있음과 함께, 플럭스 상승을 회피할 수 있다.Also in this embodiment, the area of the cut end surface of the carrier separation part 74 which is the to-be-pressed surface is large, and the cut end surface of the carrier separation part 74 is the above-mentioned in the up-down direction similarly demonstrated in 2nd Embodiment. By being located in the range including the upper edge of the intermediate part and the press-fitting protrusion 63, the stabilization of the posture of the first terminal 70 at the time of press-fitting can be improved.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up-down direction dimension of the carrier separation part 74 can be enlarged, the connection strength with a carrier can be enlarged more. Moreover, even if the up-down dimension of the carrier separation part 74 is enlarged, since the cut end surface of the carrier separation part is located in sufficient distance from the connection part 71 in an up-down direction, sufficient amount of solder is apply | coated to the connection part 71. Can be reliably soldered, and flux rise can be avoided.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단자 (70) 의 폭광부 (75) 의 상부의 후단면을 후부 맞닿음면 (75A) 으로 하고, 하우징 (11) 의 고정부 (19) 의 전단부에 맞닿음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제 1 단자의 위치 결정의 정밀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경우에는, 이것 대신에, 상기 후단면이 상기 고정부의 전단부에 맞닿지 않고, 양자간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형태여도,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압입시에 있어서의 제 1 단자의 자세의 안정화의 향상, 캐리어와의 연결 강도의 향상, 확실한 땜납 접속, 플럭스 상승의 회피라는 효과가 얻어진다.In this embodiment, the rear end surface of the upper part of the light-expansion part 75 of the 1st terminal 70 can be made into the rear contact surface 75A, and can contact the front-end part of the fixing part 19 of the housing 11. Although it is supposed that the accuracy of positioning of the first terminal can be sufficiently secured, instead of this, the rear end face may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front end of the fixing portion, and a gap may be formed between them. . Even if it is such a form, the effect of the above-mentioned improvement of stabilization of the attitude | position of a 1st terminal at the time of press injection, the improvement of the connection strength with a carrier, reliable solder connection, and the avoidance of a flux rise is acquired.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폭광부 (75) 는, 제 1 단자 (70) 의 전단에 이를 때까지 일정한 폭 치수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 대신에, 도 6 의 (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폭광부 (75) 의 전단의 상부가 노치되어 있어도 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portion 75 is formed with a constant width dimension until it reaches the front end of the first terminal 70. Instead, as can be seen in FIG. 6B. The upper part of the front end of the light-emitting part 75 may be notched.

이상의 제 2 실시형태 및 제 3 실시형태의 제 1 단자의 형상은, 제 2 단자의 하부 아암부의 형상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shape of the first terminal of the above-described second embodiment and the third embodiment can also be applied to the shape of the lower arm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1 : 커넥터 31C : 압입 돌출부
11 : 하우징 31D : 캐리어 분리부
18 : 단자 유지 홈 32 : 상부 아암부
20 : 제 1 단자 33 : 연결부
21 : 접속부 50 : 가동 부재
22 : 접촉부 60 : 제 1 단자
23 : 압입 돌출부 63 : 압입 돌출부
24 : 캐리어 분리부 64 : 캐리어 분리부
30 : 제 2 단자 70 : 제 1 단자
31 : 하부 아암부 73 : 압입 돌출부
31A : 접속부 74 : 캐리어 분리부
31B : 접촉부
1 connector 31C press-fit protrusion
11 housing 31D carrier separation unit
18: terminal holding groove 32: upper arm
20: first terminal 33: connection portion
21: connecting portion 50: movable member
22 contact portion 60 first terminal
23: press-fit protrusion 63: press-fit protrusion
24: carrier separator 64: carrier separator
30: second terminal 70: first terminal
31 lower arm portion 73 press-fit protrusion
31A: Connection 74: Carrier Separation
31B: Contact

Claims (4)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어 후방으로부터 평형 도체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배열 유지되는 복수의 단자를 갖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로서, 하우징은, 상기 복수의 단자를 각각 유지하는 복수의 단자 유지 홈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단자 중 적어도 일부의 단자를 유지하는 단자 유지 홈은,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단자 중 적어도 일부의 단자는, 캐리어와 연결된 상태에서 판면을 유지하여 금속판을 타발한 후, 상기 캐리어로부터 분리되어 있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상을 이루고, 일단 (一端) 에는, 평형 도체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고, 타단에는, 하측 가장자리에서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에 접속되는 접속부 및 상기 접속부보다 상방에 위치하여 캐리어로부터 절단 분리된 캐리어 분리부를 갖고,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 위치에는, 단자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단자 유지 홈의 내면에 걸리는 압입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자는, 캐리어로부터의 상기 캐리어 분리부의 분리 후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상기 단자 유지 홈에 압입되어 있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분리부는, 캐리어와의 절단 단면이 상기 중간 위치에서의 상기 상측 가장자리를 상하 방향에서 포함하는 범위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An electrical connector for a circuit board having a housing disposed on a circuit board to receive a balanced conductor from the rear,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arranged in the housing, wherein the housing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 holding grooves each holding the plurality of terminals. Is formed, and the terminal holding groove for holding at least part of the terminals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penetrat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t least some of the terminals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hold the plate surface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a carrier. After punching out the metal plate, it is separated from the carrier and forms a straight line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t one end, it has a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alanced conductor,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circuit portion of the circuit board at the lower edge. And a carrier separating portion which is located above the connecting portion and cut apart from the carrier. In the intermediate position in the rearward direction, a press-in protrusion is formed that protrudes from an upper edge of the terminal and engages the inner surface of the terminal retaining groove, and the terminal is detached from the front or rear of the terminal after separation of the carrier separation part from a carrier. In the electrical connector for a circuit board pressed into the holding groove,
And said carrier separating portion is located in a range in which a cut end face with a carrier includes the upper edge at the intermediate position in a vertical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평형 도체를 수용 가능한 열림 위치와 평형 도체를 단자의 접촉부를 향하여 누르는 닫힘 위치 사이를 회전 운동하는 가동 부재를 추가로 갖고, 단자는, 제 1 항에 기재된 단자인 신호 단자로서의 제 1 단자에 더하여, 상기 가동 부재를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단자로서의 제 2 단자도 갖고, 하우징은, 제 2 단자를 유지하는 단자 유지 홈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단자는, 캐리어와 연결된 상태에서 판면을 유지하여 금속판을 타발한 후, 상기 캐리어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아암부와, 상기 하부 아암부의 상방 위치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부를 개재하여 상기 하부 아암부에 연결되어 있는 상부 아암부를 갖고, 상기 하부 아암부는, 일단에, 평형 도체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고, 타단에, 하측 가장자리에서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에 접속되는 접속부 및 상기 접속부보다 상방에 위치하여 캐리어로부터 절단 분리된 캐리어 분리부를 갖고,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 위치에, 단자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단자 유지 홈의 내면에 걸리는 압입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캐리어 분리부는, 캐리어와의 절단 단면이 상기 중간 위치에서의 상기 상측 가장자리를 상하 방향에서 포함하는 범위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상부 아암부는, 상기 가동 부재를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운동 지지부가 자유단측의 일단에 형성되어, 타단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2 단자는, 제 1 단자의 압입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서 상기 단자 유지 홈에 압입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It further has a movable member which rotates between the open position which can accommodate a balanced conductor, and the closed position which presses a balanced conductor toward the contact part of a terminal, and a terminal is added to the 1st terminal as a signal terminal which is a terminal of Claim 1, It also has a 2nd terminal as a support terminal which supports the said movable member rotatably, The housing | casing is formed by the terminal holding | maintenance groove which hold | maintains a 2nd terminal penetrati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said 2nd terminal connected with the carrier. After punching out the metal plate while holding the plate surface in a state, the lower arm portion, which is separated from the carrier and ext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extend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t an upper position of the lower arm portion,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arm portion via a connecting portion. An upper arm portion connected to the lower arm portion, at one end thereof having a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alanced conductor; However, the terminal has a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circuit portion of the circuit board at the lower edge and a carrier separating portion located above the connecting portion and cut off from the carrier, and protrudes from the upper edge of the terminal at an intermediate posi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to the terminal. An indentation protrus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ing groove, and the carrier separating portion is located in a range in which a cut end face with the carrier includes the upper edge at the intermediate position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upper arm portion is the movable portion. A rotary motion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member in a rotatable manner is formed at one end on the free end sid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holding groov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ress-in direction of the first terminal. An electrical connector for a circuit board to be press-fitted.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단자의 캐리어 분리부의 절단 단면과 제 2 단자의 캐리어 분리부의 절단 단면이 상하 방향에서 동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2,
An electrical connector for a circuit board, wherein a cut end face of the carrier separator of the first terminal and a cut end face of the carrier separator of the second terminal ar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제 2 단자는 그라운드 단자인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An electrical connector for a circuit board, wherein the second terminal is a ground terminal.
KR1020120031124A 2011-04-12 2012-03-27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substrate KR10142290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88391A JP5362762B2 (en) 2011-04-12 2011-04-12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JPJP-P-2011-088391 2011-04-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336A true KR20120116336A (en) 2012-10-22
KR101422907B1 KR101422907B1 (en) 2014-07-23

Family

ID=46993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1124A KR101422907B1 (en) 2011-04-12 2012-03-27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substrat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362762B2 (en)
KR (1) KR101422907B1 (en)
CN (1) CN102738622B (en)
TW (1) TWI513116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06713B2 (en) * 2013-10-01 2017-10-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connector
JP6188638B2 (en) * 2014-06-10 2017-08-3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Receptacle connector, receptacle connector with circuit board and plug connector
JP6336941B2 (en) 2015-04-01 2018-06-0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7546552B (en) * 2016-06-28 2020-11-17 富鼎精密工业(郑州)有限公司 Plug connector and combination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6972A (en) * 1990-07-11 1991-09-10 Amp Incorporated Low insertion force connector and contact
JP4155582B2 (en) * 2004-11-11 2008-09-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Parts insertion apparatus and method
JP4093583B2 (en) * 2005-04-20 2008-06-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able
JP2007227302A (en) * 2006-02-27 2007-09-06 Hirose Electric Co Ltd Electric connector for flat circuit board
JP4570107B2 (en) * 2008-04-23 2010-10-2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connector
JP4863317B2 (en) * 2009-03-30 2012-01-2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TWM391751U (en) * 2010-04-16 2010-11-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TWM398709U (en) * 2010-04-28 2011-02-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38622B (en) 2015-07-15
TWI513116B (en) 2015-12-11
JP2012221841A (en) 2012-11-12
TW201310789A (en) 2013-03-01
JP5362762B2 (en) 2013-12-11
KR101422907B1 (en) 2014-07-23
CN102738622A (en) 201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15265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with flat conductor
US8105102B2 (en) Electrical connector
JP4863317B2 (en)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KR101421878B1 (en) Switch-equipped coaxial connector
JP4995861B2 (en)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KR101311551B1 (en) Electric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KR101221840B1 (en) Connector
KR20110090766A (en)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substrate
JP2018005976A (en) Connector
KR20120116336A (en)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substrate
KR101309915B1 (en) Electric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JP7379025B2 (en) sockets and electronic equipment
JP2019021572A (en)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JP2009176426A (en) Surface-mounted component, and electric connector
KR101578975B1 (en) Electric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JP5776637B2 (en) Board connector
JP6445072B2 (en) connector
JP5988651B2 (en) Flat wire connector
JP2002050423A (en) Connector for flexible base board connection
JP2021057115A (en) Electrical connector
WO2018221094A1 (en) Connector
JP2017004859A (en) Connection structure for flat circuit body and connector
JP2024049614A (en) Electric connector for flat type conductor and the flat type conductor
JP2024049615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JP2009187899A (en) Connector with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