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5188A - Repeatable fuse - Google Patents

Repeatable fu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5188A
KR20120115188A KR1020120096959A KR20120096959A KR20120115188A KR 20120115188 A KR20120115188 A KR 20120115188A KR 1020120096959 A KR1020120096959 A KR 1020120096959A KR 20120096959 A KR20120096959 A KR 20120096959A KR 20120115188 A KR20120115188 A KR 20120115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memory
memory alloy
spring
wire
alloy sp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69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덕희
박하영
Original Assignee
(주)엠에스테크비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에스테크비젼 filed Critical (주)엠에스테크비젼
Priority to KR1020120096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5188A/en
Publication of KR20120115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5188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2085/0004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making use of shape-memory material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PURPOSE: A repeatable fuse is provided to reduce manufacturing time by giving the optimum design dimension about a bias spring and a shape memory alloy spring. CONSTITUTION: A repeatable fuse includes a shape memory alloy spring(510) and a bias spring(520).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has a wire diameter of 0.15 to 0.50 mm with a coil shape and a wire turn number of 3.5 to 7.0. The outer diameter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is 7 to 8.5 times greater than the wire diameter. An average pitch space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is 1.0 to 1.5 mm. [Reference numerals] (T1) Turn; (T2) Turn

Description

반복형 퓨즈{REPEATABLE FUSE}Repetitive Fuses {REPEATABLE FUSE}

본 발명은 반복형 퓨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동작온도와 정격전류에 대해 정확한 동작온도 특성과 정격전류 특성을 가지며, 소형으로 제조될 수 있는 반복형 퓨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petitive fu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petitive fuse having a precise operating temperature characteristic and a rated current characteristic for various operating temperatures and rated currents, and which can be manufactured compactly.

일반적으로 전기를 이용하는 모든 전기전자 제품은 항상 회로 내 비정상적인 과전류나 외부 과열원인에 의한 과열에 따른 사고가 내재되어 있다. 종래에는 이를 예방하기 위해 과전류가 흐르면 전류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용융되어 끊어지는 물질로 형성된 일회용 퓨즈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일회용 퓨즈는 값은 저렴하나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사용한 후 새 것으로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교체에 따른 비용이 큰 단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열팽창계수가 다른 이종의 금속판을 접합한 바이메탈 써멀 스위치를 일회용 퓨즈대신 사용하였으나, 바이메탈 써멀스위치는 단지 접점의 기능을 수행하며 온도에 따른 작동 편차가 클 뿐만 아니라 리미트 스위치 등과 같은 별도의 장치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all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s that use electricity are always inherent in accidents caused by abnormal overcurrent in the circuit or overheating caused by external overheating. Conventionally, in order to prevent this, a disposable fuse formed of a material that is melted and broken by heat generated as an electric current when an overcurrent flows is used. Disposable fuses, however, are inexpensive but cannot be reused and must be replaced with new ones. To solve this problem, a bimetal thermal switch in which dissimilar metal plates with different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are used instead of a single-use fuse, but the bimetal thermal switch not only functions as a contact point but also has a large operating deviation according to temperature and a separate switch such as a limit switch.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vice is required.

특수 고분자를 이용한 고분자 퓨즈가 개발되었으나, 고분자 퓨즈 역시 화학 제품에 따른 물질의 안정성이 떨어지며 급격한 전압 및 전류의 변화 시 폭발 등에 의한 화재 위험 문제가 있다. 더욱이 고분자 퓨즈는 물질의 안정성 및 내구성이 떨어지며 반응시간이 늦어 위급한 상황을 초래할 수도 있다.Although a polymer fuse using a special polymer has been developed, a polymer fuse also has a problem of fire hazard due to an explosion when a sudden change in voltage and current occurs due to a decrease in the stability of a material according to a chemical product. Moreover, polymer fuses are less stable and durable, and may cause an emergency situation due to a slow reaction time.

한편, 최근 전자기기는 주로 인쇄 회로 기판의 표면실장화에 따라 퓨즈 역시 표면실장이 가능한 퓨즈가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일회용 퓨즈는 표면실장 과정에서 솔더링을 위해 약 섭씨 270도 이상의 온도가 필요하므로 퓨즈 본래의 특성으로 인해 용융되어 표면실장이 불가능하다. 물론, 바이메탈 써멀스위치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나, 과도한 부품크기와 솔더링 온도에 의한 열화가능성으로 인해 표면실장이 어렵다.Meanwhile, in recent years, electronic devices are mainly required for fuses which can be surface-mounted according to surface mount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However, since the fuse according to the prior art requires a temperature of about 270 degrees Celsius or more for soldering in the surface mount process, the fuse is melted and thus surface mount is impossible. Of course, bimetal thermal switches can solve this problem, but surface mounting is difficult due to excessive component size and the possibility of deterioration due to soldering temperature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속 사용이 가능하고 표면실장화할 수 있는 탄성부재, 예컨대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형상기억합금 퓨즈가 개발되었다. 형상기억합금은 온도편차가 적어 신뢰도가 높은 반복형 퓨즈를 제공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shape memory alloy fuse using an elastic member, such as a shape memory alloy, which can be used continuously and is surface mounted has been developed. Shape memory alloys provide reliable fuses with low temperature variations.

그러나, 이러한 형상기억합금 퓨즈를 구성하는 형상기억합금 스프링 와이어 및 이에 대응하는 장력을 제공하는 바이어스 와이어의 선경, 턴(turn) 수 등의 설계 치수가 정립되지 않아서 실제 제조 시에 많은 실험을 통한 시행 착오를 거치게 된다. 따라서, 제조 시간이 늘어나게 되고, 실험에 사용되는 재료에 의한 제조 원가가 늘어나게 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design dimensions such as the wire diameter and the number of turns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wire constituting the shape memory alloy fuse and the bias wire providing the corresponding tension are not established, many experiments are carried out during actual manufacturing. There is a mistake. Therefore, the manufacturing time is increased, the manufacturing cost by the material used in the experiment is increase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productivity of the product is reduced.

본 발명은 소형으로 제조되며 반복 사용이 가능한 반복형 퓨즈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peatable fuse that is made compact and can be used repeatedly.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동작온도와 정격전류에 대해 정확한 동작온도 특성과 정격전류 특성을 가지는 반복형 퓨즈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petitive fuse having an accurate operating temperature characteristics and rated current characteristics for various operating temperatures and rated currents.

또한, 본 발명은 제조 시간 및 제조 원가를 단축시켜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복형 퓨즈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petitive fuse that can shorten the manufacturing time and manufacturing cost,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복형 퓨즈는,Repetitive f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형상 기억 합금 스프링과, 상기 형상 기억 합금 스프링에 대응하는 바이어스 스프링을 포함하는 반복형 퓨즈에 있어서, 상기 형상 기억 합금 스프링은 그 와이어 선경이 0.15mm 내지 0.50mm인 코일 형상으로 형성되고, 와이어 턴 수는 3.5 내지 7.0이다.A repetitive fuse comprising a shape memory alloy spring and a bias spring corresponding to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wherein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is formed in a coil shape having a wire wire diameter of 0.15 mm to 0.50 mm, and the number of wire turns 3.5 to 7.0.

상기 형상 기억 합금 스프링은 그 와이어 선경이 0.20mm 내지 0.40mm이고, 와이어 턴 수는 4.0 내지 6.5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has a wire diameter of 0.20 mm to 0.40 mm and a wire turn number of 4.0 to 6.5.

상기 형상 기억 합금 스프링의 외경은 상기 와이어 선경의 7.0 내지 8.5배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diameter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may be formed to a size of 7.0 to 8.5 times the wire wire diameter.

상기 형상 기억 합금 스프링의 평균 피치 간격은 1.0mm 내지 1.5mm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average pitch spacing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is preferably 1.0 mm to 1.5 mm.

상기 바이어스 스프링의 와이어 선경은 상기 형상 기억 합금 스프링 와이어 선경의 60% 내지 65%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ire diameter of the bias spring preferably has a length of 60% to 65%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wire diameter.

상기 바이어스 스프링의 와이어 선경은 0.10mm 내지 0.30mm이다.The wire diameter of the bias spring is 0.10 mm to 0.30 mm.

상기 바이어스 스프링의 와이어 턴 수는 상기 형상 기억 합금 스프링의 와이어 턴 수보다 크며, 4.0 내지 7.5이다.The number of wire turns of the bias spring is larger than the number of wire turns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and is 4.0 to 7.5.

상기 바이어스 스프링은 그 와이어 선경이 0.15mm 내지 0.25mm이고, 와이어 턴 수는 5.0 내지 6.0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bias spring preferably has a wire diameter of 0.15 mm to 0.25 mm and a number of wire turns of 5.0 to 6.0.

상기 바이어스 스프링의 평균 피치 간격은 1.0mm 내지 1.5mm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average pitch of the bias spring is preferably 1.0mm to 1.5mm.

상기 바이어스 스프링 높이는 상기 형상 기억 합금 스프링 높이의 120% 내지 125%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ias spring height is preferably formed in a size of 120% to 125% of the height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상기 형상 기억 합금 스프링은 니켈(Ni)과 티타늄(Ti)을 포함하는 합금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is preferably an alloy containing nickel (Ni) and titanium (Ti).

상기 형상 기억 합금 스프링은 코발트(Co), 몰리브덴(Mo), 텅스텐(W), 크롬(C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obalt (Co), molybdenum (Mo), tungsten (W), and chromium (Cr).

상기 바이어스 스프링은 SUS계 스텐레스강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텐레스강 위에 Ni, Cu, Ag, Au, S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도금하여 제조할 수 있다.
The bias spring is made of a SUS stainless steel material, and may be manufactured by plating at least one of Ni, Cu, Ag, Au, and Sn on the stainless steel.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반복 사용시에도 동작특성이 유지되며, 소형으로 제조될 수 있는 반복형 휴즈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peatable fuse that can be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while maintaining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even during repeated use.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동작온도와 정격전류에 대해 정확한 동작온도 특성과 정격전류 특성을 가지는 반복형 퓨즈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repeating fuse having an accurate operating temperature characteristics and rated current characteristics for various operating temperatures and rated currents.

또한, 본 발명은 반복형 퓨즈의 형상기억합금 스프링 및 바이어스 스프링에 대한 최적의 설계 치수를 제시함으로써, 제조 시간 및 제조 원가를 단축시켜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복형 퓨즈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repetitive fuse that can improve the productivity 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time and manufacturing cost by presenting the optimum design dimensions for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and the bias spring of the repetitive fu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복형 퓨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복형 퓨즈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복형 퓨즈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의 와이어 선경(Φ1)에 따른 반복형 퓨즈의 동작 특성을 도시한 도,
도 6은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의 와이어 턴 수(T1)에 따른 반복형 퓨즈의 동작 특성을 도시한 도,
도 7은 바이어스 스프링의 와이어 선경(Φ2)에 따른 반복형 퓨즈의 동작 특성을 도시한 도,
도 8은 바이어스 스프링의 와이어 턴 수(T2)에 따른 반복형 퓨즈의 동작 특성을 도시한 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peating f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repetitive f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of a repetitive f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repetitive fuse according to the wire diameter (Φ1)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6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repetitive fuse according to the number of wire turns (T1)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7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repetitive fuse according to the wire wire diameter (Φ 2) of the bias spring,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ng characteristic of the repetitive fuse according to the wire turn number T2 of the bias sprin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or parts in the drawings repres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복형 퓨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복형 퓨즈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복형 퓨즈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petitive f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repetitive f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repeatable f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복형 퓨즈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리드 단자(200)와, 상기 하우징과 절연되어 하우징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리드 단자(300)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리드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제2 리드 단자 사이와 단속(斷續)되는 스핀들(400)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핀들과 연결되며 상기 제2 리드 단자(300)와 스핀들을 단속시키는 탄성 부재인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과 바이어스 스프링(520)을 포함한다.1 to 4, the repetitive fus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ulated from the housing 100, the first lead terminal 20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and the housing. A second lead terminal 300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a spindle 400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lead terminal and intermittently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lead terminals; A shape memory alloy spring 510 and a bias spring 520 are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spindle, and are elastic members for intermittently connecting the second lead terminal 300 and the spindle.

상기 하우징(100)은 내부 공간을 갖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박스 형상으로, 상기 스핀들(400)과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 바이어스 스프링(520)을 수납하여 보호한다. 하우징(100)은 제1 리드 단자(200)와 접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으므로, 전도성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실시 형태에 따라 비전도성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하우징(100)은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이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어 원형 박스, 타원형 박스, 다각형 박스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박스를 예시한다. The housing 100 is a box shape having an inner space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ccommodates and protects the spindle 400,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510, and the bias spring 520. Since the housing 1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lead terminal 200, the housing 100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Of cours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it may be formed of a non-conductive material. The housing 100 may have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may have a circular, elliptical, or polygonal shape, such as a circular box, elliptical box, or polygonal box. In this embodiment, a circular box is illustrated as shown in FIG.

또한, 하우징(100)의 내주면 소정의 위치에서 내측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120)이 형성되어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걸림턱(120)과 하우징(100)의 타단(제2 리드 단자(300)가 배치되는 단부) 사이에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과 바이어스 스프링(52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과 바이어스 스프링(520)의 설계 치수가 정밀하게 제어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In addition, the engaging jaw 120 protruding in the inner horizont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00 may be formed to support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510. A shape memory alloy spring 510 and a bias spring 520 are installed between the locking jaw 120 and the other end of the housing 100 (an end at which the second lead terminal 300 is disposed). At this time, the design dimensions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510 and bias spring 520 is precisely controlle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제1 리드 단자(200)는 외부 전원을 인가 받거나 전원과 연결되는 수단으로서,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1 리드 단자(200)는 하우징(100) 일측에 마련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 박스 형상의 하우징(100)의 일단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리드 단자(200)는 하우징(100) 또는 별도의 연결부재(미도시)를 통해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 또는 바이어스 스프링(52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다시 스핀들(40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예컨대 하우징(100)이 전도성 물질로 구성되고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 또는 바이어스 스프링(520)이 하우징(100)의 내면 일측 또는 걸림턱(120)과 접하는 경우에는 하우징(100)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된다. 그리고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 또는 바이어스 스프링(520)은 스핀들(400) 일측과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제1 리드 단자(200)는 본 실시예에서 막대 형상으로 구비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어떠한 형상이라도 무방하다.The first lead terminal 200 is a means that receives an external power source or is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and includes a conductive material. The first lead terminal 20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100.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lead terminal 200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housing 100 having a circular box shape. The first lead terminal 2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510 or the bias spring 520 through the housing 100 or a separate connection member (not shown).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For example, when the housing 100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510 or the bias spring 520 i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or the locking jaw 120, the housing 1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ousing 100. Will be connected.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510 or the bias spring 5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pindle 400. The first lead terminal 200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rod in this embodim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ny shape tha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제2 리드 단자(300)는 전기적 연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예컨대 제1 리드 단자(200)로부터 인가받은 전류를 전기전자 소자에 전달하며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2 리드 단자(300)는 제1 리드 단자(200)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 박스 형상의 하우징(100)에서 제1 리드 단자(200)가 형성된 일단과 반대방향의 위치한 타단에 형성된다. 이 때 제2 리드 단자(300)는 하우징 밑면을 관통하여 삽입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밑면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스핀들(400)이 이동하여 제2 리드 단자(300)와 접속 또는 단락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떠한 위치도 가능하다. The second lead terminal 300 is a means for electrical connection. For example, the second lead terminal 300 transmits a current applied from the first lead terminal 200 to the electronic device and includes a conductive material. The second lead terminal 300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ead terminal 2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lead terminal 300 is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one end where the first lead terminal 200 is formed in the housing 100 having a circular box shape. It is formed at the other end located. In this case, the second lead terminal 300 may be disposed in a form inserted through the bottom of the hous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That is, any position may be used as long as the spindle 400 moves to connect or short-circuit with the second lead terminal 300.

제2 리드 단자(300)는 스핀들(400)에 의해 제1 리드 단자(200)와 접속 또는 단락하게 된다. 제2 리드 단자(300)는 스핀들(400)을 통해서 제1 리드 단자(2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므로, 제1 리드 단자(2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하우징(100)과는 절연되어 배치된다. 이를 위해, 제2 리드 단자(300)가 배치되는 하우징(100)의 일측을 개구 형상으로 하여 하우징(100)과 제2 리드 단자(300)를 이격시키거나, 제2 리드 단자(300)가 지나가는 하우징(100) 면에 절연물을 코팅할 수도 있다.The second lead terminal 300 is connected to or short-circuited with the first lead terminal 200 by the spindle 400. Since the second lead terminal 3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lead terminal 200 through the spindle 400, the second lead terminal 300 is insulated from the housing 10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lead terminal 200. To this end, one side of the housing 100 on which the second lead terminal 300 is disposed is formed as an opening shape so as to space the housing 100 and the second lead terminal 300 or the second lead terminal 300 passes. An insulation may be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100.

스핀들(400)은 제1 리드 단자(200)와 제2 리드 단자(300)를 접속 또는 단락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된다. 스핀들(40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하우징(100)과 마찬가지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축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스핀들(400)은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이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하우징(10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박스 형태의 하우징(100)을 따라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핀들(400)은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에 의해 제1 리드 단자(2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전도성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들(400)은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과 바이어스 스프링(520)의 신축 운동에 의해 하우징(100) 내부를 길이 방향으로 왕복하면서 제2 리드 단자(300)와 단속(斷續), 즉 전기적으로 접속(도 2 참조)되거나 단락(도 3 참조)된다. 따라서 스핀들(400)이 제2 리드 단자(300)와 접속 또는 단락되는 것에 따라 제1 리드 단자(200)와 제2 리드 단자(300)가 접속 또는 단락하게 된다. 스핀들(400)은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 또는 바이어스 스프링(520)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410)가 형성되어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 또는 바이어스 스프링(520)와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410)는 스핀들(400) 측면에 스핀들(400) 축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410)는 스핀들(400) 측면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스핀들(400) 측면에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스핀들(400)이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 또는 바이어스 스프링(520)와 접속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다. The spindle 400 is a means for connecting or shorting the first lead terminal 200 and the second lead terminal 300 and is provided in the housing 100. The spindle 40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haft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ike the housing 10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pindle 400 may be formed in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circular, elliptical, polygonal, etc., preferably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housing 100.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1, i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formed along the housing 100 of the circular box shape. The spindle 4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lead terminal 200 by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510, and is preferably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As shown in FIG. 2 and FIG. 3. The spindle 400 is intermittently intersected with the second lead terminal 300 while reciprocating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stretching movement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510 and the bias spring 520. Are connected (see FIG. 2) or shorted (see FIG. 3). Therefore, as the spindle 400 is connected to or shorted with the second lead terminal 300, the first lead terminal 200 and the second lead terminal 300 are connected or short-circuited. The spindle 400 has a support 410 that can support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510 or the bias spring 520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to be connected to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510 or the bias spring 520. Can be. The support part 410 may protru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s direction of the spindle 400 on the side of the spindle 400. The support part 410 may b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pindle 400 side, or may be discontinuously formed on the spindle 400 side. That is, as long as the spindle 400 can be connected to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510 or the bias spring 520, any form can be used.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과 바이어스 스프링(520)은 제2 리드 단자(300)와 스핀들(400)을 접속 또는 단락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이들은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되는데,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거나 압축되도록 배치된다.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은 하우징(100) 내부 일측과 연결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00)의 걸림턱(120)과 연결된다. 그리고 바이어스 스프링(520)은 스핀들(400)과 연결되거나, 또는 스핀들의 지지부(410)에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핀들(400)의 좌측에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이 배치되고, 우측에 바이어스 스프링(520)이 배치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들 스프링(510, 520)의 위치를 바꾸어 배치할 수도 있다. 즉, 핀들(400)의 좌측에 바이어스 스프링(520)이 배치되고, 우측에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정상 상태에서 온(on)되는 기능이 반대로 정상 상태에서 오프(off)되는 반복형 퓨즈가 된다.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510 and the bias spring 520 are means for connecting or shorting the second lead terminal 300 and the spindle 400. They ar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0, and are arranged to extend or compres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Shape memory alloy spring 51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100, in this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locking step 120 of the housing 100. The bias spring 520 is connected to the spindle 400 or is connected to the support 410 of the spindl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hereto.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510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spindle 400 and the bias spring 520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However, the springs 510 and 520 may be disposed by changing their positions. It may be. That is, the bias spring 520 may be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pins 400, and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510 may be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fins 400. In this case, the function that is turned on in the normal state becomes a repetitive fuse that is turned off in the normal state.

상술한 실시예는 하기에서 설명할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 및 바이어스 스프링(520)의 설계 치수가 적용될 수 있는 일 실시예를 설명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설계 치수가 적용될 수 있는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erely describes an embodiment to which the design dimensions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510 and the bias spring 520 to be described below can be applied, and limits the embodiment to which the design dimens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t is not.

본 발명의 발명자는,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을 구비한 반복형 퓨즈에 대해,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 및 바이어스 스프링(520)을 다양한 설계 조건 하에서 제조하여 정확한 동작온도 특성과 정격전류 특성을 나타내는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의 설계 치수를 제시한다. 이와 함께, 상기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의 설계 조건에 대응하는 바이어스 스프링(520)의 설계 치수를 제시한다. 이하, 이를 설명한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repetitive fuse having a shape memory alloy spring,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510 and the bias spring 520 are manufactured under various design conditions to show the shape memory exhibiting accurate operating temperature characteristics and rated current characteristics Design dimensions of alloy spring 510 are presented. In addition, the design dimensions of the bias spring 520 corresponding to the design conditions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is presented.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은 니켈(Ni)과 티타늄(Ti)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아래 [표 1]과 같은 조성비의 변화로 크게 3가지 다른 동작온도 특성을 갖는 스프링을 제조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예시일 뿐, 동작온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코발트(Co), 몰리브덴(Mo), 텅스텐(W), 크롬(C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소정 비율로 포함하여 여러 가지 동작온도 특성을 갖는 스프링은 제조할 수 있다.Shape memory alloy spring 510 may be made of an alloy containing nickel (Ni) and titanium (Ti), to produce a spring having three different operating temperature characteristics largely by the composition ratio change as shown in Table 1 below. Can be. Of course,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operating temperature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a spring having various operating temperature characteristics may be manufactured by including at least one of cobalt (Co), molybdenum (Mo), tungsten (W), and chromium (Cr) in a predetermined ratio.

동작온도에 따른 Ni/Ti 조성비Ni / Ti composition ratio according to operating temperature Ni/Ti 조성비Ni / Ti composition ratio 동작온도Operating temperature 54.8/4554.8 / 45 115도(±5도)115 degrees (± 5 degrees) 55.32/44.655.32 / 44.6 95도(±5도)95 degrees (± 5 degrees) 55.34/44.655.34 / 44.6 75도(±5도)75 degrees (± 5 degrees)

도 4를 참조하여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과 바이어스 스프링(520)의 설계 치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와이어 선경(Φ1, Φ2)'는 스프링(510, 520) 와이어의 직경(사각형 스프링인 경우, 가로 세로 길이)을 의미하며, '와이어 턴 수(T1, T2)'는 코일 형상 스프링(510, 520)들의 회전수를 의미한다. 그리고, '평균 피치(P1, P2)'는 코일 형상 스프링 간의 간격(나선 형상 간의 간격)의 평균값을 의미하며, '높이(H1, H2)'는 스프링(510, 520)의 전체 길이를 의미한다. '외경(OD1, OD2)'은 스프링(510, 520)이 이루는 원의 직경을 의미한다.The design dimensions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510 and the bias spring 5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re wire diameter (Φ1, Φ2)' refers to the diameter of the wires (when the square spring, the vertical length) of the wires of the spring (510, 520), 'wire turn number (T1, T2)' is the coil-shaped spring It means the number of revolutions (510, 520). In addition, the average pitches P1 and P2 mean an average value of the spacing between the coil-shaped springs (the spacing between the spiral shapes), and the heights H1 and H2 mean the entire lengths of the springs 510 and 520. . 'Outer diameters OD1 and OD2' mean diameters of circles formed by the springs 510 and 520.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은 그 와이어 선경(Φ1)이 0.15mm 내지 0.50mm인 코일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와이어 턴 수(T1)는 3.5 내지 7.0이 되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동작온도 특성 및 정격전류 특성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와이어 선경(Φ1)이 0.20mm 내지 0.40mm이고, 와이어 턴 수(T1)가 4.0 내지 6.5일 때, 보다 정확한 동작온도 특성 및 정격전류 특성을 나타냄을 실험으로 확인하였다. 한편, 코일의 형상은 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나, 제조상의 편의를 위해 하우징(100) 내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510 allows the wire diameter Φ 1 to be formed in a coil shape of 0.15 mm to 0.50 mm, and the number of wire turns T1 is 3.5 to 7.0. This makes it possible to exhibit operating temperature characteristics and rated current characteristics. Preferably, when the wire diameter (Φ1) is 0.20mm to 0.40mm, and the number of wire turns (T1) is 4.0 to 6.5, it was confirmed by experiment to exhibit more accurate operating temperature characteristics and rated current characteristics. On the other hand, the shape of the coil may be a variety of shapes, such as circular or polygonal,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inside the housing 100 for the convenience of manufacturing.

상기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의 외경(OD1)은 상기 와이어 선경(Φ1)의 대략 7.0 내지 8.5배의 크기로 형성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와이어 선경(Φ1)이 0.25mm인 경우, 스프링의 외경(OD1)은 1.75mm 정도가 되도록 하고, 와이어 선경(Φ1)이 0.30mm인 경우, 스프링의 외경(OD1)은 2.50mm 정도가 되도록 한다. 또한, 와이어 선경(Φ1)이 0.35mm인 경우, 스프링의 외경(OD1)은 3.00mm 정도가 되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 가공을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곡률 반경(와이어 선경의 3 ~ 5배)을 확보할 수 있으며, 열처리 후의 팽창(약 10% 이상의 팽창률)을 위한 공간과 하우징(100)과의 조립 작업을 위한 공간 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The outer diameter OD1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is formed to be approximately 7.0 to 8.5 times the wire diameter Φ1. For example, when the wire diameter Φ1 is 0.25 mm, the outer diameter OD1 of the spring is about 1.75 mm, and when the wire wire diameter Φ1 is about 0.30 mm, the outer diameter OD1 of the spring is about 2.50 mm. To be In addition, when the wire wire diameter Φ 1 is 0.35mm, the outer diameter OD1 of the spring is about 3.00mm. This ensures a minimum radius of curvature (3 to 5 times the wire diameter) required for processing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510, and provides space and housing for expansion (expansion rate of about 10% or more) after heat treatment. It is possible to secure a space for assembling work.

상기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의 적정한 탄성을 확보하기 위해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의 평균 피치 간격(P1)은 1.00mm 내지 1.50mm가 되도록 한다. 평균 피치 간격(P1)이 1.50mm를 초과하거나 1.00mm 미만인 경우에는 반복형 퓨즈로 사용하기에 적절한 탄성이 발생하지 않으며, 평균 피치 간격(P1)이 1.00mm 내지 1.50mm인 경우, 최적의 탄성력이 발생함을 실험으로 확인하였다. In order to secure proper elasticity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510, the average pitch spacing P1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is set to be 1.00 mm to 1.50 mm. When the average pitch interval P1 is greater than 1.50 mm or less than 1.00 mm, elasticity suitable for use as a repetitive fuse does not occur. When the average pitch interval P1 is 1.00 mm to 1.50 mm, an optimum elastic force is generated. Was confirmed experimentally.

상기 평균 피치 간격(P1)과 턴 수(T1)를 정하고, 스프링(510)의 높이(H1)를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균 피치 간격(P1)이 1.50mm이고, 턴 수(T1)가 5.0인 경우, 스프링(510)의 양 끝은 겹치므로 유효 턴 수(T1)는 3.0이 되어 스프링(510)의 높이(H1)는 1.50mm × 3.0 = 4.50mm가 된다.The average pitch interval P1 and the number of turns T1 may be determined, and the height H1 of the spring 510 may be determined. For example, when the average pitch interval P1 is 1.50 mm and the number of turns T1 is 5.0, both ends of the spring 510 overlap, so that the effective number of turns T1 is 3.0 so that the effective number of turns T1 is 3.0. The height H1 is 1.50 mm x 3.0 = 4.50 mm.

상기에서 제시된 범위 내에서 와이어 선경(Φ1), 턴 수(T1), 외경(OD1), 피치(P1) 및 높이(H1)를 설계하여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을 제조한다.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510 is manufactured by designing the wire wire diameter Φ 1, the number of turns T 1, the outer diameter OD 1, the pitch P 1, and the height H 1 within the ranges set forth above.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의 설계 치수와 함께 이에 대응하는 장력을 얻도록 바이어스 스프링(520)의 조건을 정한다. The bias spring 520 is conditioned to obtain the design dimensions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510 and the corresponding tension.

상기 범위 내에서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의 설계 치수를 정한 후, 이에 대응하는 장력이 발생하는 바이어스 스프링(520)의 조건에 대한 실험을 반복한 결과, 평균적으로 바이어스 스프링(520)의 와이어 선경(Φ2)이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의 와이어 선경(Φ1)의 대략 60% 내지 65%인 경우에 반복형 퓨즈의 정확한 동작특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바이어스 스프링(520)의 와이어 턴 수(T2)는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의 와이어 턴 수(T1)보다 평균적으로 0.5턴 크게 제조하면 정확한 동작특성을 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fter determining the design dimensions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510 within the above range, and repeated experiments on the conditions of the bias spring 520 to generate a corresponding tension, the wire diameter of the bias spring 520 on average When (Φ 2) is approximately 60% to 65% of the wire diameter (Φ 1)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510, accurat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repetitive fuse can be realized, and the number of wire turns of the bias spring 520 ( T2) was confirmed to be able to implement the correct operating characteristics by manufacturing 0.5 turns larger than the average number of wire turns (T1)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51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이어스 스프링(520)은, SUS계 스텐레스강(예를 들면, SUS304) 재질로 이루어지고, 전기저항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스텐레스강 위에 Ni, Cu, Ag, Au, S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도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바이어스 스프링의 와이어 선경(Φ2)은 0.10mm 내지 0.30mm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바이어스 스프링(520)은 상기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의 코일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와이어 턴 수(T2)는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의 와이어 턴 수(T1)보다 크게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의 와이어 턴 수(T1)보다 크되 4.0 내지 7.5 범위의 턴 수로 형성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바이어스 스프링(520)의 와이어 선경(Φ2)이 0.15mm 내지 0.25mm이고, 와이어 턴 수가 5.0 내지 6.0일 때, 정확한 동작온도 특성 및 정격전류 특성을 나타냄을 실험으로 확인하였다.More specifically, the bias spring 520 is made of a SUS-based stainless steel (for example, SUS304), and at least any one of Ni, Cu, Ag, Au, and Sn on the stainless steel to adjust electrical resistance. One can be used by plating. In addition, the wire diameter of the bias spring (Φ2) is formed from 0.10mm to 0.30mm. In addition, the bias spring 52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il shape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510, the wire turn number (T2) is formed larger than the wire turn number (T1)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 Preferably, it is larger than the number of wire turns T1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but is formed with a number of turns in the range of 4.0 to 7.5. More preferably, when the wire diameter (Φ2) of the bias spring 520 is 0.15mm to 0.25mm, and the number of wire turns is 5.0 to 6.0, it was confirmed by experiment that the accurate operating temperature characteristics and rated current characteristics.

상기 바이어스 스프링(520)의 외경(OD2)은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의 경우와 유사한 이유로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의 외경(OD1)과 비슷한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uter diameter OD2 of the bias spring 520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size similar to the outer diameter OD1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for the same reason as that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510.

또한, 상기 바이어스 스프링(520)의 적정한 탄성을 확보하기 위해 피치 간격(P2)은 1.00mm 내지 1.50mm가 되도록 하고, 그 높이(H2)는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의 높이(H1)보다 대략 20% 내지 25% 정도 높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order to secure the proper elasticity of the bias spring 520, the pitch interval (P2) is 1.00mm to 1.50mm, the height (H2) is approximately 20% to the height (H1)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It is preferable to form about 25% high.

상기에서와 같이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의 와이어 선경(Φ1), 턴 수(T1), 외경(OD1), 피치(P1) 및 높이(H1)와 바이어스 스프링(520)의 와이어 선경(Φ2), 턴 수(T2), 외경(OD2), 피치(P2) 및 높이(H2)를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2A 내지 20A 사이의 정격전류를 갖는 반복형 퓨즈를 제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ire wire diameter Φ1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510, the number of turns T1, the outer diameter OD1, the pitch P1, and the height H1 and the wire wire diameter Φ2 of the bias spring 520. By suitably combining the number of turns T2, the outer diameter OD2, the pitch P2, and the height H2, a repeatable fuse having a rated current between 2A and 20A can be manufactured.

또한, 전이 온도가 다른 종류의 형상기억합금을 사용하여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 제조하면 형상기억합금 스프링 및 바이어스 스프링(510, 520)의 와이어 선경(Φ1, Φ2), 턴 수(T1, T2), 외경(OD1, OD2), 피치(P1, P2) 및 높이(H1, H2)를 변경하지 않고도, 75도, 95도, 115도 등 다양한 온도에서 동작 가능한 반복형 퓨즈를 제조할 수 있다. 즉, 동작온도의 변경은 형상기억합금의 조성을 달리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되는 바이어스 스프링(520)의 선경(Φ2)은 동작온도 별로 조금씩 다르게 설계된다. 예를 들면, 95도용은 75도용에 비해 약 5~12% 감소된 선경을 사용할 수 있으며, 115도용은 95도용에 비해 약 5~12% 감소된 선경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510 is manufactured using a shape memory alloy having a different transition temperature, wire wire diameters Φ1 and Φ2 and the number of turns T1 and T2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s and the bias springs 510 and 520 may be used. ), The outer diameter OD1, OD2, the pitch (P1, P2) and the height (H1, H2) without changing the repeatable fuse can be manufactured at various temperatures, such as 75 degrees, 95 degrees, 115 degrees. That is, the change of the operating temperature may be implemented by changing the composition of the shape memory alloy, and the wire diameter Φ 2 of the bias spring 520 corresponding thereto is designed slightly different for each operating temperature. For example, 95 degrees can use about 5-12% less wire diameter compared to 75 degrees, 115 degrees can use about 5-12% reduced wire diameter than 95 degrees.

상기와 같은 설계 치수의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 및 바이어스 스프링(520)을 사용하면, 직경(사각형인 경우에는 가로, 세로의 길이)이 약 1.5mm이고 길이가 약 4mm인 초소형 반복형 퓨즈를 제조할 수 있다. 정격전류가 20A인 대전류 용량인 경우에도, 직경(사각형인 경우에는 가로, 세로의 길이)이 약 4.5mm이고 길이가 약 10mm 이하인 소형의 반복형 퓨즈를 제조할 수 있다.
By using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510 and the bias spring 520 of the design dimensions as described above, a very small repetitive fuse having a diameter of about 1.5 mm and a length of about 4 mm in length (in the case of a square) is manufactured. can do. Even in the case of a large current capacity having a rated current of 20 A, a small sized repeatable fuse having a diameter of about 4.5 mm and a length of about 10 mm or less can be produced.

상기에서 언급된 수치들의 기술적 의미에 대해서는 하기 실험예들을 통해 설명한다. 하기의 실험예들에서 '◎'는 '우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동작온도 센터값 근처에서 아주 양호하게 작동하는 것을 뜻한다. 또한, '○'는 '양호'를 의미하는 것으로, 동작온도 범위 편차가 ±5도 범위에서 발생하여, 센터값 근처에서 비교적 양호하게 작동하는 것을 뜻한다. '△'는 '보통'을 의미하는 것으로, 동작온도의 범위 편차가 다소 크게 발생하고 정격전류가 불안정하나 사용 가능한 것을 뜻한다. '×'는 '동작 불능'을 의미하는 것으로, 동작온도가 너무 높거나 전혀 동작하지 않는 것을 뜻한다. 정격전류는 상온에서 장시간 안정적으로 흘릴 수 있는 전류용량으로 실제 퓨즈가 동작(반복형 퓨즈가 아닌 경우, 퓨즈가 끊어지는)하는 차단전류는 정격전류의 2~3배 정도이다.
The technical meaning of the above-mentioned numerical values will be described through the following experimental examples. In the following experimental examples, '◎' means 'excellent', and means that it works very well near the operating temperature center value. In addition, "○" means "good", the deviation in the operating temperature range occurs within ± 5 degrees, which means that it operates relatively well near the center value. '△' means 'normal', which means that the range deviation of the operating temperature is rather large and the rated current is unstable, but it can be used. '×' means 'inoperation', which means that the operating temperature is too high or not working at all. The rated current is a current capacity that can flow stably at room temperature for a long time. The breaking current at which the actual fuse operates (if the fuse is not a repeated fuse) is about 2 to 3 times the rated current.

실험예1Experimental Example 1

75도(±5도)의 동작온도 특성을 갖는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에 대해 와이어 선경(Φ1) 및 턴수(T1)를 변경하여 수차례 반복 실험해본 결과, 아래 [표 2]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The wire diameter (Φ1) and the number of turns (T1)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510 having an operating temperature characteristic of 75 degrees (± 5 degrees) were repeated several times, and the results as shown in [Table 2] below. Could get

정격전류 2A급의 소용량 특성을 갖는 반복형 퓨즈 제조 실험Experiment of manufacturing repeated fuse with small capacity of rated current 2A 와이어 선경(Φ1)Wire diameter (Φ1) 턴 수(T1)Turns (T1) 동작온도 시험결과Operating temperature test result 정격전류Rated current 0.20mm0.20mm 3.53.5 2A 가능2A available 0.20mm0.20mm 4.04.0 2A 가능2A available 0.20mm0.20mm 4.54.5 2A 가능2A available 0.15mm0.15mm 3.03.0 ×× -- 0.15mm0.15mm 3.53.5 2A 가능, 불안정2A possible, unstable 0.15mm0.15mm 4.04.0 2A 가능, 불안정2A possible, unstable 0.15mm0.15mm 4.54.5 2A 가능, 불안정2A possible, unstable 0.15mm 미만Less than 0.15mm 스프링으로 가공불가 혹은 탄성이 거의 없음 Inability to process or almost no elasticity with spring

상기 [표 2]에 의하면,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의 와이어 선경(Φ1)이 0.15mm 미만인 경우, 스프링 가공이 불가능하거나 가공되어도 스프링 탄성이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Table 2], when the wire diameter (Φ1)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510 is less than 0.15mm, it can be seen that the spring elasticity is almost impossible even if the spring processing is impossible or processed.

와이어 선경(Φ1)이 0.15mm이며, 턴 수(T1)가 3.5, 4.5인 경우, 동작온도의 범위 편차가 다소 크게 발생하고, 정격전류가 불안정하나 직경이 약 1.5mm이고 길이는 약 4mm 정도의 소형의 크기로 제조되어도 사용 가능함('보통')을 알 수 있다.When the wire diameter (Φ1) is 0.15mm and the number of turns (T1) is 3.5 and 4.5, the range deviation of the operating temperature occurs slightly, and the rated current is unstable, but the diameter is about 1.5mm and the length is about 4mm. It can be seen that it can be used ('ordinary') even when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그리고, 와이어 선경(Φ1)이 0.15mm이며, 턴 수(T1)가 4인 경우, 동작온도 범위 편차가 ±5도 범위에서 발생하여, 센터값 근처에서 비교적 양호하게 작동함('양호')을 알 수 있다.When the wire diameter Φ 1 is 0.15 mm and the number of turns T 1 is 4, the deviation of the operating temperature range occurs in the range of ± 5 degrees, and it operates relatively well near the center value ('good'). Able to know.

와이어 선경(Φ1)이 0.20mm인 경우, 정격전류 2A에서 사용 가능하고, 또한 턴 수(T1)가 3.5, 4.5인 경우, '양호'하게 동작하며, 턴 수(T1)가 4.0인 경우, 동작온도 센터값 근처에서 아주 양호하게 작동('우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When wire diameter Φ1 is 0.20mm, it can be used at rated current 2A, and when the number of turns T1 is 3.5 and 4.5, it operates 'good', and when the number of turns T1 is 4.0 It can be seen that it works very well ('good') near the temperature center value.

실험예2Experimental Example 2

95도(±5도)의 동작온도 특성을 갖는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에 대해 와이어 선경(Φ1) 및 턴수(T1)를 변경하여 수차례 반복 실험해본 결과, 아래 [표 3]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The wire memory diameter (Φ1) and the number of turns (T1)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510 having an operating temperature characteristic of 95 degrees (± 5 degrees) was repeated several times, and the results as shown in [Table 3] below. Could get

정격전류 10A급의 중용량 특성을 갖는 반복형 퓨즈 제조 실험Experiment of manufacturing repeated fuse with medium capacity of rated current 10A 와이어 선경(Φ1)Wire diameter (Φ1) 턴 수(T1)Turns (T1) 동작온도 시험결과Operating temperature test result 정격전류Rated current 0.35mm0.35mm 5.05.0 10A 가능10A available 0.35mm0.35mm 5.55.5 10A 가능10A available 0.35mm0.35mm 6.06.0 10A 가능10A available 0.40mm0.40mm 5.55.5 10A 이상, 불안정10 A or more, unstable 0.40mm0.40mm 6.06.0 10A 이상, 불안정10 A or more, unstable 0.40mm0.40mm 7.07.0 10A 이상, 불안정10 A or more, unstable

상기 [표 3]에 의하면,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의 와이어 선경(Φ1)이 0.35mm인 경우, 정격전류 10A에 대해 사용 가능함을 알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Table 3], when the wire diameter (Φ1)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510 is 0.35mm, it can be seen that it can be used for the rated current 10A.

특히, 와이어 선경(Φ1)이 0.35mm이며, 턴 수(T1)가 5.0, 6.0인 경우, '양호'하게 작동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와이어 선경(Φ1)이 0.35mm이며, 턴 수(T1)가 5.5인 경우, '우수'하게 작동함을 알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wire diameter (Φ1) is 0.35mm, the number of turns (T1) is 5.0, 6.0, it can be seen that it works 'good'. In addition, when the wire diameter Φ 1 is 0.35 mm and the number of turns T1 is 5.5, it can be seen that it works 'excellent'.

한편, 와이어 선경(Φ1)이 0.40mm인 경우, 정격전류 10A이상에 대해 불안정하게 사용 가능함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ire diameter (Φ1) is 0.40mm, it can be seen that it can be used unstable for the rated current 10A or more.

특히, 와이어 선경(Φ1)이 0.40mm이며, 턴 수(T1)가 5.5, 7.0인 경우, '보통'으로 동작하며, 턴 수(T1)가 6.0인 경우, '우수'하게 동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wire diameter (Φ1) is 0.40mm, and the number of turns (T1) is 5.5, 7.0, the operation is 'normal', and when the number of turns (T1) is 6.0, it can be seen that the operation is 'excellent'. have.

실험예3Experimental Example 3

115도(±5도)의 동작온도 특성을 갖는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에 대해 와이어 선경(Φ1) 및 턴수(T1)를 변경하여 수차례 반복 실험해본 결과, 아래 [표 4]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The wire memory diameter (Φ1) and the number of turns (T1)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510 having an operating temperature characteristic of 115 degrees (± 5 degrees) was repeated several times, and the results as shown in Table 4 below. Could get

정격전류 20A급의 대용량 특성을 갖는 반복형 퓨즈 제조 실험Experiment of manufacturing repeated fuse with large capacity of rated current 20A 와이어 선경(Φ1)Wire diameter (Φ1) 턴 수(T1)Turns (T1) 동작온도 시험결과Operating temperature test result 정격전류Rated current 0.40mm0.40mm 6.06.0 20A 가능20A available 0.40mm0.40mm 6.56.5 20A 가능20A available 0.40mm0.40mm 7.07.0 20A 가능20A available 0.50mm0.50mm 6.56.5 20A 이상, 불안정20A or more, unstable 0.50mm0.50mm 7.07.0 20A 이상, 불안정20A or more, unstable 0.50mm0.50mm 7.57.5 20A 이상, 불안정20A or more, unstable 0.50mm 초과More than 0.50mm 제조 가능하나 부품 크기가 직경 4.5mm, 길이 10mm를 초과함Can be manufactured, but the part size exceeds 4.5mm in diameter and 10mm in length

상기 [표 4]에 의하면,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의 와이어 선경(Φ1)이 0.50mm를 초과하는 경우, 스프링 가공도 가능하고 유효한 정격전류를 얻을 수 있으나, 이에 의해 제조된 퓨즈의 크기는 직경(사각형인 경우에는 가로, 세로의 길이)이 4.5mm를 초과하고, 길이가 10mm를 초과하여 부품 소형화가 어려움을 알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Table 4], when the wire diameter Φ1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510 exceeds 0.50 mm, spring processing is possible and an effective rated current can be obtained, but the size of the manufactured fuse is It is difficult to miniaturize parts because the diameter (length in the case of a rectangle, the length of the width and length) exceeds 4.5mm and the length exceeds 10mm.

한편, 와이어 선경(Φ1)이 0.40mm인 경우, 정격전류 20A에 대해 사용 가능함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ire diameter (Φ1) is 0.40mm, it can be seen that can be used for the rated current 20A.

특히, 와이어 선경(Φ1)이 0.40mm이며, 턴 수(T1)가 6.0, 7.0인 경우, '양호'하게 작동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와이어 선경(Φ1)이 0.40mm이며, 턴 수(T1)가 6.5인 경우, '우수'하게 작동함을 알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wire diameter (Φ1) is 0.40mm, the number of turns (T1) is 6.0, 7.0, it can be seen that it works 'good'. In addition, when the wire diameter Φ 1 is 0.40 mm and the turn number T 1 is 6.5, it can be seen that it works 'excellent'.

한편, 와이어 선경(Φ1)이 0.50mm인 경우, 정격전류 20A이상에 대해 불안정하게 사용 가능함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ire diameter (Φ1) is 0.50mm, it can be seen that it can be used unstable for the rated current 20A or more.

특히, 와이어 선경(Φ1)이 0.50mm이며, 턴 수(T1)가 6.5, 7.5인 경우, '보통'으로 동작하며, 턴 수(T1)가 7.0인 경우, '우수'하게 동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wire diameter (Φ1) is 0.50mm, and the number of turns (T1) is 6.5, 7.5, the operation is 'normal', and when the number of turns (T1) is 7.0, it can be seen that the operation 'excellent'. have.

바이어스 스프링(520)의 경우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의 설계 치수가 정해지면, 그 장력에 대응되는 장력을 갖도록 설계되므로, 그 상기 바이어스 스프링(520)의 설계 치수로서, 스프링 외경(OD2)은 하우징(100)과의 조립을 위해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의 외경(OD1) 이하이다. 또한, 기본적인 조립상태가 바이어스 스프링의 장력이 발휘되어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을 억제하고 있어야 하므로, 스프링 턴수(Φ2)는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의 턴 수(T1) 보다 다소 높아야 한다. 이와같은 조건 하에, 바이어스 스프링(520)의 선경(Φ2)의 변경 가능 범위는 좁아진다.
In the case of the bias spring 520, when the design dimension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510 is determined, it is designed to have a tension corresponding to the tension, and as a design dimension of the bias spring 520, the spring outer diameter OD2 is I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outer diameter OD1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510 for assembly with the housing 100. Further, since the basic assembly state is to exert the tension of the bias spring to suppress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the spring turn number Φ 2 should be somewhat higher than the turn number T 1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510. Under such conditions, the changeable range of the wire diameter .phi.2 of the bias spring 520 is narrowed.

상기 실험예들을 바탕으로 하여 제조 가능하거나, 최적의 동작특성을 갖는 반복형 퓨즈 제조를 위한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 및 바이어스 스프링(520)의 와이어 조건을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하였다.5 to 8 illustrate wire conditions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510 and the bias spring 520 for the manufacture of a repetitive fuse having the optimum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manufacturing based on the experimental examples.

도 5는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의 와이어 선경(Φ1)에 따른 반복형 퓨즈의 동작 특성을 도시한 도이다.5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repetitive fuse according to the wire diameter (Φ1)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도 5에서 A1 영역은 와이어 선경(Φ1)이 0.15mm 미만인 영역으로 스프링 가공이 불가능하거나 가공되어도 스프링 탄성이 거의 없어서 동작특성이 나타나지 않는 영역이다. B1 영역은 와이어 선경이 0.15mm 내지 0.20mm인 영역이고, D1 영역은 와이어 선경이 0.40mm 내지 0.50mm인 영역으로 동작온도 범위의 편차가 다소 있으나, 동작 가능한 영역이다. C1 영역은 와이어 선경이 0.20mm 내지 0.40mm인 영역으로 동작온도 센터값 근처에서 동작온도 범위의 편차가 작아서, 아주 양호하게 작동되는 최적의 동작특성을 보이는 영역이다. 따라서,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의 와이어 선경(Φ1)이 0.15mm 내지 0.50mm인 경우, 소형으로도 동작 가능한 반복형 퓨즈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경이 약 1.5mm이고 길이는 약 4mm 정도의 소형의 크기로 제조되어도 동작이 가능한 반복형 퓨즈를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와이어 선경(Φ1)이 0.20mm 내지 0.40mm인 경우, 최적의 동작특성을 갖는 소형 반복형 퓨즈를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In FIG. 5, the A1 region is a region where the wire diameter Φ 1 is less than 0.15 mm, and the spring is impossible or the spring elasticity is almost eliminated even when the wire is processed. The area B1 is an area in which wire wire diameters are 0.15 mm to 0.20 mm, and the area D1 is an area in which wire wire diameters are 0.40 mm to 0.50 mm. The C1 region is a region in which wire diameter is 0.20 mm to 0.40 mm, and the deviation of the operating temperature range is small near the operating temperature center value, and thus the optimum operating characteristics are exhibited. Therefore, when the wire diameter Φ 1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510 is 0.15 mm to 0.50 mm,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repeatable fuse that can be operated in a small size.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repeatable fuse that can operate even when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of about 1.5 mm in diameter and about 4 mm in length. In particular, when the wire diameter (Φ1) is 0.20mm to 0.40mm, it can be seen that a small repeating fuse having an optimal operating characteristic can be manufactured.

도 6은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의 와이어 턴 수(T1)에 따른 반복형 퓨즈의 동작 특성을 도시한 도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characteristic of a repetitive fuse according to the number of wire turns T1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도 6에서 A2 영역은 와이어 턴 수(T1)가 3.5 미만인 영역으로 유효 턴 수를 확보하지 못하여, 탄성 부족으로 동작특성이 나타나지 않는 영역이다. B2 영역은 와이어 턴 수가 3.5 내지 4.0인 영역이고, D2 영역은 와이어 턴 수가 6.5 내지 7.0인 영역으로 동작온도 범위의 편차가 다소 있으나, 소형화시에도 동작 가능한 영역이다. C2 영역은 와이어 턴 수가 4.0 내지 6.5인 영역으로 동작온도 센터값 근처에서 동작온도 범위의 편차가 작아서, 아주 양호하게 작동되는 최적의 동작특성을 보이는 영역이다. 따라서,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의 와이어 턴 수(T1)가 3.5 내지 7.0인 경우, 소형으로 동작이 가능한 반복형 퓨즈를 제조할 수 있으며, 특히 와이어 턴 수(T1)가 4.0 내지 6.5인 경우, 최적의 동작특성을 갖는 반복형 퓨즈를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In FIG. 6, the area A2 is an area where the number of wire turns T1 is less than 3.5, and thus the effective number of turns is not secured, and thus, an operation characteristic does not appear due to insufficient elasticity. The area B2 is an area of 3.5 to 4.0 wire turns, and the area D2 is an area of 6.5 to 7.0 wire turns, but the operating temperature range is somewhat different. The C2 region is a region in which the number of wire turns is 4.0 to 6.5, and the deviation of the operating temperature range is small near the operating temperature center value, and thus the optimum operating characteristic is exhibited. Therefore, when the wire turn number T1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510 is 3.5 to 7.0,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repeatable fuse which can be operated in a small size, especially when the wire turn number T1 is 4.0 to 6.5, It can be seen that a repeatable fuse having an optimal operating characteristic can be manufactured.

도 7은 바이어스 스프링의 와이어 선경(Φ2)에 따른 반복형 퓨즈의 동작 특성을 도시한 도이다.FIG. 7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repetitive fuse according to the wire diameter Φ 2 of the bias spring.

전술한 바와 같이, 바이어스 스프링(520)은 먼저 설계되는 형상기억합금 스프링(510)에 대해 대응하는 장력을 얻기 위해 설계된다.As described above, the bias spring 520 is designed to obtain a corresponding tension with respect to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510 that is designed first.

도 7에서 A3 영역은 와이어 선경(Φ2)이 0.10mm 미만인 영역으로 스프링 가공이 불가능하거나 가공되어도 스프링 탄성이 거의 없어서 동작특성이 나타나지 않는 영역이다. B3 영역은 와이어 선경이 0.10mm 내지 0.15mm인 영역이고, D3 영역은 와이어 선경이 0.25mm 내지 0.30mm인 영역으로 동작온도 범위의 편차가 다소 있으나, 소형화시에도 동작 가능한 영역이다. C3 영역은 와이어 선경이 0.15mm 내지 0.25mm인 영역으로 동작온도 센터값 근처에서 동작온도 범위의 편차가 작아서, 아주 양호하게 작동되는 최적의 동작특성을 보이는 영역이다. 따라서, 바이어스 스프링(520)의 와이어 선경(Φ2)이 0.10mm 내지 0.30mm인 경우, 소형화시에도 동작이 가능한 반복형 퓨즈를 제조할 수 있으며, 특히 와이어 선경(Φ2)이 0.15mm 내지 0.25mm인 경우, 최적의 동작특성을 갖는 반복형 퓨즈를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In FIG. 7, the area A3 is an area where the wire diameter Φ 2 is less than 0.10 mm, and a spring operation is impossible or the spring elasticity is scarce even when the wire is processed. The area B3 is a wire wire diameter of 0.10mm to 0.15mm, and the area D3 is a wire wire diameter of 0.25mm to 0.30mm, but the operating temperature range is somewhat different. The C3 region is a region in which wire wire diameters are 0.15 mm to 0.25 mm, and the deviation of the operating temperature range is small near the operating temperature center value, and thus the optimum operating characteristics are exhibited. Therefore, when the wire diameter Φ 2 of the bias spring 520 is 0.10 mm to 0.30 mm,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repeatable fuse that can be operated even when miniaturized, and particularly when the wire diameter Φ 2 is 0.15 mm to 0.25 mm. It can be seen that a repeatable fuse having an optimal operating characteristic can be manufactured.

도 8은 바이어스 스프링의 와이어 턴 수(T2)에 따른 반복형 퓨즈의 동작 특성을 도시한 도이다.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ng characteristic of the repetitive fuse according to the wire turn number T2 of the bias spring.

도 8에서 A4 영역은 와이어 턴 수(T2)가 4.0 미만인 영역으로 유효 턴 수를 확보하지 못하여, 탄성 부족으로 동작특성이 나타나지 않는 영역이다. B4 영역은 와이어 턴 수가 4.0 내지 5.0인 영역이고, D4 영역은 와이어 턴 수가 6.0 내지 7.0인 영역으로 동작온도 범위의 편차가 다소 있으나, 소형화시에도 동작 가능한 영역이다. C4 영역은 와이어 턴 수가 5.0 내지 6.0인 영역으로 동작온도 센터값 근처에서 동작온도 범위의 편차가 작아서, 아주 양호하게 작동되는 최적의 동작특성을 보이는 영역이다. 따라서, 바이어스 스프링(510)의 와이어 턴 수(T2)가 4.0 내지 7.0인 경우, 소형화시에도 동작이 가능한 반복형 퓨즈를 제조할 수 있으며, 특히 와이어 턴 수(T2)가 5.0 내지 6.0인 경우, 최적의 동작특성을 갖는 반복형 퓨즈를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In FIG. 8, the A4 region is a region in which the wire turn number T2 is less than 4.0, and thus the effective turn number is not secured, and thus the operation characteristic does not appear due to lack of elasticity. The B4 region is an area having a wire turn number of 4.0 to 5.0, and the D4 region is an area having a wire turn number of 6.0 to 7.0, but the operating temperature range is somewhat different. The C4 region is a region in which the number of wire turns is 5.0 to 6.0, and the deviation of the operating temperature range is small near the operating temperature center value, and thus the optimum operating characteristics are exhibited. Therefore, when the number of wire turns T2 of the bias spring 510 is 4.0 to 7.0,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repeatable fuse that can be operated even when downsizing, and particularly, when the number of turns of wires T2 is 5.0 to 6.0, optimally. It can be seen that a repeatable fuse having an operating characteristic of can be manufactur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복형 퓨즈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llustrating a repeating f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it is various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urse, modifications can be made.

100 : 하우징 120 : 걸림턱
200 : 제1 리드 단자 300 : 제2 리드 단자
400 : 스핀들 410 : 지지부
510 : 형상기억합금 스프링 520 : 바이어스 스프링
Φ1, Φ2 : 와이어 선경 T1, T2 : 와이어 턴 수
P1, P2 : 와이어 피치 H1, H2 : 와이어 높이
100: housing 120: locking jaw
200: first lead terminal 300: second lead terminal
400: spindle 410: support
510: shape memory alloy spring 520: bias spring
Φ1, Φ2: Wire diameter T1, T2: Number of wire turns
P1, P2: Wire Pitch H1, H2: Wire Height

Claims (12)

형상기억합금 스프링과, 바이어스 스프링을 포함하는 반복형 퓨즈로서,
상기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은 그 와이어 선경이 0.15mm 내지 0.50mm인 코일 형상으로 형성되고, 와이어 턴 수는 3.5 내지 7.0인 반복형 퓨즈.
An iterative fuse comprising a shape memory alloy spring and a bias spring,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is formed in a coil shape whose wire diameter is 0.15 mm to 0.50 mm, and the number of wire turns is 3.5 to 7.0 repeated fus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은 그 와이어 선경이 0.2mm 내지 0.40mm이고, 와이어 턴 수는 4.0 내지 6.5인 반복형 퓨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has a wire diameter of 0.2 mm to 0.40 mm, and the number of wire turns is 4.0 to 6.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의 외경은 상기 와이어 선경의 7.0 내지 8.5배의 크기로 형성되는 반복형 퓨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 outer diameter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is formed of a size of 7.0 to 8.5 times the wire diameter of the repeating fus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의 평균 피치 간격은 1.0mm 내지 1.5mm인 반복형 퓨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An average pitch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is 1.0mm to 1.5mm repetitive fus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스프링의 와이어 선경은 상기 형상기억합금 스프링 와이어 선경의 60% 내지 65%의 길이를 갖는 반복형 퓨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 diameter of the bias spring is a repetitive fuse having a length of 60% to 65%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wire diameter.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스프링의 와이어 선경은 0.10mm 내지 0.30mm이고, 와이어 턴 수는 상기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의 와이어 턴 수보다 크며, 4.0 내지 7.5인 반복형 퓨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wire diameter of the bias spring is 0.10mm to 0.30mm, the number of wire turns is larger than the number of wire turns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4.0 to 7.5 repetitive fus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스프링은 그 와이어 선경이 0.15mm 내지 0.25mm이고, 와이어 턴 수는 5.0 내지 6.0인 반복형 퓨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bias spring has a wire diameter of 0.15 mm to 0.25 mm and the number of wire turns is 5.0 to 6.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스프링의 평균 피치 간격은 1.0mm 내지 1.5mm인 반복형 퓨즈.
The method of claim 7,
The average pitch of the bias spring is a repeatable fuse of 1.0mm to 1.5mm.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7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스프링 높이는 상기 형상기억합금 스프링 높이의 120% 내지 125%의 크기로 형성되는 반복형 퓨즈.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or 2, 4 to 7,
The bias spring height is a repetitive fuse is formed in the size of 120% to 125% of the height of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7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은 니켈(Ni)과 티타늄(Ti)을 포함하는 합금인 반복형 퓨즈.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or 2, 4 to 7,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is a repetitive fuse is an alloy containing nickel (Ni) and titanium (Ti).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은 코발트(Co), 몰리브덴(Mo), 텅스텐(W), 크롬(C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반복형 퓨즈.
The method of claim 10,
The shape memory alloy spring comprises at least one of cobalt (Co), molybdenum (Mo), tungsten (W), chromium (Cr).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7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스프링은 SUS계 스텐레스강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텐레스강 위에 Ni, Cu, Ag, Au, S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도금하여 제조한 반복형 퓨즈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or 2, 4 to 7,
The bias spring is made of a SUS stainless steel material, the repetitive fuse manufactured by plating at least one of Ni, Cu, Ag, Au, Sn on the stainless steel
KR1020120096959A 2012-09-03 2012-09-03 Repeatable fuse Withdrawn KR2012011518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959A KR20120115188A (en) 2012-09-03 2012-09-03 Repeatable f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959A KR20120115188A (en) 2012-09-03 2012-09-03 Repeatable fus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8282A Division KR20120026201A (en) 2010-09-09 2010-09-09 Repeatable fu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188A true KR20120115188A (en) 2012-10-17

Family

ID=47284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6959A Withdrawn KR20120115188A (en) 2012-09-03 2012-09-03 Repeatable fu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518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287B1 (en) * 2022-10-25 2023-05-02 주식회사 엔디트레이딩 Manufacturing method of ultra-precise repeatable temperature fuse with shape memory alloy applie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287B1 (en) * 2022-10-25 2023-05-02 주식회사 엔디트레이딩 Manufacturing method of ultra-precise repeatable temperature fuse with shape memory alloy appli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94965B (en) Composite protective component for shutting off overcurrent and absorbing surge
TWI471888B (en) Repeatable fuse for preventing over-current
US9443688B2 (en) Fuse providing overcurrent and thermal protection
US11555831B2 (en) Resistors, current sense resistors, battery shunts, shunt resistors, and methods of making
DE112007002532B4 (en) temperature switch
US8547196B2 (en) Thermally responsive switch
KR20120016952A (en) Repetitive Fuse
KR20120026201A (en) Repeatable fuse
JP6491409B2 (en) Contact and semiconductor test equipment
KR20120115188A (en) Repeatable fuse
JP5805102B2 (en) Connecting terminal
KR20150066697A (en) Complex fuse for preventing over-heating and over-current
JP6212317B2 (en) Fuse and method for adjusting fusing characteristics of fuse
KR100912215B1 (en) Repetitive fuse
CN111128493B (en) Fuse resistor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JP5547506B2 (en) fuse
CN1404084A (en) Spring touch finger for high-voltage switch and its manufacture
KR101266822B1 (en) Platlike repeatable fuse
WO2015177925A1 (en) Heat-reactive switch
US3373396A (en) Variable resistance device
JP5878651B2 (en) Chip fus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60336098A1 (en) High-power compact electrical resistor
KR20230093783A (en) A variable capacity fuse
RU2003126288A (en) ELECTRIC HEATING ELEMENT
JP2002093304A (en) Fuse, fus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903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