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4710A - 쇼핑카트 손잡이용 위생 시트 - Google Patents

쇼핑카트 손잡이용 위생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4710A
KR20120114710A KR1020110032411A KR20110032411A KR20120114710A KR 20120114710 A KR20120114710 A KR 20120114710A KR 1020110032411 A KR1020110032411 A KR 1020110032411A KR 20110032411 A KR20110032411 A KR 20110032411A KR 20120114710 A KR20120114710 A KR 20120114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shopping cart
handle
sanitary
adhesiv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2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중
Original Assignee
김형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중 filed Critical 김형중
Priority to KR1020110032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4710A/ko
Publication of KR20120114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47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B62B5/069Removable sleeves on handle bars, e.g. for protection against ge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501/00Manufacturing; Constructional features
    • B62B2501/06Materials used
    • B62B2501/062Cardboard or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쇼핑카트의 손잡이봉에 두루마리 형태로 감아 사용하는 쇼핑카트 의 손잡이용 위생 커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쇼핑카트 손잡이용 위생 시트{sanitation sheet for shopping cart handle}
본 발명은 쇼핑카트의 손잡이봉에 두루마리 형태로 감아 사용하는 쇼핑카트의 손잡이용 위생 커버에 관한 것이다.
마트나 백화점과 같은 공공 장소에서는 쇼핑카트를 끌고 다니면서 시장을 보는데, 여러 사람이 쇼핑카트의 손잡이를 잡고 사용하는 관계로 그 위생환경이 불결할 우려가 있어, 사용을 꺼리는 경우가 있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쇼핑카트의 손잡이봉에 간단히 씌워 위생적으로 잡고 사용할 수 있는 쇼핑카트 손잡이용 위생 시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쇼핑카트 손잡이용 위생 시트는,
쇼핑카트의 손잡이봉에 감기는 일회용 위생 시트로서, 일단과 타단을 갖는 시트; 상기 시트의 일단측 이면에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봉에 점착되는 제1점착부; 상기 시트의 타단측 이면에 형성되어, 상기 시트의 표면에 점착되는 제2점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점착부는 적어도 상기 시트의 타단과 상기 제1점착부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시트의 타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손잡이봉에 위생 시트를 씌운 상태에서 사용한 후 버리기 때문에 손 위생이 청결하다.
또한, 제2점착부가 상기 시트의 타단과 상기 제1점착부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잡을 수 있는 파지부를 형성하여 다 사용한 후 벗길 때 편리하다.
특히 제1점착부가 손잡이봉에 점착되어 있기 때문에, 파지부를 잡고 벗길 때 감긴 시트가 헛돌지 않아 쉽게 벗겨낼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카트 손잡이용 위생시트를 손잡이봉에 감기 전과 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벗겨낼 때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쇼핑카트 손잡이용 위생시트를 손잡이봉에 감기 전과 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카트 손잡이용 위생시트를 손잡이봉에 감기 전과 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벗겨낼 때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쇼핑카트의 손잡이용 위생 시트(1)는 양단(11)(13)을 갖는 시트(10)와, 시트(10)의 이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점착부(30)와 제2점착부(50)를 포함한다.
시트(10)는 두루마리 형태로 잘 말리고 1회용으로 저렴한 종이 재질이 바람직하다.
또한, 시트(10)의 폭(W)은 손잡이봉(R)의 사이즈와 같거나 약간 짧게 형성되어 있다.
제1점착부(30)는 손잡이봉(R)에 점착되는 구성으로서, 시트(10)의 일단(11)측 이면(15)에 최대한 가까이 위치시키는 것이 감을 때 편리하다.
제2점착부(50)는 시트(10)의 표면(17)에 점착되는 구성으로서, 시트(10)를 손잡이봉(R)에 두루마리 형태로 감긴 형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제2점착부(50)는 제1점착부(30)와 시트(10)의 타단(13) 사이에 위치, 보다 정확히는 도 1과 같이 시트(10)의 타단(13)으로부터 약간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10)의 타단(13)으로부터 이격된 위치는 도 3과 같이, 다 사용한 후 벗겨낼 때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파지부(19)(즉 점착부분이 없어 손가락으로 살짝 들어올리면 쉽게 잡을 수 있는 부분)의 역할을 하여 손쉽게 벗겨낼 수 있다.
제1점착부(30)의 점착력은 손잡이봉(R)에서 잘 붙고 떨어질 정도의 점착력이면 좋은데, 포스트 잇 정도의 점착력 정도이면 충분하다.
제2점착부(50)는 시트(10)의 표면에 붙을 정도면 충분하고, 벗겨낼 때 시트(10)가 찢어져도 무방하기 때문에 제1점착부(30)의 점착력과 같은 정도로 하면 충분하다.
제1점착부(30)와 제2점착부(50)의 시트(10)의 폭(W) 방향으로 띠 형태로 점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 및 도 5와 같이 두 개로 분할하여 위생 시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위생시트(1')는 전술한 위생시트(1)와 그 구성 및 기능이 유사하지만, 폭이 짧고 길이방향으로 절취선(70)이 더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양쪽 손으로 잡을 정도의 크기만 필요하기 때문에, 시트(10')의 폭(w)은 위생시트(1)의 폭(W)보다 작게 하여도 사용하는 데 지장이 없어 재료비를 절감한다.
또한, 절취선(70)을 절취하여 분리된 시트(10'') 2개를 도 5와 같이 손잡이봉(R)에 감아 부착한 위생시트(10'')들은 제1점착부(30)가 손잡이봉(R)에 점착되어 있어 손잡이봉(R)을 따라 미끄러져 위치가 바뀔 우려가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1,1',1'' : 위생시트 10,10',10'' : 시트
11 : 시트 일단 13 : 시트 타단
15 : 시트 이면 17 : 시트 표면
19 : 파지부 30 : 제1점착부
50 : 제2점착부 70 : 절취선
R : 손잡이봉

Claims (1)

  1. 쇼핑카트의 손잡이봉에 감기는 일회용 위생 시트로서,
    일단과 타단을 갖는 시트;
    상기 시트의 일단측 이면에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봉에 점착되는 제1점착부;
    상기 시트의 타단측 이면에 형성되어, 상기 시트의 표면에 점착되는 제2점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점착부는 적어도 상기 시트의 타단과 상기 제1점착부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시트의 타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쇼핑카트 손잡이용 위생 시트.
KR1020110032411A 2011-04-08 2011-04-08 쇼핑카트 손잡이용 위생 시트 KR201201147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411A KR20120114710A (ko) 2011-04-08 2011-04-08 쇼핑카트 손잡이용 위생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411A KR20120114710A (ko) 2011-04-08 2011-04-08 쇼핑카트 손잡이용 위생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710A true KR20120114710A (ko) 2012-10-17

Family

ID=47283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2411A KR20120114710A (ko) 2011-04-08 2011-04-08 쇼핑카트 손잡이용 위생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471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20102869U1 (de) 2020-05-19 2020-06-08 Karl Roberto Axmann Schutzvorrichtung für Griffe
DE202020103293U1 (de) 2020-06-08 2020-06-19 Karl Roberto Axmann Schutzvorrichtung für Griffe
DE102020113552B3 (de) 2020-05-19 2021-07-29 Karl Roberto Axmann Schutzvorrichtung für Griffe und Verfahren dazu
KR102336081B1 (ko) 2020-08-24 2021-12-06 정지호 위생커버 장착용 쇼핑 카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20102869U1 (de) 2020-05-19 2020-06-08 Karl Roberto Axmann Schutzvorrichtung für Griffe
DE102020113552B3 (de) 2020-05-19 2021-07-29 Karl Roberto Axmann Schutzvorrichtung für Griffe und Verfahren dazu
DE202020103293U1 (de) 2020-06-08 2020-06-19 Karl Roberto Axmann Schutzvorrichtung für Griffe
KR102336081B1 (ko) 2020-08-24 2021-12-06 정지호 위생커버 장착용 쇼핑 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6989B1 (ko) 개봉이 용이한 일회용 반창고
WO2007054946A3 (en) A roll of disposable pieces of hygienic paper
US8220099B2 (en) Lint patch—portable disposable lint and particle removers
KR20120114710A (ko) 쇼핑카트 손잡이용 위생 시트
JP5667793B2 (ja) ロールペーパーホルダー装置
NL2010977C2 (nl) Hygiã«nische hendel uit stickerplano.
KR200439156Y1 (ko) 일회용 의료밴드
KR200430127Y1 (ko) 쇼핑카트 손잡이의 위생용 커버
KR101926972B1 (ko) 비접촉식 접착 테이프 패치의 탈착 방법 및 장치
KR200425939Y1 (ko) 손잡이용 위생 테이프
US20080190954A1 (en) Personal hygienic wipe
JP3236947U (ja) コロコロ粘着シートめくり
JP3175455U (ja) 粘着式クリーナー
JP2006289017A (ja) ゴミ取り具
JP3092551U (ja) カッター付粘着クリーナ
JP3062923U (ja) 塵埃除去具
JP3762376B2 (ja) 掃除用粘着ロール
JP2022115769A (ja) 粘着クリーナーのテープめくり具
JP7220826B1 (ja) 剥離用爪付きテープカッター
JP2012170480A (ja) 貼り薬の貼付補助器
NL2025289B1 (nl) Handgreep
FR2752823A1 (fr) Dispositif distributeur de fragments de bande adhesive
JP3227621U (ja) フィルム剥離具と袋開口具セット
JP3115806U (ja) 携帯用使い捨て便座シート
JP3540461B2 (ja) 粘着ロール紙体の使用済粘着紙の剥離切除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