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4571A - Electronic moving elevator - Google Patents

Electronic moving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4571A
KR20120114571A KR1020110032165A KR20110032165A KR20120114571A KR 20120114571 A KR20120114571 A KR 20120114571A KR 1020110032165 A KR1020110032165 A KR 1020110032165A KR 20110032165 A KR20110032165 A KR 20110032165A KR 20120114571 A KR20120114571 A KR 20120114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in body
fixed
guide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21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17859B1 (en
Inventor
김용남
Original Assignee
김용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남 filed Critical 김용남
Priority to KR1020110032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7859B1/en
Publication of KR20120114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45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8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27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4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terally movable, e.g. swingable, for slewing or transverse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6Platforms on, or for use on, ladders, e.g. liftable or lowerable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PURPOSE: An electric work platform is provided to horizontally move an ascending lift device even if a guiderail is installed to be separated from a loading box. CONSTITUTION: An electric work platform comprises a main body(10), a direction switching unit, a vertical guide unit(30), a lifting unit(40), a horizontal transfer unit(50), a lift unit(60), and a pulling wire. The main body is moved along a guiderail(1) installed on a road.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main body. The vertical guide unit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The lifting unit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guide unit and is lifted. The horizontal transfer unit is lifted when the lifting unit is lifted. The lift un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transfer unit. The pulling wire pulls the horizontal transfer unit.

Description

전동식 이동 작업대{ELECTRONIC MOVING ELEVATOR}Electric mobile work table {ELECTRONIC MOVING ELEVATOR}

본 발명은 전동식 이동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물류센터 등지에서 수화물을 적재하거나 적재된 수화물을 출입고시키기 위해 탑승한 작업자를 승강시키는 전동식 이동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mobile workbench,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mobile workbench for lifting the occupant in order to load and load the baggage in the distribution center or the like.

일반적으로 각종 물류센터나 창고 등지에서와 같이 많은 양의 수화물을 적재(보관)하는 곳에서는 필요에 따라 높은 곳의 수화물을 출입고시키기 위한 용도로 이동식 사다리를 비치하여 사용하고 있다.In general, where a large amount of luggage is stored (stored), such as in various distribution centers and warehouses, a mobile ladder is provided for the purpose of entering and leaving the luggage at a high place as needed.

이동식 사다리는 하부에 복수의 이동식 바퀴가 구비되고, 상하 길이방향으로 계단식 사다리가 설치된 것으로, 이러한 사다리는 사용자가 필요한 위치로 직접 밀고 다니면서 사용된다.The movable ladd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ovable wheels at the bottom, and the ladder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Such a ladder is used while pushing the user directly to the required position.

그러나 종래의 사다리는 사용자가 사다리에 올라간 상태에서도 쉽게 이동될 수 있고, 이에 사다리 위에 올라간 작업자가 균형을 잃고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작업자가 수화물을 들고 사다리를 오르내려야 하므로 체력의 소모가 큰 단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ladder has a problem that the user can easily move even when the user climbs on the ladder, and thus the worker who climbs on the ladder may lose balance and fall off, and also the worker has to carry up and down the ladder to carry up and down the ladder. There are disadvantages.

따라서 본 출원인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록실용신안 제0214445호(전동식 이동 작업대)를 개발한 바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applicant has developed a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0214445 (electric mobile work platform)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이 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바퀴가 구비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이동을 안내하며 바퀴의 이탈을 방지하는 홈이 형성된 가이드레일(110)과;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사다리부재(120)와; 상기 본체(100) 위에 설치되는 고정이송수단(130)과; 상기 고정이송수단(130)에 의해 승강되는 유동이송수단(140) 및 상기 유동이송수단(140)을 따라 이동하는 리프트수단(150)을 포함한다.
This technology includes a guide rail 110 formed with a main body 100 provided with wheels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a groove for guiding movement of the main body 100 and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wheels; A ladder member 12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Fixed transport means 130 is installed on the main body 100; It includes a flow transfer means 140 which is lifted by the fixed transfer means 130 and the lift means 150 to move along the flow transfer means 140.

상기 기술은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본체(100)가 안내되어 이동하고, 상기 가이드레일(110) 상부의 전원접속부와 본체(100) 하부의 전원공급부가 서로 접속되어 전원을 인가받아 별도의 전원케이블이나 배터리가 사용되지 않고 리모트컨트롤러를 이용해 작업자가 사다리를 쉽게 제어할 수 있으며, 리프트수단(150)의 승강에 의해 사다리를 오르내리지 않더라도 높은 위치에서 작업을 하거나, 높은 위치로 화물을 출입고시키기 용이하게 한 데에 특징이 있다.
According to the technique, the main body 100 is guided and moved along the guide rail 110, and a power supply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guide rail 110 and a power supply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receive power. The operator can easily control the ladder by using a remote controller without using a cable or a battery, and work in a high position even if the ladder is not moved up and down by the lifting of the lift means 150, or to move cargo into and out of a high position. There is a characteristic in facilitating.

그러나 이 기술은 상기 가이드레일(110)에 의해 정해진 이동경로를 따라 본체(100)가 이동하게 되므로 작업대를 필요로 하지 않는 위치에서 작업하는 경우에는 이 가이드레일(110)이 작업을 방해할 수 있다.However, in this technique, since the main body 100 moves along the movement path defined by the guide rail 110, the guide rail 110 may interfere with the work when the work is not performed. .

따라서 상기 가이드레일(110)은 작업영역과 근접되어 설치되기 어렵고,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는 본체(100)가 작업영역에서 적정 간격 이격된 채 이동되며, 이에 본체(100)에서 승강되는 리프트수단(150)이 실제로 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영역 및 적재함(이하 '적재함'이라 한다)에서 이격되어 사용되던 문제가 있다.Therefore, the guide rail 110 is difficult to be installed in close proximity to the work area, and the main body 100 moving along the guide rail 110 is moved at a proper interval from the work area, and thus in the main body 100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ifting means 150 to be elevated is u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working area and the loading box (hereinafter referred to as "loading") that actually work.

이에 리프트수단(150)에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을 하더라도 실제로 적재함과 거리가 있어 팔을 리프트수단(150) 밖으로 길게 뻗고 작업해야 하고, 이에 탑승자가 몸의 균형을 잃어 낙상하거나 작업자의 실수로 인해 사용 중인 공구를 떨어트리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In this case, even if a worker rides on the lift means 150, there is a distance from the loading box, so the arm must be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lift means 150, and the occupant loses his / her balance and falls, or is used due to a worker's mistake. There is a risk of a safety accident such as dropping the tool being used.

이러한 문제점은 수화물을 출입고시키는 경우에도 동일하기 때문에 적재함에 무거운 수화물을 출입고시키는 경우에는 작업자의 체력소모가 더욱 커지고, 또한 수화물을 떨어트릴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This problem is the same even when the baggage in and out, there is a problem that when the heavy baggage in and out of the stacker, the physical strength of the worker is further increased, and the baggage can be dropped.

또한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는 본체(100)는 한 방향으로만 고정 설치되어 있어, 전진 또는 후진하는 경우에 따라 어느 한 방향에서는 이동하는 방향의 시야를 제대로 확보하기 어렵고, 이에 가이드레일(110) 위에 수화물이 놓여 있거나 이동을 저해하는 이물질 또는 통행자가 있더라도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그대로 지나칠 우려가 있으며, 이에 충돌사고가 발생되어 운행이 중단되거나 인명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main body 100 moving along the guide rail 110 is fixedly installed in only one direction, it is difficult to properly secure a field of view in the moving direction in one direction according to the case of moving forward or backward. 110) Even if a baggage is placed on the baggage or there is a foreign object or a passenger that interferes with the movement, it may not be recognized and may pass by as it is, and a collision accident may occur and the operation may be stopped or a human accident may occur.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본체의 리프트유닛이 적재함에 보다 근접될 수 있도록 수평으로 이동 가능한 전동식 이동 작업대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ic movable worktable that can move horizontally so that the lift unit of the main body moving along the guide rail can be closer to the loading box. Its purpose is to.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작업대의 주행중에 탑승자가 이동방향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본체의 방향전환이 가능한 전동식 이동 작업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mobile work platform capable of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occupant can secure a view of the moving direction while driving the work tabl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동식 이동 작업대가, 노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방향전환유닛과; 상기 방향전환유닛의 상부에 구비되는 수직 가이드유닛과; 상기 수직 가이드유닛과 연결되어 승강되는 승강유닛과; 상기 승강유닛의 승강에 의해 승강되는 수평 이송유닛과; 상기 수평 이송유닛의 일측에 구비되는 리프트유닛 및; 상기 수직 가이드유닛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수평 이송유닛을 견인하는 견인줄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n electric moving work table, the main body moving along the guide rail is installed on the road surface; A direction changing unit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 vertical guide unit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redirection unit; A lifting unit connected to the vertical guide unit to move up and down; A horizontal transfer unit which is lifted by lifting the lift unit; A lift uni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orizontal transfer unit; One end is fixed to the vertical guide unit is achieved by including a traction line for pulling the horizontal transfer unit.

본 발명의 사용으로 가이드레일이 적재함에서 이격되어 설치되더라도 승강되는 리프트장치가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여 이를 적절하게 제어하는 것으로 리프트장치가 적재함에 더욱 근접되도록 이동될 수 있고, 이에 작업자가 몸의 균형을 쉽게 잃지 않을 수 있어 작업 도중에 수화물이나 공구를 떨어트려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Even when the guide rail is installed spaced apart from the loading box by the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ing device can be moved horizontally by appropriately controlling the lifting device so that the lift device can be moved closer to the loading box. It can't be easily lost, preventing accidents caused by dropping luggage or tools during work.

또한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진하는 경우에도 이동되는 방향의 시야 확보가 용이하도록 본체의 방향이 전환되므로 이에 작업자가 이동 방향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이에 가이드레일에 놓인 수화물이나 통행자를 미리 발견하여 운행을 정지할 수 있으므로 충돌사고를 미리 예방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when the vehicle moves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guide rail, the direction of the main body is switched so that the view of the moving direction is easily secured, so that the operator can secure the view of the moving direction. Operation can be stopped to prevent accidents in advance.

도 1은 종래의 전동식 이동 작업대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이동 작업대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유닛의 예를 보인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가이드유닛과 승강유닛 및 수평 이송유닛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부재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5의 작동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유닛이 수직방향으로 승강되는 예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유닛이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는 예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유닛이 방향전환유닛에 의해 회전되는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electric mobile workbench,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electric mobile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ectional view of Fig. 2,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redire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ertical guide unit, a lifting unit and a horizontal convey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ladder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lift unit is lif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lif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ransferr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lif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by the direction change uni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을 통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수화물을 적재부에서 출입고시키거나 높은 위치에서 작업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동식 이동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가이드레일(1), 본체(10), 방향전환유닛(20), 수직가이드유닛(30), 승강유닛(40), 수평 이송유닛(50), 리프트유닛(60), 완충부재(70), 사다리부재(80), 수화물 적재유닛(90)을 포함하여 실시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mobile work platform which is used for loading and unloading luggage at a loading portion or working in a high posi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illustrated in FIG. 2 and FIG. 10), direction change unit 20, vertical guide unit 30, lifting unit 40, horizontal transfer unit 50, lift unit 60, buffer member 70, ladder member 80, luggage loading The unit 90 is implemented.

가이드레일(1)은 적재부를 따라 노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면에는 홈(2)과 전원공급부(3)가 구비된다.The guide rail 1 is installed on the road surface along the loading portion, and the groove 2 and the power supply unit 3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s shown in FIG. 2.

상기 홈(2)에 후술하는 본체(10)의 구동바퀴(11)와 피동바퀴(12)가 삽입되어 본체(10)가 안내되고, 상기 전원공급부(3)와 본체(10)의 저면에 구비된 접지부(14)가 이동 중에 항상 서로 접지된다.The driving wheel 11 and the driven wheel 12 of the main body 10 to be described later are inserted into the groove 2 to guide the main body 10, and ar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s of the power supply unit 3 and the main body 10. Grounds 14 are always grounded to each other during movement.

이때 상기 전원공급부(3)의 상부에는 피복부재(4)가 더 설치되어 전원공급부(3)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실시된다.
At this time, the cover member 4 is further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power supply part 3 so that the power supply part 3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본체(10)는 상기 가이드레일(1)의 상부에 안착되어 가이드레일(1)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면서 적재부를 이동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저면에는 구동바퀴(11)와 피동바퀴(12)가 각각 설치되고, 이중 구동바퀴(11)는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있어 이 구동바퀴(11)에 의해 본체(10)가 이동된다.The main body 10 is seated on the top of the guide rail (1) to move the load while moving back and forth along the guide rail (1), for this purpose as shown in Figure 3 the driving wheel 11 and The driven wheels 12 are respectively provided, and the double drive wheels 11 are connected to the drive motors, and the main body 10 is moved by the drive wheels 11.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접지부(14)가 상기 본체(10)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접지부(14)의 주변에 복수의 롤러(13)가 설치되어 상기 롤러(13)에 의해 가이드레일(1)의 피복부재(4)가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접지부(14)와 전원공급부(3)가 서로 접지된다.
In addition, a ground part 14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guide rail 1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 and a plurality of rollers 13 are installed around the ground part 14 so that the roller The cover member 4 of the guide rail 1 is partially opened by the 13 so that the ground portion 14 and the power supply portion 3 are grounded to each other.

방향전환유닛(20)은 상기 본체(10)의 상부 중심에 설치되어 360°로 회전 가능한 한 것으로 이에 후술하는 수직가이드유닛(30)과 승강유닛(40)이 360°로 회전된다.The direction change unit 20 is install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be able to rotate by 360 °. The vertical guide unit 30 and the lifting unit 40 to be described later are rotated by 360 °.

이를 위해 상기 방향전환유닛(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21)와, 상기 고정플레이트(21)의 저면 중심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2)와, 상기 구동모터(2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플레이트(21)의 중심을 관통하여 그 상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23)과, 상기 회전축(23)의 상단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플레이트(24)로 이루어진다.To this end,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20 is fixed to the fixed plate 21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 as shown in Figure 4, the drive motor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ed plate 21 (22), the rotary shaft 23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driving motor 22 and the other end penetrates through the center of the fixed plate 21 and protrudes to the upper portion thereof, and the upper end of the rotary shaft 23. It consists of a rotating plate 24 that is connected and rotated.

이때 상기 고정플레이트(21)와 회전플레이트(24)는 적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24) 저면에 복수의 볼캐스터(25)를 설치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21)의 상면과 볼캐스터(25)가 서로 접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fixed plate 21 and the rotating plate 24 are installed at appropriate intervals, a plurality of ball casters 25 ar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24 and the upper surface and the ball caster of the fixed plate 21 25 may be provided so as to contact each other.

수직 가이드유닛(30)은 상기 방향전환유닛(20)의 회전플레이트(24)에 설치 고정되어 후술하는 승강유닛(40)을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적정의 수용 공간이 마련되고, 이 공간과 연통되도록 일측면에 개방홀(31A)이 형성되는 가이드 본체(31)와, 상기 가이드 본체(31)의 내측에 설치되는 실린더(32)와, 상기 실린더(32) 내에 설치되어 일단이 인출/인입되어 승강되는 로드(32A)와, 상기 개방홀(31A)이 형성된 방면의 가이드 본체(31) 하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1개의 고정부재(33)를 포함하여 실시된다.The vertical guide unit 30 is installed to be fixed to the rotating plate 24 of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20 to elevate the elevating unit 40 to be described later, for this purpose as shown in FIG. A guide body 31 is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space, and an opening hole 31A is formed at one side thereof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space, a cylinder 32 provided inside the guide body 31, and the cylinder 32. And a rod 32A having one end withdrawn / retracted up and down and at least one fixing member 33 installed below the guide main body 31 in a direction in which the opening hole 31A is formed. .

상기 가이드 본체(31)의 내부에는 상하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가이드봉(G)이 더 설치되고, 이 가이드봉(G)에 의해 후술하는 보조블록(B)이 안내되고, 또한 상기 고정부재(33)에는 후술하는 견인줄(W)의 일단이 설치 고정된다.
Inside the guide body 31 is further provided with a guide rod (G) for vertically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guide rod (B) to be described later by the guide rod (G), the fixing member 33 ), One end of the tow line (W) to be described later is fixed.

승강유닛(40)은 상기 수직 가이드유닛(30)에 의해 승강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본체(31) 내측에 구비되는 상기 로드(32A)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이 개방홀(31A)을 통해 상기 가이드 본체(31)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승강바(41)와, 상기 승강바(41)의 타단이 고정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이 마련되는 승강 본체(42)와, 상기 승강 본체(42)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도르래(43)와, 상기 승강 본체(42)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바(41)가 설치된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어 내측 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홀(44)을 포함하여 실시된다.The lifting unit 40 is lifted by the vertical guide unit 30. For this purpos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rod 32A provided inside the guide body 31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shown in FIG. 5. An elevating bar 41 installed to protrude outwardly of the guide body 31 through an opening hole 31A, and an elevating body 42 having the other end of the elevating bar 41 fixed thereto and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nd a pulley 43 installed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elevating body 42 and the elevating body 42 and positio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vating bar 41 is install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space. It is implemented including a guide hole 44 to be.

이때 상기 승강본체(42)에는 가이드봉(G)에 의해 안내되는 보조블록(B)이 상기 승강바(41)가 설치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고, 그 하부에는 상기 고정부재(33)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홀(42A)이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auxiliary block (B) guided by the guide bar (G) is install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ifting bar 41 is installed on the elevating body (42), and the fixing member (33) in the lower portion A hole 42A is formed so that it can be done.

수평 이송유닛(50)은 상기 승강유닛(40)에 의해 함께 승강되어 필요시 수평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 본체(42)의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홀(44)을 따라 승강되는 승강블록(51)과, 상기 승강블록(51)의 일단이 고정되는 고정판(52)과, 상기 고정판(52)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블록(51)이 설치된 방향과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적어도 1개의 수평 레일블록(53)과, 상기 고정판(52)과 마주하여 설치되며 상기 수평 레일블록(53)에 결합되는 슬라이드판(54)과, 상기 고정판(52)에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슬라이드판(54)에 타단이 고정되는 액추에이터(55)를 포함하여 실시된다.The horizontal transfer unit 50 is lifted together by the elevating unit 40 to be moved horizontally if necessary, for this purpose, a guide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elevating body 42 as shown in FIG. An elevating block 51 which is elevated along the 44, a fixed plate 52 at which one end of the elevating block 51 is fixed, and the fixing plate 52 is provid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vating block 51 is installed. At least one horizontal rail block 53 positioned in the direction, the slide plate 54 which is installed to face the fixed plate 52 and coupled to the horizontal rail block 53, and one end of the fixed plate 52 It is implemented including an actuator 55 is fixed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slide plate (54).

이때 상기 승강블록(51)에는 상기 고정부재(33)에 일단이 고정되며 도르래(43)를 경유하는 견인줄(W)의 타단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수평 레일블록(53)은 상기 고정판(53)의 상하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판(54)에는 상기 수평 레일블록(53)이 각각 삽입되는 레일홈(54A)이 형성되고, 상기 액추에이터(55)는 상기 상하측 수평 레일블록(53)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 실시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one end of the elevating block 51 is fixed to the fixing member 33, and the other end of the tow line W passing through the pulley 43 is fixed and the horizontal rail block 53 is the fixing plate 53. Respectively installed on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lide plate 54, and rail grooves 54A into which the horizontal rail blocks 53 are inserted, respectively, are formed, and the actuator 55 is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rail blocks 53. It may be implemented to be located in between.

또한 상기 승강유닛(40)에도 수직 가이드유닛(30)과 동일한 가이드봉(G)이 설치되고, 이 가이드봉(G)을 따라 안내되는 보조블록(B)이 수평 이송유닛(50)에 구비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ame guide bar (G) as the vertical guide unit 30 is installed in the lifting unit 40, and the auxiliary block (B) guided along the guide bar (G) is provided in the horizontal transfer unit (50) It may be practiced.

리프트유닛(60)은 상기 승강유닛(40)과 수평 이송유닛(50)에 의해 수직으로 승강되고 이와 동시에 수평으로 이송되는 것으로, 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서로 수직으로 맞대어져 그 단면 형상이 L자형으로 형성되는 측판(61)과 바닥판(62), 상기 측판(61)과 바닥판(62)의 양단을 연결하는 난간(63)을 포함하여 실시된다.The lift unit 60 is vertically lifted by the elevating unit 40 and the horizontal conveying unit 50 and is simultaneously transported horizontally, as shown in FIG. It is implemented including a side plate 61 and a bottom plate 62 formed in an L-shape, and a handrail 63 connecting both ends of the side plate 61 and the bottom plate 62.

이때 상기 리프트유닛(60)의 둘레에는 낙하하는 수화물을 수집하기 위한 안전그물망(도시하지 않음)이 더 설치될 수도 있고, 상기 난간(63)의 사이로 형성되는 출입부에 개폐도어(도시하지 않음)가 더 설치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a safety net (not shown) may be further installed around the lift unit 60 to collect falling luggage, and an opening / closing door (not shown) is formed between the railings 63. May be further installed and implemented.

완충부재(70)는 상기 가이드레일(1)에 놓인 수화물이나 이물질 또는 통행자가 있는 경우에 상기 본체(10)와의 충돌로 인해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흡수, 완충)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이는 상기 본체(10)의 전후에 각각 설치된다.The shock absorbing member 70 is installed to alleviate (absorb, cushion) the shock caused by the collision with the main body 10 when there is a luggage, a foreign object or a passenger placed on the guide rail 1. It is provided before and after the main body 10, respectively.

이때 상기 완충부재(70)는 발포 우레탄수지, 스티로폼, 고무와 같이 탄성력이 좋은 재질중 하나로 실시되며, 이 완충부재(70) 내부에는 이동방향의 사물을 감지할 수 있는 리미트 스위치 내지 근접센서로 이루어진 감지수단이 더 구비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shock absorbing member 70 is made of one of a good elastic force material such as urethane foam, styrofoam, rubber, the buffer member 70 is composed of a limit switch to the proximity sensor to detect the object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The sensing means may be further provided.

사다리부재(80)는 상기 리프트유닛(60)의 측판(61)에 설치되어 정전 시 작업자가 리프트유닛(60)의 제어 없이 사다리를 직접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계단식 발판이 구비된 사다리(81)와, 상기 사다리(81)의 상단을 회전 이동가능하게 측판(61)에 고정하는 힌지(82)를 포함하여 실시된다.The ladder member 80 is installed on the side plate 61 of the lift unit 60 to allow the operator to directly climb up and down the ladder without control of the lift unit 60 during power failure, as shown in FIG. 6. It includes a ladder 81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epped foot, and a hinge 82 for fixing the upper end of the ladder 81 to the side plate 61 to be rotatable.

이때 회전 이동되는 사다리(81)가 대각선으로 이동되어 사용되는 경우에는 부족한 하단의 길이를 보상하기 위한 고정수단(예를 들면, 스토퍼)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ladder 81 that is rotated to be moved diagonally is used, a fixing means (for example, a stopper) for compensating the length of the lower end may be further provided.

수화물 적재유닛(90)은 상기 수직 가이드유닛(30)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리프트유닛(60)이 설치된 방향의 반대 방향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리프트유닛(60)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로 실시되되, 작업 공구나 수화물을 필요에 따라 적재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리프트유닛(60)과 수화물 적재유닛(90)은 본체(10)의 상면과 이격 설치되고, 상기 리프트유닛(60)과 수화물 적재유닛(90) 사이에 복수의 볼캐스터가 설치되어 상기 리프트유닛(60)과 수화물 적재유닛(90)의 회전 이동시에 본체(10)와 구름 접촉되게 한 것으로 실시된다.
Baggage loading unit 90 is to be provid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ft unit 60 is installed around the vertical guide unit 30, it is implemented in the same or similar structure as the lift unit 60, The work tool or luggage can be loaded as needed, and the lift unit 60 and the luggage stacking unit 90 ar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lift unit 60 and the luggage stacking unit ( A plurality of ball casters are installed between the 90) to make a rolling contact with the main body 10 dur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lift unit 60 and the luggage loading unit 90.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전동식 이동 작업대는 리프트유닛(60)에 작업자(탑승자)가 탑승하고, 이후 리모트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 내지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하여 상기 본체(10)를 전후로 이동시키고, 이에 본체(10)가 적재부로 근접 이동된 후 승강유닛(40)과 수평 이송유닛(50)을 추가로 제어하여 리프트유닛(60)을 수직 및 수평으로 이동시켜 사용된다.
In the electric mobile work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 operator (rider) rides on the lift unit 60, and then operates a remote controller (not shown) to a control unit (not shown) to operate the main body 10. After moving back and forth, the main body 10 is moved close to the loading unit, and then the lift unit 40 and the horizontal transfer unit 50 are further controlled to move the lift unit 60 vertically and horizontally.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32)와 고정부재(33) 및 도르래(43)는 복수로 설치되어 리프트유닛(60)을 승강시키는 것으로 실시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ylinder 32, the fixing member 33 and the pulley 43 may be installed in plurality to lift the lift unit 60.

이하에서는 상기 리프트유닛(60)의 이동제어에 따른 실시예를 통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movement control of the lift unit 6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실시예><Examples>

본 발명은 작업자가 리모트컨트롤러 내지 제어부를 직접 조작하여 본체(10)를 필요한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이후에는 수직 가이드유닛(30) 내에 설치된 실린더(32)에 공압 또는 유압 및 전원 등을 인가하여 실린더(32) 내부의 로드(32A)를 인출하고, 이 로드(32A)가 상향으로 인출됨에 따라 상기 로드(32A)와 연결된 승강바(41)가 함께 상승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or directly manipulates the remote controller or the control unit to move the main body 10 to a required position, and then applies a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and power to the cylinder 32 installed in the vertical guide unit 30, and then the cylinder ( 32. The inner rod 32A is pulled out, and as the rod 32A is pulled upward, the lifting bar 41 connected to the rod 32A is raised together.

상기 승강바(41)가 상승됨에 따라 상기 승강 본체(42)가 함께 상승되고, 이때 상기 승강 본체(42) 내부를 경유하여 설치된 견인줄(W)에 의해 승강 본체(42)의 타측에 설치된 수평 이송유닛(50)이 함께 연동되어 상승된다.As the elevating bar 41 is raised, the elevating body 42 is raised together, and at this time, the horizontal conveyanc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elevating body 42 by a tow line W installed through the elevating body 42. The unit 50 is interlocked and raised together.

이러한 견인줄(W)의 기능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줄(W)의 길이는 일정하고, 이 견인줄(W)의 일단이 고정부재(33)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타단은 상기 승강 본체(42) 내부에 설치된 도르래(43)를 경유하여 승강블록(51)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Referring to the function of the tow line (W)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ure 7 and 8 the length of the tow line (W) is constant, one end of the tow line (W) is fixed to the fixing member 33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elevating block 51 via the pulley 43 installed inside the elevating body 42.

이는 즉, 고정부재(33)는 고정되어 있는 반면, 승강블록(51)은 승강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 승강 본체(42)가 상승하면 고정부재(33)와 도르래(43)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면서 견인줄(W)이 당겨지고, 당겨지는 견인줄(W)의 길이만큼 승강블록(51)이 상승되어 결과적으로 도르래(43)와 승강블록(51)이 서로 근접 이동된다.That is, while the fixing member 33 is fixed, the lifting block 51 is made of a structure that can be lifted,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fixing member 33 and the pulley 43 is widened when the lifting body 42 is raised Tow line (W) is pulled while the lifting block 51 is raised by the length of the pull line (W) to be pulled as a result the pulley 43 and the lifting block 51 is moved close to each other.

이에 의해 승강유닛(40)이 상승됨과 동시에 상기 승강유닛(40)이 상승되므로 이를 적절히 제어하는 것으로 리프트유닛(50)이 상승되는 높이를 더욱 높게 상승시킬 수 있다.
As a result, the lifting unit 40 is raised and at the same time the lifting unit 40 is raised, so that the height of the lift unit 50 can be increased higher by controlling the lifting unit 40 properly.

한편, 상승된 리프트유닛(50)은 수평 이송유닛(50)에 의해 수평으로 슬라이딩되어 이송되는데, 이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을 따라 전, 후로 이동되고, 이후 승강유닛(50)과 수평 이송유닛(50)의 연동된 동작에 의해 상승되어 그 높이가 조절된 후 수평 이송유닛(50)이 좌우측으로 이송되어 리프트유닛(50)을 좌우로 이송시키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elevated lift unit 50 is horizontally slid by the horizontal conveying unit 50 is conveyed, which is moved back and forth along the guide rail 1, as shown in Figure 9, and then the lifting unit ( 50) by the interlocked operation of the horizontal transfer unit 50 and the height is adjusted, the horizontal transfer unit 50 is moved to the left and right to transfer the lift unit 50 to the left and right.

이러한 동작에 의해 작업자는 본체(10)가 정해진 이동궤도를 따라 이동되더라도 작업 영역과 위치에 맞춰 리프트유닛(60)의 위치를 더욱 근접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이에 종래에 작업자가 리프트유닛(60)에 탑승하여 난간에 기댄 채 팔을 밖으로 뻗고 작업하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또한 작업도중에 공구가 낙하하거나 수화물이 낙하하여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다.
By this operation, the operator can control the position of the lift unit 60 to be closer to the work area and the position even if the main body 10 is moved along a predetermined trajectory, so that the worker has a conventional lift unit 60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working with the arms stretched out while leaning on the railings, and also reduce the safety accidents caused by falling of the tool or luggage during the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은 본체(10)가 전후로 이동할 때에 전방의 시야를 확보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리프트유닛(60)을 회전시켜 방향을 변경할 수도 있는데, 이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향전환유닛(20)에 의해 상부의 수직 가이드유닛(30)이 회전되면서 상기 수직 가이드유닛(30)과 연결된 승강유닛(40)과 수평 이송유닛(50) 및 리프트유닛(60)이 함께 회전되고, 이에 작업자가 본체(10)의 방향을 전환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 이외에도 본체(10)의 회전각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승강되는 리프트유닛(60)의 방향을 알맞게 조절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change the direction by rotating the lift unit 60 so as to easily secure the front view when the main body 10 moves back and forth, which is shown in Figure 10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20 As the upper vertical guide unit 30 is rotated by the elevating unit 40 and the horizontal conveying unit 50 and the lift unit 60 connected with the vertical guide unit 30 are rotated together, the operator is the body ( In addition to the use of the purpose of changing the direction of 10) it can also be used for the purpose of properly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lift unit 60 is lifted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main body 10.

그리고 본체(10)의 전, 후면에는 완충부재(70)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완충부재(70)는 탄성체로 구성되어 있어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더욱이 충격이 가해지면 자동으로 상기 본체(10)를 비상 정시키는 것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완충부재(70) 내에 감지수단을 더 설치하여 가이드레일(1) 상에 놓인 수화물, 이물질, 통행자 등을 미리 감지하여 충돌이 발생하기 이전에 비상 정지하여 충격을 방지하는 것으로도 실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 and rear of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shock absorbing member 70, the shock absorbing member 70 is composed of an elastic body to absorb the shock, and furthermore, when the shock is applied to the main body 10 automatically ) May be configured to emergency, and further includes a sensing means in the buffer member 70 to detect the luggage, foreign matter, passengers, etc. placed on the guide rail 1 in advance before the collision occurs. It may also be practiced to stop and prevent the impact.

한편, 정전 시에는 상기 리프트유닛(60)에 전원을 공급하지 못하므로 이에 상기 리프트유닛(60)을 승강 제어하지 못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 작업자가 사다리를 오르내리면서 작업을 지속할 수 있도록 사다리부재(80)가 더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ower failure does not supply power to the lift unit 60 it is not possible to control the lifting unit 60, in this case, the ladder member so that the worker can continue to work up and down the ladder 80 may be further installed.

이 사다리부재(80)는 리프트유닛(60) 내에 설치되어 있어 사다리를 사용하기 위해 작업자가 자리를 이동할 필요가 없고, 더욱이 힌지(82)를 중심으로 사다리(81)의 하단이 회전 이동되어 리프트유닛(60) 내에서 대각선으로 놓여 사용되므로 기존 리프트유닛(60)의 난간(63)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The ladder member 80 is installed in the lift unit 60 so that the operator does not need to move the seat to use the ladder, and furthermore, the lower end of the ladder 81 is moved around the hinge 82 so that the lift unit is rotated. Since it is used diagonally within the 60 can be used as the handrail 63 of the existing lift unit (60).

또한 상기 수직 가이드유닛(30)을 중심으로 상기 리프트유닛(60)의 반대측에는 작업자의 작업공구나 수화물 등을 적재할 수 있는 수화물 적재부(90)가 더 마련되어 있고, 이에 수화물을 적재하는 경우에는 리프트유닛(60)에 큰 하중이 실려 편중되는 것을 보상할 수 있다.
In addition, on the opposite side of the lift unit 60 around the vertical guide unit 30, there is further provided a baggage stacking unit 90 for loading the work tool or baggage of the operator, in the case of loading the baggage A large load is loaded on the lift unit 60 to compensate for the bias.

본 발명은 가이드레일(1)을 따라 이동하는 전동식 이동 작업대로서 전원을 가이드레일(1)과의 접촉을 통해 인가받기 때문에 본체(10)에 배터리나 전원케이블 등을 구비하지 않아 이동이 자유롭고, 리프트유닛(60)의 승강과 더불어서 수평이동과 회전이동이 가능하여 작업환경에 따라 보다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ic movable worktable moving along the guide rail (1), because the power is applied through contact with the guide rail (1), the body 10 is not provided with a battery or a power cable, the movement is free, lift In addition to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unit 60, horizontal movement and rotational movement are possible, and thus can be utiliz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1: 가이드레일 2: 홈
3: 전원공급부 4: 피복부재
10: 본체 11: 구동바퀴
12: 피동바퀴 13: 롤러
14: 접지부 20: 방향전환유닛
21: 고정플레이트 22: 구동모터
23: 회전축 24: 회전플레이트
25: 볼캐스터 30: 수직 가이드유닛
31: 가이드 본체 31A: 개방홀
32: 실린더 32A: 로드
33: 고정부재 40: 승강유닛
41: 승강바 42: 승강 본체
42A: 홀 43: 도르래
44: 가이드홀 50: 수평 이송유닛
51: 승강블록 52: 고정판
53: 수평 레일블록 54: 슬라이드판
54A: 레일홈 55: 액추에이터
60: 리프트유닛 61: 측판
62: 바닥판 63: 난간
70: 완충부재 80: 사다리부재
81: 사다리 82: 힌지
90: 수화물 적재부 B: 보조블록
G: 가이드봉 W: 견인줄
1: guide rail 2: groove
3: power supply 4: covering member
10: main body 11: drive wheel
12: driven wheel 13: roller
14: grounding portion 20: direction switching unit
21: fixed plate 22: drive motor
23: rotating shaft 24: rotating plate
25: ball caster 30: vertical guide unit
31: guide body 31A: opening hole
32: cylinder 32A: rod
33: fixing member 40: lifting unit
41: lifting bar 42: lifting body
42A: Hole 43: Pulley
44: guide hole 50: horizontal feed unit
51: lifting block 52: fixed plate
53: horizontal rail block 54: slide plate
54A: Rail groove 55: Actuator
60: lift unit 61: side plate
62: sole plate 63: handrail
70: buffer member 80: ladder member
81: ladder 82: hinge
90: baggage storage part B: auxiliary block
G: guide bar W: tow line

Claims (5)

노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을 따라 이동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되는 방향전환유닛(20)과;
상기 방향전환유닛(20)의 상부에 고정되며 일측에 개방홀(31A)이 형성된 가이드 본체(31)와, 상기 가이드 본체(31) 내측에 설치되는 실린더(32)와, 상기 실린더(32)에 설치되어 승강되는 로드(32A)와, 상기 가이드 본체(31)의 외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1개의 고정부재(33)를 포함하는 수직 가이드유닛(30)과;
상기 로드(32A)와 연결되어 승강되는 승강바(41)와, 상기 승강바(41)의 일단이 고정되는 승강 본체(42)와, 상기 승강 본체(42)의 내측에 설치되는 도르래(43)와, 상기 승강 본체(42)의 내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홀(44)을 포함하는 승강유닛(40)과;
상기 가이드홀(44)을 따라 승강되는 승강블록(51)과, 상기 승강블록(51)의 일단이 고정되는 고정판(52)과, 상기 고정판(52)에 구비되는 적어도 1개의 수평 레일블록(53)과, 상기 수평 레일블록(53)에 결합되는 슬라이드판(54)과, 상기 고정판(52)과 슬라이드판(54)을 연결하는 액추에이터(55)를 포함하는 수평 이송유닛(50)과;
상기 슬라이드판(55)에 구비되는 리프트유닛(60) 및;
상기 고정롤러(33)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도르래(43)를 경유하여 승강블록(51)에 고정되는 견인줄(W)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이동 작업대.
A main body 10 moving along the guide rail 1 installed on the road surface;
A direction change unit 20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A guide body 31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redirection unit 20 and having an opening 31A formed at one side thereof, a cylinder 32 installed inside the guide body 31, and a cylinder 32. A vertical guide unit 30 including a rod 32A installed and elevated, and at least one fixing member 33 installed outside the guide main body 31;
An elevating bar 41 connected to the rod 32A to elevate, an elevating body 42 to which one end of the elevating bar 41 is fixed, and a pulley 43 installed inside the elevating body 42. And a lifting unit 40 including a guide hole 44 formed to communicate with an inner side of the lifting body 42.
An elevating block 51 which is elevated along the guide hole 44, a fixed plate 52 on which one end of the elevating block 51 is fixed, and at least one horizontal rail block 53 provided on the fixed plate 52. A horizontal conveying unit (50) including a slide plate (54) coupled to the horizontal rail block (53), and an actuator (55) connecting the fixed plate (52) and the slide plate (54);
A lift unit (60) provided on the slide plate (55);
One end is fixed to the fixed roller (33) and the other end is an electric mobile work platfor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owing line (W) fixed to the elevating block (51) via the pulley (4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유닛(20)은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21)와;
상기 고정플레이트(21)의 저면에 구비되는 구동모터(22)와;
상기 구동모터(22)와 연동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21)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회전축(23)과;
상기 회전축(23)의 자유단과 연결되는 회전플레이트(24) 및;
상기 회전플레이트(24)의 저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볼캐스터(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이동 작업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20 and the fixed plate 21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
A drive motor 22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fixed plate 21;
A rotating shaft 23 interlocked with the driving motor 22 and protruding through the fixed plate 21;
A rotating plate 24 connected to the free end of the rotating shaft 23;
And a plurality of ball casters (25)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rotating plate (2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전, 후면에는 완충부재(7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이동 작업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ont and rear of the main body 10, the electric movable work platform, characterized in that the buffer member 70 is further provided.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70)에는 리미트 스위치 내지 근접센서로 이루어진 감지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이동 작업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shock absorbing member 70 is an electric movable work platform,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ing means further comprises a limit switch to a proximity sens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유닛(60)에 사다리부재(8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이동 작업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Motorized mobile work platform, characterized in that the lift unit 60 is further provided with a ladder member (80).
KR1020110032165A 2011-04-07 2011-04-07 Electronic moving elevator KR1012178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165A KR101217859B1 (en) 2011-04-07 2011-04-07 Electronic moving ele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2165A KR101217859B1 (en) 2011-04-07 2011-04-07 Electronic moving elev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571A true KR20120114571A (en) 2012-10-17
KR101217859B1 KR101217859B1 (en) 2013-01-02

Family

ID=47283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2165A KR101217859B1 (en) 2011-04-07 2011-04-07 Electronic moving elev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785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925B1 (en) * 2013-05-06 2013-12-09 대경정공(주) Electromotive removable ladder for working orchard
KR101349930B1 (en) * 2013-11-04 2014-01-13 박정일 Apparatus for maintaining and managing of road tunne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445Y1 (en) * 1999-01-27 2001-02-15 김용남 Electromotive moving work shift
KR20080004781U (en) * 2007-04-17 2008-10-22 이은규 Height worktable with a safety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925B1 (en) * 2013-05-06 2013-12-09 대경정공(주) Electromotive removable ladder for working orchard
KR101349930B1 (en) * 2013-11-04 2014-01-13 박정일 Apparatus for maintaining and managing of road tun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7859B1 (en) 201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2570B1 (en) Electromotion rail lift to mobile in every direction
JP4314497B2 (en) Upper / lower path switching device for conveying traveling body
JPS638658Y2 (en)
WO2019191899A1 (en) Automated guided vehicle robot and clamping device thereof
ITTO980781A1 (en) DISABLED MOBILITY DEVICE.
KR101217859B1 (en) Electronic moving elevator
KR101400806B1 (en) Elevator
CN206427987U (en) A kind of lifting apparatus transported suitable for power equipment
EP1697014B1 (en) Roller coaster
JP4979292B2 (en) Three-dimensional parking device
KR101924515B1 (en) Elevator of multi-level parking garage
CN111362107A (en) Multifunctional safety elevator compartment
KR102115230B1 (en) Cargo Transfer System for Vehicles
CN113104573A (en) Automatic train compartment luggage taking and placing device and method
CN210176416U (en) Vehicle traction equipment
JP4587379B2 (en) Transporter
JP2021037865A (en) Carriage, stair lifting device and transportation method
CN218202087U (en) Electric movable lifting vehicle ladder with safety protection function
KR101618050B1 (en) Mourning-Buses slide-enshrined in place having an independent
JP3990626B2 (en) Tray-type mechanical parking equipment car entry
CN213083230U (en) Walking and lifting integrated machine
CN215883368U (en) Side pushing platform of battery changing mobile device and battery changing mobile device
JP4791719B2 (en) Gas cylinder changer
KR20120011384A (en) Loading apparatus for vehicle towed by tow vehicle
JP3990628B2 (en) Tray-type mechanical parking equipment car en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