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1584A - 디지털정보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류검출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정보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류검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1584A
KR20120111584A KR1020110030149A KR20110030149A KR20120111584A KR 20120111584 A KR20120111584 A KR 20120111584A KR 1020110030149 A KR1020110030149 A KR 1020110030149A KR 20110030149 A KR20110030149 A KR 20110030149A KR 20120111584 A KR20120111584 A KR 20120111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device
current value
power
current
allow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0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영
Original Assignee
김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영 filed Critical 김태영
Priority to KR1020110030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1584A/ko
Publication of KR20120111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5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9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to indicate that the value is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wind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28Provision in measuring instruments for reference values, e.g. standard voltage, standard wavefo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92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measuring current on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디지털정보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류검출시스템은 인터넷을 통해 관리서버에 접속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공급 전원을 분배하여 공급하는 다수의 전원인출구가 구비되는 전원분배부와; 상기 전원분배부의 전원인출구에 외부기기가 접속된 경우 상기 외부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에 따른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와; 상기 전류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전류값과 기설정된 상기 외부기기의 고유전류값을 비교하여 상기 외부기기의 정상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정보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류검출시스템{SYSTEM FOR DETECTING CURRENT OF DIGITAL INFORMATION DISPLAY}
본 발명은 디지털정보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정보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류검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광고 디스플레이(Digital Information Display, 이하 DID라 함)장치는 최근 광고시장에서 큰 반향을 일으키는 디지털 간판을 의미한다. DID장치는 대형 LCD 패널을 광고판에 적용시켜, 기존의 정지 영상 기반의 광고시장을 동영상 기반으로 바꾸어 주었다.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광고를 하나의 광고판에서 저렴한 가격으로 사용할 수 있고, 쉬운 유지 보수를 통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단순한 광고의 단점을 극복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고객 중심의 광고를 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DID장치는 다수의 DID장치가 인터넷을 통해 관리서버에 연결되어 관리서버에서 광고정보를 일괄적으로 전송받아 광고정보에 따른 광고를 디스플레이하고 있으며, 모니터, 스피커, IP카메라, 프린터, 교통카드 충전장치 등과 결합되어 부가적인 기능을 더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DID장치는 관리서버에서 전송한 광고정보에 따른 정보과 제대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설치된 위치의 담당자가 A/S 요청하여 수리될 때까지 관리서버에서 계속해서 광고정보를 전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모니터, 스피커, IP카메라, 프린터, 교통카드 충전장치의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없어 상기 장치들이 고장이 발생한 경우도 대기 전력이 계속해서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DID장치에 연결되는 외부기기 즉, 모니터, 스피커, IP카메라, 프린터, 교통카드 충전장치 등 각각의 고유허용전류값을 기저장한 후 각 장치로 공급되는 전류값을 검출하여 비교함으로써 외부기기의 동작상태를 파악하여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함과 동시에 외부기기의 상태 이상시 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A/S를 요청하거나 전송되는 광고정보를 차단하여 관리서버의 부하를 줄일 수 있도록 한 디지털정보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류검출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정보디스플레이장치의 전류검출시스템의 특징은, 인터넷을 통해 관리서버에 접속되는 디지털정보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공급 전원을 분배하여 공급하는 다수의 전원인출구가 구비되는 전원분배부와; 상기 전원분배부의 전원인출구에 외부기기가 접속된 경우 상기 외부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에 따른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와; 상기 전류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전류값과 기설정된 상기 외부기기의 고유전류값을 비교하여 상기 외부기기의 정상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와 관리서버를 인터넷을 통해 연결접속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분배부의 다수의 전원인출구에 삽입결합된 상기 외부기기의 구동 프로그램 설치시 상기 외부기기를 인식하여 고유허용전류값을 저장하거나 상기 전원분배부의 다수의 전원인출구에 결합가능한 상기 외부기기의 기기명과 고유허용전류값이 리스트화되어 기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전류값과 기설정된 상기 외부기기의 허용고유전류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 전류값이 허용고유전류값의 허용오차 범위내일 경우 이를 정상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전류값과 기설정된 상기 외부기기의 허용고유전류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 전류값이 허용고유전류값의 허용오차범위를 벗어났을 경우 상기 외부기기의 이상으로 판단한 후 상기 외부기기의 이상을 상기 인터넷을 통해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스위칭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전류값과 기설정된 상기 외부기기의 허용고유전류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 전류값이 허용고유전류값의 허용오차범위를 벗어났을 경우 상기 외부기기의 이상으로 판단한 후 상기 외부기기의 이상을 상기 인터넷을 통해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전원차단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외부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스위칭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전류값과 기설정된 상기 외부기기의 허용고유전류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 전류값이 허용고유전류값의 허용오차범위를 벗어났을 경우 상기 외부기기의 이상으로 판단한 후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외부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기기는 모니터, 스피커, IP카메라, 프린터, 교통카드 충전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정보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류검출시스템은 DID장치에 연결되는 외부기기 즉, 모니터, 스피커, IP카메라, 프린터, 교통카드 충전장치 등 각각의 고유허용전류값을 기저장한 후 각 장치로 공급되는 전류값을 검출하여 비교함으로써 외부기기의 동작상태를 파악하여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여 대기 전력을 줄일 수 있으며, 동시에 외부기기의 상태 이상시 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A/S를 요청하거나 전송되는 광고정보를 차단하여 관리서버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정보디스플레이장치의 전류검출시스템이 적용된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2는 도1의 플로우 차트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정보디스플레이장치의 전류검출시스템의 기술적 구성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정보디스플레이장치의 전류검출시스템이 적용된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정보디스플레이장치의 전류검출시스템은 전원분배부(110)와, 외부기기(120)와, 전류검출부(130)와, 제어부(140)와, 스위칭부(150)와, 통신부(160)와, 인터넷(170)과, 관리서버(180)를 구비한다. 상기 디지털정보디스플레이장치의 전류검출시스템은 상기 전원분배부(110)와, 전류검출부(130)와, 제어부(140)와, 스위칭부(150)와, 통신부(160)는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정보디스플레이장치의 전류검출시스템은 상기 전원분재부(110)와 전류검출부(130)만을 일체형으로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제어부(140)로는 디지털정보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부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분배부(110)는 다수의 전원인출구(111)가 구비되어 공급 전원을 분배하여 상기 외부기기(120)로 공급한다.
상기 외부기기(120)는 모니터, 스피커, IP카메라, 프린터, 교통카드 충전장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 아이피(IP)가 설정되며, 상기 전원분배부(110)의 다수의 전원인출구(111)에 플러그를 연결하여 동작 전원을 공급받아 해당 기기의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전류검출부(130)는 상기 전원분배부(110)의 전원인출구(111)에 외부기기(120)가 접속된 경우 상기 외부기기(120)로 공급되는 전원에 따른 전류를 검출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전류검출부(130)로부터 검출된 전류값과 기설정된 상기 외부기기의 고유전류값을 비교하여 상기 외부기기(120)의 정상동작 여부를 판단하여 이상 발생시 상기 스위칭부(150)를 제어하여 상기 외부기기(1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며, 이를 상기 통신부(160)와 상기 인터넷(170)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180)로 전송하여 이상 발생된 상기 외부기기(120)의 상태를 알리게 된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상기 관리서버(180)의 원격 제어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150)를 차단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전류검출부(130)로부터 검출된 전류값과 기설정된 상기 외부기기의 허용고유전류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 전류값이 허용고유전류값의 허용오차범위내일 경우 이를 정상 상태로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전류값이 허용고유전류값의 허용오차범위 96~104% 일 경우 정상 상태로 판단하게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98~102% 일 경우 정상 상태로 판단하게 되며, 상기 94% 이하일 경우 기기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상기 104% 이상일 경우 과부하로 인한 상태 이상으로 판단한다.
상기 스위칭부(150)는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외부기기(1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상기 통신부(160)는 상기 제어부(140)와 상기 관리서버(180)를 상기 인터넷(170)을 통한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상기 통신부(160)는 유무선 통신 어느 것을 사용해도 상관없으나, 도1에는 유선으로 연결된 것을 일실시예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관리서버(180)는 상기 통신부(160)와 상기 인터넷(170)을 통해 광고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제어부(140)를 통해 상기 외부기기(120)인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어부(140)로부터 상기 외부기기(120)의 이상 발생시 이를 전송받아 상기 광고정보를 차단하거나 A/S가 이루어지도록 조치를 취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외부기기(140)로 공급되는 전원으로 원격으로 차단하도록 원격제어한다.
도2는 도1의 플로우 차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정보디스플레이장치의 전류검출시스템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전원분배부(110)는 다수의 전원인출구(111)가 구비되어 외부기기(120) 즉, 모니터, 스피커, IP카메라, 프린터, 교통카드 충전장치 등의 플러그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러그가 상기 다수의 전원인출구(111)에 삽입결합되면 공급 전원을 분배하여 상기 외부기기(120)의 해당 기기로 공급한다(S1).
그러면, 제어부(140)는 상기 전원분배부(110)의 다수의 전원인출구(111)에 삽입결합된 상기 외부기기(120)의 구동 프로그램 설치시 상기 외부기기(120)를 인식하여 고유허용전류값을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전원분배부(120)의 다수의 전원인출구(111)에 결합가능한 외부기기의 기기명과 고유허용전류값이 리스트화되어 기저장된다. 또는 제어부(140)는 상기 외부기기(140)에 아이피(IP)를 부여한 후 상기 아이피(IP)가 부여된 외부기기로부터 외부기기 자체의 고유허용전류값을 전송받아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삽입결합된 상기 외부기기(120)가 모니터인 경우 제어부(140)는 상기 모니터의 대기 상태를 통신부(16)와 인터넷(170)을 통해 관리서버(18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관리서버(180)는 상기 인터넷(170)과 통신부(160)를 통해 광고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제어부(140)를 통해 상기 외부기기(120)인 모니터에 광고를 디스플레이하다.
이때, 전류검출부(130)는 상기 전원분배부(110)의 전원인출구(111)에 접속된 외부기기(120)인 모니터로 공급되는 전원에 따른 전류값을 검출한다(S2).
그러면, 제어부(140)는 상기 전류검출부(130)로부터 검출된 전류값과 기설정된 상기 외부기기(120)인 모니터의 허용고유전류값을 비교하여 상기 외부기기(120)인 모니터의 정상동작 여부를 판단한다(S3). 즉,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전류검출부(130)로부터 검출된 전류값과 기설정된 상기 외부기기(120)인 모니터의 허용고유전류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 전류값이 허용고유전류값의 허용오차범위내일 경우 이를 정상 상태로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전류값이 허용고유전류값의 허용오차범위 96~104% 일 경우 정상 상태로 판단하게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98~102% 일 경우 정상 상태로 판단(S4)하게 되며, 상기 94% 이하일 경우 기기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상기 104% 이상일 경우 과부하로 인한 상태 이상으로 판단(S5)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상기 비교결과 상기 외부기기(120)인 모니터가 상태 이상일 경우 스위칭부(150)를 제어하여 상기 외부기기(120)인 모니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S6). 이렇게 함으로써 외부기기(120)인 모니터의 상태 이상으로 인한 비동작시 대기 전력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40)는 상기 비교결과 상기 외부기기(120)인 모니터가 상태 이상일 경우 상기 통신부(160)와 상기 인터넷(170)을 통해 상기 외부기기(120)인 모니터의 상태 이상을 관리서버(180)로 전송한다(S7)
이에 따라 관리서버(180)는 상기 통신부(160)와 상기 인터넷(170)을 통해 상기 제어부(140)로부터 상기 외부기기(120)인 모니터의 이상 발생시 이를 전송받아 상기 광고정보를 차단하거나 A/S가 이루어지도록 조치를 취하도록 조치를 취하게 된다. 아울러 관리서버(180)는 상기 외부기기(140)로 공급되는 전원으로 원격으로 차단하기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140)로 전송한다.
그러면, 제어부(140)는 상기 관리서버(180)로부터 전송된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150)를 제어하여 상기 해당 외부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대기 전력을 줄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균등한 것들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10 : 전원분배부 111 : 전원인출구
120 : 외부기기 130 : 전류검출부
140 : 제어부 150 : 스위칭부
160 : 통신부 170 : 인터넷
180 : 관리서버

Claims (8)

  1. 인터넷을 통해 관리서버에 접속되는 디지털정보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공급 전원을 분배하여 공급하는 다수의 전원인출구가 구비되는 전원분배부와;
    상기 전원분배부의 전원인출구에 외부기기가 접속된 경우 상기 외부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에 따른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와;
    상기 전류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전류값과 기설정된 상기 외부기기의 고유전류값을 비교하여 상기 외부기기의 정상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정보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류검출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관리서버를 인터넷을 통해 연결접속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정보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류검출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분배부의 다수의 전원인출구에 삽입결합된 상기 외부기기의 구동 프로그램 설치시 상기 외부기기를 인식하여 고유허용전류값을 저장하거나 상기 전원분배부의 다수의 전원인출구에 결합가능한 상기 외부기기의 기기명과 고유허용전류값이 리스트화되어 기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정보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류검출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전류값과 기설정된 상기 외부기기의 허용고유전류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 전류값이 허용고유전류값의 허용오차 범위내일 경우 이를 정상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정보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류검출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전류값과 기설정된 상기 외부기기의 허용고유전류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 전류값이 허용고유전류값의 허용오차범위를 벗어났을 경우 상기 외부기기의 이상으로 판단한 후 상기 외부기기의 이상을 상기 인터넷을 통해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정보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류검출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스위칭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전류값과 기설정된 상기 외부기기의 허용고유전류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 전류값이 허용고유전류값의 허용오차범위를 벗어났을 경우 상기 외부기기의 이상으로 판단한 후 상기 외부기기의 이상을 상기 인터넷을 통해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전원차단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외부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정보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류검출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스위칭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전류값과 기설정된 상기 외부기기의 허용고유전류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 전류값이 허용고유전류값의 허용오차범위를 벗어났을 경우 상기 외부기기의 이상으로 판단한 후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외부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정보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류검출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는 모니터, 스피커, IP카메라, 프린터, 교통카드 충전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정보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류검출시스템.
KR1020110030149A 2011-04-01 2011-04-01 디지털정보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류검출시스템 KR201201115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149A KR20120111584A (ko) 2011-04-01 2011-04-01 디지털정보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류검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149A KR20120111584A (ko) 2011-04-01 2011-04-01 디지털정보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류검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584A true KR20120111584A (ko) 2012-10-10

Family

ID=47282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149A KR20120111584A (ko) 2011-04-01 2011-04-01 디지털정보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류검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158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5521B1 (ko) 유틸리티 서비스 영역 내의 전기 서비스의 제어형 재개
US1020562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d/or controlling backup power in a communications system
CN104898435B (zh) 家庭服务系统及其故障处理方法、家电设备、服务器
CN106130742A (zh) 基于poe系统的设备供电方法及装置
US11800009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1456318B1 (ko) 부하 제어 장치에서의 부하 제어 방법
US20100083388A1 (en) Network projector and projector system
JP3437176B2 (ja) 電源管理装置及び電源管理システム
JP5744310B2 (ja) 車両内情報表示システムおよび電力供給方法
CN106330914B (zh) 一种流媒体直播热备份系统
US962865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facsimile portion
JP2016185020A (ja) 通信システム、分電盤
KR20120064519A (ko) 부하 제어 방법
US20090091189A1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KR20120111584A (ko) 디지털정보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류검출시스템
JP2009260616A (ja) Cctv設備状態監視システム
US9018797B2 (en) Power distribution management
KR20130067356A (ko) 화상 형성 장치, 전력 관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5210561A (ja) 映像配信システム及び映像配信方法
US9979228B2 (en) Energy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10206675A (ja) 電源起動制御機能を備えたネットワーク装置
JP2011123595A (ja) 交通信号システム
JP2015053631A (ja) デバイス及び表示システム
JP2010206919A (ja) バックアップ電源装置およびバックアップ電源システムならびに給電切替方法
JP2002032866A (ja) 販売データ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