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1346A - 내부 토크 전달 부재를 포함하는 샤프트를 갖는 최소 침습 수술 기구 - Google Patents

내부 토크 전달 부재를 포함하는 샤프트를 갖는 최소 침습 수술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1346A
KR20120111346A KR1020110029771A KR20110029771A KR20120111346A KR 20120111346 A KR20120111346 A KR 20120111346A KR 1020110029771 A KR1020110029771 A KR 1020110029771A KR 20110029771 A KR20110029771 A KR 20110029771A KR 20120111346 A KR20120111346 A KR 20120111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nimally invasive
end effector
invasive surgical
shaft
surgical instr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9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9690B1 (ko
Inventor
정창욱
김형태
Original Assignee
정창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창욱 filed Critical 정창욱
Priority to KR1020110029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9690B1/ko
Priority to US14/008,746 priority patent/US20140094782A1/en
Priority to EP12764514.1A priority patent/EP2692302A4/en
Priority to PCT/KR2012/002340 priority patent/WO2012134201A2/ko
Publication of KR20120111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8/00Arms
    • B25J18/06Arms flexi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Steerable
    • A61B2017/0030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flexible means
    • A61B2017/00309Cut-outs or sl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Steerable
    • A61B2017/0030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flexible means
    • A61B2017/00314Separate linked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a releasable handle; with handle and operating part separable
    • A61B2017/00473Distal part, e.g. tip or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01Details of shaft
    • A61B2017/2905Details of shaft flexi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01Details of shaft
    • A61B2017/2908Multiple segments connected by articul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토크 전달 부재를 포함하는 샤프트를 갖는 최소 침습 수술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최소 침습 수술 기구로서,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연결되는 엔드 이펙터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적어도 하나의 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곡부는 상기 엔드 이펙터를 롤 방향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토크를 그 내부의 토크 전달 부재에 의하여 전달할 수 있는 최소 침습 수술 기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내부 토크 전달 부재를 포함하는 샤프트를 갖는 최소 침습 수술 기구{Instrument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Having Shaft Including Inner Torque Transmission Member}
본 발명은 내부 토크 전달 부재를 포함하는 샤프트를 갖는 최소 침습 수술(minimally invasive surgery) 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소 침습 수술은, 적어도 하나의 작은 절개부를 통하여 환자(또는, 수술의 대상이 되는 동물 등)의 신체 내에 수술 도구를 삽입하여 수술을 수행하는, 수술로 인한 절개를 최소화하는 수술 기법이다.
이러한 최소 침습 수술은 수술 후에 일어나는 환자의 대사 과정의 변화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환자의 회복 기간을 단축시키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즉, 최소 침습 수술을 적용하면, 환자의 수술 후의 입원 기간이 단축될 수 있고, 환자가 수술 후 짧은 시일 내에 정상적인 생활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최소 침습 수술을 통하여, 환자가 느끼는 통증을 경감하는 한편, 수술 후 환자에게 남는 흉터를 줄일 수도 있다.
최소 침습 수술의 일반적인 형태는 내시경 수술이다. 그 중에서도,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수술은 복강 내에서 최소 침습 조사와 수술을 하는 복강경 수술이다. 표준 복강경 수술의 경우에는, 환자의 복부에 가스를 채워 넣고, 복강경 수술 도구에 대한 입구를 제공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작은 절개부를 만든 후에, 이를 통하여 트로카(trocar)를 삽입하는 과정을 거쳐서, 수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수술의 수행 시에, 사용자는 트로카를 통하여 수술 부위 등에 복강경 수술 도구를 들여 보내고 복강 외부에서 그것을 조작(또는, 조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복강경 수술 도구는 일반적으로 복강경(수술 부위 등의 관찰용)과 이 외의 작업 도구를 포함한다. 여기서, 작업 도구는, 각 도구의 작업 단부(또는 말단 동작부)가 소정의 샤프트에 의하여 손잡이 등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종래의 절개 수술(open surgery)에서 사용되는 것과 유사하다. 즉, 작업 도구는, 예를 들어, 클램프, 그라스퍼, 가위, 스테이플러, 바늘 잡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복강경에 의하여 찍히는 수술 부위 등의 영상을 표시하는 모니터에 의하여 수술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게 된다. 이와 유사한 내시경 기술은, 후복막강경, 골반경, 관절경, 뇌수조경, 부비강경, 자궁경, 신장경, 방광경, 요도경, 신우경 등에 두루 사용된다.
본 발명자(들)는 위와 같은 최소 침습 수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최소 침습 수술 기구를 다년간 개발하여 왔고, 이들의 구성상의 특징과 효과상의 특징을 한국특허출원 제2008-51248호, 제2008-61894호, 제2008-79126호 및 제2008-90560호를 통하여 개시한 바 있다(상기 한국특허출원들의 명세서들은 각각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편입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자(들)는 사용자와 환자에게 더 유리하게끔 그 기능이 개선된 최소 침습 수술 기구에 관하여 한국특허출원 제2010-115152호 및 제2011-3192호를 통하여 소개한 바도 있다(상기 한국특허출원들의 명세서들은 각각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편입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발명자(들)는 이제, 본 명세서를 통하여, 상기 한국특허출원들을 통하여 소개된 최소 침습 수술 기구의 기능적인 장점은 그대로 가지면서도 사용자가 조작하기에 더욱 편리한 최소 침습 수술 기구에 관하여 제안하는 바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굽은 샤프트를 가지면서도 엔드 이펙터의 롤 방향 동작 특성이 양호한 최소 침습 수술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둘 이상이 함께 사용되는 경우에도 엔드 이펙터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최소 침습 수술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둘 이상이 함께 사용되는 경우에도 핸들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최소 침습 수술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최소 침습 수술 기구로서,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연결되는 엔드 이펙터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적어도 하나의 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곡부는 상기 엔드 이펙터를 롤 방향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토크를 그 내부의 토크 전달 부재에 의하여 전달할 수 있는 최소 침습 수술 기구가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구성이 더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굽은 샤프트를 가지면서도 엔드 이펙터의 롤 방향 동작 특성이 양호한 최소 침습 수술 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둘 이상이 함께 사용되는 경우에도 엔드 이펙터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최소 침습 수술 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둘 이상이 함께 사용되는 경우에도 핸들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최소 침습 수술 기구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 기구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곡부(131)와 제2 곡부(132)의 내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유연성 수지(133)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제1 유연성 수지(133)의 구성을 자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핸들부(110)의 일부를 분해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 기구의 일부분의 내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제1 곡부(131)의 일부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엔드 이펙터(100)와 제1 회전 부재(133')가 연결되는 것에 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6의 핸들부(110)의 일부를 분해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 기구의 일부분의 내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엔드 이펙터(100)와 그 인접 회전 부재(136'')가 연결되는 것에 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구성요소 중 일부에 관한 분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 기구 내에서 개폐 와이어(OW)가 연결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 기구의 일부분의 내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와 도 16은 도 14의 튜브부(136''')가 엔드 이펙터(100)와 핸들부(110)에 연결되어 있는 모습을 각각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 기구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제1 곡부(131)와 제2 곡부(132)의 내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 기구는, 수술 도구(미도시됨)를 사용하거나 스스로 수술 도구로서 기능하여 수술을 수행할 수 있는 엔드 이펙터(100),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엔드 이펙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핸들부(110), 일단에 엔드 이펙터(100)가 롤(roll)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타단에 핸들부(110)가 배치되는, 엔드 이펙터(100)와 핸들부(110)를 연결하는 샤프트(130), 그리고 샤프트(130)의 제1 곡부(131)와 제2 곡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곡부(13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엔드 이펙터(100)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고, 제2 곡부(1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110)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곡부(131)는, 둘 이상의 최소 침습 수술 기구가 함께 사용되는 경우의 엔드 이펙터(100)의 충돌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곡부(132)는, 둘 이상의 최소 침습 수술 기구가 함께 사용되는 경우의 핸들부(110)의 간섭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30)의 길이 방향 중심 축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샤프트(130)는 그 내부에 제1 유연성 수지(133), 제2 유연성 수지(134) 및 다수의 직선 부재(136)를 포함할 수 있다(이러한 유연성 수지는 테프론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일 수 있는 직선 부재(136)는 유연하지 않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연성 수지(133)와 제2 유연성 수지(134)는 각각, 그 외부의 샤프트(130)의 제1 곡부(131)와 제2 곡부(132)에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엔드 이펙터(100)와 핸들부(110) 사이에서 직선 부재(136)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유연성 수지(133 및 134)는, 사용자가 핸들부(110)에 포함되어 있는 롤 스프라켓(155)을 회전시키면(즉, 롤 스프라켓(155)에 토크를 가하면), 샤프트(130)가 롤 방향으로 동작하지 않아도 엔드 이펙터(100)는 롤 방향으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이 경우에, 유연성 수지(133 및 134)와 직선 부재(136) 역시 엔드 이펙터(100)와 함께 롤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제1 유연성 수지(133)에 관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의 제1 유연성 수지(133)의 구성을 자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과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살펴본다. 제1 유연성 수지(13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치 방향으로 굽혀질 수 있는 굽힘 부재(A)와 요 방향으로 굽혀질 수 있는 굽힘 부재(B)가 교대로 배열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굽힘 부재(A)는 두 개의 원판형 부재(a1 및 a3)와 그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시키는 한 개의 연결 부재(a2)로 이루어질 수 있다(바람직하게는, 연결 부재(a2)는 원판형 부재(a1 및 a3)의 소정의 중심 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부재(a2)가 굽힘 부재(A)가 피치 방향으로만 굽혀질 수 있게끔 할 수 있다. 마찬가지 원리로, 굽힘 부재(B)는 요 방향으로만 굽혀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핸들부(110)의 일부를 분해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직선 부재(136)는 롤 스프라켓(155)과 연결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롤 스프라켓(155)을 회전시키면, 이러한 회전이 그것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유연성 수지(134)와, 제1 유연성 수지(133) 및 엔드 이펙터(100)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샤프트(130)는 롤 방향으로 동작하지 않고 유연성 수지(133 및 134)와 직선 부재(136)만이 롤 방향으로 동작하므로, 결국 엔드 이펙터(100)가 다른 동작을 거의 하지 않으면서 롤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핸들부(110)의 회전 가능한 손잡이(113)를 조작하면, 이것에 연결되는 개폐 와이어(179)가 밀리거나 당겨져서 엔드 이펙터(100)를 개폐시킬 수도 있음은 위에서 언급된 한국특허출원들의 발명들에서와 같다.
아래의 여러 실시예에 관하여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구성과 비유사한 구성이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구성으로부터 변경된 구성에 중점을 두어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2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 기구의 일부분의 내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 기구는, 실시예 1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 기구와 마찬가지로, 엔드 이펙터(100), 핸들부(110), 샤프트(130), 제1 곡부(131) 및 제2 곡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에도, 엔드 이펙터(100)가 롤 방향 동작 및/또는 개폐 동작을 할 수 있게 된다.
샤프트(130)는 그 내부에 제1 회전 부재(133') 내지 제4 회전 부재(1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 부재(133') 내지 제4 회전 부재(13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엔드 이펙터(100)로부터 핸들부(110)로 순차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샤프트(130)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유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제1 회전 부재(133') 내지 제4 회전 부재(136')의 각각은 그 인접 회전 부재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곡부(131)와 제2 곡부(132)는 이러한 경사로 인한 샤프트(130) 상의 곡부일 수 있다.
제1 회전 부재(133') 내지 제4 회전 부재(136')는 함께 작용하여 핸들부(110)로부터의 회전을 엔드 이펙터(100)로 전달함으로써 엔드 이펙터(100)가 롤 방향으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이 경우에, 샤프트(130)는 롤 방향으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회전 부재(133') 내지 제4 회전 부재(136')는 위와 같은 협동 작용을 위하여 그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있어서 크라운 기어 구조나 베벨 기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원활한 회전 전달을 위하여, 제1 회전 부재(133') 내지 제4 회전 부재(136') 중 적어도 일부는 유연하지 않은, 비틀림이 적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제1 곡부(131)의 일부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전 부재(134')와 제3 회전 부재(135')는 각각 서로 비스듬하게 맞물리는 단부에 크라운 기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제2 회전 부재(134')의 크라운 기어 구조와 제3 회전 부재(135')의 크라운 기어 구조는, 서로 전체적으로 맞물리지 않고 비스듬하게 맞물리는 까닭에, 그들의 일부 톱니 산과 일부 톱니 골만이 서로 맞물려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기계 구조가 환자의 신체 내에서 노출되면, 환자에게 위험하고 기계 구조 역시 쉽게 손상되므로, 회전 부재(133' 내지 136')의 각각과 그 연결 부위는 샤프트(130)에 의하여 수밀하게 둘러싸여 있을 필요가 있다.
도 8은 도 6의 엔드 이펙터(100)와 제1 회전 부재(133')가 연결되는 것에 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엔드 이펙터(100)의 수술 도구를 집기 위한 집게의 반대쪽의 단부와 제1 회전 부재(133')의 대향 단부에는 핀 홀(PH)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엔드 이펙터(100)는 필요에 따라 샤프트(130)에 포함되는 제1 회전 부재(133')에 대하여 (핀(미도시됨)에 의하여) 착탈될 수 있다.
도 9는 도 6의 핸들부(110)의 일부를 분해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회전 부재(136')는 회전용 부재(140)에 의하여 롤 스프라켓(155)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롤 스프라켓(155)을 회전시키면, 이러한 회전이 그것에 연결되어 있는 회전용 부재(140)를 거치고 제4 회전 부재(136') 내지 제1 회전 부재(133')를 거쳐서 엔드 이펙터(1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샤프트(130)는 롤 방향으로 동작하지 않고 회전 부재(133' 내지 136')와 회전용 부재(140)만이 롤 방향으로 동작하므로, 결국 엔드 이펙터(100)가 다른 동작을 거의 하지 않으면서 롤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핸들부(110)의 회전 가능한 손잡이(미도시됨)를 조작하면, 이것에 연결되는 개폐 와이어(미도시됨)가 밀리거나 당겨져서 엔드 이펙터(100)를 개폐시킬 수도 있음은 실시예 1에서와 같다. 이러한 구성을 위하여, 위에서 언급된 회전 부재(133' 내지 136')와 회전용 부재(140)의 내부에는 공동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실시예 3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 기구의 일부분의 내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 기구는, 실시예 1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 기구와 마찬가지로, 엔드 이펙터(100), 핸들부(110), 샤프트(130), 제1 곡부(131) 및 제2 곡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에도, 엔드 이펙터(100)가 롤 방향 동작 및/또는 개폐 동작을 할 수 있게 된다.
샤프트(130)는, 특히, 제1 곡부(131)와 제2 곡부(132)에 있어서, 다수의 유니버설 조인트(139)와,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서 유니버설 조인트(139)에 연결되는 다수의 회전 부재(136'')를 그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유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회전 부재(136'')의 각각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유니버설 조인트(139)를 개입시켜 제1 곡부(131)와 제2 곡부(132)의 형성 등에 적합한 경사각과 길이를 갖고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엔드 이펙터(100)와 그 인접 회전 부재(136'')가 연결되는 것에 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엔드 이펙터(100)와 그에 인접하는 회전 부재(136'')는 엔드 이펙터(100)에 고정되어 있는 연결 부재(138)와 유니버설 조인트(139)를 개입시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이 경우에, 유니버설 조인트(139)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다수의 조인트 홀(JH)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회전 부재(136'')는 그것이 전달 받은 회전을, 엔드 이펙터(100)의 다른 방향으로의 동작을 거의 야기하지 않고, 유니버설 조인트(139)와 연결 부재(138)를 거쳐 엔드 이펙터(1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회전 부재(136'')가 전달 받은 회전은, 마찬가지의 원리에 따라, 핸들부(110)로부터 다른 여러 회전 부재(136'')를 거쳐 전달된 것일 수 있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구성요소 중 일부에 관한 분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재(138)와 회전 부재(136'')를 연결하여 주는 유니버설 조인트(139)는 하나의 큐브 짐벌(171)과 두 개의 U자형 부속(17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두 개의 U자형 부속(172)은, 연결 부재(138)와 회전 부재(136'')의 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하나의 큐브 짐벌(171)을 개입시켜 큐브 짐벌(171)과 U자형 부속(172)의 조인트 홀(JH)에 삽입되는 핀(미도시됨)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 기구 내에서 개폐 와이어(OW)가 연결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와 도 13을 함께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소개된 바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개폐 와이어(OW)가 엔드 이펙터(100)로부터 연결 부재(138), 유니버설 조인트(139), 회전 부재(136'') 등을 거쳐 핸들부(110)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위하여, 연결 부재(138)와 회전 부재(136'')의 내부에는 개폐 와이어(OW)의 전달을 위한 공동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개폐 와이어(OW)는 유니버설 조인트(139)를 그 조인트 홀(JH)을 통하여 가로지를 수 있다.
실시예 4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 기구의 일부분의 내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 기구는, 실시예 1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 기구와 마찬가지로, 엔드 이펙터(100), 핸들부(110), 샤프트(130), 제1 곡부(131) 및 제2 곡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에도, 엔드 이펙터(100)가 롤 방향 동작 및/또는 개폐 동작을 할 수 있게 된다.
샤프트(130)는 엔드 이펙터(100)와 핸들부(110)를 연결시키는 하나의 긴 튜브부(136''')를 그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튜브부(136''')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가닥의 긴 금속, 비금속 재료가 코일 형상으로 감겨져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유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튜브부(136''')는 제1 곡부(131)와 제2 곡부(132)의 형성 등에 적합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위와 같은 튜브부(136''')는 그것이 핸들부(110)로부터 전달 받은 회전을, 엔드 이펙터(100)의 다른 방향으로의 동작을 거의 야기하지 않고, 엔드 이펙터(10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15와 도 16은 도 14의 튜브부(136''')가 엔드 이펙터(100)와 핸들부(110)에 연결되어 있는 모습을 각각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먼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부(136''')의 엔드 이펙터(100) 쪽의 단부에는 핀 홀(PH)이 형성되어 있어서, 튜브부(136''')가 핀(미도시됨)에 의하여 엔드 이펙터(10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부(136''')의 핸들부(110) 쪽의 단부는 핸들부(110)에 포함, 연결되는 회전용 부재(140)에 연결되어 그 회전을 전달 받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튜브부(136''')의 핸들부(110) 쪽의 단부의 중심부에는 튜브부(136''')가 위와 같은 회전을 회전용 부재(140)로부터 전달 받을 수 있도록 하기에 적합한 형태의 공동(미도시됨)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핸들부(110)에서 회전용 부재(140)의 회전이 야기되면, 그로 인한 토크가 튜브부(136''')의 핸들부(110) 쪽의 단부, 튜브부(136''')의 코일 형상의 튜브 및 튜브부(136''')의 엔드 이펙터(100) 쪽의 단부를 거쳐 엔드 이펙터(100)로 전달되어, 엔드 이펙터(100)의 롤 방향 동작이 행하여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도 튜브부(136''')에 공동이 형성되어 있어서 그 내부를 통하여 개폐 와이어(미도시됨)가 전달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또 한편,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튜브부(136''')의 코일 형상의 튜브가 공지의 토젼 튜브(미도시됨) 등의 비코일 형상의 튜브로 대체된 구성 역시 본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활용예
본 발명의 활용예에 따르면, 최소 침습 수술 기구의 핸들부(110) 등의 구성요소 중 적어도 일부를 수술용 로봇 등과 같은 모터 기반 시스템(미도시됨)에 의하여 구동되기에 적합한 구성요소로 변경하거나 변형함으로써, 최소 침습 수술 기구가, 사용자의 수동 조작이 아닌, 시스템이 개입되는 자동(또는, 반자동) 조작에 따라 제어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술용 로봇에 포함되어 있는 전기 모터(미도시됨)는 직선 부재(136), 회전 부재(136'), 회전 부재(136''), 튜브부(136'''), 회전용 부재(140) 및 롤 스프라켓(155) 중 적어도 하나를 직접 회전시킴으로써 엔드 이펙터(100)가 롤 방향으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전기 모터는 개폐 와이어(OW)를 직접 당기는 구동을 행함으로써 엔드 이펙터(100)의 열림이나 닫힘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시스템은 전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엔드 이펙터(100)의 롤링 상태나 개폐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엔드 이펙터
110: 핸들부
130: 샤프트
131: 제1 곡부
132: 제2 곡부

Claims (13)

  1. 최소 침습 수술 기구로서,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연결되는 엔드 이펙터
    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적어도 하나의 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곡부는 상기 엔드 이펙터를 롤 방향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토크를 그 내부의 토크 전달 부재에 의하여 전달할 수 있는
    최소 침습 수술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곡부는,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엔드 이펙터 쪽의 제1 곡부와, 상기 샤프트의 길이 방향 중심 축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2 곡부를 포함하는 최소 침습 수술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 전달 부재는 유연성 수지를 포함하는 최소 침습 수술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 전달 부재는 다수의 회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회전 부재의 각각은 그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기어 구조를 갖고, 상기 기어 구조에 의하여 그 인접 회전 부재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최소 침습 수술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 이펙터에 연결되는 개폐 와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 와이어는 상기 다수의 회전 부재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공동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최소 침습 수술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 전달 부재는 유니버설 조인트를 포함하는 최소 침습 수술 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는 하나의 짐벌과 두 개의 U자형 부속을 포함하는 최소 침습 수술 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짐벌과 상기 두 개의 U자형 부속의 각각은 조인트 홀을 포함하는 최소 침습 수술 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 이펙터에 연결되는 개폐 와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 와이어는 상기 조인트 홀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최소 침습 수술 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 전달 부재는 튜브부를 포함하는 최소 침습 수술 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부는 하나의 굽은 형태의 코일 형상 튜브를 포함하는 최소 침습 수술 기구.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부는 하나의 굽은 형태의 비코일 형상 튜브를 포함하는 최소 침습 수술 기구.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 이펙터에 연결되는 개폐 와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 와이어는 상기 튜브부에 형성되어 있는 공동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최소 침습 수술 기구.
KR1020110029771A 2011-03-31 2011-03-31 내부 토크 전달 부재를 포함하는 샤프트를 갖는 최소 침습 수술 기구 KR101259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771A KR101259690B1 (ko) 2011-03-31 2011-03-31 내부 토크 전달 부재를 포함하는 샤프트를 갖는 최소 침습 수술 기구
US14/008,746 US20140094782A1 (en) 2011-03-31 2012-03-29 Minimally invasive surgical instrument having shaft including internal torque-transmission member
EP12764514.1A EP2692302A4 (en) 2011-03-31 2012-03-29 MINIMALLY INVASIVE SURGICAL INSTRUMENT WITH A SHAFT WITH AN INTERNAL TORQUE TRANSMISSION ELEMENT
PCT/KR2012/002340 WO2012134201A2 (ko) 2011-03-31 2012-03-29 내부 토크 전달 부재를 포함하는 샤프트를 갖는 최소 침습 수술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771A KR101259690B1 (ko) 2011-03-31 2011-03-31 내부 토크 전달 부재를 포함하는 샤프트를 갖는 최소 침습 수술 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9513A Division KR20130025923A (ko) 2013-01-28 2013-01-28 내부 토크 전달 부재를 포함하는 샤프트를 갖는 최소 침습 수술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346A true KR20120111346A (ko) 2012-10-10
KR101259690B1 KR101259690B1 (ko) 2013-05-02

Family

ID=46932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9771A KR101259690B1 (ko) 2011-03-31 2011-03-31 내부 토크 전달 부재를 포함하는 샤프트를 갖는 최소 침습 수술 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094782A1 (ko)
EP (1) EP2692302A4 (ko)
KR (1) KR101259690B1 (ko)
WO (1) WO2012134201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131A (ko) * 2015-06-23 2017-01-0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복수의 튜브 연속체를 사용한 수술용 로봇 시스템
WO2018203675A1 (ko) * 2017-05-04 2018-11-08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관절운동과 회전운동이 가능한 미세 수술기구
KR20190087183A (ko) * 2018-01-16 2019-07-24 주식회사 텍코드 경피적 뇌하수체종양적출용 전극니들 도구 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80552B2 (en) * 2014-04-21 2018-09-25 Covidien Lp Adapter assembly with gimbal for interconnecting electromechanical surgical devices and surgical loading units, and surgical systems thereof
US10226239B2 (en) * 2015-04-10 2019-03-12 Covidien Lp Adapter assembly with gimbal for interconnecting electromechanical surgical devices and surgical loading units, and surgical systems thereof
CN114302682A (zh) * 2020-08-07 2022-04-08 博洛尼亚大学阿尔玛母校研究室 腹腔镜手术器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92513A1 (en) * 2002-04-30 2003-11-13 Precimed S.A. Reamer spindle for minimally invasive joint surgery
US7753901B2 (en) 2004-07-21 2010-07-13 Tyco Healthcare Group Lp Laparoscopic instrument and cannula assembly and related surgical method
US8761709B2 (en) 2006-03-01 2014-06-24 Nokia Corporation Controlling a receiver
KR20080051248A (ko) 2006-12-05 2008-06-11 채수하 내화성을 갖는 샌드위치패널
KR20080061894A (ko) 2006-12-28 2008-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정 표시 패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80079126A (ko) 2007-02-26 2008-08-29 주식회사 유니베라 알로에신 및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WO2009091497A2 (en) * 2008-01-16 2009-07-23 John Hyoung Kim Minimally invasive surgical instrument
KR100999466B1 (ko) * 2008-08-12 2010-12-09 정창욱 최소 침습 수술 도구 및 그 사용 방법
US8142473B2 (en) * 2008-10-03 2012-03-27 Tyco Healthcare Group Lp Method of transferring rotational motion in an articulating surgical instrument
FR2943906B1 (fr) * 2009-04-03 2013-03-22 Univ Pierre Et Marie Curie Paris 6 Instrument chirurgical.
KR20100115152A (ko) 2009-04-17 2010-10-27 김영환 점검등
DE202009012796U1 (de) * 2009-05-29 2009-11-26 Aesculap Ag Chirurgisches Instrument
KR20110003192A (ko) 2009-07-03 2011-01-11 주식회사 루멘스 가로등 시스템
DE102009037045A1 (de) * 2009-08-13 2011-02-17 Olympus Winter & Ibe Gmbh Rohrförmiger Schaft eines chirurgischen Instrument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131A (ko) * 2015-06-23 2017-01-0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복수의 튜브 연속체를 사용한 수술용 로봇 시스템
US9993308B2 (en) 2015-06-23 2018-06-12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Tube continuum robot having a tube body capable of linear control and robot system for operation using thereof
WO2018203675A1 (ko) * 2017-05-04 2018-11-08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관절운동과 회전운동이 가능한 미세 수술기구
KR20190087183A (ko) * 2018-01-16 2019-07-24 주식회사 텍코드 경피적 뇌하수체종양적출용 전극니들 도구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94782A1 (en) 2014-04-03
KR101259690B1 (ko) 2013-05-02
EP2692302A4 (en) 2014-11-19
EP2692302A2 (en) 2014-02-05
WO2012134201A2 (ko) 2012-10-04
WO2012134201A3 (ko) 201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4337B2 (en) Surgical instrument with increased actuation force
EP2200516B1 (en) Small caliber laparoscope surgical apparatus
KR101322030B1 (ko) 구형 부품을 포함하는 관절부를 갖는 최소 침습 수술 기구
KR101259701B1 (ko) 굽은 샤프트를 갖는 최소 침습 수술 기구
KR101259690B1 (ko) 내부 토크 전달 부재를 포함하는 샤프트를 갖는 최소 침습 수술 기구
US8454631B2 (en) Axial stitching devices
EP3593702B1 (en) Articulation section with locking
EP2670289B1 (en) Articulation joints for torque transmission
KR101521289B1 (ko) 개선된 관절부를 갖는 최소 침습 수술 기구
US20140243850A1 (en) Surgical instrument with curved jaws for surgical system
US20200390430A1 (en) Low-friction, small profile medical tools having easy-to-assemble components
KR20130023311A (ko) 굽은 샤프트를 갖는 최소 침습 수술 기구
JP5200055B2 (ja) 内視鏡外科手術用鉗子
US20200397522A1 (en) Low-friction, small profile medical tools having easy-to-assemble components
KR20130025923A (ko) 내부 토크 전달 부재를 포함하는 샤프트를 갖는 최소 침습 수술 기구
CN219109560U (zh) 手术仪器的驱动力传递装置以及包括其的手术仪器
CN219289608U (zh) 弯折手术器械
KR101300404B1 (ko) 모터로 구현되는 최소 침습 수술 기구
KR20130131276A (ko) 개선된 관절부를 갖는 최소 침습 수술 기구
KR20130031312A (ko) 모터로 구현되는 최소 침습 수술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7