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0223A - 광고 패널을 갖는 인터넷 전화기 - Google Patents

광고 패널을 갖는 인터넷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0223A
KR20060070223A KR1020040108886A KR20040108886A KR20060070223A KR 20060070223 A KR20060070223 A KR 20060070223A KR 1020040108886 A KR1020040108886 A KR 1020040108886A KR 20040108886 A KR20040108886 A KR 20040108886A KR 20060070223 A KR20060070223 A KR 20060070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display window
screen
display
advertis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8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영섭
Original Assignee
(주)애드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애드텔레콤 filed Critical (주)애드텔레콤
Priority to KR1020040108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0223A/ko
Publication of KR20060070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02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기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광고 홍보 등을 위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광고 패널을 갖는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전화기 본체와, 상기 전화기 본체의 상부에 부착된 표시장치부와, 상기 전화기 본체에 인접한 위치 또는 전화기 본체와 상기 표시창 사이의 위치에는 상기 표시창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보조 표시창을 포함하고, 상기 전화기 본체에는 무료 국제 전화 기능을 제공한다.
광고패널, 인터넷 전화기, 국제 전화, 무료 전화

Description

광고 패널을 갖는 인터넷 전화기 {INTERNET TELEPHONE WITH ADVERTISEMENT PANE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 패널을 갖는 전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고 패널을 갖는 전화기의 개략적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광고 패널을 갖는 전화기의 표시장치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광고 패널을 갖는 전화기의 표시장치부의 다른 변형 예들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고 패널을 갖는 전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광고 패널을 갖는 전화기의 개략적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고 패널을 갖는 전화기의 표시장치부를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광고 패널을 갖는 전화기의 표시장치부를 위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광고 패널을 갖는 전화기의 표시장치부의 변형 예를 위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화기 본체와 주 표시창 사이에 보조 표시창이 장착된 전화기의 개략적인 전방 및 후방 사시도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VoIP 방식을 이용한 광고 패널을 갖는 전화기의 내부 구조를 도식화한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50, 55 : 스크린
60 : 표시창 70 : 내부 조명 장치
80 : 차양 90 : 외부 조명 장치
100 : 전화기 본체 110 : 화상 카메라
200 : 표시장치부 60S, 60E, 60U : 보조 표시창
300 : VoIP 내부 312, 314 :PSTN
본 발명은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전화기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광고 홍보 등을 위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가정용 이외의 전화기들은 단순히 전화기의 기능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기능들도 부가하고 있다. 특히, 전화기가 차지하고 있는 공간 활용도를 넓히 기 위하여, 각종 광고 또는 안내 등을 위한 기능을 전화기에 부과하기 위한 표시장치부를 전화기에 장착하고 있다. 예를 들어, 관공소나 회사 내에 설치된 안내 전화기 등은, 전화기 기능 이외에 간단한 광고나 관공소 및 회사에 대한 홍보나 안내를 하는 기능을 부과하고 있다. 또한, 공중전화기의 경우, 전화기에 각종 광고판을 설치할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공중전화를 이용한다는 점, 이용자가 상당한 시간동안 공중전화기를 쳐다보게 된다는 점, 공중전화기는 주로 사람들의 왕래가 잦은 곳에 위치하여 사람들의 시선을 쉽게 끌 수 있다는 점 등으로 광고의 효과를 증대시키고 있어, 공중전화기는 그 자체로 훌륭한 광고 매체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 개발된 광고 패널을 갖는 전화기들은 전화기 옆에 작게 부착된 광고판 또는 안내판으로서, 전화를 이용하는 사람에게만 광고나 안내를 할뿐이다. 전화기에 여러 가지 작은 광고나 안내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 미관상으로도 조잡하다고 느껴질 수 있다. 더욱이 종래의 전화기에 부착된 광고판이나 안내판은 그 크기로 인해 여러 가지 다른 광고나 안내를 위해서는 광고판이나 안내판을 교체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여러 가지 내용의 광고나 안내 정보를 특별히 교체하지 않고도 쉽게 교대로 표시할 수 있는 광고 패널을 갖는 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순한 구성과 저가의 비용으로 여러 가지 내용의 광고나 안내를 표시할 수 있는 광고 패널을 갖는 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고 패널을 갖는 전화기는 전화기 본체와, 상기 전화기 본체의 상부에 부착된 표시장치부와, 상기 전화기 본체에 인접한 위치 또는 전화기 본체와 상기 표시창 사이의 위치에는 상기 표시창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보조 표시창을 포함하고, 상기 전화기 본체에는 무료 국제 전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무료 국제 전화 기능은 음성 데이터 송수신을 인터넷을 통해서 할 수 있다. 이러한 전화기는 화상 통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전화기 본체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카메라와 보조 표시창을 통해 화상 통화 기능을 제공하거고, 음성 및 화상 데이터 송수신을 인터넷을 통해서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 패널을 갖는 전화기의 사시도로서, 송수화기와 키버튼을 포함하는 전화기 본체(100)와, 표시장치부(200)를 포함한다. 표시장치부의 상부에는 햇볕이나 비 등을 막기 위한 차양(80)을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차양(80)은 표시장치부(200)를 보다 멀리서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일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차양(80)에는 야간에도 표시장치부(200)의 내용을 인식할 수 있도록 외부 조명 장치(90)가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와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광고 패널을 갖는 전화기의 표시장치부(2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표시장치부(200)의 개략적인 부분 절개 사시도와 측단면도이다. 표시장치부(200)는 내부에 일정 공간을 갖고 전방에 표시창(60)이 형성된 프레임(10)과, 이러한 프레임(10) 내에 마련된 구동 롤러(20), 안내 롤러(30), 구동부(40) 및 스크린(50)을 포함한다. 구동 롤러(20) 및 안내 롤러(30)는 프레임(10) 내에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고, 양 단부는 구동 롤러(20) 및 안내 롤러(30)가 회전 가능하게 프레임(10)에 지지되어 있다. 구동 롤러(20)의 일 단부에는 구동부(40)가 부착되어 구동 롤러를 소정의 속도로 회전 및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 롤러(20) 및 안내 롤러(30)의 외주면을 따라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50)이 감겨져 있다. 상기 구동부에 의해 구동 롤러(20)가 회전함에 따라 각종 광고 또는 안내가 인쇄되어 있는 스크린(50)이 상기 롤러들 사이를 순환한다. 스크린(50)에 인쇄된 각종 광고 또는 안내 내용은 프레임(10)에 마련된 표시창(60)을 통해서 외부에 표시된다.
이때, 야간에도 표시장치부(200)의 내용을 인식할 수 있도록 프레임(10) 내에 내부 조명 장치(70)를 마련할 수도 있다. 이는 전술된 차양(80)에 마련된 외부 조명 장치(90)를 대신하거나, 또는 이와 함께 마련될 수도 있다. 내부 조명 장치(70)는 외부에 표시될 스크린(50)이 내부 조명 장치(70)와 표시창(60) 사이에 오도록 설치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에는 표시창(60)이 전방면뿐만 아니라 후방면에도 마련되어 표시장치부의 전후방에서 광고나 안내 내용을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 스크린(50)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순환하게 되면 전방면 및 후방면의 어느 한 쪽에서는 스크린(50)에 인쇄된 내용이 뒤집어져서 표시된다. 따라서 표시장치부(200) 내에 구동 롤러(20) 및 안내 롤러(30)를 횡방향으로 설치하여 스크린(50)이 좌에서 우로 (또는 우에서 좌로) 순환하도록 하여야 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도1에 도시된 광고 패널을 갖는 전화기의 표시장치부의 다른 변형 예들의 측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표시장치부(200)는 스크린(50)에 2개의 광고 또는 안내 내용만이 인쇄될 수 있다. 물론, 표시창의 크기를 절반으로 하는 경우 2개 이상의 광고 또는 안내 내용이 인쇄될 수 있으나, 이 경우 표시장치부의 크기에 비하여 표시창의 크기가 작게 되어 미관을 해치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프레임 내의 여러 안내 롤러들의 배치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여러 내용을 스크린에 인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의 전방면(또는/및 후방면) 사이에 여러 개의 안내 롤러를 더 설치하고 구동 롤러(20)와 이들 안내 롤러(30)를 따라서 스크린(50)이 감기도록 함으로써, 프레임(10) 내에서 순환하는 스크린(50)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더 많은 내용의 광고 또는 안내를 스크린의 교체 없이 바꾸어 가며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된 표시장치부에서 구동 롤러(20) 대신 권취 롤러(25)가 프레임의 상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크린(50)은 길이가 긴 것으로 준비하여 스크린의 양 단부를 상기 2개의 권취 롤러(25)에 각각 고정 부착시키고, 권취 롤러(25)의 하나에 스크린(50)을 감아놓는다. 2개의 권취 롤러(25)는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부에 의해 서로 연동하여 회전한다. 따라서 구동부에 의해 권취 롤러(25)가 회전하면, 하나의 권취 롤러(25)에서는 스크 린(50)이 풀리고 다른 하나의 권취 롤러(25)에서는 스크린(50)이 감기게 된다. 이때, 프레임(10) 내에는 여러 개의 안내 롤러(30)가 마련되어, 순환하는 스크린(50)의 인쇄된 면이 프레임에 마련된 표시창(60)을 통하여 외부로 표시되도록 스크린(50)을 안내한다. 하나의 권취 롤러(25)에서 스크린(50)이 모두 풀리면 이를 인식하여 구동부의 회전을 반대로 바꾸어 주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기를 포함하여, 스크린에 인쇄된 정보가 계속 바뀌도록 한다. 도 6에는 프레임(10)에 2개의 표시창(60)을 마련하고, 스크린(50)에 인쇄된 내용이 이들 표시창을 통하여 표시되도록 스크린(50)의 순환 방향을 바꾸어주는 다수의 안내 롤러(30)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표시장치부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표시장치부보다 더 많은 정보가 스크린(50)에 인쇄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권취 롤러(25)가 상하부에 마련되어 스크린이 상하로 순환하여도 전후방면의 표시창을 통하여 표시되는 내용이 역전되지 않는다.
이상의 실시 예에 따른 광고 패널을 갖는 전화기는 전화기의 상부에 표시장치부가 마련되어 있었으나,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부(200)의 전방 하부면에 전화기 본체(100)가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이 경우에 스크린(50)의 길이는 전술된 실시예의 경우보다 길어지게 되고, 표시장치부(200)의 프레임(10)에 마련된 표시창(60)은 전화기 본체(100)의 상부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보다 많은 정보를 스크린에 인쇄하여 다양한 내용을 교대로 외부에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고 패널을 갖는 전화기의 표시장치 부를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전화기를 사용하는 사람보다는 전화기 사용을 위해 대기하는 사람이나 혹은 전화기 주변을 지나가는 사람들을 위해서는 표시장치부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전술된 표시장치부를 크게 제작하는 경우, 하나의 광고 또는 안내 내용이 다른 것으로 바뀔 때 소요되는 시간이 다소 길어지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없애기 위하여,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표시장치부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전화기에 부착된 표시장치부는 내부에 일정 공간을 갖는 프레임(10)과, 프레임(10) 내에 서로 평행하게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복수개의 회전축(56)과, 각각의 회전축(56) 둘레에 각각 마련된 스크린(55)과, 이들 회전축(56)을 동일한 각도로 회전시키는 구동장치를 포함한다. 프레임(10)의 전방 또는/및 후방에는 표시창이 마련되어, 스크린(55)에 인쇄된 다양한 정보가 외부에 표시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스크린(55)에 인쇄된 각각의 정보는 여러 개가 모여서 하나의 내용을 이룬다. 회전축(56) 각각의 일 단부에는 기어(57)가 마련되고 이들 기어(57) 사이에는 아이들 기어(58)가 마련된다. 회전축(56)의 하나는 기어(57)가 축의 중간에 마련되고 일 단부에는 이들 회전축(56)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40)가 연결되어 있다. 구동부(40)가 회전축(56)의 하나를 구동하면, 회전축(56)의 일 단부에 마련된 기어(57)와 아이들 기어(58)는 서로 맞물려 회전축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아이들 기어(58)가 없이 회전축(56)의 일 단부에 마련된 기어(57)가 서로 맞물리게 하면, 인접한 회전축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56)의 둘레에 삼각기둥 형태의 스크린(55)이 마련되면, 회전축들이 120도씩 회전할 때마다 각각의 스크린(55)의 일면에 인쇄된 정보들이 교대로 표시창(60)을 통하여 외부에 표시된다.
상기 스크린(55)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축들이 180도씩 회전할 때마다 스크린(55)의 일면에 인쇄된 2개의 정보가 교대로 표시창(60)을 통하여 외부에 표시된다. 이 때, 프레임의 후방에도 표시창(60)을 마련하여 표시장치부의 전후방에서 스크린(55)에 인쇄된 내용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표시장치부의 경우, 스크린(55)의 후면에 내부 조명 장치를 설치하기가 곤란하기 때문에, 즉 스크린(55)을 내부 조명 장치와 표시창(60) 사이에 배치하기가 곤란하기 때문에, 외부에 조명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표시장치부(200)의 상부에 마련된 차양에 외부 조명 장치(9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상의 어느 경우에도 표시창(60)은 통상 전화기 본체(100)의 상부에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표시창(60)은 전화기 본체에서 멀리 떨어진 장소에서도 식별 가능하도록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표시창(60)은 전화기 사용자에게 광고 또는 안내를 하기보다는 전화기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들에게도 광고 또는 안내를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표시장치 이외에, 필요에 따라서는 전화기 사용자에게 광고 또는 안내를 하기 위한 소형의 보조 표시창이 더 추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표시창(100)은 도 1, 도 2, 도 7, 또는 도 8에서 도면 부호 60S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전화기 본체(100)에 인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표시장치 이외에, 필요에 따라서는 근거리에 있는 보행자에게 광고 또는 안내를 하기 위한 소형의 보조 표시창이 더 추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표시창(100)은 도 12에서 도면 부호 60U로 표시된 바와 같이 주 표시창(50)과 전화기 본체(100) 사이의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보조 표시창(60U)은 발광 다이오드(LED) 등을 이용하여 간단한 안내 문구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3은 도 12의 광고 패널을 갖는 전화기의 후방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화기의 상기 표시창(60)에 대응하는 후방면에 제2 표시창(60B)을 마련하고, 상기 프레임(10)의 내측 후방에 고정 스크린(50B)을 마련하여, 제2 표시창(60B)을 통해서는 스크린(50B)이 본 발명의 전화기의 후방면에도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고 패널을 갖는 전화기는 통상 전화기 사용자가 전화기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대신, 표시창을 통해서 주변으로 광고 또는 안내를 하여 광고료 등의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수익의 일부는 전화기의 통화료를 지불하게 된다. 본 발명의 광고 패널을 갖는 전화기는 기존에 이미 개발 되어 사용되고 있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이라 불리는 인터넷 텔레포니(Internet Telephony) 기술을 사용해 구현 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해서 이를 간단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전화기를 사용해 전화를 하면, 전화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의 음성 데이터가 발생하고, 이는 모뎀(302)을 통해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의 인터넷 프로토콜 게이트웨이 (304)에 접속하여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된다. 상기 데이터 패킷은 VoIP 네트워크(306)를 통해 해당하는 국내 POP(308)나 국제 POP(310)로 나뉘어 지게 되고, 상기 국내나 국제 POP로부터 데이터 패킷이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해당 일반 국내 전화망(PSTN, 312)이나 일반 국내 전화망(PSTN, 314)으로 전달되어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는 일상생활에서 가장 보편적인 통신수단으로 인식되는 전화가 전화회선 교환방식을 이용하여 일정회선을 독점 사용하므로 회선 당 비용이 높고, 특히 시외, 국제 전화 시 많은 비용을 부담해야만 했던 것에 비해, VoIP 방식은 패킷 전송 방식을 사용하여 기존의 회사 전용망이나 국가 기간 망 등을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를 패킷이라는 작은 단위로 나누어 전송하므로 회선의 독점을 막고 기존의 회선을 사용하므로 보다 저렴하게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므로 앞으로 많은 발전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이는 더 나아가 단순히 음성 통화만이 아닌 화상 통화에 대해서도 확장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의 전화기 본체(100)에 인접한 위치한 소형의 보조 표시창(60S)에 LCD 또는 CRT 모니터 등의 전자표시장치를 내장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볼 수 있게 하고, 도 1, 도 2, 도 7 또는 도 8에서 도면 부호 110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전화기 본체(100)에 인접한 위치, 또는 주 표시창과 전화기 본체(100) 사이의 위치에 화상 카메라(110)를 추가해서 화상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게 한다. 이 때, 도 14의 PC 단말기(302)에는 음성 통화를 위한 음성 단말기와 화상 통화를 위한 화상 단말기가 마련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전술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광고 패널을 갖는 전화기는 광고 또는 안내 정보를 교체할 필요 없이 다양한 내용을 표시해 줄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광고 패널을 갖는 전화기는 단순한 구성과 저가의 비용으로 보다 더 많은 광고 또는 안내 정보를 교대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고 패널을 갖는 전화기는 표시장치부가 큰 경우에 보다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다.

Claims (5)

  1. 전화기 본체와,
    상기 전화기 본체의 상부에 부착된 표시장치부와,
    상기 전화기 본체에 인접한 위치 또는 전화기 본체와 상기 표시창 사이의 위치에는 상기 표시창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보조 표시창을 포함하고,
    상기 전화기 본체에는 무료 국제 전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패널을 갖는 전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료 국제 전화 기능은 음성 데이터 송수신을 인터넷을 통해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패널을 갖는 전화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화상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패널을 갖는 전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 본체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카메라와 보조 표시창을 통해 화상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패널을 갖는 전화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통화 기능은 음성 및 화상 데이터 송수신 을 인터넷을 통해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패널을 갖는 전화기.
KR1020040108886A 2004-12-20 2004-12-20 광고 패널을 갖는 인터넷 전화기 KR200600702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886A KR20060070223A (ko) 2004-12-20 2004-12-20 광고 패널을 갖는 인터넷 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886A KR20060070223A (ko) 2004-12-20 2004-12-20 광고 패널을 갖는 인터넷 전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0223A true KR20060070223A (ko) 2006-06-23

Family

ID=37164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8886A KR20060070223A (ko) 2004-12-20 2004-12-20 광고 패널을 갖는 인터넷 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7022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078B1 (ko) * 2007-04-09 2008-07-17 김승문 실시간 화면광고 전화기
KR101253429B1 (ko) * 2011-03-25 2013-04-11 (주) 이상컨트롤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078B1 (ko) * 2007-04-09 2008-07-17 김승문 실시간 화면광고 전화기
KR101253429B1 (ko) * 2011-03-25 2013-04-11 (주) 이상컨트롤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4414B1 (en) Device for image output and input
US20200220957A1 (en) Display screen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CN1971627A (zh) 多媒体数码门禁系统
CN1682150A (zh) 液晶显示装置和使用液晶显示装置的手机装置
CN101605155A (zh) 大显示屏移动电子设备
WO2021104314A1 (zh) 一种柔性屏组件及智能终端
CN111627369A (zh) 显示屏的显示方法、显示屏、显示屏组件以及电子设备
EP1257072A4 (en) SERVER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RELAY SERVER, CONVERSION RULES MANAGEMENT SERVER,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JP2002055337A5 (ko)
KR20060070223A (ko) 광고 패널을 갖는 인터넷 전화기
KR100403559B1 (ko) 듀얼 액정패널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의 액정패널 전원 제어방법
WO2004110044A1 (en) Telephone with display
KR20130080522A (ko) 롤 필름을 구비한 광고판
KR100344852B1 (ko)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듀얼 엘시디 구조를 갖는휴대용 단말기
CN101558636A (zh) 图像记录指示设备和方法
CN201117204Y (zh) 固定投射广告装置
KR20090004453A (ko) 광고수단을 갖는 전화기
CN217718942U (zh) 一种三防高密度成像led彩屏
CN220439200U (zh) 一种多幅换画广告展板装置
CN2548225Y (zh) 带有可远程控制广告灯箱的多媒体终端
CN214504942U (zh) 一种用于安装在汽车外部车顶的双面屏广告显示装置
CN202713429U (zh) 移动终端
JP2006050057A5 (ko)
CN209822255U (zh) 双色led语音投放机
CN210295695U (zh) 一种双面立式广告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