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4440A -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4440A
KR20120114440A KR1020110027196A KR20110027196A KR20120114440A KR 20120114440 A KR20120114440 A KR 20120114440A KR 1020110027196 A KR1020110027196 A KR 1020110027196A KR 20110027196 A KR20110027196 A KR 20110027196A KR 20120114440 A KR20120114440 A KR 20120114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all
internet
ser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7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3429B1 (ko
Inventor
이상하
Original Assignee
이상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하 filed Critical 이상하
Priority to KR1020110027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429B1/ko
Publication of KR20120114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4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53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 H04M1/2535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adapted for voice communication over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01Details of billing arrangements
    • H04M2215/0192Sponsored, subsidised calls via advertising, e.g. calling cards with ads or connecting to special ads, free calling time by purchasing g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인터넷 전화 서비스 가입 사용자의 가입 정보,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사용자가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통해 통화하는 통화 상대방 중 적어도 한 명의 음성 인식 결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통해 통화를 하는 지리적 위치,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통해 통화를 하는 일시 중 적어도 하나의 인자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상대방 중 적어도 한 명의 연령 및 성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는 컨텐츠 선정부, 상기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와 상기 상대방 사이에 전화 통화를 제공하는 통화 제공부, 및 상기 사용자와 상기 상대방 사이에 전화 통화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통화 연결 대기 시간 및 통화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렌더부를 포함하는,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ELEPHONE CALL SERVICE VIA INTERNE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에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연관되며, 보다 특정하게는 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 태블릿 PC, VoIP (Voice-over Internet Protocol) 방식 전화단말 등에서 사용자에게 무료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연관된다.
인터넷을 이용하여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은, PC-to-PC 방식, PC-to-Phone 방식, Phone-to-Phone 방식으로 분류된다. 이 중에서 앞의 두 가지가 일반 사용자들이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널리 보급된 서비스 방식이다.
요즈음은 비070 번호 (일반 지역국번을 쓰는 전화번호)까지 식별번호로 사용하긴 하지만, 070 전화로 먼저 알려졌던 VoIP 인터넷 전화 서비스들은, 상기 방식들 중 PC-to-Phone 방식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PC-to-Phone 방식은 H.323 코덱(codec) 등으로 압축된 음성 패킷을 VoIP 방식으로 전송하되, 게이트웨이(telephony gateway)를 거쳐 인터넷을 통해 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으로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여, 인터넷 전화 단말(VoIP Phone)과 일반 유무선 전화 간의 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방식은 인터넷 연결 속도에 별다른 문제가 없는 경우, 통화 품질도 상당히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PC-to-PC 방식은 인터넷 전화 개념의 도입 초기에 Dial pad™ 등의 서비스로 먼저 소개되었지만 별로 활성화 되지 못하다가, 최근 스마트폰 열풍에 힘입어 무료 통화 앱(APP; APPlication)의 형태로 관심을 많이 받고 있다.
국내 스마트폰 사용 인구가 1000만 명을 바라보는 요즈음, 스마트폰 앱 스토어(App Store)에는 skype™, Viber™, Tango™, 올리브폰™, 마이피플™ 등의 각종 무료 전화 통화 앱들이 쏟아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무료 통화 앱들을 보면, PC-to-PC 방식의 공통적 단점 몇 가지가 발견된다.
대표적인 몇 가지 단점의 예는, 1) 전화 통화를 하고자 하는 양 당사자가 모두 동일한 앱을 설치하여 그 앱을 실행해서만 통화를 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 PSTN 네트워크 가입 단말기(통상적 유무선 전화단말) 에는 전화를 걸 수 없는 점, 2) 패킷 코딩 및 디코딩 과정에서 요구되는 대역폭에 비해 실제 사용 대역폭이 충분하지 않은 등의 이유로 통화 품질이 열악한 것, 및 3) 서비스 제공 회사의 적절한 수익 모델이 확실치 않은 것 등이다.
위에서 예를 든 단점 중, 1)과 2)는 소비자가 인터넷 전화를 사용하기를 꺼리게 만드는 불편이고, 3)은 서비스 제공 회사가 갖는 고민이다. 또한, 3)의 수익 모델이 좋지 않기 때문에, 1)이나 2)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설비나 서비스 제휴 투자가 어려운 악순환의 특성을 보인다.
따라서, 인터넷 전화를 통해서도 PSTN 망에 가입된 많은 유무선 일반전화들에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하면서도 서비스 제공 회사의 입장에서도 적절한 수익 모델을 가질 수 있는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이 절실히 요구된다.
기존의 PSTN 망에 가입된 전화들과의 사이에서도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서비스 제공자에게는 적절한 수익 모델을 제시할 수 있는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일반 전화를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정도의 품질과 편리성을 무료 인터넷 전화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인터넷 전화 서비스 가입 사용자의 가입 정보,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사용자가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통해 통화하는 통화 상대방 중 적어도 한 명의 음성 인식 결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통해 통화를 하는 지리적 위치,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통해 통화를 하는 일시 중 적어도 하나의 인자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상대방 중 적어도 한 명의 연령 및 성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는 컨텐츠 선정부, 상기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와 상기 상대방 사이에 전화 통화를 제공하는 통화 제공부, 및 상기 사용자와 상기 상대방 사이에 전화 통화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통화 연결 대기 시간 및 통화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렌더부를 포함하는,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컨텐츠 선정부는,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상대방 중 적어도 한 명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통해 통화를 하는 지리적 위치를 확인하는 GPS 위치확인부, 및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사용자가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통해 통화하는 통화 상대방 중 적어도 한 명의 음성 인식 결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통해 통화를 하는 지리적 위치,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통해 통화를 하는 일시 중 적어도 하나의 인자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상대방 중 적어도 한 명의 연령 및 성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는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렌더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가 상기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와 근접한 지의 여부를 센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싱 결과에 따라 음성 광고 그룹과 영상 광고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광고 그룹을 선택하는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대방의 단말기는 PSTN 가입 단말이며, 상기 인터넷 전화 서비스는 VoIP 방식의 PC-to-Phone 방식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선정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내의 웹 로그 및 쿠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상기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선택한다.
사용자는 일반 전화를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정도의 품질과 편리성을 무료 인터넷 전화를 통해 얻을 수 있다. 특히, 기존의 PSTN 망에 가입된 전화들과의 사이에서도 통화가 가능해, 만족도가 더 높다.
또한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회사의 입장에서는, 지능적 광고 제공을 통해 사용자의 거부감 없이 매우 효율적인 광고를 제공하여 탄탄한 수익 모델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개요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의 컨텐츠 선정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의 통화 제공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의 디스플레이 렌더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연락처 목록이 제공되는 예시적 모습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키패드가 제공되는 예시적 모습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광고 컨텐츠를 렌더링한 결과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접근 센서의 센싱 결과에 따라 사운드 형태의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전화 제공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개요도(100)를 도시한다.
개요도(100)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운영하는 인터넷 전화 서비스 서버(110)는 인터넷을 통해 인터넷 전화 서비스 가입 단말기들(111 및 112)와 연결되어 있다.
가입 단말기들에는 스마트 폰(111), PC(112) 등이 가능하며, 태블릿 PC, 노트북, 또는 통신 기능을 갖는 어떠한 사용자 단말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가입 단말기들에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의한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응용 어플리케이션(APP, 이하에서는 "앱"이라고도 한다)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앱은 요즈음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에 설치되는 모바일 운영체제, 이를테면 안드로이드(Android™) 또는 애플 iOS™ 등에 적합한 소프트웨어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MS-Window™ 또는 Apple™ OS로 구동되는 PC에 적합한 소프트웨어일 수도 있다.
물론, 후술할 내용과 같이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전용(dedicated) 단말인 경우도 가능하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물리적/논리적 동작 모듈(operating module)들은 당업자 수준에서 명확히 이해 가능한 범위에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가입 단말(111 또는 112)가 서버(110)에 접속하여 통화를 하고 싶은 상대방 번호(PSTN 서비스 망 가입에 따른 식별 부호로서, 통상적인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경우, 서버(110)는 미리 계약된 서비스 제휴 및 과금 방식을 준수하여 PSTN(120)에 접속한다.
그러면, PSTN (120)을 통해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단말, 이를테면 유선 전화기(121)이나 핸드폰(122)과 통화가 수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110)와 PSTN(120)의 접속 및 통화 중계에 있어서는, 현재 사용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070 인터넷 전화 사업자들, 이를테면 KT, SKT 또는 LGU+ 등과 기존 PSTN 망 제공자 간의 계약에 준하는 망 이용 대가 계약에 의한 서비스 제휴 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서버(110)를 통해 가입 단말들(111 및 112 등)의 인터넷 전화를 제공하는 사업자는, 단말들(111 및 112 등)을 통해 사용자 특성과 관심에 높은 일치율을 보이는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고, 그 대가를 광고주들로부터 받아 수익 모델을 기할 수 있다. 또한, 완전 무료와 적절 이용 요금 납부 고객에게는 광고 제공 정도를 달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종래의 많은 무료 인터넷 전화 서비스는 자신이 이용하는 서비스 가입자 간의 단말끼리 PC-to-PC 방식의 패킷 교환을 통해 통화를 제공하여 통화 품질이 열악하고, 통화 품질도 열악한데다 일반 PSTN망 가입 전화기들에는 무료로 전화를 걸 수 없어서 사용자가 많이 모이지 않고, 따라서 수익 모델을 추구하기 힘든 악순환 속에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료 인터넷 전화 서비스는 PSTN망의 이용 대가를 계약에 따라 미리 지급한 상태에서, 종래의 PC-to-Phone 방식의 다양한 VoIP 전화 방식으로 높은 품질의 전화 통화를 제공하며, PSTN망 가입 전화들에도 무료로 전화를 걸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많이 모이고 타켓팅 광고 수준을 혁신적으로 개량하여 높은 광고 수입 모델을 가져갈 수 있는 선순환 속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무료 인터넷 전화 서비스는 H.323 코덱 등으로 음성 신호를 부복호화 하여 VoIP 방식으로 패킷을 전송하는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전화 통화 연결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한편, 선택적으로 서버(110)가 직접 가입 단말(111 또는 112)에 적합한 맞춤형 광고를 통화 연결 중 및/또는 통화 연결 후 통화 중에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를 '광고 제공 서버 타입' 실시예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가입 단말(111 또는 112)에 설치된 앱 자체적으로 가입 단말(111 또는 112)의 사용자에게 적합한 맞춤형 광고를 선정하고, 이를 통화 연결 중 및/또는 통화 연결 후 통화 중에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를 '광고 제공 단말 타입' 실시예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가입 단말(111 또는 112)의 사용자에 적합한 맞춤형 광고를, 상기 사용자의 가입 시 기재 정보, 사용자 목소리를 인식하여 판단되는 사용자의 연령과 성별, 사용자가 통화를 시도하는 장소(GPS 위치), 사용자가 통화를 시도하는 계절, 요일이나 시간 등을 참고하여 선택한다.
이러한 다양한 실시예들 및 광고 제공의 형태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도 2 이하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200)를 도시한다.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데이터베이스(210), 컨텐츠 선정부(220), 통화 제공부(230), 및 디스플레이 렌더부(2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구성들은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 내에 포함되는 전용 하드웨어 칩셋(dedicated Hardware chipset)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단말기에 설치된 앱이 OS를 제어하여 단말기 내의 CPU나 메모리 등을 제어하여 일시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210)에는 본 서비스의 가입 및/또는 서비스 앱을 설치할 때 입력 받는 기본적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며,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200) 내에 저장되는 사용자의 연락처도 저장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전화 서비스에는 별도의 가입 절차가 요구될 수도 있고(통상적인 회원 가입 절차에 따른 아이디 부여 방식), 이 과정에서 사용자의 성별이나 연령을 식별할 수 있는 최소한의 정보를 요구한 다음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될 수도 있다.
실제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종래의 인터넷 전화 앱들(이를 테면, skype™, Viber™ 등)보다 월등히 우수한 통화 품질을 제공하기 때문에, 다른 서비스들과는 달리 가입자가 서비스 이용의 대가로 자신의 개인 정보를 어느 정도 제공할 것을 기대할 수도 있다.
그러나, 많은 경우에 사용자들은 개인 정보의 수집이나 노출에 대한 거부감이 있기 때문에, 별도의 가입 절차를 요구하지 않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기존의 인터넷 전화 방식 중 skype™는 가입 및 로그인을 요구하는 예이며, Viber™는 가입이나 로그인을 전혀 요구하지 않는 예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은 전자와 같이 가입 및 로그인을 요구할 수도 있겠으나, 본 발명의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사용자 반응에 따른 사업적 선택에 따라 후자와 같이 가입이나 로그인을 요구하지 않는 방식도 가능하다.
전자의 장점은 사용자의 연령/성별에 대한 기본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점이 되겠으나 동일한 단말기에 대해 복수 개의 사용자가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사용하는 경우에 계속하여 바뀌는 사용자에게 맞출 수는 없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후자의 장점은 사용자가 개인 정보의 제공이나 노출 요구를 받지 않아서 초기 거부감이 없다는 장점이 있으나, 사용자에게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기 위해 보조적이고 간접적인 판단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가입 및 로그인이 필수 과정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이는 사업적 목적에 따라 선택될 수 있는 선택 사항이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컨텐츠 선정부(220)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연령, 성별, 현재 위치, 통화를 하는 장소, 시간, 요일 등의 다양한 인자(Factor)를 이용하여 정확도가 높은 맞춤형 광고를 선택하여 제공한다. 이러한 과정은 도 3 및 도 8 등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한다.
통화 제공부(230)는 도 1의 서버(110)에 접속하여, 통화를 원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식별자), 자신의 UDID(User Device IDentification) 코드 등을 교환하며, 통화가 연결된 후에는 종래의 PC-to-Phone 방식의 인터넷 전화 단말의 다양한 부복호화 방식들에 따라 음성 신호를 부복호화 하여 서버(110)와 교환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사용자는, 요즈음의 070 전화 이상의 퀄리티로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한 내용은 도 4,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한다.
디스플레이 렌더부(240)는 사용자가 무료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이용하는 중에 광고를 접하기 쉽도록 적절한 형태로 디스플레이 렌더를 수행한다. 이 과정은 도 5,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의 컨텐츠 선정부(22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선정부(220)는 음성 인식부(310)를 포함한다.
음성 인식부(310)는 무료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목소리 및/또는 상대방의 목소리를 인식하여 처리부(330)로 전달한다. 그러면, 처리부(330)는 사용자나 통화 상대방의 성별 및/또는 연령을 추정할 수 있고, 이는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는 중요 정보가 된다.
이를 테면, 젊은 여성의 경우에는 패션 아이템에 대해 추천을 하고, 중년 남성에게는 신형 승용차의 정보나 골프 용품 정보를 전달하는 등의 맞춤형 광고 컨텐츠 선택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가입자(본 서비스를 통해 전화를 거는 사용자)뿐만 아니라, 선택적으로는 통화 상대방(본 서비스의 비가입자일 수 있음)의 목소리도 인식하여 연령/성별에 맞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선택할 수도 있다.
중년의 남성이 노년의 여성과 통화하고 있는 경우, 상대방인 노년의 여성이 관심 있어할 만한 선물 아이템인 여행 상품 등을 맞춤형 광고 컨텐츠로 선택할 수도 있다.
GPS 위치확인부(320)는 사용자가 현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료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위치를 인식하여 처리부(330)로 제공한다.
이 경우, 처리부(330)는 현재 위치에 맞는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며, 이를테면 주변의 맛집, 주유소나 병원 등의 정보가 맞춤형 광고로 선택될 수 있다.
그 밖에도 처리부(330)는, 현재 무료 인터넷 전화가 수행되고 있는 요일 및 시간에 따라, 일요일 점심 시간에는 피자 등 배달 음식의 광고를 맞춤형 광고로 선택할 수도 있고, 금요일 오후 시간에는 수도권 인근의 온천 테마파크를 맞춤형 광고로 선택할 수도 있다.
나아가, 처리부(330)는 사용자 단말기 내의 연락처(주소록)을 참고하여 이로부터 유추되는 맞춤형 광고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테면, 치킨집 전화번호를 많이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에게는 치킨 배달 광고를 맞춤형 광고로 선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처리부(330)는, 사용자 단말기 내의 웹 로그 및 쿠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맞춤형 광고를 선택할 수 있다. 이를테면, 웹툰 만화 사이트에 자주 방문한 기록이 있다면, 새로 나온 웹툰 광고를 맞춤형 광고로 선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에 따라 컨텐츠 선정부(220)는 사용자에게 맞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선택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의 통화 제공부(23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화 제공부(230)는 사용자의 전화번호나 기기 고유 UDID 코드를 도 1의 서버(110)에 전송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410), 통화 연결 후에 음성 패킷을 부복호화 하는 패킷 부복호화부(420) 및 패킷의 송수신을 담당하는 송수신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종래의 PC-to-Phone 방식의 VoIP 인터넷 전화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패킷 부복호화 방식에 관한 실시예는 일반적인 VoIP 방식의 많은 코덱 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으며, 송수신부(430)의 통신 방식은 Wi-Fi, 3G, 4G 등의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의 표준을 준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의 디스플레이 렌더부(24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다.
디스플레이 렌더부(240)는 센서부(510), 판단부(520) 및 영상처리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510)는 객체(Object)와 센서부(51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근접 센서, 주변 밝기를 측정할 수 있는 조도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부(510)에 포함되는 근접 센서가 객체와 단말의 거리에 대한 센싱을 수행하면, 판단부(520)는 광고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것인지, 아니면 광고 영상 대신 사운드 형태의 광고를 디스플레이 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테면, 근접 센서의 센싱 결과 사용자가 귀에 단말기를 가까이 대고 있는 상태로 판단되면, 판단부(520)는 제공될 광고 컨텐츠를 사운드 스트림으로 선택한다.
그렇지 않고 근접 센서의 센싱 결과 사용자가 단말기를 귀에 대지 않고 바라보고 있는 상태로 판단되면, 판단부(520)는 제공될 광고 컨텐츠를 스틸 이미지 또는 동영상 형태의 광고 컨텐츠를 선택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귀에 전화기를 대고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바라보지 못하는 순간에 화면으로 광고 영상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없고, 사용자가 귀에 전화기를 대고 있지 않은 경우에 수화부를 통해 작은 크기의 사운드 형태 광고를 제공하는 문제점이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귀에 단말기를 대고 있을 때는, "뚜루루루~" 하는 통화 연결음 대신, 컬러링 형태로서 광고 사운드를 제공한다. 마치, 통화 연결음으로 라디오 광고가 제공된다고 이해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전화기를 바라보고 있을 때는, 통화 연결 여부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와 함께, 광고 화면을 이미지 스틸 샷이나 동영상 형태로 제공한다. 이 때는 사운드 출력이 수화부가 아닌 단말기 내장 스피커나 이어폰 단자를 통해 수행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화 연결 중뿐만 아니라 선택적으로 통화 중에도 통화에 방해가 되지 않는 형태의 광고를 계속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테면, 전화 통화 전에는 동영상으로 제공되던 광고가 무음의 이미지 스트림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영상처리부(530)는 이러한 판단부(520)의 판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화면을 렌더링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서 연락처 목록이 제공되는 예시적 모습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전화 걸기 방식 중 연락처 로딩 방식 입력부(610)를 선택하면, 기존에 사용자 단말기(200) 내의 데이터베이스(210)에 전화번호부(연락처) 목록으로 저장되어 있던 전화번호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이 중 원하는 상대방(611)을 선택하게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서 키패드가 제공되는 예시적 모습을 도시한다.
키패드 입력부(710)을 사용자가 선택하는 경우, 연락처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불문하고 임의의 전화 번호를 키패드(711) 입력으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큰 장점 중 하나는, PC-to-Phone 방식으로 세계 어느 국가 어느 사업자의 PSTN 가입에라도 접근할 수 있고, PSTN까지의 접속은 인터넷을 이용하므로, 사용자는 시외전화 국제전화라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사업적 전략에서 통화 종류에 따라 광고 제공의 정도를 달리할 수 있으며, 포인트를 적립하여 충성도가 높은 고객에게 차별적으로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서 광고 컨텐츠를 렌더링한 결과를 도시한다.
요즈음 소셜 커머스(Social Commerce) 서비스가 인기를 끌고 있는데, 그날 그날 일정 수준 이상의 이용자가 모이면 할인율을 높이는 쿠폰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만약 상기 컨텐츠 선택부(220)가 여행에 관한 광고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맞는 맞춤형 광고로 선택했다면, 상대방에게 전화를 연결하는 중에 광고(810)가 통화 연결 상태와 함께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광고(810)는 '광고 제공 서버 타입' 실시예에서는 서버(110)에 저장되었다가 실시간으로 단말기(200)에 전송될 수도 있고, '광고 제공 단말 타입'의 실시예에서는 미리 단말기(200) 내의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서 접근 센서의 센싱 결과에 따라 사운드 형태의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모습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5의 센서부(510)에 포함된 근접 센서가 근접 상태를 감지하여, 상용자가 귀에 단말기(200)를 대고 있는 상태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화면은 꺼지고(Off), 판단부(520)는 사운드 광고 형태의 맞춤형 광고를 통화 연결음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전화 제공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단계(1010)에서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가 상대방 전화번호를 입력한 내용을 수신한다. 이러한 상대방 전화번호 입력 수신 방법에는 연락처 로딩 후 선택 방법과 키패드 입력 방법 등이 가능하다. 전자는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고, 후자는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단계(1020)에서 통화 제공부(230)의 인증부(410)는 서버(110)에 PSTN 서비스 사업자 접속을 위한 상대방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송수신부(430)를 통해 보내고, 서버(110)를 통해 사업자 접속이 수행된다.
그리고, 통화 연결 대기(1030) 후 통화 연결이 되면, 패킷 부복호화부(420)가 음성 패킷을 송수신하여 무료 인터넷 전화 서비스가 제공된다. 통화 연결에 관한 내용은 도 1, 도 2, 도 4, 도 6 및 도 7 등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이러한 단계(1020) 내지 단계(1040) 과정과 병행하여, 사업자의 수익 모델로서 맞춤형 광고가 선택되어 제공된다.
단계(1050)에서는, 컨텐츠 선정부(220)가 현재 무료 인터넷 전화 서비스로 전화를 거는 가입자 및/또는 통화 상대방에게 맞는 맞춤형 광고를 선정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음성 인식부(310)가 사용자 및/또는 통화 상대방의 목소리에 따라 연령과 성별을 인식하고, 처리부(330)가 이를 이용하여 맞춤형 광고를 선택하는 과정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GPS 위치 확인부(320)의 통화 위치 확인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있는 지역에 맞는 맞춤형 광고가 제공되고, 또한 통화를 수행하는 요일이나 시간대에 맞게 맞춤형 광고 컨텐츠가 제공되는 과정 또한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나아가, 단계(1060)에서 광고 컨텐츠가 출력되는데, 이 과정에서 센서부(510)의 센싱 결과에 따라, 동영상/이미지 등의 시청각 광고 컨텐츠, 사운드 형태의 청각 광고 컨텐츠가 제공되는 과정은 도 5,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서비스 개요도
110: 서버
120: PSTN
111: 가입자 단말
112: 가입자 단말
121: PSTN 가입 전화 단말
122: PSTN 가입 전화 단말

Claims (5)

  1. 인터넷 전화 서비스 가입 사용자의 가입 정보,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사용자가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통해 통화하는 통화 상대방 중 적어도 한 명의 음성 인식 결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통해 통화를 하는 지리적 위치,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통해 통화를 하는 일시 중 적어도 하나의 인자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상대방 중 적어도 한 명의 연령 및 성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는 컨텐츠 선정부;
    상기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와 상기 상대방 사이에 전화 통화를 제공하는 통화 제공부; 및
    상기 사용자와 상기 상대방 사이에 전화 통화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통화 연결 대기 시간 및 통화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렌더부
    를 포함하는,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선정부는,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상대방 중 적어도 한 명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통해 통화를 하는 지리적 위치를 확인하는 GPS 위치확인부; 및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사용자가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통해 통화하는 통화 상대방 중 적어도 한 명의 음성 인식 결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통해 통화를 하는 지리적 위치,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통해 통화를 하는 일시 중 적어도 하나의 인자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상대방 중 적어도 한 명의 연령 및 성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는 처리부
    를 포함하는,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렌더부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가 상기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와 근접한 지의 여부를 센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싱 결과에 따라 음성 광고 그룹과 영상 광고 그룹 중 어느 하나의 광고 그룹을 선택하는 판단부
    를 포함하는,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의 단말기는 PSTN 가입 단말이며, 상기 인터넷 전화 서비스는 VoIP 방식의 PC-to-Phone 방식인,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선정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내의 웹 로그 및 쿠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상기 맞춤형 광고 컨텐츠를 선택하는,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110027196A 2011-03-25 2011-03-25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253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196A KR101253429B1 (ko) 2011-03-25 2011-03-25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196A KR101253429B1 (ko) 2011-03-25 2011-03-25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440A true KR20120114440A (ko) 2012-10-17
KR101253429B1 KR101253429B1 (ko) 2013-04-11

Family

ID=47283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7196A KR101253429B1 (ko) 2011-03-25 2011-03-25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34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819B1 (ko) * 2013-07-15 2015-03-25 위월드 주식회사 위치정보 기반 고객 맞춤형 택시 광고 시스템 및 그 광고 방법
KR20220089982A (ko) * 2020-12-22 2022-06-29 양태식 노래방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597542B1 (ko) * 2022-08-24 2023-11-02 주식회사 에스비씨원 흡연부스를 활용한 사용자 반응형 광고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3036A (ko) * 2000-03-28 2001-10-27 한형남 인터넷 광고에 따른 인터넷 전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01987A (ko) * 2000-06-29 2002-01-09 윤종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인터넷폰 서비스를 통한 광고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70223A (ko) * 2004-12-20 2006-06-23 (주)애드텔레콤 광고 패널을 갖는 인터넷 전화기
KR20090031482A (ko) * 2007-09-22 2009-03-26 최병권 브이오아이피를 이용한 화면광고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819B1 (ko) * 2013-07-15 2015-03-25 위월드 주식회사 위치정보 기반 고객 맞춤형 택시 광고 시스템 및 그 광고 방법
KR20220089982A (ko) * 2020-12-22 2022-06-29 양태식 노래방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597542B1 (ko) * 2022-08-24 2023-11-02 주식회사 에스비씨원 흡연부스를 활용한 사용자 반응형 광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3429B1 (ko) 2013-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38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distribution of advertising and associated coupons via mobile media platforms
RU2322702C1 (ru) Способ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рекламно-информационных изображений
US20120035993A1 (en) Method of providing brand promotion via mobile terminal and the system thereof
US200702447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integrated distribution of advertising via the internet and mobile terminals
US8265610B1 (en) Sponsored keyword usage in voice communication
US20150213490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argeted Advertising During Communication Through Communication Provider
JP2015204611A (ja) 発信経路情報提供の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FI122347B (fi) Puhelun päättäminen matkaviestinjärjestelmässä
JP4782846B2 (ja) 情報処理装置、広告送信方法、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JP2013009058A (ja) 広告音声映像配信システム及び情報通信端末用アプリケーションソフトウェア
US8825025B2 (en) Sponsored cellular phone
US20140136331A1 (en) Using wireless device call logs for soliciting services
KR101253429B1 (ko)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300946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dial tone and a ring tone
US2012029559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laying a media file and targeted advertisements upon receipt of a phone call
KR20130049237A (ko) 전화 유입 경로 및 통계 자료 제공 기능을 구비하는 전화연결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12171045A1 (en) A system for targeted mobile phone advertising
KR20110131937A (ko) 통화수신을 이용한 휴대단말기의 광고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101044B1 (ko) 이동통신망 기반의 컬러링을 이용한 광고 방법
KR20130025006A (ko)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KR20120140345A (ko) 데이터 양에 따른 과금이 가능한 수신자 부담 인터넷 전화 제공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165414B1 (ko) 광고통화서비스 시스템
US11917099B2 (en) Method and system for playing media content in telecommunication network
KR100614830B1 (ko) 휴대폰 통화 대기음을 이용한 광고 및 환금 서비스
US20160042400A1 (en) Method of doing business using a cell phone device with locally stored multimedia advertising con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