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1422A - 벨로우즈 조립체. - Google Patents

벨로우즈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1422A
KR20120111422A KR1020110029876A KR20110029876A KR20120111422A KR 20120111422 A KR20120111422 A KR 20120111422A KR 1020110029876 A KR1020110029876 A KR 1020110029876A KR 20110029876 A KR20110029876 A KR 20110029876A KR 20120111422 A KR20120111422 A KR 20120111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member
flange
inner cylinder
bellows assembly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9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3919B1 (ko
Inventor
김윤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에스엠컴포넌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에스엠컴포넌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에스엠컴포넌트
Priority to KR1020110029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3919B1/ko
Publication of KR20120111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 F16L27/107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the ends of the pipe being interconnected by a flexible sleeve
    • F16L27/11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the ends of the pipe being interconnected by a flexible sleeve the sleeve having the form of a bellows with multiple corrug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 F16L27/0804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the fluid passing axially from one joint element to another
    • F16L27/08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the fluid passing axially from one joint element to another the joint elements extending coaxially for some distance from their point of sepa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 F16L27/1012Flanged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aphragms And Bell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로우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신축 운동과 굽힘 운동이 가능한 주름부를 구비한 파이프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1 플랜지; 상기 본체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2 플랜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파이프형 부재로서, 일단부가 상기 제1 플랜지에 결합되는 내통부재; 상기 본체의 내주면과 상기 내통부재의 외주면 사이에 삽입되는 파이프형 부재로서, 일단부가 상기 제1 플랜지에 결합되는 외통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통부재와 상기 본체의 내주면과 상기 내통부재의 외주면 사이에 삽입되는 외통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본체의 내부에 고온의 열원이나 부식성 물질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본체가 그 열원이나 부식성 물질들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벨로우즈 조립체.{Bellows assembly.}
본 발명은 벨로우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체의 내부에 고온의 열원이나 부식성 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본체가 그 열원이나 부식성 물질들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벨로우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벨로우즈(Bellows)는, 신축 운동과 굽힘 운동이 가능한 주름 구조로서, 도 1에는 상기 벨로우즈를 포함하는 벨로우즈 조립체(1)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벨로우즈 조립체(1)는, 신축 운동과 굽힘 운동이 가능한 주름부(5)를 구비한 파이프 형상의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고리 형상의 제1 플랜지(3)와, 상기 본체(2)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고리 형상의 제2 플랜지(4)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주름부(5)의 신축 운동과 굽힘 운동에 의하여 상기 제1 플랜지(3)에 대한 상기 제2 플랜지(4)의 상대 거리 및 방향은 변동될 수 있다.
이러한, 벨로우즈 조립체(1)는, 상기 본체(2)를 기준으로 내부와 외부를 물리적으로 차단하고, 상기 제1 플랜지(3)에 대한 상기 제2 플랜지(4)의 상대적인 위치 이동 또는 자세 변화가 요구되는 경우에 많이 사용된다. 특히, 상기 본체(2)가 얇은 금속 판 또는 얇은 금속 관으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2) 내외에 큰 압력차가 존재하거나, 상기 본체(2)의 내부 또는 외부에 고온의 열원이 존재하는 경우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벨로우즈 조립체(1)는, 상기 본체(2)의 내부 또는 외부에 고온의 열원이 존재하는 경우, 그 열원으로부터 발생되는 복사열이 상기 본체(2)의 표면에 직접 전달됨으로써, 상기 본체(2)의 온도가 상승하여 상기 본체(2)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벨로우즈 조립체(1)는, 고온의 열원이 존재하는 경우 반복적인 사용에 의한 피로파괴가 조기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문제점은 상기 본체(2)가 얇은 금속 판 또는 얇은 금속 관으로 제작되는 경우에 더욱 심각해진다.
또한, 종래의 벨로우즈 조립체(1)는, 상기 본체(2)의 내부 또는 외부로 부식성 기체나 액체가 존재하는 경우, 그 기체나 액체가 상기 본체(2)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게 됨으로써, 상기 본체(2)의 부식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 특히, 이러한 문제점은,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본체(2)가 얇은 금속 판 또는 얇은 금속 관으로 제작되는 경우에 더욱 심각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본체의 내부에 고온의 열원이나 부식성 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본체가 그 열원이나 부식성 물질들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벨로우즈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벨로우즈 조립체는, 신축 운동과 굽힘 운동이 가능한 주름부를 구비한 파이프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1 플랜지; 상기 본체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2 플랜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파이프형 부재로서, 일단부가 상기 제1 플랜지에 결합되는 내통부재; 상기 본체의 내주면과 상기 내통부재의 외주면 사이에 삽입되는 파이프형 부재로서, 일단부가 상기 제1 플랜지에 결합되는 외통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외통부재의 내주면은, 상기 내통부재의 외주면과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고리 형상의 부재로서, 외주면은 상기 제1 플랜지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내통부재의 일단부와 상기 외통부재의 일단부 사이에 삽입되는 제1 돌출부를 구비하는 연결부재; 고리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내통부재의 타단부와 상기 외통부재의 타단부 사이에 삽입되는 제2 돌출부를 구비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내통부재와 외통부재에는,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내통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제1 관통공들과, 상기 외통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제2 관통공들은, 서로 마주하지 않도록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벨로우즈 조립체는, 신축 운동과 굽힘 운동이 가능한 주름부를 구비한 파이프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1 플랜지; 상기 본체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2 플랜지; 상기 본체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파이프형 부재로서, 일단부가 상기 제1 플랜지에 결합되는 내통부재; 상기 내통부재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파이프형 부재로서, 일단부가 상기 제1 플랜지에 결합되는 외통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외통부재의 내주면은, 상기 내통부재의 외주면과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고리 형상의 부재로서, 내주면은 상기 제1 플랜지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내통부재의 일단부와 상기 외통부재의 일단부 사이에 삽입되는 제1 돌출부를 구비하는 연결부재; 고리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내통부재의 타단부와 상기 외통부재의 타단부 사이에 삽입되는 제2 돌출부를 구비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내통부재와 외통부재에는,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내통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제1 관통공들과, 상기 외통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제2 관통공들은, 서로 마주하지 않도록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통부재와 상기 본체의 내주면과 상기 내통부재의 외주면 사이에 삽입되는 외통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본체의 내부에 고온의 열원이나 부식성 물질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본체가 그 열원이나 부식성 물질들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벨로우즈 조립체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벨로우즈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벨로우즈 조립체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벨로우즈 조립체의 IV-IV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B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벨로우즈 조립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벨로우즈 조립체의 C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벨로우즈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벨로우즈 조립체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벨로우즈 조립체의 IV-IV선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벨로우즈 조립체(100)는, 신축 운동과 굽힘 운동이 가능한 주름 구조를 구비한 조립체로서, 본체(10)와, 제1 플랜지(20)와, 제2 플랜지(30)와, 내통부재(40)와, 외통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내부 중공을 가진 원형 파이프 형상의 벨로우즈(Bellows)로서, 신축 운동과 굽힘 운동이 가능한 주름부(11)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10)는, 얇은 금속 판 또는 얇은 금속 관으로 제작되며, 상기 주름부(11)의 신축 운동과 굽힘 운동에 의하여, 상기 본체(10)의 양단부 간의 거리 및 방향이 변동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파이프 형상이므로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을 폐쇄하는 경우, 내부와 외부가 기밀 유지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1 플랜지(20)는, 내부 중공을 가진 원형 고리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제1 플랜지(20)의 중공이 상기 본체(10)의 중공과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10)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제1 본체안착부(21)와, 걸림턱(22)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본체안착부(21)는, 상기 제1 플랜지(20)의 내측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원형의 돌출부로서, 상기 본체(10)의 일단부와 결합된다.
상기 걸림턱(22)은, 상기 제1 플랜지(20)의 내주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원형의 걸림턱으로서, 상기 연결부재(60)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 플랜지(30)는, 내부 중공을 가진 원형 고리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제2 플랜지(30)의 중공이 상기 본체(10)의 중공과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10)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제2 본체안착부(31)를 구비한다.
상기 제2 본체안착부(31)는, 상기 제2 플랜지(30)의 내측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원형의 돌출부로서, 상기 본체(10)의 타단부와 결합된다.
상기 내통부재(40)는, 원형 파이프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삽입되며, 일단부가 상기 제1 플랜지(20)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부재이다.
상기 내통부재(40)에는, 복 수개의 제1 관통공(41)이 상기 내통부재(40)의 둘레에 걸쳐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외통부재(50)는, 상기 내통부재(40)보다는 더 큰 직경을 가진 원형 파이프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본체(10)의 내주면과 상기 내통부재(40)의 외주면 사이에 삽입되며, 일단부가 상기 제1 플랜지(20)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부재이다.
상기 외통부재(50)에는, 복 수개의 제2 관통공(51)이 상기 외통부재(50)의 둘레에 걸쳐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내통부재(4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관통공(41)들과, 상기 외통부재(50)에 형성되어 있는 제2 관통공(51)들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하지 않도록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60)는, 원형 고리 형상의 부재로서, 외주면이 상기 제1 플랜지(20)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1 플랜지(20)의 걸림턱(22)에 결합되며, 제1 돌출부(61)와, 제1 내통안착부(62)와, 제1 외통안착부(63)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돌출부(61)는, 상기 연결부재(60)의 내측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원형의 돌출부로서, 상기 외통부재(50)의 내주면이 상기 내통부재(40)의 외주면과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내통부재(40)의 일단부와 상기 외통부재(50)의 일단부 사이에 삽입된다.
상기 제1 내통안착부(62)는, 상기 제1 돌출부(61)의 내측에 마련된 안착 부위로서, 상기 내통부재(40)의 일단부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 외통안착부(63)는, 상기 제1 돌출부(61)의 외측에 마련된 안착 부위로서, 상기 외통부재(50)의 일단부가 안착되는 부분이며, 상기 제1 플랜지(20)의 걸림턱(22)에 걸리는 부분이기도 하다.
상기 고정부재(70)는, 원형 고리 형상의 부재로서, 제2 돌출부(71)와, 제2 내통안착부(72)와, 제2 외통안착부(73)를 구비한다.
상기 제2 돌출부(71)는, 상기 고정부재(70)의 내측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원형의 돌출부로서, 상기 외통부재(50)의 내주면이 상기 내통부재(40)의 외주면과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내통부재(40)의 타단부와 상기 외통부재(50)의 타단부 사이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내통부재(40)와 외통부재(50) 사이에는 내부공간(D)이 형성된다.
상기 제2 내통안착부(72)는, 상기 제2 돌출부(71)의 내측에 마련된 안착 부위로서, 상기 내통부재(40)의 타단부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 외통안착부(73)는, 상기 제2 돌출부(71)의 외측에 마련된 안착 부위로서, 상기 외통부재(50)의 타단부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술한 구성의 벨로우즈 조립체(100)는, 상기 주름부(11)의 신축 운동과 굽힘 운동에 의하여 상기 제1 플랜지(20)에 대한 상기 제2 플랜지(30)의 상대 거리 및 방향이 변동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0)에 의하여 상기 본체(10)를 기준으로 내부와 외부를 물리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통부재(40) 및 외통부재(50)는, 상기 제1 플랜지(20)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플랜지(20)와 함께 강체 운동을 하게 되며, 상기 외통부재(50)는 상기 주름부(11)의 신축 운동이나 굽힘 운동 시에 가이드 기능도 일부 수행한다. 한편, 상기 벨로우즈 조립체(10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고온의 열원이 존재하거나 부식성 물질이 유동하는 경우에도 많이 사용되는데, 이하에서는 그러한 상황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벨로우즈 조립체(10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통부재(40)와 상기 본체(10)의 내주면과 상기 내통부재(40)의 외주면 사이에 삽입되는 외통부재(5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고온의 열원이나 부식성 물질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내통부재(40)와 외통부재(50)가 차폐막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열원에 의한 복사열이나 상기 부식성 물질이 상기 본체(2)의 표면에 직접 전달되는 종래의 벨로우즈 조립체(1)와 비교할 때, 상기 본체(10)가 상기 열원이나 부식성 물질들로부터 손상되는 정도가 감소되어 보호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벨로우즈 조립체(100)는, 반복적인 사용에 의하여 상기 주름부(11)의 신축 운동이나 굽힘 운동이 반복되더라도, 상기 열원이나 부식성 물질들에 의한 상기 본체(10)의 피로파괴가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벨로우즈 조립체(100)는, 차폐막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내통부재(40)와 외통부재(50)를 동시에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내통부재(40)만 존재하는 경우에 비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상기 열원이나 부식성 물질들로부터 상기 본체(10)를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벨로우즈 조립체(100)는, 상기 외통부재(50)의 내주면이 상기 내통부재(40)의 외주면과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내부공간(D)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내부공간(D)이 없는 경우에 비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상기 열원이나 부식성 물질들로부터 상기 본체(10)를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벨로우즈 조립체(100)는, 상기 내통부재(40)와 외통부재(50)에 복수 개의 관통공(41, 5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내부공간(D)에 존재하는 유체가 상기 내부공간(D)의 외부로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벨로우즈 조립체(100)는, 상기 내부공간(D)에 존재하는 유체가 상기 내부공간(D)에 갇혀 있는 경우에 비하여, 상기 가열된 내통부재(40)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대류 현상에 의하여 상기 외통부재(50)로 전달되는 양이 감소함으로써, 상기 본체(10)가 쉽게 가열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으며, 상기 내부공간(D)에 존재하는 유체가 고열에 의하여 팽창하더라도 쉽게 유출될 수 있어, 팽창된 유체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내통부재(40) 또는 상기 외통부재(50)가 구조적으로 변형되지 않는다는 장점도 있다.
그리고, 상기 벨로우즈 조립체(100)는, 상기 내통부재(40)와 외통부재(50)에 복수 개의 관통공(41, 5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본체(10)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드는 경우, 상기 관통공(41, 51)들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상기 내부공간(D)에 존재하는 유체나 상기 외통부재(50)의 외주면과 상기 본체(10)의 내주면 사이에 존재하는 유체가 더욱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어, 상기 본체(10)의 내부가 진공 상태에 도달하는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벨로우즈 조립체(100)는, 상기 내통부재(4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관통공들(41)과 상기 외통부재(50)에 형성되어 있는 제2 관통공들(51)이 서로 마주하지 않도록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있는 열원에서 발생되는 복사열이 직접 상기 본체(10)의 표면에 도달하지 않으며, 상기 관통공들(41, 51)들이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상기 본체(10)의 내부를 유동하는 부식성 물질이 상기 본체(10)의 표면에 접촉하는 유량도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벨로우즈 조립체(2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벨로우즈 조립체(200)는, 상술한 벨로우즈 조립체(100)와 비교할 때 대부분의 구성과 효과는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과 효과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벨로우즈 조립체(200)의 내통부재(40)와 외통부재(50)는 상기 본체(10)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배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는 바, 그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이 벨로우즈 조립체(200)는, 제1 플랜지(120)와, 연결부재(160)를 구비한다.
상기 제1 플랜지(120)는, 내부 중공을 가진 원형 고리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제1 플랜지(120)의 중공이 상기 본체(10)의 중공과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10)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제1 본체안착부(21)와, 걸림턱(122)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본체안착부(21)는, 상기 제1 플랜지(120)의 내측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원형의 돌출부로서, 상기 본체(10)의 일단부와 결합된다.
상기 걸림턱(122)은, 상기 제1 플랜지(120)의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원형의 걸림턱으로서, 상기 연결부재(160)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연결부재(160)는, 원형 고리 형상의 부재로서, 내주면이 상기 제1 플랜지(120)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1 플랜지(120)의 걸림턱(122)에 결합되며, 제1 돌출부(161)와, 제1 내통안착부(162)와, 제1 외통안착부(163)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돌출부(161)는, 상기 연결부재(160)의 내측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원형의 돌출부로서, 상기 외통부재(50)의 내주면이 상기 내통부재(40)의 외주면과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내통부재(40)의 일단부와 상기 외통부재(50)의 일단부 사이에 삽입된다.
상기 제1 내통안착부(162)는, 상기 제1 돌출부(161)의 내측에 마련된 안착 부위로서, 상기 내통부재(40)의 일단부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 외통안착부(163)는, 상기 제1 돌출부(161)의 외측에 마련된 안착 부위로서, 상기 외통부재(50)의 일단부가 안착되는 부분이며, 상기 제1 플랜지(120)의 걸림턱(122)에 걸리는 부분이기도 하다.
상술한 구성의 벨로우즈 조립체(200)는, 열원이나 부식성 물질이 상기 본체(10)의 외부에 존재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작용 및 효과는 상술한 벨로우즈 조립체(100)와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벨로우즈 조립체 10 : 본체
11 : 주름부 20 : 제1 플랜지
21 : 제1 본체안착부 22 : 걸림턱
30 : 제2 플랜지 31 : 제2 본체안착부
40 : 내통부재 41 : 제1 관통공
50 : 외통부재 51 : 제2 관통공
60 : 연결부재 61 : 제1 돌출부
62 : 제1 내통안착부 63 : 제1 외통안착부
70 : 고정부재 71 : 제2 돌출부
72 : 제2 내통안착부 73 : 제2 외통안착부
D : 내부공간 1 : 벨로우즈 조립체
2 : 본체 3 : 제1 플랜지
4 : 제2 플랜지 5 : 주름부

Claims (10)

  1. 신축 운동과 굽힘 운동이 가능한 주름부를 구비한 파이프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1 플랜지;
    상기 본체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2 플랜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파이프형 부재로서, 일단부가 상기 제1 플랜지에 결합되는 내통부재;
    상기 본체의 내주면과 상기 내통부재의 외주면 사이에 삽입되는 파이프형 부재로서, 일단부가 상기 제1 플랜지에 결합되는 외통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로우즈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부재의 내주면은, 상기 내통부재의 외주면과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로우즈 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고리 형상의 부재로서, 외주면은 상기 제1 플랜지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내통부재의 일단부와 상기 외통부재의 일단부 사이에 삽입되는 제1 돌출부를 구비하는 연결부재;
    고리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내통부재의 타단부와 상기 외통부재의 타단부 사이에 삽입되는 제2 돌출부를 구비하는 고정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로우즈 조립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부재와 외통부재에는,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로우즈 조립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제1 관통공들과, 상기 외통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제2 관통공들은, 서로 마주하지 않도록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로우즈 조립체.
  6. 신축 운동과 굽힘 운동이 가능한 주름부를 구비한 파이프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1 플랜지;
    상기 본체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2 플랜지;
    상기 본체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파이프형 부재로서, 일단부가 상기 제1 플랜지에 결합되는 내통부재;
    상기 내통부재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파이프형 부재로서, 일단부가 상기 제1 플랜지에 결합되는 외통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로우즈 조립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부재의 내주면은, 상기 내통부재의 외주면과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로우즈 조립체.
  8. 제 7항에 있어서,
    고리 형상의 부재로서, 내주면은 상기 제1 플랜지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내통부재의 일단부와 상기 외통부재의 일단부 사이에 삽입되는 제1 돌출부를 구비하는 연결부재;
    고리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내통부재의 타단부와 상기 외통부재의 타단부 사이에 삽입되는 제2 돌출부를 구비하는 고정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로우즈 조립체.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부재와 외통부재에는,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로우즈 조립체.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제1 관통공들과, 상기 외통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제2 관통공들은, 서로 마주하지 않도록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로우즈 조립체.
KR1020110029876A 2011-03-31 2011-03-31 벨로우즈 조립체. KR101303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876A KR101303919B1 (ko) 2011-03-31 2011-03-31 벨로우즈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876A KR101303919B1 (ko) 2011-03-31 2011-03-31 벨로우즈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422A true KR20120111422A (ko) 2012-10-10
KR101303919B1 KR101303919B1 (ko) 2013-09-05

Family

ID=47282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9876A KR101303919B1 (ko) 2011-03-31 2011-03-31 벨로우즈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39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9607A (ko) * 2012-12-25 2015-08-31 신에츠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액추에이터 및 점착 척 장치
KR20190067991A (ko) 2017-12-08 2019-06-18 주식회사 케이에스엠 벨로우즈용 신축성 쉴드 및 신축성 쉴드가 구비된 벨로우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611Y1 (ko) * 1994-01-26 1996-08-03 김경두 개량 합성수지 하수관
KR19980027382U (ko) * 1996-11-15 1998-08-05 박병재 2중배기 주름관
KR19990086797A (ko) * 1998-05-29 1999-12-15 윤종용 반도체 진공설비의 이중 벨로즈장치
KR20100009865U (ko) * 2009-03-30 2010-10-08 (주)지에스티산업 벨로우즈의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9607A (ko) * 2012-12-25 2015-08-31 신에츠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액추에이터 및 점착 척 장치
KR20190067991A (ko) 2017-12-08 2019-06-18 주식회사 케이에스엠 벨로우즈용 신축성 쉴드 및 신축성 쉴드가 구비된 벨로우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3919B1 (ko) 201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65692B2 (ja) 流路接続部のシール構造
KR102357624B1 (ko) 고순도 유체 통로를 접합하기 위한 초밀봉 가스켓
JP2008008487A (ja) 管の接続構造
JP6890005B2 (ja) メンブレンベローズ
KR200469608Y1 (ko) 반도체 제조설비 진공라인의 인터락 호스를 구비한 벨로우즈 장치
CN108072277A (zh) 真空双层结构及热处理炉
EP2846069B1 (en) Gate valve with floating seal
KR101303919B1 (ko) 벨로우즈 조립체.
ES2415630T3 (es) Junta destinada a una estructura de ventilación sanitaria por sobrepresiones
KR101527882B1 (ko) 다중관 벨로우즈 조립체의 제조방법
US6485007B1 (en) Diaphragm bellows device
KR200478837Y1 (ko) 다중관 벨로우즈 조립체
US9080675B2 (en) Gate valve for blocking a pipe
KR20200020783A (ko) 기판 프로세싱 장치 및 방법
KR20200048448A (ko) 히팅 파이프
KR20120040460A (ko) 상하좌우 및 신축방향 움직임 가능한 신축이음관
JP2004003579A (ja) 弁装置
JP6089033B2 (ja) 流体機器用のダイアフラム構造
KR101184921B1 (ko) 메탈 개스킷
KR200486601Y1 (ko) 반도체 제조 설비용 이중 주름 배관장치
JP6913541B2 (ja) 流体機器の接続構造
EP2410226A1 (en) An anti-slip collar device for clamping tubular sections for conveying aeriforms, in particular for exhausting fumes or vapours
JP6624391B2 (ja) 真空断熱二重管構造体
KR101550532B1 (ko) 분리형 하우징을 가지는 반경류 반응기
KR20100094171A (ko) 고온 고압용 메탈시트 버터플라이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