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3059A - 태블릿 단말 장치와 휴대 단말 장치의 연동 장치와 이를 이용한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태블릿 단말 장치와 휴대 단말 장치의 연동 장치와 이를 이용한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3059A
KR20120113059A KR1020110030757A KR20110030757A KR20120113059A KR 20120113059 A KR20120113059 A KR 20120113059A KR 1020110030757 A KR1020110030757 A KR 1020110030757A KR 20110030757 A KR20110030757 A KR 20110030757A KR 20120113059 A KR20120113059 A KR 20120113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portable terminal
module
mobile communication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0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준영
이전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30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3059A/ko
Priority to US13/438,187 priority patent/US20120252505A1/en
Publication of KR20120113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30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means, e.g. RF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블릿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인터넷 검색이나 전자 책 독서 등의 작업을 수행하고,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된 휴대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휴대전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태블릿 단말 장치와 휴대 단말 장치의 연동 장치와 이를 이용한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블릿 단말 장치의 연동 장치는 이동 통신망에 접속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이동 통신 모듈과, 휴대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듈과, 휴대 단말 장치와 동기화를 수행하기 위한 동기화 모듈과, 휴대 단말 장치에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 이동 통신망에 송출하는 음성 전달 모듈을 포함하며,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 호 연결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통신 모듈과 동기화 모듈을 구동시켜 휴대 단말 장치와 동기화를 수행함과 더불어 음성 전달 모듈을 이용하여 호 연결된 상대방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휴대 단말 장치에 송신하여 출력하고, 상대방 단말 장치에 전송할 음성 데이터를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제공받아 상대방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태블릿 단말 장치와 휴대 단말 장치의 연동 장치와 이를 이용한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LINKAGE APPARATUS OF TABLET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AND CALLING SERVIC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태블릿 단말 장치에서의 휴대 전화 기능을 휴대 단말 장치를 통해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블릿 단말 장치와 휴대 단말 장치를 근거리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연결하고, 전화가 수신된 경우에나 전화를 발신하고자 하는 경우 휴대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태블릿 단말 장치의 휴대 전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이다.
최근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달로 기존의 이동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응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탑재하여 통화 기능 이외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그 예로서 스마트폰을 들 수 있다.
종래에 사용되는 스마트 폰의 경우에는 휴대전화 기능은 편리하지만, 화면 크기가 작아 인터넷 검색 등의 작업은 불편하다. 이런 이유로 화면이 큰 태블릿 단말 장치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태블릿 단말 장치의 경우에는 화면이 스마트 폰에 비해 커서 인터넷 검색이나 전자책 독서 등의 작업은 편리하나 크기가 크고 무거워서 휴대폰으로 사용하기에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태블릿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인터넷 검색이나 전자 책 독서 등의 작업을 수행하고,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된 휴대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휴대전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태블릿 단말 장치와 휴대 단말 장치의 연동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태블릿 단말 장치와 휴대 단말 장치간의 연동을 통해 휴대 전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태블릿 단말 장치의 휴대전화 기능을 휴대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블릿 단말 장치의 연동 장치는 이동 통신망에 접속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이동 통신 모듈과, 휴대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듈과,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 동기화를 수행하기 위한 동기화 모듈과,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망에 송출하는 음성 전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 호 연결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통신 모듈과 동기화 모듈을 구동시켜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 동기화를 수행함과 더불어 상기 음성 전달 모듈을 이용하여 호 연결된 상대방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송신하여 출력하고,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에 전송할 음성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블릿 단말 장치의 연동 장치에서 상기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또는 적외선 무선 통신 등의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블릿 단말 장치의 연동 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데이터를 전달하거나, 상기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망에 송출하는 데이터 전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연동 장치는 이동 통신망에 접속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이동 통신 모듈을 구비하는 태블릿 단말 장치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 장치의 연동 장치로서, 상기 태블릿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듈과, 상기 태블릿 단말 장치와 동기화를 수행하기 위한 동기화 모듈과, 상기 태블릿 단말 장치에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태블릿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음성 전달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연동 장치에서 상기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또는 적외선 무선 통신 등의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태블릿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연동 장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태블릿 단말 장치에 전달하거나, 상기 태블릿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데이터 전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블릿 단말 장치의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이동 통신망에 접속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모듈 및 휴대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구비하는 태블릿 단말 장치의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해 호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통신 모듈을 구동시켜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대방 단말 장치와 호 연결된 후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전송함과 더불어 상기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와의 호 연결이 종료되면,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의 통신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블릿 단말 장치의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의 통신을 종료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통화 종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통화 종료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와의 호 연결을 종료함과 더불어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의 통신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블릿 단말 장치의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의 통신을 종료하는 단계는,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로부터 호 연결 종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와의 호 연결을 종료한 후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통화 종료 메시지를 송신함과 더불어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의 통신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블릿 단말 장치의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이동 통신망에 접속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모듈 및 휴대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구비하는 태블릿 단말 장치의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 동기화를 수행한 후 상기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호 연결 요청이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호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 호 연결 대상인 상대방 단말 장치에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대방 단말 장치와 호 연결된 후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전송함과 더불어 상기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와의 호 연결이 종료되면,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의 통신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블릿 단말 장치의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의 통신을 종료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통화 종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통화 종료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와의 호 연결을 종료함과 더불어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의 통신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블릿 단말 장치의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의 통신을 종료하는 단계는,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로부터 호 연결 종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와의 호 연결을 종료한 후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통화 종료 메시지를 송신함과 더불어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의 통신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태블릿 단말 장치와 휴대 단말 장치간의 통신을 통해 태블릿 단말 장치의 전화 기능을 휴대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제공함으로써, 태블릿 단말 장치를 직접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큰 화면을 통해 인터넷 검색 및 전자책 독서 등을 수행 할 수 있고, 태블릿 단말 장치의 무게와 크기 때문에 불편한 전화 기능을 휴대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블릿 단말 장치의 휴대 전화 기능을 휴대 단말 장치를 통해 사용하기 위한 전반적인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블릿 단말 장치가 휴대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휴대 전화 기능을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블릿 단말 장치의 휴대 전화 기능을 휴대 단말 장치를 통해 사용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블릿 단말 장치의 휴대 전화 기능을 휴대 단말 장치를 통해 사용하기 위한 전반적인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크게 태블릿 단말 장치(100), 휴대 단말 장치(20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태블릿 단말 장치(100)를 휴대 전화 기능을 휴대 단말 장치(200)를 이용하여 제공하기 위해 태블릿 단말 장치(100)과 휴대 단말 장치(200) 각각에는 연동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태블릿 단말 장치(100)는 전화 기능, 다양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와이파이, 3G 등에 접속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 통신 모듈(110), 휴대 전화 기능을 휴대 단말 장치(200)를 통해 구현하기 위한 통신 모듈(118), 동기화 모듈(112), 음성 전달 모듈(114), 데이터 전달 모듈(11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110)은 태블릿 단말 장치(100)에 전화,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그 예로서 Wi-FI, 3G, 4G 등을 들 수 있다.
통신 모듈(118)은 태블릿 단말 장치(100)의 전화 기능을 휴대 단말 장치(200)를 통해 구현하기 위해 휴대 단말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그 예로서 근거리 통신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 통신, 레이저를 이용한 광무선 통신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모듈(118)에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휴대 단말 장치(200)의 정보가 설정되어 있으며, 설정된 정보에 의거하여 휴대 단말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동기화 모듈(112)은 태블릿 단말 장치(100)와 휴대 단말 장치(200)간의 동기화를 위한 동기화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통신 모듈(118)을 통해 휴대 단말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음성 전달 모듈(114)은 이동 통신 모듈(110)을 통해 호 연결 후 태블릿 단말 장치(100)에서 수신한 상대방의 음성 데이터를 휴대 단말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 장치(200)에서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이동 통신 모듈(110)을 통해 호 연결된 상대방 단말 장치(미도시됨)에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전달 모듈(116)은 이동 통신 모듈(110)을 통해 무선 통신망에 연결된 후 태블릿 단말 장치(100)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휴대 단말 장치(200)에 전송하거나, 휴대 단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이동 통신 모듈(110)을 통해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데이터는 SMS, MMS와 같은 문자 메시지, 무선 인터넷의 접속을 통해 수신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블릿 단말 장치(100)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118), 동기화 모듈(112), 음성 전달 모듈(114) 및 데이터 전달 모듈(116)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전화 기능을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 단말 장치(200)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200)에는 휴대 단말측 통신 모듈(210), 휴대 단말측 동기화 모듈(212), 휴대 단말측 음성 전달 모듈(214), 휴대 단말측 데이터 전달 모듈(216)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21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측 통신 모듈(210)은 태블릿 단말 장치(100)의 통신 모듈(118)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예로서 Wi-FI, 3G, 4G 등을 들 수 있다.
휴대 단말측 동기화 모듈(212)은 태블릿 단말 장치(100)와의 통신 시 동기화에 필요한 데이터, 즉 동기화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휴대 단말측 통신 모듈(210)을 통해 태블릿 단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측 동기화 모듈(212)와 태블릿 단말 장치(100)의 동기화 모듈(112)에서 생성된 동기화 데이터에 의해 휴대 단말 장치(200)와 태블릿 단말 장치(100)는 동기화될 수 있다.
휴대 단말측 음성 전달 모듈(214)은 태블릿 단말 장치(100)의 음성 전달 모듈(114)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218)를 통해 출력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218)에서 발생된 음성 데이터를 휴대 단말측 통신 모듈(210)을 통해 태블릿 단말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휴대 단말측 데이터 전달 모듈(216)은 태블릿 단말 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은 각종 데이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218)를 통해 디스플레이해주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218)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휴대 단말측 통신 모듈(210)을 통해 태블릿 단말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18)는 음성 데이터, 문자, 메시지, 각종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는 것으로, 스피커, 마이크로폰, 키패드,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즉, 휴대 단말측 음성 전달 모듈(214)을 통해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로 출력하거나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된 음성을 휴대 단말측 음성 전달 모듈(214)을 통해 태블릿 단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휴대 단말측 데이터 전달 모듈(216)을 통해 태블릿 단말 장치(100)에 전송하거나 휴대 단말측 데이터 전달 모듈(216)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해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태블릿 단말 장치(100)와 휴대 단말 장치(200)를 이용하여 전화 기능을 구현하는 과정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블릿 단말 장치가 휴대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휴대 전화 기능을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태블릿 단말 장치(100)에 임의의 사용자(발신자)로부터 전화 호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S200), 태블릿 단말 장치(100)는 통신 모듈(118)에 설정된 정보를 기반으로 휴대 단말측 통신 모듈(210)과 통신을 시작한 후 휴대 단말 장치(200)와의 동기화를 위한 동기화 데이터를 휴대 단말 장치(200)에 전송함과 더불어 휴대 단말측 동기화 모듈(212)에서 발생된 동기화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휴대 단말 장치(200)와 태블릿 단말 장치(100)가 동기화된다(S202).
그런 다음, 태블릿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가 휴대 단말 장치(200)를 이용하여 전화 호 연결 요청에 따라 응답하면, 발신자의 단말 장치와 사용자의 휴대 단말 장치(200)간 전화 호가 연결된다(S204).
그리고 나서, 태블릿 단말 장치(100)와 휴대 단말 장치(200)를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더욱 상세하게는 발신자의 음성 데이터가 태블릿 단말 장치(100)에 수신되면, 태블릿 단말 장치(100)는 음성 전달 모듈(114)을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를 휴대 단말 장치(200)에 전송하며, 이에 따라 휴대 단말측 음성 전달 모듈(214)은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218), 예컨대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218)를 통해 발생된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태블릿 단말 장치(100)에 전송한다.
태블릿 단말 장치(100)의 음성 전달 모듈(114)은 휴대 단말 장치(200)로부터 음성 데이터가 수신됨에 따라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발신자의 단말 장치에 전송함으로써, 발신자와 사용자간의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S206)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자신의 태블릿 단말 장치(100)를 통해 발신자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 후 이를 휴대 단말 장치(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18)를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 장치(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18)를 통해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태블릿 단말 장치(100)를 통해 발신자의 단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후, 통화 종료 방법(S208)에 의거하여 태블릿 단말 장치(100)와 휴대 단말 장치(200)는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데, 즉 통화 종료 방법이 휴대 단말 장치(200)를 이용하는 경우 휴대 단말 장치(200)는 통화 종료 메시지를 생성한 후 이를 휴대 단말측 데이터 전달 모듈(216)을 통해 태블릿 단말 장치(100)에 제공한다(S210, S212). 이에 따라 태블릿 단말 장치(100)는 이동 통신 모듈(110)을 통해 발신자의 단말 장치와 호 연결을 종료시킨다(S214).
한편, 통화 종료 방법이 태블릿 단말 장치(100)를 이용하는 경우 태블릿 단말 장치(100)는 이동 통신 모듈(110)을 통해 연결된 발신자의 단말 장치와의 호 연결을 종료하고(S216), 통화 종료 메시지를 생성한 후 이를 데이터 전달 모듈(116)을 통해 휴대 단말 장치(200)에 제공한다(S218, S220). 이에 따라 휴대 단말 장치(200)는 휴대 단말측 통신 모듈(210)의 구동을 오프시켜 태블릿 단말 장치(100)와의 통신을 중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태블릿 단말 장치와 휴대 단말 장치간의 통신을 통해 태블릿 단말 장치의 전화 기능을 휴대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제공함으로써, 태블릿 단말 장치를 직접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큰 화면을 통해 인터넷 검색 및 전자책 독서 등을 수행 할 수 있고, 태블릿 단말 장치의 무게와 크기 때문에 불편한 전화 기능을 휴대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를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태블릿 단말 장치
110 : 이동 통신 모듈
112 : 동기화 모듈
114 : 음성 전달 모듈
116 : 데이터 전달 모듈
200 : 휴대 단말 장치
210 : 휴대 단말측 통신 모듈
212 : 휴대 단말측 동기화 모듈
214 : 휴대 단말측 음성 전달 모듈
216 : 휴대 단말측 데이터 전달 모듈
218 : 사용자 인터페이스

Claims (12)

  1. 이동 통신망에 접속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이동 통신 모듈과,
    휴대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듈과,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 동기화를 수행하기 위한 동기화 모듈과,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망에 송출하는 음성 전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 호 연결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통신 모듈과 동기화 모듈을 구동시켜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 동기화를 수행함과 더불어 상기 음성 전달 모듈을 이용하여 호 연결된 상대방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송신하여 출력하고,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에 전송할 음성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 단말 장치의 연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또는 적외선 무선 통신의 통신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 단말 장치의 연동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블릿 단말 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데이터를 전달하거나, 상기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망에 송출하는 데이터 전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 단말 장치의 연동 장치.
  4. 이동 통신망에 접속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이동 통신 모듈을 구비하는 태블릿 단말 장치와 연결되는 휴대 단말 장치의 연동 장치로서,
    상기 태블릿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듈과,
    상기 태블릿 단말 장치와 동기화를 수행하기 위한 동기화 모듈과,
    상기 태블릿 단말 장치에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태블릿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음성 전달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 장치의 연동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또는 적외선 무선 통신의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태블릿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의 연동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 장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태블릿 단말 장치에 전달하거나, 상기 태블릿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는 데이터 전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의 연동 장치.
  7. 이동 통신망에 접속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모듈 및 휴대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구비하는 태블릿 단말 장치의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해 호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통신 모듈을 구동시켜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대방 단말 장치와 호 연결된 후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전송함과 더불어 상기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와의 호 연결이 종료되면,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의 통신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블릿 단말 장치의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의 통신을 종료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통화 종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통화 종료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와의 호 연결을 종료함과 더불어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의 통신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블릿 단말 장치의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의 통신을 종료하는 단계는,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로부터 호 연결 종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와의 호 연결을 종료한 후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통화 종료 메시지를 송신함과 더불어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의 통신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블릿 단말 장치의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10. 이동 통신망에 접속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모듈 및 휴대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을 구비하는 태블릿 단말 장치의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 동기화를 수행한 후 상기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호 연결 요청이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호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이동 통신 모듈을 통해 호 연결 대상인 상대방 단말 장치에 호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대방 단말 장치와 호 연결된 후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전송함과 더불어 상기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와의 호 연결이 종료되면,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의 통신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블릿 단말 장치의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의 통신을 종료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통화 종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통화 종료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와의 호 연결을 종료함과 더불어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의 통신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블릿 단말 장치의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의 통신을 종료하는 단계는,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로부터 호 연결 종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와의 호 연결을 종료한 후 상기 휴대 단말 장치에 통화 종료 메시지를 송신함과 더불어 상기 휴대 단말 장치와의 통신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블릿 단말 장치의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10030757A 2011-04-04 2011-04-04 태블릿 단말 장치와 휴대 단말 장치의 연동 장치와 이를 이용한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2011305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757A KR20120113059A (ko) 2011-04-04 2011-04-04 태블릿 단말 장치와 휴대 단말 장치의 연동 장치와 이를 이용한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US13/438,187 US20120252505A1 (en) 2011-04-04 2012-04-03 Tablet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achieving phone call function of tablet terminal using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757A KR20120113059A (ko) 2011-04-04 2011-04-04 태블릿 단말 장치와 휴대 단말 장치의 연동 장치와 이를 이용한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059A true KR20120113059A (ko) 2012-10-12

Family

ID=46927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757A KR20120113059A (ko) 2011-04-04 2011-04-04 태블릿 단말 장치와 휴대 단말 장치의 연동 장치와 이를 이용한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252505A1 (ko)
KR (1) KR2012011305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4397A (ko) * 2014-04-01 2015-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장치 간 통화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24406B2 (en) * 2007-12-01 2012-07-17 Geoffrey Champion Dual-use portable display device
US8223694B2 (en) * 2009-07-21 2012-07-17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Enhanced information services using devices in short-range wireless networks
US8789077B2 (en) * 2009-12-23 2014-07-22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network connectivity and consumption of broadband services
US8311817B2 (en) * 2010-11-04 2012-11-13 Audienc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ing voice quality in mobile device
CN102571153B (zh) * 2010-12-22 2014-06-04 深圳市云通时代科技开发有限公司 短距离无线移动终端及用于该终端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52505A1 (en) 201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4935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notifier
EP3068115B1 (en) Incoming call identification
RU2628237C2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вызова
US8644810B1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font support on mobile devices
CN108738008B (zh) 蓝牙配对方法及系统
EP3001661B1 (en)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device and system thereof
JP5849857B2 (ja) 近距離無線通信装置
EP3713325A1 (en) Communication link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KR102052699B1 (ko) 전자 장치에서 컨택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CN104270826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4219299A (zh) 数据传输方法及装置
KR20150088532A (ko) 통화 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CN111373709B (zh) 终端配对方法、服务器及终端
KR20120113059A (ko) 태블릿 단말 장치와 휴대 단말 장치의 연동 장치와 이를 이용한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20064457A (ko) 이동 단말기에서 조명 장치를 통해 감성을 표현하는 방법
KR20140082395A (ko) 파일 이름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TW201427382A (zh) 通訊轉接系統及方法
KR101942338B1 (ko) 통합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단말
KR20130131059A (ko) 감정 정보를 포함한 폰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20064471A (ko) 통신 단말 장치, 멀티미디어 단말 장치, 단말 장치 연동 시스템 및 방법
WO2018072463A1 (zh) 一种信息共享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130122896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ommunication to user equipment
KR20040100243A (ko) 유,무선 통합 이미지 메세징 서비스.
KR102042815B1 (ko) 전자 장치에서 시간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40120897A1 (en) Communication integr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