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1639A -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1639A
KR20120111639A KR1020110030243A KR20110030243A KR20120111639A KR 20120111639 A KR20120111639 A KR 20120111639A KR 1020110030243 A KR1020110030243 A KR 1020110030243A KR 20110030243 A KR20110030243 A KR 20110030243A KR 20120111639 A KR20120111639 A KR 20120111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e cell
battery pack
bare
insulating member
cell fa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0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0706B1 (ko
Inventor
강동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0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706B1/ko
Priority to US13/341,090 priority patent/US8986873B2/en
Publication of KR20120111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6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21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522Inorganic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 제1 단자부를 구비한 적어도 두개 이상의 베어셀; 상기 베어셀의 제1 단자부에 구비되는 리드탭; 및 상기 베어셀과 리드탭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베어셀과 리드탭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개구부를 구비한 절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재는 베어셀에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두개 이상의 베어셀 대면부와 이웃하는 베어셀 대면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장부 및 각각의 베어셀 대면부에 구비되되 서로 일직선상에 배치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터리 팩 {BATTERY PACK}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베어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전자, 통신, 컴퓨터 산업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대용량의 전력을 발생할 수 있는 전원에 대한 소비 시장의 요구는 점점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대용량화의 방안으로는, 통상 베어셀의 크기 자체를 증대시키는 방안과, 복수개의 베어셀을 이용하여 하나의 배터리 팩으로 구성하는 방안이 있다. 이들 중, 베어셀의 크기를 증대시키는 방안은 구현가능한 전력이 제한적이므로, 통상 복수개의 베어셀을 이용하여 하나의 배터리 팩으로 구성하고, 상기 배터리 팩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팩의 작업성을 개선하여 생산성이 향상된 배터리 팩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터리 팩의 공정상 발생할 수 있는 불량률을 감소시킴으로써 안전성이 향상된 배터리 팩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배터리 팩은 각각 제1 단자부를 구비한 적어도 두개 이상의 베어셀; 상기 베어셀의 제1 단자부에 구비되는 리드탭; 및 상기 베어셀과 리드탭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베어셀과 리드탭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개구부를 구비한 절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재는 베어셀에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두개 이상의 베어셀 대면부와 이웃하는 베어셀 대면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장부 및 각각의 베어셀 대면부에 구비되되 서로 일직선상에 배치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절연부재는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이웃하는 베어셀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절취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절취선은 상기 연장부의 중심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베어셀 대면부의 중심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드탭은 베어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합부와, 상기 접합부에서 선형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리드탭의 연결부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와 베어셀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베어셀의 측면으로 절곡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절곡되되 상기 베어셀 대면부에 대하여 수직하도록 절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가 절곡되는 부분에는 제2 절취선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어셀은 원통형이고, 상기 베어셀 대면부는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어셀의 제1 단자부는 캡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셀 대면부에는 상기 캡 조립체에 대응하도록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어셀 대면부는 순차적으로 제1 내지 제3 베어셀 대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베어셀 대면부는 ㄱ자형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3 베어셀 대면부에는 각각 제1 및 제3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베어셀 대면부에는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부는 두개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베어셀 대면부에서 수직하도록 절곡되되, 상기 절곡된 두개 이상의 제2 가이드부는 각각의 모서리부가 서로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재는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절연부재와 베어셀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재는 양면 테이프 또는 노멕스 테이프 (Nomex Tape)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성이 개선되어 생산성이 향상된 배터리 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조공정에서 배터리 팩의 불량률을 감소시킴으로써 안전성이 향상된 배터리 팩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팩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베어셀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연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연부재의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의 기타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의 기타의 실시예에 따른 절연부재의 사시도.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팩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베어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100)은 각각 제1 단자부 (11)를 구비한 적어도 두개 이상의 베어셀 (10); 상기 베어셀 (10)의 제1 단자부 (11)에 구비되는 리드탭 (120); 및 상기 베어셀 (10)과 리드탭 (120)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베어셀 (10)과 리드탭 (12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개구부 (114)를 구비한 절연부재 (110);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재 (110)는 베어셀 (10)에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두개 이상의 베어셀 대면부 (111)와 이웃하는 베어셀 대면부 (111)를 서로 연결하는 연장부 (112), 및 각각의 베어셀 대면부 (111)에 구비되되 서로 일직선상에 배치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가이드부 (11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절연부재 (110)는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베어셀 (10)은 상부가 개방된 전지 케이스 (12)에 전극 조립체와 전해액을 수납시키고, 상부를 캡 조립체 (11)에 의하여 밀폐시킴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지 케이스 (12)는 원통형 캔 (12)일 수 있다. 원통형 캔 (12)는 원통형 캔 (12)에 구비되는 캡 조립체 (1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통형 캔 (12)을 지그를 이용하여 크림핑시킴으로써 내부로 굴곡된 형태의 상단부 (12a)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어셀 (10)에서, 상기 캡 조립체 (11)의 반대면은 원통형 캔 (12)의 바닥부 (12b)일 수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는 양극판 및 음극판과 상기 극판들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지며, 이들 극판들은 전해액과 반응하여 전기 화학적인 에너지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양극판은 캡 조립체 (11)에 연결되고, 음극판은 원통형 캔 (12)의 바닥부 (12b)에 연결되어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캡 조립체 (11)는 제1 단자부 (11)인 양극 단자로, 원통형 캔 (12), 특히 바닥부 (12b)는 제2 단자부인 음극 단자로 작용할 수 있으며, 서로 상반되는 극성을 갖는 캡 조립체 (11)와 원통형 캔 (12) 사이에는 단락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스켓 등이 개재될 수 있다.
리드탭 (120)은 베어셀 (10)의 양극 단자 (11) 또는 음극 단자에 구비되어 복수개의 베어셀 (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리드탭 (120)은 니켈 또는 구리 등의 전기적인 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리드탭 (120)은 연결하는 베어셀 (10)의 개수 및 연결 형태 등에 의하여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리드탭 (120)은 베어셀 (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합부 (121)와, 상기 접합부 (121)에서 선형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연결부 (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합부 (121)는 용접 등에 의하여 베어셀 (10)의 캡 조립체 (11) 또는 바닥부 (12b)에 융착되어 전류의 통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 (122)는 선형으로 접합부 (121)에서 연장되어, 이격된 베어셀 (10) 사이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절연부재 (110)는 베어셀 (10)과 리드탭 (120)의 사이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부재 (110)는 절연부재 (110)와 베어셀 (10) 사이에 구비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절연부재 (110)는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예컨대 양면 테이프 또는 노멕스 테이프 (Nomex Tape)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부재 (110)는 접착층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베어셀 (10) 상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절연부재 (110)의 위치 고정이 용이하므로, 이어지는 공정인 베어셀 (10)과 리드탭 (120)과의 용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통상, 배터리 팩 (100)은 전자 기기의 전원으로 채용되는 데, 채용되는 전자 기기는 그 사양에 따라 다양한 전력량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전력량은 배터리 팩 (100)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베어셀 (10)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달성할 수 있다.
리드탭 (120)은 전기적 도체인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리드탭 (120)이 캡 플레이트 (11)에 융착되는 경우, 리드탭 (120)은 캡 플레이트 (11)에 인접하는 원통형 캔 (12)의 상단부 (12a)까지도 쉽게 접촉될 수 있으므로 단락 등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캡 플레이트 (11)에 연결되는 리드탭 (120)과 베어셀 (10) 사이, 특히 리드탭 (120)의 연결부 (122)와 원통형 캔 (12)의 상단부 (12a) 사이에는 절연부재 (110)를 개재할 수 있는데, 상기 절연부재 (110)는 개구부 (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 (114)는 리드탭 (120)과 베어셀 (10) 사이의 융착을 위하여, 상기 리드탭 (120)의 접합부 (121)에 대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절연부재 (110)를 구비시킬 때, 상기 절연부재 (110)의 위치 정렬이 용이하지 않아 불량이 발생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절연부재 (110)의 위치가 벗어나서, 원통형 캔 (12)의 상단부 (12a)가 노출되는 경우에는 리드탭 (120)과 접촉하여 단락이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부재 (110)는 일체형일 수 있다. 상기 절연부재 (110)는 이웃하는 복수개의 베어셀 (10)에 일괄하여 구비시킬 수 있으므로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절연부재 (110)는 상기 베어셀 (10) 상에 구비되는 위치의 정확도가 향상되므로 안정성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절연부재 (110)는 베어셀 (10)과 리드탭 (120)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베어셀 (10)과 리드탭 (12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개구부 (114)를 구비할 수 있다. 절연부재 (110)는 베어셀 (10)에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두개 이상의 베어셀 대면부 (111)와 이웃하는 베어셀 대면부 (111)를 서로 연결하는 연장부 (112), 및 각각의 베어셀 대면부 (111)에 구비되되 서로 일직선상에 배치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가이드부 (113)를 포함할 수 있다.
배어셀 대면부 (111)는 베어셀 (10)에 직접 대면하는 부분으로, 상기 베어셀 (10)은 원통형인 경우, 상기 베어셀 대면부 (111)는 베어셀 (1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어셀 (10)의 제1 단자부 (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캡 조립체 (11)일 수 있고, 상기 베어셀 대면부 (111)에는 상기 캡 조립체 (11)에 대응하도록 개구부 (11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구부 (114)는 상기 베어셀 대면부 (111)의 중심부에 구비될 수 있다.
연장부 (112)는 이웃하는 베어셀 대면부 (211)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통상, 베어셀 (10)은 용량 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라운드형의 측면부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베어셀 대면부 (111)도 상기 베어셀 (10)의 단면에 대응하여, 예컨대 타원 또는 원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타원 또는 원형으로 구비되는 베어셀 대면부 (111)는 이웃하는 베어셀 대면부 (111)끼리 점접촉하여 배열되므로 서로를 연결하는 결합력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어셀 대면부 (111) 사이의 공간에 연장부 (112)를 구비함으로써 이웃하는 베어셀 대면부 (111)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연장부 (112)에 의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절연부재 (110)는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베어셀 대면부 (11)는 상기 연장부 (112)가 구비되지 않은 부분에 가이드부 (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 (113)는 베어셀 대면부 (111)의 최외각에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베어셀 (10)의 측면과 접하도록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 (113)는 상기 리드탭 (120)의 연결부 (122)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 (122)와 베어셀 (1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베어셀 대면부 (111)는 순차적으로 제1 내지 제3 베어셀 대면부 (111a, 111b, 111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베어셀 대면부 (111a, 111b, 111c)는 서로 연장되어 ㄱ자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3 베어셀 대면부 (111a, 111b, 111c)에는 각각 하나의 제1 및 제3 가이드부 (113a, 113d)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 베어셀 대면부 (111b)에는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제2 가이드부 (113b, 113c)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가이드부 (113a, 113b, 113c, 113d)는 서로 일직선상에 배치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베어셀 대면부 (111a, 111b, 111c)가 ㄱ자형으로 구비된 절연부재 (110)는 상기 절연부재 (110)에 구비된 접착층을 이용하여 베어셀 (10)을 부착시킬 수 있고, 따라서 설계된 형태로 베어셀 (10)을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 통상, 원통형의 외관을 갖는 베어셀 (10)인 경우는, 그 외관에 의한 제약으로 베어셀 (10)의 정렬을 유지하기가 쉽지 않고, 따라서 리드탭 (120)이 소정의 위치에 융착되지 않아 전기적인 접촉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절연부재 (110)는 상기 절연부재 (110)의 형태 및 절연부재 (110)에 구비되는 접착층에 의하여 베어셀 (10)의 정렬이 용이하므로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절연부재 (110)를 ㄱ자형으로 구비시켰으나, 이는 베어셀 (10)의 배열형태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제1 내지 제3 가이드부 (113a, 113b, 113c, 113d)는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절곡되되 각각의 제1 내지 제3 베어셀 대면부 (111a, 111b, 111c)에 대하여 수직하도록 절곡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 (113b, 113c)가 두개 이상인 경우, 수직하게 절곡된 두개 이상의 제2 가이드부 (113b, 113c)는 각각의 모서리부가 서로 대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 베어셀 대면부 (113b)에 대하여 두개의 제2 가이드부 (113b, 113c)가 구비되는 경우, 베어셀 (10)의 측면과 접하도록 절곡된 두개의 가이드부 (113b, 113c)는 서로 중첩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두개의 가이드부 (113b, 113c)는 각각의 모서리부가 서로 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절연부재 (110)가 구비되는 위치 정렬 및 외관에 유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5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후술할 내용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절연부재 (210)는 베어셀과 리드탭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베어셀과 리드탭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개구부 (214)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부재 (210)는 베어셀에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두개 이상의 베어셀 대면부 (211)와 이웃하는 베어셀 대면부 (211) 사이를 연장하는 연장부 (212), 및 각각의 베어셀 대면부 (211)에 구비되되 서로 일직선상에 배치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가이드부 (213)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 (212)는 이웃하는 베어셀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절취선 (212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절취선 (212a)은 상기 연장부 (212)의 중심에 구비될 수 있다. 일체형으로 제작된 절연부재 (210)는 추후 설계 변경 등에 의하여 배열 형태 등이 변경될 수 있는데, 이때 연장부 (212)에 제1 절취선 (212a)을 구비함으로써, 베어셀 대면부 (211)의 절취가 용이할 수 있다. 따라서, 절연부재 (210)의 재제작하는 데 들 수 있는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체형 절연부재 (210)를 구비시킨 배터리 팩에서,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베어셀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때, 상기 제1 절취선 (212a)이 어느 일측에 치우친 경우에는 베어셀의 상단부가 리드탭과 접촉하여 단락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절취선 (212a)은 연장부 (212)의 대략 중심부에 구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베어셀과 리드탭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부재 (310)는 두개 이상의 베어셀 대면부 (311)와 이웃하는 베어셀 대면부 (311)를 연결하는 연장부 (312), 및 상기 베어셀 대면부 (311)측에 구비되는 개구부 (3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부재 (310)는 베어셀에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각각의 베어셀 대면부 (311)에 구비되되 서로 일직선상에 배치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가이드부 (3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 (313)는 베어셀 대면부 (311)의 최외각에서 연장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리드탭의 연결부에 대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 (313)는 베어셀의 측면에 접하도록, 베어셀 대면부 (311)에 대하여 수직하게 절곡될 수 있는데, 상기 가이드부 (313)가 절곡되는 부분에는 제2 절취선 (315)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 (313)는 리드탭의 연결부에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베어셀과 리드탭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 (313)의 절곡이 정위치에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리드탭이 베어셀에 접촉하여 단락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절취선 (315)이 구비됨으로써, 가이드부 (313)의 절곡이 정확하고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으므로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기타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기타의 실시예에 따른 절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400)은 네개의 베어셀 (10)이 복수개의 리드탭 (420)에 의하여 서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베어셀 (10)과 리드탭 (420) 사이에는 일체형으로 구비된 절연부재 (410)에 의하여 절연되어 단락 등의 발생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재 (410)는 개구부 (414)를 구비한 베어셀 대면부 (411)와 이웃하는 베어셀 대면부 (411)를 연결하는 연장부 (412) 및 상기 베어셀 대면부 (411)의 최외각에서 연장되어 구비되되, 상기 리드탭 (420)의 연결부 (422)에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가이드부 (4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 (412)와 상기 베어셀 대면부 (411) 및 가이드부 (413)에는 각각 제1 및 제2 절취선 (412a, 415)이 구비되어 상기 절연부재의 절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절연부재 (410)는 네개의 베어셀 (10)을 일체로 절연시킬 수 있으므로, 배터리 팩 (400)의 생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절연부재 (410)에 의하여 베어셀 (10)의 위치를 용이하게 정렬하여 공정상 발생할 수 있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베어셀 11: 캡 조립체
12: 전지 케이스 100: 배터리 팩
110, 210, 310, 410: 절연부재 111, 211, 311, 411: 베어셀 대면부
112, 212, 312, 412: 연장부 113, 213, 313, 413: 가이드부
114, 214, 314, 414: 개구부 120, 420: 리드탭
121: 접합부 122: 연결부

Claims (16)

  1. 각각 제1 단자부를 구비한 적어도 두개 이상의 베어셀;
    상기 베어셀의 제1 단자부에 구비되는 리드탭; 및
    상기 베어셀과 리드탭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베어셀과 리드탭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개구부를 구비한 절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재는 베어셀에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두개 이상의 베어셀 대면부와 이웃하는 베어셀 대면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장부 및 각각의 베어셀 대면부에 구비되되 서로 일직선상에 배치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배터리 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이웃하는 베어셀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절취선을 더 포함하는 배터리 팩.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취선은 상기 연장부의 중심에 구비되는 배터리 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베어셀 대면부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배터리 팩.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탭은 베어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합부와, 상기 접합부에서 선형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리드탭의 연결부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와 베어셀 사이에 개재되는 배터리 팩.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베어셀의 측면으로 절곡되도록 구비되는 배터리 팩.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절곡되되 상기 베어셀 대면부에 대하여 수직하도록 절곡되는 배터리 팩.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가 절곡되는 부분에는 제2 절취선이 구비되는 배터리 팩.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셀은 원통형이고, 상기 베어셀 대면부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배터리 팩.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셀의 제1 단자부는 캡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셀 대면부에는 상기 캡 조립체에 대응하도록 개구부가 구비되는 배터리 팩.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셀 대면부는 순차적으로 제1 내지 제3 베어셀 대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베어셀 대면부는 ㄱ자형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배터리 팩.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베어셀 대면부에는 각각 제1 및 제3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베어셀 대면부에는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부는 두개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베어셀 대면부에서 수직하도록 절곡되되, 상기 절곡된 두개 이상의 제2 가이드부는 각각의 모서리부가 서로 접하도록 구비되는 배터리 팩.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절연부재와 베어셀 사이에 구비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0110030243A 2011-04-01 2011-04-01 배터리 팩 KR101240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243A KR101240706B1 (ko) 2011-04-01 2011-04-01 배터리 팩
US13/341,090 US8986873B2 (en) 2011-04-01 2011-12-30 Battery p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243A KR101240706B1 (ko) 2011-04-01 2011-04-01 배터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639A true KR20120111639A (ko) 2012-10-10
KR101240706B1 KR101240706B1 (ko) 2013-03-11

Family

ID=46927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243A KR101240706B1 (ko) 2011-04-01 2011-04-01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986873B2 (ko)
KR (1) KR101240706B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2082A (en) * 1982-02-08 1985-09-17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Bipolar battery plate
JP2003297333A (ja) 2002-04-03 2003-10-17 Tocad Energy Co Ltd 組電池の導電板構造
JP2003317679A (ja) 2002-04-24 2003-11-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池パック
JP4568067B2 (ja) 2004-09-30 2010-10-27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
KR100889243B1 (ko) 2005-12-02 2009-03-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코어 팩의 제조방법
KR100983011B1 (ko) * 2008-06-26 2010-09-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물리적 접촉방식에 기반한 전지셀 접속부재
ES2555652T3 (es) 2007-07-16 2016-01-07 Lg Chem, Ltd. Elemento de conexión eléctrica para batería secundaria
JP5241182B2 (ja) 2007-09-11 2013-07-17 三洋電機株式会社 組電池
KR101065926B1 (ko) * 2009-07-09 2011-09-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다수의 단위 셀을 구비하는 배터리 팩
CA2787431C (en) 2009-10-14 2015-12-01 Micro Power Electronics, Inc. Temporary insulator for battery pack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0706B1 (ko) 2013-03-11
US8986873B2 (en) 2015-03-24
US20120251870A1 (en) 201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00329B (zh) 汇流条、蓄电模块以及布线模块
KR101233342B1 (ko) 이차 전지 팩 및 이에 사용되는 연결 탭
JP5345648B2 (ja) 2次電池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
KR20180129115A (ko) 원통형 셀 연결 분리형 버스바와 이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 및 제조 방법
CN110313081B (zh) 电池模块
US20130196211A1 (en) Battery having cell tab connection structure using resistance welding
US20210278479A1 (en) Bus bar for battery cell connection, battery pa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09075281B (zh) 包括电极端子连接板的电池组
KR20050121904A (ko) 이차 전지와 이에 사용되는 전극 조립체
US9184472B2 (en) Battery pac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battery pack with interconnected half contact pads
KR20050121909A (ko) 전지 모듈
JP2014086177A (ja) 密閉型電池の圧力型電流遮断装置、及び密閉型電池
KR20140035206A (ko) 배터리 셀 조립체,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배터리 셀 조립체의 제조방법 및 배터리 셀 조립체의 제조를 위한 지그 조립체
CN117895193A (zh) 电池
KR20140094020A (ko) 전기 커넥터 및 그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는 배터리
CN104882572A (zh) 可再充电电池
KR20180131921A (ko) 배터리 팩
KR20100136107A (ko) 배터리 팩
KR20160106846A (ko) 이차 전지 모듈
KR102265846B1 (ko) 전극단자 접속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팩
US20120121937A1 (en) Battery pack
KR101675617B1 (ko) 전극탭을 벤딩하여 배터리를 적층하는 방법
US9099723B2 (en) Battery pa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222378B1 (ko) 이차 전지
CN104798158A (zh) 蓄电设备以及蓄电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