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4038A - 수리가 용이한 다기능성 BlPV 커튼월시스템 - Google Patents

수리가 용이한 다기능성 BlPV 커튼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4038A
KR20120114038A KR1020110031778A KR20110031778A KR20120114038A KR 20120114038 A KR20120114038 A KR 20120114038A KR 1020110031778 A KR1020110031778 A KR 1020110031778A KR 20110031778 A KR20110031778 A KR 20110031778A KR 20120114038 A KR20120114038 A KR 20120114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glass
module
horizontal
solar cell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1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래
김선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우이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우이엠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우이엠씨
Priority to KR1020110031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4038A/ko
Publication of KR20120114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40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04B2/967Details of the cross-section of the mullions or transo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6Building materials integrated with PV modules, e.g. façade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BIPV 커튼월시스템에서,
전체적으로 C채널을 눕힌 형상으로 내부에 수평프레임격벽(212)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밀폐된 수평중공부(214) 및 개방된 수평배선부(222)로 나뉘는 수평프레임본체(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평프레임부(200); 전체적으로 C채널을 세운 형상으로 내부에 수직프레임격벽(312)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밀폐된 수직중공부(314) 및 개방된 수직배선부(322)로 나뉘는 수직프레임본체(3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직프레임부(300); 및, 상기 수평프레임부(200)와 상기 수직프레임부(300)의 개방된 수평배선부(222) 및 수직배선부(322)의 전면에 설치되는 태양전지모듈이 적용된 복층유리구조유닛(1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수직프레임부(300)의 옆에 상기 수평프레임부(200)가 결합되고 상기 수평배선부(222)와 수직배선부(322) 사이에 배선홀(316)이 형성되어 상기 태양전지모듈이 적용된 복층유리구조유닛(100)을 탈착할 경우 수평배선(HW) 및 수직배선(VW)이 전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가 용이한 다기능성 BIPV 커튼월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리가 용이한 다기능성 BlPV 커튼월시스템{Easily Repairable Multi Functional BIPV Curtain Wall System}
본 발명은 정션박스를 복층유리 사이의 공간에 매립하므로 돌출된 부위가 없어 BIPV 커튼월시스템에 적용시 미숙련공도 탈부착이 용이한 태양전지모듈이 적용된 복층유리구조유닛 및 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며, 간단한 구조로 태양전지모듈이 적용된 복층유리구조유닛의 탈착시 배선전체가 노출되어 유지보수가 간편한 수리가 용이한 다기능성 BIPV 커튼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친환경 내지 녹색성장의 기조에 맞추어 건설현장에서도 설계 당시부터 BIPV(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커튼월시스템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도 1은 공개특허공보(공개번호 10-2008-0104786)에 개재된 종래의 태양전지모듈이 적용된 복층유리구조이고, 도 2는 도 1의 기술이 적용된 커튼월시스템의 단면도이다.
상기 BIPV 커튼월시스템에 적용되는 복층유리구조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배선박스(102)가 태양전지모듈(100)의 최상부에 돌출되어 제작후 운반 및 시공과정에서 상기 접속배선박스(102)가 파손될 우려가 높았으며, 커튼월시스템에 적용시 돌출된 상기 접속배선박스(102)로 인하여 커튼월프레임 내부에 상기 접속배선박스(102)가 삽입될 별도의 빈공간을 요구하고 설치도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돌출된 상기 접속배선박스(정션박스)로 인한 파손과 시공상 어려움을 해결할 기술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도 5는 공개특허공보(공개번호 10-2009-0030134)에 개재된 종래의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용 커튼월 시스템이고, 도 6은 도 5를 수평으로 절단하여 수직으로 바라본 수직단면도이다.
상기 종래의 기술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배선부(350)의 제1수직배선공간부(360) 내에 수평으로 배선된 전선(15)과 커넥터(16)가 위치하게 되므로 유지보수 과정에서 제4격벽(380)에 가려 수평으로 배선된 상기 전선(15)과 커넥터(16)의 교환 및 수리가 불편한 단점이 있으며, 도시되지 않은 수직배선은 대부분이 상기 제4격벽(380)에 가려 교환 및 수리가 거의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보다 간단한 구조로 수평배선과 수직배선 모두를 전부 노출시킬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시되는 것이다. 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션박스가 돌출되지 않아 제작 및 시공과정에서 파손의 위험이 적고 미숙련공도 탈부착이 용이한 태양전지모듈이 적용된 복층유리구조유닛 및 이의 제작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간단한 구조로 시공과 유지보수단계 등에서 수평배선과 수직배선을 모두 노출할 수 있어 수리가 용이한 다기능성 BIPV 커튼월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간단한 구조로 미숙련공도 시공이 용이하므로 공기 및 공비 절감이 가능한 수리가 용이한 다기능성 BIPV 커튼월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BIPV 커튼월시스템에서,
전체적으로 C채널을 눕힌 형상으로 내부에 수평프레임격벽(212)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밀폐된 수평중공부(214) 및 개방된 수평배선부(222)로 나뉘는 수평프레임본체(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평프레임부(200); 전체적으로 C채널을 세운 형상으로 내부에 수직프레임격벽(312)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밀폐된 수직중공부(314) 및 개방된 수직배선부(322)로 나뉘는 수직프레임본체(3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직프레임부(300); 및, 상기 수평프레임부(200)와 상기 수직프레임부(300)의 개방된 수평배선부(222) 및 수직배선부(322)의 전면에 설치되는 태양전지모듈이 적용된 복층유리구조유닛(1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수직프레임부(300)의 옆에 상기 수평프레임부(200)가 결합되고 상기 수평배선부(222)와 수직배선부(322) 사이에 배선홀(316)이 형성되어 상기 태양전지모듈이 적용된 복층유리구조유닛(100)을 탈착할 경우 수평배선(HW) 및 수직배선(VW)이 전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가 용이한 다기능성 BIPV 커튼월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첫째, 정션박스가 돌출되지 않아 제작 및 시공과정에서 파손의 위험이 적고 미숙련공도 탈부착이 용이한 태양전지모듈이 적용된 복층유리구조유닛 및 이의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둘째, 간단한 구조로 시공과 유지보수단계 등에서 수평배선과 수직배선을 모두 노출할 수 있어 수리가 용이한 다기능성 BIPV 커튼월시스템을 제공한다.
셋째, 간단한 구조로 미숙련공도 시공이 용이하므로 공기 및 공비 절감이 가능한 수리가 용이한 다기능성 BIPV 커튼월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공개특허공보(공개번호 10-2008-0104786)에 개재된 종래의 태양전지모듈이 적용된 복층유리구조이다.
도 2는 도 1의 기술이 적용된 커튼월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태양전지모듈이 적용된 복층유리구조유닛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태양전지모듈이 적용된 복층유리구조유닛의 제작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공개특허공보(공개번호 10-2009-0030134)에 개재된 종래의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용 커튼월 시스템이다.
도 6은 도 5를 수평으로 절단하여 수직으로 바라본 수직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수리가 용이한 다기능성 BIPV 커튼월시스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수리가 용이한 다기능성 BIPV 커튼월시스템을 수직으로 절단하여 수평으로 바라본 수평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수리가 용이한 다기능성 BIPV 커튼월시스템을 수평으로 절단하여 수직으로 바라본 수직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1. 태양전지모듈이 적용된 복층유리구조유닛
도 3은 본 발명의 태양전지모듈이 적용된 복층유리구조유닛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태양전지모듈이 적용된 복층유리구조유닛의 제작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태양전지모듈이 적용된 복층유리구조유닛(100)은 태양전지모듈(PV)을 사용한 복층유리구조유닛에서,
모듈외부유리(110), 태양전지셀(112), 모듈내부유리(114), 셀연결선(116) 그리고 정션박스(11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태양전지모듈(PV); 상기 모듈내부유리(114)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모듈내부유리(114)와의 사이에 공극(B)을 구성하며 수직으로 설치되는 내부유리(120); 상기 모듈내부유리(114)와 상기 내부유리(120)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모듈내부유리(114)와 상기 내부유리(120)의 상하좌우 각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안쪽으로 설치되는 단열간봉(140); 및, 상기 모듈내부유리(114)와 상기 내부유리(120) 그리고 상기 단열간봉(140) 사이에 주입되는 코킹제(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정션박스(118)가 상기 코킹제(160) 내부에 매립되고 상기 태양전지셀(112)과 정션박스(118)를 연결하는 상기 셀연결선(116)이 상기 모듈내부유리(114) 상단에 밀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태양전지모듈(PV)은 모듈외부유리(110), 태양전지셀(112), 모듈내부유리(114), 셀연결선(116) 그리고 정션박스(11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은 통상적으로 공장제작되는 제품을 말한다. 상기 모듈외부유리(110)는 통상적인 복층유리에 사용되는 판유리 등을 사용할 수도 있고 투과율 90% 이상의 저철분유리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전선(103)은 정션박스(118)에 통상적으로 연결되어 설치되나 도 3 및 4에서는 개념상 도시하지 않았다.
상기 내부유리(120)는 상기 모듈내부유리(114)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모듈내부유리(114)와의 사이에 공극(B)을 구성하며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을 말하며, 통상적인 복층유리에 사용되는 판유리 등을 사용할 수도 있고 에너지 절감을 위하여 로이유리(Low-E Glass)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공극(B)은 진공상태나 공기층 등으로 구성하여 단열성능을 높이게 된다.
상기 단열간봉(140)은 상기 모듈내부유리(114)와 상기 내부유리(120)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모듈내부유리(114)와 상기 내부유리(120)의 상하좌우 각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안쪽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모듈내부유리(114)와 상기 내부유리(12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공극(B)에 형성된 진공상태나 공기층의 밀폐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코킹제(160)는 상기 모듈내부유리(114)와 상기 내부유리(120) 그리고 상기 단열간봉(140) 사이에 주입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실런트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셀연결선(116)은 상기 모듈내부유리(114) 상단에 밀착하여 구성되는 데, 상기 셀연결선(116)의 상부를 코팅제 또는 테이프 등으로 보양하여 제작단계나 시공단계에서 파손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2. 태양전지모듈이 적용된 복층유리구조유닛의 제작방법
도 4는 본 발명의 태양전지모듈이 적용된 복층유리구조유닛의 제작방법을 순거대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태양전지모듈이 적용된 복층유리구조유닛의 제작방법은 상기 태양전지모듈이 적용된 복층유리구조유닛(100)을 제작하는 방법에서,
(a) 상기 정션박스(118)가 분리된 태양전지모듈(PV)과 상기 내부유리(120) 사이에 단열간봉(140)을 설치하는 간봉설치단계; (b) 상기 모듈내부유리(114)와 상기 내부유리(120) 그리고 상기 단열간봉(140) 사이에 코킹제(160)를 주입하는 코킹제주입단계; (c) 상기 정션박스(118) 형상으로 제작된 정션박스몰드(M)를 상기 코킹제(160)가 경화되기 전 소정깊이로 상기 코킹제(160) 상부로 눌렀다가 빼내는 몰딩단계; (d) 상기 정션박스몰드(M)가 빠진 위치에 상기 정션박스(118)를 삽입고정하는 정션박스설치단계; 및, (e) 상기 셀연결선(116)을 상기 정션박스(118)에 연결하는 셀연결선연결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 몰딩단계; 후에 (c`) 외부로 빠져나온 코킹제(160)를 제거하는 코킹제정리단계;를 더 포함하거나, 상기 (e) 셀연결선연결단계; 후에 (e`) 상기 셀연결선(116)의 상부를 코팅제 또는 테이프로 보양하는 보양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정션박스몰드(M)의 외부는 코킹제(160)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피막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a) 간봉설치단계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션박스(118)가 분리된 태양전지모듈(PV)과 상기 내부유리(120) 사이에 단열간봉(140)을 설치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b) 코킹제주입단계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내부유리(114)와 상기 내부유리(120) 그리고 상기 단열간봉(140) 사이에 코킹제(160)를 주입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c) 몰딩단계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션박스(118) 형상으로 제작된 정션박스몰드(M)를 상기 코킹제(160)가 경화되기 전 소정깊이로 상기 코킹제(160) 상부로 눌렀다가 빼내는 단계를 말하며, 상기 정션박스몰드(M)의 외부는 코킹제(160)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윤활유 또는 비닐 등을 이용한 피막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c`) 코킹제정리단계는 상기 (c) 몰딩단계 후에 외부로 밀려서 빠져나온 코킹제(160)를 칼 등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d) 정션박스설치단계는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션박스몰드(M)가 빠진 위치에 상기 정션박스(118)를 삽입고정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e) 셀연결선연결단계는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셀연결선(116)을 상기 정션박스(118)에 연결하는 단계를 말하며,
상기 (e`) 보양단계는 상기 (e) 셀연결선연결단계 후에 상기 셀연결선(116)의 상부를 코팅제 또는 테이프로 보양하는 단계를 말한다.
3. 수리가 용이한 다기능성 BIPV 커튼월시스템
도 7은 본 발명의 수리가 용이한 다기능성 BIPV 커튼월시스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수리가 용이한 다기능성 BIPV 커튼월시스템을 수직으로 절단하여 수평으로 바라본 수평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수리가 용이한 다기능성 BIPV 커튼월시스템을 수평으로 절단하여 수직으로 바라본 수직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수리가 용이한 다기능성 BIPV 커튼월시스템은 BIPV 커튼월시스템에서,
전체적으로 C채널을 눕힌 형상으로 내부에 수평프레임격벽(212)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밀폐된 수평중공부(214) 및 개방된 수평배선부(222)로 나뉘는 수평프레임본체(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평프레임부(200); 전체적으로 C채널을 세운 형상으로 내부에 수직프레임격벽(312)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밀폐된 수직중공부(314) 및 개방된 수직배선부(322)로 나뉘는 수직프레임본체(3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직프레임부(300); 및, 상기 수평프레임부(200)와 상기 수직프레임부(300)의 개방된 수평배선부(222) 및 수직배선부(322)의 전면에 설치되는 태양전지모듈이 적용된 복층유리구조유닛(1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수직프레임부(300)의 옆에 상기 수평프레임부(200)가 결합되고 상기 수평배선부(222)와 수직배선부(322) 사이에 배선홀(316)이 형성되어 상기 태양전지모듈이 적용된 복층유리구조유닛(100)을 탈착할 경우 수평배선(HW) 및 수직배선(VW)이 전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도 5 및 6에 도시된 종래의 기술과 다르게 본 발명에서는 도 7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태양전지모듈이 적용된 복층유리구조유닛(100)을 탈부착할 때 수평배선(HW) 및 수직배선(VW)이 상기 수평배선부(222) 및 수직배선부(322)에서 전부 노출되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유지보수도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격벽(212) 및 수직프레임격벽(312)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홀더레일(HR)이 더 형성되고 상기 홀더레일(HR)에 수평배선(HW) 또는 수직배선(VW)을 고정할 수 있는 홀더(HD)가 더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수평프레임부(200)의 개방된 수평배선부(222) 쪽의 수평프레임본체(210) 일단에 브래킷고정부(216)를 형성하고,
상기 브래킷고정부(216)에 설치되는 브래킷(B)을 더 추가로 구성하되,
상기 브래킷고정부(216)와 브래킷(B)의 접촉부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절곡되어 결합되거나 결합수단(미도시)을 사용하여 결합되고 상기 브래킷(B) 상부에 상기 태양전지모듈이 적용된 복층유리구조유닛(100)의 하단이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은 통상적인 볼트, 너트 그리고 접착제 등을 이용한 결합수단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각각의 모든 부재들은 나사 등을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체결할 수도 있고, 각 부재의 접촉부위를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작하여 끼워 맞추는 등의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태양전지모듈이 적용된 복층유리구조유닛은 정션박스(118)가 돌출되지 않아 제작 및 시공과정에서 파손의 위험이 적으며, 돌출된 부위가 없으므로 미숙련공도 탈부착이 용이하다. 또한 돌출된 부위가 없으므로 커튼월시스템의 프레임의 구조를 간단한 구조로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리가 용이한 다기능성 BIPV 커튼월시스템은 간단한 구조로 시공과 유지보수단계 등에서 수평배선과 수직배선을 모두 노출할 수 있어 수리가 용이하며 미숙련공도 시공이 용이하므로 공기 및 공비 절감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PV: 태양전지모듈
B: 공극
M: 정션박스몰드
100: 태양전지모듈이 적용된 복층유리구조유닛
110: 모듈외부유리
112: 태양전지셀
114: 모듈내부유리
116: 셀연결선
118: 정션박스
120: 내부유리
140: 단열간봉
160: 코킹제
200: 수평프레임부
210: 수평프레임본체
212: 수평프레임격벽
214: 수평중공부
216: 브래킷고정부
222: 수평배선부
300: 수직프레임부
310: 수직프레임본체
312: 수직프레임격벽
314: 수직중공부
316: 배선홀
322: 수직배선부
B: 브래킷
HD: 홀더
HR: 홀더레일
HW: 수평배선
VW: 수직배선

Claims (5)

  1. BIPV 커튼월시스템에서,
    전체적으로 C채널을 눕힌 형상으로 내부에 수평프레임격벽(212)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밀폐된 수평중공부(214) 및 개방된 수평배선부(222)로 나뉘는 수평프레임본체(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평프레임부(200);
    전체적으로 C채널을 세운 형상으로 내부에 수직프레임격벽(312)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밀폐된 수직중공부(314) 및 개방된 수직배선부(322)로 나뉘는 수직프레임본체(3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직프레임부(300); 및,
    상기 수평프레임부(200)와 상기 수직프레임부(300)의 개방된 수평배선부(222) 및 수직배선부(322)의 전면에 설치되는 태양전지모듈이 적용된 복층유리구조유닛(1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수직프레임부(300)의 옆에 상기 수평프레임부(200)가 결합되고 상기 수평배선부(222)와 수직배선부(322) 사이에 배선홀(316)이 형성되어 상기 태양전지모듈이 적용된 복층유리구조유닛(100)을 탈착할 경우 수평배선(HW) 및 수직배선(VW)이 전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가 용이한 다기능성 BIPV 커튼월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수평프레임격벽(212) 및 수직프레임격벽(312)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홀더레일(HR)이 더 형성되고 상기 홀더레일(HR)에 수평배선(HW) 또는 수직배선(VW)을 고정할 수 있는 홀더(HD)가 더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가 용이한 다기능성 BIPV 커튼월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수평프레임부(200)의 개방된 수평배선부(222) 쪽의 수평프레임본체(210) 일단에 브래킷고정부(216)를 형성하고,
    상기 브래킷고정부(216)에 설치되는 브래킷(B)을 더 추가로 구성하되,
    상기 브래킷고정부(216)와 브래킷(B)의 접촉부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절곡되어 결합되거나 결합수단(미도시)을 사용하여 결합되고 상기 브래킷(B) 상부에 상기 태양전지모듈이 적용된 복층유리구조유닛(100)의 하단이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가 용이한 다기능성 BIPV 커튼월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태양전지모듈이 적용된 복층유리구조유닛(100)은,
    모듈외부유리(110), 태양전지셀(112), 모듈내부유리(114), 셀연결선(116) 그리고 정션박스(11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태양전지모듈(PV);
    상기 모듈내부유리(114)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모듈내부유리(114)와의 사이에 공극(B)을 구성하며 수직으로 설치되는 내부유리(120);
    상기 모듈내부유리(114)와 상기 내부유리(120)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모듈내부유리(114)와 상기 내부유리(120)의 상하좌우 각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안쪽으로 설치되는 단열간봉(140); 및,
    상기 모듈내부유리(114)와 상기 내부유리(120) 그리고 상기 단열간봉(140) 사이에 주입되는 코킹제(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정션박스(118)가 상기 코킹제(160) 내부에 매립되고 상기 태양전지셀(112)과 정션박스(118)를 연결하는 상기 셀연결선(116)이 상기 모듈내부유리(114) 상단에 밀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가 용이한 다기능성 BIPV 커튼월시스템.
  5. 제3항에서 상기 태양전지모듈이 적용된 복층유리구조유닛(100)은,
    모듈외부유리(110), 태양전지셀(112), 모듈내부유리(114), 셀연결선(116) 그리고 정션박스(11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태양전지모듈(PV);
    상기 모듈내부유리(114)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모듈내부유리(114)와의 사이에 공극(B)을 구성하며 수직으로 설치되는 내부유리(120);
    상기 모듈내부유리(114)와 상기 내부유리(120)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모듈내부유리(114)와 상기 내부유리(120)의 상하좌우 각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안쪽으로 설치되는 단열간봉(140); 및,
    상기 모듈내부유리(114)와 상기 내부유리(120) 그리고 상기 단열간봉(140) 사이에 주입되는 코킹제(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정션박스(118)가 상기 코킹제(160) 내부에 매립되고 상기 태양전지셀(112)과 정션박스(118)를 연결하는 상기 셀연결선(116)이 상기 모듈내부유리(114) 상단에 밀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가 용이한 다기능성 BIPV 커튼월시스템.
KR1020110031778A 2011-04-06 2011-04-06 수리가 용이한 다기능성 BlPV 커튼월시스템 KR201201140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778A KR20120114038A (ko) 2011-04-06 2011-04-06 수리가 용이한 다기능성 BlPV 커튼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778A KR20120114038A (ko) 2011-04-06 2011-04-06 수리가 용이한 다기능성 BlPV 커튼월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038A true KR20120114038A (ko) 2012-10-16

Family

ID=47283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1778A KR20120114038A (ko) 2011-04-06 2011-04-06 수리가 용이한 다기능성 BlPV 커튼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40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0195B1 (ko) * 2015-09-25 2016-07-18 주식회사 알루이엔씨 전선배관 일체형 단열 비노출형 커튼월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0195B1 (ko) * 2015-09-25 2016-07-18 주식회사 알루이엔씨 전선배관 일체형 단열 비노출형 커튼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4037A (ko) 수리가 용이한 다기능성 bipv 커튼월시스템
KR101813068B1 (ko) 건물 외벽 일체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1162675B1 (ko) 수리가 용이한 다기능성 BlPV 커튼월시스템
CN204112615U (zh) 一种新型拼接式光伏屋面结构
CN202689269U (zh) 一种适用于明框、隐框、半隐框的玻璃幕墙
CN101675529A (zh) 太阳能电池模块装置
KR101737304B1 (ko) 적층식 태양광패널 고정프레임을 구비한 외단열 외벽 시스템
KR100894575B1 (ko) 태양전지모듈이 적용된 커튼월 시스템
KR20200005766A (ko) 태양광 발전장치용 커튼월
KR100869989B1 (ko) 태양전지패널의 건물외벽 시공구조
CN2846575Y (zh) 太阳能光电建筑玻璃幕墙
KR20110045522A (ko) 건물 일체형 태양광 외장재 구조
KR20200142353A (ko) 단열 및 방수 기능을 갖는 외벽마감패널 및 이를 구비한 외벽마감구조체
KR20120114038A (ko) 수리가 용이한 다기능성 BlPV 커튼월시스템
KR20110045520A (ko) 건물 일체형 태양광 외장재 구조
CN200999407Y (zh) 明框式光电建筑玻璃幕墙
CN202143315U (zh) 一种机柜
CN204551775U (zh) 一种外墙外挂保温系统
KR20110045521A (ko) 건물 일체형 태양광 외장재 구조
CN105932948A (zh) 一种太阳能电池组件
CN115528621A (zh) 一种光伏玻璃应用在房屋的布线方法
KR101792059B1 (ko) 복층 창호 및 그의 유리 추가 시공방법
CN208501972U (zh) 一种带肋装配式剪力墙结构
CN104818776A (zh) 一种外墙外挂保温系统及其施工方法
JP4146787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屋根取り付け構造体、太陽電池構造体、その屋根取り付け方法及びモジュールユニットの交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