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5894A - 피로관련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발효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로관련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발효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5894A
KR20120115894A KR1020110033477A KR20110033477A KR20120115894A KR 20120115894 A KR20120115894 A KR 20120115894A KR 1020110033477 A KR1020110033477 A KR 1020110033477A KR 20110033477 A KR20110033477 A KR 20110033477A KR 20120115894 A KR20120115894 A KR 20120115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fermented
gog
fermented ginseng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3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두용
이영미
김준호
안지영
한현옥
이주희
김대기
김시내
최은오
Original Assignee
원광제약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제약 (주) filed Critical 원광제약 (주)
Priority to KR1020110033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5894A/ko
Publication of KR20120115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58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4Acanthopanax or Eleuther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Abstract

본 발명은 경옥고가미방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로로 인한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경옥고가미방 발효물은 실험 동물을 이용한 체중변화 시험, 강제유영실험, 혈청중 유리 지방산 (FFA) 함량, 크레아티닌(Creatinine) 함량, 락트산 디히드로게나제(LDH) 함량 및 간조직 내의 글리코겐 농도 측정 실험 등을 통하여 피로회복 효과가 탁월함을 확인하여, 피로관련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피로관련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발효 조성물 {Fermented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the fatigue related diseases}
본 발명은 경옥고가미방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로로 인한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허준. 동의보감. 서울, 법인문화사, pp.131-132, 1999.
[문헌 2] 황도연. 방약합편. 서울 남산당, 1982.
[문헌 3] Sung Hee Han, Mee Kyung Shin and Yung Hee Chung. Effects of the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 on the metabolism and renal Cadmium contents in Cadmium administer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6): 1102-1106, 2002.
[문헌 4] Yang HC, Lee JM, Song KB. Anthocyanins in cultured omija (Schizandrae chinensis baillon) and its stability. Agric Chem Biotechnol 25: 35-43, 1982.
[문헌 5] Kim KI, Nam KH, Kwon TW. On the proximate composition, organic acids anthocyanin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Korean J Food Sci Technol 5: 178-185, 1973.
[문헌 6] Lee JS, Lee MK, Lee SW. A study on the general components and minerals in parts of omija (Schiznadra chinensis baillon). Korean J Dietary Culture 4: 173-176, 1989.
[문헌 7] Lee JS, Lee SW. A study on the compositions of free sugars, lipids, and nonvolatile organic acids in part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llion). Korean J Dietary Culture 4: 177-179, 1989.
[문헌 8] Lee JS, Lee SW. A Studyon the compositions of the total amino acidsand free amino acids in part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llion). Korean J Dietary Culture 4: 181-189, 1989.
[문헌 9] Oh SL, Kim SS, Min BY, Chung DH. Compositions of free sugars, free ammio acids, non-volatile organic acids and tannins in the extracts of L. chinensis M, A acutiloba K., S. chinensis B. and A. sessiliflorum S.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76-81, 1990.
[문헌 10] Lee JS, Lee SW. The studies of components of Schizandra chinensis bullion. Agric Chem Biotechnol 37: 30-36, 1994.
[문헌 11] Kim OC, Jang HJ. Volatile components of Schizandra chinensis bullion. Agric Chem Biotechnol 37: 40-46, 1994.
[문헌 12] Ock ES. Effects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s in hyperlipidemic rats. J Korean Soc Food Nutr 24: 658-662, 1995.
[문헌 13] Lee JS, Lee SW. Effects of waterextract of the parts of omiz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on metabolism in normal rats. Korean J Dietary Culture 4: 253-256, 1989.
[문헌 14] Lee JS, Lee SW. Effects of water extracts in fruits of omiz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on alcohol metabolism. Korean J Dietary Culture 5: 259-263, 1990.
[문헌 15] Lee JS, Lee SW. Effects of water extract in fruit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alloxa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Dietary Culture 5: 265-268, 1990.
[문헌 16] Lee JS, Lee SW. Effects of water extract in fruit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on CCl4 toxicity. Korean J Dietary Culture 5: 253-257, 1990.
[문헌 17] Lee JW, Choi JH, Kang SM. Screeting of medical plants having hepatoprotectiveactivity effect with primary cultured hepatocytes intoxicated using carbon tetrachloride toxicity. Kor J Pharmacogn 23: 268-275, 1992.
[문헌 18] Matsuzaki Y, Matsuzaki T, Ono H, Koguchi S, Takeda S, Furo S, Aburada M, Hosoya E, Oyama T. Study on the metabolic fate of gomisin A (TJN-101). II. Absorption and excretion in CCl4 treated rats. Yakugaku Zasshi 111: 531-537, 1991.
[문헌 19] Jang EH, Pyo YH, Ahn MS. Antioxidant effect of omija (Schizandra chinesis baillon) extracts. Korean J Soc Food Sci 12: 372-376, 1996.
[문헌 20] Kim HG, Kim YU, Do JR, Lee YC, Lee BY. Antioxidative activity and chinesis baillon extracts. Korean J Soc Food Sci 12: 372-376, 1996.
[문헌 21] Park, UY, Chung DS, Cho HR.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for medical herb extracts. J Korean Soc Food Nutr 21: 91-96, 1992.
[문헌 22] Lee SH, Lim YS. Antimicrobial effects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against Listeria minocytogenes. Kor J Appl Microbiol Bioteahcol 25: 442-447, 1997.
[문헌 23] Lee SH, Lim YS. Effect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5: 224-228, 1997.
[문헌 24] Lee SH. The antimicrobial activity and mechanism of the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s. PhD Thesis. Chung Ang University, Korea. 1997.
[문헌 25] Steinmann, G.G., Esperester, A., Joller, P. Immunopharmacological in vitro effects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extracts. Arzneimittelforschung 51: 76-83, 2001.
[문헌 26] Sui, D.Y., Lu, Z.Z., Li, S.H., Cai, Y. Hypoglycemic effect of saponin isolated from leaves of Acanthopanax senticosus (Rupr. et Maxin.) Harms. Zhongguo Zhong Yao Za Zhi 19: 683-685, 703, 1994.
[문헌 27] Glatthaar-Saalmuller, B., Sacher, F., Esperester, A. Antiviral activity of an extract derived from roots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Antiviral Res 50: 223-228, 2001.
[문헌 28] Hibasami, H., Fujikawa, T., Takeda, H., Nishibe, S., Satoh, T., Fujisawa, T., Nakashima, K. Induction of apoptosis by Acanthopanax senticosus HARMS and its component, sesamin in human stomach cancer KATO III cells. Oncol Rep 7: 1213-1216, 2000.
[문헌 29] Lin, C.C., Huang, P.C. Antioxidant and hepatoprotective effects of Acathopanax senticosus. Phytother Res 14: 489-494, 2000.
[문헌 30] Gaffney, B.T., Hugel, H.M., Rich, P.A. The effects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and Panax ginseng on steroidal hormone indices of stress and lymphocyte subset numbers in endurance athletes. Life Sci 70: 431-442, 2001.
[문헌 31] Szolomicki, J., Samochowiec, L., Wojcicki, J., Drozdzik, M. The influence of active components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on cellular defence and physical fitness in man. Phytother Res 14: 30-35, 2000.
[문헌 32] Jyh-Jye Wang, Meng-Jyh Shieh, Shing-Lin Kuo, Chuu-Lin Lee, Tzu-Ming Pan. Effect of red mold rice on antifatigue and exercise-related changes in lipid peroxidation in endurance exercise. Appl Microbiol Biotechnol 70:247-253, 2006.
[문헌 33] Yu Zhang, Xiaobao Yao, Bili Bao and Ying Zhang. Anti-fatigue Activity of a Triterpenoid-rich Extract from Chinese Bamboo Shavings (Caulisbamfusae in taeniam) Phytother. Res. 20:872-876, 2006.
[문헌 34] Toshitsugu Moriura, Hideaki Matsuda, and Michinori Kubo. Pharmacological Study on Agkistrodon blomhoffii blomhoffii Boie. V. Anti-fatigue Effect of the 50% Ethanol Extract in Acute Weight-Loaded Forced Swimming-Treated Rats. Biol. Pharm. Bull. 19(1):62-66, 1996.
[문헌 35] Kyungah Jung, In-Ho Kim, Daeseok Han. Effect of medicinal plant extracts on forced swimming capacity in mice.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93:75-81, 2004.
[문헌 36] Benjamin F., Miller nad Rene Dubos. Studies on the presence of creatinie in human blood. J. Biol. Chem. 121:447-456, 1937.
[문헌 37] Felix Wroblewski and John S. LaDue. Lactic Dehydrogenase Activity in Blood. Proc. Soc. Exp. Biol. 90: 210-213, 1955.
[문헌 38] 고문사 편집부 역 (金井 泉, 金井正光 編著) 임상검사법제요. 서울, 고문사, 413-414, pp.746-753, 1983.
[문헌 39] Yang Chun, Zhu Dao Yin. Glycogen Assay for Diagnosis of Female Genital Chlamydia trachomatis Infection. 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 36(4):1081-1082, 1998.
[문헌 40] Jae-Hwan Choi, Hyoung-Man Kim, Young-Sook Song, Sun-Gyoo Park, Jin-Jun Kimand Cheon-Koo Lee. Aniti-aging Effects Saccharomyces Fermented Modified Kyungohkgo Extract on skin. Kor. J. Herbology 22(4):2198-225, 2007.
[문헌 41] Opletal, L., H. Sovova, and M. Bartlova. Dibenzo [a,c]cyclooctadiene lignans of the genus Schisandra: importance, isolation and determination. J. Chromatography B 812: pp.357-371, 2004.
[문헌 42] Keitaro Matsumoto, Kengo Ishihara, Kazunori Tanaka, Kazuo Inoue, and Tohru Fushiki. An adjustable-current swimming pool for the evaluation of endurance capacity of mice. J Appl. physiol 81: pp.1843-1849, 1996.
[문헌 43] 대한약전 해설편, 문성사, 한국약학대학협의회, 제 5 개정판, p33-48, 1989.
[문헌 44] M. Inoue et al. "Hirou no Kagaku (Science on Fatigue)" published by Kodansha on May 20, pp.222-228, 2001.
[문헌 45] 고려삼의 이해, 고려인삼학회, p.9, 1995.
[문헌 46] AdvancesinGinsengResearch, 고려인삼학회, pp.127-137, 1998.
[문헌 47] Kang BS. et al., Boncho-Hak,6thEd., Seoul:Young-Lim Press, pp.400-401, 1991.
[문헌 48] Kaul PN. et al., ProgDrugRes., 57, pp.1-75, 2001.
[문헌 49] Bhattaram VA. et al., Phytomedicine, 9 Supp 3, pp.1-33, 2002.
[문헌 50] Wen J. et al., Mol.Phylogenet.Evol., 6(2), pp.167-177, 1996.
[문헌 51] Hasegawa, H et al., PlantaMedica, 62, pp.453-457, 1996.
[문헌 52] Wang Yi et al., ActaPharmaceuticaSinica, 35, pp.284-288, 2000
[문헌 52] Tawab MA et al., DrugMetab.Dispos., 8, pp.1065-1071, 2003.
피로는 일반적으로 피로감, 권태감을 주 증상으로 하는데, 그 이외에 수면 장해나 의욕 저하 등 다채로운 증상을 수반하는 질환이다. 피로감이나 권태감은 몸의 이상을 알리는 중요한 알람 신호 중 하나로서, 건강한 정상 상태에서도 격렬한 운동, 장시간 노동을 한 경우나 과도의 스트레스 상황에 놓인 경우 등에 자각하게 된다.
이러한 생리학적인 피로는 통상적으로 몸을 쉬게 함으로써 원래의 정상적인 상태로 회복되어, 길게 지속되지는 않는다. 1985년 총리부의 「건강에 관한 국민 의식 조사」에서는, 약 6 할의 건강한 사람들이 피로를 호소하고 있는데, 피로를 호소하고 있는 사람의 7 할은 「하룻밤 수면으로 피로는 회복된다」라고 답하였다.
그러나, 현대인은 장시간의 노동이나 과도한 스트레스 상황에 놓이는 경우가 많고, 또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피로감이나 권태감의 회복이 곤란해지는 경우도 종종 있다. 1999년 후생성 피로 조사 연구반이 실시한 역학 조사에 의하면, 피로를 자각하고 있는 사람의 비율은 약 6할로 변함이 없는데, 이 중 6할의 사람이 6개월 이상에 걸쳐서 피로를 느끼고 있다는 것이 보고되었다. 즉, 최근 14년 사이에 만성적인 피로로 고민하는 사람이 증가하여, 피로의 질이 변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M. Inoue et al. "Hirou no Kagaku (Science on Fatigue)" published by Kodansha on May 20, 2001, pp.222-228).
또, 최근 들어, 만성 피로 증후군 (Chronic Fatigue Syndrome ; CFS) 이 되는 질환이 난치병의 하나로서 화제가 되고 있다. 구미에서는 20년 정도 전부터 발병이 확인되었으나, 일본에서는 겨우 1991년경부터 후생성의 전문 연구반이 실태 조사에 나선 단계이다. 이것은 일상 생활에 지장을 초래할 정도의 장기적인 전신 피로감, 권태감, 미열, 림프절 종창, 근육통, 관절통, 정신 신경 증상등의 기본적인 증상을 나타낸다. 한편, 과로사가 큰 사회 문제가 되고 있다. 과로사는 장시간 과밀하고 지나치게 일하는 것에 의한 돌연사라고 정의되고 있다. 과로사 문제는 의학적, 경제적, 사회적으로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되고 있는 것이다.
경옥고는 발효인삼, 복령, 생지황, 꿀, 물 등을 구성생약으로 하는 고형제제로 동의보감과 방약합편에 처방과 제법이 수제된 보혈강장제이다. 허준의 동의보감에 따르면 경옥고의 약효는 「진정, 보수, 조진, 양생, 반노, 환동 하며, 백손을 보하고 백병을 제거하며 만신이 모두 족하며, 오장을 영일하며 백발이 검어지고, 낙치가 다시 나며 분마처럼 달린다.」라고 기재되어 있고, 방약합편에는 「정을 채우고 수를 보하며, 모발을 검게 하고 치아를 나게 하고 만신이 구족하여 백병을 제거 한다」라고 기록되어져 있다. 또한 민간에서도 경옥고는 허약체질 개선보약으로 널리 사용하여 왔다. 게다가 현대적 연구 결과에 의하면, 경옥고는 항산화 효과를 가짐으로써, 세포 생리 활성에 기여한다. 뿐만 아니라, 경옥고는 피부 노화 현상을 완화 하는 데에도 유효하여, 피부 주름을 개선하고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 져 있다.
인삼은 예로부터 한국과 중국에서 전통적인 약물로 사용되어 온(Kang BS. et al., Boncho-Hak,6th Ed., Seoul:Young-Lim Press, pp.400-401, 1991) 파낙스(Panax)속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파낙스(Panax)속은 한의학에서 의학적으로 가장 중요한 속(genus)들 중의 하나이다. 이것은 동아시아와 동북아메리카에 분포되어 있는 대략 120가지 식물의 속들 중의 하나이다. 파낙스속 식물은 식물 분류학상 오가과(Aral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숙근초로서 지구상에 십여 종이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종으로 고려삼(Panaxginseng), 서양삼(Panaxquinquefolia), 전칠삼(삼칠, Panaxnotoginseng), 죽절삼(Panaxjaponica), 삼엽삼 (Panaxtrifolia), 히말라야삼 (Panaxpseudoginseng), 베트남삼 (Panaxvietnamensis)등이 있다 (고려삼의 이해, 고려인삼학회, p.9, 1995 ; AdvancesinGinsengResearch, 고려인삼학회, pp.127-137, 1998). 기타 파낙스속 식물로는 파낙스 엘레가티오르(Panaxelegatior), 파낙스 완지아누스(Panaxwangianus), 파낙스비핀라티푸스(Panaxbipinratifidus) 등이 있다.
인삼은 다양한 효능 때문에 고대로부터 만능약으로 쓰여져 왔다. 그런데 인삼중의 유효성분인 사포닌(saponin, ginsenoside)은 아그리콘(aglycone)의 구조의 차이에 따라 디올(diol)계와 트리올(triol)계의 2종류로 분류되는데 아그리콘의 C3, C6, C20의 탄소위치에 결합하는 수산기에 각각 글루코오스, 아라비노스, 람노스가 결합한 당쇠가 있다. 경구 섭취 후, 디올계와 트리올계의 진세노사이드 모두 생체 소화 효소에 의한 분해를 거의 받지 않고(Hasegawa, H. et al.,Microb.Ecol.HealthDis., 12, pp.85-91, 2000; Hasegawa, H., J.Pharamcol.Sci., 95 , pp.153-157, 2004), 박테로이드(Bacteroides), 푸조박테리아(Fusobacterium), 진핵박테리아(Eubacterium), 비피도박테리아(Bifidobacterium) 등의 장내세균의 작용에 의해 20(S)-프로토파낙사디올 20-O-β-D-글루코피라노시드(20(S)-protopanaxadiol 20-O-β-D-glucopyranoside, FGM 1) 및 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 (20(S)-protopanaxatriol, FGM 4)로 분해 된 후 흡수된다 (Hasegawa, H et al., PlantaMedica, 62, pp.453-457, 1996; Wang Yi et al., ActaPharmaceuticaSinica, 35, pp.284-288, 2000; Tawab MA et al., DrugMetab.Dispos., 8, pp.1065-1071, 2003).
한편, 장내 세균의 구성은 체질, 식습관, 항생 물질의 복용 및 스트레스 등의 영향을 받기 쉬워서 배당체를 가수분해하는 능력은 현저한 개인차를 보인다. 따라서 배당체의 흡수에서도 현저한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이것이 약효에 있어서 개인차가 나타나는 한 원인으로 알려져있다 (Hasegawa H. et al., Planta Medica, 64, pp.436-440, 1997). 이는 마우스를 이용한 암전이 실험으로도 뒷받침되는데, 장내 세균의 배당체 가수분해 능력에 따라 각각의 마우스에서 인삼의 항전이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에서 배당체 가수분해 능력이 약효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Hasegawa H. et al., Planta Medica, 63, pp.696-700, 1998). 아울러 본 발명자는 실제로 사람에 있어서도 장내세균의 배당체 분해능력에서 개체차가 상당히 크다는 것을 확인하여 (Hasegawa, H. et al.,Planta Medica, 63, pp.436-440, 1997), 발효식품에서 분리한 신규한 미생물인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하세가와 균주로 인삼을 발효시켜 불쾌한 부산물의 생성 없이 배당체 성분을 분해하여 유용한 배당체 분해물 즉, FGM1 및 FGM4를 수득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이 미생물을 이용하여 인삼 내에서 배당체 분해물을 생성, 축적 시킨 후 정제 하지 않고 유산균 및 배지를 함유한 그대로 식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발효인삼의 제조방법을 확립하여 특허를 획득한 바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 789261 호).
오미자(Schizandra chinesis Baillon, Omija)는 한국과 중국이 주산지로 목련과(木蓮科)에 속하는 낙엽목질등본(藤本) 식물의 성숙한 과실로 다섯가지의 맛을 가지고 있어 오미자차, 오미자주, 오미자화채 등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동의보감을 보면 오미자 열매는 자양, 강장, 지사, 진해제로 사용하는 한편, 구갈증과 주독을 푸는 해독제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예전부터 노화를 방지하고 건망증을 예방하는 약재로 사용되어져 왔다. 지금까지 오미자에 관한 연구는 성분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기능에 관한 연구로는 고지혈증을 낮추며, 알코올을 투여 한 쥐와 당뇨 유발 쥐의 간장기능 개선 효과, 간세포 보호 효과, 항산화 효과, 항균 효과 등이 보고되었다.
오가피(Acanthopanax senticosus)는 오갈피라고도 불리우며, 인삼, 산삼과 함께 오가과에 속한다. 인삼과 산삼이 음지식물인데 반해 오가피는 양지식물이다. 오가피에 의해 면역 증강, 혈당 강하, 항바이러스 작용, 항암작용, 노화방지, 스트레스 저항 및 지구력 향상 기능이 보고되었다.
또한, 발효란 미생물이 어떤 물질을 분해하고 변형시키는 과정을 말하며, 그 과정을 통해 미생물이 또 다른 물질을 생산해 내기도 한다. 우유에 발효균(미생물)을 넣어 두면 요구르트가 되고, 포도즙이 자체 발효되면서 포도주가 되듯이 발효과정을 거치면 유효성분이 분해되어, 그 미생물의 수가 증가하고 새로운 물질이 생겨난다.
최근 웰빙과 더불어 발효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발효기술은 체내 장내미생물에 의해 분해 및 흡수되는 정도의 차이를 극복하여 체내에서 수되기 용이한 대사산물로 전환시키기 위한 중요한 기술로 최근에는 많은 한약에 적용하고 있다. 또 생리활성물질이 풍부해 생체 이용률이 높고, 약효성분이 많아 추출되어 한약재가 절약되고 부작용 또한 거의 없을 뿐 아니라 농약과 중금속으로부터 비교적 안전한 장점을 갖고 있다.
한편 현대인들은 살아가면서 많은 스트레스와 피로에 받으며 살아간다. 따라서 적당한 운동과 올바른 식생활 유지뿐만 아니라 피로회복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경제적인 건강식품을 요구하고 있어 이 분야의 연구가 더욱 활발해 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인들은 체력과 심신의 안정 피로 회복 등에 큰 도움을 주는 경옥고의 인삼을 본 발명자의 발효인삼으로 치환시키고 오미자 또는 오가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가성분을 가미하고 발효시킨 발효인삼 가미 경옥고를 개발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실험 동물을 이용한 체중변화 시험, 강제유영실험, 혈청중 유리 지방산 (FFA) 함량, 크레아티닌(Creatinine) 함량, 락트산 디히드로게나제(LDH) 함량 및 간조직 내의 글리코겐 농도 측정 실험 등을 통하여 피로회복 효과가 탁월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백삼을 발효인삼으로 대체시킨 발효 인삼 가미 경옥고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 관련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백삼을 발효인삼으로 대체시킨 발효 인삼 가미 경옥고 또는 이의 추출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관련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발효 인삼 가미 경옥고”는 기존 경옥고 성분 중 백삼을 한국특허등록 제 789261 호에 개시된 발효인삼, 구체적으로는, 인삼속 식물 원료, 그 자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배지를 살균처리한 후, 신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하세가와 균주락토 (Lactobacillus casei strain Hasegawa, 기탁기관: National Institute of Bioscience and Human-technology(NIBH), 기탁일: 2003년 8월 11일, 기탁 번호: FERM BP-10123)를 전체 배지 중량의 약 0.1%-20%, 바람직하게는 약 0.5%-10%의 농도로 접종하고 고형분으로 환산했을 때 약 1%-50%, 바람직하게는 약 1%-40%의 배양농도, 10℃-50℃, 바람직하게는 25℃-37℃의 배양온도, 약 12시간-40일, 바람직하게는 약 24시간-30일의 배양 기간 하에서 배양하여 수득된 발효 인삼으로 대체한 경옥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발효인삼, 복령, 생지황, 꿀 및 정제수, 바람직하게는 발효인삼, 복령, 생지황, 꿀 및 정제수의 상대적 배합중량비가 1-100:1-100:1-100:1-300:1-300 (w/w), 보다 바람직하게는 발효인삼 , 복령, 생지황, 꿀 및 정제수의 배합중량비가 1-50:1-80:50-100:100-300:100-300 (w/w),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발효인삼, 복령, 생지황, 꿀 및 정제수의 배합중량비가 30-50:40-80:80-100:150-200:150-200 (w/w)로 배합된 혼합물을 약 8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40℃ 온도 범위에서 약 30분 내지 24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시간 내지 6시간 동안 1차 가열한 후에, 다시 약 8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20℃ 온도 범위에서 약 30분 내지 24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0분 내지 3시간 동안 2차 가열처리하여 얻어진 발효 인삼 가미 경옥고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이용된 상기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하세가와 균주(Lactobacillus casei strain Hasegawa)는 김치 및 절임식품으로부터 분리 및 동정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속의 신규한 균주이다.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하세가와 균주의 분리방법, 균학적 성질 및 용도는 하기와 같으며,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하세가와 균주는 김치 및 절임식품으로부터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 유산균을 분리한 후, 새로이 MRS 한천에서 유산균속을 분리하고 배양하였다. 그 후, 다시 단일 균종을 분리하여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하세가와 균주A221(FERM BP-10123)를 최종 선종(選種)하였으며 선발된 균주를 16S rDNA 분석으로 동정한 결과,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paracasei)의 16S 리보솜(ribosomal) DNA의 염기 서열(GenBank/EMB/DDBJ 등록 번호 D79212)과 가장 좋은 상동성(99.934%)을 보이므로 분류학적으로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paracasei)에 속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하세가와 균주는인삼에 포함된 배당체인 진세노사이드를 기질로 하여 가수분해물 20S-프로토파낙사디올 20-0-β-D-글루코피라노시드(20S-protopanaxadiol 20-O-β-D-glucopyranoside, FGM1) 및 20S-프로토파낙사트리올(20S-protopanaxatriol,FGM4)을 생성하는 능력을 가지는데 반해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균주는 진세노사이드를 분해하여 FGM1 및 FGM4를 생성하는 능력이 없다. 따라서 본 미생물을 변이주로 간주하고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하세가와 (Lactobacillus casei strain Hasegawa)로 명명하고 National Institute of Bioscience and Human-technology(NIBH)에 2003년 8월 11일자 로 기탁하였다.
상기 미생물의 배당체 가수분해능력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인삼(Panax)속 식물의 유효성분인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를 기질로 하여 가수분해물, 즉 상기한 FGM1 및 FGM4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원에서 정의되는 “피로관련 질환”은 만성 피로 증후군 (Chronic Fatigue Syndrome ; CFS), 전신 피로감, 권태감, 미열, 림프절 종창, 근육통, 관절통, 또는 정신 신경 증상, 바람직하게는 만성 피로 증후군 (Chronic Fatigue Syndrome ; CFS) 또는 전신 피로감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효 인삼 가미 경옥고에 오미자 또는 오가피 추출물을 가미한 경옥고 가미방 발효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 관련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효 인삼 가미 경옥고에 오미자 또는 오가피 추출물을 가미한 경옥고 가미방 발효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관련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원에서 정의되는 “경옥고 가미방 발효물”은 본원에서 정의되는 발효인삼 경옥고 중량 대비 약 1 내지 80% (w/w),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20% (w/w),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15% (w/w) 양의 오미자 또는 오가피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물, 주정,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콜, 메탄올, 아세톤,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헥산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및 메탄올 혼합용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 물 및 메탄올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을 첨가하고; 상기 배합물 중량대비 약 1%-50%, 바람직하게는 약 1%-30%,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양의 유산균,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균(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락티스균(Lactobacillus lactis), 비피도박테리엄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비피도박테리움 인판티스(Bifidobacterium infantis),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Bifidobacterium bifidum), 비피도박테리움 K-103, 아세토박터 아세티(Acetobacter aceti)균, SNUL균, Bacillus균,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stoc mesenteroide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균주, 보다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균(Lactobacillus acidophilus) 및 비피도박테리엄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균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균주를 첨가하여 약 1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온도 범위에서 약 12시간 내지 7일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일 내지 5일간 배양하여 발효된 오미자 또는 오가피 가미 발효인삼 경옥고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들은 예를 들어, 건조된 시료중량의 약 2 내지 15배,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0배에 달하는 부피의 물 및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과 같은 C1 내지 C4의 저급알콜의 극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바람직하게는 물로 약 2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100℃에서 약 1 내지 72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24시간 동안에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바람직하게는 열수 추출하여 추출한 후 감압여과 및 농축하여 본 발명의 추출물들을 각각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공정에서 얻어지는 발효 인삼 가미 경옥고 또는 경옥고 가미방 발효물 또는 이들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관련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공정에서 얻어지는 발효 인삼 가미 경옥고 또는 경옥고 가미방 발효물 또는 이들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관련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생약 추출물을 0.01 내지 99% 중량으로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질환의 종류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적어도 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추출물은 1일 0.01 mg/kg 내지 10 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 mg/kg 내지 1 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및 직장 또는 정맥등의 방법을 통하여 투여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효 인삼 가미 경옥고 또는 경옥고 가미방 발효물 또는 이들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관련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은 피로관련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또한, 본 발명은 피로관련질환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갖는 발효 인삼 가미 경옥고 또는 경옥고 가미방 발효물 또는 이들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및 식품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 가능한 식품형태는 캔디류의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또는 건강보조 식품류인 식품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피로관련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ml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발효 인삼 가미 경옥고 또는 경옥고 가미방 발효물 또는 이들의 추출물은 발효기술을 이용하여 제조하므로, 체내 장내 미생물에 의해 분해 및 흡수되는 정도의 차이를 극복하여 체내에서 흡수되기 용이한 대사산물로 전환시키고, 생리활성물질이 풍부해 생체이용률이 높고, 부작용이 없으며 농약과 중금속으로부터 비교적 안전하여 안심하고 피로관련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약학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오가피의 지표성분의 함량을 나타낸 TLC 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되나, 본 발명이 이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시료의 제조
1-1. 단일 발효균 및 혼합발효균의 활성
유산균(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acidophilus, Bifidobacterium longum) 배양은 각각 유산균은 MRS broth를 이용하였고 각 균은 1*106, 1*107, 1*108 cfu/ml의 3종류의 균수로 37℃에서 3일간 배양하였으며, 혼합유산균은 1*106 cfu/ml로 맞추어 4일간 배양하며 그 활성도를 확인하였다. 활성도는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O.D값을 체크 하였다.
단일 유산균을 배양한 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활성을 체크 하였다. 3일 배양기간 동안 균수 변화를 O.D 값으로 체크한 결과 균수는 1*106개 일 때 가장 큰 활성을 보였으며, 3일간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표 1). 그리하여 혼합유산균수를 1*106개로 맞추어 4일간 배양하여 그 결과를 확인하여 보았다. 그 결과 역시 3일 동안 그 수는 증가하였으며, 4일째에는 그 변화가 크지 않았다. 이 결과를 토대로 혼합유산균은 1*106개로 맞추었으며, 오가피의 발효기간은 3일로 하였다.
단일 항균 활성
Lactobacilius casei 1*10 6 1*10 7 1*10 8
0day 0.0016 0.0066 0.0634
1day 0.6916 0.9406 0.9848
2day 1.0673 1.0311 0.9977
3day 1.0777 1.0311 0.9977
Lactobacillus acidophilus 1*10 6 1*10 7 1*10 8
0day 0.043 0.051 0.056
1day 0.146 0.154 0.167
2day 0.989 0.924 0.724
3 day 0.987 0.987 0.73
Bifidobacterium longum 1*10 6 1*10 7 1*10 8
0day 0.057 0.051 0.049
1day 0.264 0.246 0.158
2day 0.962 0.973 0.16
3day 1.098 0.974 0.167
프로바이오틱 활성(Activiy of the probiotics)
  0 day 1 day 2 day 3 day 4 day
LcLaBl 0.049 0.054 0.708 1.078 1.079
1-2. 발효인삼제조
고려인삼(대한민국산, 건조 3~6년근)의 분말 200g을 정제수 1000ml에 현탁하여 고압가열살균한 다음,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하세가와 균주(FERM BP-10123, NIBH)를 1% 접종하여 30℃에서 3주간 배양하였다. 이 발효배지를 TLC로 분석하여 FGM1 및 FGM4의 생성을 확인하고 80℃에서 6시간 건조하여 발효고려인삼말 190g을 수득하였다.
1-3. 경옥고의 제조
경옥고(GOG)는 발효인삼 37g, 복령 60g, 생지황 100g, 꿀 200g, 정제수 200g의 비율로 혼합하여 121℃에서 3시간동안 열을 가한 후 다시 105℃로 1시간 30분간 처리하여 제조하였다 (이하 GOG라 명명함).
1-4. 오가피의 발효
1-4-1. 오가피 메탄올 추출물 제조
오가피(AP)추출물은 오가피에 10배량의 60% MeOH를 넣어준 후 2시간 동안 초음파 추출하여 원심분리 후 동결건조 하여 제조 하였다.
1-4-2. 오가피 발효물 제조
오가피(AP)의 발효는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발효를 진행하였다. AP 500mg에 5ml의 MRS broth 와 혼합유산균(LcLaBl)1*106개를 4%로 접종하여 3일간 배양하며 생균수의 확인과 TLC를 이용하여 지표성분의 함량 변화를 관찰 하였다. TLC는 전개용액은 클로로포름:메탄올:물 혼합액(65 : 35 : 10)를 이용하였고 지표성분은 Acanthoic acid와 Eleutheroside E로 하였다.
발효가 진행 되는 동안에 혼합유산균의 생균수가 증가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표 3). 또한, TLC를 통하여 오가피의 지표성분의 함량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오가피 발효 전보다 발효 후에 아칸토산(acanthoic acid)와 엘루테로시드(Eleutheroside) E의 함량이 많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 참조). 이러한 결과로 GOG에 가미하는 오가피는 발효하여 사용하였다.
The viable cell count of the Acanthopanax (AP) fermentation
  0day 1day 2day 3day
LcLaBl 0.049 0.054 0.708 0.768
F-AP 0.048 0.079 0.878 1.064
1-5. 경옥고 가미방 발효물의 제조
발효인삼가미경옥고(F-GOG)는 경옥고 조성중 백삼대신에 발효인삼(원광제약 제공)을 동량으로 첨가하여 제조하였고, 오미자 가미 경옥고(F-SC-GOG)는 발효인삼 가미 경옥고(F-GOG)중량에 10% 의 오미자를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발효오가피 가미 경옥고(F-AP-GOG)는 발효인삼 가미 경옥고(F-GOG)에 오미자와 마찬가지로 중량의 10%가 되게 오가피 60% 메탄올 추출물에 Lactobacillus casei , Lactobacillus acidophilus , Bifidobacterium longum (균은 모두 생물자원 연구소 KCTC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3가지 균을 1:1:1로 배합한 혼합균주를 이용하여 추출물 중량의 4% 가 되게 혼합하여 37℃에서 3일간 배양한 후 멸균한 것을 첨가하였고, 본원에서 각각 F-GOG 및 F-SC-GOG, F-AP-GOG로 지칭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1-6. 시료들의 성분 확인
GOG와 F-GOG, F-SC-GOG 그리고 F-AP-GOG의 각 성분함량을 HPL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GOG와 F-GOG, F-SC-GOG 그리고 F-AP-GOG의 지표성분은 화합물(Compound) K와 RG3 그리고 쉬잔드린(Schizandrin), 엘루테로시드(Eleutheroside) E를 이용하였다.
GOG와 F-GOG, F-SC-GOG 그리고 F-AP-GOG의 각 성분함량을 측정하였다. GOG와 F-GOG, F-SC-GOG 그리고 F-AP-GOG의 지표성분은 Compound K와 RG3 그리고 쉬잔드린(Schizandrin), 엘루테로시드(Eleutheroside) E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Compound K의 함량이 GOG에 비하여 F-GOG가 약 19배이상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RG3함량 역시 2배이상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이한 점은 F-GOG에 오미자를 첨가한 F-SC-GOG에서 RG3 함량이 GOG에 비하여 약 4배로 더 크게 증가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오미자 쉬잔드린(Schizandrin)의 함량은 1.62mg/g이었다. 또한 F-AP-GOG의 성분함량을 측정한 결과 지표성분 엘루테로시드(Eleutheroside) E의 함량은 21ug/g 이었다
HPLC 결과
  CompoundK
함량(mg/g)
Rg3
함량(mg/g)
Schizandrin
함량(mg/g)
Eleutheroside E
함량(mg/g)
GOG 0.021 0.040 - -
F-GOG 0.394 0.092 - -
F-SC-GOG 0.419 0.176 1.62 -
F-AP-GOG 0.701 0.140 - 0.021
참고예 1. 실험준비
본 연구에 사용한 실험동물은 다물사이언스 (대전, 한국)에서 구입한 수컷 ICR계 (5weeks) 마우스로 실험동물 사육장에서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 기간 중 고형사료와 물은 자유로이 섭취시켰으며 사육질의 온도(22±2℃), 상대습도(60±5%)와 명암은 12시간 주기를 유지하였다. 대조군과 각 실험군은 5마리씩 구성하였으며, 체중은 4주 동안 1주일에 1회 측정하였다. 이 실험동물은 원광대학교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사전심의를 받아 동물실험윤리위원회 규정에 따라 수행되었다.
실험예 1. 항피로 효과 측정
1-1. 체중 변화에 대한 영향
실험 시작일부터 종료일까지 체중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과 대조군을 각 5마리로 구성하여 실험군은 GOG (100,500mg/kg), F-GOG (100,500mg/kg), F-SC-GOG (100,500mg/kg)와 F-AP-GOG (100,500mg/kg)를 경구투여 하였으며, 대조군은 같은 양의 saline을 투여 하며 관찰 하였다.
실험 시작일부터 종료일까지 체중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실험 시작일에 확인한 실험동물의 체중은 29.20~31.79g으로 각 군의 큰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실험종료일의 체중증가량이 대조군 약 5.8g, GOG (100,500mg/kg), F-GOG (100, 500mg/kg) 처리군에서 각각 5.21, 5.28g과 6.66, 5.02g 으로 대조군과 비교하여 큰 차이가 없었으며, F-SC-GOG (100,500mg/kg)와 F-AP-GOG (100,500mg/kg) 처리군 역시 5.25, 5.19g 과 5.01, 4.90g으로 대조군에 비하여 체중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실험에 사용한 시료들은 체중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체중 및 변화 효과
Group Dose (mg/kg. p.o.) Body weight (g) Weight gains (g)
Initial Final
Control - 31.79± 0.8 37.60± 1.1 5.80± 1.0
GOG 100 31.51± 0.9 36.72± 0.7* 5.21± 1.0
GOG 500 31.11± 0.6* 36.39± 0.7 5.28± 2.5
F-GOG 100 30.77± 0.6** 37.43± 1.3 6.66± 1.4
F-GOG 500 31.66± 1.0 36.68± 1.5 5.02± 1.9
F-SC-GOG 100 29.20± 1.0 34.45± 1.3** 5.25± 1.3
F-SC-GOG 500 31.16± 1.3 36.35± 0.9* 5.19± 1.5
F-AP-GOG 100 29.94± 0.8** 34.96± 1.0** 5.01± 0.9
F-AP-GOG 500 30.61± 1.1* 35.51± 1.2** 4.90± 0.8
* :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with control data (*:p<0.05 and **: p<0.01).
2-2. 강제 유영 실험( Forced swimming test , FST )
GOG, F-GOG, F-SC-GOG, F-AP-GOG의 항피로 효과는 문헌 Moriura.T 등의 수영 시험법(swimming test)을 개량하여 하기와 같이 실시하였다. 120×60×40 cm의 투명 수조에 D.W를 25cm까지 채우고 25℃를 유지하고 각 군당 수영시간을 측정하였다. 수영실험은 체중을 달고 체중에 5%의 납줄을 꼬리에 달아 고정하고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대조군과 시료를 용량별로 투여한 실험군 모두 경구투여 1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수영 시켰으며, 수영종료는 코가 수면 아래로 잠길 정도의 수영이 5초간 진행되어 가라앉게 될 때를 수영가능시간으로 종료 하였다. 시료는 각각 저농도군(100mg/kg), 고농도군(500mg/kg)으로 나누어 매일 경구 투여 후 비교하였다.
수영실험은 체중을 달고 체중에 5%의 납줄을 꼬리에 달아 고정하고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대조군과 시료를 용량별로 투여한 실험군 모두 경구투여 1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수영 시켰으며, 수영종료는 코가 수면 아래로 잠길 정도의 수영이 5초간 진행되어 가라앉게 될 때를 수영가능시간으로 종료 하였다. 시료는 각각 저농도군(100mg/kg), 고농도군(500mg/kg)으로 나누어 매일 경구 투여 후 비교 하였다.
측정실험결과, 대조군 820.4±26.76초에 비하여 GOG(100,500mg/kg) 처리군은 각각 885.4±22.04, 913.2±14.62초로 약간 증가하였으나, F-GOG(100,500mg/kg) 처리군은 1085.4±21.50, 1221.8±41.04로 32.3, 48.9% 이상 수영시간이 연장되었다. 그리고 F-SC-GOG군(100,500mg/kg)은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1301.2±14.17, 1457.2±18.47초로 58.6, 77.6%로 증가하였고 F-AP-GOG군(100,500mg/kg)은 1497.4± 24.49, 1581±48.8초로 82.5, 92.7%로 거의 두 배 가까이 유영시간의 연장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그 결과 GOG보다는 F-GOG가 F-GOG보다는 F-SC-GOG와 F-AP-GOG가 효과적으로 육체 피로를 억제하는 것을 할 수있었다.
Effect of GOG, F-GOG, F-SC-GOG, F-AP-GOG on the swimming time to exhaustion of ICR mice
Group Dose (mg/kg. p.o.) Swimmimg duration (sec) Increasing rate (%)
Control - 820.4± 26.76 -
GOG 100 885.4± 22.04** 7.9
GOG 500 913.2± 14.62** 11.3
F-GOG 100 1085.4± 21.50** 32.3
F-GOG 500 1221.8± 41.04** 48.9
F-SC-GOG 100 1301.2± 14.17** 58.6
F-SC-GOG 500 1457.2± 18.47** 77.6
F-AP-GOG 100 1497.4± 24.49** 82.5
F-AP-GOG 500 1581± 48.8** 92.7
* :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with control data (*:p<0.05 and **: p<0.01).
실험예 2. 강제 유영에 따른 혈청 중 항피로 지표물질의 측정
ICR mouse의 유영실험 직후 주사기를 이용하여 심장에서 채혈 한 후 5000rpm, 4℃에서 3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 하였다. 실험에 사용하기 전까지 -70℃ 냉동고에서 보관하였다. 혈청 중 free fatty acid(FFA) 측정은 효소법, creatinine 함량은 Jaffe 법, lactic acid dehydrogenase(LDH)활성도는 젖산기질법을 이용 각각 아산제약의 측정 Kit(TG-s, CRE-LQ, LDH-LQ)를 이용하여 측정 하였다.
2-1. 강제유영에 따른 혈청 중 free faty acid ( FFA ) 함량 측정
ICR mouse의 유영실험 직후 주사기를 이용하여 심장에서 채혈 한 후 5000rpm, 4℃에서 3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 하였다. 실험에 사용하기 전까지 -70℃ 냉동고에서 보관하였다. 혈청 중 free fatty acid(FFA) 측정은 효소법을 이용한 TG-S (아산제약, 대전)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강제유영을 하지 않은 정상군에서는 Free fatty acid의 농도는 57.65±7.1이었으나 강제유영을 시킨 control군은 179.92±14.69로 3.1배 이상 증가 하였다. GOG 처리군에서는 control군에 비하여 각각 140±11.54, 131.47±7.96로 약간 감소하였으나, F-GOG군에서는 131.91±13.72, 123.38±6.78로 유의성있게 감소하였다. 또한 control군에 비하여 F-SC-GOG군에서 그 농도가 114.59±4.67, 106.26±11.15로 감소하였으며, F-AP-GOG는 111.67±18.60, 93.98±19.94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그리고 F-GOG에 비하여 F-SC-GOG가 큰 폭으로 그 농도가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또한 F-SC-GOG 보다 F-AP-GOG가 더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과도한 운동으로 에너지를 소비하게 되면, 대사산물이 증가하여 혈청중 FFA의 함량은 증가하게 되는데 위 실험에서 F-SC-GOG와 F-AP-GOG를 공급한 결과 함량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Effect of GOG, F-GOG, F-SC-GOG, F-AP-GOG on blood FFA of forced swimming ICR mice
Group Dose (mg/kg. p.o.) Free fatty acid (mg/dl)
Normal - 57.65± 7.10
control - 179.92± 14.69##
GOG 100 140± 11.54**
GOG 500 131.47± 7.96**
F-GOG 100 131.91± 13.72**
F-GOG 500 123.38± 6.78**
F-SC-GOG 100 114.59± 4.67**
F-SC-GOG 500 106.26± 11.15**
F-AP-GOG 100 111.67± 18.60**
F-AP-GOG 500 93.98± 19.94**
Data are expressed as mean ± S.D. Normal; Non swam group. Control was orally administrated water alone.
# :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with normal data (##:p<0.01)
* :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with control data (*:p<0.05 and **: p<0.01).
2-2. 강제유영에 따른 혈청 중 creatinine 함량 측정
ICR mouse의 유영실험 직후 주사기를 이용하여 심장에서 채혈 한 후 5000rpm, 4℃에서 3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 하였다. 실험에 사용하기 전까지 -70℃ 냉동고에서 보관하였다. 혈청 중 creatinine 함량은 Jaffe 법을 이용한, CRE-LQ (아산제약, 대전)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강제유영을 하지 않은 정상군에서 creatinine 함량은 0.4±0.03이었으나 강제유영을 시킨 control군은 1.10±0.22로 2.7배 이상 증가 하였다. GOG 처리군에서는 control군에 비하여 각각 0.63±0.06, 0.62±0.04로 감소 하였으나, F-GOG군에서는 0.58±0.04, 0.53±0.03로 유의성있게 감소하였다. 또한 control군에 비하여 F-SC-GOG군에서 역시 그 농도가 0.55±0.05, 0.49±0.05로 F-AP-GOG에서 0.52± 0.03, 0.48±0.04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과도한 운동으로 에너지를 소비하게 되면, 대사산물이 증가하여 혈청중 Creatine의 함량은 증가하게 되는데 위 실험에서 F-SC-GOG와 F-AP-GOG를 공급한 결과 함량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Effect of GOG, F-GOG, F-SC-GOG, F-AP-GOG on blood creatinine levels of forced swimming ICR mice
Group Dose (mg/kg. p.o.) Creatine (mg/dl)
Normal - 0.4± 0.03
control - 1.10± 0.22##
GOG 100 0.63± 0.06**
GOG 500 0.62± 0.04**
F-GOG 100 0.58± 0.04**
F-GOG 500 0.53± 0.03**
F-SC-GOG 100 0.55± 0.05**
F-SC-GOG 500 0.49± 0.05**
F-AP-GOG 100 0.52± 0.03**
F-AP-GOG 500 0.48± 0.04**
Data are expressed as mean ± S.D. Normal; Non swam group. Control was orally administrated water alone.
# :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with normal data (##:p<0.01)
* :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with control data (*:p<0.05 and **: p<0.01).
2-3. 강제유영에 따른 혈청 중 lactic acid dehydrogenase ( LDH ) 함량 측정
ICR mouse의 유영실험 직후 주사기를 이용하여 심장에서 채혈 한 후 5000rpm, 4℃에서 3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 하였다. 실험에 사용하기 전까지 -70℃ 냉동고에서 보관하였다. 혈청중 lactic acid dehydrogenase(LDH)활성도는 젖산기질법을 이용한, LDH-LQ (아산제약, 대전)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강제유영을 하지 않은 정상군에서 lactic acid dehydrogenase(LDH) 함량은 457.39±45.62이었으나 강제유영을 시킨 control군은 1350.26±92.86로 약 3배 증가 하였다. GOG 처리군에서는 control군에 비하여 각각 1135.91±44.52, 1045.63±88.01로 약간 감소하였으나, FGOG군에서는 892.1±89.56, 670.54±37.45로 유의성있게 감소하였다. 또한 control군에 비하여 F-SC-GOG군에서 역시 그 농도가 778.03±33.04, 673.41±72.86로 F-AP-GOG에서 727.37±41.84, 655.93±77.62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과도한 운동으로 에너지를 소비하게 되면, 대사산물이 증가하여 혈청중 LDH의 함량은 증가하게 되는데 위 실험에서 F-SC-GOG와 F-AP-GOG를 공급한 결과 함량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Effect of GOG, F-GOG, F-SC-GOG, F-AP-GOG on blood LDH of forced swimming ICR mice
Group Dose (mg/kg. p.o.) LDH(IU/L)
Normal - 457.39± 45.62
control - 1350.26± 92.86##
GOG 100 1135.91± 44.52**
GOG 500 1045.63± 88.01**
F-GOG 100 892.1± 89.56**
F-GOG 500 670.54± 37.45**
F-SC-GOG 100 778.03± 33.04**
F-SC-GOG 500 673.41± 72.86**
F-AP-GOG 100 727.37± 41.84**
F-AP-GOG 500 655.93± 77.62**
Data are expressed as mean ± S.D. Normal; Non swam group. Control was orally administrated water alone.
# :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with normal data (##:p<0.01)
* :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with control data (*:p<0.05 and **: p<0.01).
실험예 3. 강제유영에 따른 간조직내 glycogen 농도 측정
간조직내 glycogen 농도는 Yang의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간단히 설명하면, ICR mouse의 유영실험 직후 경추 탈골하여 복부를 절개 하여 간(liver)을 샘플링 하였다. 실험에 사용하기 전까지 -70℃ 냉동고에서 보관하였다. 샘플링한 간조직을 30% KOH용액을 가하고 100℃에서 30분간 가열한 다음, 95% ethanol을 가한 후, 4,000×g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얻었다. 이 침전물에 0.5ml의 정제수와 1.0ml의 anthrone을 가하여 열탕 water bath에 20분간 방치 후 620nm에서 비색정량 하였다.
본 실험 결과, 정상군에서는 liver glycogen의 농도는 1.71±0.09mg/g 이었으나 강제유영을 시킨 control군은 0.22±0.01로 약 7.8배 감소 하였다. GOG 처리군에서는 control군에 비하여 저농도군에서는 0.21±0.01로 조금 더 감소하는 듯 하였으나, 고농도군에서는 0.48±0.12로 약 2.2배 높은 농도를 보였다. 그리고 F-GOG군에서는 0.44±0.07, 0.50±0.21로 유의성있게 감소가 억제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control군에 비하여 F-SC-GOG군에서 역시 그 농도가 0.62±0.22, 0.79±0.06로 control 군에 비하여 그 glycogen 감소량이 억제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F-AP-GOG에서는 0.66±0.25, 0.84±0.12로 control 군에 비하여 3~3.8배로 그 농도가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F-GOG군에 비하여 F-SC-GOG군과 F-AP-GOG군이 glycogen 감소억제 효과가 더욱 뛰어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근육의 운동량이 늘어날 수록 더 많은 glucose를 소모하게 된다. 아울러 체온의 증가, 간과 신장의 순환감소등으로 glucose신생 합성에 이용되는 전구물질의 이용을 제한 시켜 당신생을 제한 하고 근육의 glucose요구량으로 인하여 간에서 glucose의 방출량의 초과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과도한 운동은 이러한 이유로 간의 glycogen의 함량은 줄어들게 된다. 하지만 위 실험에서 F-SC-GOG와 F-AP-GOG를 공급한 결과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Effect of GOG, F-GOG, F-SC-GOG, F-AP-GOG on the contents of liver glycogen
Group Dose (mg/kg. p.o.) Liver glycogen (mg/g)
Normal - 1.71± 0.09
Control - 0.22± 0.01##
GOG 100 0.21± 0.01
GOG 500 0.48± 0.12
F-GOG 100 0.44± 0.07**
F-GOG 500 0.50± 0.21*
F-SC-GOG 100 0.62± 0.22*
F-SC-GOG 500 0.79± 0.06**
F-AP-GOG 100 0.66± 0.25*
F-AP-GOG 500 0.84± 0.12**
Data are expressed as mean ± S.D. Normal; Non swam group. Control was orally administrated water alone.
# :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with normal data (##:p<0.01)
* :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with control data (*:p<0.05 and **: p<0.01).
본 발명의 추출물은 아래와 같은 제형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아래의 제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F-GOG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F-SC-GOG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F-AP-GOG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F-AP-GOG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F-GOG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F-AP-GOG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F-GOG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Claims (17)

  1. 백삼을 발효인삼으로 대체시킨 발효 인삼 가미 경옥고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 관련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
  2. 발효 인삼 가미 경옥고에 오미자 또는 오가피 추출물을 가미한 경옥고 가미방 발효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 관련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경옥고 가미방 발효물는 상기 발효인삼 경옥고 중량 대비 1 내지 80% (w/w)양의 오미자 또는 오가피 추출물을 첨가하고; 상기 배합물 중량대비 1%-50%양의 유산균를 첨가하여 10 내지 80℃온도 범위에서 12시간 내지 7일간 배양하여 발효된 오미자 또는 오가피 가미 발효인삼 경옥고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인삼은 인삼속 식물 원료, 그 자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배지를 살균처리한 후, 신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하세가와 균주락토 (Lactobacillus casei strain Hasegawa, 기탁기관: National Institute of Bioscience and Human-technology(NIBH), 기탁일: 2003년 8월 11일, 기탁 번호: FERM BP-10123)를 전체 배지 중량의 0.1%-20%의 농도로 접종하고 고형분으로 환산했을 때 1%-50%의 배양농도, 10℃-50℃의 배양온도, 12시간-40일의 배양 기간 하에서 배양하여 수득된 발효 인삼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인삼 가미 경옥고는 발효인삼, 복령, 생지황, 꿀 및 정제수로 배합된 혼합물을 80 내지 150℃ 온도 범위에서 30분 내지 24시간 동안 1차 가열한 후에, 다시 80 내지 150℃ 온도 범위에서 30분 내지 24시간 동안 2차 가열처리하여 얻어진 발효 인삼 가미 경옥고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인삼, 복령, 생지황, 꿀 및 정제수로 배합된 혼합물은 그 상대적 배합중량비가 1-100:1-100:1-100:1-300:1-300 (w/w)로 배합된 혼합물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건조된 시료중량의 2 내지 15배에 달하는 부피의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20 내지 120℃에서 1 내지 72시간 동안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한 후 감압여과 및 농축하여 수득됨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로관련 질환은 만성 피로 증후군 (Chronic Fatigue Syndrome ; CFS), 전신 피로감, 권태감, 미열, 림프절 종창, 근육통, 관절통 또는 정신 신경 증상인 약학 조성물.
  9. 백삼을 발효인삼으로 대체시킨 발효 인삼 가미 경옥고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 관련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0. 발효 인삼 가미 경옥고에 오미자 또는 오가피 추출물을 가미한 경옥고 가미방 발효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 관련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경옥고 가미방 발효물는 상기 발효인삼 경옥고 중량 대비 1 내지 80% (w/w)양의 오미자 또는 오가피 추출물을 첨가하고; 상기 배합물 중량대비 1%-50%양의 유산균를 첨가하여 10 내지 80℃온도 범위에서 12시간 내지 7일간 배양하여 발효된 오미자 또는 오가피 가미 발효인삼 경옥고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12.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인삼은 인삼속 식물 원료, 그 자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배지를 살균처리한 후, 신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하세가와 균주락토 (Lactobacillus casei strain Hasegawa, 기탁기관: National Institute of Bioscience and Human-technology(NIBH), 기탁일: 2003년 8월 11일, 기탁 번호: FERM BP-10123)를 전체 배지 중량의 0.1%-20%의 농도로 접종하고 고형분으로 환산했을 때 1%-50%의 배양농도, 10℃-50℃의 배양온도, 12시간-40일의 배양 기간 하에서 배양하여 수득된 발효 인삼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13.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인삼 가미 경옥고은 발효인삼, 복령, 생지황, 꿀 및 정제수로 배합된 혼합물을 80 내지 150℃ 온도 범위에서 30분 내지 24시간 동안 1차 가열한 후에, 다시 80 내지 150℃ 온도 범위에서 30분 내지 24시간 동안 2차 가열처리하여 얻어진 발효 인삼 가미 경옥고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인삼, 복령, 생지황, 꿀 및 정제수로 배합된 혼합물은 그 상대적 배합중량비가 1-100:1-100:1-100:1-300:1-300 (w/w)로 배합된 혼합물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15.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건조된 시료중량의 2 내지 15배에 달하는 부피의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20 내지 120℃에서 1 내지 72시간 동안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한 후 감압여과 및 농축하여 수득됨을 되는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16.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피로관련 질환은 만성 피로 증후군 (Chronic Fatigue Syndrome; CFS), 전신 피로감, 권태감, 미열, 림프절 종창, 근육통, 관절통, 또는 정신 신경 증상인 건강기능식품.
  17.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또는 환 형태인 건강기능식품.










KR1020110033477A 2011-04-11 2011-04-11 피로관련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발효 조성물 KR201201158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477A KR20120115894A (ko) 2011-04-11 2011-04-11 피로관련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발효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477A KR20120115894A (ko) 2011-04-11 2011-04-11 피로관련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발효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894A true KR20120115894A (ko) 2012-10-19

Family

ID=47284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3477A KR20120115894A (ko) 2011-04-11 2011-04-11 피로관련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발효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58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99892A (zh) * 2023-10-20 2023-11-24 山东向日葵生物工程有限公司 乳双歧杆菌sf-b21的抗疲劳发酵饮品及其制备工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99892A (zh) * 2023-10-20 2023-11-24 山东向日葵生物工程有限公司 乳双歧杆菌sf-b21的抗疲劳发酵饮品及其制备工艺
CN117099892B (zh) * 2023-10-20 2023-12-22 山东向日葵生物工程有限公司 乳双歧杆菌sf-b21的抗疲劳发酵饮品及其制备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05994B1 (en) Novel use of the extract of processed ginseng and saponin isolated therefrom
KR101593618B1 (ko) 사포닌의 생체 이용률 증진 조성물
CN111820407A (zh) 一种抗幽门螺旋杆菌组合物及其应用
JP2010132625A (ja) 抗糖尿病剤
KR101930483B1 (ko) 발효 청미래덩굴 잎 및 이의 추출물
KR101614574B1 (ko) 탱자 발효물에 의한 비만개선효과물질의 조성
KR101651082B1 (ko) 갈근엑스 발효물을 함유한 간손상 보호용 조성물
KR101468698B1 (ko) 3단 발효 공법을 통한 장내균총 개선 소재의 개발
KR100773059B1 (ko) 배당체 가수분해능을 가진 신규한 미생물, 이를 함유한 프로바이오틱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48686B1 (ko) 유산균으로 감마-아미노부틸산과 생물전환 사포닌을 동시에강화한 발효 인삼 조성물
KR101470347B1 (ko) 황금엑스 발효물을 함유한 간손상 보호용 조성물
KR102042151B1 (ko) 고춧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20120115894A (ko) 피로관련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발효 조성물
KR101482044B1 (ko) 하수오 및 생강 발효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17933A (ko) 당뇨병 개선 효과능이 있는 탱자 발효 조성물
KR101506995B1 (ko) 오리나무 수피 추출물 및 유산균을 포함하는 항우식성 조성물
KR20100008220A (ko) 버섯 및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장암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20160082824A (ko) 복분자와 홍삼 발효 추출물의 혼합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용 조성물
KR20150072659A (ko) 청미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20140142516A (ko) 시호 및 꽈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40104090A (ko) 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337130B1 (ko) 한방 복합 재료의 발효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30399B1 (ko) 엉겅퀴, 민들레, 양배추, 꿀 및 생강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에 의해 발생하는 위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10118748A (ko) 한대리곰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37450B1 (ko) 강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기능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