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3065A - 인공 호흡기 자동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인공 호흡기 자동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3065A
KR20120113065A KR1020110030771A KR20110030771A KR20120113065A KR 20120113065 A KR20120113065 A KR 20120113065A KR 1020110030771 A KR1020110030771 A KR 1020110030771A KR 20110030771 A KR20110030771 A KR 20110030771A KR 20120113065 A KR20120113065 A KR 20120113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tidal
condition
oxygen
venti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0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3039B1 (ko
Inventor
김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멕 아이씨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멕 아이씨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멕 아이씨에스
Priority to KR1020110030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3039B1/ko
Publication of KR20120113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3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10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 A61M16/1005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with O2 features or with parameter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10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 A61M16/1005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with O2 features or with parameter measurement
    • A61M2016/102Measuring a parameter of the content of the delivered gas
    • A61M2016/1025Measuring a parameter of the content of the delivered gas the O2 concen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2Gases
    • A61M2202/0208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20Blood composition characteristics
    • A61M2230/205Blood composition characteristics partial oxygen pressure (P-O2)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 호흡기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인공호흡기를 장착한 환자의 생체 신호를 토대로 인공 호흡기를 자동으로 제어함에 따라, 일일이 환자의 생체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수동으로 인공 호흡기의 파라미터들을 일일이 제어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을 제거하여 제품에 대한 편리성을 근복적으로 향상할 수 있는 잇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인공 호흡기 자동 제어 방법{METHOD FOR AUTOMATIC COTROLLING MEDICAL VENTILATOR}
본 발명은 인공 호흡기 자동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체 신호를 토대로 인공 호흡기를 자동 제어하여 인공 호흡기에 대한 편리성을 더욱 향상할 수 있도록 한 인공 호흡기 자동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공 호흡기는 환자가 회복될 때까지의 생명 유지를 위해 인위적으로 환자에게 산소와 공기의 혼합 가스를 공급하는 수단이며, 최근에는 인공 호흡을 하는 동안 환자에게 편안함을 유지하면서 압력에 의한 폐포의 상해 및 기도의 구조적인 손상을 최소로 줄이고자 하는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즉, 인공 호흡에 대한 외국의 기술 개발 동향을 살펴보면, 80년대에는 가스 교환 방식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고, 90년대에는 환기 공급 방식에 관한 연구가 주목을 받아 왔으며, 최근에는 폐의 기계적인 동작 원리에 따라 폐의 손상을 줄이고 효율적인 자발 호흡을 유도해 낼 수 있는 연구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러한 개발 동향에 따라 압력 조절 방식의 다기능 인공 호흡기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압력 조절 방식의 인공 호흡기는 폐포-모세혈관의 손상을 줄이고 무호흡 환자의 자발 호흡을 빠르게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인공 호흡기는 산소 포화도를 포함하는 생체 신호를 항상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수동으로 인공 호흡기를 제어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공호흡기를 장착한 환자의 생체 신호를 토대로 자동으로 인공 호흡기를 자동제어함에 따라 환자 관리를 더욱 향상할 수 있도록 한 인공 호흡기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인공 호흡기 제어 방법은,
인공호흡기를 장착한 환자로부터 공급되는 생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생체 신호 중 혈중산소포화도(SpO2)를 토대로 기 정의된 제1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산소와 공기의 혼합 가스의 산소 농도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체 신호는,
혈중산소포화도(SpO2), 혈액내의 산소분압 PaO2 : Arterial Oxygen Pressure), 동맥혈이산화탄소분압(PaCO2 : Arterial CO2 Pressure), 흡입압(PIP: Peak Inspired Pressure), 흡입산소농도(FiO2: Fraction of Inspired Oxygen), 호기말양압(PEEP), 및 호기말탄산가스분압(EtCO2: End-tidal CO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림직하다 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방법은,
상기 생체 신호 중 산소를 마시고 이산화탄소를 배출 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값인 호기말탄산가스분압(EtCO2)을 토대로 기 정의된 제2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가스 배출 시 폐에 걸리는 호기말양압(PEEP)를 기 정의된 값으로 설정한 후 흡기량(ventilation)을 증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방법은,
상기 생체 신호 중 상기 호기말탄산가스분압(EtCO2)을 토대로 기 정의된 제3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환자에게 공급되는 혼합 가스의 흡입량을 감소하는 단계로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방법은,
상기 생체 신호 중 심장박동수 또는 맥박수, 흡입압(PIP), 흡입 산소 농도(FiO2), 호기말양압(PEEP) 및 호기말탄산가스분압(EtCO2)을 토대로 기 정의된 비상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경고 상황을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혈중산소포화도(SpO2)가 기 정의된 제1 기준치(3%) 이상 감소 및 제2 기준치(95%) 이하로 감소 중 하나이고,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호기말탄산가스분압(EtCO2)의 기 정의된 설정치(3mmHg) 이상 감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제3 조건은
상기 호기말탄산가스분압(EtCO2)의 상기 설정치 이상 증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한편, 상기 비상 조건은,
심장 박동수 또는 맥박수가 임계치(15%) 이상 변하고 기 정의된 소정시간(2분) 이상 유지되는 경우, 흡기압(PIP)> 제1 소정치(30 cmH20) 이거나 흡입산소농도(FiO2)> 제2 소정치(6) or 호기말양압(PEEP)> 제3 소정치(10 cmH20)인 경우, 호흡수(RR)> 제1 판단기준치(22) 이고 호흡량(VT) > 제2 판단 기준치(8 ml/kg) 인 환자에서 호기말탄산가스분압(EtCO2)이 상기 설정치 이상 증가하거나, 호흡수(RR)<12 이고 호흡량(VT)< 6 ml/kg 인 환자에서 호기말탄산가스분압(EtCO2)이 상기 설정치(3 mmHg) 이상 감소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공 호흡기 제어 방법은, 인공호흡기를 장착한 환자의 생체 신호를 토대로 인공 호흡기를 자동으로 제어함에 따라, 일일이 환자의 생체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수동으로 인공 호흡기의 파라미터들을 일일이 제어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을 제거하여 제품에 대한 편리성을 근복적으로 향상할 수 있는 잇점을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 호흡기 제어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 호흡기의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인공 호흡기는 미리 정해진 조건 및 가스 조성, 압력, 및 유동 패턴의 작동기 입력 스케쥴 하에서, 압력이 가해진 가스를 폐로 밀어넣어(양압(positive-pressure) 인공호흡기에서와 같이) 환자의 가슴 공간을 확장시키는 것 중의 어느 하나에 의하여 작동한다.
그리고, 인공 호흡기는 환자 상태로부터 공급되는 생체 신호를 모니터하고 모니터링된 생체 신호를 디스플레이 및 경보 활동 또는 경고 상황을 발생하기 위해 전기적인 데이터(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통하여)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제공한다.
도 1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다수의 생체 신호를 제공받아 자동으로 인공 호흡기 제어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우선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단계(101)를 통해 다수의 생체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생체 신호는 혈중산소포화도(SpO2), 혈액내의 산소분압 PaO2 : Arterial Oxygen Pressure), 동맥혈이산화탄소분압(PaCO2 : Arterial CO2 Pressure), 흡입압(PIP: Peak Inspired Pressure), 흡입산소농도(FiO2: Fraction of Inspired Oxygen), 호기말양압(PEEP) 및 호기말탄산가스분압(EtCO2: End-tidal CO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생체 신호를 토대로 인공 호흡기의 파라미터들을 자동으로 제어한다.
즉,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단계(103)를 통해 상기 동맥혈 산소포화도(SaO2)가 기 설정된 제1 기준치(3%) 이상으로 증가하였거나 제2 기준치 이하(95%)로 감소한 경우 단계(105)로 진행하고, 상기 단계(105)에서, 흡입산소농도 및 호기말양압을 근거로 인공 호흡기의 산소 농도가 제어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흡입산소농도 및 호기말양압을 제어함에 따라 인공 호흡기의 신소 농도를 제어한다.
인공 호흡기의 산소 농도는 ① 인공호흡기에서 흡입산소농도< 0.4이고, 호기말양압< 5 cmH2O인 경우 인공호흡기의 흡입산소농도는 0.4에 호기말양압은 5 cmH2O에 각각 설정한다.
② 인공호흡기에서 흡입산소농도가 0.4-0.5 또는 흡입 산소 농도> 0.5 이고, 호기말양압 < 5 cmH2O 인 경우 인공호흡기의 호기말양압은 5cmH2O까지 증가되도록 한다.
③ 인공호흡기에서 흡입산소농도가 <0.4이고, 호기말양압이 5 - 7.5 cmH2O인 경우 인공호흡기의 흡입산소농도를 0.1 올린다.
④ 인공호흡기에서 흡입산소농도가 0.4-0.5, 호기말양압이 5 - 7.5 cmH2O인 경우 인공호흡기의 호기말양압을 2.5 cmH2O 올린다.
⑤ 인공호흡기에서 흡입산소농도> 0.5, 호기말양압은 5 - 7.5 cmH2O인 경우 : 인공호흡기의 호기말양압을 2.5 cmH2O 올린다.
⑥ 인공호흡기에서 흡입산소농도< 0.4이고, 호기말양압이 7.5 - 10 cmH2O인 경우 인공호흡기의 흡입산소농도를 0.1 올린다.
⑦ 인공호흡기에서 흡입산소농도가 0.4-0.5, 호기말양압이 7.5 - 10 cmH2O인 경우 인공호흡기의 흡입산소농도를 0.1 올린다.
⑧ 인공호흡기에서 흡입산소농도> 0.5, 호기말양압이 7.5 - 10 cmH2O인 경우 인공호흡기 호기말양압을 2.5 cmH2O 올린다.
이어 상기 단계(103)에서 상기 동맥혈 산소포화도(SaO2)가 기 설정된 제1 기준치(3%) 이상으로 증가하였거나 제2 기준치 이하(95%)로 감소하지 아니한 경우 단계(107)를 통해 호기말탄산가스분압(EtCO2)가 기 정의된 설정치(3mmHg) 이상 증가하였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단계(107)의 판단 결과 호기말탄산가스분압 (EtCO2)가 기 정의된 설정치(3mmHg) 이상 감소한 경우 단계(109)로 진행한다.
상기 단계(109)에서, 호기말양압(PEEP)가 5 이상인 경우 상기 호기말양압(PEEP)를 5로 설정한 후 단계(111)로 진행하여 흡기량(ventilation)을 증가한다.
즉, 상기 흡기량을 증가하는 과정은 호기말탄산가스분압(EtCO2)이 설정치 이하 낮은 경우 흡기압(PIP), 호흡수(RR), 및 호흡량(Tidal Volume: VT)을 제어하여 호기말탄산가스분압(EtCO2)을 정상 범위로 제어한다.
상기 흡기량 증가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공호흡기에서 PIP< 18 cmH2O인 경우
① VT < 6ml/kg 이고 RR<10회/min일 경우 RR을 기존의 호흡수에서 2회/min을 더 늘이고 VT은 6ml/kg까지 증가시킨다.
② VT은 6-8ml/kg 이고 RR<10/min일 경우 RR을 기존의 호흡수에서 2회/min을 더 늘인다.
③ VT은 8-10ml/kg 이고 RR<10/min일 경우 RR을 기존의 호흡수에서 2회/min을 더 늘인다.
④ VT > 10 ml/kg 이고 RR<10/min일 경우 RR을 기존의 호흡수에서 2회/min을 더 늘인다.
⑤ VT < 6ml/kg 이고 RR이 10-16/min일 경우 VT을 6ml/kg까지 올린다.
⑥ VT은 6-8ml/kg 이고 RR이 10-16/min일 경우 VT을 1 ml/kg 더 올린다.
⑦ VT은 8-10ml/kg 이고 RR이 10-16/min일 경우 RR을 기존의 호흡수에서 2회/min을 더 늘인다
⑧ VT은 >10 ml/kg 이고 RR이 10-16/min일 경우 RR을 기존의 호흡수에서 2회/min을 더 늘인다
⑨ VT < 6ml/kg 이고 RR이 16-22 /min일 경우 VT을 6ml/kg 까지 올린다.
⑩ VT은 6-8ml/kg 이고 RR이 16-22 /min일 경우 VT을 1ml/kg 더 올린다.
⑪ VT은 8-10ml/kg 이고 RR이 16-22 /min일 경우 VT을 1ml/kg 더 올린다.
⑫ VT은 >10 ml/kg 이고 RR이 16-22 /min일 경우 VT을 1ml/kg 더 올린다.
⑬ VT < 6ml/kg 이고 RR>22 /min일 경우 VT을 6ml/kg까지 올린다.
⑭ VT은 6-8ml/kg 이고 RR>22 /min일 경우 VT을 1ml/kg 더 올린다.
⑮ VT은 8-10ml/kg 이고 RR>22 /min일 경우 VT을 1ml/kg 더 올린다.
마지막으로 VT은 >10 ml/kg 이고RR>22 /min일 경우 VT을 1ml/kg 더 올린다.
또한, 인공호흡기에서 PIP가 18-25 cmH2O인 경우
① VT < 6ml/kg 이고 RR<10/min일 경우 RR을 기존의 호흡수에서 2회/min을 더 늘이고 VT은 6ml/kg 까지 증가시킨다.
② VT은 6-8ml/kg 이고 RR<10/min일 경우 RR을 기존의 호흡수에서 2회/min을 더 늘인다
③ VT은 8-10ml/kg 이고 RR<10/min일 경우 RR을 기존의 호흡수에서 2회/min을 더 늘인다
④ VT > 10 ml/kg 이고 RR<10/min일 경우 RR을 기존의 호흡수에서 2회/min을 더 늘인다
⑤ VT < 6ml/kg 이고 RR이 10-16/min일 경우 VT을 6ml/kg 까지 올린다.
⑥ VT은 6-8ml/kg 이고 RR이 10-16/min일 경우 VT을 1ml/kg 더 올린다.
⑦ VT은 8-10ml/kg 이고 RR이 10-16/min일 경우 RR을 기존의 호흡수에서 2회/min을 더 늘인다
⑧ VT은 >10 ml/kg 이고 RR이 10-16/min일 경우 RR을 기존의 호흡수에서 2회/min을 더 늘인다
⑨ VT < 6ml/kg 이고 RR이 16-22회/min일 경우 VT을 6ml/kg까지 올린다.
⑩ VT은 6-8ml/kg 이고 RR이 16-22회/min일 경우 VT을 1ml/kg 더  올린다.
⑪ VT은 8-10ml/kg 이고 RR이 16-22회/min일 경우 RR을 기존의 호흡수에서 2회/min을 더 늘이고 PEEP을 2.5cmH2O 더 증가시킨다.
⑫ VT은 >10 ml/kg 이고 RR이 16-22 /min일 경우 RR을 기존의 호흡수에서 2회/min을 더 늘이고 PEEP을 2.5cmH2O 더 증가시킨다.
⑬ VT < 6ml/kg 이고 RR>22 /min일 경우 VT을 6ml/kg 까지 올린다.
⑭ VT은 6-8ml/kg 이고 RR>22 /min일 경우 VT을 1ml/kg 더 올린다.
한편, 상기 단계(107)에서, 호기말탄산가스분압(EtCO2)가 기 정의된 설정치(3mmHg) 이상 감소하지 아니한 경우 단계(113)으로 진행하고, 상기 단계(113)에서, 호기말탄산가스분압(EtCO2)가 상기 설정치(3mmHg) 이상 감소하였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단계(113)의 판단 결과 호기말탄산가스분압(EtCO2)가 상기 설정치(3mmHg) 이상 감소한 경우 단계(115)로 진행하여 흡기량(ventilation)을 감소한다.
즉, 상기 호기말탄산가스분압(EtCO2)이 상기 설정치 이상 증가한 경우 인공 호흡기의 흡기압(PIP), 호흡수(RR), 및 흡기량(VT)를 제어하여 흡기량을 감소한다.
상기 흡기량을 감소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① VT은 6-8ml/kg 이고 RR<12/min일 경우 VT을 1ml/kg 내린다.
② VT은 8-10ml/kg 이고 RR<12/min일 경우 VT을 1ml/kg  내린다.
③ VT > 10 ml/kg 이고 RR<12/min일 경우 VT을 1ml/kg  내린다.
④ VT < 6ml/kg 이고 RR이 12-18/min일 경우 RR을 기존의 호흡수에서 2회/min을 줄인다.
⑤ VT은 6-8ml/kg 이고 RR이 12-18/min일 경우 RR을 기존의 호흡수에서 2회/min을 줄인다.
⑥ VT은 8-10ml/kg 이고 RR이 12-18/min일 경우 VT을 1ml/kg 내린다.
⑦ VT은 >10 ml/kg 이고 RR이 12-18/min일 경우VT을 1ml/kg 내린다.
⑧ VT < 6ml/kg 이고 RR이 18-24 /min일 경우 RR을 기존의 호흡수에서 2회/min을 줄인다.
⑨ VT은 6-8ml/kg 이고 RR이 18-24/min일 경우 RR을 기존의 호흡수에서 2회/min을 줄인다.
⑩ VT은 8-10ml/kg 이고 RR이 18-24 /min일 경우 VT을 1ml/kg 내린다.
⑪ VT은 >10 ml/kg 이고 RR이 18-24/min일 경우 VT을 1ml/kg 내린다.
⑫ VT < 6ml/kg 이고 RR>24 /min일 경우 RR을 기존의 호흡수에서 2회/min을 줄인다.
⑬ VT은 6-8ml/kg 이고 RR>24 /min일 경우 RR을 기존의 호흡수에서 2회/min을 줄인다.
⑭ VT은 8-10ml/kg 이고 RR>24 /min일 경우 RR을 기존의 호흡수에서 2회/min을 줄인다.
⑮ VT은 >10 ml/kg 이고RR>24 /min일 경우VT을 1ml/kg 내린다.
한편, 상기 단계(113)에서 호기말탄산가스분압((EtCO2)이 상기 설정치 이상 증가하기 아니한 경우, 단계(117)로 진행하고 단계(117)에서, 비상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단계(119)로 진행하고 단계(119)에서 시각 및 청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경고 상황을 타인에게 알린다.
상기 비상 조건은, 심장 박동수 또는 맥박수가 임계치(15%) 이상 변하고 기 정의된 소정시간(2분) 이상 유지되는 경우, 흡기압(PIP)> 제1 소정치(30 cmH20) 이거나 흡입산소농도(FiO2)> 제2 소정치(6) or 호기말양압(PEEP)> 제3 소정치(10 cmH20)인 경우, 호흡수(RR)> 제1 판단기준치(22) 이고 호흡량(VT) > 제2 판단 기준치(8 ml/kg) 인 환자에서 호기말탄산가스분압(EtCO2)이 상기 설정치 이상 증가하거나, 호흡수(RR)<12 이고 호흡량(VT)< 6 ml/kg 인 환자에서 호기말탄산가스분압(EtCO2)이 상기 설정치(3 mmHg) 이상 감소하는 경우이다.
상기의 일련의 과정을 통해, 환자의 생체 신호를 토대로 인공 호흡기의 파라미터들을 자동으로 제어함에 따라, 환자의 생체 신호를 계속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수동으로 인공 호흡기의 파라미터들을 제어하는 일련의 과정들이 제거되므로, 인공호흡기에 대한 편리성을 더욱 향상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환자의 생체 신호를 토대로 인공 호흡기의 파라미터들을 자동으로 제어함에 따라, 환자의 생체 신호를 계속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수동으로 인공 호흡기의 파라미터들을 제어하는 일련의 과정들이 제거되므로, 인공호흡기에 대한 편리성을 더욱 향상할 수 있는 인공 호흡 장치에 대한 효율면에 대해, 운용의 정확성 및 신뢰도 측면, 더 나아가 성능 효율 면에 매우 큰 진보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적용되는 인공 호흡기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Claims (9)

  1. 인공호흡기를 장착한 환자로부터 공급되는 생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생체 신호 중 혈중산소포화도(SpO2)를 토대로 기 정의된 제1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산소와 공기의 혼합 가스의 산소 농도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호흡기 제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체 신호는,
    혈중산소포화도(SpO2), 혈액내의 산소분압 PaO2 : Arterial Oxygen Pressure), 동맥혈이산화탄소분압(PaCO2 : Arterial CO2 Pressure), 흡입압(PIP: Peak Inspired Pressure), 흡입산소농도(FiO2: Fraction of Inspired Oxygen), 호기말양압(PEEP), 및 산소를 마시고 이산화탄소를 배출 시 발생하는 탄산분압값인 호기말탄산가스분압(EtCO2: End-tidal CO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호흡기 제어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생체 신호 중 호기말탄산가스분압(EtCO2)을 토대로 기 정의된 제2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가스 배출 시 폐에 걸리는 호기말양압(PEEP)를 기 정의된 값으로 설정한 후 흡기량(ventilation)을 증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호흡기 제어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생체 신호 중 상기 호기말탄산가스분압(EtCO2)을 토대로 기 정의된 제3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환자에게 공급되는 혼합 가스의 흡입량을 감소하는 단계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호흡기 제어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생체 신호 중 심장박동수 또는 맥박수, 흡입압(PIP), 흡입 산소 농도(FiO2), 상기 호기말양압(PEEP), 호기말탄산가스분압(EtCO2)을 토대로 기 정의된 비상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경고 상황을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호흡기 제어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혈중산소포화도(SpO2)가 기 정의된 제1 기준치(3%) 이상 감소 및 제2 기준치(95%) 이하로 감소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호흡기 제어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호기말탄산가스분압(EtCO2)의 기 정의된 설정치(3mmHg) 이상 감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호흡기 제어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3 조건은
    상기 호기말탄산가스분압(EtCO2)의 상기 설정치 이상 증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호흡기 제어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비상 조건은,
    심장 박동수 또는 맥박수가 임계치(15%) 이상 변하고 기 정의괸 소정시간(2분) 이상 유지되는 경우, 흡기압(PIP)> 제1 소정치(30 cmH20) 이거나 흡입산소농도(FiO2)> 제2 소정치(6) or 호기말양압(PEEP)> 제3 소정치(10 cmH20)인 경우, 호흡수(RR)> 제1 판단기준치(22) 이고 호흡량(VT) > 제2 판단 기준치(8 ml/kg) 인 환자에서 호기말탄산가스분압(EtCO2)이 상기 설정치 이상 증가하거나, 호흡수(RR)<12 이고 호흡량(VT)<6 ml/kg 인 환자에서 호기말탄산가스분압(EtCO2)이 상기 설정치(3 mmHg) 이상 감소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호흡기 제어 방법.
KR1020110030771A 2011-04-04 2011-04-04 인공 호흡기 자동 제어 방법 KR101853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771A KR101853039B1 (ko) 2011-04-04 2011-04-04 인공 호흡기 자동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771A KR101853039B1 (ko) 2011-04-04 2011-04-04 인공 호흡기 자동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065A true KR20120113065A (ko) 2012-10-12
KR101853039B1 KR101853039B1 (ko) 2018-04-27

Family

ID=47282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771A KR101853039B1 (ko) 2011-04-04 2011-04-04 인공 호흡기 자동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30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45429A (zh) * 2018-08-23 2018-12-21 深圳融昕医疗科技有限公司 孕妇通气控制方法、装置、呼吸机、系统及存储介质
CN111991663A (zh) * 2020-09-14 2020-11-27 江西安联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自动提供氧气治疗方案的3联智能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5350B1 (ko) 2019-03-28 2021-04-27 박상익 나잘 캐뉼라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나잘 캐뉼라 조립체
WO2022213063A1 (en) * 2021-03-30 2022-10-06 Zoll Medical Corporation Closed loop control in mechanical ventilation
KR102507118B1 (ko) 2022-08-09 2023-03-07 주식회사 레스팩토리 인공호흡기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2938B2 (en) 2000-12-12 2003-01-28 Nelson R. Claure System and method for closed loop controlled inspired oxygen concentration
US7527054B2 (en) * 2005-05-24 2009-05-05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raction of inspired oxygen
DE602007008838D1 (de) 2006-01-30 2010-10-14 Hamilton Medical Ag O2-Steueru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45429A (zh) * 2018-08-23 2018-12-21 深圳融昕医疗科技有限公司 孕妇通气控制方法、装置、呼吸机、系统及存储介质
CN111991663A (zh) * 2020-09-14 2020-11-27 江西安联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自动提供氧气治疗方案的3联智能系统
CN111991663B (zh) * 2020-09-14 2023-08-01 江西安联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自动提供氧气治疗方案的3联智能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3039B1 (ko) 2018-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1207B1 (ko) 수술 후에 환자로부터 증기 마취제를 제거하는 방법
WO2011021978A1 (en) Coordinated control of ventilator and lung assist device
KR20120113065A (ko) 인공 호흡기 자동 제어 방법
US11547784B2 (en) System for CO2 removal
CN109718440A (zh) 降低呼吸支持设备人机对抗的方法和系统
CN109731195A (zh) 呼吸支持设备的呼吸参数设置方法、装置及呼吸支持设备
US20230173208A1 (en) Flow therapy system and method
Greenough et al. Matching ventilatory support strategies to respiratory pathophysiology
CN107296737B (zh) 一种呼吸机
CN214970782U (zh) 面向临床麻醉过程的便携式制氧呼吸一体机
A Jungblut et al. Ventilation therapy for patients suffering from obstructive lung diseases
WO2022141125A1 (zh) 呼吸支持设备及其控制方法和存储介质
CN107106810B (zh) 用于控制患者苏醒的方法和系统
CN114949523A (zh) 具有血氧饱和度控制功能的智能呼吸机系统及控制方法
CN113304376A (zh) 面向临床麻醉过程的便携式制氧呼吸一体机及使用方法
CN111840742A (zh) 一种持续肺动脉高压治疗仪的控制方法
Bhalla et al. Respiratory support in children
Артамонов et al. Developing Algorithms and Programs for an Artificial Lung Ventilator
Ghuman et al. Respiratory support in children
Story MANAGEMENT OF RESPIRATORY FAILURE
Sachdev et al. Newer modes of ventilation
Donn et al. 8.1 Conventional mechanical ventilation
WO2021109001A1 (zh) 一种患者通气监测装置及其通气监测方法
CN113908389A (zh) 具有治疗肺毛细血管功能障碍的呼吸机控制方法及呼吸机
CN114392440A (zh) 利用肺部探测的正压呼吸调节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